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668A -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88668A KR20230088668A KR1020230075890A KR20230075890A KR20230088668A KR 20230088668 A KR20230088668 A KR 20230088668A KR 1020230075890 A KR1020230075890 A KR 1020230075890A KR 20230075890 A KR20230075890 A KR 20230075890A KR 20230088668 A KR20230088668 A KR 202300886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bio
- data
- remote
- counse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1953 bioanalysi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9223 counse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6387 respiratory rat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21 facial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8000036864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5802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6010041349 Somnol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877 cognitiv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95 express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8173 post-traumatic stres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901 Anxiet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976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2239 Development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06 anx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9 cogn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24 eye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사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에게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진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환자의 환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바이오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환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에서 촬영한 영상 및 상기 의사 단말의 입력에 따른 상담 콘텐츠를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 상기 환자 영상 및 상기 상담 콘텐츠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상담자와 상담자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진료(Telemedicine)란, 상호작용하는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원거리에 의료정보와 의료 서비스를 전달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된다.
자세히, 원격 진료는, 환자나 정보가 먼 거리에 떨어져 있거나 시간적으로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하여 도달할 수 없는 경우, 의료 정보나 전문적인 조언(전문가의 상담 등)을 원격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진료는, 환자 진료뿐만 아니라 의료행정, 의학교육, 자문과 의뢰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즉, 컴퓨터 및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건강관련 영상이나 환자기록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의료 서비스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보편적인 응용범위를 살펴보면 가장 일반적이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재택진료, 원격 화상상담, 원격 의료영상저장전송 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원격 영상진단 및/또는 가상병원 등이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원격 진료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발달장애, 우울증 또는 인지장애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와 같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한 환자들의 진료 수행 시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본 기술 분야에서는, 원격의 환자와 특정한 데이터(예를 들면, 환자 검진결과 자료 등)를 주고받으며 원격 진료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또는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에 대하여 단발적으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기초로 해당 환자에 대한 건강상태를 분석하여 주는 등의 단순화된 원격 진료 방식에 국한되어 원격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즉, 종래의 본 기술 분야에서는, 단발적으로 획득되는 환자의 건강관련 생체 데이터만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환자의 상태(예컨대,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동안에 걸친 지속적인 환자의 생체신호 상태 등)를 효과적으로 파악하며 원격 진료를 진행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본 기술 분야에서는, 일반적으로 원격 진료를 수행하기 이전이나 시작하는 시점에서 환자의 진료에 필요한 건강관련 생체 데이터를 미리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환자의 진료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으로 해당 환자의 건강관련 상태를 파악하며 그에 적합한 방향으로 진료를 진행할 수 있는 기술 또한 미비한 상황이다.
그리하여 해당하는 원격 진료를 수행하고 있는 환자에 대한 건강관련 생체 데이터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관찰함과 동시에 해당 원격 진료를 보조하는 정보로서 활용하여 원격 진료의 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신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생체신호 모니터링 디바이스(Bio-signal monitoring device)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서, 사용자(예컨대, 환자)에 대한 생체신호(예컨대,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땀 분비도, 가속도, LF(Low frequency) 및/또는 HF(High frequency) 등)를 저비용/고효율로 획득할 수 있는 패치(patch) 형태의 센싱 디바이스가 도입되어 각종 의료관련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피상담자(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의사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에게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진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환자의 환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바이오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환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에서 촬영한 영상 및 상기 의사 단말의 입력에 따른 상담 콘텐츠를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 상기 환자 영상 및 상기 상담 콘텐츠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피상담자(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원격 상담을 수행하는 동안의 상기 피상담자의 건강관련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원격 진료를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원격 상담에 따른 피상담자의 반응이나 상태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상기 원격 상담을 진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피상담자와 상담자 간의 제 1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실시간 모니터링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추후 해당 피상담자에 대한 제 2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활용하게 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할수록 해당 피상담자에게 보다 적합한 방식의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구축해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실시예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에 탈부착 가능한 패치(patch) 형태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실시예에서, 바이오 패치(Bio-patcth))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고가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비용/고효율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되는 피상담자의 생체정보에서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생체신호 감지 등)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중인 피상담자의 상태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특수 상황이 발생할 시 이를 해당하는 상담자가 놓치지 않고 캐치하여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패치(Bio-patch)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상담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의 감정정보에 기반한 기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복수의 피상담자와 수행할 시 원격상담 화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 맞춤형 상담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패치(Bio-patch)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상담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의 감정정보에 기반한 기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복수의 피상담자와 수행할 시 원격상담 화면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 맞춤형 상담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피상담자(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바이오 패치(100), 단말(200) 및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오 패치(100), 단말(200) 및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상기 바이오 패치(100), 단말(200) 및/또는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현하는 바이오 패치(100), 단말(200) 및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바이오 패치(100: Bio-patch)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패치(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패치(100)란,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땀 분비도, 가속도, LF(Low frequency), HF(High frequency), 체온, 호흡수 및/또는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등의 건강관련 생체신호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만성질환이나 건강 등을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탈부착형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 패치(100)는, 일면에 신체와 접착 가능한 접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바이오 패치(100)를 사용하여 원격 상담을 수행하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고가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비용/고효율로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오 패치(100)는, 패치형 센서(실시예로, 패치형 심전도 전위센서 및/또는 패치형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바이오 패치(1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땀 분비도, 가속도, 심박수의 주기적 변화에 대한 각각의 진동을 각 주파수 영역의 파워 스펙트럼 밀도에서 저주파 영역의 LF(Low frequency), 고주파 영역의 HF(High frequency), 체온, 호흡수 및/또는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등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오 패치(10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피상담자 단말(200) 등)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이러한 바이오 패치(100)는, 페이퍼 배터리(110), 페이퍼 컴퓨팅 장치(120) 및 페이퍼 센서(130)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퍼 배터리(110)란, 기존 배터리의 형태에서 탈피하여 종이처럼 얇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진 전지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퍼 배터리(110)는, 후술되는 페이퍼 컴퓨팅 장치(120)가 포함하는 프로세서(122)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페이퍼 배터리(110)는, 상기 형태적 특성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예컨대, 약 2시간)동안 상기 바이오 패치(100)가 포함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와 같은 페이퍼 배터리(110)는, 전원저장부 및/또는 전원공급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퍼 컴퓨팅 장치(120)란, 종이처럼 얇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의 컴퓨팅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위와 같은 페이퍼 컴퓨팅 장치(120)는, 외부의 장치(예컨대, 피상담자 단말(200) 등)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121)과,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122)들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3)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퍼 센서(130)란, 종이처럼 얇고 쉽게 구부러질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페이퍼 센서(130)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센서, 땀 분비 측정센서, 가속도 센서, LF (Low frequency) 센서, HF(High frequency) 센서, 체온 측정센서, 호흡 측정센서 및/또는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바이오 패치(100)는, 포함하는 센서 또는/및 부착부위가 서로 다른 복수의 바이오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바이오 패치(100)는 하나의 단말(200)에 동시에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바이오 패치는 블루투스 통신만 가능한 제 1 프로세서를 통해 단말(200)과 연결되고, 제 2 바이오 패치는 wifi 통신만 가능한 제 2 프로세서를 통해 단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바이오 패치(100)는, 심장 관련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제 1 바이오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바이오 패치는,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센서를 포함하고, 땀 분비 측정센서, 가속도 센서, LF (Low frequency) 센서, HF(High frequency) 센서, 체온 측정센서, 호흡 측정센서 및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바이오 패치는, 사용자의 심장 부위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바이오 패치(100)는, 뇌 관련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제 2 바이오 패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제 2 바이오 패치는, 뇌파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뇌파 측정 센서는,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뇌파는, 주파수에 따라 델타, 베타, 감마, 알파 또는 SMR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바이오 패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채널에서 측정된 신호 값을 분석하여 결정되어,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 2 바이오 패치를 사용자에게 부착하여 복수의 신호를 얻어 뇌파를 측정하거나, 하나의 제 2 바이오 패치에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두개 이상의 채널의 접착면을 포함하여 복수의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바이오 패치의 접착면은, 식염수 또는 뇌파측정용 젤을 바르면 접착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가상현실을 출력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거나, 증강현실을 출력하는 스마트 글라스이거나, 사용자의 머리 주변에 전자 뇌파 센서를 인접하도록 머리에 착용하는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러한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머리에 착용시 머리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뇌파 측정 전극(EEG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뇌파 측정 전극은 EEG(brain wave) 원시 파형 데이터를 센싱하여,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EEG 스펙트럼 등을 더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피상담자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본 실시예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동하여, 해당하는 피상담자에 대한 안면 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단말(200) 상에 설치되어 동작할 수도 있고, 상기 단말(200)과는 별도로 외부의 컴퓨팅 장치에 포함되어 상기 단말(200)과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동작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단말(200)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 주변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이미지 및/또는 영상을 캡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피상담자에 대한 피상담자 영상을 촬영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컴퓨팅 장치의 전면 또는/및 후면에 배치되어 배치된 방향측을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며, 해당하는 컴퓨팅 장치의 외부를 향해 배치된 카메라를 통해 물리적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장치와 영상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상기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장치(예를 들면, CMOS 또는 CCD)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는, 영상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이미지 센서장치를 통해 획득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가공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어셈블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는, 가시광선 대역을 촬영하는 일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외선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등의 특수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본 실시예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피상담자에 대한 안면 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피상담자의 눈동자 떨림, 시선 방향 및/또는 표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센서를 통하여 획득된 정보들을 기초로 해당하는 피상담자에 대한 집중도, 산만도 및/또는 졸림정도 등에 대한 측정값을 추정 및 획득할 수 있다.
-
단말(200: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은, 상기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 및 피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담자 및 피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 주체를 구분하여 서로 다른 기능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상담자 및 피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단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실시예로, 피상담자(즉, 실시예에서 환자) 또는 상담자(즉, 실시예에서 의사))의 계정에 따라서 서로 다른 권한을 부여하고 기능동작하는 점을 구별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200)은, 환자를 진료하는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가 사용하는 병원 단말(200-1)과, 상기 환자가 사용하는 환자 단말(200-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병원 단말(200-1)에는 상기 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환자 단말(200-2)에는 상기 피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병원 단말(200-1) 및 환자 단말(200-2)은, 실시예에서 사용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요소나 기능 동작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하드웨어적 관점에서 단말(200)은,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2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2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201)는,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201)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디지털방송용 단말(200)이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202)는,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고정형 데스크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원격 상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적 관점에서 단말(200)은, 외부의 장치(예컨대, 바이오 패치(100) 및/또는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 등)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과,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Memory)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2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2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메모리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단말(200)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Processor)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단말(2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단말(200)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 Remote consultation support serv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단말(200)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모바일 타입 컴퓨팅 장치(201) 및/또는 데스크탑 타입 컴퓨팅 장치(202) 등)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생체신호 데이터, 생체분석 데이터, 생체 모니터링 정보, 피상담자 영상, 상담 콘텐츠, 이벤트 정보, 감정(emotion)정보,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 및/또는 원격상담 피드백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가 외부의 장치에서 원격 상담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원격 상담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단말(2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모듈과, 원격 상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Memory)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병원 단말(200-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상담자용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하,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피상담자(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병원 단말(200-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병원 단말(200-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는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피상담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피상담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상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행된 원격 상담 프로그램에 기반한 상담방을 개설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담방이란, 원격의 단말(200)들(실시예에서, 병원 단말(200-1)과 환자 단말(200-2))을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영상과 음성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단말(200)의 사용자들(실시예에서, 의사와 환자)이 서로의 모습을 확인하며 의사소통을 진행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개설된 상담방을 통하여 해당하는 피상담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환자(즉, 피상담자)와 상기 병원 단말(200-1)을 사용하는 의사(즉, 상담자) 간의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바이오 패치(100: Bio-patch)와 연동하여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란, 바이오 패치(100)를 이용하여 획득되는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건강관련 생체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생체 모니터링 정보는, 생체신호 데이터와 생체분석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 단말(200)을 사용하는 피상담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되어 동작하는 바이오 패치(100)와 연동하여, 상기 피상담자에 대하여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란, 바이오 패치(100)를 통하여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건강관련 생체신호를 측정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전도(ECG: electrocardiogram), 땀 분비도, 가속도, LF(Low frequency), HF(High frequency), 체온, 호흡수 및/또는 맥파(PPG: Photoplethysmogram) 등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오 패치(100)는, 상기 상담방을 통한 원격 상담이 진행됨에 따른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이오 패치(10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피상담자 단말(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오 패치(100)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피상담자 단말(200)은,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한 원격상담 지원 서버(300)는,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상기 병원 단말(200-1)의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으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의 신체 일부에 부착된 상기 바이오 패치(100)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은 경로를 통하여 상기 바이오 패치(10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획득한다고 설명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바이오 패치(100)로부터 직접적으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여기서,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란,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건강관련 분석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생체신호 분석 알고리즘 등)에 따라서 분석하여, 상기 피상담자에 대한 심박수(HR: Heart Rate), 심박 변이도(HRV: Heart Rate Variability), 스트레스 지수(SS: Stress Scale), 호흡수(RR: Respiratory Rate), 운동량(Momentum), 혈압 및/또는 졸음정도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건강관련 분석정보를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 내 LF 및 HF 측정 데이터에 기반한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환자에 대한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 데이터를 상기 제 1 환자의 생체분석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생체신호 데이터와 생체분석 데이터를 통합하여 생체 모니터링 정보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니터링 정보는, 상술된 바이오 패치(100)를 통하여 사용자(여기서, 환자)의 건강관련 생체신호를 측정한 데이터인 생체신호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획득되는 사용자 건강관련 분석정보인 생체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피상담자(실시예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 상에 부착되어 상기 피상담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바이오 패치(100)를 이용하여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는 상기 피상담자에 대한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함으로써, 고가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비용/고효율로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원격상담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S10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상담 화면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설된 상담방에 기반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즉, 피상담자(1))와 상기 의사(즉, 상담자) 간에 진행되는 원격 상담에 따른 원격상담 화면(10)을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이란, 상기 피상담자(1)와 상담자 간에 진행되는 원격 상담에 필요한 각종 정보들을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은, 피상담자 영상(11), 상담 콘텐츠(12),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및/또는 이벤트 정보(1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기초로 상기 피상담자 영상(11)을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상담자 영상(11)이란, 상기 환자(즉, 피상담자(1))를 소정의 이미지 센서(예컨대, 상기 피상담자 단말(200)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 등)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방을 통해 원격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피상담자 단말(200)의 사용자(즉, 환자)를 촬영한 영상인 피상담자 영상(11)을, 상기 피상담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피상담자 영상(11)을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으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기초로 상기 상담 콘텐츠(12)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상담 콘텐츠(12)란, 상기 환자와 원격 상담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소정의 디지털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담 콘텐츠(12)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발달장애, 우울증, 인지장애 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와의 원격 상담 시, 상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에 따른 맞춤형의 원격 상담을 보조할 수 있는 기생성된 동영상 콘텐츠, 문서 콘텐츠 및/또는 이미지 콘텐츠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 콘텐츠(12)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술된 원격 상담 서비스 상에 기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상담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제공된 상담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여기서, 의사)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통하여 출력할 상담 콘텐츠(12)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결정된 상담 콘텐츠(12)를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자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오 패치(100)로부터 획득된 생체신호 데이터(13-1)를 그대로 그래픽 이미지화(예컨대, 소정의 그래프화)하여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13-1) 내 LF(Low frequency) 및 HF(High frequency) 측정 데이터를 소정의 그래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신된 생체신호 데이터(13-1)를 분석하여 획득된 생체분석 데이터(13-2)를 그래픽 이미지화(예컨대, 소정의 그래프화)하여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13-1) 내 LF(Low frequency) 및 HF(High frequency) 측정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체분석 데이터(13-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체분석 데이터(13-2)를 소정의 그래프에 기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실시간 획득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원격 상담을 수행하는 동안의 상기 피상담자(1)의 건강관련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원격 진료를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원격 상담에 따른 피상담자(1)의 반응이나 상태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상기 원격 상담을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에 기반한 기능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 영상(11)에 기반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여, 해당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에 대한 표정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행된 표정분석 프로세스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emotion)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상담자 영상(11) 내 상기 피상담자(1)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감정정보(예컨대, 즐거움, 불안, 기쁨, 초조, 행복, 두려움 및/또는 당황 등)를 획득하는 상기 이미지 처리에 대한 알고리즘 자체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획득된 감정정보를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더 포함시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감정정보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소정의 표식(예컨대, 복수의 표정별 이모티콘 중 어느 하나를 강조표시하는 표식(15) 등)을 기반으로 상기 감정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의 표정에 따른 감정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해당하는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더 포함하여 제공함으로써, 상술된 생체신호 데이터(13-1) 및/또는 생체분석 데이터(13-2)를 보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의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6을 더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와 불일치하는 경우,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대한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16)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 영상(11)에 기초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획득된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와, 상기 바이오 패치(100)에 기반한 센싱을 통해 획득된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상호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가 '즐거움'이고,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으로 낮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감정정보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상호 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가 '즐거움'이고,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우, 상기 감정정보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상호 불일치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와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상호 불일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적어도 일 항목에 대한 데이터값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16)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공된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16)에 대한 사용자(실시예에서, 의사(즉, 상담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대한 수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의 감정정보가 '즐거움'이고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서, 상기 감정정보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상호 불일치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예컨대, 상기 스트레스 지수(SS) 항목 등)에 대한 데이터값을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16)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공된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16)를 이용한 사용자(실시예에서, 의사(즉, 상담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예컨대, 상기 스트레스 지수(SS) 항목 등)에 대한 데이터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피상담자(1)의 전반적인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는 상담자(즉, 의사)의 인지적인 판단까지 고려하여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구축함으로써, 그 신뢰성과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피상담자(1)의 복수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바이오 패치를 통해 심장 관련 제 1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하고, 제 2 바이오 패치 또는 헤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뇌 관련 제 2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제 2 바이오 패치를 통해 뇌 관련 생체신호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생체신호 데이터와 제 2 생체신호 데이터를 각각 분석하여 제 1 및 제 2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 1 생체신호 데이터와 제 2 생체신호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제 3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생체신호 데이터에서 LF와 HF 측정 데이터와, 제 2 생체신호 데이터의 뇌파 측정 데이터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SS)를 각각 산출하고 각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SS)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통합한 종합 스트레스 지수(SS)를 제 3 생체분석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생체신호 데이터와 제 2 생체신호 데이터에서 공통적으로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소정의 값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 피상담자(1)의 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와 비교하거나 사람의 평균 생체신호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잘못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결정하고, 해당 생체신호 데이터를 측정한 바이오 패치(100)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검출된 바이오 패치(100)를 다시 탈부착하도록 안내하거나, 해당 바이오 패치(100)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오차값에 기초하여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바이오 패치의 페이퍼 배터리(130) 상황에 따라서 바이오 패치(100)가 측정하는 생체신호 데이터의 종류를 제어할 수 있다.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생체신호 데이터와 제 2 생체신호 데이터에서 공통적으로 측정한 데이터가 있으면, 둘 중 하나의 바이오 패치(100)에 대해 공통적으로 측정하는 데이터에 대한 센싱을 정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각 바이오 패치(100)가 부착된 부위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더 정확하게 측정되는 제 1 측정 데이터를 결정하고, 해당 부위에 바이오 패치(100)에서 제 1 측정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하고, 다른 바이오 패치(100)에서는 제 1 측정 데이터의 측정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바이오 패치에서 전달되는 통신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값 이하이거나, 피상담자(1)의 기 저장된 생체신호 데이터와 전달되는 생체신호 데이터가 소정의 값 이상 오차가 발생한다면, 상기 바이오 패치(100)의 페이퍼 배터리(130)가 소진된 것으로 판단하고, 추가로 바이오 패치(100)를 부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바이오 패치 이후에 제 3 바이오 패치가 부착되어 제 3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1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제공되던 생체 모니터링 정보를 제 3 생체신호 데이터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정보(14)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기초로 상기 수신된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따른 이벤트 정보(14)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벤트 정보(14)란,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데이터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등의 이례적인 이벤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검출된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제공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서 특정 이벤트(예컨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스트레스 지수(SS)에 대한 데이터값의 급격한 상승 등)가 발생하면,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알림을 소정의 방식에 따라서 제공하는 이벤트 정보(14)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체 모니터링 정보(13)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목(실시예에서,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13-1) 내 심전도(ECG), 땀 분비도, 가속도, LF, HF, 체온, 호흡수 및/또는 맥파(PPG) 등의 항목 및/또는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13-2) 내 심박수(HR), 심박 변이도(HRV), 스트레스 지수(SS), 호흡수(RR), 운동량(Momentum), 혈압 및/또는 졸음정도 등의 항목)별 데이터값이, 기설정된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등의 이상값을 가지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니터링 과정에서 상기 이상값이 검출되면(즉,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검출된 이상값에 대한 이벤트 정보(14)를 소정의 방식(예컨대, 오디오 알람 및/또는 상기 이상값 관련정보(예컨대, 상기 이상값을 가지는 항목에 대한 항목명, 그래프 및/또는 이상값 검출위치 등)를 나타내는 팝업창 등)에 따라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이벤트 정보(14)를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되는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서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생체신호 감지 등)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중인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의 상태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특수 상황이 발생할 시 이를 해당하는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가 놓치지 않고 캐치하여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복수의 피상담자(1)와 수행할 시 원격상담 화면(10)의 일례이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피상담자(1-1, 1-2, 1-3, …: 1)에 대한 원격 상담을 진행할 수도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피상담자 단말(200)과 연동하여 상담방을 개설할 수 있다.
또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개설된 상담방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와의 원격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각각에 대한 개별 피상담자 영상(11-1, 11-2, 11-3, …: 11)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각각에 대한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1, 13-2, 13-3, …: 13)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개별 피상담자 영상(11)과 상기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상기 개설된 상담방의 인터페이스에 기초한 원격상담 화면(10)으로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더하여,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각각에 대한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종합 분석하여 획득되는 정보인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각각의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기반으로 소정의 기준(예컨대, 상기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항목별 등)에 따른 통계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산출된 통계값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를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을 통해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스트레스 지수(SS)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SS) 평균값을 포함하는 상기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를 상기 원격상담 화면(10)으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피상담자(1)와의 원격 상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일한 카테고리의 질환을 가지는 환자 등과 같이 소정의 그룹을 이루는 환자들을 해당 그룹 단위로 관리하고 치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에 대한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통합 및 가공하여 분석해 제공함으로써, 추후 상기 그룹 단위로 명확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진행 중인 원격 상담의 방식이 적절하였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그룹 내 일부 피상담자(1)에게 치우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에게 전반적으로 유용한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해당하는 피상담자(1)에 대한 원격상담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1 원격 상담의 종료는,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중 소정의 제 1 상담 콘텐츠(12)가 종료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가 모두 종료되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에 기반한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와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 간의 제 1 원격 상담이 종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원격상담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피드백 정보란, 상기 제 1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적합도를 소정의 지표에 따라서 산출하여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지표는, 상기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상기 제 1 원격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획득된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 모니터링 정보(13)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원격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서 획득되는 실시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 내 각 항목별 데이터값을 누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누적된 각 항목별 데이터값에 기반한 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원격 상담이 진행되는 동안 누적된 상기 각 항목별 데이터값을 이용하여 소정의 기준에 따른 통계값을 산출하는 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1 원격 상담이 진행됨에 따라서 누적된 스트레스 지수(SS) 데이터값을 소정의 시간단위를 기준으로 평균화한 통계값을 산출하는 분석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수행된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를 토대로 상기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에 대한 데이터값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기준(예컨대, 후술되는 지표별 데이터값-통계값 매칭 테이블표 등)에 따라서 상기 분석 프로세스의 결과에 기반한 상기 지표별 데이터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지표별 데이터값(예컨대, 소정의 수치로 표시되는 점수 데이터값 및/또는 낮음-보통-높음 등과 같이 소정의 범위로 표시되는 데이터값 등)을 부여할 시 사용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지표별 데이터값-통계값 매칭 테이블표를 상기 소정의 기준으로 하여, 상기 각 지표별 데이터값을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에 대한 각 데이터값-통계값 매칭 테이블표에 기반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획득된 평균 스트레스 지수(SS) 통계값에 매칭되는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의 데이터값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데이터값을 상기 관심도 지표의 데이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획득된 피상담자(1)의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 데이터값을 기초로,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가 상기 피상담자(1)에게 얼마나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적합 정도를 나타내는 적합도 지수를 상기 지표별 데이터값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예컨대, 소정의 수치 이하/이상 등)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설정된 적합도 지수를 기초로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원격 상담이 종료된 이후 획득된 관심도 지표, 흥미 지표 및 집중도 지표가 소정의 수치 이상(즉, 높음)이고, 피로지수 지표가 소정의 수치 이하(즉, 낮음)이면, 해당 지표값들을 도출한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적합도 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원격 상담이 종료된 이후 획득된 관심도 지표, 흥미 지표 및 집중도 지표가 소정의 수치 이하(즉, 낮음)이고, 피로지수 지표가 소정의 수치 이상(즉, 높음)이면, 해당 지표값들을 도출한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적합도 지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예시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증가 또는 감소된 적합도 지수를 반영하여 상기 제 1 원격 상담 시 사용된 소정의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피상담자 영상(11)에 기반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자세히,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 콘텐츠(12)를 이용한 제 1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 영상(11) 내 상기 피상담자(1)의 동공 확대/축소, 눈동자의 좌우 떨림, 눈동자의 상하좌우 움직임 정보 및/또는 시선방향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집중도 정보를 소정의 이미지 분석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상담자 영상(11)에 기반하여 상기 피상담자(1)의 집중도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이미지 분석에 대한 알고리즘 자체를 제한하거나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집중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1)의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집중도가 높을수록 상기 상담 콘텐츠(12)가 상기 피상담자(1)에게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원격 상담에서 사용된 상담 콘텐츠(12)에 대한 피상담자(1)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추후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원격 상담을 재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1)에게 보다 최적화된 상담 콘텐츠(12)를 이용하여 진료를 수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복수의 환자)에 대한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각각에 대한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를 기초로 상기 피드백 정보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에 대한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개별 생체 모니터링 정보(13)들을 종합 분석한 통합 생체 모니터링 정보(17)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 전체에 대한 통합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실시예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가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대하여 가지는 관심도, 흥미, 집중도 및/또는 피로지수 지표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지표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가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각각에 적합한지를 나타내는 통합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피상담자(1)와의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상기 제 1 원격 상담에 사용된 상담 콘텐츠(12)가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에게 얼마나 적합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를 포함하는 피상담자(1) 그룹별로 적합한 상담 콘텐츠(12)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부 피상담자(1)에게 치우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피상담자(1)들 전반에게 유용한 상담 콘텐츠(12)를 활용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생성된 원격상담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피상담자(1)와의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종료된 이후,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제 2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수행될 시,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로부터 획득된 원격상담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 2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 2 원격 상담은,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중 소정의 제 1 상담 콘텐츠(12)가 종료된 이후 소정의 제 2 상담 콘텐츠(12)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원격 상담이거나, 또는 상기 제 1 원격 상담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가 모두 종료된 이후 새롭게 수행되는 원격 상담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맞춤형 상담 콘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상담자(1)와의 적합도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수치값 이상 등)을 충족한다고 판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를,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맞춤형 상담 콘텐츠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결정된 맞춤형 상담 콘텐츠를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한 제 2 원격 상담 프로세스의 수행 시 추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상담자(1) 맞춤형 상담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습의 일례이다.
실시예로, 도 9를 참조하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 2 원격 상담 프로세스에서 상기 원격 상담 서비스 상에 기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담 콘텐츠(12)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상담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20)를 제공할 시, 상기 맞춤형 상담 콘텐츠에 대한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20)를 제공할 시 상기 맞춤형 상담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명 및/또는 관련 적합도 수치(예컨대, 소정의 별점기호를 기반으로 적합도 수치 표시(21) 등) 등을 표시하는 팝업창 형태로 상기 맞춤형 상담 콘텐츠에 대한 추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상담 콘텐츠 선택 인터페이스(20)를 제공할 시 상기 맞춤형 상담 콘텐츠에 대한 콘텐츠명 및/또는 관련 적합도 수치 등을 소정의 리스트(list) 형태로 표시하는 추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격상담 애플리케이션은, 제 1 원격 상담에 따른 피드백 정보를 기초로 피상담자(1)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된 상담 콘텐츠(12)를 추후 상기 피상담자(1)에 대하여 수행되는 제 2 원격 상담 시 활용하게 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할수록 해당 피상담자(1) 맞춤형 방식의 원격 상담 프로세스가 진행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피상담자(1)(실시예에서, 환자)와 상담자(실시예에서, 의사) 간의 원격 진료를 수행할 시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정보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제공함으로써, 상기 원격 상담을 수행하는 동안의 상기 피상담자(1)의 건강관련 상태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원격 진료를 수행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원격 상담에 따른 피상담자(1)의 반응이나 상태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상기 원격 상담을 진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피상담자(1)와 상담자 간의 제 1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실시간 모니터링한 상기 피상담자(1)의 생체정보를 추후 해당 피상담자(1)에 대한 제 2 원격 상담을 수행할 시 활용하게 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할수록 해당 피상담자(1)에게 보다 적합한 방식의 원격 상담 프로세스를 구축해나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실시예에서, 환자)의 신체 일부에 탈부착 가능한 패치(patch) 형태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실시예에서, 바이오 패치(100))를 사용하여 상기 원격 진료를 수행하는 환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함으로써, 고가의 생체신호 센싱 디바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원격 상담을 진행하는 환자의 생체 데이터를 저비용/고효율로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실시간 모니터링되는 피상담자(1)의 생체정보에서 소정의 이벤트(예컨대,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생체신호 감지 등)가 발생하면 이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원격 상담을 진행중인 피상담자(1)의 상태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는 특수 상황이 발생할 시 이를 해당하는 상담자가 놓치지 않고 캐치하여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 의사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에게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진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환자의 환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바이오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환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에서 촬영한 영상 및 상기 의사 단말의 입력에 따른 상담 콘텐츠를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 상기 환자 영상 및 상기 상담 콘텐츠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바이오 센서가 상기 환자의 제1 위치에서 측정한 제1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바이오 센서가 상기 환자의 제2 위치에서 측정한 제2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제2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제1 건강지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1 건강지표 지수와, 상기 제1 건강지표 지수와 매칭된 상기 제1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제2 생체신호 데이터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 영상을 추가 기초 데이터로 하여 상기 제1 건강지표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제1 건강지표 지수를 누적하는 단계와, 상기 누적된 제1 건강지표 지수를 기초로 상기 제1 건강지표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 대한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사로부터 상기 제1 건강지표 지수에 대한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한 사용자 수정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1 건강지표 지수 산출 데이터값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진료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상기 원격진료 서비스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의 적합도를 소정의 지표에 따라서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상담자의 적합도를 소정의 지표에 따라서 나타내는 피드백 정보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상담 콘텐츠에 대한 상기 피상담자의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 의사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가 실행하는 원격진료 애플리케이션이 환자 단말에게 원격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원격진료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상기 환자의 환자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바이오 센서에서 각각 감지한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환자 단말로부터 상기 환자를 촬영한 환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의사 단말의 입력에 따른 상담 콘텐츠를 상기 환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신호 데이터 및 상기 생체분석 데이터를 포함하는 생체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환자 영상 및 상기 상담 콘텐츠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5890A KR20230088668A (ko) | 2021-02-17 | 2023-06-14 |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1213A KR102545129B1 (ko) | 2021-02-17 | 2021-02-17 |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20230075890A KR20230088668A (ko) | 2021-02-17 | 2023-06-14 |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1213A Division KR102545129B1 (ko) | 2021-02-17 | 2021-02-17 |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8668A true KR20230088668A (ko) | 2023-06-20 |
Family
ID=829314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1213A KR102545129B1 (ko) | 2021-02-17 | 2021-02-17 |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KR1020230075890A KR20230088668A (ko) | 2021-02-17 | 2023-06-14 |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1213A KR102545129B1 (ko) | 2021-02-17 | 2021-02-17 | 원격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45129B1 (ko) |
WO (1) | WO2022177255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6025B1 (ko) * | 2023-12-13 | 2024-03-12 |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 메타버스 상담환경에서 내담자의 피드백정보 모니터링를 위한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6158B1 (ko) | 2002-07-12 | 2002-12-31 | (주)디지털컴닥터 |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4054A (ko) * | 2004-11-11 | 2006-05-16 | 주식회사 팬택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시스템 |
KR20140037325A (ko) * | 2012-09-17 | 2014-03-27 |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체신호 측정기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한 심전도 데이터 기반의 원격진료 시스템 및 방법 |
KR20150031173A (ko) * | 2013-09-13 | 2015-03-23 | 유선용 | 원격의료지원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KR20170001106A (ko) * | 2015-06-25 | 2017-01-0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얼굴 영상 기반의 정신건강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KR20180099403A (ko) * | 2017-02-28 | 2018-09-05 | 주식회사 에임메드 | 온라인 심리상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상담 방법 |
KR20180105284A (ko) * | 2017-03-14 | 2018-09-28 | 주식회사 사람과기술 | 원격 진료 방법 |
KR20180136357A (ko) * | 2017-06-14 | 2018-12-24 | 주식회사 지엠에스 | 원격 진료시스템 |
JP2019139477A (ja) * | 2018-02-09 | 2019-08-22 |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処理方法、及び生体情報処理プログラム |
-
2021
- 2021-02-17 KR KR1020210021213A patent/KR1025451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2-15 WO PCT/KR2022/002194 patent/WO2022177255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6-14 KR KR1020230075890A patent/KR2023008866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6158B1 (ko) | 2002-07-12 | 2002-12-31 | (주)디지털컴닥터 | 자가검진장치와 이를 이용한 원격진단 시스템 및 진단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77255A3 (ko) | 2022-10-13 |
KR20220117632A (ko) | 2022-08-24 |
KR102545129B1 (ko) | 2023-06-20 |
WO2022177255A2 (ko) | 2022-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57822B2 (en) | Methods and systems for arrhythmia tracking and scoring | |
KR102020598B1 (ko) | 생체신호 센서 기반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시스템 | |
Arpaia et al. | Design, implementation, and metr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 wearable, integrated AR-BCI hands-free system for health 4.0 monitoring | |
US11742062B1 (en) | Mobile algorithm-based vascular health evaluation processes | |
WO2020175759A1 (ko) | 생체 신호 센서 탑재 hmd 기기를 활용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분석 및 개인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
KR20200071647A (ko) |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및 생체신호에 기반한 정신질환 진단 및 치유를 위한 바이오피드백 방법 | |
Tabassum et al. | The cardiac disease predictor: IoT and ML driven healthcare system | |
CN113939794A (zh) | 医疗装置系统中的传输数据的时期的处理 | |
Ullah et al. | IHEMHA: Interactive healthcare system design with emotion computing and medical history analysis | |
KR102216899B1 (ko) |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 |
KR20230088668A (ko) | 원격진료 서비스 제공 방법 | |
Tanbeer et al. | MiVitals–Mixed Reality Interface for Vitals Monitoring: A HoloLens based prototype for healthcare practices | |
KR20190061826A (ko)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및 공황장애 치료를 위한 복합 생체 정보 검출 시스템 및 방법 | |
WO2020039428A1 (en) | Machine classification of significant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 |
Rayan et al. | Monitoring technologies for precision health | |
CN114159062A (zh) | 辅助精神状态识别装置和方法 | |
Mihailovschi et al. | Development of a portable heart rate monitoring device | |
Fu et al. | A Survey on Drowsiness Detection–Modern Applications and Methods | |
Abreu et al. | PreEpiSeizures: description and outcomes of physiological data acquisition using wearable devices during video-EEG monitoring in people with epilepsy | |
Keary et al. | How affective computing could complement and advance the quantified self | |
JP7537826B2 (ja) | Ecg信号に基づいて指標値を変換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US20230293020A1 (en) | Mobile algorithm-based vascular health evaluation processes | |
KR102216892B1 (ko) | 실시간 영상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영상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 |
US20230293019A1 (en) | Automatically generating protocols or reports based on sensor data from a mobile device | |
Lai et al. | A mobile cloud-based biofeedback platform for evaluating medication respon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