KR2023013090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0904A KR20230130904A KR1020220028085A KR20220028085A KR20230130904A KR 20230130904 A KR20230130904 A KR 20230130904A KR 1020220028085 A KR1020220028085 A KR 1020220028085A KR 20220028085 A KR20220028085 A KR 20220028085A KR 20230130904 A KR20230130904 A KR 202301309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 edge
- blocking wall
- duct
- tub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류가이드의 내부에 토출구의 토출구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는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을 배치하여, 기류가이드의 토출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세척수 액적이 기류가이드의 내부 상단면을 향해 비산되거나, 건조풍이 도입되는 연결덕트부의 상단을 향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기류가이드의 내부에 토출구의 토출구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는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을 배치하여, 기류가이드의 토출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세척수 액적이 기류가이드의 내부 상단면을 향해 비산되거나, 건조풍이 도입되는 연결덕트부의 상단을 향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 조리기구 등에 물과 같은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 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물을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식기 등과 같은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세척행정, 세척대상물에 대한 행굼을 진행하는 행굼행정, 세척 및 행굼이 완료된 세척대상물을 건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건조행정 중에 고온의 건조풍을 세척조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하여 건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세척대상물의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독일특허공개공보 제102015212869호 (선행문헌 001)에는, 세척 및 행굼행정이 완료된 후 고온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를 구비한 식기세척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001에 개시된 식기세척기는, 터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해 생성되는 건조풍을 터브의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건조풍분사부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건조풍분사부는 건조풍이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며, 토출구는 터브의 중앙 측을 향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이와 같이 선행문헌 001의 건조풍분사부의 토출구는 터브의 세척공간을 향해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토출구를 통해서 세척행정 및 행굼행정 중 비산되는 세척수가 건조풍분사부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역유입된 세척수가 건조풍분사부의 내부에 잔류되는 경우에는 세균번식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조풍분사부의 내부로 역유입된 세척수 중 적어도 일부는 연결관을 통해 열풍공급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 높으며, 유입된 세척수에 의해서 열풍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전장품이 손상되거나 누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류가이드의 내부에 토출구의 토출구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는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을 배치하여, 기류가이드의 토출구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세척수 액적이 기류가이드의 내부 상단면을 향해 비산되거나, 건조풍이 도입되는 연결덕트부의 상단을 향해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류가이드가 결합되며 건조풍 기류를 기류가이드의 내부로 안내하는 연결덕트부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가 기류가이드의 덕트결합부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높게 되도록 구성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기류가이드의 연결덕트부와 덕트결합부 사이의 틈새를 통해 세척수가 이동하여 덕트결합부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벽이 건조풍 기류의 유동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으로 구성하여, 차단벽에 의한 건조풍 기류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을 생성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풍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내부 유동공간과, 상기 내부 유동공간을 통과한 건조풍이 분사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기류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가이드는, 상기 내부 유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는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류가이드는, 상기 건조풍공급부에 결합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건조풍이 도입되는 로어가이드; 및 상기 로어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어퍼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전방 에지, 상단 에지 및 후방 에지를 형성하는 노치홀를 구비하고,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하단 에지를 형성하는 기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어퍼가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의 하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노치홀의 상단 에지와 상기 기준면 사이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상기 노치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곡면이 되는 제1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는, 상기 노치홀의 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는, 상하방향 위치가 제1 위치로 유지되는 제1 에지; 및 상하방향 위치가 제2 위치로 유지되는 제2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는, 상기 제2 에지보다 더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에 근접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상기 노치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곡면이 되고, 상기 제1 차단벽보다 상기 노치홀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차단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차단벽의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벽의 타단 에지는, 상기 제1 차단벽의 타단 에지보다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치홀의 후방 에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건조풍공급부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부 유동공간에 노출되는 원통형상의 덕트결합부; 상기 덕트결합부를 통과한 건조풍을 상기 토출구를 향해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와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는, 상기 유로가이드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덕트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할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벽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분할벽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공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토출구를 통해서 세척수가 역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간이한 구조를 통해 기류가이드가 건조풍공급부에 조립 및 고정된 후 설정된 위치로부터 풀리거나 덜컥거림이 발생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기류가이드가 건조풍공급부에 조립 및 고정된 후 외부 충격에 의해서 정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체결너트의 하단면을 세척공간으로 노출시켜 체결너트와 터브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여, 터브 및 건조풍공급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터브와 체결너트 사이에의 세균 번식 및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바텀 터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에 대한 하부랙 및 바텀 터브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전후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 및 연결덕트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퍼가이드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배면사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로어가이드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15는 전방사시도이며, 도 16은 저면사시도이다.
도 17은 연결덕트부와 로어가이드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9는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3은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4는 기류가이드가 조립되는 연결덕트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기류가이드, 연결덕트부 및 바텀 터브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체결너트의 수직방향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체결너트와 바텀 터브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건조풍공급부가 베이스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건조풍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바텀 터브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7는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에 대한 하부랙 및 바텀 터브 사이의 상대적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를 전후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절단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 및 연결덕트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어퍼가이드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배면사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로어가이드의 후방사시도이고, 도 15는 전방사시도이며, 도 16은 저면사시도이다.
도 17은 연결덕트부와 로어가이드 사이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수직단면도이다.
도 19는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3은 기류가이드가 연결덕트부에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24는 기류가이드가 조립되는 연결덕트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5 내지 도 27은 도 23에 도시된 기류가이드, 연결덕트부 및 바텀 터브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체결너트의 수직방향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된 체결너트와 바텀 터브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의 전반적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전반적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를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이 세척되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0)와,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세척 대상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및 배수하는 구동부(40)와, 터브(20)의 내부 세척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척 대상물이 안착되는 수납부(50)와, 수납부(5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세척 대상물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60)를 구비한다.
이 때, 수납부(50)에 안착되는 세척 대상물은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등의 식기, 및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이하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세척 대상물을 식기로 지칭하기로 한다.
터브(2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위 세척조로 알려져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터브(20)의 내부에는 세척공간(21)이 형성되고, 개방된 전면은 도어(3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터브(20)는, 고온과 수분에 강한 금속판재,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계열의 재질을 갖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브(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수납부(50), 분사부(60) 등과 같은 기능 구성들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지지되고 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 다수의 브라켓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1)와, 섬프(41)를 터브(20)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와, 외부로부터 섬프(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와, 섬프(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와, 섬프(41)의 세척수를 분사부(6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 및 공급유로(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1)의 상측에 배치되며, 터브(20)와 섬프(41)를 구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부(60)를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섬프(41)로 회수하기 위한 복수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부(60)에서 식기를 향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섬프(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가압하여 분사부(6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섬프(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섬프(41)의 세척수가 가압된 후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부(6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부(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1)에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62) 및 탑 노즐(63)에 연결되는 제2 공급유로(463)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급유로(46)에는 공급유로들(461, 46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분사부(60)는 수납부(5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분사부(60)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부 랙(51)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암(61)과,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 랙(51)과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암(6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며 탑 랙(53) 또는 상부 랙(5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노즐(63)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하부 분사암(61)과 상부 분사암(62)은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수납부(50)의 식기를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1)은 하부 랙(51)의 하부에서 하부 랙(51)을 향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섬프 커버(42)의 상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2) 사이에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상부 분사암(62)은 분사암 홀더(46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분사암(61)으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방향(U-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분사부(60)에 관한 세부 구성은 당업계에 이미 공지된 구성이 적용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분사부(60)에 관한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50)는 터브(20)의 내부에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도 2에는 터브(2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대형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형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될 수 있는 상부 랙(52)과, 터브(20)의 상부에 위치하고 소형 식기 등이 수납될 수 있는 탑 랙(53)을 포함하는 수납부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납부(50)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은 각각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양측벽에는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가이드 레일은 상부레일, 하부레일, 및 탑레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 하부에는 각각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하부 랙(51), 상부 랙(53) 및 탑 랙(53)을 터브(20)의 전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이들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용이하게 이들로부터 꺼낼 수 있다.
가이드 레일(54)은 분사부(6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 또는 분사부(6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분사부(6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로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는 상술한 터브(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이러한 통상적으로 개방된 전면의 하부에 도어(30)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도어(30)는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도어(30)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30)의 외측면에는 도어(30)를 개방하기 위한 핸들(31) 및 식기세척기(1)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32)에는 식기세척기의 현재 작동 상태 등에 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33)와,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입력되는 선택버튼 및 식기세척기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전원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30)의 내측면은 도어(30)의 폐쇄시 터브(2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30)의 풀-개방시 수납부(50)의 하부 랙(51)이 지지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어(30)가 풀-개방될 경우 도어(30)의 내측면은 하부 랙(51)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54)이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상면 외측에는 도어를 자동개방하기 위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80)가 작동되어 터브(20)의 내부로 건조풍이 공급되면, 도어(30)를 소정의 개방위치로 이동시켜 터브(20)의 전면(22)을 부분적으로 개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식기를 건조하면서 습해진 공기는 개방된 터브(20)의 전면(22) 상측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어자동개방모듈(352)은 도어(30)의 후면 상단을 개방위치까지 회전이동시키는 푸쉬로드(352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의 내부의 세척공간으로 고온 또는 저온 건조풍을 생성하고 공급하기 위한 건조풍공급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건조풍 기류를 생성하는 송풍팬(825)과, 건조풍 기류를 가열하는 히터(84)와,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며 건조풍 기류의 안내하는 기류가이드(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면에는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고온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254)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건조풍공급부의 세부 구성]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한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에 수용되고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건조풍공급부(80)는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누수감지부와 베이스(90)의 후면(93) 사이의 위치에 대체로 베이스(90)의 후면(93)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위치는,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대략 100℃ 이상의 고열이 발생되는 건조풍공급부(80)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상대적으로 고열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장부품을 회피한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에 위치에 근거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건조풍이 유입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좌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로 효과적으로 건조풍을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부(80)는 건조풍공급홀(254)의 하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풍공급부(80)의 배치 위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와는 달리 베이스(90)의 후면(93)이 아닌 좌측면(94), 우측면(95) 또는 전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건조풍공급부(80)가 베이스(90)의 후면(93)에 인접하여 후면(93)에 대략 나란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90)의 저면(91)에는 건조풍공급부(80)를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서포트리브(미도시)와, 터브(20)로부터 세척수가 누설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미도시)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리브(미도시)와, 건조풍공급부(8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를 누수감지부로 안내하기 위한 세척수리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서포트리브, 가이드리브 및 세척수리브는 베이스(90)의 저면(9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리브에는 후술하는 건조풍공급부(80)의 제1 레그,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비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레그, 제2 레그(892) 및 제3 레그(893)가 별도의 체결수단없이 서포트리브에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건조풍공급부(80)가 상하방향,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서 지지될 수 있다.
도 4에는, 건조풍공급부(80)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풍을 생성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하는 건조풍공급부(80)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송풍팬과, 건조풍을 가열하는 히터(84)와, 내부에 히터(84)가 수용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링부(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팬(미도시)은, 히터(84) 및 히터하우징(81)에 대해서 건조풍 기류(F)의 방향으로 상류 측에 배치되며,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로 공기를 가속하여 건조풍 기류(F)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송풍팬과, 송풍팬의 회전구동력을 생성하는 송풍모터는 상호간 모듈화되어 팬하우징(82)의 내부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팬과 팬하우징(82)은, 후술하는 필터링부(88)의 필터하우징(881)과 히터하우징(81)을 연결하는 하우징커넥터(87)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송풍팬과 팬하우징(82)은 하우징커넥터(87)의 연결탭(872)에 고정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부(80)에 적용되는 송풍팬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송풍팬이 설치되는 위치적 제약 및 공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시로코팬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로코팬이 적용되는 경우에 시로코팬의 중앙으로부터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으로부터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공기가 가속되어 배출될 수 있다.
가속되어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풍 기류(F)를 형성하며 팬하우징(82), 하우징커넥터(87)의 유입구(8712)를 거쳐 히터하우징(81)의 내부의 공기통로로 도입될 수 있다.
이 때, 시로코팬이 되는 송풍팬 및 모터의 회전축(8251)은 예시적으로 대체로 상하방향(U-D방향)에 나란한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링된 공기는 팬하우징(82)의 하면을 통해 흡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링된 공기가 흡입되는 하면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팬하우징(82)의 상면(821)의 내측에는 모터의 제어를 위한 PCB 기판이 내장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하우징커넥터(87)에 구비되는 고리형상의 연결탭(872)에 도시되지 않은 스크류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서 고정될 수 있다.
연결탭(87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탭(87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팬하우징(82)과 히터하우징(8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커넥터(87)의 하부에는 베이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제1 레그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 및 커넥터본체(871)와 분리된 상태로 간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히터(84)의 전단 측은 단자고정부에 의해서 하우징커넥터(87)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단자고정부의 전면에는 한 쌍의 단자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는 하우징커넥터(87)의 후단부(871b)는, 히터하우징(81)과 끼움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히터(84, 도 10)는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공기통로의 내부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어 건조풍 기류(F)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건조풍공급부(80)가 고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전력이 공급되어 건조풍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건조풍공급부(80)가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히터(84)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히터(84)의 작동이 중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저온 건조풍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건조풍 기류(F)가 생성될 수 있도록 송풍모터의 작동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풍공급부(80)에 구비되는 히터(84)의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시적으로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갖고 발열효율이 우수하며, 터브(20)로부터 역으로 유입되는 역유입세척수에 의한 누전방지에 유리한 튜브 형상의 시즈히터가 선택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시즈히터가 되는 히터(84)는 히터하우징(81) 내부의 공기통로에서 건조풍 기류(F)에 직접 노출되며, 열전달 면적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수회 절곡되는 입체적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84)의 일단부와 타단부에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한 쌍의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히터(84)의 후단 측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단일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즉, 히터(84)의 후단 측은 히터브라켓(845)을 통해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공기통로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상측면에는 히터(84)를 통해 생성되는 고온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86)로서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온도센서는, 건조풍의 온도를 감지하는 써미스터와, 히터(84)의 과열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탯을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온도센서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고온 건조풍의 온도 및 과열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과열 발생시에 제어부는 히터(84)에 대한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고온 건조풍 공급모드에서 저온 건조풍 공급모드로 건조풍공급부(8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은 내측에 전술한 히터(84) 및 히터브라켓(845)이 배치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공간을 구비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건조풍 기류(F)가 이동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F)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해당하는 히터하우징(81)의 전단부와 하류 측에 해당하는 후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한편, 건조풍공급부(80)는, 히터하우징(81)의 좌측 단부 측에 상측방향(U-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며 내부에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연결덕트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하우징(81)과 송풍팬은 터브(20)의 하면(25), 예시적으로 바텀 터브(20c)의 아래에 배치된다. 연결덕트부(85)는 히터하우징(81)으로부터 배출되는 건조풍이 미리 설정된 위치, 즉 터브(20)에 형성된 건조풍공급홀(254)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위치는 터브(20)의 하면(25)이 될 수 있고, 연결덕트부(85)로 안내된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23) 및 좌측면(26)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254)과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를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는 하단부(8512)가 히터하우징(81)의 배출구에 유체연통되고 상단(8511)가 상측방향(U-방향)으로 연장되어 건조풍공급홀(254)에 연결되는 실린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하단부(8512)는 히터하우징(81)과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히터하우징(81)의 사각형상의 배출구의 단면 형상을 고려하여 덕트본체(851)의 하단부는 사각 통형상이 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의 상단은 원통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와 터브(20)의 건조풍공급홀(254) 사이의 체결의 효율성 및 누수 방지를 위해, 덕트본체(851)는 원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에는 덕트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의 방향을 전환하여 세척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류가이드(83)가 에 결합될 수 있다.
필터링부(88)는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여 히터(84)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히터(84)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필터링부(88)는, 송풍팬으로 흡입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재(883)와, 내부에 필터부재(883)가 교체가능하게 배치되는 필터수용공간(S1) 및 팬하우징(82)이 배치되는 팬하우징수용공간(S2)이 형성되는 중공 형태의 필터하우징(88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 필터하우징(881)은 예시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된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하우징(8811)은 상부하우징이 될 수 있고 제2 하우징(8812)은 하부하우징이 될 수 있다.
필터하우징(881)은 필터부재(883)와 송풍팬의 팬하우징(82)을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1 하우징(8811)은 필터부재(883)와 팬하우징(8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필터부재(883)의 상부 및 팬하우징(82)의 상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측에 제2 하우징(881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와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전체적으로 하면 개방되어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팬하우징수용부(8811b)보다는 더 상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는, 예시적으로 실린더 형상으로 구비되는 필터부재(883)의 교체 시 인입 및 인출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부분적으로 원통 형상이 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필터수용부(8811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필터가이드리브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에는 필터부재(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원형형상으로 개방되는 결합개구(8811c)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부재(883)는 결합개구(8811c)를 통과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8812)의 필터수용부(8812a)까지 이동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1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1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송풍팬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상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상면은 평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상면은, 필터수용부(8811a)의 상단과 팬하우징수용부(8811b)를 연결하는 경사면(8811b1)을 구비할 수 있다.
필터하우징(881)의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부에 결합되어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필터부재(883)와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제1 하우징(8811)과 유사하게, 제2 하우징(8812)은 필터부재(883)의 하부 및 팬하우징(82)의 하부를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필터수용부(8812a)와 팬하우징수용부(8812b)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대응하여,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하우징(8812)의 필터수용부(8812a)에는 필터부재(883)의 인입 시에 필터부재(883)의 이동을 안내하고 정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부재(883)의 외형에 대응하여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는 필터부재(88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 및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가이드리브(8812f)의 중심으로서 필터수용부(8812a)의 바닥면에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며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하부흡기구(8812c)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하부흡기구(8812c)는,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개구를 통과하여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원활히 도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 위치 및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에는 이와 같이 여과되지 않은 외부공기가 누설되어 필터하우징(881)의 내부공간으로 직접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의 기밀수단으로서 한 쌍의 환형 리브가 하부흡기구의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2b)는 건조풍 기류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필터수용부(8812a)보다는 더 하류 측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는 필터수용부(8812a)의 우측에 히터하우징(81)에 근접하여 필터수용부(8812a)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는, 송풍팬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도록 팬하우징(82)의 하부 외형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은, 여과된 공기가 효과적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팬하우징(82)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되며, 바람직하게는 수평방향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평탄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을 팬하우징수용부(8811b)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팬하우징수용부(8812b)의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복수의 융기면부 및 스크류보스가 구비될 수 있다.
분할체 형태로 배치되는 제1 하우징(8811)과 제2 하우징(8812)은, 제1 하우징(8811)의 하단과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은 서로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탈착가능한 결합관계를 달성하기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하단에는 제2 하우징(8812)을 향해 연장되는 체결탭(8811d)이 구비되고, 제2 하우징(8812)의 상단에는 체결탭(8811d)에 후크결합 방식으로 체결되는 후크돌기(8812d)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의 결합개구(8811c)에는 터브연결덕트(882)가 탈착가능하게 결합 및 체결될 수 있다.
필터부재(883)는 터브(20)의 하면(25)을 통해 필터부재(883)를 교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는 터브(20)의 하면(25)과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터브연결덕트(882)는 터브(20)의 하면(25)과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를 상호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터브연결덕트(882)는, 제1 하우징(8811)의 필터수용부(8811a)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연결덕트(882)가 제1 하우징(8811)에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와 유사하게,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는 터브(20)의 하면(25)을 관통하여 상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하면(25)에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88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필터교체홀(253)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5)의 하면(25)의 중앙 측에는 섬프(41)가 장착되는 섬프홀(252)이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20)의 하면(25)은 세척수가 섬프홀(252)로 효과적을 모일 수 있도록 섬프홀(252)을 향해 진행하면서 점차 하강하는 경사각을 갖는 수렴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교체홀(253)은 섬프홀(252)의 후방 위치로서 수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건조풍공급홀(254)과 구분하기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으로서 후면 및 우측면에 인접한 코너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필터부재(883)의 교체를 위한 인출 및 인입의 편의를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은 건조풍공급홀(254)보다 터브(20)의 전면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연수기연통홀(255)보다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연통홀(255)은, 예시적으로 하부에 구비되는 연수기(미도시)로의 연수제 투입 등의 목적을 가지나, 급수부의 정수필터(미도시) 등 다른 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위한 용도로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필터교체홀(253)은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 기준으로 연수기연통홀(255)과 건조풍공급홀(25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필터교체홀(253)은 연수기연통홀(255)와 건조풍공급홀(254)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브(20)의 하면(25)에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더라도 터브(2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비틀림강성이나 굽힘 강성에 유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교체홀(253)의 전방에 형성되는 연수기연통홀(255)와 구별을 위해서, 필터교체홀(253)을 통과하여 세척공간에 노출되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에는 연수제투입구(255)와 다른 형상 또는 색상을 갖는 밀폐캡(884)이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터교체홀(253)은 터브(20)의 하면(25)에 구비되는 수렴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교체홀(253)에 결합되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 및 플랜지는 터브(20)의 수렴면의 경사각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상태, 즉 수직방향에 대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연결덕트(882)의 플랜지(8823)와 터브(20)의 하면(25) 사이에는 체결너트의 풀림방지 및 누수방지를 위한 제1 가스켓(88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체결너트(886)를 통해서 터브연결덕트(882)가 터브(20)의 하면(25)에 고정되면,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에는 밀폐캡(884)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밀폐캡(884)과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이한 기밀링(887)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덕트(882)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로서, 필터수용공간(S1)의 상측에 해당하는 플랜지의 아래 위치에는 외부공기가 도입되는 상부흡기구(8826)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부흡기구(8826)는 원통 형상을 갖는 터브연결덕트(88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흡기구(8826)는 터브연결덕트(882)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 및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개구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부흡기구(8826)는, 필터부재(883)가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터브(20)와 필터부재(883)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부흡기구(8826)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진입된 후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필터부재(883)의 외주면을 통과하면서 여과가 진행될 수 있다.
외부공기의 흡입경로 및 필터부재(883)를 통과한 건조풍 기류의 유동경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과 전후의 공기의 유동경로]
이하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필터부재(883)를 통과하기 전의 외부공기의 유동경로 및 필터부재(883)를 통과하여 여과된 건조풍 기류(F)의 유동경로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필터하우징(881)은 서로 상하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베이스(90)와 터브(20) 사이의 공간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복수의 흡기구를 통해 외부공기가 도입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흡기구는, 필터수용공간(S1)의 상측으로서 터브연결덕트(882)에 구비되는 상부흡기구(8826)와, 필터수용공간(S1)의 하측으로서 제2 하우징(8812)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하부흡기구(881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흡기구(8826)와 하부흡기구(8812c)는 터브(20)와 베이스(90) 사이의 공간을 기준으로 필터하우징(881)의 가장 높은 위치 및 가장 낮은 위치에 각각 상호간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상호간 흡입되는 공기유량에 영향이 최소화되는 상태에서 2개의 흡입구를 통해서 외부공기가 도입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서 세척대상물의 건조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유량이 확보될 수 있고, 건조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흡기구(8826)는 대략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평방향에 나란한 방향을 갖는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하부흡기구(8812c)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흡기구(8812c)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베이스(90)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하부흡기구(8812c)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수직방향에 나란한 공기유동을 형성하게 된다.
상부흡기구(8826)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흡기구(8826)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또한, 하부흡기구(8812c)를 통해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가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부흡기구(8812c)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는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로 진입될 수 있다.
필터부재(883)가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단 측 및 필터부재(883)의 하단 측에는 미여과된 공기가 필터하우징(881) 내부로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흡기구(8826)와 하부흡기구(8812c)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누설없이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 및 하부개구로 각각 진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수용공간(S1)에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필터부재(883)의 상부개구는 터브(20)의 하면(25)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필터부재(883)의 하부개구는 베이스(90)의 저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는 상부개구를 통과하면서 하측방향으로 기류방향이 전환되고, 하부개구를 통과한 외부공기는 상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필터부재(883)의 내부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필터부재(883)의 여과재을 통과해 전체적으로 상하방향 및 원주방향에 걸쳐 균등하게 도입될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883)의 내주면으로 도입된 외부공기는 여과되어 필터부재(883)의 외주면을 통과하면서 배출되고, 배출된 즉시 유동방향이 전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883)의 외주면을 통과한 여과공기는 필터하우징(881)의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팬하우징(82)의 하면을 향하도록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팬하우징(82)의 하면은 필터부재(883)의 하단과 상단 사이에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팬하우징(82)의 하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서 필터부재(883)를 통과한 공기는 하측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을 향해 유동하게 되고, 팬하우징(82)의 하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필터부재(883)를 통과한 공기는 상측방향으로 팬하우징(82)의 하면을 향해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동경로를 통해 팬하우징(82)의 내부로 도입된 여과공기는 송풍팬에 의해서 가속된 후 하우징커넥터(87) 및 히터하우징(81)의 내부공간으로 도입되면서 건조풍 기류(F)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기류가이드의 세부 구성]
이하 도 9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터브(20c)의 하면(25)과 하부 랙(51) 사이로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근접하여, 덕트본체(851)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기류가이드(83)가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기류가이드(83)는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과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 또는 바텀 터브(20c)의 우측면(27)과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기류가이드(83)의 위치에 대응하여,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는 전술한 건조풍의 전달을 위한 건조풍공급홀(25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 이하에는 예시적으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인접하여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과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에 기류가이드(83) 및 건조풍공급홀(253)이 배치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과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에 기류가이드(83)와 건조풍공급홀(253)이 배치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바텀 터브(20c)의 좌측면(26)과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 부근은, 건조행정 시에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터브(20)의 전면(22)의 상단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위치에 해당한다.
따라서 기류가이드(83)로부터 분사되는 건조풍이 터브(20)의 내부에서 잔류되는 시간이 종래에 비해서 효과적으로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하부 랙(51), 상부 랙(52) 및 탑 랙(53)에 고르게 건조풍이 공급된 후 터브의 전면 상단을 통해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대상물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건조풍의 열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고 세척대상물에 대한 건조 효과가 종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기류가이드(83)가 바텀 터브(20c)의 후면(23), 하면(25) 및 좌측면(26)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기류가이드(83)와 바텀 터브(20c) 사이에 음식물 등이 끼이거나 고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터브(20)의 내부에서 건조풍이 잔류되는 시간은 기류가이드(83)로부터 건조풍이 분사되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즉, 건조풍이 분사되는 기류가이드(83)의 토출구(833)는, 건조풍의 분사방향이 하부 랙(51)과, 하부 랙(51)에 수납되어 있는 세척대상물을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시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는 건조풍을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수직이 되는 상측방향(U-방향) 또는 하부 랙(51)을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는 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풍이 분사되는 토출구(833)는 건조풍을 바텀 터브(20c)의 후면(23)에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기류가이드(83)의 우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가이드(83)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방향(F-R방향) 폭이 좌우방향(Le-Ri방향) 폭보다는 더 길게 형성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으며, 토출구(833)는 바텀 터브(20c)의 우측면(27)을 바라보는 우측면 및 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기류가이드(83)의 토출구(833)는, 도어를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도록, 그리고 터브(20)의 전면(22) 또는 도어(30)를 일직선으로 향하지 않는 방향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기류가이드(83)의 토출구(833)는 상하방향(U-D방향) 높이가 전후방향(F-R방향) 길이보다 더 작은 슬릿 또는 장방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풍이 최대한 낮은 위치에서 분사될 수 있도록 토출구(833)의 상하방향(U-D방향) 높이는 전후방향(F-R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구(833)의 전방에지(833b)는 평판형상을 갖는 기류가이드(83)의 우측면에 형성되고, 후방에지(833a)는 곡면형상을 갖는 기류가이드(83)의 후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833)를 통해 분사되는 건조풍은,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최대한 낮은 위치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슬릿형상을 통해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바텀 터브(20c)의 후면(23)에 대략 나란한 방향성 그리고 도어(30)를 일직선으로 향하지 않는 방향성을 갖고 분사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833)를 통해서 분사되는 건조풍의 분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토출구(833)는 하부 랙(51)의 하부로부터, 하부 랙(51)과 바텀 터브(20c)의 후면(23)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S) 사이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릿형상의 토출구(833)를 통해서 분사되는 건조풍의 적어도 일부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7)과 하부 랙(51) 사이를 향해 분사되도록 하고, 건조풍의 나머지 일부는 이격 공간(S)을 향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릿형상의 토출구(833)의 전방에지(833a)는 하부 랙(51)의 아래에 배치되고, 토출구(833)의 후방에지(833b)는 이격 공간(S)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가이드(83)의 토출구(833)는 하부 랙(51)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 부분(8331)과, 이격 공간(S)에 배치되는 제2 부분(8332)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제1 부분(8331)과 제2 부분(8332)을 분할하는 기준선은 하부 랙(51)의 후방단부(511)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풍이 하부 랙(51)의 중심을 직접적으로 향하지 않는 방향 또는 하부 랙(51)을 회피하는 방향으로 분사되고, 제1 부분(8331)을 통과한 건조풍 기류(F)는 하부 랙(51)의 저면을 향해 상승되고, 제2 부분(8332)을 통과한 건조풍 기류(F)는 이격 공간(S)을 통과하여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조풍의 열에너지가 하부 랙(51)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터브(20)의 내부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게 된다.
제1 부분(8331)과 제2 부분(8332)의 상대적인 비율은 요구되는 건조풍의 분배 비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하부 랙(51)에 대해서 더 많은 건조풍이 공급되어야 할 경우에는 제1 부분(8331)의 면적비율을 더 높이고, 이격 공간(S)에 대해서 더 많은 건조풍이 공급되어야 할 경우에는 제2 부분(8332)의 면적비율을 더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하부 랙(51)의 용량이 상부 랙(52)이나 탑 랙(53)보다는 훨 씬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제1 부분(8331)의 면적비율을 제2 부분(8332)의 면적비율보다 더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로어가이드(831)와, 로어가이드(831)의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가이드(832)와, 어퍼가이드(832)의 상측에 배치되며 어퍼가이드(832)의 외면에 결합되는 캡커버(8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류가이드(83)는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분할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로어가이드(831)는 분할체의 하부 부분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분할체의 상부 부분은 어퍼가이드(832)와 캡커버(834)에 의해서 구성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는, 후술하는 로어가이드(831)의 상측에 결합하여 로어가이드(831)와 함께 내부에 건조풍 기류(F)가 유동하는 채널 형태의 밀폐된 내부 유동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유동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어퍼가이드(832)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하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의 개방된 하면은, 로어가이드(831)의 가이드본체(8311)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폐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퍼가이드(832)와 로어가이드(831) 사이에 폐쇄된 내부 유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로어가이드(831)의 형상에 대응하여, 어퍼가이드(832)의 외형은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는, 후술하는 로어가이드(831)의 기준면(8311a)과 대략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단면(8321)과, 상단면(8321)의 둘레를 따라 하측방향(D-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면을 통해 하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단면(8321)과 외벽면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유동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대체로 균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외벽면은 우측면을 형성하며 평판 형태가 되는 제1 평면부(8322c)와, 좌측면을 형성하며 평판 형태가 되는 제2 평면부(8322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부(8322c)와 제2 평면부(8322d)는 서로 대칭이 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면이 되거나 상측방향(U-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서로 간격이 점차 작아지는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면부(8322c)와 제2 평면부(8322d)의 전방 측에는 제1 곡면부(8322a)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평면부(8322c)와 제2 평면부(8322d)의 후방 측에는 제2 곡면부(8322b)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면부(8322a)는, 어퍼가이드(832)의 전면을 형성하며, 예시적으로 전방을 향해 볼록한 반원통면의 외형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곡면부(8322a)와 유사하게 제2 곡면부(8322b)는, 어퍼가이드(832)의 후면을 형성하며, 예시적으로 후방을 향해 볼록한 반원통면의 외형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곡면부(8322a)와 제2 곡면부(8322b)는 대략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곡면부(8322a)와 제2 곡면부(8322b)는 각각 상단면(8321), 제1 평면부(8322c) 및 제2 평면부(8322d)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단면(8321), 제1 평면부(8322c) 및 제2 평면부(8322d)에 대해서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8321)과 외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모따기 형태의 제1 캠퍼면(8322e)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캠퍼면(8322e)을 통해서, 건조풍 기류(F)가 유동하는 내부 유동공간의 각진 모서리 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와류에 의한 유동손실 또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제1 캠퍼면(8322e)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이 되거나, 소정의 경사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제1 캠퍼면(8322e)과 동일한 이유로, 상단면(8321)과 제1 곡면부(8322a)가 만나서 생성되는 모서리, 및 상단면(8321)과 제2 곡면부(8322b)가 만나서 생성되는 모서리에는 모따기 형태의 제2 캠퍼면(8322f)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캠퍼면(8322e)과 유사하게, 제2 캠퍼면(8322f)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이 되거나, 소정의 경사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개방된 하면 주위로 형성되는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는, 후술하는 로어가이드(831)의 오조립방지홈(8311d)에 삽입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단면(8321)으로부터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 측에는 토출구(833)의 전방 모서리, 후방 모서리 및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노치홀(8324)은 어퍼가이드(832)의 제1 평면부(8322c)와 제2 곡면부(8322b)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노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노치홀(8324)의 하단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며, 어퍼가이드(832)가 로어가이드(831)에 결합되면 로어가이드(831)의 기준면(8311a)이 제1 노치홀(8324)의 개방된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기준면(8311a)에 의해서 제1 노치홀(8324)의 하단은 막히게 된다.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는 로어가이드(831)의 기준면(8311a)에 대해서 대략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는 제1 평면부(8322c)에 형성되며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노치홀(8324)의 후방 에지는 제2 곡면부(8322b)에 형성되며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단 에지와 후방 에지가 만나서 형성되는 후방코너부와, 상단 에지와 전방 에지가 만나서 형성되는 전방코너부는 각각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에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어퍼가이드(832)의 제1 곡면부(8322a)에는 로어가이드(831)의 어퍼가이드걸림돌기(8312g)가 걸림결합되는 사각관통홀 형태의 제1 걸림홀(8325)이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가이드(832)의 외형은 전후방향(F-R방향)에 대해서 대체로 대칭인 형상을 갖게 되나, 제1 노치홀(8324)과 제1 걸림홀(8325)은 전후방향(F-R방향)에 대해서 비대칭적인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노치홀(8324)과 제1 걸림홀(8325)은 로어가이드(831)에 대한 어퍼가이드(832)의 오조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어퍼가이드(832)의 제2 평면부(8322d)에는, 후술하는 캡커버(834)의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캡커버걸림돌기(8326)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어퍼가이드(832)의 외면에는 캡커버(834)가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캡커버걸림돌기(8326)는, 결합은 용이하게 수행되나 분리는 쉽게 진행되지 않도록 제2 평면부(8322d)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램프면과, 제2 평면부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 단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커버(834)는 하단부(8343)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캡커버(834)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걸림홀(8345)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걸림홀(8345)은, 어퍼가이드(832)와 캡커버(834)의 결합 시에 캡커버걸림돌기(8326)가 삽입 가능한 폭과 높이를 갖는 사각관통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캡커버걸림돌기(8326)와 마찬가지로 어퍼가이드걸림돌기(8312g)보다는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캡커버걸림돌기(8326) 및 제2 걸림홀(8345)가 높이차를 통해서 어퍼가이드걸림돌기(8312g)와 명확히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전후방향(F-R방향)에 대해서 대칭형상을 갖는 캡커버(834)의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가이드(83)의 어퍼가이드(832)는, 토출구(833)를 통과하여 기류가이드(83)의 내부 및 연결덕트부(85)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1 수단으로서 차단리브(8328)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리브(8328)는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를 따라 차양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리브(8328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8328a)는 제1 노치홀(8324)의 에지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어퍼가이드(832)의 제1 평면부(8322c)에 대해서 대체로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리브(8328a)는 어퍼가이드(832)의 제1 평면부(8322c) 및 제2 곡면부(8322b)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8328a)의 일단부는 제1 노치홀(8324)의 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리브(8328a)의 타단부는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치홀(8324)을 대략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차양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1 리브(8328a)는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연속적인 돌출벽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다만, 로어가이드(831)의 제1 테두리벽(8311b)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 리브(8328a)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리브(8328a)는,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 수납부로부터 낙하하거나 낙하 후 비산되는 세척수가 제1 노치홀(8324)을 통과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브(8328a) 중에서 적어도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에 형성되는 수평 리브는 로어가이드(831)의 제1 테두리벽(8311b) 및 기준면(8311a)을 넘어선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브(8328a)의 수평 부분은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제1 테두리벽(8311b) 및 기준면(8311a)을 가리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기류가이드(83)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측에서 바라보면 제1 테두리벽(8311b)과 기준면(8311a)은 제1 리브(8328a)에 가려져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세척대상물의 세척 후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세척수가 제1 테두리벽(8311b)에 충돌한 후 비산되어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중에 비산되는 세척수는 수직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낙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밖에 없다. 즉, 제1 리브(8328a)를 피해서 제1 테두리벽(8311b)에 충돌하여 비산되는 세척수가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단리브(8328)는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를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832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13에는 예시적으로 상하방향(U-D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리브(8328b)가 구비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리브(8328b)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 쌍의 제2 리브(8328b)는 각각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분사되는 건조풍의 분사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제2 리브(8328b)의 상하방향 두께는 전후방향 길이보다는 훨씬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직방향으로 낙하하는 세척수가 제1 테두리벽(8311b)에 충돌한 후 비산되어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제1 리브(8328a)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리브(8328b)는 로어가이드(831)의 제1 테두리벽(8311b) 및 기준면(8311a)을 넘어선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브(8328a)의 수평 리브의 좌측 단부의 수평방향 위치와 한 쌍의 제2 리브(8328b)의 좌측 단부의 수평방향 위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후방향(F-R방향)을 기준으로 제1 노치홀(8324)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각각의 제2 리브(8328b)의 후방단부는 제1 노치홀(8324)의 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되고, 제2 리브(8328b)의 전방단부는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리브(8328b)의 형상을 통해서, 세척수가 제1 리브(8328a)를 회피해서 제1 테두리벽(8311b)에 충돌하여 비산되더라도 제2 리브(8328b)에 가로막히는 방식으로 세척수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제2 리브(8328b)는 전후방향 길이 대비 두께가 상당히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갖게 되며, 작은 외력에 의해서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리브(8328b)의 전방단부와 후방단부에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제2 리브(8328b)를 상호간 연결하는 브릿지리브(8328c)에 의해서 보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릿지리브(8328c)는 한 쌍의 제2 리브(8328b) 사이에서만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추가적으로 브릿지리브(8328c)가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가이드(83)의 어퍼가이드(832)는, 토출구(833)를 통과하여 기류가이드(83)의 내부 및 연결덕트부(85)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2 수단으로서 어퍼가이드(832)의 내부 유동공간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을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은, 충돌 후 비산된 상태로 전술한 차단리브(8328)를 통과하여 유입된 세척수의 액적이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의 하부를 향해 이동하거나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은 토출구(833)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도록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의 하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벽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의 하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와 로어가이드(831)의 기준면(8311a) 사이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노치홀(8324)의 외부에서 내부를 바라보면,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에 의해서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는 전체적으로 가려지는 상태가 되고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비산된 상태로 기류가이드(83)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액적 중에서 상측방향으로 튀어 오르는 액적은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과 충돌하고,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이 차단되고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을 타고 하강하는 액적은 다시 기류가이드(83)의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의 하단 에지는 로어가이드(831)의 유로가이드면(8313)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면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로어가이드(831)의 유로가이드면(8313)에 대한 상대적 위치관계에 관한 설명은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적어도 차단벽(8329)은 예시적으로 제1 노치홀(8324)에 상대적으로 더 근접해서 배치되는 제1 차단벽(8329a)과, 제1 노치홀(8324)로부터 상대적으로 제1 차단벽(8329a)보다 더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차단벽(8329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8329)은 건조풍 기류(F)가 유동하는 내부 유동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단일 차단벽을 통해 제1 노치홀(8324)의 상부 측을 전체적으로 가리도록 구성하면, 건조풍 기류(F)의 유동저항이 증가되어 송풍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유동저항 증가에 따른 송풍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노치홀(8324)의 상부 측을 상호보완적으로 가릴 수 있도록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벽(8329a)은 제1 노치홀(8324)의 상부 측을 일부 가리고, 제1 차단벽(8329a)으로 가려지지 않는 나머지 일부는 제2 차단벽(8329b)에 의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려지도록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벽(8329a)은 상단 에지가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단 에지(8329a1)로부터 타단 에지(8329a2)로 진행하면서 토출구(833)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차단벽(8329b)은 상단 에지가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일단 에지(8329b1)로부터 타단 에지(8329b2)로 진행하면서 토출구(833)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곡면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를 통과하여 내부 유동공간으로 도입된 공기는 토출구(833)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를 향해 유동방향이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즉, 유동방향 전환과정에서 건조풍 기류(F)에는 회전 속도성분이 생성된다.
이와 같이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과정에서 유동공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되 회전 속도성분이 효과적으로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은 유동가이드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되 유동가이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일단 에지(8329a1, 8329b1)로부터 각각의 타단 에지(8329a2, 8329b2)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의 구체적인 형상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벽(8329a)의 일단 에지(8329a1)는,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단부가 되고, 제1 차단벽(8329a)의 타단 에지(8329a2)는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과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차단벽(8329a)의 일단 에지(8329a1)를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하여,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 측을 통해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 및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로 세척수의 액적이 최단거리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 차단벽(8329a)의 일단 에지(8329a1)로부터 타단 에지(8329a2)로 진행하면서 가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는 단차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는, 상하방향 위치가 제1 위치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 에지(8329a31)와, 상하방향 위치가 제2 위치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2 에지(8329a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위치는 제2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되어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에지(8329a31)는, 제2 에지(8329a32)보다 더 제1 차단벽(8329a)의 일단 에지 및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 측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 측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를 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노치홀(8324)의 전방 에지 측을 통해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 및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로 세척수의 액적이 최단거리로 직접 유입되는 것이 추가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에지(8329a31)의 제1 위치와 제2 에지(8329a32)의 제2 위치는 로어가이드(831)에 구비되는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보다는 더 낮은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는 전체적으로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차단벽(8329b)은 제1 차단벽(8329a)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며, 제1 차단벽(8329a)과 제2 평면부(8322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단벽(8329b)의 일단 에지(8329b1)와 타단 에지(8329b2)는 각각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과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부가 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차단벽(8329b)의 타단 에지(8329b2)는 제1 차단벽(8329a)의 타단 에지(8329a2)보다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제1 노치홀(8324)의 후방 에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의 상하방향 위치는 일단 에지(8329b1)로부터 타단 에지(8329b2)로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그리고 제1 차단벽(8329a)의 제2 에지(8329a32)보다는 더 높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제1 차단벽(8329a)과 유사하게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의 상하방향 위치는 전체적으로 로어가이드(831)에 구비되는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보다는 더 낮은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어퍼가이드(832)의 상측에 배치되는 캡커버(834)는, 어퍼가이드(832)의 외면에 결합하여 어퍼가이드(83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어퍼가이드(832)는 세척대상물이 수용되는 수납부보다 더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단면(8321)과 외벽면이 대부분 터브(20)의 세척공간(21)에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가이드(832)는 다소 강도가 부족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간에 수납부로부터 낙하되거나 사용자가 수납부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낙하될 수 있는 세척대상물의 충돌에 의해서 어퍼가이드(832)가 직접적으로 파손될 가능성이 높다.
캡커버(834)는 어퍼가이드(832)의 외면 상측에 결합하여 세척대상물의 충돌에 의해서 어퍼가이드(8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캡커버(834)는 어퍼가이드(832)보다는 높은 파괴강도를 갖고, 내부식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판재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캡커버(834)는 어퍼가이드(832)의 외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어퍼가이드(832)와 유사하게, 캡커버(834)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며 하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된 용기 형상을 갖는다.
캡커버(834)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서 어퍼가이드(832)가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캡커버(834)의 외형은 전후방향 폭이 좌우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캡커버(834)는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상단면(8341)과, 상단면(8321)의 둘레를 따라 하측방향(D-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벽면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가이드(832)와 유사하게, 캡커버(834)의 외벽면은, 우측면을 형성하며 평판 형태가 되는 제1 평면부(8342c)와, 좌측면을 형성하며 평판 형태가 되는 제2 평면부(834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부(8342c)와 제2 평면부(8342d)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면이 되거나 상측방향(U-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서로 간격이 점차 작아지는 구배를 갖는 경사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평면부(8342c)와 제2 평면부(8342d)의 전방 측에는 제1 곡면부(8342a)가 형성될 수 있고, 제1 평면부(8342c)와 제2 평면부(8342d)의 후방 측에는 제2 곡면부(8342b)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면부(8342a)는 캡커버(834)의 전면을 형성하며, 어퍼가이드(832)의 제1 곡면부(8322a)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해 볼록한 반원통면의 외형을 가지게 된다.
제2 곡면부(8342b)는 캡커버(834)의 후면을 형성하며, 어퍼가이드(832)의 제2 곡면부(8322b)의 형상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해 볼록한 반원통면의 외형을 가지게 된다.
제1 곡면부(8342a)와 제2 곡면부(8342b)는 각각 상단면(8341), 제1 평면부(8342c) 및 제2 평면부(8342d)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면(8341), 제1 평면부(8342c) 및 제2 평면부(8342d)에 대해서 연속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어퍼가이드(832)에 대응하여 상단면(8341)과 외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에는 모따기 형태의 캠퍼면(8342e)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어퍼가이드(832)와는 달리 어퍼가이드(832)의 제2 캠퍼면(8322f)에 대응하는 구성은 구비되지 않는다.
캡커버(834)의 외벽면의 하단부(8343)는,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의 하단부(8323)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로어가이드(831)에 결합 시에 캡커버(834)의 하단부(8343)와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는 함께 로어가이드(831)의 오조립방지홈(8311d)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캡커버(834)의 하단부(8343)에는 어퍼가이드(832)의 제1 노치홀(832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2 노치홀(834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노치홀(8324)과 동일하게 제2 노치홀(8344)은 캡커버(834)의 제1 평면부(8342c)와 제2 곡면부(8342b)를 부분적으로 절개한 노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노치홀(8344)의 구체적인 형상은 제1 노치홀(8324)의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중복되는 내용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 노치홀(8344)의 전방 에지의 하단에는 제2 노치홀(8344)의 내부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8344a)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8344a)은 전술한 제1 리브(8328a)의 타단부에 걸림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캡커버(834)의 우측 부분은 걸림턱(8344a)을 통해서 어퍼가이드(832)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캡커버(834)의 제2 평면부(8342d)에는 전술한 어퍼가이드(832)의 캡커버걸림돌기(8326)가 걸림결합되는 사각관통홀 형태의 제2 걸림홀(8345)이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캡커버걸림돌기(8326)가 제2 걸림홀(8345)에 걸림결합되면, 캡커버(834)의 좌측 부분은 어퍼가이드(83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캡커버(834)는 적어도 걸림턱(8344a)과 캡커버걸림돌기(8326)를 통해서 2개소에서 어퍼가이드(832)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는, 대략적으로 판상형태를 갖는 가이드본체(831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8311)는 연결덕트부(85)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방향(F-R방향) 폭이 좌우방향(Le-Ri방향) 폭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본체(8311)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곽 테두리 중에서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는 직선형이 되고, 전방 테두리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이 되고 후방 테두리는 후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는 원호형이 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8311)의 좌측 테두리와 우측 테두리는 대략 서로 평행하게 대칭이 되게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본체(8311)의 전방 테두리와 후방 테두리는 서로 대칭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8311)의 우측 테두리 측에는 전술한 토출구(833)의 하단 에지로서 기능하는 기준면(831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면(8311a)은 평탄면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우측 테두리로부터 후술하는 유로가이드면(8313)의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본체(8311)의 좌측 테두리, 우측 테두리, 전방 테두리 및 후방 테두리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준면(8311a)으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는 제1 테두리벽(8311b)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두리벽(8311b)은, 가이드본체(8311)의 외곽 테두리를 따라 진행하면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토출구(833)를 영역에는 건조풍의 분사를 방해하지 않기 위해 제1 테두리벽(8311b)이 미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테두리벽(8311b)의 내측에는 기준면(8311a)보다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게 하측방향(D-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어퍼가이드(832)의 오조립방지부로서 기능하는 오조립방지홈(8311d)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오조립방지홈(8311d)이 기준면(8311a)으로부터 함몰되는 높이는 제1 테두리벽(8311b)을 따라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오조립방지홈(8311d)에는 후술하는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가 삽입되고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조립방지홈(8311d)은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의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하는 형상과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의 형상은 토출구(833)를 형성하는 제1 노치홀(8324)이 형성되는 영역, 즉 기준면(8311a)이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오조립방지홈(8311d)은 제1 테두리벽(8311b)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의 형상과 오조립방지홈(8311d)의 형상은 전후방향(F-R방향)을 기준으로 비대칭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퍼가이드(832)의 하단부(8323)가 오조립방지홈(8311d)에 미리 설정된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는 결합 및 체결이 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어퍼가이드(832)와 로어가이드(831) 사이의 오조립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본체(8311)의 전방 테두리에는 기준면(8311a)으로부터 하측방향(D-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고 연장되는 제2 테두리벽(8311c)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두리벽(8311c)은, 가이드본체(8311)의 원호형상의 전방 테두리를 따라 진행하면서 원통형상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테두리벽(8311c)의 하단부는 후술하는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을 넘어선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2 테두리벽(8311c)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술하는 덕트결합부(8312)의 외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테두리벽(8311c)은 덕트결합부(8312)와는 분리되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제2 테두리벽(8311c)과 덕트결합부(8312)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공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체결너트(852)의 상단(852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테두리벽(8311c)에는, 체결너트(852)와 상호작용을 통해서 로어가이드(831)를 고정된 상대로 유지시키고 로어가이드(831)가 고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부(8311e)가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2단계 결합조작을 통해서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2단계 결합조작은 상하방향 수직이동조작과 원주방향 회전이동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림방지부(8311e)는, 수직이동조작과 회전이동조작을 포함하는 2단계 결합조작이 완료된 후 2단계 결합조작의 회전이동과 반대방향으로 로어가이드(831)가 상대회전하는 것, 즉 로어가이드(831)가 고정위치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풀림방지부(8311e)는,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두리벽(8311c)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후크식으로 로어가이드(831)가 2단계 결합조작의 회전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파이프결합방식으로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로어가이드(831)는 원통형상의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이 삽입 및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덕트결합부(8312)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형상에 대응하여, 덕트결합부(8312)는 중심축이 상하방향(U-D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이 내부로 삽입되고 통과할 수 있도록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의 내경은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의 외경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덕트결합부(8312)는, 가이드본체(83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본체(8311)의 원호형 후방 테두리에 근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덕트결합부(8312)는 전후방향(F-R방향)을 기준으로 가이드본체(8311)의 후방 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건조풍이 배출되는 원통형상의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은, 가이드본체(8311)로부터 상측방향(U-방향)으로 돌출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은 로어가이드(831)의 가이드본체(8311)와 어퍼가이드(832)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유동공간으로 돌출 및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때,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의 위치는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의 위치보다 상하방향(U-D방향)을 기준으로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은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보다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덕트부(85)의 상단(8511)을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보다 더 높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토출구(833)를 통해 유입된 세척수의 액적이 연결덕트부(85)의 외주면과 덕트결합부(8312)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를 타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덕트결합부(8312)의 내주면(8312c)에는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홈(8312d)과,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홈(8312e)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홈(8312d)의 상단과 제2 가이드홈(8312e)의 일단부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상하방향 수직이동조작과 원주방향 회전이동조작을 포함하는 2단계 결합조작을 통해서 결합된다.
상하방향(U-D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연장되는 제1 가이드홈(8312d)은, 로어가이드(831)의 상하방향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형태로 연장되는 제2 가이드홈(8312e)은 로어가이드(831)의 원주방향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에 삽입 및 결합되는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에는, 연결덕트부(85)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덕트부(85)의 제1 가이드홈(8312d) 및 제2 가이드홈(8312e)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8516)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와 덕트본체(851)의 결합 시에 가이드돌기(8516)는 먼저 제1 가이드홈(8312d)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가이드돌기(8516)가 제1 가이드홈(8312d)에 삽입된 상태에서 로어가이드(831)는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직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2단계 결합조작 중 상하방향 수직이동조작을 개시하면, 제1 가이드홈(8312d)이 정지상태인 가이드돌기(8516)를 따라 하측방향(D-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돌기(8516)가 제1 가이드홈(8312d)의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돌기(8516)의 작용에 의해서 로어가이드(831)는 하측방향(D-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때, 가이드돌기(8516)는 제2 가이드홈(8312e)의 일단부에 도달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로어가이드(831)는 하측방향(D-방향)으로는 이동이 불가하나 2단계 결합조작 중 원주방향 회전이동조작은 가능한 상태가 된다.
2단계 결합조작 중 원주방향 회전이동조작을 위해 로어가이드(83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 가이드홈(8312e)은 정지상태인 가이드돌기(8516)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돌기(8516)가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돌기(8516)의 작용에 의해서 로어가이드(831)는 원주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로어가이드(831)와 덕트본체(851) 사이의 결합이 완료되고, 로어가이드(831)는 고정위치로의 배치가 완료될 수 있고, 별도의 결합부재 또는 체결부재를 구비함이 없이 로어가이드(831)와 덕트본체(851)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 측에는 가이드돌기(8516)의 이동에 대한 걸림감을 형성하고, 가이드돌기(8516)가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에 도달한 후 로어가이드(831)의 반대방향의 상대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돌기(8312f)가 덕트결합부(8312)의 내주면(8312c)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수준을 초과하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가이드돌기(8516)는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스토퍼돌기(8312f)를 통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제2 가이드홈(8312e)에 가이드돌기(8516)가 삽입된 상태로 로어가이드(831)의 결합 및 정위치 설정이 완료되면, 제2 가이드홈(8312e) 및 가이드돌기(8516) 사이의 걸림에 의해서 기류가이드(83)의 자중에 의한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만, 세척행정 또는 행궁행정 중에 낙하되는 세척대상물의 충돌 등과 같이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제2 가이드홈(8312e) 및 가이드돌기(8516) 사이의 걸림은 쉽게 해제될 위험이 있다.
또한, 강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와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 사이의 제조공차에 따른 유격에 의해 로어가이드(831) 및 기류가이드(83)의 덜컥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이와 같은 덜컥거림은 유격 발생에 따른 연결덕트부(85)에 대한 로어가이드(831)의 상대 변위 또는 상대 이동이 생성되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로어가이드(831)와 연결덕트부(85)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수단, 특히 연결덕트부(85)에 대한 하측방향 상대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는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수나사부(8514)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기류가이드(83)는, 덕트결합부(8312)의 하부 측에 배치되는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를 통해 유격 발생량을 조절하고 하측방향 상대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가이드(83)의 하측방향 상대이동, 즉 로어가이드(831)의 하측방향 상대이동이 발생하게 되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의 하단면이 수나사부(8514)의 일측면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로어가이드(831)의 상대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6에는 예시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가,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에 형성되는 원형개구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에서는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를 포함하는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돌출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은 대략 장방향상이 될 수 있다.
즉, 이들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는, 서로 동일한 원주방향 폭 및 동일한 반경방향 폭을 갖는 장방형기둥 형상으로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가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높이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8514)를 향해 돌출된다. 따라서 각각의 위치에서 수나사부(8514)에 대한 간극이 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의 최대 돌출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돌출리브(8312h1)는 가장 작은 제1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2 돌출리브(8312h2)는 제1 높이보다 더 큰 제2 높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제3 돌출리브(8312h3)는 제2 높이보다 더 큰 제3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기류가이드(83)의 상부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을 따라 해당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이들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의 하단면은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부(8514)의 일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면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에 관한 세부 구성은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덕트결합부(8312)의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어퍼가이드(832)와 로어가이드(831) 사이의 상호 체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퍼가이드걸림돌기(8312g)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어퍼가이드걸림돌기(8312g)는, 어퍼가이드(832)의 하측방향 이동을 통한 결합은 용이하게 진행되나 상측방향 이동을 통한 분리는 쉽게 진행되지 않도록, 덕트결합부(8312)의 외주면에 대해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램프면과, 덕트결합부(8312)의 외주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는 단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덕트결합부(8312)의 전방 측에는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을 통과한 건조풍 기류(F)를 토출구(833)를 향해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면(831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가이드면(8313)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건조풍 기류(F)의 유동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동소음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곡면 또는 경사면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유로가이드면(8313)은, 덕트결합부(8312)의 후면과 경계벽(8313d)으로 둘러싸인 형태로 구비되는 오목면이 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면(83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테두리벽(8311b)에 충돌한 후 비산되어 유입되는 세척수의 액적이 유로가이드면(8313)에 충돌하여 재비산된 후 덕트결합부(8312) 및 연결덕트부(85)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가능한 오목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면(8313)과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 사이의 간격을 가능한 크게 유지하여 재비산되는 세척수 액적이 튀어오르지 못하도록, 유로가이드면(8313)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로가이드면(8313)은, 기준면(8311a)으로부터 덕트결합부(8312)를 가로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경사면(8313a)과, 제1 경사면(8313a)보다 더 훨씬 더 작은 연장 폭을 갖는 제2 경사면(8313c), 및 제1 경사면(8313a)과 제2 경사면(8313c) 사이에 배치되는 곡면부(83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경사면은, 유로가이드면(8313)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또한, 제1 경사면(8313a)은 기준면(8311a)에 바로 이어서 배치된다. 따라서 세척수의 재비산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제1 경사면(8313a)은 상승각을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평탄면으로서 구비된다. 예시적으로 제1 경사면(8313a)의 상승각은 기준면에 대해서 약 10도 내외가 될 수 있다.
제1 경사면(8313a)에 이어서, 건조풍 기류(F)가 유동하는 내부 유동경로의 급격한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서 곡면부(8313b)와 제2 경사면(8313c)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8313c)은, 제1 경사면(8313a)과 유사하게 평단면이 될 수 있으나, 상승각은 제1 경사면(8313a)에 비해서 현저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경사면(8313c)의 상승각은 기준면(8311a)에 대해서 약 80도 내외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가이드(83)의 로어가이드(831)는, 토출구(833)를 통과하여 기류가이드(83)의 내부 및 연결덕트부(85)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3 수단으로서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할벽(8314)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벽(8314)은, 충돌 후 비산된 상태로 전술한 차단리브(8328) 및 차단벽(8329)을 통과한 세척수의 액적이 덕트결합부(8312)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최종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 14, 도 15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벽(8314)은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며, 덕트결합부(8312)가 형성되는 영역과 유로가이드면(8313)이 형성되는 영역을 분할하며,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을 가로막는 장벽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분할벽(8314)은 덕트결합부 영역과 유로가이드 영역 사이에 배치되고, 덕트결합부 영역과 유로가이드 영역을 구분짓는 경계벽이 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벽(8314)의 두께는 우측단부로부터 좌측단부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때, 분할벽(8314)의 우측단부는 자유단부가 되고, 좌측단부는 경계벽(8313d)까지 연장되고 경계벽(8313d)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분할벽(8314)을 넘어 유로가이드면(8313) 측으로 이동하는 건조풍 기류(F)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우측단부로부터 좌측단부로 진행하면서 대략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건조풍 기류(F)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건조풍 기류(F)의 유동저항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되, 비산되는 액적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 보다는 낮으나, 어퍼가이드(832)의 차단벽(8329)의 하단 에지보다는 더 높은 위치가 될 수 있다.
즉, 어퍼가이드(832)의 차단벽(8329)의 하단 에지 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가 되는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보다는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8 및 도 1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에 구비되는 세척수 유입방지수단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풍을 터브(20)의 세척공간(21)으로 분사하는 기류가이드(83)의 토출구(833)는 세척공간(21)의 내부에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중에는 건조풍공급부(80)가 미작동 중인 상태이기 때문에 토출구(833)를 통해서 세척수가 액적 상태로 비산하여 기류가이드(83)의 내부 유동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유입된 세척수의 액적은 기류가이드(83)의 내부에서 재응결된 후 덕트결합부(8312)를 통과하여 건조풍공급부(80)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세척수 유입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가이드(83)는 다음과 같은 세척수 유입방지 수단을 구비한다.
먼저, 제1 노치홀(8324)의 상단 에지,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에는 차양 형태로 연장되는 제1 리브(8328a)가 구비되고, 제1 노치홀(8324)의 내부에는 전후방향(F-R방향)을 따라 제1 노치홀(8324)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브(8328b)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출구(833) 또는 제1 노치홀(8324)을 직접 통과하는 세척수의 액적의 유입이 1차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1 노치홀(8324)의 내부에는 토출구(833) 또는 제1 노치홀(8324)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도록 어퍼가이드(832)의 상단면(8321)의 하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이 구비될 수 있다.
비산된 상태로 제1 노치홀(8324)을 통과하여 기류가이드(83)의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의 액적 중에서 상측방향으로 튀어 오르는 액적은 이들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과 충돌하고,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을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은 유로가이드 영역에 포함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를 통해 차단된 세척수 액적은 유로가이드면(8313)을 향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게 될 수 있다.
한편,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세척수의 액적은 최종적으로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할벽(8314)에 의해서 덕트결합부(8312)를 향한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벽(8314)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와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기류가이드(83)의 내부로 도입된 대부분의 세척수 액적은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에 충돌하게 되면서 덕트결합부(8312)로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으나,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을 피해서 유로가이드면(8313)과 충돌하면서 덕트결합부(8312) 측으로 비산되는 세척수의 액적은 분할벽(8314)의 상단보다 더 높게 도약하지 못하고 분할벽(8314)에 충돌하게 된다.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과 유사하게, 분할벽(8314)과 충돌하여 차단되는 세척수 액적은, 분할벽(8314)의 상단을 넘어 덕트결합부 측으로 이동할 수 없고 분할벽(8314)을 타고 하측방향으로 유로가이드면(8313)을 향해 중력에 의해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에 의해서 차단된 세척수 액적 및 분할벽(8314)에 의해서 차단된 세척수 액적은 유로가이드면(8313)으로 이동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토출구(833)를 통해 바텀 터브(20c) 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은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되되, 로어가이드(831)의 분할벽(8314)보다는 더 높은 위치까지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분할벽(8314)의 상단을 넘어 세척수 액적이 발생하더라도, 이들은 분할벽(8314)의 상단보다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더 높은 위치를 갖게 되는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에 도달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된다.
나아가 세척행정 또는 행굼행정 중에 터브(20)의 하면(25)에는 세척수가 일정 수준 이상의 수위로 고일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세척수가 기류가이드(83)의 토출홀(833)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되어 덕트결합부(8312)의 내주면(8312c)과 덕트본체(851)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로 물이 침투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기류가이드(83) 자체가 세척수에 침수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이와 같이 기류가이드(83)가 침수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세척수의 수위가 분할벽(8314)의 상단보다 낮은 상태에서는, 기류가이드(83)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유로가이드면(8313)을 따라 다시 토출구(833)를 통해 기류가이드(83)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수위가 분할벽(8314)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상태가 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분할벽(8314)의 높이는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의 높이보다 더 낮게 유지된다. 따라서 세척수는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에 도달할 수 없게 되고,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에 도달한 세척수는 세척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으로부터 덕트결합부(8312)의 내주면(8312c)과 덕트본체(851)의 외주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다시 터브(20)의 하면(25)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벽(8314)의 높이, 덕트결합부(8312)의 상단(8312a)의 높이 및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의 높이에 관한 설정을 통해서, 기류가이드(83)의 내부로 세척수가 비산되어 유입되거나 기류가이드(83)가 세척수에 의해서 침수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세척수가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을 넘어 히터하우징(81) 및 히터(84) 측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의 기류가이드(83)는 어퍼가이드(832)의 차단리브(8328), 차단벽(8329), 로어가이드(831)의 분할벽(8314) 및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의 위치에 의해서 제1 노치홀(8324) 및 토출구(833)를 통해서 유입되는 세척수 액적은 덕트결합부(8312) 및 덕트본체(851)체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고 최소화하되,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을 통해서 공급되는 건조풍 기류(F)의 유동에 대한 저항은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벽(8314)의 상단의 높이는 건조풍 기류(F)가 도입되는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보다 더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을 통과한 건조풍 기류(F)에 대해서 분할벽(8314)이 작용하는 유동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분할벽(8314)의 상측을 통과한 건조풍 기류(F)는,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에 의해서 유동경로가 부분적으로 막힌 상태가 되나,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와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는 유로가이드면(8313)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건조풍 기류(F)는 제1 차단벽(8329a)의 하단 에지(8329a3)와 유로가이드면(8313) 사이의 공간, 및 제2 차단벽(8329b)의 하단 에지(8329b3)와 유로가이드면(8313)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차단벽(8329a)의 타단 에지(8329a2)와 제2 차단벽(8329b)의 타단 에지(8329b2)는 각각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건조풍 기류(F)는 제1 차단벽(8329a)의 타단 에지(8329a2)와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 및 제2 차단벽(8329b)의 타단 에지(8329b2)와 어퍼가이드(832)의 외벽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차단벽(8329a)과 제2 차단벽(8329b)의 구성을 통해서, 건조풍 기류(F)에 대한 유동저항을 증가를 최소화하고 건조풍 기류(F)의 유량 경로를 최대한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기류가이드의 조립 및 상대 이동 제한 수단]
이하,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류가이드(83)가 연결덕트부(85)에 조립되고 고정되는 과정 및 연결덕트부에 대한 상대이동 제한 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어가이드(831)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에 2단계 결합조작을 통해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2단계 결합조작은 상하방향 단순 수직이동조작과 원주방향 단순 회전이동조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방향 수직이동조작을 위해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커버(834)와 어퍼가이드(832)가 로어가이드(831)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류가이드(83)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이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덕트본체(851)와 덕트결합부(8312)는 상하방향(U-D방향)으로 중심축이 정렬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기류가이드(83)는 덕트결합부(8312)를 중심으로 고정위치로부터 소정의 각도범위를 갖고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가이드(8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위치는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돌기(8516)가 덕트결합부(8312)의 제1 가이드홈(8312d)에 삽입가능한 위치가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에 대한 기류가이드(83)의 정렬이 완료되면, 먼저 도 20(b)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을 따라 기류가이드(83)를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직이동시켜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을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에 삽입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덕트본체(851)의 가이드돌기(8516)는 제1 가이드홈(8312d)의 하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가이드돌기(8516)가 제1 가이드홈(8312d)의 하단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기류가이드(83)를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면 기류가이드(83)의 상하방향 수직이동조작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덕트결합부(8312)의 제1 가이드홈(8312d)은 정지상태인 가이드돌기(8516)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어 하측방향(D-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가 제1 가이드홈(8312d)의 상단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돌기(8516)의 작용에 의해서 기류가이드(83)는 하측방향(D-방향)으로 더 이상 수직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 때, 가이드돌기(8516)는 제2 가이드홈(8312e)의 일단부에 도달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기류가이드(83)는 하측방향(D-방향)으로는 수직이동이 불가하나, 도 21(a)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을 따라 원주방향 회전이동은 가능한 상태가 된다.
2단계 결합조작 중 원주방향 회전이동조작을 위해 화살표방향을 따라 기류가이드(8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 가이드홈(8312e)은 정지상태인 가이드돌기(8516)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이 개시될 수 있다.
기류가이드(83)의 반시계방향 회전이동이 개시되면, 가이드돌기(8516)는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스토퍼돌기(8312f)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 스토퍼돌기(8312f)에 의해서 기류가이드(83)의 회전에 대한 걸림감이 형성될 수 있고, 추가적인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가이드돌기(8516)가 스토퍼돌기(8312f)를 타고 넘어갈 수 있게 된다.
이후 스토퍼돌기(8312f)를 지나 가이드돌기(8516)가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돌기(8516)의 작용에 의해서 기류가이드(83)는 반시계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더 이상 기류가이드(83)의 회전이동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가이 로어가이드(831)와 덕트본체(851) 사이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으며,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가이드돌기는 스토퍼돌기(8312f)에 의해서 제2 가이드홈(8312e)의 타단부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기류가이드(83)는 이와 같이 단순 수직이동조작 및 단순 회전이동조작을 포함하는 매우 단순한 조작과정 또는 조립과정을 통해서 연결덕트부(85)로의 고정위치로의 배치가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다만, 기류가이드(83)의 배치가 완료되면 기류가이드(83)의 자중에 의한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가 되나, 강한 외력이 작용하면 제2 가이드홈(8312e) 및 가이드돌기(8516) 사이의 걸림은 쉽게 해제될 위험이 있다.
나아가 로어가이드(831)의 덕트결합부(8312)와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 사이의 제조공차에 따른 유격에 의해 로어가이드(831) 및 기류가이드(83)의 덜컥거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제2 가이드홈(8312e) 및 가이드돌기(8516) 사이의 걸림 해제 및 유격에 의한 기류가이드(83)의 상대 이동, 특히 하측방향 상대이동은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를 통해 제한되고 최소화될 수 있다.
도 23에는 기류가이드(83)가 고정위치로 배치가 완료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도 23에는 캡커버(834) 및 어퍼가이드(832)가 생략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가이드(83)의 고정 및 배치가 완료되면, 제1 돌출리브 내지 제3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폭을 갖는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5 도 27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에 형성되는 원형개구를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각각의 위치에서 수나사부(8514)에 대한 간극이 서로 소정 수준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최대 돌출 높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리브(8312h1)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 사이의 간극, 제2 돌출리브(8312h2)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 사이의 간극, 및 제3 돌출리브(8312h3)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 사이의 간극은 각각의 제조 공차에 따라 서로 상이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들 간극 중에서 최대 폭을 갖는 간극을 기준으로 기류가이드(83)의 전체적인 하측방향 상대 이동량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간극의 최대 폭은 바람직하게는 0.01mm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간극을 0.01mm 이하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은, 각각의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더라도 0.01mm 이하가 되는 상대 이동량 또는 상대 변위량에 따른 덜컥거림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는 상측방향에서 보았을 때,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 잠김이 발생할 수 있도록 오른나사로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상하방향 위치가 점차 낮아지는 나선형태로 연장된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한 각각의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의 간극들이 대략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상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을 따라 해당 순서로 배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점차 낮아지는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응하여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의 돌출 높이는 시계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점차 커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이동조작이 완료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 회전이동조작을 개시하게 되면,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한 각각의 돌출리브(8312h1, 8312h2, 8312h3)의 간극들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는 예시적으로 상단(8514b)으로부터 하단(8514a)으로 진행하면서 적어도 3회전 이상의 회전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도 25 내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너트(852)의 나사산(8523a)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보다 더 작은 회전수를 갖도록, 예시적으로 2회전이 되는 회전수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해서 체결너트(852)의 나사결합이 완료되면,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단(8514b)으로부터 최초 1회전에 해당하는 수나사부(8514)의 나사산의 상측면은 덕트결합부(8312)의 하단(8312b)을 향해 노출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에 구비되는 나사산(8523a)에 의해서 영향받지 않고 덕트결합부(8312)의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하측방향 상대이동 발생 시에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측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의 반경방향 최대 폭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되, 연결덕트부(85)의 외주면과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 사이의 간격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는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 및 상단(8522)에 대해서 미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가장 큰 돌출 높이를 갖는 제3 돌출리브(8312h3)가 체결너트(852)의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출리브(8312h3)는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 및 상단(8522)과 무관하게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한 상대 위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의 하단면은 나선형상으로 연장되는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측면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면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의 하단면의 경사각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경사각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서 기류가이드(83)의 하측방향 상대 이동이 발생하여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측면과 접촉하게 되면,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측면에 대해서 면접촉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리브(8312h1), 제2 돌출리브(8312h2), 및 제3 돌출리브(8312h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단면은 전체적으로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의 상측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대한 상대적 접촉면적이 최대로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기류가이드(83)의 하측방향 상대 이동을 효과적으로 저지하고, 기류가이드(83)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체결너트의 세부 구성]
이하,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체결너트(852)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너트는, 연결덕트부(85)의 외주면에 나사결합하여, 연결덕트부(85)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체결너트(852)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의 외형을 갖도록 구비되며, 원통형상의 내주면(8523)에는 연결덕트부(85)의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8523a)이 암나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너트의 나사산(8523a)은, 예시적으로 2회전이 되는 회전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고정 및 체결 시에,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체결너트(852)를 나사결합시킴으로서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이 터브(20)의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체결너트(852)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의 상부 측에 밀착되고, 덕트본체(851)의 플랜지(8513)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의 하부 측에 밀착되는 상태에서, 체결너트(852)의 결합력에 의해서 플랜지(8513)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을 향해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를 통해 플랜지(8513)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 사이의 밀착력이 증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외주면으로 세척수의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수의 누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랜지(8513)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 사이에는 탄성체 재질의 기밀링(85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체결너트(852)의 상단 측에는 기류가이드(83)의 풀림방지부(8711e)와 상호작용하는 복수의 스토퍼(8521)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스토퍼(8521)는 체결너트(852)의 상단(8522)와 외주면(8524)을 부분적으로 함몰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토퍼(8521)는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류가이드(83)의 풀림방지부(8711e)의 타단부는 제2 테두리벽(8711c)과 분리되어 자유단부(8711e2)로서 기능하게 되며, 체결너트(852)의 스토퍼(8521)의 일측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기류가이드(83)의 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회전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체결너트(852)는 세척행정 및 행굼행정 시에 세척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게 된다. 특히, 체결너트(852)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의 상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세척공간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며, 상황에 따라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채워지는 세척수에 잠겨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결너트(852)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에 대한 체결이 완료되면,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은 직접적으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밀착되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과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 사이에는 각각의 제조공차에 의해서 미세한 틈새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 덕트본체(851)의 외주면 및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간으로 세척수가 유입될 수 있다.
틈새는 매우 미세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일단 유입된 세척수는 체결너트(852)의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후 배출되지 않는 세척수에 의해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체결너트(852)의 내부에는 바텀 터브(20c)를 천공하여 형성되는 건조풍공급홀(254)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조풍공급홀(254)에서 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세척수에 포함된 세균 번식에 따른 악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게 된다.
이와 같은 바텀 터브(20c)의 부식 및 악취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에 구비되는 체결너트(852)는, 하단면(8525)으로부터 바텀 터브(20c)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접촉돌기(8526)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돌기(8526)는, 상단이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단이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을 향해 연장되는 돌출리브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돌기(8526)는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원주방향 간격(Dc)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소정의 원주방향 간격은, 각각의 접촉돌기(8526)의 원주방향 최대 두께(Wc)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각의 접촉돌기(8526) 사이에 세척수가 유입 및 유출되는 세척수 통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척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너트(852)의 내주면(8523), 덕트본체(851)의 외주면 및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의해서 생성되는 공간에 세척수가 잔류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체결너트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바텀 터브(20c)의 부식 즉, 건조풍공급홀(254)의 부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접촉돌기(8526)는 서로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예시적으로 각각의 접촉돌기(8526)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진행하면서 수평방향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첨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돌기(8526)의 하단의 접촉단부(8526a)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되는 곡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돌기(8526)와 바텀 터브(20c) 사이에는 최소한 선접촉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접촉돌기의 형상을 통해서, 체결너트(852)의 결합력 또는 가압력이 각각의 접촉돌기(8526)를 통해 균등하게 분산되어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첨단 형상을 통해서 접촉돌기(8526)와 바텀 터브(20c) 사이에 음식물 등과 같이 이물질이 끼거나 고착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851)의 상단(8511)이 관통하는 건조풍공급홀(254)은, 세척수를 섬프홀(252)로 향해 안내하기 위한 수렴면(251)에 형성된다.
수렴면(251)은, 중력에 의해 세척수가 이동하도록 수평방향에 대해서 소정의 수렴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본체(851)의 수나사부(8514)에 나사결합 시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되는 체결너트(852)의 가압력이 접촉돌기(8526)를 통해서 균등하게 작용하지 못할 가능성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결너트(852)의 접촉돌기(8526)의 가압력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바텀 터브(20c)에 작용할 수 있도록, 건조풍공급홀(254)의 주위에는 접촉돌기(8526)의 하단의 접촉단부(8526a)에 의해서 가압되는 링 형상의 결합면(25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링 형상의 결합면(2541)은 체결너트(852)가 나사결합하면서 이동하는 수직방향과 수직이 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링 형상의 결합면(2541)은 건조풍공급홀(254)의 주위를 프레스 가공을 통해 소성 변형시켜 형성되는 링 형상의 비드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너트(852)의 가압력이 직접 작용하는 부분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면(2541)을 별도로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접촉돌기(8526)는 균등하게 또한 균일하게 가압력을 바텀 터브(20c)에 작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터브(20c)에는 건조풍공급홀(254)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을 향해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부(25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원통부(2542)는,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에 채워지는 세척수의 침수 수면 높이를 상측방향으로 연장시키기는 목적을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너트(852)에 대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통부(2542)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접촉돌기(8526)가 체결너트(852)의 하단면(8525)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원통부(2542)가 바텀 터브(20c)의 하면(25)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원주방향을 따라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건조풍공급홀(254)의 내부로 세척수가 직접 유입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되고, 세척수의 의한 건조풍공급홀(254) 및 원통부(2542)의 부식 가능성을 추가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식기세척기
10: 케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83: 기류가이드 90: 베이스
20: 터브 30: 도어
40: 구동부 50: 수납부
60: 분사부 80: 건조풍공급부
83: 기류가이드 90: 베이스
Claims (15)
- 세척대상물이 수납되고 전면이 개방된 세척공간을 구비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세척대상물의 건조를 위한 건조풍을 생성하는 건조풍공급부; 및
상기 건조풍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풍의 유동방향을 전환하는 내부 유동공간과, 상기 내부 유동공간을 통과한 건조풍이 분사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기류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가이드는, 상기 내부 유동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의 상부 측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로막는 형태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1 항에서,
상기 기류가이드는,
상기 건조풍공급부에 결합되고, 상기 건조풍공급부에서 생성된 건조풍이 도입되는 로어가이드; 및
상기 로어가이드의 상측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어퍼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전방 에지, 상단 에지 및 후방 에지를 형성하는 노치홀를 구비하고,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토출구의 하단 에지를 형성하는 기준면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어퍼가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의 하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노치홀의 상단 에지와 상기 기준면 사이가 되는 식기세척기.
- 제2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상기 노치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곡면이 되는 제1 차단벽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3 항에서,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는, 상기 노치홀의 전방 에지에 일체로 연결되는 식기세척기
- 제3 항에서,
상기 제1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4 항에서,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가변되는 식기세척기.
- 제6 항에서,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는,
상하방향 위치가 제1 위치로 유지되는 제1 에지; 및
상하방향 위치가 제2 위치로 유지되는 제2 에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지는, 상기 제2 에지보다 더 상기 제1 차단벽의 일단 에지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 제3 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상기 노치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 곡면이 되고, 상기 제1 차단벽보다 상기 노치홀로부터 더 멀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차단벽;
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제8 항에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보다 더 높은 위치가 되는 식기세척기.
- 제8 항에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차단벽의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8 항에서,
상기 제2 차단벽은, 일단 에지로부터 타단 에지로 진행하면서 두께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8 항에서,
상기 제2 차단벽의 타단 에지는, 상기 제1 차단벽의 타단 에지보다 전후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노치홀의 후방 에지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 제9 항에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건조풍공급부에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내부 유동공간에 노출되는 원통형상의 덕트결합부; 및
상기 덕트결합부를 통과한 건조풍을 상기 토출구를 향해 안내하는 유로가이드면;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차단벽의 하단 에지와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는, 상기 유로가이드면을 향해 연장되는 식기세척기.
- 제13 항에서,
상기 로어가이드는,
상기 덕트결합부의 상단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분할벽;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할벽의 상단의 상하방향 위치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식기세척기.
- 제14 항에서,
상기 제2 차단벽의 하단 에지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분할벽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가 되는 식기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085A KR20230130904A (ko) | 2022-03-04 | 2022-03-04 | 식기세척기 |
EP22207692.9A EP4183306A1 (en) | 2021-11-18 | 2022-11-16 | Dishwasher |
AU2022271444A AU2022271444A1 (en) | 2021-11-18 | 2022-11-17 | Dishwasher |
US17/989,953 US20230148827A1 (en) | 2021-11-18 | 2022-11-18 | Dish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8085A KR20230130904A (ko) | 2022-03-04 | 2022-03-04 | 식기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0904A true KR20230130904A (ko) | 2023-09-12 |
Family
ID=8801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8085A KR20230130904A (ko) | 2021-11-18 | 2022-03-04 | 식기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0904A (ko) |
-
2022
- 2022-03-04 KR KR1020220028085A patent/KR20230130904A/ko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163904A1 (en) | Nozzle Structure of Dish Washer | |
US11672403B2 (en) | Wash system for washing appliance | |
CN110731742A (zh) | 洗碗机和水仓组件 | |
US10113654B2 (en) | Water diverter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 |
KR20230130904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30905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30903A (ko) | 식기세척기 | |
US20230210342A1 (en) | Dishwasher | |
US20220386847A1 (en) | Dish washer | |
EP4183306A1 (en) | Dishwasher | |
EP4183307A1 (en) | Dishwasher | |
KR20210057424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30908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09884A (ko) | 식기세척기 | |
US20230210345A1 (en) | Dishwasher | |
KR20230103441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30906A (ko) | 식기세척기 | |
EP4201295A1 (en) | Dishwasher | |
KR20230103440A (ko) | 식기세척기 | |
KR102704628B1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130907A (ko) | 필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 |
KR20230072946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072945A (ko) | 식기세척기 | |
KR20230072942A (ko) | 식기세척기 | |
KR20240153907A (ko) | 식기세척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