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644A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Google Patents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5644A KR20210115644A KR1020200031708A KR20200031708A KR20210115644A KR 20210115644 A KR20210115644 A KR 20210115644A KR 1020200031708 A KR1020200031708 A KR 1020200031708A KR 20200031708 A KR20200031708 A KR 20200031708A KR 20210115644 A KR20210115644 A KR 202101156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ment instrument
- treatment
- fixing pin
- handle
- tub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902 l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323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08000037062 Polyps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052 colon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271 re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74 bi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224 diss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39 end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39 hem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99 Col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333 Colo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61 Esophage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0155 Oesophage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2428 Woun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76 bronch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45 dietary chan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101 esophage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75 gas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57 laparoscopic surg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28 necessary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long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ranscutaneously in minimal invasive surgery, e.g. laparosco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7—Trocar-like, i.e. devices producing an enlarged transcutaneous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69—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3—Seal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4—Types of switches or controll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1—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16—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 A61B2018/00958—Handpieces of the surgical instrument or device with means for switching or controlling the main function of the instrument or device f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working modes of the main fun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61B2018/141—Sna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시경 등의 시술에 이용되는 의료용 토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2종의 처치구가 한 기구상에 병용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discharge device used for procedures such as an endoscope, and to a medical discharge device in which two types of treatment tools can be used together on one device.
내시경은 의료 목적으로 신체의 내부를 살펴보기 위한 의료 기구로서,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해서 몸의 기관 내부를 관찰하는 시술 기구이다. 내시경은 검사하는 부위에 따라 기관지경, 위경, 복강경, 대장내시경 등으로 구분된다. 최근 서구적인 생활 습관과 식생활 변화 등의 사회적인 변화가 진행되면서 대장 질환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장내시경 검사 장비 및 수술이 발달되면서 이전에 비해 대장내시경 검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록 대장내시경 검사가 이전에 비해서는 쉬워졌다고 하나, 현재도 누구나 쉽게 시술할 수 있는 보편적인 검사는 아니다. 몸 속으로 직접 카메라를 삽입하므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빠른 시간 내에 검사를 하면서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An endoscope is a medical device for examining the inside of the body for medical purposes, and is a surgical device that inserts a camera directly into the body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body's organs. Endoscopy is divided into bronchoscopy, gastroscopy, laparoscopy, and colonoscopy according to the site to be examined. Recently, as social changes such as Western lifestyle and dietary changes are progressing, colon diseases are increasing. Accordingly, with the development of colonoscopy equipment and surgery, the quantity of colonoscopy has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However, although colonoscopy has become easier than before, it is not a universal test that anyone can easily operate today. Since the camera is directly inserted into the body, advanced technology is required to provid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while not causing pain to the patient and allowing for a quick examination.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은 내시경을 이용하여 위암은 물론 식도암과 대장암까지 치료하는 기술로서, 내시경 끝에 달린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해 점막에 붙어 있는 암 덩어리 등의 종양을 절개한 뒤 얇게 박리하여 분리하는 수술 방법이다. 시술자는 내시경을 통해 확인된 병변조직이 절제가 필요한 병변인지 그렇지 않은 병변인지를 구별하여야 하며, 병변조직 절제술을 시행함에 있어 병변의 위치, 크기, 모양 및 개수 등 발견된 폴립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병변조직 절제술 시술시, 필요한 처치구로는 약액 주입용 니들, ESD 나이프, 스네어, 마커, 생검 기구, 지혈 클립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점막하 박리술은 병변 조직의 주변으로 진입하여, 마킹, 절개, 박리, 지혈, 워싱 등 다양한 처치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나이프는 이와 같은 처치를 한 번의 삽입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처치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is a technology that uses an endoscope to treat stomach cancer, esophageal cancer, and colorectal cancer. A high-frequency knife attached to the end of the endoscope is used to incise a tumor, such as a cancerous mass attached to the mucous membrane, and then thinly peel and separate it. way. The operator must distinguish whether the lesion tissue identified through the endoscopy is a lesion that requires resection or a lesion that does not, and an appropriate meth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yp, such as the location, size, shape, and number of the lesion, when performing lesion tissue resection. must be selected. In the case of lesion tissue resection, a needle for drug injection, an ESD knife, a snare, a marker, a biopsy device, a hemostatic clip, etc. may be used as necessary treatment tools. In particular, since submucosal dissection can enter into the periphery of the lesion tissue and perform various treatments such as marking, incision, dissection, hemostasis, and washing, a high-frequency knife must be designed so that such treatment can be performed at a single inser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dical discharge device that can selectively use various treatment tools as needed.
이와 관련, 본 출원인은 ESD 나이프와 니들의 처치구를 병용시킨 고주파 나이프를 개발 및 출원하여 등록(한국등록특허 제 1830085호, 이하 ‘선행특허’로 약칭함)받은 바 있다. 선행특허는 기어 또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2개의 처치구를 교대로 토출시키는 메커니즘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메커니즘의 특성상 어느 한 처치구의 조작 시 반드시 다른 처치구가 반대로 구동되어 각 처치구 별 구동 범위의 설계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nd applied for a high-frequency knife using a combination of an ESD knife and a needle treatment tool and has been registered (Korean Patent No. 1830085, hereinafter abbreviated as 'prior patent'). The prior patent discloses a mechanism for alternately discharging two treatment instruments using a gear or a wire. However, the prior pate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driving range for each treatment instrument because the other treatment instrument is alway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one treatment instrument is operated due to the nature of the mechanism.
구동 범위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의료용 처치구 중 스네어는 60~64mm의 구동범 위가 필요하고, 나이프와 니들은 14~17mm의 구동 범위가 필요하다. 상기의 경우와 같이 처치구의 특성상 구동 범위가 현저히 상이한 2개 이상의 처치구를 병용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 처치구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 및 안전장치가 존재하도록 설계됨이 유리하다.To explain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driving range, the snare among medical instruments requires a driving range of 60 to 64 mm, and the knife and needle require a driving range of 14 to 17 mm. As in the above case, in order to use two or more treatment instrument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driving rang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eatment instruments, it is advantageous to design such that an independent operation section and safety device of any one treatment instrument exist.
이에, 본 출원인은 구동 범위가 상이한 2개의 처치구가 하나의 핸드피스 상에 구비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 기구의 조작 메커니즘을 고안하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ised a mechanism for operating a medical dispensing device in which two treatment instruments having different driving ranges can be provided on one handpiece.
본 발명은 용종 등의 병변 조직 절제시 함께 사용되어야 하는 2개의 처치구가 하나의 핸드피스 상에 마련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discharge device in which two treatment tools to be used together when excising lesion tissue such as a polyp can be provided on one handpiece.
본 발명은 한 번의 삽입만으로 처치구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 2개의 처치구를 조작할 수 있으며, 조작 모듈을 조작하여 2개의 처치구 중 일부를 고정시킴으로써 부주의한 조작으로 구동시키려는 처치구 이외의 다른 처치구가 의도치 않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wo treatment instruments with no limitation on the type of treatment tools only by one insertion, and by manipulating a manipulation module to fix some of the two treatment instruments, other treatments other than those intended to be driven by careless manipul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n unintentional discharge of a sphere and to provide a medical dispensing device capable of independently manipulating a treatment device.
또한, 본 발명은 한 손만으로 손잡이를 조작할 수 있는 의료용 토출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cal discharge device capable of operating the handle with only one han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의 처치구 병용이 가능한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있어서,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1 처치구;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2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조작 모듈; 및 상기 조작 모듈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al discharge device capable of using two treatment instruments together, comprising: a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 first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in the tub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handle; a second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in the tub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handle below; an operation module for controlling any one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and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n a non-driven state; and a handle for driving a treatment instrument that is not in a non-driven state by the manipulation module and independently manipulating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or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바람직하게,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조작하는 고정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anipulation module comprises: a fixing pin for fixing any one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and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to maintain it in a non-driven state; and a fixing pin button for operating the fixing pin, wherein the fixing pin may be indirectly operated by the fixing pin button.
바람직하게, 상기 튜브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처치구가 상기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ube may form a plurality of lume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nd the plurality of treatment instruments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 the lumen.
바람직하게, 상기 루멘은,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구비된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lumen may be formed up and down in the tube, and the fixing pin moves up and down to hold either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or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up and down in the tube. It can be driven independently by fixing it.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1 구동범위, 상기 제2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2 구동범위 일 때, 상기 제1 구동범위가 상기 제2 구동범위 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동범위 상에 상기 제2 구동범위가 포함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manipulation section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is a first driving range and the manipulation section of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s a second driving range, the first driving rang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riving range, and the first driving range The second driving range may be included.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부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손잡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andle portion, a fixed handle; and an operation handle that moves relatively from the fixed handle and pushes or pulls the plurality of treatment instruments.
시술자는 용종 발견시 용종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점막하박리술(ESD) 또는 점막하절제술(EMR)을 수행하게 되는데, 점막하박리술은 ESD 고주파 나이프를 이용하며, 점막하절제술은 고주파 스네어가 주로 이용된다. When a polyp is discovered, the operator performs submucosal dissection (ESD) or submucosal resection (EMR)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the polyp.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용 토출 기구는 2종의 처치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2종의 처치구는 각각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확보하여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료용 토출 기구의 사용시 시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시술 과정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discharge device may include two types of treatment instruments, and the two types of treatment instruments may be individually driven by securing independent operation sections. Therefore, when the medical dischar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treatment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treatment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by minimizing the side effects from the procedure.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모듈의 조작을 통해 처치구 중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작 모듈의 고정핀에 의해 조작하고자 하는 처치구 이외의 처치구는 비구동 상태가 되므로, 조작하고자 하는 처치구의 구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각 처치구를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of any one of the treatment instruments through manipulation of the manipulation module. That is, since the treatment instrument other than the treatment instrument to be manipulated is in a non-driven state by the fixing pin of the manipulation module, the driving of the treatment instrument to be manipulated is not affected. Therefore, each treatment device can be operated safely and independ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핀은 처치구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여 처치구를 제어하며, 의료용 토출 기구 내부에 위치한 고정핀은 의료용 토출 기구 외부에 구비된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동시키고자 하는 처치구의 위치에 따라 고정핀이 이동될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조작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in mov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eatment device to control the treatment tool, and the fixing pin located inside the medical discharge device is indirectly operated by a fixing pin button provided outside the medical discharge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and operate the position to which the fixing pin is to be mov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eatment instrument to be driven.
또한, 고정핀은 조작 손잡이 근처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조작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하려는 처치구에 따라 고정핀을 이동시킨 뒤 처치구를 조작하므로 물리적으로 인지할 수 있어 의도치 않은 처치구의 구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술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pin is located near the operation handle, the user can operate it with one hand. Therefore, the user can physically recognize the treatment tool by moving the fixing pin according to the treatment instrument to be manipulated and then manipulate the treatment instrument, thereby preventing unintended operation of the treatment instrument and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treatment.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손잡이를 한 손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조작 손잡이의 길이 조절만으로 구동 범위가 현저히 상이한 처치구(예를 들어, 스네어(구동 범위 60~64mm) 또는 니들(구동 범위 14~17mm))를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handle can be driven with one hand, and only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operation handle, the driving rang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treatment instrument (eg, a snare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에 서로 다른 2종의 처치구로서, 제1 처치구가 스네어, 제2 처치구가 니들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조작되는 모습과 조작 모듈의 위치에 따른 손잡이부 및 처치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올라갔을 때 제1 처치구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이 내려갔을 때 제2 처치구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1 shows a medica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tw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instruments in the medical dischar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is a snare and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s composed of a needle.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module is operated and the operation of the handle portion and th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is driven when the manipul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aised.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s driven when the manipulation module is lowe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provided in the respective drawings indica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naturally understood or made clearer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용 토출 기구(1)는 2개의 처치구를 병용할 수 있고, 의료용 토출 기구(1)는 본체(90),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 나이프 고리(40), 손잡이부(50), 제1 실린더(60), 제2 실린더(61), 구동부전원 연결부(70), 튜브(80) 및 조작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1 shows a
본체(9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카테터 본체(90)를 의미한다. 본체(90)는 후단부에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부(50)가 구성된다. 본체(90)는 근위부(proximal)에 고주파 인가를 위한 전원 연결부(70)가 형성된다. 본체(90)의 전단에는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8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는 튜브(80)내에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를 수용할 수 있다.The
제1 처치구(10)는 손잡이부(50)와 함께 진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제1 처치구(10), 제2 처치구(30)의 용어는 내시경, 절개 등의 의료 시술시 사용되는 기구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로, 처치구는 스네어, 니들, 커팅 나이프, 마커, 내시경, 생검 기구, 지혈 클립 등이 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로,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한 처치구는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인가된 고주파로 절제하는 스네어이고, 나머지 처치구는 니들, 나이프, 마커, 내시경, 생검 기구, 지혈 클립으로 구성된 군에서 서로 다르게 선택된 처치구일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either the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1 처치구(10)가 스네어, 제2 처치구(30)가 니들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1 처치구(10)인 스네어는 고주파 전력을 인가받으며, 튜브(80)로부터 토출되어 올가미를 형성하고,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하여 튜브(80)로 인입됨에 따라 병변조직을 제거하는 처치구이다. 스네어는 충분한 올가미의 직경을 형성하기 위하여 튜브(80)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조작범위가 큰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스네어는 손잡이부(5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으로 약 60~64mm의 진퇴 거리가 조작될 수 있어야 한다. 1 to 5 exemplified the case where the
반면, 제2 처치구(30)인 니들은 워싱이나 병변 조직에 침투하여 약액을 주입하는 처치구이다. 니들은 튜브(80)로부터 너무 많이 노출되면 의도치 않게 병변 조직에 깊이 침습되거나 불필요한 상처를 야기할 수 있어 첨예한 단부만 노출될 수 있도록 작은 조작범위를 갖는 특성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니들은 손잡이부(5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으로 약 14~17mm의 진퇴 거리가 조작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needle, which is the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는 손잡이부(50)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에서 어느 한 처치구가 고정핀(105)에 의해 락킹(locking)되어 다른 처치구만 진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하는 독립적인 조작 구간이란,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50)의 슬라이딩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독립적인 조작 구간은 2개의 처치구 중 구동 범위가 크게 요구되는 처치구에 연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통해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큰 구동 범위가 요구되는 제1 처치구(10)가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고, 제2 처치구(30)는 제1 처치구(10)의 구동 범위 이내에서 독립적인 구동 범위를 갖는다. In the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는 메커니즘의 구현을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1)는 다른 처치구를 고정하는 조작 모듈(100) 구성을 포함하며, 조작 모듈(100)의 고정핀(105)의 위치에 따른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의 구동을 도 4 및 도 5에서 후술한다.In order to implement a mechanism having an independent operation section, the
나이프 고리(40)는 튜브(80)의 선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나이프 고리(40)는 제1 처치구(10)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나이프 고리(40)는 튜브(80)의 내경과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어 제1 처치구(10)와 결합함으로써 제1 처치구(10)의 진퇴시 상하 또는 좌우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나이프 고리(40)는 스네어 와이어의 경로를 유지시킬 수 있다.The
손잡이부(50)는 독립적인 조작 구간을 갖는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조작할 수 있다. 종래의 선행문헌으로, ESD 나이프와 니들을 병용시킨 다양한 토출 기구가 제안되었는데, 종래의 선행문헌은 일반적으로 복수개의 처치구를 각각 조작하도록 복수개의 조작수단(손잡이)을 구성하였다. 즉, ESD 나이프를 진퇴 조작하는 제1 손잡이와, 니들을 진퇴 조작하는 제2 손잡이를 병렬적으로 구성하여 복수개 처치구의 독립적인 조작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내시경을 보면서 한 손만으로 토출 기구를 조작하는 의료 시술자 입장에서, 처치구 마다 조작하는 손잡이가 별도로 구성된 것은 정밀한 시술 작업을 더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The
이에, 본 실시예는 손잡이부(50)가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모두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하나의 처치구를 조작하는 조작 환경과 동일하게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50)는 1번의 슬라이딩 구동만으로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선택적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손잡이부(50)는 고정 손잡이(501)와 조작 손잡이(503)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고정 손잡이 및 조작 손잡이로 손잡이의 용어를 분류하였으나, 고정 손잡이(501)와 조작 손잡이(503)는 모두 한 손으로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낸다. The
고정 손잡이(501)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수용하며, 조작 손잡이(503)는 사용자의 엄지를 제외한 다른 손가락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 손잡이(501)는 조작 손잡이(503)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 손잡이(501)는 본체(90)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부(50)의 구성 중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The fixing
조작 손잡이(503)는 고정 손잡이(501)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조작 손잡이(503)는 제1 처치구(10)인지 제2 처치구(30)인지에 따라 구동할 수 있는 범위가 달라지며, 사용자는 조작 손잡이(503)를 조작하여 처치구를 토출시켜 시술할 수 있다.The operation handle 503 is relatively moved from the fixed
제1 실린더(60)는 본체(90) 내에 구비되며, 손잡이부(50) 및 제2 처치구(30)를 연결하는 연장된 영역을 지칭하며, 제1 실린더(60)는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 구동시 함께 구동되어 제2 처치구(3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제2 처치구(30)는 손잡이부(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은 아니나, 손잡이부(50)의 조작으로 제1 실린더(60)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제1 실린더(60)는 제2 처치구(3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장 연결되며, 조작 모듈(100)이 위치한 영역에서 일부가 비어있다. 이는 조작 모듈(10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이는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후술한다. The
제2 실린더(61)는 본체(90) 내에 구비되며, 손잡이부(50)와 제1 처치구(10)를 연결하는 연장된 영역을 지칭한다. 제2 실린더(61)는 제1 실린더(60)와 유사한 원리로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 구동시 함께 구동되어 제1 처치구(10)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즉, 제1 처치구(10)는 손잡이부(50)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구성은 아니나, 손잡이부(50)의 조작으로 제2 실린더(61)를 통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The
전원 연결부(70)는 제1 처치구(10)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부(70)에는 제1 처치구(10)의 타단이 고정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연결부(70)는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주목한다. 종래의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는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 잭이 시술자가 조작하게 되는 손잡이와 근접한 영역에 고정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는, 시술 현장에서 의료 종사자가 전원 잭을 고주파 나이프에 연결했을 때, 전원 케이블이 손잡이의 작동 반경에 방해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종래와 같이 핸드피스 의료용 토출 기구에 잭이 결합되는 전원 연결부가 고정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전원 케이블이 섬세한 고주파 나이프의 조작에 방해가 되거나, 무게중심을 일그러뜨려 시술을 어렵게 하였다. 실시예에 따른 전원 연결부(70)는 상기의 사항을 고려하여 손잡이부(50)와 이격된 거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전원 연결부(7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조작상 불편함이 야기되지 않도록 한다.The
튜브(80)는 본체(90)의 선단에서 시작되어 체내로 삽입되는 영역을 정의한다.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가 관입될 수 있다.The
조작 모듈(100)은 고정축(101), 고정핀 버튼(103) 및 고정핀(10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조작 모듈(100)의 고정핀(105)은 제1 처치구(10) 내지 제3 처치구(11) 중 일부를 고정시켜 락킹함으로써 락킹되지 않은 처치구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핀(105)은 제1 처치구(10) 또는 제2 처치구(30)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을 조작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고정핀(105)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The
이하 도 3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조작 모듈(10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작 모듈(100) 중 직접적으로 처치구를 제어하는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기준으로 하여 고정축(101)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고정핀(105)은 본체(90) 내부에 위치하여 직접적인 조작 대신 본체(90)의 외부에 구비된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간접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에 의해 고정핀(105)이 이동하여 해당 위치의 처치구 중 일부가 고정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FIG.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토출 기구에 서로 다른 2종의 처치구로서, 제1 처치구(10)가 스네어, 제2 처치구(30)가 니들로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다. FIG. 2 shows two different types of treatment tools in the medical discharg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보다 상세하게 도 2a는 튜브(80) 내에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가 인입되어 있는 정면 모습이다. 튜브(80)는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는 각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튜브(80)는 상하로 구분된 제1 루멘(801) 및 제2 루멘(803)을 형성한다. 튜브(80) 내부의 위에 구비된 제1 루멘(801)에는 제2 처치구(30)가 구비되며, 아래에 구비된 제1 루멘(801)에는 제1 처치구(10)가 구비된다. 도 2a와 같이 튜브(80)의 내부에 2개의 처치구가 구분되어 구비됨으로써, 특정 처치구는 다른 처치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In more detail, FIG. 2A is a front view of the
특히, 제1 처치구(10)가 제2 루멘(803)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음을 주목한다. 나이프 고리(40)는 제1 처치구(10)의 말단에서 제1 처치구(10)와 직접적으로 결합한다. 스네어인 제1 처치구(10)는 제2 루멘(803) 내부에서 스네어를 구성하는 탄성있는 두 개의 와이어가 제2 루멘(803)의 가로 길이 범위로 수축되어 긴장을 유지한다. 그러므로, 제1 처치구(10)는 가로 방향으로는 와이어의 탄력에 의해 흔들림 없이 안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t is noted that the
반면, 제1 처치구(10)는 와이어와 수직을 이루는 세로 방향으로는 튜브(80)와 유격된 공간을 형성하므로 튜브(80) 내부에서 진퇴 이동 시에 상하로 흔들릴 위험이 있다. 그러나, 제1 처치구(10)는 제2 루멘(803)의 세로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된 나이프 고리(40)와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처치구(10)는 나이프 고리(40)를 통해 제2 루멘(803) 내부에서의 상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고, 와이어를 통해 제2 루멘(803) 내부에서의 좌우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도 2b는 제1 처치구(10)가 튜브(80) 내부에 구비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c는 제1 처치구(10)가 튜브(80) 외부로 토출된 모습이다.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제1 처치구(10)는 올가미를 형성하여 돌출된 병변 조직을 포획 및 절제할 수 있는 스네어이다. 스네어는 2개의 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가 튜브(80) 내에 관입된 상태에서는 튜브(80)의 내경 범위만큼 확장이 제한된다. 그러나, 스네어가 병변 조직을 포획하기 위해 튜브(80) 밖으로 토출되는 경우, 2개의 와이어는 튜브(80) 외부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며 원형의 올가미를 형성한다.The
도 2b 및 도 2c를 참고하면, 제1 처치구(10)의 선단부는 나이프 고리(40)와 결합될 수 있다. 나이프 고리(40)는 중앙부가 관통되고 외면이 각진 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는 나이프 고리(40)는 육각 너트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처치구(10)는 나이프 고리(4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2B and 2C , the tip of the
한편, 스네어 와이어의 선단부는 나이프 고리(40)의 중앙부를 관통한 후 일부가 꺾이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의 선단부는 꺾인 형태로서, 와이어의 선단부는 튜브(80) 외부에로 토출되어도 원형의 올가미를 형성하는 와이어의 중단부 및 후단부처럼 원형으로 변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나이프 고리(40)는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지 않고, 튜브(80) 내경의 중심점과 동일선상에서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ip of the snare wire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is bent after passing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도 2b를 참고하면, 나이프 고리(40)는 외면 중 두 개의 면이 대칭하고, 대칭하는 두 면 사이의 거리가 제2 루멘(803)의 세로 길이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처치구(10)는 나이프 고리(40)의 대칭하는 두 면과 와이어의 긴장에 의해 튜브(80) 내부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진퇴 구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B , two surfaces of the
니들은 병변 조직의 점막하에 침습하여 조직을 팽윤시키기 위한 액체를 병변 조직에 주입함으로써 조직을 팽윤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needle penetrates into the mucous membrane of the lesion tissue and injects a liquid for swelling the tissue into the lesion tissue to swell the tissu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조작되는 모습과 조작 모듈(100)의 위치에 따른 손잡이부(500 및 처치구의 구동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체(90) 내부는 2개의 루멘으로 구분되며, 상부인 제1 루멘(801)에는 제2 처치구(30)가 구비되고, 하부인 제2 루멘(803)에는 제1 처치구(10)가 구비된다.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기준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며, 고정핀(105)의 위치에 따라 일부 처치구가 락킹되어 처치구들은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다. 고정핀(105) 및 고정축(101)은 튜브(90) 내부에서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핀(105)은 고정축(101)을 중심으로 하여, 고정축(101)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고정핀(105)은 원기둥 또는 각기둥의 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고정핀(105)의 양 말단의 가로 길이(지름)은 기둥 부분의 가로 길이(지름)보다 길어 工와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고정핀(105)의 형상적 특징 문에 고정핀(105)의 상하 이동시 말단이 고정축(101)에 걸려 고정핀(105)의 이동범위가 한정될 수 있다.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고정핀(105)은 고정핀 버튼(103)을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는 본체(90)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핀(105)을 직접 조작하는 대신 본체(90) 외부에 위치하는 고정핀 버튼(103)을 조작함으로써 고정핀(105)을 조작할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의 말단 일면과 닿아 고정핀(105)을 밀거나 누름으로써 고정핀(105)을 이동시킬 수 있다. 고정핀 버튼(103)은 고정핀(105)을 조작할 때에는 고정핀(105)과 동일한 수직 선상에 위치하고, 조작 손잡이(503)의 선단에서 조작 손잡이(503)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The fixing
도 3a는 고정핀(105) 및 고정핀 버튼(103)이 올라갔을 때의 모습이며, 도 3b는 고정핀(105)이 올라갔을 때 조작 손잡이(503)에 의해 구동되는 모습이다. Figure 3a is a state when the fixing
도 3a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고정핀 버튼(103)을 위로 올리는 경우,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2 실린더(61)에 결합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고정핀(105)의 하단면과 닿고, 고정핀(105)의 하단면을 고정축(101)까지 위로 밀어 올린다. 고정핀 버튼(103)이 제2 실린더(61)에 삽입되어 본체(90) 내부는 제1 처치구(1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결된다. 반면, 고정핀(105)의 위쪽, 즉 제1 실린더(60)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일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A , when the user raises the fixing
도 3b는 고정핀(105)이 위쪽으로 이동된 모습으로서, 고정핀(105)은 제1 실린더(60)의 일부에 삽입되어 제1 실린더(60) 및 제2 처치구(30)의 구동 제어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상단부는 상승되어 본체(90)를 벗어나므로 제1 실린더(60)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제1 실린더(60)의 일부가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동력을 가하는 조작 손잡이(503)로부터 제1 실린더(60)로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1 실린더(60)와 연결된 제2 처치구(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반면, 제2 실린더(61)는 빈 부분에 고정핀 버튼(103)이 결합되고, 구동을 제어하는 고정핀(105)도 없으므로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시 함께 구동될 수 있다.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3c는 고정핀(105) 및 고정핀 버튼(103)이 내려갔을 때의 모습이며, 도 3d는 고정핀(105)이 내려갔을 때 조작 손잡이(503)에 의해 구동되는 모습이다. 도 3c 및 도 3d는 전술한 도 3a 및 도 3b와는 반대되는 조작으로서 동일한 원리로 이해될 수 있다. Figure 3c is a state when the fixing
사용자가 고정핀 버튼(103)을 아래로 내리는 경우, 고정핀 버튼(103)의 상단부는 고정핀(105)의 상단면을 고정축(101)까지 내리고, 제1 실린더(60)에 결합한다. 고정핀 버튼(103)의 삽입으로, 본체(90) 내부는 제2 처치구(30)에서부터 조작 손잡이(503)까지 연결되나, 고정핀(105)의 아래쪽, 즉 제2 실린더(61)는 일부가 비어있을 수 있다. When the user lowers the fixing
도 3d는 고정핀(105)이 아래쪽으로 이동된 모습으로서, 고정핀(105)은 제2 실린더(61)의 일부에 삽입되어 제2 실린더(61) 및 제1 처치구(10)의 구동 제어한다. 또한, 고정핀 버튼(103)의 하단부는 하강하여 본체(90)를 벗어나므로 제2 실린더(61)는 고정핀 버튼(103)과 결합되지 않아 제2 실린더(61)의 일부가 비어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처치구(10)는 구동되지 않고, 제2 처치구(30)는 조작 손잡이(503)의 진퇴시 제1 실린더(60)와 함께 구동될 수 있다.3D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올라갔을 때 제1 처치구(10)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 또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처치구(10)와 제2 처치구(30)는 제1 및 제2 루멘(801,803)에 구분되어 구비된다.4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모듈(100) 즉, 고정핀(105)이 올라간 상태이므로 제1 실린더(60) 및 제2 처치구(30)는 락킹되고, 고정핀 버튼(103)은 제2 실린더(61)와 결합된다. 고정핀(105) 조작 후, 도 4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부(50), 보다 바람직하게 조작 손잡이(503)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부(50)의 고정 손잡이(501)를 엄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조작 손잡이(503)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압력을 가하여 제1 처치구(10)를 진퇴시켜 튜브(80) 밖으로 토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 손잡이(503)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제1 처치구(10)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인 D1 범위에서 제1 처치구(10)를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제2 처치구(30)는 고정핀(105)에 락킹되므로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503)를 본체(90)의 선단 방향으로 전진시킬 때 제2 처치구(30)는 구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처치구(10)는 스네어이므로 D1은 60~64mm에서 구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4 ,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작 모듈(100)이 내려갔을 때 제2 처치구(30)가 구동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마찬가지로 구조이고, 도 5는 조작 모듈(100) 즉, 고정핀(105)이 아래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제2 루멘(803)에 구비된 제1 처치구(10)가 락킹된 상태이다.5 shows a state in which the
사용자는 도 5의 상단과 같이 고정핀(105)을 아래로 내리고, 도 5의 하단과 같이 손잡이부(50)를 조작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손잡이(501)를 엄지 손가락으로 파지하고, 조작 손잡이(503)에 엄지를 제외한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압력을 가하면, 제2 처치구(30)를 진퇴시켜 튜브(80) 밖으로 토출되나, 락킹된 제1 처치구(10)는 구동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조작 손잡이(503)를 물리적으로 조작하여 제2 처치구(30)의 독립적인 조작 구간인 D2 범위에서 제2 처치구(30)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처치구(30)는 니들이므로 D2는 14~17mm 범위에서 구동될 수 있다. The user lowers the fixing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의료용 토출 기구
10: 제1 처치구
30: 제2 처치구
40 : 나이프 고리
50: 손잡이부
501: 고정 손잡이
503: 조작 손잡이
60: 제1 실린더
61: 제2 실린더
70: 전원 연결부
80: 튜브
801: 제1 루멘
803: 제2 루멘
90: 본체
100: 조작 모듈
101: 고정축
103: 고정핀 버튼
105: 고정핀1: Medical dispensing device
10: first treatment device
30: 2nd treatment device
40 : knife hook
50: handle part
501: fixed handle
503: operation knob
60: first cylinder
61: second cylinder
70: power connection
80: tube
801: first lumen
803: second lumen
90: body
100: operation module
101: fixed shaft
103: push pin button
105: fixing pin
Claims (6)
체내로 삽입되는 튜브;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1 처치구;
상기 튜브 내에 구비되며, 하기 손잡이부와 함께 진퇴되는 제2 처치구;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비구동 상태로 제어하는 조작 모듈; 및
상기 조작 모듈에 의해 비구동 상태가 아닌 처치구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In a medical dispensing device that can use two treatment instruments together,
a tube inserted into the body;
a first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in the tub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following handle;
a second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in the tube and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gether with the handle below;
an operation module for controlling any one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and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n a non-driven state; and
and a handle for driving a treatment instrument that is not in a non-driven state by the manipulation module and independently manipulating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or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상기 조작 모듈은,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비구동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핀; 및
상기 고정핀을 조작하는 고정핀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핀은 상기 고정핀 버튼에 의해 간접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ration module is
a fixing pin for fixing any one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and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to maintain it in a non-driven state; and
It includes a fixing pin button for operating the fixing pin,
The fixing pin is a medical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directly operated by the fixing pin button.
상기 튜브는,
내부에 길이 방향의 복수개의 루멘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처치구가 상기 루멘에 구분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ube is
forming a plurality of lume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Medical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treatment instruments are provided separately in the lumen.
상기 루멘은,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핀은,
상하 이동하여, 상기 튜브 내에서 상하로 구비된 상기 제1 처치구 또는 상기 제2 처치구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킴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lumen is
It can be formed up and down in the tube,
The fixing pin is
A medical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dependently driven by moving up and down and fixing any one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or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provided up and down in the tube.
상기 제1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1 구동범위, 상기 제2 처치구의 조작 구간이 제2 구동범위 일 때,
상기 제1 구동범위가 상기 제2 구동범위 보다 크고,
상기 제1 구동범위 상에 상기 제2 구동범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peration section of the first treatment instrument is a first driving range, and the manipulation section of the second treatment instrument is a second driving range,
The first driving range is greater than the second driving range,
Medical dispens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riving range is included in the first driving range.
상기 손잡이부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고정 손잡이로부터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복수개의 처치구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토출 기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portion,
fixed handle; and
and a manipulation handle for pushing or pulling the plurality of treatment instruments while moving relatively from the fixed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1708A KR20210115644A (en) | 2020-03-16 | 2020-03-16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KR1020230012060A KR102695755B1 (en) | 2020-03-16 | 2023-01-30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1708A KR20210115644A (en) | 2020-03-16 | 2020-03-16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2060A Division KR102695755B1 (en) | 2020-03-16 | 2023-01-30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5644A true KR20210115644A (en) | 2021-09-27 |
Family
ID=779256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1708A KR20210115644A (en) | 2020-03-16 | 2020-03-16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KR1020230012060A KR102695755B1 (en) | 2020-03-16 | 2023-01-30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12060A KR102695755B1 (en) | 2020-03-16 | 2023-01-30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210115644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085B1 (en) | 2017-08-21 | 2018-02-21 | 유펙스메드(주) | High frequency knif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multiple tip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55002B2 (en) * | 2003-10-06 | 2010-04-2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High frequency knife |
EP1766476B1 (en) * | 2004-05-25 | 2013-11-06 | United States Endoscopy Group, Inc. | Snare injection device |
KR101328473B1 (en) * | 2013-06-04 | 2013-11-13 | 정명준 | The apparatus of smart administer medicine in esd |
KR101764386B1 (en) * | 2017-03-29 | 2017-08-03 | 유펙스메드 주식회사 | High frequency knif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
-
2020
- 2020-03-16 KR KR1020200031708A patent/KR2021011564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23
- 2023-01-30 KR KR1020230012060A patent/KR10269575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085B1 (en) | 2017-08-21 | 2018-02-21 | 유펙스메드(주) | High frequency knif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multiple tip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95755B1 (en) | 2024-08-19 |
KR20230038148A (en) | 2023-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96843B2 (en) | Elongated medical material | |
US7507232B1 (en) | Flexible electrosurgical electrode with manipulator | |
US8277392B2 (en) | Biopsy collection device | |
US2017022419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eerable, rotatable, microendoscope with tool for cutting, coagulating, desiccating and fulgurating tissue | |
US8728121B2 (en) | Puncture needle and medical procedure using puncture needle that is performed via natural orifice | |
KR101830085B1 (en) | High frequency knif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multiple tips | |
JP2006512108A (en) | Integrate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and accessories | |
KR102336100B1 (en)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multiple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
KR20200049258A (en) | Injection snare for tissue lesions resection with multiple tips | |
US20160367311A1 (en) | Instrumentation with Embedded Imaging Systems | |
KR102614596B1 (en) | Multi-lumen medical dispensing device for combination of multiple treatment tools | |
US11963659B2 (en) | Endoscope including an elongate viewing instrument with a pre-biased distal portion | |
KR102695755B1 (en)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two kinds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
KR102161618B1 (en) | A medical discharging device with multiple tips | |
KR102212719B1 (en)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
KR20190020601A (en) | High frequency knife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ith multiple tips | |
KR102217577B1 (en) | Multifunctional connector and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having the same | |
JP7346624B2 (en) | Endoscope assembly having a surgical instrument and endoscope system having the same | |
KR20240147336A (en) |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for combining snare and injector | |
US20190175010A1 (en) | Multi-function cannulated surgical device and systems thereof | |
JP2023547601A (en) | Optically enhanced instrument with laser fluorescence capability | |
CN118302097A (en) | External sleeve providing additional working chan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