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3332A -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43332A KR20220043332A KR1020200126610A KR20200126610A KR20220043332A KR 20220043332 A KR20220043332 A KR 20220043332A KR 1020200126610 A KR1020200126610 A KR 1020200126610A KR 20200126610 A KR20200126610 A KR 20200126610A KR 20220043332 A KR20220043332 A KR 2022004333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element
- injection port
- drug
- chemoport
- cathe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58—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vascular access, e.g. blood stream acces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having a particular valve, seal or septu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73—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for introducing catheters into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247—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 A61M2039/0282—Semi-permanent or permanent transcutaneous or percutaneous access sites to the inside of the body with implanted tubes connected to the por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61M2039/062—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used with a cath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여 주입로의 막힘을 예방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절단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케이싱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주입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 또는 상기 주입포트에 연결된 카테터 라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포트에 약물이 주입되면 중간에 형성된 절개부의 사이가 벌어져 약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약물 공급이 중단되면 다시 원상태(폐쇄상태)로 복귀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모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여 주입로의 막힘을 예방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모포트(Chemoport)는 포털(portal)과 카테터(cathertor)로 구성된 중심 정맥관의 일종이다.
이러한 케모포트는 특히 항암제와 같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수혈 및 채혈을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는 장치로서, 항암제, 항생제, 혈액제제, 비경구적 영양공급, 수액, 진통제의 간헐적이거나 계속적인 주입이 필요하거나, 말초혈관 확보의 어려움이 있거나,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대상(환자)에게 주로 삽입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케모포트는 외관상 잘 보이지 않고, 미사용시 소독이 불필요하며, 수영 또는 목욕이 가능하고, 수개월에서 수년 동안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케모포트의 포털 부위는 몸속(피하)에 위치하고, 카테터는 동·정맥의 혈관 내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어 혈류 감염의 발생이 낮아 장기유치용 혈관 내의 카테터로서 활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케모포트와 같은 약물 주입 장치는 인체 내부에 이식되고 약물이 공급되는 챔버와, 챔버와 피하 정맥을 연결하는 카테터를 포함한다. 챔버는 셀프실링(Self sealing)되는 커버막으로 밀폐되며, 주사바늘(니들)로 커버막을 찔러 관통시킨 후 약물이 챔버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이식된 챔버에 약물을 주입하는 과정을 보면, 일반적으로 시술자가 챔버가 이식된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챔버 주위를 손으로 잡고, 커버막의 위치를 짐작하여 주사바늘로 삽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케모포트는 약물 주입이나 샘플링 과정 중에 케모포트 내로 혈액이 역류되어 주입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발생한 혈전이 혈관의 폐색을 유도하여 다양한 합병증을 유도하며, 심각할 경우 사망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를 위해 헤파린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매번 의료진이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직접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환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7096호(공고일자: 2018년 8월 9일)
<선행기술 2> 미국공개특허 US2015/0297115(공개일자: 2015년 10월 22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약물 주입이나 샘플링 과정 중에 혈액이 역류하여 응고됨으로써 주입로가 막히는 문제를 해결하는 밸브요소를 갖는 케모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와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시술시 삽입이 용이하며 절개를 최소할 수 있는 밸브요소를 갖는 케모포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내부의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절단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케이싱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주입포트; 상기 주입포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포트에 약물이 주입되면 중간에 형성된 절개부의 사이가 벌어져 약물 공급이 이루어졌다가 약물 공급이 중단되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밸브요소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판의 중간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주입포트의 단부에는 일정 폭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포트의 나사산에는 카테터 라인의 장착탭이 나사결합되거나 요철에 의해 일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평면 상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는 상기 케이싱부의 폭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제1 측면 절단영역과 제2 측면 절단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입포트에 밸브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약액의 공급시에는 밸브요소가 개방되어 체내에 약물을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고,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밸브요소가 다시 원상태(폐쇄상태)로 복귀되어 혈액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응고에 따른 주입 후의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부의 양측에 절단영역을 형성하여 케모포트의 시술시 피하에 삽입이 용이하고, 또한 절개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주입포트의 말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케테터 라인(튜브)에는 주입포트에 나사결합되거나 요철에 의해 일방향으로 결합되는 장착탭을 구성하여 튜빙교체 작업시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사시도(a) 및 평면도(b),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내부의 약물주입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밸브요소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일반적인 상태(a) 그리고 약물공급에 따른 밸브요소의 작동상태(b)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는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밸브요소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내부의 약물주입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밸브요소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일반적인 상태(a) 그리고 약물공급에 따른 밸브요소의 작동상태(b)를 보여주는 상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요소를 구비하는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의 밸브요소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되도록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브요소를 갖는 케모포트 조립체는, 일반적인 케모포트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즉 케이싱부(10), 멤브레인 부재(20), 및 바디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바디부(30)는 케이싱부(10)보다 넓은 원형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바디부(30)의 양측면에는 제1 측면 절단영역(30a)과 제2 측면 절단여역(30b)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들 측면 절단영역(30a,30b)은 케이싱부(10)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디부(30)에 복수의 측면 절단영역(30a,30b)을 형성한 것은, 케모포트의 시술시 피하 내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바디부(30)의 양측에 측면 절단영역(30a,30b)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바디부(30)의 형상은 유선형이나 타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디부(30)에 복수의 측면 절단영역(30a,30b)을 구성함으로써 케모포트의 삽입이 용이함과 동시에 절개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싱부(10)의 측면으로는 주입포트(31)가 연장형성된다. 이 주입포트(31)는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포트이다. 한편 주입포트(31)에는 카테터 라인(50)의 장착탭(40)이 나사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장착탭(40)은 나사결합이외에 주입포트(31)의 단부에 요철을 형성하여 끼움방식으로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케모포트의 약물 주입시에는, 멤브레인 부재(20)에 니들(60)을 삽침한 다음 약액을 케이싱부(10)의 챔버부(15)에 주입하게 된다. 주입된 약액은 케이싱부(10)의 챔버부(15)에서 소용돌이(와류)를 형성하면서 주입포트(31)를 통해 공급된다. 여기서 주입포트(31)에는 카테터 라인(50)의 장착탭(40)이 나사결합되어 주입포트(31)로부터 공급되는 약액은 카테터 라인(50)을 통해 체내로 공급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착탭(40)은 나사결합이외에에 요청형식으로 암수를 장착탭(40)의 내주면이나 주입포트(31)의 외주면에 형성하여 원터치 결합(스냅체결)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주입포트(31)의 선단에 일정 폭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카테터 라인(50)의 선단에는 주입포트(31)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장착탭(40)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카테터 라인(50; 튜브)과 케모포트의 주입포트(31)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주입포트(31)의 내부에는 밸브요소(7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밸브요소(70)는 예를 들어 실리콘과 같은 고무재질이나 플렉시블한 합성수지재로 원판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요소(70)의 중간에는 절개부(7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약액의 공급시에는 이 절개부(71)가 벌어져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원활한 약액의 공급이 가능하다. 반대로 약액의 공급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밸브요소(70)의 재질적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절개부의 폐쇄상태). 따라서 카테터 라인(50)을 통해 혈액이 역류되어 주입로 내에서 응고됨으로써 주입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변형된 예로서 밸브요소(70)를 카테터 라인(50; 튜브 내부)에 설치하여도 상기한 바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a) 상태는 약액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일반적인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밸브요소(70)는 절개부(71)가 폐쇄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상태에서 카테터 라인(50)을 통해 혈액 등이 주입포트(31)나 심하면 챔버부(15) 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된다.
한편 도 4의 (b) 상태는 니들(60)을 통해 약액이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밸브요소(70)는 공급되는 약액의 수압에 의해 절개부(71)가 벌어진 개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주입되는 약액은 원활하게 카테터 라인(5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약액의 공급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밸브요소를 갖는 케모포트 조립체는 약액의 공급시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수압에 의해 밸브요소(70)의 절개부(71)가 개방되어 약액의 공급이 원할하게 수행될 수 있다.
반대로, 약액의 주입이 완료되거나 약액의 주입 이전에는 밸브요소(70)의 절개부(71)는 폐쇄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카테터 라인(50)으로부터 혈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에 따라 약액 공급로(예를 들어 주입포트나 챔버부)에서 혈액이 응고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로 인해 종래에 혈액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헤파린 처리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케모포트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이점을 갖는다.
첫째, 주입포트(31)에 밸브요소(70)를 구비함으로써 약액의 공급시에는 밸브요소(70)가 개방되어 체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밸브요소(70)가 다시 원상태(폐쇄상태)로 복귀되어 혈액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응고에 따른 주입되도록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바디부(30)의 양측에 측면 절단영역(30a,30b)을 형성하여 케모포트의 시술시 피하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이에 필요한 절개영역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주입포트(31)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카테터 라인(50; 튜브)에는 주입포트(31)에 나사결합되는 장착탭(40)을 구성하여 튜빙교체 작업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주입포트(31)와 연결되는 카테터 라인(50)에 밸브요소(7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약액의 공급시에는 밸브요소(70)가 개방되어 체내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고, 약물주입이 완료되면 밸브요소(70)가 다시 원상태(폐쇄상태)로 복귀되어 혈액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응고에 따른 주입되도록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싱부
15: 챔버부
20: 멤브레인 부재
30: 바디부
30a: 제1 측면 절단영역
30b: 제2 측면 절단영역
31: 주입포트
40: 장착탭
50: 카테터 라인
60: 니들
70: 밸브요소
71: 절개부
15: 챔버부
20: 멤브레인 부재
30: 바디부
30a: 제1 측면 절단영역
30b: 제2 측면 절단영역
31: 주입포트
40: 장착탭
50: 카테터 라인
60: 니들
70: 밸브요소
71: 절개부
Claims (4)
- 멤브레인 부재가 장착되고 일부에 챔버가 형성된 케이싱부;
상기 케이싱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부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지며,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측면에 측면 절단영역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케이싱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약물을 공급하는 주입포트; 및
상기 주입포트 또는 상기 주입포트에 연결된 카테터 라인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입포트에 약물이 주입되면 중간에 형성된 절개부의 사이가 벌어져 약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약물 공급이 중단되면 다시 원상태(폐쇄상태)로 복귀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요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요소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원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판의 중간에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포트의 단부에는 일정 폭으로 나사산 또는 요철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주입포트에는 상기 카테터 라인의 장착탭이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평면 상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구성되되, 상기 바디부의 양측에는 상기 케이싱부의 폭과 동일한 위치에 각각 제1 측면 절단영역과 제2 측면 절단영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610A KR20220043332A (ko) | 2020-09-29 | 2020-09-29 |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610A KR20220043332A (ko) | 2020-09-29 | 2020-09-29 |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3332A true KR20220043332A (ko) | 2022-04-05 |
Family
ID=8118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610A KR20220043332A (ko) | 2020-09-29 | 2020-09-29 |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43332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7115A (ko) * | 2022-11-24 | 2024-05-31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사기 근접 광 기반 소독 기기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610A patent/KR2022004333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7115A (ko) * | 2022-11-24 | 2024-05-31 |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 주사기 근접 광 기반 소독 기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302267A1 (en) | Graft-port hemodialysi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 |
EP1016431B1 (en) | Implantable access devices | |
US4581020A (en) | Medication delivery device and system for percutaneous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 |
JP4924651B2 (ja) | 混注ポート | |
US5057084A (en) | Implantable infusion device | |
US200502095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ly accessing a pressure activated implanted port | |
US5226879A (en) | Implantable access device | |
US6290677B1 (en) | Medicinal liquid injection port | |
US4569675A (en) | Transcutaneous infusion system | |
US5556381A (en) | Implantable access devices | |
US5108377A (en) | Micro-injection port | |
KR100843163B1 (ko) | 혈액 역류 방지 카테터 | |
US20050171502A1 (en) | Dual well port device | |
BRPI0717558B1 (pt) | Dispositivo médico para operar um septo de um dispositivo de acesso vascular | |
JPH07303697A (ja) | ポートカニューレ装置 | |
CN108042899A (zh) | 一种双重瓣膜植入式给药系统 | |
KR20220043332A (ko) | 밸브요소를 구비하고 카테터가 연결된 케모포트 조립체 | |
US20090247986A1 (en) | Flapper Valve with Membrane Bypass for Power PICC | |
US20120172819A1 (en) | Magnetically sealed intravenous access valve | |
US11504516B2 (en) | Port catheter | |
CA236101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cutaneously accessing a pressure activated implanted port | |
CN211609996U (zh) | 植入式供穿刺导管 | |
JP4329006B2 (ja) | 皮下埋め込み式アクセスポート | |
JP3169547B2 (ja) | 薬液注入ポート | |
JPH08215319A (ja) | 皮下埋込みポ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