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85814A -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5814A
KR20230085814A KR1020220049882A KR20220049882A KR20230085814A KR 20230085814 A KR20230085814 A KR 20230085814A KR 1020220049882 A KR1020220049882 A KR 1020220049882A KR 20220049882 A KR20220049882 A KR 20220049882A KR 20230085814 A KR20230085814 A KR 20230085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ounting
circuit board
displa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98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05317B1 (en
Inventor
이현승
이규철
진율기
신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2/01827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106683A1/en
Priority to EP22904516.6A priority patent/EP4446491A1/en
Priority to AU2022406570A priority patent/AU2022406570A1/en
Priority to CN202280081437.5A priority patent/CN118369476A/en
Publication of KR2023008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814A/en
Priority to KR1020240120597A priority patent/KR20240135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053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face and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interface, which can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The interface comprises: an encoder having a fixed part fixed on a first circuit boar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rt, and a signal generation part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an actuator having a shaft fixed on the rotating part, a handle fixed on the shaft to receive the force required to rotate the shaft, an accommodation space provided in the handle, and a handle penetration hole penetrating one surface of the handle to connect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side; a display part having a fastening body penetrating the shaft to be fixed on the fixed part, a fixed body fixed on the fastening body and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fixed body, a display fixed in the mounting space to display information, a second circuit board controlling the display and capable of communication of a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cover fixed on the fixed body to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selection part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when the body of a user comes in contact with the cover. The selection part includes a first selection part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part receiving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a selected control command.

Description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출원은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interface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provided with the interface.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의 통칭)의 세탁, 의류의 건조,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전자기기에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장치(인터페이스, interface)가 필수적이다.An input/output device (interface) for the user to input control commands to th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lothes handling device capable of washing clothes (a general term for objects to be washed or objects to be dried), drying clothes, and washing and drying clothes. is essential

종래 인터페이스들 중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검색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사용자가 선택 가능하게 하는 선택부,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부가 서로 분리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었다(공개번호 10-2014-0023986).Among the conventional interfaces, a display unit displaying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a search unit allowing the user to search for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selection unit allowing the user to select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selection unit allowing the user to select control command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input unit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command is designed to be located in a space separated from each other (Publication No. 10-2014-0023986).

즉, 종래 인터페이스는 제어명령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LCD, LED 패널 등), 해당 전자기기가 실행 가능한 제어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제어명령을 검색할 수 있는 노브(knob)나 버튼,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버튼 등이 서로 분리된 공간에 각각 위치하였고, 이와 같은 배치는 의류처리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의 전방면면 등에 위치하는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컨트롤패널의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였다.That is, the conventional interface is a display (LCD, LED panel, etc.) on which control commands are displayed, a knob or button that can search for control commands by displaying control commands executable by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and a display A butt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selecting a displayed control command, and a butt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requesting the execution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etc. are located in separate spaces, and such an arrangement is such that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laundry treatment machine It was a factor that determined the design of the interface (design of the control panel)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

상술한 구조의 종래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각 장치들이 전자기기의 너비방향(전자기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거나, 전자기기의 높이방향을 따라 분산 배치되어야 했기 때문에, 인터페이스의 설치에 많은 공간이 요구되었다.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of the above structure, since each device including the display had to be distribut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r distribut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 lot of space for interface installation this was requested

한편, 종래 인터페스에 구비된 버튼은 전자기기에서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이나 컨트롤패널 등에 조립되는데, 버튼의 조립 시간 단축 및 버튼의 조립 불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butto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interface is assembled to a panel or control panel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an electronic device, and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assembly time of the button and minimize button assembly failure.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in which display of control commands, search or change of displayed control commands, and selection of displayed control commands are integrated into one device,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nterface.

또한, 본 출원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n interface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nterface.

또한, 본 출원은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불량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butt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ssembly failure.

본 출원은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어신호의 통신이 가능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n encoder provided with a fixed part fixed to a first circuit boar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rt, and a signal generator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 A shaft fixed to the rotating part, a handle fixed to the shaft and rece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shaft,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handle, and a handl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actuato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 fastening body fixed to the fixing part through the shaft, a fixing body fixed to the fastening body and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fixed body, and a display fixed to the mounting space to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ircuit boar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and communicat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cover fixed to the fixing body to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sele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when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ver.

상기 선택부는 제어명령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제1선택부,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신호 또는 중단신호를 입력 받는 제2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고정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패널 장착부; 및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가 장착되는 필름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may include a mounting body fix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 panel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a film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which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are mounted.

상기 필름 장착부는 상기 패널 장착부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lm mounting unit may be positioned below the panel mounting unit.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1선택부로 안내하는 제1램프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2선택부로 안내하는 제2램프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includes a first lamp and a second lamp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emitting light; a first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amp to the first selector; and a second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mounting body and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amp to the second selector.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and the display.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선택부와 상기 제2선택부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름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display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second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first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play connector is inserted; and a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film connector is inserted.

본 출원은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어신호의 통신이 가능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nd the drum rotates by a driving unit; A first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fixing part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a control signal when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are transmitted to a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 encoder equipped with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transmission; A shaft fixed to the rotating part, a handle fixed to the shaft and rece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shaft,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handle, and a handl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actuato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 fastening body fixed to the fixing part through the shaft, a fixing body fixed to the fastening body and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fixed body, and a display fixed to the mounting space to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ircuit boar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and communicat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cover fixed to the fixing body to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sele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when the user's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ver.

상기 선택부는 제어명령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제1선택부,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신호 또는 중단신호를 입력 받는 제2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고정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패널 장착부; 및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 장착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된 필름 장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mounting body fix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 panel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a film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are mounted, and located below or above the panel mounting unit.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1선택부로 안내하는 제1램프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2선택부로 안내하는 제2램프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lamp and a second lamp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and emitting light; a first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amp to the first selector; and a second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mounting body and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amp to the second selector.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선택부와 상기 제2선택부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름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display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second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first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play connector is inserted; and a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film connector is inserted.

본 출원은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장치에 통합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 interface in which display of a control command, search or change of a displayed control command, and selection of a displayed control command are integrated into one device, and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nterface.

또한, 본 출원은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 interface capable of minimizing a space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a clothes handl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interface.

또한, 본 출원은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 불량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a button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assembly failure.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표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프론트 패널 및 버튼 장착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버튼 장착부와 버튼의 결합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a laundry treatment device.
3 to 5 show examples of interfaces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6 show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7 shows an example of a front panel and a button mounting portion.
8 and 9 show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utton mounting portion and a butt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P)를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 기재된 인터페이스(P)는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의류처리장치를 비롯한 기타의 전자기기를 포함)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사용자와 의류처리장치 간의 통신은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과정, 및 의류처리장치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 and an interface P provided in the cabinet 1 . The interface P described in this application refers to a device or program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and a laundry treatment device (including other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clothes treatment dev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the user inputs a control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a process in which the laundry treatment machine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캐비닛(1)은 일면이 개방된 캐비닛 바디(11), 및 상기 캐비닛 바디의 개방된 일면에 고정된 패널(1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캐비닛 바디(11)가 전방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패널(13)은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cabinet 1 may include a cabinet body 11 having one surface open, and a panel 13 fixed to the open surface of the cabinet body. 1 shows a case where the cabinet body 11 has an open front surface, and the front panel 13 is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 case provided as a panel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는 상기 캐비닛(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패널 투입구(131)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 투입구(13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2)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 the front panel 13 is provided with a panel inlet 131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1 with the outside. The panel inlet 131 is closed by a door 132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1 .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세탁 대상물 또는 건조 대상물)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3)이 구비된다.Inside the cabinet 1, a tub 2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drum 3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provide a space for receiving clothes (objects to be washed or dried) are provided. do.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터브 바디(2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터브 지지부(22)가 스프링(터브 바디의 상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 및 댐퍼(터브 바디의 하부 공간을 캐비닛에 연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tub 2 may be provided as a cylindrical tub body 21 with an empty inside. The tub body 21 may be fixed inside the cabinet 1 through the tub support 22, and FIG. 2 shows that the tub support 22 is a spring (connecting the upper space of the tub body to the cabinet) and a damper. (Connecting the lower space of the tub body to the cabinet)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터브 바디(2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패널 투입구(131)를 향하는 면에는 터브 투입구(211)가 구비되는데, 상기 패널 투입구(131)와 터브 투입구(211)는 가스켓(212)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가스켓(212)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이 캐비닛(1) 내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수단이다.A tub inlet 211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tub body 21 facing the panel inlet 131, and the panel inlet 131 and the tub inlet 211 are connected through a gasket 212. do. The gasket 212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o prevent water inside the tub body 21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cabinet 1, and vibration of the tub body 21 is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It is a means of minimizing

상기 터브 바디(21)는 급수부(23)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터브 바디(21)에 저장된 물은 배수부(2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tub body 21 receives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23 , and the water stored in the tub body 2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drainage unit 25 .

상기 배수부(2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한 펌프(252), 상기 터브 바디(21)와 펌프(252)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 상기 펌프(252)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 part 25 includes a pump 252 located at a point low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a first drain pipe 251 connecting the tub body 21 and the pump 252, and the pump 252.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drain pipe 253 for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cabinet to the outside.

상기 급수부(23)는 캐비닛의 외부에 위치된 급수원과 터브 바디(21)를 연결하는 급수관(231), 상기 급수관(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급수밸브(233)로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unit 23 may include a water supply pipe 231 connecting a water supply source located outside the cabinet and the tub body 21, and a water supply valve 233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23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세제공급부(24)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laundry treatment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detergent supply unit 24.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공급부(24)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드로워 하우징(241), 상기 드로워 하우징을 터브 바디(21)에 연결하는 연결관(242), 및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구비된 드로워 투입구(133)를 통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etergent supply unit 24 includes a drawer housing 24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 connection pipe 242 connecting the drawer housing to the tub body 21, and a drawer 243 withdrawable from the drawer housing 241 through a drawer input port 133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3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43)에는 세제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245), 상기 챔버 내부의 세제를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배출하는 배출유로(24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247)는 상기 챔버(245)에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를 초과하면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으로 액체를 이동시키는 워터트랩(water trap, 사이펀 유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drawer 243 includes a chamber 245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detergent and a discharge passage 247 discharging detergent inside the chamber to the drawer housing 241.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discharge passage 247 may be provided as a water trap (siphon passage, etc.) for moving the liquid to the drawer housing 241 when the level of the liquid stored in the chamber 245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there is.

상기 세제공급부(24)가 의류처리장치(100)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부(23)는 상기 챔버(245)로 물을 공급하는 노즐(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232)은 상기 드로워 하우징(241)의 상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고, 상기 급수관(231)은 상기 노즐(232)과 급수원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detergent supply unit 24 is provid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the water supply unit 23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232 for supplying water to the chamber 245. The nozzle 232 may be fixed to the cabinet 1 to form an upper surface of the drawer housing 241, and the water supply pipe 231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nozzle 232 and a water supply source.

상기 드럼(3)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 및 상기 드럼 바디(21)를 상기 터브 바디(2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동부(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3 includes a cylindrical drum body 31 located inside the tub body 21, and a drive unit 32 rotatably fixing the drum body 21 to the tub body 21. may be provided to do so.

상기 드럼 바디(3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투입구(211)를 향하는 면에는 드럼 투입구(311)가 구비된다. 따라서, 의류는 상기 패널 투입구(131), 터브 투입구(211), 및 드럼 투입구(311)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투입될 수 있다.A drum inlet 311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drum body 31 facing the tub inlet 211 . Accordingly, clothes may be put into the drum body 31 through the panel inlet 131 , the tub inlet 211 , and the drum inlet 311 .

상기 드럼 바디(31)에는 드럼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드럼 관통홀(31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12)은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 전방면(드럼 투입구를 감싸는 면) 및 후방면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터브 바디(21) 내부로 공급된 물이나 세제는 상기 드럼 관통홀(31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drum body 31 is provided with a drum through-hole 312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drum body with the outside. The drum through hole 312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ront surface (a surface surrounding the drum inlet), and the rear surface of the drum body 31 . Accordingly, water or detergent supplied into the tub body 21 may be supplied into the drum body 31 through the drum through-hole 312 .

상기 구동부(3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321), 회전 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22), 상기 터브 바디(21)의 후방면을 관통하여 상기 드럼 바디(31)와 로터(322)를 연결하는 회전축(32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ive unit 32 passes through the stator 321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tub body 21 to form a rotating magnetic field, the rotor 322 rotating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and the rear surface of the tub body 2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rotating shaft 323 connecting the drum body 31 and the rotor 322 by doing so.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13)은 패널 지지부(12)를 통해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패널 지지부(12)는 상기 캐비닛 바디(11)에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패널(13)은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ront panel 13 may be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through the panel support part 12 . That is, the panel support part 12 may be fixed to the cabinet body 11 and the front panel 13 may be fixed to the panel support part 12 .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패널 지지부(12)에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terface P may be fixed to the panel support part 12 or to the front panel 13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P)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회로기판(4,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인코더(5, encoder),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에 연결된 액추에이터(7),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5)에 고정되는 표시부(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interface P is a circuit board (first circuit board 4)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nd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an encoder (5), an actuator (7) connected to the encoder (5) through the front panel (13), and a display unit (8) fixed to the encoder (5) through the front panel (13)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구동부(32), 상기 급수밸브(233), 상기 펌프(2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전력 제어, 작동 제어)에 필요한 제어회로가 구비된 기판으로, 케이스(41)를 통해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회로기판(4)은 상기 케이스(41)에 고정되는 제1기판보드,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된 제어회로(제1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board 4 is a board provided with a control circuit necessary for controlling (power control, operation control) of at least one of the driving unit 32, the water supply valve 233, and the pump 252, It may be fixed to the front panel 13 through the case 41 . The first circuit board 4 may include a first board fixed to the case 41 and a control circuit (first circuit) fixed to the first board.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위치를 설정하는 위치고정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상기 위치고정부(411)가 삽입되는 기판 관통홀(42)이 구비될 수 있다.The case 41 may include a position fixing part 411 for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In this case, the substrate through-hole 42 into which the position fixing part 411 is inserte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circuit board 4 .

상기 표시부(8)에는 와이어(824)가 연결되는데, 상기 와이어(824)는 상기 표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8)가 상기 제1회로기판(4)을 비롯한 상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된 장치들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A wire 824 is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8. The wire 824 may be provided as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and the display unit 8 includes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the like. It may be provided as a communication line enabling communication with devices located inside the cabinet.

상기 위치고정부(411)에는 고정부 관통홀(41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와이어(824)는 상기 고정부 관통홀(4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비닛(1)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A fixing part through hole 413 may be provided in the position fixing part 411 . In this case, the wire 824 may extend into the cabinet 1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413 of the fixing part.

상기 제1회로기판(4)에는 입력부(43)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는 상기 입력부가 제1입력부(43a) 및 제2입력부(43b)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An input unit 43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FIG. 4 shows a case in which the input unit includes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as an example.

상기 제1입력부(43a)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3b)는 상기 표시부(8)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 또는 의류처리장치(100)가 실행 중인 제어명령의 일시적 중단을 요청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부(43a)와 제2입력부(43b)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된다.The first input unit 43a is provided as a means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power supply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executes the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 It may be provided as a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requesting a command or a command requesting a temporary suspension of a control command being executed by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are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4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부(43a)와 제2입력부(43b)는 버튼 장착부(135)를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사용자 신체의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ar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button mounting unit 135, and by detecting static electricity of the user's body, It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상기 버튼 장착부(135)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는 제1장착부(135a) 및 제2장착부(135b)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입력부(43a)는 상기 제1장착부(135a)에 위치하고, 상기 제2입력부(43b)는 상기 제2장착부(135b)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utton mounting portion 135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ortion 135a and a second mounting portion 135b penetrating the front panel 13 . In this case, the first input unit 43a may be loca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135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135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부(43a)와 제2입력부(43b)는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입력부(43a)는 상기 제1장착부(135a)에 위치하는 버튼(431) 및 상기 버튼(431)을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에 연결하는 버튼 커넥터(436)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3b)는 상기 제2장착부(135b)에 위치하는 버튼(431) 및 상기 버튼(431)을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에 연결하는 버튼 커넥터(436)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may have the same structure. That is, the first input unit 43a includes a button 431 located on the first mounting unit 135a and a button connector 436 connecting the button 431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includes a button 431 located on the second mounting unit 135b and a button connector connecting the button 431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436) may be provided.

상기 제1입력부(43a)와 상기 제2입력부(43b)는 상기 표시부(8)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표시부(8)의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나뉘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표시부(8)의 좌측공간이나 우측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상하 또는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left space and the right space of the display unit 8,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display unit 8. And, it may be arrang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in any one space of the left space or the right space of the display unit 8.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액추에이터(7)를 상기 제1회로기판(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이면서, 상기 액추에이터(7)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또는, 액추에이터의 회전각도에 따라 달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The encoder 5 is a means for rotatably fixing the actuator 7 to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actuator 7 rotates (o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actuator It is a means for generating a different set electrical signal).

상기 인코더(5)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표시부(8)가 고정되는 고정부(51), 상기 고정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액추에이터(7)가 고정되는 회전부(52), 및 상기 회전부(52)의 회전 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ncoder 5 is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part 51 to which the display part 8 is fixed and rotatably provided to the fixing part 51 and the actuator 7 is fixe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rotating part 52, and a signal generating part 54 for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rotating part 52 rotates.

상기 고정부(51)는 상기 제1기판보드에 고정되고,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에 연결되는데, 상기 고정부(51)에는 상기 기판 관통홀(42)에 연결(고정부 관통홀에 연결)되는 바디 관통홀(53)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51 is fixed to the first substrate board, and the signal generating part 5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the fixing part 51 has the substrate through-hole. A body through hole 53 connected to (42)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hrough hole) may be provided.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고정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상의 회전바디로 구비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52 may be provided as a cylindrical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51 .

상기 신호발생부(54)는 상기 회전부(52)에 고정된 자석, 상기 고정부(51)에 구비되어 자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와 상기 센서를 연결하는 단자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다수개의 영구자석이 상기 회전부(52)의 원주면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he signal generating unit 54 connects a magnet fixed to the rotating unit 52, a sensor provided to the fixing unit 51 to detect magnetic force, and a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the sensor.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terminal to. The magnet may be provided by disposing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part 52 .

상기 인코더(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인코더 커버(6)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encoder 5, an encoder cover 6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terface P.

상기 인코더 커버(6)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되어 상기 인코더(5)를 감싸는 파이프 형상의 커버 바디(61), 상기 커버 바디(6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인코더(5)가 삽입되는 커버 관통홀(6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encoder cover 6 is provided to pass through a pipe-shaped cover body 61 that is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surrounds the encoder 5, and the cover body 61, thereby providing the encoder 5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ver through-hole 62 into which is insert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7)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부(52)에 고정되는 샤프트(71), 및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되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는 핸들(7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actuator 7 penetrates the front panel 13 and has a shaft 71 fixed to the rotating part 52 and fixed to the shaft 71 to move the cabinet 1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handle 73 located on the outside of.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패널 관통홀(134, 도 3 참고)이 구비되는데,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52)에 결합할 수 있다.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panel through-hole 134 (refer to FIG. 3)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13, and the shaft 71 is inserted into the panel through-hole 134 to form the rotating part ( 52) can be combined.

상기 샤프트(71)는 상기 회전부(52)에 고정되는 샤프트 바디(711), 상기 샤프트 바디의 원주면에 고정된 디스크 형상의 베이스(713), 및 상기 샤프트 바디(711)를 관통하여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3)에 연결되는 샤프트 관통홀(71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haft 71 passes through a shaft body 711 fixed to the rotating part 52, a disk-shaped base 713 fix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and the shaft body 711 to generate the encoder.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haft through hole 715 connected to the body through hole 53 .

상기 핸들(73)은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샤프트(71)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핸들(73)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부(52)는 상기 샤프트(71)에 의해 회전할 것이다.The handle 73 is fixed to the shaft 71 so as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cabinet 1 . 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73, the rotating part 52 will rotate by the shaft 71.

상기 핸들(73)은 내부에 수용공간(731)이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71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의 일면에는 상기 수용공간(731)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구비되어 상기 표시부(8)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핸들 관통홀(732)이 구비된다.The handle 73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731 therein, and may be fixed to the base 713. A handle through-hole 732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andle 73 to communicate the receiving space 731 with the outside and exposes the display unit 8 to the outside.

상기 표시부(8)는 상기 인코더의 고정부(51)에 고정되어 상기 액추에이터의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하우징(81),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정보(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작동 등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84),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제2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82, 제2회로기판, 표시부 회로기판)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8 is fixed to the housing 81, which is fixed to the fixing unit 51 of the encoder and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ng space 731 of the actuator, and is fixed to the housing to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and operation of the clothes handling apparatus).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circuit board (82, second circuit board, display circuit board) provid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control circuit (second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84 is included. may be provided.

상기 하우징(81)은 상기 샤프트 관통홀(715) 및 상기 바디 관통홀(53)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51)에 고정되는 체결바디(813), 및 상기 체결바디(813)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간(731)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8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81 is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715 and the body through hole 53 and fixed to the fastening body 813 fixed to the fixing part 51, and fixed to the fastening body 813 to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xing body 811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731.

상기 고정바디(811)는 상기 수용공간(731)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고정바디(811)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xing body 811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731. The figure shows a case in which the fixing body 811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n example.

상기 고정바디(811)의 내부에는 장착공간(8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디(81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핸들 관통홀(732)이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는 고정바디 관통홀이 구비된다.A mounting space 812 is formed inside the fixing body 811, and a fixing body through-hole is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fixing body 811 facing the direction where the handle through-hole 732 is located. do.

상기 체결바디(813)는 상기 샤프트 관통홀(715) 및 상기 인코더의 바디 관통홀(53)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체결바디(813)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바디(813)에는 상기 장착공간(812)과 기판 관통홀(42)을 연결하는 체결바디 관통홀(814)이 구비된다.The fastening body 813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715 and the body through hole 53 of the encoder. In the drawing, the fastening body 813 has a cylindrical shape. The case provided with is shown as an example. The fastening body 813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body through-hole 814 connecting the mounting space 812 and the substrate through-hole 42 .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장착공간(812)에 삽입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연결된 와이어(824)는 상기 체결바디 관통홀(814)을 통해 상기 하우징(81)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다.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제2기판보드, 및 상기 제2기판보드에 고정된 제어회로(제2회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24)는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제어회로를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와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cond circuit board 82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812, and the wire 824 connect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82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body through-hole 814 to the housing 81. can be withdrawn externally. The second circuit board 82 may include a second board and a control circuit (second circuit) fixed to the second board. The wire 824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2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상기 디스플레이(84)와 제2회로기판(82)으로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부(8)에는 상기 고정바디(811) 또는 후술할 장착부(83)에 고정되는 커버(8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장착부(83)의 커버 체결홀(836)에 결합하는 커버 고정돌기(851)를 통해 상기 커버(85)가 상기 장착부(8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커버(85)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정보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A cover ( 85) may be further provided. FIG. 6 shows a case in which the cover 85 is fixed to the mounting part 83 through the cover fixing protrusion 851 coupled to the cover fastening hole 836 of the mounting part 83 as an example. The cover 85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enough to allow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84 to be confirmed from the outside.

상기 표시부(8)에는 다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램프가 제1램프(821), 제2램프(822) 및 제3램프(82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램프들(821, 822, 823)은 상기 제2회로기판(82)에 고정되어 제2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amps may be provided on the display unit 8 . FIG. 6 shows a case in which the lamps include a first lamp 821, a second lamp 822, and a third lamp 823 as an example, and the lamps 821, 822, and 823 are the first lamps 821, 822, and 823. It is fixed to the second circuit board 82 and can be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상기 제2회로기판(82)은 상기 핸들(73)의 회전에 따라(신호발생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84)를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ircuit board 82 may control the display 84 to display prese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73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provided from the signal generating unit).

상기 제2회로기판(82)과 상기 디스플레이(8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램프(821)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 램프(821, 822, 823)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장착공간(812)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812)에는 장착부(83)가 구비될 수 있다.A distance between the second circuit board 82 and the display 84 is maintained, damage to the lamp 821 is prevented, and light emitted from the lamps 821, 822, and 823 is transmitted to the mounting space ( In order to guide the outside of the 812, a mounting portion 83 may be provided in the mounting space 812.

상기 장착부(83)는 상기 고정바디(811)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812) 내부에 위치하는 장착바디(83a)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디(83a)는 상기 장착공간(812)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은 상기 장착바디(83a)가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mounting part 83 may be provided as a mounting body 83a fixed to the fixing body 811 and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space 812 . The mounting body 83a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812. The drawing shows a case in which the mounting body 83a is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s an example. .

상기 장착바디(83a)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패널 장착부(83b), 후술할 선택부(9)가 장착되는 필름 장착부(83c), 및 상기 제3램프(823)이 삽입되는 램프 장착부(83d)가 구비될 수 있다.The mounting body 83a includes a panel mounting portion 83b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display 84 is mounted, a film mounting portion 83c in which a selector 9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and the third lamp 823. An inserted lamp mounting portion 83d may be provided.

상기 패널 장착부(83b)는 상기 장착바디(83a)의 일면이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84)를 배면과 가장자리를 수용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름 장착부(83c)와 상기 램프 장착부(83d)는 상기 패널 장착부(83b)의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공간 중 어디에나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필름 장착부(83c)는 상기 패널 장착부(83b)의 하부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장착부(83d)는 상기 패널 장착부(83b)의 상부공간에 배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panel mounting portion 83b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one side of the mounting body 83a is concavely bent to accommodate the rear surface and the edge of the display 84 . The film mounting portion 83c and the lamp mounting portion 83d may be located anywhere amo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paces of the panel mounting portion 83b. FIG. 6 shows a case in which the film mounting portion 83c is disposed in a lower space of the panel mounting portion 83b and the lamp mounting portion 83d is disposed in an upper space of the panel mounting portion 83b.

상기 디스플레이(84)는 커넥터(841, 제1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제어회로에 연결되는데, 상기 패널 장착부(83b)에는 상기 제1커넥터(841)가 관통하는 제1커넥터 관통홀(834)이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84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2 through a connector 841 (a first connector), and a first connector 841 passes through the panel mounting portion 83b. A connector through hole 834 may be provided.

상기 필름 장착부(83c)에는 상기 제1램프(821)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커버(85)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램프 관통홀(831) 및 상기 제2램프(822)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커버(85)가 위치된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램프 관통홀(832)가 구비된다.The film mounting portion 83c has a first lamp through-hole 831 for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amp 821 to the direction where the cover 85 is located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amp 822. A second lamp through-hole 832 is provided to guide light in the direction where the cover 85 is located.

상기 램프 장착부(83d)에는 상기 제3램프(823)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커버(85)로 안내하는 제3램프 관통홀(833)이 구비될 수 있다.A third lamp through-hole 833 for guiding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amp 823 to the cover 85 may be provided in the lamp mounting portion 83d.

상기 인터페이스(P)에는 상기 장착공간(812)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85)에 접촉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선택부(9)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interface P, a selector 9 is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space 812 and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2 when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ver 85. may be further provided.

상기 선택부(9)는 상기 필름 장착부(83c)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85)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필름(91), 및 상기 터치필름(91)을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제어회로에 연결하는 커넥터(92, 제2커넥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9 is located in the film mounting unit 83c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when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ver 85, and the touch film 91 is placed on the secon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nnector 92 (second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82.

상기 장착바디(83a)에는 상기 필름 장착부(83c)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커넥터(92)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관통홀(835)이 구비되고,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배면에는 상기 제2커넥터(92)가 고정되는 단자(8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자(825)는 상기 제2커넥터(92)를 상기 제2회로기판(82)의 제어회로에 연결하는 수단이다.The mounting body 83a has a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835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ilm mounting portion 83c and in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92 is inserted, and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2. A terminal 825 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92 is fixed may be provided. The terminal 825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or 92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82 .

상기 터치필름(91)에는 제어명령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제1선택부(911),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신호 또는 중단신호를 입력 받는 제2선택부(9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touch film 91 may include a first selection unit 911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unit 912 that receives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

상기 제1선택부(911)에는 선택 또는 입력 등의 문자나 기호가 표시되고, 상기 제2선택부(912)에는 실행 또는 중단 등의 문자나 기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선택부(911)에 표시된 문자나 기호는 상기 제1램프(821)가 빛을 방출할 때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선택부(912)에 표시된 문자나 기호는 상기 제2램프(822)가 빛을 방출할 때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Characters or symbols such as selection or input may be displayed in the first selector 911, and characters or symbols such as execution or interruption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selector 912. The let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first selector 911 are provided to be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when the first lamp 821 emits light, and the let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second selector 912 are When the second lamp 822 emits light, it may be provided to be recognizable from the outside.

상기 제1선택부(911)와 제2선택부(912)는 상기 필름 장착부(83c)에 위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84)는 패널 장착부(83b)에 위치하므로,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정보가 상기 선택부들(911, 912)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다.Since the first selector 911 and the second selector 912 are located on the film mounting unit 83c and the display 84 is located on the panel mounting unit 83b,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84 is It is not covered by the selectors 911 and 912.

인터페이스가가 상술한 구조로 구비되면, 상기 커버(85)에는 상기 디스플레이(84)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제1표시영역(852), 상기 제3램프(823)에서 방출되는 빛이 표시되는 제2표시영역(853), 및 상기 선택부들(911, 912)에 표시된 정보가 표시되고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영역(854)로 구분될 것이다.When the interface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over 85 displays the first display area 852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play 84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third lamp 823. It will be divided into a second display area 853 and an input area 854 wher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electors 911 and 912 is displayed and a control command is received from the user.

도 6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터치필름(91)은 상기 커버(85)와 상기 디스플레이(84)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선택부의 기능 및 상기 제2선택부의 기능은 상기 디스플레이(8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수단이 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Unlike shown in FIG. 6 , the touch film 9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85 and the display 84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 of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function of the second selection unit are provided to be means for executing the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84 .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100)는 제어명령의 표시, 표시된 제어명령의 검색이나 변경, 및 표시된 제어명령의 선택이 하나의 인터페이스(P)에 통합된 구조이므로, 상기 인터페이스(P)의 설치에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 가능할 것이다.Since the above-described clothes handling apparatus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isplay of a control command, the search or change of the displayed control command, and the selection of the displayed control command are integrated into one interface P, the interface P is installed. It will be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도 7은 상기 제1입력부(43a)와 제2입력부(43b)가 고정되는 상기 제1장착부(135a)와 제2장착부(135b)의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7 illustrates specific structures of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5a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5b to which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are fixed.

상기 제1장착부(135a)는 상기 프론트 패널(13)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장착홀(136), 상기 장착홀(136)의 가장자리에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라켓(137), 및 상기 브라켓(137)에 구비된 위치설정부(138)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37)과 위치설정부(138)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한다.The first mounting portion 135a includes a mounting hole 136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13, a bracket 137 provided in a C shape at an edge of the mounting hole 136, and the bracket 137 ) It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unit 138 provided in. The bracket 137 and the positioning unit 138 are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상기 제2장착부(135b)는 구비되는 위치를 제외하면, 상기 제1장착부(135a)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장착부(135b)는 상기 패널 관통홀(134)을 중심으로 상기 제1장착부(135a)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장착홀(136), 상기 장착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C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브라켓(137), 및 상기 브라켓에 구비된 위치설정부(138)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mounting portion 135b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mounting portion 135a, except for a location where it is provided. That is, the second mounting part 135b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136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mounting part 135a with the panel through hole 134 as the center and a C shape along the edge of the mounting hole. It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137, and a positioning unit 138 provided in the bracket.

상기 입력부들(43a, 43b)은 상기 표시부(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명령, 상기 구동부(3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어명령, 상기 구동부(32)의 작동을 요청하는 제어명령, 상기 구동부(32)의 작동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수단이다.The input units 43a and 43b are a control comm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display unit 8, a control command for supplying power to the driving unit 32,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32, and the driving unit It is a means for inputting at least one of the control commands requesting the operation stop of (32).

상기 제1입력부(43a)는 상기 표시부(8)와 상기 구동부(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라는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전원버튼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입력부(43b)는 상기 구동부(32)의 작동을 요청하는 제어명령(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하는 제어명령)과 상기 구동부(32)의 작동 중단을 요청하는 제어명령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한 제어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43a is provided as a power button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supply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display unit 8 and the driving unit 32,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is the driving unit ( 32) may be provided as a control button capable of inputt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the operation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execution of a control command selected by the user) and a control command requesting an operation stop of the driving unit 32. there i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입력부(43a)와 제2입력부(43b)는 상기 버튼(431) 및 버튼 커넥터(436)로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431)은 상기 브라켓(137)에 지지되어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위치하는 지지바디(433), 상기 지지바디(433)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홀(136)을 통해 상기 캐비닛(1)의 외부에 노출되는 접촉바디(432), 및 상기 지지바디(433)를 상기 캐비닛(1)에 고정하는 바디 체결부(43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input unit 43a and the second input unit 43b are provided with the button 431 and the button connector 436 . As shown in FIG. 8 , the button 431 is supported by the bracket 137 and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433 located inside the cabinet 1 and fixed to the support body 433 to the mounting hole ( 136), a contact body 43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a body fastening part 434 for fixing the support body 433 to the cabinet 1.

상기 바디 체결부(434)는 상기 지지바디(433)에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137)에 결합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후크로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fastening part 434 may be provided with two or more hooks protruding from the support body 433 and coupled to the bracket 137 .

상기 접촉바디(432)의 넓이는 상기 지지바디(433)의 넓이보다 좁게 설정되고, 상기 지지바디(433)에는 상기 C자 형상의 브라켓(137)에 열린 공간(137a)에 삽입되는 삽입부(437)가 구비된다.An insertion portion ( 437) is provid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437)가 상기 브라켓(137)의 열린 공간으로 삽입되면, 상기 지지바디(433)의 가장자리는 상기 브라켓(137)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바디 체결부(434)는 상기 브라켓(137)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술한 구조의 버튼(431)은 상기 삽입부(437)를 상기 브라켓(137)의 열린 공간(137a)에 삽입한 뒤 상기 접촉바디(432)를 눌러주면 상기 바디 체결부(434)가 상기 브라켓(137)에 결합되므로, 상기 버튼(431)을 상기 프론트 패널(13)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insertion part 437 is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of the bracket 137, the edge of the support body 433 is supported by the bracket 137, and the body fastening part (434) is fastened to the bracket (137). Therefore, when the button 431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open space 137a of the bracket 137 by inserting the insertion part 437 and pressing the contact body 432, the body fastening part 434 Since it is coupled to the bracket 137, the button 431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front panel 13.

상술한 브라켓(137), 삽입바디(437), 및 바디 체결부(434)에도 불구하고, 조립공차 등에 의해 상기 접촉바디(432)의 가장자리와 상기 장착홀(136)의 가장자리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Despite the bracket 137, the insertion body 437, and the body fastening part 434, the edge of the contact body 432 and the edge of the mounting hole 136 do not match due to assembly tolerances. may occur.

상기 접촉바디(432)의 표면과 상기 프론트 패널(13)의 표면에 설계된 것보다 큰 단차가 형성되거나, 상기 접촉바디(432)가 상기 장착홀(136) 내부에서 회전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버튼(431)에는 상기 위치결정부(138)가 결합하여 상기 버튼(431)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435)가 구비될 수 있다.Prevents formation of a step larger than design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tact body 432 and the surface of the front panel 13 or the assembly of the contact body 432 in a rotated state inside the mounting hole 136 To do this, the button 431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435 coupled to the positioning unit 138 to prevent rotation of the button 431 .

상기 위치설정부(138)는 상기 브라켓(137)에서 상기 캐비닛(1) 내부를 향해(프론트 패널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기(138a)로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435)는 상기 지지바디(433)에 구비되어 상기 돌기(138a)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리브(435a) 및 제2리브(435b)로 구비될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138 is provided as a protrusion 138a protruding from the bracket 137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 (towards a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panel), and the guide 435 is 433 may include a first rib 435a and a second rib 435b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otrusion 138a is accommodated.

상기 버튼(431)의 조립성을 고려할 때, 상기 돌기(138a)는 상기 브라켓(137)의 열린 공간(137a)과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브라켓(137)에 고정되고, 상기 제1리브(435a) 및 제2리브(435b)는 상기 삽입바디(437)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바디(433)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Considering the assemblability of the button 431, the protrusion 138a is fixed to the bracket 137 so as to b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pen space 137a of the bracket 137, and the first rib 435a ) and the second rib 435b are preferably fixed to the support body 433 so as to be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437.

한편, 상기 제1회로기판(4)이 고정되는 상기 케이스(41)는 상기 위치설정부(138)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138a)에는 돌기 관통홀(138b)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41)에는 상기 돌기 관통홀(138b)에 결합하는 체결돌기(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케이스(41)는 볼트를 통해 상기 돌기(138a)에 고정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ase 41 to which the first circuit board 4 is fixed may be fixed to the position setting unit 138 . That is, the protrusion 138a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rough-hole 138b, and the case 4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414 coupled to the protrusion through-hole 138b. Unlike the above, the case 41 may be fixed to the protrusion 138a through bolt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바디(432)는 상기 제1회로기판(4)에 고정된 버튼 커넥터(436)를 통해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에 연결되는데, 상기 버튼 커넥터(436)는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접촉바디(432)에 접촉하면 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 커넥터(436)는 상기 지지바디(433)에 고정된 터치필름, 상기 터치필름과 상기 제1회로기판(4)의 제어회로를 연결하는 전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body 432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through the button connector 436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4, and the button connector 436 )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n the user's body contacts the contact body 432. In this case, the button connector 436 may be provided as a conductor connecting the touch film fixed to the support body 433 and the touch film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4 .

상술한 바와 달리, 상기 버튼 커넥터(436)는 상기 접촉바디(432)를 상기 캐비닛(1) 내부를 향해 누르는 외력이 인식될 때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the button connector 436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when an external force pressing the contact body 432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 is recognized.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실시예에 관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Since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re related to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3: 프론트 패널
135: 버튼 장착부 135a: 제1장착부 135b: 제2장착부
136: 장착홀 137: 브라켓 138: 위치설정부
138a: 돌기 138b: 돌기 관통홀 2: 터브
3: 드럼 P: 인터페이스 4: 제1회로기판
41: 케이스 414: 체결돌기 43: 입력부
43a: 제1입력부 43b: 제2입력부 431: 버튼
432: 접촉바디 433: 지지바디 434: 바디 체결부
435: 가이드 435a: 제1리브 435b: 제2리브
436: 버튼 커넥터 437: 삽입바디 5: 인코더
6: 인코더 커버 7: 액추에이터 8: 표시부
81: 하우징 811: 고정바디 812: 장착공간
813: 체결바디 814: 체결바디 관통홀 82: 제2회로기판
821: 제1램프 822: 제2램프 823: 제3램프
824: 와이어 83: 장착부 83a: 장착바디
83b:패널 장착부 83c: 필름 장착부 83d: 램프 장착부
831: 제1램프 관통홀 832: 제2램프 관통홀 833: 제3램프 관통홀
834: 제1커넥터 관통홀 835: 제2커넥터 관통홀 836: 커버 체결홀
84: 디스플레이 85: 커버 9: 선택부
91: 터치필름 911: 제1선택부 912: 제2선택부
92: 제2커넥터
100: clothes handling device 1: cabinet 13: front panel
135: button mounting portion 135a: first mounting portion 135b: second mounting portion
136: mounting hole 137: bracket 138: positioning unit
138a: projection 138b: projection through-hole 2: tub
3: drum P: interface 4: first circuit board
41: case 414: fastening protrusion 43: input unit
43a: first input unit 43b: second input unit 431: button
432: contact body 433: support body 434: body fastening
435: guide 435a: first rib 435b: second rib
436: button connector 437: insertion body 5: encoder
6: encoder cover 7: actuator 8: display
81: housing 811: fixed body 812: mounting space
813: fastening body 814: fastening body through-hole 82: second circuit board
821: first lamp 822: second lamp 823: third lamp
824: wire 83: mounting part 83a: mounting body
83b: panel mounting portion 83c: film mounting portion 83d: lamp mounting portion
831: first lamp through hole 832: second lamp through hole 833: third lamp through hole
834: first connector through-hole 835: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836: cover fastening hole
84: display 85: cover 9: selector
91: touch film 911: first selection unit 912: second selection unit
92: second connector

Claims (11)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어신호의 통신이 가능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제어명령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제1선택부,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신호 또는 중단신호를 입력 받는 제2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n encoder having a fixed part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rt, and a signal generating part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when the rotating part rotates;
A shaft fixed to the rotating part, a handle fixed to the shaft and rece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shaft,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handle, and a handl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actuato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 fastening body fixed to the fixing part through the shaft, a fixing body fixed to the fastening body and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fixed body, and a display fixed to the mounting space to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ircuit boar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and communicat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cover fixed to the fixing body to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sele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when a user's body contacts the cover;
Th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are provided at positions not interfering with the displa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고정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패널 장착부; 및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가 장착되는 필름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2,
a mounting body fix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 panel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The interface further comprising a film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and mounted with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장착부는 상기 패널 장착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3,
Th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m mounting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panel mount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1선택부로 안내하는 제1램프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2선택부로 안내하는 제2램프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lamp and a second lamp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to emit light;
a first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amp to the first selector; and
The interfa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amp to the second sel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는 상기 커버와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are provid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over and the displa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선택부와 상기 제2선택부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름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According to claim 3,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display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second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first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play connector is inserted; and
The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film connector is inserted.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회로기판, 상기 제1회로기판에 고정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제어신호를 상기 제1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신호발생부가 구비된 인코더;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필요한 힘을 입력 받는 핸들, 상기 핸들 내부에 구비된 수용공간, 및 상기 핸들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핸들 관통홀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체결바디, 상기 체결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구비된 장착공간, 상기 장착공간에 고정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제어신호의 통신이 가능한 제2회로기판, 및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장착공간을 폐쇄하는 커버가 구비된 표시부; 및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커버에 접촉되면 제어신호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제어회로에 전송하는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부는 제어명령의 선택신호를 입력 받는 제1선택부,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신호 또는 중단신호를 입력 받는 제2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drum that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clothes and is rotated by a driving unit;
A first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a fixing part fixed to the first circuit board, a rotating part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a control signal when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are transmitted to a control circuit of the first circuit board. An encoder equipped with a signal generating unit for transmission;
A shaft fixed to the rotating part, a handle fixed to the shaft and receiving force required for rotation of the shaft,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handle, and a handle passing through one surface of the handle to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with the outside. an actuator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 fastening body fixed to the fixing part through the shaft, a fixing body fixed to the fastening body and loc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 mounting space provided in the fixed body, and a display fixed to the mounting space to display information. a display unit provided with a second circuit board capable of controlling the display and communicating a control signal with the first circuit board, and a cover fixed to the fixing body to close the mounting space; and
A selec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a control circuit of the second circuit board when a user's body contacts the cover;
The selection unit includes a first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a control command, and a second selection unit that receives an execution signal or a stop signal of the selected control comma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공간 내부에 고정되는 장착바디;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패널 장착부; 및
상기 장착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선택부 및 상기 제2선택부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패널 장착부의 하부 또는 상부에 위치된 필름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8,
a mounting body fixed inside the mounting space;
a panel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which the display is mounted;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lm mounting unit provided on the mounting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rst selection unit and the second selection unit are mounted, and located below or above the panel mounting uni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기판에 구비되어 빛을 방출하는 제1램프 및 제2램프;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1선택부로 안내하는 제1램프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램프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제2선택부로 안내하는 제2램프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9,
a first lamp and a second lamp provided on the second circuit board to emit light;
a first lamp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lamp to the first selector; and
and a second lamp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guide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lamp to the second selec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선택부와 상기 제2선택부를 상기 제2회로기판에 연결하는 제2커넥터;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1커넥터 관통홀; 및
상기 장착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필름 커넥터가 삽입되는 제2커넥터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0,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display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second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to the second circuit board;
a first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display connector is inserted; and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through-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mounting body and into which the film connector is inserted.
KR1020220049882A 2021-12-07 2022-04-22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7053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8271 WO2023106683A1 (en) 2021-12-07 2022-11-18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EP22904516.6A EP4446491A1 (en) 2021-12-07 2022-11-18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AU2022406570A AU2022406570A1 (en) 2021-12-07 2022-11-18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CN202280081437.5A CN118369476A (en) 2021-12-07 2022-11-18 Interface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with interface
KR1020240120597A KR20240135732A (en) 2021-12-07 2024-09-05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74082 2021-12-07
KR1020210174082 2021-12-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20597A Division KR20240135732A (en) 2021-12-07 2024-09-05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814A true KR20230085814A (en) 2023-06-14
KR102705317B1 KR102705317B1 (en) 2024-09-12

Family

ID=86744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9882A KR102705317B1 (en) 2021-12-07 2022-04-22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0531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93A (en) * 2014-07-1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applian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the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00990U (en) * 2017-04-12 2019-04-26 상하이 춘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Knob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oker
CN209468599U (en) * 2018-10-15 2019-10-08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A kind of roller 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093A (en) * 2014-07-18 2016-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Home applianc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system for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using the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190000990U (en) * 2017-04-12 2019-04-26 상하이 춘미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Knob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oker
CN209468599U (en) * 2018-10-15 2019-10-08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A kind of roller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05317B1 (en) 2024-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7005B2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KR101623788B1 (en) Control Panel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30085814A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4446491A1 (en)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KR20230085813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118369476A (en) Interface and clothes treatment device with interface
EP4365352A1 (en) Interface and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interface
EP4365347A1 (en) Interface and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interface
EP4365353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KR10264066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4033706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61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40301610A1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EP436536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240301606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US20240318370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240344262A1 (en) Interfa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50086200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US20240301608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040069134A (en) Contro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KR20050086201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KR20230001231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070066605A (en) Control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