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7405A - construction machinery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achin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7405A KR20220037405A KR1020217033393A KR20217033393A KR20220037405A KR 20220037405 A KR20220037405 A KR 20220037405A KR 1020217033393 A KR1020217033393 A KR 1020217033393A KR 20217033393 A KR20217033393 A KR 20217033393A KR 20220037405 A KR20220037405 A KR 202200374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work
- speed
- working device
- electronic contro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02F9/262—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with follow-up actions to control the work tool, e.g. controlle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02F3/435—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for dipper-arms, backhoe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03—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ttitude of actuators, e.g. speed, floating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 아암 및 버킷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선회체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장치, 상기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 운전자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레버,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영역를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작업설정부, 상기 작업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및 상기 조작레버, 상기 작업설정부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작업영역과 상기 작업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carriage, an upper slewing body rotatably supported on the undercarriage, and a boom, an arm and a bucket operated by respective hydraulic cylinders, and a work supported by the upper slewing body A device,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cylinder, an operation lever for outputting an ope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anipulation amount of the driver, a work setting unit for setting and/or selecting a work area of the work devic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device and/or Or output a control signal for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operation lever, the work setting uni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llecting and/or calcul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area It provides a construction machine compris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working device, and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버킷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improving work speed and work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buck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bucket to the work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the speed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ucket)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work area limitation function.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건설 현장 등에서 땅을 파는 굴삭 작업, 토사를 운반하는 적재 작업, 기초를 만들기 위한 터파기 작업, 건물을 해체하는 파쇄 작업, 지면을 정리하는 정지 작업, 지면을 고르는 고르기 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건설기계이다.In general, excavators perform various tasks such as excavating work to dig the ground at a construction site, etc. It is a construction machine that performs
도 1을 참조하면,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1)는 하부주행체(2)와, 하부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선회체(3)와, 상부선회체(3) 상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장치(4)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 a
또한, 작업장치(4)는, 다관절로 형성되어, 후단부가 상부선회체(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붐(4a)과, 붐(4a)의 선단에 후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4c)을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따라 작동유가 공급되고, 붐 실린더(5, 작업용 액추에이터)와 아암 실린더(6, 작업용 액추에이터)와 버킷 실린더(7, 작업용 액추에이터)가 각각 붐(4a), 아암(4b) 및 버킷(4c)을 작동시킨다.In addition, the working device 4 is formed by a
이와 같은 건설기계(1)는 붐(4a), 아암(4b), 버킷(4c) 등의 작업장치(4)를 각각의 수동조작레버를 통해 작동하고 있으나, 이러한 작업장치(4)는 각각 관절부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장치(4)를 각각 조작하여 소정의 영역을 작업하는 것은 운전자의 상당한 노력을 필요로 한다. Such a
그러므로, 이와 같은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굴착기의 작업영역 제어장치가 일본등록특허 평7-94735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작업영역 제어장치는 버킷 끝단과 침입불가영역의 경계선까지의 거리에 따라 버킷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실수로 침입불가영역에 버킷 끝단을 이동시키려 해도, 버킷은 자동적으로 침입불가영역의 경계선에서 정지하게 된다. 또한, 운전자는 작업 도중에 작업장치의 속도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작업장치가 침입불가영역에 근접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 버킷 선단을 되돌릴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such an operation, a working area control apparatus of an excavator is prop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Hei 7-94735. The work area control device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bucke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bucket to the boundary line of the intrusion-free area. Therefore, even if the driver accidentally moves the tip of the bucket to the intrusion-free area, the bucket automatically stops at the boundary line of the intrusive area.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return the bucket tip by recognizing that the working device is approaching the non-intrusive area from the fact that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is decreasing during work.
도 2는 운전자가 작업영역을 설정한 다음 작업영역에 쌓인 작업물질을 걷어내는 상황에서 버킷(13c)의 자세는 각각 다르지만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work area)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a) 내지 (c) 상황을 나타낸다. 2 shows that the posture of the
이 때, 운전자가 설정한 작업영역에 쌓인 작업물질을 걷어내기 위해서는 버킷(13c)의 조작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버킷(13c)의 속도가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다만,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가 같더라도 버킷(13c)의 자세에 따라 버킷(13c)이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거나 침범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버킷(13c)의 속도가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제한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즉, (c) 상황은 (a) 및 (b) 상황과는 달리 운전자가 버킷(13c)을 조작을 하더라도 버킷(13c)이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게 되는 상황임에도,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가 동일하게 인식되어 (a) 및 (b) 상황과 동일하게 버킷(13c)의 속도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버킷(13c)을 이용한 굴삭 작업시 작업 속도 및 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situation (c) is different from the situations (a) and (b), even if the driver operates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를 고려하여 버킷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속도 및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speed of the bucke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bucket to the work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the speed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ucket).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work area limitation function that improves work speed and work efficienc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 아암 및 버킷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선회체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장치, 상기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 운전자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레버,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영역를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작업설정부, 상기 작업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및 상기 조작레버, 상기 작업설정부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작업영역과 상기 작업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dercarriage, an upper slewing body rotatably supported on the undercarriage, a boom operated by each hydraulic cylinder, an arm and a bucket, A work device supported by the upper revolving body,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cylinder, a manipulation lever for outputting a manipu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manipulation of the driver, a work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nd/or selecting a working area of the working devic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nd the operation lever, the work setting uni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llecting and/or calcula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device and/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ork area, the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a control valve, wherei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working device and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Construction machinery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작업장치가 상기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장치가 상기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만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lever is input, determines whether the working device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working area, and when the working device approaches the working area 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which is configured to limit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on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bucket end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과 버킷 핀을 잇는 선과 버킷 끝단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pin to the bucket and the end of the bucket, the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과 아암 핀을 잇는 선과 버킷 끝단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arm pin and the end of the bucket, the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을 때에는 속도제한구간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mpares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work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between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work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When the distance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be determined as a speed limit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 작업장치의 감속율을 설정하고, 설정된 감속율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set a deceleration rate of the working device in the speed limit section, and limit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set deceleration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기준이 되는 버킷 핀의 위치에서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에 기초하여 속도제한구간 및/또는 감속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the speed limit section and/or the deceleration rate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bucket end and the work area at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serving as a reference.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작업장치가 상기 속도제한구간 내로 진입하면 상기 감속율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control un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deceleration rate when the working device enters the speed limit s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핀의 위치가 상기 기준이 되는 버킷 핀의 위치보다 상승하게 되면, 버킷 핀의 상승한 거리만큼 비례하여 작업장치의 속도 제한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rises from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serving as the reference, the electronic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crease the speed limit of the working devic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distance of the bucket pin. 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that is config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건설기계의 자세 정보와 각각의 작업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와 상기 자세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posi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position inform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a position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position of each working device,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unit And 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which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coordinates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sture measurement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전기식 조이스틱으로서 운전자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lever, as an electric joystick,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which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driver and provide it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작업설정부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작업모드 설정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지형 정보, 위치 정보 및 건설기계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 set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work mode setting functions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river's needs, and the terrain information and location provid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work mode setting It may be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display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on the display scree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으로의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work devic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work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또한, 운전자는 운전 경험과 무관하게 작업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work device regardless of driving experien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설기계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작업영역제한 기능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아암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버킷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peed control method of a wor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ork area limiting func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working device when a bucket-in oper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peed of a working device when an arm-in ope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a working device when a bucket-in ope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기계(10)는 하부주행체(11), 상기 하부주행체(11)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12) 및 상기 상부선회체(12)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장치(13)를 구비한다. 작업장치(13)는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13a), 아암(13b) 및 버킷(13c)을 포함한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기계(10)는, 버킷 끝단과 작업표면(work surface)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운전자의 작업장치(13) 조작 요구량을 제한함으로써 작업장치(13)가 작업표면을 침범하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작업영역제한 기능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킷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ork area limiting func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a working device during a bucket-i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건설기계(10)는 하부주행체(11), 상기 하부주행체(11)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12),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13a), 아암(13b) 및 버킷(13c)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선회체(12)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장치(13),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100), 운전자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레버(200),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영역(work area)을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작업설정부(400), 상기 작업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는 위치정보 제공부(300) 및 상기 조작레버(200), 상기 작업설정부(400)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3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100)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부(500)를 포함한다.3 and 4 , a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작업영역과 상기 작업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컨트롤밸브(100)는 압력을 받아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풀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부재이다. 즉, 컨트롤밸브(100)는 유압원인 유압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공급 방향을 유압 실린더 측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컨트롤밸브(100)는 유압 배관을 통하여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유압펌프에서 유압 실린더로의 작동유 공급을 유도한다.The
조작레버(200)는 유압식 조이스틱 또는 전기식 조이스틱(Electric Joystic)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부(500)에 제공하는 전기식 조이스틱일 수 있다.The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는 작업장치(13)의 현재 위치와 조작레버(200)의 조작방향으로 판단된다. Whether the
작업장치(13)가 작업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장치(13)의 속도가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working
위치정보 제공부(30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이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건설기계(10)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건설기계(10)의 자세 정보와 붐(13a), 아암(13b) 및 버킷(13c)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와 상기 자세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건설기계(10)의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위치 측정부(310)는 GPS 위성이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구비할 수 있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건설기계(10)의 위치 정보를 측정한다.The
자세 측정부(320)는 복수의 관성 측정 장치(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앵글 센서(Angle senor) 등을 이용하여 붐(13a), 암(20) 및 버킷(13c)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및/또는 자세, 그리고 건설기계(10)의 본체 기울기 등을 측정한다.The
좌표 산출부(330)는 상기 위치 측정부(310)와 상기 자세 측정부(320)로부터 측정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붐(13a), 암(20) 및 버킷(13c) 중 적어도 하나의 좌표(x, y, z)를 산출한다.The coordinate
또한, 위치정보 제공부(300)는 작업 위치 주변의 지형 정보 및 작업 위치에 대한 시공 정보를 산출된 좌표에 맵핑하는 맵핑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맵핑부는 자세 측정부에서 측정된 각각의 작업장치(13)의 위치 및/또는 자세 그리고 건설기계(10)의 본체 기울기 등을 상기 좌표 산출부에서 계산된 각 축에 따라 조정하여 맵핑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작업설정부(400)는 작업장치(13)의 작업영역(work area)를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 제한(Work area limit) 모드, 스윙 포지션 컨트롤(Swing position control) 모드 등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작업모드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The
작업설정부(400)는 상기 작업영역 및/또는 상기 작업모드의 설정 및/또는 선택에 따라, 위치정보 제공부(300)로부터 제공받은 지형 정보, 위치 정보 및 건설기계(10)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410) 화면에 표시한다. 즉, 운전자는 디스플레이(410) 화면에서 작업영역 및/또는 작업모드를 설정 및/또는 선택하고, 이에 따라 표시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작업영역은 운전자가 작업목표로 하는 디자인면(design surface)을 의미한다.The
전자제어부(500, Electronic Control Unit)는 조작레버(200)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작업장치(13)와 설정된 작업영역 사이의 거리를 연산한다. 그 다음, 연산된 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작업장치(13)의 속도 제한량을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속도 제한량에 기초하여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When a manipulation signal of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영역제한 기능이 활성화(active)되면, 조작레버(200)의 조작신호 및/또는 위치정보 제공부(300)의 다양한 위치 정보들이 전자제어부(500)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제어부(500)는 취합된 정보를 토대로 작업장치(13)의 속도 제한량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작업장치(13)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work area limi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ivated, a manipulation signal of the
도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건설기계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3 and 4,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work area lim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운전자가 작업설정부(400) 상에서 활성 제어 모드(Active control Mode)를 선택하고, 목표로 하는 작업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영역에 대한 버킷굴삭 작업을 위해 버킷 인(Bucket in) 조작레버(200)를 조작한다. First, a driver selects an active control mode on the
이 때,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는 작업장치(13)의 현재 위치와 조작레버(200)의 조작방향으로 판단되며, 작업장치(13)가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만 작업장치(13)의 속도가 제한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ther the working
그 다음, 위치정보 제공부(300)가 상기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고, 이를 전자제어부(500)에 제공한다. Then, the location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이 움직이는 방향(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연산한다. The
여기서, 버킷 끝단(P1)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과 버킷 핀(P2)을 잇는 가상의 선(Line 1)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즉, 버킷 끝단(P1)과 버킷 핀(P2)을 잇는 가상의 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에서 버킷 끝단(P1)에서의 접선이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et end P1 moves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그 다음, 전자제어부(500)는 연산된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 설정된 기준값(dt)과 비교한다.Next, the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설정된 기준값(dt)보다 클 때에는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이 때에는 전자제어부(500)가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다만,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기준값(dt)보다 작을 때에는 속도제한구간으로 판단한다.However, when the distance (d s )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 ), the
그리고,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의 버킷(13c)의 감속율을 설정한다. 이 때, 버킷(13c)의 감속율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에 따라 선형적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n, the
이에 따라, 버킷(13c)의 속도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 상기 감속율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Accordingly, the speed of the
즉,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에 따른 감속율에 기초하여 컨트롤밸브(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컨트롤밸브(100)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실린더를 제어한다.That is, the
계속 도 4를 참조하여, 버킷굴삭시 버킷의 자세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 4,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bucket during bucket excav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거리(d)는 (a), (b) 및 (c) 자세에서 모두 같지만, 버킷(13c) 조작시 작업영역을 침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모두 다르다.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tip of the bucket (P1) and the work area is the same in (a), (b) and (c) postures, but the time taken to invade the work area when the
그럼에도,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를 기준으로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게 되면, (a) 내지 (c) 자세에서 버킷(13c)의 속도가 모두 동일하게 제한된다. 이에 따라, 버킷(13c)을 이용한 굴삭 작업시 작업 속도 및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 Nevertheless, if the speed of the
따라서, 버킷(13c)의 속도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준으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speed of the
이 때, (a)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1으로 가장 작고, (b)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2으로 두번째로 작으며, (c)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3로 가장 크게 된다.At this time, in (a) posture, the distance (d s )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the smallest as d 1 , and in (b) posture, at the bucket end (P1) The distance (d s ) to the working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the second smallest as d 2 , and in (c) posture,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ing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The distance (d s ) of is the largest with d 3 .
즉, 본 발명에 따르면, (a) 자세에서 버킷(13c)의 속도가 가장 많이 감속되고, (b) 자세에서 버킷(13c)의 속도가 두번째로 많이 감속되며, (c) 자세에서 버킷(13c)의 속도가 가장 작게 감속된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e speed of the
이처럼, 전자제어부(500)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준으로 버킷(13c)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면, 버킷굴삭시 버킷(13c)의 자세에 따라 버킷(13c)이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거나 침범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은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버킷(13c)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아암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speed of a working device when an arm-in ope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작업기계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3 and 5 , an operation method of a working machine having a work area limit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운전자가 작업설정부(400) 상에서 활성 제어 모드(Active control Mode)를 선택하고, 목표로 하는 작업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영역에 대한 굴삭 작업을 위해 아암 인(Arm in) 조작레버(200)를 조작한다. 이 때, 버킷(13c)의 조작레버(200)는 조작되지 않을 수 있다.First, a driver selects an active control mode on the
이 때,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는 작업장치(13)의 현재 위치와 조작레버(200)의 조작방향으로 판단되며, 작업장치(13)가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만 작업장치(13)의 속도가 제한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ther the working
그 다음, 위치정보 제공부(300)가 상기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고, 이를 전자제어부(500)에 제공한다. Then, the location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연산한다. The
여기서, 버킷 끝단(P1)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과 아암 핀(P3)을 잇는 가상의 선(Line 2)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즉, 버킷 끝단(P1)과 아암 핀(P3)을 잇는 가상의 선을 지름으로 하는 원에서 버킷 끝단(P1)에서의 접선이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cket end P1 moves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그 다음, 전자제어부(500)는 연산된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 설정된 기준값(dt)과 비교한다.Next, the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설정된 기준값(dt)보다 클 때에는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이 때에는 전자제어부(500)가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지 않는다.The
다만,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기준값(dt)보다 작을 때에는 속도제한구간으로 판단한다. However, when the distance (d s )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smaller than the reference value (d t ), the
그리고,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의 아암(13b)의 감속율을 설정한다. 이 때, 아암(13b)의 감속율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에 따라 선형적으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n, the
이에 따라, 아암(13b)의 속도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 상기 감속율에 기초하여 제어된다. Accordingly, the speed of the
즉,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에 따른 감속율에 기초하여 컨트롤밸브(10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컨트롤밸브(100)는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실린더를 제어한다.That is, the
계속 도 5를 참조하여, 굴삭시 아암(13b)의 자세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 5 ,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osture of the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거리(d)는 (a), (b) 및 (c) 자세에서 모두 같지만, 아암(13b) 조작시 작업영역을 침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모두 다르다.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bucket end (P1) and the work area is the same in (a), (b) and (c) postures, but the time taken to invade the work area when the
그럼에도,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를 기준으로 아암(13b)의 속도를 제한하게 되면, (a) 내지 (c) 자세에서 아암(13b)의 속도가 모두 동일하게 제한된다. 이에 따라, 아암(13b)을 이용한 굴삭 작업시 작업 속도 및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 Nevertheless, if the speed of the
따라서, 아암(13b)의 속도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준으로 제어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 speed of the
이 때, (a)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1으로 가장 작고, (b)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2으로 두번째로 작으며, (c) 자세에서는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가 d3로 가장 크게 된다. At this time, in (a) posture, the distance (d s )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the smallest as d 1 , and in (b) posture, at the bucket end (P1) The distance (d s ) to the working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is the second smallest as d 2 , and in (c) posture, from the bucket end (P1) to the working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P1) The distance (d s ) of is the largest with d 3 .
즉, (a) 자세에서 아암(13b)의 속도가 가장 많이 감속되고, (b) 자세에서 아암(13b)의 속도가 두번째로 많이 감속되며, (c) 자세에서 아암(13b)의 속도가 가장 작게 감속된다. That is, the speed of the
이처럼, 전자제어부(500)가 버킷 끝단(P1)에서 버킷 끝단(P1)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ds)를 기준으로 아암(13b)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면, 굴삭시 아암(13b)의 자세에 따라 버킷(13c)이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거나 침범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은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아암(13b)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버킷 인 조작시 작업장치의 속도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peed of a working device when a bucket-in operation of a construction machine is ope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영역제한 기능을 갖는 건설기계의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3 and 6 , an operation method of a construction machine having a work area limit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운전자가 작업설정부(400) 상에서 활성 제어 모드(Active control Mode)를 선택하고, 목표로 하는 작업영역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영역에 대한 버킷굴삭 작업을 위해 버킷 인(Bucket in) 조작레버(200)를 조작한다. First, a driver selects an active control mode on the
이 때, 작업장치(13)가 설정된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는 작업장치(13)의 현재 위치와 조작레버(200)의 조작방향으로 판단되며, 작업장치(13)가 작업영역으로부터 가까워지는 경우에만 작업장치(13)의 속도가 제한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ther the working
그 다음, 위치정보 제공부(300)가 상기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고, 이를 전자제어부(500)에 제공한다. Then, the location
전자제어부(500)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300)로부터 제공되는 작업장치(13)의 위치정보 및/또는 설정된 작업영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를 설정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에서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에 기초하여 속도제한구간 및/또는 감속율을 설정한다. The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이 상기 속도제한구간 내로 진입하면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에 기초하여 설정된 감속율에 따라 버킷(13c)의 속도를 제어한다. The
여기서,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에서 변동되면,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보다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인지를 판단한다.Here, when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is changed from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as the reference, the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보다 상승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핀(P2)의 상승한 거리만큼 비례하여 버킷(13c)의 속도 제한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is higher than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as a reference, the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보다 하강하는 경우로 판단되면,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핀(P2)의 하강한 거리만큼 비례하여 버킷(13c)의 속도 제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is lowered than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as a reference, the
즉, 전자제어부(500)는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에서의 속도제한구간 및 감속율을 설정하고, 여기에 버킷 핀(P2)의 높이 방향 위치 변화량을 반영하여 버킷(13c)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계속 도 6을 참조하여, 버킷굴삭시 버킷 핀(P2)의 위치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 6,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P2 during bucket excav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거리(d)는 (a) 및 (b) 자세에서 모두 같지만, 버킷(13c) 조작시 작업영역을 침범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모두 다르다.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bucket end P1 and the work area is the same in (a) and (b) postures, but the time taken to invade the work area when the
그럼에도,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를 기준으로 버킷(13c)의 속도를 제한하게 되면, (a) 및 (b) 자세에서 버킷(13c)의 속도가 모두 동일하게 제한된다. 이에 따라, 버킷(13c)을 이용한 굴삭 작업시 작업 속도 및 능률이 떨어질 수 있다. Nevertheless, if the speed of the
따라서,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가 같더라도, 버킷 핀(P2)의 높이 방향 위치 변화량을 반영하여 버킷(13c)의 속도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end of the bucket P1 and the work area is the same, the
예를 들어, 전자제어부(500)가 (a) 자세에서의 버킷 핀(P2)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인식한 경우를 설명하면, 전자제어부(500)는 (a) 자세에서의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를 기준으로 속도제한구간 및/또는 감속율을 설정한다.For example, if the
그리고, 버킷(13c)의 자세가 (a) 자세에서 (b) 자세로 변경된 경우, (b) 자세는 (a) 자세 보다 작업영역을 침범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은 상황 또는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상황을 나타낸다. 즉,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지만,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 위치 보다 da 만큼 상승한 경우이다. And, when the posture of the
이 때, 전자제어부(500)는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 위치보다 상승한 거리(da)에 비례하여 버킷(13c)의 속도 제한량을 감소시킨다. 즉, 도 6에서, (a) 자세에서의 버킷(13c)의 감속 그래프가 버킷 핀(P2)의 위치가 기준 위치보다 상승한 거리(da) 만큼 (b) 자세에서의 버킷(13c)의 감속 그래프로 평행이동 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a) 자세와 (b) 자세는 버킷 끝단(P1)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d)가 같음에도 불구하고 (b) 자세에서의 버킷(13c)의 속도 제한량은 기준 위치인 (a) 자세에서 보다 감소하게 된다. 또한, (b) 자세에서의 버킷(13c)의 속도제한구간은 기준 위치인 (a) 자세에서 보다 감소하게 된다.Accordingly, although the (a) posture and (b) posture have the same shortest distance (d) between the bucket end (P1) and the work area, the speed limit of the bucket (13c) in the posture (b) is the reference position In (a) posture, it decreases more. In addition, the speed limit section of the
이처럼, 전자제어부(500)가 기준이 되는 버킷 핀(P2)의 위치를 설정하고, 기준 위치에 대한 버킷 핀(P2)의 높이 방향 위치 변화량을 반영하여 버킷(13c)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면, 버킷굴삭시 버킷(13c)의 자세에 따라 버킷(13c)이 작업영역을 침범하지 않거나 침범하는데 시간적 여유가 많은 상황에서 보다 효율적인 버킷(13c)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또한, 운전자는 운전 경험과 무관하게 작업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er can easily operate the work device regardless of driving experien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건설기계
11 : 하부 주행체
12 : 상부 선회체
13 : 작업장치
13a : 붐
13b : 아암
13c : 버킷
14 : 붐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15 : 아암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16 : 버킷 실린더(작업용 액추에이터)
100 : 컨트롤밸브
200 : 조작레버
300 : 위치정보 제공부
310 : 위치 측정부
320 : 자세 측정부
330 : 좌표 산출부
400 : 작업설정부
410 : 디스플레이
500 : 전자제어부
P1 : 버킷 끝단
P2 : 버킷 핀
P3 : 아암 핀
d :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
ds :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10: construction machinery
11: lower running body
12: upper slewing body
13: work device
13a: boom
13b: arm
13c: Bucket
14: boom cylinder (actuator for work)
15: arm cylinder (actuator for work)
16: Bucket cylinder (actuator for work)
100: control valve
200: operation lever
300: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310: position measuring unit
320: posture measurement unit
330: coordinate calculator
400: work setting unit
410: display
500: electronic control unit
P1 : Bucket end
P2: Bucket Pin
P3 : arm pin
d :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working area
d s :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bucket to the working area in the direction the tip of the bucket moves (the direction of velocity at the tip of the bucket)
Claims (13)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부선회체;
각각의 유압 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 아암 및 버킷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선회체에 의해 지지되는 작업장치;
상기 유압 실린더를 제어하는 컨트롤밸브;
운전자의 조작량에 대응되는 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레버;
상기 작업장치의 작업영역를 설정 및/또는 선택할 수 있는 작업설정부;
상기 작업장치의 위치정보 및/또는 작업영역의 위치정보를 수집 및/또는 계산하는 위치정보 제공부; 및
상기 조작레버, 상기 작업설정부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컨트롤밸브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자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작업영역과 상기 작업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undercarriage;
an upper revolving body that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traveling body;
a working device comprising a boom, an arm and a bucket operated by respective hydraulic cylinders and supported by the upper slewing body;
a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cylinder;
a manipulation lever for outputting a manipul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a manipulation amount of the driver;
a work setting unit capable of setting and/or selecting a work area of the work device;
a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collecting and/or calcula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device and/o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work area;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valve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lever, the work setting uni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alculate a distance between the working area and the working device, an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calculated distance.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작업장치가 상기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지 또는 멀어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작업장치가 상기 작업영역에 가까워지는 경우에만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working device approaches or moves away from the working area when the manipulation signal of the manipulation lever is input, and to limit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only when the working device approaches the working area Being a construction machine.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a distance from the bucket end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bucket end.
상기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과 버킷 핀을 잇는 선과 버킷 끝단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건설기계.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ine connecting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pin of the bucket and the end of the bucket.
상기 버킷 끝단이 움직이는 방향은, 버킷 끝단과 아암 핀을 잇는 선과 버킷 끝단에서 수직을 이루는 방향인, 건설기계.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bucket moves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ine connecting the end of the bucket and the arm pin and the end of the bucket.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를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버킷 끝단에서 버킷 끝단의 속도 방향으로 작업영역까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보다 작을 때에는 속도제한구간으로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nic control unit compares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bucket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ucket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when the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bucket to the work area in the speed direction of the end of the bucket is less than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speed limit section Constructed to be judged as, construction machinery.
상기 전자제어부는, 상기 속도제한구간에서 작업장치의 감속율을 설정하고, 설정된 감속율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7. The method of claim 6,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a deceleration rate of the working device in the speed limit section, and to limit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set deceleration rate.
상기 전자제어부는, 기준이 되는 버킷 핀의 위치에서 버킷 끝단과 작업영역 사이의 최단 거리에 기초하여 속도제한구간 및/또는 감속율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et the speed limit section and/or the deceleration rate based o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bucket end and the work area at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serving as a reference.
상기 전자제어부는, 작업장치가 상기 속도제한구간 내로 진입하면 상기 감속율에 기초하여 작업장치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9. The method of claim 8,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speed of the working device based on the deceleration rate when the working device enters the speed limit section.
상기 전자제어부는, 버킷 핀의 위치가 상기 기준이 되는 버킷 핀의 위치보다 상승하게 되면, 버킷 핀의 상승한 거리만큼 비례하여 작업장치의 속도 제한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nic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reduce the speed limit of the working devic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d distance of the bucket pin when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rises from the position of the bucket pin serving as the reference.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는, 건설기계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건설기계의 자세 정보와 각각의 작업장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자세 측정부 및 상기 위치 측정부와 상기 자세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 산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includes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the position of each working device, and the position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 coordinate calculator for calculating coordinates based on information.
상기 조작레버는, 전기식 조이스틱으로서 운전자의 조작량에 비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전자제어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on lever is an electric joystick, and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operation of the driver and provide it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상기 작업설정부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작업모드 설정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모드 설정에 따라 상기 위치정보 제공부로부터 제공받은 지형 정보, 위치 정보 및 건설기계의 자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건설기계.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 set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work mode setting functions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driver, an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work mode, at least one of topographic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and posture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unit according to the work mode setting A construction machine, configured to display one on the display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04110 WO2020204240A1 (en) | 2019-04-05 | 2019-04-05 | Construction equip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7405A true KR20220037405A (en) | 2022-03-24 |
KR102705219B1 KR102705219B1 (en) | 2024-09-11 |
Family
ID=7266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33393A KR102705219B1 (en) | 2019-04-05 | 2019-04-05 | Construction machinery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178113A1 (en) |
EP (1) | EP3951071A4 (en) |
KR (1) | KR102705219B1 (en) |
CN (1) | CN113795633A (en) |
WO (1) | WO2020204240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3461A (en) | 2021-09-01 | 2023-03-08 |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 Construction equipment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0173A (en) * | 1993-12-24 | 1995-07-18 | Komatsu Ltd | Controller of civil work machinery |
JPH11190042A (en) * | 1997-12-26 | 1999-07-1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Automatic operation shovel |
KR101731368B1 (en) * | 2016-03-17 | 2017-04-28 |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control method, and work vehicle |
WO2018085553A1 (en) * | 2016-11-02 | 2018-05-11 | Clark Equipment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zone of operation for a lift arm |
WO2018105527A1 (en) * | 2016-12-06 | 2018-06-14 | 住友建機株式会社 | Construction machinery |
WO2019012699A1 (en) * | 2017-07-14 | 2019-01-17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Work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4735A (en) | 1993-09-24 | 1995-04-07 | Mitsubishi Materials Corp | Mos structure |
KR100226282B1 (en) * | 1994-06-30 | 1999-10-15 | 토니헬샴 | Working area limit device of an excavator |
JP3112814B2 (en) * | 1995-08-11 | 2000-11-27 | 日立建機株式会社 | Excavatio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ry |
US5704429A (en) * | 1996-03-30 | 1998-01-06 |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 Control system of an excavator |
JPH10159123A (en) * | 1996-12-03 | 1998-06-16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Control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ry |
JP4776640B2 (en) * | 2008-01-29 | 2011-09-21 | 日立建機株式会社 | Front control device of hydraulic excavator |
DE112013000165B4 (en) * | 2013-04-12 | 2019-02-07 | Komatsu Ltd. | Control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and control method |
DE112015000030B4 (en) * | 2014-06-04 | 2019-01-10 | Komatsu Ltd. |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method |
JP6532797B2 (en) * | 2015-10-08 | 2019-06-19 | 日立建機株式会社 | Construction machinery |
JP6046320B1 (en) * | 2016-05-31 | 2016-12-14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system, construction machine, and construction machine control method |
JP6564739B2 (en) * | 2016-06-30 | 2019-08-21 | 日立建機株式会社 | Work machine |
KR101766846B1 (en) * | 2016-11-28 | 2017-08-10 | (주)영신디엔씨 | Guide and Control System for Excavating Work |
-
2019
- 2019-04-05 US US17/601,167 patent/US20220178113A1/en active Pending
- 2019-04-05 WO PCT/KR2019/004110 patent/WO2020204240A1/en unknown
- 2019-04-05 KR KR1020217033393A patent/KR102705219B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04-05 CN CN201980095148.9A patent/CN113795633A/en active Pending
- 2019-04-05 EP EP19922792.7A patent/EP3951071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0173A (en) * | 1993-12-24 | 1995-07-18 | Komatsu Ltd | Controller of civil work machinery |
JPH11190042A (en) * | 1997-12-26 | 1999-07-13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Automatic operation shovel |
KR101731368B1 (en) * | 2016-03-17 | 2017-04-28 |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control method, and work vehicle |
US20180002901A1 (en) * | 2016-03-17 | 2018-01-04 | Komatsu Ltd. | Control system for work vehicle, control method, and work vehicle |
WO2018085553A1 (en) * | 2016-11-02 | 2018-05-11 | Clark Equipment Company |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zone of operation for a lift arm |
WO2018105527A1 (en) * | 2016-12-06 | 2018-06-14 | 住友建機株式会社 | Construction machinery |
WO2019012699A1 (en) * | 2017-07-14 | 2019-01-17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Work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
US20190078289A1 (en) * | 2017-07-14 | 2019-03-14 | Komatsu Ltd. | Work machine and control method for work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51071A4 (en) | 2022-12-14 |
US20220178113A1 (en) | 2022-06-09 |
WO2020204240A1 (en) | 2020-10-08 |
CN113795633A (en) | 2021-12-14 |
KR102705219B1 (en) | 2024-09-11 |
EP3951071A1 (en) | 202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6772B1 (en) | Working machine | |
CN103890273B (en) |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machine | |
JP6502476B2 (en) | Display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 |
CN105339561B (en) | Device for computing orientation of work machine, work machine, and method for computing orientation of work machine | |
JP5791827B2 (en) | Work vehicle | |
CN108779614A (en) | Work machine | |
CN107882080A (en) | Excavator fine work control method, system and excavator | |
KR102631345B1 (en) | construction machinery | |
KR20230033461A (en) | Construction equipment | |
JP7310408B2 (en) | Work information gener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 |
US20220112693A1 (en) | Monitoring device and construction machine | |
KR102065478B1 (en) | Construction machinery and control method | |
KR102378264B1 (en) | working machine | |
KR20220037405A (en) | construction machinery | |
JP2019105160A (en) | Display system for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 |
CN112384660B (en) | Working machine | |
CN113502861A (en) | Control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 | |
US20210324605A1 (en) | Blade control device for work machinery | |
JP5364742B2 (en) | Hydraulic excavator position guid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sition guidance system | |
JP2021055433A (en) | Shovel | |
KR20230145740A (en) | Construction equipment | |
JP7478280B1 (en) | Work Machine | |
KR20230061909A (en) | Construction equipment | |
CN115030243A (en) | System and method for terrain-based control of a self-propelled work vehicle | |
JP2024127611A (en) | Work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