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20006701A - 필기구 홀더 - Google Patents

필기구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701A
KR20220006701A KR1020200084425A KR20200084425A KR20220006701A KR 20220006701 A KR20220006701 A KR 20220006701A KR 1020200084425 A KR1020200084425 A KR 1020200084425A KR 20200084425 A KR20200084425 A KR 20200084425A KR 20220006701 A KR20220006701 A KR 20220006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body part
fastening part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용
Original Assignee
김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용 filed Critical 김대용
Priority to KR102020008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701A/ko
Publication of KR20220006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1Supporting means
    • B43K23/002Supporting means with a fixed b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55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블에 부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부에 필기구가 꽂아지기 위한 꽂이홈이 형성된 제3바디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일단은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 및 상기 제3바디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기구 홀더{WRITING MATERIALS HOLDER}
본 발명은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몸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펜 등의 필기구는 용지에 필기를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필기구를 관공서나 은행 등과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필기구의 분실 방지와 사용 편의를 위하여 필기구를 테이블에 부착된 필기구 홀더와 연결시켜서 사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필기구 홀더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매개로 테이블에 부착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측에 체결되는 제1케이스와, 제1케이스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부에 필기구가 삽입되기 위한 홀더가 마련된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몸체와, 제1케이스와 필기구를 연결하는 연결줄을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필기구 홀더의 몸체는 바닥판, 제1케이스, 제2케이스 등의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 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필기구 홀더의 몸체는 연결줄을 통해 사용자의 필기구의 잡아당김에 의한 외력을 받는 경우, 몸체 상의 취약점인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간의 체결 부위 또는 제1케이스와 바닥판 간의 체결 부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 홀더는 전용 필기구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용 필기구 외에 다른 필기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호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필기구 홀더는 전용 필기구의 수명이 다한 경우, 전용 필기구만의 교체가 쉽지 않으며, 전용 필기구의 재활용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엇다.
국내등록실용 제1996-00019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필기구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볼펜 등의 필기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좋은 필기구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테이블에 부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부에 필기구가 꽂아지기 위한 꽂이홈이 형성된 제3바디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일단은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 및 상기 제3바디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 및 상기 제3바디부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꽂이홈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줄은 일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1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 돌기가 상기 관통홀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부는 상기 관통홀의 말단에서 방사상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제1걸림 돌기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구가 버튼을 갖는 볼펜인 경우, 상기 연결줄은 타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2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상기 버튼에 형성된 천공홀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구가 버튼을 갖는 볼펜인 경우, 상기 버튼을 대체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볼펜의 몸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1나선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나머지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2나선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선 돌기가 상기 제2나선 돌기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줄은 타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2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상기 제1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의 말단에 걸림 고정된 후,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몸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가 기존의 볼펜인 경우, 기존의 볼펜의 버튼을 커넥터로 대체함으로써, 기존의 볼펜 등의 필기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몸체와 연결줄 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몸체와 필기구 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커넥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몸체와 연결줄 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저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몸체와 필기구 간의 체결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몸체(100) 및 연결줄(200)을 포함한다.
몸체(100)는 연결줄(200)의 일측을 고정하고 필기구(1)가 꽂아지는 함몰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바디부(110), 제2바디부(120) 및 제3바디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전체적으로 제1바디부(110)의 상측에 제2바디부(120)가 연결되고 제2바디부(120)의 상측에 제3바디부(130)가 연결되며, 제1바디부(110), 제2바디부(120) 및 제3바디부(13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0)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바디부(110), 제2바디부(120) 및 제3바디부(130)는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스틱 재질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나일론, 폴리아세탈, 폴리스타이렌, 메타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점성 상태가 되어 사출 성형이 가능한 폴리스타이렌, 메타크릴,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바디부(110)는 제1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되고, 제2바디부(120)는 제1직경보다 작은 제2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바디부(130)는 제1직경과 제2직경 사이의 제3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1바디부(110), 제2바디부(120) 및 제3바디부(130)는 마치 풀리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바디부(110), 제2바디부(120) 및 제3바디부(130)의 사출성형에 필요한 원자재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바디부(110)는 몸체(100)의 하부로, 제1바디부(110)는 테이블에 접착부재(A)를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A)는 양면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1바디부(110)가 테이블에 부착됨에 따라, 제1바디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제2바디부(120)와 제3바디부(130)도 고정된다.
제1바디부(110)의 둘레에는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며 라운딩된 제1라운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라운딩부(112)는 연결줄(200)이 제1바디부(110)의 둘레의 모서리에 걸려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바디부(110)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제1바디부(110)의 테두리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1)은 제1바디부(110)의 테두리에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관통홀(111)에는 연결줄(200)의 일측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연결줄(200)의 일측은 제1걸림 돌기(210)를 매개로 관통홀(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1바디부(110)의 관통홀(111)의 말단에는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함몰부(113)는 관통홀(111)의 하단에서 방사상으로 함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113)는 연결줄(200)의 제1걸림 돌기(210)를 수용함으로써, 연결줄(200)의 제1걸림 돌기(21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연결줄(200)의 제1걸림 돌기(210)가 관통홀(111)의 하단에 인접하는 접착부재(A)에 접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만약, 함몰부(113)가 없을 경우, 연결줄(200)의 제1걸림 돌기(210)가 관통홀(111)의 하단 상에 위치함에 따라, 접착부재(A)에는 연결줄(200)의 제1걸림 돌기(210)에 의한 도드라진 부분이 형성됨에 따라, 접착부재(A)와 테이블 간의 접합면적이 축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접착부재와 테이블 간에 접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제2바디부(120)는 몸체(100)의 중앙부로, 제1바디부(110)의 상측에 연결된다.
제3바디부(130)는 몸체(100)의 상부로, 제2바디부(120)의 상측에 연결된다.
제3바디부(130)의 상부에는 필기구(1)가 꽂아지기 위한 꽂이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꽂이홈(131)은 제3바디부(130)의 상부에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꽂이홈(131)을 통해 다수의 필기구(1)를 꽂을 수 있다.
제3바디부(130)의 둘레에는 일정 곡률 반경을 가지며 라운딩된 제2라운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라운딩부(132)는 연결줄(200)이 제3바디부(130)의 둘레의 모서리에 걸려서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줄(200)은 몸체(100)와 필기구(1)를 연결하는 것으로, 탄성적으로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줄(2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필기구(1)의 이동범위를 제한하고, 필기구(1)의 분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줄(200)의 일단은 몸체(100)의 관통홀(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연결줄(200)의 타단은 필기구(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연결줄(200)의 일단은 제1걸림 돌기(210)를 매개로 관통홀(1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도 3(a) 참조)
제1걸림 돌기(210)는 연결줄(200)의 일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제1걸림 돌기(210)가 관통홀(111)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제1걸림 돌기(210)는 관통홀(111)의 말단에 대한 걸림 고정이 용이하도록 관통홀(11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1걸림 돌기(210)는 접힌 상태로 관통홀(111)을 통과한 후, 펴진 상태로 관통홀(111)의 말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걸림 돌기(210)의 접힌 상태와 펴진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걸림 돌기(210)는 관통홀(111)을 통과한 연결줄(200)의 일단을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해 녹여서 방사상으로 확장시킨 것일 수 있다. 단, 연결줄(200)의 일단을 녹이는 과정에서 제2걸림 돌기(220)의 일단이 관통홀(111)에 늘어붙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줄(200)의 타단은 필기구(1)가 버튼(10)을 갖는 볼펜인 경우, 제2걸림 돌기(220)를 매개로 볼펜의 버튼(10)에 형성된 천공홀(11)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볼펜의 버튼(10)에 형성된 천공홀(11)은 연결줄(200)의 타단과의 체결을 위하여 볼펜의 버튼(10)에 별도로 형성한 것이다.
제2걸림 돌기(220)는 연결줄(200)의 타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것으로, 제2걸림 돌기(220)가 천공홀(11)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제2걸림 돌기(220)는 천공홀(11)의 말단에 대한 걸림 고정이 용이하도록 천공홀(11)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a) 참조)
일 예로, 제2걸림 돌기(220)는 접힌 상태로 관통홀(111)을 통과한 후, 펴진 상태로 관통홀(111)의 말단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3(a) 참조)
다른 예로, 제2걸림 돌기(220)는 관통홀(111)을 통과한 연결줄(200)의 타단을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해 녹여서 방사상으로 확장시킨 것일 수 있다. 단, 가열수단으로 연결줄(200)의 타단을 녹이는 과정에서 제1걸림 돌기(210)의 일단이 관통홀(111)에 늘어붙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참조)
다른 예로, 제2걸림 돌기(220)는 연결줄(200)의 타단에서 방사상으로 확장된 형태의 확장부를 갖되, 이러한 확장부에서 말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첨예한 형태의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걸림 돌기(220)는 첨예부를 통해 관통홀(111)을 용이하게 통과한 후, 확장부를 통해 관통홀(110)의 말단에 용이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도 3(b)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커넥터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의 커넥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1)가 버튼(10)을 갖는 기존의 볼펜인 경우, 기존의 볼펜의 버튼(10)을 대체할 수 있는 커넥터(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300)는 기존의 볼펜의 버튼(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1)가 버튼(10)을 갖는 기존의 볼펜인 경우, 커넥터(300)를 기존의 볼펜의 버튼(10)에 대체하여 설치함으로써, 기존의 볼펜 등의 필기구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넥터(300)는 제1체결부(310) 및 제2체결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는 전체적으로 기존의 볼펜의 버튼(10)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310)는 연결줄(20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체결부(320)는 기존의 볼펜의 버튼(10)이 분리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1나선 돌기(330)가 형성되고,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 중 나머지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2나선 돌기(3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나선 돌기(330)가 제2나선 돌기(340)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체결부(310)에 제1나선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체결부(320)에 제2나선 돌기(34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체결부(310)의 제1나선 돌기(330)가 제2체결부(320)의 제2나선 돌기(340)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제1체결부(310)에 제2나선 돌기(340)가 형성될 수 있고, 제2체결부(320)에 제1나선 돌기(33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체결부(320)의 제1나선 돌기(330)가 제2체결부(320)의 제1나선 돌기(330)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300) 및 연결줄(200)는 탈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는 제1체결부(310)의 말단에 형성된 체결홀(311) 및 연결줄(200)의 제2걸림 돌기(220)를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커넥터(300)의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줄(200)의 제2걸림 돌기(220)가 제1체결부(310)에 형성된 체결홀(311)의 말단에 걸림 고정된 후,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의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300)의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줄(200)의 제2걸림 돌기(220)가 접힌 상태로 제1체결부(310)의 체결홀(311)을 통과한 후, 연결줄(200)의 제2걸림 돌기(320)가 펴진 상태로 제1체결부(310)의 체결홀(311)의 말단에 걸림 고정된 후,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의 체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300)의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줄(200)의 타단이 제1체결부(310)의 체결홀(311)을 통과한 후, 이러한 연결줄(200)의 타단을 별도의 가열수단에 의해 녹여서 방사상으로 확장시킨 제2걸림 돌기(220)를 형성시켜서 체결홀(311)에 걸림 고정시킨 후, 제1체결부(310)와 제2체결부(320)의 체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가열수단으로 연결줄(200)의 타단을 녹이는 과정에서 제2걸림 돌기(220)의 일단이 체결홀(311)에 늘어붙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몸체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생산 공정이 단순화되고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구 홀더는 필기구가 기존의 볼펜인 경우, 기존의 볼펜의 버튼을 커넥터로 대체함으로써, 기존의 볼펜 등의 필기구를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호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필기구
10 : 버튼
11 : 천공홀
100 : 몸체
110 : 제1바디부
111 : 관통홀
112 : 제1라운딩부
113 : 함몰부
120 : 제2바디부
130 : 제3바디부
131 : 꽂이홈
132 : 제2라운딩부
200 : 연결줄
210 : 제1걸림 돌기
220 : 제2걸림 돌기
300 : 커넥터
310 : 체1체결부
311 : 체결홀
320 : 제2체결부
330 : 제1나선 돌기
340 : 제2나선 돌기
A : 접착부재

Claims (8)

  1. 테이블에 부착되고 관통홀이 형성된 제1바디부와, 상기 제1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2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의 상측에 연결되고 상부에 필기구가 꽂아지기 위한 꽂이홈이 형성된 제3바디부를 포함하는 몸체; 및
    일단은 상기 관통홀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필기구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 및 상기 제3바디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상기 제2바디부 및 상기 제3바디부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홈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다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은 일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1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 돌기가 상기 관통홀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는 상기 관통홀의 말단에서 방사상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에 상기 제1걸림 돌기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가 버튼을 갖는 볼펜인 경우, 상기 연결줄은 타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2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상기 버튼에 형성된 천공홀의 말단에 걸려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가 버튼을 갖는 볼펜인 경우, 상기 버튼을 대체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결줄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볼펜의 몸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어느 하나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1나선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 중 나머지 하나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의 제2나선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선 돌기가 상기 제2나선 돌기를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줄은 타단에 방사상으로 돌출된 제2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 돌기가 상기 제1체결부에 형성된 체결홀의 말단에 걸림 고정된 후,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홀더.
KR1020200084425A 2020-07-09 2020-07-09 필기구 홀더 KR20220006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425A KR20220006701A (ko) 2020-07-09 2020-07-09 필기구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425A KR20220006701A (ko) 2020-07-09 2020-07-09 필기구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701A true KR20220006701A (ko) 2022-01-18

Family

ID=8005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425A KR20220006701A (ko) 2020-07-09 2020-07-09 필기구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67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12A (ko) 1994-06-22 1996-01-26 미따라이 하지메 충전 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912A (ko) 1994-06-22 1996-01-26 미따라이 하지메 충전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5467B2 (e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CN100473540C (zh) 滑动式笔
EP2442211B2 (en) Computing device with stylus having a deformable elastic fixing device
KR20120002906A (ko) 스타일러스 터치펜
KR20220006701A (ko) 필기구 홀더
KR101071935B1 (ko) 터치펜
US5984550A (en) Writing device
US7527445B2 (en) Writing instrument
KR102631703B1 (ko) 펜 타입 컴퍼스
US20070020024A1 (en) Lipstick-like pen
KR20110010061U (ko) 높이조절이 되는 형광펜을 구비한 필기구
JP6528340B2 (ja) クリップが付いている筆記具
KR200356746Y1 (ko) 다용도 필기구
US9684391B1 (en) Telescopic mechanism and touch tool for writing instrument or the like
KR100959263B1 (ko) 스타일러스펜
KR20080107011A (ko) 터치펜
KR0117206Y1 (ko) 다기능 구조를 갖는 색연필용 필기구
JP3114731U (ja) 鉛筆用グリップ
JP2022189750A (ja) 軟質部材の取付構造
KR200386187Y1 (ko) 필기용구를 가지는 휴대물품 액세서리
CN213501514U (zh) 一种笔记本上的笔连接结构
CN220594482U (zh) 多功能笔
CN109455018A (zh)
KR200297375Y1 (ko) 탈, 부착식 휴지 케이스
US11318779B2 (en) Pencil sharpener having flexible storage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