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7493A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57493A KR20220057493A KR1020220048803A KR20220048803A KR20220057493A KR 20220057493 A KR20220057493 A KR 20220057493A KR 1020220048803 A KR1020220048803 A KR 1020220048803A KR 20220048803 A KR20220048803 A KR 20220048803A KR 20220057493 A KR20220057493 A KR 202200574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less power
- charging
- signal
- power
-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검출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
Rx power (unit : W) |
Tx AC current (unit : A) |
Max AC current (unit : A) |
2.5 | 0.998 | 1.05 |
3 | 1.328 | 1.5 |
4 | 1.664 | 1.85 |
5 | 1.925 | 2.05 |
101 : 1차 코일(전송코일)
103 : 컨버터
105 : 구동 드라이버
107 : 객체 감지부
110 : 전송 블록
120 : 전송 제어부
130 : 온도센서
200 : 무선 전력 수신 장치
210 : 2차 코일(수신코일)
220 : 정류부
230 : 배터리
240 : 수신 제어부
300 : 어댑터(SMPS)
Claims (8)
- 2개 이상의 1차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전송 블록; 및
복수 개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위치에 놓이면, 상기 충전 위치들에 대응하는 1차 코일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1차 코일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복수의 1차 코일에서 무선 전력 신호가 동시에 발신하도록 상기 전송 블록들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블록은,
상기 1차 코일에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따라 발생하는 응답신호를 상기 전송 제어부로 전달하는 객체 감지부;
상기 1차 코일 각각에 연결되는 컨버터; 및
상기 전송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객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1차 코일에 대해서만 구동 신호를 보내는, 구동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1차 코일의 수에 따라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신호가 동시에 발신하는 중에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온도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전송을 모두 제한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1차코일을 통해 전송되는 충전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전력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1차 코일 모두로부터 디지털 핑에 대한 신호 세기 패킷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1차 코일 모두에서 무선 전력 신호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제어부는,
상기 1차 코일에 대하여 교차로 무선 전력신호를 전송한 후,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의 충전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정류되는 전류값이 기준값 이상인 1차 코일이 확인되는 경우, 이를 최선의 1차코일로 선정하여 이를 통해 무선 전력 신호를 발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정류되는 전류값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1차 코일 모두에서 무선 전력 신호가 발진하도록 제어하는,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803A KR102611773B1 (ko) | 2021-03-11 | 2022-04-20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KR1020230173387A KR20230169045A (ko) | 2021-03-11 | 2023-12-04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148A KR102390286B1 (ko) | 2020-09-03 | 2021-03-11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KR1020220048803A KR102611773B1 (ko) | 2021-03-11 | 2022-04-20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148A Division KR102390286B1 (ko) | 2020-09-03 | 2021-03-11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3387A Division KR20230169045A (ko) | 2021-03-11 | 2023-12-04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7493A true KR20220057493A (ko) | 2022-05-09 |
KR102611773B1 KR102611773B1 (ko) | 2023-12-07 |
Family
ID=815829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8803A Active KR102611773B1 (ko) | 2021-03-11 | 2022-04-20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KR1020230173387A Pending KR20230169045A (ko) | 2021-03-11 | 2023-12-04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73387A Pending KR20230169045A (ko) | 2021-03-11 | 2023-12-04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61177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7147A (ko) * | 2005-04-07 | 2006-10-1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
KR20100094596A (ko) * | 2007-12-21 | 2010-08-26 |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 유도 전력 전송 |
JP2011205767A (ja) * | 2010-03-25 | 2011-10-1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非接触充電システム |
KR20130036502A (ko) * | 2011-10-04 | 2013-04-12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
-
2022
- 2022-04-20 KR KR1020220048803A patent/KR102611773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12-04 KR KR1020230173387A patent/KR20230169045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7147A (ko) * | 2005-04-07 | 2006-10-13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피드백 제어가 가능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
KR20100094596A (ko) * | 2007-12-21 | 2010-08-26 |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 유도 전력 전송 |
JP2011205767A (ja) * | 2010-03-25 | 2011-10-13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非接触充電システム |
KR20130036502A (ko) * | 2011-10-04 | 2013-04-12 |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11773B1 (ko) | 2023-12-07 |
KR20230169045A (ko) | 2023-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4306B1 (ko)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
KR102051682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US11303135B2 (en)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10587123B2 (en) |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excluding cross-connected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27681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 |
EP2430724B1 (en) | Power-supply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ower-supplying system | |
US9479005B2 (en) |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related applications | |
KR102653290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102198935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20140107306A (ko) |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의 무선 전력 신호 전송 제어 방법 | |
KR102230682B1 (ko)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
KR101783808B1 (ko) |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스피커 장치 | |
KR101034740B1 (ko) |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 |
KR102390286B1 (ko)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
KR102272743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102611773B1 (ko) | 동시 멀티 충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 |
KR20140141964A (ko) |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 |
KR20190137741A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102529878B1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
KR20230156278A (ko) | 충전 상태의 시인성을 높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장착한 무선 충전 기능을 구비한 가구 | |
KR20230066296A (ko)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1031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3214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220420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05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Filing date: 20210311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1003214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