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2120A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62120A KR20220162120A KR1020227024139A KR20227024139A KR20220162120A KR 20220162120 A KR20220162120 A KR 20220162120A KR 1020227024139 A KR1020227024139 A KR 1020227024139A KR 20227024139 A KR20227024139 A KR 20227024139A KR 20220162120 A KR20220162120 A KR 202201621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rage device
- electrical storage
- layer
- polyolefin
- adhesive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1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8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2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3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7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0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5629 polypropylene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50000008064 anhyd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3504 2-oxazolinyl group Chemical group O1C(=NCC1)*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948 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IQPQWNKOIGAROB-UHFFFAOYSA-N 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N-]=C=O IQPQWNKOIGARO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FPYJFEHAWHCUMM-UHFFFAOYSA-N male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O=C1OC(=O)C=C1 FPYJFEHAWHCU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66 I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RRHGJUQNOFWUDK-UHFFFAOYSA-N Isoprene Chemical compound CC(=C)C=C RRHGJUQNOFWU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MGNZXYYWBUKAII-UHFFFAOYSA-N cyclohexa-1,3-di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MGNZXYYWBUKAI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ZSWFCLXCOIISFI-UHFFFAOYSA-N cyclopentadiene Chemical compound C1C=CC=C1 ZSWFCLXCOIIS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3700 ep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QQVIHTHCMHWDBS-UHFFFAOYSA-N isophth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4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KKEYFWRCBNTPAC-UHFFFAOYSA-N terephtha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1=CC=C(C(=O)O)C=C1)(=O)O KKEYFWRCBNTP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UPMLOUAZCHDJJD-UHFFFAOYSA-N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1=CC(N=C=O)=CC=C1CC1=CC=C(N=C=O)C=C1 UPMLOUAZCHDJ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LLVZDVNHNWSDS-UHFFFAOYSA-N 4-methylidene-3,5-dioxabicyclo[5.2.2]undeca-1(9),7,10-triene-2,6-dione Chemical compound C1(C2=CC=C(C(=O)OC(=C)O1)C=C2)=O LLLVZDVNHNWS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YZLOYUZLJXAJU-UHFFFAOYSA-N diglycidyl ether Chemical compound C1OC1COCC1CO1 GYZLOYUZLJXA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QVIHTHCMHWDBS-UHFFFAOYSA-L iso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O-])=O)=C1 QQVIHTHCMHWDBS-UHFFFAOYSA-L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92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7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684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2 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79 medium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01 medium-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VKLNMSFSTCXMSB-UHFFFAOYSA-N 1,1-diisocyanatopentane Chemical compound CCCCC(N=C=O)N=C=O VKLNMSFSTCXM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CLRDQVFMWTQS-RGOKHQFPSA-N 1755-01-7 Chemical compound C1[C@H]2[C@@H]3CC=C[C@@H]3[C@@H]1C=C2 HECLRDQVFMWTQS-RGOKHQFPSA-N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2-Prope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QZNZLOZXSBHA-UHFFFAOYSA-N 3,8-dioxabicyclo[8.2.2]tetradeca-1(12),10,13-triene-2,9-dione Chemical compound O=C1OCCCCOC(=O)C2=CC=C1C=C2 WSQZNZLOZXSBH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8 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CFVJGUPQDGYKZ-UHFFFAOYSA-N Bisphenol A diglycidyl ether Chemical compound C=1C=C(OCC2OC2)C=CC=1C(C)(C)C(C=C1)=CC=C1OCC1CO1 LCFVJGUPQDGYK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57 Hexamethylene diisocya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Chemical compound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92 Nylon 6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02 Nylon 6,6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NLRTRBMVRJNCN-UHFFFAOYSA-L adipate(2-)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2 carbox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35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0 dry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NEPOXFFQSENCJ-UHFFFAOYSA-N haloperidol Chemical compound C1CC(O)(C=2C=CC(Cl)=CC=2)CCN1CCCC(=O)C1=CC=C(F)C=C1 LNEPOXFFQSEN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RAMGCGOFNQTLD-UHFFFAOYSA-N hexamethyle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O=C=NCCCCCCN=C=O RRAMGCGOFNQT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9 inorganic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13 isocyan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AEPNZWRGJTJPN-UHFFFAOYSA-N methyl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UAEPNZWRGJTJ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SJYNFBVQFBRSIB-UHFFFAOYSA-N norbornadiene Chemical compound C1=CC2C=CC1C2 SJYNFBVQFBRSI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66 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68 pheno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NDVLTYZPCACLMA-UHFFFAOYSA-N silver oxide Chemical compound [O-2].[Ag+].[Ag+] NDVLTYZPCACL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40 vapo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934 α,β-unsaturated carboxyl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VXNZUUAINFGPBY-UHFFFAOYSA-N 1-Butene Chemical compound CCC=C VXNZUUAINFGPB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MZOUWXMTYCWNB-UHFFFAOYSA-N 2-(2-methoxy-5-methylphenyl)ethanam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CCN SMZOUWXMTYCW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AHNSTQSQJOJLO-UHFFFAOYSA-N 2-(3-fluorophenyl)-1h-imidazole Chemical compound FC1=CC=CC(C=2NC=CN=2)=C1 JAHNSTQSQJOJ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KXGFMDJXCMQABM-UHFFFAOYSA-N 2-methoxy-6-methylphenol Chemical compound [CH]OC1=CC=CC([CH])=C1O KXGFMDJXCMQA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ZFNKJKBRGFWDU-UHFFFAOYSA-N 3,6-dioxabicyclo[6.3.1]dodeca-1(12),8,10-triene-2,7-dione Chemical compound O=C1OCCOC(=O)C2=CC=CC1=C2 LZFNKJKBRGFWD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FNISBHGPNMTMS-UHFFFAOYSA-N 3-methylideneoxolane-2,5-dione Chemical compound C=C1CC(=O)OC1=O OFNISBHGPNMT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ZVHEAJQGPRDLQ-UHFFFAOYSA-N 6-phenyl-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C=2C=CC=CC=2)=N1 GZVHEAJQGPRD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VNWZKBFMFUVNX-UHFFFAOYSA-N Adipamide Chemical compound NC(=O)CCCCC(N)=O GVNWZKBFMFUVN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3 Aliphatic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64 Chromium(III) flu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1000576320 Homo sapiens Max-binding protein MN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JHWNWJKBPDFINM-UHFFFAOYSA-N Laurolactam Chemical compound O=C1CCCCCCCCCCCN1 JHWNWJKBPDFI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4 Masterbatch (M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428199 Mustelin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1 NMR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99 Nylon 12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89 Nylon 4,6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5 Nylon 6,1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1 Polyxylylene adip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OFOBLEOULBTSOW-UHFFFAOYSA-N Prop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O)=O OFOBLEOULBTS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23 adhesiv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23 ali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31 aliphatic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1 bar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113 barium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RPBQTZRNDNNOP-UHFFFAOYSA-N barium titanate Chemical compound [Ba+2].[Ba+2].[O-][Ti]([O-])([O-])[O-] JRPBQTZRNDNNO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HJMTUPIZMNBFR-UHFFFAOYSA-N biuret Chemical group NC(=O)NC(N)=O OHJMTUPIZMNB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QRGUVFOMOMEM-UHFFFAOYSA-N butene Natural products CC=CC IAQRGUVFOMOM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ato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XCZMVOFGPJBDE-UHFFFAOYSA-L calc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Ca+2] AXCZMVOFGPJBD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20 calc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61 calc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FWJKVMFIVXPKK-UHFFFAOYSA-N calcium;oxido(oxo)alumane Chemical compound [Ca+2].[O-][Al]=O.[O-][Al]=O XFWJKVMFIVXP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57 chemical reactions by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CDOYSPFYFSLEW-UHFFFAOYSA-N chromate(2-) Chemical compound [O-][Cr]([O-])(=O)=O ZCDOYSPFYFSL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1 coron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NSCUHMNNSA-N croton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LDHQCZJRKDOVOX-NSCUHMNN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25 crystalli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5 crystal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798 dela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MYWOWFOOVUPFY-UHFFFAOYSA-L dihydroxy(dioxo)chromium;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O[Cr](O)(=O)=O WMYWOWFOOVUPF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25000005442 diisocyanat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VVTXSHLLIKXMPY-UHFFFAOYSA-L disodium;2-sulfobenzene-1,3-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C1=C(C([O-])=O)C=CC=C1C([O-])=O VVTXSHLLIKXMP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GZCKIUIIYCBICZ-UHFFFAOYSA-L disodium;benzene-1,3-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1=CC=CC(C([O-])=O)=C1 GZCKIUIIYCBICZ-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VJISJACKSSFGE-UHFFFAOYSA-N formaldehyde;1,3,5-triazine-2,4,6-triamine Chemical compound O=C.NC1=NC(N)=NC(N)=N1 IVJISJACKSSFG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SYLJRIXVZCQHW-UHFFFAOYSA-N formaldehyde;6-phenyl-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O=C.NC1=NC(N)=NC(C=2C=CC=CC=2)=N1 MSYLJRIXVZCQH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90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59 graft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56 gravure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23 inorganic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group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MLQBUJDJZYEJ-UHFFFAOYSA-N isophorone diisocyanate Chemical compound CC1(C)CC(N=C=O)CC(C)(CN=C=O)C1 NIMLQBUJDJZ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951 lactam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PHRSURJSA-N male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O)=O VZCYOOQTPOCHFL-UPHRSUR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6 male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GYNNXHKOJHMOHS-UHFFFAOYSA-N methyl-cycloheptane Natural products CC1CCCCCC1 GYNNXHKOJHMO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VHBHZANLOWSRM-UHFFFAOYSA-N methylenebuta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C(O)=O LVHBHZANLOWS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JHCBNGDEXLD-UHFFFAOYSA-N nickel zinc Chemical compound [Ni].[Zn] QELJHCBNGDEXL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48 norborn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986 novola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84 nylon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RVTZCBVAJQQJTK-UHFFFAOYSA-N oxygen(2-);zirconium(4+) Chemical compound [O-2].[O-2].[Zr+4] RVTZCBVAJQQJT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NGIFLGASWRNHJ-UHFFFAOYSA-L 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O-])=O XNGIFLGASWRNH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2 plasma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11 poly(hexamethylene terephtha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1 polyalk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22 polyamid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8 polybu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67 polyest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49 polyester-amid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21 polyethylene adip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5 propylene-butene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51 sebac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CXMXRPHRNRROMY-UHFFFAOYSA-L sebacate(2-) Chemical compound [O-]C(=O)CCCCCCCCC([O-])=O CXMXRPHRNRROMY-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HBMJWWWQQXIZIP-UHFFFAOYSA-N silicon carbide Chemical compound [Si+]#[C-] HBMJWWWQQXI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1 silicon carb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3 silve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48 slip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KKEYFWRCBNTPAC-UHFFFAOYSA-L terephthalate(2-) Chemical compound [O-]C(=O)C1=CC=C(C([O-])=O)C=C1 KKEYFWRCBNTPAC-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3 thermal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CYOOQTPOCHFL-UHFFFAOYSA-N trans-butenedio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O)=O VZCYOOQTPOCHF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DHQCZJRKDOVOX-UHFFFAOYSA-N trans-crotonic acid Natural products CC=CC(O)=O LDHQCZJRKDOV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28 zirco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FQYVLUOOAAOGM-UHFFFAOYSA-N zirconium(iv) silicate Chemical compound [Zr+4].[O-][Si]([O-])([O-])[O-] GFQYVLUOOAAO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7—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3—Organic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7—Therm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6—Insul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10—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封止)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Description
본 개시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양한 타입의 축전 디바이스가 개발되어 있지만, 모든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전극이나 전해질 등의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기 위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가 불가결한 부재가 되어 있다. 종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서 금속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가 다용되고 있지만, 최근,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C, 카메라, 휴대 전화기 등의 고성능화에 따라, 축전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형상이 요구되고 또한, 박형화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다용되고 있던 금속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서는, 형상의 다양화에 추종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한 경량화에도 한계가 있는 결점이 있다.
이에, 최근,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박형화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서, 기재층(基材層)/접착층/배리어층/열 융착성 수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적층 필름형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사용하는 경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최내층(最內層)에 위치하는 열 융착성 수지층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주위 에지부를 히트실링으로 열 융착시킴으로써,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 소자가 봉지된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히트실링 부분으로부터는, 금속단자가 돌출하고 있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의해 봉지된 축전 디바이스 소자는,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에 의해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가 히트실링된 부분 중, 금속단자가 존재하는 부분은, 금속단자가 열 융착성 수지층에 협지된 상태에서 히트실링되어 있다. 금속단자와 열 융착성 수지층는, 서로 이종(異種)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금속단자와 열 융착성 수지층의 계면에 있어서, 밀착성이 저하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금속단자와 열 융착성 수지층 사이에는, 이들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접착성 필름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접착성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최근, 스마트 폰의 고속대 용량 데이터 통신화에 따라, 소비하는 전기량도 증대하여, 축전 디바이스의 고용량화가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배터리의 고용량화는, 용기 사이즈의 증대나 반응성물질의 증가를 수반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열폭주했을 때(즉, 축전 디바이스의 고온화 시)에 발생하는 가스량도 증가하고, 축전 디바이스의 내압(內壓) 상승에 따른 폭발 리스크가 증대한다. 금속제의 외장재를 사용한 축전 디바이스(예를 들면, 금속캔 전지 등)에서는, 안전 밸브를 장착함으로써 가스 발생 시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적층 필름형의 외장재를 사용한 축전 디바이스에서는, 이와 같은 안전 밸브를 장착하는 것은 곤란하며, 고온이 된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에 의한, 축전 디바이스의 팽창 회피가 과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황 하, 본 개시는,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상기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銳意)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하고, 적층체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2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즉,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고,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를 135℃ 이상으로 하고, 또한,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를 100℃ 이하로 함으로써,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구체적으로는,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제1 접착층 또는 제2 접착층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개시는,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검토를 거듭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 것이다.
즉, 본 개시는, 하기 태양의 발명을 제공한다.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본 개시에 의하면,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상기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의 약도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A-A'에서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B-B'에서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있어서, 개봉시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A-A'에서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선B-B'에서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있어서, 개봉시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약도적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적층체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2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중 어느 하나이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이와 같은 특징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양극 및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양극 및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적층체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2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1 접착층 또는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즉,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범위의 어느 온도 환경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1 접착층 또는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축전 디바이스도 제공한다.
이하,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축전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수치범위에 대해서는, 「∼」로 표시되는 수치범위는 「이상」, 「이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2∼15 mm의 표기는, 2mm 이상 15mm 이하를 의미한다.
1.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금속단자(2)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고, 히트실링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주위 에지부(3a)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을 통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협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금속단자에 대한 가접착 공정은, 예를 들면, 온도 140∼160 ℃ 정도, 압력 0.01∼1.0M Pa 정도, 시간 3∼15 초간 정도, 횟수 3∼6 회 정도의 조건에서 행해지고, 본접착 공정은, 예를 들면, 온도 160∼240 ℃ 정도, 압력 0.01∼1.0 MPa 정도, 시간 3∼15 초간 정도, 횟수 1∼3 회 정도의 조건에서 행해진다. 또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개재시켜서 히트실링할 때의 가열 온도로서는, 통상 180∼210 ℃ 정도의 범위, 압력으로서는, 통상 1.0∼2.0 MPa 정도, 시간 3∼5 초간 정도, 횟수 1회 정도의 조건에서 행해진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것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밀봉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히트실링할 때는,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2)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축전 디바이스 소자가 봉지된다. 이 때, 금속에 의해 형성된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최내층에 위치하는 열 융착성 수지층(35)(폴리올레핀 등의 열 융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층)은 이종(異種)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접착성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금속단자(2)와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계면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밀봉성이 낮아지기 쉽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기재(11)와,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을 포함하고 있고,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기재(11) 사이에 제1 접착층(13a)을 가지거나,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기재(11) 사이에 제2 접착층(13b)을 가지거나, 제1 접착층(13a)과 제2 접착층(13b)을 모두 가지는(즉,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기재(11)와의 사이에 제1 접착층(13a)를 가지고,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기재(11)와의 사이에 제2 접착층(13b)을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적층 구성으로서는,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제1 접착층(13a)과, 기재(11)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구성;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기재(11)와, 제2 접착층(13b)과,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구성;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제1 접착층(13a)과, 기재(11)와, 제2 접착층(13b)과,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 구성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4에는,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모두 가지는 경우의 적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이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는, 양면측의 표면에, 각각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산변성 폴리올레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기재(11)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즉, 폴리올레핀 골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는, 각각,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 제1 접착층(13a), 제2 접착층(13b) 및 기재(11)에 있어서,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올레핀, 산변성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에는, 공지의 첨가제나 후술하는 충전제, 안료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바람직한 적층 구성의 구체예로서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5층 구성(적층 구성 1);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2);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3);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5층 구성(적층 구성 4);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5);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6)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과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적층 구성 1∼3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 제1 접착층(13a), 제2 접착층(13b), 및 기재(11)를 구성하는 소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축전 디바이스(10)의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사이에,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배치되면, 금속에 의해 구성된 금속단자(2)의 표면과,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폴리올레핀 등의 열 융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된 층)이,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을 통하여 접착된다.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1 폴리올레핀층(12a)이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되고,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고, 제1 폴리올레핀층(12a)이 금속단자(2)와 밀착하고,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과 밀착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는 135℃ 이상이며,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다. 즉,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제1 접착층(13a)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접착층(13a)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며, 제2 접착층(13b)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2 접착층(13b)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며,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의 양쪽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하는 관점에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면,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제1 접착층(13a) 또는 제2 접착층(13b)로부터 축전 디바이스를 개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를 하회하면, 만일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라도,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를 개봉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이는,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가 낮으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주위 에지부(3a)에서 히트 실링하는 공정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 필름의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뿐만 아니라, 기재층(11)도 용융하여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기재층(11)이 서로 섞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실링부의 내열성이 높아지고, 개봉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여겨진다. 본 개시에 있어서, 융해 피크 온도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융해 피크 온도의 측정>
각 측정 샘플에 대하여, JIS K7121:2012(플라스틱의 전이(轉移) 온도 측정 방법(JIS K7121:1987의 추보 1))의 규정에 준거하여 융해 피크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은, 시차주사 열량계(DSC, 예를 들면 티·에이·인스트루먼트에서 제조한 시차주사 열량계 Q200)를 사용하여 행한다. 측정 샘플을, -50℃로 15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승온(昇溫) 속도로 -50℃로부터 210℃까지 승온시키고, 1회째의 융해 피크 온도 P(℃)를 측정한 후, 210℃에서 10분간 유지한다. 다음으로, 10℃/분의 강온(降溫) 속도로 210℃로부터 -50℃까지 강온시켜서 15분간 유지한다. 또한, 10℃/분의 승온 속도로 -50℃로부터 210℃까지 승온시켜서 2회째의 융해 피크 온도 Q(℃)를 측정한다. 그리고, 질소 가스의 유량(流量)은 50ml/분으로 한다. 이상의 수순에서 의해, 1회째에 측정되는 융해 피크 온도 P(℃)와, 2회째에 측정되는 융해 피크 온도 Q(℃)를 구한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1회째에 측정되는 융해 피크 온도 P(℃)의 값을 채용한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63℃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7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70℃ 이하이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35∼180 ℃ 정도, 135∼175℃ 정도, 135∼170 ℃ 정도, 150∼180 ℃ 정도, 150∼175℃ 정도, 150∼170 ℃ 정도, 155∼180 ℃ 정도, 155∼175℃ 정도, 155∼170 ℃ 정도, 160∼180 ℃ 정도, 160∼175℃ 정도, 160∼170 ℃ 정도, 163∼180 ℃ 정도, 163∼175℃ 정도, 163∼17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의 융해 피크 온도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약 9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97℃ 이하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융해 피크 온도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이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각각, 80∼100 ℃ 정도, 80∼99 ℃ 정도, 80∼97 ℃ 정도, 83∼100 ℃ 정도, 83∼99 ℃ 정도, 83∼97 ℃ 정도, 85∼100 ℃ 정도, 85∼99 ℃ 정도, 85∼97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은,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면, 제1 접착층(13a) 또는 제2 접착층(13b)의 한쪽이 100℃ 초과 130℃ 이하라도 상관없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의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5℃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이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30∼160 ℃ 정도, 130∼150 ℃ 정도, 135∼160 ℃ 정도, 135∼15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융해 피크 온도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가 모두 130℃ 이상인 것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5℃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융해 피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이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30∼160 ℃ 정도, 130∼150 ℃ 정도, 135∼160 ℃ 정도, 135∼150 ℃ 정도를 들 예로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사용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와,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융해 피크 온도의 차의 절대값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5 ℃ 정도, 0∼3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즉, 상기 차의 절대값이 0℃에 가까울수록),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개재시켜 히트실링할 때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과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모두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환경 온도 110℃에서의 기재(11)의 표면경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15N/mm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N/m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5N/mm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N/mm2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상기 표면경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60N/m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N/mm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N/mm2 이하이다. 상기 표면경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5∼60 N/mm2 정도, 15∼50 N/mm2 정도, 15∼45 N/mm2 정도, 20∼60 N/mm2 정도, 20∼50 N/mm2 정도, 20∼45 N/mm2 정도, 25∼60 N/mm2 정도, 25∼50 N/mm2 정도, 25∼45 N/mm2 정도, 30∼60 N/mm2 정도, 30∼50 N/mm2 정도, 30∼45 N/mm2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110℃에서의 기재(11)의 표면경도의 측정 방법은, 하기와 같다.
<기재의 표면경도의 측정>
양면 점착 테이프를 장착한 슬라이드 글라스(76mm×26mm×1mm)의 한쪽 면에 기재를 접착하고, 측정 샘플로 한다. 다음으로, 비커스압자를 장착한 초미소(超微小)경도계(예를 들면, 피셔·인스트루먼츠사에서 제조한 HM2000)에 가열 스테이지를 설치하고, 스테이지 온도를 110℃로 설정하여 샘플을 5분 가열한다. 다음으로, 측정 샘플의 기재 측의 표면에 대하여, 표면경도를 측정한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총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이다. 또한,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총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하이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총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60∼150 ㎛ 정도, 60∼130 ㎛ 정도, 60∼100 ㎛ 정도, 70∼150 ㎛ 정도, 70∼130 ㎛ 정도, 70∼100 ㎛ 정도, 80∼150 ㎛ 정도, 80∼130 ㎛ 정도, 80∼10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하,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 제1 접착층(13a), 제2 접착층(13b) 및 기재(11)를 구성하는 재료, 두께 등에 대하여 상술한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재(11)의 한쪽면 측에 제1 폴리올레핀층(12a)을 구비하고, 다른 쪽 면 측에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이 금속단자(2) 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는, 양면측의 표면에, 각각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위치하고 있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상기한 융해 피크 온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이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폴리올레핀, 산변성 폴리올레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폴리올레핀 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 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금속과의 친화성이 높다. 또한, 폴리올레핀 및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각각, 폴리올레핀 등의 열 융착성 수지와의 친화성이 높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12a)을 금속단자(2) 측에 배치함으로써,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과 금속단자(2)의 계면에 있어서, 더 한층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또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 측에 배치함으로써,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계면에 있어서, 더 한층 우수한 밀착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바람직한 적층 구성의 구체예로서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5층 구성(적층 구성 1);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2);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3);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5층 구성(적층 구성 4);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1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5);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1 폴리올레핀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기재/산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에 의해 형성된 제2 접착층/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된 제2 폴리올레핀층이 이 순서로 적층된 4층 구성(적층 구성 6)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적층 구성 1∼3이 특히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산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 그래프트 변성된 폴리올레핀을 예로 들 수 있다.
산 변성되는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부텐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프로필렌과 부텐의 랜덤 코폴리머) 등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프로필렌의 터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예로 들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이다.
또한, 산 변성되는 폴리올레핀은, 환형 폴리올레핀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카르복시산 변성 환형 폴리올레핀은, 환형 폴리올레핀을 구성하는 모노머의 일부를, α,β-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 대신 공중합함으로써, 혹은 환형 폴리올레핀에 대하여 α,β-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을 블록 중합 또는 그래프트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머이다.
산 변성되는 환형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과 환형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환형 폴리올레핀의 구성 모노머인 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1-펜텐,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환형 폴리올레핀의 구성 모노머인 환형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등의 환형 알켄;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노르보르나디엔 등의 환형 디엔 등이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환형 알켄,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을 예로 들 수 있다. 구성 모노머로서는, 스티렌도 예로 들 수 있다.
산변성에 사용되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산, 아크릴산, 이타콘산, 크로톤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이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은, 적외분광법으로 분석하면, 무수 말레산에 유래하는 피크가 검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적외분광법으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을 측정하면, 파수(波數) 1760cm-1 부근과 파수 1780cm-1 부근에 무수 말레산 유래의 피크가 검출된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또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올레핀에 의해 구성된 층인 경우, 적외분광법으로 측정하면, 무수 말레산 유래의 피크가 검출된다. 다만, 산변성도가 낮으면 피크가 작아져 검출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핵자기 공명 분광법으로 분석 가능하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1종의 수지 성분 단독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의 수지 성분을 조합한 블렌드 폴리머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1층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 성분에 의해 2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제막성의 관점에서는, 이들 층은, 각각, 2종 이상의 수지 성분을 조합한 블렌드 폴리머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렌드 폴리머로 하는 경우, 제1 폴리올레핀층(12a)에 대해서는,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50질량% 이상의 성분)으로 하고, 50질량% 이하를 다른 수지(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대해서는,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50질량% 이상의 성분)으로 하고, 50질량% 이하를 다른 수지(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내전해액성의 관점에서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은, 수지로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수지로서 산변성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필요에 따라 충전제를 포함해도 된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이 충전제를 포함함으로써, 충전제가 스페이서(Spacer)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배리어층(33) 사이의 단락(短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충전제의 입경(粒徑)으로서는, 0.1∼35 ㎛ 정도, 바람직하게는 5.0∼3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 정도의 범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충전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각각, 5∼30 질량부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질량부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충전제로서는, 무기계, 유기계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카본, 그래파이트), 실리카, 산화알루미늄, 티탄산 바륨, 산화철, 실리콘 카바이드, 산화지르코늄, 규산 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늄산 칼슘, 수산화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 칼슘 등이 있다. 또한, 유기계 충전제로서는, 예를 들면, 불소 수지,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 폴리메타크릴산메틸 가교물, 폴리에틸렌 가교물 등이 있다. 형상의 안정성, 강성(剛性), 내용물내성(耐性)의 점에서, 산화알루미늄, 실리카, 불소 수지, 아크릴 수지, 벤조구아나민·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이 중에서도 구상(球狀)의 산화알루미늄, 실리카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에 대한 충전제의 혼합 방법으로서는, 사전에 밴버리 믹서 등으로 양자를 멜트 블렌드하고, 마스터배치화한 것을 소정의 혼합비로 하는 방법, 수지 성분과의 직접 혼합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은, 각각, 필요에 따라 안료를 포함해도 된다. 안료로서는, 무기계의 각종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안료의 구체예로서는, 상기 충전제에서 예시한 탄소(카본, 그래파이트)를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탄소(카본, 그래파이트)는, 일반적으로 축전 디바이스의 내부에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며, 전해액에 대한 용출의 우려가 없다. 또한, 착색 효과가 크고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첨가량으로 충분한 착색 효과가 얻어지고 또한, 열에 용융하지 않아, 첨가한 수지의 외관의 용융 점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열접착 시(히트실링 시)에 가압부가 얇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금속단자 사이에서의 우수한 밀봉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 그 첨가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입경이 약 0.03㎛인 카본블랙을 사용한 경우,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각각, 0.05∼0.3 질량부 정도, 바람직하게는 0.1∼0.2 질량부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유무를 센서로 검지 가능한 것, 또는 육안 관찰에 의해 검사 가능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충전제와 안료를 첨가하는 경우, 동일한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충전제와 안료를 첨가해도 되지만,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열 융착성을 저해하지 않는 관점에서는, 충전제 및 안료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 나누어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두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약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각각, 10∼60 ㎛ 정도, 10∼55 ㎛ 정도, 10∼50 ㎛ 정도, 10∼40 ㎛ 정도, 15∼60 ㎛ 정도, 15∼55 ㎛ 정도, 15∼50 ㎛ 정도, 15∼40 ㎛ 정도, 20∼60 ㎛ 정도, 20∼55 ㎛ 정도, 20∼50 ㎛ 정도, 20∼4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합계 두께에 대한, 기재(11)의 두께의 비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0.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4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약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8 이하이며,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0.3∼1.0 정도, 0.3∼0.8 정도, 0.4∼1.0 정도, 0.4∼0.8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총두께를 100%로 한 경우,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합계 두께의 비율로서는, 바람직하게는 30∼8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70 % 정도이다.
[기재(11)]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에 있어서, 기재(11)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지지체로서 기능하는 층이다.
기재(11)는, 상기한 융해 피크 온도를 가진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기재(11)는 상기한 표면경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1)를 형성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11)를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규소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공중합물 등이 있고, 이들 중에서도, 특히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즉, 기재(11)를 형성하는 소재는, 폴리올레핀, 산변성 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골격을 포함하는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재(11)를 구성하고 있는 수지가 폴리올레핀 골격을 포함하는 것은, 예를 들면, 적외분광법,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 등에 의해 분석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재(11)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에 의해 형성된 층은, 연신(延伸) 폴리올레핀 필름 이라도 되고, 미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이라도되지만, 미연신 폴리올레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등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프로필렌의 터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예로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내전해액성이 우수하므로, 기재(11)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미연신 호모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아미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나일론12, 나일론46, 나일론6과 나일론66의 공중합체 등의 지방족계 폴리아미드;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에 유래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나일론6I, 나일론6T, 나일론6IT, 나일론6I6T(I는 이소프탈산, T는 테레프탈산을 나타냄) 등의 헥사메틸렌디아민-이소프탈산-테레프탈산 공중합 폴리아미드, 폴리메타크실릴렌아디파미드(MXD6) 등의 방향족을 포함하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노메틸시클로헥실아디파미드(PACM6)등의 지환계 폴리아미드; 또한 락탐 성분이나,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공중합시킨 폴리아미드, 공중합 폴리아미드와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알킬렌에테르글리콜의 공중합체인 폴리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나 폴리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공중합체;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아미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폴리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하여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와 중합하는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에 따라서 약칭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트륨술포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트륨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페닐-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데칸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반복단위의 주체로 하여 부틸렌이소프탈레이트와 중합하는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소프탈레이트)에 따라서 약칭함),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아디페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데칸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기재(11)는, 상기한 수지로 형성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재(11)가 부직포인 경우, 기재(11)는, 전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11)는, 단층(單層)이라도 되고, 복층이라도 된다. 기재(11)가 복층인 경우, 적어도 1개의 층에, 상기 융해 피크 온도 135℃ 이상인 층이 포함되어 있으면 된다. 복층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블록 폴리프로필렌/호모 폴리프로필렌/블록 폴리프로필렌 또는 랜덤 프로필렌/블록 프로필렌/랜덤 프로필렌이 순서대로 적층된 3층 구성 등이 있다.
또한, 기재(11)에 착색제를 배합함으로써, 기재(11)를, 착색제를 포함하는 층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투명도가 낮은 수지를 선택하여, 광투과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기재(11)가 필름인 경우에는, 착색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나, 투명도가 낮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1)가 부직포인 경우에는, 착색제를 포함하는 섬유나 바인더를 사용한 부직포나, 투명도가 낮은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11)가 수지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기재(11)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코로나 방전 처리, 오존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공지의 이접착(易接着) 수단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기재(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하이다. 또한, 기재(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이상이다. 기재(11)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20∼120 ㎛ 정도, 20∼110 ㎛ 정도, 20∼100 ㎛ 정도, 20∼90 ㎛ 정도, 30∼120 ㎛ 정도, 30∼110 ㎛ 정도, 30∼100 ㎛ 정도, 30∼90 ㎛ 정도, 40∼120 ㎛ 정도, 40∼110 ㎛ 정도, 40∼100 ㎛ 정도, 40∼9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착층(13a)은, 제1 폴리올레핀층(12a)과 기재(11) 사이에 배치된 층이다. 또한, 제2 접착층(13b)은,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기재(11) 사이에 배치된 층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또한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하는 관점에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면,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제1 접착층(13a) 또는 제2 접착층(13b)로부터 축전 디바이스를 개봉시킬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제1 접착층(13a)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접착층(13a)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며, 제1 접착층(13a)으로부터 개봉된다. 또한, 제2 접착층(13b)만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2 접착층(13b)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며, 제2 접착층(13b)으로부터 개봉된다. 또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의 양쪽을 가지는 경우에는,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이며, 융해 피크 온도는 100℃ 이하인 층으로부터 개봉된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는, 각각,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탄화 수소계 용제에 용해할 정도의 분자량을 가지는 산 변성된 폴리올레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불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 그래프트 변성된 폴리올레핀을 예로 들 수 있다. 산 변성되는 폴리올레핀, 및 산변성에 사용되는 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서는, 각각, 상기한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항목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이 예시된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은, WO2015/033703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는, 각각,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 및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P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DI), 트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이들을 폴리머화나 누레트화한 것, 이들의 혼합물이나 터폴리머와의 공중합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어덕트체,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함유량으로서는, 각각,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 0.1∼5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4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화합물은, 옥사졸린 골격을 구비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폴리스티렌 주쇄을 가지는 것, 아크릴 주쇄를 가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닛폰쇼쿠바이(日本觸媒)사에서 제조한 에포크로스 시리즈 등이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에서의,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비율로서는, 각각,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중, 0.1∼5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4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가 있다. 에폭시 수지로서는, 분자 내에 존재하는 에폭시기에 의해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수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0∼20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000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800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표준 샘플로서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조건에서 측정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의해 측정된 값이다.
에폭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의 글리시딜에테르 유도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변성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형 글리시딜에테르, 노볼락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린폴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1종류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에서의, 에폭시 수지의 비율로서는, 각각,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 0.1∼5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0.5∼40 질량%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효과를 보다 바람직하게 나타내는 관점에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의 두께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약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약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 이하이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의 두께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각각, 0.1∼5 ㎛ 정도, 0.1∼3 ㎛ 정도, 1∼5 ㎛ 정도, 1∼3 ㎛ 정도, 2∼5 ㎛ 정도, 2∼3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는, 드라이라미네이트법, 바코팅법, 롤코팅법, 그라비아코팅법 등의 공지의 도포법으로 도포·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형성하는 접착제(수지와 경화제와 용매의 혼합액)의 도포량으로서는, 상기한 두께가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0.05∼3.0 mg/m2 정도, 바람직하게는 0.1∼2.0mg/m2 정도로 하면 된다.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예를 들면, 기재(11)의 양쪽 표면 상에, 각각,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통하여,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을 적층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을 통한, 기재(11)와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적층은,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적층할 수 있다.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을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사이에 개재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단자(2)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에 있어서, 금속단자(2)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을 권취해도 된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금속단자(2)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2개의 금속단자(2)를 횡단하도록 하여, 금속단자(2)의 양면 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금속단자(2)]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은,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사이에 개재시켜서 사용된다. 금속단자(2)(탭)는,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전극(양극 또는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도전(導電) 부재이며,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금속단자(2)를 구성하는 금속 재료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구리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리튬 이온 축전 디바이스의 양극에 접속되는 금속단자(2)는, 통상, 알루미늄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축전 디바이스의 음극에 접속되는 금속단자(2)는, 통상, 구리, 니켈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금속단자(2)의 표면은, 내전해액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화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금속단자(2)가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성 처리의 구체예로서는, 인산염, 크롬산염, 불화물, 트리아진티올 화합물 등의 내식성(耐蝕性)피막을 형성하는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내식성피막을 형성하는 방법 중에서도, 페놀 수지, 불화 크롬(III)화합물, 인산의 3성분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는 인산 크로메이트 처리가 바람직하다.
금속단자(2)의 크기는, 사용되는 축전 디바이스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하면 된다. 금속단자(2)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50∼100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70∼800 ㎛ 정도를 에로 들 수 있다. 또한, 금속단자(2)의 길이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200 mm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0 mm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금속단자(2)의 폭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1∼200 mm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0 mm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로서는, 적어도, 기재층(31), 배리어층(33), 및 열 융착성 수지층(35)을 이 순서로 가지는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6에,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단면 구조의 일례로서, 기재층(31),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접착제층(32), 배리어층(33),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접착층(34), 및 열 융착성 수지층(35)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태양에 대하여 나타낸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는, 기재층(31)이 외층측이 되고, 열 융착성 수지층(35)이 최내층이 된다. 축전 디바이스의 조립 시에,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주위 에지에 위치하는 열 융착성 수지층(35)끼리를 접면시켜서 열 융착함으로써 축전 디바이스 소자(4)가 밀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소자(4)가 봉지된다. 그리고, 도 1∼도 3에는, 엠보싱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 엠보싱 타입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를 사용한 경우의 축전 디바이스(10)를 도시하고 있지만,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는 성형되어 있지 않은 파우치 타입이라도 된다. 그리고, 파우치 타입에는, 3방향 실링, 4방향 실링, 필로우 타입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타입이라도 된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를 구성하는 적층체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한에 대해서는, 비용 삭감, 에너지 밀도 향상 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180㎛ 이하, 약 160㎛ 이하, 약 155㎛ 이하, 약 140㎛ 이하, 약 130㎛ 이하, 약 120㎛ 이하를 예로 들 수 있고, 하한에 대해서는,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보호한다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기능을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35㎛ 이상, 약 45㎛ 이상, 약 60㎛ 이상, 약 80㎛ 이상을 예로 들 수 있고, 바람직한 범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35∼180 ㎛ 정도, 35∼160 ㎛ 정도, 35∼155 ㎛ 정도, 35∼140 ㎛ 정도, 35∼130 ㎛ 정도, 35∼120 ㎛ 정도, 45∼180 ㎛ 정도, 45∼160 ㎛ 정도, 45∼155 ㎛ 정도, 45∼140 ㎛ 정도, 45∼130 ㎛ 정도, 45∼120 ㎛ 정도, 60∼180 ㎛ 정도, 60∼160 ㎛ 정도, 60∼155 ㎛ 정도, 60∼140 ㎛ 정도, 60∼130 ㎛ 정도, 60∼120 ㎛ 정도, 80∼180 ㎛ 정도, 80∼160 ㎛ 정도, 80∼155 ㎛ 정도, 80∼140 ㎛ 정도, 80∼130 ㎛ 정도, 80∼120 ㎛ 정도이다.
(기재층(31))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 기재층(31)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기재로서 기능하는 층이며, 최외층(最外層) 측을 형성하는 층이다.
기재층(31)을 형성하는 소재에 대해서는, 절연성을 구비하는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재층(31)을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 폴리우레탄, 규소 수지, 페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이미드, 및 이들의 혼합물이나 공중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는, 내전해액성이 우수하고, 전해액의 부착에 대하여 백화(白化) 등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어, 기재층(31)의 형성 소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폴리아미드 필름은 연신성이 우수하고, 성형 시의 기재층(31)의 수지 균열에 의한 백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기재층(31)의 형성 소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기재층(31)은, 1축 또는 2축 연신된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미연신의 수지 필름으로 형성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1축 또는 2축 연신된 수지 필름, 특히 2축 연신된 수지 필름은, 배향결정화함으로써 내열성이 향상되고 있으므로, 기재층(31)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중에서도, 기재층(31)을 형성하는 수지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더욱 바람직하게는 2축 연신 나일론,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를 예로 들 수 있다.
기재층(31)은, 내(耐)핀홀성 및 축전 디바이스의 포장체로 했을 때의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소재의 수지 필름을 적층화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나일론 필름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나,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와 2축 연신 나일론을 적층시킨 다층 구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재층(31)을 다층 구조로 하는 경우, 각 수지 필름은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해도 되고, 또한 접착제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적층시켜도 된다. 접착제를 통하지 않고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공압출법, 샌드 라미네이트법, 서멀 라미네이트법 등의 열용융 상태에서 접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기재층(31)은, 성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마찰화시켜 두어도 된다. 기재층(31)을 저마찰화시키는 경우, 그 표면의 마찰계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 이하이다. 기재층(31)을 저마찰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매트 처리, 슬립제의 박막층의 형성,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기재층(31)의 두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0∼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5∼30 ㎛ 정도이다.
(접착제층(32))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에 밀착성을 부여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기재층(31) 위에 배치되는 층이다. 즉,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 사이에 설치된다.
접착제층(32)은,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을 접착 가능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층(32)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2액 경화형 접착제라도 되고, 또한 1액 경화형 접착제라도 된다. 또한, 접착제층(32)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접착 기구(機構)에 대해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화학반응형, 용제휘발형, 열용융형, 열압형 등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
접착제층(32)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전연성(展延性), 고습도 조건 하에서의 내구성이나 황변 억제 작용, 히트실링 시의 열열화억제 작용 등이 우수하고,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 사이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여 디라미네이션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2액 경화형 접착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이들과 변성 폴리올레핀의 블렌딩 수지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접착제층(32)은 상이한 접착제 성분으로 다층화해도 된다. 접착제층(32)을 상이한 접착제 성분으로 다층화하는 경우, 기재층(31)과 배리어층(33)의 라미네이트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기재층(31)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 성분으로서 기재층(31)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수지를 선택하고, 배리어층(33)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 성분으로서 배리어층(33)과의 접착성이 우수한 접착제 성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32)은 상이한 접착제 성분으로 다층화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배리어층(33) 측에 배치되는 접착제 성분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산변성 폴리올레핀, 금속변성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와 산변성 폴리올레핀의 혼합 수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수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접착제층(32)의 두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0.5∼5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25 ㎛ 정도이다.
(배리어층(33))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 배리어층(33)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강도 향상 외에,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 수증기, 산소, 광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다. 배리어층(33)은, 금속층, 즉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층(33)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예로 들 수 있다. 배리어층(33)은, 예를 들면, 금속박이나 금속 증착막, 무기 산화물 증착막, 탄소 함유 무기 산화물 증착막, 이들 증착막을 설치한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금속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제조 시에, 배리어층(33)에 주름이나 핀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배리어층은, 예를 들면, 소둔(燒鈍) 처리된 알루미늄(JIS H4160:1994 A8021H-O, JIS H4160:1994 A8079H-O, JIS H4000:2014 A8021P-O, JIS H4000:2014 A8079P-O) 등 연질 알루미늄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리어층(33)의 두께에 대해서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박형화하면서, 성형에 의해서도 핀홀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20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0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배리어층(33)은, 접착의 안정화, 용해나 부식의 방지 등을 위하여, 적어도 한쪽 면, 바람직하게는 양면이 화성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성 처리란, 배리어층의 표면에 내식성 피막을 형성하는 처리를 일컫는다.
(접착층(34))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 접착층(34)은, 열 융착성 수지층(35)을 견고하게 접착시키기 위하여, 배리어층(33)과 열 융착성 수지층(35) 사이에,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층이다.
접착층(34)은, 배리어층(33)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을 접착가 능한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조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있다.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제1 폴리올레핀층(12a) 및 제2 폴리올레핀층(12b)에서 예시한 것과 동일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접착층(34)의 두께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1∼40 ㎛ 정도, 바람직하게는 2∼30 ㎛ 정도이다.
(열 융착성 수지층(35))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있어서, 열 융착성 수지층(35)은, 최내층에 해당하고, 축전 디바이스의 조립 시에 열 융착성 수지층끼리가 열융착하여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밀봉하는 층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사용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mp3)와,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융해 피크 온도(mp1)의 차의 절대값으로서는, 바람직하게는 0∼5 ℃ 정도, 0∼3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융해 피크 온도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즉, 상기 차의 절대값이 0℃에 가까울수록),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에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개재시켜 히트실링할 때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과 제2 폴리올레핀 수지층(12b)이 함께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밀착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열 융착성 수지층(35)에 사용되는 수지 성분에 대해서는, 열 융착 가능한 것을 한도로 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환형 폴리올레핀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사용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멜트매스플로우레이트(MFR) T4와,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멜트매스플로우레이트(MFR) T2의 차의 절대값은, 바람직하게는 0∼5g/10min 정도, 0∼3g/10min 정도이다. 멜트매스플로우레이트(MFR) T4와 멜트매스플로우레이트(MFR) T2의 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즉, 상기 차의 절대값이 0g/10min에 가까울수록),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개재시켜 히트실링할 때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과 제2 폴리올레핀 수지층(12b)이 함께 용융함으로써,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밀착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상기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호모 폴리프로필렌, 폴리프로필렌의 블록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블록 코폴리머), 폴리프로필렌의 랜덤 코폴리머(예를 들면,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코폴리머) 등의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부텐-프로필렌의 터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환형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과 환형 모노머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환형 폴리올레핀의 구성 모노머인 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4-메틸-1-펜텐,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이 있다. 또한, 상기 환형 폴리올레핀의 구성 모노머인 환형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 등의 환형 알켄; 구체적으로는, 시클로펜타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헥사디엔, 노르보르나디엔 등의 환형 디엔 등이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환형 알켄, 더욱 바람직하게는 노르보르넨이 있다. 구성 모노머로서는, 스티렌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성분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결정성 또는 비정성의 폴리올레핀, 환형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블렌드 폴리머;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블렌드 폴리머를 예로 들 수 있다.
열 융착성 수지층(35)은, 1종의 수지 성분 단독으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의 수지 성분을 조합한 블렌드 폴리머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한, 열 융착성 수지층(35)은, 1층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수지 성분에 의해 2층 이상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폴리올레핀층(12b)과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수지가 공통되어 있으면, 이들 층 사이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로서는, 예를 들면, 약 12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35℃ 이상이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약 1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 이하이다. 또한,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120∼160 ℃ 정도, 120∼155 ℃ 정도, 125∼160 ℃ 정도, 125∼155 ℃ 정도, 130∼160 ℃ 정도, 130∼155 ℃ 정도, 135∼160 ℃ 정도, 135∼155 ℃ 정도, 140∼160 ℃ 정도, 140∼155 ℃ 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12b)의 융해 피크 온도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융해 피크 온도가 모두 130℃ 이상인 것에 의해,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두께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2∼20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5∼1000 ㎛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0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열 융착성 수지층(35)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면, 약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5 ㎛ 정도이다. 그리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접착층(5)의 두께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열 융착성 수지층(4)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5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접착층(5)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나 접착층(5)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열 융착성 수지층(4)의 두께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약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85 ㎛ 정도를 예로 들 수 있다.
2. 축전 디바이스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10)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4)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와, 양극 및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외측으로 돌출한 금속단자(2)를 구비하고 있다.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10)에 있어서는,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사이에,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10)는, 금속단자(2)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 사이에,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이 개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에서, 양극 및 음극의 각각에 접속된 금속단자(2)를 외측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을 금속단자(2)와 열 융착성 수지층(35) 사이에 개재시켜, 축전 디바이스 소자(4)의 주위 에지에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플랜지부(열 융착성 수지층(35)끼리가 접촉하는 영역이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주위 에지부(3a))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피복하고, 플랜지부의 열 융착성 수지층(35)끼리를 히트실링하여 밀봉시킴으로써,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를 사용한 축전 디바이스(10)가 제공된다. 그리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를 사용하여 축전 디바이스 소자(4)를 수용하는 경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3)의 열 융착성 수지층(35)이 내측(축전 디바이스 소자(4)와 접하는 면)이 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또한,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10)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양극 및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적층체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2 폴리올레핀층과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축전 디바이스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축전 디바이스라도 된다. 즉, 상기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축전 디바이스가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1 접착층(13a) 또는 제2 접착층(13b)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것이면,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는 135℃ 이상이 아니라도 되고, 또한 제1 접착층(12a) 및 제2 접착층(12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도 100℃ 이하가 아니라도 된다. 상기한 본 개시의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과 같이, 기재(11)의 융해 피크 온도는 135℃ 이상이며, 또한, 제1 접착층(13a) 및 제2 접착층(13b)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면, 온도 100℃ 이상 1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1)의 제1 접착층(13a) 또는 제2 접착층(13b)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축전 디바이스를 바람직하게 개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10)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며,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 융착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0℃ 이상인, 축전 디바이스라도 된다. 즉, 상기 축전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의 융해 피크 온도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모두 130℃ 이상이다. 축전 디바이스가 이와 같은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축전 디바이스가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될 때까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열 융착성 수지층을 밀착하고, 축전 디바이스가 상기 고온(예를 들면, 100℃로부터 130℃, 바람직하게는 110℃로부터 130℃,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로부터 130℃)이 된 경우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위치에서 축전 디바이스가 개봉되어, 축전 디바이스 내부에서 발생한 가스를 외부에 방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전지(콘덴서, 커패시터 등을 포함함) 등의 축전 디바이스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1차전지, 2차전지의 어디에 사용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2차전지이다.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가 적용되는 2차전지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 전고체 전지, 납축전지, 니켈·수소 축전지, 니켈·카드뮴 축전지, 니켈·철 축전지, 니켈 아연 축전지, 산화은·아연 축전지, 금속건식 전지, 다가 양이온 전지, 콘덴서, 커패시터 등이 있다. 이들 2차전지 중에서도, 본 개시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바람직한 적용 대상으로서, 리튬이온 전지 및 리튬이온 폴리머 전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고 본 개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WO2015/033703을 참고하여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산가 20mgKOH/g-resin, 중량평균분자량 70,000)를 얻었다. 다음으로, 메틸시클로헥산을 사용하여 10% 용해액을 제작하고, 아사히화성(旭化成)에서 제조한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TAP100)을 1.5% 첨가하여, 접착제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기재로서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 호모 폴리프로필렌, 두께 40㎛, 융해 피크 온도 163℃)을 준비하고, 한쪽 면에 접착제(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를 도포량 2g/m2로 도포하고,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온도 120℃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PPa, 두께 20㎛, 융해 피크 온도 140℃)을 라미네이트했다. 그리고, 기재의 반대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PPa, 두께 20㎛, 융해 피크 온도 140℃)을 라미네이트하고, 80℃ 72시간 에이징하려, 제1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제1 접착층(PPa경화층 두께 2㎛)/기재(CPP층 두께 40㎛)/제2 접착층(PPa경화층 두께 2㎛ )/제2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이 순서대로 적층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얻었다.
<접착제층의 융해 피크 온도 측정>
접착제를 100㎛의 두께로 도포하고, 건조 후, 80℃로 72시간 가열 경화시키고, JIS K7121:2012(플라스틱의 전이 온도 측정 방법(JIS K7121:1987의 추보 1))의 규정에 준거하여 융해 피크 온도를 측정했다. 측정은, 시차주사 열량계(DSC, 티·에이·인스트루먼트에서 제조한 시차주사 열량계 Q200)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측정 샘플을, -50℃로 15분간 유지한 후, 10℃/분의 승온 속도로 -50℃로부터 210℃까지 승온시키고, 1회째의 융해 피크 온도 P(℃)를 측정한 후, 210℃로 10분간 유지했다. 다음으로, 10℃/분의 강온 속도로 210℃로부터 -50℃까지 강온시키고 15분간 유지했다. 또한, 10℃/분의 승온 속도로 -50℃로부터 210℃까지 승온시키고 2회째의 융해 피크 온도 Q(℃)를 측정했다. 그리고, 질소 가스의 유량은 50ml/분으로 했다. 이상의 수순에 의해, 1회째에 측정되는 융해 피크 온도 P(℃)와, 2회째에 측정되는 융해 피크 온도 Q(℃)를 구하고, 1회째에 측정된 융해 피크 온도를 융해 피크 온도로 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기재의 표면경도의 측정>
기재의 표면경도로서는, 마르텐스 경도를 채용했다. 기재로서 사용한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을, 양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슬라이드 글라스(76mm×26mm×1mm)의 한쪽 면에 접착하고, 측정 샘플로 했다. 다음으로, 비커스압자를 장착한 초미소경도계(예를 들면, 피셔·인스트루먼츠사에서 제조한 HM2000)에 가열 스테이지를 설치하고, 스테이지 온도를 110℃로 설정하여 샘플을 5분 가열했다. 다음으로, 측정 샘플의 기재측의 표면에 대하여 압자를 압입 속도 0.1㎛/s로 깊이 1㎛까지 밀어넣고, 표면경도를 측정했다. 측정값은 10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사용했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개봉 시험 방법>
폭 4mm, 두께 70㎛, 길이 40mm의 알루미늄판을 금속단자로 했다. 또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길이 1cm, 폭 1cm의 사이즈로 재단(裁斷)했다. 다음으로, 도 5의 모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과 금속단자의 장변(長邊)이 직교하도록 하여,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2장 사이에, 금속단자를 끼우고, 압력 0.2MPa, 온도 180℃, 시간 3초의 조건으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금속단자에 열융착시켜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얻었다. 또한, 기재층(PET(두께 12㎛)/접착제(두께 2㎛)/나일론(두께 15㎛))/접착제층(두께 2㎛)/배리어층(알루미늄 합금박 두께 40㎛)/접착층(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두께 25㎛)/열 융착성 수지층(폴리프로필렌 융해 피크 온도 150℃, 두께 25㎛)이 이 순서로 적층된, 총두께 121㎛의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준비하고, 8cm×19cm의 사이즈로 재단했다. 다음으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단변 측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2개를 2cm의 간극을 두고 설치하고,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장변을 접었다. 다음으로, 압력 0.5MPa, 온도 190℃, 실링 폭 3mm의 조건으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배치한 단변 측을 히트실링했다. 또한, 한쪽의 장변측을 동일하게 하여 히트실링하고, 백형(bag type)이 된 샘플에 물 1g을 넣은 후, 개구변(장변측)을 동일하게 히트실링하여, 물을 밀봉한 시험 샘플로 했다. 시험 샘플의 금속단자 부분에 열전대(熱電對)를 장착하고, 오븐 내에 설치하고, 실온(25℃)으로부터 승온 속도 6℃/분으로 시험 샘플 온도를 140℃가 될 때까지 가열했다. 120℃ 이상 130℃ 이하 사이에 개봉된 경우에는 평가 A, 100℃ 이상 120℃ 미만에서 개봉된 경우에는 평가 B, 130℃를 초과하여 140℃ 이하에서 개봉된 경우 또는 130℃를 초과하고 140℃에서도 개봉되지 않은 경우를 평가 C로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절연성 평가>
상기 <개봉시험>에서 준비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1cm×4cm의 사이즈로 재단했다. 다음으로, 이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2장 사이에, 열 융착성 수지층이 대향하도록 하여, 상기에서 제작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를 배치했다. 다음으로,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알루미늄 합금박을, 각각 저항률계에 접속했다. 이 상태에서, 저항률계로 100V로 인가하면서, 폭 7mm, 190℃의 히트실링 바를 사용하여,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와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히트실링(압력 0.5MPa, 10초간)했다. 히트실링하고 있는 동안, 저항률계의 값이 200MΩ 이상이면 평가 A, 200MΩ 미만이면 평가 C로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접착제에 사용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산가 15mgKOH/g-resin, 중량평균분자량 40,000)로 하고,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융해 피크 온도를 각각 85℃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실시예 3
기재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융해 피크 온도 140℃, 110℃의 표면경도 16N/mm2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실시예 4
접착제를 기재의 금속단자 측에 사용하고, 기재의 외장재 측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PPa, 두께 20㎛, 융해 피크 온도 140℃)을 진공 챔버 내에서, 190℃로 15초 열 융착시킨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제1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제1 접착층(PPa경화층 두께 2㎛)/기재(CPP층 두께 40㎛)/제2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이 순서대로 적층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실시예 5
접착제를 기재의 외장재 측에 사용하고, 기재의 금속단자 측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와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PPa, 두께 20㎛, 융해 피크 온도 140℃)을 진공 챔버 내에서, 190℃로 15초 열 융착시킨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제1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기재(CPP층 두께 40㎛)/제2 접착층(PPa경화층 두께 2㎛)/제2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비교예 1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기재의 양면을 각각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필름(PPa, 두께 20㎛, 융해 피크 온도 140℃)과 진공 챔버 내에서, 190℃로 15초 열 융착시킨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제1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기재(CPP층 두께 40㎛)/제2 폴리올레핀층(PPa층 두께 20㎛)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비교예 2
기재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융해 피크 온도 133℃, 110℃의 표면경도 12N/mm2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비교예 3
접착제에 사용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산가 7mgKOH/g-resin, 중량평균분자량 180,000)로 하고,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융해 피크 온도를 105℃로 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비교예 4
접착제에 사용하는 산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산가 7mgKOH/g-resin, 중량평균분자량 180,000)로 하고,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융해 피크 온도를 105℃로 하고, 기재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융해 피크 온도 133℃, 110℃의 표면경도 12N/mm2의 미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변경한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샘플을 제작하고, 평가했다.
[표 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하기 태양의 발명을 제공한다.
항 1.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2. 온도 110℃ 환경에서 측정되는 상기 기재의 표면경도가, 15N/mm2 이상인, 항 1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3.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4.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 중 적어도 한쪽은,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5.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6.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골격을 포함하는, 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항 7.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 상기 기재,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항 8. 금속단자에,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항 9.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
항 10.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상기 축전 디바이스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축전 디바이스.
항 11.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며,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 융착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0℃ 이상인, 축전 디바이스.
항 12. 축전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서,
상기 축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 융착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의 융해 피크 온도보다 높고 또한 130℃ 이상인,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항 13.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개재시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 봉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2: 금속단자
3: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3a: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주위 에지부
4: 축전 디바이스 소자
10: 축전 디바이스
11: 기재
12a: 제1 폴리올레핀층
12b: 제2 폴리올레핀층
13a: 제1 접착층
13b: 제2 접착층
31: 기재층
32: 접착제층
33: 배리어층
34: 접착층
35: 열 융착성 수지층
2: 금속단자
3: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3a: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주위 에지부
4: 축전 디바이스 소자
10: 축전 디바이스
11: 기재
12a: 제1 폴리올레핀층
12b: 제2 폴리올레핀층
13a: 제1 접착층
13b: 제2 접착층
31: 기재층
32: 접착제층
33: 배리어층
34: 접착층
35: 열 융착성 수지층
Claims (13)
-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封止)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基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온도 110℃ 환경에서 측정되는 상기 기재의 표면경도가, 15N/mm2 이상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 중 적어도 한쪽은, 산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은, 각각, 산변성 폴리올레핀과 경화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폴리올레핀 골격을 포함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 축전 디바이스 소자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개재되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 상기 기재, 및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인,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 금속단자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는, 축전 디바이스. -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상기 축전 디바이스는,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開封)되는, 축전 디바이스. -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적층체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1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2 폴리올레핀층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제2 접착층을 가지거나,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을 모두 가지는 것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기재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5℃ 이상이며,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한쪽의 융해 피크 온도가, 100℃ 이하이며,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 융착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130℃ 이상인, 축전 디바이스. - 축전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서,
상기 축전 디바이스는,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이 개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은, 상기 금속단자 측에 배치되는 제1 폴리올레핀층과, 기재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측에 배치되는 제2 폴리올레핀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온도 100℃ 이상 130℃ 이하의 환경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접착층 또는 상기 제2 접착층이 적층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개봉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는, 적어도, 기재층, 배리어층 및 열 융착성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열 융착성 수지층의 융해 피크 온도가 상기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상기 제1 폴리올레핀층의 융해 피크 온도보다 높고 또한 130℃ 이상인,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 적어도, 양극, 음극 및 전해질을 구비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봉지하는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와,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의 외측으로 돌출한 상기 금속단자를 구비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단자와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 사이에,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개재시켜, 상기 축전 디바이스 소자를 상기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로 봉지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20066731 | 2020-04-02 | ||
JPJP-P-2020-066731 | 2020-04-02 | ||
JPJP-P-2020-144421 | 2020-08-28 | ||
JP2020144421 | 2020-08-28 | ||
PCT/JP2021/014140 WO2021201214A1 (ja) | 2020-04-02 | 2021-04-01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2120A true KR20220162120A (ko) | 2022-12-07 |
Family
ID=7792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4139A KR20220162120A (ko) | 2020-04-02 | 2021-04-01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63388A1 (ko) |
EP (1) | EP4131305A1 (ko) |
JP (1) | JP7088437B2 (ko) |
KR (1) | KR20220162120A (ko) |
CN (1) | CN115398724A (ko) |
WO (1) | WO20212012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97872B (zh) * | 2022-01-29 | 2024-08-20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化学装置及包含该电化学装置的电子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8616A (ja) | 2000-06-16 | 2002-01-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安全弁の形成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2015079638A (ja) | 2013-10-17 | 2015-04-23 | 大倉工業株式会社 | 接着用テープ付き端子、接着用テープ付き端子の製造方法及び薄型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08696B2 (ja) * | 2008-03-17 | 2013-10-09 | 藤森工業株式会社 | 封止フィルムおよび封止フィルム付電極 |
JP5626394B2 (ja) * | 2013-02-06 | 2014-11-19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電池用包装材料 |
WO2014123164A1 (ja) | 2013-02-06 | 2014-08-14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電池用包装材料 |
JPWO2015033703A1 (ja) | 2013-09-03 | 2017-03-02 | 東洋紡株式会社 | ポリオレフィン系接着剤組成物 |
JP2017139120A (ja) | 2016-02-03 | 2017-08-1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 |
CN110808342B (zh) * | 2016-12-16 | 2022-09-30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金属端子用粘接性膜 |
-
2021
- 2021-04-01 WO PCT/JP2021/014140 patent/WO2021201214A1/ja unknown
- 2021-04-01 JP JP2022509120A patent/JP7088437B2/ja active Active
- 2021-04-01 CN CN202180025899.0A patent/CN115398724A/zh active Pending
- 2021-04-01 KR KR1020227024139A patent/KR20220162120A/ko unknown
- 2021-04-01 EP EP21780034.1A patent/EP4131305A1/en active Pending
- 2021-04-01 US US17/914,922 patent/US20230163388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08616A (ja) | 2000-06-16 | 2002-01-11 | Mitsubishi Heavy Ind Ltd |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安全弁の形成方法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JP2015079638A (ja) | 2013-10-17 | 2015-04-23 | 大倉工業株式会社 | 接着用テープ付き端子、接着用テープ付き端子の製造方法及び薄型電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30163388A1 (en) | 2023-05-25 |
CN115398724A (zh) | 2022-11-25 |
WO2021201214A1 (ja) | 2021-10-07 |
JP7088437B2 (ja) | 2022-06-21 |
EP4131305A1 (en) | 2023-02-08 |
JPWO2021201214A1 (ko) | 2021-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950857B2 (ja)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US20220290011A1 (en) | Adhesive film for metal terminal, metal terminal with adhesive film for metal terminal, power storage device using said adhesive film for metal terminal, and method for producing power storage device | |
JP2023139019A (ja) | 電池、その製造方法、及び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巻取体 | |
KR20220162119A (ko)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CN115280585B (zh) | 金属端子用粘合性膜、其制造方法、附带该膜的金属端子、蓄电器件及其制造方法 | |
KR20220162120A (ko)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WO2021090950A1 (ja)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当該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用いた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JP7460852B2 (ja) | 接着性フィルム、接着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蓄電デバイス、及び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 |
KR20240087672A (ko)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WO2024210217A1 (ja)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と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備えるキット、並びに、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WO2024214636A1 (ja) | 半固体電池用内袋フィルム及び半固体電池 | |
WO2024210218A1 (ja) | 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付き金属端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蓄電デバイス用外装材と金属端子用接着性フィルムを備えるキット、並びに、蓄電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240001132A (ko) | 접착성 필름,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KR20240076787A (ko) | 접착성 필름, 접착성 필름의 제조 방법,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KR20230039609A (ko) |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단자, 해당 금속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이용한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KR20240001123A (ko) | 접착성 필름, 축전 디바이스,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 |
KR20240140054A (ko) | 금속 단자용 접착성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금속 단자용 접착성 필름 부착 금속 단자, 해당 금속 단자용 접착성 필름을 이용한 축전 디바이스, 금속 단자용 접착성 필름과 축전 디바이스용 외장재를 포함하는 키트, 및 축전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