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145A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40145A KR20230040145A KR1020210123389A KR20210123389A KR20230040145A KR 20230040145 A KR20230040145 A KR 20230040145A KR 1020210123389 A KR1020210123389 A KR 1020210123389A KR 20210123389 A KR20210123389 A KR 20210123389A KR 20230040145 A KR20230040145 A KR 202300401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efied
- storage container
- gas
- insulation
- liquefied hydroge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005 microsphe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3981 veh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5830 Polyurethane Foam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491 glass woo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496 polyurethane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949 liquefied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9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15 liquefied petroleum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9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3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CTFE)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85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Poly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Chemical compound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6 vacuum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29—Foam
- F17C2203/0333—Polyureth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45—Fibres
- F17C2203/035—Glass woo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17C2203/0304—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 F17C2203/0358—Thermal insulations by solid means in form of pa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31—Three or more wa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화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끓는점이 매우 낮은 수소의 저장 및 운송에 최적화된 액화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a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optimized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hydrogen having a very low boiling point and a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수소의 운송은 크게 내륙에서의 운송과 해상에서의 운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륙에서 수소의 운송은 파이프 라인을 이용하거나 전용 수송 차량 또는 철도 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해상에서 수소의 운송은 특수한 저장설비를 갖춘 선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hydrogen transportation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land transportation and sea transportation. Hydrogen transportation inland can be carried out using pipelines, dedicated transport vehicles or railroads, and transportation of hydrogen on the sea can be carried out by ships equipped with special storage facilities.
내륙 및 해상을 통한 수소 운송의 공통적인 특징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특수한 저장설비가 갖추어진 운송 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수소를 저장하여 운송할 수 있는 저장설비를 갖춘 운송 수단의 경우, 효율적인 수소의 운송을 위하여 기체 상태의 수소를 냉각 그리고/혹은 가압하여 액화시켜 액체 상태로 저장 및 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A common feature of hydrogen transportation through inland and sea is that it is carried out by means of transportation equipped with special storage facilities capable of storing hydroge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with storage facilities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hydrogen, it is a general opinion that it is desirable to liquefy hydrogen in a gaseous state by cooling and/or pressurizing it and storing and transporting it in a liquid state for efficient transportation of hydrogen. am.
액화시킨 상태의 수소, 즉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기술로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데, 해상과 육상에서 모두 적용되고 있는 멤브레인형 탱크(membrane type tank) 기술과 주로 해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독립형 탱크(independent type tank)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독립형 탱크의 경우에는 압력용기(pressure vessel)로 지칭되는 Type C 탱크와 상압탱크(atmospherical tank)인 Type A 탱크 및 Type B 탱크로 구분될 수 있다.As a technology for storing liquefied hydrogen, that is, liquefied hydrogen, various technologies can be applied. The membrane type tank technology, which is applied both at sea and on land, and the independent tank technology, which is mainly applied at sea, can be applied. type tank) technology may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an independent tank, it can be divided into a Type C tank referred to as a pressure vessel, a Type A tank and a Type B tank, which are atmospheric tanks.
상기와 같은 저장기술들은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것들로서 기술적으로 구현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지만, 상기한 기존의 저장기술들은 주로 LNG(액화천연가스)나 LPG(액화석유가스)의 저장에 적합하게 설계된 것으로서, 수소의 경우에는 LNG나 LPG 등과 대비하여 액화온도(끓는점)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기존 저장기술들의 단열방식으로는 액화수소를 상당한 기간 동안 손실 없이 저장하여 운송하기에는 무리가 있다.The above storage technologies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and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technically implementing them, but the above existing storage technologies are mainly designed for the storage of LNG (Liquefied Natural Gas) or LPG (Liquefied Petroleum Gas), In the case of hydrogen, since the liquefaction temperature (boiling poin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LNG or LPG, it is difficult to store and transport liquefied hydrogen without loss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 the insulation method of existing storage technologies.
기존의 저장기술들을 액화수소의 저장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장용기(혹은 저장탱크)에 갖추어지는 단열시스템의 단열 두께를 수배에서 수십배까지 증가시키거나 진공단열재 등의 고성능 단열재를 추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므로, 결국 기존의 저장기술들은 끓는점이 매우 낮은 액화수소의 저장에 적합한 기술로는 볼 수 없다.In order to use the existing storage technologies for the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insulation system equipped in the storage container (or storage tank) by several to several dozen times or to additionally apply high-performance insulation materials such as vacuum insulation materials. Therefore, in the end, the existing storage technologies cannot be seen as suitable technologies for the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with a very low boiling point.
기체 상태의 수소는 상압(atmospherical pressure)에서는 영하 253도의 끓는점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온도까지 냉각이 되어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가압된 환경에서도 수소가 액화되는 온도는 상당히 낮으며, 약 10 barg로 가압하였을 때 수소는 영하 242도 수준에서 액체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ince gaseous hydrogen has a boiling point of -253 degrees below zero at atmospheric pressure, it must be cooled to that temperature before it is converted from gaseous to liquid. In addition, even in a pressurized environment, the temperature at which hydrogen is liquefied is quite low, and when pressurized at about 10 barg, hydrogen can be converted into a liquid state at -242 degrees Celsius.
이와 같은 수소의 상변화 특성 때문에 상온(atmospherical temperature) 상태에 가까운 저장용기의 외부 조건과 영하 253도의 액화수소가 저장되는 저장용기의 내부와는 대략 300도에 가까운 큰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용기의 내/외부 온도 차이는 열전달의 요인이 되고, 열전달로 인해 발생하는 열류(heat flux)에 의한 열침임으로 인하여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수소의 증발(boil-off)을 야기시킨다.Due to the phase change characteristics of hydrogen, a large temperature difference of approximately 300 degrees occurs between the external conditions of the storage container close to atmospheric temperature and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storing liquefied hydrogen at minus 253 degrees Celsiu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is a factor in heat transfer, and heat penetration by the heat flux generated by the heat transfer causes boil-off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
저장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액화수소의 증발은 결국 수소의 저장 및 운송 과정 동안 수소의 손실로 다가온다. 가압형 저장용기의 경우에는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최대허용압력(maximum design vapour pressure) 내에서 증발가스(Boil-Off Gas, BOG)를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할 수 있겠으나, 수소의 임계점(critical point)에 이르지 않게 관리해야 할 것이 요구되고, 지속적인 액화수소의 증발로 인하여 허용 내압을 넘어서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증발가스를 저장용기 외부로 방출할 수 밖에 없다.The evaporation of liquefied hydrogen that occurs inside the storage vessel eventually comes as a loss of hydrogen during the process of storing and transporting hydrogen. In the case of a pressurized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store boil-off gas (BOG)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within the maximum design vapor pressure designed to withstand it, but at the critical point of hydrogen If it is required to be managed early, and it is expected to exceed the allowable internal pressure due to the continuous evaporation of liquefied hydrogen, the boil-off gas must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끓는점이 매우 낮은 수소를 상당한 기간 동안 열손실 없이 저장하여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해상 운송시 액화 상태로 저장되는 수소의 열침입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고성능의 단열시스템을 갖춘 액화수소 저장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s to be able to store and transport hydrogen with a very low boiling point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out heat loss. It is to provide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insulation system and a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to minimize loss due t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액화수소를 저장하기 위한 액화수소 저장용기로서,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와 직접 접하면서 1차적인 기밀을 수행하는 1차 방벽;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 상기 단열공간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열차단용 액화가스로서 액화질소 또는 LNG가 수용되는 극저온열차단층; 및 상기 극저온열차단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최종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는 상기 단열공간을 구획하는 구조물의 최상부층보다 수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iquefied hydrogen, a primary barrier for performing a primary airtight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liquefied hydrogen stored therein; a heat insulating space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outside the primary barrier and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and accommodating liquefied nitrogen or LNG as a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in the internal space; And a final thermal insulation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ryogenic thermal insulation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is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the uppermost layer of the structure partitioning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can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단열공간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구획구조물; 및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제1 구획구조물 사이 그리고 상기 단열공간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구획구조물 사이를 지지하고 공간을 확보하는 제1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primary barrier to form the adiabatic space, and at least one of the primary barriers corresponds to the number of the adiabatic spaces. A first partition structure sequentially installed outward; And a first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primary barrier and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 and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heat insulation spac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상기 극저온열차단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구획구조물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구획구조물; 및 상기 제1 구획구조물과 상기 제2 구획구조물 사이를 지지하고 공간을 확보하는 제2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 to form the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and a second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 and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는 다층박막단열재(multi-layer insulation)가 배치되어 단열층이 형성되거나 혹은 중공유리미세구(hollow glass microspheres)나 글라스버블(glass bubble)을 포함하는 분말형 또는 비드형 단열재가 충전되어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insulation space, a multi-layer insulation is disposed to form an insulation layer, or a powder type or bead type insulation includ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or glass bubbles is filled. Thus, an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상기 최종단열층은 진공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폼 형태의 유기 단열재 및 글라스울(glass wool)을 포함하는 무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nal insulation layer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vacuum insulation panel, an organic insulation material in the form of a foam including polyurethane foam, and an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glass wool. .
또는, 상기 최종단열층은 상기 제2 구획구조물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별도의 외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구조물과 상기 외부층 사이의 공간은 다층박막단열재가 배치되거나 혹은 중공유리미세구나 글라스 버블을 포함하는 분말형 또는 비드형 단열재가 충전된 후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inal insulating layer further includes a separate outer lay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multi-layer thin film insulation material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and the outer layer.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in a vacuum after filling a powder or bead-type insulating material includ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and glass bubbles.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상기 1차 방벽이 소정의 압력을 견딜수 있는 가압탱크일 수 있다.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may be a pressure tank in which the primary barrier can withstand a predetermined pressure.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상에 개시된 어느 하나의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any one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s disclos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에서,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선수로부터 선미 측으로 복수개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가장 후미에 배치되는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후방에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액화수소 처리설비 및 상기 극저온열차단층 내부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액화가스 처리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s are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from the bow to the stern side, and at the rear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disposed at the rear end. A liquefied hydrogen treatment facility for processing evaporation gas of liquefied hydrogen stored inside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a liquefied gas processing facility for processing evaporation gas of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ccommodated inside the cryogenic thermal insulation layer may be provided. .
상기 액화수소 처리설비는,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및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 혹은 상기 액화수소 자체를 상기 해상 운송 수단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efied hydrogen 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re-liquefaction device for re-liquef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a fuel cell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and a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or the liquefied hydrogen itself.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fuel supply systems supplying fuel to the dynamometer of the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상기 액화가스 처리설비는,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가 액화질소인 경우 액화질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암모니아합성장치,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 혹은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 자체를 해상 운송 수단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선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quefied gas 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re-liquefaction device for re-liquef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n ammonia synthesis device for synthesizing ammonia using boil-off gas of the liquid nitrogen when the liquefied gas for heat shield is liquefied nitrogen, At least one of a fuel supply system for suppl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or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itself as fuel for a power system of a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and an exhaust system for discharg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outboard. can includ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화수소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요인 중 온도차에 의한 열침입을 기존에 상용화된 저장기술과 대비하여 1/4 내지 1/5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운송 기간 동안 액화수소의 증발률(Boil-Off Rate, BOR)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factors occurring during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it is possible to reduce heat intrusion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to 1/4 to 1/5 level compared to conventional commercialized storage technologies, and during transportation It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evaporation rate (Boil-Off Rate, BOR) of liquefied hydrogen.
본 발명은 특히 끓는점이 매우 낮은 액화수소의 저장에 최적화된 것으로서 고성능의 단열시스템을 갖추어 액화 상태의 수소를 상당한 기간 동안 열손실 없이 저장 및 운송하는 것이 가능한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제공하며, 이러한 액화수소 저장용기가 구비된 해상 운송 수단을 통한 수소의 운송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optimized for the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with a very low boiling point and provides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insulation system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efied hydroge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out heat loss. It has an economical effect that energy loss can be minimized when transporting hydrogen through marine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with a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단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열공간이 단수층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단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단열공간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가 구비된 해상 운송 수단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is formed of a single layer.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a maritime transport means equipped with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해야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는 다소 상이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고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Matters represented 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may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form actually implemented as a schematic drawing to easily expla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is for explanation. They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and are not meant to be of actual siz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하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하는 것은 직접적인 연결은 물론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는 것이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aying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ncludes a direct connection as well as an indirect connection, and another component may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Singular expressions may be interpreted as including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액화수소 저장용기에 대해 '1차' 및 '2차'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된 액화수소를 기준으로 액화수소를 1차적으로 밀봉 또는 단열하는 것인지 2차적으로 밀봉 또는 단열하는 것인지에 대한 기준으로 구사된 것이다.The use of the terms 'primary' and 'secondary' for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whether the liquefied hydrogen is primarily sealed or insulated based on the liquefied hydrogen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or is secondarily sealed. Or it is used as a criterion for whether to insu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단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각각 단열공간이 단수층 및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가 구비된 해상 운송 수단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and 2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thermal insulation structure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is formed of a single layer and a plurality of layers. And Figure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maritime transport means equipped with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는,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와 직접 접하면서 1차적인 기밀을 수행하는 1차 방벽(primary barrier, 110); 1차 방벽(1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단열공간(120); 단열공간(120)을 구획하기 위한 제1 구획구조물(130); 제1 구획구조물(130)의 외측에 형성되는 극저온열차단층(140); 극저온열차단층(140)을 구획하기 위한 제2 구획구조물(150); 및 제2 구획구조물(150)의 외측에 형성되는 최종단열층(160)을 포함하여 단열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liquefied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는 가압탱크로서 액화수소와 직접 접하도록 구획되는 1차 방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을 근거로 하는 경우, 설계 가스 압력(design vapour pressure)가 0.7 barg 이하로 설계되는 탱크가 상압탱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술한 멤브레인형 탱크와 Type A 및 B의 독립형 탱크가 상압탱크에 해당될 수 있다. 반대로 설계 가스 압력이 2.0 barg를 초과하도록 설계되는 탱크가 가압탱크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술한 Type C의 독립형 탱크가 가압탱크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는 1차 방벽(110)이 2.0 barg를 초과하는 압력을 견디도록 설계되는 Type C의 독립형 탱크일 수 있다.The liquefied
1차 방벽(110)은 극저온의 액화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저온취성이 강한 금속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을 포함하여 액화수소의 저장이 가능한 것으로 검증된 강재가 적용될 수 있다.The
1차 방벽(110)의 내부, 즉 액화수소가 저장되는 공간 내부에는 액화수소의 적하역을 위한 배관과 펌프 등의 장비 및 펌프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등의 의장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1차 방벽(110)의 내부에는 액화수소의 증발가스 배출을 위한 배관 및 감압밸브(Pressure Relief Valve, PRV) 등이 구비될 수 있다.Inside the
1차 방벽(110) 내부의 액화수소를 적하역하기 위한 배관 및 1차 방벽(110) 내부의 증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은 후술하는 단열공간(120), 극저온열차단층(140) 및 최종단열층(16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ip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liquefied hydrogen inside the
1차 방벽(110)의 외측에는 단열공간(120)이 형성되며, 이러한 단열공간(120)은 1차 방벽(1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 구획구조물(1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An insulating
단열공간(120)은 1차 방벽(11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1차 방벽(110)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를 1차적으로 단열시키는 기능을 한다.The
단열공간(120)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층이 1차 방벽(110)의 외측에 단열 두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단열공간(120)은 단수층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단열공간(120)이 단일층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단열공간(120)이 2개의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단열공간(120)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하여 제1 구획구조물(130)도 각 단열공간(120)의 외측마다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에서 단열공간(120)은 진공 환경으로 조성될 수 있으며, 제1 구획구조물(130)은 단열공간(120)에 형성되는 진공 환경 등의 설계조건에 부합하도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구획구조물(130)은 단열공간(130)에 형성되는 진공압을 견딜 수 있도록 구조적 강도가 형성되어야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구획구조물(130)의 외측에 형성되는 극저온열차단층(140)은 액화질소 등의 극저온 액화가스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따라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1 구획구조물(130)은 외측에 수용되는 액화가스의 극저온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구조물 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바, 제1 구획구조물(130)은 통상의 1차 방벽의 설계에 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ryogenic
이는 제1 구획구조물(130)도 1차 방벽(110)과 유사하게 극저온용 강재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구획구조물(130)로서 예컨대 강화 플라스틱(FRP: 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과 같이 극저온에서 사용 가능하고 기계적 강도가 충분한 것이라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means that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액화수소 저장용기(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관 상에 설치되는 감압밸브는 제1 구획구조물(130)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단열공간(120)이 복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최내곽에 형성되는 단열공간(120)을 구획하기 위한 제1 구획구조물(130)의 경계부에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nstalled on the pipe for discharging boil-off gas generated inside the liquefied
단열공간(120) 내에는 1차 방벽(110)과 제1 구획구조물(130) 사이 혹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구획구조물(130) 사이(단열공간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지지하고 두 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지지구조체(미도시)는 1차 방벽(110)과 제1 구획구조물(130) 사이 혹은 서로 인접하는 제1 구획구조물(130) 사이를 지지하는 서포트(support)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되는 두 구조물 사이의 열전달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재, 예컨대 PCTFE(PolyChloroTriFluoroEthylene), PTFE(PolyTetraFluoroEthylene) 및 UHMWPE(Ultra-High-Molecular-Weight PolyEthylene) 등과 같이 극저온에서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support structur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support that supports between the
단열공간(120) 내에서 지지구조체(미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진공 환경으로 구비된 공간 내에 다층박막단열재(Multi-Layer Insulation, MLI) 또는 중공유리미세구(hollow glass microspheres)나 글라스버블(glass bubble)과 같이 진공 환경 하에서 사용 가능한 분말형/비드형 단열재를 포함하도록 하여 단열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보다 구체적으로, 1차 방벽(110)의 외측이나 제1 구획구조물(130)의 내측에 다층박막단열재를 10겹에서 40겹 내에서 감거나 또는 단열공간(120) 내에 중공유리미세구나 글라스버블과 같이 진공 환경 하에서 사용 가능한 분말형/비드형 단열재를 채우는 방식으로 단열공간(120) 내에 단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공간(120) 내에 단열층이 형성된 이후에는 단열공간(12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진공 형성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multilayer thin film insulation is wound within 10 to 40 layers on the outside of the
단열공간(120) 및 제1 구획구조물(130)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각 단열공간(120)마다 공간의 구획 및 지지를 위한 지지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열공간(120)이 각각 진공 환경으로 조성되어 각 공간 내부에 다층박막단열재나 분말형/비드형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the insulating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각 단열공간(120) 내에는 해당 공간의 온도 및 압력을 계측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단열공간(120)의 진공을 구현하기 위한 배관은 유사시 누출된 액화수소를 배출하는 통로로 활용될 수 있다.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corresponding space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at least one insulating
제1 구획구조물(130)의 외측에는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로의 열침입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극저온열차단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단열공간(120)이 액화수소의 1차적인 단열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극저온열차단층(140)은 액화수소의 2차적인 단열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A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의 구획을 위하여 제1 구획구조물(13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2 구획구조물(150)이 구비될 수 있고, 극저온열차단층(140) 내에는 제1 구획구조물(130)과 제2 구획구조물(150) 사이를 지지하고 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지지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For the partitioning of the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설치되는 지지구조체(미도시)도 단열공간(120) 내에 설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PCTFE, PTFE, 또는 UHMWPE 등과 같이 극저온에서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A support structure (not shown) installed on the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 공간에는 극저온에서 액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질소나 산소 또는 천연가스 등이 액화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즉, 극저온열차단층(140)의 내부 공간에는 액화질소(LN2), 액화산소(LO2), LNG 등의 액화가스가 수용될 수 있다.Nitrogen, oxygen, or natural gas that can be stored in a liquefied state at a cryogenic temperature may be accommodated in a liquefied state in the space of the cryogenic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액화수소의 경우에는 상압 조건에서 영하 253도에서 액체 상태가 유지되며, 외부 온도를 최대 45도까지 고려하면 액화수소가 저장되는 공간과 외부와의 온도차가 거의 300도에 가깝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액화수소가 저장되는 공간의 외측에 극저온열차단층(140)을 형성하고 그 공간 내부에 액화가스를 채우게 되면, 액화수소가 경험하는 외부와의 온도 차이가 현격하게 줄어들게 된다.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in the case of liquefied hydrogen, the liquid state is maintained at minus 253 degrees Celsius under normal pressure conditions, and considering the external temperature up to 45 degrees,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where liquefied hydrogen is stored and the outside is close to 300 degrees. It happens.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yogenic
예컨대, 극저온열차단층(140) 내부에 액화질소가 수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면, 액화질소는 영하 196도의 끓는점을 가지므로 액화수소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300도 대신 60도 이하의 온도차만 경험하게 된다. 즉, 액화수소가 겪는 온도차가 1/5 이하로 줄어들게 되므로 그 만큼 단열을 적게 하여도 되거나 혹은 동일한 단열층으로도 열침입을 크게 줄여 액화수소의 증발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suming that liquid nitrogen is accommodated inside the cryogenic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예시된 액화가스 중에서 위험도 측면에서 가장 안전하고 끓는점이 가장 낮아 액화수소와 온도 차이가 적은 액화질소가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수용되는 액화가스로서 가장 바람직하게 고려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liquefied gases exemplified above, liquefied nitrogen, which is the safest in terms of risk and has the lowest boiling point and has a small temperature difference with liquefied hydrogen, can be most preferably considered as a liquefied gas accommodated in the cryogenic
다만,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액화질소를 제외한 다른 액화가스의 수용을 지양(止揚) 혹은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액화질소 뿐만 아니라 액화산소나 LNG 등과 같이 액화수소와 끓는점의 차이가 크지 않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액화수소의 끓는점과 액화수소 저장용기(100) 외부 온도와의 평균 온도보다 낮은 끓는점을 가지는 다양한 액화가스가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수용되는 액화가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However, acceptance of other liquefied gases other than liquid nitrogen in the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 공간에 수용되는 액화가스로서 LNG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LNG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나 LNG 자체를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가 구비되는 해상 운송 수단(1)의 동력계 연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LNG as the liquefied gas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cryogenic
이하에서는 1차 방벽(110) 내부에 수용되는 액화수소와의 보다 확실한 구분을 위하여,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수용되는 액화가스를 '열차단용 액화가스'라 정의하여 설명을 이어 나간다.Hereinafter, in order to be mo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liquefied hydrogen accommodated in the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수용된 열차단용 액화가스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가 구비되는 해상 운송 수단(1)의 운송 기간 동안 최외곽에 배치되는 단열공간(120)을 구획하는 제1 구획구조물(130)의 최상층부보다 수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즉, 해상 운송 수단(1)의 운송 기간 동안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1 구획구조물(130)의 상면이 노출되어서는 안되며 모든 면이 열차단용 액화가스에 의해 차단되어야 한다.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ccommodated in the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의 내부에는 해당 공간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적하역을 위한 배관과 펌프 등의 장비 및 펌프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 등의 의장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극저온열차단층(140) 내부에는 열차단용 액화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관 및 감압밸브 등이 구비될 수 있다.Equipment such as pipes and pump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ccommodated in the space and equipment such as a structure for fixing the pump may be provided inside the cryogenic
극저온열차단층(140) 내부의 열차단용 액화가스를 적하역하기 위한 배관 및 극저온열차단층(140) 내부의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배관은 후술하는 최종단열층(160)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iping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inside the cryogenic
또한, 극저온열차단층(140) 공간 내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 또는 열차단용 액화가스 자체를 해상 운송 수단(1)의 연료로 활용하는 경우(예컨대, 열차단용 액화가스가 LNG인 경우), 극저온열차단층(140)은 연료탱크에 부합하는 설계기준에 맞추어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or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contained in the space of the cryogenic
제2 구획구조물(150)의 외측에는 극저온열차단층(140) 내부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종단열층(160)이 형성될 수 있다.On the outer side of the
본 발명에서 최종단열층(160)은 액화수소의 3차적인 단열을 수행하는 동시에 극저온열차단층(140)으로의 열침입을 차단하여 해당 공간 내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를 단열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al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구획구조물(150)의 내측에는 제1 구획구조물(130)과의 사이 공간 확보와 지지를 위한 목적으로 지지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구획구조물(150)의 외측에는 최종단열층(160)의 설치를 위한 고정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support structure (not shown) may be installed inside the
최종단열층(160)은 일반 상압 조건에서의 단열을 위하여 진공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이나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과 같은 폼 형태의 유기 단열재 혹은 글라스울(glass wool)과 같은 무기 단열재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단열재 중 어느 하나를 제2 구획구조물(150)의 외측면에 시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또는, 최종단열층(160)을 진공 단열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별도의 외부층(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제2 구획구조물(150)과 외부층(미도시) 사이에 다층박막단열재나 분말형/비드형 단열재를 채워 진공 환경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최종단열층(160)의 내부가 전술한 단열공간(120)의 내부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극저온열차단층(140)의 외측에 최종단열층(160)을 형성함에 있어서, 극저온열차단층(140)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종류에 따라 극저온열차단층(140)의 외측 구조가 특정 설계기준(IGC/IGF Code)을 만족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이에 준하는 설계가 반영될 수 있다.In forming the final
한편, 단열공간(120) 및 극저온열차단층(140)은 각 공간의 내부 압력에 대하여 구조적으로 안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단열공간(120) 및 극저온열차단층(140) 각 공간에 대한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장치(미도시) 및 압력조정장치(미도시)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용기(100)가 구비된 해상 운송 수단(1)에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00)의 1차 방벽(110)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액화수소 처리설비(200)와, 극저온열차단층(140) 공간 내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액화가스 처리설비(30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1 equipped with the liquefied
액화수소 처리설비(200)는,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다른 물질을 합성 및 생성하는 물질합성장치, 및 액화수소의 증발가스 혹은 액화수소 자체를 해상 운송 수단(1)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liquefied
또한, 액화가스 처리설비(300)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열차단용 액화가스가 액화질소인 경우 액화질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암모니아합성장치,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 혹은 열차단용 액화가스 자체를 해상 운송 수단(1)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선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quefi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화수소가 저장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00)는 선수로부터 선미 측으로 복수개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액화수소 처리설비(200) 및 액화가스 처리설비(300)는 가장 후미에 배치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100) 후방의 좌/우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액화수소 처리설비(100)와 액화가스 처리설비(300)는 기능이 각각 혹은 통합 운용(기능이 공통되는 경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plurality of liquefied
본 발명에 따른 해상 운송 수단(1)은 액화수소를 싣고 해상을 운항하여 목적지로 운송하는 액화수소 운반선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액화수소 운반선과 같이 자체적으로 추진 능력을 가지는 선박은 물론 액화수소를 해상에서 상당한 기간동안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자체적으로 추진 능력이 없더라도 해상에 부유하고 있는 다양한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The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liquefied hydrogen carrier that carries liquefied hydrogen and transports it to a destination by operating the se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liquefied hydrogen at sea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s well as for ships having self-propelling capabilities, such as liquefied hydrogen carriers, even if they do not have self-propelling capabilities.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floating on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화수소의 저장 중에 발생하는 요인 중 온도차에 의한 열침입을 기존에 상용화된 저장기술과 대비하여 1/4 내지 1/5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운송 기간 동안 액화수소의 증발률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factors occurring during the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it is possible to reduce heat intrusion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to 1/4 to 1/5 compared to conventional storage technologies, It has the effect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evaporation rate of liquefied hydrogen during the transportation period.
본 발명은 특히 끓는점이 매우 낮은 액화수소의 저장에 최적화된 것으로서 고성능의 단열시스템을 갖추어 액화 상태의 수소를 상당 기간 동안 열손실 없이 저장 및 운송하는 것이 가능한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제공하며, 이러한 액화수소 저장용기가 구비된 해상 운송 수단을 통한 수소의 운송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optimized for the storage of liquefied hydrogen with a very low boiling point and provides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equipped with a high-performance insulation system capable of storing and transporting liquefied hydrogen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without heat loss. It has an economical effect that energy loss can be minimized when transporting hydrogen through marine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with a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해상 운송 수단
100: 액화수소 저장용기
110: 1차 방벽
120: 단열공간
130: 제1 구획구조물
140: 극저온열차단층
150: 제2 구획구조물
160: 최종단열층
200: 액화수소 처리설비
300: 액화가스 처리설비1: Sea transport
100: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110: primary barrier
120: insulation space
130: first compartment structure
140: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150: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160: final insulation layer
200: liquid hydrogen treatment facility
300: liquefied gas treatment facility
Claims (11)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와 직접 접하면서 1차적인 기밀을 수행하는 1차 방벽;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층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단열재가 채워지는 단열공간;
상기 단열공간의 외측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열차단용 액화가스로서 액화질소 또는 LNG가 수용되는 극저온열차단층; 및
상기 극저온열차단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최종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는 상기 단열공간을 구획하는 구조물의 최상부층보다 수위가 높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As a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liquefied hydrogen,
A primary barrier that performs primary confidentiality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liquefied hydrogen stored therein;
a heat insulating space formed of at least one layer outside the primary barrier and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a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and accommodating liquefied nitrogen or LNG as a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in the internal space; and
Including a final thermal insulation lay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is maintained higher than the uppermost layer of the structure partitioning the insulation spac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단열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단열공간의 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1차 방벽의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구획구조물; 및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제1 구획구조물 사이 그리고 상기 단열공간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구획구조물 사이를 지지하고 공간을 확보하는 제1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compartment structur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primary barrier to form the thermal insulation space, at least one of which is sequentially installed outside the primary barri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hermal insulation spaces ; and
A first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primary barrier and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 and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s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heat insulation spac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Further comprising,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극저온열차단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구획구조물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구획구조물; 및
상기 제1 구획구조물과 상기 제2 구획구조물 사이를 지지하고 공간을 확보하는 제2 지지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partition structure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partition structure to form the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upport structur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space between the first compartment structure and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단열공간의 내부는 다층박막단열재(multi-layer insulation)가 배치되어 단열층이 형성되거나 혹은 중공유리미세구(hollow glass microspheres)나 글라스버블(glass bubble)을 포함하는 분말형 또는 비드형 단열재가 충전되어 단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3,
Inside the insulation space, a multi-layer insulation is disposed to form an insulation layer, or a powder type or bead type insulation including hollow glass microspheres or glass bubbles is filled. characterized in that a heat insulating layer is formed,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최종단열층은 진공단열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을 포함하는 폼 형태의 유기 단열재 및 글라스울(glass wool)을 포함하는 무기 단열재 중 어느 하나의 단열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4,
The final insulation layer is composed of any one of a vacuum insulation panel, an organic insulation material in the form of a foam including polyurethane foam, and an inorganic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glass wool. Characterized in that to do,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최종단열층은 상기 제2 구획구조물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별도의 외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구조물과 상기 외부층 사이의 공간은 다층박막단열재가 배치되거나 혹은 중공유리미세구나 글라스 버블을 포함하는 분말형 또는 비드형 단열재가 충전된 후 진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4,
The final insulation layer further includes a separate outer layer provid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compartment structure and the outer layer is a multilayer thin film insulation material is disposed or is hollow.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vacuum after being filled with a powder or bead-type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glass microspheres and glass bubbles,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상기 1차 방벽이 소정의 압력을 견딜수 있는 가압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is a pressurized tank in which the primary barrier can withstand a predetermined pressur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는 선수로부터 선미 측으로 복수개가 선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가장 후미에 배치되는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의 후방에 상기 액화수소 저장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액화수소 처리설비 및 상기 극저온열차단층 내부에 수용되는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처리하기 위한 액화가스 처리설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The method of claim 8,
A plurality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s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ull from the bow to the stern,
A liquefied hydrogen treatment facility for process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ed inside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t the rear of the liquefied hydrogen storage container disposed at the rear and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ccommodated inside the cryogenic thermal barrier layer Characterized in that a liquefied gas treatment facility for processing is provided,
A maritime transport vehicle containing a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액화수소 처리설비는,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성하는 연료전지 및 상기 액화수소의 증발가스 혹은 상기 액화수소 자체를 상기 해상 운송 수단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는 연료공급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The method of claim 9,
The liquefied hydrogen 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re-liquefaction device for re-liquef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a fuel cell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and a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hydrogen or the liquefied hydrogen itself.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uel supply systems that supply as the dynamometer fuel of the marine transportation means,
A maritime transport vehicle containing a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상기 액화가스 처리설비는,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재액화하기 위한 재액화장치,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가 액화질소인 경우 액화질소의 증발가스를 이용하여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암모니아합성장치,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 혹은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 자체를 해상 운송 수단의 동력계 연료로서 공급하기 위한 연료공급시스템 및 상기 열차단용 액화가스의 증발가스를 선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시스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수소 저장용기를 포함하는 해상 운송 수단.The method of claim 10,
The liquefied gas 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re-liquefaction device for re-liquef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thermal insulation, an ammonia synthesis device for synthesizing ammonia using boil-off gas of the liquid nitrogen when the liquefied gas for heat shield is liquefied nitrogen, At least one of a fuel supply system for supply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or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itself as fuel for a power system of a maritime transportation means, and an exhaust system for discharging the boil-off gas of the liquefied gas for heat-shielding out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ritime transport vehicle containing a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389A KR20230040145A (en) | 2021-09-15 | 2021-09-15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389A KR20230040145A (en) | 2021-09-15 | 2021-09-15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0145A true KR20230040145A (en) | 2023-03-22 |
Family
ID=8600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3389A KR20230040145A (en) | 2021-09-15 | 2021-09-15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0145A (en) |
-
2021
- 2021-09-15 KR KR1020210123389A patent/KR20230040145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0353565B2 (en) | Floating structure having an upper deck fuel tank | |
EP3394498B1 (en) | Ship containment system for liquified gases | |
US7448223B2 (en) | Method of unloading and vaporizing natural gas | |
EP2429892A1 (en) | Vessel for transport of liquefied natural gas or liquefied co2 | |
KR20200093819A (en) | Dome barrier structure of independence type storage tank | |
KR20230171064A (en) | Independent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including a vacuum insulation layer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vacuum insulation thereof,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an independent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 |
KR20230040145A (en)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40141A (en) |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40142A (en) |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 |
KR20230040140A (en) |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 |
KR20230040143A (en) |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 |
KR20230040144A (en) | Marine transportation means including liquid hydrogen storage container | |
KR20120126997A (en) | Insulation structure of a storage tank for low temperature liquid cargo | |
KR101167150B1 (en) |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cargo containment of lng carrier | |
KR20230139944A (en) | Independent liquefied hydrogen storage tank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therewith | |
KR20230026578A (en) | Operation method of Independent type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 |
KR20230139943A (en) | Independent liquefied hydrogen storage tank and marine transportation means equipped therewith | |
KR101542306B1 (en) | N2 baloon Sloshing Prevent System for LNG Membrane Tank | |
KR20120003659U (en) | Passage way and hull structure having the same for marine structure | |
RU2760364C1 (en) | Ballast and cargo tank of an underwater gas tanker for transportation of liquefied gases, predominantly liquefied natural gas | |
KR20230151137A (en) | Independent Type Storage Tank for Liquefied Hydrogen | |
KR20140084831A (en) | Container Type Storage Tank And Storage Method For LNG Transportation | |
KR20120000971A (en) | Liquefied gas storage tank with safety valves | |
KR20180134653A (en) | Structure for decreasing vibration and stress in stern of lng carrier | |
KR20220142131A (en) | Insulation structure for liquified gas storage tank and method for forming the insula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