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55A - Working machine - Google Patents
Work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000355A KR20220000355A KR1020210075808A KR20210075808A KR20220000355A KR 20220000355 A KR20220000355 A KR 20220000355A KR 1020210075808 A KR1020210075808 A KR 1020210075808A KR 20210075808 A KR20210075808 A KR 20210075808A KR 20220000355 A KR20220000355 A KR 202200003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unit
- connection unit
- bolt
- clutch mechanis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 Flexible Shaf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업기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of a work machine that operates a clutch mechanism by operating an operating tool.
종래, 조작구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작업기의 기술은 공지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다.DESCRIPTION OF RELATED ART Conventionally, the technique of the work machine which operates a clutch mechanism by operating an operating tool is well-known. For example, it is as described in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관리기(작업기)는, 클러치 레버(조작구), 클러치 기구 및 케이블 연동 기구 등을 구비한다. 클러치 레버는, 핸들의 좌우에 각각 마련된다. 좌우의 클러치 레버는, 각각 좌우의 조작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연동 기구와 접속된다. 클러치 기구는, 종동 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연동 기구와 접속된다. 케이블 연동 기구는, 좌우의 클러치 레버 중 어느 것이 조작된 경우라도, 좌우의 조작 케이블과 종동 케이블을 연동시켜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walk-behind manager (work machine) described in
여기서, 일반적으로 작업기에는, 케이블(조작 케이블이나 종동 케이블)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가 마련된다.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행형 관리기에 있어서는, 당해 조정부 및 케이블 연동 기구가 각각 케이블에 마련되게 되기 때문에, 조정부 및 케이블 연동 기구를 각각 기체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고정을 위한 부품이나 조립 공정수가 증가되어, 비용이 증가되어 버린다.Here, in general, the working machine is provided with an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able (operation cable or driven cable). In the walk-behind management device described in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situation, and an object to be solved is to provide a working machine capable of reducing cost.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의 해결 수단을 설명한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described above, and means for solving this problem will be described next.
즉,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조작구에 연결된 제1 케이블과,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제2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유닛과, 상기 접속 유닛 및 기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접속 유닛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기체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것이다.The said adjustment part is fixed to the said connection unit, is supported so that it can move relative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aid base|substrate, The moving part which adjusts the said tension|tensile_strength by moving in the said predetermined direction; It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part which regulates the movement of the said moving part by fixing to the said base|substrate.
청구항 3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체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이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이다.The said moving part is a bolt inserted into the said base|substrate, and the said regulating part is a nut screwed to the said bolt.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The base body according to
청구항 5에 있어서는,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접속 유닛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다.The said base body is provided with the support part which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aid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said base|substrate while supporting the said moving part.
청구항 6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접속 유닛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said support part is formed in the substantially L-shape which consists of a 1st part which supports the said moving part, and the 2nd part which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said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said base|substrate.
청구항 7에 있어서는, 상기 조작구, 상기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다.The said operation tool, the said clutch mechanism, and the said connection unit are arrange|positioned at one side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said base|substrate.
청구항 8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조정부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The said 2nd cable connected to the said clutch mechanism is linearly connected with the said adjustment part.
청구항 9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 유닛은, 조종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necting unit is disposed on a handle frame supporting the steering wheel.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As an effect of this invention, the effect shown below is exhibited.
청구항 1에 있어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장력의 조정과 접속 유닛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청구항 3에 있어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청구항 4에 있어서는, 조정부에 의한 장력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청구항 5에 있어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Claim 5, cost reduction can be aimed at.
청구항 6에 있어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청구항 7에 있어서는, 제1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을 경로 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The method of claim 7 , which may facilitate routing of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청구항 8에 있어서는,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In claim 8, cost reduction can be achieved.
청구항 9에 있어서는,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claim 9,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esign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작업기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접속 유닛 및 그 주변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동일하게, 측면도.
도 4는 동일하게, 배면도.
도 5는 동일하게, 평면도.
도 6은 접속 케이블, 접속 유닛 및 조정부를 도시한 설명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walking type mana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unit and its peripheral members;
3 is the same, a side view.
4 is the same, a rear view.
5 is the same, a plan view.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connecting cable, a connecting unit, and an adjustment unit;
이하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 U, 화살표 D, 화살표 F, 화살표 B, 화살표 L 및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을, 각각 상방향, 하방향, 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을 행한다.In the following, the directions indicated by the arrow U, arrow D, arrow F, arrow B, arrow L, and arrow R in the drawing are defined as upward, downward,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do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업기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the
보행형 관리기(1)는, 기체 프레임(2), 엔진(3), 연료 탱크(4), 보닛(5), 커버(6), 미션 케이스(7), 경운 갈고리(8), 클러치 기구(9), 핸들 프레임(10), 미륜(11), 저항봉(12), 성형체(13), 핸들 연결부(14), 조종 핸들(15), 지지부(16), 가이드부(17), 접속 케이블(18) 및 접속 유닛(19) 등을 구비한다.The walk-behind manager (1) includes a body frame (2), an engine (3), a fuel tank (4), a bonnet (5), a cover (6), a transmission case (7), a tillage hook (8), a clutch mechanism ( 9), handle frame (10), tail wheel (11), resistance bar (12), molded body (13), handle connection part (14), control handle (15), support part (16), guide part (17), connection cable (18) and a
도 1에 도시한 기체 프레임(2)은, 판재를 적절히 꺾어 구부려서 형성되는 부재이다. 엔진(3)은, 기체 프레임(2)에 적재된다. 연료 탱크(4)는, 엔진(3)의 후방에 배치된다. 당해 엔진(3) 및 연료 탱크(4)는, 보닛(5)에 의해 덮인다. 엔진(3)의 좌측에는, 엔진(3)의 동력을 미션 케이스(7)에 전달하는 클러치 기구(9)를 덮는 커버(6)가 마련된다.The
미션 케이스(7)는, 기체 프레임(2)의 후방부에 고정된다. 미션 케이스(7)는,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회전하는 회전축(7a)을 갖는다. 회전축(7a)에는, 경운 갈고리(8)가 고정된다. 클러치 기구(9)는, 경운 갈고리(8)의 회전 및 회전의 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클러치 기구(9)로서는, 풀리에 권회된 벨트에 장력(텐션)을 부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가능하게 하는, 소위 벨트 텐션 클러치를 상정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9)는, 기체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기체란, 구체적으로는, 기체 프레임(2), 미션 케이스(7), 핸들 프레임(10) 및 조종 핸들(15) 등, 보행형 관리기(1)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조체를 조합한 것을 가리킨다.The transmission case 7 is fixed to the rear part of the
미션 케이스(7)의 후방부에는, 핸들 프레임(10)이 배치된다. 핸들 프레임(10)은, 조종 핸들(15)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핸들 프레임(10)은, 후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핸들 프레임(10)은, 고정 프레임(10a)을 통해 미션 케이스(7)에 고정된다. 고정 프레임(10a)에는, 브래킷(10b)을 통해 미륜(11), 저항봉(12) 및 성형체(13)가 마련된다. 브래킷(10b)은, 고정 프레임(10a)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A
또한, 핸들 프레임(10)의 후방 상단부에는, 핸들 연결부(14)를 통해 조종 핸들(15)이 고정된다. 조종 핸들(15)은, 핸들 연결부(14)에 좌우 1쌍 마련된다. 조종 핸들(15)에는, 파지부(15a) 및 레버(15b)가 마련된다. 파지부(15a)는, 작업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파지부(15a)는, 좌우의 조종 핸들(15)의 단부에 각각 마련된다. 레버(15b)는, 조작 가능한 부분이다. 레버(15b)는, 좌측의 조종 핸들(15)에 마련되고, 좌측의 파지부(15a)의 전방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핸들 프레임(10)의 상하 중도부에는, 접속 유닛(19) 및 후술하는 조정부(2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16) 및 가이드부(17)가 마련된다(도 2 참조).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지지부(16) 및 가이드부(17)의 기재를 생략하였다. 접속 케이블(18) 및 접속 유닛(19)은, 레버(15b)와 클러치 기구(9)를 접속한다. 또한, 지지부(16), 가이드부(17), 접속 케이블(18) 및 접속 유닛(19)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in the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보행형 관리기(1)는, 조종 핸들(15)의 레버(15b)가 조작됨으로써, 상기 벨트에 장력이 부여되어 클러치 기구(9)가 작동된다. 이에 의해,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이 회전축(7a)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보행형 관리기(1)는, 경운 갈고리(8)를 회전시켜 포장을 경운할 수 있다. 이때, 브래킷(10b)을 적절히 회동시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성형체(13)를 하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함으로써, 경운 갈고리(8)로 경운한 땅을 압박하여 이랑을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0b)을 적절히 회동시켜 저항봉(12)을 하방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포장에 저항봉(12)을 꽂아서 저항을 발생시켜, 보행형 관리기(1)의 전진 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In the walk-behind
또한, 보행형 관리기(1)는, 레버(15b)의 조작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벨트에 대한 장력의 부여가 정지되어, 클러치 기구(9)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경운 갈고리(8)의 회전이 정지된다.In addition, in the walk-behind
여기서, 보행형 관리기(1)에 있어서는, 클러치 기구(9)의 벨트가 신장되는 것 등에 기인하여, 레버(15b)를 조작해도 클러치 기구(9)가 작동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접속 케이블(18)의 장력이 높아지는 것 등에 기인하여, 레버(15b)가 무거워지는(조작 시에 필요한 힘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보행형 관리기(1)에는, 레버(15b)의 조작성을 조정하는 조정부(20)(도 3 참조)가 마련된다.Here, in the walk-behind
이하에서는 먼저, 조정부(20)에 관련되는 부재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지지부(16), 가이드부(17), 접속 케이블(18) 및 접속 유닛(19)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first, the structure of the member which concerns on the
지지부(16)는, 후술하는 볼트(21)를 기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16)는, 판형 부재의 중도부를 꺾어 구부린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6)는, 위치 결정부(16a) 및 볼트 지지부(16b)를 구비한다.The
위치 결정부(16a)는, 접속 유닛(19)의 위치(지지부(16)에 대한 회전 위치)를 정하는 부분이다. 위치 결정부(16a)는,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방향 A 참조).The
볼트 지지부(16b)는, 볼트(21)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볼트 지지부(16b)는, 위치 결정부(16a)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대략 90° 굴곡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지지부(16)는, 측면으로 보아 대략 역L자형으로 형성된다. 볼트 지지부(16b)는, 절취부(16c)를 구비한다. 절취부(16c)는, 볼트 지지부(16b)의 좌단부를 절취한 것처럼 형성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부(16)는, 위치 결정부(16a) 및 볼트 지지부(16b)가 용접에 의해 핸들 프레임(10)의 상하 중도부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고정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6)는, 평면으로 보아 핸들 프레임(10)으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As for the
가이드부(17)는, 접속 유닛(19)의 이동을 가이드(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17)는, 대략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는, 용접에 의해 핸들 프레임(10)의 상하 중도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고정된다. 가이드부(17)는, 핸들 프레임(10)으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고, 좌단부가 대략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배면으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부(17)는, 지지부(16)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케이블(18)은, 접속 유닛(19)을 통해 레버(15b)와 클러치 기구(9)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접속 케이블(18)은, 제1 케이블(18a) 및 제2 케이블(18b)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 the connecting
제1 케이블(18a)은, 레버(15b)와 접속 유닛(19)을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1 케이블(18a)의 일단부는, 레버(15b)와 연결된다. 제1 케이블(18a)의 타단부는, 접속 유닛(19)과 연결된다.The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블(18b)은, 접속 유닛(19)과 클러치 기구(9)를 접속하는 케이블이다. 제2 케이블(18b)의 일단부는, 접속 유닛(19)과 연결된다. 제2 케이블(18b)의 타단부는, 클러치 기구(9)와 연결된다.1 and 6 , the
접속 유닛(19)은, 제1 케이블(18a)과 제2 케이블(18b)을 접속하는 것이다. 접속 유닛(19)은, 접속 기구(19a) 및 케이스(19b)를 구비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19b)의 형상을 간략화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19b)의 방향을 다른 도면과는 다르게 하여 기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있어서는, 케이스(19b)의 상면이 연직 방향을 향하도록 기재되어 있다.The
접속 기구(19a)는, 제1 케이블(18a)과 제2 케이블(18b)을 접속하는 기구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기구(19a)는, 후술하는 케이스(19b)에 수용된다. 접속 기구(19a)는, 케이스(19b) 내에 있어서, 제1 케이블(18a) 및 제2 케이블(18b)과 각각 연결된다. 접속 기구(19a)는, 레버(15b)가 조작된 경우에, 제1 케이블(18a)과 제2 케이블(18b)을 연동시켜, 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접속 기구(19a)는, 레버(15b)의 조작에 따라서 적절히 동작함으로써, 당해 레버(15b)의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레버(15b)의 조작을 쉽게 행할 수 있어, 경운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The
케이스(19b)는, 접속 기구(19a)를 수용하는 것이다. 케이스(19b)는, 전후로 긴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스(19b)에는, 제1 케이블(18a)이 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된다. 케이스(19b)에는, 제2 케이블(18b)이 전방으로부터 삽입 관통된다. 케이스(19b)는, 긴 구멍(19c)을 구비한다.The
긴 구멍(19c)은, 케이스(19b)를 대략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다. 긴 구멍(19c)은, 긴 쪽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향하게 한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긴 구멍(19c)은, 케이스(19b)의 우측 후단부에 형성된다. 긴 구멍(19c)은, 가이드부(17)를 삽입 관통 가능하게 형성된다.The
다음에, 조정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정부(20)는, 접속 케이블(18)(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정부(20)의 기재를 생략하였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부(20)는, 볼트(21) 및 너트(22)를 구비한다.Next, the
볼트(21)는, 축선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방향 A)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된다. 볼트(21)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볼트(21)는, 후단부가 케이스(19b)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케이스(19b)로부터 대략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볼트(21)의 축선 방향의 연장선 상에는, 클러치 기구(9)가 배치된다. 볼트(21)에는, 클러치 기구(9)로부터 볼트(21)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 돌출되는 제2 케이블(18b)이 삽입 관통된다. 이렇게 하여 제2 케이블(18b)은, 볼트(21)의 축선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조정부(20)와 접속된다.The
너트(22)는, 볼트(21)에 나사 결합된다. 너트(22)는, 볼트(21)의 축선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2개 마련된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조정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지지부(16b)의 후방에 케이스(19b)가 배치되도록 지지부(16)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볼트(21)는, 지지부(16)의 절취부(16c)에 삽입 관통되고, 축선 방향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볼트(21)가 고정되는 케이스(19b)도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볼트 지지부(16b)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9b)의 긴 구멍(19c)에는, 가이드부(17)가 삽입 관통된다. 또한, 전후의 너트(22)는, 볼트 지지부(16b)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당해 전후의 너트(22)가 볼트 지지부(16b)에 체결됨으로써, 볼트(21)는, 지지부(16)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조정부(20)는, 기체(지지부(16))의 좌측에 배치된다.The
또한, 접속 유닛(19)도 기체(핸들 프레임(10))의 좌측에 배치된다. 당해 접속 유닛(19)의 케이스(19b)는, 핸들 프레임(10)의 상하 중도부와 측면으로 보아 중복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케이스(19b)는, 상면의 일부가 위치 결정부(16a)의 하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위치 결정부(16a)는, 볼트(21)의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한 케이스(19b)의 회전을 규제하여, 케이스(19b)의 회전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위치 결정부(16a)는, 케이스(19b)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이하에서는, 조정부(20)에 의한 장력의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정부(20)는, 볼트(21)가 축선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Hereinafter, adjustment of the tension by the
구체적으로는, 볼트(21)는, 너트(22)가 느슨해짐으로써, 지지부(16)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해진다. 당해 볼트(21)가 이동되면, 접속 유닛(19)은, 볼트(21)와 일체적으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21)가 대략 후방으로 이동되면, 접속 유닛(19)은, 대략 후방으로 이동되어 클러치 기구(9)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조정부(20)는,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볼트(21)가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면, 접속 유닛(19)은, 대략 전방으로 이동되어 클러치 기구(9)에 접근한다. 이에 의해, 조정부(20)는,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볼트(21)를 이동시키고 나서 지지부(16)에 너트(22)를 체결함으로써, 장력을 조정한 상태에서 볼트(21)를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정부(20)는,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21)는, 접속 유닛(19)의 케이스(19b)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볼트(21)가 지지부(16)에 고정됨으로써, 접속 유닛(19)은, 조정부(20)를 통해 지지부(16)에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조정부(20)를 지지부(16)에 고정함으로써, 접속 유닛(19)도 지지부(16)에 통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20)를, 접속 유닛(19)을 고정하기 위한 부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유닛(19)을 고정하는 공정을 삭감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하는 작업 중에서(너트(22)의 체결 시에), 필연적으로 접속 유닛(19)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력의 조정과 접속 유닛(19)의 고정을 일괄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또한, 가이드부(17)는, 조정부(20)에서 장력을 조정할(접속 유닛(19)이 이동될) 때, 긴 구멍(19c)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가이드부(17)는, 접속 유닛(19)의 대략 전후 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에 의해, 조정부(20)에서 장력을 조정할 때, 접속 유닛(19)을 이동시키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장력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Further,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9) 및 레버(15b)는, 기체의 좌측에 배치된다. 또한, 접속 유닛(19) 및 조정부(20)도 기체의 좌측, 즉 클러치 기구(9) 및 레버(15b)와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접속 케이블(18)이 설치되는 부재를 모두 동일한 측(기체의 좌측)에 배치함으로써, 접속 케이블(18)을 비교적 곧게 경로 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케이블(18a) 및 제2 케이블(18b)을 경로 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레버(15b)가 조작되었을 때 발생하는 미끄럼 이동 저항(아우터 케이블에 대한 이너 케이블의 미끄럼 이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lutch mechanism 9 and the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1)(작업기)는, 레버(15b)(조작구)에 연결된 제1 케이블(18a)과, 클러치 기구(9)에 연결된 제2 케이블(18b)과, 상기 제1 케이블(18a) 및 상기 제2 케이블(18b)을 접속하는 접속 유닛(19)과, 상기 접속 유닛(19) 및 기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케이블(18a) 또는 상기 제2 케이블(18b)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20)를 구비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alk-behind manager 1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정부(20)를 통해 접속 유닛(19)을 기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20)를 접속 유닛(19)을 고정하는 부재로서도 사용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조정부(20)와 접속 유닛(19)을 통합하여 기체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cost reduction can be aimed at.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조정부(20)는, 상기 접속 유닛(19)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기체에 대하여 소정 방향(방향 A)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이동부(볼트(21))와, 상기 이동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너트(22))를 구비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력의 조정과 접속 유닛(19)의 고정 및 고정 해제(이동 가능한 상태 및 이동 불가능한 상태의 전환)를 일괄하여 행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adjustment of the tension and fixing and releasing of the connection unit 19 (switching between the movable state and the non-movable state) can be performed collectively.
또한,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체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21)이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볼트(21)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22)이다.In addition, the moving part is a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정부(20)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또한,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7)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base further includes a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정부(20)에 의한 장력의 조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the tension|tensile_strength adjustment by the
또한,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접속 유닛(19)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지지부(16)를 구비하는 것이다.Moreover, the said base|substrate is provided with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1개의 부품(지지부(16))에 의해, 이동부의 지지와 접속 유닛(19)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어,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support of a moving part and positioning of the
또한, 상기 지지부(16)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볼트 지지부(16b)(제1 부분)와, 상기 접속 유닛(19)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위치 결정부(16a)(제2 부분)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Further,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지지부(16)를 심플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the
또한, 상기 레버(15b), 상기 클러치 기구(9) 및 상기 접속 유닛(19)은, 상기 기체의 좌측(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ai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케이블(18a) 및 제2 케이블(18b)을 경로 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By configuring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routing of the
또한, 상기 클러치 기구(9)에 연결된 상기 제2 케이블(18b)은, 상기 조정부(20)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Moreover, the said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2 케이블(18b)이 조정부(20)에서 기체와 고정되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9)와 조정부(20) 사이에 제2 케이블(18b)을 보유 지지할 부재가 불필요해져,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또한, 상기 접속 유닛(19)은, 조종 핸들(15)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10)에 배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접속 유닛(19)을 눈에 띄게 어렵게 하여, 의장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By comprising in this way,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보행형 관리기(1)는, 본 발명에 관한 작업기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In addition, the walk-behin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버(15b)는, 본 발명에 관한 조작구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볼트 지지부(16b)는, 본 발명에 관한 제1 부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결정부(16a)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부분의 실시의 일 형태이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structure, Various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a claim.
예를 들어, 작업기는, 보행형 관리기(1)였지만, 작업기의 종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수확기, 예초기 등이어도 된다.For example, although the work machine was the walk-behind
또한, 조정부(20)는,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케이블(18a)의 장력을 조정해도 된다. 또한, 조정부(20)는, 제1 케이블(18a) 및 제2 케이블(18b)의 장력을 양쪽 모두 조정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assumed that the
또한, 조정부(20)는, 지지부(16)에 고정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조정부(20)가 고정되는 부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부재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또한, 조정부(20)는, 볼트(21) 및 너트(2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조정부(20)의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although the
또한, 지지부(16)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assumed that the
또한, 보행형 관리기(1)는, 반드시 접속 유닛(1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7)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the
또한, 클러치 기구(9), 레버(15b), 접속 유닛(19) 및 조정부(20)는, 기체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체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클러치 기구(9), 레버(15b), 접속 유닛(19) 및 조정부(20)는, 반드시 서로 동일한 측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In addition, although the clutch mechanism 9, the
또한, 접속 유닛(19)은, 핸들 프레임(10)과 측면으로 보아 중복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핸들 프레임(10)과 측면으로 보아 중복되지 않는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set as the
또한, 접속 유닛(19)은, 지지부(16)를 통해 핸들 프레임(10)에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접속 유닛(19)이 배치되는 부재는 핸들 프레임(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부재여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is assumed that the
또한, 접속 유닛(19)은, 레버(15b)의 조작력을 저감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접속 유닛(19)은, 본 실시 형태와는 달리, 조종 핸들(15)의 좌우에 레버(15b)가 마련되는 경우에, 당해 좌우의 레버(15b) 중 어느 것이 조작된 경우라도 경운 갈고리(8)를 회전할 수 있도록, 좌우의 레버(15b)의 조작에 따라서 클러치 기구(9)를 작동시키는 연동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it was set as having the function which reduces the operating force of the
또한, 접속 유닛(19)은, 적어도 제1 케이블(18a)과 제2 케이블(18b)을 접속하는 것이면 된다.In addition, the
1: 보행형 관리기(작업기)
9: 클러치 기구
10: 핸들 프레임(기체)
17a: 레버(조작구)
18a: 제1 케이블
18b: 제2 케이블
19: 접속 유닛
20: 조정부1: Walk-type manager (work machine)
9: Clutch mechanism
10: handle frame (aircraft)
17a: lever (operating tool)
18a: first cable
18b: second cable
19: connection unit
20: adjustment unit
Claims (9)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제2 케이블과,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 유닛과,
상기 접속 유닛 및 기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케이블 또는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구비하는, 작업기.a first cable connected to the operation tool;
a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clutch mechanism;
a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An adjustment unit that is fix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the aircraft and adjusts the tens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Equipped with a working machine.
상기 조정부는,
상기 접속 유닛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기체에 대하여 소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소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한쪽의 장력을 조정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를 상기 기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는, 작업기.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ment unit,
a moving part fixed to the connection unit and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relative to the base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one side by movin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movement of the moving unit by fixing the moving unit to the base body
Equipped with a working machine.
상기 이동부는,
상기 기체에 삽입 관통되는 볼트이며,
상기 규제부는,
상기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인, 작업기.3. The method of claim 2,
The moving unit,
It is a bolt inserted through the body,
The regulator is
A nut screwed to the bolt, the working machine.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기.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gas is
The work machine further comprising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기체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함과 함께, 상기 접속 유닛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작업기.4. The method of claim 2 or 3,
The gas is
A work machine comprising a supporting part that supports the moving part and determines a position of the connection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제1 부분과, 상기 접속 유닛의 상기 기체에 대한 위치를 정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는, 작업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pport part,
and a first part supporting the moving part and a second part defining a position of the connecting unit with respect to the base body.
상기 조작구, 상기 클러치 기구 및 상기 접속 유닛은,
상기 기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일측에 배치되는, 작업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operation tool, the clutch mechanism, and the connection unit,
A work machin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in the left-right direction.
상기 클러치 기구에 연결된 상기 제2 케이블은,
상기 조정부와 직선 형상으로 접속되는, 작업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cable connected to the clutch mechanism,
A working machine connected to the adjustment unit in a straight line.
상기 접속 유닛은,
조종 핸들을 지지하는 핸들 프레임에 배치되는, 작업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connection unit is
A implement disposed on a handle frame supporting the control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0-109906 | 2020-06-25 | ||
JP2020109906A JP7324177B2 (en) | 2020-06-25 | 2020-06-25 | work machin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00355A true KR20220000355A (en) | 2022-01-03 |
Family
ID=7934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5808A KR20220000355A (en) | 2020-06-25 | 2021-06-11 | Working machin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324177B2 (en) |
KR (1) | KR20220000355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5401A (en) | 2000-10-25 | 2002-05-08 | Honda Motor Co Ltd | Tend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78234U (en) * | 1984-05-08 | 1985-11-27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Clutch operation mechanism |
JP2005326018A (en) * | 2005-05-24 | 2005-11-24 | Yamaha Motor Co Ltd | Clutch lever operation assisting device |
-
2020
- 2020-06-25 JP JP2020109906A patent/JP7324177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6-11 KR KR1020210075808A patent/KR20220000355A/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25401A (en) | 2000-10-25 | 2002-05-08 | Honda Motor Co Ltd | Tend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007148A (en) | 2022-01-13 |
JP7324177B2 (en) | 2023-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76749B1 (en) |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of control console for work vehicle | |
US7757805B2 (en) | Working vehicle | |
US8220582B2 (en) | Working vehicle | |
KR20130010824A (en) | Walking type working machine | |
US10208852B2 (en) | Steering lever system for work vehicle | |
KR20220000355A (en) | Working machine | |
JP2020149294A (en) | Remote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 |
US11713558B2 (en) | Work vehicle | |
KR102494652B1 (en) | Walk-behind type managing machine | |
WO2024043003A1 (en) | Operating mechanism, and work vehicle | |
JP5474377B2 (en) | Work vehicle | |
CN110546364B (en) | Engine operating device and working machine | |
WO2024043002A1 (en) | Work vehicle | |
US20220205219A1 (en) | Work vehicle | |
KR20160089076A (en) | Power take off ON/OFF Device | |
JP7461841B2 (en) | Operation mechanism for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 |
EP3718808B1 (en) | Operation mechanism of work vehicle and work vehicle | |
JP6849529B2 (en) | Work vehicle | |
JP7169954B2 (en) | Walking type management machine | |
JP2021052717A (en) | Walking type cultivating machine | |
JP2008126941A (en) | Bar-shaped steering handle for walking type working machine | |
JP2021040532A (en) | Ambulatory management machine | |
JP2010004820A (en) | Device for regulating reaping width of combine harvester | |
JPH11146701A (en) | Handle installing apparatus for managing machine and wire receptacle mounted on the handle installing stand | |
JPH1191412A (en) | Clutch lever structure of walking type farm work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