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206A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61206A KR20230061206A KR1020220001816A KR20220001816A KR20230061206A KR 20230061206 A KR20230061206 A KR 20230061206A KR 1020220001816 A KR1020220001816 A KR 1020220001816A KR 20220001816 A KR20220001816 A KR 20220001816A KR 20230061206 A KR20230061206 A KR 20230061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source
- source module
- disposed
- case
- cavit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389 graph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0 easy-to-clea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8—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induction heating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8—Circuits for monitoring o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Various types of cooking appliances for heating food at home or in restaurants are being used. For example, various cooking appliances such as a microwave oven, an electric range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nd a grill heater are being used.
이중에서, 마이크로파 오븐은 고주파 가열 방식의 조리기기이다. 상기 마이크로파 오븐은 고주파 전장 중의 분자가 심하게 진동하여 발열하는 것을 이용한다. 상기 마이크로파 오븐은 빠른 시간에 음식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mong them, the microwave oven is a high-frequency heating type cooking device. The microwave oven uses heat generated by violent vibration of molecules in a high-frequency electric field. The microwave oven has an advantage of evenly heating food in a short time.
그리고,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는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여 피가열 물체를 가열시키는 조리기기다. 구체적으로 보면,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는 소정 크기의 고주파 전력을 코일에 인가할 때 코일 주변에 발생하는 자계를 이용하여 금속 성분으로 이루어진 피가열 물체에 와전류(渦電流, eddy currents)를 발생시켜 피가열 물체 자체를 가열시킬 수 있다.Also, an induction heating type electric range is a cooking device that heats an object to be heated by using electromagnetic induction. Specifically, the induction heating type electric range uses a magnetic field generated around the coil when a predetermined size of high-frequency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to generate eddy currents in an object to be heated made of metal components. The object to be heated itself can be heated.
또한, 그릴 히터는 적외선 열을 복사 또는 대류시킴으로써 음식을 가열하는 조리기기이다. 상기 그릴 히터는 적외선 열이 음식을 투과하도록 하기 때문에 음식을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혀줄 수 있다.Also, the grill heater is a cooking device that heats food by radiating or convecting infrared heat. Since the grill heater allows infrared heat to penetrate the food, the food can be cooked evenly throughout.
이와 같이, 다양한 방식의 열원을 이용하는 조리기기들이 출시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개수 및 종류가 증가하였고, 이러한 조리기기들이 생활 공간 내에서 많은 부피를 차지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가열 모듈을 함께 구비하는 복합 조리기기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피가열 물체 내 음식이 보다 균일하고, 신속하게 조리되도록 복수의 가열 방식을 동시에 이용하는 조리기기의 개발이 필요하다.In this way, as cooking appliances using various types of heat sources are released, the number and types of cooking appliances equipped by users have increas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se cooking appliances occupy a large volume in a living space. Accordingly, users' demand for a complex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is increas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oking appliance that simultaneously uses a plurality of heating methods so that food in an object to be heated is more uniformly and quickly cooked.
미국 등록특허 US 6,987,252 B2(선행기술1)에는 마이크로파와 함께 복사열 및 대류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다만, 복사열과 대류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코일을 사용하므로 유도가열 열원 보다는 상대적으로 열효율이 낮고, 조리물을 빠르게 가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US registered patent US 6,987,252 B2 (prior art 1) discloses a technology for cooking food using radiant heat and convective heat along with microwaves. However, since a coil is used to generate radiant heat and convective heat, the thermal efficiency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an induction heating heat source, an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food cannot be quickly heat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5981호(선행기술2)에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열원과 함께, 복사열 및 대류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이 포함되는 조리기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2의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파 열원을 사용할 때에는 차폐 커버로 다른 열원을 덮도록 구성하고 있어, 복수의 열원이 동시에 사용되지 못하는 구조이다. 또한, 선행기술2의 조리기기는 마이크로파 열원을 사용할 때마다 차폐 커버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차폐 커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등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한계가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15981 (Prior Art 2) discloses a cooking appliance that includes a heat source that generates radiant heat and convection heat along with a heat source that uses microwaves. However, the cooking appliance of Prior Art 2 is configured to cover other heat sources with a shielding cover when a microwave heat source is used, and thus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sources cannot be used simultaneously. 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Prior Art 2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otate the shielding cover whenever a microwave heat source is used, and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increases manufacturing cost because a rotation motor or the like that rotates the shielding cover must be separately provided. There is a limit to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7487호(선행기술3)에는 마이크로파와 유도가열 열원을 하나의 기기에서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조리기기가 공개되어 있다. 다만, 선행기술3은 마이크로파와 유도가열 열원을 동시에 사용하더라도 조리물을 굽는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또한 조리물의 상부는 가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107487 (Prior Art 3) discloses a cook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using microwave and induction heating heat sources in one device. However, th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이크로파 및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기능과 함께, 유도가열 방식의 조리기능도 포함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includes a cooking function using microwave and radiant heat as well as an induction heating method cooking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들이 조리기기의 여러 위치에 효율적으로 배치되어 조리물이 신속하고 고르게 조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iciently arrange different types of heat sources at various locations of a cooking appliance so that food is quickly and evenly cook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방식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oking in various ways by combining different types of heat sourc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케이스의 내부에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캐비티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제1열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자기장을 방출하는 제2열원모듈이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제3열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도가열 방식의 상기 제2열원모듈은 용기의 바닥면을 빠른 속도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열원과 함께 조리기기의 조리속도를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avity formed inside the case, and a first heat source module emitting microwaves into the cavity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there is. A second heat source module emitting a magnetic field toward the cavity may be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generating radiant heat toward the cavity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Sinc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can he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t a high speed, the cooking speed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ncreased together with the rest of the heat sources.
이때, 상기 제2열원모듈과 상기 제3열원모듈은 상기 캐비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열원들이 음식물의 여러 표면을 빠르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신속한 조리가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case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avity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since a plurality of heat sources can quickly heat various surfaces of food, more rapid cooking is possible.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메인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열원모듈이 배치된 상기 케이스의 제1측면의 반대편에 형성된 제2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메인제어부는 열원이 배치되지 않아 넓게 확보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인버터제어를 위한 부품들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may be disposed on a second side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ide surface of the case wher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can be disposed at a widely secured location without a heat source, and a sufficient space for mounting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inverter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의 이너후판과 아웃케이스의 아웃후판 사이에는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후판과 상기 아웃후판 사이에는 단열후판이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단열후판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발열체인 상기 전원부가 상기 단열후판에 배치되면, 상기 캐비티 내부이 고열이 상기 전원부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thick plate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case and the outer thick plate of the outer case. In this case, an insulated thick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thick plate and the outer thick plate, and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insulated thick plate. When the power supply unit, which is a heating element,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pl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direct transfer of high heat inside the cavity to the power supply unit.
그리고, 상기 제3열원모듈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어셈블리와, 내부에 히터부가 배치되는 무빙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고정어셈블리와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열원모듈에 의한 조리물의 가열레벨이 조절될 수 있고,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may include a fixed assembly fixed to the case and a moving assembly having a heater unit disposed therein. The moving assembly may have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fixed assembly. Accordingly, the heating level of the food by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can be adjusted and heat loss can be reduced.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캐비티의 중심을 향하도록 거리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상기 케이스의 아웃전판에 결합되는 상기 단열상판의 앞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는 조리물의 높이를 측정하여, 조리물의 상태에 따라 조리모드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리센서가 상기 단열상판의 앞부분에 배치되므로, 상기 거리센서는 보다 효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A distance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case to face the center of the cavity. The distance sensor may be disposed at a front portion of the insulating top plate coupled to the outer plate of the case. The distance sensor may measure the height of the food and actively control the cooking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food. In addition, since the distance sensor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insulating top plate, the distance sensor can be cooled more efficiently.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캐비티가 형성된 이너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아웃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과 상기 제2열원모듈은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3열원모듈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이너상판에 형성된 상판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티로 노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 may include an inner case in which the cavity is formed and an outer case disposed outside the inner cas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respectively,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exposed to the cavity through an upper plat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It can be.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캐비티를 향해 개방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가 상기 이너케이스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흡기구를 덮는 공급덕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캐비티 내부로 공기를 원할하게 공급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inner case,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that open toward the cavity may b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inner case, and a supply duct covering the intake por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 The supply duct can smoothly supply air into the cavity.
또한, 상기 공급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흡기구를 덮을 수 있고, 상기 공급덕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공급덕트의 타단부를 개폐하는 덕트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개폐되면서 캐비티 내부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end of the supply duct may cover the intake port, and a duct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ther end of the supply duct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ly duct. The duct assembly may selectively supply air into the cavity while being opened and closed.
그리고,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제1열원모듈을 구성하는 웨이브가이드가 배치된 상기 이너케이스의 이너측판에 배치되되, 상기 공급덕트는 상기 웨이브가이드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급덕트는 웨이브가이드와 간섭없이 배치될 수 있다. The supply duct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plate of the inner case where the wave guide constituting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and the supply duct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wave guide. Therefore, the supply duct can be arrang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waveguide.
또한, 상기 덕트어셈블리는 상기 냉각팬모듈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팬모듈이 토출한 공기가 상기 덕트어셈블리로 유입될 수 있다. Also, the duct assembly may be disposed below the cooling fan module. Accordingly, ai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an module may flow into the duct assembly.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상기 배기구를 덮는 배기덕트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기덕트의 일단부는 상기 배기구를 덮고 타단부는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 사이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는 캐비티에서 배출된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The inner case may include an exhaust duct covering the exhaust port, and one end of the exhaust duct may cover the exhaust port and the other end may be open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exhaust duct may guide air discharged from the cavity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메인제어부가 배치된 상기 이너케이스의 이너측판에 배치되되,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메인제어부 보다 상기 도어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열원모듈의 하부를 지나면서 제2열원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xhaust duct may be disposed on an inner side plate of the inner case where the main control unit is disposed, and the exhaust duct may be disposed farther from the door than the main control unit.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duct may cool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while passing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이때, 상기 배기덕트에는 습도센싱모듈 또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습도센싱모듈과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상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a humidity sensing module and a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exhaust duct. Since the exhaust duct is a part through which the air inside the cavity is discharged, the humidity sensing module and the temperature sensor can accurately measure the air condition inside the cavity.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은 상기 캐비티 내부의 상태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제어부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조리모드를 조절할 수도 있다.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avity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camera module may capture a state inside the cavity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main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ler may provide the captured image to a user or adjust a cooking mod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또한, 상기 이너케이스의 상판에는 단열상판이 결합되고, 상기 단열상판에는 냉각팬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모듈이 상기 단열상판에 배치되므로, 상기 캐비티의 고열이 상기 냉각팬모듈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nsulating upper plate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and a cooling fan module may be disposed on the insulating upper plate. Since the cooling fan module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upper plate, direct transfer of high heat from the cavity to the cooling fan module may be prevented.
이때, 상기 단열상판이 상기 이너케이스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팬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팬관통부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팬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팬모듈은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사이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fan through-portion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sulation upper plate protruding more rearward than the inner case, and the cooling fan module may be disposed above the fan-through portion. Accordingly, the cooling fan module can naturally discharge air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그리고, 상기 제3열원모듈을 중심으로 상기 제3열원모듈의 주변에는 복수의 냉각팬모듈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냉각팬모듈들 중 어느 하나는 다른 냉각팬모듈과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기 냉각팬모듈들은 상기 제3열원모듈을 여러방향에서 냉각할 수 있고, 공기가 유동하는 연속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Also, a plurality of cooling fan modules may be disposed arou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with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s the center. Als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oling fan modules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ther cooling fan modules. The cooling fan modules arranged in this way can cool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n various directions and form a continuous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s.
또한, 상기 아웃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제3열원모듈이 배치된 제1전장실을 향해 개방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아웃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제2열원모듈의 하부가 배치된 제2전장실을 향해 개방되는 공기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배출부가 모두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되므로,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공기의 흡입/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n air intake part may b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that opens toward the first electrical compartment in which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and a second heat source modul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ase. An air discharge unit opened toward the control room may be formed. As such, since both the air intake unit and the air discharge unit are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even if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air intake/discharge can be performed smoothly.
그리고, 상기 케이스에는 메인제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제1열원모듈, 상기 제2열원모듈 및 상기 제3열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한 제어방법은 조리레벨이 입력되는 단계와, 입력된 상기 조리레벨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열원모듈, 상기 제2열원모듈 및 상기 제3열원모듈의 동작모드가 각각 선택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된 조리레벨에 따라 각 열원의 동작모드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복수의 열원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조리물이 적절하게 조리될 수 있다.A main controller may be disposed in the case, and the main controller may control operations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t this time, the control method by the main controller includes inputting a cooking level, and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by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input cooking level. A step of selecting each may be included. Accordingly, the operation mode of each heat sourc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cooking level, and food may be appropriately cooked while the plurality of heat sources operate in combination.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는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제1열원모듈과, 유도가열 방식의 제2열원모듈과 함께,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제3열원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도가열 방식의 제2열원모듈은 용기의 바닥면을 빠른 속도로 가열할 수 있으므로 나머지 열원과 함께 조리기기의 조리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heat source module that generates microwaves, a second heat source module that uses induction heating,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that generates radiant heat.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of the induction heating method can heat the bottom surface of the vessel at a high speed, the cooking speed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ncreased along with the other heat sources.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열원모듈 내지 제3열원모듈은 동시에 조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열원들이 음식물의 여러 표면을 빠르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신속한 조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heat source modules may simultaneously perform a cooking function. Accordingly, since a plurality of heat sources can rapidly heat various surfaces of food, more rapid cooking may b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서 제1열원모듈 내지 제3열원모듈은 케이스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되고, 음식물의 여러 표면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여러 부위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heat source module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ase, and can heat various surfaces of food. Therefore,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venly cooking various parts of food as a whole.
특히, 제2열원모듈과 상기 제3열원모듈은 캐비티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열원모듈과 제3열원모듈은 조리물의 하부와 상부를 각각 가열할 수 있고, 제2열원모듈과 직접 닿지 않는 조리물의 상부도 고르게 조리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a cavity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ly,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can heat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food, respectively, and the upper part of the food that is not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can be evenly cooked.
또한, 제1열원모듈 내지 제3열원모듈은 고주파진동, 전도 및 복사 등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열원모듈 내지 제3열원모듈의 여러 조합들을 통해 다양한 조리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o third heat source modules may cook food in different ways such as high-frequency vibration, conduction, and radiation. Therefore, various cooking modes can be provided through various combinations of the first to third heat source modules, and the usabil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increas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조리기기의 바닥에는 유도가열 열원인 제2열원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리기기의 바닥에는 별도의 턴테이블 구조 없이 유도가열 열원만 배치되므로 조리기기의 바닥부가 평판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바닥면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도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heat source module serving as an induction heating heat source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At this time, since only the induction heating heat source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without a separate turntable structure,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have a flat plate structure, thereby making it easy to clean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또한, 본 발명에서 제2열원모듈은 유도가열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인버터제어를 이용한 선형 출력을 통해 조리온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조리온도를 보다 세밀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 조리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operates in an induction hea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oking temperature through a linear output using an inverter control. Therefore, the user can more precisely and accurately control the desired cooking temperature, so that cooking convenience can be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3열원모듈은 이동모듈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제3열원모듈이 이동모듈을 따라 음식물에 가깝게 이동하면 열손실을 줄일 수 있고,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can be moved up and down by the moving module. Whe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moves closer to the food along the moving module, heat loss can be reduced and cooking time of the food can be further shortened.
또한, 본 발명에서 케이스에는 거리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거리센서는 음식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높이에 맞는 조리방식을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distance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case. The distance sensor may measure the height of the food, and the cooking appliance may automatically select a cooking method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food. 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oking convenience.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거리센서를 통해 조리시간에 따른 음식물의 높이변화를 측정할 수 있고, 음식물의 높이에 따라 조리방식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조리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a change in height of food according to cooking time through a distance sensor, and can actively control a cooking method according to the height of food. Accordingly,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oking quality of food.
또한, 본 발명에서 냉각팬모듈은 케이스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발열이 일어나는 전원부는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모듈은 케이스의 측면과 후면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전원부 및 열원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ing fan module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dge of the case, and the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hea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ase. The cooling fan module can effectively cool the power unit and heat sources by discharging air toward the side and rear sides of the case.
그리고, 본 발명에서 냉각팬모듈, 거리센서, 카메라모듈, 조명장치, 전원부 등의 부품들은 캐비티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에 직접 장착되지 않고, 이너케이스에 결합되는 단열상판이나 단열후판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 내부의 고열이 부품들에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되고, 부품들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s such as a cooling fan module, a distance sensor, a camera module, a lighting device, and a power supply unit are not directly mounted on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cavity, but can be mounted on an insulating top plate or an insulating thick plate coupled to the inner case. . Therefore, high heat inside the cavity is not directly transferred to the parts, and durability of the parts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입력된 조리레벨에 따라 각 열원의 동작모드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열원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조리물이 적절하게 조리될 수 있고, 조리물의 조리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of each heat source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cooking level. Accordingly, while the plurality of heat sources operate in a complex manner, the food may be appropriately cooked, and the cooking quality of the food may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아웃측판 및 아웃상판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품들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구조를 도 3과 반대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와 아웃케이스를 제거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와 아웃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도 2와 반대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VII-V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및 아웃케이스 중 일부를 생략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및 아웃케이스 중 일부를 생략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및 아웃케이스 중 일부를 생략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및 아웃케이스 중 일부를 생략한 상태를 보인 우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들 중 도어 및 아웃케이스 중 일부를 생략한 상태를 보인 좌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배기덕트가 이너케이스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 아웃전판, 아웃상판 및 제2열원모듈모듈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와 제1열원모듈모듈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와 제1열원모듈모듈의 구성이 결합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아웃상판과, 아웃상판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모듈과 거리센서모듈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단열후판과 단열후판에 배치되는 전원부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열원모듈모듈의 부품들이 서로 분해된 상태로 도시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열원모듈모듈의 부품들중에서 하부서포터와 워킹코일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열원모듈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열원모듈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열원모듈모듈이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3열원모듈모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제3열원모듈모듈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제3열원모듈이 제1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제3열원모듈이 제2위치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1은 도 27에 도시된 제3열원모듈이 제1위치에 배치되어 작동핀에 의해 위치스위치가 눌린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거리센서와 조명장치가 아웃상판에서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거리센서가 아웃상판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거리센서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거리센서가 아웃상판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카메라센서가 이너케이스에서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카메라센서가 이너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카메라센서의 부품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9는 도 36에 도시된 카메라센서의 부품 중 카메라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카메라센서가 이너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카메라센서가 이너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도 4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카메라센서가 이너케이스에 배치된 상태를 캐비티 안쪽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배기덕트와, 배기덕트에 배치된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냉각팬모듈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덕트모듈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덕트모듈의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8은 도 47에 도시된 제2실시례를 도 47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9는 도 47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0은 도 47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51은 도 47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좌측면도.
도 52는 도 47에 도시된 제2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우측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view of the remaining parts except for a door, an outer side plate, and an outer top plate among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Figure 3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ure 3;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nd the outer case are removed in one embodiment of Figure 1;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and the outer case are removed in one embodiment of Figure 1 from the opposite angle to Figure 2;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1;
8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a door and an outer case among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a door and an outer case among componen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10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a door and an outer case among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11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a door and an outer case among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1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a door and an outer case among parts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1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haust duct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n inner cas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case, an outer plate, an outer top plate, and a second heat source modul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case and a first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ner cas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heat source module in a coupled state;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top pl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cooling fan module and a distance sensor module disposed on the outer top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ulated thick pl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wer supply unit disposed on the insulated thick plate in an exploded state;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parts of a secon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lower supporter and a working coil assembly among parts of a secon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con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con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3 to 26 are assembly flow chart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hird heat source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shown in FIG. 27;
2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shown in FIG. 27 disposed in a first position;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shown in FIG. 27 disposed in a second position;
3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shown in FIG. 27 is disposed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position switch is pressed by the operating pin;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tance sensor and a lighting devic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assembled from an outer top plate;
3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tance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outer top plate;
3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parts of a distance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tance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outer top plate;
3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sens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rom an inner case;
3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sens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nner case;
3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parts of the camera sensor shown in FIG. 36;
3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housing among parts of the camera sensor shown in FIG. 36;
4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sensor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nner case;
4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sens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nner case from a different angle from that of FIG. 40;
4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camera sens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n inner case, viewed from inside the cavity;
4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configurations of an exhaust duc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umidity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disposed in the exhaust duct;
4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parts of the second cooling fan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uct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parts of a duct module constituting one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7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that of FIG. 47;
4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7;
50 is a rear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7;
51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7;
52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7;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복수개의 열원들을 이용하여 조리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하 '조리물'이라 함)을 조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및 제3열원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400), 상기 제2열원모듈(50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복수개의 열원들과, 열원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냉각팬모듈), 그리고 조리기기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oking food to be cook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oked water') using a plurality of heat sources.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캐비티(S)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S)는 도어(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를 제외한 조리기기의 나머지 부분은 케이스(100,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조리실로 볼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200)는 다시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아웃케이스(200)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1 shows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this embodiment, a cavity S is form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nd the cavity S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도 1을 기준으로 본 실시례에서 제1열원모듈(400)은 조리기기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열원모듈(500)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열원모듈(600)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및 제3열원모듈(600)은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6면 중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도 2에는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되어,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도면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승강되면서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 즉 제2열원모듈(50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In FIG. 2 , parts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are disassembled, and the third
이와 달리,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조리기기의 우측에 배치되고, 제3열원모듈(600)은 조리기기의 후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이동되지 않고 케이스(100,200)에 고정된 상태일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케이스(100,200)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100)는 상기 캐비티(S)를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는 한 쌍의 이너측판(110)과, 상기 한 쌍의 이너측판(110) 사이를 연결하는 이너후판(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너측판(110)과 상기 이너후판(120)은 대략 ㄷ자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S)의 상부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 의해 차폐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제2열원모듈(5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의 하부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에 의해 차폐된다고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과 상기 제3열원모듈(600)도 상기 캐비티(S)를 둘러싸는 이너케이스(100)의 일부라고 볼 수도 있다. The third
상기 한 쌍의 이너측판(110)에는 흡기구(123) 및 배기구(12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23)과 상기 배기구(125)는 한 쌍의 측판에 각각 형성되므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흡기구(123)와 상기 배기구(125)는 각각 상기 캐비티(S)를 향해 개방되어, 상기 캐비티(S)를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다. An
상기 흡기구(123)는 상기 캐비티(S)를 향해 개방된다. 상기 흡기구(123)가 형성된 상기 측판의 바깥쪽 표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공급덕트(910)가 배치되어, 상기 흡기구(123)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 의해 조리되는 조리물에서는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상기 캐비티(S)의 내부에 습기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캐비티(S)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흡기구(123)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고, 반대편에 있는 배기구(125)를 통해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구(12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100,2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방열(냉각)작용을 한 공기중 일부일 수 있다. The
도 3을 보면, 상기 이너후판(120)에는 카메라장착부(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카메라모듈(73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착부(128)는 상기 캐비티(S)에서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고, 반대로 이너후판(120)의 뒤쪽에서 보면 돌출된 구조로 볼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착부(128)는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상기 캐비티(S)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이너후판(12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구체적인 구조는 아래에서 카메라모듈(730)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3 , a
상기 이너측판(110)의 상부에는 이너상판(16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상판(16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상판(160)의 중심부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상판개구부(162, 도 14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판개구부(162)를 통해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승강될 수 있다. An inner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상판(160)에는 쵸크부(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쵸크부(161)는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전자파가 캐비티(S)와 상기 상판개구부(162)의 틈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쵸크부(161)는 상기 상판개구부(16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 a
상기 이너상판(160)에는 조명장착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165)는 상기 이너상판(16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16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명장치(79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장착부(165)는 상기 도어(300)에 가까운 상기 이너상판(160)의 앞부분 중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A
그리고,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조명장착부(165)는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장치(790)가 상기 조명장착부(165)에 배치되면 빛을 조사하는 각도가 상기 캐비티(S)의 중심을 향해 경사진 방향이 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4에서 도면부호 163은 센싱홀을 나타내는데, 상기 센싱홀(163)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거리센서(710)가 배치될 수 있다. And, referring to FIG. 14 , the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는 아웃케이스(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아웃케이스(2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인 전장실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장실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메인제어부(700), 제1냉각팬모듈(810), 제2냉각팬모듈(850)와 전원부(7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 역시 상기 이너케이스(100)와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An
도 2를 보면,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한 쌍의 아웃측판(210), 상기 한 쌍의 아웃측판(210) 사이를 연결하는 아웃후판(220), 상부에 배치되는 아웃상판(230), 전방에 배치되는 아웃전판(240) 및 아웃하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웃케이스(20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외면을 모두 감쌀 수 있고, 따라서 외부에서는 상기 이너케이스(100)가 상기 아웃케이스(200)에 의해 감추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상기 아웃후판(220)의 일부는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후판(220)의 일부가 분리되면 후판관통부(221a)를 통해서 제3전장실(ES3) 내부가 노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노출된 제3전장실(ES3)의 내부로 접근하여 부품을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면부호 222는 파워케이블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케이블관통부이다. A part of the
상기 아웃상판(230)은 대략 사각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상판(230)은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아웃상판(230)은 상기 조리기기의 상부에서 가장 바깥쪽에 배치된 부품으로 볼 수 있다. The outer
상기 아웃상판(230)의 앞부분에는 상판차폐부(2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판차폐부(232)는 상기 아웃상판(230)의 앞부분이 직교하게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판차폐부(232)는 아래에서 설명될 디스플레이모듈(35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기판(미도시)을 뒤쪽에서 지지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내부구조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부호 235는 와이어하네스의 일부를 후방으로 통과시킬 수 있는 구멍을 나타내는데, 생략될 수도 있다. A top
상기 아웃전판(240)은 상기 도어(3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웃전판(24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아웃전판(240)의 중심부는 관통되어 상기 캐비티(S)의 내부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아웃전판(24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이너측판(110)의 앞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웃전판(240)은 상기 아웃케이스(200)의 일부가 아니라 이너케이스(1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The out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웃전판(240)의 높이는 상기 이너케이스(100)를 구성하는 상기 이너측판(110) 보다 높아서, 상기 아웃전판(240)의 상단 후방과 하단 후방에는 각각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빈 공간은 부품이 실장되는 전장실들을 구성함과 동시에, 부품의 방열을 위한 방열공간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웃전판(240)에서 상기 이너측판(110)의 위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의 후방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냉각팬모듈(810), 제2냉각팬모듈(850), 그리고 제3열원모듈(600)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out
상기 아웃전판(240)에는 공기흡입부(242)와 공기배출부(243)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부(242)는 상기 아웃전판(2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배출부(243)는 상기 아웃전판(24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 8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공기흡입부(242) 및 상기 공기배출부(243)는 각각 상기 아웃전판(240)의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기흡입부(242)를 통해 외기가 제1전장실(ES1)로 유입되어 열원들을 포함하는 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고, 부품들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n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공기흡입부(242)는 상기 아웃전판(240)에서 상기 이너측판(110)의 위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242)의 후방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이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공기흡입부(242)를 통해서 상기 아웃상판(230)과 상기 이너상판(160)의 사이에 마련된 제1전장실(ES1)로 유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상기 공기배출부(243)는 상기 아웃전판(240)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 보다 아래쪽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243)의 후방에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과 상기 아웃하판(250) 사이에 형성된 제2전장실(ES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242)를 통해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전장실(ES2)을 거친 후에 상기 공기배출부(243)로 배출될 수 있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전판(240)의 아래쪽에는 힌지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홀(244)은 상기 도어(300)의 힌지조립체(미도시)가 통과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힌지조립체는 상기 힌지홀(244)을 통과하여, 상기 아웃하판(250)에 구비된 힌지홀더(253)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상기 아웃전판(240)의 상부에는 커넥터부(2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45)는 상기 아웃전판(2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45)는 메인제어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부(245)에 접촉하여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45)는 생략되거나, 상기 아웃후판(220) 또는 아웃측판(2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A
상기 아웃전판(240)의 후방에는 차폐프레임(24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폐프레임(247)은 상기 아웃전판(240)의 공기흡입부(242)의 뒤쪽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와이어하네스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의 부품을 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차폐프레임(247)에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흡입부(24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통과시킬 수 있다. A shielding
상기 아웃케이스(200)에는 아웃하판(25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웃하판(25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아웃하판(250)은 상기 아웃후판(220)과 상기 아웃전판(240)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아웃하판(250)은 후술할 단열후판(280)과도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아웃하판(250)은 상기 제2열원모듈(500)과 이격될 수 있고, 이격된 부분에 제2전장실(ES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참고로 도 6에는 상기 아웃하판(250)이 생략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아웃전판(240) 및 단열후판(280)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제2전장실(ES2)이 마련된다. 상기 제2전장실(ES2)을 통해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For reference,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lower out
한편, 앞서 설명한 전장실을 정의하면, 상기 전장실은 복수의 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장실은 제1전장실(ES1) 내지 제5전장실(ES5)로 구분할 수 있다. (i) 제1전장실(ES1)은 이너상판(160)과 아웃상판(230) 사이에 형성되고(도 9참조), (ii) 제2전장실(ES2)은 제2열원모듈(500)과 아웃하판(250) 사이에 형성되며(도 7참조), (iii) 제3전장실(ES3)은 후술할 단열후판(280)과 아웃후판(220) 사이에 형성되고(도 10참조), (iv) 제4전장실(ES4)과 제5전장실(ES5)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이너측판(110)과 한 쌍의 아웃측판(210) 사이에 형성된다.(도 11 및 도 12참조) 이러한 제1전장실(ES1)과 제5전장실(ES5)은 임의로 구분한 것이며, 이들 사이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Meanwhile, if the aforementioned control room is defined, the control room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room may be divided into a first control room (ES1) to a fifth control room (ES5). (i) The first electrical chamber ES1 is formed between the inner
이때, 상기 각 전장실은 상기 케이스의 각 면에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1전장실 내지 제5전장실(ES1~ES5)은 육면체인 상기 케이스의 서로 다른 각 면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및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케이스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At this time, it can be seen that each electrical chamber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case. The first to fifth electrical chambers ES1 to ES5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ase, which is a hexahedr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상기 아웃케이스(200)에는 단열상판(27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열상판(270)은 상기 아웃상판(230)과 상기 이너상판(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S)는 조리과정에서 높은 열을 발생시키므로 상기 이너상판(160)의 온도도 높아질 수 있다. 상기 단열상판(270)은 이너상판(160)으로부터 상기 아웃상판(230)으로 전달되는 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단열상판(270)은 상기 이너상판(160)과 마찬가지로 중심부가 관통된 사각틀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에 형성된 이동개구부(272)는 상기 이너상판(160)의 상판개구부(162)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이동개구부(272)와 상판개구부(162)를 통해서 제3열원모듈(600)이 이동할 수 있다. The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거리센서(710)와 냉각팬모듈(810,8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와 상기 냉각팬모듈(810,850)이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므로, 캐비티(S)의 열이 상기 거리센서(710)와 상기 냉각팬모듈(810,85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리센서(710)와 냉각팬모듈(810,85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to 5 , a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조명관통부(2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관통부(273)는 앞서 설명한 상기 이너상판(160)의 조명장착부(16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관통부(273)를 통해서 상기 조명장치(790)가 상기 조명장착부(165)에 안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 a
상기 단열상판(270)에서 상기 조명관통부(273)와 인접한 위치에는 센서장착부(2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74)는 상기 단열상판(270)에서 상기 도어(300)에 가까운 앞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74)에는 상기 거리센서(71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장착부(274)와 상기 이너상판(160)의 상면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단열상판(270)의 가장자리가 이너상판(160)에 밀착되고,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부는 위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장착부(274)의 하부와 상기 이너상판(16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인 단열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상판(160)의 열이 상기 거리센서(710)와 냉각팬모듈(810,850)에 전달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A
이처럼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센서장착부(274)에 배치되면, 상기 거리센서(710)의 거리센싱부(720)는 상기 캐비티(S)의 중앙부를 향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싱부(720)는 상기 이너상판(160)의 센싱홀(163)을 통해서 상기 캐비티(S)의 중심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와 고정어셈블리(64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보호커버(276, 도 28 참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커버(276)는 단열상판(270)의 중심에 형성된 팬관통부(278a,278b)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76)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A protective cover 276 (see FIG. 28 ) blocking electromagnetic waves through a gap between the moving
도 6을 보면,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팬관통부(278a,27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관통부(278a,278b)는 상기 단열상판(270)이 상기 이너케이스(100)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관통부(278a,278b)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관통부(278a,278b)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단열후판(280)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fan through-
상기 팬관통부(278a,278b)는 상기 제3전장실(ES3)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팬관통부(278a,278b)의 한쪽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관통부(278a,278b)의 아래쪽에는 전원부(77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관통부(278a,278b)를 통해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아래쪽, 즉 상기 전원부(770)로 배출될 수 있다. The fan through-
본 실시례에서 상기 팬관통부(278a,278b)는 제1관통부(278a)와 제2관통부(278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278a)와 제2관통부(278b)는 각각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을 구성하는 제1구동블레이드(825a)와 제2구동블레이드(825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관통부(278a)는 상기 전원부(770) 중 고압트랜스(771)를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제2관통부(278b)는 상기 제1관통부(278a) 보다 상기 제3전장실(ES3)의 중앙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an through
도 2를 보면, 상기 이너후판(120)과 상기 아웃후판(220) 사이에는 단열후판(2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후판(280)은 상기 이너후판(120)에 결합되고, 상기 아웃후판(220)과의 사이에는 제3전장실(ES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후판(280)은 상기 단열상판(270)과 마찬가지로, 상기 이너후판(120)으로부터 상기 아웃후판(220)으로 전달되는 열을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n insulating
도 3과 도 4를 보면, 상기 단열후판(280)은 사각판상일 수 있다. 상기 단열후판(280)의 한쪽면은 상기 이너후판(120)을 향하고, 반대쪽면은 상기 아웃후판(220)을 향할 수 있다. 상기 단열후판(280)은 상기 이너후판(120)에 결합되고, 상기 아웃후판(220)을 향한 상기 단열후판(280)의 표면(281, 도 18 참조)에는 상기 전원부(77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상판(160)의 열이 상기 전원부(77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상기 단열후판(280)이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insulating
상기 단열후판(280)의 하부에는 스페이서(2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82)는 상기 단열후판(280)에서 아래쪽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282)는 상기 단열후판(280)의 하단이 상기 아웃하판(250)과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스페이서(282)에 의해 형성된 상기 단열후판(280)의 하단과 상기 아웃하판(25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다. 도면부호 283은 공기가 유동되는 통기부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스페이서(282)는 상기 단열후판(280)에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상기 단열후판(280)에 조립되는 별개물일 수도 있다. A
도 1을 보면, 상기 아웃전판(240)의 앞에는 도어(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는 상기 캐비티(S)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300)는 하부에 구비된 힌지조립체가 상기 아웃하판(250)에 구비된 힌지홀더(253, 도 2 참조)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0)의 투시부(3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져, 외부에서 상기 캐비티(S)를 관찰할 수 있다. 도면부호 320은 상기 도어(300)의 손잡이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 a
상기 도어(300)의 측면에는 좌우프레임(330)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하부프레임(340)이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도어(300)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들 프레임들은 상기 투시부(310)를 둘러 상기 도어(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eft and
그리고, 상기 도어(300)의 상부에는 디스플레이모듈(3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은 조리기기의 조리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의 아래쪽에는 상기 공기흡입부(242)가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이 상기 공기흡입부(242)를 간섭하지 않게 된다. Also, a
상기 이너케이스(100)에는 제1열원모듈(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마이크로파를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 중 이너측판(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상기 한 쌍의 이너측판(110) 중 좌측에 배치된 이너측판(11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그리고,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마그네트론(410)은 상기 단열후판(280)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상기 제4전장실(ES4)과 제5전장실(ES5)에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두 면을 따라 배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마그네트론(410)도 상기 웨이브가이드(420)와 함께 상기 이너측판(110)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한 쌍의 이너측판(110) 중 우측에 배치된 이너측판(110)의 바깥쪽에 배치되거나, 상기 이너후판(12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Also, since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410, magnetron)과, 상기 마그네트론(410)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캐비티(S)로 안내하기 위한 웨이브가이드(420)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그네트론(410)은 상기 웨이브가이드(420)가 상기 이너측판(110)에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3 and 4, the first
상기 마그네트론(410)은 상기 이너측판(110)에서 돌출된 부분에 장착되므로,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마그네트론(410)이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되면, 상기 마그네트론(410)은 제1냉각팬모듈(81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Since the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웨이브가이드(420)에는 상기 이너측판(110)을 향해 개방된 가이드공간(421)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브가이드(420)에는 상기 웨이브가이드(420)를 통해 전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난반사 시키기 위한 스터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부호 430은 스터러의 회전을 위한 스터러모터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부호 431은 상기 스터러모터를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을 나타낸 것이다.15 and 16, a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웨이브가이드(420)에는 장착플레이트(415)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플레이트(415)에는 상기 마그네트론(4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론(410)이 발생시키는 마이크로웨이브는 상기 웨이브가이드(420)를 통해 상기 캐비티(S)로 전달될 수 있다. 도면부호 450은 상기 캐비티(S)를 향한 이너측판(110)에 결합되는 커버로, 상기 커버(450)는 상기 스터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6, a mounting
다음으로 제2열원모듈(500)을 살펴보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조리물을 빠르게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바닥을 구성한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상부는 상기 캐비티(S)로 노출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econd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인버터방식으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을 제어하여, 제2열원모듈(500)의 파워를 선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열원모듈(500)은 세부적인 제어가 가능할 수 있다. The second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상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두기 위한 용기(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B)의 바닥부는 스테인레스강판과 같은 자성을 가진 금속재질일 수 있다. 워킹코일(570)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상기 용기(B)가 가열되면, 상기 용기(B)에 담긴 조리물도 함께 가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a container B for placing food on top of the second
도 1을 보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중심부에는 상기 용기(B)가 안착되는 커버플레이트(5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구성하는 히터부(610, 도 28참조)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물의 하부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에 의해 가열되고, 상부는 제3열원모듈(60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도 19 내지 도 22에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2열원모듈(500)에는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서포터(5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의 사이에는 장착브라켓(530), 차폐필터(540) 및 코일조립체(5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간의 결합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19 to 22 show the structure of the secon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중심에 베이스홀(512)이 관통된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이너케이스(100)의 하판으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홀(512)에는 상기 커버플레이트(580)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비자성체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자성체인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성체 성분으로 구성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제1열원모듈(400)이 발생시킨 마이크로파가 워킹코일(570)에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도 20을 보면, 상기 서포터(520)는 대략 원판형상이고, 상기 서포터(520)에는 방열을 위한 복수개의 방열슬릿(5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520)의 상면(521)에는 코일조립체(550)를 구성하는 코일베이스(560)와 워킹코일(5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20)는 전자파 간섭(EMI)을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0 , the
도 21을 보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내부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의 사이에는 상기 장착브라켓(5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를 연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cond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장착브라켓(530) 사이는 용접으로 결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530)과 상기 서포터(520) 사이는 스크류체결로 결합된다. 이와 달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 사이도 스크류체결될 수 있고, 상기 장착브라켓(530)과 상기 서포터(520) 사이는 용접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도 스크류체결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코일조립체(550)는 상기 서포터(520)에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장착브라켓(5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도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조립체(550)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는 복수의 요철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철구조는 상기 장착브라켓(530), 상기 차폐필터(540) 및 상기 코일베이스(56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요철구조와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사이에 상기 차폐필터(540)가 배치된다.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요철구조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The
도 21과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홀(512)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는 필터커버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부(513)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는 상기 필터커버부(513)와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필터지지부(561) 사이에 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상기 차폐필터(54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틈을 통해 상기 워킹코일(570) 방향으로 누설되지 않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1 and 22 , a
상기 필터커버부(513)의 바깥쪽에는 함몰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14)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서 아래쪽으로 함몰된 부분으로, 상기 필터커버부(513)를 둘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부(513)에서 상기 함몰부(514)로 이어지는 부분에는 제1경사부(5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513a)는 아래에서 설명될 코일베이스(560)의 제2경사부(561a)와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A recessed
이때,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틈으로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또한, 상기 제1경사부(513a)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 부분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513a)가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 부분을 아래쪽, 즉 도 21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차폐필터(54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폐필터(5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Also, the first
상기 함몰부(514)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필터커버부(513)의 반대편에는 안착부(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15)의 상면에는 커버플레이트(5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515)의 바깥쪽에는 상기 안착부(515)를 둘러 안착펜스(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펜스(516)는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580)의 가장자리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상기 안착펜스(516)의 안쪽에 정렬될 수 있다. A
이때,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안착부(515)는 상기 필터커버부(513)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상기 필터커버부(513)에는 닿지 않고, 상기 안착부(515)에만 닿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580)와 상기 차폐필터(540) 사이도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열원모듈(500)이 동작할 때 상기 커버플레이트(580)에 발생되는 진동이 감소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2 , the
도 21을 보면, 상기 서포터(520)에는 방열을 위한 복수개의 방열슬릿(52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520)에는 상기 코일베이스(560)와의 결합을 위한 제1체결홀(52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미도시)와 같은 체결구가 상기 제1체결홀(526)에 결합되면,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가 조립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1 ,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slits 525 for heat dissipation may be formed in the
상기 서포터(520)에는 가이드돌기(5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27)는 상기 장착브라켓(530)에 형성된 가이드홀(537)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27)가 상기 서포터(520)에 끼워지면,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장착브라켓(530) 사이의 초기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520)의 제2체결홀(528)과 상기 장착브라켓(530)의 브라켓체결홀(538)이 연결되면, 여기에 볼트나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A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대략 원형틀 형상이고, 중심부에는 브라켓관통부(5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9에서 보듯이,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넓은 브라켓하부(531)과, 직경이 좁은 브라켓상부(534)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브라켓하부(531)와 브라켓상부(534) 사이는 경사진 형태의 브라켓연결부(5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The mounting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530)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 사이에 배치되므로, 적어도 상기 장착브라켓(530)의 높이만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 사이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서포터(52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코일조립체(5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연결부(533)의 높이가 상기 장착브라켓(530)의 높이가 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mounting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상기 서포터(520)와는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또는 상기 서포터(520)의 일부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일부이거나, 상기 서포터(520)의 일부일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별개물인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생략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도 21과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브라켓상부(534)는 상기 안착부(515)의 하부에 적층될 수 있는데, 상기 브라켓상부(534)는 상기 안착펜스(516)와 상기 함몰부(514) 사이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브라켓상부(534)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사이는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bracket
상기 브라켓연결부(533)에는 방열을 위한 브라켓방열홀(5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방열홀(535)은 측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방열홀(535)을 통해서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 사이의 열이 방출될 수 있고,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상기 브라켓방열홀(535)로 유입되어 상기 코일조립체(550)를 냉각시킬 수도 있다. A bracket
한편, 상기 브라켓하부(531)는 상기 서포터(520)의 가장자리 부분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하부(531)에는 상기 가이드홀(537)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537)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서포터(520)의 가이드돌기(527)가 끼워질 수 있다. 도면부호 538은 앞서 상기 서포터(520)의 제2체결홀(528)과 연결되는 브라켓체결홀(538)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하부(531)는 상기 서포터(520)와 스크류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racket
상기 커버플레이트(580)와 상기 코일조립체(550)의 사이에는 차폐필터(5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필터(540)는 대략 원판구조이고, 상기 워킹코일(57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상기 워킹코일(570)로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폐필터(540)는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카본 직물, 카본 페이퍼, 카본 펠트,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A shielding
이처럼, 상기 차폐필터(540)가 그라파이트, 그래핀, 카본 직물, 카본 페이퍼, 카본 펠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 차폐필터(540)는 높은 전기 전도도로 인해 뛰어난 마이크로파 차폐 성능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필터(540)는 제2열원모듈(500)에 의한 가열은 유지시켜주므로, 제2열원모듈(500)의 가열 성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필터(540)가 그라파이트, 그래핀, 카본 직물, 카본 페이퍼, 카본 펠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면 높은 열 전도도로 인해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된 열을 방출하기에 용이할 수 있다. As such, when the shielding
본 실시례에서, 상기 차폐필터(540)는 그라파이트시트와 마이카시트(운모)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마이카시트가 상대적으로 그라파이트시트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라파이트시트의 두께는 0.2mm 일때, 마이카시트의 두께는 1.0mm 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shielding
상기 차폐필터(540)의 직경은 상기 워킹코일(570)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580) 및 서포터(520)의 직경 보다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필터(540)의 직경은 상기 베이스홀(512)의 직경 보다 크고,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워킹코일(570)의 상부를 완전히 덮어 상기 워킹코일(570)로 전달되는 마이크로파를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워킹코일(570)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은 커버플레이트(580)를 통해서 원활하게 상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diameter of the shielding
상기 차폐필터(540)는 별도의 체결구 없이 상기 제2열원모듈(500)에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체결구가 사용된다면, 체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나, 나사산 등을 통해서 마이크로파가 워킹코일(570) 쪽으로 유입되어 워킹코일(57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구멍의 모서리나 날카로운 나사산 부분에는 전계가 집중되어 아크 방전이 발생될 수 있고, 화재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체결구 없이 차폐필터(540)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적용된다. The shielding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필터커버부(513)와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필터지지부(561)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상기 필터커버부(513)와 상기 필터지지부(561)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를 가압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필터커버부(513)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상면에 면접촉되고, 상기 필터지지부(561)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저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면접촉구조는 상기 차폐필터(540)와 베이스플레이트(510) 및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틈을 줄이고, 마이크로파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The shielding
도 22를 보면, 상기 필터커버부(513)에서 상기 함몰부(514)로 이어지는 부분에 형성된 제1경사부(513a)와, 코일베이스(560)의 제2경사부(561a)는 서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의 사이 간격은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에서 멀어질수록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를 강하게 가압할 뿐 아니라,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 부분이 외부와 접촉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2 , the first
다시 말해,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가 X축 및 Y축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의 틈으로 상기 제1열원모듈(400)에서 발생한 전자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경사부(513a)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끝부분을 도 21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고, 상기 차폐필터(540)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차폐필터(54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rst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반경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차폐필터(540)의 외측단부 보다 바깥쪽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가 상기 차폐필터(540)의 외측단부의 바깥쪽에서 서로 마주보게 되면, 상기 제1경사부(513a)와 상기 제2경사부(561a)가 서로 마주보는 구간이 더 길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물질이 상기 차폐필터(540)의 외측단부로 접촉될 수 있는 경로는 길고 좁은 통로가 되고, 외부 이물질의 차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또한, 도 21과 도 22에서 보듯이, 상기 워킹코일(570)의 외측단부와 상기 차폐필터(540)의 외측단부는 상기 워킹코일(5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필터지지부(561)가 상기 워킹코일(570)의 외측단부 보다 반경방향을 따라 먼 위치에 구비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워킹코일(570)의 외측단부와 필터지지부(561) 사이에는 일종의 빈 공간인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파가 유입될 수 있는 필터커버부(513)-차폐필터(540)의 외측단부-필터지지부(561)의 틈이 워킹코일(570)로부터 멀리 이격될 수 있고, 마이크로파가 워킹코일(57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1 and 22 , the outer end of the working
한편, 도 20에는 코일조립체(55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코일조립체(550)의 코일베이스(560)에는 대략 원형의 베이스몸체(561)가 있고, 여기에는 복수의 코일가이드(5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일가이드(565)는 서로 직경을 달리하는 복수의 동심원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코일가이드들(565)의 사이에는 코일장착홈(566)이 함몰될 수 있고, 상기 코일장착홈(566)에는 워킹코일(570)이 감길 수 있다. 도면부호 563은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리브를 나타낸다. Meanwhile, the structure of the
상기 코일조립체(550)의 중심부에는 고정하우징(577)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하우징(577)에는 제1온도센서(57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578)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온도센서(578)가 측정한 제2열원모듈(500)의 온도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코일조립체(550)에는 상기 워킹코일(570)에 의해 형성되는 자계의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산화철(Fe2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 자성체인 페라이트(Ferrite)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A fixed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베이스홀(512)에는 커버플레이트(5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대략 원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상기 베이스홀(512)을 덮고, 제2열원모듈(500)의 상면을 평면구조로 만들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워킹코일(570)의 자기장이 통과하도록 비금속 성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열 등에 대한 내열성을 갖는 유리 소재(예를 들어, 세라믹 글래스(ceramics glass))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580)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열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아래에는 단열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A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제2열원모듈(500)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23에서 보듯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가 뒤집힌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는 장착브라켓(53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상기 베이스홀(512)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장착브라켓(530)의 브라켓상부(534)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안착부(515)에 적층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상부(534)와 상기 안착부(515)는 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A process of assembling the second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베이스홀(512)을 가리도록 상기 차폐필터(5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단순히 안착될 뿐이며, 용접이나 체결구에 의한 체결공정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24에는 상기 차폐필터(540)가 베이스플레이트(510)의 안착부(515)에 안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의 함몰부(514)에 의해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shielding
이어서, 상기 차폐필터(540)의 위쪽에는 코일조립체(550)와 서포터(52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코일조립체(550)의 코일베이스(560)는 상기 차폐필터(540)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차폐필터(540)를 완전히 가릴 수 있다. 도 21과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코일베이스(560)의 필터지지부(561)는 상기 차폐필터(540)의 가장자리에 면접촉될 수 있다. Subsequently, a
이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520)가 상기 코일조립체(550)의 위쪽에 안착되고,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는 스크류 등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장착브라켓(530)도 스크류 등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530)은 먼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결합된 상태이므로, 상기 장착브라켓(53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서포터(520)와 상기 코일조립체(550)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6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state, the
이 과정에서,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와 상기 코일베이스(560)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즉, 상기 차폐필터(540)는 상기 안착부(515) 및 상기 필터지지부(561)에 양쪽면에 면접촉되고,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가압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shielding
다음으로 도 27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제3열원모듈(6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캐비티(S)의 내부에 복사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는 히터부(610, 도 28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610)는 아래쪽 즉 상기 캐비티(S)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고, 조리물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히터부(610)는 그라파이트 히터(Graphite Heater)일 수 있다. 이러한 히터부는 일종의 브로일(broil) 히터역할을 할 수 있는데, 상기 히터부는 직화열이나 복사열을 이용한 그릴(gril)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Next, the third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 또는 아웃케이스(20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단열상판(27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제1전장실(ES1)에 배치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상부에는 아웃상판(230)이 배치되어,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차폐될 수 있다. 도 1을 보면, 상기 아웃상판(230)에 의해 제3열원모듈(600)이 차폐된 모습을 볼 수 있다. The third
또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캐비티(S)의 바닥, 즉 상기 제2열원모듈(500)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는 무빙어셈블리(630)가 포함되어, 상기 히터부(61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히터부(61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히터부(610)는 승강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the third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히터부(610)가 장착되고, 히터부(610)를 보호하는 무빙어셈블리(630)와, 상기 단열상판(270)에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63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고정어셈블리(6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일측에 구비되어 무빙어셈블리(630)가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링크어셈블리(6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The third
상기 무빙어셈블리(63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 및 아웃케이스(200)와 별개로 이루어져 상기 캐비티(S) 내부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630)는 적어도 상기 히터부(610)의 측방을 감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히터부(610)의 열기가 하측으로 집중되고 측방으로는 발산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상기 무빙어셈블리(630)는 여러 단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는 가장 높이 위치한 제1단계, 중간 높이의 제2단계 그리고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제3단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3단계의 높이일 때 조리물에 전해지는 히터부(610)의 열이 가장 강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높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The moving
상기 무빙어셈블리(630)는 상기 히터부(610)를 감싸 보호하는 히터하우징(632)과,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일단에 구비되어 열이나 전자파를 차단하는 절연부재(6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6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바닥면에는 상기 히터부(610)의 열기가 통과 가능한 하나 이상의 홀(hole)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히터하우징(632)은 후술할 고정프레임(641)과 보호커버(276) 사이의 틈새를 통과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터하우징(632)은 상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네 측면의 두께는 상기 고정프레임(641)과 보호커버(276) 사이의 틈새 크기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히터하우징(632)에는 후술할 고정가이드(642)가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가이드홈(63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좌우 측면에는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함몰된 가이드홈(633)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홈(633)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승할때 상기 고정가이드(642)의 프레임결합부(643)가 수용된다.A
상기 절연부재(63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635)의 측단은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측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연부재(635)의 외관 크기는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측방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승한 경우에 상기 고정프레임(641)과 보호커버(276)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전자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shown, the insulating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내부에는 상기 히터부(610)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610)는 좌우 또는 전후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내부 하단부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을 보면, 총 세 개의 히터부(610)가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에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The
상기 세 개의 히터부(610)들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세 개의 히터부(610)들 중 어느 하나만 동작되거나, 두 개의 히터가 동작될 수도 있고, 세 개의 히터부(610)들이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세 개의 히터부(610)들 중 동작되는 히터부(610)의 개수를 제어하거나, 세 개의 히터부(610)들이 동작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와 히터부(610)의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The three
다음으로 고정어셈블리(640)를 보면, 상기 고정어셈블리(640)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어셈블리(64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6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강제하는 무빙제어수단(670)이 구비될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fixing
상기 링크어셈블리(65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어셈블리(650)는 하나 이상의 링크(link)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어셈블리(650)의 상하단은 각각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와 무빙어셈블리(6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상기 단열상판(270)은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무빙제어수단(670)을 지지하는 고정프레임(641)이 포함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641)은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기 보호커버(276)와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호커버(276)도 상기 단열상판(270)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호커버(276)의 중앙부에도 상기 단열상판(270)과 같이 상하로 관통되는 홀(hole)이 형성되어 사각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보호커버(276)의 중앙 홀(hole)을 통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ixing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641)은 상기 보호커버(276)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사각 형상의 홀(hole)보다 작은 크기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프레임(641)과 보호커버(276) 사이에는 소정 틈새가 형성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할 무빙어셈블리(630)의 히터하우징(632)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lso, the fixing
상기 고정프레임(641)은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고정프레임(641) 사이에는 고정가이드(64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6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형상(정면에서 볼 때)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가이드(642)는 상단은 상기 고정프레임(641)과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단열상판(270)이나 보호커버(276)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구체적으로는, 도 27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가이드(642)는 상기 고정프레임(641)에 결합되는 프레임결합부(643)와, 상기 단열상판(270)이나 상기 보호커버(276)에 고정되는 어퍼결합부(644)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가이드(642)의 하단인 어퍼결합부(644)가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면에 체결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7, the fixing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브라켓(676)이나 리드너트(673) 등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레일(27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레일(279)은 상기 고정프레임(641)의 상면에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레일(279)에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브라켓(676)이나 리드너트(673) 등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고정프레임(641)의 상측에는 무빙제어수단(670)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제어수단(670)은 회전동력을 생성하는 모터(671)와, 상기 모터(67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671)에서 생성되는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리드스크류(672) 및 상기 리드스크류(672)와 나사 결합에 의해 체결되는 리드너트(67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 moving control means 670 may also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상기 모터(671)는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것으로 정밀한 회전 제어를 위해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태핑모터(stepping motor)는 펄스(Purse) 제어를 통해 회전각에 따라 순방향과 역방향의 회전 운동 공급이 가능할 수 있다.The
상기 리드스크류(6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가는 원기둥 외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는 상기 리드스크류(672)의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리드너트(673)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리드스크류(672)가 상기 모터(671)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드너트(673)가 상기 리드스크류(672)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리드스크류(672,Lead Screw)와 리드너트(673)는 순/역방향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As shown, the
상기 모터(671)와 리드스크류(672) 사이에는, 상기 리드스크류(672)의 일단과 모터축을 연결하는 연결커플링(67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스크류(672)의 우측단과 상기 모터(671)의 좌측으로 돌출된 모터축에는 연결커플링(674)이 더 구비될 수 있다.Between the
상기 모터(671)는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브라켓(675)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리드너트(673)는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브라켓(67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브라켓(676)은 상기 고정프레임(641)의 상측에서 상기 고정브라켓(675)과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정프레임(641)은 고정가이드(642)에 의해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측에 이격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641)과 보호커버(276)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하우징(632)의 이동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xing
상기 고정브라켓(675)에 장착된 모터(67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드스크류(67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리드너트(673)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이동브라켓(676)이 상기 슬라이딩레일(279)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When the
상기 고정브라켓(675)과 이동브라켓(676)에는 상기 링크어셈블리(650)의 링크(link) 상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링크어셈블리(650)에 구비되는 'X'자 형태의 링크(link) 좌우 상단이 각각 상기 고정브라켓(675)과 이동브라켓(676)에 연결되면, 상기 이동브라켓(676)의 좌우 이동에 따라 'X'자 링크(link)의 좌우 상단이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되므로 상기 링크어셈블리(650)의 하단에 고정된 무빙어셈블리(630)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An upper end of a link of the
한편, 상기 링크어셈블리(650)는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단은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the
상기 링크어셈블리(650)는 전후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링크(651,652) 및 후방링크(653,654)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링크(651,652)와 후방링크(653,654)의 하단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와 결합되는 링크프레임(655)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전방링크(651,652)와 후방링크(653,654)의 좌우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링크프레임(655)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전방링크(651,652)는 'X'자 형상을 이루는 전방1링크(651)와 전방2링크(652)가 서로 교차하는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후방링크(653,654)는 'X'자 형상을 이루는 후방1링크(653)와 후방2링크(654)가 서로 교차하는 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서로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기 전방1링크(651)와 후방1링크(653)의 하단은 연결링크(658)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2링크(652)와 후방2링크(654)의 하단도 연결링크(658)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ends of the
상기 전방링크(651,652)와 후방링크(653,654)의 좌우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링크프레임(655)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1링크(651)와 후방1링크(653)의 하단이 상기 링크프레임(655)의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left and right lower ends of the
따라서 상기 링크프레임(655)의 좌반부에는 상기 전방1링크(651)와 후방1링크(653)의 하단축이 삽입되어 좌우롤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1링크돌기홀(657)이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left half of the
도 29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1위치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0에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2위치에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2위치에 있으면, 상기 히터부(610)가 조리물에 보다 가깝게 위치하므로, 조리물을 보다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도 30에서 보듯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2위치에 있을 때에도, 상기 고정어셈블리(640)를 구성하는 고정가이드(642)와 모터(671) 등은 이동하지 않고 원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29 shows the moving
한편 도 31에는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된 복귀스위치(SW)가 눌려 ON 상태가 활성화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귀스위치(SW)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1위치에 복귀했음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귀스위치(SW)는 제1위치로 복귀하는 무빙어셈블리(630)에 의해 눌려 ON 상태가 될 수 있고, ON 상태가 되면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복귀했음을 알 수 있다. Meanwhile, FIG. 31 shows a state in which the ON state is activated by pressing the return switch (SW) disposed on the
상기 복귀스위치(SW)가 눌려 ON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1위치로 복귀함을 감지하고 상기 모터(671)를 중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모터(671)를 중지시켜 상기 무빙어셈블리(630)가 제1위치 보다 더 위쪽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상승높이는 상기 복귀스위치(SW)로 제한할 수 있고,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하강높이는 상기 모터(671)의 회전수로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return switch SW is pressed and turned ON, the
상기 복귀스위치(SW)는 상기 단열상판(270) 또는 상기 고정가이드(642)에 배치되어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의 이동과 무관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에는 상기 복귀스위치(SW)를 눌러 동작시키는 작동핀(P)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핀(P)은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에 배치되므로, 상기 무빙어셈블리(630)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The return switch (SW) is disposed on the insulating
이때, 상기 복귀스위치(SW)에는 탄성구동부(E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구동부(ED)는 상기 작동핀(P)에 의해 실제로 눌리는 부품일 수 있다. 상기 작도인(P)이 상기 탄성구동부(ED)를 누르면, 상기 탄성구동부(ED)는 상기 복귀스위치(SW)를 누를 수 있다. 상기 작동핀(P)은 상단이 매우 좁은 핀 형태이므로, 상기 복귀스위치(SW)의 접점부를 정확하게 누르지 못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작동핀(P)이 상기 탄성구동부(ED)의 넓은 면을 누르고, 탄성구동부(ED)가 다시 복귀스위치(SW)를 누르게 되므로,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return switch (SW)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driving unit (ED). The elastic driving unit ED may be a part that is actually pressed by the operation pin P. When the drafter (P) presses the elastic driving unit (ED), the elastic driving unit (ED) can press the return switch (SW). Since the operating pin (P) has a pin shape with a very narrow upper end, it may not be possible to accurately press the contact portion of the return switch (SW).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rating pin (P) presses the wide surface of the elastic driving unit (ED) and the elastic driving unit (ED) presses the return switch (SW) again, stable driving is possible.
상기 복귀스위치(SW)와 탄성구동부(ED)는 모두 스위치브라켓(SB)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브라켓(SB)은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스위치브라켓(SB)는 상기 고정어셈블리(640)의 고정가이드(642)에 배치될 수 있다. Both the return switch (SW) and the elastic driving unit (ED) may be provided in the switch bracket (SB). The switch bracket SB may be disposed on the fixing
도 30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는 두 개의 복귀스위치(SW)가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 포함될 수 있다. 한 쌍의 복귀스위치(SW)는 한 쌍의 고정가이드(642)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복귀스위치(SW)들 중 어느 하나의 복귀스위치(SW)가 고장나더라도 나머지 복귀스위치(SW)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무빙어셈블리(630)가 제1위치로 복귀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귀스위치(SW)는 한 개만 구비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0 , in this embodiment, two return switches (SW) may be included in the third
도 32를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는 거리센서(7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조리물의 존재 유무, 조리물의 두께 또는 조리물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조리물의 두께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측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또는 제3열원모듈(600)의 동작과 온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리센서(710)는 조리시간에 따라 변하는 조리물의 두께나 높이를 측정하고,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남은 조리시간이나 조리온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 a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상기 단열상판(270)의 앞부분에 거리센서(710)가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아웃전판(240)에 가까운 상기 단열상판(27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단열상판(270)의 앞부분에 배치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먼저 거리센서(710)를 거치게 되므로, 거리센서(710)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The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캐비티(S)의 중심부를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상판(270)의 좌우폭을 기준으로 중심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상판(270)의 아래쪽에는 상기 이너상판(160)이 배치되지만, 상기 이너상판(160)에는 센싱홀(163)이 개구되어 있어서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센싱홀(163)을 통해서 캐비티(S) 내부를 센싱할 수 있다. The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므로, 캐비티(S)의 열이 상기 거리센서(71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거리센서(71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도 32 내지 도 35에는 상기 거리센서(71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32를 보면, 상기 거리센서(710)는 상기 단열상판(270)에 구비된 센서장착부(27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74)는 상기 단열상판(27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74)에는 상기 거리센서(710)의 센서하우징(711)이 배치될 수 있다. 32 to 35 show the structure of the
이때, 상기 거리센서(710)의 단열커버(718)는 상기 센서장착부(274)에 구비된 센서안착단(274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착부(274)에는 복수개의 센서안착단(274a)이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센서안착단(274a)은 상기 센서장착부(274)의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단차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열커버(718)는 상기 센서안착단(274a)에 걸려 아래쪽으로 낙하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센서안착단(274a)은 상기 센서장착부(274)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거리센서(710)는 센서하우징(711)과, 거리센싱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711)은 상기 센서장착부(274)에 고정되고, 상기 거리센싱부(720)는 상기 센서하우징(71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하우징(711)의 아래쪽에는 단열커버(7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718)는 센싱을 위해 유리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커버(718)는 캐비티(S) 내부의 열이 상기 거리센서(71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도 33을 보면,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거리센서(710)의 센서하우징(711)은 상기 센서장착부(274)를 덮는 방식으로 상기 센서장착부(274)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711)에는 복수개의 고정후크(7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후크(713)는 상기 거리센싱부(720)를 걸어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서하우징(711)에는 총 4개의 고정후크(713)들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 33 , it can be seen that the
그리고, 도 32와 도 34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걸이홈(274b)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홈(274b)에는 상기 센서하우징(711)의 걸이턱(714)이 걸릴 수 있다. 상기 센서하우징(711)이 상기 센서장착부(274)에 비스듬하게 결합되어 먼저 상기 걸이턱(714)이 상기 걸이홈(274b)에 걸린 상태로, 상기 센서하우징(711)이 회전하면 상기 센서하우징(711)이 상기 센서장착부(274) 위를 완전히 덮을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S. 32 and 34 , a hooking
이때, 상기 센서하우징(711)에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제1하우징체결홀(274c)에 대응하는 제2하우징체결홀(7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체결홀(716)과 상기 제1하우징체결홀(274c)이 서로 연결되면,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미도시)가 상기 제1하우징체결홀(274c)과 상기 제2하우징체결홀(716)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체결홀(716)은 상기 걸이턱(714)의 반대편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second
도 34에는 상기 거리센서(710)의 센서하우징(711)에서 거리센싱부(720)와 단열커버(718)가 모두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단열커버(718)가 먼저 상기 센서장착부(274)의 센서안착단(274a)에 안착된 후에, 그 위로 상기 센서하우징(711)과 거리센싱부(720)의 조립체가 안착될 수 있다. 34 shows a state in which both the
도 35를 보면, 상기 센서하우징(711)에 배치된 거리센싱부(720)는 경사진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거리센싱부(720)에 구비된 센싱소자(725)가 경사진 방향을 향하는 것이다. 도 35를 기준으로 보면, 센싱소자(725)는 좌측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싱소자(725)가 캐비티(S)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을 보면, 상기 거리센서(710)가 상기 캐비티(S)의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장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5 , the
다음으로, 도 36 내지 도 42를 참조하여 카메라모듈(730)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상기 캐비티(S)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조리물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촬영한 영상을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분석하여 적절한 조리온도와 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Next, the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상기 이너후판(120)에 구비된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6에서 보듯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는 이너후판(12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반대로, 상기 캐비티(S)의 안쪽에는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 함몰된 단열공간(128c, 도 41 참조)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함몰된 단열공간(128c)은 상기 카메라모듈(730)의 카메라센서(745)가 캐비티(S) 내부를 넓게 촬영할 수 있는 화각을 제공해줄 수 있고, 또한 상기 단열공간(128c)이 일종의 단열을 위한 공간이 되어 카메라센서(745)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카메라장착부(128)를 보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상부는 경사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경사진 장착면(128a)에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카메라센서(745)는 자연스럽게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되고, 캐비티(S)의 중심부를 향할 수 있다. Looking at the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장착면(128a)에는 촬영홀(128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촬영홀(128b)을 통해 상기 카메라센서(745)가 캐비티(S)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홀(128b)에 카메라센서(745)의 중심이 정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장착면(128a)에는 복수의 하우징고정홀(129a,129b)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고정홀(129a,129b)에는 제1고정홀(129a)과 제2고정홀(129b)이 포함되고, 여기에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고정될 수 있다. A photographing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촬영홀(128b)을 기준으로 한쪽에는 제1고정홀(129a)이 형성되고, 반대쪽에는 제2고정홀(129b)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고정홀(129b)은 두 개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의 유격을 줄일 수 있다. More precisely, a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카메라하우징(731)과,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 장착되는 카메라기판(74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기판(740)에는 카메라센서(745)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 상기 카메라기판(740)이 먼저 조립된 후에,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장착면(128a)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7에는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의 장착면(128a)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카메라기판(740)와 카메라센서(745)를 모두 하나의 카메라센서로 볼 수도 있다. The
도 38에는 상기 카메라모듈(730)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는 상기 카메라기판(740)이 배치되는 기판장착공간(732a)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장착공간(732a)은 상기 카메라기판(740)의 두께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38 shows the
상기 기판장착공간(732a)에는 카메라센서(745)의 렌즈가 노출되도록 하는 렌즈관통홀(7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관통홀(732)은 상기 캐비티(S)의 내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렌즈관통홀(732)은 상기 장착면(128a)의 촬영홀(128b)과 겹쳐져 연속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에는 카메라센서(745)가 상기 캐비티(S)의 내부로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A lens through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는 기판걸이후크(7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걸이후크(733)는 상기 카메라기판(740)의 가장자리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판걸이후크(733)는 상기 카메하우징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기판걸이후크(733)가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 구비되는데, 상기 기판걸이후크(733)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일 수도 있다. A
도 39를 보면,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는 기판장착공간(732a)의 반대편으로 카메라장착후크(734a,734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장착후크(734a,734b)는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장착후크(734a)와 제2장착후크(7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장착후크(734a)와 제2장착후크(734b)는 각각 상기 장착면(128a)에 형성된 제1고정홀(129a)과 제2고정홀(129b)에 걸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장착후크(734b)는 제2고정홀(129b)과 대응하도록 두 개로 구성되어 상기 카메라모듈(730)의 상하방향 유격을 줄일 수 있다. 도 40에는 상기 제1장착후크(734a)와 제2장착후크(734b)는 각각 상기 제1고정홀(129a)과 제2고정홀(129b)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9 ,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는 탄성암(7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암(735)은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서 상기 장착면(128a)을 향해 돌출되는 외팔보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에는 한 쌍의 탄성암(735)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암(735)은 상기 카메라하우징(731)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 장착될 때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장착면(128a)을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탄성암(735)이 상기 장착면(128a)에 강하게 밀착되고, 조리기기의 작동과정에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1에는 상기 탄성암(735)이 상기 장착면(128a)에 밀착된 모습을 볼 수 있다. An
상기 한 쌍의 탄성암(735)은 상기 렌즈관통홀(732)의 주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장착후크(734a)와 제2장착후크(734b)가 상기 렌즈관통홀(732)을 기준으로 좌우로 배치된다면, 상기 한 쌍의 탄성암(735)은 상기 렌즈관통홀(732)을 기준으로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모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탄성암(735)이 상기 장착면(128a)에 탄성지지되므로 전후 방향으로도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The pair of
도 41에서 보듯이, 상기 카메라장착부(128)에는 투시커버(73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센서(745)가 상기 캐비티(S)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투시커버(738)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투시커버(738)는 상기 카메라모듈(7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캐비티(S) 내부의 열이 상기 카메라센서(745)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시커버(738)는 상기 장착면(128a)의 반대쪽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투시커버(738)가 함몰된 단열공간(128c)을 차폐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1 , a see-through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카메라모듈(730)은 상기 캐비티(S)의 중심 방향을 향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카메라모듈(730)의 렌즈는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의 중심을 향할 수 있다. 조리물은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 중심에 배치되므로, 상기 카메라모듈(730)의 렌즈가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 중심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7 , in this embodiment, the
다음으로 도 43을 참조하여 습도센싱모듈(750)와 제2온도센서(76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습도센싱모듈(750)은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수분량, 즉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메인제어부(7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싱모듈(750)은 상기 캐비티(S)의 내부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Humidity Sensor), 습도센서의 습도감지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기 및 습도감지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700)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여기서, 상기 습도센싱모듈(750)은 아래에섯 설명될 배기덕트(94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장착되어 캐비티(S)의 내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캐비티(S)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습도센싱모듈(750)은 상기 배기덕트(940)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습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습도센싱모듈(750)이 상기 이너측판(110)의 배기구(125)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어, 센싱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Here, the
상기 배기덕트(940)에는 제2온도센서(7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온도센서(760)는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온도센서(760)는 상기 배기덕트(940)에 배치되어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1온도센서(578)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2온도센서(760)는 캐비티(S)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제2온도센서(760)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또는 제3열원모듈(600)을 제어할 수 있다. A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배기덕트(940)에는 온도차단스위치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온도차단스위치는 상기 캐비티(S) 내부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이 되면 전원을 차단하는 안전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온도센서(760)를 대신하여 상기 온도차단스위치가 배치될 수도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a temperature cut-off switch may be added to the
또한, 상기 제1전장실(ES1)에는 추가적인 제3온도센서(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온도센서는 상기 단열상판(270) 또는 상기 이너상판(160)에 프린팅될 수 있다. 상기 제3온도센서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타입과,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타입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dditional third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attlefield ES1. The third temperature sensor may be printed on the insulating
도 6과 도 18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에는 전원부(770)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부(770)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조리기기의 내부 부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70)에는 고압트랜스(771), 고압커패시터(773) 및 퓨즈(77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770)를 구성하는 부품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부품이 더 추가되거나,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18 , a
상기 고압트랜스(771)는 상기 마그네트론(410)으로 고압의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트랜스(771)는 통상 100-220V 인 가정용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키기 위한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트랜스(771)는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워킹코일(570)이나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부(610)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상기 고압트랜스(771)와 마그네트론(410) 등을 연결하기 위한 버스바(busbar) 또는 와이어하네스가 생략되어 있다. Th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부(770)는 상기 단열후판(280)의 표면(281)에 배치된다. 상기 단열후판(280)은 상기 이너후판(120)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후판(120)의 열이 상기 전원부(77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 18에서 보듯이, 상기 단열후판(280)은 대략 사각판상이고, 상기 카메라모듈(730)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카메라회피홀(288)이 형성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단열후판(280)의 후면(281a)에는 상기 고압트랜스(771)가 고정되고, 상기 고압커패시터(773)는 별도의 커패시터브라켓(774)을 통해 상기 단열후판(280)의 후면(281a)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고압트랜스(771)는 상기 단열후판(280)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고압트랜스(771)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igh-
도 32를 보면, 상기 이너상판(160)에는 조명장치(7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790)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조명관통부(273)을 통해 상기 이너상판(160)의 조명장착부(16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165)는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조명홀(165a)이 형성되어, 상기 조명장치(790)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캐비티(S)로 통과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2 , a
상기 조명장치(790)는 조명하우징(791)과 조명기판(7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하우징(791)에는 조명후크(793)가 구비되어 상기 조명기판(795)을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장치(790)는 별도의 단열커버 없이 상기 이너상판(160)에 직접 장착된다. The
도 2를 보면, 상기 조리기기에는 냉각팬모듈(810,850)이 구비된다. 상기 냉각팬모듈(810,850)은 상기 조리기기를 냉각하고,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캐비티(S)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리기기 내부를 냉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팬모듈(810,850)은 제1냉각팬모듈(810)과 제2냉각팬모듈(850)을 포함한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모두 상기 캐비티(S)의 하부 보다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cooling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단열상판(27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중심으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기 냉각팬모듈(810,850)들은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여러방향에서 냉각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배치된 상기 냉각팬모듈(810,850)들은 공기가 유동하는 연속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조리기기의 전방(도 9의 아래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로 전달되지만(화살표③), 일부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 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②) 즉,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로 흡입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first
또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표면들 중 서로 다른 표면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후면, 보다 정확하게는 제3전장실(ES3)을 향해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측면, 보다 정확하게는 제5전장실(ES5)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렇게 토출된 공기는 제2전장실(ES2)에서 합류하여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도 17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단열상판(27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팬플레이트(8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팬플레이트(811)는 상기 단열상판(270)에 고정되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팬플레이트(811)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팬플레이트(811)는 상기 단열상판(27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팬플레이트(811)는 생략되거나, 상기 단열상판(27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17 shows the first
이때, 상기 팬플레이트(811)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이 토출하는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홀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홀은 상기 단열상판(270)에 형성된 제1관통부(278a) 및 제2관통부(278b)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플레이트홀은 상기 제1관통부(278a)와 연결되는 제1플레이트홀(812a)과 상기 제2관통부(278b)와 연결되는 제2플레이트홀(812b)을 포함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ate hole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상기 팬플레이트(811)에는 제1팬브라켓(8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브라켓(815)은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을 상기 단열상판(270)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한 쌍의 제1팬브라켓(815)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팬브라켓(815)에는 각각 제1구동하우징(817a)과 제2구동하우징(817b)이 결합될 수 있다. A
상기 한 쌍의 제1팬브라켓(815) 중 어느 하나에는 제1팬모터(8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터(820)에는 회전축(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한 쌍의 제1팬블레이드(825a,825b)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1팬모터(820)에서 양쪽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제1팬블레이드(825a,825b)가 상기 회전축의 양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7에는 한 쌍의 제1팬블레이드(825a,825b)들 중 우측에 배치된 제1구동블레이드(825a)만 도시되어 있고, 조기기기를 좌측에서 바라본 도 12에는 제2구동블레이드(825b)가 도시되어 있다. A
상기 한 쌍의 제1팬블레이드(825a,825b)는 각각 아래쪽, 즉 중력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두 갈래의 공기가 아래쪽으로 토출된다. 두 갈래의 공기는 각각 상기 제3전장실(ES3)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전장실(ES3)에는 상기 전원부(770)의 고압트랜스(771)와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마그네트론(410)이 배치되므로, 이들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The pair of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구동하우징(817a)의 아래쪽에는 제1열원모듈(400)을 구성하는 마그네트론(410)이 배치되고, 상기 제2구동하우징(817b)의 아래쪽에는 전원부(770)를 구성하는 고압트랜스(771)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전원부(770)와 상기 제1열원모듈(400)을 모두 냉각시켜줄 수 있다. More precisely, the
또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3전장실(ES3)을 지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2전장실(ES2)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2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아래쪽(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한 후에 전방(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도 함께 냉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다음으로 도 44에는 제2냉각팬모듈(8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마찬가지로 조리기기를 냉각하고,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S)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제2팬케이스(852)와 상기 제2팬케이스(852)에 장착되는 제2팬브라켓(855), 그리고 제2팬모터(860)가 포함될 수 있다. Next, the second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팬케이스(852)는 상기 단열상판(27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상판(270)에는 별도의 가이드펜스(GF)가 세워지고, 상기 제2팬케이스(852)는 상기 가이드펜스(GF)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GF)는 대략 판상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GF)는 전후방향, 즉 캐비티(S)의 깊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second fan case 852 may be mounted on the heat
이때, 상기 가이드펜스(GF)는 조리기기의 상부, 즉 제1전장실(ES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히터하우징(632)과 상기 가이드펜스(GF) 사이에 일종의 공기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이 동작하면, 상기 공기유로를 통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 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uide fence GF can guide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into the first electrical compartment ES1. As shown in FIG. 9 , a kind of air passage may be formed between the
즉,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이 장착되는 상기 가이드펜스(GF)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 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유로와 구획되는 별도의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 방향(화살표②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흡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냉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guide fence GF on which the second
이때,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제1위치에 있을 때(도 29참조)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이 상기 히터하우징(632)의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고,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제2위치에 있을 때(도 30참조)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이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상부를 지나면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을 전체적으로 냉각시켜줄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third
다시 도 44를 보면, 상기 제2팬케이스(852)에는 상기 제2팬브라켓(855)이 장착되는 브라켓장착부(852a)가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장착부(852a)를 기준으로 한쪽에는 제2팬하우징(857)이 배치되는 하우징장착부(852b)가 배치되고, 반대쪽에는 제2팬모터(860)가 장착되는 모터장착부(852c)가 배치된다. 상기 제2팬하우징(857)은 상기 제2팬모터(860) 보다 상기 도어(30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도면부호 859는 상기 제2팬케이스(852)가 상기 단열상판(27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44 again, the second fan case 852 includes a
이때, 상기 브라켓장착부(852a), 하우징장착부(852b) 및 모터장착부(852c)는 상기 제2팬케이스(852)의 하단 보다 위쪽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팬모터(860)와 제2팬블레이드(865)는 상기 제2팬케이스(852)의 하단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팬모터(860)와 제2팬블레이드(865)는 상기 단열상판(27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가 단열상판(270)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의 흡기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상기 제2팬모터(860)에는 회전축(861)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861)에는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는 상기 제2팬하우징(857)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제2팬하우징(857)의 개구된 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는 상기 제2팬하우징(857)에서 아래쪽으로 개구된 부분을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회전축(861)에는 하나의 제2팬블레이드(865)만 연결되지만, 상기 회전축(861)의 양쪽에 각각 제2팬블레이드(865)가 연결될 수도 있다. A
도 6을 보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이 되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서 아래쪽(화살표④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4전장실(ES4)에 배치된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통과하면서 상기 메인제어부(7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 아래쪽으로 이동한 공기는 제2전장실(ES2)로 유입되고, 전방인 상기 도어(300) 방향(화살표⑤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웃전판(240)의 공기배출부(243)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도 함께 냉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ir is circulated by the second
도 4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이너케이스(100)에는 공급덕트(9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91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흡기구(123)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공급덕트(910)는 전장실의 공기가 상기 캐비티(S) 내부로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910)와 상기 흡기구(123)를 통해 캐비티(S)로 유입된 공기는 캐비티(S)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구(12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100,20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방열(냉각)작용을 한 공기중 일부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12 , a
도 12에서 보듯이, 상기 공급덕트(910)는 일단부가 휘어진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공급덕트(910)가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웨이브가이드(420)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급덕트(910)는 상기 웨이브가이드(420)가 배치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이너측판(110)에 배치되되, 상기 공급덕트(910)는 상기 웨이브가이드(420)와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2, the
상기 공급덕트(910)의 일단부는 상기 흡기구(123)를 덮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너측판(110)의 바깥쪽면에 밀착되어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급덕트(910)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흡기구(123)도 전달함으로써, 캐비티(S) 내부에 공기공급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One end of the
그리고 공급덕트(910)의 타단부에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일종의 개폐장치인 덕트어셈블리(9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는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의 제1구동하우징(817a) 하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하우징(817a)으로부터 토출된 공기는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는 상기 공급덕트(910)를 제3전장실(ES3)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는 상기 공급덕트(910)를 통해 상기 캐비티(S)의 내부로 공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덕트어셈블리(920)에는 덕트모터(930)가 포함되고, 상기 덕트모터(930)의 동작은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The
도 45와 도 46에는 덕트어셈블리(9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는 덕트하우징(921)과, 상기 덕트하우징(9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블레이드(925), 그리고 상기 덕트블레이드(925)를 회전시키는 덕트모터(9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덕트하우징(921)에는 상기 덕트어셈블리(920)가 상기 케이스(100,200) 또는 상기 단열후판(280)에 고정되도록 하는 덕트브라켓(922a)이 구비될 수 있다. A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작동공간(923b, 도 46 참조)에는 덕트블레이드(925)가 조립된다. 상기 덕트블레이드(925)는 회전을 통해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입구(923a)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덕트블레이드(925)는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안쪽 방향(도 45의 화살표①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입구(923a)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면부호 925a는 상기 덕트블레이드(925)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힌지부를 나타낸다.
상기 덕트하우징(921)에는 덕트스위치(9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덕트스위치(927)는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스위치편(922c)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스위치(927)는 상기 덕트블레이드(92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눌려 ON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덕트스위치(927)가 ON 상태가 되면,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덕트블레이드(925)가 완전히 열린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A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모터장착편(922b)에는 덕트모터(930)가 배치된다. 상기 덕트모터(930)는 상기 덕트블레이드(925)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덕트모터(930)는 상기 덕트하우징(921)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덕트모터(930)의 회전축(933)이 상기 덕트블레이드(925)의 힌지부(925a)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부호 931은 상기 모터장착편(922b)에 결합되는 덕트모터(930)의 고정편을 나타낸 것이다. A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5전장실(ES5)에는 배기덕트(9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배기구(125)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제5전장실(ES5)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구(125)에서 배출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이너측판(110)의 표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구(125)로 배출된 캐비티(S) 내부의 공기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래쪽으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제2전장실(ES2)로 안내되고, 상기 아웃전판(240)의 공기배출부(243)로 배출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 , an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배치된 상기 이너케이스(100)의 이너측판(1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함께 상기 이너측판(110)의 같은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메인제어부(700) 보다 상기 도어(300)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티(S) 내부의 공기는 도어(300)에서 먼 케이스(100,200)의 후방에서 배출될 수 있고, 제2전장실(ES2)을 따라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2열원모듈(500)의 하부를 지나므로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11 , the
도 43에는 상기 배기덕트(940)의 구조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배기덕트(940)는 대략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의 가장자리를 따라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94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940)의 한쪽에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아지는 단차부(943)가 구비되는데, 상기 단차부(943)에는 상기 메인제어부(7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940)에 상기 제2온도센서(760)와 습도센싱모듈(750)이 배치될 수 있다. 43 shows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배기덕트(940)의 하단에는 가이드블레이드(9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레이드(945)는 상기 차단부(941)와 다르게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블레이드(945)는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블레이드(945)는 상기 제2전장실(ES2)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상기 배기덕트(940)의 공기가 상기 제2전장실(ES2)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A
도 4와 도 6을 보면, 상기 아웃전판(240)과 상기 단열후판(280) 사이에는 에어베리어(9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 또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로 재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서 토출되어 각각 제3전장실(ES3)과 상기 제5전장실(ES5)을 거쳐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4전장실(ES4)로 전달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6 , an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마그네트론(410)도 상기 이너측판(110)에서 돌출된 부분에 배치되어, 결과적으로 제3전장실(ES3)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4전장실(ES4)에는 발열체가 배치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베리어(950)가 상기 제2전장실(ES2)과 상기 제4전장실(ES4) 사이를 차단하더라도, 열원들의 냉각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or referen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 의해 제3전장실(ES3) 방향(화살표①,②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제2전장실(ES2)로 전달된다. 이때 좌측에 배치된 에어베리어(950)는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에어베리어(950)의 건너편에 있는 제4전장실(ES4)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전방(화살표⑤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웃전판(240)에 구비된 공기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 the air discharged by the first
또한, 상기 배기덕트(940)를 통해 아래쪽 방향(화살표③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제5전장실(ES5) 방향(화살표④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제2전장실(ES2)로 전달된다. 이때 좌측에 배치된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배기덕트(940)와 제2냉각팬모듈(850)에서 토출된 공기가 에어베리어(950)의 건너편에 있는 제4전장실(ES4)로 넘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덕트(940)와 제2냉각팬모듈(850)에서 토출된 공기는 전방(화살표⑤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아웃전판(240)에 구비된 공기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direction of arrow ③) through the
이러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아웃전판(240)과 상기 단열후판(280)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아웃전판(240)과 상기 단열후판(28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케이스(100,200)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케이스(100,200) 전체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In order to control the flow of air, the
도 5 내지 도 13에는 본 실시례에서 조리기기 내부의 공기순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에는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및 제3열원모듈(600)이 구비되므로, 이들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열원 및 기타 부품의 냉각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5 to 13 show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먼저 본 실시례에서 냉각이 필요한 부품을 보면, (i)제1전장실(ES1)에는 상기 조명장치(790), 거리센서(710), 제3열원모듈(600), 제3온도센서(미도시)의 냉각이 필요하고, (ii) 제2전장실(ES2)에는 제2열원모듈(500)의 냉각이 필요하며, (iii) 제3전장실(ES3)에는 전원부(770)와 카메라모듈(730)의 냉각이 필요하고, (iv) 제5전장실(ES5)에는 메인제어부(700), 습도센싱모듈(750), 제2온도센서(760), 온도차단스위치(미도시)의 냉각이 필요하다. First, looking at the parts requiring cooling in this embodiment, (i) the
그리고, 이들의 냉각하기 위해 본 실시례에는 앞서 설명한 제1냉각팬모듈(810)과 제2냉각팬모듈(8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제2전장실(ES2)과 제3전장실(ES3)을 냉각시킬 수 있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제1전장실(ES1), 제2전장실(ES2) 및 제5전장실(ES5)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도 케이스(100,20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1전장실(ES1)의 일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된 상기 덕트어셈블리(92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므로, 제1냉각팬모듈(810)은 캐비티(S)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And, in order to cool them, the first
구체적으로 보면, 도 5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242)와 공기가 다시 배출되는 공기배출부(243)는 모두 조리기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의 공기는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로 유입되어 조리기기 내부를 순환한 후에 다시 전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원활한 공기순환이 가능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in this embodiment, both the
또한,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의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는 복수의 전장실들이 마련되고, 공기는 이들 전장실들을 유동하면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 공기가 제4전장실(ES4)을 통해 다시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공기는 제2전장실(ES2)의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킨 후에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배출부(243)로 빠져나가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artments are provided outside the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단열후판(280)은 각각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캐비티(S) 내부의 열이 부품들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 및 제2냉각팬모듈(850)과 함께,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단열후판(280)이 조리기기의 냉각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전장실(ES3) 및 제4전장실(ES4, 도면의 좌측면)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도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5전장실(ES5)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5 , the first
도 9를 보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전판(24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는 제1구동하우징(817a)과 제2구동하우징(817b)이 구비되므로, 공기는 두 갈래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동하우징(817a)에 의해 좌측(화살표①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632)과 케이스(100,2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아웃상판(230, 도 9에는 생략됨) 사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동하우징(817b)에 의해 우측(화살표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632)과 상기 가이드펜스(GF)의 사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거리센서(710), 조명장치(79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냉각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flow of air sucked by the first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도 상기 아웃전판(24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 방향(화살표③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장실(ES1)을 냉각시킬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아래쪽, 즉 상기 제3전장실(ES3) 방향(화살표①,②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전원부(770)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가장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고압트랜스(771)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의 제2구동하우징(817b)의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고압트랜스(771)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The air sucked in by the first
상기 제3전장실(ES3)을 거친 공기는 상기 단열후판(280)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부(283)를 통해서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다. 상기 제2전장실(ES2)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바깥쪽(화살표⑤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electrical cabinet ES3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abinet ES2 through the
한편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도 아래쪽, 즉 상기 제5전장실(ES5) 방향(도 6의 화살표④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상기 배기덕트(940)에 배치된 상기 습도센싱모듈(750)과 제2온도센서(760)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제2팬블레이드(865)의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Meanwhile, the air sucked in by the second
이어서, 상기 제5전장실(ES5)을 거친 공기는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다. 상기 제2전장실(ES2)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전방(화살표⑤방향)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바깥쪽(화살표⑤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fth electrical chamber ES5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hamber ES2. The air that has cooled the second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배기덕트(940)를 통해도 공기가 제2전장실(ES2)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캐비티(S)에서 배출된 공기를 아래쪽(화살표③방향)으로 안내하여, 제2전장실(ES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캐비티(S)에서 배출된 공기도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바깥쪽(화살표⑤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air can also be deli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ttlefield ES2 through the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덕트(940)의 내부에는 덕트유로(942)가 형성되고, 상기 덕트유로(932)을 따라 공기가 아래쪽(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940)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블레이드(945)를 통해 공기가 제2전장실(ES2)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 a
도 10을 보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의 제1구동하우징(817a) 하부에는 제1열원모듈(400)을 구성하는 마그네트론(410)이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구동하우징(817a)에서 아래쪽(화살표②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이동하면서 상기 마그네트론(41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구동하우징(817b)의 하부에 배치된 고압트랜스(771)도 제1구동하우징(817a)에서 아래쪽(화살표①방향)으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면서 냉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화살표①방향). 그리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은 상기 제5전장실(ES5)인 아래쪽(화살표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5전장실(ES5)에 배치된 메인제어부(700)를 냉각한 공기는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후에 전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가이드펜스(GF)의 뒤편으로 유입될 수 있다.(화살표④방향) 그리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은 제3전장실(ES3)인 아래쪽(화살표⑤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된 전원부(770)를 냉각한 공기는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후에 전방(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rst
이때,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850)에 의해 상기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제4전장실(ES4)로는 다시 유입되지 못한다. 이는 상기 제4전장실(ES4)의 아래쪽에 상기 에어베리어(950)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6과 도 11에서 보듯이, 에어베리어(950)가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ompartment ES2 by the first
도 12를 보면, 제4전장실(ES4)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4전장실(ES4)에는 제1열원모듈(400)을 구성하는 웨이브가이드(420)와 공급덕트(910)가 배치된다. 상기 제1구동하우징(817a)의 아래쪽(화살표①)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급덕트(9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공급덕트(910)에 구비된 덕트어셈블리(920)가 개방되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를 통해 상기 공급덕트(9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910)를 따라 전방(화살표③방향)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흡기구(123, 도 7참조)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S)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화살표④는 캐비티(S)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에서 화살표②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810)에서 토출되어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베리어(950)의 건너편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12, the appearance of the fourth battlefield ES4 is shown. As can be seen, the
다음으로,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가 제어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350)을 통해 조리레벨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조리레벨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상기 카메라모듈(730)에 의해 촬영된 조리물의 영상 또는 상기 거리센서(710)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물의 높이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Next,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rst, a cooking level may be input through the
상기 조리레벨이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조리레벨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700)에 의해 상기 제1열원모듈(400), 상기 제2열원모듈(50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동작모드가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열원모듈(400), 상기 제2열원모듈(50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동작모드는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1열원모듈(400), 상기 제2열원모듈(50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 중 일부만 동작되거나 전체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When the cooking level is input,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동작모드는 입력된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조리레벨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곱한 값이 제1열원모듈(400)의 조리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시간이 3초라고 했을 때, 제1열원모듈(400)의 조리레벨로 10이 입력되면,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10*3인 30초 동안 동작될 수 있다. 여기에 제1열원모듈(400)의 동작시간에는 추가적인 시간이 더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초가 추가되면 총 32초동안 상기 제1열원모듈(400)이 동작될 수 있다.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그리고,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동작모드는 입력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조리레벨에 따라 구동전압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인버터제어를 통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의 구동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기설정된 조리시간 동안, 선택된 구동전압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조리시간이 12초이고, 입력된 조리레벨이 10이라면,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12초 동안 1600W의 가열전력으로 동작될 수 있다. Also,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한편,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동작모드는 입력된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조리레벨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곱한 값이 제3열원모듈(600)의 조리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시간이 10초라고 했을 때, 제3열원모듈(600)의 조리레벨로 10이 입력되면,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10*10인 100초 동안 동작될 수 있다. 여기에 제3열원모듈(600)의 가열전력은 1600W일 수 있고, 구동되는 상기 히터부들(610)의 구동개수를 조절하여 동작모드가 선택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열원모듈(400)과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조리시간이 조절되어 동작모드가 선택되고, 상기 제2열원모듈(500)은 인버터제어를 통한 구동전압이 조절되어 동작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oking time of the first
이때, 상기 제3열원모듈(600)은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조리레벨은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 포함된 복수의 히터부들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히터부들(610)이 동작되거나, 상기 히터부들(610)의 위치가 조절되어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third
한편, 상기 제1열원모듈(400)은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상기 캐비티(S)의 바닥면으로부터 가장 먼 제1위치에 있을 때만 동작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마그네트론(410)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파가 상기 제3열원모듈(600)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the first
도 47 내지 도 5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7 내지 도 52에는 앞서 설명한 제1열원모듈(400) 내지 제3열원모듈(600) 이외에 제4열원모듈(11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은 케이스(100,200)의 후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원부(1770)는 케이스(100,200)의 후면이 아니라 케이스(100,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47 to 52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7 to 52, a fourth
도 47과 도 48을 보면, 상기 단열상판(270)의 위에 전원부(1770)가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770)에는 고압트랜스(1771)가 포함되는데, 상기 고압트랜스(1771)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고열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고압트랜스(1771)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47 and 48, it can be seen that the
참고로 도 47에는 아웃후판(220)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48에는 아웃후판(220)이 생략되어 있다. 도 47에서 상기 아웃후판(220)과 상기 단열후판(280) 사이에 형성된 제3전장실(ES3)에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8을 보면, 아웃후판(220)의 전방에 배치된 단열후판(280)에 제4열원모듈(1100)이 구비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은 컨벡션히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은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조리물을 대류가열하기 위한 열을 제공할 수 있다. For reference, although the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제3열원모듈(600) 및 제4열원모듈(1100)은 각각 케이스(100,200)의 서로 다른 전장실에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제3열원모듈(600) 및 제4열원모듈(1100)은 상기 케이스(100,200)의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다고 볼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열원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열원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열원들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가열수단을 상기 조리물에 제공할 수 있다. As such,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은 일종의 컨벡션(convection)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은 컨벡션팬과 함께 캐비티(S) 내부에 대류열을 발생시켜 요리의 균일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4열원모듈(1100)에는 컨벡션팬이 생략되고, 제3열원모듈(600)과 마찬가지로 열선을 이용하여 조리물에 복사열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e fourth
도 48을 보면, 상기 제4열원모듈(1100)에는 컨벡션하우징(111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하우징(1110)은 상기 단열후판(280)에 배치되고, 상기 컨벡션하우징(1110)의 내부에는 컨벡션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컨벡션챔버에는 컨벡션히터(도시되지 않음)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히터는 소정의 길이 및 직경을 가지는 바아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벡션히터는 열선의 보호관을 금속으로 하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컨벡션히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튜브의 내부에 필라멘트가 봉입되는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8 , the fourth
상기 컨벡션하우징(1110)에는 모터브라켓(1130)이 배치되고, 상기 모터브라켓(1130)에는 컨벡션모터(1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컨벡션모터(1120)는 상기 컨벡션하우징(1110) 내부의 컨벡션팬(도시되지 않음)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컨벡션모터(1120)에 의해 상기 컨벡션팬이 회전하면, 상기 컨벡션히터의 열이 캐비티(S) 내부에서 대류하면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면부호 1150은 상기 컨벡션챔버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를 나타낸다. A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이 동작 입력되면, 상기 컨벡션모터(11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컨벡션팬이 회전되고, 상기 컨벡션히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컨벡션히터가 가열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팬에 의해 상기 캐비티(S)와 상기 컨벡션하우징(1110) 내부의 컨벡션챔버 사이에서 강제대류가 형성되고, 상기 컨벡션팬에 의한 강제 대류가 상기 컨벡션히터로부터 열을 받아 열풍이 되어서 상기 캐비티(S)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게 하고 조리물이 가열될 수 있다. When the fourth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부(1770)는 상기 케이스(100,200)의 상부인 제2전장실(ES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원부(1770)는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전장실(ES3)에는 제4열원모듈(1100)이 배치되므로, 상기 전원부(1770)는 제4열원모듈(1100)에 의해 과열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2전장실(ES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8과 도 49를 보면, 상기 전원부(1770)에는 고압트랜스(1771)와, 고압커패시터(773) 및 퓨즈(1775)가 포함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이때, 상기 전원부(1770)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9를 보면, 상기 전원부(1770)의 좌측에는 제1냉각팬모듈(1810)이 배치되고, 우측 아래쪽에는 제2냉각팬모듈(185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과 케이스(100,200)의 좌측단부 사이를 통해 제1냉각팬모듈(1810) 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이동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펜스(GF)의 사이를 따라 케이스(100,200)의 후방(화살표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공기가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 방향으로 흡입되는 경로 상에 상기 전원부(1770)가 배치되므로,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의 공기는 상기 전원부(1770)를 거치게 된다.(화살표③방향) 따라서 상기 전원부(1770)가 냉각될 수 있다. Since the
상기 전원부(1770)는 단열상판(270) 위에 배치되므로, 상기 이너상판(160)을 통해 캐비티(S) 내부의 고열이 직접 전원부(177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1770)는 (i) 제3전장실(ES3)에 배치된 제1열원모듈(400)의 마그네트론(410)과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어 이격되고, (ii) 케이스(100,200)의 바닥에 배치된 제2열원모듈(500)과도 이격되어 있으며, (iii) 상기 전원부(1770)와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부(610) 사이는 상기 히터하우징(632)에 구획되어 있고, (iv) 상기 전원부(1770)는 제3전장실(ES3)에 배치된 제4열원모듈(1100)과도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부(1770)가 열원에 의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또 다른 발열체인 메인제어부(700)는 제5전장실(ES5)에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제어부(70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전원부(1770)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Since the
본 실시례에는 냉각을 위한 제1냉각팬모듈(1810)과 제2냉각팬모듈(1850)이 포함된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은 모두 조리기기의 냉각을 위한 것이다. 이 중 제1냉각팬모듈(1810)은 상기 캐비티(S)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도 47에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은 상기 단열상판(270)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는 제1팬하우징(1817)이 포함된다. 상기 제1팬하우징(1817)의 한쪽에는 제1팬모터(18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팬모터(1820)에는 회전축(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은 제1팬블레이드(1825)가 결합된다. 47 shows the first
상기 제1팬블레이드(1825)는 아래쪽, 즉 중력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50을 보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공기가 아래쪽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3전장실(ES3)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3전장실(ES3)에는 상기 제4열원모듈(1100)과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마그네트론(410)이 배치되므로, 이들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3전장실(ES3)을 지나,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제2전장실(ES2)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0과 도 51에서 보듯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공급덕트(910)를 따라 전방인 도어(300) 방향(도 51의 화살표③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캐비티(S)의 내부 방향(화살표④)으로 유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다시 도 47을 보면, 제2냉각팬모듈(18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은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마찬가지로 조리기기를 냉각하고,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S)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에는 골격을 형성하는 제2팬하우징(1857a,1857b)과 상기 제2팬하우징(1857a,1857b)의 한쪽에 배치되는 제2팬모터(1860)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7 again, the second
상기 제2팬하우징(1857a,1857b)은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구동하우징(1857a)과 제2구동하우징(185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하우징(1857a)과 제2구동하우징(1857b)의 사이에는 제2팬모터(18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팬모터(1860)에는 회전축(미도시)가 연결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한 쌍의 제2팬블레이드(1865a,1865b)가 결합된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팬모터(1860)에서 양쪽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제2팬블레이드(1865a,1865b)가 상기 회전축의 양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팬블레이드(1865a,1865b)는 각각 상기 제1구동하우징(1857a)과 제2구동하우징(1857b)의 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제2팬블레이드(1865a,1865b) 중 하나(1865a)는 중력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다른 하나(1865b)는 이와 직교한 방향, 즉 제1전장실(ES1)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52를 보면, 상기 제1구동하우징(1857a)은 아래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제1구동하우징(1857a)에 구비된 제2팬블레이드(1865a)는 아래쪽(화살표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5전장실(ES5)에 배치된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냉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air of
한편 도 48을 보면,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의 출구(1857b')는 측방인 제1전장실(ES1)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에 배치된 제2팬블레이드(1865b)는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의 출구(1857b')를 통해 상기 제1전장실(ES1) 방향,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전원부(1770)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은 상기 전원부(1770)를 냉각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48 , the
상기 전원부(1770)를 냉각시킨 공기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2를 보면, 공기가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의 내부 방향(화살표④)으로 유입된 후에, 상기 전원부(1770)를 거쳐 상기 제3전장실(ES3)을 향해(화살표⑥)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이 냉각될 수 있다. The air cooling the
도 49 내지 도 52에는 본 실시례에서 조리기기 내부의 공기순환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에는 제1열원모듈(400), 제2열원모듈(500), 제3열원모듈(600) 및 제4열원모듈(1100)이 구비되므로, 이들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열원 및 기타 부품의 냉각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49 to 52 show an air circulation structure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먼저 본 실시례에서 냉각이 필요한 부품을 보면, (i)제1전장실(ES1)에는 상기 조명장치(790), 거리센서(710), 제3열원모듈(600), 제3온도센서(미도시) 및 전원부(1770)의 냉각이 필요하고, (ii) 제2전장실(ES2)에는 제2열원모듈(500)의 냉각이 필요하며, (iii) 제3전장실(ES3)에는 제4열원모듈(1100) 및 카메라모듈(730)의 냉각이 필요하고, (iv) 제5전장실(ES5)에는 메인제어부(700), 습도센싱모듈(750), 제2온도센서(760), 온도차단스위치(미도시)의 냉각이 필요하다. First, looking at the parts requiring cooling in this embodiment, (i) the
그리고, 이들의 냉각하기 위해 본 실시례에는 앞서 설명한 제1냉각팬모듈(1810)과 제2냉각팬모듈(185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은 상기 제2전장실(ES2)과 제3전장실(ES3)을 냉각시킬 수 있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은 제1전장실(ES1), 제2전장실(ES2) 및 제5전장실(ES5)을 냉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도 케이스(100,20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1전장실(ES1)의 일부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은 상기 제3전장실(ES3)에 배치된 상기 덕트어셈블리(920)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므로, 제1냉각팬모듈(1810)은 캐비티(S)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And, in order to cool them, the first
구체적으로 보면, 도 47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부(242)와 공기가 다시 배출되는 공기배출부(243)는 모두 조리기기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외부의 공기는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로 유입되어 조리기기 내부를 순환한 후에 다시 전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가 빌트인 방식으로 설치되더라도, 원활한 공기순환이 가능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47 , in this embodiment, both the
또한, 도 47과 도 48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의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는 복수의 전장실들이 마련되고, 공기는 이들 전장실들을 유동하면서 부품들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베리어(950)는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 공기가 제4전장실(ES4)을 통해 다시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공기는 제2전장실(ES2)의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킨 후에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배출부(243)로 빠져나가게 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7 and 48,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artments are provided outside the
그리고,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단열후판(280)은 각각 이너케이스(100)의 바깥쪽에 배치되어 캐비티(S) 내부의 열이 부품들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 및 제2냉각팬모듈(1850)과 함께, 상기 단열상판(270)과 상기 단열후판(280)이 조리기기의 냉각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sulating
도 47에서 보듯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은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3전장실(ES3) 및 제4전장실(ES4, 도면의 좌측면)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도 상기 단열상판(270)에 배치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단열상판(27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5전장실(ES5)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47 , the first
도 49를 보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상기 아웃전판(240)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을 향해서 공기는 두 갈래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의 좌측(화살표①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632)과 케이스(100,2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아웃상판(230, 도 49에는 생략됨) 사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의 우측(화살표②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3열원모듈(600)의 히터하우징(632)과 상기 가이드펜스(GF)의 사이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9 , the flow of air sucked by the first
이처럼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로 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거리센서(710), 조명장치(790) 및 상기 제3열원모듈(600)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의 유로에 배치된 상기 전원부(1770)도 냉각될 수 있다. 화살표③은 제1냉각팬모듈(1810)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원부(1770)를 지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원부(1770)는 제1냉각팬모듈(181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As such, in the process of air being sucked into the first
이와 동시에,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도 상기 아웃전판(24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 방향(화살표④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전장실(ES1)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에 포함된 제1구동하우징(1857a)과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을 향해 두 갈래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구동하우징(1857a) 방향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아웃전판(240)의 공기흡입부(242)를 통해 유입될 수 있고, 상기 도어(300)에 가까운 제1전장실(ES1)의 전방을 냉각할 수 있다. At the same time,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조리기기의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도 50을 참조하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아래쪽, 즉 상기 제3전장실(ES3) 방향(화살표①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열원모듈(400)의 마그네트론(410)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의 하부에는 제1열원모듈(400)을 구성하는 마그네트론(410)이 배치되므로,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아래쪽(화살표①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이동하면서 상기 마그네트론(410)을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3전장실(ES3)을 거친 공기는 상기 단열후판(280)의 하부에 형성된 통기부(283)를 통해서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다. In addition, the air sucked by the first
한편 도 52를 보면,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의 제1구동하우징(1857a) 내부로 흡입된 공기도 아래쪽, 즉 상기 제5전장실(ES5) 방향(화살표④방향)으로 토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메인제어부(700)와, 상기 배기덕트(940)에 배치된 상기 습도센싱모듈(750)과 제2온도센서(760)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상기 메인제어부(700)는 상기 제1구동하우징(1857a)의 아래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메인제어부(700)가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52 , the air sucked into the
이어서, 상기 제5전장실(ES5)을 거친 공기는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되고, 상기 제2전장실(ES2)에서 상기 제2열원모듈(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바깥쪽(화살표③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Subsequent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fth electrical cabinet ES5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abinet ES2, and the air cooled by the second
한편,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의 제2구동하우징(1857b)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중력방향이 아니라, 수평한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50에서 보듯이,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에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의 출구(1857b', 도 48참조)를 통해 상기 제1전장실(ES1) 방향, 즉 상기 전원부(1770)를 향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은 상기 전원부(1770)를 냉각할 수 있다. Meanwhile, air sucked into the
상기 전원부(1770)를 냉각시킨 공기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50을 보면, 공기가 상기 제2구동하우징(1857b)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전원부(1770) 방향으로 토출되었다가, 아래쪽인 상기 제3전장실(ES3)을 향해(화살표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4열원모듈(1100)이 냉각될 수 있다. 제4열원모듈(1100)은 거친 공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제2전장실(ES2)로 유입된 후에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공기배출부(243)로 빠져나갈 수 있다. The air cooling the
도 52에서 상기 배기덕트(940)를 통해도 공기가 제2전장실(ES2)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940)는 상기 캐비티(S)에서 배출된 공기를 아래쪽(화살표⑤방향)으로 안내하여, 제2전장실(ES2)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캐비티(S)에서 배출된 공기도 상기 공기배출부(243)를 통해 바깥쪽(화살표③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FIG. 52 , air can also be deli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battlefield ES2 through the
이때,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과 상기 제2냉각팬모듈(1850)에 의해 상기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제4전장실(ES4)로는 다시 유입되지 못한다. 이는 상기 제4전장실(ES4)의 아래쪽에 상기 에어베리어(950)가 배치되기 때문이다. 도 52에서 보듯이, 에어베리어(950)가 공기를 전방으로 유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electrical compartment ES2 by the first
도 51를 보면, 제4전장실(ES4)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4전장실(ES4)에는 제1열원모듈(400)을 구성하는 웨이브가이드(420)와 공급덕트(910)가 배치된다.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의 아래쪽(화살표①)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급덕트(9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 5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공급덕트(910)에 구비된 덕트어셈블리(920)가 개방되면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덕트어셈블리(920)를 통해 상기 공급덕트(9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910)를 따라 전방(화살표③방향)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흡기구(123, 도 47참조)를 통해서 상기 캐비티(S)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화살표④는 캐비티(S)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이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51에서 화살표②는 상기 제1냉각팬모듈(1810)에서 토출되어 제2전장실(ES2)에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에어베리어(950)의 건너편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51, the appearance of the fourth battlefield ES4 is shown. As can be seen, the
이와 같은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제1열원모듈(400) 내지 제4열원모듈(1100)과, 전원부(1770), 마그네트론(410), 메인제어부(700) 등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의 유로들은 공기의 역행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공기를 유도하여 원활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별도의 관(tube)형태의 구조를 두지 않더라도, 부품 사이의 공간을 활용함으로써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irst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이너케이스
110: 이너측판
120: 이너후판
123: 흡기구
125: 배기구
128: 카메라장착부
160: 이너상판
165: 조명장착부
200: 아웃케이스
210: 아웃측판
220: 아웃후판
230: 아웃상판
240: 아웃전판
242: 공기흡입부
243: 공기배출부
250: 아웃하판
270: 단열상판
273: 조명관통부
274: 센서장착부
280: 단열후판
300: 도어
350: 디스플레이모듈
400: 제1열원모듈
410: 마그네트론
420: 웨이브가이드
500: 제2열원모듈
510: 베이스플레이트
520: 서포터
530: 장착브라켓
540: 차폐필터
550: 코일조립체
560: 코일베이스
570: 워킹코일
580: 커버플레이트
600: 제3열원모듈
610: 히터부
630: 무빙어셈블리
632: 히터하우징
640: 고정어셈블리
651,652: 전방링크
653,654: 후방링크
700: 메인제어부
710: 거리센서
711: 센서하우징
720: 거리센싱부
730: 카메라모듈
731: 카메라하우징
740: 카메라기판
745: 카메라센서
750: 습도센싱모듈
760: 제2온도센서
770: 전원부
771: 고압트랜스
810: 제1냉각팬모듈
817a: 제1구동하우징
817b: 제2구동하우징
850: 제2냉각팬모듈
852: 제2팬케이스
910: 공급덕트
920: 덕트어셈블리
940: 배기덕트
950: 에어베리어
S: 캐비티100: inner case 110: inner side plate
120: inner thick plate 123: intake port
125: exhaust port 128: camera mounting part
160: inner top plate 165: lighting mounting part
200: Out case 210: Out side plate
220: Out plate 230: Out top plate
240: out front plate 242: air intake
243: air discharge unit 250: out lower plate
270: insulation top plate 273: lighting penetration
274: sensor mounting part 280: insulation thick plate
300: door 350: display module
400: first heat source module 410: magnetron
420: wave guide 500: second heat source module
510: base plate 520: supporter
530: mounting bracket 540: shielding filter
550: coil assembly 560: coil base
570: working coil 580: cover plate
600: third heat source module 610: heater unit
630: moving assembly 632: heater housing
640: fixed assembly 651,652: front link
653,654: rear link 700: main control unit
710: distance sensor 711: sensor housing
720: distance sensing unit 730: camera module
731: camera housing 740: camera substrate
745: camera sensor 750: humidity sensing module
760: second temperature sensor 770: power unit
771: high voltage transformer 810: first cooling fan module
817a: first driving
850: second cooling fan module 852: second fan case
910: supply duct 920: duct assembly
940: exhaust duct 950: air barrier
S: Cavity
Claims (36)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제1열원모듈;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를 향해 자기장을 방출하는 제2열원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제3열원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ase with a cavity formed therein;
a door provided in the cas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emitting microwaves into the cavity;
a second heat source modul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emitting a magnetic field toward the cavity;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third heat source module disposed above the case and generating radiant heat toward the cavit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re disposed in the case to face each other with the cavity interposed therebetween.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the case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and the main control unit is disposed on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of the case wher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a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hick plate of the inner case constituting the case and the outer thick plate of the outer case.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4, wherein an insulated thick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thick plate and the outer thick plate,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provided in the insulated thick plate.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어셈블리;와
내부에 히터부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어셈블리와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는 무빙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 fixing assembly fixed to the case; and
A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a moving assembly having a heater part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fixed assembl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6, wherein a link assembly is connected between the fixed assembly and the moving assembly, and the moving assembly is linearly moved during rotation of the link assembl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6, wherein the fixing assembly is fixed to an insulating top plate disposed above an inner case constituting the case, and the moving assembly is moved inside the cavity through a movable opening of the insulating top plate.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a distance sensor is disposed in the case to face the center of the cavit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9, wherein the distance sensor is disposed at a front portion of an insulating top plate coupled to an out front plate of the case.
상기 캐비티가 형성된 이너케이스;와
상기 이너케이스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아웃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열원모듈과 상기 제2열원모듈은 상기 이너케이스와 상기 아웃케이스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3열원모듈은 상기 이너케이스의 이너상판에 형성된 상판개구부를 통해 상기 캐비티로 노출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an inner case in which the cavity is formed; and
Including; an outer case disposed outside the inner case,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nd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r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exposed to the cavity through an upper plat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upper plate of the inner cas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inner case has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that open toward the cavity are form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inner case, respectively, and a cooking duct covering the intake port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device.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2, wherein one end of the supply duct covers the intake port,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ly duct includes a duct assembly that opens and closes the other end of the supply duct.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2, wherein the supply duct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plate of the inner case where the wave guide constituting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and the supply duct is disposed at a different height from the wave guide.
상기 단열후판에 배치되고, 마이크로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이너케이스의 이너측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파를 상기 캐비티 내부로 전달하는 웨이브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 magnetron disposed on the insulating thick plate and generating microwaves; and
and a wave guide disposed on the inner side plate of the inner case and transmitting the microwaves into the cavit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1, wherein the inner case is provided with an exhaust duct covering the exhaust port, and one end of the exhaust duct covers the exhaust port and the other end is open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6, wherein the exhaust duct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plate of the inner case where the main control unit is disposed, and the exhaust duct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door than the main control unit.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6, wherein at least one of a humidity sensing module and a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in the exhaust duct.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1, wherein a ligh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inner top plate of the inner case to face the cavit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1, wherein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cavity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case and the outer case.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1, wherein a heat insulating top plate is coupled to the top plate of the inner case, and a cooling fan module is disposed on the heat insulating top plate.
22 .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21 , wherein a fan penetration part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insulation top plate protruding more rearward than the inner case, and the cooling fan module is disposed above the fan penetration part.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oling fan modules are disposed arou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with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s a center.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23, wherein one of the plurality of cooling fan modules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ther cooling fan modules.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n air intake part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and is open toward the first electrical compartment where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and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ase is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2A cooking appliance with an air discharge part that opens toward the battlefield.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25, wherein a shielding frame having a slit smaller than that of the air intake is disposed behind the air intake.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는 제1열원모듈;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를 향해 자기장을 방출하는 제2열원모듈;과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캐비티를 향해 복사열을 발생시키는 제3열원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A case with a cavity formed therein;
a door provided in the case and opening and closing the cavity;
a first heat source modul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emitting microwaves into the cavity;
a second heat source modul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emitting a magnetic field toward the cavity; and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moving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and generating radiant heat toward the cavity.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어셈블리;와
내부에 히터부가 배치되고, 상기 고정어셈블리와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는 무빙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를 구성하는 이너케이스와 아웃케이스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무빙어셈블리는 상기 이너케이스에 형성된 상판개구부를 통해서 이동되는 조리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7, wherei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 fixing assembly fixed to the case; and
A moving assembly having a heater unit disposed therein and having a variable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while moving relative to the fixed assembly;
The fixing assembly is disposed between an inner case and an outer case constituting the case,
The moving assembly is moved through the upper plate opening formed in the inner case.
상기 케이스의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되는 제1열원모듈, 제2열원모듈 및 제3열원모듈;과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제1열원모듈, 상기 제2열원모듈 및 상기 제3열원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리레벨이 입력되는 단계;
입력된 상기 조리레벨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열원모듈, 상기 제2열원모듈 및 상기 제3열원모듈의 동작모드가 각각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A case with a cavity formed therein;
A first heat source module, a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respectively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of the case; and
In the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main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case and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Step of inputting a cooking level;
and selecting operation modes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by the main controller according to the input cooking level.
상기 제1열원모듈, 상기 제2열원모듈 및 상기 제3열원모듈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동작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29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re oper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case and emits microwaves into the cavity, and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emits a magnetic field toward the cavity; ,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s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liance generates radiant heat toward the cavity.
입력된 상기 제1열원모듈의 조리레벨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곱한 값이 제1열원모듈의 조리시간으로 설정되는 제1열원모듈 동작모드;
입력된 상기 제2열원모듈의 조리레벨에 따라 기설정된 조리시간 동안 상기 제2열원모듈의 가열전력이 선택되는 제2열원모듈 동작모드;와
입력된 상기 제3열원모듈의 조리레벨과 기설정된 기준시간을 곱한 값이 제3열원모듈의 조리시간으로 설정되는 제3열원모듈 동작모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operation mode
a first heat source module operation mode in which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input cooking level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is set as a cooking time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 second heat source module operation mode in which heating power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is selected for a predetermined cooking time according to the input cooking level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and a third heat source module operation mode in which a value obtained by multiplying the input cooking level of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by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is set as a cooking time of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wherei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mov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that some or all heaters among a plurality of heaters included i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that is operated or selected by adjusting the positions of the heater units.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3,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is operated only when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in a first position farthes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The cooking appliance of claim 29, wherein the cooking time of the first heat source module and the third heat source module is adjusted to select an operation mode,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second heat source module is selected by adjusting a driving voltage through an inverter control. control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AU2022379302A AU2022379302A1 (en) | 2021-10-28 | 2022-10-12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
PCT/KR2022/015347 WO2023075213A1 (en) | 2021-10-28 | 2022-10-12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oking appliance |
CN202280055482.3A CN117859409A (en) | 2021-10-28 | 2022-10-12 |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aratus |
US17/965,690 US20230134860A1 (en) | 2021-10-28 | 2022-10-13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22201824.4A EP4175414A1 (en) | 2021-10-28 | 2022-10-17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6154 | 2021-10-28 | ||
KR20210146154 | 2021-10-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206A true KR20230061206A (en) | 2023-05-08 |
Family
ID=8638139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813A KR20230061203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
KR1020220001811A KR20230061201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01810A KR20230061200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01816A KR20230061206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813A KR20230061203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
KR1020220001811A KR20230061201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KR1020220001810A KR20230061200A (en) | 2021-10-28 | 2022-01-05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4) | KR20230061203A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87252B2 (en) | 2001-01-11 | 2006-01-17 | General Electric Company | Speedcooking oven including convection/bake mode and microwave heating |
KR20180115981A (en) | 2017-04-14 | 2018-10-24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Hybrid oven |
KR20210107487A (en) | 2020-02-24 | 2021-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liance |
-
2022
- 2022-01-05 KR KR1020220001813A patent/KR20230061203A/en unknown
- 2022-01-05 KR KR1020220001811A patent/KR20230061201A/en unknown
- 2022-01-05 KR KR1020220001810A patent/KR20230061200A/en unknown
- 2022-01-05 KR KR1020220001816A patent/KR20230061206A/en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87252B2 (en) | 2001-01-11 | 2006-01-17 | General Electric Company | Speedcooking oven including convection/bake mode and microwave heating |
KR20180115981A (en) | 2017-04-14 | 2018-10-24 |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 Hybrid oven |
KR20210107487A (en) | 2020-02-24 | 2021-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Cooking appli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61201A (en) | 2023-05-08 |
KR20230061200A (en) | 2023-05-08 |
KR20230061203A (en) | 2023-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1060B1 (en) | Oven range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means | |
CN111520775B (en) | Heating cooker | |
KR20170007955A (en) | Cooking apparatus | |
US20230213206A1 (en)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20230061206A (en)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30061205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061207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061202A (en) | Cooking appliance | |
EP4175416B1 (en) | Cooking appliance | |
EP4175414A1 (en)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175419A1 (en) | Cooking appliance | |
EP4426059A1 (en) | Cooking apparatus | |
EP4175418A1 (en) | Cooking appliance | |
EP4426058A1 (en) |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EP4175413A1 (en) |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KR102329538B1 (en) | Cooking appliance | |
KR101101487B1 (en) | Steam cooking appliance | |
CN117859409A (en) |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cooking apparatus | |
JP2015138631A (en) | induction heating cooker | |
KR20110015784A (en) | Cooking appliance | |
EP1972856B1 (en) | Cooking appliance | |
JP2012042104A (en) | Heating cooker | |
KR100678778B1 (en) | The cooling strycture of oven-lamp for electric oven | |
JP5600475B2 (en) | Cooker | |
KR20060082249A (en) | A structure of oven part for electric ov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