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2700A - 소방 설비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 설비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32700A KR20220032700A KR1020200114353A KR20200114353A KR20220032700A KR 20220032700 A KR20220032700 A KR 20220032700A KR 1020200114353 A KR1020200114353 A KR 1020200114353A KR 20200114353 A KR20200114353 A KR 20200114353A KR 20220032700 A KR20220032700 A KR 202200327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unit
- transfer
- passage
- ra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은, 밀폐공간 내부의 벽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레일장치부; 내부에 이송유로 및 전달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장치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장치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송장치부; 및 상기 이송장치부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내부에 형성된 분사유로를 통해 전달된 소화약제의 분사 또는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통한 유독/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화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방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 발생하는 화재 및/또는 다양한 재난상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소방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는 화재 발생 등에 대응하기 위해 설정된 공간에 소화기 등과 같은 소화설비가 다수 보급되어 있다.
하지만 길이가 긴 터널이나 내부 공간 면적이 광범위한 실내 공간이나 밀폐공간의 경우, 설치된 소화설비의 대응만으로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뿐 아니라, 소방관이나 터널 관리자 등 전문적인 인력의 수작업 의존하여 화재 사고를 포함한 복합적인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바, 화재 사고 등에 대한 초등 대응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문제점 역시 지적되어 왔다.
또한 최근 도입되고 있는 터널 내 화재 진압 시스템의 경우, 일부 원격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소방 설비가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바, 넓은 밀폐지역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소방 설비를 각각 구비해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의 증가가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재 사고에 따라 함께 발생되는 유독가스의 배출이나 저감, 제거 역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일부 자동화된 시스템의 경우, 화재 현장 이외에도 터널 등 밀폐공간 전역(방호구역 전체)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전역방출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바, 발생 화재에 대한 대응이 효과적이지 못한 동시에, 소화약제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 역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 사고 발생 시, 이를 자동 또는 원격으로 감지하고, 터널 등의 밀폐공간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지점에 자동적으로 소화액 분사 및/또는 유해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인명 피해의 최소화를 지원할 수 있는 소방 설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밀폐공간 내부의 벽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레일장치부; 내부에 이송유로 및 전달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장치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장치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송장치부; 및 상기 이송장치부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내부에 형성된 분사유로를 통해 전달된 소화약제의 분사 또는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통한 유독/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화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과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레일장치부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공급유로에서 소화약제를 상기 이송장치부로 전달할 수 있는 분출홀; 및 상기 분출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홀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부는, 상기 레일장치부의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와 선택적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는 이송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일단부가 상기 이송가이드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유로와 연결된 전달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이송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재대응부는, 일측이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달유로와 체결되는 흡입유로 또는 분산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흡입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산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서도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레일장치부는, 밀폐공간 내측에 일단부가 지그로 고정부착 되는 상기 화재대응부에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제1 레일장치부; 및 상기 제1 레일장치부와 설정된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고 지그로 고정부착 되어, 상기 화재대응부에서 흡입되는 유독/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재2 레일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형태로의 제공 역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부는, 설정된 내부에 홀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체결구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고정부착되는 홀 체결몸체; 및 상기 홀 체결몸체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이 가능한 홀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홀 체결돌기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레일장치부에 형성된 분출홀 또는 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제공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화재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소방 설비 시스템은 터널 등 밀폐공간 내에서 화재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 또는 원격으로 소방 설비 시스템을 제어하여 정확한 화재 현장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호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기존 시스템(전역방출방식) 대비 실질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정확하게 분사(국소방출방식)를 진행할 수 있게 되는 바, 초등 대응이 보다 용이한 동시에 소화약제의 효과적 사용 및 이를 통한 소방 시스템의 화재 진압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재 대응과 동시에(선택적으로) 화재 현장에서 발생하는 유독가스의 자동 배기를 통해 유독가스로 인한 2차 사고, 예컨대 질식사나 호흡 곤란, 시계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한 추돌사고나 화재 현장으로의 진입이나 탈출의 어려움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장치부와 이송장치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3은 레일장치부와 이송장치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도면이며, 도 3은 레일장치부와 이송장치부의 슬라이딩 체결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의 전체적인 단면 모습을 나타내고 도면이다.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레일장치부(100), 이송장치부(200) 및 화재대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장치부(1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일단이 고정 부착되며, 타단은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 레일을 지칭한다.
레일장치부(100)는 단면이 둥근 길게 연장된 내부에 중공(Hole)이 형성된 봉(Bar)을 중심으로 일단에는 지그(Jig) 등과 같은 고정구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고정 체결되어 상기 봉(Bar)을 고정 지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봉(Bar)의 경우, 단면을 기준으로 반드시 원형일 필요는 없으며,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및 두께와 폭으로 형성,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레일장치부(110) 및 제2 레일장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설정된 일부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로 노출되고, 봉(Bar) 내부에 형성된 중공(공급유로 및/또는 배출유로가 형성)을 통해 소화약제(물, 소화액 등)를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일장치부(100)의 일단부에는 별도의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소화약제를 수용 가능한 탱크, 일 예로 물탱크)가 포함될 수 있다(소화약제 공급모듈, 130). 즉 레일장치부(100)의 일단부 등 설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소화약제 공급모듈(130)인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 등을 통해 레일장치부(100) 중공(Hole)에 소화약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모터를 통해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길게 연장된 레일장치부(100)에 설정된 용량의 소화약제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레일장치부(100)는 제1 레일장치부(110) 및 제2 레일장치부(120)의 목적을 구분하여, 제1 레일장치부(110)를 통해서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로 소화약제를 공급(봉(Bar) 내부의 중공을 소화약제 이송 유로로 활용)하고, 제2 레일장치부(120)를 통해서는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 등에서 발생하는 유해/유독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유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레일장치부(110)의 설정된 일단부에는 전술한 모터 및 소화약제 탱크가 체결되는 동시에, 제2 레일장치부(120)의 설정된 위치(일 예로 레일장치부(100)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 환경으로 노출된 위치 등)에 모터 및 유해가스 제거 필터를 포함하여, 내부의 유해/유독가스를 외부로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봉(Bar) 내부의 중공을 유해/유독가스 이송 유로로 활용)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설치 현장의 특성이나 목적, 화재 등 비상/재난 상황 발생의 가능성 등 다양한 내외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제1 및 제2 레일장치부(110, 120) 모두 소화약제 공급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유독/유해가스 배출이 되도록 내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레일장치부(110, 120)는 어느 하나가 소화약제 공급이 되고, 나머지 하나가 유독/유해가스 배출이 가능한 유로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현장의 상황 등을 감안하여, 제3 레일장치부 등 추가적으로 내부에 유로(소화약제 또는 유독/유해가스 배출 경로)가 형성된 별도의 추가적인 제n 레일장치부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전술한 제n 레일장치부 내부의 유로를 통해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를 보다 원활히 투입 및/또는 배출되도록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장치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상된 상면 또는 측면 등의 설정된 위치(또는 상면 또는 측면 등에 설정된 간격으로)에 하나 이상의 분출홀(101, 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구멍, Hole을 지칭) 및/또는 흡입홀(102, 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구멍, Hole을 지칭)을 포함할 수 있다.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은 이하 후술할 이송장치부(200) 및/또는 화재대응부(300)에서 분출(분사)되는 소화약제가 레일장치부(100)로부터 공급되거나 터널 등 밀폐공간 내 유해/유독가스가 흡입되어 레일장치부(100) 내부로 수용되는 홀(Hole)을 지칭한다.
또한 레일장치부(100)는 봉(Bar) 내부 중공에 수용되어 이송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흡입된 가스가 다시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폐쇄하는 별도의 홀마개(103,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내측에 탄성부재를 통해 부착)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통해 봉(Bar) 내부의 중공을 통해 이송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가 임의로 터널 내부 또는 외부로 유출됨이 없이 설정된 유로를 따라 설정된 위치에서 공급 및/또는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소방 설비 시스템(10)의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은 이하 후술할 홀 체결돌기(211b)의 상방 이동시, 홀마개(103)가 내부 스프링 등 복원지지체를 통해 자동적으로 레일장치부(100) 내부 중공에 수용된 소화약제 등이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폐쇄된다. 반면, 홀 체결돌기(211b)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홀마개(103)를 레일장치부(100) 내부로 가압하는 경우,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의 일부가 노출되며, 이를 통해 레일장치부(100) 내부의 중공에 수용된 소화약제, 유독가스 등이 이송장치부(200) 내부의 유로를 따라 이동하거나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에 일단부가 거치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타단부에는 이하 후술할 화재대응부(300)가 체결되는 슬라이딩 이송모듈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와 체결된 상태로 수동 또는 내부의 구동모터와 베어링, 롤러 및 기어/감속기 등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모듈(미도시, 일 예로 계단 난간 손잡이에 부착된 휠체어 탑승기에 포함된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여, 레일장치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송가이드(210) 및 화재대응부(300)를 지지하는 동시에 화재대응부(300)에서 분사되는 소화약제 및/또는 흡입하는 유해/유독가스가 레일장치부(10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통로, 전달유로)가 형성된 이송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부(200)는 외부의 신호를 받아 전술한 “슬라이딩 모듈”을 구동하여 레일장치부(100)를 따라 이송장치부(200)의 이동이나 움직임, 가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에서 전달되거나 레일장치부(100)로 전달하는 소화약제, 유독가스 등이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도록, 양 단부에는 밀폐수단(O-Ring 또는 밀폐마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송가이드(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장치부(100)를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이송가이드(210)는, 도 2와 달리 레일장치부(100)의 지그에 의해 움직임이나 가동 범위가 제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면을 기준으로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일부만을 감싸 지그에 의한 움직임이나 가동범위의 제약없이 터널 등 밀폐공간 내 설정된 공간이나 구역까지 슬라이딩 될 수 있다(도 3 참조).
또한 이송가이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내측에 홀 체결구(211)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체결구(211)는 홀 체결몸체(211a) 및 홀 체결돌기(211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송가이드(210)의 내부에 고정부착된 홀 체결몸체(211a)를 기준으로 홀 체결돌기(211b)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레일장치부(100)에 형성된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고,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을 통해 레일장치부(100) 내부 중공(이송유로)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이송장치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유로로 유입되거나, 이송장치부(200) 내부로 유입된 유독가스 등이 레일장치부(1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유로가 형성된 이송가이드(210)의 설정된 내부에 형성된 홀 체결구(211)에 의해 레일장치부(100)의 분출홀(101) 및/또는 흡입홀(102)이 이송가이드(210) 내부에서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약제 및/또는 유독가스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홀 체결구(211)는 내부에 홀 체결돌기(211b)의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체결돌기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돌기 구동모터”는 전술한 제어부(230)의 제어신호를 받아 설정된 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된다.
이송지지대(220)는 이송가이드(210, 내부에 이송유로 형성)와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이송가이드(210) 내부의 유로와 연결된 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며, 타단부는 이하 후술할 화재대응부(300)를 체결 지지하는 지지체를 지칭한다.
화재대응부(3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에서의 화재 사고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독/유해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유독가스 유로”를 통해 연결된 흡입구(310, 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되는 “흡입 모터” 포함 가능) 및 “소화약제 유로”를 통해 연결되어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310)는 소화 현장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 유해하거나 유독한 가스를 내부로 포집할 수 있는 팬(Fa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로 유입된 유독가스 등은 화재대응부(300)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따라 다시 이송지지대(220) 내부의 유로와 이송가이드(210)의 유로 및 레일장치부(100)의 중공 및 유로를 거쳐 최종적으로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을 통해 설정된 외부 공간으로 정화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310)는 분사구(320)의 상면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가 터널 등 밀폐공간의 내부로 길게 노출 형성되되, 분사구(320)의 상면과 설정된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한 힌지(Hinge)로 체결되어 화재의 상황이나 위치, 확산 방향 등에 보다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도 2 참조).
또한 화재 사고에서 발생하는 매연 등 유독, 유해가스가 상승하는 점에 착안하여, 화재대응부(300)의 상면을 벽체 등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의 부착된 반대인 실내 공간 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한 뒤,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흡입구(310)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분사구(320)는 특정 화재 현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화재대응부(300)의 외부로 노출된 측면에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소화약제 분사노즐(내부에 분사 모터 및 개폐마개를 포함할 수 있음)를 지칭한다(전달유로와 연결된 분산유로를 통해 분사구로 소화약제가 전달).
분사구(320)는 소화약제 공급모듈(130)로부터 공급(레일장치부(100), 이송장치부(200)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거나 화재대응부(300)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소화약제(이를 위해 화재대응부(300)는 내부에 별도의 “소화약제 수용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를 화재 현장에 분사하여 초기 화재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사구(320)는 높이 방향으로 화재대응부(300)의 일측에 복수개 형성되며, 전술한 제어부(230)의 제어를 통해, 화재의 양상이나 화재의 확산 속도 등에 따라 복수개의 분사구(320) 전부를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하거나, 설정된 일부 분사구(320)만 선택적으로 개방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화재 현장이나 화재 상황별 탄력적 화재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화재대응부(300)는 추가적으로 설정된 외면에 화재의 진압 여부 및/또는 화재의 진화 양상 등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카메라나 센서(화염/연기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다시 “송신모듈”을 통해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터널 등 밀폐공간 내부에 설치된 CCTV 등 영상장비나 센서(비전센서, 화재/화염/연기 감지센서 등)를 통해 원격으로 밀폐공간 내 화재 발생 상황. 화재 발생 위치, 화재의 확산 등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및 설정된 원격 관제센터나 관리자 단말 등으로 영상 및/또는 설정된 신호, 데이터 등의 전송이 가능한 화재감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은 관제실 등에서 원격으로 이송장치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이나 화재대응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운영관리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운영관리부(500)를 통해 발송하는 원격 신호를 제어부(230)가 수신하여 슬라이딩 이동 및/또는 소화약제의 분사나 유독/유해가스의 흡입/배출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영관리부(500)는 터널 등 밀폐공간의 2차원 및/또는 3차원 설계 데이터(CAD 등)나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 기존 촬영된 영상 이미지 데이터를 기반으로 터널 등 밀폐공간 내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이송장치부(200) 및/또는 화재대응부(300)의 이동이나 분사/흡입 등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운영관리부(500)는 화재대응부(300)에 설치된 “송신모듈”을 통해 화재대응부(300)를 통해 진압이 진행되고 있는 화재의 양상 및 화재 진화 여부 등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또는 유독가스 배출모듈(140)의 작동 강도(소화약제 공급량의 증대, 유독가스 배출량의 증대 등)를 조절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터널 등 밀폐공간 내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방 설비 시스템(10)이 포함하고 있는 각종 유로(流路, 유체의 통과 경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등 밀폐공간의 벽체에 지그 등으로 부착 형성되는 레일장치부(100)의 내부에는 소화약제 또는 유독/유해가스가 이동할 수 있는 공급유로 및/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이러한 공급유로와 배출유로는 각각 소화약제 공급모듈(130) 및 유독가스 배출모듈(140)과 연결된다(도 1 참조).
이송장치부(200)는 레일장치부(100)와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되,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별도의 홀 체결구(211)가 레일장치부(100)의 설정된 위치(상면 또는 측면 등)에 형성된 분출홀(101) 또는 흡입홀(102)을 덮고 있는 홀마개(103)를 누르는 동작(하방 이동)에 의해 개방하여 공급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약제를 다시 이송유로, 전달유로 및 분사유로를 거쳐 화재대응부(300)의 외부면에 형성된 분사구(320)를 통해 소화약제를 화재 현장 등에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또는 별개로, 화재대응부(300)의 상면 등 설정된 위치에 형성된 흡입구(310)를 통해 화재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유독/유해가스를 흡입하고, 이렇게 흡입된 유독가스 등이 흡입유로, 전달유로 및 이송유로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다시 레일장치부(100) 내부에 형성된 배출유로를 따라 외부에 형성된 유독가스 배출모듈(140)로 전달되어, 정화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별개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재대응부(300)는 내부의 설정된 공간에 별도의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 등에 의해 충전(소화약제의 경우) 또는 제거(유독가스의 경우)되는 시점까지 전술한 유로를 통해 터널 등 밀폐공간의 외부 공간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화재대응부(300) 내부에 수용되어 필요한 시점까지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다른 별도의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은 내부에 소화약제 높이나 보관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위센서” 및/또는 유독가스 종류 및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농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는 운영관리부(500)에 전달되어 “소화약제 보관함” 및/또는 유독가스 보관함”의 상태 및 교체, 교환 주기나 시점 등에 대한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소방 설비 시스템
100: 레일장치부
101: 분출홀
102: 흡입홀
103: 홀마개
110: 제1 레일장치부(공급유로)
120: 제2 레일장치부(배출유로)
130: 소화약제 공급모듈
140: 유독가스 배출모듈
200: 이송장치부(슬라이딩 모듈)
210: 이송가이드(이송유로)
211: 홀 체결구
220: 이송지지대(전달유로)
230: 제어부
300: 화재대응부(송신모듈)
310: 흡입구(흡입유로)
320: 분사구(분사유로)
400: 화재감지부
500: 운영관리부
100: 레일장치부
101: 분출홀
102: 흡입홀
103: 홀마개
110: 제1 레일장치부(공급유로)
120: 제2 레일장치부(배출유로)
130: 소화약제 공급모듈
140: 유독가스 배출모듈
200: 이송장치부(슬라이딩 모듈)
210: 이송가이드(이송유로)
211: 홀 체결구
220: 이송지지대(전달유로)
230: 제어부
300: 화재대응부(송신모듈)
310: 흡입구(흡입유로)
320: 분사구(분사유로)
400: 화재감지부
500: 운영관리부
Claims (6)
- 밀폐공간 내부의 벽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 또는 액체의 이동이 가능한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레일장치부;
내부에 이송유로 및 전달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레일장치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레일장치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이송장치부; 및
상기 이송장치부의 타단부에 체결되며,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내부에 형성된 분사유로를 통해 전달된 소화약제의 분사 또는 내부에 형성된 흡입유로를 통한 유독/유해가스의 흡입이 가능한 화재대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부는,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기 공급유로에서 소화약제를 상기 이송장치부로 전달할 수 있는 분출홀; 및
상기 분출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홀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는,
상기 레일장치부의 공급유로 또는 배출유로와 선택적으로 맞춤 체결될 수 있는 이송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이송가이드; 및
일단부가 상기 이송가이드와 체결된 상태로, 상기 이송유로와 연결된 전달유로를 내부에 포함하는 이송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응부는,
일측이 밀폐공간의 내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전달유로와 체결되는 흡입유로 또는 분산유로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흡입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분산유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는 분사구;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장치부는,
밀폐공간 내측에 일단부가 지그로 고정부착 되는 상기 화재대응부에 소화약제를 공급하는 제1 레일장치부; 및
상기 제1 레일장치부와 설정된 수직 간격으로 이격되고 지그로 고정부착 되어, 상기 화재대응부에서 흡입되는 유독/유해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가이드하는 재2 레일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부는,
설정된 내부에 홀 체결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홀 체결구는,
상기 이송가이드의 설정된 내부 공간에 고정부착되는 홀 체결몸체; 및
상기 홀 체결몸체를 기준으로 상방 또는 하방 이동이 가능한 홀 체결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홀 체결돌기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한해,
상기 레일장치부에 형성된 분출홀 또는 흡입홀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설비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ko) | 2020-09-08 | 2020-09-08 | 소방 설비 시스템 |
PCT/KR2021/012153 WO2022055227A1 (ko) | 2020-09-08 | 2021-09-07 | 소방 설비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ko) | 2020-09-08 | 2020-09-08 | 소방 설비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32700A true KR20220032700A (ko) | 2022-03-15 |
KR102529180B1 KR102529180B1 (ko) | 2023-05-04 |
Family
ID=8063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4353A KR102529180B1 (ko) | 2020-09-08 | 2020-09-08 | 소방 설비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9180B1 (ko) |
WO (1) | WO2022055227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42851B (zh) * | 2022-03-29 | 2022-10-28 | 江苏环亚医用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医疗空间吊轨移动灭火输送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317A (ja) * | 1998-10-02 | 2000-04-18 | Tokyo Denki Komusho Co Ltd | 加圧流体を利用した消火装置 |
KR101936200B1 (ko) * | 2018-08-23 | 2019-01-08 | (주)세정이에프씨 | 건축물용 화재 진압 설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46889A3 (fr) * | 2009-06-17 | 2010-12-24 | France Manche | Installation de lutte contre un incendie de train dans un tunnel ferroviaire de grande longueur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
KR102088679B1 (ko) * | 2018-10-16 | 2020-03-13 | 탱크테크 주식회사 |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
KR102068979B1 (ko) * | 2019-06-26 | 2020-01-22 |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 건축물 화재 진압 소방 장치 |
-
2020
- 2020-09-08 KR KR1020200114353A patent/KR10252918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9-07 WO PCT/KR2021/012153 patent/WO202205522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317A (ja) * | 1998-10-02 | 2000-04-18 | Tokyo Denki Komusho Co Ltd | 加圧流体を利用した消火装置 |
KR101936200B1 (ko) * | 2018-08-23 | 2019-01-08 | (주)세정이에프씨 | 건축물용 화재 진압 설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9180B1 (ko) | 2023-05-04 |
WO2022055227A1 (ko) | 2022-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02016212645B4 (de) | Unbemanntes Fahrzeug, System und Verfahren zur Einleitung einer Brandlöschaktion | |
DE102018100579B4 (de) | Löschroboter | |
JP2003126286A (ja) | 消火システム | |
CN209885084U (zh) | 一种多功能消防救援机器人 | |
KR101289865B1 (ko) | 화연을 이용한 에어커튼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 |
KR20190023580A (ko) |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 |
JP3341892B2 (ja) | 消防設備 | |
KR101974074B1 (ko) | 터널 화재 진압 시스템 | |
KR20220032700A (ko) | 소방 설비 시스템 | |
JP2003000746A (ja) | トンネル内火災の消火方法および消火設備 | |
KR102084545B1 (ko) | 화재 발생 위치 포착을 통한 화재 진압 및 홀로그램을 활용한 알림을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289864B1 (ko) | 에어커튼을 병행한 상하 복층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 |
WO2022050789A1 (ko) | 연기, 유독가스 흡기 제거형 소방용 노즐장치 | |
JP2000509293A (ja) | 火炎及び煙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KR101785392B1 (ko) |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 |
KR101685524B1 (ko) | 건축물의 제연이 가능한 소방방재장치 | |
CN116764132A (zh) | 一种高层消防救援无人机系统 | |
KR101267421B1 (ko) | 드렌처 및 미분무 겸용 헤드 및 이를 구비한 소방 시스템 | |
JP3411893B2 (ja) | 塗装ブースにおける消火設備及び消火方法 | |
CN110618636A (zh) |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 |
KR102419210B1 (ko) | 소화 및 제연기능이 강화된 소방용 분사장치 | |
KR102265760B1 (ko) | 공동주택 단지 내 통신구 관리 시스템 | |
KR20240067619A (ko) | 전기차 소화장치 | |
JP2006187432A (ja) | 特定空間の防災設備 | |
KR20190053592A (ko) |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