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286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02861A KR20220102861A KR1020210005315A KR20210005315A KR20220102861A KR 20220102861 A KR20220102861 A KR 20220102861A KR 1020210005315 A KR1020210005315 A KR 1020210005315A KR 20210005315 A KR20210005315 A KR 20210005315A KR 20220102861 A KR20220102861 A KR 202201028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 frequency
- cell
- terminal
- optio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101150039363 SIB2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1150096310 SI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 및 기지국 동작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기존 4G 시스템 대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지원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들은 모바일 초광대역 통신 서비스(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초 고신뢰성/저지연 통신 서비스(URLLC: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대규모 기기간 통신 서비스(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차세대 방송 서비스(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URLLC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URLLC 시스템, eMBB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eMBB 시스템 등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와 시스템이라는 용어는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중 URLLC 서비스는 기존 4G 시스템과 달리 5G 시스템에서 새롭게 고려하고 있는 서비스이며, 다른 서비스들 대비 초 고 신뢰성(예를 들면, 패킷 에러율 약 10-5)과 저 지연(latency)(예를 들면, 약 0.5msec) 조건 만족을 요구한다. 이러한 엄격한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URLLC 서비스는 eMBB 서비스보다 짧은 전송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운용 방식들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단말이 비활성모드 또는 유휴모드뿐만 아니라 연결모드에서도 RRM 측정 완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를 훨씬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이 가능하고, 비활성모드 또는 유휴모드뿐만 아니라, 연결모드에서도 단말이 RRM 측정 완화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 별 우선 순위 정보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Release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 적용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new radio)에서, relaxed RRM measurement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f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에서, 단말이 normal measurement 또는 relaxed measurement를 선택하는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RedCap(reduced capability) 단말이 measurement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h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i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 별 우선 순위 정보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Release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 적용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new radio)에서, relaxed RRM measurement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f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에서, 단말이 normal measurement 또는 relaxed measurement를 선택하는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RedCap(reduced capability) 단말이 measurement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h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i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new radio, NR)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 (new radio node B, 이하 gNB)(1a-10) 과 AMF (1a-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 또는 terminal)(1a-15)은 gNB (1a-10) 및 AMF (1a-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도 1a에서 gNB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gNB는 NR UE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1a-20).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gNB (1a-10)가 담당한다. 하나의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존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칭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AMF (1a-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MF(1a-0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AMF(1a-05)는 MME (1a-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a-30)과 연결될 수 있다. LTE-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은 gNB뿐 아니라, eNB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1a-35).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상태 천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3 가지의 무선 접속 상태(radio resource control(RRC) state)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모드 (RRC_CONNECTED, 1b-05)는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접속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대기 모드 또는 유휴 모드 (RRC_IDLE, 1b-30)는 단말이 자신에게 페이징이 전송되는지를 모니터링하는 무선 접속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연결 모드 (1b-05)와 대기 모드 (1b-30)는 기존 LTE 시스템에도 적용되는 무선 접속 상태로, 상세 기술은 기존 LTE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신규로 비활성 무선 접속 상태 또는 비활성 모드(RRC_INACTIVE, 1b-15)가 정의되었다. 본 개시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새롭게 정의된 RRC_INACTIVE 무선 접속 상태(1b-15) 는 비활성 무선 접속 상태, INACTIVE 모드, 비활성 모드 등에 대응될 수 있다.
비활성 모드(1b-15) 무선 접속 상태에서는 UE context가 기지국과 단말에 유지되며, RAN(radio access network) 기반 페이징이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신규 무선 접속 상태인 비활성 (RRC_INACTIVE) 무선 접속 상태(1b-15)의 특징을 나열하면 하기와 같다.
- Cell re-selection mobility;
- CN - NR RAN connection (both C/U-planes) has been established for UE;
- The UE AS context is stored in at least one gNB and the UE;
- Paging is initiated by NR RAN;
- RAN-based notification area is managed by NR RAN;
- NR RAN knows the RAN-based notification area which the UE belongs 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INACTIVE 무선 접속 상태는 특정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1b-05) 혹은 대기 모드(1b-30)로 천이될 수 있다. Resume 과정에 따라 INACTIVE 모드(1b-15)에서 연결 모드(1b-05)로 전환될 수 있으며, suspend 설정 정보를 포함한 Release 절차를 이용하여 연결 모드(1b-05)에서 INACTIVE 모드(1b-15)로 전환될 수 있다.(1b-10). 상술한 절차(1b-10)에서 하나 이상의 RRC 메시지가 단말과 기지국 간 송수신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절차(1b-10)는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Resume 후 Release 절차를 통해, INACTIVE 모드(1b-15)에서 대기 모드(1b-30)로 전환 될 수 있다(1b-20).
연결 모드(1b-05)과 대기 모드(1b-30) 간 전환은 기존의 LTE 기술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establishment 혹은 release 절차를 통해, 연결 모드(1b-05)과 대기 모드(1b-30) 간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1b-25).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위한 주파수 별 우선 순위 정보가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Release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 적용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셀 재선택 (cell reselection)이란 이동하는 단말 (RRC_INACTIVE 또는 RRC_IDLE 상태인 단말)이 채널 상태가 가장 양호한 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빙 셀을 재선택하는 과정이다. 네트워크는 주파수별로 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대기 모드에 있는 단말들의 셀 재선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단말이 두 주파수 f1와 f2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수신하였으며, 주파수 f1이 주파수 f2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다면, 단말이 주파수 f1인 셀에 머무를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단말이 주파수 f2인 셀에 있더라도, 주파수 f2의 채널 상태가 좋지 않다면, 주파수 f1인 셀로 변경하려고 시도할 것이다.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priority) 정보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broadcast 되거나, dedicated RRC signalling인 RRCRelease 메시지를 통해, 특정 단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단말이 SIB을 통해 이미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가지고 있더라도, UE-specific 우선 순위 정보를 RRCRelease 메시지를 통해 RRC signalling으로 제공받으면, SIB의 우선 순위 정보는 무시될 수 있다. 각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는 하기 [표 1]과 같이, cellReselectionPriority IE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현재 총 8 단계의 우선 순위 중 하나를 부여 받게 될 수 있다. 낮은 값일수록, 우선 순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0'은 가장 낮은 우선 순위를 의미할 수 있다.
CellReselectionPriority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 TAG-CELLRESELECTIONPRIORITY-START CellReselectionPriority ::= INTEGER (0..7) -- TAG-CELLRESELECTIONPRIORITY-STOP -- ASN1STOP |
RAT(radio access technology) 간의 주파수들은 동일한 우선 순위를 부여 받을 수 없다. 단말의 IDLE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이라면, SIB을 통해 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하며, RRC signalling으로 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사용하지 않고 저장만 할 수 있다. cellReselectionPriority IE은 optional IE로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cellReselectionPriority I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가 부여되지 않은 것이다. 이 때, 단말은 해당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할 수 있다. 단말은 1c-00단계에서 SIB을 통해, NR 뿐만이 아니라, 다른 RAT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들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모든 주파수에 대해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camp한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 역시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은 1c-05 단계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에 대한 우선 순위 정보가 제공되지 않았다면, 1c-10 단계에서와 같이 상기 주파수의 우선 순위를 가장 낮은 단계로 간주할 수 있다. 단말은 1c-15 단계에서 각 주파수들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RRCRelease 메시지를 받으면, 연결 모드 (connected mode)에서 대기 모드 (IDLE mode) 또는 비활성 모드 (INACTIVE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에는 주파수의 우선 순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는 UE-specific한 정보로서, 일반적으로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보다 우선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1c-20 단계에서 상기 RRC 메시지에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가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RRC 메시지에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가 존재한다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제 1 타이머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 1 타이머를 1c-25 단계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 단말은 현재의 대기 모드 상태가 'camped on any cell state' 인지 또는 'camped normally state'인지를 1c-30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다. 'camped normally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suitable cell이란 단말에게 일반적인 서비스 (normal service)을 제공해줄 수 있는 셀로서, 아래와 같은 세부적인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
셀이 selected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registered PLMN 또는 equivalent PLMN list 내의 한 PLMN에 해당
-
Barring되지 않은 셀
-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camped on any cell state'는 단말이 suitable cell에 camp하지 못해, acceptable cell에 camp하고 있는 상태를 일컫는다. acceptable cell에서는 일반적인 서비스는 불가능하며, 응급 콜 (emergency call)만 단말이 시도할 수 있다. acceptable cell은 아래와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셀이다.
-
Barring되지 않은 셀
-
Cell selection criterion을 만족하는 셀
만약, 단말이 'camped on any cell state' 대기 상태라면, RRC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하지 않고, 대신에 1c-15 단계로 되돌아가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단말이'camped normally'대기 상태라면, 단말은 아래의 세 가지 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는지를 1c-35 단계에서 판단할 수 있다. 세 가지 조건은 하기와 같다.
-
단말이 연결 모드로 전환됨
-
제 1 타이머가 만료됨
-
NAS(non-access stratum) 요청에 따라, PLMN 선택 과정이 수행됨
위의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이라도 만족한다면, 단말은 1c-40 단계에서 RRC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는 폐기될 수 있고, 1c-15 단계로 되돌아가, SIB으로부터 제공받은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위의 조건들 중 어느 하나의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다면, 단말은 RRCRelease 메시지로부터 제공받은 우선 순위 정보를 1c-45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다.
주파수 우선 순위 정보는 단말이 특정 주파수의 측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현재의 서빙 셀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는 주파수에 대해서 단말은 측정 (measurement)을 항상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서빙 셀과 동일한 주파수 (intra-frequency) 또는 이보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또는 낮은 다른 주파수에 대해서는 단말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해당 주파수에 대한 측정을 항상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측정 수행 여부는 서빙 셀의 채널 QoS(quality of service)가 특정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 수행할 수 있다. 셀 재선택은 채널 상태가 양호한 셀로 이동하기 위해 수행하는데, 현재 서빙 셀의 채널 QoS가 양호한 경우에는 굳이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주파수로 이동할 이유가 없다. 따라서 불필요한 채널 측정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특정 임계값을 기준으로 측정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주파수 (intra-frequency)의 경우에, 특정 임계값 Sintrasearch (s-IntraSearchP 및 s-IntraSearchQ) 보다 서빙 셀의 QoS (즉, Srxlev 혹은 Squal)가 동일하거나 낮을 경우 동일 주파수의 다른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s-IntraSearchP 는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기반 임계값이고, s-IntraSearchQ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기반 임계값이다. 상기 측정된 서빙 셀의 RSRP 및 RSRQ가 모두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intra-frequency 측정을 하지 않는다. 우선 순위가 동일하거나 낮은 다른 주파수 (inter-frequency)에 대해서는, 특정 임계값 Snonintrasearch (s-NonIntraSearchP 및 s-NonIntraSearchQ)보다 서빙 셀의 QoS (즉, Srxlev 혹은 Squal)가 동일하거나 낮은 경우, 해당 다른 주파수의 셀들에 대해 채널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s-NonIntraSearchP 는 RSRP 기반 임계값이고, s-NonIntraSearchQ 는 RSRQ 기반 임계값이다. 상기 측정된 서빙 셀의 RSRP 및 RSRQ가 모두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inter-frequency 측정을 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임계값들과의 비교를 통해, intra-frequency 혹은 inter-frequency에서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normal measurement state, 그렇지 않은 상태를 no measurement state라고 칭한다. 상기 채널 측정을 수행하는 상태(measurement state)와는 상관없이, 서빙 셀 측정은 항상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을 수행하다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high보다 높아지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할 수 있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low보다 높고, 서빙 셀의 QoS가 ThreshServing-low보다 낮아지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할 수 있다.
도 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셀 재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와 상관없이 우선 순위 높은 주파수 혹은 RAT에 대해서는 항상 inter-freq 측정과 RA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1d-05)가 SintraSearch (1d-25)보다 낮다면, 단말은 intra-freq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빙 셀에 대한 측정 신호 세기가 SnonintraSearch (1d-30)보다 낮다면, 단말은 우선 순위가 현재 서빙 셀의 주파수와 동일한 혹은 낮은 주파수에 대해 inter-freq/RAT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측정 동작을 트리거하는 이유는 주변 셀 측정으로 인한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서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 (1d-10)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high (1d-35)보다 높아지면, 단말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할 수 있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 (1d-00)의 채널 QoS가 특정 임계값 ThreshX-low (1d-15)보다 높고 서빙 셀의 QoS가 ThreshServing-low (1d-20)보다 낮아지면, 단말은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진 주파수의 셀을 서빙 셀로 재선택할 수 있다.
셀 재선택 시에는 수신 신호 세기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혹은 수신 신호 품질 (RSRQ,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을 고려할 수 있다. 각각을 위해 Srxlev 혹은 Squal은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될 수 있다.
Srxlev = Qrxlevmeas - (Qrxlevmin + Qrxlevminoffset )- Pcompensation - Qoffsettemp
Squal = Qqualmeas - (Qqualmin + Qqualminoffset) - Qoffsettemp
여기에서, 각 변수가 의미하는 바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Srxlev | Cell selection RX level value (dB) |
Squal | Cell selection quality value (dB) |
Qoffsettemp | Offset temporarily applied to a cell as specified in TS 38.331 [3] (dB) |
Qrxlevmeas | Measured cell RX level value (RSRP) |
Qqualmeas | Measured cell quality value (RSRQ) |
Qrxlevmin | Minimum required RX level in the cell (dBm). If the UE supports SUL frequency for this cell, Qrxlevmin is obtained from q-RxLevMinSUL, if present, in SIB1, SIB2 and SIB4, additionally, if QrxlevminoffsetcellSUL is present in SIB3 and SIB4 for the concerned cell, this cell specific offset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Qrxlevmin to achieve the required minimum RX level in the concerned cell; else Qrxlevmin is obtained from q-RxLevMin in SIB1, SIB2 and SIB4, additionally, if Qrxlevminoffsetcell is present in SIB3 and SIB4 for the concerned cell, this cell specific offset is added to the corresponding Qrxlevmin to achieve the required minimum RX level in the concerned cell. |
Qqualmin | Minimum required quality level in the cell) (dB). Additionally, if Qqualminoffsetcell is signalled for the concerned cell, this cell specific offset is added to achieve the required minimum quality level in the concerned cell. |
Qrxlevminoffset | Offset to the signalled Qrxlevmin taken into account in the Srxlev evaluation as a result of a periodic search for a higher priority PLMN while camped normally in a VPLMN, as specified in TS 23.122 [9]. |
Qqualminoffset | Offset to the signalled Qqualmin taken into account in the Squal evaluation as a result of a periodic search for a higher priority PLMN while camped normally in a VPLMN, as specified in TS 23.122 [9]. |
Pcompensation | For FR1, if the UE supports the additionalPmax in the NR-NS-PmaxList, if present, in SIB1, SIB2 and SIB4: max(P EMAX1 -P PowerClass , 0) - (min(P EMAX2 , P PowerClass ) - min(P EMAX1 , P PowerClass )) (dB); else: max(P EMAX1 -P PowerClass , 0) (dB) For FR2, Pcompensation is set to 0. |
PEMAX1, PEMAX2 | Maximum TX power level of a UE may use when transmitting on the uplink in the cell (dBm) defined as PEMAX in TS 38.101 [15]. If UE supports SUL frequency for this cell, PEMAX1 and PEMAX2 are obtained from the p-Max for SUL in SIB1 and NR-NS-PmaxList for SUL respectively in SIB1, SIB2 and SIB4 as specified in TS 38.331 [3], else PEMAX1 and PEMAX2 are obtained from the p-Max and NR-NS-PmaxList respectively in SIB1, SIB2 and SIB4 for normal UL as specified in TS 38.331 [3]. |
PPowerClass | Maximum RF output power of the UE (dBm) according to the UE power class as defined in TS 38.101-1 [15]. |
또한, 셀 재선택을 위한 measurement 규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표 3]과 같이, TS 38.331 v.16.2.0을 참조한다.
5.2.4.2
Measurement rules for cell re-selection Following rules are used by the UE to limit needed measurements: - If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IntraSearchP and Squal > SIntraSearchQ, the UE may choose not to perform intra-frequency measurements. - Otherwise, the UE shall perform intra-frequency measurements. - The UE shall apply the following rules for NR inter-frequencies and inter-RAT frequencies which are indicated in system information and for which the UE has priority provided as defined in 5.2.4.1: - For a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with a reselection priority higher than the reselection priority of the current NR frequency, the UE shall perform measurements of higher priorit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ies according to TS 38.133 [8]. - For a NR inter-frequency with an equal or lower reselection priority than the reselection priority of the current NR frequency and for inter-RAT frequency with lower reselection priority than the reselection priority of the current NR frequency: - If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and Squal > SnonIntraSearchQ, the UE may choose not to perform measurements of NR inter-frequencies or inter-RAT frequency cells of equal or lower priority; - Otherwise, the UE shall perform measurements of NR inter-frequencies or inter-RAT frequency cells of equal or lower priority according to TS 38.133 [8]. - If the UE supports relaxed measurement and relaxedMeasurement is present in SIB2, the UE may further relax the needed measurements, as specified in clause 5.2.4.9. |
도 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new radio)에서, relaxed RRM measurement을 수행하는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상기 도 1d 및 표 3에 따라 RRM measurement를 수행하기로 결정한 단말(1e-05)은 기지국(1e-10)으로부터 수신한 SIB2의 RRM measurement relaxtion parameter를 통해 SIB2에 relaxedMeasurement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1e-15). relaxedMeasurement에는, 하기 [표 4]의 TS 38.331 v.16.2.0의 일부 내용과 같이, RRM relaxation을 위한 다수의 파라미터가 수납되어 있다.
relaxedMeasurement-r16 SEQUENCE { lowMobility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DeltaP-r16 ENUMERATED { dB3, dB6, dB9, dB12, dB15, spare3, spare2, spare1}, t-SearchDeltaP-r16 ENUMERATED { s5, s10, s20, s30, s60, s120, s180, s240, s300,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 OPTIONAL, -- Need R cellEdge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ThresholdP-r16 ReselectionThreshold, s-SearchThresholdQ-r16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combineRelaxedMeasCondition-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highPriorityMeasRelax-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 |
만약 SIB2에 relaxedMeasurement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단말(1e-05)이 relaxed measurement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단말(1e-05)은 RRM relaxation을 수행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1e-20). 만약 1e-20을 통해 RRM relaxation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1e-05)은 relaxed RRM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1e-25). 1e-20 과정에서는 두 가지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 low mobility criterion 와 not-at-cell-edge criterion이다. 기지국(1e-10)은 둘 중 하나의 criterion만을 configure할 수도 있고, 둘 다 configure할 수도 있다. low mobility criterion을 통해 단말(1e-05)은 자신의 mobility 정도가 낮다는 사실을 판별할 수 있으며, not-at-cell-edge criterion을 통해 단말(1e-05)은 자신이 serving cell의 edge에 위치하지 않음을 판별할 수 있다. 즉, mobility가 낮고 cell edge가 아닌 곳에 위치한 단말(1e-05)은 serving cell의 신호의 세기가 안정적이므로, 다른 neighbor cell로 cell re-selection을 할 필요성이 적기 때문에 neighbor cell에 대한 RRM measurement를 relaxation 할 수 있다. 상기 relaxed RRM measurement는 normal RRM measurement보다 더 큰 주기로 (즉, 더 드물게) 주파수를 measure을 하기에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Low mobility criterion 와 not-at-cell-edge criterion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 [표 5]에서 TS 38.304 v.16.2.0의 일부 내용과 같을 수 있다.
5.2.4.9.1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for UE with low mobility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for UE with low mobility is fulfilled when: - (SrxlevRef - Srxlev) < SSearchDeltaP, Where: - Srxlev = current Srxlev value of the serving cell (dB). - SrxlevRef = reference Srxlev value of the serving cell (dB), set as follows: - After selecting or reselecting a new cell, or - If (Srxlev - SrxlevRef) > 0, or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has not been met for TSearchDeltaP: - The UE shall set the value of SrxlevRef to the current Srxlev value of the serving cell. 5.2.4.9.2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for UE not at cell edge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for UE not at cell edge is fulfilled when: - Srxlev > SSearchThresholdP, and, - Squal > SSearchThresholdQ, if SSearchThresholdQ is configured, Where: - Srxlev = current Srxlev value of the serving cell (dB). - Squal = current Squal value of the serving cell (dB). |
또한, 상기 두 criterion을 이용해 1e-20 및 1e-25에서 단말이 relaxation을 판단/수행하는 방법은 하기 [표 6] 및 [표 7]에서, TS 38.304 v.16.2.0의 일부 내용과 같을 수 있다. 하기 [표 6] 및 [표 7]는 서로 연결된 내용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5.2.4.9.0
Relaxed measurement rules When the UE is required to perform measurements of intra-frequency or NR inter-frequencies or inter-RAT frequency cell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ules in clause 5.2.4.2: - if lowMobilityEvaluation is configured and cellEdgeEvaluation is not configured; and - if the UE has performed normal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measurements for at least TSearchDeltaP after (re-)selecting a new cell; and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1 is fulfilled for a period of TSearchDeltaP: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s for intra-frequency cells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9 in TS 38.133 [8]; - if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and Squal > SnonIntraSearchQ: - for an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of higher priority, if less than 1 hour has passed since measurements of corresponding frequency cell(s) for cell (re-)selection were last performed; and, - if highPriorityMeasRelax is configured with value true: - the UE may choose not to perform measurement on this frequency cell(s); - else (i.e.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or Squal ≤ SnonIntraSearchQ):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s for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cells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10, and 4.2.2.11 in TS 38.133 [8]; - if cellEdgeEvaluation is configured and lowMobilityEvaluation is not configured; and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2 is fulfilled: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s for intra-frequency cells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9 in TS 38.133 [8]; - if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or Squal ≤ SnonIntraSearchQ: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s for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cells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10, and 4.2.2.11 in TS 38.133 [8]; |
-
if both lowMobilityEvaluation and cellEdgeEvaluation are configured: - if the UE has performed normal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measurements for at least TSearchDeltaP after (re-)selecting a new cell; and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1 is fulfilled for a period of TSearchDeltaP; and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2 is fulfilled: - for any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if less than 1 hour has passed since measurements of corresponding frequency cell(s) for cell (re-)selection were last performed: - the UE may choose not to perform measurement for measurements on this frequency cell(s); - else: - if the UE has performed normal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or inter-RAT frequency measurements for at least TSearchDeltaP after (re-)selecting a new cell, and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1 is fulfilled for a period of TSearchDeltaP; or, - if the relaxed measurement criterion in clause 5.2.4.9.2 is fulfilled: - if combineRelaxedMeasCondition is not configured: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s for intra-frequency, NR inter-frequency cells of equal or lower priority, or inter-RAT frequency cells of equal or lower priority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9, 4.2.2.10, and 4.2.2.11 in TS 38.133 [8]; - if the serving cell fulfils Srxlev ≤ SnonIntraSearchP or Squal ≤ SnonIntraSearchQ: - the UE may choose to perform relaxed measurement for NR inter-frequency cells of higher priority, or inter-RAT frequency cells of higher priority according to relaxation methods in clauses 4.2.2.10, and 4.2.2.11 in TS 38.133 [8]; The above relaxed measurements and no measurement are not applicable for frequencies that are included in VarMeasIdleConfig, if configured and for which the UE supports dual connectivity or carrier aggregation between those frequencies and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serving cell. |
도 1f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R에서, 단말이 normal measurement 또는 relaxed measurement를 선택하는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단말은 SIB을 수신하고 RRM measurement relaxation을 위한 정보 (relaxedMeasurement)를 획득할 수 있다 (1f-05).
단말은 하나의 serving cell에 camp on 할 수 있다 (1f-10).
단말은 frequency 별로 (NR intra frequency 또는 NR inter frequency 또는 inter-RAT frequency) 또는 주파수의 우선순위 별로, 셀 재선택을 위한 RRM measurement가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1f-15). 1f-15에 대한 동작은 도 1c 및 도 1d에 대한 설명 및 표 3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만약 단말이 1f-15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주파수에서 RRM measurement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1f-20). 만약 단말이 1f-15에서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해당 주파수에서 RRM measurement relaxation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1f-25). 1f-25에 관한 상세한 동작은 도 1e에 대한 설명에 기술되어 있다.
만약 소정의 relaxation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해당 주파수에서 normal RRM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1f-30). Normal measurement을 위한 measurement 주기는 TS 38.133의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만약 소정의 relaxation 조건이 만족하면, 단말은 relaxed RRM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1f-35) 이 때 단말은 normal measurement 주기보다 더 긴 값으로 (즉, 더 드물게) measurement를 수행하여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Relaxed measurement을 위한 measurement 주기는 TS 38.133 및 TS 38.304의 일부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NR에서 연결모드 (RRC_CONNECTED)의 RedCap (reduced capability) 단말이 수행하는 RRM measurement relaxation에 관한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기술한 Rel-16 RRM measurement relaxation은 비활성모드 (RRC_INACTIVE) 또는 유휴모드 (RRC_IDLE)의 단말의 셀 재선택을 위한 measurement 를 완화하는 기술이었다. 본 개시에서는 연결모드의 단말의 RRM measurement relaxation 방식을 제안하며, 또한 단말은 Redcap (reduced capability) device일 수 있다. NR의 use-case로 industrial sensor network과 video surveillance 등이 가정되는데, 이 곳에서 사용되는 대부분 단말은 고정된 위치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wearable 디바이스 또한 오랜 시간 동안 stationary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의 중요한 특징으로는 일반적인 단말들에 비해 크기가 작고 그로 인해 배터리의 물리적인 크기도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내 단말은 배터리의 충전없이 오랜 시간 (수일에서 수년) 구동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ndustrial sensor network의 경우 수 많은 단말들이 공장 자동화 및 이벤트 감지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데 수 많은 단말들을 자주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들은 RedCap (reduced capability) 단말이라 불린다. 따라서 이러한 RedCap 단말들은 기존 NR 단말들에 비해 더욱 큰 에너지 절약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활성모드 또는 유휴모드뿐만 아니라 연결모드에서도 단말이 RRM measurement relaxation을 수행할 수 있다면 에너지 소비를 훨씬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는 RedCap 단말뿐만 아니라 모든 NR 또는 LTE 단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의 RRM measurement relaxation을 위한 조건, RRM measurement relaxation을 수행하는 절차, RRM measurement relaxation 방법 등은 연결모드뿐만 아니라 비활성모드 또는 유휴모드의 단말의 측정을 relaxation 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g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로서, RedCap(reduced capability) 단말이 measurement를 수행하는 동작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단말은 시스템 정보 (즉, SIB)을 통해 비활성모드 또는 유휴모드에서의 Rel-16 relaxation 파라미터와 함께 연결모드에서의 relaxation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1g-05). [표 4]에 나타난 Rel-16 relaxation parameter와 동일한 형태로, SIB 에는 연결모드에서의 relaxation 파라미터들이 하기 [표 8]내 relaxedMeasurement_connected 과 같이 따로 제공될 수 있다.
relaxedMeasurement-r16 SEQUENCE { lowMobility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DeltaP-r16 ENUMERATED { dB3, dB6, dB9, dB12, dB15, spare3, spare2, spare1}, t-SearchDeltaP-r16 ENUMERATED { s5, s10, s20, s30, s60, s120, s180, s240, s300,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 OPTIONAL, -- Need R cellEdgeEvaluation-r16 SEQUENCE { s-SearchThresholdP-r16 ReselectionThreshold, s-SearchThresholdQ-r16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combineRelaxedMeasCondition-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highPriorityMeasRelax-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relaxedMeasurement_connected-r17 SEQUENCE { lowMobilityEvaluation_connected-r17 SEQUENCE { s-SearchDeltaP_connected-r17 ENUMERATED { dB3, dB6, dB9, dB12, dB15, spare3, spare2, spare1}, t-SearchDeltaP_connected-r17 ENUMERATED { s5, s10, s20, s30, s60, s120, s180, s240, s300, spare7, spare6, spare5, spare4, spare3, spare2, spare1} } OPTIONAL, -- Need R cellEdgeEvaluation_connected-r17 SEQUENCE { s-SearchThresholdP_connected-r17 ReselectionThreshold, s-SearchThresholdQ_connected-r17 ReselectionThresholdQ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combineRelaxedMeasCondition_connected-r17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highPriorityMeasRelax-r16_connected-r17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OPTIONAL -- Need R ]] |
새로 정의된 relaxation 파라미터 (즉, relaxedMeasurement_connected), 그 내부 파라미터에 의한 연결모드 relaxation criterion 및 그에 따른 relaxation 수행 여부는 Rel.16 legacy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SIB을 통해 단말에게 stationary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1g-05). 이를 위해 1 bit 지시자를 도입할 수 있다. 이 지시자는 1g-20에서 기술한다.
단말은 cell에 camp on 한 뒤 (1g-10), RRC 연결을 설정하여 연결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1g-15).
기지국이 SIB을 통해 단말에게 stationary 정보를 요청한 경우, 단말은 msg5, UECapabilityInformation, 또는 RRC 메시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으며 (1g-20), 이 정보는 아래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1.
단말의 고유 특성 (내재하는 특성)으로서, stationary device인지 아닌지 여부
2.
단말의 고유 특성 (내재하는 특성)으로서, slightly moving device인지 아닌지 여부
3.
단말이 measurement를 통해 stationary device인지 아닌지 여부
4.
단말이 measurement를 통해 slightly moving device인지 아닌지 여부
5.
단말이 stationary RRM relaxation을 지원하는 지의 여부
* 1,2의 경우 measurement없이 USIM(user services identity module) 또는 상위 계층에서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 3,4의 경우 각각에 대해, Rel-16 low-mobility criterion이 재사용되지만 다른 s-SearchDeltaP 또는 t-SearchDeltaP 값을 사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이 보고한 상기 정보들에 기반해 기지국은 RRM relaxation 파라미터를 dedicate하게 (예, RRCReconfiguration)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1g-25). 이 때 제공되는 파라미터는 상기 단말에 dedicate한 relaxation condition을 설정하기 위한 값으로서, [표 8]에 나타난 relaxedMeasurement_connected와 같을 수 있다. 즉, SIB을 통해 relaxation condition 파라미터가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dedicate하게 relaxation condition 파라미터가 전달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상기 정보들에 따라 단말에 적합한 파라미터를 설정해줄 수 있으며, 보고된 정보가 stationary device인지 slightly moving device인지 따라 다른 내용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는 relaxed measurement 수행 방법에 대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1g-25). 상기 정보는 다음 중의 하나일 수 있다.
1) Relaxed measurement interval을 지정하는 값
2) 기존 measurement interval 대비 배수
3) Relaxed measurement object 리스트
measurement object는 연결모드에서 단말이 어떠한 객체를 측정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파라미터이며, 상기 measurement object는 측정을 수행해야하는 frequency/time location 및 reference signals 의 subcarrier spac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이 단말에게 새로운 measurement object를 설정해주기 위해서는, RRCReconfiguration와 RRCResume 메시지 MeasConfig내 복수 개 measurement object를 포함하는 리스트 ([표 9]의 measObjectToAddModList) 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설정해줄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measurement objects에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의 measurement object를 삭제시키기 위해서는, RRCReconfiguration와 RRCResume 메시지내 MeasConfig내 복수 개 measurement object를 포함하는 리스트 ([표 9]의 measObjectToRemoveList)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설정해줄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상기 measurement objects에서 더 이상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MeasConfig ::= SEQUENCE { measObjectToRemoveList MeasObject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AddModList MeasObject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RemoveList ReportConfig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AddModList ReportConfig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RemoveList MeasId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AddModList MeasId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s-MeasureConfig CHOICE { ssb-RSRP RSRP-Range, csi-RSRP RSRP-Range } OPTIONAL, -- Need M quantityConfig Quantity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Config MeasGap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SharingConfig MeasGapSharingConfig OPTIONAL, -- Need M ..., [[ interFrequencyConfig-NoGap-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 |
상기 정보 3) (즉, Relaxed measurement object 리스트) 에서 제안하는 바는, measObjectToAddModList와 더불어 RRM relaxation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복수 개의 relaxed measurement objects (예를 들어, [표 10]의 measObjectToAddModListRelaxed)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또한 이를 해제하기 위한 measObjectToRemoveListRelaxed도 필요할 수 있다. 즉, 단말이 relaxation condition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measObjectToAddModList와 measObjectToRemoveList에 의한 measurement object들에 따라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고, relaxation condition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measObjectToAddModListRelaxed와 measObjectToRemoveListRelaxed에 의한 measurement object들에 따라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MeasConfig ::= SEQUENCE { measObjectToRemoveList MeasObject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RemoveListRelaxed MeasObject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AddModList MeasObject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AddModListRelaxed MeasObject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RemoveList ReportConfig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AddModList ReportConfig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RemoveList MeasId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AddModList MeasId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s-MeasureConfig CHOICE { ssb-RSRP RSRP-Range, csi-RSRP RSRP-Range } OPTIONAL, -- Need M quantityConfig Quantity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Config MeasGap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SharingConfig MeasGapSharingConfig OPTIONAL, -- Need M ..., [[ interFrequencyConfig-NoGap-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 |
또는 기지국은 dedicate하게 단말에게 s-MeasureConfigRelaxed를 제공할 수 있다 (1g-25). 기지국은 하기 [표 11]과 같이 RRCReconfiguration을 통해 s-MeasureConfig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MeasureConfig의 역할은, 단말의 SpCell의 RSRP가 s-MeasureConfig보다 낮은 경우에는, 함께 제공되는 measurement objects에 따라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말의 SpCell의 RSRP가 s-MeasureConfig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공되는 measurement objects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MeasConfig ::= SEQUENCE { measObjectToRemoveList MeasObject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AddModList MeasObject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RemoveList ReportConfig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AddModList ReportConfig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RemoveList MeasId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AddModList MeasId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s-MeasureConfig CHOICE { ssb-RSRP RSRP-Range, csi-RSRP RSRP-Range } OPTIONAL, -- Need M quantityConfig Quantity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Config MeasGap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SharingConfig MeasGapSharingConfig OPTIONAL, -- Need M ..., [[ interFrequencyConfig-NoGap-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 |
여기서 제안하는 바는, 하기 [표 12]과 같이 기지국이 종래 s-MeasureConfig와 별도로 s-MeasureConfigRelaxed 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두 값을 수신한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만약 s-MeasureConfig <= NR SpCell RSRP 인 경우,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measurement를 수행하지 않는다.
- 만약 s-MeasureConfigRelaxed <= NR SpCell RSRP < s-MeasureConfig인 경우,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relaxed measurement를 수행한다.
- 만약 NR SpCell RSRP < s-MeasureConfigRelaxed 인 경우,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normal measurement를 수행한다.
MeasConfig ::= SEQUENCE { measObjectToRemoveList MeasObject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ObjectToAddModList MeasObject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RemoveList ReportConfig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reportConfigToAddModList ReportConfig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RemoveList MeasIdToRemoveList OPTIONAL, -- Need N measIdToAddModList MeasIdToAddModList OPTIONAL, -- Need N s-MeasureConfig CHOICE { ssb-RSRP RSRP-Range, csi-RSRP RSRP-Range } OPTIONAL, -- Need M s-MeasureConfigRelaxed CHOICE { ssb-RSRP RSRP-Range, csi-RSRP RSRP-Range } OPTIONAL, -- Need M quantityConfig Quantity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Config MeasGapConfig OPTIONAL, -- Need M measGapSharingConfig MeasGapSharingConfig OPTIONAL, -- Need M ..., [[ interFrequencyConfig-NoGap-r16 ENUMERATED {true} OPTIONAL -- Need R ]] } |
기지국이 [표 8]에 따라 SIB 또는 dedicate message을 통해 relaxedMeasurement_connected를 별도로 전송한 경우, Rel. 16 legacy와 동일한 방식으로 relaxation criteria를 체크함으로써 (1g-30), relaxed RRM measurement를 수행할지 normal RRM measurement를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만약 단말이 DC/CA인 상황이라면, 복수 개의 serving cell의 RSRP/RSRQ 값을 평균을 내거나 상위 값들을 선별하여 low-mobility criterion 또는 not-at-cell-edge criterion에 이용할 수 있다.또는, 단말은 USIM 또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자신이 stationary device인지 아닌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g-30을 판별할 수도 있다.
또는, 만약 기지국이 [표 12]와 같이 s-MeasureConfig와 별도의 s-MeasureConfigRelaxed를 제공한 경우, 상기 두 값을 수신한 단말은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만약 s-MeasureConfig <= NR SpCell RSRP 인 경우 (1g-30),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measurement를 수행하지 않는다.
- 만약 s-MeasureConfigRelaxed <= NR SpCell RSRP < s-MeasureConfig인 경우 (1g-30),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relaxed measurement를 수행한다.
- 만약 NR SpCell RSRP < s-MeasureConfigRelaxed 인 경우 (1g-30), 상기 measurement object에 대해 normal measurement를 수행한다.
만약 기지국이 measObjectToAddModListRelaxed와 measObjectToRemoveListRelaxed을 설정한 경우에는, 단말은 relaxation condition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measObjectToAddModList와 measObjectToRemoveList에 의한 measurement object들에 따라 measurement를 수행하고 (1g-35), relaxation condition을 만족하는 경우, measObjectToAddModListRelaxed와 measObjectToRemoveListRelaxed에 의한 measurement object들에 따라 measurement를 수행할 수 있다 (1g-40).
Relaxation을 위한 또 다른 방법 (1g-40)으로서, 기지국은 Rel-16과 마찬가지로 표준에서 정의하는 값 또는 배수에 따라 measurement interval을 늘릴 수 있다. 또는 상기 값 또는 배수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서 dedicate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measurement interval을 늘릴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기지국은 연결모드의 relaxed measurement를 수행하는 단말에게 즉각적으로 relaxed measurement를 release하고 normal 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oad balancing을 위해 단말을 다른 cell으로 handover 시키기를 원하는 경우, relaxed measurement를 취소시킴으로써 빠르게 다른 cell을 찾도록 만들 수 있다. 반대의 경우로서, 기지국은 연결모드의 normal measurement를 수행하는 단말에게 즉각적으로 relaxed 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절약을 목적으로).
또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로서, RSRQ를 고려하여 RRM measurement relaxation 수행 여부도 결정할 수 있다.
도 1h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radio frequency)처리부(1h-10), 기저대역(baseband)처리부(1h-20), 저장부(1h-30), 제어부(1h-40)를 포함한다.
상기 RF 처리부(1h-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 처리부(1h-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 처리부(1h-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1h-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 처리부(1h-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 처리부(1h-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는 MIMO를 수행할 수 있으며, MIMO 동작 수행 시 여러 개의 레이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은 상기 RF 처리부(1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은 상기 RF처리부(1h-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 및 상기 RF 처리부(1h-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 및 상기 RF 처리부(1h-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 및 상기 RF 처리부(1h-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 및 상기 RF 처리부(1h-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NRHz, NR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h-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h-30)는 제2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2접속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h-30)는 상기 제어부(1h-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h-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h-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h-20) 및 상기 RF처리부(1h-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h-40)는 상기 저장부(1h-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h-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h-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i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RF 처리부(1i-10), 기저대역처리부(1i-20), 백홀통신부(1i-30), 저장부(1i-40), 제어부(1i-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처리부(1i-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 처리부(1i-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 처리부(1i-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제1접속 노드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 처리부(1i-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 처리부(1i-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 처리부(1i-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RF 처리부는 하나 이상의 레이어를 전송함으로써 하향 MIMO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는 제1무선 접속 기술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은 상기 RF 처리부(1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 연산 및 CP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은 상기 RF 처리부(1i-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 및 상기 RF 처리부(1i-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 및 상기 RF 처리부(1i-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통신부 또는 무선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백홀통신부(1i-3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상기 백홀통신부(1i-30)는 상기 주기지국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보조기지국,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상기 저장부(1i-40)는 상기 주기지국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1i-40)는 접속된 단말에 할당된 베어러에 대한 정보, 접속된 단말로부터 보고된 측정 결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i-40)는 단말에게 다중 연결을 제공하거나, 중단할지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i-40)는 상기 제어부(1i-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i-50)는 상기 주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i-5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i-20) 및 상기 RF처리부(1i-10)을 통해 또는 상기 백홀통신부(1i-3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i-50)는 상기 저장부(1i-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i-5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315A KR20220102861A (ko) | 2021-01-14 | 2021-01-14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US18/261,642 US20240314879A1 (en) | 2021-01-14 | 2022-01-12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elaxed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PCT/KR2022/000578 WO2022154488A1 (ko) | 2021-01-14 | 2022-01-12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315A KR20220102861A (ko) | 2021-01-14 | 2021-01-14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861A true KR20220102861A (ko) | 2022-07-21 |
Family
ID=8244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5315A KR20220102861A (ko) | 2021-01-14 | 2021-01-14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 (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완화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314879A1 (ko) |
KR (1) | KR20220102861A (ko) |
WO (1) | WO202215448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34768A1 (en) * | 2022-08-12 | 2024-0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cell transition activities dur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10215B2 (en) * | 2019-03-28 | 2022-11-22 | Mediatek Inc.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relaxation |
US20220201523A1 (en) * | 2019-05-02 | 2022-06-2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elaxed measurement on a specific frequenc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21
- 2021-01-14 KR KR1020210005315A patent/KR20220102861A/ko unknown
-
2022
- 2022-01-12 US US18/261,642 patent/US20240314879A1/en active Pending
- 2022-01-12 WO PCT/KR2022/000578 patent/WO202215448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54488A1 (ko) | 2022-07-21 |
US20240314879A1 (en) | 2024-09-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5024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sel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4514769B (zh) |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无线电资源管理(rrm)测量的方法和装置 | |
KR102425581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3020941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ephemeris-based cell reselection in satellite network | |
US1155879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cket duplication by considering dual connectivity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2127054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cell reselection operation in unlicensed b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2748632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 |
US1154017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assistance information bit for local cache bit | |
US20240314879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relaxed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3037087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rm measurement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230021445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엑세스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3989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20053446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rrm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187127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 assistance information bit for local cache bit | |
KR2020011443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RU2771835C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ублированием пакетов с учетом двухсистемной связ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нового поколения | |
KR20210054721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계적 측정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54701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 대역에서 셀 재선택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09068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측정 동작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120372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모드 혹은 비활성 모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30055037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슬라이스 기반 셀 재선택 우선순위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55409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벤트 기반 mdt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