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9966A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Google Patents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49966A KR20210149966A KR1020200066681A KR20200066681A KR20210149966A KR 20210149966 A KR20210149966 A KR 20210149966A KR 1020200066681 A KR1020200066681 A KR 1020200066681A KR 20200066681 A KR20200066681 A KR 20200066681A KR 20210149966 A KR20210149966 A KR 2021014996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dal
- housing
- hysteresis module
- pad
- driv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 B60W60/00133—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occupant comfort for res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1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afet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28—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authorised access to the controlling member or its movement to a command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6/021—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 B60K2026/023—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with means for providing feel, e.g. by changing pedal force characteristics with electrical means to generate counter force or tor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5—Input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ic drive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6—Adjusting of accelerator pedal pos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4—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 B60K2026/046—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means connecting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to propulsion unit with electrical transmis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5—Means for returning or tending to return controlling members to an inoperative or neutral position, e.g. by providing return springs or resilient end-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페달패드(300)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페달패드(300)가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되며, 페달패드(3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을 통해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운전자가 핸들과 가속페달 및 브레이크 등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스스로 목적지까지 찾아가는 자율주행 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차량으로 최근 들어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상황이 보편적으로 실현될 경우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및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고 차량이 스스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자율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가 발을 뻗어서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어야 하기에 운전석 하부공간에 위치한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이 실내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운전자의 휴식에 방해가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율주행 상황은 운전자가 차량의 페달(가속페달,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지 않는 상황으로, 만약에 자율주행 중에 운전자가 페달을 조작하게 되면 차량 제어기는 운전자가 자율주행을 종료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원하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자율주행을 위한 제어를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페달은 운전석 하부 공간에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가 무의식적으로 페달을 조작할 우려가 있고(페달의 오조작 상황), 이럴 경우 도로 상황 또는 차간 거리 등에 따라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운전자를 향해 돌출되도록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 및 오조작 방지 등의 안전을 위해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의 노출을 차단하는 페달장치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수동운전모드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고, 자율주행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되며, 또한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에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페달패드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 및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된 모터로드를 구비하며,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직선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직선이동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하우징에는 상하로 연장되게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에는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모터로드와 결합된 레버하우징; 상기 레버하우징에 구비된 중심축에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의 회전시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과 페달패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레버하우징과 회전레버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 페달센서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해서 가이드슬롯의 최상단에 위치하면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해서 가이드슬롯의 최하단에 위치하면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이동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회전하는 모터로드를 구비한 회전형 모터; 및 상기 모터로드와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고, 페달패드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회전형 모터의 구동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모터로드와 결합된 레버하우징; 상기 레버하우징에 구비된 중심축에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의 회전시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과 페달패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레버하우징과 회전레버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레버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 페달센서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거나 또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회전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가능한 구성이며, 특히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직선형 모터를 구비한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히스테리시스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반대위치 사시도,
도 5는 페달패드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팝업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해서 정상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5에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회전형 모터를 구비한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페달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8의 히스테리시스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반대위치 도면,
도 12는 페달패드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팝업상태의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해서 정상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히스테리시스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의 반대위치 사시도,
도 5는 페달패드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팝업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해서 정상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5에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로서 히스테리시스모듈과 회전형 모터를 구비한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페달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
도 10은 도 8의 히스테리시스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반대위치 도면,
도 12는 페달패드가 실내공간으로 돌출된 팝업상태의 도면,
도 13은 도 12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해서 정상 작동하는 상태의 도면,
도 14는 도 12에서 페달패드가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100); 상기 페달하우징(100)에 힌지핀(20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300); 상기 페달하우징(100)에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페달패드(300)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3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400); 및 상기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히스테리시스모듈(400)과 연결된 모터로드(510)를 구비하며, 모터로드(510)의 진퇴운동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직선형 모터(500)를 포함한다.
페달패드(300)는 모터로드(510)의 진퇴운동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직선이동을 통해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hide)상태 및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up)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페달하우징(10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내부의 빈공간에는 히스테리시스모듈(400)과 직선형 모터(500) 및 후술하는 PCB(Printed Circuit Board)와 비접촉 페달센서 등이 설치되며, 개구된 일측에는 측면커버(110)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직선형 모터(500)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모터로드(510)는 직선형 모터(500)의 작동시 상하로 진퇴 운동하는 플런저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600)를 더 포함한다.
PCB(600)는 와이어를 통해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페달패드(300)는 하단이 힌지핀(20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200)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4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 타입 패드인 것이 특징이다.
페달하우징(1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에 하우징구멍(12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구멍(120)을 관통하는 형태로 페달패드(300)의 하단이 힌지핀(20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직선형 모터(500)의 작동력이 모터로드(51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을 통해 페달패드(300)로 전달되어서 페달패드(300)가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는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반대로 페달패드(300)가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쪽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는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팝업(pop-up)상태가 된다.
페달패드(3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은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조작면(310)이 되며, 페달패드(300)의 조작면(310)은 외형적인 크기가 하우징구멍(12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페달패드(300)의 회전시 하우징구멍(120)은 페달패드(300)의 조작면(31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된다.
페달패드(300)가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풀 회전하면, 페달패드(300)의 조작면(310)이 하우징구멍(120)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조작면(310)은 페달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300)의 전방회전은 자연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하우징구멍(120)이 페달패드(300)의 조작면(31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되면, 기밀유지에 유리해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내쪽으로의 소음차단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페달하우징(100)에서 하우징구멍(120)과 대면하는 전방면에는 상하로 연장되게 가이드슬롯(130)이 형성되고,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은 가이드슬롯(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해 히스테리시스모듈(400)에는 가이드슬롯(130)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13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411)가 구비된다.
페달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하부구멍(140)이 형성되고, 가이드슬롯(130)의 하단과 하부구멍(140)이 연결되며, 따라서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은 하부구멍(140)을 통해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면서 가이드돌기(411)가 가이드슬롯(130)에 삽입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그리고, 페달하우징(10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50)에 의해 하부구멍(140)이 밀폐됨에 따라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가이드슬롯(130)의 양측면 및 이와 접하는 가이드돌기(411)의 양측면은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은 가이드슬롯(1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고, 하우징구멍(120)이 있는 후방쪽으로는 이동이 불가하여서 가이드슬롯(130)으로부터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빠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은 가이드슬롯(130)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411)가 형성되고 모터로드(510)와 결합된 레버하우징(410), 상기 레버하우징(410)에 구비된 중심축(412)에 일단의 힌지부(4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420), 상기 중심축(412)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420)의 회전시 회전레버(420)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430), 상기 회전레버(420)의 타단과 페달패드(3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440), 및 상기 레버하우징(410)과 회전레버(420)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450)을 포함한다.
연결링크(440)의 양단은 각각 회전레버(420) 및 페달패드(300)와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를 발로 밟아서 조작함에 따라 페달패드(300)가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의 회전력은 연결링크(440)를 통해 회전레버(420)로 전달되어서 회전레버(420)는 중심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리턴스프링(450)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며,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50)이 복원력에 의해 회전레버(420)와 연결링크(440) 및 페달패드(30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리턴스프링(450)은 스프링력의 튜닝을 통해 답력 튜닝이 가능하고, 특히 페달패드(300)의 미세 떨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력이 서로 다른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턴스프링(450)은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는 리턴스프링(450)의 스프링력(압축력)과 마찰부시(430)의 마찰력이 함께 발생해서 저항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러한 큰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큰 답력(조작시 답력)이 필요하고,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함에 따라 페달패드(300)가 복귀할 때에는 마찰부시(430)에 의한 마찰력만이 발생함에 따라 조작시 답력보다 상대적으로 답력(복귀시 답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시 답력과 복귀시 답력의 마찰요소에 해당하는 마찰부시(430)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현상을 페달장치에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라 한다.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는 도로의 요철 등으로 인해 충격 발생시 가속페달의 눌림량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해서 정숙주행을 도모하고, 특히 정속 주행 또는 장시간 주행시 페달암의 눌림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발목 피로도를 경감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 따라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이 가이드슬롯(130) 및 가이드돌기(411)의 결합에 의해 페달하우징(100)과 접촉하게 설치되고, 또한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이 직선형 모터(500)의 아래쪽에 위치하면서 모터로드(510)와 페달패드(300)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운전자의 조작력은 대부분이 페달하우징(100)에서 지지되므로 직선형 모터(500)의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원가 및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레버(420)의 힌지부(421)에 결합된 영구자석(700), 및 상기 영구자석(700)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800)를 더 포함한다.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운전자가 페달패드(3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회전레버(420)의 회전을 검출하는 APS(Accelater Position Sensor)가 될 수 있다.
비접촉 페달센서(800)의 내부에는 영구자석(700)과 대면하도록 PCB가 구비되며, PCB는 와이어를 통해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회전레버(420)의 회전시 영구자석(70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3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링크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된 접촉식 센서와 비교하여 볼 때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출력신호의 정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5는 페달패드(300)가 운전자가 있는 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 up)상태이다.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위쪽에 위치하면서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직선형 모터(500)의 동작으로 모터로드(510)가 직선형 모터(500)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하고(상측으로 이동한 상태임),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이 가이드슬롯(130)을 따라 이동해서 가이드슬롯(130)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면, 이때 페달패드(300)는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된다.
도 5와 같이 페달패드(300)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면, 운전자는 돌출된 페달패드(300)의 조작면(310)을 밟아서 정상적인 조작을 하게 된다.
도 6은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3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한 상태이다.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3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하면, 페달패드(300)는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고, 페달패드(300)의 회전력은 연결링크(440)를 통해 회전레버(420)로 전달되어서 회전레버(420)는 중심축(412)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리턴스프링(450)은 압축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3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레버(420)가 회전하면, 회전레버(420)의 힌지부(421)에 결합된 영구자석(700)도 함께 회전해서 회전에 따른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때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영구자석(700)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3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직선형 모터(500)의 작동으로 페달패드(300)가 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게 숨겨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페달패드(300)는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된다.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위쪽에 위치하면서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된 직선형 모터(500)의 동작으로 모터로드(510)가 직선형 모터(500)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하측으로 이동한 상태임),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이 가이드슬롯(130)을 따라 이동해서 가이드슬롯(130)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면, 이때 페달패드(300)는 힌지핀(2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페달하우징(1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된다.
도 7과 같이 페달패드(300)가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면 운전석 하부공간은 페달의 간섭이 없는 넓은 공간이 됨에 따라 운전자는 릴렉스모드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직선형 모터(500)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510)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이 이동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400)의 이동에 의해 영구자석(70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페달패드(300)가 직선형 모터(500)의 작동으로 도 5와 같은 팝업상태 및 도 7과 같은 하이드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영구자석(70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다만, 도 6과 같이 페달패드(300)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5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3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레버(420)가 회전하고, 회전레버(420)의 회전을 통해 영구자석(70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보다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직선형 모터(500)에는 모터로드(5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비접촉 페달센서(800)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모터로드(51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의 발생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4와 같이,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1000); 상기 페달하우징(1000)에 힌지핀(200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3000); 상기 페달하우징(10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회전하는 모터로드(5100)를 구비한 회전형 모터(5000); 및 상기 모터로드(4100)와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고, 페달패드(3000)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3000)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을 포함한다.
페달패드(3000)는 회전형 모터(5000)의 구동시 모터로드(5100)의 회전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10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hide)상태 및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up)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다.
페달하우징(1000)은 내부가 비어있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은 개구되게 형성되며, 내부의 빈공간에는 히스테리시스모듈(4000)과 회전형 모터(5000) 및 후술하는 비접촉 페달센서 등이 설치되며, 개구된 일측에는 측면커버(1100)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회전형 모터(5000)는 일예로 스텝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되며, 모터로드(5100)는 회전형 모터(5000)의 작동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페달패드(3000)는 하단이 힌지핀(200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힌지핀(2000)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40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 타입 패드인 것이 특징이다.
페달하우징(10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에 하우징구멍(120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구멍(120)을 관통하는 형태로 페달패드(3000)의 하단이 힌지핀(2000)을 매개로 페달하우징(10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형 모터(5000)의 작동력이 모터로드(5100) 및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을 통해 페달패드(3000)로 전달되어서 페달패드(3000)가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0)는 페달하우징(10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불가능한 하이드상태가 되고, 반대로 페달패드(3000)가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쪽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0)는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됨에 따라 운전자에 의해 조작이 가능한 팝업(pop-up)상태가 된다.
페달패드(3000)에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면은 운전자가 발로 조작하는 조작면(3100)이 되며, 페달패드(3000)의 조작면(3100)은 외형적인 크기가 하우징구멍(1200)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서 페달패드(3000)의 회전시 하우징구멍(1200)은 페달패드(3000)의 조작면(310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된다.
페달패드(3000)가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풀 회전하면, 페달패드(3000)의 조작면(3100)이 하우징구멍(1200)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조작면(3100)은 페달하우징(1000)에 의해 지지되고, 이로 인해 페달패드(3000)의 전방회전은 자연적으로 구속된다.
또한, 하우징구멍(1200)이 페달패드(3000)의 조작면(3100)에 의해 밀폐되는 구조가 되면, 기밀유지에 유리해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내쪽으로의 소음차단 효과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은 모터로드(5100)와 결합된 레버하우징(4100), 상기 레버하우징(4100)에 구비된 중심축(4120)에 일단의 힌지부(42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4200), 상기 중심축(4120)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4200)의 회전시 회전레버(4200)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4300), 상기 회전레버(4200)의 타단과 페달패드(300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4400), 및 상기 레버하우징(4100)과 회전레버(4200)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4500)을 포함한다.
연결링크(4400)의 양단은 각각 회전레버(4200) 및 페달패드(3000)와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운전자가 페달패드(3000)를 발로 밟아서 조작함에 따라 페달패드(3000)가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면, 페달패드(3000)의 회전력은 연결링크(4400)를 통해 회전레버(4200)로 전달되어서 회전레버(4200)는 중심축(41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리턴스프링(4500)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며, 운전자가 페달패드(30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하면 리턴스프링(4500)이 복원력에 의해 회전레버(4200)와 연결링크(4400) 및 페달패드(300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리턴스프링(4500)은 스프링력의 튜닝을 통해 답력 튜닝이 가능하고, 특히 페달패드(3000)의 미세 떨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프링력이 서로 다른 2개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개수가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턴스프링(4500)은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자가 페달패드(30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는 리턴스프링(4500)의 스프링력(압축력)과 마찰부시(4300)의 마찰력이 함께 발생해서 저항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이러한 큰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는 큰 답력(조작시 답력)이 필요하고, 운전자가 페달패드(3000)로부터 조작력을 해제함에 따라 페달패드(3000)가 복귀할 때에는 마찰부시(4300)에 의한 마찰력만이 발생함에 따라 조작시 답력보다 상대적으로 답력(복귀시 답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조작시 답력과 복귀시 답력의 마찰요소에 해당하는 마찰부시(4300)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바, 이러한 현상을 페달장치에서 히스테리시스(hysteresis)라 한다.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는 도로의 요철 등으로 인해 충격 발생시 가속페달의 눌림량이 급격하게 변하는 것을 방지해서 정숙주행을 도모하고, 특히 정속 주행 또는 장시간 주행시 페달암의 눌림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발목 피로도를 경감시켜 주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레버(4200)의 힌지부(4210)에 결합된 영구자석(7000), 및 상기 영구자석(7000)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1000)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8000)를 더 포함한다.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운전자가 페달패드(3000)를 밟아서 조작할 때에 회전레버(4200)의 회전을 검출하는 APS(Accelater Position Sensor)가 될 수 있다.
비접촉 페달센서(8000)의 내부에는 영구자석(7000)과 대면하도록 PCB가 구비되며, PCB는 와이어를 통해서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비접촉 페달센서(8000)의 PCB는 회전형 모터(50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회전레버(4200)의 회전시 영구자석(7000)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30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링크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된 접촉식 센서와 비교하여 볼 때 작동소음을 줄일 수 있고, 특히 출력신호의 정확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 및 도 12는 페달패드(3000)가 운전자가 있는 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pop up)상태이다.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측부에 위치하면서 페달하우징(1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히스테리시스모듈(4000)과 모터로드(5100)를 통해 연결된 회전형 모터(5000)가 동작하면, 모터로드(5100)의 회전에 의해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이 회전하고(시계방향 회전),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회전에 의해 연결링크(4400)를 통해 연결된 페달패드(3000)는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운전자를 향하는 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된다.
도 12와 같이 페달패드(3000)가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면, 운전자는 돌출된 페달패드(3000)의 조작면(3100)을 밟아서 정상적인 조작을 하게 된다.
도 13은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30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한 상태이다.
페달하우징(1000)으로부터 돌출되게 팝업된 페달패드(3000)를 운전자가 발로 밟아서 조작하면, 페달패드(3000)는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고, 페달패드(3000)의 회전력은 연결링크(4400)를 통해 회전레버(4200)로 전달되어서 회전레버(4200)는 중심축(412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리턴스프링(4500)은 압축된다.
또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30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레버(4200)가 회전하면, 회전레버(4200)의 힌지부(4210)에 결합된 영구자석(7000)도 함께 회전해서 회전에 따른 위치가 변하게 되며, 이때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영구자석(7000)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3000)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14는 회전형 모터(5000)의 작동으로 페달패드(3000)가 전방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1000)속으로 삽입되게 숨겨진 상태이고, 이에 따라 페달패드(3000)는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된다.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측부에 위치한 회전형 모터(5000)가 동작하면, 모터로드(5100)의 회전에 의해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이 회전하고(반 시계방향 회전),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회전에 의해 연결링크(4400)를 통해 연결된 페달패드(3000)는 힌지핀(200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페달하우징(1000)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된다.
도 14와 같이 페달패드(3000)가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면 운전석 하부공간은 페달의 간섭이 없는 넓은 공간이 됨에 따라 운전자는 릴렉스모드에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가 있게 되며, 또한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회전형 모터(5000)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5100)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이 회전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4000)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700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즉, 페달패드(3000)가 회전형 모터(5000)의 작동으로 도 12와 같은 팝업상태 및 도 14와 같은 하이드상태로 변환될 때에는 영구자석(7000)의 위치가 변하더라도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오작동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다만, 도 13과 같이 페달패드(3000)가 팝업된 상태이고 회전형 모터(5000)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300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레버(4200)가 회전하고, 회전레버(4200)의 회전을 통해 영구자석(7000)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보다 안정된 작동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형 모터(5000)에는 모터로드(5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되고, 비접촉 페달센서(8000)는 센서를 통해 검출된 모터로드(5100)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의 발생유무를 결정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가속페달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는 수동운전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300,3000)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페달패드(300,3000)가 페달하우징(100,1000)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운전자쪽으로 노출되게 팝업되고, 운전자가 직접 운전을 하지 않는 자율주행모드 상황에서는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300,3000)의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페달패드(300,3000)가 페달하우징(100,1000)속으로 삽입되어서 운전자쪽으로의 노출이 차단된 하이드상태가 가능한 구성이며, 특히 히스테리시스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히스테리시스모듈(400,4000)을 구비한 구성으로, 자율주행 상황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자율주행 상황에서 페달의 오조작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1000 - 페달하우징 110,1100 - 측면커버
120,1200 - 하우징구멍 130 - 가이드슬롯
140 - 하부구멍 150 - 하부커버
200,2000 - 힌지핀 300,3000 - 페달패드
310,3100 - 조작면 400,4000 - 히스테리시스모듈
410,4100 - 레버하우징 411 - 가이드돌기
412,4120 - 중심축 420,4200 - 회전레버
421,4210 - 힌지부 430,4300 - 마찰부시
440,4400 - 연결링크 450,4500 - 리턴스프링
500 - 직선형 모터 510,5100 - 모터로드
600 - PCB 700,7000 - 영구자석
800,8000 - 비접촉 페달센서 5000 - 회전형 모터
120,1200 - 하우징구멍 130 - 가이드슬롯
140 - 하부구멍 150 - 하부커버
200,2000 - 힌지핀 300,3000 - 페달패드
310,3100 - 조작면 400,4000 - 히스테리시스모듈
410,4100 - 레버하우징 411 - 가이드돌기
412,4120 - 중심축 420,4200 - 회전레버
421,4210 - 힌지부 430,4300 - 마찰부시
440,4400 - 연결링크 450,4500 - 리턴스프링
500 - 직선형 모터 510,5100 - 모터로드
600 - PCB 700,7000 - 영구자석
800,8000 - 비접촉 페달센서 5000 - 회전형 모터
Claims (17)
-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에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페달패드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 및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된 모터로드를 구비하며,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는 직선형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직선이동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직선형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직선형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PC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페달하우징에는 상하로 연장되게 가이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에는 가이드슬롯으로 삽입되어서 가이드슬롯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돌기를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모터로드와 결합된 레버하우징;
상기 레버하우징에 구비된 중심축에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의 회전시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과 페달패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레버하우징과 회전레버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및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 페달센서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속으로 삽입되는 후퇴이동을 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해서 가이드슬롯의 최상단에 위치하면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으로 모터로드가 직선형 모터로부터 돌출되는 전진이동을 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해서 가이드슬롯의 최하단에 위치하면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진퇴운동으로 인해 히스테리시스모듈이 이동하고,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이동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직선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운전석 하부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 페달하우징;
상기 페달하우징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운전자의 발로 조작되는 페달패드;
상기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회전하는 모터로드를 구비한 회전형 모터; 및
상기 모터로드와 결합되어서 함께 회전하고, 페달패드와 연결되며, 운전자에 의한 페달패드의 조작시 히스테리시스를 발생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페달패드는 회전형 모터의 구동에 의한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을 통해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 및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는 하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페달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핀의 위쪽부위가 히스테리시스모듈과 연결되며, 상단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후로 회전하는 오르간타입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히스테리시스모듈은 모터로드와 결합된 레버하우징;
상기 레버하우징에 구비된 중심축에 일단의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레버;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어서 회전레버의 회전시 회전레버와의 접촉으로 마찰력을 발생하는 마찰부시;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과 페달패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링크; 및
상기 레버하우징과 회전레버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의 힌지부에 결합된 영구자석;
상기 영구자석과 대면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된 비접촉 페달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 페달센서는 회전레버의 회전시 영구자석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장 세기의 변화를 통해 페달패드의 회전각을 검출해서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모터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페달하우징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모터로드의 회전방향에 따라 페달패드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페달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팝업상태가 되거나 또는 페달하우징속으로 삽입되어서 숨겨진 하이드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 모터의 동작에 따른 히스테리시스모듈의 회전에 의해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는 오작동의 방지를 위해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페달패드가 팝업된 상태이고 회전형 모터가 동작하지 않는 상황에서 운전자의 조작으로 페달패드가 회전함에 따라 영구자석의 위치가 변화할 때에만 비접촉 페달센서는 가속과 관련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681A KR20210149966A (ko) | 2020-06-02 | 2020-06-02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US17/014,567 US11021058B1 (en) | 2020-06-02 | 2020-09-08 | Foldable accelerator pedal apparatus equipped with hysteresis module for vehicle |
DE102020211829.9A DE102020211829A1 (de) | 2020-06-02 | 2020-09-22 | Klappbare gaspedalvorrichtung ausgestattet mit hysteresemodul für fahrzeug |
CN202011046591.8A CN113752825A (zh) | 2020-06-02 | 2020-09-29 | 配备有滞后模块的车辆用可折叠加速踏板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681A KR20210149966A (ko) | 2020-06-02 | 2020-06-02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49966A true KR20210149966A (ko) | 2021-12-10 |
Family
ID=7609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681A KR20210149966A (ko) | 2020-06-02 | 2020-06-02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021058B1 (ko) |
KR (1) | KR20210149966A (ko) |
CN (1) | CN113752825A (ko) |
DE (1) | DE10202021182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8219487B4 (de) * | 2018-11-15 | 2021-07-29 | Audi Ag | Vorrichtung zum Betätigen von Bremse und Gas in einem Fahrzeug |
JP2020131923A (ja) * | 2019-02-20 | 2020-08-31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乗員姿勢調整装置およびペダル装置 |
KR102684307B1 (ko) * | 2019-04-08 | 2024-07-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가속페달의 오조작시 제어방법 |
KR20210131007A (ko) * | 2020-04-23 | 2021-1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20023871A (ko) | 2020-08-20 | 2022-03-0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의 수동운전모드시 폴더블 가속페달장치의 작동제어방법 |
KR20220023182A (ko) * | 2020-08-20 | 2022-03-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KR20220060242A (ko) * | 2020-11-04 | 2022-05-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KR20220061587A (ko) * | 2020-11-06 | 2022-05-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
KR20220062831A (ko) * | 2020-11-09 | 2022-05-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
KR20220064791A (ko) * | 2020-11-12 | 2022-05-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20068300A (ko) * | 2020-11-18 | 2022-05-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폴더블 페달장치의 작동 안정화 시스템 |
KR20220126133A (ko) * | 2021-03-08 | 2022-09-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20136745A (ko) * | 2021-04-01 | 2022-10-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20142256A (ko) * | 2021-04-14 | 2022-10-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JP7468455B2 (ja) * | 2021-05-14 | 2024-04-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車両用ペダルモジュール |
KR20220162516A (ko) * | 2021-06-01 | 2022-12-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20164863A (ko) * | 2021-06-04 | 2022-12-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
WO2023282837A1 (en) * | 2021-07-09 | 2023-01-12 | Cj Automotive Ab | Pedal device and vehicle having such a pedal device |
KR20230015133A (ko) * | 2021-07-22 | 2023-01-3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016461A (ko) * | 2021-07-26 | 2023-02-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US11429132B1 (en) * | 2021-08-05 | 2022-08-30 | Toyota Research Institute, Inc. | Vehicle pedal configurations and systems |
KR20230027672A (ko) * | 2021-08-19 | 2023-02-2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폴더블 전자식 페달장치 |
KR20230035843A (ko) * | 2021-09-06 | 2023-03-1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049184A (ko) * | 2021-10-05 | 2023-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자식 페달장치 |
KR20230086855A (ko) * | 2021-12-08 | 2023-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128192A (ko) * | 2022-02-25 | 2023-09-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128193A (ko) * | 2022-02-25 | 2023-09-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134019A (ko) * | 2022-03-10 | 2023-09-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30146703A (ko) * | 2022-04-12 | 2023-10-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KR20240021354A (ko) * | 2022-08-09 | 2024-02-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7427A (ko) | 2016-06-03 | 2017-1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82525B1 (en) * | 1999-02-25 | 2001-02-06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Movable vehicle pedal apparatus |
US6364047B1 (en) * | 2000-09-27 | 2002-04-02 | Teleflex Incorporated | Adjustable pedal assembly—floating floor |
EP1444108B1 (de) * | 2001-11-05 | 2010-12-29 |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 Vorrichtung mit zusätzlicher rückstellkraft am gaspedal in abhängigkeit von der sollwert - abweichung eines fahrzeugparameters |
KR100879061B1 (ko) * | 2006-12-14 | 2009-01-1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 페달 시스템 |
KR100934994B1 (ko) | 2008-03-10 | 2009-12-31 | 에스엘 주식회사 | 조절 가능한 페달 시스템 |
KR100999238B1 (ko) * | 2008-12-04 | 2010-12-07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전자 오르간식 가속페달 장치 |
KR101126847B1 (ko) * | 2009-12-04 | 2012-03-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작동모드 구현 펜던트타입 조정식페달장치 |
FR2981889B1 (fr) | 2011-10-26 | 2014-01-31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Pedalier de commande d'embrayage |
KR101272927B1 (ko) * | 2011-11-23 | 2013-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KR101470146B1 (ko) * | 2013-04-23 | 2014-12-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
KR101470145B1 (ko) | 2013-04-23 | 2014-12-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 장치의 답력 능동 조절방법 |
KR101428398B1 (ko) * | 2013-06-24 | 2014-08-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US20150107402A1 (en) * | 2013-10-18 | 2015-04-23 | KSR IP Holdings, LLC | Adjustable pedal assembly with hysteresis |
US9283934B2 (en) | 2014-06-02 | 2016-03-1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djustable brake pedal system |
US10739011B2 (en) | 2018-09-19 | 2020-08-11 | Midea Group Co., Ltd. | Retracting and extending control selectors |
-
2020
- 2020-06-02 KR KR1020200066681A patent/KR20210149966A/ko unknown
- 2020-09-08 US US17/014,567 patent/US11021058B1/en active Active
- 2020-09-22 DE DE102020211829.9A patent/DE102020211829A1/de active Pending
- 2020-09-29 CN CN202011046591.8A patent/CN113752825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37427A (ko) | 2016-06-03 | 2017-1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율주행 차량용 페달 조작 안전장치 및 이의 작동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102020211829A1 (de) | 2021-12-02 |
CN113752825A (zh) | 2021-12-07 |
US11021058B1 (en) | 2021-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149966A (ko)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
KR20210131007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KR20220023182A (ko)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 |
KR20210059859A (ko) | 폴더블 가속페달장치 및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를 구비한 자율주행 차량 | |
KR20210125733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KR20220064791A (ko) | 히스테리시스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KR20220021054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
US10732667B2 (en) | Pedal apparatus for vehicle | |
KR20220060242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
US7926384B2 (en) | Accelerator pedal for motorized vehicle | |
CN115027261A (zh) | 用于车辆的可折叠踏板装置 | |
KR20220142256A (ko)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KR20220061587A (ko) | 오르간 타입 전자식 브레이크페달장치 | |
CN114454854A (zh) | 风琴式电子制动踏板设备 | |
KR20210116743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
JP2004026131A (ja) | マニュアルモードを具備した自動変速機の変速レバー装置 | |
KR20210116742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
KR20210120154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KR20210059858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펜던트타입 페달장치 | |
CN115923506A (zh) | 电子踏板装置 | |
CN115923505A (zh) | 可折叠电子踏板装置 | |
CN116331167A (zh) | 风琴式电子踏板装置 | |
KR20210112456A (ko) | 자율주행 차량용 폴더블 브레이크페달장치 | |
KR20230035843A (ko) | 차량용 폴더블 페달장치 | |
CN116215467A (zh) | 风琴式电子踏板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