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30004869A - 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 Google Patents

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4869A
KR20230004869A KR1020227042596A KR20227042596A KR20230004869A KR 20230004869 A KR20230004869 A KR 20230004869A KR 1020227042596 A KR1020227042596 A KR 1020227042596A KR 20227042596 A KR20227042596 A KR 20227042596A KR 20230004869 A KR20230004869 A KR 20230004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way
vehicle
crossover
access unit
crossov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2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셉 수터
게르노트 일그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04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48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6Safety devices or measures against cable fr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삭도(2)의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에 대한 보다 용이한 접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삭도 차량에서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으로 사람의 크로스오버를 위한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 제공되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와,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도록 의도된 전개 위치 사이에서 삭도 차량(7)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전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14)에 체결 섹션(15)이 제공된다.In order to enable easier access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of the cableway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on's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from the cableway vehicle A crossover device 14 for crossover is provided on the cableway vehicle 7, and the crossover device 14 is intended to perform crossover with a storage location where the crossover device 14 is stored in the cableway vehicle. displaceable relative to the cableway vehicle 7 between the deployed positions, and in the deployed position to releasably couple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the crossover device ( 14)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section 15.

Figure P1020227042596
Figure P1020227042596

Description

크로스오버 장치를 갖는 삭도 차량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본 발명은 삭도용 삭도 차량, 삭도, 및 삭도의 삭도 차량으로부터 삭도의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으로 사람의 크로스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way vehicle, a cableway, and a method for performing a person crossover from a cableway vehicle of a cableway to an access unit of a cableway support of a cableway.

삭도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되며, 예를 들어 도시 수송 수단 또는 스키장에서 사람들을 수송하는 것과 같이 주로 사람 및/또는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것이다. 푸니쿨라(funicular)는 대부분 레일에 묶인 차량이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지게 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에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동은 주로 산악 루트에서 사용되는 푸니쿨라로 지상에서 이루어진다. 반면 공중 삭도의 경우, 곤돌라, 카 또는 의자와 같은 삭도 차량은 고정된 가이드없이 하나 이상의 (와이어) 케이블에 의해 운반되며, 공중에 매달린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삭도 차량은 지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공중 삭도는 일반적으로 계곡에서 산 위로 사람들을 수송하기 위해 거친 지형, 예를 들어 스키장과 같은 산악 루트에 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삭도에는 삭도 차량이 이동하는 2개의 스테이션이 있다.Cableways come in a variety of designs and are primarily intended for transporting people and/or goods, eg for transporting people on urban transport or on ski slopes. It is known that funiculars are mostly fastened to wire cables to allow vehicles tied to rails to be pulled by the wire cables. Transfers are made on the ground by funiculars, which are mainly used on mountain route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aerial cableway, a cableway vehicle such as a gondola, car or chair is carried by one or more (wire) cables without a fixed guide and moves while suspended in the air. Thus, the cableway vehicle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erial cableways are commonly used on rough terrain, eg on mountain routes such as ski slopes, to transport people from valleys to mountains. Generally, a cableway has two stations along which the cableway vehicle travels.

순환식 삭도와 공중 삭도를 구분해야 한다. 공중 삭도의 경우, 견인 케이블에 의해 견인되는 1대 또는 2대의 삭도 차량이 2개의 스테이션 사이의 궤적에서 컨베이어 케이블을 앞뒤로 이동한다. 반면에 순환식 삭도는 스테이션 사이를 지속적으로 순환하고 그리고 곤돌라, 카 또는 의자와 같은 복수의 삭도 차량이 매달려 있는 연속적인 컨베이어 케이블을 갖고 있다. 삭도 차량은 한쪽에서 하나의 스테이션에서 다른 스테이션으로 이동하고 반대쪽에서 다시 돌아온다. 따라서, 삭도 차량의 움직임은 본질적으로 한 방향으로 항상 연속적이며, 연속 컨베이어의 움직임과 유사하다.A distinction must be made between circular ropeways and aerial ropeways. In the case of an aerial cableway, one or two cableway cars, towed by a traction cable, move the conveyor cable back and forth on a trajectory between two stations. A circular cableway, on the other hand, has a continuous conveyor cable that continuously circulates between stations and to which a plurality of cableway vehicles such as gondolas, cars or chairs are suspended. A ropeway vehicle travel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on one side and back again on the other side. Thus, the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is essentially always continuous in one direction, similar to the movement of a continuous conveyor.

더 먼 거리를 연결할 수 있도록, (운반/견인) 케이블(들)을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삭도 지지대가 일반적으로 2개의 스테이션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소위 롤러 세트 형태의 복수의 롤러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운반 및 안내하기 위해 삭도 지지대에 배열된다. 삭도 지지대, 특히 롤러에서 유지보수 및 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삭도 지지대에 액세스 유닛이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액세스 유닛은 예를 들어 (유지보수) 플랫폼 및/또는 계단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고, 유지보수 담당자가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난간과 같은 안전 장치는 유지보수 담당자의 안전을 높일 수 있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be able to bridge longer distances, one or more cableway supports for guiding the (transport/tow) cable(s) are usually placed between the two stations. A plurality of rollers, for example in the form of so-called roller sets, are usually arranged on the cableway supports for conveying and guiding the cables. In order to be able to carry out maintenance and repairs on the cableway supports, in particular the rollers, an access unit is often provided on the cableway supports. Such an access unit can be design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maintenance) platform and/or a staircase, accessible by maintenance personnel. In addition, safety devices, such as handrails for example, may also be provided to increase the safety of maintenance personnel.

용도와 지형에 따라, 삭도 지지대는 몇 미터에서 150 미터 이상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지상에서 사다리를 통해서만 삭도 지지대용 액세스 유닛에 진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종 지나갈 수 없는 지형으로 인해, 특히 때때로 삭도 지지대의 높이가 높기 때문에, 이러한 진입은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errain, cableway supports can have heights ranging from a few meters to over 150 meters. Until now, it was only possible to access the access unit for the cableway support from the ground via a ladder. However, due to the often impassable terrain, and in particular the sometimes high height of the cableway supports, this entry is very difficult and time consuming.

유지보수 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제 US 2012/0240812 A1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카는, 서스펜션 로드에 배치되고 그리고 고정된 사다리를 통해 카에서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갖는다. 따라서,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으로의 크로스오버는 불가능하다.Maintenance cars are known in the prior art, as disclosed for example in US Patent Publication No. US 2012/0240812 A1. The car has a platform that is placed on the suspension rods and accessible from the car via a fixed ladder. Therefore, crossover of the cableway support to the access unit is impossible.

유럽 특허 공개 제 EP 2 810 842 A1 호는 서스펜션 기어에 체결될 수 있고 그리고 곤돌라 또는 의자와 같은 종래의 삭도 차량에 장착될 수 있는 사다리 및 플랫폼을 갖는 등반 보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으로의 크로스오버가 불가능하다.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EP 2 810 842 A1 discloses a climbing aid having a ladder and a platform which can be fastened to suspension gear and which can be mounted on conventional cableway vehicles such as gondolas or chairs. Even in this case, crossover of the cableway support to the access unit is impossible.

대피용 사다리는 예를 들어 중국 실용신안등록 제 CN 207241689 U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리프트의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카는 지붕에 오르기 위해 제 1 대피용 사다리를 통해 지붕 해치를 통해 나갈 수 있다. 루프 해치는 관절 방식으로 지붕에 연결되며, 동시에 제 2 대피용 사다리 역할을 한다. 해치를 통해 아래에서 대피용 플랫폼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루프 해치를 대피용 플랫폼에 부착할 수 있다. 매달린 리프트의 카는 상대적으로 크고 무겁고, 일반적으로 평행 레일 상에서 바퀴로 주행한다. 이러한 이유로, 카는 작동 중에 진동에 전혀 노출되지 않거나 매우 낮은 진동에만 노출된다. 반면에 삭도 차량이 가요성 운반 케이블로 이동하는 삭도의 경우, 스윙 움직임이 자주 발생하며 이는 예를 들어 바람의 힘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실용신안등록 제 CN 207241689 U 호의 대피용 시스템은 대피용 사다리가 매우 쉽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삭도의 삭도 차량으로부터 삭도의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까지 사람의 크로스오버에는 적합하지 않다.Evacuation ladders are known in the field of suspension lifts, as disclosed for example in Chi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CN 207241689 U. In this case, the car can go out through the roof hatch through the first evacuation ladder to climb the roof. The roof hatch is connected to the roof in a articulated manner,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second evacuation ladder. A roof hatch can be attached to the evacuation platform so that it can be climbed onto the evacuation platform from below through the hatch. The cars of suspended lifts are relatively large and heavy and generally run on wheels on parallel rails. For this reason, the car is not exposed to vibrations at all or only to very low vibrations dur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ableway where the cableway vehicle travels on a flexible carrying cable, a swinging movement often occurs, which can be amplified, for example, by wind forces. Therefore, the evacuation system of Chi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CN 207241689 U is not suitable for human crossover from the cableway vehicle to the access unit of the cableway support because the evacuation ladder can be separated very easil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 카의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으로의 보다 용이한 진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n easier entry into the access unit of the ropeway support of the cable ca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삭도 차량에서 삭도의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으로 사람의 크로스오버를 위한 크로스오버 장치가 삭도 차량에 제공되며, 크로스오버 장치는 크로스오버 장치가 삭도 차량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와,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도록 의도된 전개 위치 사이에서 삭도 차량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전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를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에 체결 섹션이 제공되는 것에 의해 성취된다. 이를 통해 삭도 차량에서 액세스 유닛에 직접 접근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사다리를 이용하는 것보다 유지보수 담당자가 훨씬 덜 힘들고 시간이 덜 걸린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is to provide a crossover device for human crossover from a cableway vehicle to an access unit of a cableway support of a cableway in a cableway vehicle, wherein the crossover device is stored in the cableway vehicle displaceable relative to the cableway vehicle between a stowed position and a deployed position intended to perform the crossover, and when in the deployed position engage the crossover device to releasably couple the crossover device to the access unit of the cableway support.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 section. This allows direct access to the access unit from the cableway vehicle and is much less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for maintenance personnel than using a ladder from ground level.

보관 위치에서 체결 섹션에 의해 크로스오버 장치를 삭도 차량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삭도 차량에 차량 장착 홀딩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는 이동 동안에 삭도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ableway vehicle is provided with a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to the cableway vehicle by way of the fastening section in the stowed position. As a result, the crossover device can be secured to the cableway vehicle during movement.

삭도 차량은 바람직하게 유지보수 차량으로서 설계되고, 사람을 위한 액세스 플랫폼이 삭도 차량의 상부 영역에 제공되고, 차량 장착 홀딩 장치가 액세스 플랫폼에 배치된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는 액세스 플랫폼에 도달하기 위해 보관 위치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The cableway vehicle is preferably designed as a maintenance vehicle, an access platform for people is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cableway vehicle, and a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is arranged on the access platform. As a result, the crossover device can also be used in the storage location to reach the access platform.

크로스오버 장치를 전개 위치에서 액세스 유닛에 및/또는 보관 위치에서 삭도 차량, 특히 차량 장착 홀딩 장치에 로크시키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의 체결 섹션에 로킹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로킹 유닛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를 가지며, 여기서 로킹 요소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예압 요소에 의해 예압된다. 로킹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크로스오버 장치가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으로 분리될 위험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전성이 증가될 수 있다.A locking unit may be provided in the fastening section of the crossover device to lock the crossover device to the access unit in the deployed position and/or to the cableway vehicle, in particular to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in the stowed position. The locking unit preferably has at least one locking element, wherein the locking element is preferably preloaded by at least one preloading element. By providing a locking unit, the risk of the crossover device being detached in an undesirable manner can be reduced, thereby increasing safety.

크로스오버 동안 더 나은 홀드를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는 바람직하게 사람이 밟거나 또는 붙잡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계단 요소 및/또는 홀딩 요소를 갖는다.For better holding during the crossover, the crossover device preferably has at least one step element and/or holding element that can be stepped on or grabbed by a person.

액세스 유닛과 삭도 차량 사이의 가변 거리에 크로스오버 장치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의 길이가 가변적이면 유리할 수 있다.It may be advantageous if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is variable in order to fit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to the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access unit and the cableway vehicle.

크로스오버 장치는 단일 피스로 설계될 수 있거나, 크로스오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가 체결되는 크로스오버 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체결 섹션은 체결 요소에 제공된다. 크로스오버 유닛은 사다리, 바람직하게 신축식 사다리로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중 부품 설계의 결과로서, 필요한 경우 손상 시 구성요소를 교체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길이의 크로스오버 유닛이 사용될 수 있다.The crossover device can be designed as a single piece, or the crossover device can have a crossover unit to which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is fastened, and the fastening section is provided on the fastening element. The crossover unit may advantageously be designed as a ladder, preferably a telescoping ladder. As a result of the multi-part design, components can be replaced in case of damage if necessary; Alternatively, crossover units of different lengths may be used.

크로스오버 장치의 상태에 의존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및 센서에 의해 획득한 센서 신호에 의존하는 바람직하게 음향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람 유닛이 또한 삭도 차량에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가 액세스 유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삭도 차량이 이동하면 알람이 발생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At least one sensor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and at least one alarm unit for generating, preferably an acoustic alarm, depending on the sensor signal obtained by the sensor may also be provided on the roadway vehicle. can As a result, when the cableway vehicle moves while the crossover device is coupled to the access unit, an alarm is generated, thereby increasing work safety.

바람직하게, 크로스오버 장치는 액세스 유닛 상의 결합된 상태에서 전개 위치에 있어서 크로스오버 장치와 삭도 차량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로서 삭도 차량의 모든 스윙 움직임을 보상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rossover device is designed to permit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and the cableway vehicle in the deployed position in the engaged state on the access unit. As a result, all swing movements of the cableway vehicle can be compensated.

상기 목적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삭도 및 청구항 1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추가로 달성된다.This object is further achieved by the ropeway according to claim 12 and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이하, 본 발명은 예로서 본 발명의 개략적이고 비제한적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 상의 결합된 상태의 크로스오버 장치를 갖는 삭도 차량을 도시한다.
도 2는 보관 장치에 있는 크로스오버 장치를 갖는 삭도 차량을 도시한다.
도 3은 삭도 지지대의 액세스 유닛 상의 결합된 상태의 크로스오버 장치의 상부 영역의 상세도이다.
Hereinafter,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which show, by way of example, schematic and non-limiting advantage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1 shows a cableway vehicle with a crossover device in an engaged state on an access unit on a cableway support.
Figure 2 shows a cableway vehicle with a crossover device in a storage device.
Figure 3 is a detailed view of the upper region of the crossover device in an engaged state on the access unit of the cableway support.

도 1은 롤러 세트(3) 및 액세스 유닛(4)을 갖는 삭도(2)의 삭도 지지대(1)를 도시한다. 이러한 삭도(2)의 구조는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이 여기서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구성요소만을 설명하는 이유이다. 롤러 세트(3)는 삭도(2)의 컨베이어 케이블(6)이 안내되는 다수의 롤러(5)가 연달아 배열되어 있다. 롤러 세트(3)는 지상의 삭도 지지대(1)를 통해 컨베이어 케이블(6) 및 특히 그 위에 배치된 삭도 차량(7) 상의 부하를 지지하기 위해 삭도 지지대(1)에 부착된다. 다수의 삭도 차량(7)은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케이블(6)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매달려 있다. 스테이션에서 컨베이어 케이블(6)로부터 삭도 차량(7)의 분리를 허용하기 위해서, 삭도 차량(7)은 예를 들어 해제 가능한 클램핑 메커니즘(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케이블(6)에 체결될 수 있다.1 shows a cableway support 1 of a cableway 2 with a set of rollers 3 and an access unit 4 . The structure of this cableway 2 is known in principle, which is why only essential components for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here. In the roller set 3, a plurality of rollers 5 along which the conveyor cable 6 of the cableway 2 is guided are arranged in succession. A roller set (3) is attached to the cableway support (1) to support the load on the conveyor cable (6) and in particular the cableway vehicle (7) disposed thereon via the cableway support (1) on the ground. A plurality of cableway vehicles 7 are generally suspended from a conveyor cable 6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In order to allow the separation of the cableway vehicle 7 from the conveyor cable 6 at the station, the cableway vehicle 7 can be fastened to the conveyor cable 6 as shown, for example by means of a releasable clamping mechanism 8. can

예를 들어, 사람들이 더 쉽게 출입할 수 있도록 스테이션을 통해 주행하는 동안 속도를 줄이기 위해 분리가 이뤄질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적절한 차고에 삭도 차량을 운영 시간 외에 주차하기 위해 삭도가 폐쇄된 후에 또한 분리가 이뤄질 수 있다. 물론, 삭도 차량(7)과 컨베이어 케이블(6)의 분리 불가능한 연결도 가능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삭도 차량(7)은 삭도(2)의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유지보수 차량으로 설계된다. 유지보수 차량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방 캐빈을 구비하여, 유지보수 차량은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사람이 내릴 수 있다. 유지보수 차량의 캐빈은 예를 들어 베이스가 폐쇄되고 그리고 부분 폐쇄된 측면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separations may be made to reduce speed while driving through stations to allow people to enter and exit more easily. However, the separation may also take place after the cableway is closed, for example to park the cableway vehicle outside operating hours in a suitable garage. Of course, a non-separable connection of the cableway vehicle 7 and the conveyor cable 6 would also be possib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ableway vehicle 7 is designed as a maintenance vehicle used for maintenance of the cableway 2 . The maintenance vehicle generally has an at least partially open cabin, so that the maintenance vehicle can be disembarked by persons to perform maintenance. The cabin of the maintenance vehicle may for example have a metal frame with a closed base and with partially closed sides.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은 이 경우에 복수의 계단(11)을 갖는 층계로 설계되고, 예를 들어 롤러 세트(3) 또는 삭도 지지대(1)의 다른 부품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로 인해 일반적으로 롤러 세트(3)는 일반적으로 삭도 지지대(1)를 향하는 내부 측면의 한 측면에서만 액세스 유닛(4)에서 접근할 수 있다. 롤러 세트(3)의 반대 외부 측면은 액세스 유닛(4)에서 접근할 수 없거나, 또는 어려움을 겪어야만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보수 차량은 또한 유지보수 차량의 상부 영역에 배열된 검사 플랫폼(10)을 갖는다. 검사 플랫폼(10)은 일반적으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는 사다리(9)를 통해 캐빈에서 접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람은 예를 들어 롤러 세트(3)의 외부 측면에서 특정 유지보수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다리(9)를 통해 캐빈에서 검사 플랫폼(10)으로 올라갈 수 있다.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is designed in this case as a stair with a plurality of stairs 11, for example maintenance work on the roller set 3 or other parts of the cableway support 1 can be used to do However, due to the design, the roller set (3) is generally only accessible from the access unit (4) on one side of the inner side facing the cableway support (1). The opposite outer side of the roller set 3 is not accessible from the access unit 4 or can only be reached with difficulty. Thu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intenance vehicle also has an inspection platform 10 arranged in an upper area of the maintenance vehicle. The inspection platform 10 is generally accessible from the cabin via a ladder 9 that is fixed in place. As a result, a person can climb from the cabin to the inspection platform 10 via a ladder 9 , for example to perform certain maintenance activities on the outer side of the roller set 3 .

액세스 유닛(4)은 롤러 세트(3) 및/또는 삭도 지지대(1) 자체에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세스 유닛(4)을 사용할 때 사람의 안전을 증가시키기 위해 계단(11)에 난간(12)이 추가로 제공된다. 물론, 이것은 단지 예일 뿐이며, 액세스 유닛(4)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난간(12)이 있거나 없는 단지 하나의 플랫폼을 가질 수 있다. 삭도 지지대(1)가 프레임워크 구성으로 설계되는 경우, 액세스 유닛(4)은 예를 들어 직접 삭도 지지대(1)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The access unit 4 may be fastened to the roller set 3 and/or to the cableway support 1 itself.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handrail 12 is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stairs 11 to increase the safety of persons when using the access unit 4 . Of course, this is just an example, and the access unit 4 could be configured in any other way, for example just one platform with or without a handrail 12 . If the cableway support 1 is designed in a framework configuration, the access unit 4 may be part of the cableway support 1 directly, for example.

유지보수 사다리(13)는 삭도 지지대(1)에 개략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사람, 특히 유지보수 담당자는 이러한 사다리를 통해 지상에서 액세스 유닛(4)으로 올라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유지보수 사다리(13)는 사람들이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추가 안전 요소, 예를 들어 케이지 유형을 가질 수도 있다. 지금까지 액세스 유닛(4)으로의 진입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유지보수 사다리(13)를 통해서만 이루어졌다. 유지보수 사다리(13)를 통한 진입은 특히 매우 높은 케이블 지지대(1)의 경우에 매우 힘들고 시간 소모적이라는 것을 즉시 알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파르고 바위가 많은 지형과 같이 통과할 수 없는 곳에 삭도 지지대(1)가 종종 배치되어 지상에서 삭도 지지대(1)에 도달하는 것조차 매우 어려운 추가적인 어려움이 있다. 또한, 유지보수용 사다리(13)를 사용할 때, 공구 등의 짐에 대하여 사람이 제약을 받는다.A maintenance ladder 13 is schematically marked on the cableway support 1, and a person, especially a maintenance person, can climb to the access unit 4 from the ground through this ladder. Of course, this maintenance ladder 13 could also have additional safety elements, for example a type of cage, to prevent people from falling over. Hitherto access to the access unit 4 has been essentially only via this maintenance ladder 13 . It can be immediately seen that access via the maintenance ladder 13 is very laborious and time consum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very tall cable supports 1 . In addition, there is an additional difficulty that the cableway supports 1 are often placed in impassable places, such as steep and rocky terrain for example, so that even reaching the cableway supports 1 from the ground is very difficult. In addition, when using the ladder 13 for maintenance, a person is restricted with respect to the load of tools and the like.

액세스 유닛(4)에 대한 사람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삭도 차량(7)으로부터 삭도(2)의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으로의 사람들의 크로스오버를 위한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 제공된다. 크로스오버 장치(14)는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 보관되는 보관 위치(도 2)와 크로스오버를 밖으로 운반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 1에 도시된 전개 위치 사이에서 삭도 차량(7)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체결 섹션(15)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전개 위치에서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14)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적절한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는 액세스 유닛(4)에 또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절한 방식으로 체결 섹션(15)에 대응한다. 체결 섹션(15)은 바람직하게 가능한 한 안정적이고 본질적으로 적어도 한 측면에서 포지티브-로킹(positive-locking)인 액세스 유닛(4)에 대한 연결이 달성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를 위해, 체결 섹션(15)은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액세스 유닛(4)의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용 개구부(20)를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people's access to the access unit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over of people from the cableway vehicle 7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of the cableway 2 is provided. A crossover device 14 for this is provided on the cableway vehicle 7. The crossover device 14 is provided between a stowed position in which the crossover device 14 is stored in the cableway vehicle 7 (FIG. 2) and a deployment position shown in FIG. 1 provided for transporting the crossover out of the cableway vehicle ( 7) is displaceable for A fastening section 15 is provided on the crossover device 14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in the deployed position. For this purpose, a suitable support-mounted holding device 16 is preferably also provided on the access unit 4 and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section 15 in an appropriate manner. The fastening section 15 is preferably designed in such a way that a connection to the access unit 4 that is as stable as possible and essentially positive-locking on at least one side can be achieved. To this end, the fastening section 15 can have at least one receiving opening 20 eg for receiving a section of the access unit 4 a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유리한 방식으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또한,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 사이의 특정한 상대 이동이 결합된 상태에서 액세스 유닛(4) 상의 전개 위치에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삭도 차량(7)의 스윙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액세스 유닛(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삭도 차량(7)의 진동으로 인해 액세스 유닛(4)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설계의 결과, 삭도 차량(7)의 진동 또는 스윙 움직임은 종종 삭도(2)의 작동 중에 발생한다. 측방향 스윙은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이 컨베이어 케이블(6)에 매달려 있고 그리고 컨베이어 케이블(6)은 기본적으로 회전축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로부터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이동 방향에서, 제동 및 가속 프로세스는 전방 및 후방 스윙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윙 움직임에서 특정 정도의 자유도를 허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의 서스펜션 기어 상에,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이 컨베이어 케이블(6)에 고정식으로 또는 해제 가능하게 체결되는 케이블 클램프에 하나 이상의 피봇 조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삭도 차량(7)의 비교적 낮은 질량으로 인해,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에 작용하는 바람의 힘 및/또는 삭도 차량(7)에 있는 사람의 중량 변위에 의해 야기되는 진동이 상대적으로 쉽게 여기되거나 증폭될 수 있다.In an advantageous manner, the crossover device 14 is also designed such that a specific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way vehicle 7 is possible in a deployed position on the access unit 4 in a combined state. As a result, the crossover device 14 remains coupled to the access unit 4 even when there is a swing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7, and the vibration of the cableway vehicle 7 causes the access unit 4 to It can be guaranteed not to separate. As a result of the design, vibration or swing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7 often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cableway 2 . The lateral swing arises, for example, from the fact that the cableway vehicle 7 is suspended on a conveyor cable 6 and the conveyor cable 6 basically serves as a pivot. In the direction of travel, for example, the braking and accelerating process can create forward and backward swings. It is also desirable to allow a certain degree of freedom in the swing movement. To make this possible, one or more pivotal joints are provided, for example on the suspension gear of the cableway vehicle 7, for example in a cable clamp to which the cableway vehicle 7 is fixedly or releasably fastened to the conveyor cable 6. may be provided. Due to the relatively low mass of the cableway vehicle 7, vibrations caused by, for example, wind force acting on the cableway vehicle 7 and/or weight displacement of a person on the cableway vehicle 7 are relatively easy to excite. or can be amplified.

이를 위해, 삭도 차량(7)은 액세스 유닛(4)에 충분히 근접한 크로스오버 위치로 이동되고, 정지된다. 다음에, 삭도 차량(7)에 위치한 사람은 수동으로 크로스오버 장치(14)를 보관 위치로부터 전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고,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체결 섹션(15)을 액세스 유닛(4), 특히 그 위에 배치된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에 해제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 후, 사람은 예를 들어 롤러 세트(3)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삭도 차량(7)에서 액세스 유닛(4)으로 크로스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은 삭도 차량(7)에 있는 사람들의 움직임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은 특정 진동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액세스 유닛(4)에 결합된 상태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 사이에 특정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면 유리하다. 그러나, 최대 허용 상대 이동은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너무 커서는 안된다. 상대 이동의 자유도는 예를 들어 스톱(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을 연결하는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한된다. 작업 종료 시, 사람은 액세스 유닛(4)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삭도 차량(7)으로 돌아갈 수 있다. 다음에,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액세스 유닛(4)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고, 전개 위치로부터 보관 위치로 다시 이동될 수 있고, 삭도 차량(7)은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다음 삭도 지지대(1)로 다시 이동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ableway vehicle 7 is moved to a crossover position sufficiently close to the access unit 4 and stopped. Next, a person located on the cableway vehicle 7 can manually displace the crossover device 14 from the stowed position to the deployed position, and the fastening section 15 of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 in particular, can be releasably coupled to the support mounting holding device 16 disposed thereon. After coupling, a person can cross over from the cableway vehicle 7 to the access unit 4 via the crossover device 14, for example to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roller set 3. With the crossover device 14 while coupled to the access unit 4, for example, since the cableway vehicle 7 is subject to certain vibrations as described by the movement of people in the cableway vehicle 7. It is advantageous if certain relative movements between cableway vehicles 7 are possible. However, the maximum permissible relative movement should not be so great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does not completely disengage from the cableway vehicle 7 . The degree of freedom of relative movement is limited, for example, by a stop (not shown) and/or a cable (not shown) connecting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way vehicle 7. At the end of the work, the person can return to the cableway vehicle 7 from the access unit 4 via the crossover device 14 . Next, the crossover device 14 can be released from the access unit 4 and moved back from the deployed position to the stowed position, and the cableway vehicle 7 can be moved to perform maintenance work, for example next time. It can be moved back to the cableway support (1).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액세스 유닛(4)의 전개 위치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 특히 그 위에 제공된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를 로크시키기 위해 로킹 유닛(21)이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체결 섹션(15)에 제공되는 경우 유리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원하지 않는 해제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바람직하게 사람이 밟고 및/또는 붙잡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단 요소 및/또는 홀딩 요소(17)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홀딩 요소(17)가 물론 제공된다. 액세스 유닛(4)과 삭도 차량(7) 사이의 가변 거리에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길이를 맞추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액세스 유닛(4)의 영역의 크로스오버 위치에서 삭도 차량(7)의 포지셔닝이 매우 정확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없으며; 대신에,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길이는 문제의 거리에 쉽게 조정되고 맞춰지게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체결 섹션(15)이 제공되는 2개의 체결 요소(15a)가 배치되는 단부에 크로스오버 유닛(14a)을 갖는 다중 부품으로 설계된다. 크로스오버 유닛(14a)은 유리하게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사다리로서 설계될 수 있다. 길이를 맞추기 위해, 예를 들어 신축식 사다리가 크로스오버 유닛(14a)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To increase safety, a locking unit 21 is provided on the crossover device 14 to lock the crossover device 14 in the deployed position of the access unit 4, in particular the support mounted holding device 16 provided thereon. It may be advantageous if provided in the fastening section 15 . As a result, the crossover device 14 may be locked against unwanted release. The crossover device 14 preferably has at least one step element and/or holding element 17 for a person to step on and/or hold onto. Preferably, a plurality of holding elements 17 are of course provided. It may also be advantageous if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14 can be varied in order to fit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access unit 4 and the cableway vehicle 7 . As a result, the positioning of the cableway vehicle 7 in the crossover position in the area of the access unit 4 does not need to be made very precisely; Alternatively,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14 can be easily adjusted and tailored to the distance in question. In the embodiment shown, the crossover device 14 is designed as a multi-piece with a crossover unit 14a at the end of which two fastening elements 15a provided with fastening sections 15 are arranged. The crossover unit 14a can advantageously be designed as a ladder,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adjust the length, for example, a telescoping ladder may be provided as the crossover unit 14a.

삭도 차량(7)만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액세스 유닛(4)을 포함하는 컨베이어 케이블(6) 및 삭도 지지대(1)는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여기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삭도(2)의 작동을 위해, 즉 삭도 차량(7)의 이동 동안에,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바람직하게 도시된 보관 위치에 있고, 바람직하게 삭도 차량(7)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해제에 대해 고정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는 또한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체결 섹션(15)에 의해 보관 위치에 있는 삭도 차량(7)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삭도 차량(7)에 제공될 수 있다. 로킹 유닛(21)이 크로스오버 장치(14)에 제공되는 경우, 로킹 유닛(21)은 삭도 장치(7) 상의, 특히 그 위에 제공된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 상의 보관 위치에 있는 크로스오버 장치(14)를 로크시키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삭도 차량(7)의 이동 동안에 원하지 않는 해제에 대해 고정된다.Only the cableway vehicle 7 is shown in FIG. 2 ; Conveyor cable 6 and cableway support 1 with access unit 4 are not shown for clarity. The crossover device 14 is shown here in a stowed position where the crossover device 14 is stowed in the cableway vehicle 7 . For operation of the cableway 2, i.e. during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7, the crossover device 14 is preferably in the stowed position shown and is preferably secured against undesirable release from the cableway vehicle 7. do. For this purpose,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is also provided to the cableway vehicle 7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cableway vehicle 7 in a stowed position by way of the fastening section 15. can be provided. If the locking unit 21 is provided on the crossover device 14, the locking unit 21 is provided on the cableway device 7, in particular on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provided thereon. 14) can also be used to lock. As a result, the crossover device 14 is secured against unwanted release during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7 .

액세스 플랫폼(19)은 삭도 차량(7)의 상부 영역에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는 액세스 플랫폼(19)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는 액세스 플랫폼(19)에 체결되고 그리고 액세스 플랫폼(19)의 에지를 지나서 돌출하는 2개의 홀딩 요소(18a)를 갖는다. 2개의 홀딩 요소(18a)는 홀딩 로드(18b)에 연결된다. 도시된 보관 위치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체결 섹션(15)에 의해 홀딩 로드(18b) 위로 후크결합될 수 있다.An access platform 19 can advantageously be provid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bleway vehicle 7 . In this case,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is advantageously arranged on the access platform 19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is fastened to the access platform 19 and has two holding elements 18a projecting past the edge of the access platform 19 . The two holding elements 18a are connected to the holding rod 18b. In the stowed position shown, the crossover device 14 will be hooked over the holding rod 18b by the fastening section 15 to releasably couple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vehicle mounted holding device 18. can

보관 위치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의 캐빈에서 액세스 플랫폼(19)에 도달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경우, 첫번째 사람이 사다리(9)를 통해 검사 플랫폼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두번째 사람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액세스 플랫폼(19)까지 올라갈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플랫폼(19) 상의 두번째 사람은 롤러 세트(3)의 검사 동안에 플랫폼(10) 상의 첫번째 사람을 지원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액세스 플랫폼(19)과 홀딩 로드(18b) 사이에 대응 거리가 제공되며, 이 거리는 사람이 캐빈에서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액세스 플랫폼(19)으로 올라갈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In the stowed position, the crossover device 14 can also be used to reach the access platform 19 eg in the cabin of the cableway vehicle 7 . For example, in the case shown, a first person can climb up to the inspection platform via ladder 9 and a second person can climb up to access platform 19 via crossover device 14 . For example, a second person on the access platform 19 can assist the first person on the platform 10 during inspection of the roller set 3 . Of course, for this purpose a corresponding distance is provided between the access platform 19 and the holding rod 18b, which is large enough so that a person can climb from the cabin to the access platform 19 via the crossover device 14.

따라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사람이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으로 크로스오버하는 것 이외의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은 초기에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 근처의 크로스오버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첫번째 사람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액세스 유닛(4)으로 크로스오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두번째 사람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보관 위치로 다시 이동할 수 있다(첫번째 사람이 액세스 유닛(4)에 위치하는 동안). 다음에, 삭도 차량(7)은 삭도 차량(7)의 검사 플랫폼(10)이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에 대해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위치하는 위치로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번째 사람은 롤러 세트(3)의 외부 측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첫번째 사람은 롤러 세트(3)의 내부 측면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crossover device 14 can also be used for purposes other than for people to cross over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For example, the cableway vehicle 7 may initially be moved to a crossover position near the access unit 4 on the cableway support 1, and the first person may pass through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can crossover. The second person can then move the crossover device 14 back to the stowed position (while the first person is positioned on the access unit 4). Next, the cableway vehicle 7 can be moved further to a position where the inspection platform 10 of the cableway vehicle 7 is located across the direction of movement relative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 Thus, the second person can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outer side of the roller set 3, and the first person can perform maintenance work on the inner side of the roller set 3.

도 3은 액세스 유닛(4) 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개 위치에 있는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상부 영역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더 나온 개요를 위해, 나머지 구성요소(컨베이어 케이블(6), 삭도 차량(7), 삭도 지지대(1))는 도시되지 않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는 액세스 유닛(4)에 제공된다. 이 경우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는 액세스 유닛(4)의 최하단 계단(11)에 측방향으로 체결된 2개의 체결 브래킷(16a)을 갖는다. 또한 체결 브래킷(16a)은 물론 액세스 유닛(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를 기존 액세스 유닛(4)에 쉽게 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독립적인 조립체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체결 브래킷(16a)은 연결 로드(16b)에 연결되며,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체결 섹션(15)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액세스 유닛(1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당해 연결 로드(16b) 상에 배치된다.FIG. 3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upper region of the crossover device 14 in the deployed position in the coupled state on the access unit 4 . For further overview, the remaining components (conveyor cable 6, cableway vehicle 7, cableway support 1) are not show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support-mounted holding device 16 is provided on the access unit 4 . In this case, the support mounting holding device 16 has two fastening brackets 16a fastened laterally to the lowest step 11 of the access unit 4 . Also, the fastening bracket 16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ccess unit 4 as well. However, in order to allow easy retrofitting of the support-mounted holding device 16 into an existing access unit 4, it is advantageously designed as an independent assembly. The fastening bracket 16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16b, and the fastening section 15 of the crossover device 14 releasably couples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14 with the connecting rod. It is placed on (16b).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의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사다리로 설계된 크로스오버 유닛(14a)과, 사다리의 상부 단부에 측방향으로 각각 체결되는 2개의 개별 체결 요소(15a)를 포함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체결 섹션(15)은 2개의 체결 요소(15a)에 형성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종래의 시중에서 입수 가능한 사다리가 크로스오버 유닛(14a)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사다리는 바람직하게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경량의 내후성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물론,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일체형 체결 섹션(15)을 갖는 단일 피스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사다리, 및 체결 섹션(15)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별 체결 요소(15a)의 사용은 예를 들어 사다리가 손상된 경우 사다리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및/또는 상이한 길이의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As explained, the crossover device 14 in this case comprises a crossover unit 14a designed as a ladder and two separate fastening elements 15a each fastening laterally to the upper end of the ladder. Accordingly, the fastening section 15 of the crossover device 14 is formed on the two fastening elements 15a. As a result, for example, a conventional commercially available ladder can be used as the crossover unit 14a, and the ladder is preferably made of a lightweight weather-resistant material having sufficient strength, such as aluminum. Of course, the crossover device 14 can also be formed in a single piece with an integral fastening section 15 . However, the use of a ladder and at least one separate fastening element 15a from which the fastening section 15 is formed allows for easy replacement of the ladder and/or the possibility of using ladders of different lengths, for example if the ladder is damaged. It has advantages.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체결 요소(15a)는 각각 하방으로 개방된 수용 개구부(20)를 가지며, 이에 의해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전개 위치에서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의 연결 로드(16b) 위에(그리고 유사하게 보관 위치에서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 위에) 후크연결될 수 있다. 수용 개구부(20)는 연결 로드(16b)가 체결 요소(15a)에 의해 U자의 형상으로 실질적으로 둘러싸이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액세스 유닛(4)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해제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로킹 유닛(21)이 체결 섹션(15)에 제공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로킹 요소(21a)는 체결 요소(15a)의 각각 위에 제공되며, 각각의 체결 요소(15a)에 각 측면의 피봇 지점(P)에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된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two fastening elements 15a each have a receiving opening 20 open downward, whereby the crossover device 14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of the support-mounted holding device 16 in the deployed position ( 16b) (and similarly over the vehicle mounted holding device 18 in the stowed position). Receiving opening 20 is preferably sized such that connecting rod 16b is substantially enclosed in a U-shape by fastening element 15a. In order to secure the crossover device 14 against unwanted release from the access unit 4 , it is advantageous if, as already mentioned, a locking unit 21 is provided on the fastening section 15 .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locking element 21a is provided on each of the fastening elements 15a and is articulated to each fastening element 15a at a pivot point P on each side.

그 결과, 연결 로드(16b)가 수용 개구부(20)에 삽입될 때 로킹 요소(21a)는 연결 로드(16b)에 의해 상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연결 로드(16b)가 수용 개구부(20)에 충분히 삽입된 후, 로킹 요소(21a)는 중력으로 인해 자동으로 하방으로 피봇된다. 다음에 로킹 요소(21a)의 자유 단부는 피봇 지점(P) 반대편에 있는 수용 개구부(20)의 내부 표면에 놓이고, 카라비너와 유사한 방식으로 내측으로부터 수용 개구부(20)의 개방 측면을 폐쇄한다. 따라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더 이상 연결 로드(16b)로부터 의도치 않게 해제될 수 없다. 로킹 요소(21a)가 적절한 예압 요소(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기계적 스프링에 의해 피봇 지점(P) 반대편의 수용 개구부(20)의 내부 표면의 방향으로 각각 예압되면 안전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connecting rod 16b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opening 20, the locking element 21a can be pivoted upward by the connecting rod 16b. After the connecting rod 16b is sufficient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opening 20, the locking element 21a automatically pivots downward due to gravity. The free end of the locking element 21a then res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opening 20 opposite the pivot point P and closes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opening 20 from the inside in a manner similar to a carabiner. Thus, the crossover device 14 can no longer be unintentionally released from the connecting rod 16b. The safety can be further increased if the locking element 21a is respectively preloaded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opening 20 opposite the pivot point P by means of suitable preloading elements (not shown), for example mechanical springs. .

로킹 유닛(21)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로킹 요소(21a)는, 크로스오버 장치(14)가 들어올려질 때 연결 로드(16b)가 수용 개구(20)의 개방 측면을 통해 수용 개구(20) 밖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중력에 대항하여(그리고 가능하게는 예압 요소의 예압력에 반대하여) 충분히 상방으로 피봇될 수 있다. 로킹 요소(21a)는 예를 들어 액세스 플랫폼(19)으로부터 사람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의 캐빈으로부터 잠금 유닛(21)을 잠금해제하기 위해 잠금 요소(21a)를 선회시키기 위해 적절한 작동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 장치로서, 예를 들어 사다리의 직립 튜브 내부에 또한 배치될 수 있는 적합한 케이블 풀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또한 체결 요소(15a) 중 하나에만 로킹 요소(21a)가 제공되는 것이 충분할 수 있다. 물론,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예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당업자는 또한 다른 적절한 구조적 설계를 제공할 수 있다.To unlock the locking unit 21, the locking element 21a, when the crossover device 14 is lifted, connects the connecting rod 16b via the open side of the receiving opening 20 to the receiving opening 20. It can pivot upward enough against the force of gravity (and possibly against the preload force of the preload element) so that it can be moved out. The locking element 21a can be operated manually by a person, for example from the access platform 19 . However, a suitable operating device (not shown) may also be provided, for example to pivot the locking element 21a to unlock the locking unit 21 from the cabin of the cableway vehicle 7 . As actuation device, for example, a suitable cable pull can be used, which can also be placed inside the upright tube of a ladder, for example. In general, it may also be sufficient for only one of the fastening elements 15a to be provided with the locking element 21a. Of course,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crossover device 14 is to be understood as an example onl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lso provide other suitable structural designs.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센서(도시하지 않음)는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상태에 의존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삭도 차량(7) 및/또는 삭도 지지대(1)에 제공되고, 적어도 하나의 알람 유닛(도시하지 않음)은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서 신호에 의존하는 바람직하게 음향 알람을 생성하기 위해 삭도 지지대(1) 및/또는 삭도 차량(7)에 제공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장치(14)가 결합된 상태에서 전개 위치에서 액세스 유닛(4)에 위치되고 그리고 삭도 차량(7)이 움직이기 시작하면 알람이 트리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 사이의 상대 이동 또는 상대 거리를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상태로서 검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대 이동이 발생할 때, 또는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케이블카(7) 사이의 특정 상대 거리에 도달하거나 초과할 때, 센서 신호가 센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알람 유닛이 알람을 트리거한다. 센서 신호의 생성은 당연히 신호의 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또한 이해된다.Preferably, at least one sens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cableway vehicle 7 and/or the cableway support 1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dependent on the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14, wherein at least one An alarm unit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cableway support 1 and/or the cableway vehicle 7 for generating a preferably audible alarm dependent on sensor signals obtained from the sensors. As a result, an alarm can be triggered, for example, when the access unit 4 is placed in the deployed position with the crossover device 14 engaged and the cableway vehicle 7 starts to move. For example, the sensor may be designed to detect the relative movement or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way vehicle 7 as the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14 . When a relative movement occurs, or when a certain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 car 7 is reached or exceeded, a sensor signal can be generated by the sensor, so that the alarm unit triggers an alarm. . The generation of a sensor signal is of course also understood to mean the cessation of a signal.

간단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공지된 접촉 스위치는 접촉 스위치의 접촉이 차단될 때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접촉의 중단은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의 구성요소 사이의 특정 상대 거리를 초과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알람 유닛에 의해 알람이 트리거된다. 알람이 트리거될 때, 삭도(2)의 작업자가 반응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삭도 차량(7)의 움직임을 멈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 장치(14)에 접촉 스위치의 제 1 접촉 요소를 제공하고 그리고 삭도 차량(7)의 구성요소, 예를 들어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에 접촉 스위치의 제 2 접촉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접촉 요소는 정상 작동 동안에 전기 접촉한다.In a simple embodiment, for example a known contact switch can be provided as a sensor which generates a sensor signal when the contact of the contact switch is broken. A break in contact can occur, for example, when a certain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omponents of the cableway vehicle 7 is exceeded, as a result of which an alarm is triggered by the alarm unit. When an alarm is triggered, the operator of the cableway 2 can react, for example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cableway vehicle 7. For example, providing a first contact element of a contact switch to a crossover device 14 and providing a second contact element of a contact switch to a component of a cableway vehicle 7, for example a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It is conceivable to provide, wherein the contact elements are in electrical contact during normal operation.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 사이의 상대 거리가 특정 트리거 거리 미만인 한, 접촉 요소 사이의 접촉이 유지될 것이다. 해제 거리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접촉 요소들 사이의 접촉이 중단될 것이다. 따라서, 전기 접촉의 중단은 센서 신호의 생성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알람 유닛은 접촉이 중단된 경우 알람을 트리거한다. 안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삭도(2)는 또한 삭도(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서 신호에 따라 삭도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삭도(2)의 조작자가 알람 신호에 응답하여 삭도(2)를 정지시킬 필요없이 센서 신호가 수신될 때 삭도(2)의 구동이 자동으로 정지될 수 있다.As long as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way vehicle 7 is less than a certain trigger distanc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will be maintained. When the release distance is reached or exceeded, contact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will be interrupted. Thus, interruption of the electrical contact corresponds to the generation of a sensor signal. As a result, the alarm unit triggers an alarm if contact is broken.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afety, the cableway 2 may also hav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cableway 2, which control un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cableway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do. As a result, for example, driving of the cableway 2 can be automatically stopped when a sensor signal is received without the operator of the cableway 2 having to stop the cableway 2 in response to an alarm signal.

마지막으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제한적이지 않음을 다시 주목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당업자의 재량에 따라 추가 변형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예를 들어 상이한 형태의 삭도 지지대(1), 액세스 유닛(4) 등과 같은 삭도의 특정 조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Finally, it should be noted again that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examples only and not as restrictive. In addition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further variations may also be considered at the discretio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conditions of a cableway, such as different types of cableway supports 1, access units 4, and the like.

Claims (18)

삭도(2)용 삭도 차량(7)에 있어서,
크로스오버 장치(crossover apparatus)(14)는 삭도 차량(7)으로부터 삭도(2)의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까지의 사람의 크로스오버(crossover)를 위해 삭도 차량(7)에 제공되며,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와,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도록 의도된 전개 위치 사이에서 삭도 차량(7)에 대해 변위 가능하며, 전개 위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크로스오버 장치(14)에 체결 섹션(15)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In the cableway vehicle 7 for the cableway 2,
A crossover apparatus 14 is provided on the cableway vehicle 7 for human crossover from the cableway vehicle 7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of the cableway 2. provided, wherein the crossover device 14 is displaceable relative to the cableway vehicle 7 between a stowed position in which the crossover device 14 is stored in the cableway vehicle and a deployed position where the crossover is intended to be performed,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section 15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of the cableway support 1 in the deployed position.
ropeway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섹션(15)에 의해 보관 위치에 있는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삭도 차량(7)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삭도 차량(7)에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way vehicle (7) is provided with a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14) in the stowed position by means of the fastening section (15) to the cableway vehicle (7). to be
ropeway vehic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삭도 차량(7)은 유지보수 차량으로서 설계되며, 사람을 위한 액세스 플랫폼(19)이 상기 삭도 차량(7)의 상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는 액세스 플랫폼(19)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claim 2,
The cableway vehicle 7 is designed as a maintenance vehicle, an access platform 19 for people is provided in the upper area of the cableway vehicle 7, and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is provided on the access platform 19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액세스 유닛(4) 상의 전개 위치 및/또는 상기 삭도 차량(7), 특히 차량 장착 홀딩 장치(18) 상의 보관 위치에 로크시키기 위해, 로킹 유닛(21)이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체결 섹션(15)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o lock the crossover device 14 in a deployed position on the access unit 4 and/or in a stowed position on the cableway vehicle 7, in particular the vehicle-mounted holding device 18, the locking unit 21 crosso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fastening section (15) of the device (14)
ropeway vehic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유닛(21)은 적어도 하나의 로킹 요소(21a)를 갖고, 상기 로킹 요소(21a)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예압 요소에 의해 예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claim 4,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unit (21) has at least one locking element (21a), which is preferably preloaded by at least one preloading element.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사람이 밟고 및/또는 붙잡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계단 요소 및/또는 홀딩 요소(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has at least one stair element and/or holding element (17) for stepping on and/or grabbing by a person.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길이는,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길이를 액세스 유닛(4)과 삭도 차량(7) 사이의 가변 거리에 맞추기 위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14) can be changed in order to adapt the length of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variable distance between the access unit (4) and the cableway vehicle (7).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단일 피스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요소(15a)가 체결되는 크로스오버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체결 섹션(15)은 체결 요소(15a)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crossover device 14 is formed in one piece, or the crossover device 14 comprises a crossover unit to which at least one fastening element 15a is fastened, the fastening section 15 being fastening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15a)
ropeway vehicl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유닛은 사다리, 바람직하게 신축식 사다리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unit is designed as a ladder, preferably a telescoping ladder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상태에 의존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센서에서 획득한 센서 신호에 의존하는 바람직하게 음향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람 유닛이 삭도 차량(7)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t least one sensor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dependent on the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14 and at least one alarm unit for generating a preferably audible alarm depending on the sensor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7)
ropeway vehicl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액세스 유닛(4) 상의 결합된 상태의 전개 위치에 있어서 크로스오버 장치(14)와 삭도 차량(7)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차량.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is designed to allow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crossover device (14) and the cableway vehicle (7) in the deployed position in the engaged state on the access unit (4).
ropeway vehicle.
삭도(2)의 컨베이어 케이블(6)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삭도 지지대(1)를 포함하고, 컨베이어 케이블(6) 상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삭도 차량(7)을 포함하는 삭도(2)로서, 사람의 접근을 위해 삭도 지지대(1)에 액세스 유닛(4)이 제공되는, 삭도(2)에 있어서,
상기 삭도 차량(7)은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A cableway (2) comprising at least one cableway support (1) for guiding a conveyor cable (6) of the cableway (2) and comprising at least one cableway vehicle (7) arranged on the conveyor cable (6) As, in the ropeway (2), in which the access unit (4) is provided in the cableway support (1) for human ac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bleway vehicle (7) is designe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ropeway.
제 12 항에 있어서,
전개 위치에 있어서 크로스오버 장치(14)를 체결 섹션(15)에 의해서 액세스 유닛(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액세스 유닛(4)에 지지대 장착 홀딩 장치(16)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According to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ess unit (4) is provided with a support-mounted holding device (16) for releasably coupling the crossover device (14) to the access unit (4) by means of a fastening section (15) in the deployed position.
ropeway.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의 상태에 의존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삭도 지지대(1) 및/또는 삭도 차량(7)에 제공되며,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서 신호에 의존하는 바람직하게 음향 알람을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알람 유닛이 삭도(2), 바람직하게 삭도 지지대(1) 및/또는 삭도 차량(7)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According to claim 12 or 13,
At least one sensor is provided on the cableway support 1 and/or the cableway vehicle 7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dependent on the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14, preferably dependent on the sensor signal obtained from the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alarm unit for generating an acoustic alarm is provided on the cableway (2), preferably on the cableway support (1) and / or on the cableway vehicle (7)
ropeway.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삭도(2)는 삭도(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갖고, 상기 제어 유닛은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서 신호에 의존하여 삭도(2)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ableway (2) h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cableway (2),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e of the cableway (2) depending on a sensor signal obtained from a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ropeway.
삭도(2)의 삭도 차량(7)에서 삭도(2)의 삭도 지지대(1)의 액세스 유닛(4)으로 사람의 크로스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삭도 차량(7)은 액세스 유닛(4)의 영역에서 크로스오버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삭도 차량(7)에 제공된 크로스오버 장치(14)는 크로스오버 장치(14)가 삭도 차량(7)에 보관되어 있는 보관 위치로부터 크로스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전개 위치까지 이동되며,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의 체결 섹션(15)은 액세스 유닛(4)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람은 크로스오버 장치(14)를 통해 삭도 차량(7)으로부터 액세스 유닛(4)으로 크로스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performing a person crossover from a cableway vehicle (7) of a cableway (2) to an access unit (4) of a cableway support (1) of a cableway (2),
The cableway vehicle 7 is moved to a crossover position in the area of the access unit 4, and the crossover device 14 provided in the cableway vehicle 7 is such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is connected to the cableway vehicle 7. It is moved from the stowed stowed position to the deployed position for carrying out the crossover, wherein the fastening section 15 of the crossover device is releasably coupled to the access unit 4, and a person removes the crossover device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from the cableway vehicle (7) to the access unit (4) through
Way.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오버 장치(14)는 로킹 유닛(21)에 의해 전개 위치에서 액세스 유닛(4)에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over device (14) is locked to the access unit (4) in the deployed position by means of a locking unit (21)
Way.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삭도 차량(7)이 액세스 유닛(4) 상의 크로스오버 장치(14)의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바람직하게 음향 알람이 트리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ccording to claim 16 or 17,
Characterized in that an acoustic alarm is preferably triggered when the cableway vehicle (7) moves in the coupled state of the crossover device (14) on the access unit (4).
Way.
KR1020227042596A 2020-05-27 2021-03-26 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KR2023000486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464/2020 2020-05-27
ATA50464/2020A AT523065B1 (en) 2020-05-27 2020-05-27 Cable car with step-over device
PCT/EP2021/057998 WO2021239296A1 (en) 2020-05-27 2021-03-26 Cableway vehicle having cros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869A true KR20230004869A (en) 2023-01-06

Family

ID=7539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2596A KR20230004869A (en) 2020-05-27 2021-03-26 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242162A1 (en)
EP (1) EP4157692B1 (en)
KR (1) KR20230004869A (en)
CN (1) CN115667046A (en)
AT (1) AT523065B1 (en)
AU (1) AU2021282208A1 (en)
CA (1) CA3184355A1 (en)
ES (1) ES2973263T3 (en)
WO (1) WO2021239296A1 (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4374A (en) * 1988-10-14 1990-04-17 Mitsubishi Heavy Ind Ltd Life saving device for gondola lift
EP1149749A1 (en) * 2000-04-28 2001-10-31 High Technology Investments B.V. Rescue cabin and emergency rope railway
JP4630701B2 (en) * 2005-03-28 2011-02-09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Movable inspection table for struts in cableway
FR2920123B1 (en) * 2007-08-20 2009-10-09 Pomagalski Sa INTERVENTION VEHICLE ALONG AN AIR CABLE OF A MECHANICAL REASSEMBLY SYSTEM
FR2972986B1 (en) * 2011-03-23 2013-04-26 Pomagalski Sa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 MAINTENANCE VEHICLE
FR3006653B1 (en) * 2013-06-05 2016-07-29 Pomagalski Sa DEVICE FOR MAINTENANCE OF AN AIRCRAFT TRANSPORTATION SYSTEM, IN PARTICULAR A TELESIEGE OR A TELECABINE
AT514516B1 (en) * 2013-07-11 2015-05-15 Innova Patent Gmbh Device for replacing reel batteries
CN207241689U (en) 2017-06-21 2018-04-17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The empty iron skylight evacuation platform system of one kind suspension
CN108482392B (en) * 2018-05-28 2024-02-13 中建空列(北京)科技有限公司 Escape device for air-iron system and air-iron system
CN208498482U (en) * 2018-07-19 2019-02-15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Cableway overhauls cable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23065A4 (en) 2021-05-15
CA3184355A1 (en) 2021-12-02
AU2021282208A1 (en) 2022-12-22
US20230242162A1 (en) 2023-08-03
AT523065B1 (en) 2021-05-15
ES2973263T3 (en) 2024-06-19
EP4157692B1 (en) 2024-01-03
EP4157692A1 (en) 2023-04-05
CN115667046A (en) 2023-01-31
WO2021239296A1 (en) 2021-12-02
EP4157692C0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537B2 (en) Self-driv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for persons used for the (aerial) observation of the environment
US6622634B2 (en) Amusement ride employing a suspended tensioned static cable
KR101442314B1 (en) Cable transport system
US20060027134A1 (en) Zipline braking and motion-arrest system
CN111469865B (en) Cable conveying system
JP2789052B2 (en) Aerial cableway equipment
CN113727903B (en) Cableway support with climbing equipment
KR102302630B1 (en) Ziptrek system with harness withdrawl device
KR20230004869A (en) Cableway vehicle with crossover device
RU2772495C1 (en) Cable car support with transition device
KR20220070828A (en) sliding insulating ladder truck for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raction line
FI109669B (en) A method of detaching a tool to be retrieved from a replifier and a release member
US20220410943A1 (en) Aerial cable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IT202000011098A1 (en) HYBRID AIR/LAND TRANSPOR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OF SUCH TRANSPORT SYSTEM
CH689115A5 (en) Cableway emergency rescue c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