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19U - Cable connector - Google Patents
Cab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1919U KR20220001919U KR2020210000309U KR20210000309U KR20220001919U KR 20220001919 U KR20220001919 U KR 20220001919U KR 2020210000309 U KR2020210000309 U KR 2020210000309U KR 20210000309 U KR20210000309 U KR 20210000309U KR 20220001919 U KR20220001919 U KR 2022000191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nection
- alignment
- cable
- connection pin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케이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는, 돌출된 복수의 접속핀과 복수의 접속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돌기를 구비한 제1 커넥터 및 제1 커넥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 시에 복수의 접속핀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복수의 접속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홈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결합할 때 정렬홈에 정렬돌기가 배치된 후에 복수의 접속핀이 복수의 접속단자와 접촉된다.A cable connector is provided. In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or and a first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connection pins and an alignment protrus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detachably coupled,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detachably coupled at the time of coupling. a second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ins of the second connector and an alignment groov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nd an alignment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alignment groov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After being connecte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Description
본 고안은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ion device.
최근 들어 스마트폰, 블루투스 이어폰, 태블릿 PC 등과 같이 휴대용 디지털단말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디지털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외부 전원 공급 어댑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또는 외부 전자디바이스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있고, 디지털단말기의 리셉터클(Receptacle)에는 충전케이블 또는 데이터케이블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전력을 공급받거나 데이터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Recently, the use of portable digital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Bluetooth earphones, and tablet PCs is rapidly increasing. Digital terminals generally have a receptacle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upply adapter o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signals to an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cable or data cable plug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of the digital terminal By electrically connecting, power can be supplied or data signal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디지털단말기 구입 시 충전 및/또는 데이터전송을 위해서 해당 디지털단말기의 리셉터클에 대응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케이블을 함께 구입하여야 하는데, 디지털단말기의 리셉터클은 제조사, 제품, 핀 수량 등에 따라 형상 및 크기의 규격이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When purchasing a digital terminal, for charging and/or data transmission, a cable with a plug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of the digital terminal must be purchased together. developing in various forms.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디지털단말기의 리셉터클의 규격에 대응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충전케이블이나 신호케이블 또는 겸용 케이블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편의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비용소모를 발생시키는 단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user has to separately purchase a charging cable, a signal cable, or a combined cable having a plug corresponding to the receptacle standard of his or her digital terminal, so the convenience of use is reduced and unnecessary cost is generated.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플러그를 교체하는 착탈식 케이블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etachable cable for replacing the plug in response to various standards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런데, 착탈식 케이블에서 플러그를 연결할 때에, 예정된 정확한 위치와 자세로 결합되지 않으면 접속핀과 접속단자 사이에 전기적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connecting the plug in the detachable cable, there is a problem that an electrical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nection pi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f not coupled to the predetermined precise position and posture.
본 고안은 착탈식 케이블에 플러그 등을 연결할 때에, 정렬 오류로 인한 접속부분의 전기적 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electrical failure of a connection portion due to an alignment error when connecting a plug or the like to a detachable cable.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돌출된 복수의 접속핀과 상기 복수의 접속핀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돌기를 구비한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 시에 상기 복수의 접속핀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홈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할 때, 상기 정렬홈에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된 후에 상기 복수의 접속핀이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케이블 연결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connection pins and an alignment protrus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nd the first connector are detachably coupled, and when couple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detachably coupled.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ins and an alignment groov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wherein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he alignment groove There is provided a cable connection device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fter the alignment protrusion is disposed.
이 때,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접속핀 및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된 제1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정렬돌기는 상기 복수의 접속핀보다 길게 돌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nd the alignment protrusion are disposed, and the alignment protrusion may protrude longer tha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from the first surface.
이 때, 상기 제1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제1 면이 배치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면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의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질 때에, 상기 정렬홈에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n outer wall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first surface is disposed, an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n insertion part having the second surface formed therein, and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outer wall. When the insertion part is fitted, the alignment protrusion may be disposed in the alignment groove.
또한, 상기 제1 면은 세장형(細長型)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렬돌기는 상기 제1 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rface may be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and the alignment protrusions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정렬돌기는 절연물질이거나 전기적으로 단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ignment protrusion may be an insulating material or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또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정확한 위치와 자세에만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정렬 오류로 인한 접속핀과 접속단자 사이에 전기적 장애가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only in the correct position and postur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an electrical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nection pin and the connection terminal due to an alignment error.
또한, 케이블의 플러그를 디지털단말기의 포트(리셉터클)에 매번 삽입하고 빼는 번거로움이 없이도 디지털단말기에 케이블을 손쉽게 연결 및 해제할 수 있어서, 포트의 손상 및 마모를 방지하고 포트의 생활방진/방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ble can be easi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digital terminal without the hassle of inserting and removing the cable's plug into the digital terminal's port (receptacle) every time, preventing damage and abrasion of the port and providing a dustproof/waterproof effect. can also be expec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적용된 착탈식 케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1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2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cable to which a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and 3 are views showing a first connector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showing a second connector of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o.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가 적용된 착탈식 케이블(100)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는,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210)를 포함하고,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결합할 때 정렬돌기(114)와 정렬홈(214)에 의한 정렬이 이루어진 후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cabl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제1 커넥터(110)는, 제2 커넥터(210)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제1 커넥터(110)는, 돌출된 복수의 접속핀(112)과, 복수의 접속핀(11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돌기(114)를 구비한다. The
복수의 접속핀(112)은,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결합되면, 제2 커넥터(210)의 접속단자(212)와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When the
정렬돌기(114)는,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 간의 정렬위치 또는 각도가 어긋난 상태에서, 복수의 접속핀(112)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렬돌기(114)만 제2 커넥터(210)에 접촉되고 복수의 접속핀(112)은 제2 커넥터(210)와 접촉되지 않는다.The
이 때, 정렬돌기(114)는 절연물질이거나, 도전성을 가지더라도 전기적으로 단선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렬돌기(114)가 제2 커넥터(210)에 접촉되어도,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이루어지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1 커넥터(110)는 착탈식 케이블(100)에 형성되며, 케이블 전선(102)의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전선(102)의 타단부에는 고정된 형태로 고정식 플러그(104)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 전선(102)의 일단부에는 착탈식 플러그(2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착탈식 플러그(200)에는 제2 커넥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식 플러그(104)는 충전기와 같이 전력을 제공하는 기기에 연결되고, 제1 커넥터(110)에는 디지털단말기에 연결되는 착탈식 플러그(200)의 제2 커넥터(210)가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전선(102)의 한 쪽에만 제1 커넥터(110)가 형성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블 전선의 양측에 제1 커넥터(1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착탈식 플러그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타입의 USB 플러그 및 다양한 케이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in which the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1 커넥터(1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1 커넥터(110) 및 제2 커넥터(210)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2 and 3 are views showing a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0)는 제1 면(111)을 포함하고, 제1 면(111)에는 복수의 접속핀(112) 및 정렬돌기(114)가 배치될 수 있다. 2 and 3 ,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면(111)에서 정렬돌기(114)는 복수의 접속핀(112)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210)의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 삽입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정렬돌기(114)에 의해 복수의 접속핀(112)은 제2 커넥터(210)에 접촉할 수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 4 , in this embodiment, the
이 때, 제1 면(111)은 세장형(細長型)으로 형성되고, 정렬돌기(114)는 제1 면(111)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길고 가늘게 형성된 제1 면(111)에 복수의 접속핀(112)이 배치될 때에, 복수의 접속핀(112)보다 바깥 쪽에 한 쌍의 정렬돌기(1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200)가 긴 방향으로 기울어져 결합될 때에, 양단의 정렬돌기(114)가 제2 커넥터(210)에 먼저 접촉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접속핀(112)이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10)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외벽(116)을 포함하고, 수용공간(S)의 내부에 제1 면(111)이 배치된 할 수 있다. 이 때, 수용공간(S)에는 제2 커넥터(210)의 일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2 and 3 , the
제2 커넥터(210)는, 제1 커넥터(11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 제2 커넥터(210)는, 제1 커넥터(110)와 결합 시에 복수의 접속핀(112)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속단자(212)와, 복수의 접속단자(212)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홈(214)을 구비한다.The
복수의 접속단자(212)는,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결합되면, 제1 커넥터(110)의 접속핀(112)이 직접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형성한다.When the
정렬홈(214)은, 정렬돌기(114)가 삽입되어 배치는 부분으로,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바르게 정렬되어 결합될 때에만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정확히 결합할 때에만,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가 배치되고 그 후에 복수의 접속핀(112)이 복수의 접속단자(212)와 접촉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바르게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렬돌기(114)가 정렬홈(214)에 삽입되지 않고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의 사이에서 간격을 벌려서, 복수의 접속핀(112)과 복수의 접속단자(212)는 접촉될 수 없게 된다.The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장치의 제2 커넥터(210)를 나타낸 도면이다.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210)는 제1 면(111)에 마주하는 제2 면(211)을 포함하고, 제2 면(211)에서 복수의 접속단자(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접속단자(212)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5 and 6 ,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1 면(111) 및 제2 면(211)은 서로 마주하여 평평하게 형성되고 정렬돌기(114)는 복수의 접속핀(112)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 삽입되어 배치된 경우가 아니라며, 정렬돌기(114)에 의해 복수의 접속핀(112)은 복수의 접속단자(212)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예정된 정확한 위치와 자세로 결합되지 않아서,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접속핀(112)과 접속단자(212)가 접촉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this embodiment, th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210)는 삽입부(215)를 포함하고, 삽입부(215)에는 제2 면(2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벽(116)의 수용공간(S)에 삽입부(215)가 끼워질 수 있다. 외벽(116)에 삽입부(215)가 끼워질 때에,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S)에 삽입부(215)가 끼워지는 것으로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의 1차적 정렬이 이루어지고, 정렬홈(214)에 정렬돌기(114)가 끼워지는 것으로 더 정밀한 2차적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4 to 6 , the
이 때,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에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식 플러그(200)의 제2 커넥터(210)는 자성을 가진 자력부재를 구비하고, 제1 커넥터(110)의 외벽(116)은 자력부재에 부착되는 강철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모두 자력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커넥터(210)가 강철부재를 구비하고 제1 커넥터(110)가 자력부재를 구비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자력 결합으로 제1 커넥터(110)와 제2 커넥터(210)가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it may b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착탈식 케이블
110: 제1 커넥터
111: 제1 면
112: 접속핀
114: 정렬돌기
116: 외벽
200: 착탈식 플러그
210: 제2 커넥터
211: 제2 면
212: 접속단자
214: 정렬홈
215: 삽입부100: detachable cable
110: first connector
111: first side
112: connection pin
114: alignment projection
116: outer wall
200: removable plug
210: second connector
211: second side
212: connection terminal
214: alignment groove
215: insert
Claims (6)
상기 제1 커넥터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결합 시에 상기 복수의 접속핀에 접촉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된 정렬홈을 구비한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결합할 때, 상기 정렬홈에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된 후에 상기 복수의 접속핀이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케이블 연결장치.
a first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protruding connection pins and an alignment protrusion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nd
The first connector is detachably coupled, and a second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during coupling and an alignment groove disposed adjacent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re in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fter the alignment protrusion is disposed in the alignment groove.
상기 제1 커넥터는 복수의 상기 접속핀 및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된 제1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에서 상기 정렬돌기는 상기 복수의 접속핀보다 길게 돌출된 케이블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first surface o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and the alignment protrusion are disposed, and the alignment projection on the first surface protrudes longer than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상기 제1 커넥터는, 내부에 상기 제1 면이 배치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외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면이 형성된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벽의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삽입부가 끼워질 때에, 상기 정렬홈에 상기 정렬돌기가 배치되는 케이블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n outer wall form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first surface is disposed,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on which the second surface is formed,
When the insertion part is fit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wall, the cable connecting device is arranged with the alignment protrusion in the alignment groove.
상기 제1 면은 세장형(細長型)으로 형성되고,
상기 정렬돌기는 상기 제1 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케이블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urface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The alignment protrusion is a cable connection devic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urface, respectively.
상기 정렬돌기는 절연물질이거나 전기적으로 단선된 케이블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lignment protrusion is an insulating material or an electrically disconnected cable connection device.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자력으로 결합되는 케이블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cable connection device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0309U KR20220001919U (en) | 2021-01-29 | 2021-01-29 | Cabl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0309U KR20220001919U (en) | 2021-01-29 | 2021-01-29 | Cable connec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1919U true KR20220001919U (en) | 2022-08-05 |
Family
ID=8280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10000309U KR20220001919U (en) | 2021-01-29 | 2021-01-29 | Cabl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001919U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888B1 (en) | 2015-01-28 | 2015-07-22 | 최이레 | Portab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ttached by magnetic force |
-
2021
- 2021-01-29 KR KR2020210000309U patent/KR20220001919U/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888B1 (en) | 2015-01-28 | 2015-07-22 | 최이레 | Portable terminal charging apparatus attached by magnetic for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35500B2 (en) | Magnetic connector for a computing device | |
TWI422887B (en) | Opto-electric connector | |
US7537488B2 (en) |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and communication cable | |
US9397433B2 (en) | Electrical plug connector | |
US7056149B1 (en) | Key coded power adapter connectors | |
KR102080435B1 (en) | Multpurpose electrical charging structure | |
US20160093970A1 (en) | Usb connector assembly | |
JP5781107B2 (en) | USB device | |
US20190326693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8430690B2 (en) | USB appl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USB application device | |
US11296457B2 (en) | Magnetic connector | |
KR20220001919U (en) | Cable connector | |
US20070072491A1 (en) | Integrated signal connecting port | |
US10199784B2 (en) | Electronic connector | |
US7128614B1 (en) | Electrical adapter with reinforcing member | |
KR101744115B1 (en) | Usb flash drive | |
KR200493580Y1 (en) | Video connector with mutually engaged two-piece plastic structure | |
KR102465607B1 (en) | Detachable Cable | |
KR101697067B1 (en) | A connector with multi type compatible plugs | |
US6848913B2 (en) | Integrated device electronics connector | |
KR101586436B1 (en) | Micro USB connector | |
US20230099327A1 (en) |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 |
CN211320522U (en) | Transmission connector and transmission cable | |
KR20200122827A (en) | Removable magnetic connector | |
KR20170091264A (en) | Charging device for portabel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