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326A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30326A KR20230030326A KR1020210112431A KR20210112431A KR20230030326A KR 20230030326 A KR20230030326 A KR 20230030326A KR 1020210112431 A KR1020210112431 A KR 1020210112431A KR 20210112431 A KR20210112431 A KR 20210112431A KR 20230030326 A KR20230030326 A KR 202300303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cessor
- fixture
- abutment
- recommended
- err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2513 impla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7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980 postope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7943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70 computed tomography im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77 ren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46 3D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53 dental imp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5 ging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1 glass-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7—Visualisation of planned trajectories or target reg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8—Computer aided selection or customisation of medical implants or cutting gu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obo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비교하여 수술자가 수술 계획한대로의 결과를 얻었는지에 대한 오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픽스쳐의 식립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를 이용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제안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수술 계획에 따라 환자의 구강에 픽스쳐가 적절하게 식립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픽스쳐의 식립 오차가 발생한 경우 수술 전에 결정되었던 보철물의 스펙을 갱신하여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임플란트 수술을 위해 수술자가 환자의 CT 데이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 케이스에 따라 픽스쳐를 식립할 위치 등의 임플란트 수술 계획을 수립하고, 수술 이후에 환자의 파노라마 및 CT 촬영을 통해 수술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수술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영상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립한 수술 계획과 실제로 이루어진 수술 결과를 정밀하게 비교하기 어려우며, 수치에 기반한 정확한 오차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수술 전에 사용자가 의도한 위치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의 오차가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비교해 볼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사용자가 의도한 바와 차이가 있는 수술 결과가 나오는 경우, 사용자는 수술 전에 이미 결정된 임플란트 종류나 디자인 등을 직접 전면적으로 다시 설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 전후로 사용자가 계획한 위치에 픽스쳐가 잘 식립되었는지에 관한 비교 결과를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또한, 수술 전후로 수술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적절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적 과제를 포함한다.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1 측면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프로세서가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획 위치와 상기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오차 정보에 따라 상기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철물은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gingival height)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예상 스펙과 상기 계획 위치에 따른 제 1 보철 이미지와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제 2 보철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이용되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매니퓰레이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 추천 스펙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위 마진(Supra margin), 동등 마진(Equi margin) 및 하위 마진(Sub margin)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2 측면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는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고, 상기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고,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계획 위치와 상기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차 정보에 따라 상기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철물은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철물은 크라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 추천 스펙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이용되는 매니퓰레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 3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제 4 측면은 제 1 측면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또한,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수술 후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비교하여 수술자가 수술 계획한대로의 결과를 얻었는지에 대한 오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술자는 허용 오차 내에 픽스쳐가 잘 위치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픽스쳐의 식립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오차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스펙과 크라운의 형상을 적절하게 재정의한 추천 스펙을 제안함으로써, 수술자로 하여금 수술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대안을 확보하고, 수술 후 보철물의 결정 및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크라운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예상 식립각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구강 이미지 상에 정합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 상에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중첩되도록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로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보철물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크라운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예상 식립각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 및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구강 이미지 상에 정합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 상에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중첩되도록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로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보철물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가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00)는 프로세서(110) 및 디스플레이(1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종류(예: 임플란트), 수술체 종류(예: 보철 종류 등) 및 대상 부위(예: 치식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수술 케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수술 계획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을 메모리에서 읽어내거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환자의 구강 이미지(예: 구강 스캔 데이터) 및 수술 케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구강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술 계획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라 하나 이상의 보철물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철물은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철물은 임플란트 수술에 이용되는 어버트먼트, 크라운, 스크류, 앵커핀 등의 인공 구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펙(specification)”은 보철물의 종류(예: 품번)을 포함하고, 일 실시 예에서, 보철물을 구현하는 재료 및 보철물의 사이즈에 따른 보철물의 종류 이외에도, 그 디자인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예: 구강 스캔 데이터)를 획득하고,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강 이미지는 환자의 구강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촬영된 CT(Computed Tomography)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구강 이미지는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디지털 이미지일 수도 있고, 그밖에 다양한 유형의 의료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강 이미지는 3차원 CT 이미지, 2차원 CT 이미지, X-ray 이미지, 구강 스캔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들 중 2개 이상을 정합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강 이미지는 3차원 CT 이미지로부터 획득되는 2차원의 축방향(axial), 횡단면(cross section), 평행면(parallel) 및 파노라믹(Panoramic)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서 대상 부위에 대응하는 수술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수술 영역 및 수술 케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의 수술 영역에서 인접 치아와의 컨택 포인트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형상 및 크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크라운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기저장된 크라운 형상 라이브러리에서 수술 영역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크라운의 형상을 가져오거나 또는 크라운 형상 라이브러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크라운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형상에 따라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를 수술 영역에 배치하였을 때 인접 치아와 맞닿는 컨택 포인트(210)를 기준으로 크라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서 교합면 방향을 기준으로 아치라인(220)을 검출하고, 아치라인(220)을 기준으로 악궁상에 크라운이 배치될 협설(Buccal-Lingual)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인접 치아와의 컨택 포인트(210)를 기준으로 크라운의 근원심(Mesial-Distal)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230)을 정의하여 크라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영역의 잇몸 라인(240)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상에서 크라운의 협설 영역에 포함되는 협측(Buccal) 방향의 최하방(또는 최상방) 잇몸 마진에 따라 잇몸 라인(240)을 결정하여 크라운의 하방 사이즈(또는 상방 사이즈) 및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상악/하악 편악에 대한 전치부 절단연 및 구치부 협측 교두를 연결한 라인(식별번호 250 참조)과 잇몸 라인(240)을 기준으로 크라운의 높이를 정의하여 크라운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아치라인(220)을 기준으로 생성된 근원심 방향에서 바라본 평면(230)을 기준으로 크라운이 배치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크라운의 중심축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형상, 크기 및 중심축을 이용하여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잇몸 형상을 구현하는 3D 모델링 데이터를 잇몸마진 영역의 크라운 형상에 적용되도록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를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중심축(310)에 기초하여 픽스쳐가 배치되는 방향을 나타내는 픽스쳐의 중심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영역에 배치되는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근원심 평면(230)에 따라 결정되는 크라운의 중심축(310)과 동일한 축으로 배치되도록 픽스쳐의 중심축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중심축(310) 및 크기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중심축(310)과 잇몸 라인(240)이 교차하는 제 1 지점을 결정하고, 제 1 지점을 중심으로 기설정 거리(320)만큼 하방(잇몸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제 2 지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제 2 지점에 대응하는 위치에 픽스쳐의 최상단 중심점이 위치하도록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중심축(310)에 대응하는 방향에 평행하도록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픽스쳐의 계획 위치는, 픽스쳐의 최상단 중심이 제 2 지점에 놓이고, 또한 픽스쳐의 중심축이 크라운의 중심축(310)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거리(320)는 3.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거리(3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설정 거리(320)는, 예를 들어 픽스쳐별 특성에 따라 서로 같은 또는 서로 다른 수치들이 기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픽스쳐의 특성에 대응하는 수치로써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픽스쳐의 예상 식립각도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에 대한 치아 분할(Segmentation)을 통해 각 치아의 바운더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획득된 각 치아의 바운더리 정보를 이용하여 수술 영역에 인접한 인접 치아(410, 420) 중 식립되는 픽스쳐의 근심(Mesial) 방향에 위치하는 치아(420)의 중심축(430)과 평행하도록 예상 식립방향(440)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근원심 방향에 따라 예상 식립방향(440)으로 픽스쳐의 예상 식립각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예상 식립각도를 이용하여 수술 영역 상에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및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및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이상에서 결정된 크라운 및 픽스쳐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 상에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및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형상, 이상에서 결정된 크기 및 중심축(310)에 따라 가상 크라운을 구현하도록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를 생성하고, 이를 수술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픽스쳐 형상 라이브러리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형상, 이상에서 결정된 계획 위치 및 예상 식립각도에 따라 가상 픽스쳐를 구현하도록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생성하고, 이를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로부터 기설정 거리(320)만큼 하단에 위치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되는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또는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3D 모델링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크라운의 위치, 크기, 형상, 중심축 등이 수정되면, 수정된 위치, 크기, 형상, 중심축 등에 따라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를 수정하고,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2, 13)에 대해서 근원심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적 단면을 기준으로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 및 픽스쳐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가 결정됨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은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Gingiva Height, G/H)(21), 어버트먼트의 상단 높이(22), 어버트먼트 높이(23), 어버트먼트 직경(24), 보철물 적정 두께(25) 및 크라운 형상 높이(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는 환자의 구강 내에 식립되는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체결시켰을 때 잇몸(1)과 접촉하는 어버트먼트의 하단 지점과 픽스쳐와 접촉하는 어버트먼트의 상단 지점을 연결한 높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는 수술 영역에 배치된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에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를 결합시켰을 때, 잇몸(1)과 중첩되는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 상의 최하단 지점과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와 중첩되는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 상의 최상단 지점 간의 수직 거리일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상단 높이(22)는 어버트먼트의 높이(23)에서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차감한 높이를 나타낸다. 또한, 어버트먼트 높이(Abutment Height, A/H)(23)는 어버트먼트의 최상단 지점과 픽스쳐와 접촉하는 어버트먼트의 최상단 지점을 연결한 높이를 나타내고,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 및 어버트먼트의 상단 높이(22)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어버트먼트 직경(24)은 어버트먼트의 종류(예: 품번)에 따른 지름 또는 그에 대응하는 길이를 나타낸다. 보철물 적정 두께(25)는 크라운의 상단 지점 중 어버트먼트를 향해 돌출되는 최하단 지점과 어버트먼트의 최상단 지점 간의 수직 거리를 나타낸다. 크라운 형상 높이(26)는 크라운의 상단 지점 중 어버트먼트를 향해 돌출되는 최하단 지점과 잇몸(1) 또는 잇몸(1)과 접촉하는 어버트먼트의 상단 지점 간의 수직 거리일 수 있고, 어버트먼트의 상단 높이(22) 및 보철물 적정 두께(25)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철물 적정 두께(25)는 크라운 재료에 따라 결정되고, 예를 들면, 크라운 재료가 골드(Gold)인 경우, 1.0mm이고, 지르코니아(Zirconia) 또는 글라스세라믹(Glass-ceramic)인 경우, 2.0mm일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통해 나타나는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잇몸마진 정보, 크라운의 직경, 크라운의 재료에 따른 두께 정보를 이용하여 최소 두께를 결정하고, 크라운의 크기에서 재료에 따른 두께 높이를 제외한 높이와 어버트먼트의 마진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 높이(23)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에 대해서 근원심 방향에서 바라본 수직적 단면을 기준으로 어버트먼트 마진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어버트먼트 마진에 기초하여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버트먼트 마진은 상위 마진(Supra Margin)(31), 동등 마진(Equi margin)(32) 및 하위 마진(Sub Margin)(33)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는 어버트먼트의 특정 부위(예: 중간 돌출 부위)가 잇몸(1)을 기준으로 특정 값만큼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위 마진(31)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어버트먼트의 해당 부위가 잇몸(1)을 기준으로 동등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동등 마진(32)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는 어버트먼트의 해당 부위가 잇몸(1)을 기준으로 특정 값만큼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위 마진(33)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3)를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위 마진(31)은 어버트먼트의 특정 부위(예: 중간 돌출 부위)가 잇몸(1)을 기준으로 덜 식립되어 기준값 이상 잇몸(1)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 대한 마진을 나타내고, 동등 마진(32)은 어버트먼트의 해당 부위가 잇몸(1)과 대응되는 경우에 대한 마진을 나타내고, 하위 마진(33)은 해당 부위가 잇몸(1)을 기준으로 더 식립되어 기준값 이상 잇몸(1) 내부로 함몰되는 경우에 대한 마진을 나타낸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어버트먼트 제조사 및 제공되는 스펙에 따라 어버트먼트 높이(23)가 소정 단위 높이의 정수배로 제공되는 경우, 어버트먼트 마진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되거나 기설정되는 상위 마진(31), 동등 마진(32) 및 하위 마진(33)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 높이(23)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2, 13)에 대해서 협측-설측-근심측-원심측(B-L-M-D) 방향에서 바라본 수평적 단면을 기준으로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직경 정보를 기준으로 어버트먼트 직경(24)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협측-설측-근심측-원심측(B-L-M-D) 방향을 기준으로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 상에 배치되는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최외각 마진(810)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기저장된 복수의 어버트먼트 직경값 중에서 크라운의 최외각 마진(810)에 따라 결정되는 크라운의 최소 거리와 가장 근접하면서 작은 직경값으로써 어버트먼트 직경(24)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크라운의 최외곽 마진(810)은 원형이 아니기 때문에 협측-설측(B-L) 방향 내지 근심측-원심측(M-D) 방향에 따른 크라운의 거리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값들로 측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러한 크라운의 다양한 거리 값들 중 최소값과 가장 근접하면서 작은 값에 따라 어버트먼트 직경(24)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평면(또는 잇몸)과 어버트먼트의 경사면 간에 형성되는 기울기를 나타내는 어버트먼트 각도(820)에 기초하여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갱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버트먼트 각도(820)는 예를 들면, 픽스쳐의 식립 방향에 수직하는 수평적 단면과, 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지는 어버트먼트의 최하방점과의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이상에서 결정된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따라 수술 영역 상에 픽스쳐,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2, 13)를 배치하고, 픽스쳐의 최상단점 기준 수평면과 협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어버트먼트의 최하방점의 기울기를 측정함으로써 어버트먼트 각도(820)를 검출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검출된 어버트먼트 각도(820)가 기저장된 출현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에 포함된 설정각도(예: 30도) 이상인 경우에는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갱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는(220)는 검출된 어버트먼트 각도(820)가 설정각도 미만인 경우에는,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어버트먼트 각도(820)가 설정각도 이상이 되도록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현재 값(예: G/H 3.0mm) 소정의 값만큼 증가(예: G/H 4.0mm로 상향)시키는 방식으로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 및 계획 위치를 갱신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가 변하는 경우에는 어버트먼트 높이(23)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이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이상에서와 같이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따라 환자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 상에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2, 13)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디스플레이된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2, 13)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 중 적어도 일부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술 계획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포함하도록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계획 위치나 방향의 미세조정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픽스쳐의 계획 위치나 방향을 갱신할 수 있고, 어버트먼트의 계획 위치나 방향 또한 픽스쳐와 체결되도록 동일하게 방향을 회전하거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어버트먼트의 계획 위치나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크라운의 치경부 형상도 함께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보철물의 계획 위치를 1차적으로 결정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보철물의 계획 위치 및 예상 스펙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형상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이드 형상 모델을 나타내는 가이드 이미지(91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9를 참조하여 서술하도록 한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이미지(910)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가이드 형상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가이드 형상모델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가이드 이미지(910)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특성, 계획 위치, 사이즈, 식립방향, 식립 깊이 등을 기초로 홀의 위치, 사이즈 등을 결정하여 가이드 형상 모델을 생성하고, 그로부터 가이드 이미지(910)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10)는 생성된 가이드 이미지(910)를 수술 전 구강 이미지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이미지(910)는 환자에 대한 수술자의 임플란트 수술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구조물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구조물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환자의 구강에 체결되어 픽스쳐의 식립 위치, 크라운의 배치 등을 시각적으로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하는 인공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이미지(910)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수술용의 가이드 구조물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 구조물은 가이드 이미지(910)를 기반으로 3D 프린팅이나 밀링 장비 등을 통해 제작될 수 있고, 임플란트 수술 과정에서 환자의 구강에 체결되어 수술자가 드릴링 및 픽스쳐의 식립 등 수술을 용이하게 진행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에 관한 수술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술 결과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 및 수술에 따라 식립된 픽스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임플란트 수술이 진행된 환자에 대한 CT 촬영을 통해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 식립방향,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10 내지 도 12를 더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각각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구강 이미지 상에 정합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상술한 동작을 통해 임플란트 수술 전에 환자의 구강에 대한 CT 촬영을 통해 수술 전 구강 이미지(도 10(a) 참조)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이상에서 결정된 픽스쳐의 계획 위치 등을 기초로 제작된 가이드 구조물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수술이 수행된 후에, 환자의 구강에 대한 CT 촬영을 통해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기준으로 수술 후 구강 이미지와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의 CT 데이터는 동일 환자를 촬영한 영상이지만 CT 촬영 과정에서의 환자 자세 및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데이터의 좌표축이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환자 데이터를 3차원 영상으로 로딩한 후에 수술전 데이터와 수술후 데이터를 정합함으로써 수술 전후의 비교 결과를 제공함에 있어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복수의 정합 포인트(1010)에 기초하여 수술 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데이터 정합을 위해 기설정되었거나 사용자 입력(예: 마우스 클릭)에 따라 결정되는 개수(예: 3개) 및 위치 좌표에 따른 복수의 정합 포인트(1010)를 기준으로 기저장된 이미지 정합 알고리즘에 따라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정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볼륨 렌더링 또는 표면 렌더링이 수행된 CT 3D 영상인 수술 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3개 이상의 정합 포인트(1010)를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정하고, 결정된 정합 포인트(1010)를 기준으로 수술 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후 구강 이미지의 좌표 또는 좌표 기준점을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기저장된 이미지 정합 알고리즘 또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3개 이상의 정합 포인트(1010)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자동 정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기준으로 수술 후 구강 이미지의 위치 및 방향을 보정하여 구강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촬영한 환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데이터 정합의 기준 데이터로 결정하고, 수술 전 구강 이미지의 좌표를 기준으로 수술 후 촬영한 환자 데이터를 나타내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의 위치 이동 및 방향 회전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는 수술 전 환자 데이터를 기준으로 수술 계획이 수립되고, 픽스쳐를 포함한 임플란트 구조물의 좌표 정보가 수술 전 데이터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기준 좌표로 정의함으로써 정합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정합 이미지가 정합된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정합 결과를 수술 후 구강 이미지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합 결과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정합 이미지가 서로 중첩된 영역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정합된 구강 이미지에서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가 중첩된 영역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정합도로서 정합 결과를 결정하고, 정합도가 기설정 수준 이상인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을 서로 다른 색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식별번호 1110에 도시된 것처럼, 기설정된 정합 컬러맵 정보(1120)를 이용하여 상악 영역과 하악 영역 각각에서 중첩된 영역이 서로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대응되는 색상을 3D 구강 이미지 상에 시각화함으로써 정합도가 상이한 정도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정합도가 낮을수록 적색 또는 청색에 근접하고 정합도가 높을수록 녹색에 근접하도록 각 영역의 색상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정합 결과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입력에 기초하여 구강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정합된 구강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축방향, 횡단면 또는 평행면의 단면 이미지 및 정합 결과를 함께 디스플레이하고, 미세조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단면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의 수정 입력에 따라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 대한 위치 이동, 방향 회전 등의 미세 조정 또는 정합 포인트(1010)의 위치 및 기준점 등의 보정을 수행한 후 상술한 정합을 재수행하여 구강 이미지를 갱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표시하고, 수술 후 구강 이미지의 바운더리를 특정 색상(예: 황색)의 라인으로 표시하여, 두 구강 이미지의 정합을 확인 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두 구강 이미지를 반대로 표현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구강 이미지와 수술 후 구강 이미지의 색상을 달리하여 각각 배경 이미지처럼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색상을 통해 두 구강 이미지를 구분하도록 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검출하고,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 상에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중첩되도록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로딩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 및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각각 로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픽스쳐의 계획 위치, 사이즈, 식립방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별도의 데이터 형태로 로딩할 수 있고,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것처럼, 축방향, 횡단면, 평행면 및 파노라믹의 수술 전 구강 이미지 각각에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3D 형상으로 위치시키거나, 형상에 대해 기설정된 마진 정보를 이용하여 2D 단면 형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식별번호 1310 내지 1340 참조).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검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설정값 이상의 HU(Hounsfield Unit)를 갖는 픽셀 영역으로써 픽스쳐가 식립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환자의 구강에 식립되는 픽스쳐는 일반적으로 메탈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높은 밀도(density)에 따라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그 형상이 백색으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 것처럼, 축방향, 횡단면, 평행면 및 파노라믹의 수술 후 구강 이미지 각각에서 밝은 정도를 나타내는 HU 값이 기설정값 이상인 픽셀 영역(식별번호 1410 내지 1440 참조)으로써 픽스쳐가 식립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110)는 백색에 근접하게 표현되는 픽스쳐의 마진 영역을 HU 값을 기준으로 획득하여 수술 전후의 픽스쳐 위치를 상호 비교하기 위한 기준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검출되는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기초하여, 구강 이미지 상에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를 위치시킬 수 있다. 수술 후에 CT 이미지 상에 표현되는 픽스쳐 형상은 메탈 아티팩트 현상으로 인하여 실제 픽스쳐 보다 더 크게 표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CT 이미지에 표현되는 픽스쳐의 3차원적 형상 위에 픽스쳐 형상 라이브러리에 기등록된 실제 픽스쳐 형상을 중첩하여 배치하고, 배치된 픽스쳐 형상을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로 결정함으로써, 수술 후의 픽스쳐를 실제 픽스쳐에 대응하는 크기로 표현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픽스쳐의 형상과 수술후 구강 이미지에서 획득한 픽스쳐의 마진 정보를 이용하여 픽스처의 위치 및 식립방향에 대한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수술 전후의 CT 데이터를 정합하여 좌표를 일치시켰으므로, 프로세서(110)는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수술 후 픽스쳐 식립 위치 간의 위치 차이에 따라 수술 과정에서 발생한 오차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오차 정보는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수술 전 픽스쳐의 계획 위치 간의 오차 위치, 오차 높이, 식립방향에 따른 오차 기울기, 오차 크기 및 오차 기준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준점은 각 보철물의 중심점, 최상점, 최하점 또는 기설정 특정 지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준점은 중심점(예: 픽스쳐를 상부에서 원형으로 보았을 때 원의 중심)일 수도 있고, 치아나 보철물에 대해 특정 비율로 중심점 대비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는 지점일 수도 있다. 또한, 중심점은 구강 이미지를 맵핑하는 다차원(예: 2차원) 상에서 각 보철물의 공간적 중심이 되는 점일 수도 있고, 제 1 축(예: X축)을 설정 위치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인공치아 구조물의 제 2 축(예: Y축)을 기준으로 공간적 중심이 되는 점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기준에서 중심이 되는 점을 포괄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오차 기준점은 중심점 간의 최단거리, 중심점 간의 높이 차이(예: 평행면에서의 높이 차이값), 중심점 간의 수평상 차이(예: 축방향에서의 중심점 좌표 차이값), 최상점 간의 높이 차이 또는 최하점 간의 높이 차이(예: 평행면 또는 횡단면에서의 깊이 차이값)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식립방향에 따른 오차 기울기는 각 픽스쳐의 식립방향에 대응하는 기준선에 대한 기울기의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울기 차이는 수술 전 픽스쳐의 상측 중심점과 하측 중심점 간을 연결하는 제 1 직선과 수술 후 픽스쳐의 상측 중심점과 하측 중심점 간을 연결하는 제 2 직선 간의 각도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면, 크라운의 중심점에 대한 수술 전후 픽스쳐의 각도 차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픽스쳐의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와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좌표 간의 높이 차이를 검출하여 오차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픽스쳐의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식립 위치에 따른 중심축과 픽스쳐의 계획 위치에 따른 중심축 간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오차 기울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결과를 구강 이미지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도 15(a)에 도시된 것처럼, 축방향의 구강 이미지에서는 수술 전 픽스쳐와 수술 후 픽스쳐의 바운더리(식별번호 1510 내지 1520 참조) 및 중심점 간의 수평상 차이(예: 0.05mm)(식별번호 1530 참조)를 디스플레이하여 오차 위치와 오차 중심점을 알리고, 평행면의 구강 이미지에서는 식립방향에 따른 기울기 차이(예: 3.0 degree)(식별번호 1540 참조)와 최하점 간의 높이 차이(예: +1.00mm)(식별번호 1550 참조)를 디스플레이하여 오차 기울기와 오차 깊이를 알리고, 횡단면의 구강 이미지에서는 식립방향에 따른 기울기의 차이(예: 2.7 degree) (식별번호 1560 참조)와 최하점 간의 높이 차이(예: +1.00mm)(식별번호 1570 참조)를 디스플레이하여 오차 기울기와 오차 깊이를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술 전 픽스쳐와 수술 후 픽스쳐에 대한 정보는 상이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픽스쳐 이외의 보철물에 대한 비교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보철물의 계획 위치 및 실제 위치에 대한 수술 전후 구강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추가 비교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보철물(예를 들어, 크라운, 어버트먼트)과 픽스쳐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결정된 오차 높이, 오차 기울기 및 오차 중심점이 각각에 대응되는 오차 허용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술 전 계획한 픽스쳐와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위치 또는 방향에 대한 오차가 발생하여 어버트먼트에 대한 예상 스펙에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포함되는 각각의 오차가 각각에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한다면 허용 오차에서 초과되는 수치, 허용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된다면 허용 오차로부터 확보된 여유 마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구강 이미지 상에서 수술 전 픽스쳐의 바운더리로부터 기설정 거리 이내의 영역을 식립 위치에 관한 허용 오차 범위로 결정하고, 식립된 픽스쳐의 바운더리가 허용 오차 범위에서 벗어나는지 여부, 허용 오차 범위까지의 최단 거리 간격, 최장 거리 간격, 평균 거리 간격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구강 이미지 상에 오차 정보 및 허용 오차 범위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오차 정보 및 허용 오차 범위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술에 따라 픽스쳐가 허용 오차 내에 식립되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따라 보철물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가 허용 오차 범위를 초과하여 어버트먼트에 대한 예상 스펙에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예상 스펙을 대체하는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도록 한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보철물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따른 크라운, 픽스쳐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2, 13)가 생성된 바 있다.
도 16(b)는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수술 후 픽스쳐의 식립 위치 간에 오차가 발생한 상황을 예시하고 있다.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크라운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어버트먼트의 식립방향을 갱신할 수 있고, 갱신된 어버트먼트의 식립 방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에 체결되기 때문에 픽스쳐와 동일한 축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식별번호 12'에 도시된 것처럼, 수술 후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식립방향이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12) 대비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어버트먼트의 중심축을 회전시키고 오차 위치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어버트먼트의 마진과 출현 윤곽에 기초하여 크라운의 형상을 다시 결정하여 크라운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할 때, 크라운의 컨택 포인트 하단에 위치하는 치경부 영역의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6(b)에 도시된 것처럼, 픽스쳐의 식립방향(식별번호 12' 참조)이 수술 전에 계획된 예상 식립방향(식별번호 12 참조)과 비교하여 설정값 이상 기울어지는 오차가 발생한 경우, 픽스쳐에 체결되는 어버트먼트 또한 수평면을 기준으로 함께 기울어짐을 고려하여, 크라운과 인접 치아와의 컨택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방에 위치하면서 어버트먼트와의 접촉 지점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갱신하여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식립 위치 및 방향에 대한 오차가 설정값 이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경우 오차에 따라 어버트먼트 높이(23),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 및 어버트먼트 직경(24)의 적정값을 산출하여 각각에 대한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상위 마진(31), 동등 마진(32) 및 하위 마진(33)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동등 마진(32), 하위 마진(33) 및 상위 마진(31)의 순서로 높은 우선 순위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어버트먼트가 잇몸(1)에 대응하도록 설정되는 동등 마진(32)에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어버트먼트가 잇몸(1)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정되는 상위 마진(31)에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오차 정보에 따라 가급적 동등 마진(32) 또는 하위 마진(33)을 확보할 수 있도록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보철물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따른 제 1 보철 이미지(도 17(a) 참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보철물의 추천 스펙에 따른 제 2 보철 이미지(도 17(b) 참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이 변경되는 경우, 수술 계획에 따른 예상 스펙과 오차 정보에 따른 추천 스펙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0)는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따른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11, 13)를 통해 제 1 보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오차 정보에 따라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의 추천 3D 모델링 데이터(11', 13')를 통해 제 2 보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어버트먼트의 기울기나 크라운의 형상에 대한 변화를 함께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한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한다는 것은, 보철물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스펙이나 형상에 대한 수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제 1 보철 이미지와 제 2 보철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도 17(b)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보철 이미지의 바운더리와 제 2 보철 이미지의 바운더리가 시각적으로 구별되도록 제 1 보철 이미지와 제 2 보철 이미지를 중첩하거나, 제 1 보철 이미지에 포함된 크라운 형상의 마진을 나타내는 크라운 마진 라인(1710)을 제 2 보철 이미지 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제 1 보철 이미지와 제 2 보철 이미지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1810)를 제공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10)는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이용되는 매니퓰레이터(18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매니퓰레이터(1810)는 선택된 보철물의 형상을 갱신하기 위한 제 1 조작 메뉴(1820),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갱신하기 위한 제 2 조작 메뉴(1830), 어버트먼트 높이(23)를 갱신하기 위한 제 3 조작 메뉴(1840) 및 어버트먼트 직경(24)을 갱신하기 위한 제 4 조작 메뉴(18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보철물의 예상 스펙의 요소들 또는 예상 스펙에 적용 가능한 그밖에 다양한 요소들을 갱신하기 위한 그밖의 조작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매니퓰레이터(1810)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 추천 스펙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매니퓰레이터(1810)를 통해 어버트먼트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제 1 조작 메뉴(1820)를 통해 기저장된 어버트먼트 형상 라이브러리 중 특정 형상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제 2 조작 메뉴(1830)를 통해 진지바 높이의 값을 일정 단위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어버트먼트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어버트먼트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매니퓰레이터(18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될 때마다 해당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갱신된 보철물의 추천 스펙에 따라 보철물의 추천 3D 모델링 데이터를 구강 이미지 상에 갱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사용자가 보철물의 스펙을 조정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매니퓰레이터(1810)를 제공함으로써, 진지바 높이(21), 어버트먼트 높이(23) 등의 주요 스펙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철물의 스펙이 조정됨에 따라 크라운 형상의 변화가 필요한 경우 크라운의 치경부 영역의 형상을 재정의하기 위한 매니퓰레이터(1810)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수술 정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0)는 오차 높이, 오차 기울기 및 오차 중심점을 이용하여 수술 계획과 수술 결과 간의 오차가 적은 정도를 나타내는 수술 정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기울기, 오차 높이 및 오차 중심점의 순서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오차 크기에 반비례하도록 수술 정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정확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수술 정확도에 관한 분석 결과를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110)는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 및 그 밖의 구성요소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or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출력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술한 것처럼,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 제 1 보철 이미지 및 제 2 보철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디바이스(1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디바이스(100)는 3차원 이미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알고리즘, 다른 디바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를 경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910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철물은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1920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계획에 따라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를 결정하고, 크라운의 예상 스펙 및 계획 위치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930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수술 후 구강 이미지에서 설정값 이상의 HU를 갖는 픽셀 영역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940에서 프로세서(110)는 픽스쳐의 계획 위치와 픽스쳐의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픽스쳐의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결정할 수 있고,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픽스쳐의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950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정보에 따라 보철물의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하고, 결정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10)는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21)를 갱신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고,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보철물의 추천 스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20)는 제 1 보철 이미지와 제 2 보철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기준으로 수술 후 픽스쳐의 식립 위치와 비교하여 수술자가 수술 계획한대로의 결과를 얻었는지에 대한 오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술자는 허용 오차 내에 픽스쳐가 잘 위치하였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픽스쳐의 식립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어버트먼트의 스펙과 크라운의 형상을 재정의한 추천 스펙을 제안함으로써, 수술자는 수술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그에 대응하는 적절한 대안을 확보할 수 있고, 수술 후 보철물의 결정 및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도시된 단계들의 순서 및 조합은 일 실시 예이고,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요소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순서, 조합, 분기, 기능 및 그 수행 주체가 추가, 생략 또는 변형된 형태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제공'은 대상이 특정 정보를 획득하거나 직간접적으로 특정 대상에게 송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요구되는 관련 동작의 수행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2)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604))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608))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디스플레이
11: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 12: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
13: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
110: 프로세서 120: 디스플레이
11: 크라운의 3D 모델링 데이터 12: 픽스쳐의 3D 모델링 데이터
13: 어버트먼트의 3D 모델링 데이터
Claims (12)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계획 위치와 상기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오차 정보에 따라 상기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에 상기 결정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어버트먼트 및 크라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gingival height)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상 스펙과 상기 계획 위치에 따른 제 1 보철 이미지와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추천 스펙에 따른 제 2 보철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이용되는 매니퓰레이터(manipulator)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매니퓰레이터를 통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 추천 스펙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위 마진(Supra margin), 동등 마진(Equi margin) 및 하위 마진(Sub margin)에 대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수술 계획에 따라 결정된 하나 이상의 보철물에 대한 예상 스펙을 결정하고,
상기 수술 계획에 따른 픽스쳐의 계획 위치를 결정하고,
수술 후 식립된 픽스쳐의 식립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계획 위치와 상기 식립 위치의 비교 결과에 따른 오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오차 정보에 따라 상기 예상 스펙을 갱신하여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어버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높이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 높이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오차 높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어버트먼트의 진지바 높이를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철물은 크라운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식립 위치와 상기 계획 위치의 차이에 따른 오차 기울기를 상기 오차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상기 오차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크라운의 형상을 갱신하여 상기 추천 스펙을 결정하는,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추천 스펙을 갱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갱신된 추천 스펙을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이용되는 매니퓰레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갱신된 추천 스펙에 따른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431A KR102567348B1 (ko) | 2021-08-25 | 2021-08-25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2431A KR102567348B1 (ko) | 2021-08-25 | 2021-08-25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30326A true KR20230030326A (ko) | 2023-03-06 |
KR102567348B1 KR102567348B1 (ko) | 2023-08-17 |
Family
ID=85509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2431A KR102567348B1 (ko) | 2021-08-25 | 2021-08-25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734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91042A1 (ko) * | 2023-03-15 | 2024-09-1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임플란트 식립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1767A (ja) * | 2008-06-02 | 2011-07-28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患者のデジタル画像を用いて特別仕様の歯科補綴装置を設計する方法 |
KR101726706B1 (ko) * | 2016-03-11 | 2017-04-13 | 주식회사 디오 |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
KR101862752B1 (ko) * | 2016-12-19 | 2018-05-30 | 주식회사 디디에스 | Cad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방법 및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시스템 |
KR20180120890A (ko) * | 2017-04-28 | 2018-11-07 |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09419A (ko) * | 2019-03-12 | 2020-09-23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
KR20210018661A (ko) * | 2019-08-08 | 2021-02-18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
-
2021
- 2021-08-25 KR KR1020210112431A patent/KR102567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1767A (ja) * | 2008-06-02 | 2011-07-28 | デンツプラ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患者のデジタル画像を用いて特別仕様の歯科補綴装置を設計する方法 |
KR101726706B1 (ko) * | 2016-03-11 | 2017-04-13 | 주식회사 디오 | 디지털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용 보철물 제조방법 |
KR101862752B1 (ko) * | 2016-12-19 | 2018-05-30 | 주식회사 디디에스 | Cad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방법 및 임플란트 지대치 제작 시스템 |
KR20180120890A (ko) * | 2017-04-28 | 2018-11-07 | 주식회사 코어라인소프트 | 치과용 임플란트 플래닝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109419A (ko) * | 2019-03-12 | 2020-09-23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최적화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 수복 유형 설계를 위한 임플란트 식립 설계장치 및 그 방법 |
KR20210018661A (ko) * | 2019-08-08 | 2021-02-18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크라운 모델 자동 추천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 캐드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91042A1 (ko) * | 2023-03-15 | 2024-09-19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임플란트 식립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7348B1 (ko) | 2023-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60110B2 (en) | Three-dimensional occlusal and interproximal contact detection and display using virtual tooth models | |
KR101805003B1 (ko) | 덴탈 캐드 시스템과 이의 구동 방법 및 기록매체 | |
US7291011B2 (en) | Placing orthodontic objects along an archwire within a three-dimensional (3D) environment | |
EP3524139B1 (en) | Mobile apparatus-linked implant evaluation system | |
US10595972B2 (en) |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use in manufacturing multi-shaded dental restorations | |
KR20220045763A (ko) | 인공치아 구조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
KR102567348B1 (ko) | 보철물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
KR102413696B1 (ko) | 지대치 모델 마진라인 디자인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404189B1 (ko) | 삽입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보철물 설계 장치 | |
CN115461012B (zh) | 上颌窦提升模拟方法及其装置 | |
KR102350098B1 (ko) | 악궁라인 생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치과영상 처리장치 | |
KR20200083823A (ko) | 교정 치아 형상 생성 방법 및 장치 | |
JP6868255B2 (ja) | 支台歯形成支援装置 | |
KR102292188B1 (ko) | 치아 컨택 정보 표시 방법, 치아 컨택 정보 표시 장치 및 기록매체 | |
KR102197309B1 (ko) | 상악동 리프팅을 위한 픽스쳐 침범영역 분할이 가능한 의료영상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20230031526A (ko) | 악궁 라인에 기초하여 치아 단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
KR20210148485A (ko) |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 드릴링 방법 및 그 장치 | |
EP4209194A1 (en) | Dental implantation assessment method for implant dentistry | |
KR102474298B1 (ko) | 보철물 모델 설계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662370B1 (ko) | 임플란트 식립과 관련된 예상 오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 |
KR102482953B1 (ko) | 덴탈 아치를 획득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
KR20230065021A (ko) | 교정 진단을 위해 서로 다른 시점에 획득된 복수개의 이미지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디바이스 및 그 기록매체 | |
KR20220087874A (ko) | 의료영상 정합 방법 및 그 장치 | |
KR20240043506A (ko) | 컬러 맵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바이스 | |
KR20220009731A (ko) | 크라운 커넥터 디자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보철물 디자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