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694A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0694A KR20220120694A KR1020227027094A KR20227027094A KR20220120694A KR 20220120694 A KR20220120694 A KR 20220120694A KR 1020227027094 A KR1020227027094 A KR 1020227027094A KR 20227027094 A KR20227027094 A KR 20227027094A KR 20220120694 A KR20220120694 A KR 202201206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coupling
- band
- disposed
- antenna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3
- 102100032533 ADP/ATP transloc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6
- 101000768061 Escherichia phage P1 Antirepressor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101000796932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102100026400 ADP/ATP translocase 4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0
- 101000718447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4 Protein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102100026396 ADP/ATP translocas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101000718417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2 Protein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2100026397 ADP/ATP translocase 3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1000718437 Homo sapiens ADP/ATP translocase 3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1150029328 SUB6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04 monopol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1261 hazardo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2—Arrangements for de-icing; Arrangements for drying-out ; Arrangements for cool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corros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01Q9/045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ed li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71—Non-planar, stepped or wedge-shaped patc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회로 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과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광대역 안테나를 구비한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s)는 이동 가능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한편, 최근 전자기기는 LTE 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향후에는 5G 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LTE 주파수 대역 중 일부를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는 5G 통신 서비스를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근에는 6GHz 대역 이하의 Sub6 대역을 이용하여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향후에는 보다 빠른 데이터 속도를 위해 Sub6 대역 이외에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을 이용하여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통신 서비스를 차량을 통해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통신 서비스에 관련하여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기존 통신 서비스뿐만 아니라, 차세대 통신 서비스인 5세대 통신 서비스(5G communication service)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LTE 주파수 대역과 5G Sub6 주파수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는 광대역 안테나가 전자 기기 이외에 차량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용 안테나는 약 600MHz 대역에서 약 5.9GHz 대역의 광대역에서 동작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차량에 배치되는 안테나는 low-profile 구조로 광대역 동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은 각종 전자 부품에 의한 발열과 차량 지붕 내부로 유입되는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안테나 시스템의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트싱크(heat sink)가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히트싱크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 시스템의 중량이 증가하고 차량 내에 안테나 시스템을 장착할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일 목적은 차량 내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높이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해 광대역에서 동작 가능한 안테나 시스템을 차량에 탑재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저대역(LB)에서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안테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광대역에서 동작하면서도 다양한 구조의 low profile 안테나 구조를 평면형 안테나 구조(planar antenna structure)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광대역에서 동작하면서도 방열 특성이 향상된 안테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회로 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과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급전(coupling feed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직하게 연결된 유전체 캐리어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는 금속 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는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방사 패치(radiation patch)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급전부는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사패치와 수직하게 연결된 제2 방사 패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사 패치는 반원(semi-circle) 형태로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사 패치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제2 방사 패치는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들(conductive members) 중 하나와 스크루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송수신부 회로;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 연결부(vertical connection portion); 및 상기 수직 연결부에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horizontal extension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상기 수평 연장부는 상기 제2 도전 멤버의 하부에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대역 내지 상기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급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부 회로;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 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하부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히트 싱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열 팬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 부; 및 상기 플레이트 부로부터 일 측 및 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히트 싱크의 수직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연장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체결부와 상기 연장 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플링 급전부, 커플링 그라운드 부 및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으로 형성되는 안테나가 광대역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2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에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패턴(feeding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급전 패턴을 통해 상기 커플링 급전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송수신부 회로에 의한 소비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갖고, 상기 회로 기판과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가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을 통해 방사되도록 상기 신호를 제어하는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통해 인접 차량, RSU (Road Side Uni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대역 내지 상기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급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 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높이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대역(LB) 안테나와 다른 안테나들을 하나의 안테나 모듈에 구현하여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히트 싱크를 루프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여 광대역 동작하는 안테나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시스템을 저대역(LB)과 다른 대역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로 최적화하여, 차량의 지붕 프레임 내에 최적의 구성과 성능으로 안테나 시스템을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역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다중 입출력(MIMO) 및 다이버시티 동작을 차량의 안테나 시스템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급전 부, 단락 부 및 브랜치 라인 패턴의 최적화를 통해, 광대역에서 동작하면서도 다양한 구조의 low profile 안테나 구조를 평면형 안테나 구조(planar antenna structure)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일 예시에 따른 차량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한편, 도 1b는 일 예시에 따른 차량 내부를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2a는 V2X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나타낸다.
도 2b는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독립형(standalone) 시나리오와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MR-DC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차량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안테나 시스템의 급전 구조와 그라운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와 방열 팬, 커플링 급전부 및 커플링 그라운드 부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이 조립된 구성도 및 조립되기 이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ielectric carrier, DC) 상에 프린트된 제1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한편, 도 7b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C) 상에 프린트된 제2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효율 및 반사 손실(return loss) 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급전 구조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복수의 커플링 급전부를 통해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은 도 10의 안테나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반사 계수 및 격리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12b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a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4b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가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 하부 또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 및 도 15b에 따른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방사 효율 및 총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의 형상과 안테나 시스템의 등가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a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이 구현된 PCB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랜치 라인 패턴을 구비한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커플링 급전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1 단락 및 제 2 단락 부의 서로 다른 조합에 따른 VSWR 특성 및 안테나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급전 구조의 형상 및 위치, 루프 안테나 크기 및 단락 구조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테나 특성을 조절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a 및 도 21b는 루프 안테나의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안테나의 VSWR 및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2a 및 도 22b는 커플링 급전부의 높이 변경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과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3a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안테나 VSWR 특성 변화를 나타낸다. 도 23b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효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a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가 변경된 루프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b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을 나타낸다. 도 24c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5a는 루프 안테나의 구조 및 제1 및 제2 단락 부의 단부가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를 통해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25b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VSWR 값을 나타낸다. 도 25c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다.
도 26a는 좌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6b는 우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a는 V2X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나타낸다.
도 2b는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독립형(standalone) 시나리오와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MR-DC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차량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안테나 시스템의 급전 구조와 그라운드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와 방열 팬, 커플링 급전부 및 커플링 그라운드 부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이 조립된 구성도 및 조립되기 이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ielectric carrier, DC) 상에 프린트된 제1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한편, 도 7b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C) 상에 프린트된 제2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효율 및 반사 손실(return loss) 특성을 나타낸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급전 구조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0은 복수의 커플링 급전부를 통해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은 도 10의 안테나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반사 계수 및 격리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12b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a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4b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낸다.
도 15a 및 도 15b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가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 하부 또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 및 도 15b에 따른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방사 효율 및 총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의 형상과 안테나 시스템의 등가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a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이 구현된 PCB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랜치 라인 패턴을 구비한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커플링 급전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9a 및 도 19b는 제1 단락 및 제 2 단락 부의 서로 다른 조합에 따른 VSWR 특성 및 안테나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급전 구조의 형상 및 위치, 루프 안테나 크기 및 단락 구조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테나 특성을 조절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21a 및 도 21b는 루프 안테나의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안테나의 VSWR 및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2a 및 도 22b는 커플링 급전부의 높이 변경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과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3a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안테나 VSWR 특성 변화를 나타낸다. 도 23b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효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a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가 변경된 루프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b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을 나타낸다. 도 24c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25a는 루프 안테나의 구조 및 제1 및 제2 단락 부의 단부가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를 통해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25b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VSWR 값을 나타낸다. 도 25c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다.
도 26a는 좌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6b는 우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에는 이동 단말 이외에 차량(vehicle)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전자 기기를 통한 무선 통신은 이동 단말을 통한 무선 통신 이외에 차량을 통한 무선 통신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은 이동 단말 이외에 차량(vehicle)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동작은 차량에 탑재되는 통신 시스템, 즉 안테나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안테나들과 이들을 제어하는 송수신부 회로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 외부에 배치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주로 언급하지만, 차량 내부에 배치되거나 차량에 탑승한 사용자가 소지하는 이동 단말기(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예시에 따른 차량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한편, 도 1b는 일 예시에 따른 차량 내부를 측면에서 본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GPS, 4G 무선 통신, 5G 무선통신, 블루투스, 또는 무선랜 등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유닛(즉, 내부 안테나 시스템)(300)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안테나 유닛(즉, 안테나 시스템)(300)을 통합 안테나 모듈(300)로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안테나 유닛(300)을 구비하는 차량(500)에 관한 것이다. 차량(500)은 대쉬 보드(dash board)와 안테나 유닛(300) 등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500)은 이러한 안테나 유닛(30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500)은 안테나 유닛에 해당하는 안테나 모듈(300)과 이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텔레매틱스 모듈(telematics module, TCU)(600)을 포함한다. 일 예시에 따라, 텔레매틱스 모듈(600)이 안테나 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모듈(600)은 디스플레이(610)와 오디오 유닛(620)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V2X (Vehicle-to-Everything)>
V2X 통신은 차량 사이의 통신(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을 지칭하는 V2V(Vehicle-to-Vehicle), 차량과 eNB 또는 RSU(Road Side Unit) 사이의 통신을 지칭하는 V2I(Vehicle to Infrastructure), 차량 및 개인(보행자, 자전거 운전자, 차량 운전자 또는 승객)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 간 통신을 지칭하는 V2P(Vehicle-to-Pedestrian), V2N(vehicle-to- network) 등 차량과 모든 개체들 간 통신을 포함한다.
V2X 통신은 V2X 사이드링크 또는 NR V2X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거나 또는 V2X 사이드링크 또는 NR V2X를 포함하는 보다 넓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V2X 통신은 예를 들어, 전방 충돌 경고, 자동 주차 시스템, 협력 조정형 크루즈 컨트롤(Cooperative adaptive cruise control: CACC), 제어 상실 경고, 교통행렬 경고, 교통 취약자 안전 경고, 긴급 차량 경보, 굽은 도로 주행 시 속도 경고, 트래픽 흐름 제어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다.
V2X 통신은 PC5 인터페이스 및/또는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V2X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상기 차량과 모든 개체들 간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특정 네트워크 개체(network entity)들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개체는, 기지국(eNB), RSU(road side unit), 단말,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예: 교통 안전 서버(traffic safety server)) 등일 수 있다.
또한,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handheld UE)뿐만 아니라, 차량 단말(V-UE(Vehicle UE)), 보행자 단말(pedestrian UE), 기지국 유형(eNB type)의 RSU, 또는 단말 유형(UE type)의 RSU, 통신 모듈을 구비한 로봇 등을 의미할 수 있다.
V2X 통신은 단말들 간에 직접 수행되거나, 상기 네트워크 개체(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V2X 통신의 수행 방식에 따라 V2X 동작 모드가 구분될 수 있다.
V2X 통신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Road Side Unit (RSU): RSU (Road Side Unit)는 V2I 서비스를 사용하여 이동 차량과 송수신 할 수 있는 V2X 서비스 가능 장치이다. 또한, RSU는 V2X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고정 인프라 엔터티로서, V2X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다른 엔터티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RSU는 기존 ITS 스펙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이며, 3GPP 스펙에 이 용어를 도입한 이유는 ITS 산업에서 문서를 더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RSU는 V2X application logic을 eNB (eNB- type RSU라고 함) 또는 UE (UE - type RSU라고 함)의 기능과 결합하는 논리적 entity이다.
V2I Service는 V2X 서비스의 타입으로, 한 쪽은 vehicle이고 다른 쪽은 infrastructure에 속하는 entity이다. V2P Service도 V2X 서비스 타입으로, 한 쪽은 vehicle이고, 다른 쪽은 개인이 휴대하는 디바이스(예: 보행자, 자전거 타는 사람,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V2X Service는 차량에 송신 또는 수신 장치가 관계된 3GPP 통신 서비스 타입이다. 통신에 참여한 상대방에 따라 V2V 서비스, V2I 서비스 및 V2P 서비스로 더 나눌 수 있다.
V2X 가능(enabled) UE는 V2X 서비스를 지원하는 UE이다. V2V Service는 V2X 서비스의 유형으로, 통신의 양쪽 모두 차량이다. V2V 통신 범위는 V2V 서비스에 참여하는 두 차량 간의 직접 통신 범위이다.
V2X (Vehicle-to-Everything)라고 불리는 V2X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바와 같이, (1) 차량 대 차량 (V2V), (2) 차량 대 인프라 (V2I), (3) 차량 대 네트워크 (V2N), (4) 차량 대 보행자 (V2P)의 4가지 타입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는 V2X 어플리케이션의 타입을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4가지 타입의 V2X 어플리케이션은 최종 사용자를 위해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협력적 인식(co-operative awareness)"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차량, 길가 기반 시설, 애플리케이션 서버 및 보행자와 같은 entities이 협동 충돌 경고 또는 자율 주행과 같은 보다 지능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식을 처리하고 공유하도록 해당 지역 환경에 대한 지식(예: 근접한 다른 차량 또는 센서 장비로부터 받은 정보)을 수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NR V2X>
3GPP release 14 및 15 동안 자동차 산업으로 3GPP 플랫폼을 확장하기 위해, LTE에서 V2V 및 V2X 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소개되었다.
개선된(enhanced) V2X use case에 대한 지원을 위한 요구 사항들은 크게 4개의 use case group들로 정리된다.
(1) 차량 플래투닝 (vehicle Platooning)는 차량들이 함께 움직이는 플래툰(platoon)을 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한다. 플래툰의 모든 차량은 이 플래툰을 관리하기 위해 선두 차량으로부터 정보를 얻는다. 이러한 정보는 차량이 정상 방향보다 조화롭게 운전되고, 같은 방향으로 가고 함께 운행할 수 있게 한다.
(2) 확장된 센서(extended sensor)들은 차량, 도로 사이트 유닛(road site unit), 보행자 장치(pedestrian device) 및 V2X application server에서 local sensor 또는 live video image를 통해 수집된 원시(raw) 또는 처리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차량은 자신의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것 이상으로 환경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으며, 지역 상황을 보다 광범위하고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이 주요 특징 중 하나이다.
(3) 진화된 운전(advanced driving)은 반-자동 또는 완전-자동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각 차량 및/또는 RSU는 로컬 센서에서 얻은 자체 인식 데이터를 근접 차량과 공유하고, 차량이 궤도(trajectory) 또는 기동(manoeuvre)을 동기화 및 조정할 수 있게 한다. 각 차량은 근접 운전 차량과 운전 의도를 공유한다.
(4) 원격 운전(remote driving)은 원격 운전자 또는 V2X 응용 프로그램이 스스로 또는 위험한 환경에 있는 원격 차량으로 주행할 수 없는 승객을 위해 원격 차량을 운전할 수 있게 한다. 변동이 제한적이고, 대중 교통과 같이 경로를 예측할 수 있는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을 기반으로 한 운전을 사용할 수 있다. 높은 신뢰성과 낮은 대기 시간이 주요 요구 사항이다.
이하의 설명은 NR SL(sidelink) 또는 LTE SL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RAT(radio access technology)가 표시되지 않으면 NR SL을 의미할 수 있다. NR V2X에서 고려되고 있는 운영 시나리오는 아래와 같이 6가지가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b는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독립형(standalone) 시나리오와 V2X SL 통신을 지원하는 MR-DC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특히, 1) 시나리오 1에서, gNB는 LTE SL 및 NR SL 모두에서 단말의 V2X 통신에 대한 control/configuration을 제공한다. 2) 시나리오 2에서, ng-eNB는 LTE SL 및 NR SL 모두에서 단말의 V2X 통신에 대한 control/configuration을 제공한다. 3) 시나리오 3에서, eNB는 LTE SL 및 NR SL 모두에서 단말의 V2X 통신에 대한 control/configuration을 제공한다. 한편, 4) 시나리오 4에서, LTE SL 및 NR SL에서의 단말의 V2X 통신은 단말이 EN-DC로 설정되는 동안 Uu에 의해 control/configuration된다. 5) 시나리오 5에서, LTE SL 및 NR SL에서의 단말의 V2X 통신은 단말이 NE-DC에서 설정되는 동안 Uu에 의해 control/configuration된다. 또한 6) 시나리오 6에서, LTE SL 및 NR SL에서의 단말의 V2X 통신은 단말이 NGEN-DC로 설정되는 동안 Uu에 의해 control/configuration 된다.
도 2a 및 도 2b와 같이 V2X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차량은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eNB 및/또는 gNB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차량 내에 탑재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는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roof) 위 또는 지붕 내에 탑재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한편, 도 3c는 안테나 시스템(1000)이 차량의 지붕과 후면 미러의 지붕 프레임 (roof frame) 내에 탑재되는 구조를 도시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차량)의 외관 개선 및 충돌 시 텔레매틱스 성능을 보전하기 위해 기존의 샤크 핀(Shark Fin) 안테나를 돌출되지 않은 형태의 평면형(Flat) 안테나로 대체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존 이동통신 서비스(LTE) 제공과 함께, 5세대(5G) 통신을 고려한 LTE 안테나와 5G 안테나가 통합된 형태의 안테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roof) 위에 배치된다. 도 3a에서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외부 환경 및 차량 운전 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레이돔(radome, 2000a)이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레이돔(2000a)은 상기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내에 배치되고, 지붕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지붕 구조물(2000b)의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으로 구현되어,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지붕 프레임(2000c)의 적어도 일부가 비금속으로 구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차량(500)의 지붕 프레임(2000c)의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으로 구현되어, 안테나 시스템(1000)과 기지국 간 송신/수신되는 전파 신호가 투과될 수 있는 유전체(dielectric)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안테나에 의한 빔 패턴(beam pattern)은 수평 영역(horizontal region)을 소정 각도만큼 상부 영역에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테나 시스템(1000)에 구비되는 안테나의 앙각 빔 패턴(elevation beam pattern)의 피크는 보어 사이트에서 형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안테나의 앙각 빔 패턴의 피크는 수평 영역에서 소정 각도만큼 상부 영역에서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안테나의 앙각 빔 패턴은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은 hemispher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차량의 지붕 구조물 또는 지붕 프레임 이외에 응용에 따라 차량 전면 또는 후면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테나 시스템(1000)은 외부 안테나(external antenna)에 해당한다.
한편, 차량(500)은 외부 안테나에 해당하는 안테나 시스템(1000)을 구비하지 않고 내부 안테나(internal antenna)에 해당하는 안테나 유닛(즉, 내부 안테나 시스템)(30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안테나에 해당하는 안테나 시스템(1000)과 내부 안테나에 해당하는 안테나 유닛(즉, 내부 안테나 시스템)(300)을 모두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차량(5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5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준(pseudo) 주행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5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매뉴얼 모드 및 자율 주행 모드와 관련하여 오브젝트 검출, 무선 통신, 내비게이션 및 차량 센서 및 인터페이스 등의 동작은 차량(500)에 탑재되는 텔레매틱스 모듈이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500)에 탑재되는 텔레매틱스 모듈이 안테나 모듈(300),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 및 다른 인터페이스와 협력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안테나 시스템(300)과 별도로 텔레매틱스 모듈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안테나 시스템(300)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5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5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5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5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5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500)은 운행 시스템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500)은 주행 시스템, 출차 시스템, 주차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5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500)은 운전 조작 장치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500)은 운행될 수 있다.
차량(5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 내비게이션 시스템(550), 통신 장치(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전술한 장치 이외에 센싱부(561), 인터페이스부(562), 메모리(563), 전원공급부(564), 차량 제어 장치(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5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차량(5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5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5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는, 차량(5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5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는, 카메라(521), 레이다(522), 라이다(523), 초음파 센서(524), 적외선 센서(525)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는, 복수의 프로세서(53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5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521), 레이다(522), 라이다(523), 초음파 센서(524) 및 적외선 센서(525)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에 프로세서(53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는, 차량(5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5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550)은 통신 장치(400), 특히 위치 정보부(42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550)은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목적지로의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시스템(5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 및/또는 V2X 통신부(430)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반하여 주변 위치에 대한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1000)과 함께 동작하는 무선 통신부(460)를 통해 획득한 V2V, V2I, V2X 정보에 기반하여 안내 정보 제공, 자율 주행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5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5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5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6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하나 이상의 통신 시스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유닛이다. 무선 통신부(460)는 제1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1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460)는 제2 안테나 시스템을 통해 제2 통신 시스템 내의 기기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LTE 통신 시스템 및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으로 확장 가능하다.
한편, 차량(500) 내부에 배치되는 안테나 모듈(300)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500)은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외부 전자 기기와 독립적으로 통신 시스템과 접속 가능한 자동차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정보 모듈(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4G 무선 통신 모듈(450), 5G 무선 통신 모듈(4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4G 무선 통신 모듈(450)은 4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4G 기지국과 4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4G 무선 통신 모듈(450)은 하나 이상의 4G 송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4G 무선 통신 모듈(450)은 하나 이상의 4G 수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4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4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
5G 무선 통신 모듈(460)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비-스탠드 얼론(NSA: Non-Stand-Alone)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논-스탠드 얼론(NSA: Non Stand-Alone)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는, 5G 기지국은 4G 기지국과 별도의 위치에 스탠드-얼론(SA: Stand-Alone)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5G 무선 통신 모듈(460)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무선 통신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5G 송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5G 무선 통신 모듈(460)은 하나 이상의 5G 수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주파수 대역은 4G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LTE 재배치(re-farmin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편, 5G 주파수 대역으로, 6GHz 이하의 대역인 Sub6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광대역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5G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 전자 기기는 기지국과의 통신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pansion)을 위해 빔 포밍(beam 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5G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수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5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5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450)과 5G 무선 통신 모듈(460)을 통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의 이중 연결을 EN-DC(EUTRAN NR DC)이라 지칭할 수 있다. 한편,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이 공통-배치 구조(co-located structure)이면, 이종 반송파 집성(inter-CA(Carrier Aggregation)을 통해 스루풋(throughput)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EN-DC 상태이면, 4G 무선 통신 모듈(450) 및 5G 무선 통신 모듈(460)을 통해 4G 수신 신호와 5G 수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450) 및 5G 무선 통신 모듈(460)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예컨대, 차량) 간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원이 할당된 후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차량들 간에 V2V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송 속도 향상 및 통신 시스템 융합(convergence)을 위해, 4G 무선 통신 모듈(450) 및 5G 무선 통신 모듈(460) 중 적어도 하나와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 무선 통신 모듈(450)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4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5G 무선 통신 모듈(460)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5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51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차량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차량은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및 RFIC(125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은 모뎀(Modem, 140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1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Modem, 1400)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1450)와 물리적으로 하나의 chip에 구현되고,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은 수신부에서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210a 내지 240a)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RFIC(1250) 및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210a 내지 240a)는 모두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다. 이때,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C(1250)는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IC(1250)가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5G 회로 간 동기화 (synchronization)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모뎀(1400)에 의한 제어 시그널링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RFIC(1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 RFIC 및 5G RFIC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특히, 5G 대역이 밀리미터파 대역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5G 대역과 4G 대역의 대역 차이가 큰 경우, RFIC(1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IC(1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4G RFIC 및 5G RFIC가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되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chip에 Soc (System on Chip)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1450)는 전자 기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1450)는 모뎀(1400)을 통해 전자 기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통신 시스템이 4G 대역 또는 Sub6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다. 반면에, 5G 통신 시스템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어느 하나는 4G 대역에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송수신부와 수신부를 통합하여, 송수신 겸용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안테나로 2개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4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4x4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하향링크(DL)를 통해 4x4 DL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5G 대역이 Sub6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별도의 복수 안테나 각각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4개의 안테나 중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에 연결된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2x2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상향링크(UL)를 통해 2x2 UL MIMO (2 Tx)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차량은 듀플렉서(duplexer, 231), 필터(232) 및 스위치(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듀플렉서(231)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신호를 상호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1 출력 포트를 통해 안테나(ANT1, ANT4)에 인가된다. 반면에, 안테나(ANT1, ANT4)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2 출력포트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210a, 240a)로 수신된다. 필터(232)는 송신 대역 또는 수신 대역의 신호를 통과(pass)시키고 나머지 대역의 신호는 차단(block)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233)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 중 어느 하나만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제어부에 해당하는 모뎀(1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IC(1250)와 모뎀(1400)을 각각 제1 제어부 (또는 제1 프로세서)와 제2 제어부(제2 프로세서)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RFIC(1250)와 모뎀(140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RFIC(1250)와 모뎀(140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회로에 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뎀(1400)은 RFIC(1250)를 통해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을 통한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뎀(1400)은 4G 기지국 및/또는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뎀(1400)은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시스템 및/또는 제2 통신 시스템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RFIC(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eNB 또는 gNB를 통해 자원을 할당받거나 또는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할당된 자원을 통해 다른 엔티티들과 V2V 통신, V2I 통신 및 V2P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a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차량 내부, 차량의 지붕 위, 지붕 내부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4G LTE 시스템의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과 5G NR 시스템의 SUB6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 5a의 안테나 시스템의 급전 구조와 그라운드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와 방열 팬, 커플링 급전부 및 커플링 그라운드 부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이 조립된 구성도 및 조립되기 이전의 분해도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회로 기판(1010), 히트 싱크(heat sink, 1020) 및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 111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은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의 금속 프레임과 배치될 수 있고, 각종 전자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에 배치된 전자 부품들의 구동 및 차량 지붕 내부로 전달되는 열원(heat source)에 의해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지붕 내부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히트 싱크(1020)를 통해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지붕 내부의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하부 히트 싱크(1030)을 통해 저감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1020)는 회로 기판(1010)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구비하고, 회로 기판(1010)과 고정부(1025)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5)는 히트 싱크(1020)와 하부 히트 싱크(103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는 회로 기판(10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1010)의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slot region, S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ielectric carrier, DC) 상에 프린트된 제1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한편, 도 7b는 일 예시에 따른 유전체 캐리어(DC) 상에 프린트된 제2 타입 안테나를 나타낸다.
방사체 구성과 관련하여 도 7a를 참조하면, 제1 급전부(1110a)는 방사 패치(radiation patch, RP) 및 측면 패치(side surface patch, SS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급전부(1110a)는 기생 패치(parasitic patch, P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ANT1, 1110a)의 방사 패치(RP)의 형태는 원형 패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ANT1, 1110a)의 방사 패치(RP)의 형태는 도 7b와 같이 사각 패치(RP2)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제2 급전부는 히트 싱크(1020)로 신호가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T 형상의 다른 급전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급전부(1110a)와 제2 급전부는 신호가 루프 형상의 히트 싱크(1020) 내부로 커플링 되므로 각각 제1 커플링 급전부 및 제2 커플링 급전부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커플링 급전부를 편의상 커플링 급전부(1110a)로 지칭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a)는 회로 기판(1010)과 수직하게 연결된 유전체 캐리어(DC)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는 금속 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패치는 도 7a 또는 도 7b의 복수의 방사 배치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방사 패치(RP)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측면 패치(SSP)는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패치(SSP)는 방사 패치(RP)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 패치(SSP)는 방사 패치(RP)와 커플링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사 패치(RP)를 제1 방사 패치(1111a)로 지칭하고, 측면 패치(SSP)를 제2 방사 패치(1112a)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사 패치(1111a)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치(1112a)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방사 패치(RP1)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치(1111a)는 반원(semi-circle) 형태로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치(1112a)는 직사각형 형태로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기생 패치(PP)는 유전체 캐리어(DC)의 배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안테나 소자는 Shaped Monopole with parasitic element로 지칭할 수 있다. 특히,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는 방사 패치(RP)의 형상을 고려하여 Half Circle Shaped Monopole with parasitic element로 지칭할 수 있다. 하지만,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는 방사 패치(R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b와 같이 사각 패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모노폴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방사 패치(RP, RP2)와 기생 패치(PP)가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사 패치(RP, RP2)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나사(screw, SC)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나사(SC) 중 일부는 방사 패치(RP, RP2)와 기생 패치(PP)를 연결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나사(SC) 중 일부는 기생 패치(PP)와 직접 연결되도록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나사(SC) 중 일부는 유전체 캐리어(DC) 내부로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해당 대역 별로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방사 패치(RP2)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측면 패치(SSP)는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 패치(SSP)는 방사 패치(RP2)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측면 패치(SSP)는 방사 패치(RP2)와 커플링되도록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사 패치(RP)를 제1 방사 패치(1111b)로 지칭하고, 측면 패치(SSP)를 제2 방사 패치(1112b)로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사 패치(1111b)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치(1112b)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방사 패치(1111b)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치(1111b)는 직사각형 형태로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치(1112b)는 직사각형 형태로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시로,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도 복수의 나사(SC)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삽입되는 복수의 나사(SC)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여 해당 대역 별로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시로, 유전체 캐리어는 일부 영역의 유전체가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에 캐리어(DC)에 내부에 소정 두께와 길이로 유전체가 제거된 슬롯 영역(slot1, slot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전체가 제거된 슬롯 영역(slot1, slot2)에 의해 안테나 소자(1110a, 1110b)의 방사 효율(radiation efficiency)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테나 소자(1110a, 1110b)에 유도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유전체 손실(dielectric loss)가 유전체가 제거된 슬롯 영역(slot1, slot2)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방사 패치(RP, RP2)와 연결되고, 신호를 급전하도록 형성된 급전부(feeder, F)가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테나 소자(1110a, 1110b)의 급전부(F)는 도 5b의 송수신부 회로(1250)의 신호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수신부 회로(1250)는 복수의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된 제2 방사 패치(1112a, 1112b)는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들(conductive members) 중 하나와 스크루(SC)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 112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는 커플링 급전부(1110)가 배치된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되고, 회로 기판(1010)의 배면에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패턴(feeding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급전 패턴이 배치되는 위치는 회로 기판(1010)의 배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회로 기판(1010)의 전면 또는 다른 회로 기판의 전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는 회로 기판(1010)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 연결부(vertical connection portion, VCP)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는 수직 연결부에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horizontal extension portion, HC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의 수평 연장부(HCP)는 제2 도전 멤버의 하부에 제2 도전 멤버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 연장부(HCP) 중 적어도 일부는 제2 도전 멤버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하부 히트 싱크(lower heat sink, 10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히트 싱크(1030)는 회로 기판(1010)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히트 싱크(1030)는 회로 기판(101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회로 기판(10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히트 싱크(1030)는 회로 기판(101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히트 싱크(1030)는 회로 기판(1010)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고정부(1025)를 통해 히트 싱크(1020)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히트 싱크(1030)는 플레이트 부(1031) 및 연장 부(10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부(1031)는 방열 팬(FAN)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방열 팬(FAN)이 플레이트 부(1031))와 체결될 수 있다. 연장 부(1032)는 될 수 있다. 연장 부(1032)는 플레이트 부(1031)로부터 일 측 및 타 측으로 연장되고, 히트 싱크(1020)의 수직 체결부(VCP)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체결부(VCP)와 연장 부(1032)는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플링 급전부(1110), 커플링 그라운드 부(1020) 및 히트 싱크(1020)의 개구 영역으로 형성되는 안테나가 광대역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1250) 및 프로세서(1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송수신부 회로(1250) 및 프로세서(1400)는 회로 기판(1010)의 배면 또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 회로(1250) 및 프로세서(1400)는 회로 기판(10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모뎀(modem)에 해당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는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1000)은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급전 패턴을 통해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론트 엔드 모듈(FEM)은 송수신부 회로(1250)와 별도로 송수신부 회로(1250)와 안테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의 이득 또는 입력 또는 출력 전력을 조절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전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은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은 각각 4G LTE 시스템의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5G SUB6 대역을 사용하는 5G NR 시스템은 LTE re-faming을 통해 LB, MB 및 HB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5G NR 시스템은 LB, MB 및 HB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400)는 자원 할당 정보를 포함한 제어 정보를 RSU (Road Side Uni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프로세서(1400)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 및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제1 대역 내지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5G NR 시스템은 LB, MB 및 HB 대역 이외의 대역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a 및 도 8b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효율 및 반사 손실(return loss) 특성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약 600MHz 내지 6G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약 617MHz 내지 5900M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i)안테나의 방사 효율(radiation efficiency)은 전 대역(full band)에서 50%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갖는다. 한편, (ii) 안테나의 총 효율(total efficiency)은 저 대역(LB) 중 일부 대역을 제외하고 거의 전 대역에서 50%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갖는다.
도 8b를 참조하면,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은 저 대역(LB)과 중 대역(MB) 중 일부 대역을 제외하고 거의 전 대역에서 50%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저 대역(LB)과 중 대역(MB) 중 일부 대역에서 반사 손실 특성을 더 개선하면, (ii) 안테나의 총 효율(total efficiency)도 전 대역에서 50% 이상의 높은 효율을 갖도록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약 600MHz 내지 6G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약 617MHz 내지 5900MHz의 광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프로세서(1400)는 방열 팬(FAN)의 팬 회전 속도를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0)는 히트 싱크(1020)의 개구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 팬(FAN)의 팬 회전 속도 또는 송수신부 회로(1250)에 의한 소비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 및/또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제2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커플링 급전부(1110)로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이 장착된 단말, 예컨대 차량은 기지국 간의 거리가 증가하면 거리가 더 가까운 인접 차량 또는 RSU (Road Side Unit)로 연결 상태를 변경하도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차량 내부의 온도가 증가하고 기지국과의 거리가 증가하여 더 높은 신호 크기를 요구하면, 차량은 인접한 엔티티로의 연결 변경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히트 싱크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급전 구조를 갖는 안테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가 배치된 히트 싱크(1010)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급전부(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제2 커플링 급전부(1130)와 연결되는 제2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SR1, SR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1250) 및 프로세서(1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송수신부 회로(1250) 및 프로세서(1400)는 회로 기판(1010)의 배면 또는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 회로(1250) 및 프로세서(1400)는 회로 기판(10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른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 및 제2 커플링 급전부(113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모뎀(modem)에 해당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는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3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 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복수의 급전부를 통해 하나의 히트 싱크가 기능적으로 복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급전부를 통해 안테나 시스템은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복수의 커플링 급전부를 통해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서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은 도 10의 안테나 시스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와 스크루(SC)를 통해 연결된다. 반면에, 제2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플링 급전부(1130)도 히트 싱크(10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급전부(1110)은 반원 형상의 전면 패치와 측면 패치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급전부(1130)는 수직 연결부(1131) 및 수평 연결부(11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연결부(1131)는 히트 싱크(1020)의 하부에서 히트 싱크(1020)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 연결부(1132)는 수직 연결부(1121)에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 (a)는 제1 커플링 급전부(1110) 측에서 바라본 안테나 시스템(1000)의 일 측면도이다. 도 11 (b)는 제2 커플링 급전부(1130) 측에서 바라본 안테나 시스템(1000)의 타 측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와 스크루(SC)을 통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b)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a), 도 10(b)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커플링 급전부(1130)는 히트 싱크(10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제2 커플링 급전부(1130)는 커플링 그라운드(1120)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30)를 각각 제1 급전부(1110) 및 제2 급전부(1130)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급전부(1110) 및 제2 급전부(11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응용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제1 급전부(1110) 및 제2 급전부(1130)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의 전기적 특성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제1 급전부(1110) 및 제2 급전부(1130)의 형상이 동일하면, 제1 안테나(ANT1)와 제2 안테나(ANT2) 간 간섭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도 10과 같은 복수의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2a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반사 계수 및 격리도 특성을 나타낸다. 도 12b는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를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에 의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은 거의 전 대역에서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하지만,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 간의 격리도(isolation) 특성은 저 대역(LB)에서 열화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MIMO 동작을 수행하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은 저 대역(LB)을 제외한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 및 5G SUB 6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MIMO 동작을 수행하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은 1410MHz 내지 5900MHz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급전부와 제2 급전부에 의한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의 홍 효율 특성은 저 대역(LB)을 제외한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 및 5G SUB 6 대역에서 양호한 특성을 갖는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2 안테나의 반사 계수 특성이 제1 안테나의 반사 계수 특성보다 열화된다. 따라서, 도 12b와 같이 제2 안테나(ANT2)의 총 효율 특성이 제1 안테나(ANT1)의 총 효율 특성보다 열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히트 싱크(1020) 내부에 방열 팬(FAN)이 배치되어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3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4a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4b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의 반사 손실 특성을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커플링 급전부(1110)가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와 결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가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 내부에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안테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커플링 그라운드 부 없이 복수의 커플링 급전부에 의해 안테나가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중대역(MB) 및 고대역(HB)과 5G SUB6 대역에서 50% 이상의 안테나 효율을 갖는다. 하지만, 저대역(LB)에서 안테나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반면에, 도 8a를 참조하면, 1GHz 부근 및 그 이하의 저대역(LB)에서도 안테나 효율 특성이 50% 수준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히트 싱크(1020) 내부에 방열 팬(FAN)이 배치되어 안테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히트 싱크(1020)에 의한 루프 구조와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 팬을 둘러싸는 금속 구조 간에 형성되는 저대역(LB) 공진 모드에 기인한다.
도 14b를 참조하면, 중대역(MB) 및 고대역(HB)과 5G SUB6 대역에서 -6dB 이하의 반사 손실 특성을 갖는다. 저대역(LB) 중 일부 대역에서도 -6dB 이하의 반사 손실 특성을 갖는다. 도 8b를 참조하면, 히트 싱크(1020) 내부에 방열 팬(FAN)이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도 14b와 같이 방열 팬이 배치되지 않은 경우 반사 손실 특성은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 도 8a 및 도 14a를 참조하면, 히트 싱크(1020) 내부에 방열 팬(FAN)이 배치됨에 따라 반사 손실 특성의 큰 향상 없이도 안테나 효율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히트 싱크(1020)에 의한 루프 구조와 방열 팬(FAN)을 둘러싸는 금속 구조 간에 형성되는 저대역(LB) 공진 모드는 안테나 시스템이 저대역(LB)에서도 안테나로서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는 안테나 대역 특성을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5a 및 도 15b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가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 하부 또는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a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가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 하부에 배치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5b는 히트 싱크 기반 안테나 시스템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가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 및 도 15b에 따른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에 따른 안테나 방사 효율 및 총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5a를 참조하면,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는 히트 싱크(1020)의 제2 도전 멤버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히트 싱크(1020)의 제2 도전 멤버는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와 대향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는 히트 싱크(1020b)의 제2 도전 멤버로부터 히트 싱크(1020b)의 내부로 소정 간격 오프셋 되어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는 히트 싱크(1020b)의 도전 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 히트 싱크(1020)의 제2 도전 멤버는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와 대향하는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5a 및 도 15b의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의 위치는 동일하고, 도 15b의 히트 싱크(1020b)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커플링 그라운드 부가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방사 효율 및 총 효율 특성은 저하된다. 따라서, 커플링 그라운드 부가 히트 싱크 내부에 배치됨에 따라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안테나 시스템이 광대역 동작하기 위한 커플링 급전부의 최적 위치는 히트 싱크의 제2 도전 멤버 하부로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응용에 따라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B) 이상의 대역에서만 동작하는 경우,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위치를 히트 싱크 내부로 배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저대역(LB)에서 동작하는 다른 안테나와의 간섭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양상에 따른 히트 싱크 기반의 안테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다른 양상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a 및 도 1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의 형상과 안테나 시스템의 등가 구조를 나타낸다.
한편, 도 18a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브랜치 라인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이 구현된 PCB 구조를 나타낸다. 도 18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랜치 라인 패턴을 구비한 루프 형상의 금속 패턴과 커플링 급전부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7a 내지 도 18b를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은 회로 기판(circuit board, 1010), 안테나(ANT, 1100) 및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 1110-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은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의 금속 프레임과 배치될 수 있고, 각종 전자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ANT, 1100)는 회로 기판(1010)의 상부에 금속 패턴 내부에 해당하는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되고,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연결되는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slot region, SR)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의 배면 또는 전면에는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패턴(feeding pattern)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시스템(1000)은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1250) 및 프로세서(1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급전 패턴을 통해 커플링 급전부(1110-2)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모뎀(modem)에 해당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에 의한 소비되는 전력량을 검출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임계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에 의한 소비되는 전력량이 제1 임계치 이상이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2)로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ANT, 1100)는 회로 기판(1010)과 단락 부(short portion, 1140)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락 부(1140)는 루프 안테나의 일 측과 타 측과 연결되고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와 같이 그라운드로 이중 경로(dual path)를 갖는 구조를 dual path to ground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에 의해 저 대역(LB)에서 임피던스 매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를 통해 고대역(HB)에서 안테나가 광대역(broad band)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넓은 면을 통한 급전 구조 및 수직 방향으로 테이퍼링 구조의 급전 구조를 통해 안테나가 광대역 동작할 수 잇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이 아닌 다른 금속 패턴은 제1 단락 부(1141) 및 제 2 단락 부(1142)를 통해 그라운드 영역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루프 안테나의 일 측과 타 측의 금속 패턴은 회로 기판(1010)의 그라운드 영역과 제1 단락 부(1141) 및 제 2 단락 부(1142)를 통해 루프 안테나의 양 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 안테나의 일 측과 타 측의 금속 패턴은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연결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루프 안테나의 일 측과 타 측의 금속 패턴에 연결되는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를 각각 L-short 및 R-short로 지칭할 수 있다.
제1 단락 부(1141) 및 제 2 단락 부(1142)는 서로 다른 오프셋 위치로 루프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과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루프 안테나의 너비 W 및 길이 L이 각각 W x L = 65 x 43mm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L1)과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R1)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L1)는 20.5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R1)는 10.0m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의 일 측에만 브랜치 라인(1102)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오프셋된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루프 안테나(1101)에 형성되는 전류 분포가 비대칭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브랜치 라인(1102)이 형성되지 않거나 대칭 형태로 형성되면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랜치 라인(1102)의 형성 여부 및 그 길이에 관계없이,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브랜치 라인(1102)의 오프셋 여부와 관계없이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브랜치 라인(1102)이 형성되지 않거나 대칭 형태로 형성되어도,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와 그라운드 사이의 매칭 회로의 임피던스 값을 서로 다른 값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대역에서 안테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을 상이하게 하면, 대역폭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락 부(1141)가 연결되는 지점을 저대역(LB) 내의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성능이 최적화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제1 단락 부(1141)가 연결되는 지점을 저대역(LB) 내의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안테나 성능이 최적화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락 부(1141) 및 제2 단락 부(1142)가 연결되는 지점을 약간 상이하게 하여 저대역(LB)의 전체 대역을 커버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단락 부(1141) 및 제 2 단락 부(1142)에 의해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9a 및 도 19b는 제1 단락 및 제 2 단락 부의 서로 다른 조합에 따른 VSWR 특성 및 안테나 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의 너비 W 및 길이 L이 각각 W x L = 65 x 43mm로 가정할 수 있다.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L1)는 20.5mm로 가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R1)는 10.0mm로 가정할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면, (i)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 저대역(LB)에서 VSWR 특성이 열화된다. (ii) 제2 단락 부, 즉 R-short만 배치된 경우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보다 저대역(LB)에서 VSWR 특성이 향상된다. (iii) 제1 단락 부, 즉 L-short만 배치된 경우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보다 저대역(LB)에서 VSWR 특성이 향상된다. (iv)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있는 경우 저대역(LB)에서 VSWR 특성이 가장 향상된다.
도 19b를 참조하면, (i)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 저대역(LB)에서 안테나 총 효율 특성이 열화된다. (ii) 제2 단락 부, 즉 R-short만 배치된 경우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보다 저대역(LB)에서 안테나 총 효율 특성이 향상된다. (iii) 제1 단락 부, 즉 L-short만 배치된 경우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없는 경우보다 저대역(LB)에서 안테나 총 효율 특성이 향상된다. (iv) 제1 단락 부 및 제 2 단락 부가 있는 경우 저대역(LB)에서 안테나 총 효율 특성이 가장 향상된다.
도 17a 내지 도 19b를 참조하면, 커플링 급전부,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 및 루프 안테나(1101)의 개구 영역과 브랜치 라인(1102)로 형성되는 안테나는 광대역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안테나는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dle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서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1101)와 연결된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안테나(ANT, 1100)는 광대역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만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해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저대역(LB)에서 안테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브랜치 라인(1102)을 구비하여 저대역(LB) 내의 특정 주파수에서의 성능이 향상되거나 또는 저대역(LB) 대역 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안테나 길이가 증가하여 저대역(LB)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한 안테나 성능 개선에 대해서 도 2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L1)과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의 길이(R1)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안테나(ANT, 1100)는 금속 패턴이 루프 형태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일 수 있다. 안테나(ANT, 1100)는 루프 안테나(1101)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된 브랜치 라인 패턴(branch line pattern, 1102)을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2)는 회로 기판(10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1010)의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유전체 캐리어(dielectric carrier, DC) 상에 프린트된 반원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8b와 같이 유전체 캐리어(DC) 상에 구현된 커플링 급전부(1110-2)는 제1 방사 패치(radiation patch, 1111-2) 및 제2 방사 패치(11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 패치(1111-2)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치(1111-2)의 형상은 반원 형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제1 방사 패치(1111-2)는 반원(semi-circle) 형태, 직사각형 형태, 또는 삼각형 형태로 유전체 캐리어(DC)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방사 패치(1111-2)의 형상은 직사각형 형상, 임의의 다각형 형상, 타원 형상, 또는 임의의 폐 곡면 형상일 수 있다. 제2 방사 패치(1112-2)는 유전체 캐리어(DC)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1 방사 패치(1111-2)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는 급전 구조의 형상 및 위치, 루프 안테나 크기 및 단락 구조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테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0은 급전 구조의 형상 및 위치, 루프 안테나 크기 및 단락 구조의 위치를 조절하여 안테나 특성을 조절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7a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 기반의 안테나 시스템은 제안된 설계(proposed design) 구조에서 급전 구조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2)의 형상은 반원 형상 이외에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Case 1을 참조하면, 저대역(LB) 성능(performance)을 향상시키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1)의 크기를 길이 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2)의 형상은 반원 형상 이외에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Case 2를 참조하면, 저대역(low band, LB)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플링 급전부(1110-2)는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는 제2 방사 패치(1112-2)는 루프 안테나의 저대역(low band, LB)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 중 하나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2)의 형상은 반원 형상 이외에 직사각형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제안된 설계 구조 및 case 3을 참조하면, 커플링 급전부(1110-2)는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대역(low band, LB) 내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는 커플링 급전부(1110-2)는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 중 하나와 스크루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방사 패치(1112-2)는 루프 안테나(1101)의 저대역(low band, LB) 내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 중 하나와 스크루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Case 4를 참조하면,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L1)과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R1)은 루프 안테나의 단부(end portion)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단락 부(1141)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L1)과 제2 단락 부(1142)가 루프 안테나와 연결되는 지점(R1)은 루프 안테나의 저대역(low band, LB) 내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의 단부(end portion)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루프 안테나(1101)와 연결된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안테나(ANT, 1100)는 광대역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만을 포함하는 구조에 비해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저대역(LB)에서 안테나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브랜치 라인(1102)을 구비하여 저대역(LB) 내의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이 향상되거나 또는 저대역(LB) 대역 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안테나 길이가 증가하여 저대역(LB)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Case 2를 참조하면, 오프셋된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저대역(LB) 대역 폭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Case 3을 참조하면, 대칭 형태의 브랜치 라인(1102)에 의해 저대역(LB) 내의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복수의 단락 부와 연결된 루프 안테나에서 브랜치 라인 패턴은 구비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제안된 설계(proposed design) 구조에서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은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커플링되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에 대향하는 제2 금속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은 루프 안테나의 제2 금속 패턴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Case 2를 참조하면,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은 저대역(low band, LB)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루프 안테나의 제2 금속 패턴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저대역(low band, LB) 대역폭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이 루프 안테나의 제2 금속 패턴의 단부와 연결되고, 커플링 급전부(1110-2)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Case 3을 참조하면,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은 루프 안테나의 저대역(low band, LB) 내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제2 금속 패턴의 중심 지점과 연결될 수 있다. 안테나의 저대역(low band, LB) 내 특정 주파수에서 안테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이 루프 안테나의 제2 금속 패턴의 중심 지점과 연결되고, 커플링 급전부(1110-2)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Case 1을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1101)의 크기를 증가시켜 저대역(LB)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1a 및 도 21b는 루프 안테나의 길이를 소정 길이만큼 증가시킴에 따른 안테나의 VSWR 및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의 너비 W 및 길이 L이 각각 W x L = 65 x 43mm로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7b, 도 18b 및 도 21a을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1101)의 길이 L =43mm에서 10mm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루프 안테나(1101)와 브랜치 라인(1102)을 포함하는 안테나(ANT, 1100)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21a을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의 길이 L이 10mm만큼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가 낮은 주파수로 천이됨을 알 수 있다. 루프 안테나의 길이 L이 L = 43mm에서 30mm만큼 더 증가하면, 루프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는 약 137MHz만큼 천이(shift)된다. 도 17b, 도 18b 및 도 21a을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1101)와 브랜치 라인(1102)을 포함하는 안테나(ANT, 1100)의 전체 길이는 변경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루프 안테나(1101)의 면적이 늘어나면 브랜치 라인(1102)의 길이는 짧아지도록 안테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루프 안테나(1101)의 길이 L이 증가함에 따라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전체 안테나 길이의 증가 없이도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의 길이를 증가시켜 저대역(LB) 중 낮은 주파수 대역, 예컨대 700 MHz 이하에서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전체 안테나 길이를 유지하면서 브랜치 라인(1102)의 길이를 증가시켜 저대역(LB) 중 높은 주파수 대역, 예컨대 700 MHz 이상에서 안테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b를 참조하면, 600MHz 대역에서 루프 안테나의 길이 L이 L = 43mm에서 30mm만큼 더 증가하면, 안테나 효율이 약 20% 정도 향상된다. 하지만, 800MHz 내지 900MHz 대역에서 안테나 효율은 약 5% 내지 10% 정도 저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의 너비 W보다 길이 L이 더 작은 안테나를 제1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루프 안테나의 너비 W보다 길이 L이 더 긴 안테나를 제2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타입 안테나와 제2 타입 안테나가 모두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TCU의 프로세서(1400)는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는 LB 대역 중 제2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보다 제2 서브 대역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 예로, 700 MHz 이하의 대역이 할당되면, 루프 안테나의 너비 W보다 길이 L이 더 긴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700 MHz 이상의 대역이 할당되면, 루프 안테나의 너비 W보다 길이 L이 더 긴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에서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와 반경(R)을 조절하여 루프 안테나의 전기적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a 및 도 22b는 커플링 급전부의 높이 변경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과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8a, 도 18b 및 도 22a를 참조하면,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에서 19.9mm로 변경하면 저대역(LB)에서 안테나 VSWR 특성이 향상된다. 하지만,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에서 19.9mm로 변경하여도 저대역(LB)에서 대역폭 특성은 크게 변경되지 않는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에서 19.9mm로 변경하면 중대역(LB) 및 고대역(HB)에서 안테나 VSWR 특성은 다소 저하된다.
도 18a, 도 18b 및 도 22b를 참조하면,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에서 19.9mm로 변경하면 저대역(LB)에서 안테나 효율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에서 19.9mm로 변경하면 중대역(LB) 및 고대역(HB)에서 안테나 효율 특성은 다소 저하된다.
따라서, 루프 안테나에서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 내지 19.9mm로 변경하면, 안테나 VSWR 및 효율 특성이 각 대역 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에서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를 18.2mm 내지 19.9mm 사이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가 약 18.2mm인 안테나를 제1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의 높이(H)가 약 19.9mm인 안테나를 제2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타입 안테나와 제2 타입 안테나가 모두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TCU의 프로세서(1400)는 LB 대역이 할당되면,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는 MB 대역, HB 대역 또는 5G SUB6 대역이 할당되면,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키면서 안테나 성능 변화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23a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안테나 VSWR 특성 변화를 나타낸다. 도 23b는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소정 비율만큼 감소시킨 경우 저대역(LB)에서의 안테나 효율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23a를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를 약 10%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는 65mm에서 60.84, 56.68, 52.52, 48.36, 44.2mm로 감소시킬 수 있다.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감소함에 따라 급전부(1110-2)의 면적은 10%씩 감소할 수 있다.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감소함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 변화는 도 22a와 같다. 도 22a를 참조하면, type 2에 해당하는 안테나가 저대역(LB)에서 VSWR 특성이 가장 양호하다. 또한, 안테나 소형화 관점과 저대역(LB) VSWR 특성을 고려하면, type 2에 해당하는 type 2 안테나가 가장 유리하다. 여기서, type 2 안테나는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65mm에서 약 56.68mm로 감소한 경우이다.
도 18a, 도 18b 및 도 23b를 참조하면, type 2 안테나가 저대역(LB)에서 가장 높은 안테나 효율 특성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는 도 23a와 같이 65mm에서 60.84, 56.68, 52.52, 48.36, 44.2mm로 감소시킬 수 있다. 700MHz이하의 저대역(LB)에서 W=56.68 (20% feeder area reduction)인 경우, 안테나 효율이 가장 높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를 65.0mm 내지 56.68mm 사이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약 65.0mm인 안테나를 제1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약 56.68mm인 안테나를 제2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타입 안테나에서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는 전술한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 대역(LB)에서 안테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루프 안테나의 너비를 감소시킨 임의의 루프 안테나 구조를 제2 타입 안테나로 지칭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타입 안테나와 제2 타입 안테나가 모두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TCU의 프로세서(1400)는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는 LB 대역 중 제2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보다 제2 서브 대역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일 예로, 700 MHz 이하의 대역이 할당되면,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감소된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반면에, 700 MHz 이상의 대역이 할당되면,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W)가 증가된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는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와 연결되는 단락 금속 패턴(shorted metal pattern)의 너비를 조절하여 안테나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4a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가 변경된 루프 안테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4b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VSWR 특성을 나타낸다. 도 24c는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 변화에 따른 안테나 효율 특성을 나타낸다.
도 18a, 도 18b 및 도 24a를 참조하면, 루프 안테나(1101)의 단락 금속 패턴(1143, 1144)의 너비를 2mm, 5mm 또는 10mm로 가변할 수 있다.
도 24b를 참조하면,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가 2mm에서 10mm로 변경됨에 따라 저대역(LB)에서 안테나 VSWR 값이 3 이상의 값에서 2 이하의 값으로 향상된다. 도 24c를 참조하면, 단락 금속 패턴의 너비가 2mm에서 10mm로 변경됨에 따라 저대역(LB)에서 안테나 효율이 40% 이하의 값에서 65% 정도로 향상된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1101)의 단락 금속 패턴(1143, 1144)의 너비를 증가시켜 대역폭 특성 변화없이 저대역(LB)에서 VSWR과 이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단락 금속 패턴(1143, 1144)의 너비를 10mm보다 더 크게 증가시키면 너비 방향의 전계 성분이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락 금속 패턴(1143, 1144)의 너비를 10mm보다 더 크게 증가시키면 안테나의 유효 길이(effective length)가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특징이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의 너비와 저대역(LB)에서 안테나 VSWR과 이득 특성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의 너비를 2mm에서 10mm로 증가시키면 저대역(LB)에서 VSWR과 이득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루프 안테나(1101)의 너비를 10mm보다 더 크게 증가시키면 너비 방향의 전계 성분이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루프 안테나(1101)의 금속 패턴의 너비를 10mm보다 더 크게 증가시키면 루프의 유효 길이가 증가하여 공진 주파수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루프 안테나의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는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를 통해 그라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5a는 루프 안테나의 구조 및 제1 및 제2 단락 부의 단부가 인덕터와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를 통해 그라운드와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25b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VSWR 값을 나타낸다. 도 25c는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값 변화에 따른 안테나의 임피던스 특성을 나타낸다.
도 18a, 도 18b 및 도 25a를 참조하면, 제1 단락 부(1141)와 제2 단락 부(1142)의 단부는 인덕터(L)와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를 통해 회로 기판(1010)의 그라운드 영역(GND)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매칭 회로(MC)는 그라운드 영역(GND)과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와 연결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에서 커패시턴스 값은 일 예로 100pF일 수 있다.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에서 인덕턴스 값은 일 예로 5nH, 10nH, 15nH, 20nH 및 25nH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를 통한 임피던스 매칭은 금속 패턴을 갖는 루프 안테나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5a 내지 도 16b의 히트 싱크로 이루어진 안테나 시스템에도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를 통한 임피던스 매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5b를 참조하면, 커패시턴스 값이 100pF인 경우 공진 주파수는 1GHz 이상으로 설정되어 안테나의 저대역(LB) 특성이 열화될 수 있다. 인덕턴스 값이 5nH 또는 10nH로 변경됨에 따라 공진 주파수는 1GHz 이하의 더 낮은 대역으로 변경되어 안테나의 저대역(LB)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5c를 참조하면, 인덕턴스 값이 15nH, 20nH 및 25nH로 증가함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50ohm 이하의 값으로 감소한다. 이에 따라, 도 25b와 같이 인덕턴스 값이 15nH, 20nH 및 25nH로 증가함에 따라 공진 주파수에서의 VSWR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가변 인덕터(L) 또는 가변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를 통해 대역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는, 도 25a와 같이 인덕터(L) 또는 커패시터(C)로 이루어진 매칭 회로(MC)와 스위치(SW1, SW2)를 통해 대역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 예로, 커패시터(C)에 연결된 스위치(SW2)가 ON 상태이면, 안테나는 저대역(LB) 중 제1 서브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1 타입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인덕터(L)에 연결된 스위치(SW1)가 ON 상태이면, 안테나는 저대역(LB) 중 제2 서브 대역에서 동작하는 제2 타입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타입 안테나와 제2 타입 안테나가 모두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TCU의 프로세서(1400)는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1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프로세서는 LB 대역 중 제2 서브 대역이 할당되면, 제2 타입 안테나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LB 대역 중 제1 서브 대역보다 제2 서브 대역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는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를 조정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6a는 좌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6b는 우측의 단락 금속 패턴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는 경우 공진 주파수 변경을 나타낸다.
도 26a을 참조하면, case 1 내지 case 6에 따라 좌측 단락 금속 패턴(1143)의 위치가 오프셋됨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저대역(LB)에서 상부 대역(upper band)로 천이(shift)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락 금속 패턴(1143)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되는 금속 패턴으로부터 10mm씩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단락 금속 패턴(1143)가 10mm씩 오프셋됨에 따라 LB 주파수 천이는 약 40MHz 내지 50 MHz씩 상부 대역으로 천이(shift)된다.
도 26b를 참조하면, case 1 내지 case 6에 따라 우측 단락 금속 패턴(1144)의 위치가 오프셋됨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저대역(LB)에서 상부 대역(upper band)로 천이(shift)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락 금속 패턴(1144)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되는 금속 패턴으로부터 10mm씩 오프셋 배치될 수 있다. 단락 금속 패턴(1144)가 10mm씩 오프셋됨에 따라 LB 주파수 천이는 약 20MHz 내지 50 MHz씩 상부 대역으로 천이(shift)된다.
단락 금속 패턴(1143, 1144)이 배치되는 위치와 관련하여, 도 20의 case 4와 같이 저대역(LB) 중 공진 주파수를 높은 대역으로 천이하기 위해 커플링 급전부(1110-2)로부터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의 위치가 오프셋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저대역(LB) 중 공진 주파수를 낮은 대역으로 천이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락 금속 패턴(1144)의 위치가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되는 금속 패턴으로부터 오프셋 없이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과 관련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한다.
한편, 도 2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에 광대역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되고, 안테나 시스템(1000)은 자체적으로 또는 통신 장치(400)를 통해 근거리 통신, 무선 통신 및 V2X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안테나 시스템(1000)을 통해 인접 차량, RSU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통신 장치(400)를 통해 인접 차량, RSU, 인접 사물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사물에 대한 정보는 차량(300)의 카메라(531), 레이다(532), 라이다(533), 센서(534, 535) 등의 오브젝트 검출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통신 장치(400)와 안테나 시스템(1000)을 인접 차량, RSU, 인접 사물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6b 및 도 27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을 구비하는 차량(500)은 복수의 안테나들(1100), 송수신부 회로(1250)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를 포함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한편, 차량(5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500)은 통신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400)은 안테나 유닛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500)은 안테나 시스템(1000)을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회로 기판(circuit board, 1010), 히트 싱크(heat sink, 1020) 및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 1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 1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 및 제2 커플링 급전부(11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1250) 및 프로세서(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은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에 배치되고,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020)는 회로 기판(1010)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갖고, 회로 기판(1010)과 고정부(1025)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025)는 히트 싱크(1020)와 하부 히트 싱크(103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는 회로 기판(10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히트 싱크(1020)의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1010)의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slot region, S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플링 급전부(1130)는 커플링 급전부(1110)가 배치된 히트 싱크(1020)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3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안테나 유닛에 해당하는 안테나 시스템(1000)을 통해 다중 입출력(MIMO)를 수행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모뎀(modem)에 해당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는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1000)은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급전 패턴을 통해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론트 엔드 모듈(FEM)은 송수신부 회로(1250)와 별도로 송수신부 회로(1250)와 안테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의 이득 또는 입력 또는 출력 전력을 조절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전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를 통해 인접 차량, RSU (Road Side Uni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율 주행 등을 위해 인접 차량, RSU, 기지국 등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중 입출력(MIMO)을 통해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대역폭의 확장 없이도 MIMO 동작을 통해 통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차량은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주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은 URLLC U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URLLC UE로 동작하는 차량을 위해 시간 슬롯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다른 UE에게 할당된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중 일부를 펑처링(puncturing)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복수로 구비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중 입출력(MIMO)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27의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은 상호 분리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히트 싱크 내에서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이 상호 분리되어 구성된 경우,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 모두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이 모두 지붕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및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 중 하나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지붕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은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은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 내의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은 저 대역(LB),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의 전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저 대역(LB)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하고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안테나 시스템(1000)이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에서 동작하는 경우 중 대역(MB)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하고 고 대역(HB)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5G Sub6 대역은 LTE re-farming의 경우 LTE 대역과 동일 대역일 수 있다. 5G NR이 LTE와 별도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고 대역(HB) 또는 이보다 높은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고 대역(HB) 또는 이보다 높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5G Sub6 대역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 중 둘 이상을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 중 둘 이상을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호 간에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고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안테나 소자들을 이용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대역 내의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간의 격리도(isolation)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내지 제4 안테나(ANT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2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안테나들을 해당 대역에서 최적화되도록 설계하고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이 결합된 대역을 통해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자율 주행 등을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반송파 집성을 통해 광대역 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은 eMBB U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eMBB UE로 동작하는 차량을 위해 광대역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다른 UE에게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제외하고 여유 있는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과 관련하여,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대역을 각각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400)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제1 대역 내지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제1 및 제2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고대역(high band, HB)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B) 및 고대역(HB)에서 반송파 집성(CA)을 수행하면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각각 4G LTE 및 5G NR과 이중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중 연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G LTE 및 5G NR과 이중 연결 상태를 EN-DC로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내지 제4 안테나(ANT4)를 통해 EN-DC 상태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하고,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를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5G 통신 시스템 간 다른 대역을 이용하여 EN-DC 동작이 수행되면,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대역을 사용하는 MIMO 스트림 간에 간섭 수준을 저감할 수 있다. 반면에, 4G/5G 통신 시스템 간 동일 대역을 이용하여 EN-DC 동작이 수행되면, 다른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저대역(LB)에서의 간섭 수준을 저감하기 위해, 동일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MIMO 동작은 중대역(MB)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과 이들에 대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한다.
한편, 도 28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과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되는 차량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차량에 광대역 안테나 시스템(1000)이 탑재되고, 안테나 시스템(1000)은 자체적으로 또는 통신 장치(400)를 통해 근거리 통신, 무선 통신 및 V2X 통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안테나 시스템(1000)을 통해 인접 차량, RSU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통신 장치(400)를 통해 인접 차량, RSU, 인접 사물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인접 사물에 대한 정보는 차량(300)의 카메라(531), 레이다(532), 라이다(533), 센서(534, 535) 등의 오브젝트 검출 장치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통신 장치(400)와 안테나 시스템(1000)을 인접 차량, RSU, 인접 사물 및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들로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b, 도 17a 내지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안테나 시스템(1000)을 구비하는 차량(500)은 복수의 안테나들(1100), 송수신부 회로(1250) 및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를 포함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한편, 차량(5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500)은 통신 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장치(400)은 안테나 유닛을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500)은 안테나 시스템(1000)을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회로 기판(circuit board, 1010), 안테나(1100) 및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 111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1250) 및 프로세서(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1010)은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에 배치되고, 전자 부품들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1100)는 회로 기판(1010)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갖고, 회로 기판(1010)과 단락 부(1141, 1142)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2)는 회로 기판(10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안테나(1100)의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회로 기판(1010)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GND)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연결되는 회로 기판(1010)의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slot region, S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테나(1100)는 금속 패턴(1101)이 루프 형태로 구성된 루프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 안테나(1100)는 루프 안테나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된 브랜치 라인 패턴(branch line pattern, 1102)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랜치 라인 패턴(1102)은 커플링 급전부(1110-2)와 커플링되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에 대향하는 제2 금속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금속 패턴은 회로 기판(1010)의 그라운드 영역과 제1 단락 부(1141) 및 제 2 단락 부(1142)를 통해 루프 안테나의 양 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금속 패턴은 커플링 급전부(1110-2)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는 루프 안테나의 금속 패턴 및 이에 대향하는 금속 패턴이 아닌 금속 패턴에 해당한다.
커플링 급전부(1110-2), 제1 및 제2 단락 부(1141, 1142) 및 루프 안테나의 개구 영역과 브랜치 라인(1102)으로 형성되는 안테나는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dle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서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2)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모뎀(modem)에 해당하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는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2)를 통해 전달된 신호가 개구 영역을 통해 방사되도록 커플링 급전부(1110-2)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수신부 회로(125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급전 패턴을 통해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와 같은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FEM)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론트 엔드 모듈(FEM)은 송수신부 회로(1250)와 별도로 송수신부 회로(1250)와 안테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수신부 회로(1250)는 전력 증폭기 또는 수신 증폭기의 이득 또는 입력 또는 출력 전력을 조절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급전 패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10)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하여, 커플링 급전부(1110)로 전달되는 신호의 크기 및/또는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송수신부 회로(1250)를 통해 인접 차량, RSU (Road Side Uni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율 주행 등을 위해 인접 차량, RSU, 기지국 등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정보를 수신하거나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다중 입출력(MIMO)을 통해 정보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대역폭의 확장 없이도 MIMO 동작을 통해 통신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대안으로, 차량은 다양한 엔티티로부터 동시에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여 주변 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서 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은 URLLC U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URLLC UE로 동작하는 차량을 위해 시간 슬롯을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다른 UE에게 할당된 특정 시간-주파수 자원 중 일부를 펑처링(puncturing)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을 복수로 구비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중 입출력(MIMO)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28의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은 상호 분리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루프 안테나 내에서 최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은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이 상호 분리되어 구성된 경우, 동일한 영역에 배치되거나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이 모두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이 모두 지붕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내지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 중 일부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이들 중 나머지는 지붕 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안테나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제1 안테나 시스템(1000a), 제2 안테나 시스템(1000b), 제3 안테나 시스템(1000c) 및 제4 안테나 시스템(1000d)이 각각 제1 안테나(ANT1), 제2 안테나(ANT2),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루프 안테나 기반의 안테나 시스템은 회로 기판과 같은 PCB의 제한된 공간 내에 구현 가능하므로 하나의 안테나 루프 안테나가 단일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루프 안테나를 PCB의 제한된 공간 내에 배치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 내의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은 저 대역(LB),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의 전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저 대역(LB)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하고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안테나 시스템(1000)이 중 대역(MB) 및 고 대역(HB)에서 동작하는 경우 중 대역(MB)을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하고 고 대역(HB)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5G Sub6 대역은 LTE re-farming의 경우 LTE 대역과 동일 대역일 수 있다. 5G NR이 LTE와 별도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고 대역(HB) 또는 이보다 높은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고 대역(HB) 또는 이보다 높은 대역에서 동작하는 5G Sub6 대역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 중 둘 이상을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복수의 안테나들(ANT1 내지 ANT4) 중 둘 이상을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호 간에 충분한 거리로 이격되고 소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배치된 안테나 소자들을 이용하여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대역 내의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간의 격리도(isolation)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내지 제4 안테나(ANT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2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안으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1 대역의 제1 신호를 수신하면서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2 대역의 제2 신호를 수신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안테나들을 해당 대역에서 최적화되도록 설계하고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저대역 프로세서(1400)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이 결합된 대역을 통해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자율 주행 등을 위해 대용량의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반송파 집성을 통해 광대역 수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은 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은 eMBB U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eMBB UE로 동작하는 차량을 위해 광대역 주파수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 다른 UE에게 할당된 주파수 자원을 제외하고 여유 있는 주파수 대역들에 대한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과 관련하여,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대역을 각각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으로 지칭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커플링 급전부(1110)와 커플링 그라운드 부(1120)에 의해 안테나 시스템(1000)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400)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제1 대역 내지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50)를 제어할 수 있다.
안테나 시스템(1000)은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이 제1 및 제2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고대역(high band, HB)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B) 및 고대역(HB)에서 반송파 집성(CA)을 수행하면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 회로(1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커플링 급전부(1110)와 제2 커플링 급전부(1120)에 안테나 시스템이 각각 4G LTE 및 5G NR과 이중 연결 상태를 유지하거나 이중 연결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4G LTE 및 5G NR과 이중 연결 상태를 EN-DC로 지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0)는 제1 안테나(ANT1) 내지 제4 안테나(ANT4)를 통해 EN-DC 상태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안테나(ANT1) 및 제2 안테나(ANT2)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하고, 제3 안테나(ANT3) 및 제4 안테나(ANT4)를 통해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5G 통신 시스템 간 다른 대역을 이용하여 EN-DC 동작이 수행되면, 하나의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 대역을 사용하는 MIMO 스트림 간에 간섭 수준을 저감할 수 있다. 반면에, 4G/5G 통신 시스템 간 동일 대역을 이용하여 EN-DC 동작이 수행되면, 다른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EN-DC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저대역(LB)에서의 간섭 수준을 저감하기 위해, 동일 안테나 시스템 내의 복수의 안테나를 통한 MIMO 동작은 중대역(MB) 이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과 이들에 대한 제어 동작과 관련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이하의 청구항들의 권리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과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와 관련하여, 도 29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 1 통신 장치(910) 및/또는 제 2 통신 장치(920)을 포함한다.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제 1 통신 장치가 기지국을 나타내고, 제 2 통신 장치가 단말을 나타낼 수 있다(또는 제 1 통신 장치가 단말 또는 차량을 나타내고, 제 2 통신 장치가 기지국을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gNB(Next Generation 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gNB(general NB), 5G 시스템, 네트워크, AI 시스템, RSU(road side unit), 로봇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차량(vehicle), 로봇(robot), AI 모듈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는 프로세서(processor, 911,921), 메모리(memory, 914,924), 하나 이상의 Tx/Rx RF 모듈(radio frequency module, 915,925), Tx 프로세서(912,922), Rx 프로세서(913,923), 안테나(916,926)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앞서 살핀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L(제 1 통신 장치에서 제 2 통신 장치로의 통신)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은 프로세서(911)에 제공된다. 프로세서는 L2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L에서, 프로세서는 논리 채널과 전송 채널 간의 다중화(multiplexing), 무선 자원 할당을 제 2 통신 장치(920)에 제공하며, 제 2 통신 장치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전송(TX) 프로세서(912)는 L1 계층 (즉, 물리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 처리 기능을 구현한다. 신호 처리 기능은 제 2 통신 장치에서 FEC(forward error correction)을 용이하게 하고, 코딩 및 인터리빙(coding and interleaving)을 포함한다. 부호화 및 변조된 심볼은 병렬 스트림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스트림은 OFDM 부반송파에 매핑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와 멀티플렉싱되며, 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되어 시간 영역 OFDMA 심볼 스트림을 운반하는 물리적 채널을 생성한다. OFDM 스트림은 다중 공간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개별 Tx/Rx 모듈(또는 송수신기,915)를 통해 상이한 안테나(916)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Tx/Rx 모듈은 전송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반송파를 변조할 수 있다. 제 2 통신 장치에서, 각각의 Tx/Rx 모듈(또는 송수신기,925)는 각 Tx/Rx 모듈의 각 안테나(926)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Tx/Rx 모듈은 RF 캐리어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여, 수신(RX) 프로세서(923)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는 layer 1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는 제 2 통신 장치로 향하는 임의의 공간 스트림을 복구하기 위해 정보에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공간 스트림들이 제 2 통신 장치로 향하는 경우, 다수의 RX 프로세서들에 의해 단일 OFDMA 심볼 스트림으로 결합될 수 있다. RX 프로세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 (FFT)을 사용하여 OFDMA 심볼 스트림을 시간 영역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다. 주파수 영역 신호는 OFDM 신호의 각각의 서브 캐리어에 대한 개별적인 OFDMA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각의 서브캐리어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전송된 가장 가능성 있는 신호 배치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되고 복조 된다. 이러한 연 판정(soft decision)들은 채널 추정 값들에 기초할 수 있다. 연판정들은 물리 채널 상에서 제 1 통신 장치에 의해 원래 전송된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 및 디인터리빙 된다. 해당 데이터 및 제어 신호는 프로세서(921)에 제공된다.
UL(제 2 통신 장치에서 제 1 통신 장치로의 통신)은 제 2 통신 장치(920)에서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통신 장치(910)에서 처리된다. 각각의 Tx/Rx 모듈(925)는 각각의 안테나(926)을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Tx/Rx 모듈은 RF 반송파 및 정보를 RX 프로세서(923)에 제공한다. 프로세서 (921)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924)와 관련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제 1 통신 장치가 차량인 경우 제 2 통신 장치가 기지국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a를 참조하면, 제 2 통신 장치는 다른 차량일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 간 V2V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 2 통신 장치는 보행자(pedestrian)일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 간 V2P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 장치는 RSU (road side unit)일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 간 V2I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일 수 있고 제1 통신 장치와 제2 통신 장치 간 V2N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2 통신 장치가 다른 차량, 보행자, RSU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인 경우에도, 기지국이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통신 장치와 제 2 통신 장치 간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를 제 3 통신 장치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통신 절차는 제 1 통신 장치 내지 제 3 통신 장치 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안테나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의 기술적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내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높이를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하면서도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대역(LB) 안테나와 다른 안테나들을 하나의 안테나 모듈에 구현하여 다양한 통신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히트 싱크를 루프 안테나로 동작하도록 하여 광대역 동작하는 안테나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시스템을 저대역(LB)과 다른 대역에서 서로 다른 안테나로 최적화하여, 차량의 지붕 프레임 내에 최적의 구성과 성능으로 안테나 시스템을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역에서 다수의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다중 입출력(MIMO) 및 다이버시티 동작을 차량의 안테나 시스템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급전 부, 단락 부 및 브랜치 라인 패턴의 최적화를 통해, 광대역에서 동작하면서도 다양한 구조의 low profile 안테나 구조를 평면형 안테나 구조(planar antenna structure)로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과 이에 대한 제어 동작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의 설계와 안테나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 또는 차량의 제어부, 즉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회로 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과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heat sink); 및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직하게 연결된 유전체 캐리어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는 금속 패치로 구성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는,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전면에 배치되는 제1 방사 패치(radiation patch); 및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사패치와 수직하게 연결된 제2 방사 패치를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패치는 반원(semi-circle) 형태로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사 패치는 직사각형 형태로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캐리어의 측면에 배치된 상기 제2 방사 패치는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들(conductive members) 중 하나와 스크루를 통해 체결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송수신부 회로;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단일 안테나로 동작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는,
상기 회로 기판과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 연결부(vertical connection portion); 및
상기 수직 연결부에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수평 연장부(horizontal extension portion)을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의 상기 수평 연장부는 상기 제2 도전 멤버의 하부에 상기 제2 도전 멤버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대역 내지 상기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급전부;
상기 커플링 급전부 및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수신부 회로;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 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하부 히트 싱크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히트 싱크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방열 팬이 배치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 부; 및
상기 플레이트 부로부터 일 측 및 타 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히트 싱크의 수직 체결부와 체결되도록 구성된 연장 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체결부와 상기 연장 부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커플링 급전부, 커플링 그라운드 부 및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으로 형성되는 안테나가 광대역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전면에는 그라운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와 연결되는 제2 영역은 그라운드 패턴이 제거된 슬롯 영역으로 형성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에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급전 패턴(feeding pattern)이 배치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급전 패턴을 통해 상기 커플링 급전부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송수신부 회로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 또는 상기 송수신부 회로에 의한 소비되는 전력량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방열 팬의 팬 회전 속도가 제1 임계 값 이상이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 품질이 제2 임계 값 이상이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로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는, 안테나 시스템. - 안테나 시스템을 구비하는 차량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지붕 또는 지붕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 프레임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circuit board);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개구 영역(aperture region)을 갖고, 상기 회로 기판과 고정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히트 싱크(heat sink);
상기 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상기 개구 영역으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커플링 급전부(coupling feed portion);
상기 커플링 급전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가 상기 히트 싱크의 개구 영역을 통해 방사되도록 상기 신호를 제어하는 송수신부 회로(transceiver circuit); 및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통해 인접 차량, RSU (Road Side Unit) 및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커플링 그라운드 부(coupling ground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커플링 그라운드 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저대역(low band, LB), 중대역(mid band, MB) 및 고대역(high band, HB)에 해당하는 제1 대역, 제2 대역 및 제3 대역에서 단일 안테나로 동작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할당된 자원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 영역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대역 내지 상기 제3 대역 중 둘 이상의 대역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는, 차량.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급전부가 배치된 상기 히트 싱크의 도전 멤버에 대향하는 제2 도전 멤버와 커플링되도록 배치되는 제2 커플링 급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플링 급전부와 상기 제2 커플링 급전부에 의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중대역(mid band, MB) 에서 다중 입출력(MIMO)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부 회로를 제어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05933 WO2021225187A1 (ko) | 2020-05-06 | 2020-05-06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0694A true KR20220120694A (ko) | 2022-08-30 |
KR102624056B1 KR102624056B1 (ko) | 2024-01-11 |
Family
ID=7846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7094A KR102624056B1 (ko) | 2020-05-06 | 2020-05-06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198553A1 (ko) |
KR (1) | KR102624056B1 (ko) |
WO (1) | WO202122518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1303B1 (ko) * | 2020-01-13 | 2024-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CN114614253B (zh) * | 2022-02-28 | 2024-07-02 | 歌尔股份有限公司 | 天线结构及电子设备 |
US20240088576A1 (en) * | 2022-09-08 | 2024-03-14 | Motional Ad Llc | Wavelength based v2x antenna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57914A (ja) * | 1999-06-17 | 2000-12-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アンテナ、そのアンテナを搭載した電子機器及びそのアンテナの製造方法 |
US20090237311A1 (en) * | 2008-03-18 | 2009-09-24 | Jung Tai Wu | Single-plate dual-band antenna and wireless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
US20130207274A1 (en) * | 2012-02-14 | 2013-08-1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Wafer-scale package structures with integrated antennas |
KR20190061421A (ko) * | 2017-11-28 | 2019-06-05 |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92600B1 (en) * | 2001-02-16 | 2002-05-21 | Ems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RF bandwidth and beamwidth in a compact volume |
JP4651411B2 (ja) * | 2005-03-02 | 2011-03-16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アンテナ装置、及び無線装置 |
US9774076B2 (en) * | 2010-08-31 | 2017-09-26 | Siklu Communication ltd. | Compact millimeter-wave radio systems and methods |
KR101302580B1 (ko) * | 2013-04-01 | 2013-09-03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역 l 형과 t 형 무급전 소자를 이용한 소형 다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
WO2021100924A1 (ko) * | 2019-11-22 | 2021-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US20230163471A1 (en) * | 2020-05-06 | 2023-05-25 | Lg Electronics Inc. | Vehicle-mounted antenna system |
-
2020
- 2020-05-06 US US17/923,738 patent/US20230198553A1/en active Pending
- 2020-05-06 KR KR1020227027094A patent/KR1026240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5-06 WO PCT/KR2020/005933 patent/WO202122518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57914A (ja) * | 1999-06-17 | 2000-12-2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アンテナ、そのアンテナを搭載した電子機器及びそのアンテナの製造方法 |
US20090237311A1 (en) * | 2008-03-18 | 2009-09-24 | Jung Tai Wu | Single-plate dual-band antenna and wireless network device having the same |
US20130207274A1 (en) * | 2012-02-14 | 2013-08-15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Wafer-scale package structures with integrated antennas |
KR20190061421A (ko) * | 2017-11-28 | 2019-06-05 | 삼호중장비산업 주식회사 | 대전력 충전기의 과열 방지 시스템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24056B1 (ko) | 2024-01-11 |
WO2021225187A1 (ko) | 2021-11-11 |
US20230198553A1 (en) | 2023-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68209B1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
US20230009333A1 (en) |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 |
US11876287B2 (en) | Antenna module disposed in vehicle | |
KR102713924B1 (ko)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
KR102624056B1 (ko)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
KR102554610B1 (ko)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
US11688924B2 (en) | Wideband antenna disposed in vehicle | |
US12009592B2 (en) |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 |
KR102584290B1 (ko)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
US20240243462A1 (en) | Vehicle-mounted antenna system | |
KR102661303B1 (ko) | 차량에 탑재되는 안테나 시스템 | |
EP4462594A1 (en) | Wideband antenna arranged on vehicle | |
EP4415168A1 (en) | Wideband antenna arranged on vehicle | |
US11682824B2 (en) | Antenna module disposed in vehicle | |
EP4415169A1 (en) | Wideband antenna arranged on vehicle | |
US20240170836A1 (en) | Antenna system mounted on vehicle | |
KR20240046895A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
US20240322436A1 (en) | Wideband antenna arranged on vehicle | |
KR20240043155A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
KR20240144949A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
KR20240050477A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
KR20240070595A (ko) | 차량에 배치되는 광대역 안테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