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245A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016245A KR20230016245A KR1020230008261A KR20230008261A KR20230016245A KR 20230016245 A KR20230016245 A KR 20230016245A KR 1020230008261 A KR1020230008261 A KR 1020230008261A KR 20230008261 A KR20230008261 A KR 20230008261A KR 20230016245 A KR20230016245 A KR 202300162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layer
- emitting layer
- eml
- white organic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044 organic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4 alkalin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342 alkalin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OJUPLGTWVMSFF-UHFFFAOYSA-N benzothi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SC=NC2=C1 IOJUPLGTWVMSF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 or C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67 poly(styrenesulfonat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BCMCBBGGLRIHSE-UHFFFAOYSA-N 1,3-benzox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OC=NC2=C1 BCMCBBGGLRIH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GGKVJMNFFSDEV-UHFFFAOYSA-N 3-methyl-n-[4-[4-(n-(3-methylphenyl)anilino)phenyl]phenyl]-n-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C1=CC=CC(N(C=2C=CC=CC=2)C=2C=CC(=CC=2)C=2C=CC(=CC=2)N(C=2C=CC=CC=2)C=2C=C(C)C=CC=2)=C1 OGGKVJMNFFSD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GEZNRSVGBDHLK-UHFFFAOYSA-N [1,10]phenanthroline Chemical compound C1=CN=C2C3=NC=CC=C3C=CC2=C1 DGEZNRSVGBDHL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CJYREBRNVKWGJ-UHFFFAOYSA-N copper(II) phthalocyanine Chemical compound [Cu+2].C12=CC=CC=C2C(N=C2[N-]C(C3=CC=CC=C32)=N2)=NC1=NC([C]1C=CC=CC1=1)=NC=1N=C1[C]3C=CC=CC3=C2[N-]1 XCJYREBRNVKW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1 excite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BTKNAXYKSUFRK-UHFFFAOYSA-N heliogen blue Chemical compound [Cu].[N-]1C2=C(C=CC=C3)C3=C1N=C([N-]1)C3=CC=CC=C3C1=NC([N-]1)=C(C=CC=C3)C3=C1N=C([N-]1)C3=CC=CC=C3C1=N2 RBTKNAXYKSUFR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BHBKWKFFTZAHE-UHFFFAOYSA-N n-[4-[4-(n-naphthalen-1-ylanilino)phenyl]phenyl]-n-phenylnaphthalen-1-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1N(C=1C2=CC=CC=C2C=CC=1)C1=CC=C(C=2C=CC(=CC=2)N(C=2C=CC=CC=2)C=2C3=CC=CC=C3C=CC=2)C=C1 IBHBKWKFFTZA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CPAKWJPBJAGKN-UHFFFAOYSA-N oxadiazole Chemical compound C1=CON=N1 WCPAKWJPBJAG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96 polystyrene 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0 polystyrene sulf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98 recomb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5 recomb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52 triazol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YVTHLONGBIQYBO-UHFFFAOYSA-N zinc indium(3+) oxygen(2-) Chemical compound [O--].[Zn++].[In+3] YVTHLONGBIQY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 H01L51/504—
-
- H01L51/5056—
-
- H01L51/5072—
-
- H01L51/5206—
-
- H01L51/5221—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있으며, 440nm 내지 480nm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제1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 위에 있으며, 600nm 내지 650nm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제2 발광층, 510nm 내지 580nm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제3 발광층, 및 제4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사이에 있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소자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유기 발광층을 형성한다. 두 개의 전극으로부터 각각 전자(electron)와 정공(hole)을 유기 발광층 내로 주입시켜 전자와 정공의 결합에 따른 여기자(exciton)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여기자가 여기 상태(excited state)로부터 기저 상태(ground state)로 떨어질 때 광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소자이다.
종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백색을 구현하기 위해 청색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층을 구비한다. 그러나,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은 인광 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에 비해 이론상 양자 효율이 약 25% 수준이다. 이로 인해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층은 인광 물질에 비해 충분한 휘도를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의 재료 및 소자 구조로 인한 발광 특성 및 수명 성능에 한계가 있었고, 이에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서 수명을 향상시키려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하나의 방안으로, 발광층을 단일층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있다. 이 방안은 단일 물질을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물질을 도핑하는 방식으로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호스트에 적색 및 녹색 도펀트를 사용하거나 밴드 갭 에너지가 큰 호스트 물질에 적색, 녹색 및 청색 도펀트를 부가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도펀트로의 에너지 전달이 불완전하고, 백색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펀트가 자체적으로 갖는 특성에 의해 해당 발광층에 포함되는 도펀트의 성분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각 발광층의 혼합 시 백색(White) 광 구현에 초점이 맞추어지므로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이 아닌 다른 파장에서 발광 피크(Emitting Peak) 값을 갖는 파장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컬러 필터 포함 시에 색 재현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펀트 물질의 수명이 달라 계속적인 사용 시에 컬러 시프트(color shift)가 발생하게 된다.
다른 방안으로, 보색 관계의 두 개의 발광층을 적층하여 백색광을 방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백색광이 컬러 필터를 통과하게 되면 각 발광층의 피크 파장 영역과 컬러 필터의 투과 영역의 차이가 생긴다. 따라서, 표현할 수 있는 색상범위가 좁아져 원하는 색 재현율을 구현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색 발광층과 황색 발광층을 적층하는 경우, 청색 파장 영역과 황색 파장 영역에서 피크 파장이 형성되면서 백색광이 방출된다. 이 백색광이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통과하게 되면 청색 파장 영역의 투과도가 적색 또는 녹색 파장 영역 대비 낮아지게 되어 발광 효율 및 색 재현율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황색 인광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청색 형광 발광층의 발광 효율보다 상대적으로 높아 인광 발광층과 형광 발광층 사이의 효율 차이로 인해 패널 효율 및 색 재현율을 감소시킨다. 또한, 청색의 휘도가 황색보다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구조 외에 청색의 형광 발광층과 녹색-적색의 인광 발광층을 적층한 구조일 경우, 청색의 휘도가 녹색-적색보다 상대적으로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문제점을 언급하였듯이,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여러 방안들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발광층들을 구성하는 발광부의 수를 증가시키는 구조는 공정의 증가에 따른 제조 비용의 증가와, 소자의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구동전압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발광층들을 구성하는 발광부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하여 소자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거쳐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하여 소자 수명이 향상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 과제는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을 구성하고 발광 영역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발광 영역 조절층을 더 구성함으로써,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 위에 제2 발광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 영역 조절층이 구성됨으로써,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제1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 위에 제2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 위에 제3 발광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발광 영역 조절층이 구성됨으로써,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발광 영역 조절층을 구성함으로써,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층의 열화를 방지하여 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발명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백색 유기 발광 소자(100)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와 제2 발광부(120)를 구비한다.
제1 전극(102)은 정공(hole)을 공급하는 양극으로 TCO(Transparent Conductive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104)은 전자(electron)를 공급하는 음극으로 금속성 물질인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등으로 형성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극(102)과 제2 전극(104)은 각각 애노드(anode) 또는 캐소드(cathode)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02)은 투과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104)은 반사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02)은 반사 전극이고, 상기 제2 전극(104)은 반투과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10)는 상기 제1 전극(102) 위에 제1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ing Layer)(112), 제1 발광층(EML; Emitting Layer)(114), 제1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ng Layer)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HIL)은 상기 제1 전극(102) 위에 형성되고, 제1 전극(102)으로부터의 정공(hole)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정공 수송층(HTL)(112)은 정공 주입층(HIL)으로부터의 정공을 제1 발광층(EML)(114)에 공급한다. 상기 제1 전자 수송층(ETL)(116)은 제2 전극(104)으로부터의 전자를 제1 발광층(EML)(114)에 공급한다.
상기 정공 주입층(HIL)은 MTDATA(4,4',4"-tris(3-methylphenylphenylamino)triphenylamine), CuPc(copper phthalocyanine) 또는 PEDOT/PSS(poly(3,4-ethylenedioxythiphene, polystyrene sulfona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발광층(EML)(114)에서는 정공 수송층(HIL)을 통해 공급된 정공(hole)과 전자 수송층(ETL)(116)을 통해 공급된 전자(electron)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상기 제1 정공 수송층(HTL)(112)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HTL)(12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정공 수송층(HTL)(112)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수송층(ETL)(116)은 상기 제2 전자 수송층(ETL)(126)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자 수송층(ETL)(116)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층(EML)(114)은 청색(Blue) 발광층 또는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10)와 상기 제2 발광부(120) 사이에는 제1 전하 생성층(CGL; Charge Generating Layer)(14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하 생성층(CGL)(140)은 상기 제1 발광부(110) 및 제2 발광부(120) 간의 전하 균형을 조절한다. 상기 전하 생성층(140)은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각각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각각 P형 도펀트가 포함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하 생성층(CGL)(140)은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는 제2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ing Layer)(122), 제2 발광층(EML; Emitting Layer)(124), 제2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1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 전자 수송층(ETL)(126) 위에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ng Layer)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ng Layer)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공 수송층(HTL)(122)은 상기 제1 정공 수송층(HTL)(11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정공 수송층(HTL)(122)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수송층(ETL)(126)은 상기 제1 전자 수송층(ETL)(116)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전자 수송층(ETL)(126)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녹색(Green)과 적색(Red) 영역을 모두 발광해야 하므로,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녹색(Green)에 비해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2 발광층(EML)(125)으로 적색(Red) 발광층을 더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상기 제2 발광부(120)에 두 개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2 발광부(120)는 두 개의 발광층들로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과 제2 발광층(EML)(125)인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이 구성으로 할 경우,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이고,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이다. 상기 적색(Red) 발광층과 상기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이 가까우므로, 상기 적색(Red) 및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들의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적색(Red) 또는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들의 한쪽으로 발광 영역이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의 열화를 가속시키게 되고, 소자 수명이 저하하게 된다. 또한, 원하는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에서 원하는 색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을 포함하는 구조에서 생기는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발광 영역을 최대로 하고 발광 영역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구조를 발명하게 되었다.
즉,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들을 구성하고 발광 영역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는 발광 영역 조절층을 더 구성함으로써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발명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200)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와 제2 발광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2 발광부(120)에 두 개의 발광층들과 발광 영역 조절층(EACL; Emission Area Control Layer)(190)을 구성한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제2 발광층(EML)(125)은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으로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층(EML)(125)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부 발광 방식(Bottom Emission)이나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 또는 양부 발광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과 제2 발광층(EML)(125)을 하나의 도펀트와 하나의 호스트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도펀트에 정공(hole) 호스트와 전자(electron) 호스트로 구성된 두 개의 호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도펀트에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효율이나 수명 면에서 향상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을 하나의 도펀트와 하나의 호스트로 도시하였으나, 하나의 도펀트에 정공(hole) 호스트와 전자(electron) 호스트로 구성된 두 개의 호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도펀트에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효율이나 수명 면에서 향상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도펀트에 두 개의 호스트로 이루어질 경우를 예로 들어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과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을 설명한다. 정공(hole)은 제1 발광층(EML)(124)의 정공 호스트에서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의 정공 호스트로 이동한다. 전자(electron)는 제1 발광층(EML)(124)의 전자 호스트에서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의 전자 호스트로 이동하며, 이동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여기자(Exciton)가 되어 발광부 내에서 빛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는 도펀트와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는 도펀트는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는 호스트는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 (1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는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나 외에 두 개의 호스트인 정공 호스트와 전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에 포함된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는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호스트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의 정공 이동도 (hole mobility)는 1×10-5㎠/Vs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발광층(EML)(124)에 생기는 여기자(Exciton)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의 여기자(Exciton) 생성을 더 빠르게 하여,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여기자(Exciton)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층(EML)(12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에서 생기는 여기자(Exciton)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여기자(Exciton) 분포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에 의해서 상기 제2 발광층(EML)(125)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층(EML)(12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여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에서 열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발광부(12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의 발광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영역 조절층의 발광 영역을 확인한 실험 결과로, 발광부의 발광 영역 및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이 수명 향상에 기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발명자들은 여러 소자를 구성하여 다양한 실험을 반복하였다. 여러 실험을 거듭한 결과, 아래 표 1의 소자를 구성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하나의 발광부 내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할 경우에 소자 특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수명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 실험을 위한 소자는 각각 8개로 구성하였으며, 그 소자의 구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본 실험에서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 상기 제2 발광층(EML)(125) 및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으로 소자를 구성하여야 하나,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발광층(EML)(125)을 제외하고 임의의 발광층을 상기 제1 발광층(EML)(124)들 사이에 구성한 것이다. 그 이유는, 상기 제2 발광층(EML)(125)인 적색(Red) 발광층의 에너지가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에 비해 높으므로, 높은 에너지인 적색(Red)으로 표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190)의 발광 영역과 발광 세기를 확인하기 위해서 소자의 구성을 상기 표 1과 같이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과 발광 세기를 확인한 것이다.
상기 표 1에서, 소자 1 내지 소자 3은 제1 발광층, 발광층 및 발광 영역 조절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은 두께에 따라 제1 발광층(1) 내지 제1 발광층(4)으로 표현한 것이다.
소자 1의 상기 제1 발광층(1)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 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3)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6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2의 상기 제1 발광층(2)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9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2)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9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3의 상기 제1 발광층(3)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6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1)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4는 제1 발광층(4), 발광층 및 발광 영역 조절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8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상기 표 1에서, 상기 소자 5 내지 소자 8은 제1 발광층, 발광 영역 조절층 및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은 두께에 따라 발광 영역 조절층(1) 내지 발광 영역 조절층(4)으로 표현한 것이다.
소자 5는 제1 발광층, 발광층 및 발광 영역 조절층(4)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8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6 내지 소자 8은 제1 발광층, 발광 영역 조절층 및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은 두께에 따라 발광 영역 조절층(1) 내지 발광 영역 조절층(3)으로 표현한 것이다.
소자 6의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1)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60Å으로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7의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2)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2)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9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소자 8의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는 20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16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은 임의의 발광층인 적색(Red)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1)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이고 두께는 20Å으로 한 것이다. 상기 발광층들 또는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는 본 발명의 실험을 위해서 임의로 설정한 것이며 본 발명에 제한을 주는 것은 아니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을 적용할 경우 발광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세기를 확인한 결과,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인 600㎚ 내지 650㎚에서 소자 1 내지 소자 6의 발광 세기는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즉, 소자 1 내지 소자 6은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190)과 상기 제1 발광층(EML)(124) 사이에 생성된 여기자(Exciton)에 의해서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피크 영역에서 발광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반면, 소자 7과 소자 8은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인 600㎚ 내지 650㎚에서 발광 세기가 저하하므로, 소자 7과 소자 8에서는 여기자(Exciton)가 생성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을 적용함으로써 발광 세기가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발광 영역은 "a"로 표시한 부분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190)에 의해서 상기 제2 발광부(120)의 발광 영역은 발광 영역 "a"에서 발광 영역"E"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발광부 내에서 발광 영역을 고르게 분포하도록 함으로써, 발광부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본 실험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인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 두 개의 발광층들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므로, 두 개의 발광층 사이에서 생기는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이 발광 영역 조절층에 의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영역의 분포를 고르게 퍼지게 함으로써 발광 영역이 증가하고, 원하는 파장 영역에서 발광 세기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발광부(12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백색 유기 발광 소자(300)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와 제2 발광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으로 적색(Red) 발광층을 구성하고,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2 발광층(EML)(115)으로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다.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으로 청색(Blue) 발광층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부(110)에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290)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14)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발광층(EML)(115)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은 청색(Blue) 발광층 또는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2 발광층(EML)(115)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은 도펀트(dopant)는 동일하게 하고 호스트(host)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나 외에 두 개의 호스트인 정공 호스트와 전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에 포함된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가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호스트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의 정공 이동도 (hole mobility)는 1×10-5㎠/Vs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발광층(EML)(115)에 생기는 여기자(Exciton)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의 여기자(Exciton) 생성을 더 빠르게 하여,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여기자(Exciton)를 상기 제1 발광층(EML)(114)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29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층(EML)(11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15)에서 생기는 여기자(Exciton)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여기자(Exciton) 분포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190)에 의해서 상기 제1 발광층(EML)(114)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층(EML)(11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여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상기 제1 발광부(110) 내에서 열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부(11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 되므로, 상기 제1 발광부(11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이나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 또는 양부 발광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백색 유기 발광 소자(400)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 제2 발광부(120), 제3 발광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으로 청색(Blue) 발광층을 구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으로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2 발광층(EML)(125)으로 적색(Red) 발광층을 더 구성하여 제2 발광부(120) 내에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구성한다. 또한, 제2 발광부(120)에 발광 영역 조절층(EACL)(39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90)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2 발광층(EML)(125)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3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청색(Blue) 발광층은 인광 물질로 이루어진 발광층에 비해 이론상 양자 효율이 약 25% 수준이다. 이로 인해 형광 물질로 이루어진 청색 발광층은 다른 인광 물질에 비해 충분한 휘도를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효율을 개선하여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3 발광부(130)에 제1 발광층(EML)(134)을 더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400)는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으로 청색(Blue) 발광층을 구성하고,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으로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 발광부에서 추가로 제3 발광부(13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3 발광부를 구성하는 제1 발광층(13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의 수를 하나 더 증가시킨 구조에서도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을 적용할 경우, 발광 효율이 유지되고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는 도 8 및 표 2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발광부(120)에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구성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12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1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3 발광부(130)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은 하나의 도펀트와 하나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도펀트에 정공 호스트와 전자 호스트로 구성된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도펀트에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효율이나 수명 면에서 향상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390)은 하나의 도펀트와 하나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고, 하나의 도펀트에 정공 호스트와 전자 호스트로 구성된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도펀트에 두 개의 호스트로 구성할 경우, 발광층의 효율이나 수명 면에서 향상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3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는 도펀트는 동일하게 하고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한다. 상기 호스트는 하나 외에 두 개의 호스트인 정공 호스트와 전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90)에 포함된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가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호스트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90)의 정공 이동도 (hole mobility)는 1×10-5㎠/Vs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1 발광층(EML)(124)에 생기는 여기자(Exciton)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90)의 여기자(Exciton) 생성을 더 빠르게 하여,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여기자(Exciton)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390)에 의해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에서 생기는 여기자(Exciton)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의 여기자(Exciton) 분포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390)에 의해서 상기 제2 발광층(EML)(125)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층(EML)(12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25)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여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에서 열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발광부(12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상기 제2 발광부(12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발광부(110) 및 상기 제2 발광부(120)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3 발광부(130)는 상기 제2 전극(104) 아래에 제3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136), 제1 발광층(EML; Emitting Layer)(134), 제3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ing Layer)(1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3 전자 수송층(ETL)(136) 위에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ng Layer)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ng Layer)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공 수송층(HTL)(132)은 TPD(N,N'-diphenyl-N,N'-bis(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또는 NPB(N,N'-di(naphthalen-1-yl)-N,N'-diphenyl-benzidi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정공 수송층(HTL)(132)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자 수송층(ETL)(136)은 옥사디아졸(oxadiazole), 트리아졸(triazole), 페난트롤린(phenanthroline), 벤족사졸(benzoxazole) 또는 벤즈티아졸(benzthiazol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3 전자 수송층(ETL)(136)은 2개 이상의 층이나 2개 이상의 재료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층(EML)(134)은 청색(Blue) 발광층 또는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와 상기 제3 발광부(130) 사이에는 제2 전하 생성층(CGL; Charge Generating Layer)(150)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하 생성층(150)은 상기 제2 및 제3 발광부(120,130) 간의 전하 균형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2 전하 생성층(CGL)(150)은 N형 전하 생성층(N-CGL) 및 P형 전하 생성층(P-CGL)을 포함할 수 있다.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상기 제2 발광부(120)로 전자(electron)를 주입해주는 역할을 하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제3 발광부(130)로 정공(hole)을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전하 생성층(CGL)(150)은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N형 전하 생성층(N-CGL)은 각각 Li, Na, K, 또는 Cs와 같은 알칼리 금속, 또는 Mg, Sr, Ba, 또는 Ra와 같은 알칼리 토금속으로 도핑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P형 전하 생성층(P-CGL)은 각각 P형 도펀트가 포함된 유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전하 생성층(CGL)(140)은 상기 제2 전하 생성층(CGL)(150)의 N형 전하 생성층(N-CGL)과 P형 전하 생성층(P-CGL)의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부 발광 방식(Bottom Emission)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부 발광 방식(Top Emission)이나 양부 발광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교예로는 상기 제2 발광부 내에 발광층으로 적색(Red) 발광층과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과 발광 영역 조절층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부의 제1 발광층(EML)(11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 발광부의 제1 및 제2 발광층(EML)(124, 125)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과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으로는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3 발광부의 제1 발광층(EML)(13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8에서 가로축은 빛의 파장 영역을 나타낸 것이며, 세로축은 발광 세기(intensity)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A와 B는 제1 발광층, 제2 발광층 및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를 다르게 적용한 것이다. 실시예 A는 제1 발광층과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의 합과 비교예의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 것이다. 실시예 B는 제1 발광층과 발광 영역 조절층의 두께의 합과 비교예의 상기 제1 발광층의 두께보다 두껍게 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 440㎚ 내지 480㎚ 범위에서 비교예, 실시예 A 및 실시예 B의 발광 세기는 거의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에 생기는 발광층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발광 세기는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에서 실시예 B의 발광 세기가 비교예보다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증가되므로, 소자 수명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 A와 실시예 B를 비교하면, 실시예 B가 실시예 A보다 발광 세기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실시예 B가 소자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상기 발광층 내의 여기자(Exciton)가 상기 전자 수송층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여기자(Exciton)가 정공 수송층을 덜 파괴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에서, 비교예보다 실시예 A 및 실시예 B의 발광 세기는 증가함을 할 수 있다. 이는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저하되지 않고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증가되므로, 소자 수명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자 구성 시에 생기는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효율이 저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을 적용할 경우, 소자 특성은 유지되고 소자 수명은 향상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아래 표 2는 비교예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효율, 양자 효율 및 수명을 비교한 것이다.
비교예 및 실시예 A와 B는 상기 도 7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제1 발광부, 제2 발광부 및 제3 발광부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과 발광 영역 조절층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부의 제1 발광층(EML)(11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 발광부의 제1 발광층(EML)(124)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과 제2 발광층(EML)(125)인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발광층(EML)(124) 위에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으로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3 발광부의 제1 발광층(EML)(13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비교예로는 상기 제2 발광부 내에 발광층으로 적색(Red) 발광층과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와 실시예 A 및 실시예 B에서 발광층들의 효율은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 비교예와 대비하여 효율 면에서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에 생기는 소자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발광 효율이 유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소자 특성에서 보면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로 구성할 경우 나타나는 구동 전압(V)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EQE (External quantum efficiency)는 외부 양자 효율로, 빛이 유기 발광 소자 외부로 나갈 때의 발광 효율을 말한다. EQE 또한, 비교예와 비교해 볼 때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들로 구성할 경우에도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발광 효율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비교예와 대비하여 발광층들의 수명이 10% 내지 50% 정도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와 대비하여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으로 구성할 경우에 나타나는 수명 저하가 일어나지 않고, 적색(Red) 발광층, 녹색(Green) 발광층, 청색(Blue) 발광층의 수명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백색(White)에서는 비교예와 대비하여 20% 내지 40%의 수명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발광부 외에 추가로 하나의 발광부를 더 구성하더라도 본 발명의 발광 영역 조절층을 적용할 경우, 발광 효율 등의 소자 특성은 유지되고, 소자 수명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발광부를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 외에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제2 발광부에 두 개 이상의 발광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 외에 제1 발광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 외에 제3 발광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발광층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백색 유기 발광 소자(500)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 제2 발광부(120)와 제3 발광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은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2 발광층(EML)(115)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3 발광부(130)의 제1 발광층(EML)(13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발광부(110)에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을 구성하고,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14)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nm 내지 650nm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부(130)의 제1 발광층(EML)(13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24)을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3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34)을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층(EML)(115)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은 도펀트(dopant)는 동일하게 하고 호스트(host)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2 발광층(EML)(115)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490)은 도펀트(dopant)는 동일하게 하고 호스트(host)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나 외에 두 개의 호스트인 정공 호스트와 전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490)에 포함된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가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호스트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의 정공 이동도 (hole mobility)는 1×10-5㎠/Vs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발광층(EML)(115)에 생기는 여기자(Exciton)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의 여기자(Exciton) 생성을 더 빠르게 하여,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여기자(Exciton)를 상기 제1 발광층(EML)(114)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층(EML)(11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15)에서 생기는 여기자(Exciton)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여기자(Exciton) 분포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490)에 의해서 상기 제1 발광층(EML)(114)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층(EML)(11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15)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여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상기 제1 발광부(110) 내에서 열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부(11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 되므로, 상기 제1 발광부(11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이나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 또는 양부 발광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와 동일 또는 대응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백색 유기 발광 소자(600)는 는 제1 전극(102) 및 제2 전극(104)과, 제1 전극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제1 발광부(110), 제2 발광부(120)와 제3 발광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제1 발광층(EML)(124)은 청색(Blue)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3 발광부(130)의 제1 발광층(EML)(134)은 적색(Red) 발광층으로 구성하고, 제2 발광층(EML(135)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을 구성하고, 상기 제3 발광부(130)에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을 구성한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은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1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부(12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24)인 청색(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440㎚ 내지 4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부(130)의 상기 제1 발광층(EML(134)인 적색(Red)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발광층(EML)(135)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인 황색-녹색(Yellow-Green)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510㎚ 내지 580㎚ 범위가 될 수 있다.
상기 제3 발광부(130)의 제2 발광층(EML)(135)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은 도펀트(dopant)는 동일하게 하고 호스트(host)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호스트는 하나 외에 두 개의 호스트인 정공 호스트와 전하 호스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에 포함된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hole mobility)가 상기 제2 발광층(EML)(135)의 호스트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의 정공 이동도 (hole mobility)는 1×10-5㎠/Vs보다 빠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발광층(EML)(135)에 생기는 여기자(Exciton)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의 여기자(Exciton) 생성을 더 빠르게 하여, 상기 제2 발광층(EML)(135)의 여기자(Exciton)를 상기 제1 발광층(EML)(134)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에 의해 상기 제1 발광층(EML)(13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35)에서 생기는 여기자(Exciton)의 밀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 발광층(EML)(135)의 여기자(Exciton) 분포를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EACL)(590)에 의해서 상기 제1 발광층(EML)(134)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발광층(EML)(134)과 상기 제2 발광층(EML)(135)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여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을 개선하고, 상기 제3 발광부(130) 내에서 열화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 발광부(130)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 되므로, 상기 제3 발광부(130)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14)을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또한, 소자의 구성이나 특성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110)의 제1 발광층(EML)(124)을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적색-청색(Red-Blue) 발광층의 발광 영역의 피크 파장(peak wavelength)은 600㎚ 내지 650㎚ 범위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하부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부 발광(Top Emission) 방식이나 양부 발광 방식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발광부 내에 두 개의 발광층들을 구성할 경우, 발광 영역 조절층에 의해 두 개의 발광층들의 발광 영역을 멀어지게 하므로 두 개의 발광층들 사이에서 생기는 발광 영역의 뭉침 현상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하게 함으로써 발광 영역이 증가하고, 원하는 파장 영역에서 발광 세기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 영역이 고르게 분포되므로, 상기 발광부 내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키고, 수명 증가를 유도하여 소자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중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과 황색-녹색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에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은 황색-녹색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과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를 구성하는 황색-녹색 발광층의 도펀트는 동일하고,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는 상기 제1 발광부 또는 상기 제2 발광부를 구성하는 황색-녹색 발광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보다 빠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가 제2 발광부인 경우, 상기 제1 발광부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 중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과 황색-녹색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에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은 황색-녹색 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과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 발광부 또는 상기 제3 발광부를 구성하는 황색-녹색 발광층의 도펀트는 동일하고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영역 조절층의 정공 이동도는 상기 제1 발광부, 상기 제2발광부 또는 상기 제3 발광부를 구성하는 황색-녹색 발광층의 정공 이동도보다 빠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부가 제2 발광부인 경우,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3 발광부 중 하나는 청색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01: 기판 102: 제1 전극
104: 제2 전극 110: 제1 발광부
120: 제2 발광부 130: 제3 발광부
140: 제1 전하 생성층 150: 제2 전하 생성층
112: 제1 정공 수송층 122: 제2 정공 수송층
132: 제3 정공 수송층 116: 제1 전자 수송층
126: 제2 전자 수송층 136: 제3 전자 수송층
114: 제1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15: 제2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24: 제2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25: 제2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34: 제3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35: 제3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90, 290, 390, 490, 590: 발광 영역 조절층
101: 기판 102: 제1 전극
104: 제2 전극 110: 제1 발광부
120: 제2 발광부 130: 제3 발광부
140: 제1 전하 생성층 150: 제2 전하 생성층
112: 제1 정공 수송층 122: 제2 정공 수송층
132: 제3 정공 수송층 116: 제1 전자 수송층
126: 제2 전자 수송층 136: 제3 전자 수송층
114: 제1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15: 제2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24: 제2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25: 제2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34: 제3 발광부의 제1 발광층
135: 제3 발광부의 제2 발광층
190, 290, 390, 490, 590: 발광 영역 조절층
Claims (27)
-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있으며, 제1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 위에 있는 제 2 발광층, 상기 제2 발광층 위에 있으며 상기 제2 발광층과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제3 발광층 및 제4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사이에 있는 전하생성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동일한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510nm 내지 580nm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황색-녹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과 상기 제4 발광층의 도펀트는 동일하고,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발광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는 상기 제3 발광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보다 빠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3 발광층보다 상기 제1 발광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제1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1 발광층 위에 있는 제1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제2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4 발광층 위에 있는 제2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 위에 있으며, 제1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제5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3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와 상기 제3 발광부 사이에 있는 제2 전하 생성층을 더 포함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부는 제3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5 발광층 위에 있는 제3 전자
수송층을 더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발광층은 상기 제3 발광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있으며, 제1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상기 제1 발광부 위에 있는 제2 발광층, 상기 제2 발광층 위에 있으며 상기 제2 발광층과 다른 색을 발광하는 제3 발광층 및 제4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제2 발광부 위에 있으며, 상기 제1 발광층과 동일한 색을 발광하는 제5 발광층을 포함하는 제3 발광부를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층 및 상기 제5 발광층은 청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적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동일한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510nm 내지 580nm의 피크 파장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 및 상기 제4 발광층은 황색-녹색 발광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층과 상기 제4 발광층의 도펀트는 동일하고, 호스트는 다르게 구성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발광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는 상기 제3 발광층의 호스트의 정공 이동도보다 빠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층은 상기 제3 발광층보다 상기 제1 발광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발광층은 상기 제3 발광층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 사이에 있는 제1 전하 생성층; 및
상기 제2 발광부와 상기 제3 발광부 사이에 있는 제2 전하 생성층을 더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제1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1 발광층 위에 있는 제1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제2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4 발광층 위에 있는 제2 전자수송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발광부는 제3 정공수송층 및 상기 제5 발광층 위에 있는 제3 전자수송층을 포함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08261A KR102595242B1 (ko) | 2021-03-16 | 2023-01-19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4055A KR102369068B1 (ko) | 2020-10-06 | 2021-03-16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KR1020220024225A KR102492274B1 (ko) | 2021-03-16 | 2022-02-24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KR1020230008261A KR102595242B1 (ko) | 2021-03-16 | 2023-01-19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4225A Division KR102492274B1 (ko) | 2021-03-16 | 2022-02-24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6245A true KR20230016245A (ko) | 2023-02-01 |
KR102595242B1 KR102595242B1 (ko) | 2023-10-26 |
Family
ID=808164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4225A KR102492274B1 (ko) | 2021-03-16 | 2022-02-24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KR1020230008261A KR102595242B1 (ko) | 2021-03-16 | 2023-01-19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4225A KR102492274B1 (ko) | 2021-03-16 | 2022-02-24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9227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6980A (ja) * | 2001-07-25 | 2003-02-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有機電界発光素子 |
KR20070053472A (ko) | 2005-11-21 | 2007-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20108897A (ko) * | 2011-03-23 | 2012-10-05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
KR20130070771A (ko) * | 2011-12-20 | 2013-06-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소자 |
KR20140034686A (ko) * | 2012-09-12 | 2014-03-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20150311462A1 (en) * | 2014-04-25 | 2015-10-29 | Lg Display Co., Ltd. |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2022
- 2022-02-24 KR KR1020220024225A patent/KR10249227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1-19 KR KR1020230008261A patent/KR1025952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36980A (ja) * | 2001-07-25 | 2003-02-0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有機電界発光素子 |
KR20070053472A (ko) | 2005-11-21 | 2007-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표시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120108897A (ko) * | 2011-03-23 | 2012-10-05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표시 장치 및 조명 장치 |
KR20130070771A (ko) * | 2011-12-20 | 2013-06-2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발광소자 |
KR20140034686A (ko) * | 2012-09-12 | 2014-03-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20150311462A1 (en) * | 2014-04-25 | 2015-10-29 | Lg Display Co., Ltd. |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5242B1 (ko) | 2023-10-26 |
KR102492274B1 (ko) | 2023-01-26 |
KR20220030239A (ko) | 2022-03-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5234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126544B1 (ko)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
KR102104978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81123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089329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CN111403438B (zh) | 有机发光装置 | |
KR102149685B1 (ko) | 유기 발광 소자 | |
KR20230152630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20150146290A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498648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102574241B1 (ko) |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490381B1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적층구조물 | |
CN111902956A (zh) | 发光装置以及显示装置 | |
KR102089331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492274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369068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230940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081122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KR102279513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133407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TW201316583A (zh) | 白光有機發光二極體構造 | |
KR102272053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102214339B1 (ko)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
KR20080059777A (ko) |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