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3976A - 입구 배열을 갖는 음료 조제 기계 - Google Patents
입구 배열을 갖는 음료 조제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3976A KR20210113976A KR1020217015920A KR20217015920A KR20210113976A KR 20210113976 A KR20210113976 A KR 20210113976A KR 1020217015920 A KR1020217015920 A KR 1020217015920A KR 20217015920 A KR20217015920 A KR 20217015920A KR 20210113976 A KR20210113976 A KR 202101139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liquid
- peripheral
- inlet port
- inlet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0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5000016213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22 operating i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468 Thea s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36 we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IDXCONKKJTLDX-UHFFFAOYSA-N 3,5-dimethylcyclopentane-1,2-dione Chemical compound CC1CC(C)C(=O)C1=O MIDXCONKKJTL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9147 Ananas comos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19 Ananas comos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832 Ayo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6 Chamaemelum nobi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226 Corylus americ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43 Corylus ameri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466 Corylus avell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04 Cucurbita pepo subsp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55 Hal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54 Jasminum officinal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5385 Jasminum sambac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0225 Ma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30 Malus pumi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03 Malus silvest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2664 Matricaria chamomi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232 Matricaria chamom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651 Rubus glau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4 Rubus glau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122 Rubus idae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9461 Theobroma caca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70 Theobroma caca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717 Vaccinium macrocarp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545 Vaccinium macrocarp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118 Vaccinium oxycoc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99 Vanilla fragr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63375 Vanilla tahi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36 Vanilla tahi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697 autoimmune lymphoproliferative syndrome due to CTLA4 haploinsuffienc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9 black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41 brewed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6 caram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49 carbon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0 carbo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34 cran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554 flavour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2 herb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78 hot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22 lemona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66 liquid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33 oolong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483 powder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76 powde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36 pumpk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58 resili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34 white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47J31/0673—Means to perforate the cartridge for creating the beverage out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6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hereby the loading of the brewing chamber with the brewing material is performed by the user
- A47J31/3676—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Impermeable 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95—Cartridge perforating means for creating the hot water inl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flow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 형성 장치의 입구 배열이 제공되며, 여기서 입구 배열은 음료 카트리지로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입구 배열은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음료 형성 장치는 분배가 입구 포트의 선택 가능한 서브세트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배 작동을 구현하는 능력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피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액체를 사용하는 커피 브루어와 같은 음료 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물과 같은 액체를 사용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은 널리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361,527호는 음료 재료를 수용하는 음료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액체를 카트리지에 도입함으로써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을 개시한다. 카트리지에 제공된 액체는 카트리지로 전달되기 전에 탱크에서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음료 성분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브루 챔버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브루 챔버는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음료 성분과 결합하기 위해 액체가 액체 입구를 통해 카트리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음료 성분을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유지하도록 배치된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할 수 있고, 음료는 액체 출구를 통해 브루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다. 액체 입구는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갖는 입구 포트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는 액체가 입구 포트의 선택 가능한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되는 다양한 분배 작동을 구현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배 작동에서, 분배는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 발생하고,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로부터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2 분배 작동에서, 분배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 발생하고,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3 분배 작동에서, 모든 입구 포트로부터 분배가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선택적 분배는 각각의 입구 포트와 관련된 개별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시스템은 음료 성분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브루 챔버, 음료 성분과 결합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 입구 및 음료가 브루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한다. 액체 입구는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제어 회로는 다음의 세 가지 분배 작동 중 적어도 2개의 작동으로 액체 입구로부터의 분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a)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작동,
(b)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2 작동, 및
(c)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3 작동.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를 형성하는 방법은 음료 형성 장치의 챔버에 음료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 및 다음의 분배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액체를 챔버에 분배하여 액체를 음료 성분에 도입하여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복수의 포트의 중앙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분배 작동 - 복수의 포트는 중앙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포트를 포함함 -; 및
(b) 주변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 분배하는 제2 분배 작동.
일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시스템은 음료 성분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브루 챔버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브루 챔버는 컵형 리셉터클에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홀더 및 캡슐을 둘러싸도록 이동 가능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브루 챔버는 음료 성분과 결합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여 음료를 형성하는 액체 입구 및 음료가 브루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입구는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각각의 꼭지점에 위치 설정되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및 이등변 사다리꼴 내에 위치 설정되는 중앙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 포트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에 유지된 캡슐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브루 챔버의 뚜껑에 장착된 캡슐을 천공하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액체 공급부는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저장조, 액체를 이동시키는 펌프, 액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도관, 도관의 유동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컨디셔너는 액체 입구에 제공되는 액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액체 공급부의 작동 및 액체 상태를 제어하여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모든 입구 포트가 액체를 동시에 분배하고 및/또는 포트들 중 하나 이상이 액체를 전달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세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는 다음의 설명 및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유사한 번호가 유사한 요소를 가리키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고, 도면에서: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브루 챔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루 챔버 및 입구 포트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구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입구 구멍 방향이 표시된 도 8의 입구 배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입구 구멍 방향이 표시된 도 8에 도시된 입구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 및 개스킷 배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개스킷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3은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주변 입구 포트가 사다리꼴 배향으로 배치된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입구 배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개스킷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4의 입구 배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사다리꼴 윤곽을 갖는 다른 개스킷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음료 카트리지 판독기가 있는 브루 챔버를 갖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도 19는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도 20은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브루 챔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브루 챔버 및 입구 포트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며;
도 5는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의 구성요소의 개략도이고;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입구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측면도이며;
도 9는 입구 구멍 방향이 표시된 도 8의 입구 배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입구 구멍 방향이 표시된 도 8에 도시된 입구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 및 개스킷 배열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개스킷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3은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주변 입구 포트가 사다리꼴 배향으로 배치된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의 저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입구 배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개스킷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4의 입구 배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사다리꼴 윤곽을 갖는 다른 개스킷 배열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음료 카트리지 판독기가 있는 브루 챔버를 갖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며;
도 19는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예시적인 실시예이고;
도 20은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양태는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반드시 본 발명의 모든 양태를 보여주도록 의도되지 않고, 오히려 몇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관점에서 좁게 해석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는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양태와 임의의 적절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를 통합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음료 형성 장치(10)는 차, 커피, 다른 우려낸 차 유형의 음료, 액체 또는 분말 농축물로부터 형성된 음료, 수프, 주스, 소다 또는 건조된 재료로 제조된 기타 음료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음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2)가 장치(10)에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의 컵과 같은 용기에 담기는 음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2)는 음료 형성 장치(10)의 브루 챔버(1)에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브루 챔버는 카트리지 홀더(4)와 커버 또는 뚜껑(8)을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홀더(4)는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홀더(4)는 사용자가 핸들(3)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브루 챔버(1)를 개방할 때 브루 챔버(1)의 카트리지 홀더(4)의 개구(31)에서 카트리지(2)를 수용하도록 노출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핸들(3) 또는 다른 액추에이터의 움직임은 카트리지(2)의 수용을 위해 카트리지 홀더(4)를 노출시키도록 브루 챔버(1)의 커버(8)가 카트리지 홀더(4)에 대해 이동되게 할 수 있다(또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 홀더(4)가 이동되게 함으로써 커버(8) 및 카트리지 홀더(4)가 달리 서로에 대해 이동되게 할 수 있음).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10)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 미국 특허 제7,165,488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할 수 있다. 즉, 핸들(3)을 들어 올리면 브루 챔버 뚜껑이 상승되어 카트리지 홀더가 음료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전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물론, 브루 챔버(1)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모터 구동 메커니즘의 푸시 버튼 구동, 카트리지를 수용하도록 선형으로 외향 활주하는 드로어의 수동 개방 등에 의해 개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카트리지(2)가 브루 챔버(1)에 배치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는 브루 챔버(1)를 폐쇄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커버(8)가 카트리지 홀더(4)와 협력하도록 이동하여 카트리지(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서 물 또는 다른 전구체 액체 또는 물질이 입구 포트로부터 카트리지(2)로 전달되어 음료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루 챔버(1)에 카트리지(2)가 유지된 상태에서, 카트리지(2)는 각각 물 또는 다른 전구체 액체 또는 물질이 카트리지(2)에 들어가고 음료가 카트리지(2)를 빠져나가는 입구 및 출구 개구를 형성하도록 천공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8,361,527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에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물론, 본 발명의 양태는 드립형 커피 브루어, 탄산 음료 기계, 및 음료가 어떻게 형성되는 지에 관계없이 음료를 형성하도록 배치된 다른 것을 비롯하여 임의의 적절하게 배치된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는 탄산수, 음료 혼합물 등에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소스와 같은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음료 성분은 카트리지(2)에 수용될 필요가 없고, 오히려 느슨하거나 수용되지 않은 형태로 브루 챔버(1)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브루 챔버(1)는 물 또는 다른 액체가 입구를 통해 브루 챔버로 도입되고 음료 성분과 결합되어 필터를 통해 브루 챔버(1)의 출구로 유동하는 음료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음료 성분을 유지하기 위한 일회용 또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는 음료 형성 장치(10)의 다양한 부분을 둘러싸고 전원 버튼(91), 컵 센서(97)(예를 들어, 광센서) 및/또는 다른 임의적인 피처와 같은 여러 외부 피처를 지지하는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장치(10)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카트리지는 상이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카트리지 내의 음료 성분이 음료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방식의 특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이해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2)는 임의의 적절한 음료 매체 또는 성분, 예를 들어 분쇄된 커피, 찻잎, 건조 허브 차, 분말 음료 농축물, 건조 과일 추출물 또는 분말, 분말 또는 액체 농축 부용(bouillon) 또는 기타 수프, 분말 또는 액체 의약 재료(예를 들어, 분말 비타민, 약물 또는 기타 의약품, 영양제 등), 및/또는 기타 음료 제조 재료(예를 들어, 분말 우유 또는 기타 크리머, 감미료, 증점제, 향료 등)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트리지(2)는 필터에 의해 분리된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갖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는 측벽과 뚜껑으로 덮히는 상단 개구를 갖는 절두 원추형 컵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다른 배열도 가능하다. 또한, 일부 음료 봉지와 포드를 갖는 경우와 같이 용기가 반드시 규정된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카트리지(2)를 사용할 때, 뚜껑 및/또는 용기는 액체를 카트리지로 도입하고 카트리지로부터 음료를 수용하기 위해 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음료"는 액체가 음료 매체 또는 성분과 상호 작용할 때 형성되는 음용을 위한 액체 물질을 지칭한다. 따라서, 음료는 소비 준비가 된, 예를 들어, 컵에 분배되어 음용할 준비가 된 액체 뿐만 아니라 소비되기 전에 여과 또는 향료, 크리머, 감미료, 다른 음료 등의 추가와 같은 다른 프로세스 또는 처리를 받는 액체를 지칭한다.) 카트리지는 입구 배열에 의해 브루 챔버(1) 내에서 천공될 수 있거나 달리 카트리지로의 액세스를 위해 개방될 수 있어 물 또는 다른 액체가 카트리지(2)로 주입될 수 있다.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를 형성하도록 출구 포트에 의해 천공될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출구 개구가 달리 카트리지에 형성되어 음료가 카트리지를 빠져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 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다중 입구 포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입구 포트는 음료 성분을 유지하는 용기(예를 들어, 카트리지)를 천공하도록 구성된 바늘과 같은 천공 요소를 포함한다. 천공 요소는 천공 요소를 통한 유체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해 중공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음료 형성 장치는 분배가 입구 포트의 선택 가능한 서브세트를 통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배 작동을 구현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배 작동에서, 분배는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 발생하고,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로부터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2 분배 작동에서, 분배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 발생하고,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는 발생하지 않는다. 제3 분배 작동에서, 모든 입구 포트로부터 분배가 발생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선택적 분배는 각각의 입구 포트와 관련된 개별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입구 및 출구 포트 구성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료 형성 장치(10)의 커버(8)는 중앙 입구 포트(30) 및 주변 입구 포트(41, 42)를 포함할 수 있다. 브루 챔버는 또한 출구 포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8)는 개방 위치(점선으로 도시됨)와 폐쇄 위치(실선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커버 피봇(63)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30, 41, 42) 및 출구 포트(50)는 카트리지(2)를 천공하고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천공 요소(예를 들어, 바늘)를 포함하지만, 입구 포트 또는 출구 포트에 대한 천공 요소는 필요하지 않다. 대신에, 카트리지(2)는 미리 형성된 입구/출구 개구를 가질 수 있거나, 개구는 카트리지의 외부 또는 내부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로부터의 수압 및/또는 접촉 압력이 카트리지(2)의 외부에 인가되어 입구 개구를 형성할 수 있고, 카트리지 내부의 음료 압력은 카트리지에 출구 개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격막, 파열 가능한 밀봉부 또는 다른 구조가 압력에 응답하여 개방될 수 있다.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의 제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입구 포트 유로 - 입구 포트의 상류, 입구 포트 자체 내부, 또는 입구 포트의 출구 단부에 있는 전달 라인을 포함 - 에 위치 설정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입구 포트를 향해 물질을 펌핑하도록 펌프를 활성화함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다른 서브세트의 소스와 상이한 소스로부터 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료 형성 장치는 하나 초과의 전달 펌프, 예를 들어, 제1 소스로부터 제1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것 및 상이한 제2 소스로부터 제2 물질을 전달하기 위한 것을 가질 수 있다. 이 방식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입구 포트와 관련된 펌프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펌프 활성화 및 밸브 개방의 조합은 하나 이상의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를 달성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는 분배를 위해 함께 그룹화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총 5개의 입구 포트를 갖는 입구 배열은 제1 입구 포트로 구성된 제1 서브세트, 및 나머지 4개의 다른 입구 포트로 구성된 제2 서브세트를 갖는다. 음료 기계는 제2 서브세트와는 독립적으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며, 동시에 둘 모두로부터 분배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기계는 각각의 입구 포트로부터 개별적으로 그리고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입구 포트의 서브세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것은 형성된 음료의 다양한 특성의 조절성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특성의 예는 음료 진함, 음료 체적 및 탄산화 레벨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료 진함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은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풍미 추출을 증가시키고 더 진한 음료를 초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커피 추출을 증가시키고 더 진한 커피를 브루잉한다). 더 적은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풍미 추출을 감소시키고 더 연한 음료를 초래할 수 있다(예를 들어, 커피의 경우, 커피 추출을 감소시키고 더 연한 커피를 브루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음료 진함의 선택은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가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진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고, 더 연한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보다 더 많거나 상이한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체적과 관련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더 많은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음료 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더 적은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는 음료 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음료 체적의 선택은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가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큰 음료 체적을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고, 더 작은 음료 체적을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보다 더 많은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다른 서브세트의 것과 상이한 유형의 액체 또는 다른 물질을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의 하나의 서브세트는 탄산 액체를 분배할 수 있는 반면, 입구 포트의 다른 서브세트는 비탄산 액체를 분배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결과적인 음료에서 탄산화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전달되는 탄산 액체 및 비탄산 액체의 상대적인 양을 제어하도록 상이한 개수의 입구 포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탄산화 레벨의 선택은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가 사용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한 탄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고, 덜한 탄산 음료를 생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보다 탄산 액체를 전달하는 더 많거나 상이한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음료 유형은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와의 사용과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음료의 형성에 더 효과적일 수 있는 반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는 핫 초콜릿 또는 주스와 같은 가용성 성분으로부터 생성된 음료의 형성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 중 하나 이상은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와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우려내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더 잘 위치 설정될 수 있는 반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는 성분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더 잘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와 상이한 개수의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제1 및 제2 서브세트 사이에 입구 포트의 중첩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용성 음료의 카테고리 내에서, 상이한 유형의 음료가 입구 포트의 상이한 서브세트와 관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커피 음료의 형성에 더 효과적일 수 있는 반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는 차 음료의 형성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의 입구 포트 중 하나 이상은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와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고, 및/또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와 상이한 개수의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특성의 조합은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어느 서브세트가 사용되는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유형 및 진함은 함께 상이한 입구 포트 서브세트의 사용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한 커피 음료는 모든 입구 포트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는 반면, 진한 차는 더 적은 입구 포트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연한 차는 더욱 더 적은(또는 더 많은) 입구 포트의 사용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입구 포트의 하나의 서브세트는 액체를 분배할 수 있는 반면, 입구 포트의 다른 서브세트는 증기를 분배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브루 챔버로 전달되는 액체 및 증기의 상대적인 양을 제어하기 위해 상이한 개수의 입구 포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정 음료 설정 및/또는 특정 음료 유형은 사용될 입구 포트의 특정 서브세트와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더 많은 증기를 필요로 하는 음료를 형성할 때, 더 많은 증기 분배 입구 포트가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더 적은 증기를 필요로 하는 음료를 형성할 때, 더 적은 증기 분배 입구 포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서브세트는 입구 포트의 다른 서브세트의 것과 상이한 유량으로 액체를 분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입구 포트는 제1 유량으로 액체를 분배할 수 있고,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주변 입구 포트는 상이한 제2 유량으로 액체를 분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특정 유량 전달 프로파일은 카트리지 내의 성분 혼합을 돕고 및/또는 브루잉 진함과 같은 음료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초과의 분배 작동이 단일 브루 사이클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하나 초과의 분배 작동이 단일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갖는 입구 배열을 갖는 음료 형성 장치는 3개의 상이한 분배 작동, 즉 (a)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작동, (b)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2 작동, 및 (c)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3 작동으로 작동 가능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프로세스에서, 음료 형성 장치는 제1, 제2, 또는 제3 작동 중 하나만을 수행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프로세스에서 작동들의 임의의 조합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경우, 음료 형성 장치는 제1 작동을 수행한 다음, 제2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경우, 음료 형성 장치는 먼저 제1 작동을 수행한 다음, 제3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경우, 음료 형성 장치는 제2 작동을 수행한 다음, 제3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또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는 경우, 음료 형성 장치는 임의의 순서로 3 가지 작동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1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음료 형성 장치(10)가 다양한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양태가 오직 한 유형의 음료 형성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물 또는 다른 전구체 액체는 브루 챔버(1)에서 음료 성분과 혼합하도록 액체 공급부(1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15)는 히터 탱크(152)를 액체 분배 레벨(159)까지 충전한 다음 공기 펌프(154)를 통해 탱크(152)를 가압함으로써 브루 챔버(1)에 제공된 액체의 체적을 제어하여, 히터 탱크(152) 내의 액체가 전달 라인(156)으로부터 입구 포트(30, 41 및 42)로 그리고 브루 챔버(1)로 강제된다. 체크 밸브(157)가 전달 라인(156)에 제공되어 히터 탱크(152)로부터 브루 챔버(1)로의 유동을 허용하지만, 브루 챔버(1)로부터 히터 탱크(152)로의 유동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달 라인(156)은 2개의 별개의 개별 전달 라인, 즉 액체를 중앙 입구 포트(30)로 전달하는 중앙 전달 라인(70), 및 주변 입구 포트(41 및 42)로 액체를 전달하는 주변 전달 라인(80)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전달 라인은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는 그 자체의 지정 밸브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72)는 중앙 전달 라인(70)에 제공될 수 있고, 밸브(82)는 주변 전달 라인(80)에 제공될 수 있다. 밸브(72, 82)는 유체 연통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 상태에 있거나 유체 연통을 금지하기 위해 폐쇄 상태에 있도록 제어 회로(16)에 의해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밸브는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밸브는 동시에 서로 상이한 상태에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밸브와 제어 회로는 한 밸브의 상태를 변경해도 다른 밸브의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6)는 밸브(82)가 폐쇄되도록 제어하면서 밸브(72)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 회로(16)는 밸브(8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면서 밸브(72)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는 밸브(72, 82)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시간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는 또한 밸브(72, 82)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일 밸브(82)는 주변 입구 포트(41, 42)로부터의 분배를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는 그 자체의 지정 밸브를 가질 수 있어, 주변 입구 포트를 통한 전달은 중앙 입구 포트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 배열이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갖는 경우,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는 해당 입구 포트로부터의 액체 분배를 제어하기 위해 그 자체의 관련 밸브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배열은 총 5개의 밸브, 즉 중앙 입구 포트를 위한 밸브,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각각에 대한 밸브를 가질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입구 포트는 쌍을 이루거나 달리 상이한 서브세트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각각의 그룹은 지정 밸브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 배열이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갖는 경우, 2개의 입구 포트는 밸브를 공유할 수 있고, 다른 2개의 입구 포트는 상이한 제2 밸브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3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밸브를 공유할 수 있는 반면, 마지막 남은 입구 포트는 그 자체의 밸브를 가질 수 있다.
밸브는 개방 및 폐쇄하도록 제어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밸브일 수 있다. 적절한 밸브의 예는 솔레노이드 밸브, 공압 구동 밸브,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피스톤 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핀치 밸브, 셔틀 밸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밸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 분배의 제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 편향된다. 달리 말하면, 밸브에 가해지는 외력이 없는 경우,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 유지된다.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밸브에 외력을 가해야 한다. 외력이 중단되면, 밸브는 자동으로 폐쇄 위치로 복귀한다.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제어 회로는 힘의 인가를 명령하여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 분배의 제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밸브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개방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제어 회로는 밸브가 2개의 위치 사이에서 토글하게 한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로부터 발생하도록 분배를 제어할 때, 제어 회로는 입구 포트와 관련된 밸브를 개방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제어 회로는 밸브를 폐쇄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로부터의 분배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밸브는 부분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브루 챔버(1)로 전달되는 액체의 체적은 액체 전달 레벨(159)과 탱크의 상단 또는 상부 부분으로부터 탱크(152)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위치로 하향 연장되는 탱크(152)의 도관(156a) 하단에서 전달후 레벨(158) 사이의 탱크(152)의 체적과 동일하다. 단 하나의 액체 분배 레벨(159)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2개 이상의 액체 분배 레벨(159)이 사용되어 시스템이 브루 챔버(1)에 상이한 체적의 액체를 전달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달 라인(156)은, 예를 들어 히터 탱크(152)가 완전히 또는 실질적으로 비워지도록 히터 탱크(152)의 하단 부분과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15)는 소스(W)에 결합된 액체 펌프(151)를 통해 탱크(152)에 액체를 제공한다. 소스(W)는 임의의 적절한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저장 탱크 또는 저장조, 메인 급수 장치 또는 다른 소스로부터 액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탱크(152)에 제공되는 액체는 연중 시간, 음료 형성 장치(10)가 위치되는 공간의 온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온도가 크게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W)가 사용자에 의해 충전되는 저장조인 경우, 저장조의 액체 온도는 실온(예를 들어, 액체가 저장조에 장시간 동안 머무르는 경우)과 더 차가운 온도(예를 들어, 저장조에 수도꼭지로부터 분배된 물이 방금 충전된 경우)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탱크(152)에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액체 펌프(151)는 원하는 체적의 액체를 탱크(152)에 제공하도록 제어 회로(16)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탱크(152)가 비어 있거나 전달후 레벨(158)에 있는 경우, 액체 펌프(151)는 탱크(152)의 전도성 프로브 또는 다른 액체 레벨 센서가 액체가 분배 레벨(159)에 도달하는 시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회로(16)에 제공할 때까지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펌프(151)는 특정 체적의 액체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액체 펌프(151)는 피스톤 펌프, 다이아프램 펌프, 주사기 펌프 또는 각각의 펌프 스트로크 또는 다른 작동 동안 공지된 체적의 액체를 전달하는 다른 유형의 펌프일 수 있어, 제어 회로(16)는 액체 펌프(151)가 원하는 체적의 액체를 전달하도록 특정 사이클 횟수 또는 특정 시간을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시스템은 액체 펌프(151)로부터의 액체 유동을 검출함으로써 히터 탱크(152)로 전달되는 액체의 체적을 결정하는 유량계 또는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원하는 양의 액체가 전달되었을 때 액체 펌프(151)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탱크(152)의 액체와 접촉하고 탱크(152)의 각각의 분배 레벨(159)에 존재하는 액체를 나타내는 신호(예를 들어, 저항 변화)를 제공할 수 있는 전도성 프로브를 포함하는 액체 레벨 센서가 사용되지만, 액체 레벨 센서는 다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스위치를 활성화하기 위해 탱크(152)에서 액체 레벨과 함께 상승하는 부표가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액체 레벨 센서는 탱크 내의 하나 이상의 액체 레벨과 관련된 커패시턴스 변화를 검출할 수 있고, 액체 레벨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광학 방출기/센서 배열(예를 들어, LED 및 포토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레벨 변화를 검출하도록 플로팅 자석 및 홀 효과 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등등이다. 따라서, 액체 레벨 센서는 반드시 전도성 프로브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이, 액체 레벨 센서는 탱크 내의 상이한 레벨을 검출하도록 2개 이상의 상이한 유형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센서는 하나의 분배 레벨에서 액체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예를 들어, 탱크(152)의 완전한 충전은 압력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탱크(152)의 급격한 압력 상승과 일치할 수 있음), 전도성 프로브는 분배 레벨(159)과 같은 다른 분배 레벨의 액체를 검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탱크(152) 내의 액체는 온도 센서로부터의 입력 또는 다른 적절한 입력을 사용하여 제어 회로(16)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가열 요소(153)를 통해 가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브루잉 장치는 액체가 브루 챔버를 향해 이동할 때 액체를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인라인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액체의 가열은 필요하지 않으며, 대신에(또는 추가적으로) 장치(10)는 액체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기, 액체를 탄산화시키기 위한 탄산 제조기를 포함하거나, 달리 탱크(152) 내의 액체의 체적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액체를 컨디셔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루 챔버(1)에 공급되는 액체를 가열, 냉각, 탄산화하거나 또는 달리 컨디셔닝하는 액체 공급부(15)의 구성요소는 "액체 컨디셔너"라고 지칭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10)는 또한 히터 탱크(152)를 벤트하기 위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는 벤트(155)를 포함한다. 벤트(155)는 액추에이터(3) 및/또는 커버(8)에 연결되어, 액추에이터(3) 및/또는 커버(8)가 폐쇄 위치(브루 챔버(1)가 폐쇄됨)에 있을 때, 벤트(155)가 폐쇄된다. 그러나, 액추에이터(3) 및/또는 커버(8)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벤트(155)가 개방되어 히터 탱크(152)를 벤트한다. 벤트(155)는 유동을 위한 비교적 큰 단면적을 제공할 수 있고 또는 달리 개방될 때 비교적 큰 유량의 비교적 큰 체적의 유체가 벤트(155)를 통과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히터 탱크(152)의 압력을 대기 압력 및/또는 액체가 히터 탱크(152)로부터 브루 챔버(1)로 유동하지 않게 하는 압력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따라서, 벤트(155)가 공기 펌프(154)의 유량을 초과하는 유량으로 탱크(152)의 압력을 방출하고 벤트하기 때문에, 벤트(155)를 개방하면 공기 펌프(154)가 계속 작동하더라도 브루 챔버(1)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브루 챔버(1)는, 예를 들어 카트리지(2)에 수용되거나 수용되지 않은 분쇄된 커피, 차, 향료 첨가된 음료 혼합물, 또는 다른 음료 매체와 같은 임의의 음료 제조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브루 챔버(1)는, 예를 들어 음료 매체가 카트리지(2)에 수용된 경우 가열, 냉각 또는 달리 컨디셔닝된 물 또는 다른 액체를 위한 출구로서 단순히 기능할 수 있다. 탱크(152)로부터 브루 챔버(1)로의 액체 전달이 완료되고 나면, 공기 펌프(154)(또는 다른 공기 펌프)가 작동되어 적어도 어느 정도까지 브루 챔버(1)로부터 액체를 퍼지하기 위해 전달 라인(156)으로 공기를 강제할 수 있다.
액체 펌프(151), 공기 펌프(154) 및 장치(10)의 다른 구성요소의 작동은, 예를 들어 적절한 소프트웨어 또는 다른 작동 명령과 함께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 및/또는 다른 데이터 처리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메모리(소프트웨어 및/또는 다른 작동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 매체를 포함), 온도 및 액체 레벨 센서, 압력 센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 통신 버스 또는 다른 링크, 디스플레이, 스위치, 릴레이, 트라이액, 또는 원하는 입력/출력 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 회로(1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음료를 형성하기 전에, 음료 형성 장치(10)는 히터 탱크(152)를 분배 레벨(159)(또는 하나 초과가 사용되는 경우 분배 레벨 중 하나)까지 적절하게 충전하도록 작동한다. 이를 위해, 제어 회로(16)의 제어 하에 있는 액체 펌프(151)는 냉수 탱크, 배관 공급부 등일 수 있는 저장조(W)로부터 물을 흡인한다. 임의로, 물은 액체 펌프(151)의 입구로 들어가기 전에 여과될 수 있다. 액체 펌프(151)는 물을 공급 라인(11)으로 펌핑하여, 물이 체크 밸브(13) 및 압력 릴리프 밸브(7)를 통해 히터 탱크(152)로 유동하게 한다. 물이 히터 탱크(152)로 강제됨에 따라, 탱크(152)의 액체 레벨이 상승하고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히터 탱크(152)로부터 가스 라인(61)으로 강제된다. 벤트(155)가 개방되면,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3) 및/또는 커버(8)가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벤트 밸브(155)를 통해 히터 탱크(152)를 빠져나갈 수 있다.
액체는 히터 탱크(152)에 원하는 체적이 존재할 때까지 액체 펌프(151)에 의해 히터 탱크(152)로 전달되고, 예를 들어 탱크(152)의 액체 레벨이 전도성 프로브, 광학 센서, 압력 센서, 액체 펌프(151)의 타이밍된 작동, 공급 라인(11)의 유량계에 의해 검출된 체적 전달 등에 의해 검출된 분배 레벨(159)에 도달할 때 제어 회로(16)에 의해 결정된다. 액체 펌프(151)는 정지되고, 원한다면 히터 탱크(152) 내의 액체는 제어 회로(16)의 제어 하에 가열 요소(153)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 동안, 히터 탱크(152) 내의 액체 및/또는 가스는 체적이 팽창할 수 있고, 팽창 가스 및/또는 액체는 대략 대기 압력으로 히터 탱크(152) 내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가스 라인(61)으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달 라인(156)이 차단된 경우, 압력 릴리프 밸브(7)는 공급 라인(11) 및 히터 탱크(152)로부터 압력을 벤트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따뜻한 물보다는 비교적 차가운 물이 액체 공급부(15)로부터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히터 탱크(152) 내의 액체가 적절하게 가열된 경우, 원한다면 열전대, 서미스터 또는 제어 회로(16)에 연결된 다른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액체는 히터 탱크(152)로부터 브루 챔버(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 제어 회로(16)는 공기 펌프(154)를 턴온시켜, 공기를 가스 라인(61)으로 강제할 수 있다. 이는 히터 탱크(152)로의 공기 유동을 유발한다. 공급 라인(11)의 역류는 체크 밸브(13)에 의해 방지되고, 압력 릴리프 밸브(7)의 개방 압력(예를 들어, 약 15 psi)이 체크 밸브(157)의 개방 압력(예를 들어, 약 0.5 psi)보다 높은 정상 작동 하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7)는 액체가 체크 밸브(157)를 통해 브루 챔버(1)로 유동하도록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압력 릴리프 밸브(7)의 개방 압력이 체크 밸브(157)의 개방 압력보다 낮으면, 압력 릴리프 밸브(7)는 브루 챔버(1)로 액체를 전달하는 동안 개방될 수 있지만, 압력 릴리프 밸브(7)는 비교적 작은 체적의 액체가 압력 릴리프 밸브(7)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유동에 제한을 제공할 수 있다.
공기 펌프(154)의 작동은 히터 탱크(152)의 액체 레벨이 분배후 레벨(158)로 떨어지거나 적절한 체적의 액체가 달리 브루 챔버(1)로 전달될 때까지 제어 회로(16)에 의해 계속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히터 탱크(152)의 액체 레벨이 분배후 레벨(158)로 떨어지고 나면, 공기가 전달 라인(156)으로 강제되어, 액체의 전달 라인(156)을 퍼지하는 것을 도울 뿐만 아니라 브루 챔버(1)로부터의 음료를 퍼지하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152)의 압력 센서는 액체 레벨이 분배후 레벨(158)로 떨어지고 공기가 전달 라인(156)으로 강제되고 나면 탱크(152)의 압력 강하를 검출하여, 제어 회로(16)가, 예를 들어 전달 라인(156)을 퍼지하기 위한 적절한 지연 후에 공기 펌프(154)의 작동을 정지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히터 탱크(152)의 압력 강하는 감소된 하중, 따라서 공기 펌프(154)에서 감소된 현재 흡인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히터 탱크(152)의 압력이 과압 레벨로 상승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공기 펌프(154)가 작동하지만, 브루 챔버(1)의 액체 입구가 폐색되거나 달리 유동을 제한하는 동안, 압력 릴리프 밸브(7)가 히터 탱크(152)로부터의 압력을 완화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또는 아닐 수 있다). 제어 회로(16)는, 예를 들어 액체 공급부(15)의 압력 센서를 사용하여, 압력 릴리프 밸브(7)의 개방,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사용하여 그러한 상태를 검출하고, 공기 펌프(154)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제어 회로(16)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4)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정 조치를 취하고 및/또는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촉구할 수 있다. 히터 탱크(152)의 압력은 또한 액추에이터(3) 및/또는 커버(8)를 폐쇄 위치로부터 이동시킴으로써 벤트(155)가 개방되면 벤트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와 주변 입구 포트 모두는 탱크(152)와 같은 동일한 소스로부터 액체를 받는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는 제1 소스로부터 액체를 받을 수 있고, 주변 입구 포트는 제1 소스에서 떨어져 있고 별개인 제2 소스로부터 액체를 받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장치는 2개의 별개의 개별 탱크를 포함할 수 있는 데, 하나는 액체를 중앙 입구 포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액체를 주변 입구 포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전달 라인(70)은 탱크(200)를 중앙 입구 포트(30)에 연결하고, 주변 전달 라인(80)은 탱크(300)를 주변 입구 포트(41, 42)에 연결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력 포트로부터의 분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밸브가 각각의 전달 라인에 제공될 수 있다. 밸브(72)는 중앙 전달 라인(70)에 제공될 수 있고, 밸브(82)는 주변 전달 라인(80)에 제공될 수 있다. 입력 포트로부터의 분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각각의 밸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각의 탱크는 액체를 탱크로부터 그 관련 전달 라인으로 이동시키도록 설계된 펌프를 가질 수 있다. 펌프(210)는 탱크(200)로부터 액체를 펌핑하고, 펌프(310)는 탱크(300)로부터 액체를 펌핑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를 사용하는 대신에, 펌프의 제어는 입력 포트로부터의 분배를 달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입구 포트(30)로부터의 분배는 체적의 액체를 중앙 전달 라인(70)을 통해 중앙 입구 포트(30)로 전달하도록 펌프(21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주변 입구 포트(41, 42)로부터의 분배는 체적의 액체를 주변 전달 라인(80)을 통해 주변 입구 포트(41, 42)로 전달하도록 펌프(310)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및 펌프 모두는 입력 포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는 상이한 유량으로 그 관련 입구 포트로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210)는 탱크(200)로부터 액체를 펌핑하여 제1 유량으로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펌프(310)는 탱크(200)로부터 액체를 펌핑하여 제2 유량으로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로부터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유량은 제1 유량과 상이하다.
입구 배열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입구 배열(100)은 5개의 입구 포트, 즉 중앙 입구 포트(30) 및 중앙 입구 포트(30) 둘레에 배치된 4개의 주변 입구 포트(41, 42, 43, 44)를 포함한다. 주변 입구 포트(41, 42, 43, 44)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며, 각각의 입구 포트는 직사각형의 코너에 위치 설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형상은 정사각형을 포함한다. 중앙 입구 포트(30)는 직사각형/정사각형 형상의 중앙에 위치 설정된다. 이와 같이, 중앙 입구 포트와 주변 입구 포트는 다이의 5면에서 확인되는 배열과 유사하게 오점형(quincunx)을 형성한다.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는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등거리에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개수의 입구 포트 및 다른 입구 포트 레이아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로서,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은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주변 입구 포트는 각각의 입구 포트가 서로 균등하게 이격되고 및/또는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등거리에 있도록 균등하게 이격된 방식으로 중앙 입구 포트를 둘러쌀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입구 포트는 입구 포트 사이의 간격이 불균일하고 및/또는 중앙 입구 포트와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도록 불규칙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주변 입구 포트를 갖는 실시예에서, 주변 입구 포트는, 3개의 포트가 모두 일직선이 아니더라도, 중앙 입구 포트가 주변 입구 포트 측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중앙 입구 포트를 "둘러싸는" 것으로 고려된다.
주변 입구 포트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형상과 같은 상이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은 하나 초과의 중앙 입구 포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배열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에 의해 둘러싸인 2개 또는 3개의 중앙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는 모두 동일한 깊이로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입구 포트는 다른 입구 포트의 깊이와 상이한 깊이로 연장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는 주변 입구 포트보다 더 깊은 깊이로 연장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입구 포트는 카트리지를 천공하도록 구성된 천공 요소, 예를 들어 바늘을 포함한다. 그러나, 입구 포트는 반드시 바늘 또는 임의의 다른 천공 요소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는 뾰족한 원위 단부가 아니라 뭉툭한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는 평탄한 원형 원위 단부를 갖는 실린더, 또는 편탄형,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원위 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프리즘으로서 형상화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전달 라인은 중앙 입구 포트에 액체를 제공하고, 제2 전달 라인은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에 액체를 제공한다. 도 6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음료 형성 장치는 중앙 전달 라인(70) 및 주변 전달 라인(80)을 포함한다. 중앙 전달 라인(70)은 중앙 입구 포트(30)로 이어지는 경로(71)를 포함한다. 주변 전달 라인(80)은 주변 입구 포트(41, 42, 43 및 44)로 이어지는 경로(81)를 포함한다. 경로(81)의 원위 부분은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와 연결되는 곡선형 형상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전달 라인 경로(81)의 원위 부분(83)은 중앙 전달 라인 경로(71)의 원위 단부(7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주변 전달 라인 경로의 원위 부분은 곡선, c-형상, 또는 부분 직사각형(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은 각각의 입구 포트가 연장되는 포트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구 배열은 중심부(92) 및 중심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아암(94)을 갖는 포트 허브(90)를 포함한다. 중앙 입구 포트(30)는 중심부(92)로부터 연장되고,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각각은 아암(94)으로부터 연장된다. 아암(94)은 X 형상으로 배치되며, 이는 플러스 기호 형상 또는 십자 형상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트 허브 및 입구 포트는 단일 구성요소로서 일체로 형성된다(예를 들어, 단일 부품으로 몰딩됨).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개수의 아암이 포트 허브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입구 배열은 2, 3, 4, 5, 6, 7, 8, 9 또는 10개의 아암을 사용할 수 있다. 아암은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고르게 회전 이격될 수 있거나 불규칙하게 이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입구 포트는 크기와 형상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또는 형상일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입구 포트는 다른 입구 포트와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다. 하나 이상의 입구 포트는 다른 입구 포트보다 길거나 짧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는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보다 길거나, 중앙 입구 포트는 달리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를 지나 연장되는 거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는 하나 이상의 주변 입구 포트보다 짧을 수 있거나, 하나 이상의 주변 입구 포트가 달리 중앙 입구 포트를 지나 연장되는 거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는 다른 주변 입구 포트보다 길거나, 달리 다른 주변 입구 포트를 지나 연장되는 거리까지 연장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30')는 주변 입구 포트(42')를 지나 연장되는 거리까지 연장된다. 주변 입구 포트(42')는 또한 중앙 입구 포트(30')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30')는 경사진 천공 단부를 갖는다. 그러나, 주변 입구 포트(42')는 각각 원추형의 회전 대칭형 천공 단부를 갖는다. 중앙 입구 포트(30')의 천공 단부는 주변 입구 포트(42')의 천공 단부보다 길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바늘 배열은 중앙 입구 포트에 대해 특별하게 배치된 입구 구멍을 갖는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변 입구 포트의 입구 구멍은, 예를 들어 증가된 습윤을 위해 더 큰 영역을 덮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주변 입구 포트 상의 입구 구멍을 갖는 대신, 주변 입구 포트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주변 입구 포트의 그러한 입구 구멍은 중앙 입구 포트를 둘러싸는 더 넓은 주변 영역을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42')는 유체가 전달되는 2개의 입구 구멍을 포함한다. 도 10의 저면도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의 입구 구멍은 중앙 입구 포트(30')의 중심점(330)에 대해 특정한 방식으로 지향된다. 주변 입구 포트(41')를 예로 들면, 주변 입구 포트(41')의 중심점(331)으로부터 중앙 입구 포트(30')의 중심점(330)을 향해 연장되는 방향(341)은 주변 입구 포트(41')의 반경방향 내향 방향을 정의한다. 주변 입구 포트(41')의 입구 구멍(141a, 141b)은 각각 이 반경방향 내향 방향(341)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한다. 입구 구멍(141a)은 방향(241a)을 향하고 입구 구멍(141b)은 방향(241b)을 향하며, 여기서 방향(241a 및 241b)은 서로 반대이다. 방향(241a 및 241b)을 연결하는 선(22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241a 및 241b)은 또한 반경방향 내향 방향(341)에 직교한다. 입구 구멍(141a, 141b)은 또한 입구 포트(41')의 직경에 위치 설정된다.
다른 주변 입구 포트(42', 43', 44')는 유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포트(42')는 반경방향 내향 방향(342)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입구 구멍(142)을 가질 수 있고, 입구 포트(43')는 반경방향 내향 방향(343)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입구 구멍(143)을 가질 수 있으며, 입구 포트(44')는 반경방향 내향 방향(343)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2개의 입구 구멍(144)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주변 입구 포트는 2개가 아니라 단지 하나의 입구 구멍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주변 입구 포트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지만, 중앙 입구 포트는 반경방향 외향 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입구 구멍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구멍은 중앙 입구 포트와 주변 입구 포트 사이의 영역을 덮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입구 포트(30')는 3개의 입구 구멍(130)을 갖는다. 각각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외향 방향을 향한다. 중앙 입구 포트(30')는 3개의 입구 구멍을 갖지만, 1, 2, 4, 5 또는 6개의 입구 구멍과 같이 다른 개수가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복수의 입구 구멍이 사용될 때, 입구 구멍은 중앙 입구 포트의 원주 둘레에 균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 구멍은 균일하지 않게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개스킷 배열이 음료 카트리지로의 유체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입구 포트 배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각각의 입구 포트에 대한 개별 개스킷을 포함한다. 개별 개스킷은, 예를 들어 개스킷 배열의 제조 용이성 및/또는 입구 포트 배열에 대한 개스킷 배열의 조립 용이성을 위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개스킷 배열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개스킷 배열(500)은 5개의 개스킷, 즉 하나의 중앙 개스킷(530) 및 4개의 주변 개스킷(541, 542, 543 및 544)을 포함한다. 각각의 주변 개스킷은 브리지(590)를 통해 중앙 개스킷(530)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입구 포트 배열의 입구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마찰을 통해, 예를 들어 개스킷 개구 내의 입구 포트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입구 포트에 부착될 수 있다. 개스킷은 개스킷을 입구 포트와 함께 유지하도록 입구 포트에 대해 압축하는 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개스킷 배열 또는 입구 배열을 손상시키지 않고 입구 배열로부터 제거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스킷 배열이 마찰을 통해 입구 포트에 유지되는 경우, 사용자는 수동으로 개스킷 배열을 입구 포트로부터 빼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접착제 또는 다른 접합 재료를 사용하여 개스킷 배열을 입구 포트에 영구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도 1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개스킷은 대응하는 입구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505)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는 입구 포트 배열의 입구 포트의 위치와 정합하도록 배치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의 오점형 배열과 정합시키기 위해, 개스킷 개구(505)는 또한 오점형으로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 내의 개스킷은 상이한 크기 및/또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개스킷(530)은 각각의 주변 개스킷(541, 542, 543, 544)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밀봉을 용이하게 하도록 다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브는 폐쇄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다수의 리브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외부 리브는 더 작은 내부 리브를 둘러싸고, 내부 리브는 또 다른 더 작은 리브를 둘러쌀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복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주변 개스킷(541, 542, 543 및 544)의 경우, 리브는 직경이 증가하는 동심원을 포함한다. 중앙 개스킷(530)의 경우, 개스킷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원형 리브(510) 뿐만 아니라 눈물 방울 형상을 갖는 리브(512, 514)를 포함한다.
개스킷 배열은 일체형 구성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은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입구 포트 배열은 폐쇄되고 개방되는 브루 챔버 뚜껑에 장착된 천공 요소를 포함한다. 브루 챔버에 음료 카트리지가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브루 챔버 뚜껑의 폐쇄는 입구 포트 배열의 천공 요소가 음료 카트리지로 천공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를 향해 그리고 음료 카트리지로부터 멀어지게 순수히 1차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보다, 브루 챔버 뚜껑은 폐쇄 동안 원호(또는 이동 방향이 적어도 2차원에 있도록 측방향 이동을 갖는 다른 이동 방향)로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브루 챔버 뚜껑이 폐쇄함에 따라, 천공 요소의 이동 방향이 음료 카트리지 뚜껑 또는 천공되도록 의도된 다른 표면에 직교하는 똑바른 방식으로 음료 카트리지 뚜껑에 접근하는 대신에, 천공 요소는 약간의 측방향 이동으로 음료 카트리지 뚜껑에 천공할 수 있다. 음료 카트리지 뚜껑을 천공할 때 천공 요소의 측방향 이동은 음료 카트리지 뚜껑의 일부를 파열시킬 수 있다. 천공 요소에 의해 형성된 뚜껑의 결과적인 구멍은 입구 포트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개스킷이 구멍보다 크도록 크기 설정된 경우, 입구 포트 배열에 개스킷 배열을 제공하면 브루잉 중에 결과적인 구멍을 통한 누설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개스킷은 브루 챔버 뚜껑의 폐쇄 동안 개스킷이 음료 카트리지와 접촉할 때 잠재적인 음료 카트리지 뚜껑 파열과 중첩하는 위치에 연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앙 개스킷(530)은 둥근 코너를 형성하는 연장 영역(532)을 포함한다. 연장부(532)의 영역에서, 최외측 리브(514)는 눈물 방울 형상을 형성하도록 둥근 코너(51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최외측 리브(512) 또한 눈물 방울 형상을 형성하도록 둥근 코너(5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후속 내부 리브(510)는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의 리브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스킷 배열은 하나 초과의 연장 영역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스킷 배열(500)은 각각 둥근 코너를 형성하는 4개의 연장 영역(532')을 갖는다. 각각의 연장에 대해, 최외측 리브(514')는 연장 영역에 둥근 코너(515')를 형성한다. 또한, 각각의 연장 영역에 대해, 제2 최외측 리브(512')는 연장 영역의 영역에서 둥근 코너(513')를 형성한다. 그 결과, 중앙 개스킷(530)은 대략 정사각형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정사각형 형상은 둥근 코너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측면의 중심부는 약간 튀어나올 수 있다.
다른 개스킷 배열 형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개스킷 배열은 입구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개구를 갖는 하나의 단일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개스킷은 5개의 입구 포트를 수용하기 위한 5개의 개구를 갖는 단일 원 또는 정사각형일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도 6 내지 도 11과 유사한 또 다른 예시적인 입구 배열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중앙 입구 포트(30) 및 중앙 입구 포트(30) 둘레에 배치된 4개의 주변 입구 포트(41, 42, 43, 44)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4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4개의 주변 입구 포트(41-44)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각각의 꼭지점에 위치 설정되고 중앙 입구 포트는 이등변 사다리꼴 내에 위치 설정된다. (이등변 사다리꼴은 도 14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주변 입구 포트(41-44)의 중심이 직선에 의해 연결되면, 선은 이등변 사다리꼴을 형성할 것이다. 이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가 직사각형의 꼭지점에 위치되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조적이다. 입구 배열(100)은 입구 배열(100)이 함께 사용되는 브루 챔버의 전방 및 후방에 대응하는 전방 및 후방을 갖는다. 도 14에서, 입구 배열의 전방은 도면의 하단에 있고 후방은 도면의 상단에 있다.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 및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를 포함한다.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평행한 측면 중 더 긴 측면의 단부에 위치되고,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평행한 측면 중 더 짧은 측면의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는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보다 서로 더 멀리 위치 설정된다. 그러나, 중앙 입구 포트(30)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41-44) 모두로부터 등거리에 있다. 그러한 입구 포트의 배열은 음료 기계가 액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캡슐 또는 다른 음료 재료 홀더에 제공하게 하는 것과 같은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 배열은 주변 포트(41-44)가 캡슐 측벽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 설정되도록 원형 단면이 있는 측벽을 갖는 캡슐을 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는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보다 캡슐 측벽에 더 가깝게 위치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를 빠져나가는 액체는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를 빠져나가는 액체와 상이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음료 기계는 그러한 차이를 활용하여, 한 종류의 캡슐 및/또는 음료 종류에 대해 상이한 음료 특성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스팅 및 분쇄된 커피는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보다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음료를 형성할 수 있다(예를 들어, 분쇄물의 더 양호한 습윤 때문에). 대조적으로, 가용성 음료 혼합물은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41, 43)보다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42, 44)를 사용하여 액체가 도입될 때 더 잘 용해될 수 있다(예를 들어, 액체가 캡슐 벽에 부딪혀 유발되는 난류가 혼합을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입구 포트(30, 41-44)는 상이한 실시예에서 서로 상이한 거리에 배치될 수 있지만, 각각의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는 브루 챔버 내의 캡슐의 뚜껑을 개별적으로 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포트는 각각의 포트가 캡슐 뚜껑 또는 다른 포트에 의해 형성된 구멍에서 떨어져 있고 별개인 다른 캡슐 부분에 단일 구멍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입구 포트(30, 41-44)는 도 6 내지 도 11과 상이하게 위치 설정되지만, 도 14 및 도 15의 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11에 포함된 피처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입구 포트(30)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4개 모두의 길이와 상이한, 예를 들어 더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주변 입구 포트(41-44)는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중앙 입구 포트(30)는, 주변 입구 포트가 뾰족한 원위 단부, 챔퍼링된 또는 경사진 원위 단부 등을 갖든 아니든, 4개의 주변 입구 포트(41-44)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일부는 각각 액체가 분배되는 제1 입구 구멍(141-144) 및 제2 입구 구멍(141-144)을 가질 수 있고, 제1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제2 입구 구멍은,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에 반대되고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 입구 포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가 분배되는 복수의 입구 구멍(130)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지향된다.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컵형 영역을 가질 수 있는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브루 챔버의 뚜껑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카트리지 홀더 내의 캡슐을 천공하도록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입구 배열은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부, 및 액체 입구에 제공된 액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도록 구성된 액체 컨디셔너를 갖는 음료 기계 또는 다른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액체 공급부의 작동 및 액체 상태를 제어하여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어, 액체가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 및/또는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분배된다. 중앙 입구 포트를 통한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은 제1 유량으로 될 수 있고,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를 통한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은 상이한 제2 유량으로 될 수 있다.
다른 입구 배열과 마찬가지로, 도 14 및 도 15의 입구 배열(100)은 캡슐 또는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밀봉부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개스킷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또는 도 13의 개스킷 배열 또는 다른 것이 (주변 입구 포트(41-44) 위치를 수용하기 위한 적절한 수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 및 도 17은 도 14 및 도 15의 입구 배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대체 개스킷 배열을 도시한다. 도 16은 5개의 개스킷, 즉 하나의 중앙 개스킷(530) 및 4개의 주변 개스킷(541, 542, 543 및 544)과 개스킷 부분들을 연결하는 브리지(590)를 갖는 도 12 및 도 13의 개스킷 배열과 유사한 개스킷 배열(500)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원형 리브(501)는 대응하는 포트(30, 41-44)를 수용하도록 배치된 각각의 개구(505) 둘레에 형성된다. 최외측 리브(514)는 일반적으로 클로버잎 형상을 갖는 개스킷(500)의 윤곽을 따를 수 있다. 도 17은 포트(30, 41-44)를 수용하도록 각각의 대응하는 개구(505) 둘레에 원형 리브(501)를 또한 갖는 다른 개스킷 배열(500)을 도시한다. 그러나, 도 17에서, 최외측 리브(514)는 둥근 코너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개스킷의 윤곽을 따른다.
일 양태에 따르면, 음료 형성 장치는 음료 형성 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음료 카트리지의 유형에 기초하여 입구 포트의 선택 가능한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다양한 분배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구 포트의 서브세트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배하는 능력을 갖는 것은 형성된 음료의 다양한 특성의 조절성을 허용할 수 있다. 조절 가능한 특성의 예는 음료 진함, 음료 체적 및 탄산화 레벨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료 카트리지의 유형은, 예를 들어 품종(풍미라고도 지칭됨), 음료 카테고리, 및/또는 특정 브루 변수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특성화될 수 있다. 다음은 품종/풍미의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이다. 커피의 경우 품종/풍미의 예는 다크 로스트, 라이트 로스트, 미디엄 로스트, 헤이즐넛향, 카라멜향, 이탈리안 로스트, 프렌치 로스트, 펌킨 스파이스, 차이, 및 바닐라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의 경우, 품종/풍미의 예는 녹차, 홍차, 자스민차, 화이트차, 우롱차, 얼그레이 및 카모마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이스 음료의 경우, 품종/풍미의 예는 스위트 티, 레모네이드, 포도, 라즈베리, 크랜베리, 사과, 오렌지 및 파인애플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료 카테고리의 예는 코코아, 커피, 에스프레소, 아이스 음료, 차 및 탄산 음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특정 브루 변수의 예는 음료 온도, 음료 진함, 음료 체적 및 탄산화 레벨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사용자 A는 진한 음료 진함을 갖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 X, 및 연한 음료 진함을 갖는 카트리지 유형 Y를 선호한다. 카트리지 유형 X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삽입된 경우,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분배 작동을 수행한다. 카트리지 유형 Y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삽입된 경우,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분배 작동을 수행한다. 카트리지 유형 Y보다 카트리지 유형 X에 대해 더 진한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에 있는 입구 포트의 개수는, 예를 들어 풍미 추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의 입구 포트(들)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 중의 입구 포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의 입구 포트(들)와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음료 카트리지 유형과 관련된 적절한 작동 명령은 상이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음료 카트리지 유형은 작동 명령의 디폴트, 미리 프로그래밍된 세트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디폴트 작동 명령은 음료 형성 디바이스 자체에 저장될 수 있고 및/또는 원격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디폴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양한 사용자는 사용자가 음료 카트리지 유형과 관련된 그 선호하는 작동 명령을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음료 형성 디바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어떤 사용자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지에 따라 동일한 음료 카트리지 유형에 대해 상이한 작동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는 다양한 여러 방식으로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그러한 정보를 음료 형성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아이덴티티 또는 다른 프로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요구하는 일 없이 사용자의 아이덴티티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전화기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와 관련된 컵 또는 다른 용기와 같은 사용자 소지품의 근접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사용자 A는 진한 음료 진함을 갖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 X를 좋아하는 반면, 사용자 B는 연한 음료 진함을 갖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 X를 좋아한다. 카트리지 유형 X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삽입되고 사용자 A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분배 작동을 수행한다. 카트리지 유형 X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삽입되고 사용자 B가 음료 형성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경우,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를 통해 분배가 발생하는 분배 작동을 수행한다. 사용자 Y보다 사용자 A를 위해 더 진한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는, 예를 들어 풍미 추출을 증가시키기 위해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입구 포트의 제1 서브세트 중의 입구 포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입구 포트의 제2 서브세트의 입구 포트(들)와 상이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 및/또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와 협력하는 원격 디바이스 또는 리소스는 각각의 음료 카트리지 유형과 작동 명령을 관련시키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작동 명령은 사용자 및/또는 다른 제3자, 예를 들어 음료 카트리지 및/또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공급업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음료 카트리지 유형은 다양한 여러 방법으로 식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그 자체로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 또는 리소스(들)와 협력하여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검출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대해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특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디바이스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통지하기 위해 음료 형성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결정하지 않거나 음료 카트리지 유형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른 디바이스 또는 리소스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거나 수신하고, 해당 음료 카트리지 유형에 대한 적절한 분배 작동을 결정한 다음,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명령하여 특정 분배 작동을 실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브루 챔버에 삽입된 음료 카트리지의 유형을 검출하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검출하기 위해 음료 카트리지의 적어도 일부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포함할 수 있다. 판독기는 기계 판독 가능 데이터, 인간 판독 가능 데이터 또는 둘 모두를 판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음료 카트리지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식별하는 표식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식은 기계 판독 가능 포맷 또는 인간 판독 가능 포맷, 또는 둘의 조합일 수 있다. 판독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표식의 예는 바코드(예를 들어, 2D 또는 3D 바코드), RFID 태그, 유도성, 자기, 광학(예를 들어, 텍스트, 그래픽, 컬러), 또는 물리적 표식, 또는 다른 적절한 표식을 포함한다. 판독기의 예는 카메라, 바코드 스캐너, RFID 판독기, NFC 판독기, 자기 판독기, 물리적 피처 검출용 판독기, 또는 다른 적절한 판독기를 포함한다.
판독기에 의해 획득된 정보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 자체 및/또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와 협력하는 원격 디바이스 또는 리소스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판독기에 의해 획득된 디코딩되지 않은 데이터를 원격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서버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데이터 및/또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과 관련된 적절한 작동 명령을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음료 형성 디바이스는 적절한 작동 명령을 결정하기 위해 판독기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자체적으로 디코딩할 수 있다.
판독기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검출하기 위해 음료 형성 디바이스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독기는 브루 챔버 내부 또는 근방에 위치 설정된다. 판독기는 카트리지가 브루 챔버에 삽입될 때, 브루 챔버가 폐쇄되는 프로세스에 있는 동안, 및/또는 브루 챔버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자동으로 음료 카트리지를 판독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독기는 음료 형성 디바이스의 하우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 카트리지를 브루 챔버에 삽입하기 전에 판독되도록 판독기까지 카트리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독기는 유선 또는 무선 배열로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드헬드 디바이스이다. 사용자는 음료 카트리지를 브루 챔버에 삽입하기 전에 음료 카트리지를 판독하기 위해 판독기를 음료 카트리지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판독기는 모바일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탑, 스마트워치, 스마트 안경,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와 같이 음료 형성 디바이스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독립형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독립형 디바이스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의 검출과 관련된 정보를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는 음료 카트리지의 이미지, 음료 카트리지 유형의 실제 식별, 또는 다른 데이터일 수 있다.
정보는 유선 또는 무선 배열로 독립형 디바이스로부터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다. 정보는 독립형 디바이스로부터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독립형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무선 주파수, RFID, NFC, WI-FI, 위성,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배열을 통해 음료 형성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독립형 디바이스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고, 서버는 동일한 정보 또는 관련 정보를 음료 형성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가 독립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동일한 정보가 아니라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독립형 디바이스는 음료 카트리지의 이미지를 취득하고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이미지를 디코딩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는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는 독립형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음료 형성 디바이스로 간단히 중계할 수 있다.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판독기(17)는 브루 챔버의 커버(8) 상에 위치 설정된다. 음료 카트리지(2)는 음료 카트리지(2)의 음료 카트리지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판독기(17)에 의해 판독되는 표식(5)을 포함한다.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독립형 모바일 디바이스(600) 형태의 판독기는 음료 카트리지(2) 상의 표식(5)을 판독하는 카메라(610)를 포함한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표식에 관한 정보를 음료 형성 장치(10)에 전달한다.
음료 카트리지 판독 배열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카메라(610)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음료 카트리지(2) 상의 표식(5)을 판독한다. 이어서, 모바일 디바이스(600)는 표식에 관한 정보를 원격 서버(700)에 전달한다. 이어서, 원격 서버(700)는 음료 형성 장치(10)에 동일한 정보 또는 상이하지만 관련된 정보(음료 카트리지 유형과 관련된 작동 명령 등)를 중계할 수 있다. 원격 서버(700)와 음료 형성 장치(10) 사이의 통신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일 수 있다. 음료 형성 장치(10)와 모바일 디바이스(600) 사이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여러 양태를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 수정 및 개선이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쉽게 발생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변경, 수정 및 개선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로 의도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단지 예일 뿐이다.
Claims (67)
- 음료 형성 시스템이며,
음료 성분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브루 챔버로서, 브루 챔버는 음료 성분과 결합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 입구 및 음료가 브루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액체 입구는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인, 브루 챔버; 및
다음 분배 작동:
(a)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작동,
(b)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2 작동, 및
(c)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3 작동
중 적어도 2개를 사용하여 액체 입구로부터의 분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제1, 제2 및 제3 작동 모두를 사용하여 액체 입구로부터의 분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2 작동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모두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2 작동의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 및 제3 작동의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한 주변 입구 포트인,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1 밸브;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2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1 밸브;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2 밸브;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다른 하나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3 밸브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중앙 입구 포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중앙 전달 라인; 및
액체를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주변 전달 라인을 더 포함하며, 중앙 전달 라인과 주변 전달 라인은 서로 떨어져 있고 별개인,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1 탱크 및 제1 탱크에서 떨어져 있고 별개인 제2 탱크를 더 포함하고, 제1 탱크는 중앙 입구 포트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제2 탱크는 주변 입구 포트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제1 탱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제2 탱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중앙 입구 포트를 통해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을 제1 유량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를 통해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을 제2 유량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2 유량은 제1 유량과 상이한,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4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4개의 포트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직사각형 형상의 중앙에 위치 설정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오점형으로 배치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X 형상을 갖는 포트 허브를 형성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각각은 음료 성분을 유지하는 용기를 천공하도록 구성된 천공 요소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 액체 컨디셔너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액체 컨디셔너는 히터를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분배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음료 형성 시스템은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제1 액체를 전달하고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액체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제1 액체는 제2 액체와 상이한,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제1 주변 입구 포트는 액체가 이를 통해 분배되는 제1 입구 구멍을 포함하고, 제1 입구 구멍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제1 입구 포트로부터 중앙 입구 포트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제1 주변 입구 포트는 제1 방향과 반대이고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제2 입구 구멍을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액체가 이를 통해 분배되는 제1 중앙 입구 구멍을 포함하고, 제1 중앙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지향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액체가 이를 통해 분배되는 복수의 입구 구멍을 포함하고, 복수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지향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갖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25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를 갖는 개스킷 배열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중앙 입구 포트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관련 개구 내에 수용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29항에 있어서, 개스킷 배열은 브리지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개스킷을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30항에 있어서, 개스킷 배열은 중앙 개스킷 및 중앙 개스킷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개스킷을 포함하고, 중앙 개스킷은 복수의 주변 개스킷 각각과 상이한 크기인,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2 형상을 포함하는 제2 리브를 둘러싸는 제1 형상을 형성하는 제1 리브를 갖는 개스킷 배열을 더 포함하고, 제1 및 제2 형상은 상이한 형상인, 음료 형성 시스템.
- 제32항에 있어서, 제1 형상은 정사각형을 포함하고 제2 형상은 원형을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음료 카트리지 상의 표식을 판독하도록 구성된 판독기를 더 포함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형성될 음료의 유형에 기초하여 분배 작동 중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형성될 음료의 진함에 기초하여 3개의 분배 작동 중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음료 카트리지의 유형에 기초하여 3개의 분배 작동 중 하나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음료 형성 시스템.
- 음료를 형성하는 방법이며,
음료 형성 장치의 챔버에 음료 성분을 제공하는 단계;
다음의 분배 작동:
(a) 복수의 포트의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분배 작동 - 복수의 포트는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함 -; 및
(b)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 분배하는 제2 분배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함으로써 액체를 챔버에 분배하여 액체를 음료 성분에 도입하여 음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 및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3 분배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9항에 있어서, 제3 분배 작동 및 제1 및 제2 분배 작동 중 적어도 하나는 단일 음료를 형성하기 위해 수행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제1 분배 작동은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액체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제1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분배 작동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액체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제2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41항에 있어서, 제2 분배 작동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다른 하나로부터 액체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제3 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제1 분배 작동에서, 액체는 제1 액체 공급부로부터 중앙 입구 포트로 이동되고;
제2 분배 작동에서, 액체는 제2 액체 공급부로부터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동되며,
제2 액체 공급부는 제1 액체 공급부에서 떨어져 있고 별개인,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액체는 제1 유량으로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전달되고;
액체는 제2 유량으로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며,
제2 유량은 제1 유량과 상이한,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제1 유형의 액체가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 전달되고;
제2 유형의 액체가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며,
제1 및 제2 유형의 액체는 상이한 유형의 액체인,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로부터 챔버로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2 방향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로부터 중앙 입구 포트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으로 지향되는, 방법.
- 제46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로부터 챔버로 제1 방향과 반대이고 제2 방향에 직교하는 제3 방향으로 액체를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음료 성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음료 형성 장치는 음료 성분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분배 작동 또는 제2 분배 작동을 수행하는, 방법.
- 제48항에 있어서, 원격 디바이스는 음료 성분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분배 작동 또는 제2 분배 작동을 수행하도록 음료 형성 장치에게 명령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음료 형성 장치는 형성될 음료의 유형에 기초하여 제1 분배 작동 또는 제2 분배 작동을 수행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음료 형성 장치는 형성될 음료의 진함에 기초하여 제1 분배 작동 또는 제2 분배 작동을 수행하는, 방법.
- 음료 형성 시스템이며,
음료 성분을 유지하도록 배치된 브루 챔버로서, 브루 챔버는 음료 성분과 결합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여 음료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 입구 및 음료가 브루 챔버를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음료 출구를 포함하고, 액체 입구는 중앙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 둘레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하며,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각각의 꼭지점에 위치 설정되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하고, 중앙 입구 포트는 이등변 사다리꼴 내에 위치 설정되는, 브루 챔버;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액체 공급부;
액체 입구에 제공된 액체를 가열 및/또는 냉각하도록 구성된 액체 컨디셔너; 및
액체 입구에 액체를 제공하기 위해 액체 공급부의 작동 및 액체 상태를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회로
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브루 챔버는 전방 및 후방을 갖고,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이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평행한 측면 중 더 긴 측면의 단부에 위치된 2개의 후방 주변 입구 포트, 및 이등변 사다리꼴의 2개의 평행한 측면 중 더 짧은 측면의 단부에 위치된 2개의 전방 주변 입구 포트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모두로부터 등거리에 있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각각의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및 중앙 입구 포트는 브루 챔버 내의 캡슐의 뚜껑을 개별적으로 천공하도록 배치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를 갖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는 동일한 길이를 갖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4개의 주변 입구 포트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를 갖는 개스킷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개스킷의 관련 개구 내에 수용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다음 분배 작동:
(a) 중앙 입구 포트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1 작동,
(b)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만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2 작동, 및
(c)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분배를 포함하는 제3 작동
중 적어도 2개를 사용하여 액체 입구로부터의 분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61항에 있어서, 제어 회로는 중앙 입구 포트를 통해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을 제1 유량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하나를 통해 브루 챔버로의 액체 전달을 제2 유량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제2 유량은 제1 유량과 상이한,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액체 공급부는,
중앙 입구 포트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1 밸브; 및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에 대한 유체 연통을 제어하는 제2 밸브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4개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제1 주변 입구 포트는 액체가 이를 통해 분배되는 제1 입구 구멍 및 제2 입구 구멍을 포함하고, 제1 입구 구멍은 복수의 주변 입구 포트 중 제1 입구 포트로부터 중앙 입구 포트를 향해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지향되며, 제2 입구 구멍은 제1 방향에 반대되고 반경방향 내향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는 액체가 이를 통해 분배되는 복수의 입구 구멍을 포함하고, 복수의 입구 구멍은 반경방향 외향 방향으로 지향되는, 시스템.
- 제52항에 있어서, 브루 챔버는 캡슐을 수용하기 위한 컵형 영역을 갖는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하고,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카트리지 홀더 내의 캡슐을 천공하도록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시스템.
- 제66항에 있어서, 중앙 입구 포트 및 4개의 주변 입구 포트는 카트리지 홀더에 대해 이동 가능한 브루 챔버의 뚜껑 상에 장착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52894P | 2018-10-30 | 2018-10-30 | |
US62/752,894 | 2018-10-30 | ||
PCT/US2019/058718 WO2020092472A2 (en) | 2018-10-30 | 2019-10-30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inlet arrang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3976A true KR20210113976A (ko) | 2021-09-17 |
Family
ID=69165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15920A KR20210113976A (ko) | 2018-10-30 | 2019-10-30 | 입구 배열을 갖는 음료 조제 기계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5) | US20210393071A1 (ko) |
EP (1) | EP3873305B1 (ko) |
JP (1) | JP7507773B2 (ko) |
KR (1) | KR20210113976A (ko) |
CN (1) | CN113226126A (ko) |
CA (1) | CA3117932A1 (ko) |
WO (1) | WO2020092472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10393071A1 (en) | 2018-10-30 | 2021-12-23 | Keurig Green Mountain, Inc.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inlet arrangement |
MX2022003536A (es) * | 2019-09-24 | 2022-04-11 | Keurig Green Mountain Inc | Maquina de bebidas con imagenes de capsulas. |
EP3838082A1 (en) * | 2019-12-19 | 2021-06-23 | Koninklijke Philips N.V. | A flow delivery system |
CN111616591B (zh) * | 2020-05-21 | 2022-04-08 |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 茶品冲泡装置 |
US20220202228A1 (en) * | 2020-12-30 | 2022-06-30 | Sharkninja Operating Llc | Hybrid receptacle beverage brewing system |
KR20240028343A (ko) * | 2021-07-01 | 2024-03-05 |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 음료 제조 기계 및 그러한 음료 제조 기계를 사용하여 음료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CN217645010U (zh) * | 2022-04-27 | 2022-10-25 | 苏州提点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饮料机的出料组件及出料机头及饮料机 |
US11751585B1 (en) | 2022-05-13 | 2023-09-12 | Sharkninja Operating Llc |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
US12096880B2 (en) | 2022-05-13 | 2024-09-24 | Sharkninja Operating Llc | Flavorant for beverage carbonation system |
US11647860B1 (en) | 2022-05-13 | 2023-05-16 | Sharkninja Operating Llc | Flavored beverage carbonation system |
WO2023216231A1 (en) | 2022-05-13 | 2023-11-16 | Sharkninja Operating Llc | Agitator for a carbonation system |
US12005404B2 (en) | 2022-08-22 | 2024-06-11 | Sharkninja Operating Llc | Beverage carbonation system flow control |
US11634314B1 (en) | 2022-11-17 | 2023-04-25 | Sharkninja Operating Llc | Dosing accuracy |
US11745996B1 (en) | 2022-11-17 | 2023-09-05 | Sharkninja Operating Llc | Ingredient containers for use with beverage dispensers |
US12103840B2 (en) | 2022-11-17 | 2024-10-01 | Sharkninja Operating Llc | Ingredient container with sealing valve |
US12084334B2 (en) | 2022-11-17 | 2024-09-10 | Sharkninja Operating Llc | Ingredient container |
US11738988B1 (en) | 2022-11-17 | 2023-08-29 | Sharkninja Operating Llc | Ingredient container valve control |
US11925287B1 (en) | 2023-03-22 | 2024-03-12 | Sharkninja Operating Llc | Additive container with inlet tube |
US11871867B1 (en) | 2023-03-22 | 2024-01-16 | Sharkninja Operating Llc | Additive container with bottom cover |
US12116257B1 (en) | 2023-03-22 | 2024-10-15 | Sharkninja Operating Llc | Adapter for beverage dispenser |
US12005408B1 (en) | 2023-04-14 | 2024-06-11 | Sharkninja Operating Llc | Mixing funnel |
Family Cites Families (4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11421A1 (en) * | 1997-04-07 | 2001-08-09 | John S. Bakke | Pipe size measuring tool |
US6607762B2 (en) | 2000-02-18 | 2003-08-19 | Keurig, Incorporated | Disposable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
CA2440047A1 (en) | 2001-03-16 | 2002-09-26 | Anne Marie Westbrook | Beverage brewing system |
US6708600B2 (en) * | 2001-04-06 | 2004-03-23 | Keurig, Incorporated | Puncturing and venting of single serve beverage filter cartridge |
US6644173B2 (en) | 2001-04-11 | 2003-11-11 | Keuring, Incorporated | Beverage filter cartridge holder |
DK1510160T4 (da) | 2003-08-25 | 2014-11-24 | Nestec Sa | Frermgangsmåde og indretning til at fremstille en drikkevare ud fra kapsler indeholdende en substans |
US7165488B2 (en) * | 2003-12-12 | 2007-01-23 | Keurig, Incorporated | Brew chamber for a single serve beverage brewer |
WO2006030596A1 (ja) | 2004-09-14 | 2006-03-23 | Olympus Corporation | 生体組織採取器具、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生体組織採取方法 |
GB2449422B (en) | 2007-05-18 | 2009-09-16 | Kraft Foods R & D Inc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
US9572452B2 (en) * | 2010-12-04 | 2017-02-21 | Adrian Rivera | Single serving brewing material adapter with readable label |
FR2938417B1 (fr) | 2008-11-17 | 2013-07-12 | Tirouvady Moutty | Capsule pour percolation de produit aromatique tel que du cafe |
US8133525B2 (en) | 2008-12-18 | 2012-03-13 | Whirlpool Corporation | Liquid flow control and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
IT1392572B1 (it) | 2008-12-30 | 2012-03-09 | Lavazza Luigi Spa | Gruppo di infusion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GB2469873B (en) | 2009-05-01 | 2011-09-07 | Kraft Foods R & D Inc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
US9936834B2 (en) * | 2010-02-01 | 2018-04-10 | Bedford System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cartridge-based carbonation of beverages |
US8999421B2 (en) * | 2010-03-13 | 2015-04-07 | Bunn-O-Matic Corporation | Cartridge retaining device, brewer in combination with same, and method of using said device |
US8361527B2 (en) | 2010-09-02 | 2013-01-29 | Keurig, Incorporated | Beverage cartridge |
IT1403541B1 (it) * | 2011-01-31 | 2013-10-31 | Sarong Spa | Macchina erogatrice per bevande |
ITTO20110509A1 (it) | 2011-06-09 | 2012-12-10 | Lavazza Luigi Spa |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rtucce |
AU2013217545B2 (en) * | 2012-02-09 | 2017-04-20 | Keurig Green Mountain, Inc. | Bever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with beverage outlet control |
EP2892399B1 (en) * | 2012-09-05 | 2019-03-27 | Nestec S.A. | A food preparation machine with safety feature |
WO2014121051A1 (en) | 2013-02-01 | 2014-08-07 |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 Swellable adhesive needles |
US9359114B2 (en) | 2013-03-22 | 2016-06-07 | King's Flair Development Ltd. |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
CN203252455U (zh) * | 2013-04-09 | 2013-10-30 |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 咖啡胶囊刺穿机构及具有该刺穿机构的胶囊咖啡机 |
JP2015014343A (ja) | 2013-07-08 | 2015-01-22 | 株式会社デンソー | シール構造 |
CA2919111A1 (en) | 2013-09-24 | 2015-04-02 | Nestec S.A. | Solenoid valve for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
CH708709A1 (de) | 2013-10-01 | 2015-04-15 | Nootrie Ag | Verfahren zum Mischen eines Pulvers mit einer Flüssigkeit sowie Kapsel und Misch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ITRM20130593A1 (it) | 2013-10-25 | 2015-04-26 | Io Come Ides Ltd | Macchina per erogazione di bevande |
ITTO20131039A1 (it) | 2013-12-18 | 2015-06-19 | Lavazza Luigi Spa |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US9474406B2 (en) * | 2014-01-17 | 2016-10-25 | Keurig Green Mountain, Inc. | Apparatus with beverage cartridge holder having movable outlet |
CA2937508C (en) | 2014-03-12 | 2022-08-02 | Sarong Societa' Per Azioni | Capsule for beverages |
JP2017519529A (ja) | 2014-03-24 | 2017-07-20 | アクセス ビジネス グループ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飲料ディスペンサー |
EP3000362A1 (de) | 2014-09-24 | 2016-03-30 | Qbo Coffee GmbH | Milchschäumergerät, Getränkezubereitungssystem und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
CA2961459C (en) * | 2014-11-24 | 2018-06-26 | 2266170 Ontario Inc. | Capsule machine and components |
NL2013985B1 (en) * | 2014-12-15 | 2016-10-11 | Douwe Egberts Bv | Ceramic valve unit for a beverage machine. |
CN205758229U (zh) * | 2016-05-19 | 2016-12-07 | 钱瑜 | 一种旋转切换式多腔水杯 |
CN106108659A (zh) | 2016-08-15 | 2016-11-16 | 凌宏彦 | 一种复合式咖啡胶囊及其专用分流式咖啡胶囊冲泡机构 |
WO2018156361A1 (en) * | 2017-02-09 | 2018-08-30 | Coffee Solutions, Llc | Beverage maker |
US10533790B2 (en) | 2017-04-14 | 2020-01-14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Single serve beverage dispenser for an appliance |
US10470605B2 (en) | 2017-04-21 | 2019-11-12 | Whirlpool Corporation | Single-serving beverage machine with high-capacity and compact cooling-carbonation system |
JP6482604B2 (ja) | 2017-06-22 | 2019-03-13 | 教裕 南郷 | 外皮内溶解型ニードル及びニードル装置 |
CN108577433B (zh) * | 2018-07-24 | 2024-03-26 | 泉州市天狮生活电器有限公司 | 一种保温容器的出水结构及保温容器 |
US20210393071A1 (en) | 2018-10-30 | 2021-12-23 | Keurig Green Mountain, Inc.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inlet arrangement |
USD898169S1 (en) | 2018-10-30 | 2020-10-06 | Keurig Green Mountain, Inc. | Gasket arrangement |
USD908850S1 (en) | 2018-10-30 | 2021-01-26 | Keurig Green Mountain, Inc. | Gasket arrangement |
USD895355S1 (en) | 2018-10-30 | 2020-09-08 | Keurig Green Mountain, Inc. | Needle arrangement |
USD908426S1 (en) | 2019-02-21 | 2021-01-26 | Keurig Green Mountain, Inc. | Needle arrangement |
-
2019
- 2019-10-30 US US17/288,650 patent/US20210393071A1/en active Pending
- 2019-10-30 JP JP2021548540A patent/JP7507773B2/ja active Active
- 2019-10-30 CA CA3117932A patent/CA3117932A1/en active Pending
- 2019-10-30 KR KR1020217015920A patent/KR202101139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9-10-30 WO PCT/US2019/058718 patent/WO2020092472A2/en unknown
- 2019-10-30 EP EP19836627.0A patent/EP3873305B1/en active Active
- 2019-10-30 CN CN201980087129.1A patent/CN113226126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04-13 US US17/229,577 patent/US20210289982A1/en active Pending
- 2021-10-12 US US17/450,654 patent/US20220031113A1/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2-07 US US17/666,282 patent/US11395558B2/en active Active
- 2022-07-01 US US17/856,676 patent/US11839325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2509518A (ja) | 2022-01-20 |
WO2020092472A3 (en) | 2020-07-23 |
US11395558B2 (en) | 2022-07-26 |
CA3117932A1 (en) | 2020-05-07 |
EP3873305B1 (en) | 2024-04-17 |
US20210393071A1 (en) | 2021-12-23 |
WO2020092472A2 (en) | 2020-05-07 |
US20210289982A1 (en) | 2021-09-23 |
CN113226126A (zh) | 2021-08-06 |
US20220031113A1 (en) | 2022-02-03 |
US11839325B2 (en) | 2023-12-12 |
US20220160163A1 (en) | 2022-05-26 |
US20220330741A1 (en) | 2022-10-20 |
EP3873305A2 (en) | 2021-09-08 |
JP7507773B2 (ja) | 2024-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39325B2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gasket arrangement | |
RU2652961C2 (ru) | Капсул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евых композиций | |
JP6126686B2 (ja) | 飲料調製用原材料カプセル | |
US20210127889A1 (en) | Reusable beverage cartridge | |
KR20160110435A (ko) | 음료 기계 카트릿지 홀더 | |
KR20160110437A (ko) | 이동 가능한 배출구를 가지는 음료 카트릿지 홀더 | |
KR20150016540A (ko) | 음료 제조용 성분 캡슐 | |
US11771259B2 (en) | Venting arrangement for beverage forming apparatus | |
US2020025341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brew parameters during dispensing | |
US11641974B2 (en) | Pressure relief valve configuration for beverage machine | |
US20220304502A1 (en) | Beverage machine heated water source with horizontal heating coil | |
US11771258B2 (en) | Vent orifice and filter for beverage machine | |
US2022033074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 ice brewing | |
US20220395132A1 (en) | Beverage machine with internal and external water reservoi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