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712A -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Google Patents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78712A KR20210078712A KR1020190170432A KR20190170432A KR20210078712A KR 20210078712 A KR20210078712 A KR 20210078712A KR 1020190170432 A KR1020190170432 A KR 1020190170432A KR 20190170432 A KR20190170432 A KR 20190170432A KR 20210078712 A KR20210078712 A KR 202100787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nnection
- vertical bar
- frame
- support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4—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drawn by animal or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or pushing means arranged on the front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가능케 함으로써 장탈착 작업의 편의성 향상과 더불어, 작업기의 장탈착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게 하고, 작업기 장착 상태의 견고한 유지를 통해 작업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게 한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for a passenger management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a work machine to a passenger manager, it enables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ork machine through multi-point support by docking and clamping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ounting and detaching work In addition, it relates to a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a riding manager, which significantly shortens the time it takes for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work machine, and further improves work safety through the firm maintenance of the work machine mounted state.
승용 관리기는 로터리 작업, 방제작업, 이앙작업, 휴립작업, 피복작업, 운반작업, 퇴비 살포작업, 비료 살포작업 등 다양한 종류의 작업을 하나의 기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운전하는 보행형 관리기와는 달리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행시키면서 각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enables various types of work, such as rotary work, pest control work, transplanting work, rest work, covering work, transport work, compost spreading work, and fertilizer spreading work, to be performed using one machine. Unlike a walking-type manager that drives while driving, it allows the operator to perform various tasks while riding and driving.
승용 관리기는 프레임의 전방에 엔진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승용 관리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로터리나 붐스프레이어 또는 퇴비살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논이나 밭에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 passenger management machine is equipped with an engine in the front of the frame and a driver's seat at the rear. You will do the work necessary for growing crops in the field.
따라서 승용 관리기의 전후에는 다양한 종류의 작업기를 장탈착 하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된다.Therefore, a connection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various types of working machines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the riding manager.
종래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일반적으로 승용 관리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작업기에 장착되는 연결판으로 구성되되, 지지판과 연결판에는 각각 통공부가 형성된다.The conventional work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is generally composed of a support plate mounted on the front or rear of the riding manager, and a connecting plate mounted on the work machine,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each formed with a through-hole.
따라서,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연결할 때에는 지지판과 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지지판과 연결판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를 통공부에 결합하여 지지판과 연결판이 결합되게 함으로써 승용 관리기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작업기가 연결된다.Therefore, when connecting the work machine to the riding manager,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so that the centers of the through hole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in close contact, and the fixing pin or the fixing bolt is coupled to the through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coupled. A working machine is connected to the front or rear of the passenger management machine.
이와 같은 종래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승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지지판과, 작업기에 장착되는 연결판에 각각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켜야 통공부에 고정핀이나 고정볼트의 결합이 가능케 되는데, 작업기의 경우에 자체 동력이 없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움직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 대부분은 작업자가 승용 관리기를 움직여 지지판과 연결판을 상호 밀착시킨 후 통공부의 중심을 일치시켜 고정핀이나 고정볼트로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such a conventional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mounted on the riding manager and the connecting plate mounted on the work machine must exactly match, so that the coupling of the fixing pin or the fixing bolt to the through portion is possible. In the case of working machines, since it is common that they do not have their own power, it is difficult to move by their own power, and most of them are bulky and heavy. It is common to match them with a fixing pin or fixing bolt.
그러나, 승용 관리기의 지지판에 작업기의 연결판이 밀착되면서 각 판에 형성된 통공부의 중심이 일치하게 승용 관리기를 운전하는데 상당한 숙련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착하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as the connecting plate of the working machin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ing plate of the riding manager, considerable skill is required to operate the riding manager so that the center of the through-hole formed on each plate coincides, and it takes a long time to mount the working machine to the riding manager. There is this.
또한,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작업 도중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해 요동이 심하게 발생하면, 중량체인 작업기가 상하 또는 좌우로 심하게 요동함에 따라 지지판과 연결판을 결합 고정하는 고정핀이나 고정볼트가 파손되면서 작업기가 승용 관리기에서 이탈되면서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f the work machine is connected to the passenger management system and the work machine shakes severely due to the unevenness of the work surface during work, the heavy work machine swings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nd the fixing pins or fixing bolts that connect and fix the support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not installed. There is also a frequent disadvantage in that the working machine is broken as it is separated from the passenger management machine as it is damaged.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신속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riding management that enables fast and robust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work machine through multi-point support by docking and clamping methods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ork machine to the passenger management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for the machin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working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a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연결프레임(20); 을 포함하여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지지프레임(10)은, The support frame 10,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판(101);a
상기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세로대(102);a first vertical bar (102) formed on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1);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103);a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지지부(104);a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a first fixing means (105)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수단(10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fixing means (10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제1지지부(103)는,The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판(103a);a
상기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삼면에 벽체가 있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킹부재(103b);a docking member (103b) integr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plate (103a), having walls on three sides, and having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상기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103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연결프레임(20)은, The connection frame 20,
C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세로대(201);a second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02);a
상기 제2세로대(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03);a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부(204);a first fixing part (204)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ar (201) and fixed by the first fixing means (105) of the support frame (10);
상기 제2연결부(203)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부(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cond fixing part (205)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means (106) of the support frame (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상기 제2연결부(203)는,The
상기 제2세로대(201)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암(203a);a protruding
상기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봉(20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necting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연결프레임(20)의 도킹을 안내하는 도킹가이드(103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연결프레임(20)은 회동부(20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작업기의 장탈착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기의 장탈착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됨과 동시에 작업기의 장탈착에 걸리는 시간이 대폭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ork machine to the riding manager, the mounting and detachment of the work machine is made in a docking and clamping manner,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ork machine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shortening the time taken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ork machine. It works.
또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가 작업기에 견고하게 장착됨으로써 고르지 못한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한 요동 발생시에도 작업기의 장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작업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 machine is firmly mounted on the work machine through the multi-point support, even when fluctuations occur due to irregularities on the uneven work surface, the mounting state of the work machine is firmly maintained, thereby further improving work safety.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고정수단의 고정 상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킹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first support part suppor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upport part suppor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fix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cking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n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2지지부 지지 상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제2고정수단의 고정 상태 측면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use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a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first support part suppor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a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of the second support part suppor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and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fix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work machine connecting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는 승용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탈착 할 때, 도킹 및 클램핑 방식에 의한 다점 지지를 통해 작업기의 장탈착이 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0), 연결프레임(20)을 포함한다.The work machin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승용 관리기의 차체 일측에 부착된다.The
이때, 지지프레임(10)의 부착 방법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as the attachment method of the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된다.The
이때, 연결프레임(20)은 로터리나 붐스프레이어 또는 퇴비살포기 등 승용 관리기의 전방 혹은 후방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모든 종류의 작업기의 본체에 연결프레임(20)의 부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At this time, the
아울러, 앞서 설명한 지지프레임(10)과 같이 연결프레임(20)의 부착 방법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addition, as for the attachment method of the
따라서,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after the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지지판(101), 제1세로대(102), 제1지지부(103), 제2지지부(104), 제1고정수단(105), 제2고정수단(106)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지판(101)은 소정 두께의 금속 판재로 되어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된다.The
이때, 지지판(101)이 차체에 부착되는 방식은 볼트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식 또는 용접 방식 중 어느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하거나, 두 가지 방식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n this case, as the method for attaching the
상기 제1세로대(102)는 사각 단면을 가진 각관으로 되어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The first
이때, 지지판(101)과 제1세로대(102) 간에는 간격유지부가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으며, 간격유지부의 크기, 폭, 길이는 다양한 제조회사에 제작되는 승용 관리기의 특성상, 승용 관리기의 크기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At this time, a gap maintain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integrally between the
상기 제1지지부(103)는 제1세로대(102)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가로판(103a), 도킹부재(103b), 지지봉(103c)을 포함한다.The
상기 가로판(103a)은 지지판(101) 및 제1세로대(102)와 일체로 되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도킹부재(103b)는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찬넬형으로 되어 양 측면과 후면에 벽체가 있고, 상부는 개방되며,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상기 지지봉(103c)은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도킹부재(103b)의 양측 내벽에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상기 제2지지부(104)는 제1세로대(102)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상부에 형성되되 경사홈(104a)을 포함한다.The
상기 경사홈(104a)은 제1세로대(102)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상기 제1고정수단(105)은 제1세로대(102)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 The first fixing means 105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상기 제1고정수단(105)은 토글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As the first fixing means 105, it is preferable to use a toggle clamp,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고정수단(106)은 제1세로대(102)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1세로대(102)의 상단부에 형성된다.The second fixing means 10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일 예로서, 제2고정수단(106)은 제1통공(106a)을 구비한 회동판(106b)으로 구성하여 지면과 평행하게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fixing means 106 may be configured as a
또 다른 예로서, 제2고정수단(106)은 토글클램프로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fixing means 106 may be configured as a toggle clamp.
상기 연결프레임(20)은, 제2세로대(201), 제1연결부(202), 제2연결부(203), 제1고정부(204), 제2고정부(205)를 포함한다.The
상기 제2세로대(201)는, 찬넬과 같이 C형 단면 형상을 가진 소정 길이로 형성된다. The second
상기 제1연결부(202)는, 제2세로대(201)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2세로대(201)의 하단부에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 내부에 삽입되도록 도킹부재(103b)의 양측 내면 간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도킹부재(103b) 내부에서 도킹부재(103b)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봉(103c)과 결합되도록 제1연결부(202)의 하단부에는 상방으로 오목한 제1결합홈(202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따라서 제1연결부(202)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에 삽입하되, 상방에서 하방으로 투입하면 제1연결부(202)의 제1결합홈(202a)이 도킹부재(103b) 내부에 형성된 지지봉(103c)과 결합되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1차(1점)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아울러, 제1결합홈(202a)이 지지봉(103c) 상부에 안착되는 형태로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프레임(20)에 가해지는 작업기의 하중이 지지봉(103c)에 의해 지지된다.In addition, the load of the working machine applied to the
상기 제2연결부(203)는, 제2세로대(201)의 타측, 더 바람직하게는 제2세로대(201)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안착되도록 돌출암(203a), 연결봉(203b)을 포함한다.The second connecting
상기 돌출암(203a)은 제2세로대(201)의 상부 일측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되, 제2세로대(201)의 양 측면에서 한 쌍의 돌출암(203a)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The
상기 연결봉(203b)은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되,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형성된 경사홈(104a) 내부에 신속하게 삽입된 후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경사홈(104a)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따라서 제1연결부(202)가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도킹된 상태에서 제2연결부(203)를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로 투입하면, 제2연결부(203)의 연결봉(203b)이 제2지지부(104)의 경사홈(104a) 내부에 안착되는데, 경사홈(104a)은 제1세로대(102)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연결봉(203b)이 경사홈(104a) 내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의 2차(2점) 연결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when the
또한, 연결봉(203b)이 경사홈(104a) 내에 안착됨에 따라 연결프레임(20)에 가해지는 작업기의 하중이 경사홈(104a)에 의해 지지된다. In addition, as the connecting
상기 제1고정부(204)는, 제2세로대(201)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대응하도록 제2세로대(201)의 일측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된다.The
즉, 제1고정부(204)는 제1고정수단(105)으로서 토글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토글클램프에 대응하는 걸고리 또는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That is, when the toggle clamp is used as the first fixing means 105 for the first fixing
따라서 지지프레임(10)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이 연결프레임(20)에 형성된 제1고정부(204)에 고정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각각 지지된 연결프레임(20)의 이탈이 방지된다.Accordingly, as the first fixing means 105 formed on the
아울러,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간에 다점 지지가 이루어지면서 지지프레임(10)과 연결프레임(20) 간 연결 및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된다.In addition, as multi-point support is made between the
상기 제2고정부(205)는, 제2연결부(203)의 일측, 더 바람직하게는 돌출암(203a)의 일측에서 제2고정수단(106)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The
일 예로서 제2고정부(205)는 제2고정수단(106)으로서 제1통공(106a)을 구비한 회동판(106b)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1통공(106a)과 동일한 직경으로 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the
즉, 연결프레임(20)의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각각 지지된 상태에서 제2고정수단(106)인 회동판(106b)을 회동시키면 회동판(106b)이 제2세로대(201)의 측면에 밀착되면서 회동판(106b)에 형성된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하여 중심이 일치된 제1통공(106a)와 제2고정부(205)에 고정핀(205a)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 및 제2지지부(104)에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가 각각 지지된 연결프레임(20)의 이탈이 방지된다.Thus, by inserting and fixing the fixing
따라서,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10)과, 승용 관리기에 장탈착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작업기의 본체에 부착되는 연결프레임(20) 간의 연결 구조가 제1고정수단(105)과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승용 관리기에 장착되는 작업기의 장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고르지 못한 작업 노면의 요철로 인한 요동 발생시에도 작업기의 작업 성능 및 작업 안정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또 다른 예로서, 제2고정부(205)는 제2고정수단(106)으로서 토글클램프가 사용되는 경우에, 토글클램프에 대응하는 걸고리 또는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As another example, when a toggle clamp is used for the
상기 연결프레임(20)은 회동부(206)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회동부(206)는 제1세로대(102)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되, 승용 관리기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The
따라서, 회동부(206)에 힌지 결합되는 샤프트를 기준으로 하여 연결프레임(20)의 회동이 가능함에 따라, 연결프레임(20)의 제1연결부(202)와 제2연결부(203)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와 제2지지부(104)에 연결할 때, 연결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Accordingly, as rotation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킹가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ocking guid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lthough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components overlapping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도킹가이드(103d)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상기 도킹가이드(103d)는 도킹부재(103b)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 양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로 간격이 벌어지는 외광내협 형태로 돌출 형성된다.The docking guide (103d)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form of an outer light inner narrow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opening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cking member (103b) to the outside.
따라서, 제1연결부(202)를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형성된 도킹부재(103b)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도킹부재(103b)의 중심과, 제1지지부(103)의 중심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제1연결부(202)가 도킹부재(103b)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도킹가이드(103d)가 제1연결부(202)를 도킹부재(103b)로 안내함에 따라 제1연결부(202)와 제1지지부(103)의 연결이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된다.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and/or operation method, but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tc. It may be implemented, and such an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
A: 승용 관리기 B: 작업기
10: 지지프레임 101: 지지판
102: 제1세로대 103: 제1지지부
103a: 가로판 103b: 도킹부재
103c: 지지봉 103d: 도킹가이드
104: 제2지지부 105: 제1고정수단
106: 제2고정수단 20: 연결프레임
201: 제2세로대 202: 제1연결부
202a: 제1결합홈 203: 제2연결부
203a: 돌출암 203b: 연결봉
204: 제1고정부 205: 제2고정부
206: 회동부A: Riding manager B: Working machine
10: support frame 101: support plate
102: first vertical bar 103: first support portion
103a:
103c:
104: second support 105: first fixing means
106: second fixing means 20: connection frame
201: second vertical bar 202: first connection part
202a: first coupling groove 203: second connection part
203a: protruding
204: first fixing part 205: second fixing part
206: rotating part
Claims (5)
작업기의 본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연결프레임(20); 을 포함하여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도킹 및 클램핑 방식으로 투입된 후 다점 지지를 통해 연결프레임(20)이 지지프레임(10)에 장탈착 가능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a support frame 1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of the riding manager;
a connection frame 20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orking machine to enable attachment and detachment to the support frame 10; After the connection frame 2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10 in a docking and clamping manner, including the multi-point support, the connection frame 20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support frame 10. connection device.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승용 관리기의 차체에 부착되는 지지판(101);
상기 지지판(101)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제1세로대(102);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103);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지지부(104);
상기 제1세로대(102)의 일측에 형성된 제1고정수단(105);
상기 제1세로대(102)의 타측에 형성된 제2고정수단(10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frame 10,
a support plate 101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of the riding manager;
a first vertical bar (102) formed on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1);
a first support part 103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a second support portion 10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a first fixing means (105)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a second fixing means (106)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vertical bar (102);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1지지부(103)는,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판(103a);
상기 가로판(103a)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되, 삼면에 벽체가 있고,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도킹부재(103b);
상기 도킹부재(103b)의 내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지지봉(103c);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support part 103,
a horizontal plate 103a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docking member (103b) integrally formed on the horizontal plate (103a), having walls on three sides, and having an opening on the front side;
a support rod 103c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docking member 103b;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연결프레임(20)은,
C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제2세로대(201);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지지부(103)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202);
상기 제2세로대(201)의 타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지지부(104)에 연결되는 제2연결부(203);
상기 제2세로대(201)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1고정수단(105)에 의해 고정되는 제1고정부(204);
상기 제2연결부(203)의 일측에 형성되어 지지프레임(10)의 제2고정수단(106)에 의해 고정되는 제2고정부(2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frame 20,
a second vertical bar 201 having a C-shaped cross-sectional shape;
a first connection part 202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ar 201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103 of the support frame 10;
a second connection part 20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ar 201 and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part 104 of the support frame 10;
a first fixing part (204)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vertical bar (201) and fixed by the first fixing means (105) of the support frame (10);
a second fixing part (205)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and fixed by the second fixing means (106) of the support frame (10);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제2연결부(203)는,
상기 제2세로대(201)에서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출암(203a);
상기 돌출암(203a)의 외측 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봉(203b);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 관리기용 작업기 연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connection part 203,
a protruding arm 203a protruding from the second vertical bar 201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connecting rod 203b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t an outer end of the protruding arm 203a; Working device connection device for the riding manag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en) | 2019-12-19 | 2019-12-19 |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en) | 2019-12-19 | 2019-12-19 |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78712A true KR20210078712A (en) | 2021-06-29 |
KR102357398B1 KR102357398B1 (en) | 2022-01-27 |
Family
ID=7662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0432A KR102357398B1 (en) | 2019-12-19 | 2019-12-19 |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73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005U (en) | 2020-10-29 | 2022-05-09 | 조상태 | Work linkage Booms sprayer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28901A (en) * | 1999-02-10 | 2000-08-22 | Kubota Corp | Working machine connecting structure and working machine for tractor installation |
JP3165023B2 (en) * | 1996-02-01 | 2001-05-14 | 株式会社クボタ | Tractor / work equipment coupling structure |
JP2002125407A (en) * | 2000-10-20 | 2002-05-08 | Iseki & Co Ltd | Implement connec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tractor |
US20080142231A1 (en) * | 2006-12-14 | 2008-06-19 | Priepke Edward H |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
KR101760173B1 (en) * | 2015-03-11 | 2017-07-20 | 이리중 | 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
KR101973947B1 (en) | 2017-08-29 | 2019-08-23 | 주식회사 아세아텍 | Connec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
-
2019
- 2019-12-19 KR KR1020190170432A patent/KR10235739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65023B2 (en) * | 1996-02-01 | 2001-05-14 | 株式会社クボタ | Tractor / work equipment coupling structure |
JP2000228901A (en) * | 1999-02-10 | 2000-08-22 | Kubota Corp | Working machine connecting structure and working machine for tractor installation |
JP2002125407A (en) * | 2000-10-20 | 2002-05-08 | Iseki & Co Ltd | Implement connec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tractor |
US20080142231A1 (en) * | 2006-12-14 | 2008-06-19 | Priepke Edward H | Automatic latch for three point hitch quick coupler and pto connection module |
KR101760173B1 (en) * | 2015-03-11 | 2017-07-20 | 이리중 | Tractor connect a device with a position variable working machine solidarity device |
KR101973947B1 (en) | 2017-08-29 | 2019-08-23 | 주식회사 아세아텍 | Connec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005U (en) | 2020-10-29 | 2022-05-09 | 조상태 | Work linkage Booms sprayer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7398B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725150A1 (en) | Rotation-type construction machine | |
IT8047989A1 (en) | DEVICE FOR THE RELEASABLE FITTING OF A FRONT LOADER TO A VEHICLE. | |
KR102357398B1 (en) | Work linkage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
US20170327040A1 (en) | Extendable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 |
BR102017019888A2 (en) | UNIVERSAL COUPLER AND WORKING MACHINE | |
KR20190023543A (en) | Connecting equip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 |
KR20030033559A (en) | Harrow installation structure | |
US20140304945A1 (en) | Attaching structure for door of working vehicle | |
KR101450099B1 (en)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
KR101482546B1 (en)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
US20090084454A1 (en) | Apparatus for fixing hydraulic pipes for zero tail swing excavator | |
KR101668674B1 (en)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
KR101638015B1 (en)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
KR20220001005U (en) | Work linkage Booms sprayer for the Riding-type Cultivator | |
KR102306118B1 (en) | Detachable boom and column mounting structure | |
KR102234091B1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mounting agricultural work machines | |
KR102292388B1 (en) | Harrow installation structure | |
KR101841366B1 (en) | Equipment for attachment and removal of the Tractor | |
WO2020246389A1 (en) | Work machine | |
JPS6312199Y2 (en) | ||
CN214628244U (en) | Connecting structure of large needle mechanism of bundling machine | |
JP6540652B2 (en) | Removal mechanism | |
KR101679558B1 (en) | a functional connecter of both agricultural vehecle and the agricultural device | |
JP5093826B1 (en) | Top link structure that connects the upper bracket of the tractor and the upper bracket of the farm work attachment | |
KR102708254B1 (en) | Loader Assembly for Tractors with Detachable Pi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