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9475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9475A KR20230019475A KR1020230007789A KR20230007789A KR20230019475A KR 20230019475 A KR20230019475 A KR 20230019475A KR 1020230007789 A KR1020230007789 A KR 1020230007789A KR 20230007789 A KR20230007789 A KR 20230007789A KR 20230019475 A KR20230019475 A KR 202300194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side wall
- fitting
- uni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472 Fumbl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과제] 감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감합 가이드부 등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신뢰성이 높아지도록 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본체는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보강 쇠장식은, 감합 가이드부의 단벽부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접속되어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이며, 감합 가이드부의 측벽부에 부착되는 접속 아암부를 포함하고, 접속 아암부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판부와, 측판부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를 포함하고, 측판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의 외측 부분에 의해 덮이고, 측벽 상 커버부는 그 선단이 감합 오목부 내를 향하도록 만곡되고, 측벽부의 내측 부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해결 수단] 커넥터 본체는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보강 쇠장식은, 감합 가이드부의 단벽부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접속되어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이며, 감합 가이드부의 측벽부에 부착되는 접속 아암부를 포함하고, 접속 아암부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판부와, 측판부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를 포함하고, 측판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의 외측 부분에 의해 덮이고, 측벽 상 커버부는 그 선단이 감합 오목부 내를 향하도록 만곡되고, 측벽부의 내측 부분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평행한 회로 기판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상호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부착되고, 서로 감합(嵌合)하여 도통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양 단부에 부착된 보강 쇠장식을 로크 부재(lock member)로서 기능시켜, 상대방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를 보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10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11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넥터 하우징이며, 상기 커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하우징(8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부와, 당해 측벽부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한 쌍의 감합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각 감합 가이드부에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에는 복수의 단자(861)가 부착되고, 감합 가이드부에는 보강 쇠장식(851)이 부착되어 있다. 당해 보강 쇠장식(851)은, 하우징(811)의 측벽부를 따라 연장하는 측방 아암(853)과, 감합 오목부를 따라 연장하는 U자 아암(858)을 갖고, 당해 U자 아암(858)의 선단은 하우징(811)의 중간 아일랜드(middle island)(813)의 양단에 형성된 오목부(817)에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가 상대방 커넥터와 감합하면, 각 단자(861)와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단자가 서로 접촉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가 실장된 회로 기판과 상대방 커넥터가 실장된 상대방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 볼록부가 하우징의 감합 가이드부의 감합 오목부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상기 감합 가이드부에 부착된 보강 쇠장식(851)이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 볼록부에 부착된 상대방 보강 쇠장식과 계합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감합 작업의 즈음에, 하우징(811)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와 상대방 회로 기판에 부착된 상대방 커넥터를 감합하는 경우, 작업 조건에 따라서는, 오퍼레이터(operator)가 하우징(811)의 감합면 및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면을 육안으로 볼 수 없고, 손으로 더듬어 감합 작업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하우징(811)의 감합면 및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면을 육안으로 보는 것이 곤란하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는 손으로 더듬어, 하우징(811)의 감합면과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면을 접동(摺動)시키면서, 하우징(811)에 대한 상대방 하우징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 볼록부를 하우징(811)의 감합 오목부 내에 삽입시킨다.
그 때문에, 하우징(811)과 상대방 하우징과의 위치 맞추기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우징(811)에 상대방 하우징으로부터 감합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거나, 하우징(811)에 대해 상대방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하우징(811)의 감합면에 상대방 하우징의 감합면이 마찰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우징(811)의 감합면의 일부가 큰 가압력을 받아,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811)의 각부의 두께가 얇고, 강한 힘을 받은 경우, 용이하게 파손된다. 또한, 단자(861)가 상대방 하우징 등의 상대방 커넥터 부재와 접촉하여,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보강 쇠장식(851) 및 상대방 보강 쇠장식을 회로 기판 및 상대방 회로 기판의 전원 라인 등에 접속해둠으로써, 보강 쇠장식(851) 및 상대방 보강 쇠장식을 전기 회로 접속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보강 쇠장식(851)이 충분한 유연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로 기판이 실장되어 있는 전자기기 등이 낙하하거나 외력을 받거나 할 때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면, 보강 쇠장식(851)과 상대방 보강 쇠장식과의 접촉이 유지되지 않게 되어, 전원 라인으로서 충분한 도통을 확보할 수 없어지는 것이 생각된다.
여기서는, 상기 종래의 커넥터 문제점을 해결하여, 감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감합 가이드부 등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어,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때문에, 커넥터에 있어서는, 커넥터 본체와, 당해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단자와,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보강 쇠장식을 구비하는 커넥터이며, 상기 커넥터 본체는,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이며,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감합 오목부가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쇠장식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이며, 상기 감합 가이드부의 단벽부(端壁部)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이며, 상기 감합 가이드부의 측벽부에 부착되는 접속 아암부를 포함하고, 당해 접속 아암부는 측판부와, 당해 측판부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측벽부의 외측 부분에 의해 덮인다.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측판부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고, 당해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측벽부의 외측 부분과 내측 부분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측벽부의 외측 부분의 상면은 상기 측벽 상 커버부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측판부의 하단면은 상기 측벽부의 하방에 노출되어, 상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회로 기판의 표면에 당접 가능하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보강 쇠장식은, 상기 감합 오목부의 저면을 덮는 저면 커버부와, 당해 저면 커버부의 좌우 양측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접촉 아암부이며, 상기 감합 오목부에 삽입된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에 부착된 상대방 보강 쇠장식과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를 포함하고, 당해 접촉 아암부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와, 당해 스프링부의 자유단에 접속된 접촉 볼록부이며,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접촉 볼록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상기 접촉 볼록부의 상반부는 그 선단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폭 방향 외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선단은 상기 측벽 상 커버부의 선단과 대향하여 근접하고, 또한 당해 측벽 상 커버부의 선단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본 개시의 커넥터와, 당해 커넥터와 감합하는 상대방 커넥터를 갖는다.
본 개시에 의하면, 커넥터는 감합 작업 중에 커넥터 본체의 감합 가이드부 등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전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2면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전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2면도이며,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a)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전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전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분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2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a)는 평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화살표(A-A)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4에 있어서, (a)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B-B)에서 본 단면도, (b)는 도 3a에 있어서의 화살표(C-C)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커넥터이며, 커넥터 조립체(커넥터 어셈블리)인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일방으로서의 제1 커넥터이다. 당해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1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며,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와 서로 감합된다. 또한, 당해 제2 커넥터(101)는 한 쌍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의 타방이며, 실장 부재로서의 도시되지 않은 기판인 제2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는 바람직하게는 기판으로서의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지만, 다른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기기 등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FFC), 플렉시블 회로 기판(FPC) 등이지만, 어떠한 종류의 기판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부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 후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며, 상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각부가 도면에 나타내는 자세인 경우에 적절하지만, 그 자세가 변화한 경우에는 자세의 변화에 따라 변경해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1 하우징(11)을 갖는다. 당해 제1 하우징(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평판상 형상을 구비하고, 제2 커넥터(101)가 감입(嵌入)되는 측, 즉 감합면(11a) 측(Z축 정방향 측)에는, 주위가 둘러싸인 개략 장방형의 오목부(12)이며,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과 감합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넥터(1)는, 예를 들어 세로(X축 방향의 치수) 약 6.0 mm, 가로(Y축 방향의 치수) 약 2.0 mm 및 두께(Z축 방향의 치수) 약 0.6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당해 오목부(12) 내에는 후술되는 오목홈부(113)와 감합하는 중간 아일랜드로서의 제1 볼록부(13)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Y축 정방향 측 및 부방향 측)에는 당해 제1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측벽부(14)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볼록부(13) 및 측벽부(14)는 오목부(12)의 저면을 획정하는 저판(18)으로부터 상방(Z축 정방향)을 향해 돌출하여,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는, 오목부(12)의 일부로서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오목부인 오목홈부(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볼록부(13)의 양측의 측면에는 오목홈상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4)의 내측의 측면에는 오목홈상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는 오목홈부(12a)의 저면에 있어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와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경우에는,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로서 설명한다. 또한, 당해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상기 저판(18)을 판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는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당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Y축 방향)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소정의 피치(예를 들어, 약 0.35 mm)로 복수개(예를 들어, 10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피치 및 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의 각각에 수용되어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단자로서의 제1 단자(61)도 제1 볼록부(13)의 양측에 동일한 피치로 복수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전도성 금속판을 천공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피보유부(63)와, 당해 피보유부(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tail portion)(62)와, 상기 피보유부(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측 접속부(67)와, 당해 상측 접속부(67)의 하단에 접속되어 상기 피보유부(63)에 대향하는 제2 접촉부(66)와, 당해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하측 접속부(64)와, 당해 하측 접속부(64)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66)와 반대 측의 단(端)에 접속된 내측 접속부(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피보유부(63)는 감합 방향(Z축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에 감입되어 보유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테일부(62)는, 피보유부(63)에 대해 구부려서 접속되고, 좌우 방향(Y축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연장되고,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상기 상측 접속부(67)는 상방(Z축 정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만곡된 부분이다.
상기 상측 접속부(67)에 있어서의 피보유부(63)와 반대 측의 하단에는, 하방(Z축 부방향)을 향해 연장하는 제2 접촉부(66)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측 접속부(67)는,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직선상으로 또는 완만한 곡면상으로 하강하는 경사부(67a)와, 당해 경사부(67a)의 하단에 있어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의 내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67b)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측 접속부(64)는 상기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대략 U자형 측면 형상을 구비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측 접속부(64)에 있어서,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된 부분은 하방 외측 만곡부(64b)이며, 내측 접속부(65)의 하단에 접속된 부분은 하방 내측 만곡부(64a)이다. 또한, 상기 내측 접속부(65)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또한 제2 접촉부(66)를 향해 돌출하도록 약 180도 만곡된 제1 접촉부(65a)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단자(61)는, 제1 하우징(11)의 하면(Z축 부방향면)인 실장면(11b)으로부터 제1 단자 수용 캐비티(15) 내에 감입되어, 피보유부(63)가 측벽부(14)의 내측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의 측벽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협지됨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상태, 즉 제1 단자(61)가 제1 하우징(11)에 장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는 오목홈부(12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하고 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서 보아, 피보유부(63)는 대부분이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15b) 내에 수용되고, 제1 접촉부(65a)는 대부분이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접속부(67)의 상면은 측벽부(14)의 상면, 즉 제1 하우징(11)의 감합면(11a)보다 낮은 위치에 있고, 제1 접촉부(65a)의 상면도 제1 볼록부(13)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제1 단자(61)는 감합면(11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제1 단자(61)는, 금속판에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구비한다. 그리고 그 형상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변화 가능하다. 즉,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2 단자(161)가 삽입되면, 그에 의해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와의 간격은 탄성적으로 신장한다.
상기 제1 볼록부(13)에 있어서의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에 대응하는 개소는 폭 방향의 치수가 작은 박벽부(薄壁部)(13a)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제2 단자(161)가 삽입되고,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와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신장해도, 제1 단자(61)가,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접속부(65)나 하방 내측 만곡부(64a)가 상기 제1 볼록부(13)의 박벽부(13a)에 당접하지 않는다. 또한, 제1 볼록부(13)에 있어서의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15a)에 대응하지 않는 개소는 폭 방향의 치수가 작게 되어 있지 않고, 그 하단이 오목홈부(12a)의 저면을 획정하는 저판(1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감합 가이드부로서의 제1 돌출 단부(21)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제1 돌출 단부(21)에는, 상기 오목부(12)의 일부로서 감합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감합 오목부(22)는 대략 장방형의 오목부이며, 각 오목홈부(12a)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감합 오목부(22) 내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제2 커넥터(101)가 구비하는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돌출 단부(21)는, 측벽부(14)의 길이 방향 양단으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 단부(21)의 측벽부로서의 측벽 연장부(21c)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고 양단이 측벽 연장부(21c)에 접속된 단벽부(21b)를 구비한다. 각 제1 돌출 단부(21)에 있어서, 단벽부(21b)와 그 양단에 접속된 측벽 연장부(21c)는 연속한 대략 コ자형 측벽을 형성하고, 대략 장방형의 감합 오목부(22)의 3방을 획정한다. 그리고 상기 단벽부(21b)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요입(凹入)하는 외단 오목부(23a)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요입하는 내단 오목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 연장부(21c)에 있어서, 내측면에는 요입하는 내측 오목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형 중간 오목부(2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볼록부(13)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단부인 아일랜드 단부(17)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단면(단벽부(21b)에 대향하는 면)에는, 요입하는 아일랜드단 오목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일랜드 단부(17)의 상면에 있어서의 아일랜드단 오목부(17a)와의 경계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형 아일랜드 오목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감합 오목부(22)의 저면을 획정하는 저판(18)에는, 당해 저판(18)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 단부(21)에는, 제1 하우징(11)에 장전되는 보강 쇠장식으로서의 제1 보강 쇠장식(51)이 부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보강 쇠장식(51)은 금속판을 천공하고,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돌출 단부(21)의 단벽부(21b)의 외측을 덮는 본체부로서의 단벽 커버부(57), 당해 단벽 커버부(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접속 아암부(53)와, 상기 단벽 커버부(57)에 접속되어 감합 오목부(22)의 저면을 덮는 저면 커버부(58)와, 당해 저면 커버부(58)에 접속된 아일랜드단 커버부(55) 및 좌우 한 쌍의 접촉 아암부(54)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과 제1 하우징(11)은 오버몰드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서로 일체화된다. 그 때문에, 제1 하우징(11)에 있어서의 제1 보강 쇠장식(51)이 부착되는 개소의 각부, 예를 들어 외단 오목부(23a), 내단 오목부(23b), 중간 오목부(23d), 아일랜드단 오목부(17a), 아일랜드 오목부(17b) 등은 반드시 제1 보강 쇠장식(51)과 떨어진 상태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지만, 도 2의 묘사는 어디까지나 설명의 편의상 이루어진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단벽 커버부(57)는, 전체적으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단벽부(21b)의 상면의 과반을 덮는 단벽 상 커버부(57a)와, 당해 단벽 상 커버부(57a)에 있어서의 단벽부(21b)의 외측 단연(端緣)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단벽 외 커버부(57b)와, 당해 단벽 외 커버부(57b)의 하단에 구부려서 접속되고, 전후 방향(X축 방향), 즉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연장되는 테일부(57c)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벽 상 커버부(57a)는, 단벽부(21b)의 상단으로부터 감합 오목부(22) 내를 향해 비스듬히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사부이며, 당해 경사부의 외면이 노출된 상태로, 내단 오목부(23b)내의 상단 근방 부분에 수용된다. 따라서 감합 오목부(22)에 있어서의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단 측의 내면의 상단 근방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벽 상 커버부(57a)에 덮인 경사면으로 된다. 또한, 단벽부(21b)에 있어서의 외단 오목부(23a)는 거의 전체가 단벽 외 커버부(57b)에 의해 덮인다. 또한, 상기 테일부(57c)는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이다.
또한, 상기 접속 아암부(53)는 단벽 커버부(57)의 폭 방향(Y축 방향) 양단의 각각에 구부려서 접속되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각 접속 아암부(53)의 선단에는, 개략 장방형의 평판상 측판부(53b)가 형성되고, 당해 측판부(53b)의 상단에는 측벽 상 커버부(53a)가 접속되어 있다.
제1 보강 쇠장식(51)과 제1 하우징(11)이 일체화되면, 접속 아암부(53)의 과반이 제1 돌출 단부(21)에 매설되고, 상기 측판부(53b)는 그 과반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 연장부(21c)에 형성된 중간 오목부(23d) 내에 수용된 바와 같은 자세로 측벽 연장부(21c) 내에 매설된다. 따라서 측판부(53b)의 외측도 내측도 제1 하우징(11)을 형성하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덮인다. 즉, 측판부(53b)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과반은 중간 오목부(23d)의 외측을 획정하는 측벽 연장 외측부(21c1)에 의해 덮이고, 측판부(53b)의 내측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과반은 중간 오목부(23d)의 내측을 획정하는 측벽 연장 내측부(21c2)에 의해 덮인다. 또한, 측판부(53b)에는, 당해 측판부(53b)를 그 판압 방향(板壓 方向)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3d)이 형성되고, 당해 관통 구멍(53d)을 통해, 측벽 연장부(21c)의 외측 부분으로서의 측벽 연장 외측부(21c1)와 측벽 연장부(21c)의 내측 부분으로서의 측벽 연장 내측부(21c2)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 연장부(21c)는 측판부(53b)와 강고하게 일체화되어, 폭 방향의 치수가 작고, 두께가 얇아도 높은 강도를 발휘한다.
또한, 측판부(53b)의 감합 방향, 즉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치수는 측벽 연장부(21c)보다도 크고, 측판부(53b)의 상단 근방 및 하단 근방은 측벽 연장부(21c)의 상하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53b)의 하단면(53c)은 상기 테일부(57c)의 하면과 면일치이며, 제1 기판의 표면에 당접하여,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일체화한 측벽 연장부(21c) 및 측판부(53b)의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측판부(53b)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53a)는 90도 이상 만곡되고, 그 선단(53e)이 감합 오목부(22) 내를 향해 비스듬히 하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선단(53e)의 근방의 상면은 경사면(53f)으로 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벽 상 커버부(53a)는 곡률 반경이 비교적 작아지도록 만곡되고, 측벽 연장 내측부(21c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과반을 덮도록 노출된다. 또한, 측벽 연장 외측부(21c1)의 상면은 측벽 상 커버부(53a)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지만, 측벽 상 커버부(53a)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당해 측벽 상 커버부(53a)의 상단의 위치는 단벽 상 커버부(57a)의 상단의 위치와 동등하다.
상기 저면 커버부(58)는, 단벽 커버부(57)의 단벽 상 커버부(57a)의 선단에 구부려서 접속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벽 하 커버부(58a)와, 당해 단벽 하 커버부(58a)의 하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되고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X-Y 평면에 거의 평행하게 연장되는 저면부(58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벽 하 커버부(58a)는 단벽부(21b)에 형성된 내단 오목부(23b)의 하반부의 과반을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58b)는 저판(18)을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바닥 개구(18a)의 과반을 가로막아, 그 상면이 감합 오목부(22)의 실질적인 저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아일랜드단 커버부(55)는, 저면 커버부(58)의 저면부(58b)의 선단에 거의 90도 구부려서 접속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아일랜드단 외면 커버부(55a)와, 당해 아일랜드단 외면 커버부(55a)의 상단에 접속되어 약 180도 만곡되는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55b)와, 당해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55b)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아일랜드단 몰입부(55c)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아일랜드단 커버부(55)의 폭 방향의 치수는 저면 커버부(58)보다 좁고, 제1 볼록부(13)의 폭보다 조금 좁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제1 보강 쇠장식(51)과 제1 하우징(11)이 일체화되면, 아일랜드단 몰입부(55c)의 전체 및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55b)의 일부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일랜드 오목부(17b) 내에 수용된 바와 같은 자세로 제1 볼록부(13) 내에 매설된다. 또한, 아일랜드단 외면 커버부(55a) 및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55b)의 과반이 아일랜드단 오목부(17a)의 전체를 덮도록 하고, 제1 볼록부(13)의 단부에 노출된다. 이에 의해, 제1 볼록부(13)의 단부는 일체화한 아일랜드단 커버부(55)에 의해 덮여지기 때문에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제1 보강 쇠장식(51)은, 길이 방향의 양단에 있어서 단벽 커버부(57)가 단벽부(21b)와 일체화되는 동시에 아일랜드단 커버부(55)가 제1 볼록부(13)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강도가 향상된다.
좌우 한 쌍의 접촉 아암부(54)의 각각은, 저면 커버부(58)의 저면부(58b)의 측단에 기단이 접속된 스프링부(54a)와, 당해 스프링부(54a)의 선단(자유단)에 접속된 접촉 볼록부(54b)를 갖는다. 상기 접촉 아암부(54)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S자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된 판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54a)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만곡된 부분이며, 그 선단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접촉 볼록부(54b)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해 돌출하도록 만곡된 부분이며,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감합되어, 감합 오목부(22) 내에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면, 당해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쇠장식(151)과 접촉한다. 또한, 상기 접촉 볼록부(54b)가 제2 커넥터(101)의 제2 보강 쇠장식(151)과 접촉하면, 스프링부(54a)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방으로 탄성적으로 변위되지만, 측벽 연장부(21c)의 내측면에 형성된 내측 오목부(23c)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측벽 연장부(21c)에 당접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상기 접촉 볼록부(54b)의 상반부는 그 선단(54c)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선단(54c)의 근방의 상면은 경사면(54d)으로 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볼록부(54b)의 선단(54c)은 측벽 상 커버부(53a)의 선단(53e)과 대향하여 근접하고, 접촉 볼록부(54b)의 경사면(54d)은 측벽 상 커버부(53a)의 경사면(53f)과 거의 평행하지만, 당해 경사면(53f)이 존재하는 경사진 평면보다 하방으로 편위되어 있다. 따라서 감합 오목부(22) 내에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될 때, 제2 보강 쇠장식(151)은 먼저 측벽 상 커버부(53a)의 경사면(53f)에 당접하여 당해 경사면(53f)을 따라 슬라이드한 후에, 접촉 볼록부(54b)의 경사면(54d)에 당접하여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하방을 향한 큰 힘이 접촉 아암부(54)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링부(54a)의 좌굴이 방지된다. 또한, 측벽 상 커버부(53a)와 접촉 아암부(54)는 각각 접속 아암부(53)와 저면 커버부(58)에 별개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제2 보강 쇠장식(151)이 측벽 상 커버부(53a)에 충돌하였을 때, 접속 아암부(53)가 변형된 경우라도, 그에 수반하여 접촉 아암부(54)가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다음에, 제2 커넥터(10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감합 전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커넥터 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분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상대방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101)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대방 커넥터 본체로서의 제2 하우징(111)을 갖는다. 당해 제2 하우징(111)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략 직방체인 개략 장방형의 평판상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제1 커넥터(1)에 감입되는 측, 즉 감합면(111a) 측(Z축 부방향 측)에는,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오목홈부(113)와, 당해 오목홈부(113)의 외측을 획정하는 동시에,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늘고 긴 볼록부로서의 제2 볼록부(11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2 볼록부(112)는 오목홈부(113)의 양측을 따라,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커넥터(1)는, 예를 들어 세로 약 5.2 mm, 가로 약 1.9 mm 및 두께 약 0.5 mm의 치수를 구비하는 것이지만, 치수는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각 제2 볼록부(112)에는, 상대방 단자로서의 제2 단자(161)가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에 대응하는 피치로, 또한 대응하는 수만큼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오목홈부(113)는 제2 기판에 실장되는 측, 즉 실장면(111b) 측(Z축 정방향 측)이 저판에 의해 폐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는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로서의 제2 돌출 단부(122)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당해 제2 돌출 단부(122)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하고, 양단이 각 제2 볼록부(11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접속된 두꺼운 부재이며, 그 상면은 대략 장방형의 형상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감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1)가 구비하는 제1 돌출 단부(21)의 감합 오목부(22)에 삽입되는 삽입 볼록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2 돌출 단부(122)에는, 상대방 보강 쇠장식으로서의 제2 보강 쇠장식(151)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 및 제2 보강 쇠장식(151)은 오버몰드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일체화되는 부재이기 때문에, 제2 하우징(111)으로부터 이간하여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6에 있어서는, 제2 하우징(111)으로부터 이간하고 있도록 묘사되어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제2 단자(161)는 전도성 금속판을 천공하고,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1 접촉부(165)와, 당해 제1 접촉부(165)의 상단에 접속된 접속부(164)와, 당해 접속부(164)의 외방 단에 접속된 제2 접촉부(166)와, 당해 제2 접촉부(166)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부(162)를 구비한다. 당해 테일부(162)는 제2 하우징(111)의 외방을 향해 연장되고,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신호 라인이다. 또한, 제1 접촉부(165), 접속부(164) 및 제2 접촉부(166)의 표면이 제2 볼록부(112)의 각 측면 및 감합면(111a)에 노출된다.
상기 접속부(164)에 있어서의 제1 접촉부(165) 측에는, 감합면(111a) 측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실장면(111b) 측을 향해, 비교적 긴 직선 또는 완만한 곡면을 그리도록 하강하는 경사부(16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164)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166) 측에는, 당해 제2 접촉부(166)와의 경계부분에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의 외방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64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보강 쇠장식(151)은, 금속판을 천공하여, 구부림 등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제2 돌출 단부(122)의 외측을 덮는 본체부로서의 중앙 피복부(157)와, 당해 중앙 피복부(15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측방 피복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피복부(157)는,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 돌출 단부(122)의 상면의 과반을 덮는 돌출단 상 커버부(157a)와, 당해 돌출단 상 커버부(157a)에 있어서의 제2 돌출 단부(122)의 외측 단연에 약 90도 만곡되어 접속된 접속 커버부(157b)와, 당해 접속 커버부(157b)의 하단에 구부려서 접속되고, 전후 방향(X축 방향), 즉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의 외방을 향해 연장되는 테일부(157c)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테일부(157c)는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상기 도전 트레이스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이다.
또한, 상기 측방 피복부(153)는, 돌출단 상 커버부(157a)의 좌우 양단에 약 90도 만곡되어 접속된 접속 커버부(153a)와, 당해 접속 커버부(153a)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측방 커버부(153b)를 포함하고 있다. 당해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은 제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된다. 당해 접속 패드는 바람직하게는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이며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으로서 기능하는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그 다음에, 상기 구성의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감합시키는 동작 및 감합을 해제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제2 커넥터 측에서 본 평면도,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와의 감합을 해제할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D-D)에서 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도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제1 보강 쇠장식(51)의 측판부(53b)의 하단면(53c)이 제1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며, 제1 보강 쇠장식(51)의 단벽 커버부(57)의 테일부(57c)가 제1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1 보강 쇠장식(51)의 측판부(53b)의 하단면(53c) 및 단벽 커버부(57)의 테일부(57c)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인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도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고, 제2 보강 쇠장식(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이 제2 기판의 도전 트레이스에 연결된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되며, 제2 보강 쇠장식(151)의 중앙 피복부(157)의 테일부(157c)가 제2 기판의 접속 패드에 납땜 등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며, 상기 제2 보강 쇠장식(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 및 중앙 피복부(157)의 테일부(157c)가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 또는 그라운드 라인인 것으로 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도 1 또는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감합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감합면(111a)을 대향시킨 상태로 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볼록부(11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의 대응하는 오목홈부(12a)의 위치와 합치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의 위치가 제1 커넥터(1)의 대응하는 감합 오목부(22)의 위치와 합치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 맞추기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상대 측에 접근하는 방향, 즉 감합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 커넥터(101)의 제2 볼록부(112) 및 제2 돌출 단부(122)가 제1 커넥터(1)의 오목홈부(12a) 및 감합 오목부(22) 내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감합이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가 도통한 상태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a)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제2 커넥터(101)의 제2 단자(161)가 삽입되고,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a)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접촉하고, 제1 단자(61)의 제2 접촉부(66)와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6)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1 단자(61)의 테일부(62)가 접속된 제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2 단자(161)의 테일부(162)가 접속된 제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또한, 제1 단자(61)의 돌출부(67b)와 제2 단자(161)의 돌출부(164b)가 계합하기 때문에,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이 확실한 것으로 되고, 나아가서는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와의 감합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감합 오목부(22)에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고, 제1 보강 쇠장식(51)의 접촉 아암부(54)의 접촉 볼록부(54b)와, 제2 돌출 단부(122)에 부착된 제2 보강 쇠장식(151)의 측방 커버부(153b)가 접촉한다. 그 결과, 제1 보강 쇠장식(51)의 측판부(53b)의 하단면(53c) 및 단벽 커버부(57)의 테일부(57c)가 접속된 제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와, 제2 보강 쇠장식(151)의 측방 커버부(153b)의 하단 및 중앙 피복부(157)의 테일부(157c)가 접속된 제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연결된 도전 트레이스가 도통한다.
그런데 면적이 넓은 제1 기판 및 제2 기판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각각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제1 커넥터(1)의 감합면(11a)과 제2 커넥터(101)의 감합면(111a)을 육안으로 볼 수 없고, 손으로 더듬어 감합 작업을 행하는 것으로 된다. 그러면, 손으로 더듬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맞추기를 할 수 없으며, 제1 커넥터(1)의 위치와 제2 커넥터(101)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에 대해 제2 커넥터(101)가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가 제1 커넥터(1)의 감합 오목부(22)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감합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예를 들어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를 덮는 중앙 피복부(157)의 돌출단 상 커버부(157a)가, 감합 오목부(22)의 측방을 획정하는 측벽 연장부(21c)에 당접하기 때문에, 당해 측벽 연장부(21c)는 하방으로 향한 강한 가압력을 받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보강 쇠장식(51)의 측판부(53b)가 측벽 연장부(21c) 내에 매설되어, 측판부(53b)의 외측의 과반이 측벽 연장 외측부(21c1)에 의해 덮이고, 측판부(53b)의 내측의 과반이 측벽 연장 내측부(21c2)에 의해 덮이고, 또한 측판부(53b)도 형성된 관통 구멍(53d)을 통해 측벽 연장 외측부(21c1)와 측벽 연장 내측부(21c2)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 연장부(21c)는 두께가 얇아도 강도가 높고,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단벽부(21b)도 단벽 커버부(57)에 덮이고, 또한 당해 단벽 커버부(57)와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제1 볼록부(13)의 단부도 아일랜드단 커버부(55)에 덮이고, 또한 상기 단벽 커버부(57)와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강도가 높고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측판부(53b)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53)는 곡률 반경이 비교적 작아지도록 만곡되고, 측벽 연장 내측부(21c2)의 상면을 덮도록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강도로 측벽 연장 내측부(21c2)의 상면을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측벽 연장 외측부(21c1)의 상면은, 측벽 상 커버부(53a)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되어 있지만, 측벽 상 커버부(53a)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 커넥터(101)의 돌출단 상 커버부(157a)가 당접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제1 단자(61)는 감합면(11a), 즉 측벽부(14)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측벽부(14)의 상면이 측벽 상 커버부(53a)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제2 커넥터(101)의 돌출단 상 커버부(157a)가 당접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제1 단자(61)나 제1 하우징(11)의 각부가 제2 커넥터(101)의 돌출단 상 커버부(157a)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단벽 커버부(57)의 단벽 상 커버부(57a)가 경사면으로 되어 있고, 또한 측벽 상 커버부(53a)가 경사면(53f)을 포함하고 유도면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의 감합 오목부(22)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이른바 자체 정렬(self alignment) 기능에 의해 제1 커넥터(1)의 감합 오목부(22)와의 위치 맞추기가 자동적으로 행해져, 감합 오목부(22) 내에 부드럽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용이하게 감합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서로 감합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감합을 해제하는 경우, 제1 볼록부(13)의 양측을 따라 2열로 나란한 제1 단자(61)와, 오목홈부(113)의 양측을 따라 2열로 나란한 제2 단자(161)가 서로 확실하게 결합함으로써,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확실하게 감합하고 있기 때문에, 도 8 및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에 대해 X축을 중심으로 제2 커넥터(101)를 회전시키도록 경사시켜,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을 1열씩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및 9는 일방의 열(도 9에 있어서의 좌측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만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일방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나서, 제1 커넥터(1)에 대해 X축을 중심으로 제2 커넥터(101)를 추가로 회전시키면, 타방의 열(도 9에 있어서의 우측의 열)에 있어서의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의 돌출부(67b)와 계합하고 있는 제2 단자(161)의 돌출부(164b)를 중심으로(도 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시계 회전 방향) 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제2 단자(161)에 있어서의 제1 접촉부(165)가 접속부(164)에 접속되어 있는 부분은, 제1 단자(61)에 있어서의 제2 접촉부(66)를 향해 돌출하는 제1 접촉부(65a)에 가압된 상태에서, 돌출부(164b)를 중심으로 한 원호상을 이동하지만, 당해 부분에는 비교적 긴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는 바와 같은 경사부(164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큰 저항을 받지 않고,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타방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은 상기 일방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보다도 약한 힘을 부여하는 것만으로 해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감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요하는 힘의 크기에는, 일방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제1 피크(peak)가 존재하고, 타방의 열의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와의 결합을 해제할 때에 제2 피크가 존재하는 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단자(161)가 비교적 긴 직선 또는 완만한 곡선을 그리는 바와 같은 경사부(164a)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2 피크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감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1)는, 제1 하우징(11)과,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제1 단자(61)와, 제1 하우징(11)에 부착되는 제1 보강 쇠장식(51)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하우징(11)은,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1 돌출 단부(21)이며,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제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는 감합 오목부(22)가 형성된 제1 돌출 단부(21)를 포함하고, 제1 보강 쇠장식(51)은,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벽 커버부(57)이며, 제1 돌출 단부(21)의 단벽부(21b)에 부착되는 단벽 커버부(57)와, 당해 단벽 커버부(57)의 양단에 접속되어 제1 하우징(11)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53)이며, 제1 돌출 단부(21)의 측벽 연장부(21c)에 부착되는 접속 아암부(53)를 포함하고, 접속 아암부(53)는, 감합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판부(53b)와, 측판부(53b)의 상단에 접속된 측벽 상 커버부(53a)를 포함하고, 측판부(53b)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가 측벽 연장부(21c)의 측벽 연장 외측부(21c1)에 의해 덮이고, 측벽 상 커버부(53a)는, 그 선단(53e)이 감합 오목부(22) 내를 향하도록 만곡되고, 측벽 연장부(21c)의 측벽 연장 내측부(21c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측벽 연장부(21c)는 측판부(53b)와 일체화되어, 두께가 얇아도 높은 강도를 발휘하기 때문에, 감합 작업 중에 제2 커넥터(101)로부터 큰 가압력을 받아도 제1 돌출 단부(21) 등이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의 보호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측판부(53b)는 관통 구멍(53d)을 포함하고, 관통 구멍(53d)을 통해 측벽 연장부(21c)의 측벽 연장 외측부(21c1)와 측벽 연장 내측부(21c2)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측벽 연장부(21c)는 측판부(53b)와 강고하게 일체화된다.
또한, 측벽 연장부(21c)의 측벽 연장 외측부(21c1)의 상면은 측벽 상 커버부(53a)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측벽 연장 외측부(21c1)는 감합 작업 중에 제2 커넥터(101)로부터 큰 가압력을 받는 경우가 없고, 손상을 받거나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측판부(53b)의 하단면(53c)은 측벽 연장부(21c)의 하방에 노출되고, 커넥터(1)가 실장되는 제1 회로 기판의 표면에 당접 가능하다. 이에 의해, 일체화한 측벽 연장부(21c) 및 측판부(53b)의 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제1 보강 쇠장식(51)은, 감합 오목부(22)의 저면을 덮는 저면 커버부(58)와, 저면 커버부(58)의 좌우 양측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접촉 아암부(54)이며, 감합 오목부(22)에 삽입된 제2 돌출 단부(122)에 부착된 제2 보강 쇠장식(151)과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54)를 포함하며, 접촉 아암부(54)는,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위 가능한 스프링부(54a)와, 스프링부(54a)의 자유단에 접속된 접촉 볼록부(54b)이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접촉 볼록부(54b)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보강 쇠장식(51)은 제2 보강 쇠장식(151)과의 도통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볼록부(54b)의 상반부는 그 선단(54c)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외방을 향해 비스듬히 상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선단(54c)은 측벽 상 커버부(53a)의 선단(53e)과 대향하여 근접하고, 또한 측벽 상 커버부(53a)의 선단(53e)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커넥터(101)로부터 큰 가압력이 접촉 아암부(54)에 작용하는 것이 방지되어, 스프링부(54a)의 좌굴이 방지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는, 적절하고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한 특징을 말한 것이다. 여기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 및 그 취지 내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다른 실시형태, 수정 및 변형은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개시를 총람함으로써 당연하게 생각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적용할 수 있다.
1: 제1 커넥터
11: 제1 하우징
11a, 111a: 감합면
11b, 111b: 실장면
12, 817: 오목부
12a: 오목홈부
13: 제1 볼록부
13a: 박벽부
14: 측벽부
15: 제1 단자 수용 캐비티
15a: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b: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7: 아일랜드 단부
17a: 아일랜드단 오목부
17b: 아일랜드 오목부
18: 저판
18a: 바닥 개구
21: 제1 돌출 단부
21b: 단벽부
21c: 측벽 연장부
21c1: 측벽 연장 외측부
21c2: 측벽 연장 내측부
22: 감합 오목부
23a: 외단 오목부
23b: 내단 오목부
23c: 내측 오목부
23d: 중간 오목부
51: 제1 보강 쇠장식
53: 접속 아암부
53a: 측벽 상 커버부
53b: 측판부
53c: 하단면
53d: 관통 구멍
53e, 54c: 선단
53f, 54d: 경사면
54: 접촉 아암부
54a: 스프링부
54b: 접촉 볼록부
55: 아일랜드단 커버부
55a: 아일랜드단 외면 커버부
55b: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
55c: 아일랜드단 몰입부
57: 단벽 커버부
57a: 단벽 상 커버부
57b: 단벽 외 커버부
57c, 62, 162, 157c: 테일부
58: 저면 커버부
58a: 단벽 하 커버부
58b: 저면부
61: 제1 단자
63: 피보유부
64: 하측 접속부
64a: 하방 내측 만곡부
64b: 하방 외측 만곡부
65: 내측 접속부
66, 166: 제2 접촉부
67: 상측 접속부
67a, 164a: 경사부
67b, 164b: 돌출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2: 제2 볼록부
113: 오목홈부
122: 제2 돌출 단부
151: 제2 보강 쇠장식
153: 측방 피복부
153a, 157b: 접속 커버부
153b: 측방 커버부
157: 중앙 피복부
157a: 돌출단 상 커버부
161: 제2 단자
164: 접속부
165: 제1 접촉부
811: 하우징
813: 중간 아일랜드
851: 보강 쇠장식
853: 측방 아암
858: U자 아암
861: 단자
11: 제1 하우징
11a, 111a: 감합면
11b, 111b: 실장면
12, 817: 오목부
12a: 오목홈부
13: 제1 볼록부
13a: 박벽부
14: 측벽부
15: 제1 단자 수용 캐비티
15a: 제1 단자 수용 내측 캐비티
15b: 제1 단자 수용 외측 캐비티
17: 아일랜드 단부
17a: 아일랜드단 오목부
17b: 아일랜드 오목부
18: 저판
18a: 바닥 개구
21: 제1 돌출 단부
21b: 단벽부
21c: 측벽 연장부
21c1: 측벽 연장 외측부
21c2: 측벽 연장 내측부
22: 감합 오목부
23a: 외단 오목부
23b: 내단 오목부
23c: 내측 오목부
23d: 중간 오목부
51: 제1 보강 쇠장식
53: 접속 아암부
53a: 측벽 상 커버부
53b: 측판부
53c: 하단면
53d: 관통 구멍
53e, 54c: 선단
53f, 54d: 경사면
54: 접촉 아암부
54a: 스프링부
54b: 접촉 볼록부
55: 아일랜드단 커버부
55a: 아일랜드단 외면 커버부
55b: 아일랜드단 상면 커버부
55c: 아일랜드단 몰입부
57: 단벽 커버부
57a: 단벽 상 커버부
57b: 단벽 외 커버부
57c, 62, 162, 157c: 테일부
58: 저면 커버부
58a: 단벽 하 커버부
58b: 저면부
61: 제1 단자
63: 피보유부
64: 하측 접속부
64a: 하방 내측 만곡부
64b: 하방 외측 만곡부
65: 내측 접속부
66, 166: 제2 접촉부
67: 상측 접속부
67a, 164a: 경사부
67b, 164b: 돌출부
101: 제2 커넥터
111: 제2 하우징
112: 제2 볼록부
113: 오목홈부
122: 제2 돌출 단부
151: 제2 보강 쇠장식
153: 측방 피복부
153a, 157b: 접속 커버부
153b: 측방 커버부
157: 중앙 피복부
157a: 돌출단 상 커버부
161: 제2 단자
164: 접속부
165: 제1 접촉부
811: 하우징
813: 중간 아일랜드
851: 보강 쇠장식
853: 측방 아암
858: U자 아암
861: 단자
Claims (12)
-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보강 쇠장식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 가이드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며, 각각의 감합 가이드부는 내측부 및 외측부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갖고, 각각의 측벽부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슬릿형 중간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보강 쇠장식은 서로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 아암부는 측판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측판부는 상기 슬릿형 중간 오목부들 중 각자의 하나 내에 위치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의 하단은 각각의 각자의 측벽부 하방에 노출되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접속되는, 커넥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가 그를 통해 접속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접속되는,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가 그를 통해 접속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단자; 및
상기 커넥터 본체에 부착되는 보강 쇠장식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본체는 상기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감합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합 가이드부는 상대방 커넥터의 상대방 커넥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에 형성된 상대방 감합 가이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며, 각각의 감합 가이드부는 내측부 및 외측부로 형성되는 측벽부를 갖고, 각각의 측벽부는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 사이에 위치되는 슬릿형 중간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보강 쇠장식은 서로 접속되는 좌우 한 쌍의 접속 아암부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 아암부는 측판부 및 측벽 상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 상 커버부는 상기 측판부의 상단에 접속되고 상기 측벽부 상방에 노출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측판부의 하단은 각각의 각자의 측벽부 하방에 노출되는, 커넥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접속되는,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가 그를 통해 접속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는 접속되는,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상기 측벽부의 외측부와 내측부가 그를 통해 접속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88277A JP2020184459A (ja) | 2019-05-08 | 2019-05-08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JP-P-2019-088277 | 2019-05-08 | ||
KR1020200053147A KR102492103B1 (ko) | 2019-05-08 | 2020-05-04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147A Division KR102492103B1 (ko) | 2019-05-08 | 2020-05-04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9475A true KR20230019475A (ko) | 2023-02-08 |
Family
ID=730454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147A KR102492103B1 (ko) | 2019-05-08 | 2020-05-04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KR1020230007789A KR20230019475A (ko) | 2019-05-08 | 2023-01-19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3147A KR102492103B1 (ko) | 2019-05-08 | 2020-05-04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3) | US11158968B2 (ko) |
JP (4) | JP2020184459A (ko) |
KR (2) | KR102492103B1 (ko) |
CN (2) | CN111916922B (ko) |
TW (2) | TWI82315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08531B2 (ja) * | 2018-12-27 | 2022-07-2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組立体 |
JP7364363B2 (ja) * | 2019-04-25 | 2023-10-1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2020184459A (ja) * | 2019-05-08 | 2020-11-1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TWD206849S (zh) * | 2019-05-29 | 2020-09-01 |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 電連接器的固定件 |
JP7454995B2 (ja) * | 2020-05-11 | 2024-03-25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
US11652323B2 (en) * | 2020-05-13 | 2023-05-16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
US11495919B2 (en) * | 2020-05-13 | 2022-11-08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
CN214254799U (zh) | 2021-01-30 | 2021-09-2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
JP7398496B2 (ja) | 2021-04-02 | 2023-12-1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
JP7245943B2 (ja) | 2021-04-02 | 2023-03-24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
JP1711754S (ja) * | 2021-08-24 | 2022-04-05 | 電気コネクタ | |
KR102395626B1 (ko) | 2021-11-11 | 2022-05-11 |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 핀 어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적용한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 |
KR102395625B1 (ko) | 2021-11-11 | 2022-05-11 |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 리지드 얼라인먼트 기능을 갖는 고속 신호 전송 커넥터 |
JP2023112484A (ja) | 2022-02-01 | 2023-08-1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KR102487036B1 (ko) | 2022-10-04 | 2023-01-10 | 주식회사 위드웨이브 | 고속 고주파 신호 전송 커넥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07557A (ja) | 2014-04-17 | 2015-11-19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69842A (en) * | 1989-11-30 | 1990-11-13 | Amp Incorporated | Molde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ntegral spring contact beams |
JP4954253B2 (ja) * | 2009-09-11 | 2012-06-13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631074B2 (ja) | 2010-06-28 | 2014-11-26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884036B2 (ja) * | 2011-08-31 | 2016-03-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
CN103050805B (zh) * | 2011-10-14 | 2014-12-10 | 莫列斯公司 | 连接器 |
JP2013101909A (ja) * | 2011-10-14 | 2013-05-23 | Molex Inc | コネクタ |
CN104137344B (zh) | 2013-02-27 | 2017-06-30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
CN104377484B (zh) * | 2013-08-13 | 2017-06-2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件 |
JP5887326B2 (ja) | 2013-12-12 | 2016-03-1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5972855B2 (ja) * | 2013-12-24 | 2016-08-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JP6327973B2 (ja) * | 2014-06-30 | 2018-05-23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034339B2 (ja) * | 2014-07-29 | 2016-11-3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6391517B2 (ja) | 2015-03-30 | 2018-09-1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385875B2 (ja) * | 2015-04-01 | 2018-09-0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6378642B2 (ja) * | 2015-04-23 | 2018-08-2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401676B2 (ja) * | 2015-08-06 | 2018-10-10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6498622B2 (ja) * | 2016-03-14 | 2019-04-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807218B2 (ja) | 2016-11-18 | 2021-01-06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6806593B2 (ja) * | 2017-02-28 | 2021-0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8147820A (ja) | 2017-03-08 | 2018-09-20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KR102333832B1 (ko) * | 2017-04-03 | 2021-12-03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JP6842359B2 (ja) * | 2017-05-10 | 2021-03-17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206893852U (zh) | 2017-07-13 | 2018-01-16 | 深圳市欧康精密技术有限公司 | 一种插座 |
KR102472685B1 (ko) * | 2017-10-23 | 2022-11-30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
JP6975626B2 (ja) * | 2017-11-29 | 2021-12-01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CN208423285U (zh) * | 2018-07-20 | 2019-01-22 |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 |
CN109103697B (zh) * | 2018-08-06 | 2020-03-17 | 唐虞企业股份有限公司 | 插座连接器及电连接器总成 |
JP6681951B2 (ja) * | 2018-08-08 | 2020-04-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7148357B2 (ja) * | 2018-10-18 | 2022-10-05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2020184459A (ja) * | 2019-05-08 | 2020-11-1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2019
- 2019-05-08 JP JP2019088277A patent/JP2020184459A/ja active Pending
-
2020
- 2020-04-09 TW TW110137049A patent/TWI823154B/zh active
- 2020-04-09 TW TW109112005A patent/TWI745923B/zh active
- 2020-04-20 CN CN202010311528.6A patent/CN111916922B/zh active Active
- 2020-04-20 CN CN202111362290.0A patent/CN113948892A/zh active Pending
- 2020-04-24 US US16/857,185 patent/US11158968B2/en active Active
- 2020-05-04 KR KR1020200053147A patent/KR1024921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9-27 US US17/485,519 patent/US11936127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1-19 KR KR1020230007789A patent/KR2023001947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06-05 JP JP2023092103A patent/JP2023105047A/ja active Pending
- 2023-12-01 JP JP2023203888A patent/JP2024015147A/ja active Pending
- 2023-12-01 JP JP2023203825A patent/JP2024015144A/ja active Pending
-
2024
- 2024-02-01 US US18/429,496 patent/US2024017087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207557A (ja) | 2014-04-17 | 2015-11-19 |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745923B (zh) | 2021-11-11 |
KR20200130144A (ko) | 2020-11-18 |
JP2024015144A (ja) | 2024-02-01 |
US11936127B2 (en) | 2024-03-19 |
CN111916922A (zh) | 2020-11-10 |
KR102492103B1 (ko) | 2023-01-27 |
US20240170871A1 (en) | 2024-05-23 |
CN113948892A (zh) | 2022-01-18 |
JP2024015147A (ja) | 2024-02-01 |
JP2023105047A (ja) | 2023-07-28 |
US20220013941A1 (en) | 2022-01-13 |
JP2020184459A (ja) | 2020-11-12 |
US20200358213A1 (en) | 2020-11-12 |
US11158968B2 (en) | 2021-10-26 |
TW202205757A (zh) | 2022-02-01 |
TW202042455A (zh) | 2020-11-16 |
CN111916922B (zh) | 2021-10-08 |
TWI823154B (zh) | 2023-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92103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
US10651581B1 (en) | Connector | |
KR101985141B1 (ko) | 커넥터 | |
KR101919691B1 (ko) | 커넥터 | |
JP4969838B2 (ja) |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 |
TWI540801B (zh) | Connector | |
JP5660756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
KR101036719B1 (ko) |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 |
US11233346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JP5197294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
JP6404248B2 (ja) | コネクタ | |
JP7021293B2 (ja) | コネクタ | |
JP6714056B2 (ja) | コネクタ | |
JP2023023054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