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103158A -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 Google Patents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158A
KR20210103158A KR1020200017546A KR20200017546A KR20210103158A KR 20210103158 A KR20210103158 A KR 20210103158A KR 1020200017546 A KR1020200017546 A KR 1020200017546A KR 20200017546 A KR20200017546 A KR 20200017546A KR 20210103158 A KR20210103158 A KR 20210103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ir
built
bag
deplo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716B1 (ko
Inventor
박연하
Original Assignee
박연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하 filed Critical 박연하
Priority to KR1020200017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716B1/ko
Priority to PCT/KR2021/001734 priority patent/WO2021162425A1/ko
Priority to JP2022545404A priority patent/JP7373672B2/ja
Priority to US17/763,646 priority patent/US11871837B2/en
Publication of KR2021010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40Umbrella, stick, or glove holders attached to a ba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C2009/002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a sea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4/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which may be converted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and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4/02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 A45F2004/026Sacks or packs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or into objects for other use into seats or sitting cushion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에서 지면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BACKPACK WITH EXPANDABLE CHAIR}
본 발명은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공간이 필요한 경우, 내장된 의자를 전개하여 착석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다양한 공간에서 이용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식 공간이 제공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영화의 대기 시간, 공원, 버스정류장 등에서 대기 시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착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착석공간의 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휴식공간 사이의 거리가 멀어 노약자 혹은 신체가 불편한 사람의 경우, 다음 휴식공간까지의 거리의 이동이 부담되거나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장시간 서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등산의 경우는 산지를 이동하면서 쉬어가기 위한 공간까지의 거리가 멀며, 쉴만한 공간을 찾더라도 앉을 자리를 마련하지 못해 서있게 되거나 바위 등에 앉아 평탄하지 못한 지형에 의해 허리나 근육에 무리가 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역 또는 정류장에서 집과의 거리가 멀어 쉴만한 공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경우 등 여러 상황에서 앉아 쉴 수 있는 착석공간이나 휴식공간을 원하는 경우에 맞추어 찾는 것은 힘들 수 있다.
혹여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제품이 있다고 하더라도 개인적인 물품을 휴대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착석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제품을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짐이 늘어나며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이동하면서 휴식 시간과의 간격이 짧아져 이동하는 시간이 늘어나는 불편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고, 추가적인 짐으로 느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활발하게 고안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이동하면서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유닛 내측에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유닛이 내장되어 필요에 따라 착석공간을 제공하고, 내장된 착석유닛을 본체유닛을 이동시키면서 장소에 무관하게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경사가 있거나 굴곡이 있는 지면에서도 지지유닛의 길이를 가변시켜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고,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비 또는 물병을 보관할 수 있는 물병보관부 혹은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우산보관부가 형성되어 별도의 물품을 수납하여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에서 지면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면을 향해 길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유닛 측면에서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본체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또는 추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유닛에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또는 추출되도록 제어하는 제1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제1 조작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부가 제1 와이어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틸트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를 삽입 또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승강부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본체유닛에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승강시키는 제2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본체유닛 상부에서 상기 링크부를 승강시키는 레버부재, 복수의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힌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링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타측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되고, 일측과 타측이 서로 멀어지면서 상부를 향해 늘어나는 접철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가 승강되면서 상기 접철부재의 일측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접철부재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접철부재는, 한 쌍의 상기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교차상태를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링크부의 이동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단위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착석유닛은,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과 축 결합되어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석유닛은, 상기 축 양단에서 회전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일부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곡률반경을 가지는 둘레에 턱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본체유닛에 상기 각도조절부를 향해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턱을 향해 틸트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3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턱에 걸려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턱을 향해 틸트되는 일측이 상기 턱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3 조작부는,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는 경우, 상기 제3 조작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조작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타측을 상기 본체유닛을 향해 당겨 상기 턱에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을 이탈시키는 제3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착석유닛은,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레그부 및 일단이 상기 레그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하부와 상기 본체유닛과 거리가 조절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이동부는, 상기 본체유닛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레그부를 당겨 상기 시트부의 하부를 향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이동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이동부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아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시트부는, 상기 바아부재를 상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이동부의 이동방향을 향해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유닛은, 우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지면을 향해 관통되는 우산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우산보관부는, 내측에 삽입된 상기 우산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유닛에서 상기 우산보관부를 향해 회전되어 상기 우산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은, 측면에 물병을 보관할 수 있도록 물병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물병보관부는, 상기 물병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물병에 대응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개되는 의자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유닛에 내장되어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장소와 무관하게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지면의 경사가 있는 경우, 지지유닛의 높이를 조절하여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별도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비 또는 물병을 보관할 수 있는 물병보관부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의자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의자가 내장된 상태에서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시트부가 가방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레그부가 회전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제1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재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제1 조작부가 틸트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고정 해제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지면을 향해 이동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고정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를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회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레그부를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레그부가 회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시트부가 회수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각도조절부가 틸트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우산보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우산보관부의 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통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에 대해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은 본체유닛(100), 착석유닛(200), 지지유닛(3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닛(100)에는 물병(B)을 보관하기 위한 물병보관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유닛(100)의 후면에 수납장비(S)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각도조절부(210), 걸림부(220), 제3 조작부(230), 시트부(240), 레그부(250), 힌지이동부(260), 착석고정부(27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승강부(310), 고정부(320), 제1 조작부(330), 링크부(340), 제2 조작부(3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각각의 구성들은 추후 설명할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서로의 연결관계 및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앞서 상술된 구성을 바탕으로 하여 도 2 내지 도 11을 통해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되는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의자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의자가 내장된 상태에서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시트부가 가방 외측으로 이동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레그부가 회전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제1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재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제1 조작부가 틸트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고정 해제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지면을 향해 이동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고정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착석유닛(200) 및 상기 지지유닛(300)이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로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닛(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물병(B)을 보관하기 위한 상기 물병보관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병보관부(140)는 상기 물병(B)의 종류에 따라 둘레에 대응되어 상기 물병(B)을 고정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100)의 후면, 즉,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고자 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면에 상기 수납장비(S)가 결합되어 본 발명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자 하는 별도의 물품을 수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유닛(100)은 상기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유닛(100)을 휴대할 수 있는 끈(W)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에서는 상기 끈(S)이 한 쌍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끈(W)은 당업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본체유닛(100)을 휴대하여 이동하다가 상기 본체유닛(100)에서 상기 착석유닛(200) 및 상기 지지유닛(300)을 전개하여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도 2의 상기 제1 조작부(330), 상기 제2 조작부(350) 및 상기 제3 조작부(230)을 통해 상기 착석공간을 전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을 살펴보면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에 수납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상기 착석유닛(200)을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는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착석유닛(200)이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도 4와는 다르게 상기 착석유닛(200)의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100)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에서 상기 착석유닛(200)을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본체유닛(100) 내측에서 상기 착석유닛(200)이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는 별도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가이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 내측에 수납된 상기 착석유닛(200)을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시키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기 위해서 상기 착석유닛(200)을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석유닛(200)이 회전되어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한 경우,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조절부(210)와 상기 걸림부(220)를 통해서 상기 착석공간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210) 및 상기 걸림부(220)는 추후 설명할 도면을 통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본체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면 또는 섬유의 재질로 형성되는 상기 시트부(240)와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부(240)가 제공하는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레그부(250), 일단이 상기 레그부(2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이동부(26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240)는 상기 본체유닛(100)과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100)과 결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레그부(250)는 상기 시트부(240)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에서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힌지이동부(260)는 상기 레그부(250)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그부(250)가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이동부(260)는 타단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이드하도록 레일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이동부(260)가 이동되면서 상기 레그부(250)가 이에 대응되어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되거나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를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트부(240)가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한 경우, 상기 시트부(24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레그부(250)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면과 상기 레그부(250) 사이에는 상기 착석고정부(270)가 형성되어 상기 지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레그부(250)를 고정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착석고정부(270)는 상기 지면에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면을 향해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착석유닛(200)에 의해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되고, 상기 레그부(250)에 의해 상기 착석공간의 일측이 지지되는 경우,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착석공간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유닛(300)이 상기 본체유닛(100)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유닛(300)은 상기 지면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상기 승강부(310)와 상기 승강부(3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기 고정부(320) 및 상기 본체유닛(100)에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320)와 연결되며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부(320)를 조절하여 상기 승강부(3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조작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유닛(300)을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1 조작부(330)가 상기 본체유닛(10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조작부(330)를 틸트 시키고, 상기 제1 조작부(330)는 상기 고정부(320)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20)와 상기 제1 조작부(33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부재(33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조작부(330)의 하부에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조작부(330)가 틸트되면서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를 이동시키면서 당기게 되고, 상기 고정부(320)가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를 통해 상기 제1 조작부(330)의 이동방향에 따라 당겨지게 될 수 있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작부(330)를 틸트시키면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가 상기 승강부(310)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고정부(320)를 당기게 되고, 상기 고정부(320)가 상기 승강부(310)에서 추출되어 상기 승강부(310)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310)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31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재(322)가 상기 복수의 홀(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에 의해 복수의 상기 돌기부재(322)가 상기 복수의 홀(312)에서 추출되어 상기 승강부(310)의 고정을 해제하며, 상기 승강부(310)가 상기 지면을 향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부(310)가 상기 제1 조작부(330)의 틸트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돌기부재(322)가 상기 승강부(310)에서 추출되어 고정이 해제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10)가 상기 지면을 향해 이동되면서 상기 본체유닛(100)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승강부(310)의 사이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지면을 향해 상기 승강부(3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판넬이 서롤 교차되어 힌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100)과 상기 링크부(3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과 타측의 각각을 서로와 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310)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홀(312)에 복수의 상기 돌기부재(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홀(31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와이어부재(332)가 상기 제1 조작부(330)의 틸트방향에 따라 상기 고정부(320)를 당겨 상기 복수의 홀(312)에서 상기 돌기부재(322)를 이탈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이동 중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본체유닛(100)에 형성되는 상기 끈(W)을 통해 상기 본체유닛(100)을 휴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도 12 내지 도 18을 통해서 상기 착석공간의 회수 상황을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를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승강부가 회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레그부를 회수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레그부가 회수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시트부가 회수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각도조절부가 틸트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유닛(300)을 회수하는 경우를 우선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유닛(300)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본체유닛(1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2 조작부(350)를 통해서 상기 승강부(310)를 회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승강부(310)를 회수하려면, 우선적으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조작부(330)를 통해 상기 고정부(32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승강부(310)의 위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제2 조작부(350)를 통해서 상기 승강부(31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조작부(3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되면서 상기 링크부(340)를 이동시키는 레버부재(352), 복수의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힌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100)과 상기 링크부(34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접철부재(354) 및 상기 레버부재(352)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과 상기 레버부재(352)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2 와이어부재(35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부재(35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 상부에서 상부를 향해 승강되면서 하부에 연결된 상기 제2 와이어부재(356)를 당기게 되고, 상기 제2 와이어부재(356)는 상기 레버부재(352)에 의해 상부를 향해 당겨지면서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2 와이어부재(356)의 이동방향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이 가까워지면서 교차된 상기 복수의 판넬이 펼쳐지면서 타측이 상기 링크부(340)상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링크부(34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버부재(352)를 당기게 되면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타측이 상기 링크부(340)상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딩되며, 상기 링크부(34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링크부(340)는 상기 승강부(31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재(3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판넬이 교차되어 힌지 결합된다고 하였으나,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판넬의 중심이 결합된 X자 모양의 결합 단위를 기본 단위로 하여 복수개가 상기 본체유닛(100) 내측에서 상부를 향해 배열되고, 인접한 기본 단위끼리 서로 힌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힌지 결합된 상기 접철부재(354)는 상기 링크부(34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상부, 즉, 상기 레버부재(352)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일측이 이동되는 거리만큼 상기 레버부재(352)는 상승하고, 상기 링크부(340)는 상기 레버부재(352)가 승강되는 거리보다 긴 거리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사용자가 짧은 거리만을 상기 레버부재(352)를 이동시켜 상기 승강부(310)의 회수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부(310)의 이동거리와 상기 레버부재(352)의 이동거리가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부(310)를 상승시킬 때까지 상기 레버부재(352)를 지속적으로 당겨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착석공간의 제공이 필요한 노약자들은 상기 레버부재(352)를 지속적으로 당겨 올리는 것에 무리가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철부재(354)를 복수의 판넬을 서로 교차하여 힌지 결합함을 통해서 보다 짧게 당겨 상기 승강부(310)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철부재(354)의 일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 내측으로 상기 승강부(310)가 이동된 상태가 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승강부(310)가 승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조작부(330)를 틸트되기 이전의 상태로 틸트시켜 상기 고정부(320)가 상기 승강부(31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기 위해 상기 착석유닛(200)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는 도 14와 같이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석유닛(200)은 앞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240), 상기 레그부(250), 상기 힌지이동부(26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시트부(240) 하부에서 양측에 구비되는 상기 힌지이동부(260)가 서로가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서로를 연결하는 바아부재(26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는 외력을 작용하여 단순하게 상기 레그부(250)를 상기 시트부(250)의 하부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지만, 상기 힌지이동부(26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상기 바아부재(262)를 상기 본체유닛(100)을 향해 이동시켜 상기 힌지이동부(260)의 타측을 상기 본체유닛(100)을 향해 이동시키며, 상기 힌지이동부(260)의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100)을 향해 이동되면서 일측에서 힌지 결합된 상기 레그부(250)를 당겨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를 향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240)는 상기 바아부재(262)를 상기 착석공간의 상부에서 간단하게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힌지이동부(262)의 이동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는 장공(2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착석유닛(200)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바아부재(262)를 상기 본체유닛(100)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바아부재(262)와 연결된 상기 힌지이동부(260)의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100)을 향해 이동되며 상기 힌지이동부(260)의 일측에서 힌지 결합되는 상기 레그부(250)를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를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레그부(250)를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이동을 위해서 상기 시트부(240)를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를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시키면서 상기 시트부(240)를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본체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끈(W)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유닛(100)을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착석공간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부(210)와 상기 걸림부(220)를 통해서 상기 착석공간을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석유닛(200)은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시트부(240)가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유닛(200)의 회전축 양단에 구비된 상기 각도조절부(210)가 함께 회전되고, 상기 각도조절부(210)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부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곡률반경을 가지는 둘레에 턱(212)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210)를 향해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턱(212)을 향해 틸트되며 상기 각도조절부(210)의 회전을 고정하는 걸림부(220) 및 상기 걸림부(220)를 제어하여 상기 각도조절부(210)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3 조작부(23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각도조절부(210)은 상기 시트부(240)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고정할 수 있고, 상기 턱(212)을 향해 회전되는 상기 걸림부(220)의 일측이 상기 턱(212)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턱(212)의 회전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시트부(240)의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220)의 일측을 가압하는 스프링부재(2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조절부(210)는 상기 턱(212)을 향해 회전되는 상기 걸림부(22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기 각도조절부(210)는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220)의 타측과 제3 와이어부재(232)를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제3 조작부(230)를 통해서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와이어부재(232)는 상기 제3 조작부(2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조작부(230)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제3 와이어부재(232)는 상기 걸림부(220)의 타측을 당기게 되고,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제3 와이어부재(232)에 의해 상기 턱(212)의 회전경로에서 이탈되며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220)가 상기 각도조절부(210)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상기 제3 조작부(330)를 가압하면서 상기 시트부(240)를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시켜 상기 본체유닛(100)의 내측을 향해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100), 상기 착석유닛(200) 및 상기 지지유닛(300) 각각의 구성과 결합과 상황을 통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고 회수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본체유닛(100)을 휴대하면서 원하는 공간과 원하는 시간에 상기 착석공간을 언제든지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유닛(100)에는 우산(U)을 보관할 수 있는 우산보관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19 내지 도 20을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우산보관부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의 우산보관부의 이탈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본체유닛(100)에는 상기 사용자가 우기 시나 휴대를 위해서 상기 우산(U)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우산보관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산보관부(120)는 상기 본체유닛(100) 상부에서 상기 지면을 향해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우산(U)의 종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우산보관부(120)에는 상기 우산(U)을 향해 회전되어 상기 우산(U)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우산(U)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부재(122)가 상기 본체유닛(1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우산보관부(120)는 상기 착석유닛(200)의 공간을 방해하지 않도록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우산(U)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시트부(240) 하부에 상기 우산보관부(120)와 결합될 수 있는 보관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U)을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우산보관부(120)에 보관하고, 상기 시트부(240) 하부에 형성된 상기 보관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의 안락감을 향상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우산보관부(120)에 보관되는 상기 우산(U)은 상기 우산보관부(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이탈방지부재(122)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우산(U)에 의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우산보관부(120)는 일측이 상기 시트부(240)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보관결합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우산(U)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홀더(미도시)가 형성되어 갑작스럽게 비가 내리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우산(U)을 전개하여 상기 홀더에 장착하여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받은 상태에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우산보관부(120)는 상기 보관결합부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가 바람에 따라 상기 우산보관부(120)의 각도를 수정하여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비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본체유닛
120: 우산보관부 122: 이탈방지부재 140: 물병보관부
200: 착석유닛
210: 각도조절부 212: 턱
220: 걸림부 222: 스프링부재
230: 제3 조작부 232: 제3 와이어부재
240: 시트부 242: 장공
250: 레그부
260: 힌지이동부 262: 바아부재
270: 착석고정부
300: 지지유닛
310: 승강부 312: 홀
320: 고정부 322: 돌기부재
330: 제1 조작부 332: 제1 와이어부재
340: 링크부
350: 제2 조작부
352: 레버부재 354: 접철부재 356: 제2 와이어부재

Claims (21)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착석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에서 지면을 향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는 지지유닛;
    을 포함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면의 경사에 따라 상기 착석공간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길이가 가변되며, 상기 착석공간을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지면을 향해 길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유닛 측면에서 승강되는 승강부;
    상기 본체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또는 추출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고정부; 및
    상기 본체유닛에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고, 이동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고정부가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또는 추출되도록 제어하는 제1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는,
    상기 제1 조작부의 하부와 상기 고정부가 제1 와이어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틸트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와이어부재를 통해 상기 고정부를 삽입 또는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의 홀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를 향해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승강부를 서로 연결하는 링크부; 및
    상기 본체유닛에 상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링크부를 승강시키는 제2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본체유닛 상부에서 상기 링크부를 승강시키는 레버부재;
    복수의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힌지 결합되며 일측과 타측이 상기 본체유닛과 상기 링크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타측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슬라이딩되고, 일측과 타측이 서로 멀어지면서 상부를 향해 늘어나는 접철부재; 및
    상기 레버부재가 승강되면서 상기 접철부재의 일측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레버부재와 상기 접철부재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재는,
    한 쌍의 상기 판넬이 서로 교차되어 중앙부가 힌지 결합된 교차상태를 기본 단위로 하여 상기 링크부의 이동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인접한 상기 단위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유닛은,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도록 일측이 상기 본체유닛과 축 결합되어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유닛은,
    상기 축 양단에서 회전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일부가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곡률반경을 가지는 둘레에 턱이 형성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본체유닛에 상기 각도조절부를 향해 틸트 가능하게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턱을 향해 틸트되며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을 고정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제어하여 상기 각도조절부의 회전을 조절하는 제3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턱에 걸려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턱을 향해 틸트되는 일측이 상기 턱을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조작부는,
    상기 착석공간을 회수하는 경우, 상기 제3 조작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조작부가 가압되면서 상기 걸림부의 타측을 상기 본체유닛을 향해 당겨 상기 턱에서 상기 걸림부의 일측을 이탈시키는 제3 와이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석유닛은,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상기 착석공간을 제공하는 시트부;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면을 향해 회전되면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레그부; 및
    일단이 상기 레그부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시트부의 하부와 상기 본체유닛과 거리가 조절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이동부는,
    상기 본체유닛을 향해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레그부를 당겨 상기 시트부의 하부를 향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이동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힌지이동부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바아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바아부재를 상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이동부의 이동방향을 향해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우산을 수납할 수 있도록 우산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보관부는,
    상기 본체유닛의 상부에서 상기 지면을 향해 관통되고, 내측에 삽입된 상기 우산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유닛에서 상기 우산보관부를 향해 회전되어 상기 우산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이탈방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측면에 물병을 보관할 수 있도록 물병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병보관부는,
    상기 물병의 종류에 따라 상기 물병에 대응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착석공간이 제공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장비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개가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KR1020200017546A 2020-02-13 2020-02-13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KR10231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46A KR102314716B1 (ko) 2020-02-13 2020-02-13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PCT/KR2021/001734 WO2021162425A1 (ko) 2020-02-13 2021-02-09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JP2022545404A JP7373672B2 (ja) 2020-02-13 2021-02-09 展開可能な椅子が内蔵されたバッグ
US17/763,646 US11871837B2 (en) 2020-02-13 2021-02-09 Bag equipped with deployable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46A KR102314716B1 (ko) 2020-02-13 2020-02-13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58A true KR20210103158A (ko) 2021-08-23
KR102314716B1 KR102314716B1 (ko) 2021-10-19

Family

ID=7729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546A KR102314716B1 (ko) 2020-02-13 2020-02-13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1837B2 (ko)
JP (1) JP7373672B2 (ko)
KR (1) KR102314716B1 (ko)
WO (1) WO202116242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8Y1 (ko) * 2004-07-28 2004-10-21 임종국 접이식 의자가 부설된 배낭
US20100133303A1 (en) * 2008-12-03 2010-06-03 Robert Schilly Chair and pack frame combination
JP4540725B2 (ja) * 2008-06-11 2010-09-08 株式会社スワニー 折り畳み椅子を有する鞄
KR101144145B1 (ko) * 2010-06-12 2012-05-09 지형정 접이식 의자를 갖춘 배낭
US8820497B1 (en) * 2011-07-05 2014-09-02 Mike J. Goldsmith Sports bag with chai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174U (ja) 1983-07-13 1985-02-01 指田 庫吉 背負式魚釣装置
US4558807A (en) * 1984-03-21 1985-12-17 Jackson Andre J Umbrella holder
DE3502923A1 (de) * 1985-01-30 1986-07-31 Kay Beckmann Rucksack mit einem traggestell
US5374073A (en) * 1993-02-08 1994-12-20 Hung-Hsin; Hsieh Tractive baggage handcart
JP2001112541A (ja) 1999-08-11 2001-04-24 Itsusaku Hasui リュックサック
KR200195064Y1 (ko) 2000-04-01 2000-09-01 변운학 접철의자가 부설된 낚시가방
US6986445B1 (en) * 2000-07-14 2006-01-17 Stockman James A Backpack and chair apparatus
JP3099610U (ja) 2003-07-31 2004-04-15 株式会社スーパープランニング バッグ
US20050284510A1 (en) 2004-06-23 2005-12-29 David Rau [solomon rucksack]
KR200403400Y1 (ko) 2005-09-09 2005-12-09 (주)메이데이 수통 포켓이 구비된 배낭
US20090184143A1 (en) * 2008-01-17 2009-07-23 Witt Janice J V Multi-Use Carrying Bag With An Insulated Compartment
US8016089B1 (en) * 2009-12-01 2011-09-13 Mcnichols John P Combination suitcase and chair apparatus
US10070712B2 (en) * 2014-11-18 2018-09-11 Vicki C. Wronski Utility backpack
JP2017018546A (ja) 2015-07-09 2017-01-26 直樹 山谷 傘の柄の保持構造および傘の柄の保持構造のアクセサリ
US20190142124A1 (en) * 2017-11-12 2019-05-16 Becky Murch Luggage arrangement with an infant seat
US10820682B2 (en) * 2019-04-03 2020-11-03 Maurice Jones Folding chair framed backp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48Y1 (ko) * 2004-07-28 2004-10-21 임종국 접이식 의자가 부설된 배낭
JP4540725B2 (ja) * 2008-06-11 2010-09-08 株式会社スワニー 折り畳み椅子を有する鞄
US20100133303A1 (en) * 2008-12-03 2010-06-03 Robert Schilly Chair and pack frame combination
KR101144145B1 (ko) * 2010-06-12 2012-05-09 지형정 접이식 의자를 갖춘 배낭
US8820497B1 (en) * 2011-07-05 2014-09-02 Mike J. Goldsmith Sports bag with chai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73672B2 (ja) 2023-11-02
KR102314716B1 (ko) 2021-10-19
JP2023511447A (ja) 2023-03-17
US20220338611A1 (en) 2022-10-27
US11871837B2 (en) 2024-01-16
WO2021162425A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6911B2 (en) Wheelchair having an umbrella assembly
KR101237560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6179374B1 (en) Collapsible reclining beach chair
US5937882A (en) Umbrella with side support for tilting and opening
US6082813A (en) Foldable chair
CN102151027B (zh) 座位结构及其使用方法
US6471289B2 (en) Chair umbrella
US5887771A (en) Back supported umbrella holder
US8061766B2 (en) Foldable chair
EP1516565B1 (en) A sunshade
US20040178665A1 (en) Folding, portable leisure chair
US20210153656A1 (en) Folding chair
CN105358405B (zh) 儿童推车
KR102314716B1 (ko) 전개 가능한 의자가 내장된 가방
CN109070955A (zh) 婴儿车履带系统
CN104272007A (zh) 夹紧装置
US11013303B2 (en) Umbrella assembly set up devices
US20070262102A1 (en) Chair conversion device for a backpack
JP2001525291A (ja) 小型折りたたみ式子供用乳母車
KR20100099476A (ko) 의자가 일체로 구비되는 낚시가방
US20230217891A1 (en) Pet Stroller with Entrance Arrangement
US7195310B2 (en) Collapsibl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CN209519001U (zh) 具有可伸缩轮的轮椅及轮椅系统
JP2003061721A (ja) 携帯用椅子兼用杖
KR102507623B1 (ko)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