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471A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Google Patents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00471A KR20210100471A KR1020200014500A KR20200014500A KR20210100471A KR 20210100471 A KR20210100471 A KR 20210100471A KR 1020200014500 A KR1020200014500 A KR 1020200014500A KR 20200014500 A KR20200014500 A KR 20200014500A KR 20210100471 A KR20210100471 A KR 2021010047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istor
- signal
- electric vehicle
- switching element
- end conn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는 배터리 충전을 위하여 충전소에 설치된 전기 자동차 충전 설비(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를 이용한다.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Vehicles (EVs) o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PHEVs) us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installed at charging stations to charge batteries. .
이를 위하여,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는 EV 내에 탑재되며, EV 및 EVSE와 통신하며,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제어한다.To this end,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is mounted in the EV, communicates with the EV and the EVSE, and controls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예를 들어, EVCC가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로부터 충전 종료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VCC receives a signal instructing the start of 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control to start charging, and when receiving a signal instructing the end of charging from the electric vehicle, it can control to end charging.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은 충전 시간에 따라 급속 충전과 완속 충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급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되고, 완속 충전의 경우에는 충전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류에 의하여 배터리가 충전된다. 따라서 급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급속 충전기 또는 직류 충전기라 칭하고, 완속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기를 완속 충전기 또는 교류 충전기라 칭한다. The charging method of an electric vehicle may be divided into fast charging and slow charging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In the case of rapid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DC current supplied from the charger, and in the case of slow charging,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AC current supplied to the charger. Therefore, a charger used for fast charging is called a fast charger or a DC charger, and a charger used for slow charging is called a slow charger or an AC charger.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는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면서 복수 단계의 충전 시퀀스를 수행한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는 복수의 신호선을 통해 충전 시퀀스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기 자동차 충전에는 고압 전력이 이용되므로, 신호선을 따라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해 높은 정확성이 요구된다. 충전 시스템의 개선에 따라 회로 일부가 변경되어 신호의 크기 등이 변경되는 경우 충전 시퀀스는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충전 시스템이 개선될 때마다 개선된 회로가 적용된 부품으로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Electric vehicle power supplies and electric vehicles perform a multi-step charging sequence while monitoring safety.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according to the charging sequence through a plurality of signal lines. Since high voltage power is used to charge electric vehicles, high accuracy is required for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along signal lines. When a part of the circu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charging system and the signal level is changed, the charging sequence is not performed. Therefore, whenever the charging system is improved, there arises a problem of having to change to a component to which the improved circuit is applied.
실시 예는 호환성이 높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with high compatibility.
실시 예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사이의 신호선 연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capable of detecting a signal line connection state between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ving means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also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와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고,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신호 감지 장치로 전송하는 스위치 장치; 그리고 복수의 스위칭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1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부;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2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device connected to a signal sensing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rough a signal line, generating a charging per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to the signal detect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wherein the signal sens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includes a first resist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and the switch device includes: a first signal unit including one switching element and configured to turn 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based on a first switching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and a second signal unit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urning on a second switching element based on a second switching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The first signal unit or the second signal unit generates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sistance value.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 장치는,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signal sens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includes a first resist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and the switching device includes the first signal unit or the second signal unit according to a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may be genera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여 상기 제1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turns 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hrough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signal may be turned off to control the first signal unit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값보다 크고 제3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제2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the controller turns of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through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a second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signal A switching element may be turned on to control the second signal unit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부에 포함된 노드(node)의 노드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 자동차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receives a node voltage of a node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unit or the second signal unit, and makes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state can be detec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pen state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first voltage ran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1 전압 범위보다 큰 제2 전압 범위 또는 제4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접촉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second voltage range or a four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 contact fail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 전압 범위와 상기 제4 전압 범위 사이의 제3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 normal state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third voltage range between the second voltage range and the fourth voltage ran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4 전압 범위보다 큰 제5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과전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vervoltage state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fif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ourth voltage range.
상기 제1 신호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저항; 제1단이 상기 제2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unit may include: a first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thir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first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and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상기 제2 신호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5 저항; 제1단이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6 저항; 제1단이 상기 제6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7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ignal unit may include: a second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ix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and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A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and a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5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3 저항은, 상기 제6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저항은, 상기 제7 저항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resistor may have a resistance value greater than that of the fifth resistor, the third resistor may have a resistance value greater than the sixth resistor, and the fourth resistor may have a resistance value less than that of the seventh resistor.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와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는 스위치 장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 장치와 연결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저항; 제1단이 상기 제2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신호부; 그리고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5 저항; 제1단이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6 저항; 제1단이 상기 제6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7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신호부;를 포함한다.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 device connected to a signal sensing device of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rough a signal line; and a microcontroller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wherein the signal sensing device includes a first resist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wherein the switch device has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 first switching element having a third stag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thir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first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ourth resistor and a first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ix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signal unit includ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and a second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실시 예에 따르면, 호환성이 높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with high compatibility.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사이의 신호선 연결 상태에 대한 검출이 가능하다.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signal lin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제4 신호선 및 신호 감지 장치 사이의 회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4 신호선 및 신호 감지 장치 사이의 회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1 구동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2 구동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부의 제1 노드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부의 제2 노드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a fourth signal line of FIG. 3 and a signal sensing devic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the fourth signal line of FIG. 3 and the signal sensing device.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irst driving example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ond driving example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 detected at a first node of a first sig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 detected at a second node of a second sig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embodiments described,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among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and substitu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one or mor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with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a case of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he top (above) or bottom (below) is one as well as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another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동작하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을 위한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system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 vehicle that operates by using electric energy as pow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및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10) and an electric vehicle (Electric Vehicle, EV, 20).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AC 또는 DC 전력을 공급하는 설비이며, 충전소에 배치되거나, 가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휴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충전소(supply), AC 충전소(AC supply) 및 DC 충전소(DC supply) 등과 혼용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 측으로부터 AC 또는 DC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주전원은 전력 계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또는 DC 전력을 변압하거나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20)는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에너지의 전부 혹은 일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자동차를 의미한다. 전기 자동차(20)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만으로 주행하는 전기 자동차뿐만 아니라, 화석 연료를 이용하는 엔진을 병행하여 주행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20)에 구비된 배터리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케이블(50, cable), 커넥터(51, connector), 인렛(52, inlet), 정션 박스(100, junction box),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배터리(300),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및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 Electric Power Control Unit, EPCU)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측(EVSE side)의 구성과 전기 자동차(20) 측(EV side)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측의 구성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케이블(50) 및 커넥터(51)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측의 구성은 인렛(52), 정션 박스(100),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배터리(300),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및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10,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EVSE), a cable (50, cable), a connector (51, connector), an inlet (52, inlet), and a junction. A box (100, junction box),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200,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EVCC), a battery (300), a battery management system (400,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and an integrated power control device (500, Electric Power) Control Unit, EPCU). A configuration included in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may be divided into a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우선,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30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예를 들어, 전력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전기 자동차(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감압하거나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AC 전력을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전력을 변압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DC 전력을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하는 경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주전원으로부터 공급받은 AC 전력을 DC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에 공급할 수 있다. 전력의 변압이나 변환을 위하여,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력 변환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정류기(rectifier), 절연 변압기(isolation transformer), 인버터(inverter), 컨버터(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300)를 충전하는데 필요한 다양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충전 제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장치는 전기 자동차(20)와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충전 준비, 충전 종료, 근접 검출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제어장치는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장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계측 제어기 통신망(controller area network, CAN) 등을 이용하여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장치는 충전 제어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별도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 vehicle
다음으로, 케이블(50), 커넥터(51) 및 인렛(52)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Next, the cable 50 , the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20) 사이에서 전력 및 신호를 전달한다. 케이블(50)은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선, 충전에 관련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 접지를 연결하는 접지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ble 50 transfers power and signals between the electric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케이블(50)은 별도의 연결 구성 없이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케이블(50)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구비된 소켓-아웃렛(socket-outlet)과 케이블(50)에 구비된 플러그(plug)의 결합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cable 5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커넥터(51)는 케이블(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렛(52)은 전기 자동차(20)에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51)와 인렛(52)을 묶어 커플러(coupler)로 명명할 수 있다. 커넥터(51)와 인렛(52)은 서로 결합 가능한 구조로서, 커넥터(51)와 인렛(52)의 결합을 통해 전기 자동차(20)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렛(52)과 커넥터(51)는 직접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댑터(adaptor)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The
커넥터(51)와 인렛(5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복수의 핀(pin)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사이에 CP(Control Pilot) 신호가 전송되는 CP 포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커넥터(51)와 인렛(52)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PD(Proximity Detection) 포트용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10)의 보호 접지와 연결되는 보호 접지(Protective Earth, PE) 포트용 핀일 수 있다. 복수의 핀 중 또 다른 하나는 주유구 플랩(flap)을 열기 위한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모터를 센싱하기 위한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온도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엘이디 센싱을 위한 핀일 수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캔(CAN) 통신을 위한 핀일 수 있다. 복수의 핀 중 하나는 전기 자동차(20) 내 충돌 감지 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전압 라인용 핀일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전기 자동차(20)에 충전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핀일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는 고전압 보호용 핀일 수 있다. 그러나, 핀의 개수 및 기능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정션 박스(1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배터리(300)에 전달한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고전압으로서 이를 배터리(300)에 직접 공급하게 되면 돌입 전류로 인하여 배터리(300)가 손상될 수 있다. 정션 박스(100)는 돌입 전류에 의한 배터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relay)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프로세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통신 컨트롤러(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EVCC)로 명명될 수도 있다. The electric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구비된 충전 제어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며,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The electric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와 통신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과 통신할 수 있으며,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으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전기 자동차(20)의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로부터 배터리 충전 프로세스에 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The electric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 MCU), 통신 장치, 릴레이 장치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electric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전기 자동차(20) 내 배터리(300)의 에너지 상태를 관리한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배터리(300)의 사용 현황을 모니터링하고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를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전기 자동차(20)의 가용 전력 상황을 차량 통합 제어기 및 인버터 등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은 배터리(300)의 각 셀 당 전압 편차를 보정하거나 배터리(300)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냉각팬을 구동할 수 있다. The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는 모터의 제어를 포함하여 전기 자동차의 전반적인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통합 전력 제어 장치(500)는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Unit, MCU), 저전압 직류 변환 장치(Low Voltage DC-DC Converter, LDC), 차량 통합 제어기(Vehicle Control Unit, VCU)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제어 장치는 인버터(Inverter)로 명명될 수 있다. 모터 제어 장치는 배터리로부터 직류 전원을 수신하여 3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킬 수 있으며, 차량 통합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압 직류 변환 장치는 고전압 전원을 저전압(예를 들어, 12[V])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 자동차(20)의 각 부품에 공급할 수 있다. 차량 통합 제어기는 전기 자동차(20) 전반에 관한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차량 통합 제어기는 모터 제어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400) 등 다양한 장치들과 함께 충전, 주행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integra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 커넥터(51), 인렛(52) 및 전기 자동차(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ic vehicle
우선,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과부하 차단기(RCBO1, RCBO2), 전력변환장치(PCS), 절연 감시 장치(CT), 통신 장치(COM1), 복수의 전력선(DC+, DC-), 복수의 신호선(C1 내지 C6) 및 접지선(FE)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력선(DC+, DC-), 복수의 신호선(C1 내지 C6) 및 접지선(FE)은 커넥터(51)와 인렛(52)의 결합을 통해 전기 자동차(20)로 연장될 수 있다. First, the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전력계통으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교류 전력은 과부하 차단기(RCBO1, RCBO2)를 통과할 수 있다. 과부하 차단기(RCBO1, RCBO2)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과부하 발생 시 교류 전력의 수신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과부하 차단기(RCBO1)를 통과한 교류 전력은 전력변환장치(PCS)에 입력되며, 직류 전력으로 변환된다. 전력변환장치(PCS)는 2개의 전력선(DC+, DC-)을 통해 전기 자동차(20)로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2개의 전력선(DC+, DC-) 중 제1 전력선(DC+)에는 전기 자동차(20)로부터의 역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다이오드(a)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력선(DC-)에는 전기 자동차(20)로부터 인가된 과전압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한 퓨즈(u)가 배치될 수 있다. AC power passing through the overload circuit breaker (RCBO1) is input to the power conversion device (PCS), and is converted into DC power. The power converter (PCS) supplies DC power to the
절연 감시 장치(CT)는 2개의 전력선(DC+, DC-)과 접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절연 감시 장치(CT)는 2개의 전력선(DC+, DC-)의 절연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The insulation monitoring device (C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wo power lines (DC+, DC-) and the ground. The insulation monitoring device CT may monitor the insulation state of the two power lines DC+ and DC-.
제1 신호선(C1) 및 제2 신호선(C2)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시작/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신호선(C1) 및 제2 신호선(C2)은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서 전기 자동차(20)로 충전 준비(ready to charge) 및 충전 종료(end of charge)와 같은 충전 시퀀스 신호(charge sequence signal)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신호선(C1)의 일단에는 12[V] 크기의 전원이 연결되고, 제2 신호선(C2)의 일단에는 접지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신호선(C1) 및 제2 신호선(C2)에 2개의 스위치 장치(d1, d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2개의 스위치 장치(d1, d2)는 온오프 동작을 통해 충전 시퀀스 신호를 전기 자동차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line C1 and the second signal line C2 may mean signal lines indicating a start/stop state of the electric vehicle
제3 신호선(C3)은 커넥터(51)와 인렛(52)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신호선(C3)은 커넥터(51)와 인렛(52)의 연결 상태에 따른 근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3 신호선(C3)의 일단은 제2 신호선(C2)과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signal line C3 may mean a signal line indic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제4 신호선(C4)은 전기 자동차(20)에 대한 충전 허가를 승인하는 신호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신호선(C4)은 전기 자동차(20)에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 충전 개시 또는 충전 정지와 같은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4 신호선(C4)은 신호 감지 장치(j)와 연결되며, 신호 감지 장치(j)는 제4 신호선(C4)을 통해 전송된 제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The fourth signal line C4 may mean a signal line for approving charging permission for the
제5 신호선(C5) 및 제6 신호선(C6)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신호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제5 신호선(C5) 및 제6 신호선(C6)은 통신 장치(COM1)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fth signal line C5 and the sixth signal line C6 may mean signal lines for data communication. The fifth signal line C5 and the sixth signal line C6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device COM1 .
다음으로, 전기 자동차는 정션 박스(100),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 및 배터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20)는 복수의 전력선(DC+, DC-), 복수의 신호선(C1 내지 C6) 및 접지선(FE)을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electric vehicle may include the
정션 박스(100)는 2개의 전력선(DC+, DC-)과 연결될 수 있다. 정션 박스(100)는 2개의 전력선(DC+, DC-) 각각에 배치된 2개의 접촉기(contactor, c)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접촉기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에 의해 온오프될 수 있다. 정션 박스(100)는 2개의 전력선(DC+, DC-)을 통해 배터리(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부터 수신한 직류 전력을 배터리(300)에 전달하여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릴레이 장치(e), 복수의 신호 감지 장치(f, g, h), 스위치(k) 및 통신 장치(COM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복수의 신호선(C1 내지 C6) 및 접지선(FE)과 연결될 수 있다. The electric
릴레이 장치(e)는 제1 신호선(C1) 및 제2 신호선(C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릴레이 장치(e)의 일단은 제2 신호선(C2)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 신호선(C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릴레이 장치(e)의 타단과 제1 신호선(C1) 사이에는 2개의 접촉기(c)가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e)는 개폐동작을 통해 2개의 접촉기(c)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The relay device (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gnal line (C1) and the second signal line (C2). Specifically, one end of the relay device 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gnal line C2 ,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line C1 . In this case, two contactors c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relay device e and the first signal line C1 . The relay device (e)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two contactors (c) through an opening/closing operation.
제1 신호 감지 장치(f) 및 제2 신호 감지 장치(g)는 제1 신호선(C1) 및 제2 신호선(C2)에 각각 연결된다. 2개의 신호 감지 장치(f, g)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 구비된 2개 스위치 장치(d1, d2)의 턴온시 발생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2개의 신호 감지 장치(f, g)는 감지된 신호를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에 포함된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차량 통합 제어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signal detecting device f and the second signal detecting device g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ignal line C1 and the second signal line C2. The two signal sensing devices f and g may detect a signal generated when the two switch devices d1 and d2 provided in the electric vehicle
제3 신호 감지 장치(h)는 제3 신호선(C3)과 연결된다. 제3 신호 감지 장치(h)는 커넥터(51)와 인렛(52)의 연결 상태를 감지하는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The third signal sensing device h is connected to the third signal line C3. The third signal detecting device h may detect a signal for detec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스위치(k)는 제4 신호선(C4)에 연결된다. 스위치(k)가 턴온됨으로써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로 충전 시작을 알리는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The switch k is connected to the fourth signal line C4. When the switch k is turned on, a signal indicating the start of charging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통신 장치(COM2)는 제5 신호선(C5) 및 제6 신호선(C6)과 연결된다. 통신장치(COM2)는 제5 신호선(C5) 및 제6 신호선(C6)을 통해 통신 장치(COM1)와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device COM2 is connected to the fifth signal line C5 and the sixth signal line C6 . The communication device COM2 may communicate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COM1 through the fifth signal line C5 and the sixth signal line C6 .
도 4는 도 3의 제4 신호선 및 신호 감지 장치 사이의 회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제4 신호선 및 신호 감지 장치 사이의 회로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a fourth signal line of FIG. 3 and a signal sensing device. 5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between the fourth signal line of FIG. 3 and the signal sensing device.
도 4는 전기 자동차 표준 충전 규격인 CHAdeMO 0.9에서의 회로 구성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서 제4 신호선(C4)과 연결된 신호 감지 장치(j)는 옵토 커플러(optocoupler)와 제1 저항(RA)을 포함할 수 있다. 옵토 커플러의 제1단에는 12[V] 크기의 전압이 연결될 수 있고, 제2단에는 제1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4 신호선(C4)은 커플러의 핀(6)을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의 스위치 장치(k)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저항(RA)의 크기는 264[Ω] 이하이어야 하고, 제4 신호선(C4)에 흐르는 전류는 50[mA] 이하이어야 한다. 4 may be a circuit configuration in CHAdeMO 0.9, which is a standard charging standard for an electric vehicle. Referring to FIG. 4 , the signal sensing device j connected to the fourth signal line C4 in the electric
도 5는 전기 자동차 표준 충전 규격인 CHAdeMO 1.0에서의 회로 구성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에서 제4 신호선(C4)과 연결된 신호 감지 장치(j)는 옵토 커플러와 제1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옵토 커플러의 제1단에는 12[V] 크기의 전압이 연결될 수 있고, 제2단에는 제1 저항이 연결될 수 있다. 제4 신호선(C4)은 커플러의 핀(6)을 통해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제4 신호선(C4)에 저항(RB)과 스위치 장치(k)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저항(RA)은 1k[Ω], 저항(RB)은 200[Ω]이어야 하고, 제4 신호선(C4)에 흐르는 전류는 11[mA] 이하이어야 한다. 5 may be a circuit configuration in CHAdeMO 1.0, which is a standard charging standard for an electric vehicle. Referring to FIG. 5 , the signal sensing device j connected to the fourth signal line C4 in the electric
이와 같이, 도 4와 도 5에서 설명한 회로 구성의 경우, 제4 신호선(C4)에서 허용하는 최대 전류값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표준 규격인 CHAdeMO 0.9와 CHAdeMO 1.0에서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전기 자동차 표준 규격인 CHAdeMO 0.9와 CHAdeMO 1.0에서 전기 자동차는 서로 다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를 구비해야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the maximum current allowed by the fourth signal line C4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electric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스위치 장치(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고, 스위치 장치(210)는 제1 신호부(211) 및 제2 신호부(2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 the electric
스위치 장치(21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와 신호선을 통해 연결된다. 스위치 장치(210)는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여 신호 감지 장치로 전송한다. The
스위치 장치(210)는 제1 신호부(211) 및 제2 신호부(212)를 포함한다. The
제1 신호부(211)는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1 신호부(211)는 제어부(220)가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1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함으로써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The
제2 신호부(212)는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제2 신호부(212)는 제어부(220)가 출력하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2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함으로써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The
제1 신호부(211)와 제2 신호부(212)는 선택적으로 동작한다. 즉, 제1 신호부(211)가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면, 제2 신호부(212)는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반대로, 제1 신호부(211)가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지 않으면, 제2 신호부(212)는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한다. 다시 말하면, 제1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면, 제2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된다. 그리고, 제1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1 스위칭 소자가 턴오프되면, 제2 스위칭 신호에 의해 제2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다. The
제어부(220)는 복수의 스위칭 신호를 통해 스위치 장치(210)를 제어한다. 제어부(220)는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에 포함된 제1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스위치 장치(210)의 스위칭 소자를 제어한다. The
제어부(220)는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고,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여 제1 신호부(211)가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제어부(220)는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제2 기준값보다 크고 제3 기준값보다 작으면,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고,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제2 신호부(212)가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the
제어부(220)는 제1 신호부(211) 또는 제2 신호부(212)의 노드 전압을 수신하고, 노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 자동차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The
일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방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보다 큰 제2 전압 범위 또는 제4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접촉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2 전압 범위와 제4 전압 범위 사이의 제3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220)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4 전압 범위보다 큰 제5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과전압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when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first voltage range, the
제어부(220)는 전기적 연결 상태의 검출 결과를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전기적 연결 상태의 검출 결과를 전기 자동차 내 배터리 관리 시스템, 통합 전력 관리 장치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220)는 전기적 연결 상태의 검출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제어부(2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MCU)로 구현될 수 있다.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200)는 스위치 장치(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하며, 스위치 장치(210)는 제1 신호부(211) 및 제2 신호부(212)를 포함한다. The electric
제1 신호부(211)는 제1 스위칭 소자(Q1), 제2 저항(RB), 제3 저항(RC), 제4 저항(RD) 및 제1 다이오드(D1)를 포함한다. The
제1 스위칭 소자(Q1)는 제1단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제1 저항(RA)과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Q1)는 제2단이 제2 저항(RB)의 제1단에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Q1)는 제3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된다. 제1 스위칭 소자(Q1)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일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는 컬렉터(collector) 단자, 이미터(emitte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의 컬렉터 단자는 제1 저항(RA)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스위칭 소자(Q1)의 이미터 단자는 제2 저항(RB)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 단자는 제어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has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RA of the electric
제2 저항(RB)은 제1단이 제1 스위칭 소자(Q1)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2 저항(RB)은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제2 저항(RB)은 제2단이 제3 저항(RC)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second resistor RB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RB is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RB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제3 저항(RC)은 제1단이 제2 저항(RB)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3 저항(RC)은 제1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C)은 제2단이 제4 저항(RD)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C)은 제2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저항(RC)은 제2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RB. A first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D.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may be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may be connected to the
제4 저항(RD)은 제1단이 제3 저항(RC)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4 저항(RD)은 제1단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D)은 제1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RD)은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D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The fourth resistor RD may have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D may be connected to the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4 저항(RD)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D1)는 캐소드 단자가 제어부(220)와 연결된다. 제1 다이오드(D1)는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RD. The first diode D1 has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3 저항(RC)의 제2단, 제4 저항(RD)의 제1단 및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는 제1 노드를 통해 연결된다. 제1 노드는 제어부(220)와 연결되며, 제어부(220)는 제1 노드의 노드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RC, the first end of the fourth resistor RD,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node. The first node is connected to the
제2 신호부(212)는 제2 스위칭 소자(Q2), 제5 저항(RE), 제6 저항(RF), 제7 저항(RG)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한다. The
제2 스위칭 소자(Q2)는 제1단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제1 저항(RA)과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Q2)는 제2단이 제5 저항(RE)의 제1단에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Q2)는 제3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된다. 제2 스위칭 소자(Q2)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는 컬렉터(collector) 단자, 이미터(emitter) 단자 및 베이스(base)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의 컬렉터 단자는 제1 저항(RA)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의 이미터 단자는 제5 저항(RE)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스위칭 소자(Q2)의 베이스 단자는 제어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has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RA of the electric
제5 저항(RE)은 제1단이 제2 스위칭 소자(Q2)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5 저항(RE)은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제5 저항(RE)은 제2단이 제6 저항(RF)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fifth resistor RE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A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RE is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E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제6 저항(RF)은 제1단이 제5 저항(RE)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6 저항(RF)은 제1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제6 저항(RF)은 제2단이 제7 저항(RG)의 제1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저항(RF)은 제2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6 저항(RF)은 제2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A first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RE. A first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may be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nd of the seventh resistor RG.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may be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may be connected to the
제7 저항(RG)은 제1단이 제6 저항(RF)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7 저항(RG)은 제1단이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제7 저항(RG)은 제1단이 제어부(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7 저항(RG)은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A first end of the seventh resistor RG is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A first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RG may be connected to a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 first end of the seventh resistor RG may be connected to the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제7 저항(RG)의 제2단과 연결된다. 제2 다이오드(D2)는 캐소드 단자가 제어부(220)와 연결된다. 제2 다이오드(D2)는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된다.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RG. The second diode D2 has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th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6 저항(RF)의 제2단, 제7 저항(RG)의 제1단 및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는 제2 노드를 통해 연결된다. 제2 노드는 제어부(220)와 연결되며, 제어부(220)는 제2 노드의 노드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RF, the first end of the seventh resistor RG,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r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node. The second node is connected to the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7 저항(RA 내지 RG)의 저항값을 나타낸다. Table 1 below shows resistance values of the first to seventh resistors RA to R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을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제1 저항(RA)은 1k[Ω] 또는 264[Ω] 크기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first resistor RA of the electric
제1 신호부(211)와 제2 신호부(212)는 서로 대응하는 회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저항(RB)은 제5 저항(RE)에 대응하고, 제3 저항(RC)은 제6 저항(RF)에 대응하고, 제4 저항(RD)은 제7 저항(RG)에 대응할 수 있다. 다만, 대응하는 저항의 저항값은 상이할 수 있다. 이는, 제1 저항(RA)의 저항값에 따라 제1 신호부(211)와 제2 신호부(212)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더라도 연결 상태에 따라 제1 노드 또는 제2 노드에서 동일한 노드 전압이 제어부(220)에 입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제2 저항(RB)은 제5 저항(RE)보다 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신호부(211)의 제2 저항(RB)은 200[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신호부(212)의 제5 저항(RE)은 200[Ω] 보다 큰 1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resistor RB may have a higher resistance than the fifth resistor RE. The second resistance RB of the
제3 저항(RC)은 제6 저항(RF)보다 큰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신호부(211)의 제3 저항(RC)은 1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신호부(212)의 제6 저항(RF)은 1000[Ω]보다 큰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e third resistor RC may have a higher resistance than the sixth resistor RF. The third resistor RC of the
제4 저항(RD)은 제7 저항(RG)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제1 신호부(211)의 제4 저항(RD)은 10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고, 제2 신호부(212)의 제7 저항(RG)은 10k[Ω]보다 작은 2.4k[Ω]의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The fourth resistor RD may have a smaller value than the seventh resistor RG. The fourth resistor RD of th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1 구동예이다.8 is a first driving example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제1 구동예는 제1 신호부 (211)를 통해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전류 흐름을 나타낸다.The first driving example shown in FIG. 8 represents a current flow when a charging permission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제1 저항(RA)과 충전 허가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의 회로로 구성되는 신호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회로는 제1 저항(RA)의 제1단과 연결되며, 소정의 회로에 연결된 전압원을 통해 제1 저항(RA)에 전압이 인가된다. 전압원은 소정의 회로를 거쳐 제1 저항(RA)에 전압을 인가하므로, 전압원의 전압은 소정의 회로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제1 구동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Q1)는 턴온되고 제2 스위칭 소자(Q2)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신호 감지 장치의 전압원에 의한 전류(I1)는 제2 내지 제4 저항(RD)에 흐르며, 제5 내지 제7 저항(RG)에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신호 감지 장치는 제2 내지 제4 저항(RD)에 의해 생성된 충전 허가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In the first driving exampl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ff. Accordingly, the current I1 by the voltage source of the signal sens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제1 다이오드(D1)의 경우, 캐소드 단자가 제2 저항(RB)의 제2단과 연결되므로, 전류(I1)가 흐르지 않는다. 다만, 제1 다이오드(D1)에 인가된 전압이 제1 다이오드(D1)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넘는 경우, 전기 저항이 파괴되어 전류(I1)가 흐르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입 전류와 같은 과도 전류가 제1 신호부(211)에 인가되어 제1 다이오드(D1)에 항복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1 다이오드(D1)는 전기 저항이 파괴되며 접지단자로 전류(I1)가 흐르게 된다. 이는 돌입 전류와 같은 과도 전류에 의해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제어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the case of the first diode D1, since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B, the current I1 does not flow. However,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diode D1 exceeds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first diode D1,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broken and the current I1 f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ransient current such as a rush current is applied to th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제2 구동예이다. 9 is a second driving example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는 제1 저항(RA)과 충전 허가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소정의 회로로 구성되는 신호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회로는 제1 저항(RA)의 제1단과 연결되며, 소정의 회로에 연결된 전압원을 통해 제1 저항(RA)에 전압이 인가된다. 전압원은 소정의 회로를 거쳐 제1 저항(RA)에 전압을 인가하므로, 전압원의 전압은 소정의 회로에 의한 전압 강하가 발생할 수 있다. The electric vehicle
제2 구동예에서 제1 스위칭 소자(Q1)는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칭 소자(Q2)는 턴온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신호 감지 장치의 전압원에 의한 전류(I2)는 제2 내지 제4 저항(RD)에는 흐르지 않으며, 제5 내지 제7 저항(RG)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10)의 신호 감지 장치는 제5 내지 제7 저항(RG)에 의해 생성된 충전 허가 신호를 감지하게 된다. In the second driving exampl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Q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Q2 is turned on. Accordingly, the current I2 by the voltage source of the signal sens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제2 다이오드(D2)의 경우, 캐소드 단자가 제2 저항(RB)의 제2단과 연결되므로, 전류(I2)가 흐르지 않는다. 다만, 제2 다이오드(D2)에 인가된 전압이 제2 다이오드(D2)의 항복 전압(breakdown voltage)을 넘는 경우, 전기 저항이 파괴되어 전류(I2)가 흐르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입 전류와 같은 과도 전류가 제2 신호부(212)에 인가되어 제2 다이오드(D2)에 항복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제2 다이오드(D2)는 전기 저항이 파괴되며 접지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는 돌입 전류와 같은 과도 전류에 의해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 단자에 연결된 제어부(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diode D2, since the cathod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resistor RB, the current I2 does not flow. However,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diode D2 exceeds the breakdown voltage of the second diode D2 ,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broken and the current I2 flow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a transient current such as an inrush current is applied to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부의 제1 노드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 detected at a first node of a first sig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제1 신호부의 제1 스위칭 신호가 턴온되고 제2 신호부의 제2 스위칭 신호가 턴오프 되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10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signal part is turned on and the second switching signal of the second signal part is turned off.
제어부는 제3 저항(RC), 제4 저항(RD) 및 제1 다이오드(D1)가 연결되는 제1 노드(a)로부터 노드 전압(Va)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node voltage Va from the first node a to which the third resistor RC, the fourth resistor RD, and the first diode D1 are connected.
아래의 수학식 1은 제1 노드(a)에서 검출되는 노드 전압(Va)을 나타낸다. Equation 1 below represents the node voltage Va detected at the first node a.
아래의 표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값 및 전압값을 나타낸다. Table 2 below shows resistance values and voltage valu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표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압(Vs)이 12[V]이고, 제1 저항(RA)이 1k[Ω], 제2 저항(RB)이 200[Ω], 제3 저항(RC)이 1k[Ω], 제4 저항(RD)이 10k[Ω]인 경우, 수학식 1에 따르면 제1 노드(a)의 노드 전압(Va)은 대략 1.8[V]가 된다. 즉, 제1 수신부가 정상적으로 구동하여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는 대략 1.8[V]의 노드 전압(Va)을 입력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voltage (Vs) is 12 [V], the first resistor (RA) is 1k [Ω], the second resistor (RB) is 200 [Ω], the third resistor (RC) is 1k When [Ω] and the fourth resistor RD are 10k [Ω], according to Equation 1, the node voltage Va of the first node a becomes approximately 1.8 [V]. That is, when the first receiver operates normally to generate a charging permission signal,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node voltage Va of approximately 1.8 [V].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호부의 제2 노드에서 검출되는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voltage detected at a second node of a second sign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제1 신호부의 제1 스위칭 신호가 턴오프되고 제2 신호부의 제2 스위칭 신호가 턴온되는 경우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다. 11 shows a circuit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switching signal of the first signal part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switching signal of the second signal part is turned on.
제어부는 제6 저항(RF), 제7 저항(RG) 및 제2 다이오드(D2)가 연결되는 제2 노드(b)로부터 노드 전압(Vb)을 입력받을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receive the node voltage Vb from the second node b to which the sixth resistor RF, the seventh resistor RG, and the second diode D2 are connected.
아래의 수학식 1은 제2 노드(b)에서 검출되는 노드 전압(Vb)을 나타낸다. Equation 1 below represents the node voltage Vb detected at the second node b.
아래의 표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값 및 전압값을 나타낸다. Table 3 below shows resistance values and voltage value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표 2에 도시된 것처럼, 전압(Vs)이 12[V]이고, 제1 저항(RA)이 264[Ω], 제5 저항(RE)이 1k[Ω], 제6 저항(RF)이 1k[Ω], 제7 저항(RG)이 2.4k[Ω]인 경우, 수학식 1에 따르면 제1 노드의 노드 전압(Vb)은 대략 1.8[V]가 된다. 즉, 제2 수신부가 정상적으로 구동하여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는 대략 1.8[V]의 노드 전압(Vb)을 입력받을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2, the voltage (Vs) is 12 [V], the first resistor (RA) is 264 [Ω], the fifth resistor (RE) is 1k [Ω], the sixth resistor (RF) is 1k When [Ω] and the seventh resistor RG are 2.4 k[Ω], according to Equation 1, the node voltage Vb of the first node becomes approximately 1.8 [V]. That is, when the second receiver operates normally to generate a charging permission signal, the controller may receive a node voltage Vb of approximately 1.8 [V].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tec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an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는 제1 수신부 또는 제2 수신부로부터 입력된 노드 전압의 전압 크기를 통해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detect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based on the voltage level of the node voltage input from the first receiver or the second receiver.
제어부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방 상태(open case)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압 범위는 제0 전압(V0)보다 크고 제1 전압(V1)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0 전압(V0)은 0[V]일 수 있다. When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first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pen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voltage range may mean a range greater than the zeroth voltage V0 and smaller than the first voltage V1. The zeroth voltage V0 may be 0 [V].
제어부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보다 큰 제2 전압 범위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접촉 불량(out of case)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압 범위는 0[V]보다 크고 제1 전압(V1)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하고, 제2 전압 범위는 제1 전압(V1)보다 크고 제2 전압(V2)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second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ut of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voltage range means a range greater than 0 [V] and less than the first voltage V1, and the second voltage range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1 and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2. It can mean a small range.
제어부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2 전압 범위보다 큰 제3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정상 상태(normal status)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압 범위는 제1 전압(V1)보다 크고 제2 전압(V2)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하고, 제3 전압 범위는 제2 전압(V2)보다 크고 제3 전압(V3)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전압 범위는 제1 수신부 또는 제2 수신부가 정상 동작할 때 검출될 수 있는 1.8[V] 값을 포함하는 범위일 수 있다.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third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 normal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voltage range means a range that is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V1 and less than the second voltage V2, and the third voltage range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2 and the third voltage V3. ) can mean a smaller range. The third voltage range may be a range including a value of 1.8 [V] that may be detected when the first receiver or the second receiver normally operates.
제어부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3 전압 범위보다 큰 제4 전압 범위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접촉 불량(out of case)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전압 범위는 제2 전압(V2)보다 크고 제3 전압(V3)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하고, 제4 전압 범위는 제3 전압(V3)보다 크고 제4 전압(V4)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When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four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third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ut of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hird voltage range means a range that is greater than the second voltage V2 and less than the third voltage V3, and the fourth voltage range is greater than the third voltage V3 and the fourth voltage V4. ) can mean a smaller range.
제어부는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4 전압 범위보다 큰 제5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전기적 연결 상태를 과전압 상태(overvoltage case)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전압 범위는 제3 전압(V3)보다 크고 제4 전압(V4)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하고, 제5 전압 범위는 제4 전압(V4)보다 크고 제5 전압(V5)보다 작은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제5 전압(V5)은 5[V]일 수 있다. When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the fif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ourth voltage range,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vervoltag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ourth voltage range means a range that is greater than the third voltage V3 and less than the fourth voltage V4, and the fifth voltage range is greater than the fourth voltage V4 and the fifth voltage V5. ) can mean a smaller range. The fifth voltage V5 may be 5 [V].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 :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
20 : 전기 자동차
200 :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210 : 스위치 장치
211 : 제1 신호부
212 : 제2 신호부
220 : 제어부10: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20: electric vehicle
200: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210: switch device
211: first signal unit
212: second signal unit
220: control unit
Claims (13)
복수의 스위칭 신호를 통해 상기 스위치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의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제1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1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신호부; 및
제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칭 신호 중 제2 스위칭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 switch device connected to a signal detect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through a signal line, generating a charging permiss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signal detecting device;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 device through a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he signal detection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 first resist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The switch device is
a first signal unit including a first switching element and configured to turn o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based on a first switching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and
a second signal unit including a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turning on a second switching element based on a second switching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switching signals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and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by the first signal unit or the second signal unit according to a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제1 기준값보다 크고 제2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여 상기 제1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through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signa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first signal unit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저항의 저항값이 상기 제2 기준값보다 크고 제3 기준값보다 작으면, 상기 제1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1 스위칭 소자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2 스위칭 신호를 통해 제2 스위칭 소자를 턴온하여 상기 제2 신호부가 상기 충전 허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resistor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third reference value, the first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through the first switching signal,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n through the second switching signal to control the second signal unit to generate the charging permission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신호부 또는 상기 제2 신호부에 포함된 노드(node)의 노드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전기 자동차 전원공급장치와의 전기 자동차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검출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receiving a node voltage of a node included in the first signal unit or the second signal unit, and detect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node voltag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제1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방 상태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is
An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pen state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first voltage ran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1 전압 범위보다 큰 제2 전압 범위 또는 제4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접촉 불량으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second voltage range or a four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irst voltage range,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determine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 contact failu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2 전압 범위와 상기 제4 전압 범위 사이의 제3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third voltage range between the second voltage range and the fourth voltage range,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determine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 normal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전압의 크기가 상기 제4 전압 범위보다 큰 제5 전압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전기적 연결 상태를 과전압 상태로 판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level of the node voltage is included in a fifth voltage range greater than the fourth voltage range, the electric vehicle charge controller determines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as an overvoltage state.
상기 제1 신호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저항;
제1단이 상기 제2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ignal unit;
a first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thir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nd a first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and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상기 제2 신호부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5 저항;
제1단이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6 저항;
제1단이 상기 제6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7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signal unit,
a second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ix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nd a second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and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상기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상기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athode terminal of the first diode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are connected to the controller.
상기 제2 저항은, 상기 제5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3 저항은, 상기 제6 저항보다 큰 저항값을 가지고,
상기 제4 저항은, 상기 제7 저항보다 작은 저항값을 가지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resistor has a resistance value greater than that of the fifth resistor,
The third resistor has a resistance value greater than that of the sixth resistor,
The fourth resistor may have a smaller resistance value than the seventh resistor.
상기 스위치 장치와 연결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감지 장치는,
상기 신호선 상에 배치되는 제1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장치는,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제1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저항; 제1단이 상기 제2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3 저항; 제1단이 상기 제3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4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4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1 신호부; 그리고
제1단이 상기 제1 저항과 연결되고, 제3단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칭 소자; 제1단이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5 저항; 제1단이 상기 제5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는 제6 저항; 제1단이 상기 제6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7 저항; 및 캐소드 단자가 상기 제7 저항의 제2단과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가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제2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제2 신호부;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a switch device connected to the signal sensing device of the electric vehicle power supply device through a signal line; And
Including; a microcontroller connected to the switch device;
The signal detection device,
a first resistor disposed on the signal line;
The switch device is
a first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a secon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third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resistor; a four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first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resistor and a first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first resistor and a third end connected to the microcontroller; a fif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a six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fifth resistor; a seventh resistor having a first end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ixth resistor and a second end connected to the ground terminal; and a second diode having a cathode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end of the seventh resistor and a second diode having an anode terminal connected to a ground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500A KR20210100471A (en) | 2020-02-06 | 2020-02-06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JP2022547764A JP2023512545A (en) | 2020-02-06 | 2021-01-28 | electric car charge controller |
PCT/KR2021/001127 WO2021157949A1 (en) | 2020-02-06 | 2021-01-28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4500A KR20210100471A (en) | 2020-02-06 | 2020-02-06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0471A true KR20210100471A (en) | 2021-08-17 |
Family
ID=7720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4500A KR20210100471A (en) | 2020-02-06 | 2020-02-06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23512545A (en) |
KR (1) | KR20210100471A (en) |
WO (1) | WO2021157949A1 (en)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725005B2 (en) * | 2011-12-15 | 2017-08-08 | Chargepoint, Inc. | Circuit for controlling an electric vehicle pilot signal level for connector disconnect |
JP6127344B2 (en) * | 2013-03-28 | 2017-05-17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Signal generation circuit |
KR20160033511A (en) * | 2014-09-18 | 2016-03-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Cable installment type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KR102642061B1 (en) * | 2016-08-16 | 2024-02-28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Apparatus for driving relay of electric vehicle |
KR102690900B1 (en) * | 2017-02-08 | 2024-08-02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harging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
2020
- 2020-02-06 KR KR1020200014500A patent/KR20210100471A/en unknown
-
2021
- 2021-01-28 WO PCT/KR2021/001127 patent/WO202115794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1-28 JP JP2022547764A patent/JP2023512545A/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3512545A (en) | 2023-03-27 |
WO2021157949A1 (en) | 2021-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16435B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CN103858297B (en) | Electric vehicles charge and discharge device | |
US20160072320A1 (en) |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and charging/discharging system, distribution board, charging control device, charging/discharging device for vehicle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the overcurrent detection device | |
KR20180019448A (en) | Charging appratus of electric vehicle | |
US8890477B2 (en) | Charging device for a high-voltage battery of a motor vehicle, charging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ing assembly | |
CN110799378B (en) |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KR102032554B1 (en) | Changeable charging control system for ele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5391111A (en) |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 |
US20230138878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and electric vehicle charger comprising same | |
KR20210126199A (en) | Compatible Charging Adapter for CAN-PLC Data Communication | |
CN111284340B (en) |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KR20210100471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CN111169300A (en) |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of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 |
KR20220020661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CN112424015B (en) | DC voltage charging pil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
US20240051398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CN115707593A (en) | Charging device and charging system | |
US20240294089A1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US20230154709A1 (en) | Relay device and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comprising same | |
KR20220086180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KR20220070798A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controller | |
CN110816316B (en) | Method for testing a charging process | |
KR20240138418A (en) | Controller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 |
CN117424314A (en) | Multimode control circuit based on high-voltage external power interface | |
KR20240162930A (en) | Electric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ler De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