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92575A -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2575A
KR20230092575A KR1020210182092A KR20210182092A KR20230092575A KR 20230092575 A KR20230092575 A KR 20230092575A KR 1020210182092 A KR1020210182092 A KR 1020210182092A KR 20210182092 A KR20210182092 A KR 20210182092A KR 20230092575 A KR20230092575 A KR 20230092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trol
door
folding
folding door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33680B1 (ko
Inventor
오기석
Original Assignee
오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기석 filed Critical 오기석
Priority to KR102021018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36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2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3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36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05D2015/26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the wings being successively fold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2Be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68Pulleys;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cantileve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보호 구간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도어 동작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출입구에 설치되며,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단막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도어를 연동시켜 회전하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고, 출입 통제부는 접이식 도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한다.

Description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Access control gate apparatus using folding door}
본 발명은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보호 구간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도어 동작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체 및 관공서와 같이 기밀이 요구되는 자료를 취급하여 출입자에 대해 엄격한 통제가 요구되거나, 지하철 및 놀이시설(극장. 공연장 등)과 같이 유료로 운영되며 다수의 출입자가 이용하는 시설물의 출입구에는 관리인이나 보안요원을 통하여 출입을 통제하고 출입 인원을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리인이나 보안요원들을 통하여 출입자를 일일이 확인하는 경우에는 출입 시간이 많이 지연되고, 통제되는 인원의 파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출입 인원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면서 다수의 출입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출입이 허가된 다수의 출입자를 모바일 디지털 티켓이나 RF카드 등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출입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루어진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를 출입 통로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는 슬라이딩 게이트(Sliding Gate), 플랩 게이트(Flap Gate), 스윙 게이트(Swing Gate) 및 턴스타일 게이트(Turnstile Gate)로 구분된다.
즉, 지하철이나 놀이시설에는 입장객의 개찰을 위하여 턴 타입 게이트(Turn Type Gate)가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관공서나 대기업이 입주하고 있는 대형 건물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곳에는 게이트 도어(Gate Door)의 개폐방식에 따라 슬라이드 타입 게이트(Slide Type Gate), 스윙 타입 게이트(Swing Type Gate)와 같은 다양한 구조의 게이트 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대부분의 게이트는 양문형으로 이루어지고, 좌·우 직선 운동 또는 양문형 앞·뒤 원운동을 한다.
양문형 좌·우 직선 운동형 게이트는 이용자 보호 구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으나, 장치의 폭이 넓어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양문형 앞·뒤 원 운동형 게이트는 이용자 보호 구간이 길며 장치의 길이가 길어 설치 공간의 길이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양문형 게이트는 제어장치(구동장치 포함)가 양단에 각각 구성되어야 하므로, 사이에 출입구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게이트 몸체의 제작이 복잡하고, 제어장치의 구성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48475(2019.02.08. 등록)(보안성이 강화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10428(2019.08.07. 등록)(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보호 구간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도어 동작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같은 설치 공간에 도어의 길이를 공간의 상황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최대 길이 제한을 기술적, 물리적 범위 안에서 최대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늘리도록 한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는,
출입구에 설치되며,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단막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도어를 연동시켜 회전하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접이식 도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접거나 전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및 제2 차단막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제1 차단막의 폭이 상기 제2 차단막의 폭보다 좁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제1 차단막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2 차단막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연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을 지지력으로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프레임에는 상기 구동 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 풀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제1 차단막 및 제2 차단막에 구비되며, 장애물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수단의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연동부는,
상기 구동 수단의 모터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제2 차단막을 접거나 전개하는 기어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차단막의 폭을 조절하여, 이용자 보호 구간 및 접이식 도어의 회전 공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는,
상기 접이식 도어를 접거나 전개할 때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마그네틱 레일;
상기 접이식 도어에 고정되어 접거나 전개시 상기 마그네틱 레일을 따라 직선운동을 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보호 구간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도어 동작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문형 폴딩 도어로 출입 토에 게이트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양문형 도어로 이루어진 출입 통제 게이트에서 발생하는 게이트 몸체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개선하고, 게이트의 장애 빈도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 도어를 이루는 차단막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공간에 적용 가능하며, 이용자 보호 구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전개되어 출입을 차단하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안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바깥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에서 마그네틱 레일을 따라 접이식 도어가 접히거나 전개되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를 확장하여 출입통제 게이트를 구현한 예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서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물체와 인체를 인식하고, 열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체의 온도를 취득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전개되어 출입을 차단하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안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접이식 도어가 바깥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에서 마그네틱 레일을 따라 접이식 도어가 접히거나 전개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는 설치 공간에 설치되며,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단막(121, 122)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도어(123)를 연동시켜 회전하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120)가 구비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11, 112는 설치 공간의 벽체 또는 설치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대상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출입 통제부(120)는 별도의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그 자체만으로 설치 공간에 설치되어 출입 통제 게이트 역할을 한다.
출입 통제부(120)를 단문형 도어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양문형 출입통제 게이트에서 양문형 도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게이트의 몸체에 개별적으로 구현됨으로써 발생하는 잦은 고장률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게이트 몸체를 구현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통제부(120)의 접이식 도어(123)를 형성하는 상기 제1 차단막(121)은 제1프레임(123)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안정성이 확보되며, 제2차단막(122)은 제2프레임(124)에 고정 지지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제1프레임(123)은 제1 차단막(121)을 홈에 끼워 고정 및 지지하며, 제2프레임(124)은 제2 차단막(122)을 홈에 끼워 고정 및 지지한다. 제1프레임(123) 및 제2프레임(124)은 무게 중심을 갖고 차단막을 삽입하여 중심을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23)은 고정부(126)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즉, 고정부(126)에 다수 형성된 볼트 체결 공에 볼트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볼트를 체결하여 지지력을 이용하여 제1 프레임(123)을 지지한다.
상기 제1프레임(123)에는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 풀리(131)와,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컨트롤러(132)를 포함하는 구동 수단(130)이 내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차단막(121, 122)의 폭을 조절하면, 이용자 보호 구간 및 접이식 도어(123)의 회전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막(121, 122)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구동 수단(120)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제1 차단막(121)의 폭이 상기 제2 차단막(122)의 폭보다 좁거나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접이식 도어(123)를 접거나 전개하기 위해서, 상기 제1프레임(123)과 제2프레임(124) 사이에는 제1프레임(123)과 제2프레임(124)을 연동시키는 연동부(14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연동부(140)는 상기 구동 수단(130)의 모터 풀리(131)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나 체인으로 이루어진 회전력 전달수단(141),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141)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제2 차단막(122)을 접거나 전개하는 기어군(142)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군(142)은 복수의 유성 기어 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성 기어 열의 기어비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을 적절히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입 통제부(120)는 상기 제1 차단막(121) 및 제2 차단막(122)의 적절한 위치에 장애물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150)를 구비시키고, 상기 컨트롤러(132)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수단(130)의 모터 구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물체 감지 센서(15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마그네틱 센서, 홀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열 화상 카메라 등과 같은 다양한 물체 감지 센서 또는 인체 감지 센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설치 개수는 양방향(진출입 방향)에서 최적으로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개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출입 통제부(120)는 별도의 이동 가이드 없이도 자체적으로 접이식 도어(123) 만으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나, 출입 통제시 더욱 견고하고, 접이식 도어(123)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출입 통제부(120)의 고장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부가적으로 바닥면에 마그네틱 레일(181)을 설치하고, 상기 연동부(140)의 하부에 설치된 이동부(182)가 마그네틱 레일(18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거나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마그네틱 레일(181)은 상기 접이식 도어(123)를 접거나 전개할 때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부(182)는 상기 접이식 도어(123)에 고정되어 접거나 전개시 상기 마그네틱 레일(181)을 따라 이동하여, 접이식 도어(123)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도 출입 통제부(120)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단문형 접이식 도어(123)를 이용하여 출입용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하는 것이며, 초기의 상태는 접이식 도어(123)가 전개되어 출입을 차단하는 상태라고 가정을 한다.
출입통제 게이트를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는 키오스크나 단말 형태로 마련된 신분 확인기(170)에 신분증명수단을 태깅한다. 여기서 신분 증명 수단이 스마트폰일 경우, 블루투스 등을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페어링을 하고,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여 신분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신분 증명 수단이 스마트폰일 경우, QR 코드 혹은 바코드 생성기를 통한 디지털 정보를 통해 신분 증명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확인하여 신분을 확인한다. 신분 증명 수단이 RFID 태그가 내장된 신분증일 경우, RFID 태그를 태깅부에 근접시켜 RFID 리더기를 통해 RFID 태그의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정보를 확인하여 신분을 확인한다.
신분 확인 결과, 허가된 출입자가 아니면 현재 상태(접이식 도어가 전개된 상태)를 유지하고, 허가된 출입자일 경우 신분 확인기(170)에서 구동 수단(130)이 내장된 컨트롤러(130)에 통신을 통해 허가된 사용자이므로 접이식 도어(123)를 접도록 명령을 전달한다.
출입 통제부(120)의 구동 수단(130) 내 컨트롤러(132)는 허가된 출입자로 인증되어 접이식 도어(123)를 접도록 하는 명령이 전달되면, 모터 풀리(131)의 모터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제1 차단막(121)을 제1벽체(111)의 내면을 기준으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제1 차단막(111)을 제1벽체(111)의 내면 기준으로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출입 통제 게이트 장치의 설치를 요청하는 설치 요청자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모터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초기에 출입 통제 게이트 장치를 설치할 때, 접는 방향을 결정하여 모터 회전 방향을 결정하면 된다.
도 4는 접이식 도어가 안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예시도이고, 도 5는 접이식 도어가 바깥쪽으로 접어져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동 메커니즘 예시도이다. 편의상 본 발명에서는 접이식 도어가 도 4와 같이 안쪽으로 접어지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32)는 미리 설정된 회전 속도로 모터를 회전시킨다. 모터의 회전 속도는 실험을 통해 적당한 회전 속도로 설정될 수 있으나, 운영자에 의해 임의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1 차단막(111)이 안쪽으로 접어지기 시작하면, 제1 차단막(111)과 제2 차단막(112)을 연동시키는 연동부(140)의 기어군에 의해, 제2 차단막(112)이 직선 운동을 하면서 접어진다. 여기서 기어군의 처음 기어는 상기 모터 풀리(131)의 풀리와 벨트나 체인 등으로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기어군을 이루는 다수의 기어에 순차 동력을 전달한다. 여기서 기어군의 마지막 종동 기어 및 마지막 종동 기어와 연결된 구동 기어는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로 회전되도록 복수의 유성 기어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1 차단막(121)이 안쪽으로 회전을 하여 접히면 제2 차단막(122)은 제1 차단막(121)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폴딩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터의 회전이 완료되면 접이식 도어(123)는 도 4와 같은 형태가 되어, 출입구를 개방하는 형태가 된다.
신원이 확인된 허가된 출입자는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접이식 도어(123)의 임의 위치 또는 신분 확인기(170) 또는 임의 위치에 복수의 물체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출입 통제 게이트 장치를 출입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되는 위치 감지 신호(물체 감지 신호)는 컨트롤러(132)에 전달된다.
여기서 물체 감지 센서는 도 8a와 같이 깊이 센서를 포함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하고, 촬영된 영상을 지능형 영상분석을 통해 물체와의 거리를 추정하며, 움직이는 객체를 인지하고 추적하는 방식으로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 화상 카메라를 통해 물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인체를 감지할 수 있다. 열 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온도 측정을 통해 인체를 감지하면, 측정한 온도 값을 통해 방역 등의 정보로도 활용할 수 있다. 즉, 측정한 인체 온도가 방역을 위해 정해진 온도 이상이 되면 출입이 허가된 자라도 출입을 통제하여 전염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물체 감지 또는 인체 감지의 정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상기 스테레오 카메라와 열 화상 카메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c는 물체 감지 영역 및 상기 물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인체 감지를 하거나, 정해진 안전 위협 구역의 물체 진입 등을 확인하는 예시이다.
물체 및 인체 감지 영역(안전 위협 구역이 될 수 있음)을 설정하고, 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해 물체 및 인체 감지 영역에 물체 및 인체가 감지되면, 해당 위치를 추출하고, 열 화상 카메라로 체온을 확인하여 측정한 체온에 따라 진입 거부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32)는 물체 감지 신호를 통해 출입자가 출입 통제 게이트를 통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모터를 접이식 도어의 개방시와는 반대로 회전시켜 다시 제1 차단막(121)을 전개하고, 이에 따라 연동부(140)의 기어군에 의해 제2 차단막(122)도 직선 운동을 하면서 전개를 하게 된다.
여기서 컨트롤러(132)는 접이식 도어(123)의 완전 전재 상태에 대한 모터 제어량을 알고 있으므로, 해당 모터 제어량만큼만 모터를 동작시켜 접이식 도어(123)를 전개한다. 모터 제어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는 접촉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제2 차단막(122)의 전개량을 검출하여 모터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단문형 접이식 도어만을 이용하고, 별도의 가이드 레일 없이도 접이식 도어(123)를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자를 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출입 통제부(120)는 별도의 이동 가이드 없이도 자체적으로 접이식 도어(123) 만으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할 수 있으나, 출입 통제시 더욱 견고하고, 접이식 도어(123)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도 출입 통제부(120)의 고장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해서, 이동 레일을 이용할 수 있다. 실제 이동 레일이 없는 상태에서 접이식 도어(123)는 오직 고정부(126)의 고정력에 의해서만 지지된 상태이며, 제2 차단막(122)은 오직 연동부(140)에 의해서만 제1 차단막(121)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상태이며, 허공에 떠있는 상태가 되어 외부 충격에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구의 바닥면에 마그네틱 레일(181)을 설치하고, 상기 연동부(140)의 하부에 이동부(182)를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 접이식 도어(123)가 접히거나 전개될 때 이동부(182)가 상기 마그네틱 레일(181)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면서 접거나 전개되도록 한다.
여기서 마그네틱 레일(181)은 상기 접이식 도어(123)를 접거나 전개할 때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동부(182)는 상기 접이식 도어(123)에 고정되어 접거나 전개시 상기 마그네틱 레일(181)을 따라 직선 운동으로 이동하여, 접이식 도어(123)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의 충격에도 출입 통제부(120)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출입 통제 게이트를 구현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동부를 통해 접이식 도어를 연결하여 출입통제 게이트의 길이는 도 7과 같이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문형 접이식 도어를 이용하여 게이트의 출입 통제를 구현함으로써, 이용자 보호 구간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도어 동작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지지체 없이 단문형 폴딩 도어로 출입구의 출입통제 게이트를 구현함으로써, 기존 양문형 도어로 이루어진 출입 통제 게이트에서 발생하는 게이트 몸체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을 개선하고, 게이트의 장애 빈도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딩 도어를 이루는 차단막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게이트 폭에 적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이용자 보호 구간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공간 활용도도 높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11, 112: 제1 및 제2 벽체
120: 출입 통제부
121, 122: 제1 및 제2 차단막
123: 접이식 도어
123, 124: 제1 및 제2프레임
126: 고정부
130: 구동 수단
131: 모터 풀리
132: 컨트롤러
140: 연동부
141: 회전력 전달수단
142: 기어군
150: 물체 감지 센서
170: 신분 확인기
181: 마그네틱 레일
182: 이동부

Claims (8)

  1. 출입구에 설치되며, 단일의 구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차단막으로 구성되는 접이식 도어를 연동시켜 회전하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 통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접이식 도어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접거나 전개하여 출입을 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 및 제2 차단막의 높이는 동일하고, 상기 구동 수단에 의해 직접 회전되는 제1 차단막의 폭은 상기 제2 차단막의 폭보다 좁거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3. 청구항 1에서, 상기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제1 차단막을 지지하는 제1프레임;
    상기 제2 차단막을 지지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연동시키는 연동부; 및
    상기 제1프레임을 지지력으로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1프레임에는 상기 구동 수단이 내장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모터와 감속기를 포함하는 모터 풀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차단막 및 제2 차단막의 임의 위치 또는 제1 및 제2 벽체 또는 신분 확인장치가 설치된 프레임에 구비되어, 장애물 또는 인체를 감지하는 물체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물체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 감지 신호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수단의 모터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거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6. 청구항 3에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구동 수단의 모터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수단; 및
    상기 회전력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된 회전력으로 상기 제2 차단막을 접거나 전개하는 기어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7. 청구항 1에서, 상기 출입 통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차단막의 폭을 조절하여, 이용자 보호 구간 및 접이식 도어의 회전 공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이식 도어를 접거나 전개할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마그네틱 레일;
    상기 접이식 도어에 고정되어 접거나 전개시 상기 마그네틱 레일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면서 이동하고 접이식 도어의 지지력을 향상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KR1020210182092A 2021-12-17 2021-12-17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Active KR102733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92A KR102733680B1 (ko) 2021-12-17 2021-12-17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92A KR102733680B1 (ko) 2021-12-17 2021-12-17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575A true KR20230092575A (ko) 2023-06-26
KR102733680B1 KR102733680B1 (ko) 2024-11-25

Family

ID=8694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092A Active KR102733680B1 (ko) 2021-12-17 2021-12-17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3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81502A (zh) * 2024-07-12 2024-08-13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一种伸缩电动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95B1 (ko) * 2009-06-10 2009-12-29 김광희 자동 접철방식의 대형 대문
KR101880995B1 (ko) * 2016-09-23 2018-07-24 주식회사 씨쓰리 접이식 스윙도어
KR101948475B1 (ko) 2018-06-01 2019-02-14 염승호 보안성이 강화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KR102010428B1 (ko) 2019-02-14 2019-08-14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209673B1 (ko) * 2020-05-15 2021-01-29 선안이엔지(주)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95B1 (ko) * 2009-06-10 2009-12-29 김광희 자동 접철방식의 대형 대문
KR101880995B1 (ko) * 2016-09-23 2018-07-24 주식회사 씨쓰리 접이식 스윙도어
KR101948475B1 (ko) 2018-06-01 2019-02-14 염승호 보안성이 강화된 출입통제용 게이트 장치
KR102010428B1 (ko) 2019-02-14 2019-08-14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스피드 게이트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KR102209673B1 (ko) * 2020-05-15 2021-01-29 선안이엔지(주)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접이식 자동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481502A (zh) * 2024-07-12 2024-08-13 中建三局集团华南有限公司 一种伸缩电动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3680B1 (ko) 202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48498A1 (en) Multi-chamber passageway for secure entry and exit
EP2973439B1 (en) Adaptive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US10043325B2 (en)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JP2001504560A (ja) 通行誘導門
JP2009294053A (ja) 自動ドア用安全装置
KR20230092575A (ko) 접이식 도어를 이용한 출입통제 게이트 장치
US11326387B2 (en) Automatic access control devices and clusters thereof
US11142948B2 (en) Access control apparatus
AU2020318390A1 (en) Passage control device
JP5319625B2 (ja) 訪問者誘導システム
EP0914539A1 (en) Filtering gate for the protection of a site, with linear parallel motion of the leaves of the doors
KR102194334B1 (ko)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생체정보 인식 출입 통제 장치
KR102510997B1 (ko) 지하철 게이트의 스윙도어 시스템
JP5226338B2 (ja) ゲート装置
KR200184755Y1 (ko) 출입 통제용 스윙 게이트
WO2014126868A1 (en) High traffic flow robotic entrance portal for secure access
KR200346767Y1 (ko) 개폐장치를 구비한 정문
KR102046460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 도어
JP7369025B2 (ja) 検知装置
KR101985389B1 (ko) 출입 통제 장치
JP6649784B2 (ja) 昇降機及び警備システム
KR101920232B1 (ko) 하부형 레일을 통해 슬라이딩 작동하는 전동 도어
KR101349317B1 (ko) 게이트 장치
KR102441266B1 (ko) 양방향 통행 게이트
JP7386068B2 (ja) センサ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