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624A -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 Google Patents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5624A KR20210105624A KR1020200020316A KR20200020316A KR20210105624A KR 20210105624 A KR20210105624 A KR 20210105624A KR 1020200020316 A KR1020200020316 A KR 1020200020316A KR 20200020316 A KR20200020316 A KR 20200020316A KR 20210105624 A KR20210105624 A KR 202101056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eeve
- foam
- holder
- fixing structure
- faste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0979 retard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8—Fire-proof sealings or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상배관이 다층 건물의 슬라브를 관통할 수 있도록 슬라브에 설치되는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발생시 화염이 입상 배관을 타고 번지지 않도록 하는 발포체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eeve installed on a slab so that a rising pipe can penetrate the slab of a multi-story building, and in particular, to a foam fixing structure of a sleeve that can firmly fasten a foam that prevents a flame from spreading along a rising pipe in case of a fire it's about
일반적으로 다층 건물에 입상 배관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 슬라브에 원통형 슬리브를 설치하고 입상 배관이 슬리브를 통해 슬라브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installing a vertical pipe in a multi-story building, a cylindrical sleeve is installed on the slab, and the rising pipe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slab through the sleeve.
다층 건물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이 입상 배관을 타고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 내부에 발포체가 삽입 설치된다.In the event of a fire in a multi-story building, a foam is inserted inside the sleeve to prevent the flame from spreading along the riser pipe.
화재가 발생하면 화염에 의해 발포체가 발포하면서 입상 배관을 압착하고 슬리브 내부 공간을 폐색함으로써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event of a fire, the foam expands by the flame, compresses the upright pipe, and blocks the space inside the sleeve to prevent the fire from spreading.
그런데 슬라브에 슬리브를 시공할 때 슬리브에 입상 배관을 삽입하고, 입상 배관과 슬리브 사이에 발포체를 일일이 삽입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발포체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고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constructing the sleeve on the slab, the work is very cumbersome, takes a lot of time, and the foam is not properly fixed and is separated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sert the rising pipe into the sleeve and insert and fix the foam between the rising pipe and the sleeve one by one. There are problems such 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슬리브에 발포체를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발포체가 슬리브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am fixing structure of a sleeve in which a foam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in a sleeve, and the foam is firmly fixed to the sleeve.
또한, 입상 배관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am fixing structure of a sleeve tha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the upright pip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 구조는 내부에 삽입구(102)가 형성된 파이프 형태의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 내부에 내부로 돌출된 받침대(111)와, 상기 받침대(111)에서 상향 돌출되어 슬리브(100)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월(112)로 구성된 홀더(110)로 구성된 슬리브(100); 및 상기 슬리브(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110)의 받침대(111)에 올려지고, 상기 월(112)과 슬리브(100) 내면 사이에 삽입되는 발포체(120);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이때, 상기 홀더(110)의 받침대(111) 일측 또는 양측에 체결구(113)가 형성되고, 슬리브(100)의 하부에 홀더 체결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13)가 슬리브(100)의 홀더 체결홈(104)에 삽입됨으로써 홀더(110)가 슬리브(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체결구(113)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또한, 상기 슬리브(100)의 상부에 클램프(2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클램프(200)는 반원 판 형태이고 일측이 힌지(203)로 체결된 제1 플랜지(201) 및 제2 플랜지(202)와, 상기 제1,2 플랜지(201,202)의 가운데 부분에 천공된 삽입구(206)와, 상기 삽입구(206) 테두리부가 상향 돌출된 밴드(204)와, 상기 제1,2 플랜지(201,202) 하부에 형성되어 슬리브(100) 내부의 발포체(120)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압착구(2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압착구(209)는 상부 면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플랜지의 홀에 삽입된 고정볼트(208)가 압착구(209) 상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랜지 상부에서 고정볼트(208)를 조이면 압착구(209)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발포체(120)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imping
또한, 상기 압착구(209)에는 뾰족한 투스(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슬리브(100)의 상부에는 내부에 너트가 인서트된 체결구(103)가 형성되고, 플랜지(201,202)의 슬리브 체결구(207)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100)의 체결구(103)와 볼트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리브에 발포체를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발포체가 슬리브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입상 배관이 슬리브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easily and quickly install the foam in the sleeve, the foam is firmly fixed to the sleeve, and the upright pipe can be firmly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in the sleeve.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슬리브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슬리브에 체결되는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슬리브에 발포체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클램프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8은 슬리브와 클램프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클램프가 슬리브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1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eeve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er fastened to the sleeve.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oam is coupled to the sleev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eeve and the clamp are coupled.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lamp is fastened to the slee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on the premise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ny one component "includes" another component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invention, it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nly the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ther components are no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ore may be included.
본 발명은 슬라브(20)에 매립되는 슬리브(100)와, 상기 슬리브(100) 상부에 체결되어 입상배관(10) 및 발포체를 고정하는 클램프(200)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슬리브(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형태의 몸체(10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1)에는 수직 방향으로 입상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102)가 형성되다.The
그리고 도 2와 같이 몸체(101)의 하단 양측에는 홀더 체결홈(104)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 체결홈(104)에는 발포체(120)를 고정하는 홀더(110)가 체결된다.And as shown in FIG. 2 ,
홀더(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폭을 갖는 호 형태의 받침대(111)와, 상기 받침대(111)의 내측(호의 중심측)에서 상향 돌출된 월(112)과, 상기 받침대(111)의 외측에서 상향 돌출된 체결구(11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홀더(110)의 받침대(111)가 슬리브(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홀더(110)의 체결구(113)를 슬리브(100)의 홀더 체결홈(104)에 삽입한다.The
상기 홀더 체결홈(104)은 체결구(113)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므로, 체결구(113)를 홀더 체결홈(104)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10)가 슬리브(100)의 하부에 체결, 고정된다.Since the
홀더(110)가 슬리브(100)에 체결되면 홀더(110)의 받침대(111)가 슬리브(100)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받침대(111)의 일측에 소정 간격마다 상향 돌출된 월(112)이 슬리브(100) 내벽으로부터 받침대(111) 폭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When the
이때, 도 3과 같이 체결구(113)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11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상기와 같이 돌출된 가이드(114)를 구성함으로써, 체결구(113)를 슬리브(100)의 홀더 체결홈(104)에 억지 끼움할 때 접촉 면적이 넓어져 홀더(11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고, 정확한 위치로 삽입할 수 있다.By configuring the
도 2와 같이 슬리브(100) 하부의 홀더 체결홈(104)에 홀더(110)를 체결한 후, 도 4와 같이 발포체(120)를 말아 슬리브(100) 내부에 삽입한다.After fastening the
발포체(120)를 말아서 슬리브(100) 내부에 삽입하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발포체(120) 하부가 홀더(110)의 받침대(111)에 올려지고, 홀더(110)의 월(112)이 발포체(12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슬리브(100) 내부에서 발포체(120)를 고정시킨다.When the
즉, 슬리브(100)에 홀더(110)를 체결함으로써, 슬리브(100)에 발포체(120)를 간편하고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by fastening the
도 5와 같이 발포체(120)가 구비된 슬리브(100)라 슬라브(20)에 설치되고, 슬라브(20) 아랫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열에 의해 발포체(120)가 팽창하면서 입상배관(10)을 압착하여 화염이 윗 층으로 번지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바람직게는 도 5에서 입상배관(1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고, 발포체(1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200)를 슬리브(100) 상부에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fix the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2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원 판 형태의 제1 플랜지(201)와 제2 플랜지(202)의 일측이 힌지(203)로 체결되고, 제1,2 플랜지(201,202)의 중심이 천공되어 삽입구(206)가 형성된다.In the
그리고 상기 삽입구(206)의 테두리 부분에는 밴드(204)가 상향 돌출되어 구성되고, 상기 밴드(204)의 단부에는 각각 체결편(205)이 형성된다.And a
상기 제1,2 플랜지(201,202)의 하부에는 각각 압착구(209)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구(209) 상부는 도 6 및 도 9와 같이 플랜지 상부의 고정볼트(208)와 볼트 체결된다.A
그리고 상기 압착구(209)의 내측에는 뾰족한 투스(211)가 형성되고, 압착구(209)의 상부 면은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210)이 형성된다.And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클램프(200)는 도 8과 같이 슬리브(200)의 상부에 결합되는데, 제1,2 플랜지(201,202)를 벌려 삽입구(206) 내부에 입상배관(10)을 삽입한 후, 제1,2 플랜지(201,202)를 닫고 체결편(205)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고 조여 밴드(204)가 입상배관(10) 외면을 압착하여 입상배관(10)에 클램프(200)를 체결, 고정한다.The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0) 하부의 압착구(209)는 슬리브(100)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볼트(208)에 체결되어 매달려 있는 형태인데, 작업자는 상기 고정볼트(208)를 조이면 도 10과 같이 압착구(209)가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슬리브(100) 내면의 발포체(120)를 압착한다.As shown in FIG. 9 , the
이때, 압착구(209)에 형성된 투스(211)가 발포체(120)를 표면에 파고들면서 발포체(120)가 슬리브(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다.At this time, while the
도 9와 같이 압착구(209) 상부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1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볼트(208)를 조이면 압착구(209)가 상승하다가, 압착구(209)의 상부 면이 플랜지(201,202) 하부 면에 접하면서 압착구(209)의 경사면(210)에 의해 압착구(209)가 벌어지면서 발포체(120)를 압착하면서 발포체(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동시에 클램프(200)가 슬리브(10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As shown in FIG. 9 ,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crimping
즉, 상기 압착구(209)는 슬리브(100) 내부의 발포체(1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과 함께, 클램프(200)를 슬리브(100)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That is, the
따라서, 클램프(200)가 입상 배관(10)에 체결 고정되고, 클램프(200)는 슬리브(100)에 체결 고정되므로 입상 배관(10)이 슬리브(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고, 동시에 슬리브(100) 내부의 발포체(1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킨다.Therefore, sinc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200)는 압착구(209)에 의해 슬리브(100)에 체결 고정되는데, 도 6의 슬리브 체결구(207)에 볼트를 삽입하여 도 1과 같이 슬리브(10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구(103) 내부에 인서트된 너트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클램프(200)가 인서트(100)에 더욱 더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슬리브(100)에 발포체(120)를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발포체(120)가 슬리브(10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입상 배관(10)이 슬리브(10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view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variously modify or chang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In addition, even if not explicitly shown or describe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including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vious, and it still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The abov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10 : 입상배관
20 : 슬라브
100 : 슬리브
101 : 몸체
102 : 삽입구
103 : 체결구
104 : 홀더 체결홈
110 : 홀더
111 : 받침대
112 : 월
113 : 체결구
114 : 가이드
120 : 발포체
200 : 클램프
201 : 제1 플랜지
202 : 제2 플랜지
203 : 힌지
204 : 밴드
205 : 체결편
206 : 삽입구
207 : 슬리브 체결구
207a : 슬리브 체결볼트
208 : 고정볼트
209 : 압착구
210 : 경사면
211 : 투스10: standing pipe
20: Slav
100: sleeve
101: body
102: insert
103: fastener
104: holder fastening groove
110: holder
111: pedestal
112 : month
113: fastener
114: guide
120: foam
200: clamp
201: first flange
202: second flange
203 : hinge
204 : Band
205: fastening piece
206: insert
207: sleeve fastener
207a: sleeve fastening bolt
208: fixing bolt
209: crimping ball
210: slope
211 : Tooth
Claims (7)
상기 몸체(101) 내부에 내부로 돌출된 받침대(111)와, 상기 받침대(111)에서 상향 돌출되어 슬리브(100)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월(112)로 구성된 홀더(110)로 구성된 슬리브(100); 및
상기 슬리브(100)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홀더(110)의 받침대(111)에 올려지고, 상기 월(112)과 슬리브(100) 내면 사이에 삽입되는 발포체(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A body 101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n insertion hole 102 formed therein;
Sleeve ( 100); and
The sleeve 1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holder 110 and placed on the pedestal 111, and the foam 120 is inserted between the wall 1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100; a sleeve comprising: of foam fixing structure.
상기 홀더(110)의 받침대(111) 일측 또는 양측에 체결구(113)가 형성되고, 슬리브(100)의 하부에 홀더 체결홈(104)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113)가 슬리브(100)의 홀더 체결홈(104)에 삽입됨으로써 홀더(110)가 슬리브(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According to claim 1,
Fasteners 113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edestal 111 of the holder 110, and a holder fastening groove 104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leeve 100,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er (113) is inserted into the holder fastening groove (104) of the sleeve (100) so that the holder (110) is coupled to the sleeve (100).
상기 체결구(113)의 양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1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114) protruding inwardly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astener (113).
상기 슬리브(100)의 상부에 클램프(2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클램프(200)는 반원 판 형태이고 일측이 힌지(203)로 체결된 제1 플랜지(201) 및 제2 플랜지(202)와,
상기 제1,2 플랜지(201,202)의 가운데 부분에 천공된 삽입구(206)와,
상기 삽입구(206) 테두리부가 상향 돌출된 밴드(204)와,
상기 제1,2 플랜지(201,202) 하부에 형성되어 슬리브(100) 내부의 발포체(120)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압착구(2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 200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100,
The clamp 200 has a semi-circular plate shape and has a first flange 201 and a second flange 202 fastened to one side by a hinge 203,
an insertion hole 206 perforat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1 and 202;
A band 204 in which the rim of the insertion hole 206 protrudes upward,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under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201, 202) and consists of a pressing hole (209) for pressing and fixing the foam (120) inside the sleeve (100).
상기 압착구(209)는,
상부 면이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210)이 형성되고,
플랜지의 홀에 삽입된 고정볼트(208)가 압착구(209) 상부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플랜지 상부에서 고정볼트(208)를 조이면 압착구(209)가 외측으로 벌어지며 발포체(120)를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mpression sphere 209 is,
An inclined surface 210 with an upper surface inclined downward to the outside is formed,
By screwing the fixing bolt 208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flange to the top of the crimping hole 209,
When the fixing bolt (208) is tightened at the upper part of the flange, the compression hole (209) is opened to the outside, and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foam (120).
상기 압착구(209)에는 뾰족한 투스(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hole (209) is formed with sharp teeth (211).
상기 슬리브(100)의 상부에는 내부에 너트가 인서트된 체결구(103)가 형성되고, 플랜지(201,202)의 슬리브 체결구(207)에 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슬리브(100)의 체결구(103)와 볼트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브의 발포체 고정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A fastener 103 having a nut inserted therei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100 , and a bolt is inserted into the sleeve fastener 207 of the flanges 201 and 202 to insert the fastener 103 of the sleeve 100 . And the foam fixing structure of th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bol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316A KR102302676B1 (en) | 2020-02-19 | 2020-02-19 |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0316A KR102302676B1 (en) | 2020-02-19 | 2020-02-19 |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5624A true KR20210105624A (en) | 2021-08-27 |
KR102302676B1 KR102302676B1 (en) | 2021-09-15 |
Family
ID=7750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0316A KR102302676B1 (en) | 2020-02-19 | 2020-02-19 |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267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5894A (en) | 2022-05-04 | 2023-11-13 | 이상준 | Display support and Display support control syste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9962B1 (en) | 2011-05-24 | 2012-09-07 | (주)유넷트코리아 | Apparatus for shutting flame and poisonous gas through between flooors |
KR101957432B1 (en) | 2018-08-21 | 2019-03-12 | 주식회사 파이어넷 | A clamp for fixing a pipe |
KR101969052B1 (en) * | 2018-08-03 | 2019-04-15 | 전상집 | Easy clamp for fixing the drain pipe |
KR101967586B1 (en) | 2018-09-19 | 2019-08-13 | 주식회사 파이어넷 | Vertical pipe fixing structure of sleeve |
KR102032740B1 (en) * | 2019-02-26 | 2019-10-16 | ㈜세이프코리아 | Construction sleeve with built-in fireproof filling material |
-
2020
- 2020-02-19 KR KR1020200020316A patent/KR10230267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9962B1 (en) | 2011-05-24 | 2012-09-07 | (주)유넷트코리아 | Apparatus for shutting flame and poisonous gas through between flooors |
KR101969052B1 (en) * | 2018-08-03 | 2019-04-15 | 전상집 | Easy clamp for fixing the drain pipe |
KR101957432B1 (en) | 2018-08-21 | 2019-03-12 | 주식회사 파이어넷 | A clamp for fixing a pipe |
KR101967586B1 (en) | 2018-09-19 | 2019-08-13 | 주식회사 파이어넷 | Vertical pipe fixing structure of sleeve |
KR102032740B1 (en) * | 2019-02-26 | 2019-10-16 | ㈜세이프코리아 | Construction sleeve with built-in fireproof filling materia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55894A (en) | 2022-05-04 | 2023-11-13 | 이상준 | Display support and Display support control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2676B1 (en) | 2021-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274615A (en) | Attachment clamp for lighting fixture | |
US3175795A (en) | Supporting foot assembly for housings of refrigerators and the like | |
US4871451A (en) | Floor drain plate assembly | |
FI94072B (en) | Metal fastening device | |
KR101401676B1 (en) | A fixing device for standing pipe | |
KR102302676B1 (en) | Flame retarding foam fixing structure at sleeve | |
KR101967586B1 (en) | Vertical pipe fixing structure of sleeve | |
KR102498406B1 (en) | A structure for fixing the riser pipe | |
AU2017202250A1 (en) | Building connection apparatus | |
KR20100013663A (en) | Installation implement of electrical lamp appliances | |
KR100763606B1 (en) | Hanger for fixing ceiling member | |
RU2608982C1 (en) | Roof railing holder, as well as roof railing system and vehicle having roof railing system | |
KR200420086Y1 (en) | Set anchor bolt | |
KR200281483Y1 (en) | Fixing unit for supp orting angle of concrete form | |
KR200281484Y1 (en) | Fixing unit for supp orting angle of concrete form | |
JP2008240490A (en) | Panel fixing bracket and panel fixing method | |
JPH0338328Y2 (en) | ||
JPS6113630Y2 (en) | ||
KR200178640Y1 (en) | The ceiling bracket | |
JPH06162813A (en) | Fitting device for luminaire | |
JP2005030134A (en) | Panel holding leg and double floor using the same | |
RU2672143C1 (en) | Method of fitting the lid at a seat of device for fixing elements to the basis, sleeve of this device and device | |
KR101993611B1 (en) | Rail Coupling Device | |
KR102065593B1 (en) | Hanger for luminaires rail | |
KR200234914Y1 (en) | fixing part of intersection of a wire lope preventing a falling st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