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3713A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53713A KR20220153713A KR1020210060713A KR20210060713A KR20220153713A KR 20220153713 A KR20220153713 A KR 20220153713A KR 1020210060713 A KR1020210060713 A KR 1020210060713A KR 20210060713 A KR20210060713 A KR 20210060713A KR 20220153713 A KR20220153713 A KR 2022015371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
- molochia
- preventing
- group
- weight
- Prior art date
Links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08000030159 metabolic disease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4000227473 Corchorus olitori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SHZGCJCMOBCMKK-UHFFFAOYSA-N D-mannomethylose Natural products CC1OC(O)C(O)C(O)C1O SHZGCJCMOBCMK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SRBFZHDQGSBBOR-IOVATXLUSA-N D-xyl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H]1COC(O)[C@H](O)[C@H]1O SRBFZHDQGSBBOR-IOVATXLU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PYMYPHUHKUWMLA-UHFFFAOYSA-N arabinose Natural products OCC(O)C(O)C(O)C=O PYMYPHUHKUWML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SRBFZHDQGSBBOR-UHFFFAOYSA-N beta-D-Pyranose-Lyxose Natural products OC1COC(O)C(O)C1O SRBFZHDQGSBBO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IAJILQKETJEXLJ-UHFFFAOYSA-N Galacturonsaeure Natural products O=CC(O)C(O)C(O)C(O)C(O)=O IAJILQKETJEXL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08000016097 disease of metaboli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PNNNRSAQSRJVSB-SLPGGIOYSA-N Fucose Natural products C[C@H](O)[C@@H](O)[C@H](O)[C@H](O)C=O PNNNRSAQSRJVSB-SLPGGI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SHZGCJCMOBCMKK-DHVFOXMCSA-N L-fuc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DHVFOXMC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SHZGCJCMOBCMKK-JFNONXLTSA-N L-rhamnopyranose Chemical compound C[C@@H]1OC(O)[C@H](O)[C@H](O)[C@H]1O SHZGCJCMOBCMKK-JFNONXLT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PNNNRSAQSRJVSB-UHFFFAOYSA-N L-rhamnose Natural products CC(O)C(O)C(O)C(O)C=O PNNNRSAQSRJVS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30182830 ga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AEMOLEFTQBMNLQ-YMDCURPLSA-N D-galactopyranu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O[C@H](C(O)=O)[C@H](O)[C@H](O)[C@H]1O AEMOLEFTQBMNLQ-YMDCURPL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AEMOLEFTQBMNLQ-AQKNRBDQSA-N D-glucopyranur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O[C@H](C(O)=O)[C@@H](O)[C@H](O)[C@H]1O AEMOLEFTQBMNLQ-AQKNRBDQ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WQZGKKKJIJFFOK-QTVWNMPRSA-N D-mannopyran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QTVWNMPR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PYMYPHUHKUWMLA-WDCZJNDASA-N arabin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PYMYPHUHKUWMLA-WDCZJNDA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097043 glucuronic acid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08000032928 Dyslipidaemia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17170 Lipid metabolism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08000008338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7
- KYQCXUMVJGMDNG-SHUUEZRQSA-N 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 Chemical class OC[C@@H](O)[C@@H](O)[C@H](O)[C@H](O)CC(=O)C(O)=O KYQCXUMVJGMDNG-SHUUEZRQ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WQZGKKKJIJFFOK-PHYPRBDBSA-N alpha-D-g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PHYPRBDB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08000031773 Insulin resistance syndrome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2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VNYSSYRCGWBHLG-AMOLWHMGSA-N leukotriene B4 Chemical compound CCCCC\C=C/C[C@@H](O)\C=C\C=C\C=C/[C@@H](O)CCCC(O)=O VNYSSYRCGWBHLG-AMOLWHMG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1603 redu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09200 high fat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8214 LDL Choleste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1000010063 epididym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7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08000031226 Hyperlipida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547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1590 norma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5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1 LDL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4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WFDIJRYMOXRFFG-UHFFFAOYSA-N Acet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CC(=O)OC(C)=O WFDIJRYMOXRF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61 Dunnett's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5150 Hypercholesterol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54 ace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02 di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6575 hypertriglycerid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115 thoracic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YBJHBAHKTGYVGT-ZKWXMUAHSA-N (+)-Biotin Chemical compound N1C(=O)N[C@@H]2[C@H](CCCCC(=O)O)SC[C@@H]21 YBJHBAHKTGYVGT-ZKWXMUAHSA-N 0.000 description 2
- GVJHHUAWPYXKBD-UHFFFAOYSA-N (±)-α-Tocopherol Chemical compound OC1=C(C)C(C)=C2OC(CCCC(C)CCCC(C)CCCC(C)C)(C)CCC2=C1C GVJHHUAWPYXK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172 Cardi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28554 LDL Cholesterol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1545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large subunit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3307 Over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LOMVQKBTHCTTD-UHFFFAOYSA-N Zinc monoxide Chemical compound [Zn]=O XLOMVQKBTHCT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18 chewing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2822 chewing g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69 ethanol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VBPIULPVIDEAO-LBPRGKRZSA-N folic acid Chemical compound C=1N=C2NC(N)=NC(=O)C2=NC=1CNC1=CC=C(C(=O)N[C@@H](CCC(O)=O)C(O)=O)C=C1 OVBPIULPVIDEAO-LBPRGKRZ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08 freeze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LNTHITQWFMADLM-UHFFFAOYSA-N gal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O)=C(O)C(O)=C1 LNTHITQWFMADL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0 hep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41476 lactos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8232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125 myocardi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40 portal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AMNXBQPRODZJQR-DITALETJSA-N (2s)-2-cyclopentyl-2-[3-[(2,4-dimethylpyrido[2,3-b]indol-9-yl)methyl]phenyl]-n-[(1r)-2-hydroxy-1-phenyl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1([C@@H](C=2C=CC=C(C=2)CN2C3=CC=CC=C3C3=C(C)C=C(N=C32)C)C(=O)N[C@@H](CO)C=2C=CC=CC=2)CCCC1 AMNXBQPRODZJQR-DITALETJSA-N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REOHCLBHSA-N (S)-ma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O)CC(O)=O BJEPYKJPYRNKOW-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HNSDLXPSAYFUHK-UHFFFAOYSA-N 1,4-bis(2-ethylhexyl) sulfosuccin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OC(=O)CC(S(O)(=O)=O)C(=O)OCC(CC)CCCC HNSDLXPSAYFU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EXFNLNNUZKHNO-UHFFFAOYSA-N 6-[3-[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iperidin-1-yl]-3-oxopropyl]-3H-1,3-benzoxazol-2-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CN(CC1)C(CCC1=CC2=C(NC(O2)=O)C=C1)=O DEXFNLNNUZKHN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DCSYEGIMSA-N Bet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DCSYEGIMSA-N 0.000 description 1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010 Bradford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UHFFFAOYSA-N D-Lyxoflavin Natural products OCC(O)C(O)C(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7722 Dipeptidyl Peptidase 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5012 Dipeptidyl peptidase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DTHNMHAUYICORS-KTKZVXAJSA-N Glucagon-like peptide 1 Chemical class C([C@@H](C(=O)N[C@@H]([C@@H](C)CC)C(=O)N[C@@H](C)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O)N[C@@H](CCCCN)C(=O)NCC(=O)N[C@@H](CCCNC(N)=N)C(N)=O)NC(=O)[C@H](CCC(O)=O)NC(=O)[C@H](CCCCN)NC(=O)[C@H](C)NC(=O)[C@H](C)NC(=O)[C@H](CCC(N)=O)NC(=O)CNC(=O)[C@H](CCC(O)=O)NC(=O)[C@H](CC(C)C)NC(=O)[C@H](CC=1C=CC(O)=CC=1)NC(=O)[C@H](CO)NC(=O)[C@H](CO)NC(=O)[C@@H](NC(=O)[C@H](CC(O)=O)NC(=O)[C@H](CO)NC(=O)[C@@H](NC(=O)[C@H](CC=1C=CC=CC=1)NC(=O)[C@@H](NC(=O)CNC(=O)[C@H](CCC(O)=O)NC(=O)[C@H](C)NC(=O)[C@@H](N)CC=1N=CNC=1)[C@@H](C)O)[C@@H](C)O)C(C)C)C1=CC=CC=C1 DTHNMHAUYICORS-KTKZVXAJ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710 HMGCoA reduct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286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95 Hydroxymethylglutaryl CoA 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580 Increased body weigh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67125 Liver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OVBPIULPVIDEAO-UHFFFAOYSA-N N-Pteroyl-L-glutaminsaeure Natural products C=1N=C2NC(N)=NC(=O)C2=NC=1CNC1=CC=C(C(=O)NC(CCC(O)=O)C(O)=O)C=C1 OVBPIULPVIDEA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0536 PPAR 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6731 PPAR 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1 Pi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1710201696 Protein 2.8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984 Rode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77 Salvia columbariae var. columbari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481 Salvia hispa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98 Salvia hispani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BCKXLBQYZLBQEK-KVVVOXFISA-M Sodium ole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BCKXLBQYZLBQEK-KVVVOXFISA-M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779 Vitamin B1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71 Vitamin B2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BJEPYKJPYRNKOW-UHFFFAOYSA-N alpha-hydroxysuccinic acid Natural products OC(=O)C(O)CC(O)=O BJEPYKJPYRNKO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14 ammon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08 ampu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9 an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83 anti-obesity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36 aqueou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2 bacteri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6 benton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85 bio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58 bio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16 bio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8773 bovine serum albu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2 bradford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465 calc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YRCQGJNNSJ-UBKPKTQASA-L calcium D-pantothenic acid Chemical compound [Ca+2].OCC(C)(C)[C@@H](O)C(=O)NCCC([O-])=O.OCC(C)(C)[C@@H](O)C(=O)NCCC([O-])=O FAPWYRCQGJNNSJ-UBKPKTQASA-L 0.000 description 1
- 229940037769 calcium carbonate 100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FUFJGUQYACFECW-UHFFFAOYSA-L calcium 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OP([O-])([O-])=O FUFJGUQYACFEC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079 calcium pantothe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63 capsule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852 carbohydrate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56 carbohydrate metabolis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67 ch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425 cirrhosis of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DJOLVPMNUYSCM-WZHZPDAFSA-L cobalt(3+);[(2r,3s,4r,5s)-5-(5,6-dimethylbenzimidazol-1-yl)-4-hydroxy-2-(hydroxymethyl)oxolan-3-yl] [(2r)-1-[3-[(1r,2r,3r,4z,7s,9z,12s,13s,14z,17s,18s,19r)-2,13,18-tris(2-amino-2-oxoethyl)-7,12,17-tris(3-amino-3-oxopropyl)-3,5,8,8,13,15,18,19-octamethyl-2 Chemical compound [Co+3].N#[C-].N([C@@H]([C@]1(C)[N-]\C([C@H]([C@@]1(CC(N)=O)C)CCC(N)=O)=C(\C)/C1=N/C([C@H]([C@@]1(CC(N)=O)C)CCC(N)=O)=C\C1=N\C([C@H](C1(C)C)CCC(N)=O)=C/1C)[C@@H]2CC(N)=O)=C\1[C@]2(C)CCC(=O)NC[C@@H](C)OP([O-])(=O)O[C@H]1[C@@H](O)[C@@H](N2C3=CC(C)=C(C)C=C3N=C2)O[C@@H]1CO FDJOLVPMNUYSCM-WZHZPDAF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398 colorimetric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7362 cyclodextrin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00 d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079 dicalcium phosphate anhydro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6 dro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2 effect on obes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96 emo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482 emotion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61 fibr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04 f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2 fo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4 fo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4391 gal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515 gal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IGCFUFOHFEKBI-UHFFFAOYSA-N gamma-tocopher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1CCC2C(C)C(O)C(C)C(C)C2O1 WIGCFUFOHFEK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17 gas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3 gelatin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93 groups of animal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34 hepatic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454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4 hepato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34 high fructose corn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421 hyperglyc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50005809 implitap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969 inflammatory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5 intramuscular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7 intramuscula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8 intraperitoneal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56 lipid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18 live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191 liver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LNQQNXFFQJAID-UHFFFAOYSA-L magnes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Mg+2].[O-]C([O-])=O ZLNQQNXFFQJAI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095 magnesium 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1 magnes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27 male C57BL/6J m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0 ma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90 mal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02 mono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96 mono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65 myocard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53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966 nicotin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52 nicotinam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0 nicotin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QUKIQWCVTZJAF-UHFFFAOYSA-N phenol;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OC1=CC=CC=C1 OQUKIQWCVTZJ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8 potass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35 potass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QEEAPRPFLLJWCF-UHFFFAOYSA-K potassium citr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K+].[K+].[K+].[O-]C(=O)CC(O)(CC([O-])=O)C([O-])=O QEEAPRPFLLJWCF-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82 potassium cit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GNSKLFRGEWLPPA-UHFFFAOYSA-M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OP(O)([O-])=O GNSKLFRGEWLPPA-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9 potent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1 prophylax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2558 protein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93 regulation of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342 retino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73 retinyl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0 ret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GNJRVVDBSJHIZ-QHLGVNSISA-N ret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C(/C)\C=C\C=C(/C)\C=C\C1=C(C)CCCC1(C)C QGNJRVVDBSJHIZ-QHLGVNSI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77 riboflav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7 satie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186 satie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RYYKJJJTJZKILX-UHFFFAOYSA-M sodium octadeca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RYYKJJJTJZKIL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6 standar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Substances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20 sympathetic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92 thaum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36 thauma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DPJRMOMPQZCRJU-UHFFFAOYSA-M thiam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C1=C(CCO)SC=[N+]1CC1=CN=C(C)N=C1N DPJRMOMPQZCRJU-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3 vitamin B1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5 vitamin B1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4 vitamin B2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6 vitamin B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203 vitamin b6 0.5 m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7 zin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4 β-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12—Compounds having a free or esterified carboxyl group attached, directly or through a carbon chain, to a carbon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glucuronic acid, neuramin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blood cholesterol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32—Other phenolic compounds, polypheno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2—Arabino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08—Galacto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Glucose, Dextro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18—Manno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24—Rhamnose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60—Sugars, e.g. mono-, di-, tri-, tetra-saccharides
- A23V2250/638—Xyl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중성지방 및 LTB4 농도를 감소시키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구화된 식단으로 인해, 현대사회는 지질 및 당질대사 이상에 의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질환의 발병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상기 비만은 과다하게 체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 치료제의 약리기전은 크게 1) 지방흡수 억제, 2) 지방 분해 및 열 발생 촉진, 3) 식욕 및 포만감의 조절, 4) 단백질 대사 저해 그리고 5) 음식물의 섭취와 관련된 정서 조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표적인 비만 치료제로는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제니칼™(Xenical™), 교감신경계를 자극하여 식욕을 억제하는 리덕틸™(Reductil™)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만 치료제는 일시적 체중감소, 신속한 체중손실, 약물들에 의한 심장, 혈압, 신경계에 대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질병으로,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 및 소변으로 포도당이 배출되는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당뇨병 치료제로는 PPAR-γ 활성제, GLP-1 유도체, DPP-IV 저해제 등이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약제들은 체중 증가 및 간, 신장, 근육, 심장 등에 독성을 나타내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 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 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근경색, 뇌졸중이나 뇌경색 등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지혈증 치료제로는 HMG-CoA 환원효소 억제활성을 갖는 '스타틴' 계열의 약물이 있으나, 이는 장기간 사용할 경우 간이나 근육 등에 독성을 나타내는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또는 중성 지방이 증가된 상태, 또는 HDL 콜레스테롤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심장마비, 뇌졸중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상지질혈증의 치료제로 이용될 수 있는 약물은 MTP (microsomal triglyceride transfer protein)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약물인 Bayer 사의 BAY13-9952(implitapide) 등이 있으나, 이러한 약물은 세포 내에서의 작용 기작이 구체적으로 규명되어 있지 않아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전반적인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탁월한 치료제의 개발이 미비한 상태이고, 개개의 구체적인 질환에 대한 치료제들 역시 위와 같은 여러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므로,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에 대한 치료 효능이 우수하면서도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은 40 내지 60 중량%, 우론산(uronic acid)은 35 내지 55 중량%, KDO 유사물질(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단백질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폴리페놀을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람노오스,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15 내지 25 몰%의 람노오스, 0.1 내지 1 몰%의 푸코오스, 1 내지 10 몰%의 아라비노오스, 0.5 내지 5 몰%의 자일로스, 0.1 내지 1 몰%의 만노오스, 10 내지 30 몰%의 갈락토오스, 0.5 내지 5 몰%의 글루코오스, 10 내지 30 몰%의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20 내지 40 몰%의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몰로키아 분말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 내지 110 ℃에서 1차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1차 추출된 추출물을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침전시켜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획물에서 분자량이 10 내지 2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대사질환은 이상지질혈증,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및 당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 고코콜레스테롤혈증 및 고중성지방혈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지방간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체중과 체지방의 증가를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혈중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혈청 내 LTB4 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므로, 비만 뿐만 아니라 대사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평균 무게를 8주 동안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형 사진이다. 도 2에서 전체 체형 중에서 지방 부분은 적색으로 표시되었다.
도 3은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로 구분되는 동물모델로부터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엔도톡신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LTB4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형 사진이다. 도 2에서 전체 체형 중에서 지방 부분은 적색으로 표시되었다.
도 3은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로 구분되는 동물모델로부터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엔도톡신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LTB4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비만 또는 대사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몰로키아(Molokhia-Corchorus olitorius L.)는 피나무과의 1년초 녹황색 야채로서 각종 영양이 풍부하여 "왕의 채소"라고 일컬어질 정도로 중동과 아프리카지역에서 영양가가 높고 성인병 예방에 효과적인 채소로 인식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몰로키아를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우리나라는 그 보다 후인 1995년경부터 일부 농가에서 소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몰로키아는 식이섬유, 비타민, 칼슘 등의 미네랄과 폴리페놀, 카로테노이드 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 몰로키아 잎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비만'이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이 아니라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를 말한다. 겉으로 정상체중으로 보여도 체지방 비율이 높으면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보통 비만을 판정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 (BMI)를 이용하게 되는데 23~24.9인 경우에 과체중, 25~29.9까지를 경도비만으로 판정하며, 30~34.9는 중등도비만, 35 이상일 경우는 고도비만으로 판정하고 있다. 비만은 한가지 원인보다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서구화된 식습관을 포함하여 잘못된 식습관과 활동량 감소, 정서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렇게 발생한 비만은 결국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을 높이게 된다.
본 발명에서 '대사질환'이란, 비만과 밀접하게 연관성이 있거나, 비만에 기인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및 당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이상지질혈증은 고지혈증(hyperlipidemia), 고콜레스테롤혈증(hypercholesteronemia) 및 고중성지방혈증(hypertriglyceridem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간(fatty liver)은 간의 지방대사 장애로 지방이 간세포에 과도한 양으로 축적되는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지혈증은 혈액 중에 지방 성분, 특히 콜레스테롤(cholesterol) 또는 중성 지방(triglyceride)의 농도가 정상 수치에 비해 높은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며, 혈액 중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모든 상태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이 과도하게 높은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하고, 고중성지방혈증은 혈액 내 중성지방의 농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태 또는 질환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상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체중 또는 체지방이 증가되는 것을, 개선, 예방, 완화, 억제 및 치료하는 조성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고지방 식이에 의해 유발된 비만 또는 대사질환을 개선, 예방,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험결과에 의하면, 고지방 식이를 단기간 또는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체중과 체지방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체중과 체지방 및 백색 부고환 지방 무게를 증가시키며, 혈중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및 LTB4 농도뿐만 아니라 혈청 내 엔도톡신의 농도도 증가시켜, 비만 또는 대사질환을 유도하게 된다.
이때,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투여하면 체중과 체지방 및 백색 부고환 지방 무게의 증가를 감소시키고, 혈중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롤 및 LTB4 농도의 증가도 감소시키며, 혈청 내 엔도톡신 농도의 증가를 억제하여 정상수준으로 낮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은 40 내지 60 중량%, 우론산(uronic acid)은 35 내지 55 중량%, KDO 유사물질(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단백질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폴리페놀을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 다당은 람노오스,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성 다당은 15 내지 25 몰%의 람노오스, 0.1 내지 1 몰%의 푸코오스, 1 내지 10 몰%의 아라비노오스, 0.5 내지 5 몰%의 자일로스, 0.1 내지 1 몰%의 만노오스, 10 내지 30 몰%의 갈락토오스, 0.5 내지 5 몰%의 글루코오스, 10 내지 30 몰%의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20 내지 40 몰%의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몰로키아 분말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 내지 110 ℃에서 1차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1차 추출된 추출물을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침전시켜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획물에서 분자량이 10 내지 2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먼저 (a) 몰로키아 분말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 내지 110 ℃에서 1차 추출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 개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는 몰로키아의 잎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그늘이나, 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한 후, 파쇄시키거나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기간은 몰로키아 내에 수분함량이 20% 미만인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몰로키아 분말은 증류수로 5 내지 20배(w/v) 정도로 현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 이후에 잔사를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잔사를 제거하는 방법은 원심분리, 필터링 등 공지의 방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심분리일 수 있다.
다음으로 (b) 상기 1차 추출된 추출물을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침전시켜 분획물을 회수한다. 알코올 침전은 공지의 에탄올 침전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 침전에 사용되는 에탄올은 물과 혼합하여 70% 내지 95%(v/v)의 농도를 가지는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c) 상기 분획물에서 분자량이 10 내지 2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한다. 상기 분획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분자량을 기준으로 정제하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투석에 의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석은 0.5 내지 5일간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일간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득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구성당을 HPAEC-PAD로 분석한 결과, 전체 다당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은 47.1 중량%, 우론산(uronic acid)은 44.7 중량%, KDO 유사물질(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은 1.4 중량%, 폴리페놀은 3.6 중량%이며, 상기 중성 다당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체 중성 다당 대비 람노오스 22.4 mole%, 푸코오스 0.3 mole%, 아라비노오스 5.3 mole%, 자일로스 1.2 mole%, 만노오스 0.3 mole%, 갈락토오스 11.5 mole%, 글루코오스 2.1 mole%, 글루쿠론산 20.1 mole% 및 갈락투론산 28.5 mole%인 것을 확인하였다(표 1 참조).
상기 최종 다당 분획물을 동결건조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몰로키아를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침전시켜 얻은 몰로키아 유래 분획물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 10 kDa 이상인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몰로키아를 언급하면서 사용되는 용어 '분획물'은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추출물에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침전시켜 얻은 분획물 뿐만 아니라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광의로는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동물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된 몰로키아 다당 가공물, 예컨대, 몰로키아 다당 분획물을 건조하여 얻은 분말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로 실험을 진행하긴 하였으나, 몰로키아 다당 가공물과 같은 형태로도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예상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하는' 또는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비만 또는 대사질환을 개선, 예방 또는 치료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10 내지 15,0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0 ㎍/㎖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천연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양적 상한 및 하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후술하는 상기 약학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 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몰로키아 추출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억제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인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01-10 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비만정도, 체중, 체지방, 혈청 내 중성지방 및 엔도톡신 농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01 g/㎏ 내지 10 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고, 바람직하는 경구 내에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
강원도 홍천에서 재배한 국내산 몰로키아를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잎을 50 ℃ 건조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1.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몰로키아 분말을 준비하였다.
몰로키아 분말 100 g에 20 배 부피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고 80 ℃의 온도에서 3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한 다음,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추출액의 1/10이 되도록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된 열수 추출물의 4배 부피(v/v)에 해당하는 80% 주정을 상기 열수 추출물에 가하여 24시간 침전시켰다. 이를 원심분리(6000 rpm, 635 ×g, 30분)하여 침전물을 얻었으며 여기에 소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침전물을 재용해하고 투석막(MW cut off 12,000,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을 이용하여 2~3일간 투석을 행하여 저분자물질을 제거하였으며 72 시간 동결건조하여,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 polysaccharides from molokhia leaves)을 얻었다.
비교예 1.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강원도 홍천에서 재배한 국내산 몰로키아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몰로키아 잎을 50 ℃ 건조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한 다음 분쇄기로 1.0 ㎜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몰로키아 분말을 준비하였다.
몰로키아 분말 100 g에 20 배 부피에 해당하는 증류수를 가하고 80 ℃ 에서 3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한 후,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농축하고, 72 시간 동안 동결건조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WEML(water-soluble extract from molokhia leaves)로 기재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의 수율, 당과 단백질 함량 분석
구성당 분석은 Albersheim 등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가수분해 후 각 구성당을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와 aldonolactone로 유도체화 하여 GC(Gas Chromatography ACME-6100, Young-Lin Co. Ltd. Anyang, Kore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를 2 M TFA(trifluroacetic acid) 중에서 121℃, 1.5 hr 반응시켜 가수분해한 후, 1 ㎖의 1 M NH4OH (ammonia solution)에 용해하여 10 ㎎의 NaBH4로 4 시간 동안 환원시켰다. 아세트산(Acetic acid)을 적당량 가하여 잔존 NaBH4를 제거한 후, 메탄올을 가하며 반복 건조함으로써 과량으로 가해진 아세트산을 제거하여 알디톨(alditol)로 전환하였다. 중성당의 구성을 알기 위하여 상기 알디톨(alditol)에 1 ㎖의 아세트산 무수물(acetic anhydride)을 가하여 121℃에서 30 분 동안 반응시켜 알디톨 아세테이트(alditol acetate)로 전환시켰으며 이를 클로로포름/H2O 2상 용매계로 분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은 건조 후 소량의 아세톤에 용해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radford법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BSA(Bovine Serum Albumin, sigma aldrich)를 표준품으로 사용하여 1 ㎎/㎖를 최고 농도로 하여 일정배수로 희석하였다. Bradford시약 980 ㎕에 표준품과 시료를 각각 20 ㎕를 가하여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BSA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총당은 페놀황산법(phenol-sulfuric acid)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료용액 0.5 mL에 동량의 5 % phenol 용액을 첨가하여 교반한 후 진한 황산(98%, v/v) 2.5 mL를 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의 정량은 glucose 표준품(sigma 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이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gallic acid(sigma aldrich)를 이용하여 Folin Denis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성당의 경우, 시료의 당사슬을 단당으로 가수분해 한 후 HPAEC-PAD(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pulsed amperometric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데이터는 Chromelon 6.80 소프트웨어(Dione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표준용액으로 단당류(fucose,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xylose)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과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에 대한 주요성분 함량 등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하기 표 1과 같았다.
비교예 1(WEML) | 실시예 1(PML) | |
Extraction yield (%) | 29.98 | 1.9 |
Chemical composition (%) | ||
Protein(단백질) | 2.8 ± 0.1 | 3.2 ± 0.7 |
Neutral sugar(중성당) | 67.6 ± 2.0 | 47.1 ± 1.3 |
Uronic acid(우론산) | 18.8 ± 0.8 | 44.7 ± 1.3 |
KDO-liked material(KDO 유사물질) | 0.5 ± 0.3 | 1.4 ± 1.0 |
polyphenol(폴리페놀) | 12.2 ± 0.2 | 3.6 ± 0.8 |
Component sugar (PMP) (mole%) | ||
Rhamnose(람노오스) | 10.1 ± 0.1 | 22.4 ± 0.5 |
Fucose(푸코오스) | - | 0.3 ± 0.1 |
Arabinose(아라비노오스) | 4.0 ± 0.0 | 5.3 ± 0.0 |
Xylose(자일로스) | 1.2 ± 0.1 | 1.2 ± 0.0 |
Mannose(만노오스) | 2.2 ± 0.0 | 0.3 ± 0.0 |
Galactose(갈락토오스) | 8.5 ± 0.0 | 11.5 ± 0.2 |
Glucose(글루코오스) | 40.9 ± 0.1 | 2.1 ± 0.0 |
Glucuronic acid(글루쿠론산) | 9.0 ± 0.1 | 20.1 ± 0.1 |
Galacturonic acid(갈락투론산) | 10.9 ± 0.0 | 28.5 ± 0.7 |
* 상기 chemical component의 함량비(%)는 건조 샘플 내의 중량%를 나타낸 것이다.
* 상기 mole%는 검출된 총 중성당의 양으로부터 계산한 것으로 몰%와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수율이 29.98%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2.8 중량%, 중성당 함량은 67.6 중량%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은 중성 다당의 대부분이 글루코오스(40.9 mole%)이고, 나머지는 미량 포함되어 있으며, KDO 유사물질은 아주 미량 존재하고, 푸코오스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실시예 1로부터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의 추출수율은 1.9%에 불과하나, 단백질 함량은 3.2 중량%이고, 중성당 함량은 47.1 중량%이며, 우론산 함량은 44.7 중량%로 당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과 달리 중성 다당이 람노오스(22.4 mole%), 글루쿠로닉산(20.1 mole%), 갈락투로닉산(28.5 mole%)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갈락토오스이 11.5 mole% 차지하고 있었으며,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및 글루코오스(각각 0.3, 5.3, 1.2, 0.3, 2.1 mole%)가 미량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동물실험
실험동물
무균 환경에서 사육된 6주령의 수컷 C57BL/6J계 마우스를 (주)중앙실험동물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전 마우스는 2주간 순화과정을 거쳤다. 마우스는 실험동안 온도 22 ± 2 ℃, 습도는 40-60%로 유지되는 사육실에서 자유식이로 사육되었으며, 명암 주기(Light and dark cycle)는 12시간 간격으로 조절하였다. 모든 동물실험은 한국식품연구원 동물실험운영규정에 준하여 수행하였다.
시료의 투여 및 샘플링
시료의 투여를 위하여 마우스는 무작위로 9마리씩 네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NC(normal group)은 정상식이를 먹은 음성대조군이고, HFD(high fat diet group)과 시료 투여 그룹은 Lard를 첨가하여 열량을 60 cal%를 증가시킨 고지방 사료(Modified AIN 76A purified rodent diet(60 cal% fat))를 자율적으로 급여하였다. 시료 PML4는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mg/kg를 매일 경구투여하였고, 시료 WEML50은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mg/kg을 매일 경구투여하였으며, NC와 HF 그룹은 같은 양의 증류수를 같은 기간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총 8주 동안 매주 오전 10시에 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one-way ANOVA(Dunnett's test vs. HFD)를 사용하여 그룹 간 평균수치 유의차를 확인하였으며, 0.05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로 유의적 차이를 표기하였다.
5개 군의 동물모델
1군(NC, 음성대조군) : 정상식이 섭취, 증류수 경구 투여
2군(HFD) : 고지방식이 섭취, 증류수 경구 투여
3군(PML4) : 고지방식이 섭취,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mg/kg 경구 투여
4군(WERG50) : 고지방식이 섭취,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mg/kg 경구 투여
시험예 2-1. 동물모델의 체중 측정
도 1은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평균 무게를 8주 동안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4)을 8주간 매일 경구투여한 실험군(3군)에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서 유의적인 체중 감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HFD 그룹과 대비하여 정상식이를 먹은 NC 그룹은 체중이 현저히 높아지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4)을 투여하면 체중이 HFD 그룹 대비 8.42%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WEML50) 50 mg/kg 투여 실험군은 유의적인 체중 감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체중 감소 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WEML4) 4 mg/kg 투여 그룹도 실험하였으나, 50 mg/kg과 결과가 동일하였다. 즉 비만 또는 대사질환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이후 실험에서는 이용되지 않았다.
시험예 2-2. 동물모델의 체성분 및 체지방 측정
도 2는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형 사진이고, 도 3은 체성분분석기(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한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의 체지방량 변화(%)를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서 전체 체형 중에서 지방 부분은 적색으로 표시되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4)을 8주간 매일 경구투여한 실험군(3군)에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서 유의적인 체지방 감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만 섭취한 HFD 그룹과 대비하여 정상식이를 먹은 NC 그룹은 체지방이 현저히 높아지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PML4)를 투여하면 체지방 함량이 HFD 그룹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WERG4) 50 mg/kg 투여 실험군은 모두 유의적인 체지방 감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체중 감소 효과뿐만 아니라 체지방 감소에도 효능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3. 동물모델의 백색 부고환 지방 측정
도 4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로 구분되는 동물모델로부터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백색 부고환 지방 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C 그룹은 HFD 그룹에 대비하여 백색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mg/kg을 투여한 그룹(PML4)는 HFD 그룹 대비 백색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의 경우(WEML50), NC 그룹대비 백색 부고환 지방조직의 무게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HFD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2-4. 간 무게 측정
8주후,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아이프란액을 이용하여 마취하고 복부와 흉강을 절개하여 간을 적출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 간무게(liver weight, g) |
NC | 0.81 ± 0.06 g |
HFD | 1.52 ± 0.09 g |
PML4 | 0.93 ± 0.1 g |
WEML50 | 1.51 ± 0.06 g |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상식이를 섭취한 NC 그룹과 대비하여 고지방 식이를 먹은 HFD 그룹은 간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mg/kg 투여시에는 이러한 증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mg/kg 투여시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시험예 2-5. 혈중 지질 및 콜레스테롤 측정
8주후,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아이프란액을 이용하여 마취하고 복부와 흉강을 절개하여 간문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응고시킨 뒤 혈청을 분리하여 중성지방 및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 cholesterol) 농도를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청으로부터 혈중 중성지방(TG, Triglyceride) 분석을 위해 Triglyceride Colorimetric Assay Kit(Cayman)을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수행하였다. 상기 혈청으로부터 LDL 콜레스테롤 분석을 위해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Cell Biolabs, Inc., Beverly, MA, USA)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수행하였다.
실험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one-way ANOVA(Dunnett's test vs. HFD)를 사용하여 그룹 간 평균수치 유의차를 확인하였으며, 0.05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로 유의적 차이를 표기하였다.
도 5는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중성지방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식이를 섭취한 NC 그룹과 대비하여 고지방 식이를 먹은 HFD 그룹은 혈중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mg/kg 투여시에는 HFD 그룹과 비교하여 각각 23.14%, 25.22%로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50 mg/kg을 투여한 그룹은 PML4 대비 용량이 12.5배 증가하였음에도 혈중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 모두 유의미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평상시의 혈중 중성지방을 낮춰주고,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6. 혈중 엔도톡신 및 염증 관련 지표 측정
8주후,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되는 동물모델을 12시간 절식시킨 후 아이프란액을 이용하여 마취하고 복부와 흉강을 절개하여 간문맥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응고시킨 뒤 혈청을 분리하여 엔도톡신의 농도를 분석하는데 이용하였다. 상기 혈청으로부터 엔도톡신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Pierce™ LAL Chromogenic Endotoxin Quantitation Kit(Thermo scientific)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수행하였다. 상기 혈청으로부터 LTB4(leukotriene B4) 농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R&D systems(Minneapolis, MN, USA)사의 키트를 이용하여 제조사의 프로토콜대로 수행하였다.
실험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one-way ANOVA(Dunnett's test vs. HFD)를 사용하여 그룹 간 평균수치 유의차를 확인하였으며, 0.05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 0.001보다 낮은 p 값을 가질 경우에는 ***로 유의적 차이를 표기하였다.
도 7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엔도톡신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1군(NC, 음성대조군), 2군(HFD), 3군(PML4) 및 4군(WEML50)으로 구분된 동물모델의 혈중 LTB4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NC 그룹 대비 고지방 식이를 먹인 HFD 그룹에서 엔도톡신과 LTB4 농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이 투여된 그룹(PML4)의 경우 HFD 그룹과 대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NC 그룹과 동일한 수준으로 혈중 엔도톡신 농도와 LTB4 농도를 낮춰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PML4보다 12.5배 용량이 더 높음에도 불구하고, 비교예 1의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WEML50)은 HFD 그룹 대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LTB4는 면역세포에서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염증성 세포의 활성에 관여하는 강력한 염증 매개체이다. 또한, 엔도톡신(endotoxin)은 그람음성 세균의 외벽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문맥혈관을 통해 간으로 직접 유입되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염증의 진행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지방 식이에 의해 비만이 유도되면, 엔도톡신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간손상과 섬유화 및 염증을 유도 및 촉진되어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이 밝혀진바 있다.
본 발명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엔도톡신 뿐만 아니라 LTB4의 농도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된 바, 고지방 식이에 의한 비만을 억제 및 감소시키고, 지방간과 관련된 대사질환을 감소시키며, 이로 인해 유도된 염증 반응을 완화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의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은 앞선 결과들을 종합하였을 때,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과 달리 1 mg/kg 이상, 바람직하게는 4 mg/kg 이상 사용되면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 대비 12.5배 저용량임에도 몰로키아 열수 추출물보다 예측할 수 없는 현저한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 것이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500 ㎎
유당 100 ㎎
탈크 10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3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20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600 ㎎
만니톨 180 ㎎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
Na2HPO4,12H2O 26 ㎎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몰로키아 유래 조다당 분획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5)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은 40 내지 60 중량%, 우론산(uronic acid)은 35 내지 55 중량%, KDO 유사물질(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단백질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폴리페놀을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람노오스,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15 내지 25 몰%의 람노오스, 0.1 내지 1 몰%의 푸코오스, 1 내지 10 몰%의 아라비노오스, 0.5 내지 5 몰%의 자일로스, 0.1 내지 1 몰%의 만노오스, 10 내지 30 몰%의 갈락토오스, 0.5 내지 5 몰%의 글루코오스, 10 내지 30 몰%의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20 내지 40 몰%의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a) 몰로키아 분말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70 내지 110 ℃에서 1차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1차 추출된 추출물을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침전시켜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 및 (c) 상기 분획물에서 분자량이 10 내지 20 kDa 이상의 분획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및 당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전체 다당 분획물 대비 중성 다당(Neutral sugar)은 40 내지 60 중량%, 우론산(uronic acid)은 35 내지 55 중량%, KDO 유사물질(2-keto-3-deoxy-D-manno-octulosonic acid)은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단백질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은 폴리페놀을 1 내지 10 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람노오스, 푸코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스, 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코오스,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 다당은 15 내지 25 몰%의 람노오스, 0.1 내지 1 몰%의 푸코오스, 1 내지 10 몰%의 아라비노오스, 0.5 내지 5 몰%의 자일로스, 0.1 내지 1 몰%의 만노오스, 10 내지 30 몰%의 갈락토오스, 0.5 내지 5 몰%의 글루코오스, 10 내지 30 몰%의 글루쿠로닉산(glucuronic acid) 및 20 내지 40 몰%의 갈락투로닉산(galacturon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질환은 이상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및 당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713A KR20220153713A (ko) | 2021-05-11 | 2021-05-11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0713A KR20220153713A (ko) | 2021-05-11 | 2021-05-11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3713A true KR20220153713A (ko) | 2022-11-21 |
Family
ID=8423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713A KR20220153713A (ko) | 2021-05-11 | 2021-05-11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53713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4692A (ko) | 2012-03-15 | 2013-09-25 | 김형준 |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
2021
- 2021-05-11 KR KR1020210060713A patent/KR2022015371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04692A (ko) | 2012-03-15 | 2013-09-25 | 김형준 | 산사육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1434B1 (ko)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12076356B2 (en) | Composition comprising Molokhia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for improving gut microbiome or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intestinal inflammation, leaky gut syndrome, obesity, or metabolic disease | |
KR102233749B1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416786B1 (ko) |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EP3025721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sthma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j. poiss. ex franch extract or fraction thereof | |
KR101692889B1 (ko) |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70135187A (ko) |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160066643A (ko) |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 |
KR20220067467A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 손상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411428B1 (ko) | 몰로키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대사성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153713A (ko) | 몰로키아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33473B1 (ko) | 고구마 줄기를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
KR20240015980A (ko) | 고춧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38430B1 (ko) | 보리잎 유래 다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및 대사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153712A (ko) | 무청 유래 다당 분획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449670B1 (ko) | 흰진달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018404B1 (ko) | 정금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용 조성물 | |
KR102687132B1 (ko) | 질경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83916B1 (ko)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62887B1 (ko) |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183915B1 (ko) |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조성물 | |
KR102233744B1 (ko) | 고춧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223635B1 (ko) | 무청 추출물을 포함하는 장내 염증 또는 장누수증후군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904819B1 (ko) | 여주와 마늘을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페시언스 Jis-1로 발효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20142074A (ko) | 꾸지뽕 열매 추출물 및 굼벵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