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472A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22472A KR20210122472A KR1020200039649A KR20200039649A KR20210122472A KR 20210122472 A KR20210122472 A KR 20210122472A KR 1020200039649 A KR1020200039649 A KR 1020200039649A KR 20200039649 A KR20200039649 A KR 20200039649A KR 20210122472 A KR20210122472 A KR 202101224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quality
- image
- endoscope
- endoscopic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3441 quality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44 transfo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61B1/00009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for image enhanc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control sign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5—Control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doscope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에서 촬영된 영상의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상기 영상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을 제어하여 줌으로써,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부;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endoscopic image, and more particularly, by identifying factors impeding the quality of an image captured by the endoscope and controlling the endosc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 improved quality endoscope imag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by using an endoscope, comprising: an image acquisi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the image; an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type of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a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a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mpeding factor identified by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시경에서 촬영된 영상의 품질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파악하고 상기 영상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내시경을 제어하여 줌으로써,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endoscopic image, and more particularly, by identifying factors impeding the quality of an image captured by the endoscope and controlling the endoscope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apable of generating an improved quality endoscope image.
환자의 위장, 소장, 대장 등을 다양한 장기를 진단하거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내시경이 활용되고 있다. Various types of endoscopes are used to diagnose or treat various organs of a patient's stomach, small intestine, and large intestine.
그런데, 상기 내시경에서 촬영되는 영상에는 광원의 빛이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되는 명부(明部) 영역이나 광원의 빛이 부족한 암부(暗部) 영역 등이 발생할 수 있고, 또한 기포(bubble), 잔해(debris), 출혈(blood) 등이 있는 영역으로 인하여, 내시경 영상 중 일부 영역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image taken by the endoscope, a bright area wher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specularly reflected or a dark area wher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insufficient may occur, and also bubbles, debris ( Debris), bleeding (blood), etc., may cause a problem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some areas of the endoscopic image.
이에 대하여, 종래에는 내시경 영상에 대한 밝기 등을 측정하여 광원의 광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내시경 영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기술이 시도되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내시경 영상의 전체 픽셀에 대한 분포를 산출하여 전체 영상의 밝기 등을 조절하는 정도에 그쳐, 영상의 특정 영역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영상 품질의 저하에 대해서는 그 발생 원인 및 발생 위치에 대한 파악이 어려웠고, 따라서 이에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대응 방안도 제한될 수 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techniques for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endoscopic image by measuring the brightness of the endoscopic image and adjusting the light amount of the light source have been attempted.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ause and location of various image quality degradations occurring in a specific area of the image because it was limited to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image. there was no
또한, 획득한 내시경 영상에 특정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기술도 시도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일부 문제에 대한 개선이 가능할 뿐 여전히 다양한 원인의 영상 품질 저하 요소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여러 면에서 부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이 다소 부족하여 어둡게 촬영된 영역 등에 대해서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으로 개선이 가능하나 너무 어두워 포화(saturated)된 암부 영역에 대해서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 만으로는 해결이 어려웠다.In addition, a technique for improving the image quality by applying a specific algorithm to the acquired endoscopic image is being attempted, but even in this case, some problems can be improved, and the solution to the image quality deterioration factors of various causes is still insufficient in many ways. did. More specifically,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can improve a dark area photographed due to a lack of a light source, but it is difficult to solve a dark area that is too dark and saturated with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alone.
이에 따라,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적절한 해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continuous need for a method to identify factors that impair endoscopic image quality due to various causes, which are difficult to solve due to brightness control of endoscopic images or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algorithms, and to generate improved quality endoscopic images. An appropriate solution for this has not yet been propo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dentifies factors that impair endoscopic image quality due to various caus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due to brightness control of an endoscopic image or applic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and generates an improved quality endoscopic imag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endoscopic image quality.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graspe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technical field through the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부;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using an endoscope, and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 an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type of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a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a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 장치의 종류 및 대응 액션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type and corresponding action of a corresponding device for improving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나아가,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광원의 방향을 바꾸거나 광량을 변경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a bright part or a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area,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or change the amount of light.
또한,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광원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추가할 수 있다.Also, when a bright part or a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area, the controller may change or add a type of light source.
또한,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bright or dark region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a probe, a distal tip, or a camera of the endoscope.
또한,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a probe, distal tip, or camera of the endoscope. can
또한,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종단 팁(distal tip)에서 세척액을 분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eject the cleaning solution from the distal tip of the endoscope.
또한, 상기 영상에서 제1 시점의 제1 영상 및 제2 시점의 제2 영상에서 동일한 영역에 시야를 방해해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시경의 카메라 렌즈로 세척액을 분출하여 상기 렌즈를 세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lement obstructing the view exists in the same area in the first image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second image at the second time point in the image, the control unit ejects a cleaning solution to the camera lens of the endoscope to the lens. can be controlled to clean.
또한,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는,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quality evaluator may calculate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using a learning technique.
또한,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에서는, 상기 영상을 나누어 일부 영상에 대하여 영상 품질을 평가한 후, 상기 일부의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를 모아 상기 영상 전체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may divide the image and evaluate the image quality of some images, collect the image quality evaluations of the partial images, and derive an image qua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entire imag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 단계;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using an endoscope, comprising: acquiring the image; an image quality evaluation step of identifying a type of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a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a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identified in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ste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endoscopic image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factors that inhibit endoscopic image quality due to various caus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due to brightness control of an endoscopic image or applic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and provide improved quality. It is possible to create an image of the endoscope.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에서 파악한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에서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한 대응 액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의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a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expla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lock diagram of an endoscop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dentified by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sponding action for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mproving endoscopic image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ovid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ethods, apparatus and/or systems described herein.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nd should not be limiting in any way. Unless explicitly used otherwise,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the meaning of the plural. In this description, 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or “comprising” are intended to indicate certain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som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one or more other than those described. It should not be construed to exclude the presence or possibility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cts, elements, or any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used only as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1)의 구성도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1)은 카메라 등 촬영 수단을 구비하는 내시경 삽입부(2), 상기 내시경 삽입부(2)의 구동을 제어하고, 나아가 상기 내시경 삽입부(2)로부터 카메라 등 상기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 신호를 전송받아, 모니터 등 영상 표시부(5)를 통해 의료진 등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내시경 제어부(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rst, FIG. 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ndoscop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an be seen in FIG. 1, the endoscop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도 1은 편의상 특정 내시경 형태로 그려졌지만, 본 특허의 내용은 연성 내시경 (flexible endoscopy) 및 경성 내시경 (rigid endoscopy) 등 다양한 내시경 시스템(1)에 적용 가능하다.Although FIG. 1 is drawn in a specific endoscopy form for convenience, the contents of this patent are applicable to various endoscopy systems 1 such as flexible endoscopy and rigid endoscopy.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시스템(1)에서 상기 내시경 삽입부(2)에는 카메라 등 영상 촬영 수단 뿐만 아니라, 영상 촬영을 위한 광원(light source), 프로브(probe) 및 종단 팁(distal tip) 등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또한, 상기 내시경 제어부(4)는 상기 영상 표시부(5) 등 다른 장치와 일체로 구현되거나, 별도의 장치나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ndoscope control unit 4 may be implemented integrally with other devices such as the
또한, 위에서는 주로 의료진 등이 의료 검진용 내시경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산업용 내시경, 캡슐 내시경, 수술용 내시경 등 다양한 종류의 내시경에도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medical staff mainly use the endoscope for medical examina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pplicable.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은 상기 내시경 시스템(1)의 일부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endoscopic image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으로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110),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부(120)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2 , the endoscopic image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 장치의 종류 및 대응 액션을 결정하여 제어함으로써,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을 각 구성요소별로 나누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ndoscopic image
먼저, 상기 영상 획득부(110)에서는 상기 카메라 등의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생성한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First, 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획득부(110)는 상기 카메라 등 촬영 수단에서 생성된 영상 신호에 대한 영상 처리 등을 거쳐 생성된 내시경 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the
이어서,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에서는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Next, the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는 다양한 종류가 있을 수 있겠으나, 영상의 밝기, 채도, 대조(contrast)와 같은 영상 품질 요소들이 저해되거나, 영상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위치 정보로는 영상 획득이 어려운 정도의 밝기, 채도, 대조를 보이는 제1 영역의 위치 또는 영상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re may be various types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but image quality elements such as brightness, saturation, and contrast of an image may be inhibited, or elements that obstruct the view of an image may be included. ,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first area showing a degree of difficulty in obtaining an imag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first area or the location of elements that obstruct the view of the image.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로서 대표적으로 광원의 빛이 반사되어 광량이 과도한 명부(明部), 광량이 부족한 암부(暗部)를 들 수 있고, 또한 기포(bubble), 잔해(debris), 출혈(blood)도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에 포함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a light from a light source is typically reflected and a bright part with an excessive amount of light, a dark part with an insufficient amount of light can be mentioned, and also bubbles. ), debris, and blood may also be included in the type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ory factor.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영상의 제1 영역에 광원의 빛이 반사되는 명부(도 3의 (A))가 존재하는 내시경 영상을 예시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FIG. 3 exemplifies an endoscopic image in which a bright portion (FIG. 3(A)) wher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is present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상의 제1 영역에 명부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에서는 상기 영상을 평가하여 상기 영상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도 3의 영상에서는 명부)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영상에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가 존재하는 위치(도 3의 영상에서 (A) 영역)를 산출하게 된다.As can be seen in FIG. 3 , when a highlight is generated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the image
이를 위하여,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는, 딥 러닝(Deep Learning) 또는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등의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To this end, the image
또한,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에서는, 상기 영상을 나누어 일부 영상에 대하여 영상 품질을 평가한 후, 상기 일부의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를 모아 상기 영상 전체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mage
이어서,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120)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게 된다.Next, the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 장치의 종류 및 대응 액션을 결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시경에 구비되는 광원, 카메라,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등을 제어하거나 조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광원의 종류, 방향, 세기, 카메라의 방향, 프로브(probe)의 방향 또는 종단 팁(distal tip)의 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경우 영상 전체의 밝기나 특정한 영상 처리 알고리즘 만을 이용하여 영상을 제한적으로 개선하는데 그쳤던데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에서는 영상 품질과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의 존재 여부 및 위치를 파악하여 광원을 포함한 내시경의 여러 장치들을 제어하여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in contrast to the limited improvement of the image by using only the brightness of the entire image or a specific image processing algorithm, in the endoscopic imag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의 명부 또는 암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광원의 방향을 바꾸거나 광량을 변경하여, 상기 명부 또는 암부가 해소되도록 시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a bright part or a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the
나아가, 상기 내시경에 복수의 광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각 광원이 조사하는 영역을 변경하거나, 광량을 변경하여 상기 명부 또는 암부가 해소되도록 시도할 수도 있다.Furthermore, when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exist in the endoscope, an attempt may be made to eliminate the bright or dark areas by changing the area irradiated by each light source or by changing the amount of light.
또한,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광원의 종류(백색광, 협대역 광원, 형광 광원, 적외선 광원 등)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영상으로부터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bright part or a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area of the image, the
또한,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의 명부 또는 암부의 위치를 고려하여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bright part or a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the
또한,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의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의 위치를 고려하여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Also,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the
나아가, 상기 영상의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영역의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의 위치를 고려하여 내시경의 종단 팁(distal tip)에서 세척액을 분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영상에서 제1 시점의 제1 영상 및 제2 시점의 제2 영상에서 동일한 영역에 시야를 방해해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시경의 카메라 렌즈로 세척액을 분출하여 상기 렌즈를 세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ndoscopic image
즉, 상기 카메라의 이동 또는 렌즈의 확대, 축소 등으로 카메라에 촬영되는 시야각(Field of View)이 변경되었음에도 동일한 영역에 시야를 방해하는 요소가 촬영되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이물질 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내시경의 카메라 렌즈로 세척액을 분출하여 상기 렌즈를 세척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렌즈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 an element obstructing the view is photographed in the same area even though the field of view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changed due to movement of the camera or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lens, foreign substances are present in the lens of the camera Therefore, the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에서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한 대응 액션을 설명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in FIG. 4 , an a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in the endoscopic image
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제1 영역(도 4의 (P1))에 암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내시경 삽입부(2)에 구비되는 광원의 위치(도 4의 (P0))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도 4의 (P1))를 고려하여 상기 광원의 방향을 바꾸어 줄 수 있다(예를 들어, 도 4의 (R1) 방향). 나아가,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광원의 위치(도 4의 (P0))로부터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도 4의 (P1))를 고려하여 상기 광원의 광량이나 광원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FIG. 4 , when the arm part is present in the first area ((P1 of FIG. 4 )), the
또한, 도 4에서 상기 제2 영역(도 4의 (P2))에 기포(bubble)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영역의 위치(도 4의 (P2))를 고려하여 상기 내시경 삽입부(2)의 종단 팁(distal tip)에서 상기 제2 영역의 방향(도 4의 (R2) 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출하여 상기 기포를 제거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bubbles exist in the second region (P2 in FIG. 4 ) in FIG. 4 , the
이때, 상기 제어부(130)에서는 상기 제2 영역까지의 거리(도 4의 (D2))까지 고려하여 상기 세척액을 분출하거나, 상기 내시경 삽입부(2)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세척액을 분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은 저장된 정지 영상, 동영상, 또는 내시경 사용 중에 획득된 영상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endoscopic image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은 의료 검진용 내시경 뿐만 아니라, 캡슐 내시경, 수술용 내시경 및 산업용 내시경 등에서 생성된 다양한 영상에도 적용이 가능하다.Furthermore, the endoscopic imag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에서는,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endoscopic image
또한,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Also, FIG. 5 show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endoscopic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의 품질을 개선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으로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S110),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 단계(S120)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 단계(S120)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 (S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5 ,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using an endoscope, and an image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image (S110),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step (S120) of determining the type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the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the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It may include a control step (S130) of controlling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identified in step (S1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은 앞서 설명한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과 그 동작 원리 및 동작이 유사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앞서 설명한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100)에 대한 일련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Since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ndoscopic im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앞서 살핀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의 각 단계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기계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서버,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휴대전화 등 중앙처리장치(CPU)를 구비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일체의 정보처리 장치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o execute each step of the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salpin above on a computer. The computer program may be not only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a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a computer program including a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In this case, the computer is not limited to a personal computer (PC) or a notebook computer, and include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such as a server, smart phone, tablet PC, PDA, mobile phone, etc. to process any information that can execute a computer program. includes the device.
상기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The medium may continue to store a computer executable program, or may be temporarily stored for execution or download.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various recording means or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single or several hardware combined, it is not limited to a medium directly connected to any computer system, and may exist distributed on a network. Examples of the medium include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those configured to store program instructions, including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examples of other media may include recording media or storage media managed by an app store that distributes applications, sites that supply or distribute various other software, and server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내시경 영상의 밝기 조절이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의 적용 등으로 해결이 어려운 다양한 원인의 내시경 영상 품질 저해 요소들을 파악하고 개선된 품질의 내시경의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roving endoscopic image qua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and improv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eding factors due to various cause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due to brightness control of an endoscopic image or applic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It is possible to create an endoscope image of the highest qualit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xplanation rather than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내시경 시스템
2 : 내시경 삽입부
4 : 내시경 제어부
5 : 영상 표시부
100 :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
110 : 영상 획득부
120 : 영상 품질 평가부
130 : 제어부1: Endoscope system
2: endoscope insertion part
4: endoscope control unit
5: video display unit
100: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110: image acquisition unit
120: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130: control unit
Claims (11)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부;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In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using an endoscope,
an image acquisition unit for acquiring the image;
an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type of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a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a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mpeding factor identified by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 장치의 종류 및 대응 액션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trol unit,
Considering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action for improving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광원의 방향을 바꾸거나 광량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bright or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light source or change the amount of light.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광원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bright or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or adding a type of light source.
상기 제1 영역에서 명부 또는 암부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 bright or dark part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e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a probe (probe), distal tip (distal tip) or camera of the endoscope.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프로브(probe), 종단 팁(distal tip) 또는 카메라의 방향이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e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a probe (probe), distal tip (distal tip) or camera of the endoscope.
상기 제1 영역에서 기포(bubble), 잔해(debris) 또는 출혈(blood)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내시경의 종단 팁(distal tip)에서 세척액을 분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bubbles, debris, or bleeding occurs in the first region,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e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eject the cleaning solution from the distal tip (distal tip) of the endoscope.
상기 영상에서 제1 시점의 제1 영상 및 제2 시점의 제2 영상에서 동일한 영역에 시야를 방해해는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시경의 카메라 렌즈로 세척액을 분출하여 상기 렌즈를 세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n an element obstructing the view is present in the same area in the first image of the first viewpoint and the second image of the second viewpoint in the image,
The control unit is an endoscope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clean the lens by jetting a cleaning solution to the camera lens of the endoscope.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는,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 및 위치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a learning technique to calculate the type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factor.
상기 영상 품질 평가부에서는,
상기 영상을 나누어 일부 영상에 대하여 영상 품질을 평가한 후,
상기 일부의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를 모아 상기 영상 전체에 대한 영상 품질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시스템.According to claim 1,
In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unit,
After dividing the image and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for some images,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collect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of the partial images, and deriving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result for the entire image.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 획득 단계;
상기 영상의 제1 영역에 존재하는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종류와, 상기 영상 중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의 위치를 파악하는 영상 품질 평가 단계; 및
상기 영상 품질 평가 단계에서 파악된 상기 제1 영상 품질 저해 요소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영상 품질 개선 방법.In the endoscopic image quality improvement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n image generated using an endoscope,
an image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image;
an image quality evaluation step of identifying a type of a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existing in a first region of the image and a location of the first image quality inhibiting element in the image; and
and a control step of controlling to respond to the first image quality impeding factor identified in the image quality evaluation step.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649A KR20210122472A (en) | 2020-04-01 | 2020-04-01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9649A KR20210122472A (en) | 2020-04-01 | 2020-04-01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2472A true KR20210122472A (en) | 2021-10-12 |
Family
ID=78078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9649A KR20210122472A (en) | 2020-04-01 | 2020-04-01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2247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908349A (en) * | 2022-12-01 | 2023-04-04 | 北京锐影医疗技术有限公司 | Method and equipmen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endoscope parameters based on tissue identification |
KR102639202B1 (en) * | 2022-10-05 | 2024-02-21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doscope based on medical imag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4283A (en) | 2008-11-18 | 2011-08-23 |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 Endoscope LED Light Source with Feedback Control System |
-
2020
- 2020-04-01 KR KR1020200039649A patent/KR2021012247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4283A (en) | 2008-11-18 | 2011-08-23 | 스트리커 코포레이션 | Endoscope LED Light Source with Feedback Control System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9202B1 (en) * | 2022-10-05 | 2024-02-21 |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endoscope based on medical image |
CN115908349A (en) * | 2022-12-01 | 2023-04-04 | 北京锐影医疗技术有限公司 | Method and equipmen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endoscope parameters based on tissue identification |
CN115908349B (en) * | 2022-12-01 | 2024-01-30 | 北京锐影医疗技术有限公司 | Automatic endoscope parameter adjust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tissue identific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282796B2 (en) |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OF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AGNOSTIC SUPPORT DEVICE, AND ENDOSCOPE SYSTEM | |
WO2015001807A1 (en) | Projection system | |
US20140210973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endoscope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 |
CN113365545B (en) | Image recording device,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 |
US20120147165A1 (en) | Control device, endoscope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 |
JP2007044532A (en) | Subcutaneous tissue camera | |
JP6533284B2 (en) | Focus control device, imaging device, endoscope system, control method of focus control device | |
US20240304311A1 (en) | Medic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dical image proces sing method, program, and diagnosis support apparatus | |
KR20210122472A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endoscope | |
WO2018216188A1 (en) | Endoscopic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ndoscopic image processing method | |
US20220400931A1 (en) | Endoscope system, method of scanning lumen using endoscope system, and endoscope | |
US20210397865A1 (en) | Method for endoscopic imaging, endoscopic imaging system and software program product | |
US20210338042A1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agnosis suppor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image processing program | |
WO2016111178A1 (en) | Endoscope system | |
US11992177B2 (en) | Image processing device for endoscope, image processing method for endoscope, and recording medium | |
US1217567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electronic medical images to determine object size | |
US20220031405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labeling objects of interest during a medical procedure | |
JP2015198735A (en) | Living body observation system | |
WO2022224446A1 (en) |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JP7256275B2 (en) |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endoscope system, operating method and program for medical image processing device | |
US2023003685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achine readable identification of surgical tools in-situ | |
WO2021149141A1 (en) | Focus control device, endoscop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focus control device | |
JPWO2017010486A1 (en) | Blood vessel recognition system | |
JP744892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 |
US20240188798A1 (en) | Endoscope system,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medical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