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5769A -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5769A
KR20230095769A KR1020220047932A KR20220047932A KR20230095769A KR 20230095769 A KR20230095769 A KR 20230095769A KR 1020220047932 A KR1020220047932 A KR 1020220047932A KR 20220047932 A KR20220047932 A KR 20220047932A KR 20230095769 A KR20230095769 A KR 20230095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pt
mic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crophages
n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선
홍선미
이아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8/086,9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85433A1/en
Publication of KR2023009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5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84Compounds having two nucleosides or nucleotides, e.g. nicotinamide-adenine dinucleotide, flavine-adenine dinucleot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NAMPT 결핍되는 경우, 조직 복구를 위해 죽은 세포를 제거하는데 실패하였는데, 이는 대장염에 대한 민감성의 상당한 증가로 이어져, NAD+를 공급하기 위한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MN)의 전신 투여가 염증성 중증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염증성 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잠재적인 치료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itis by NAMPT metabolic regulation}
본 발명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염증은 침입하는 병원체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일련의 신체작용으로 점차적으로 해소기가 뒤따른다. 염증의 해소기는 항상성으로의 신속한 복귀를 위한 염증 해소 촉진능을 갖는 활성화된 대식세포의 축적에 의해 제어되는 활동적인 과정이다. 장 대식세포는 점막 면역 체계의 미세 조정을 위한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선천성 면역 반응의 핵심 역할을 하는데, 여기서 장 대식세포는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및 지질 매개체의 생산에 기여한다. 또한, 병원체, 박테리아 벽 구성 요소 및 사멸 세포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염증의 해소기에서 병원체에 대한 강력한 보호 반응의 구축에 있어 실패는 지속적이고 과도한 염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염증성 장 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의 발병에서 종종 관찰된다. 최근 전장유전체연관성 연구들은 염증성 장 질환에서 대식세포의 주요한 동인 유전자를 발견했고, 대식세포에서 염증 해소 촉진 표현형을 발현시키는 것이 장 염증을 조절하고, 조직 기능을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다는 개념을 축적된 증거가 뒷받침한다.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는 니코틴아미드(nicotinamide; NAM) 및 5'포스포리보실-1'-피로포스페이트 (5'phosphoribosyl-1'-pyrophosphate; PRPP)로부터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 합성을 유도하는 효소로, NA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순환적 생합성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NAD+)는 산화환원 반응을 통한 세포 에너지 유지에 필수적이며, 폴리(ADP-리보스) 중합효소, 시르투인 (SIRTS) 및 cADP-리보스 합성효소 (예: CD38/CD157)와 같은 NAD+ 절단 효소의 기질로서 진화했다. NAD+는 두개의 별개의 생합성 경로인 회수 및 신생합성 경로에 의해 생성된다. NAD+ 회수 경로에서 속도 제한 효소로서 NAMPT는 생물학적으로 필수 불가결하며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 및 패혈증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NAMPT의 역할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염증성 질환에 대한 NAMPT 의존적 NAD+ 생합성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새로운 치료 전략이 계속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1-00912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발현 증가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 발현 증가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MN) 인체 내 투여를 통해,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의존적 NAD+ 생합성 경로의 활성화로 인해 염증성 질환의 중증도를 낮추어서, NAMPT이 결핍되어 발생한 염증 질환 환자에게 약품이나 치료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염증 조직 및 세포에서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발현 패턴의 변화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2는 NAMTP 발현의 염증성 장 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s; 이하, IBD라함) 환자의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이하, PBMC라함)에서 단핵구 및 호중구의 증가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3은 대식세포에서 NAMPT의 겹핍이 DSS (dextran sulfate sodium) 유발 대장염을 증가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4는 대식세포 특이적으로 NAMPT 결핍여부 확인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5는 NAMPT가 결핍된 대식세포가 염증 반응의 개시를 변화시키는지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6은 대식세포 특이적으로 NAMPT가 결핍된 경우, DSS 처리 시 결장 조직으로의 골수성 세포 동원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7은 NAMPT 결핍이 대식세포 분극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8은 NAMPT 결핍이 TLR4 다운스트림 신호를 변경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9는 NAMPT가 결핍된 대식세포에서 사멸 세포 (apoptotic cell) 제거 정도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0는 대식세포에서 NAMPT 발현이 필수적으로 식세포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1은 NAMPT의 식균 작용 촉진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2는 NAMPT 수준이 PPP (pentose phosphate pathway)를 통해 증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3은 NAMPT 수준이 PPP를 통해 증가되어 활성 산소 종 (reactive oxygen species; 이하, ROS라함) 수준을 높이는지 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4는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이하, NMN이라함)의 투여가 DSS 유발 대장염의 중증도 개선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도 15는 NMN의 투여가 DSS 유발 대장염의 염증 완화여부를 확인한 시험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대식세포에서 NAMPT의 결핍은 염증 질환에 대한 민감성의 상당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자는 NMN을 이용하여, NAMPT 의존적 NAD+ 생합성 경로의 활성화로 염증성 질환을 치료 및 예방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s; IBD),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또는 쇼그렌 증후군 (sjogren's syndrom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AMPT 단백질 결핍은 대식세포의 NAMPT가 결핍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NADPH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대식세포에서 NAMPT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거나 발현되지 않는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재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흉골내, 경피, 비측내, 흡입, 국소, 직장, 경구,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대상체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대상체의 상태 및 체중,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약물 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투여량이 0.01 mg/kg 내지 200 mg/kg,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2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mg/kg 내지 100 mg/kg 일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 주스, 합성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껌류, 아이스크림류, 스프, 음료수, 차, 기능수, 드링크제, 알코올 및 비타민 복합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식품첨가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첨가물공전의 총칙 및 일반 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품,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랭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 첨가 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 제제 등의 혼합 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식품에 첨가되는 유효성분은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식품 100 중량부에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포함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 발현 증가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등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PBMCs )에서의 전사체 프로파일링
아피매트릭스 HG-U133A 인간 유전자칩 어레이 데이터 (Affymetrix HG-U133A human GeneChip array data; NCBI GEO 수탁 번호: GSE3365)가 사용되었다.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UC; n=26) 및 크론병 (Crohn’s disease, CD; n=59)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개체 (normal individuals, NT, n=42)의 인간 말초 혈액 단핵 세포 (이하, PBMC라함)에서 차등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는 permutated student’s t-test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유전자 온톨로지 (Gene ontology) 분석은 R 패키지의 gProfileR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또한, xCell을 사용하여 각 샘플의 면역 세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 실시예 2] NAMPT 결핍 마우스 모델
엑손 5 (exon 5)에 인접한 두 개의 loxP 사이트를 갖는 Namptf /f 마우스 (C57BL6)를 LyzM-Cre 마우스 (C57BL6)와 이종 교배하여, 대식세포를 포함한 골수 세포 계통에서 NAMPT를 특이적으로 결핍 (knock out; KO)시켰다 (Namptf / fLyzMCre+/- 마우스; 이하, KO 마우스라함). KO 마우스(이형접합)를 골수 특이적 NAMPT 결핍된 마우스로 사용하였고, Nampt f/f 마우스 (wild type; 이하, WT 마우스라함)는 대조군으로 활용하였다. 마우스는 아주대학교 실험동물연구센터에 보관되었고 모든 동물 절차를 승인한 기관 동물 관리 및 사용 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보존하였다 (2020-0013).
[ 실시예 3] 대장염 마우스 모델 및 대장염 평가
연령 및 성별이 일치된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는 2.5 % DSS (MP Biomedicals, Santa Ana, CA, USA)를 7일 동안 투여했고, 이후 7일 동안 회복되게 하였다. 결장염 중증도는 다음의 매개변수의 점수 합계를 기반으로 한 점수 시스템을 통해 매일 결정되었다: 체중 감소 (0점 = 체중 감소/체중 증가 없음, 1 = 5 내지 10 % 체중 감소, 2= 11 내지 15 % 체중 감소, 3 = 16 내지 20 % 체중 감소, 및 4 = 21 %이상 체중 감소); 대변 일관성 (0점 = 정상 및 잘 형성됨, 2 = 매우 부드럽고 형성되지 않음, 및 4 = 묽은 대변); 및 출혈성 대변 점수 (0점 = 정상적인 색 대변, 2 = 붉은 색 대변, 4 = 혈변). 질병 활동 지수(DAI)의 범위는 0에서 12까지였다.
[ 실시예 4] 결장 고유층 (lamina propria ) 세포 분리
상기 실시예 2의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에서 장외 지방 조직과 혈관을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결장을 세로로 열고 차가운 PBS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결장 조각들을 콜라게나제 D (collagenase D) 및 0.1 mg/ml DNase I에서 40분 동안 소화시켰다. 그 후, 얻어진 세포 현탁액을 퍼콜 (Percoll) 구배에 적층된 100 μm 스트레이너에 통과시켜 원심분리하였다.
[ 실시예 5] 유세포 분석
상기 실시예 4의 세포 현탁액은 암조건 하에 20분 동안 얼음 위에서 다양한 조합의 형광색소-접합 항체로 염색 되었는데, 상기 항체는 항-CD45(30-F11), 항-CD11b(M1/70), 항-F4/80(BM8), 항-Ly6G(1A8), 항-Ly6C(HK1.4), 항-MHC II(M5/114.15.2), 항-CD11c(N418), 항-CD206(MMR) 및 항-CD86(GL-1) (모두 Biolegend, San Diego, CA, USA에서 구입)을 포함했다. 샘플은 FACS Canto II 유세포 분석기 (BD, Franklin Lakes, NJ, USA)에서 획득하였다. FlowJoTM 소프트웨어 (BD)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 실시예 6] 조직병리학 및 면역조직화학
조직학은 다음 매개변수의 점수 합계를 기반으로 하는 반정량적 점수 시스템을 이용하여 맹검법으로 점수 매겼다: 궤양의 존재: 0 = 없음, 1 = 존재하나 매우 미미한 정도, 2 = 최소, 3 = 보통, 4 = 널리 퍼짐; 염증의 존재: 0 = 없음, 1 = 최소, 2 = 경증, 3 = 보통, 4 = 중증; 염증 정도: 0 = 없음, 1 = 점막, 2 = 점막 + 점막하, 3 = 점막 + 점막하 + 근육 침투, 4 = 전체 두께 침범. 면역조직화학은 토끼 항-NAMPT (Bethyl Laboratories, TX, USA), 토끼 항-Ki-67 (Abcam, Cambridge, UK), 토끼 항-절단된 카스파제3 (Cell Signaling Technology), 마우스 항-CD326 (EpCAM)-APC(Invitrogen) 및 마우스 항-F4/80 (Abcam) 항체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 실시예 7] 세포 사멸 및 포식된 세포에 대한 염색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Apoptag plus in situ apoptosis fluorescein 검출 키트 (Merck)를 사용하여 튜넬 (TUNEL) 분석에 의해 세포 사멸을 평가하였다. 튜넬(TUNEL) 양성 신호는 각 필드에 대한 총 핵 신호로 보정되었다. 포식된 세포는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Apoptag ISOL dual fluorescence apoptosis 검출 키트 (Millipore)를 사용하여 염색되었다. 이어서, 상기 염색된 샘플은 마우스 항-F4/80 항체와 함께 밤새 배양했다. 형광 이미지는 공초점 현미경 (A1R HD25, Nikon, Tokyo, Japan)과 슬라이드 스캐너 (Axioscan, Zeiss, Germany)에 의해 얻어졌다.
[ 실시예 8] 식세포 작용 평가
pHrodoTM 그린-접합 E. coli BioparticlesTM를 혈청 배지에 희석하고, 30분 동안 배양한 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세포를 제조사 설명에서 지시된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하고, FACS Canto II 유세포 분석기 (BD) 또는 형광 현미경 (DFC3000G; Leica,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시예 9] NAD + , NADPH 및 ATP측정
골수 유래 대식세포 (bone marrow derived macrophages; 이하, BMDM이라함)를 수확하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엔지크롬 NAD+/NADH 분석키트 (EnzyChrom NAD+/NADHA ssay Kit, Bioassay Systems, Hayward, CA, USA), 엘리트 NADPH 분석키트 (Elite NADPH Assay Kit, eEnzyme, Gaithersburg, MD, USA) 및 셀타이터-글로(R) 발광 세포 생존능 분석기 (Cell Titer-Glo(R) Luminescent Cell Viability assay, Promega, Madison, WI,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시예 10] 활성 산소 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의 측정
BMDM 또는 복막 대식세포를 37 ℃에서 15분 동안 5 μM CM-H2DCFDA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함유하는 HBSS와 함께 배양했다. 미토콘드리아 활성 산소 종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를 15분 동안 5 μM의 미토삭스 (MitoSOX, Invitrogen)와 함께 배양했다. FACS Canto II (BD)를 사용하여 형광 수준을 모니터링하였다.
[ 실시예 11] 통계 분석
데이터는 GraphPad Prism 9 소프트웨어 (San Diego, CA)에서 쌍을 이루지 않은 two-tailed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평균 ± SEM으로 나타내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p < 0.05로 설정되었다.
[ 실험예 1] 염증 유발된 부분에서 NAMPT의 발현 증가 확인
다양한 인간 조직 샘플 (공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데이터)에서 NAMPT 발현을 분석하였으며, 도 1A에 따를 때, 전혈 세포가 가장 높은 수준의 NAMPT 발현을 나타냄을 발견하였다. 면역 세포의 하위 유형에서 NAMPT 발현 수준을 추가로 분석하였고, 도 2A에 따를 때, 골수 세포가 인간과 마우스 모두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NAMPT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염증성 장애에서 NAMPT 발현 패턴의 관련성을 이해하기 위해, 궤양성 대장염 (이하, UC라함) 및 크론병 (이하, CD라함)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대조군 (이하, NT라함)의 PBMC에서 전사체 데이터 (GSE3365)를 분석하여 NT와 비교하였고, 도 2B에 따를 때, UC와 CD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상향 (n = 107) 및 하향 (n = 126) 조절된 유전자들을 식별하였다.
유전자 온톨로지 분석에서도, 도 2C에 따를 때, 이러한 상향 조절된 유전자가 백혈구 매개 면역과 높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고, 도 1B 및 도 1C에 따를 때, 예상대로 NAMPT는 상향 조절된 유전자 중에 있음을 확인하여, 이는 염증에서의 병리학적 역할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전사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면역 프로파일링에서는 도 2D에 따를 때, IBD 환자의 PBMC에서 골수 세포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IBD 환자의 PBMC에서 NAMPT의 상향 조절된 발현은 골수 세포 및 해당 세포의 증가된 개체군이 질병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BD 환자의 결장 생체조직검사에서 NAMPT 발현을 분석하였고, 도 1D에 따를 때, UC 환자의 점막 생체조직검사는 정상 결장 조직보다 염증 부위에서 CD68 양성 대식세포, 증가된 조직 섬유증 및 강한 NAMPT 발현을 포함한 더 높은 염증 세포수를 보여주는 것을 확인했다.
염증성 질환에서 상향 조절된 NAMPT의 병태생리학적 역할을 더 이해하기 위해 DSS 유도 대장염 마우스 모델 (도 1E 참고)을 사용하였고, 도 1F에 따를 때, 결장 상피 구조의 파괴, 염증 부위의 증가된 범위, 두꺼워진 점막 및 7일차 F4/80+ 대식세포의 훨씬 더 높은 개체군을 발견하였고, 이는 14일차에 대부분 회복되었다. 정상 상태 하에서 NAMPT는 주로 상피에서 발현되었으며, EpCAM (epi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과 함께 공동 국소화 되었으나, DSS로 유발된 대장염에서 NAMPT 발현은 상피 및 고유층 (lamina propria) 모두에서 검출되었으며, 고유층의 NAMPT는 7일차에 F4/80과 함께 공동 국소화 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염증 조직에서 상향 조절된 NAMPT 발현은 전사 조절뿐만 아니라 염증 부위로 모여 증가된 대식세포 개체군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2] 대식세포에서 NAMPT 결핍은 급성 대장염의 중증도 증가 확인
염증에서 골수 특이적 NAMPT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해, 도 3A의 상단 패널 및 상기 실시예 2에 따를 때, 골수 구획 (NAMPTf / fLysMCre+/-)에서 NAMPT가 특이적으로 결핍된 KO 마우스를 생성하였다. 도 4A에 따를 때,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다른 조직에서 NAMPT 단백질 발현은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고, 도 4B에 따를 때, KO 마우스의 총 골수 유래 단핵구 (bone marrow-derived monocytes; 이하, BM이라함)의 NAMPT 단백질 수준은 WT 마우스와 비교 할 때, 38 %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KO 마우스의 복막 대식세포에서는 감지할 수 없었는데, 이는 도 3A 하단 패널 및 도 4C에 따를 때, NAMPT의 대식세포 특이적 결핍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참고로, 도 3B에 따를 때, BMDM 내의 F4/80+ 세포의 비율은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 간에서 유사하였다.
DSS 유발 대장염에서 염증성 대식세포 내 NAMPT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도 3C 및 도 3D에 따를 때, 대장염 유도 후 WT 마우스는 일반적으로 10일째까지 체중의 10 %가 감소하였어도, 체중을 회복하여 모두 생존하였으나, KO 마우스는 더 심각한 질병에 걸려 체중의 24 %가 감소하였고, KO 마우스의 42 %가 죽었다. 또한, 도 3E에 따를 때, DAI (disease activity index)에서의 극적인 차이가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 사이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대장염의 맥락에서 대식세포 유래 NAMPT의 보호 역할을 한다고 해석되었다.
DSS 처리 후 14일에 결장 길이를 확인하였는데, 도 3F에 따를 때, WT 마우스보다 KO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관찰자 맹검법에 의한 점수도 확인하였는데, 도 3G에 따를 때, DSS 처리 시 WT 마우스보다 KO 마우스에서 염증 및 궤양의 심각도 뿐만 아니라 상당히 더 큰 조직학적 점수 및 조직 파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도 3H에 따를 때, KO 마우스는 WT 마우스보다 결장 조직에 더 많은 튜넬 양성 (TUNEL+) 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대식세포 특이적 NAMPT 결핍이 마우스 모델에서 DSS 유발 대장염의 중증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했다.
[ 실험예 3] NAMPT 결핍에 따른 염증 반응의 개시 여부 확인
DSS 유발 대장염에서 NAMPT의 기여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과 같이 처리한 마우스를 처음 7일 및 이후 7일간의 질병 상태를 비교해 회복정도를 확인했다. 도 5A 및 도 6A에 따를 때, KO 마우스는 14일째에 심각한 체중 감소와 결장의 축소를 보였고, 결장 길이에 있어서, WT 마우스보다 KO 마우스가 더 짧았으며, 조직학적 점수, 염증의 정도 및 궤양은 7일째에 KO 마우스에서 더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또한, 도 5B에 따를 때,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결장 조직은 7일째에 대식세포가 결집된 높은 개체군과 더불어 심각한 파괴를 보였으나, KO 마우스와 달리 WT 마우스는 결장의 길이와 14일째에 대식세포의 감소된 개체군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7일째에 단핵구 및 대식세포의 비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도 5C, 도 6B 및 도 6C에 따를 때, 단핵구와 대식세포의 비율이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 간에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전염증성 Ly6ChighMHC-IIlow 대식세포와 Ly6ClowMHC-IIhigh 대식세포의 비율도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도 5D 및 도 6D에 다를 때, 그 비율은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 간에 유사하였는데, 이는 대식세포 내 NAMPT 결핍이 단핵구 및 대식세포의 국소 집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4] NAMPT 결핍 마우스 대장염 중증도의 M1/M2 대식세포 표현형과의 관련성
NAMPT의 결핍이 대장염 발병동안 M1 및 M2 대식세포 개체군을 변화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3의 마우스로부터 DSS 유발 대장염 내 결장 점막의 M1 및 M2 대식세포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E에 따를 때, 7일차에, DSS 처리 시 KO 마우스 및 WT 마우스 간 F4/80+CD11b+ 대식세포의 비율은 M1 (CD86high) 및 M2 (CD206high) 대식세포의 백분율은 유사하였고, 도 5F에 따를 때, 조직학적 검사와 일치하게, 회복기에 WT 마우스보다 KO 마우스의 M1 (CD86high) 대식세포의 개체군이 더 높았다. M1 및 M2 대식세포는 각각 전염증성 사이토카인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특징으로 하는데, 도 5G 및 도 5H에 따를 때, 결장성 M1 및 M2 대식세포 개체군의 유사한 패턴과 함께 우리는 DSS 처리 도중인 7일째에 염증 유전자의 강력한 유도를 발견하였지만, NAMPT 결핍의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지만, 회복기 후에 KO 마우스는 염증 조직에 여전히 높은 대식세포 개체군 (도 5B 참조)을 갖고 있었고, 이에 따라 WT 마우스와 비교하여 장 샘플에서 염증 유전자의 발현이 상향 조절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NAMPT가 M1 및 M2 대식세포의 양극화에 관여하는지 확인하였다. BMDM는 LPS/IFN-γ로 처리 시 M1 유사 대식세포로, IL-4로 처리 시 M2 유사 대식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데, 도 7A 및 도 7B에 따를 때, NAMPT의 결핍은 M1 및 M2 대식세포의 양극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FK866 처리에 의한 NAMPT 효소 활성의 억제 역시 그렇지 않았다. 대식세포의 다양한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 마커의 발현 수준은 웨스턴 블롯에 의해 추가로 분석되었고, 그 결과, 도 7C에 따를 때,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 간 대식세포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NAMPT 발현이 염증 과정 동안 M1 및 M2 대식세포 양극화를 저해시키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FACS 분석과 유사하게, 도 7D에 따르면, FK866 처리는 M1 및 M2 대식세포 특이적 마커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LR4 후기 신호 전달의 변화여부를 확인하였고, 그 결과, 도 8A에 따를 때,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BMDM은 LPS에 대한 반응으로 MAPK 및 NF-κB 활성화와 같은 TLR4 후기 신호 전달에 있어 변화는 없었다. 한편, 도 8B 내지 도 8D에 따를 때, NAMPT 결핍된 경우에 LPS 처리 시 사이토카인의 mRNA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나, 단백질 수준에서 WT 마우스 및 KO마우스의 BMDM은 둘 모두에서의 IL-1β 생산은 5시간 동안의 LPS 처리 시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또한, 도 8E에 따를 때, 염증 반응의 활성화를 담당하는 선천 면역 체계인 염증소체 활성화 역시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BMDM 간에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종합하면, NAMPT 결핍이 대식세포의 양극화 및 사이토카인 생성을 저해시킴으로써, DSS 유발 대장염의 중증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염증 해소로 이어지는 후속 단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5] NAMPT 결핍이 DSS 유도 대장염에서 사멸 세포 제거 저해 여부 확인
조직 손상 회복의 지표로서, 7일차의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DSS 유도 대장염 샘플에서 Ki67+ 세포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A에 따를 때, 상피에서 Ki67+ 세포의 비율이 KO 마우스에서 극단적으로 감소하였다. 생체 내에서 사멸세포 제거에서 NAMPT의 역할을 조사하기 위하여, DSS 유도 대장염이 있는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결장 조직을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사멸 세포를 보기 위해 절단된 카스파제3 (caspase3) 항체로 염색하였다. 그 결과, 도 9B 및 9C에 따를 때, 14일차의 KO 마우스에서 제거되지 않은 사멸 세포 시체의 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고, KO 마우스의 결장 상피 및 점막의 튜넬 양성 (TUNEL+) 핵의 수는 WT 마우스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DSS 유도 대장염 모델에서 NAMPT 결핍 대식세포가 감소된 포식작용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식세포 (phagocyte) 내에서 포식된 세포를 구별할 수 있는 검출 방법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9D에 따를 때, 포식된 세포의 신호는 NAMPT KO 마우스보다 WT 마우스에서 더 높았다. 또한, F4/80+ 대식세포는 KO 마우스의 결장 조직에서 더 낮은 수준의 포식된 세포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활성화된 염증성 대식세포에서 NAMPT의 결핍이 세포 제거 활성을 약화시킬 수 있고, 결국 대장염 중증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6] NAMPT 결핍 대식세포에서 약화된 식세포 작용능력 확인
pHrodo 그린을 사용하여 펄스 및 추적 식세포 작용 분석을 수행하여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대식세포 사이의 식세포 활성을 비교하였다. 도 11A에서는 WT 마우스의 BMDM에서 녹색 형광 신호의 강도에 있어 증가가 있었는데, 이는 리소좀을 동반한 pHrodo 그린을 함유하는 포식소체의 점진적인 성숙 및 융합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에서와 같이, LPS/IFN-γ 처리 시 BMDM 양극화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도 10A에 따를 때, 녹색 형광 강도는 30분 동안의 pHrodo 처리 시, WT 마우스의 BMDM에 비해 KO 마우스의 BMDM에서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WT 마우스의 BMDM에서 FK866 처리 시, 도 10B, 도 11B 및 도 11C에 따를 때, pHrodo 강도가 감소하였고, KO 마우스의 BMDM에서 NMN (Nicotinamide mononucleotide) 처리는 형광 강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FK866에 의한 NAMPT 활성 억제는 도 10C에 의하면, WT 마우스의 BMDM에서 볼 수 있듯 RAW264.7 세포에서 pHrodo 강도를 감소시켰다. 리소좀 억제제인 바필로마이신 A1 (bafilomycin A1, Baf A1) 처리는 도 10D 및 도 11 D에 의하면, WT 마우스의 BMDM 및 RAW264.7 세포 모두에서 pHrodo의 형광 강도를 감소시켰고, 이는 포식된 pHrodo 그린 E. coli 생체 입자가 대식세포 내에서 분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는 NAMPT의 효소 활성이 대식세포 내 식세포 진행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KO 마우스 및 WT 마우스의 BMDM에서 LPS 처리 시 ROS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0E, 10G 및 10F에 따를 때, NAMPT가 결핍된 BMDM과 복막 대식세포는 LPS 처리 시 세포성 ROS 생산에 결함을 나타내었고, 총 세포성 ROS 수준과 달리, LPS 처리 시 미토콘드리아의 ROS 수준은 WT 마우스 및 KO 마우스의 대식세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는 않았다. 또한, Raw 264.7 세포에서 FK866 처리에 따른 LPS에 대한 반응을 확인 했고, 도 10H에 따를 때, ROS 생성을 부분적으로 억제했으며 이 억제 효과는 NAD+공동 처리에 의해 회복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식세포에서 NAMPT 발현이 효소 의존적 방식으로 식세포 활성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7] NAMPT 결핍 대식세포의 식세포 활성을 위한 NAD + 생성 확인
대식세포는 ROS 생산을 위한 전자 운반체로 NADPH를 필요로 하여, 도 12A와 같이, NAMPT가 결핍된 대식세포가 감소된 NADPH 수준으로 인해 결함이 있는 식세포 활성을 나타낸다고 가정하였다. 예상대로, 도 12B에 따를 때, NAMPT 결핍 또는 FK866 처리는 NAD+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NMN 처리는 표현형을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NAD+는 ATP 생산의 중요한 보조인자이므로 LPS 처리 시 ATP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2C에 따를 때, LPS는 KO 마우스 및 WT 마우스의 BMDM 모두에서 ATP 수준을 감소시키면서도, KO 마우스 및 WT 마우스의 BMDM 간에 비히클 처리 하의 ATP 수준에는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NAMPT가 면역 반응에서 ATP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12D 및 12E에 따를 때, NADPH 수준은 KO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하향 조절되었고, NMN 투여는 NADPH 수준을 증가시켰는데, 이는 NAMPT 효소 활성이 BMDM에서 NADPH 수준을 조절하고, LPS 처리는 NAD+ 수준을 감소시키며, FK866 처리는 추가 감소를 야기함을 알 수 있었다. 일관되게, LPS 챌린지는 WT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NADPH 수준을 50 %로 상당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NAMPT가 고갈된 대식세포 내 NADPH 수준은 21% 감소하였다. 또한, 도 12G에 따를 때, FK866 처리는 NADPH 수준에 있어 추가 감소를 야기한 반면, NMN 처리는 LPS 처리에서 NADPH 수준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NAMPT가 고갈된 대식세포가 면역 반응의 중요한 요소인 NADPH를 충분히 생산할 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NAMPT는 PPP (pentose phosphate pathway)로의 NAD+ 유입 증가를 통해 NADPH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도 13A 및 도 12H에 의할 때, 산화성 파열은 NOX2를 통한 과산화물 생성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많은 양의 NADPH를 필요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PPP를 억제하는 6-아미노니코틴아미드 (6-aminonicotinamide; 이하, 6AN이라함)의 처리는 WT 마우스에서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NADPH 수준을 감소시켰지만, KO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는 감소시키지 않았다. 또한, 도 12I, 도 12J 및 도 13B에 따를 때, NMN 처리는 6AN 처리에 의해 차단된 KO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NADPH 수준을 회복시켰고, LPS 챌린지 중 6AN에 의한 PPP 억제는 NADPH 수준을 추가로 감소시켰으며, 예상대로 6AN 처리는 LPS 및 IFN-γ로 활성화된 BMDM에서 ROS 수준의 감소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NAMPT가 식세포 작용의 맥락에서 NOX2에 재료를 공급하기 위해 PPP를 통해 NADPH 생산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 실험예 8] NMN 투여 효과 확인
대장염에 대한 NAMPT 결핍의 영향은 NMN 보충에 의해 완화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SS 유발 대장염 모델에서 NMN을 투여하였다. 2.5 % DSS 처리 후, 500 mg/kg의 NMN 또는 PBS를 주 3회 NAMPT KO 마우스에 복강 내 주입하였고, 도 14A, 도 14B, 도 15A 및 도 14C에 따를 때, NMN 처리가 KO 마우스를 중증 대장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체중 감소 및 DAI 감소를 회복시켰다는 것을 생존율이 보여주었는데, PBS 주입은 33 % 생존 (12마리 중 4마리)을 보인 반면, NMN 주입은 67 % 생존 (12마리 중 8마리)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마우스에서 NMN 주입에 의한 명백한 세포 독성 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추가로 밝혀내었다. 그 결과, 도 15B, 도 14D, 도 15C 및 도 14E에 따를 때, NMN 주입은 투여 후 14일 전후까지 체중 감소를 초래하지 않았고, 현미경 수준에서 결장, 간 및 비장에 이상이 없었으며, 혈청의 ALT 및 AST 수준은 PBS 및 NMN 처리 사이에서 유사했다. 이러한 결과는 NMN 주입이 간독성이 없는 DSS 유발 대장염을 약화 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NMN 처리는, 도 14F에 따를 때, F4/80+ 대식세포 개체군의 감소와 더불어, Ki-67+ 세포를 증가시키고 절단된 카스파제 3 및 튜넬(TUNEL)의 양성 신호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NMN 투여가 염증 해소를 향상시켜 DSS 유발 대장염으로부터 마우스를 보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IBD), 피부염, 알레르기, 아토피, 결막염, 치주염, 비염, 중이염, 인후염, 편도염, 폐렴, 위궤양, 위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관절염, 골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견관절주위염, 건염, 건초염, 건주위염, 근육염, 간염, 방광염, 신장염 또는 쇼그렌 증후군(sjogren's syndrom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NAMPT 단백질 결핍은 대식세포의 NAMPT가 결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대식세포에서 NAMPT 단백질 발현 수준이 낮거나 발현되지 않는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6.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염증 질환은 NAMPT (Nicotinamide phosphoribosyltransferase) 단백질 결핍에 의해 발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니코틴아미드 모노뉴클레오티드 (Nicotinamide mononucleotide; NMN)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ADPH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발현 증가용 시약 조성물.
KR1020220047932A 2021-12-22 2022-04-19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30095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86,971 US20230285433A1 (en) 2021-12-22 2022-12-22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colitis by NAMPT metabolic regul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84803 2021-12-22
KR1020210184803 2021-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5769A true KR20230095769A (ko) 2023-06-29

Family

ID=869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932A KR20230095769A (ko) 2021-12-22 2022-04-19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85433A1 (ko)
KR (1) KR202300957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244A (ko) 2018-11-15 2021-07-21 얀센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염증성 장 질환의 요법에 대한 반응의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1244A (ko) 2018-11-15 2021-07-21 얀센 바이오테크 인코포레이티드 염증성 장 질환의 요법에 대한 반응의 예측을 위한 방법 및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5433A1 (en)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bré et al. Short-and long-term outcome of severe alcohol-induced hepatitis treated with steroids or enteral nutrition: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Andou et al. Dietary histidine ameliorates murine colitis by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from macrophages
KR102453643B1 (ko) Hdl 콜레스테롤 수준 증가에 의한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메틸 시클로덱스트린 기재의 조성물
JP2001513332A (ja) 天然成分を含有する食物サプリメント
BRPI0920446B1 (pt) Método para fabricar um extrato de fruta da família solanaceae, e, uso de um extrato de fruta
Niebes et al. Stabilization of rat liver lysosomes by (+)-cyanidanol-3 in vivo
Ammollo et al. Grape intake reduces thrombin generation and enhances plasma fibrinolysis. Potential role of circulating procoagulant microparticles
Hendriks et al. Alcohol,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EP1648483B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insulin resistance
Novoselova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KK Inhibitor XII, Thymulin, and Fat‐Soluble Antioxidants in LPS‐Treated Mice
EP3246022A1 (en) The use of diphenol in preparation of medicin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erebral ischemia
Takemori et al. Effects of persimmon fruit polyphenols on postprandial plasma glucose elevation in rats and humans
US7014851B2 (en) Process for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KR20230095769A (ko) Nampt 대사조절에 의한 염증성 장 질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Shirosaki et al.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kiwifruit leaf (Actinidia deliciosa) in mice
KR101686431B1 (ko) 잔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jani et al. Chemopreventive and remediation effect of Hydrocotyl bonariensis Comm. Ex Lam (Apiaceae) leave extract in galactose-induced cataract
Wasyanto et al. Effect of oral N-acetylcysteine supplementation on the immunity system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R20200120057A (ko) 알파-리포익산(alpha-lip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시스플라틴에 의한 이독성 난청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82108B1 (ko) 세리포리아 락세라타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EP2976089B1 (en) Use of sedoheptulose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ion
KR102020709B1 (ko) 진토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Veenstra et al. Effects of four days of moderate wine and coffee consumption on fibrinolysis and platelet aggregation
EP44378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oxylipins present in human milk derived small extracellular vesicles and its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testinal diseases
KR102644933B1 (ko) 당뇨병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질환의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