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55672A -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672A
KR20210055672A KR1020217003305A KR20217003305A KR20210055672A KR 20210055672 A KR20210055672 A KR 20210055672A KR 1020217003305 A KR1020217003305 A KR 1020217003305A KR 20217003305 A KR20217003305 A KR 20217003305A KR 20210055672 A KR20210055672 A KR 2021005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roup
front plate
polarizing plat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열 장
은영 김
노부유키 하타나카
요스케 오타
코타 무라노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31350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054285A1/ja
Publication of KR2021005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27/323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50OLEDs integrated with light modulating elements, e.g. with electrochromic elements, photochromic elements or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가 적고, 굴곡성이 우수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확산 방지층 A, 편광자, 및 확산 방지층 B를 이 순서로 가지는 편광판, 및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서의 상기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확산 방지층 A 및 상기 확산 방지층 B의 두께는 20㎛ 이하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7 MPa 이하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Description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본 발명은,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나 유기 EL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에는, 편광자를 구비하는 편광판이 포함되어 있다. 편광자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가 배향 흡착된 편광자 외에,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함으로써 제조되는 편광자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국제 공개 2017/154907
휴대 기기의 박형화에 대한 소비자의 요망에 따라, 박형의 표시장치가 요망되고 있고, 종래의 편광자에 필요했던 보호 필름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도포형의 편광자는, 박형화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도포형의 편광자는, 고온 환경 하에서 편광 성능 등의 광학 성능이 경시적으로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포형의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가 배향 흡착된 편광자에 비해 굴곡 방향에 제한이 없는 점에서 우수하지만, 전면판의 종류나 전면판과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의 종류에 따라서는, 굴곡성의 향상에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온 환경 하에서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가 적고, 또한 굴곡성이 우수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적합한 형태[1] ~ [11]을 제공하는 것이다.
[1]확산 방지층 A, 편광자, 및 확산 방지층 B를 이 순서로 가지는 편광판, 및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서의 상기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확산 방지층 A 및 상기 확산 방지층 B의 두께는 20㎛ 이하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6 MPa 이하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2] 상기 전면판이,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 및 상기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主面) 측에 설치된 기능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인, [1]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3] 상기 기능층이, 자외선 흡수, 표면 경도, 색상 조정 및 굴절률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능을 가지는 층인[2]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4] 상기 수지 필름의 인장 탄성률이 4.0 GPa 이상이고,
상기 수지 필름을 서로 마주 보는 상기 수지 필름간의 거리가 3 mm로 될 때까지 U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굴곡 시험에서, 상기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수지 필름을 접어 구부리는 횟수가 100000회를 넘고,
황색도가 5 이하인, [2]또는[3]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5] 편광판은 편광자에서의 전면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1] ~ [4]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6]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 적층되어 있는[5]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7]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 위상차판을 포함하는[5]또는[6]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8] 터치 센서를 가지는 청구항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9] [1] ~ [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10] [1] ~ [8]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
본 발명은,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가 적고, 굴곡성이 우수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전면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전면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전면판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굴곡성 시험의 방법을 나타낸다.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확산 방지층 A, 편광자, 및 확산 방지층 B를 이 순서로 가지는 편광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서의 상기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을 더 구비한다. 전면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에 적층되어 있다. 확산 방지층 A 및 확산 방지층 B의 두께는, 모두 20㎛ 이하이고,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이 구비하는 편광판의 구성을 도 1에 기초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10)은, 편광자(1)의 한쪽의 면에 확산 방지층 A(2)가 적층되어 편광자(1) 다른 쪽의 면에 확산 방지층 B(3)이 적층된 편광판(20)을 가진다.
이러한 편광판을 가지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편광자에 포함되는 이색성 색소의 막 외에의 이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편광판의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1)와 확산 방지층의 사이에는, 배향막(도시하지 않음)이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을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를 도 1에 기초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10)은, 확산 방지층 A(2)의, 편광자(1)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4)을 구비한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4)은, 예를 들면, 점착제층(7)을 개재하여 편광판(20)에 적층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판(4)은, 예를 들면, 확산 방지층 A(2)를 개재하여 편광판(20)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위상차 필름(5)을 구비해도 좋다. 편광판은, 편광자에서의 전면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상차 필름(5)은, 확산 방지층 B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위상차 필름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확산 방지층 B에 적층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은, 확산 방지층 B를 개재하여 편광판에 적층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설명 중의 확산 방지층 A(2)를 확산 방지층 B(3)로 대체한 실시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자>
본 발명에서의 편광자는 두께가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두께가 10㎛를 넘었을 경우, 굴곡시켰을 때에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을 염색, 연신함으로써 제조되는 필름형 편광자이어도 좋다. 연신에 의해서 배향한 PVA계 필름에, 요오드 등의 이색성 색소가 흡착, 또는 PVA에 흡착한 상태로 연신됨으로써 이색성 색소가 배향해, 편광 성능을 발휘한다. 상기 필름형 편광자의 제조에서는, 그 밖에 팽윤, 붕산에 의한 가교, 수용액에 의한 세정, 건조 등의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연신이나 염색공정은 PVA계 필름 단독으로 행해도 좋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다른 필름과 적층된 상태로 행할 수도 있다. 이용되는 PVA계 필름으로는 10 ~ 100㎛, 연신 배율은 2 ~ 10배가 바람직하다.
편광자로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액정의 중합체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것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액정의 중합체로 구성되는 막 중에 이색성 색소가 분산되고, 배향되어 있는 막이다. 또한, 편광자는 이색성 색소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막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성 액정이 확산 방지층 평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로 경화된 막이다. 수평 배향이란, 확산 방지층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한 중합성 액정의 장축을 가지는 배향이다. 여기서 말하는 「평행」이란, 확산 방지층 평면에 대해서 0°±20°의 각도를 의미한다.
편광자가 중합성 액정을 포함하는 경우, 두께는, 중합성 액정의 배향성의 관점에서, 0.5㎛ ~ 3㎛가 바람직하고, 1㎛ ~ 3㎛가 보다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중합성 액정이 수직 배향 방향으로 배향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향 질서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편광자의 두께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중합성 액정이 랜덤으로 배향하기 어렵기 때문에 배향 질서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간섭 막 두께계, 레이저 현미경 또는 촉침식 막 두께계로 측정할 수 있다.
편광자는, 통상, 기재, 확산 방지층 또는 배향막 표면에, 중합성 액정 및 이색성 색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을 도포하고, 중합성 액정을 중합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중합성 액정이 확산 방지층면 내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로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2017-83843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예시된다. 또한, 편광자는, 이색성 색소와 고분자 화합물로 제조되어 있어도 좋다. 이색성 색소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로는, WO2017/154907에 기재된 것이 예시된다.
[중합성 액정]
중합성 액정이란, 중합성기를 가지고, 또한 액정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중합성기는, 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기를 의미하고, 광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중합성기란, 후술하는 광중합개시제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이나 산 등에 의해서 중합 반응에 관여할 수 있는 기를 말한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 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성은 써모트로픽 액정이어도 리오트로픽 액정이어도 좋다.
중합성 액정은,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어도 좋고,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중합성 액정은, 보다 높은 편광 특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차 스멕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다. 그 중에서도, 스멕틱 B상, 스멕틱 D상, 스멕틱 E상, 스멕틱 F상, 스멕틱 G상, 스멕틱 H상, 스멕틱 I상, 스멕틱 J상, 스멕틱 K상 또는 스멕틱 L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스멕틱 B상, 스멕틱 F상 또는 스멕틱 I상을 나타내는 써모트로픽성 액정 화합물이 더 바람직하다. 중합성 액정이 형성하는 액정상이 이러한 고차 스멕틱상이면, 편광 성능이 보다 높은 편광자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편광 성능이 높은 편광자는 X선 회절 측정에서 헥사틱상이나 크리스탈상의 고차 구조 유래의 브래그 피크가 얻어지는 것이다. 상기 브래그 피크는 분자 배향의 주기 구조로부터 유래하는 피크이고, 그 주기 간격이 3 ~ 6Å인 막을 얻을 수 있다. 편광자는, 이 중합성 액정이 스멕틱상 상태로 중합된 중합성 액정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높은 편광 특성이 얻어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A)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화합물(A)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액정은,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U1-V1-W1-X1-Y1-X2-Y2-X3-W2-V2-U2   (A)
[식(A) 중,
X1, X2 및 X3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시클로헥산-1, 4-디일기를 나타낸다. 다만,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이다. 시클로헥산 1, 4-디일기를 구성하는 -CH2-는, -O-, -S- 또는 -NR-로 치환되어도 좋다. R은, 탄소수 1 ~ 6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Y1 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CH2CH2-, -CH2O-, -COO-, -OCOO-, 단결합, -N=N-, -CRa=CRb-, -C≡C- 또는 -CRa=N-를 나타낸다. Ra 및 Rb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U2는, 중합성기를 나타낸다.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단결합, -O-, -S-, -COO- 또는 -OCOO-를 나타낸다.
V1 및 V2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 ~ 20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칸디일기를 구성하는 -CH2-는, -O-, -S- 또는 -NH-로 치환되어도 좋다.]
화합물(A)에서, X1, X2 및 X3 중 적어도 하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라는 것은, 「무치환의 또는 치환기를 가진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시클로헥산-1, 4-디일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트랜스-시클로헥산-1, 4-디일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트랜스-시클로헥산-1, 4-디일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시클로헥산-1, 4-디일기가 임의로 가지는 치환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및 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의 알킬기,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Y1은, -CH2CH2-, -COO- 또는 단결합인 것이 바람직하고, Y2는, -CH2CH2- 또는 -CH2O-인 것이 바람직하다.
U2는, 중합성기이다. U1은, 수소 원자 또는 중합성기이고, 바람직하게는 중합성기이다. U1 및 U2는 모두 중합성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모두 광중합성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중합성기를 가지는 중합성 액정은, 보다 저온 조건 하에서 중합 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U1 및 U2로 나타내는 중합성기는 서로 달라도 좋지만, 동일하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로는, 비닐기, 비닐옥시기, 1-클로로비닐기, 이소프로페닐기, 4-비닐 페닐기,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옥시라닐기, 옥세타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로일옥시기, 메타크릴로일옥시기, 비닐옥시기, 옥시라닐기 및 옥세타닐기가 바람직하고, 아크릴로일옥시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V1 및 V2로 나타내는 알칸디일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 3-디일기, 부탄-1, 3-디일기, 부탄-1, 4-디일기, 펜탄-1, 5-디일기, 헥산-1, 6-디일기, 헵탄-1, 7-디일기, 옥탄-1, 8-디일기, 데칸-1, 10-디일기, 테트라데칸-1, 14-디일기 및 이코산 1, 20-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V1 및 V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12의 알칸디일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 12의 알칸디일기이다.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1 ~ 20의 알칸디일기가 임의로 가지는 치환기로는, 시아노기 및 할로겐 원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 알칸디일기는, 무치환인 것이 바람직하고, 무치환이고 또한 직쇄상의 알칸디일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1 및 W2는, 서로 독립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O-이다.
화합물(A)의 구체예로는, 식(1-1) ~ 식(1-2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A)이, 시클로헥산-1, 4-디일기를 가지는 경우, 그 시클로헥산-1, 4-디일기는, 트랜스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중합성 액정은, 예시한 화합물(A) 중에서도, 식(1-2), 식(1-3), 식(1-4), 식(-6), 식(1-7), 식(1-8), 식(1-13), 식(1-14) 및 식(1-15)로 각각 나타내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예시한 화합물(A)은, 단독 또는 조합하여, 편광자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중합성 액정을 조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1종이 화합물(A)인 것이 바람직하고, 2종 이상이 화합물(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중합성 액정을 조합함으로써 액정-결정 상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도 일시적으로 액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2 종류의 중합성 액정을 조합하는 경우의 혼합비(화합물(A) 이외의 액정:화합물(A))로는, 통상, 1:99 ~ 50:50이고, 바람직하게는 5:95 ~ 5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 50:50이다(질량비). 중합성기를 1개 가지는 중합성 액정 및 중합성기를 2개 가지는 중합성 액정을 조합하는 경우, 그 혼합비(중합성기를 1개 가지는 중합성 액정:중합성기를 2개 가지는 중합성 액정)는, 통상, 1:99 ~ 50:50이고, 바람직하게는 5:95 ~ 50: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 ~ 50:50이다(질량비).
화합물(A)은, 예를 들면, Lub et al. Recl.Trav.Chim.Pays-Bas, 115, 321-328(1996), 또는 일본 특허 제4719156호 등에 기재된 공지 방법으로 제조된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중합성 액정의 함유 비율은,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70 ~ 99.5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80 ~ 99 질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 94 질량부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80 ~ 90 질량부이다. 중합성 액정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이면, 배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량을 말한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성 액정 및 이색성 색소 이외의 성분으로서 용제, 중합개시제, 증감제, 중합 금지제, 레벨링제 및 반응성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이색성 색소]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이색성 색소란, 분자의 장축 방향에서의 흡광도와 단축 방향에서의 흡광도가 다른 성질을 가지는 색소를 말한다.
이색성 색소로는, 300 ~ 700 nm의 범위에 흡수 극대 파장(λMAX)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색성 색소로는, 예를 들면, 아크리딘 색소, 옥사진 색소, 시아닌 색소, 나프탈렌 색소, 아조 색소 및 안트라퀴논 색소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아조 색소가 바람직하다. 아조 색소로는, 모노아조 색소, 비스아조 색소, 트리스아조 색소, 테트라키스아조 색소 및 스틸벤아조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아조 색소 및 트리스아조 색소이다. 이색성 색소는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을 조합해도 좋지만, 3종 이상을 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3종 이상의 아조 화합물을 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의 일부가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또한 액정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아조 색소로는, 예를 들면, 식(B)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경우에 따라 「화합물(B)」이라고 한다.)을 들 수 있다.
A1(-N=N-A2)p-N=N-A3   (B)
[식(B) 중,
A1 및 A3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틸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가의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A2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1, 4-페닐렌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나프탈렌-1, 4-디일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2가의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p는 1 ~ 4의 정수를 나타낸다. p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A2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1가의 복소환기로는, 퀴놀린, 티아졸, 벤조티아졸, 티에노티아졸,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옥사졸 및 벤조옥사졸 등의 복소환 화합물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기를 들 수 있다. 2가의 복소환기로는, 상기 복소환 화합물로부터 2개의 수소 원자를 제거한 기를 들 수 있다.
A1 및 A3에서의 페닐기, 나프틸기 및 1가의 복소환기, 및 A2에서의 p-페닐렌기, 나프탈렌-1, 4-디일기 및 2가의 복소환기가 임의로 가지는 치환기로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 ~ 4의 알콕시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의 탄소수 1 ~ 4의 불화 알킬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디에틸 아미노기 및 피롤리디노기 등의 치환 또는 무치환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란, 탄소수 1 ~ 6의 알킬기를 1개 또는 2개 가지는 아미노기, 또는 2개의 치환 알킬기가 서로 결합해 탄소수 2 ~ 8의 알칸디일기를 형성하고 있는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무치환 아미노기는, -NH2이다.) 를 들 수 있다. 또한 탄소수 1 ~ 6의 알킬기의 구체예는, 메틸기, 에틸기, 부틸기 및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조 색소는, 화합물(B) 중에서도, 이하의 식(2-1) ~ 식(2-6)으로 각각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식(2-1) ~ (2-6) 중,
B1 ~ B20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6의 알킬기, 탄소수 1 ~ 4의 알콕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 또는 무치환의 아미노기 (치환 아미노기 및 무치환 아미노기의 정의는 상기와 같다), 염소 원자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를 나타낸다.
n1 ~ n4는, 서로 독립적으로 0 ~ 3의 정수를 나타낸다.
n1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2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고,
n2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6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고,
n3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9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고,
n4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B14는 서로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상기 안트라퀴논 색소로는, 식(2-7)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식(2-7) 중,
R1 ~ R8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옥사진 색소로는, 식(2-8)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6
[식(2-8) 중,
R9 ~ R1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아크리딘 색소로는, 식(2-9)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7
[식(2-9) 중,
R16 ~ R23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Rx, -NH2, -NHRx, -NRx 2, -SRx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Rx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식(2-7), 식(2-8) 및 식(2-9)에서의, Rx로 나타내는 탄소수 1 ~ 4의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및 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탄소수 6 ~ 12의 아릴기로는, 페닐기, 톨루일기, 크실릴기 및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아닌 색소로는, 식(2-10)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2-11)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8
[식(2-10) 중,
D1 및 D2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2-10a) ~ 식(2-10d)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9
n5는 1 ~ 3의 정수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0
[식(2-11) 중,
D3 및 D4는, 서로 독립적으로, 식(2-11a) ~ 식(2-11h)의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1
n6는 1 ~ 3의 정수를 나타낸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0.1 ~ 3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1 ~ 2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합시킬 수 있다.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중합성 액정의 배향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중합성 액정이, 액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이색성 색소의 함유량을 정할 수도 있다.
[용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용제를 함유해도 좋다. 용제로는, 중합성 액정을 완전하게 용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중합성 액정의 중합 반응에 불활성인 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부틸 에테르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젖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2-헵타논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 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함유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용제의 함유량은, 상기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의 총량에 대해서 50 ~ 98 질량%가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서의 고형분의 함유량은, 2 ~ 50 질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형분의 함유량이 50 질량% 이하이면,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편광자의 두께가 거의 균일하게 되어, 상기 편광자에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고형분의 함유량은, 제조하려고 하는 편광자의 두께를 고려해 정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개시제를 함유해도 좋다. 중합개시제는, 중합성 액정 등의 중합 반응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다. 중합개시제로는, 광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하는 광중합개시제가 바람직하다.
중합개시제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알킬페논 화합물, 아실 포스핀 옥시드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요오드늄염 및 설포니움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인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o-벤조일 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 디페닐 설파이드, 3, 3', 4, 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 벤조페논 및 2, 4, 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알킬페논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2-몰포리노 1-(4-메틸 티오 페닐) 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몰포리노페닐) 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 프로판-1-온, 1,2-디페닐-2,2-디메톡시 에탄-1-온, 2-히드록시-2-메틸-1-〔4-(2-히드록시 에톡시) 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 케톤 및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 비닐) 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아실 포스핀 옥시드 화합물로는, 2, 4, 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시드 및 비스(2, 4, 6-트리메틸 벤조일) 페닐 포스핀 옥시드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 페닐)-1, 3, 5-트리아진,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 3, 5-트리아진,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 3, 5-트리아진,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 푸란-2-일) 에테닐〕-1, 3, 5-트리아진,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 에테닐〕-1, 3, 5-트리아진,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 아미노-2-메틸 페닐) 에테닐〕-1, 3, 5-트리아진 및 2, 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 4-디메톡시 페닐) 에테닐〕-1, 3, 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서 시판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의 중합개시제로는, IRGACURE(등록상표) 907, 184, 651, 819, 250, 및 369(Ciba specialty chemicals 주식회사 제); SEIKUOL (등록상표) BZ, Z, 및 BEE(Seiko Chemical Co.,Ltd. 제); KAYACURE(등록상표) BP100, 및 UVI-6992(The Dow Chemical Company 제); ADEKA OPTOMER SP-152, 및 SP-170(주식회사 ADEKA제); TAZ-A, 및 TAZ-PP(DKSH Japan 제); 및 TAZ-104(Sanwa Chemicals Co., Ltd. 제);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 중의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의 종류 및 그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중합성 액정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1 ~ 30 질량부,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부이다. 중합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합을 행할 수 있다.
[증감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증감제를 함유해도 좋다. 증감제로는, 광증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증감제로는, 예를 들면, 크산톤 및 티옥산톤 등의 크산톤 화합물(예를 들면, 2, 4-디에틸티옥산톤,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등); 안트라센 및 알콕시기 함유 안트라센(예를 들면, 디부톡시안트라센 등) 등의 안트라센 화합물; 페노티아진 및 루브렌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 증감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중합성 액정의 중합 반응을 보다 촉진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감제의 사용량은, 중합성 액정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0.1 ~ 30 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5 ~ 10 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8 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중합 금지제]
중합 반응을 안정적으로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중합 금지제를 함유해도 좋다. 중합 금지제에 의해, 중합성 액정의 중합 반응의 진행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금지제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하이드로퀴논, 알콕시기 함유 카테콜(예를 들면, 부틸 카테콜 등), 피로갈롤, 2, 2, 6, 6-테트라메틸-1-피페리지닐옥시 라디칼 등의 라디칼 포착제; 티오페놀류; β -나프틸아민류 및 β -나프톨류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 중합 금지제를 함유하는 경우,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 3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 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 ~ 8 질량부이다. 중합 금지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의 배향을 어지럽히지 않고 중합을 행할 수 있다.
[레벨링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에는, 레벨링제를 함유시켜도 좋다. 레벨링제란, 편광막형성용 조성물의 유동성을 조정해,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해 얻어지는 막을 보다 평탄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고,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레벨링제로는, "BYK-361N"(BYK Chemie 사 제) 등의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 및 SURFLON(등록상표)"S-381"(AGC SEIMI CHEMICAL CO., LTD. 제) 등의 불소 원자 함유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 레벨링제를 함유하는 경우, 중합성 액정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5 질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 ~ 3 질량부이다.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중합성 액정을 수평 배향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또한 얻어지는 편광자가 보다 평활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중합성 액정에 대한 레벨링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얻어지는 편광자에 불균일이 생기기 쉬운 경향이 있다. 또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레벨링제를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반응성 첨가제]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반응성 첨가제를 포함해도 좋다. 반응성 첨가제로는, 그 분자 내에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활성 수소 반응성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기」란, 카르복실기 (-COOH), 수산기 (-OH), 아미노기 (-NH2) 등의 활성 수소를 가지는 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는 기를 의미하고, 글리시딜기, 옥사졸린기, 카르보디이미드기, 아지리딘기, 이미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티오이소시아네이트기, 무수 말레인산기 등이 그 대표예이다. 반응성 첨가제가 가지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및 활성 수소 반응성기의 개수는, 통상, 각각 1 ~ 20개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1 ~ 10개이다.
반응성 첨가제에서, 활성 수소 반응성기가 적어도 2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복수 존재하는 활성 수소 반응성기는 동일해도, 다른 것이어도 좋다.
반응성 첨가제가 가지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이란, 탄소-탄소 이중 결합 또는 탄소-탄소 삼중 결합,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지만, 탄소-탄소 이중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반응성 첨가제로는, 비닐기 및/또는 (메타)아크릴기로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활성 수소 반응성기가, 에폭시기, 글리시딜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반응성 첨가제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반응성 첨가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성 첨가제의 구체예로는, 메타크릴록시글리시딜에테르나 아크릴록시글리시딜에테르 등의, (메타)아크릴기와 에폭시기를 가지는 화합물; 옥세탄아크릴레이트나 옥세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기와 옥세탄기를 가지는 화합물; 락톤 아크릴레이트나 락톤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기와 락톤기를 가지는 화합물; 비닐옥사졸린이나 이소프로페닐옥사졸린 등의, 비닐기와 옥사졸린기를 가지는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및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의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타크릴산 무수물, 아크릴산 무수물, 무수 말레인산 및 비닐 무수 말레인산 등의, 비닐기나 비닐렌기와 산 무수물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크릴록시글리시딜에테르, 아크릴록시글리시딜에테르, 이소시아네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닐옥사졸린, 2-이소시아네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상기 올리고머가 바람직하고, 이소시아네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네이트에틸아크릴레이트 및 상기 올리고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Y)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2
[식(Y) 중,
n는 1 ~ 10까지의 정수를 나타내고, R1'은, 탄소수 2 ~ 20의 2가의 지방족 또는 지환식 탄화수소기, 혹은 탄소수 5 ~ 20의 2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각 반복 단위에 있는 2개의 R2'은, 한쪽이 -NH-이고, 다른 쪽이>N-C(=O)-R3'로 나타내는 기이다. R3'은, 수산기 또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기를 나타낸다.
식(Y) 중의 R3' 가운데, 적어도 1개의 R3'은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기이다.]
상기 식(Y)으로 나타내는 반응성 첨가제 중에서도, 하기 식(YY)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화합물(YY)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특히 바람직하다(또한 n은 상기와 같은 의미이다).
Figure pct00013
화합물(YY)에는, 시판품을 그대로 또는 필요에 따라서 정제하고 이용할 수 있다. 시판품으로는, 예를 들면, Laromer(등록상표) LR-9000(BASF 사 제)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이 반응성 첨가제를 함유하는 경우, 반응성 첨가제의 함유량은, 중합성 액정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0.01 ~ 10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1 ~ 5 질량부이다.
<배향막>
본 발명에서 배향막은,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막이고, 중합성 액정을 소망한 방향으로 액정 배향시키는, 배향 규제력을 가지는 것이다.
배향막은, 중합성 액정의 액정 배향을 용이하게 한다. 수평 배향, 수직 배향, 하이브리드 배향, 경사 배향 등의 액정 배향 상태는, 배향막 및 중합성 액정의 성질에 따라 변화하고, 그 조합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향막이 배향 규제력으로서 수평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중합성 액정은 수평 배향 또는 하이브리드 배향을 형성할 수 있고, 수직 배향을 발현시키는 재료이면, 중합성 액정은 수직 배향 또는 경사 배향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 수직 등의 표현은, 편광자 평면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배향한 중합성 액정의 장축의 방향을 나타낸다. 수평 배향이란, 편광자 평면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으로, 배향한 중합성 액정의 장축을 가지는 배향이다. 여기서 말하는 「평행」이란, 편광자 평면에 대해서 0°±20°의 각도를 의미한다. 수직 배향이란, 편광자 평면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한 중합성 액정의 장축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수직이란, 편광자 평면에 대해서 90°±20°을 의미한다.
배향 규제력은, 배향막이 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표면 상태나 러빙 조건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광배향성 폴리머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편광 조사 조건 등에 따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 액정의, 표면장력이나 액정성 등의 물성을 선택함으로써, 액정 배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확산 방지층과 편광자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향막으로는, 배향막 상에 편광자를 형성할 때에 사용되는 용제에 불용이고, 또한, 용제의 제거나 액정의 배향을 위한 가열 처리에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향막으로는,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 광배향막 및 그루브(groove) 배향막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배향막이다.
배향막의 두께는, 통상 10 nm ~ 500 n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 nm ~ 200 nm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100 nm이다.
배향성 폴리머로는, 분자 내에 아미드 결합을 가지는 폴리아미드나 젤라틴류, 분자 내에 이미드 결합을 가지는 폴리이미드 및 그 가수분해물인 폴리아믹산, 폴리비닐알코올, 알킬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옥사졸,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스티렌,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향성 폴리머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배향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배향막은, 통상, 배향성 폴리머가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이하,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해, 용제를 제거하거나, 또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해, 용제를 제거하고, 러빙하는 것(러빙법)으로 얻어진다.
상기 용제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이소프로필 알코올,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의 알코올 용제;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젖산 에틸 등의 에스테르 용제;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메틸 아밀 케톤 및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 용제;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용제;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 용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메톡시 에탄 등의 에테르 용제; 클로로포름 및 클로로벤젠 등의 염소 치환 탄화수소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 중의 배향성 폴리머의 농도는, 배향성 폴리머가 용제에 완용(完溶)할 수 있는 범위이면 좋지만, 용액에 대해서 고형분 환산으로 0.1 ~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서 시판의 배향막 재료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다. 시판의 배향막 재료로는, SUNEVER (등록상표)(Nissan Chemical Industries, Ltd. 제) 또는 Optoma (등록상표)(JSR 주식회사 제) 등을 들 수 있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핀 코팅법, 익스트루젼법,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코팅법, 바 코팅법 및 어플리케이터법 등의 도포 방법이나,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을, 롤투롤(Roll-to-Roll) 형식의 연속적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는 경우, 상기 도포 방법에는 통상, 그라비아 코팅법, 다이코팅법 또는 플렉소법 등의 인쇄법이 채용된다.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배향성 폴리머의 건조 피막이 형성된다. 용제의 제거 방법으로는, 자연 건조법, 통풍 건조법, 가열 건조법 및 감압 건조법 등을 들 수 있다.
러빙하는 방법으로는, 러빙천이 감겨져 회전하고 있는 러빙 롤에,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해 아닐함으로써 확산 방지층 표면에 형성된 배향성 폴리머의 막을, 접촉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광배향막은, 통상,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 및 용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하,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해, 편광(바람직하게는, 편광 UV)을 조사함으로써 얻어진다. 광배향막은, 조사하는 편광의 편광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배향 규제력의 방향을 임의로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광반응성기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액정 배향능을 일으키는 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을 조사함으로써 생기는 분자의 배향 야기 또는 이성화 반응, 2량화 반응, 광가교 반응, 또는 광분해 반응과 같은, 액정 배향능의 기원이 되는 광반응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기 광반응성기 중에서도, 2량화 반응 또는 광가교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배향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광반응성기로는, 불포화 결합, 특히 이중 결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탄소 이중 결합(C=C 결합), 탄소-질소 이중 결합(C=N 결합), 질소-질소 이중 결합(N=N 결합), 및 탄소-산소 이중 결합(C=O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C=C 결합을 가지는 광반응성기로는 예를 들면, 비닐기, 폴리엔기, 스틸벤기, 스틸바졸기, 스틸바졸리움기, 칼콘기 및 신나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C=N 결합을 가지는 광반응성기로는, 방향족 시프 염기 및 방향족 히드라존 등의 구조를 가지는 기를 들 수 있다. N=N 결합을 가지는 광반응성기로는, 아조벤젠기, 아조나프탈렌기, 방향족 복소환 아조기, 비스아조기 및 포르마잔기 등이나, 아족시벤젠을 기본 구조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C=O 결합을 가지는 광반응성기로는, 벤조페논기, 쿠마린기, 안트라퀴논기 및 말레이미드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기는,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기, 알릴 옥시기, 시아노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히드록실기, 설폰산기 및 할로겐화 알킬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용제로는,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및 모노머를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제로는, 예를 들면, 상기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의 용제로서 들 수 있던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함유량은, 상기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종류나 제조하려고 하는 광배향막의 두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0.2 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 10 질량%의 범위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배향막의 특성이 현저하게 손상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폴리이미드 등의 고분자 재료나 광증감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을 확산 방지층에 도포하는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도포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과 같은 방법을 들 수 있다.
편광을 조사하려면, 확산 방지층 등 위에 도포된 광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부터, 용제를 제거한 것에 직접, 편광을 조사하는 형식이어도, 확산 방지층 측에 편광을 조사해, 편광을 투과시켜 조사하는 형식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편광은, 실질적으로 평행광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조사하는 편광의 파장은,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 또는 모노머의 광반응성기가, 광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파장 250 ~ 400 nm의 범위의 UV(자외광)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편광 조사에 이용하는 광원으로는, 크세논 램프,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KrF, ArF 등의 자외광 레이저 등을 들 수 있고, 고압 수은 램프, 초고압 수은 램프 및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램프는, 파장 313 nm의 자외광의 발광 강도가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적절한 편광자를 통과시켜 조사함으로써, 편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자로는, 편광 필터나 글란 톰슨(Glan-Thompson), 글란 테일러(Glan Taylor) 등의 편광 프리즘이나 와이어 그리드 타입의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러빙 또는 편광 조사를 행할 때에, 마스킹을 행하면, 액정 배향의 방향이 다른 복수의 영역(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루브(groove) 배향막은, 막표면에 요철 패턴 또는 복수의 그루브(홈)를 가지는 막이다. 등간격으로 배열된 복수의 직선 형상의 그루브를 가지는 막에 액정 분자를 두었을 경우, 그 홈에 따른 방향으로 액정 분자가 배향한다.
그루브 배향막을 얻는 방법으로는, 감광성 폴리이미드막 표면에 패턴 형상의 슬릿을 가지는 노광용 마스크를 개재하여 노광 후, 현상 및 린스 처리를 행해 요철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표면에 홈을 가지는 판형상의 원반에, 경화 전의 UV 경화성 수지의 층을 형성하고, 수지층을 확산 방지층에 옮기고 나서 경화하는 방법, 및 확산 방지층 상에 형성한 경화 전의 UV 경화성 수지의 막에, 복수의 홈을 가지는 롤 형상의 원반을 꽉 눌러 요철을 형성하고, 그 후 경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본 특허공개 평 6-34976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11-24274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배향 흐트러짐이 작은 배향을 얻기 위해서는, 그루브 배향막의 볼록부의 폭은 0.05㎛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오목부의 폭은 0.1㎛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요철의 단차의 깊이는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 A 및 B>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한쪽의 측에 확산 방지층(확산 방지층 A)을, 다른 쪽의 측에 다른 확산 방지층(확산 방지층 B)을 각각 가진다. 편광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확산 방지층 A 또는 B가 상기 편광자와 접촉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확산 방지층 A 및 B의 양쪽 모두가 상기 편광자와 접촉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편광자와 확산 방지층 A 또는 B의 사이에 배향막이 존재하고 있는 것은 방해되지 않는다. 확산 방지층 A 및 B는, 편광자로부터의 이색성 색소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층이고, 그 결과, 편광자의 편광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는 모두 두께가 20㎛ 이하이므로, 편광판의 박육화를 달성할 수 있다. 편광판이 확산 방지층 A 및 B를 가지는 것으로, 편광판을 다른 부재(피착체)에 적층하는 경우에, 다른 부재가 형상에 단차(요철)를 가지고 있어도, 편광자의 막 두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막내에서의 균일한 편광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피착체란, 편광판이 기재로부터 전사되는 경우의 전사되는 부재, 및 편광판이 전사되지 않고 적층되는 경우의 적층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러한 부재의 예로는, 전면판, 위상차 필름 등, 편광판이 적용되는 부재를 들 수 있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는, 편광자의 수축 및 팽창 방지, 및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에 의한 편광자의 열화 방지에 기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 A 및 B를 구성하는 재료로는, 내용제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차폐성, 및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편광판으로서의 사용에 견딜 수 있는 투명성과 이색성 색소의 이동을 억제하는 확산 방지능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이색성 색소의 이동(확산)을 막는 기능을 가지는 확산 방지층 A 및 B는, 이색성 색소와의 상용성이 낮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는, 광경화성 수지 및 수용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광경화성 수지는 고도로 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색성 색소의 확산을 방해할 수 있고, 수용성 폴리머는 이색성 색소와 극성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이색성 색소의 확산을 방해할 수 있다.
확산 방지층 A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구체적으로는, 폴리아크릴아미드계 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 또는 그 무수물-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카르복시비닐계 폴리머; 폴리비닐 피롤리돈; 전분류; 알긴산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 옥시드계 폴리머 등의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는,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 우레탄계, 에폭시계, 혹은 실리콘계 등의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편광자 중의 이색성 색소를 차폐하는 기능이 더 우수한 관점에서, 확산 방지층 A 및 B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가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쪽의 확산 방지층이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다른 쪽의 확산 방지층이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 A를 구성하는 재료와 확산 방지층 B를 구성하는 재료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확산 방지층 B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단지 「확산 방지층」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확산 방지층이 확산 방지층 A 및 확산 방지층 B의 어느 것이어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확산 방지층 A 및 B에서의, 상기 폴리머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상이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는 상기 폴리머를 단독으로 포함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포함해도 좋다.
확산 방지층 A 및 B의 유리 전이 온도는, 25℃(실온)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또는 B를 구성하는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25℃(실온)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확산 방지층 A 및 B는 실온에서 경화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이면, 이색성 색소의 확산 방지층 A 및 B에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편광판의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를 보다 줄일 수 있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에서의, 분자량 1000 이하의 저분자의 함유량은, 1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층이면, 이색성 색소의 확산 방지층 A 및 B에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어 편광판의 광학 성능의 경시적인 저하를 보다 줄일 수 있다.
확산 방지층 A 및 B는 각각, 피착체에의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편광판을 소망한 영역에 접착할 수 있고 편광판의 적층에 이용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산 방지층 A 및 B에 따르면, 편광판을 피착체에 직접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얻어지는 적층체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피착체에 접착성을 나타내는,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폴리머로는,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와 에폭시계 가교제, 아미드계 가교제 및 아크릴계 가교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의 가교제와의 혼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확산 방지층 A 및 B의 두께는 각각, 2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의 두께는 각각, 0.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 A 및 B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특히 확산 방지층의 A 및 B의 두께 각각이, 상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5㎛ ~ 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3㎛, 더 바람직하게는 0.5㎛ ~ 3㎛이다. 특히, 확산 방지층 A 또는 B의, 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을 가지는 경우는, 확산 방지층 A 또는 B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두께가, 특히 확산 방지층의 A 및 B의 두께 각각이, 바람직하게는 0.5㎛ ~ 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이고, 더 바람직하게는 0.5 ~ 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3㎛이다. 이 경우는, 확산 방지층이 0.5㎛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이색성 색소의 점착제층에의 이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확산 방지층의, 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는, 확산 방지층이 0.05㎛ ~ 3㎛의 두께를 가지는 것으로 이색성 색소의 점착제층에의 이동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확산 방지층 A의 두께와 확산 방지층 B의 두께는 동일하거나 달라도 좋다. 또한 확산 방지층 A 및 B는, 각각 단층이어도 좋지만,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확산 방지층 A 및 B는, 그 편광자와는 반대측의 면에 표면 처리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표면 처리층으로는, 예를 들면, 하드 코트층, 반사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안티글레어층 및 확산층 등의 광학층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트층은, 편광판 표면의 손상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아크릴계, 실리콘계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의한 경도나 미끄러짐 특성 등이 우수한 경화 피막을 확산 방지층의 표면에 부가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반사방지층은 편광판 표면에서의 외광의 반사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종래에 준한 반사 방지막 등의 형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스티킹 방지층은 이것이 접하는 층과의 밀착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의 표면에서 외광이 반사하여, 편광판 투과광의 시인을 저해하는 것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샌드 블레스트 방식이나 엠보싱 가공 방식에 의한 조면화 방식이나 투명 미립자의 배합 방식 등의 방식에 의해, 확산 방지층의 표면에 미세 요철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 구조의 형성을 위해서 함유되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0.5 ~ 50㎛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산화 주석, 산화 인듐, 산화 카드뮴, 산화 안티몬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을 가질 수 있는 무기계 미립자, 가교 또는 미가교의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기계 미립자 등의 투명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미립자의 함유량은, 표면 미세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투명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서, 통상 2 ~ 50 질량부이고, 5 ~ 2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안티글레어층은, 편광판 투과광을 확산해 시각(視角) 등을 확대하기 위한 확산층(시각 확대 기능 등)을 겸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반사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은, 확산 방지층 그 자체에 설치해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광학층으로서 확산 방지층과는 별체의 것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확산 방지층 A 및 B는, 통상, 각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용액(이하, 「확산 방지층 조성물」이라고도 한다.)을 기재, 배향막, 편광자, 전면판 등, 적절한 부재에 도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얻어진다.
확산 방지층 조성물이,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가 용제에 용해한 조성물인 경우, 상기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경화시켜도 좋고, 상기 용제를 제거한 후에 화학반응을 더 거쳐 경화시켜도 좋다.
확산 방지층 조성물은, 상기 부재 상에 도포해 경화시켜도 좋고, 상기 부재 상에 도포한 후, 이에 또 다른 부재를 적층하여 경화시켜도 좋다.
상기 용제로는,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를 용해하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상기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의 용제로서 들 수 있던 용제를 들 수 있다.
확산 방지층 조성물 중의, 확산 방지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농도는, 고형분 환산으로 0.1 ~ 20 질량%가 바람직하고, 0.1 ~ 1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및 용제를 제거(건조)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에서 기재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층은, 상기 열거한 재료로부터 적절히 선정함으로써 이색성 색소의 이행을 막기 위해서 편광자에 설치하는 것 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의 어느 하나에 이용할 수도 있다. 확산 방지층은, 예를 들면, 액정 중합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층의 적어도 일 측면에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확산 방지층은 내충격, 혹은 굴곡에 의한 크랙을 막기 위한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은,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7-8384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편광판은, 소정 형상으로 재단된 매엽 형상의 부재를 서로 첩합하여 제조되어도 좋고, 장척(長尺) 형상의 부재를 서로 첩합하여 제조되어도 좋다.
<점착제층>
편광판은, 상기 확산 방지층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점착제층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점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에 의해, 편광판은 피착체에의 접착성은 양호하게 되어, 소망한 영역에 편광자 유래의 편광 기능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점착제는, 통상, 폴리머를 포함하고, 용제를 더 포함해도 좋다. 상기 폴리머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폴리머, 실리콘계 폴리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아크릴계의 점착제는,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절한 젖음성 및 응집력을 가지며,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후성 및 내열성 등이 높고, 가열이나 가습의 조건 하에서 들뜸 및 박리 등이 생기기 어렵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로는, 에스테르 부분의 알킬기가 메틸기, 에틸기 또는 부틸기 등의 탄소수 20 이하의 알킬기인 (메타)아크릴레이트(이하,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를 총칭해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총칭해 (메타)아크릴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와 (메타)아크릴산이나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계 모노머와의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는, 점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표시장치에 첩합한 후에, 없앨 때에도, 표시장치에 점착제 잔사 등을 일으키지 않고, 비교적 용이하게 없앨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는, 25℃ 이하가 바람직하고, 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제로는, 예를 들면, 상기 배향성 폴리머 조성물의 용제로서 들 수 있던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1×106 Pa(1 M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5 Pa(0.5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05 Pa(0.3 MPa)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률이 1×106 Pa(1 MPa) 이하이면, 접어 구부림에 의해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워지거나 표시 불균일이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 탄성률은, 1×104 Pa(0.01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104 Pa(0.02 MPa)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104 Pa(0.03 MPa)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저장 탄성률이 1×104 Pa(0.01 MPa) 이상이면, 제조 작업시에 다른 부품에 점착제가 부착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의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5×105 Pa(0.5 MPa) 이하가 바람직하고, 3×105 Pa(0.3 M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105 Pa(0.1 MPa) 이하가 더 바람직하고, 5×104 Pa(0.05 MPa)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고, 3×104 Pa(0.03 MPa)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80℃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5×105 Pa(0.5 MPa) 이하이면 가열 작업에서의 유동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기포의 발생 등이 억제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확산 방지층에서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형성되는 점착제층 내, 전면판과 편광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6 MPa 이하이다. 이 저장 탄성률은, 0.5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M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MPa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과 편광판이, 상기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점착제에 의해 적층됨으로써,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굴곡시켰을 때에 확산 방지층이나 위상차 필름에 생기는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의 굴곡성이 향상하기 쉽다. 또한 점착제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후술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된다.
또한, 점착제는, 광확산제를 함유해도 좋다. 광확산제는, 점착제에 광확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고, 점착제가 포함하는 상기 폴리머와 다른 굴절률을 가지는 미립자이면 좋고, 광확산제로는,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및 유기 화합물(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고, 점착제가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머의 대부분은, 1.4 정도의 굴절률을 가지기 때문에, 광확산제로는, 그 굴절률이 1 ~ 2 정도인 것으로부터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점착제가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폴리머와 광확산제의 굴절률 차이는, 통상, 0.01 이상이고, 또한 표시장치의 밝기와 표시성의 관점에서는, 0.01 이상 0.5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광확산제로서 이용하는 미립자는, 구형의 것, 게다가 단분산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2 ~ 6㎛ 정도의 범위에 있는 미립자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굴절률은, 일반적인 최소 편각법 또는 압베 굴절계에 의해서 측정된다.
무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로는, 산화 알루미늄(굴절률 1.76) 및 산화 규소(굴절률 1.45)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화합물(폴리머)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로는, 예를 들어, 멜라민 비즈(굴절률 1.57), 폴리메타크릴산 메틸 비즈(굴절률 1.49), 메타크릴산 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비즈(굴절률 1.50 ~ 1.59), 폴리카보네이트 비즈(굴절률 1.55), 폴리에틸렌 비즈(굴절률 1.53), 폴리스티렌 비즈(굴절률 1.6), 폴리염화비닐 비즈(굴절률 1.46), 및 실리콘 수지 비즈(굴절률 1.46) 등을 들 수 있다.
광확산제의 배합량은,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필요하게 되는 헤이즈값이나, 이것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밝기 등을 고려해 적절히 결정할 수 있지만, 통상, 상기 폴리머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서, 3 ~ 30 질량부이다.
광확산제가 분산된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의 헤이즈값은, 편광판이 적용된 표시장치의 밝기를 확보하는 동시에, 표시상의 번짐이나 흐림을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20 ~ 80%의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은, (확산 투과율/전광선 투과율) ×100(%)으로 나타내는 값이고, JIS K 7105에 준해 측정된다.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두께는, 그 밀착력등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 ~ 40㎛이다. 가공성이나 내구성 등의 점에서, 상기 두께는 5 ~ 25㎛가 바람직하고, 5 ~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두께를 5 ~ 15㎛ 정도로 함으로써, 피착체와 편광자를 충분히 접착하고, 또한, 디스플레이 전체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전면판>
편광판은, 확산 방지층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을 구비한다. 전면판은, 점착제층 또는 확산 방지층을 개재하여 편광판에 적층될 수 있다.
전면판은,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의 휘어짐을 억제하거나 화상 표시 소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투광성의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판상체이다. 전면판은, 단층 구조이어도 좋고, 다층 구조이어도 좋다.
전면판은, 최종 제품에서 최외면에 배치되는 점에서, 옥외 또는 반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면판은 굴곡에 대한 내구성도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면판은, 인장 탄성률이 2 GPa 이상의 고분자 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용도로는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적합하고, 수지 필름은,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인장 탄성률 2 ~ 3 GPa), 아크릴 수지(인장 탄성률 3 ~ 4 GPa), 폴리이미드 수지(인장 탄성률 3 ~ 5 GPa), 폴리아미드 수지(인장 탄성률 3 ~ 8 GPa),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인장 탄성률 3 ~ 13 GPa) 폴리에테르 설폰 수지(인장 탄성률 2 ~ 3 GPa)로 구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의 박형화, 경량화 및 플렉서블화에는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및 수지에 내찰과상성을 부여한 적층 필름이나,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아미드이미드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름과 같은 유기 재료와 무기 재료의 복합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표시부재 또는 전면판으로는, 굴곡성, 시인성의 관점에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및 실리카를 함유하는 하이브리드 필름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면판과 편광판의 일체화는, 이들을, 필요에 따라서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전술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편광판이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 전면판과 편광판의 계면에서의 반사나 광의 산란을 없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점착제의 굴절률이 전면판의 굴절률에 가깝거나 또는 이것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광학적으로 투명하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은 점탄성, 예를 들면 25℃ 저장 탄성률, tanδ, 응력 완화율 등을 적절히 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액정 셀 등의 화상 표시 소자의 휘어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화상 표시 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이 플렉서블 형태(고분자 필름)인 경우에는, 롤투롤에 의한 연속 제조를 할 수 있는 점에서도 보다 바람직하다.
전면판의 일 실시 양태로서 도 4를 이용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바람직한 전면판의 일 실시형태로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과 상기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기능층이 설치된 적층 필름이다.
(수지 필름)
수지 필름(40)에 포함되는 수지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이어도 좋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는, 예를 들면, 디아민류와 테트라카르복실산 2 무수물을 출발 원료로서 중축합에 의해서 얻어지는 축합형 폴리이미드이다. 폴리이미드로서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용매에 가용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6-93992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아미드나 폴리아미드이미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폴리아미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1-1225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이미드는, 예를 들면, WO2018/135431이나 일본 특허공표 2014-528490호 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40)은, 무기 입자 등의 무기 재료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재료는,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규소 재료가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40)이 규소 재료 등의 무기 재료를 함유함으로써 수지 필름(40)의 인장 탄성률을 용이하게 4.0 G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만, 수지 필름(40)의 인장 탄성률을 제어하는 방법은, 무기 재료의 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규소 원자를 포함하는 규소 재료로는, 실리카 입자, 오르토규산 테트라에틸(TEOS) 등의 4급 알콕시실란, 실세스퀴옥산 유도체 등의 규소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규소 재료 중에서도, 수지 필름(40)의 투명성 및 굴곡성의 관점에서, 실리카 입자가 바람직하다.
실리카 입자의 평균 1차 입자경은, 통상, 100 nm 이하이다. 실리카 입자의 평균 1차 입자경이 100 nm 이하이면 투명성이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수지 필름 중의 실리카 입자의 평균 1차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에 의한 관찰로 구할 수 있다. 실리카 입자의 1차 입자경은,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에 의한 정방향경(定方向徑)으로 할 수 있다. 평균 1차 입자경은, TEM 관찰에 의해 1차 입자경을 10점 측정하고, 이들의 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전의 실리카 입자의 입자 분포는, 시판의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계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지 필름(40)에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와 무기 재료의 배합비는, 양자의 합을 10으로서 질량비로, 1:9 ~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7 ~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7 ~ 8:2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7 ~ 7:3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및 무기 재료의 합계 질량에 대한 무기 재료의 비율은, 통상 2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고, 통상 90 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하이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와 무기 재료(규소 재료)의 배합비가 상기의 범위 내이면, 수지 필름의 투명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지 필름(40)의 인장 탄성률을 용이하게 4.0 GPa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수지 필름(40)은, 투명성 및 굴곡성을 현저하게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및 무기 재료 이외의 성분을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무기 재료 이외의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이형제, 안정제, 블루잉제 등의 착색제, 난연제, 윤활제, 증점제 및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및 무기 재료 이외의 성분의 비율은, 수지 필름(40)의 질량에 대해서, 0%를 넘고 20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0%를 넘고 10 질량% 이하이다.
수지 필름(40)이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및 규소 재료를 함유할 때, 적어도 한쪽의 주면(40a)에서의, 질소 원자에 대한 규소 원자의 원자수비인 Si/N가 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자수비 Si/N는, X선 광전자 분광(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에 의해서, 주면(10a)의 조성을 평가하고, 이로 인해서 얻어진 규소 원자의 존재량과 질소 원자의 존재량으로부터 산출되는 값이다.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서의 Si/N가 8 이상인 것으로, 후술하는 기능층(50)과의 충분한 밀착성이 얻어진다. 밀착성의 관점에서, Si/N는, 9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40)의 두께는, 전면판(4)이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통상 10 ~ 500㎛이고, 15 ~ 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10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40)의 두께는, 더 바람직하게는, 40 ~ 10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 90㎛이고, 30 ~ 70㎛이다. 이러한 구성의 수지 필름(40)은, 특별히 우수한 굴곡성, 및 실용상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수지 필름(4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수지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는, 공지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의 합성 수법으로 중합된 용매 가용인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해 조제된다. 용매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용해하는 용매이면 좋고, 예를 들면,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N,N-디메틸 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γ-부티로락톤(GBL),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무기 재료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에, 무기 재료를 첨가하고, 공지의 교반법에 따라 교반 및 혼합하여, 규소 재료가 균일하게 분산된 분산액을 조제한다.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경우는, 이 분산액에 자외선 흡수제를 가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 또는 분산액은, 무기 입자(실리카 입자 등)끼리의 결합에 기여하는 알콕시실란 등의 금속 알콕시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분산액을 이용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투명성 등의 광학 특성을 유지하면서, 무기 입자의 배합 비율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아미노기를 가지는 알콕시실란이다. 이러한 화합물과 무기 입자의 조합은, 높은 탄성률을 달성하는 동시에, 굴곡 시험에서 수지 필름이 파손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 또는 분산액은, 물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물의 함유량은,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 또는 분산액의 질량에 대해서, 통상, 0.1 ~ 10 질량%이다. 물의 사용도, 높은 탄성률을 달성하는 동시에, 굴곡 시험에서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를 증대시키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분산액은, 첨가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방지제, 이형제, 안정제, 블루잉제 등의 착색제, 난연제, 윤활제, 증점제 및 레벨링제를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적절한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제조 방법의 예로는, 다음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의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바니스 또는 분산액을, 예를 들면, 공지의 롤투롤이나 배치 방식에 의해 기재에 도포해 도막을 형성한다. 그 도막을 건조하여, 필름을 형성한다. 그 후, 기재로부터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수지 필름(10)이 얻어진다. 기재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기재, 스텐레스강(SUS) 벨트 또는 유리 기재를 들 수 있다.
도막의 건조, 및/또는 베이킹을 위해서, 도막을 가열해도 좋다. 도막의 가열 온도는, 통상 50 ~ 350℃이다. 도막의 가열은, 불활성 분위기 하 또는 감압 하에서 행해도 좋다. 도막을 가열함으로써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은, 도막을 50 ~ 150℃에서 건조하는 공정과 건조 후의 도막을 180 ~ 350℃에서 베이킹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형성되어도 좋다.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는, 표면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표면 처리는, 바람직하게는 UV 오존 처리이다. UV 오존 처리에 의해, Si/N를 용이하게 8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다만, Si/N를 8 이상으로 하는 방법은, UV 오존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필름(10)의 주면 (10a 및/또는 10b)에는, 후술하는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라스마 처리 또는 코로나 방전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UV 오존 처리는, 200 nm 이하의 파장을 포함하는 공지의 자외광원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자외광원의 예로서 저압 수은 램프를 들 수 있다. 자외광원으로는, 자외광원을 구비한 각종 시판 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시판 장치로는, 예를 들면, TECHNOVISION, INC. 제의 자외선(UV) 오존 세정 장치 UV-208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40)의 인장 탄성률은, 25℃에서, 예를 들면 4.0 GPa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GPs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GPa 초과이고, 또한 10 G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GPa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인장 탄성률이 이들 수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표면의 경도 향상의 점 외에 굴곡 회복성의 점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수지 필름(40)을 서로 마주 보는 수지 필름간의 거리가 3 mm(반경 1.5 R)로 될 때까지 U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굴곡 시험에서, 상기 수지 필름(40)이 파단할 때까지 수지 필름(10)을 접어 구부리는 횟수가, 바람직하게는 100000회를 넘는다.
굴곡 시험에서 「수지 필름이 파단한다」는 것은, 수지 필름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파단하는, 즉 두께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분단된 부분이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굴곡 횟수가 100000회에 이른 시점에서 수지 필름이 파단하지 않는 경우,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는, 100000회를 넘는다고 보인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따르면, 100000회의 굴곡 횟수까지의 굴곡 시험에 기초하여, 수지 필름에 의한 표면의 경도 향상에 대한 기여를 평가할 수 있다. 굴곡 시험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다.
수지 필름(40)의 황색도(YI값)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시인성 등의 관점에서,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40)의 황색도는, 통상 0.5 이상이고, 1 이상이어도 좋다.
(기능층)
전면판(4)은, 수지 필름(40)과 수지 필름(40)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40a)에 적층된 기능층(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층(50)은, 자외선 흡수,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색상 조정 및 굴절률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능을 가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50)으로서,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층(자외선 흡수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의 투명 수지, 전자선 경화형의 투명 수지 및 열경화형의 투명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주재, 및 이 주재에 분산한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된다. 기능층(50)으로서 자외선 흡수층을 설치하는 것으로, 광조사에 의한 황색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층의 주재로서 자외선 경화형, 전자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의 투명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층은, 400 nm 이하의 파장의 광(예를 들면 파장 313 nm의 광)을 95% 이상 흡수하는 층이어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자외선 흡수층은, 400 nm 이하의 파장의 광(예를 들면 파장 313 nm의 광)의 투과율이 5% 미만인 층이어도 좋다. 자외선 흡수층은, 이러한 투과율이 얻어지는 농도의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에 의한 전면판의 황색도의 증대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층(기능층(50))에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비율은, 자외선 흡수층의 질량을 기준으로서 통상 1 질량% 이상이고, 3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0 질량% 이하이고, 8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50)으로서,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층(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의 표면의 연필 경도보다도 높은 연필 경도를 가지는 표면을 적층체에 제공하는 층이다. 이 하드 코트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대표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또는 열경화형의 라디칼 경화 조성물 또는 양이온 경화 조성물을 포함한다. 하드 코트층은, 광중합개시제, 유기용매를 포함해도 좋다. 라디칼 경화 조성물로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류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다른 다관능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류로 형성되는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경화 조성물로는 에폭시기, 옥세타닐기, 비닐 에테르기 등의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양이온 중합성기를 가지는 다관능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 코트층은, 상기 성분 외에, 실리카, 알루미나, 폴리오가노실록산 등의 무기산화물을 포함해도 좋다.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층(하드 코트층)의 연필 경도는 2H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50)으로서, 색상 조정의 기능을 가지는 층(색상 조정층)는, 전면판(4)을 목적의 색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층이다. 색상 조정층은, 예를 들면, 수지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층이어도 좋다. 착색제로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아연, 벵갈라, 티타늄 옥시드계 소성안료, 군청, 알루민산코발트 및 카본 블랙 등의 무기 안료; 아조계 화합물, 퀴나크리돈계 화합물, 안스라퀴논계 화합물, 페릴렌계 화합물, 이소인돌리논계 화합물,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퀴노프탈론계 화합물, 스렌계 화합물 및 디케토피롤로피롤계 화합물 등의 유기 안료; 황산바륨 및 탄산칼슘 등의 체질 안료; 염기성 염료, 산성 염료 및 매염 염료 등의 염료를 들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굴절률 조정의 기능을 가지는 층(굴절률 조정층)는, 수지 필름(40)과는 다른 굴절률을 가지고, 적층체에 소정의 굴절률을 부여할 수 있는 층이다.
굴절률 조정층은, 예를 들면, 적절히 선택된 수지, 경우에 따라 안료를 더 함유하는 수지층이어도 좋고, 금속의 박막이어도 좋다.
굴절률을 조정하는 안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 규소, 산화 알류미늄, 산화 안티몬, 산화 주석, 산화 티탄, 산화 지르코늄 및 산화 탄탈 등을 들 수 있다. 안료의 평균 입자경은, 0.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의 평균 입자경을 0.1㎛ 이하로 함으로써, 굴절률 조정층을 투과하는 광의 난반사를 방지해, 투명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굴절률 조정층에 이용되는 금속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티탄, 산화 탄탈,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산화 주석, 산화 규소, 산화 인듐, 산질화 티탄, 질화 티탄, 산질화 규소, 질화 규소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질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기능층(50)은, 전면판(4)의 용도에 따라, 상기의 기능을 적절히 가진다. 기능층(50)은, 단층이어도, 복수의 층이어도 좋다. 각 층이 1개의 기능 또는 2 이상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기능층(50)은,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기능층(50)은,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층」,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과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 또는,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층과 고경도를 발현하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50)의 두께는, 전면판(4)이 적용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1㎛ ~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1㎛ ~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2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기능층(50)은, 전형적으로는, 수지 필름(40)보다도 얇다.
전면판(4)은, 수지 필름(40)의 주면(40a) 상에 기능층(50)을 형성하여 얻을 수 있다. 기능층(50)은, 공지의 롤투롤이나 배치 방식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자외선 흡수층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10)의 주면(40a)에,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흡수제가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하드 코트층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색상 조정층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색상 조정층을 형성하는 안료 등, 및 안료 등이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굴절률 조정층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굴절률 조정층을 형성하는 무기 입자 등, 및 무기 입자 등이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능층(50)으로서,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층은,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가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 및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주재가 되는 수지와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는, 같아도 좋다.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과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기능층은, 다음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흡수제가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자외선 흡수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그 자외선 흡수층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방법에 따라,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과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기능층이 형성된다.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층과 고경도를 발현하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기능층은, 다음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가 분산되는 수지 등의 주재, 및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켜,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및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단층을 형성하여, 또한 그 단층 상에,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그 도막을 건조 및 경화시킴으로써, 하드 코트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 방법에 따라,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과 자외선 흡수의 기능을 가지는 층, 및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을 포함하는 다층의 기능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전면판(4)은, 굴곡성이 우수하고 전면판에 적용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투명성, 내자외선 특성, 및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 등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전면판(4)은,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서의 Si/N가 8 이상인 경우, 수지 필름(40)과 기능층(50)의 밀착성도 우수하다. 또한 기능층(50)이 표면에 고경도를 발현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하드 코트층)인 경우, 기능층(50)이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도, 전면판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전면판(4)은, 도 4의 전면판과 마찬가지의 수지 필름(40) 및 기능층(50) 외에, 수지 필름(40)과 기능층(40)의 사이에 설치된 프라이머층(45)을 더 가지고 있다. 프라이머층(45)은, 수지 필름(40)의 한쪽의 주면(40a)에 적층되어 있다. 기능층(50)은, 프라이머층(45)의 수지 필름(40)과 접하는 주면과는 반대측의 주면(45a)에 적층되어 있다.
프라이머층(45)은, 프라이머제로 형성된 층이고, 수지 필름(40) 및 기능층(50)과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45)에 포함되는 화합물이, 수지 필름(40)에 포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규소 재료 등과 계면에서 화학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프라이머제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열경화형 또는 2액 경화형의 에폭시계 화합물의 프라이머제를 들 수 있다. 프라이머제는, 폴리아믹산이어도 좋다. 이러한 프라이머제는, 수지 필름(40) 및 기능층(50)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적합하다.
프라이머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실란 커플링제는, 축합 반응에 의해 수지 필름(40)에 포함되는 규소 재료와 화학 결합해도 좋다. 실란 커플링제는, 특히 수지 필름(40)에 포함되는 규소 재료의 배합비가 높은 경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는, 규소 원자와 상기 규소 원자에 공유결합한 1 ~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알콕시 실릴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규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2개 이상 공유결합 하고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규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3개 공유결합 하고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알콕시기로서 예를 들면, 메톡시기, 에톡시기, 이소프로폭시기, n-부톡시기 및 t-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톡시기 및 에톡시기가 규소 재료와의 반응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는, 수지 필름(40) 및 기능층(50)과의 친화성이 높은 치환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40)에 포함되는 폴리이미드계 고분자와의 친화성의 관점에서, 실란 커플링제의 치환기는, 에폭시기, 아미노기, 우레이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50)이 (메타)아크릴레이트류를 포함하는 경우, 프라이머층(45)에 이용하는 실란 커플링제가, 에폭시기, 메타크릴기, 아크릴기, 아미노기 또는 스티릴기를 가지고 있으면, 친화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이들 중에서도, 메타크릴기, 아크릴기 및 아미노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실란 커플링제는, 수지 필름(40) 및 기능층(50)과의 친화성이 우수한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45)의 두께는, 기능층(50)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지만, 0.01 nm ~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계 화합물의 프라이머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45)의 두께는 0.01㎛ ~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머층(45)의 두께는 0.1 nm ~ 1㎛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nm ~ 0.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5의 전면판(4)은, 예를 들면, 수지 필름(40)의 주면(40a)에, 프라이머제를 용해한 용액을 도포해 도막을 형성하고, 형성된 도막을 건조 및 경화해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 외의 부재의 형성 방법은, 도 4의 전면판(4)과 마찬가지이다. 프라이머층(45)은, 기능층(50)과 동시에 경화시켜도 좋고, 기능층(50)을 형성하기 전에 별도 경화시켜도 좋다.
상기 전면판은, 높은 투명성을 가짐과 동시에, 굴곡시에 우수한 시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전면판은, 우수한 굴곡성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과 기능층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수지 필름과 기능층의 밀착성이 높아진다. 전면판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광학 부재 혹은 표시 부재의 기재, 또는 전면판에 적용하는 경우에 요구되는 투명성, 내자외선 특성 및 표면 경도 등의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전면판의 구성은,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전면판(4)과 같이, 수지 필름의 양측에 기능층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기능층과 수지 필름의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설치해도 좋다.
<위상차 필름>
편광판은, 편광자에서의 전면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할 수 있다. 편광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산 방지층(B)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5)을 구비해도 좋다. 또한, 편광판이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은, 점착제층의 확산 방지층 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해도 좋다. 편광판은, 전면판 및 위상차 필름의 양쪽 모두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확산 방지층의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해도 좋다.
위상차 필름은, 파장 λnm의 광에 대한 복굴절률 Δn(λ)가, 하기 식(1-1), (2-1) 및 하기 식(3)으로 나타내는 위상차성을 나타내는 λ/4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Δn(450)/Δn(550) ≤1.00   (1-1)
1.00≤Δn(650)/Δn(550)   (2-1)
120nm≤Re(550) ≤180nm          (3)
Δn(450),Δn(550),Δn(650)는 각각 파장 450 nm, 550 nm, 650 nm에서의 복굴절을 나타낸다.
복굴절률 Δn(λ)는, 면내 리타데이션을 측정하여, 위상차 필름의 두께로 나눠 얻어진다. 구체적인 측정 방법은 실시예에 나타내지만, 이 때, 유리 기재와 같이 기재 자체에 리타데이션이 없도록 기재 상에 제막한 것을 측정함으로써 실질적인 위상차 필름의 특성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위상차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1), (2) 및 상기 식(3)으로 나타내는 위상차성을 나타내는 위상차 필름이다.
Re(450)/Re(550) ≤1.00     (1)
1.00≤Re(650)/Re(550)     (2)
Re(450), Re(550), Re(650)는 각각 파장 450 nm, 550 nm, 650 nm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을 나타낸다.
상기 위상차 필름은 단층이어도 다층 필름이어도 좋다. 위상차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 각 필름은 전술의 점착제, 또는 후술의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을 수 있다. 또한, 각 필름을 형성하는 조성물을 도공하는 등의 방법으로, 각 필름을 직접 형성할 수도 있다.
[접착제]
접착제로는, 수계 접착제, 유기용제계, 무용제계 접착제, 고체 접착제, 용제휘산형 접착제, 습기 경화형 접착제, 가열 경화형 접착제, 혐기경화형,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경화제 혼합형 접착제, 열용융형 접착제,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재습(再濕)형 접착제 등 범용에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점착제가 자주 이용된다. 접착제층의 두께는, 요구되는 접착력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0.01㎛ ~ 500㎛, 바람직하게는 0.1㎛ ~ 300㎛이고,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에는 복수 존재하지만 각각의 두께 종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머, 전분 등의 수용성 폴리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계 에멀젼, 스티렌-부타디엔계 에멀젼 등 수분산 상태의 폴리머를 주제 폴리머로서 사용할 수 있다. 물, 상기 주제 폴리머 이외에, 가교제, 실란계 화합물, 이온성 화합물, 가교 촉매, 산화 방지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유기용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상기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하는 경우, 상기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를 피접착층간에 주입해 피착층을 첩합한 후, 건조시킴으로써 접착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접착층의 두께는 0.01 ~ 10㎛, 바람직하게는 0.1 ~ 1㎛이어도 좋다. 상기 상기 수계 용제휘산형 접착제를 복수층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층의 두께 종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반응성 재료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의 경화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은, 하드 코트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의 중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이란, 하드 코트 조성물과 마찬가지이고, 하드 코트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층에 이용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는 아크릴로일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로서 점도를 내리기 위해서 단관능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하드 코트 조성물과 마찬가지이고, 하드 코트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에 이용되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는, 에폭시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성물로서 점도를 내리기 위해서 단관능의 화합물을 반응성 희석제로서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조성물에는 중합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로는, 라디칼 중합개시제, 양이온 중합개시제, 라디칼 및 양이온 중합개시제 등이고,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 및 가열의 적어도 일종에 의해 분해되고, 라디칼 혹은 양이온을 발생해 라디칼 중합과 양이온 중합을 진행시키는 것이다. 하드 코트 조성물에 기재된 것 중에서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 또는 양이온 중합 내의 적어도 어느 하나 개시할 수 있는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은 이온 포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밀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점도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용제, 첨가제,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하는 경우,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 조성물을 피접착층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에 도포 후 첩합하고, 어느 하나의 피착층 또는 양쪽 모두의 피착층을 통해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해 경화시킴으로써 접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접착층의 두께는 0.01 ~ 20㎛, 바람직하게는 0.1 ~ 10㎛이어도 좋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복수층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층의 두께 종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상기 점착제로는, 주제 폴리머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으로 분류되고, 어느 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점착제에는 주제 폴리머 외에, 가교제, 실란계 화합물, 이온성 화합물, 가교 촉매, 산화 방지제, 점착 부여제, 가소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등을 배합해도 좋다. 상기 점착제를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제에 용해·분산시켜 점착제 조성물을 얻고,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한 후에 건조시킴으로써, 점착제층 접착층이 형성된다. 점착층은 직접 형성되어도 좋고, 별도 기재에 형성한 것을 전사할 수도 있다. 접착 전의 점착면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이형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의 접착층의 두께는 0.1 ~ 500㎛, 바람직하게는 1 ~ 300㎛이어도 좋다. 상기 점착제를 복수층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층의 두께 종류는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위상차 필름은, 상술의 λ/4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λ/4 위상차판은, 입사광의 진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필름의 면내방향)으로 λ/4의 위상차를 제공하는 필름이다. 편광판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λ/4 위상차판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45°±10°이 되도록, 편광자와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축각도로 함으로써, 편광판은 원편광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λ/4 위상차판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올레핀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등의 고분자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제조되는 연신형 위상차판이어도 좋다. 필요에 따라 위상차 조정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안료나 염료와 같은 착색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용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연신형 위상차판의 두께는, 200㎛ 이하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1㎛ ~ 100㎛이다.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유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λ/4 위상차판의 다른 일례로는, 액정 조성물을 도포해 형성하는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이어도 좋다. 상기 액정 조성물은, 네마틱, 코레스테릭, 스멕틱 등의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성질을 가지는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액정 조성물 중의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은 중합성 관능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은 개시제, 용제, 분산제, 레벨링제, 안정제, 계면활성제,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은, 상기 액정 편광층에서 기재된 것과 마찬가지로 배향막 상에 액정 조성물을 도포 경화해 액정 위상차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은, 연신형 위상차판에 비해 두께를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의 두께는 0.5 ~ 10㎛, 바람직하게는 1 ~ 5㎛이어도 좋다. 상기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은 기재로부터 박리해 전사하여 적층할 수도 있고, 상기 기재를 그대로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기재가,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판, 전면판의 투명기재로서 역할을 담당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단파장일 수록 복굴절이 크고, 장파장이 될 수록 작은 복굴절을 나타내는 재료가 많다. 이 경우에는 전가시광선 영역에서 λ/4의 위상차를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감도가 높은 560 nm 부근에서 위상차값이 λ/4가 되는 면내 위상차 100 ~ 180 nm, 바람직하게는 130 ~ 150 nm가 되도록 설계되는 경우가 많다. 통상과는 반대의 복굴절률 파장 분산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한 역분산 λ/4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것은 시인성을 좋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로는 연신형 위상차판의 경우는 일본 특허공개 2007­232873호 공보 등,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의 경우에는 일본 특허공개 2010­30979호 공보 기재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λ/2 위상차판과 조합함으로써 광대역 λ/4 위상차판을 얻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 평 10-90521호 공보). λ/2 위상차판도 λ/4 위상차판과 마찬가지의 재료 방법으로 제조된다. 연신형 위상차판과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의 조합은 임의이지만, 어느쪽이나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을 이용하는 것은 막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편광판에는 경사 방향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양의 C 플레이트를 적층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공개 2014­224837호 공보). 양의 C 플레이트도 액정 도포형 위상차판이어도 연신형 위상차판이어도 좋다. 두께 방향의 위상차는 -200 ~ -20 nm, 바람직하게는 -140 ~ -40 nm이다.
[터치 센서]
터치 센서는, 전면판과 편광판 사이, 또는, 위상차 필름의 편광판과는 반대측 등, 광학 특성이나 터치 패널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적합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터치 센서 전극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터치 센서는 위상차 필름에서의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상차 필름(5)의 편광판과는 반대측에 터치 센서(6)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위상차 필름과 터치 센서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입력수단으로서 이용된다. 터치 센서로는, 저항막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 여러가지 양식이 제안되고 있고, 어느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그 중에서도 정전 용량 방식이 바람직하다. 정전 용량 방식 터치 센서는 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의 외곽부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활성 영역은 표시 패널에서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는 영역이고, 비활성 영역은 표시장치에서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비표시부)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터치 센서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기판; 상기 기판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 감지 패턴; 상기 기판의 비활성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 패턴과 패드부를 개재하여 외부의 구동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각 센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기판으로는, 상기 전면판의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의 기판은, 인성이 2,000 MPa% 이상의 것이 터치 센서의 크랙 억제의 면에서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성이 2,000 MPa% ~ 30,000 MPa%이어도 좋다.
상기 감지 패턴은,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턴 및 제2 방향으로 형성된 제2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동일층에 형성되어 터치되는 지점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으면 안 된다. 제1 패턴은 각 단위 패턴이 이음새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 형태이지만, 제2 패턴은 각 단위 패턴이 아일랜드 형태에 서로 분리된 구조가 되어 있으므로, 제2 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브릿지 전극이 필요하다. 감지 패턴은 주지의 투명 전극 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아연 산화물(ZnO), 인듐 아연 주석 산화물(IZTO), 카드뮴 주석 산화물(CTO), PEDOT(poly(3, 4
Figure pct00014
ethylenedioxythiophene)), 탄소 나노 튜브(CNT), 그라펜, 금속 와이어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TO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와이어에 사용되는 금속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은, 금, 알루미늄, 구리, 철, 니켈, 티탄, 테레니움, 크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브릿지 전극은 감지 패턴 상부에 절연층을 개재하여 상기 절연층 상부에 형성할 수 있고, 기판 상에 브릿지 전극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절연층 및 감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 전극은 감지 패턴과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고, 몰리브덴, 은, 알루미늄, 구리, 팔라듐, 금, 백금, 아연, 주석, 티탄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패턴과 제2 패턴은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감지 패턴과 브릿지 전극의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된다. 절연층은 제1 패턴의 이음새와 브릿지 전극의 사이에만 형성할 수도 있고, 감지 패턴을 덮은 층의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는, 브릿지 전극은 절연층에 형성된 컨택트홀을 개재하여 제2 패턴을 접속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패턴이 형성된 패턴 영역과, 패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패턴 영역간의 투과율의 차이,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영역에서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서 유발되는 광투과율의 차이를 적절히 보상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판과 전극의 사이에 광학 조절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광학 조절층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유기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조절층은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 및 용제를 포함하는 광경화 조성물을 기판 상에 코팅하고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 조성물은 무기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에 의해서 광학 조절층의 굴절률이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는,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스티렌계 단량체, 카르복실산계 단량체 등의 각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유기 바인더는, 예를 들면, 에폭시기 함유 반복 단위, 아크릴레이트 반복 단위, 카르복실산 반복 단위 등의 서로 다른 각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이어도 좋다.
상기 무기 입자는, 예를 들면, 지르코니아 입자, 티타니아 입자, 알루미나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 조성물은, 광중합개시제, 중합성 모노머, 경화 보조제 등의 각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다양한 표시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란, 표시 소자를 가지는 장치이고, 발광원으로서 발광소자 또는 발광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장치로는, 액정표시장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장치, 무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장치, 터치 패널 표시장치, 전자 방출 표시장치(예를 들면 전기장 방출 표시장치(FED), 표면 전계 방출 표시장치(SED)), 전자 페이퍼(전자 잉크나 전기 영동 소자를 이용한 표시장치, 플라스마 표시장치, 투사형 표시장치(예를 들면 그레이팅 라이트 밸브(GLV) 표시장치, 디지털 마이크로 미러 디바이스(DMD)를 가지는 표시장치) 및 압전 세라믹 디스플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투과형 액정표시장치,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직시형 액정표시장치 및 투사형 액정표시장치 등의 어느 하나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2 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이어도 좋고, 3 차원 화상을 표시하는 입체 표시장치이어도 좋다.
특히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및 타원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EL) 표시장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
또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굴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로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와 유기 EL 표시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유기 EL 표시장치의 경우, 유기 EL 표시 패널에 대해서 시인 측에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가 배치되어 접어 구부릴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용 적층체는, 상기 전면판, 편광판, 터치 센서의 어느 하나의 층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차광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차광 패턴)
상기 차광 패턴은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차광 패턴에 의해서 상기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의 변연부(邊緣部)에 배치되는 배선이 숨겨져 시인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화상의 시인성이 향상한다. 상기 차광 패턴은 단층 또는 복층의 형태이어도 좋다. 차광 패턴의 칼라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흑색, 백색, 금속색 등이 다양한 칼라를 가진다. 차광 패턴은 칼라를 구현하기 위한 안료와, 아크릴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우레탄, 실리콘 등의 고분자로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차광 패턴은, 인쇄, 리소그래피, 잉크젯 등 각종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차광 패턴의 두께는 1㎛ ~ 100㎛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2㎛ ~ 50㎛ 이다. 또한, 광패턴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등의 형상을 부여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부」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질량부」를 나타낸다. 평가방법은 이하와 같다.
(1) 굴곡성 시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에, 점착제층(1)을 개재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첩합하고,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점착제층(1)/PET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PET 필름은, 표시 소자를 본뜬 것이고, 그 두께는 100㎛이었다.
도 7은, 굴곡성 시험의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2개의 스테이지 501, 502를 구비한 굴곡 장치(Science Town 사 제, STS-VRT-500)을 준비해, 스테이지 501, 502 상에 적층체(100)를 놓았다(도 7a). 2개의 스테이지 501, 502의 사이의 거리(갭) C는 3 mm(1.5 R)로 설정하였다. 이 스테이지 501, 502는, 2개의 스테이지의 사이(갭) C를 중심으로 요동할 수 있고, 초기는 2개의 스테이지 501, 502는 동일 평면을 구성한다. 2개의 스테이지 501, 502를 위치 P1 및 위치 P2를 회전축의 중심으로서 상방으로 90도 회전시켜 2개의 스테이지 501, 502를 닫고(도 7b), 다시 스테이지 501, 502를 여는 동작을 1회의 굴곡이라고 정의한다. 이 동작을 반복해, 적층체(100)에 최초로 크랙이 생길 때까지의 굴곡 횟수를 세었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매우 좋음):20만회 이상
○ (좋음):10만회 이상 20만회 미만
△(사용 가능):5만회 이상 10만회 미만
× (약간 뒤떨어짐):1만회 이상 5만회 미만
×× (뒤떨어짐):1만회 미만
전면판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에 대한 굴곡성 시험은, 도 7에서의 2개의 스테이지 501, 502의 사이의 거리(갭) C를 3 mm(1.5 R)로 해서 행했다.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수지 필름을 접어 구부림 횟수가 100000회를 넘는지 아닌지를 평가하였다.
(2) 인장 탄성률
인장 탄성률은, JIS K7161에 준거하고, UTM(Universal Testing Machine, 오토그래프 AG-X, Shimadzu Corporat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신 조건은, 상온(온도 23℃)에서 속도 1.5mm/분, 폭 40 mm, 목표점 거리 50 mm로 하였다.
(3) 내열시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편광판을, 점착제층(2)을 개재하여 유리에 첩합하고, 편광판/점착제층(2)/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체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분광 광도계(V7100, JASCO Corporation 제)를 이용하여 가시광선 영역에서 측정하고, 내열시험 전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로 하였다. 이어서, 이 적층체를, 온도 85℃의 오븐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 마찬가지로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측정하고, 내열시험 후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로 하였다. 얻어진 시감도 보정 편광도에 기초하여, 내열시험 전후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의 변화량의 절대치(|ΔP|)[%]를 산출하였다.
평가의 기준은 이하와 같다.
◎ (매우 좋음):3% 미만
○ (좋음):3% 이상 5% 미만
△(사용 가능):5% 이상 7% 미만
× (약간 뒤떨어짐):7% 이상 10% 미만
×× (뒤떨어짐):10% 이상
(4) 황색도
수지 필름의 황색도는, JIS K7373:2006에 준거해 JASCO Corporation 제의 자외 가시근적외 분광 광도계 V-670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수지 필름이 없는 상태로 배경 측정을 행한 후, 수지 필름을 샘플 홀더에 세트 하고, 파장 300 ~ 800 nm의 광에 대한 투과율 측정을 행해, 3 자극치(X, Y, Z)를 구하였다. YI를, 하기의 식에 기초해 산출하였다.
YI=100×(1.2769X-1.0592 Z)/Y
(5) 저장 탄성률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점탄성 측정 장치(MCR-301, Anton Paar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것과 같은 점착 시트를 폭 30 mm×길이 30 mm로 하고, 박리 필름을 떼어내고, 두께가 150㎛가 되도록 복수매 적층하여 유리판에 접합 후, 측정 칩과 접착한 상태에서 -20℃에서 100℃의 온도 영역에서 주파수 1.0 Hz, 변형량 1%, 승온 속도 5℃/분의 조건 하에서 측정을 행해,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의 측정치를 확인하였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1) 전면판
(1-1) 전면판(1):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과 그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수지 필름의 두께는 50㎛이고,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0㎛이었다.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는, 10만회를 넘었다. 수지 필름의 황색도는, 1.2이었다.
(1-2) 전면판(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과 그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수지 필름의 두께는 40㎛이고,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0㎛이었다.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는, 10만회를 넘었다. 수지 필름의 황색도는, 1.6이었다.
(1-3) 전면판(3):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과 그 한쪽의 주면에 형성된 하드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수지 필름의 두께는 60㎛이고, 하드 코트층의 두께는 10㎛이었다.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의 굴곡 횟수는, 10만회 미만이었다. 수지 필름의 황색도는, 0.6이었다.
(2)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이하의 구조 단위로 이루어지는 광반응성기를 가지는 폴리머를 준비하였다.
Figure pct00015
이 폴리머를 농도 5 중량%로, 시클로펜타논에 용해한 용액을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로서 이용하였다.
(3)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
이하의 구조로 나타내는 화합물(1-1)와 화합물(1-2)을 중합성 액정 화합물로서 이용하였다. 화합물(1-1) 및 화합물(1-2)은, Lub et al.Recl.Trav.Chim.Pays-Bas, 115, 321-328(1996) 기재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화합물(1-1)
Figure pct00016
화합물(1-2)
Figure pct00017
이하의 구조로 나타내는 화합물(2-1a)와 화합물(2-1b)와 화합물(2-3a)을 이색성 색소로서 이용하였다.
화합물(2-1a)
Figure pct00018
화합물(2-1b)
Figure pct00019
화합물(2-3a)
Figure pct00020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은, 화합물(1-1) 75 중량부, 화합물(1-2) 25 중량부, 이색성 색소로서 상기 식(2-1a), (2-1b), (2-3a)으로 나타나는 아조 색소 각 2.5 중량부, 중합개시제로서 2-디메틸 아미노-2-벤질-1-(4-몰포리노페닐) 부탄-1-온(Irgacure369, BASF사) 6 중량부, 및 레벨링제로서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BYK-361 N, BYK사) 1.2 중량부를, 용제의 톨루엔 400 중량부에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조제하였다.
(4) λ/4 위상차판
이하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λ/4 위상차판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80 중량부
Figure pct00021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20 중량부
Figure pct00022
중합개시제(Irgacure369, BASF사):6 중량부
레벨링제(BYK-361 N,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사):0.1 중량부
용제(시클로펜타논):400 중량부
기재로서 두께 100㎛의 PET 필름 준비하였다. PET 필름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80℃의 건조 오븐 중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편광 UV 조사 처리를 실시해 배향막(AL2)을 형성하였다. 편광 UV 처리는,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USHIO INC. 제)를 이용하고,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적산 광량이 100 mJ/㎠가 되는 조건에서 행했다. 또한, 편광 UV의 편광 방향은 편광자의 흡수 축에 대하여 45°가 되도록 행했다.
배향막(AL2) 상에, λ/4 위상차판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적산 광량 1000 mJ/㎠(365 nm 기준)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λ/4 위상차판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λ/4 위상차판의 두께는, 2.0㎛이었다.
(5) 양의 C 플레이트
이하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교반함으로써, 양의 C 플레이트 형성용 조성물을 얻었다.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LC242, BASF 사 제):100 중량부
Figure pct00023
중합개시제(Irgacure907, 2-메틸-4'-(메틸 티오)-2-몰포리노프로피오페논, BASF사):2.6 중량부
레벨링제(BYK-361 N, 폴리아크릴레이트 화합물, BYK사):0.5 중량부
첨가제(LR9000, BASF사):5.7 중량부
용제(프로필렌 글리콜 1-모노메틸 에테르 2-아세테이트):412 중량부
기재로서 두께 100㎛의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PET 필름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90℃의 건조 오븐 중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여, 배향막(AL3)을 얻었다.
배향막 상(AL3) 상에, 양의 C 플레이트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9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적산 광량 1000 mJ/㎠(365 nm 기준)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양의 C 플레이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양의 C 플레이트의 두께는, 3.0㎛이었다.
(6) 확산 방지층 조성물
(6-1) 확산 방지층(1) 조성물
확산 방지층(1) 조성물은, 18 관능의 아크릴기를 가지는 덴드리머 아크릴레이트(Miramer SP1106, Miwon사) 2.8 질량부, 6 관능의 아크릴기를 가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Miramer PU-620D, Miwon사) 6.6 질량부, 광중합개시제(Irgacure-184, BASF사) 0.5 질량부, 레벨링제(BYK-3530, BYK사) 0.1 질량부, 및 메틸 에틸 케톤(MEK) 90 질량부를 혼합해 조제하였다.
(6-2) 확산 방지층(2) 조성물
확산 방지층(2)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분말(Kuraray Co.Ltd.제, 평균 중합도 18000, 상품명:KL-318) 3 중량부, 폴리아미드 에폭시 수지(가교제, Sumika Chemtex co., Ltd. 제, 상품명:SR650(30)) 1.5 중량부를 혼합해 조제하였다.
(7) 점착제층
(중합예 1)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아세톤 81.8부, 아크릴산 부틸 98.4부, 및 아크릴산 0.6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1.0부의 혼합 용액을 주입하고, 질소 가스로 장치 내의 공기를 치환해 산소 불함유로 하면서, 내온을 55℃에 올렸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중합개시제) 0.14부를 아세톤 10부에 녹인 용액을 전량 첨가하였다. 중합개시제를 첨가한 1시간 후에, 단량체를 제외한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35%가 되도록, 첨가 속도 17.3부/hr로 아세톤을 연속적으로 반응기에 첨가하면서, 내온 54 ~ 56℃에서 12시간 보온해, 마지막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크릴 수지의 농도가 20%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아크릴 수지 용액을 얻었다.
(중합예 2)
단량체의 조성을, 아크릴산 부틸 98.6부, 아크릴산 0.4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1.0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중합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 수지 용액을 얻었다.
(중합예 3)
단량체의 조성을, 아크릴산 부틸 78.0부, 메타크릴산 메틸 20부, 아크릴산 1.0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1.0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중합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 수지 용액을 얻었다.
(중합예 4)
단량체의 조성을, 아크릴산 부틸 68.0부, 메타크릴산 메틸 30부, 아크릴산 1.0부, 및 아크릴산 2-히드록시 에틸 1.0부로 변경한 것 이외는, 중합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 수지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의 아크릴 수지 용액을 이용하여 점착제, 및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 이하의 제조예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 실란계 화합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Coronate L,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75%), TOSOH CORPORATION 제.
실란계 화합물:KBM-403,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Shin-Etsu Chemical Co., Ltd. 제.
(7-1) 점착제층(1)
중합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 수지:100부(비휘발분량),
Coronate L:0.5부,
KBM-403:0.5부
을 혼합하였다. 고형분 농도가 1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의 이형처리면에,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도포층을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1)을 구비하는 필름을 얻었다. 그 후, 점착제층 상에, 이형처리된 다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38㎛)을 첩합하였다. 그 후, 온도 23℃, 상대습도 50%RH의 조건으로 7일간 양생시켰다.
(7-2) 점착제층(2)
중합예 2 에서 얻어진 아크릴 수지:100부(비휘발분량),
Coronate L:0.4부,
KBM-403:0.5부
을 혼합하였다. 고형분 농도가 1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층(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2)을 제작하였다.
(7-3) 점착제층(3)
중합예 3 에서 얻어진 아크릴 수지:100부(비휘발분량),
Coronate L:3.0부,
KBM-403:0.5부
을 혼합하였다. 고형분 농도가 1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층(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3)을 제작하였다.
(7-4) 점착제층(4)
건조 후의 두께가 5㎛가 되도록 도포한 것 이외는, 점착제층(3)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4)을 제작하였다.
(7-5) 점착제층(5)
중합예 4에서 얻어진 아크릴 수지:100부(비휘발분량),
Coronate L:3.0부,
KBM-403:0.5부
을 혼합하였다. 고형분 농도가 10%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점착제층(1)의 제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25㎛의 점착제층(5)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100㎛의 PET 필름을 준비하였다. PET 필름 상에 확산 방지층(1)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80℃의 건조 오븐 중에서 3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USHIO INC. 제)를 이용하고, 노광량 500 mJ/㎠(365 nm 기준)의 UV광을 조사하여, 확산 방지층(1)을 형성하였다. 확산 방지층(1)의 두께를 레이저 현미경(Olympus 주식회사 제 OLS3000)에 의해 측정했는데, 2.0㎛이었다. 이와 같이 하여 확산 방지층(1)/기재(PET)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얻었다.
(편광자의 제작)
확산 방지층(1)/기재(PET)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확산 방지층(1)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코로나 처리의 조건은, 출력 0.3 kW, 처리 속도 3 m/분으로 하였다. 그 후, 확산 방지층(1)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80℃의 건조 오븐 중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편광 UV 조사 처리를 실시해 배향막(AL1)을 형성하였다. 편광 UV처리는, UV 조사 장치(SPOT CURE SP-7; USHIO INC. 제)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와이어 그리드(UIS-27132##, USHIO INC. 제)를 투과시켜, 파장 365 nm에서 측정한 적산 광량이 100 mJ/㎠가 되는 조건에서 행했다. 배향막(AL1)의 두께는 100 nm이었다.
형성한 배향막(AL1) 상에, 편광자 형성용 조성물을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120℃의 건조 오븐에서 1분간 가열 건조한 후,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UV 조사 장치를 이용하고, 적산 광량 1200 mJ/㎠(365 nm 기준)가 되도록 자외선을 피막에 조사함으로써, 편광자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1.8㎛이었다.
형성한 편광자 상에, 확산 방지층(2)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바 코트법에 따라 도포하고, 온도 80℃에서 3분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PET/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얻었다.
상기 편광판의 확산 방지층(2) 상에, 점착제층(4)을 적층시켰다. 이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λ/4 위상차판과 편광판을 적층시켰다. λ/4 위상차판으로부터 기재인 PET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면에, 점착제층(4)을 적층시켰다. 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λ/4 위상차판과 양의 C 플레이트를 적층시켰다. 양의 C 플레이트로부터 기재인 PET 필름을 박리하였다.
전면판(1)에 점착제층(1)을 적층시켰다. 편광판으로부터, 확산 방지층(1) 상의 PET 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1)을 개재하여, 편광판과 전면판(1)을 적층시켰다. 각 층을 첩합할 때는, 첩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전면판(1)/점착제층(1)/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전면판(1)에 점착제층(1)을 적층시켰다. 점착제층(1)을 개재하여, 편광판이 구비하는 확산 방지층(2)와 전면판(1)을 적층시켰다. 확산 방지층(1) 상의 PET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면에, 점착제층(4)을 적층시켰다. 이 점착제층(4)을 개재하여, λ/4 위상차판과 편광판을 적층시켰다. λ/4 위상차판으로부터 기재인 PET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면에, 점착제층(4)을 적층시켰다. 이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λ/4 위상차판과 양의 C 플레이트를 적층시켰다. 양의 C 플레이트로부터 기재인 PET 필름을 박리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전면판(1)/점착제층(1)/확산 방지층(2)/편광자/AL1/확산 방지층(1)/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확산 방지층(1)의 두께를 15㎛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1)/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4)
전면판(1)을 전면판(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2)/점착제층(1)/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5)
전면판(1)을 전면판(3)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3)/점착제층(1)/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6)
점착제층(1)을 점착제층(2)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2)/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예 7)
점착제층(1)을 점착제층(3)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3)/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교예 1)
확산 방지층(2)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1)/확산 방지층(1)/AL1/편광자/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교예 2)
확산 방지층(2)을 형성하지 않았던 것 이외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1)/편광자/AL1/확산 방지층(1)/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비교예 3)
점착제층(1)을 점착제층(5)으로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은, 전면판(1)/점착제층(5)/확산 방지층(1)/AL1/편광자/확산 방지층(2)/점착제층(4)/λ/4 위상차판/점착제층(4)/양의 C 플레이트의 구성을 가지고 있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에 대해서, 상기 평가를 행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표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1: 편광자
2: 확산 방지층 A
3: 확산 방지층 B
4: 전면판
5: 위상차 필름
6: 터치 센서
7: 점착제층
20: 편광판
10 ~ 13: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Claims (10)

  1. 확산 방지층 A, 편광자, 및 확산 방지층 B를 이 순서로 가지는 편광판, 및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서 상기 편광자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전면판을 구비하고,
    상기 전면판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편광판에 적층되어 있고,
    상기 확산 방지층 A 및 상기 확산 방지층 B의 두께는 20㎛ 이하이고,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10㎛ 이하이고,
    상기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이 0.6 MPa 이하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또는 폴리아미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수지 필름, 및 상기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 측에 설치된 기능층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층은, 자외선 흡수, 표면 경도, 색상 조정 및 굴절률 조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기능을 가지는 층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4.0 GPa 이상이고,
    상기 수지 필름을 서로 마주 보는 상기 수지 필름간의 거리가 3 mm로 될 때까지 U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굴곡 시험에서, 상기 수지 필름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수지 필름을 접어 구부리는 횟수가 100000회를 넘고,
    황색도가 5 이하인,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판은 편광자에서의 전면판측과는 반대측에 위상차 필름을 구비하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위상차 필름이, 상기 확산 방지층 A 또는 상기 확산 방지층 B에 적층되어 있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 필름은, λ/4 위상차판을 포함하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터치 센서를 가지는,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유기 EL 표시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을 구비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장치
KR1020217003305A 2018-09-12 2019-08-08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KR202100556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0334 2018-09-12
JPJP-P-2018-170334 2018-09-12
JP2019034018A JP2020046649A (ja) 2018-09-12 2019-02-27 前面板付き偏光板
JPJP-P-2019-034018 2019-02-27
PCT/JP2019/031350 WO2020054285A1 (ja) 2018-09-12 2019-08-08 前面板付き偏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672A true KR20210055672A (ko) 2021-05-17

Family

ID=6990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05A KR20210055672A (ko) 2018-09-12 2019-08-08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0046649A (ko)
KR (1) KR20210055672A (ko)
CN (1) CN112673291A (ko)
TW (1) TW2020197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65162B2 (ja) * 2020-03-27 2024-10-10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7128932B1 (ja) 2021-04-15 2022-08-31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2022164456A (ja) * 2021-04-16 2022-10-27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20230068554A (ko) * 2021-11-11 2023-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JP7551014B1 (ja) 2023-03-31 2024-09-13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4907A (ja) 2016-02-29 2017-09-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7965A (ja) * 2011-04-27 2012-12-06 Nitto Denko Corp 粘着剤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2410410B1 (ko) * 2015-07-22 2022-06-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필름, 적층체, 광학 부재, 가스 배리어재 및 터치 센서 기재
CN106646714A (zh) * 2015-10-30 2017-05-1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和具备该偏振板的显示装置、以及其制造方法
JP2018025765A (ja) * 2016-07-29 2018-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JP6939225B2 (ja) * 2016-08-10 2021-09-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ポリイミドフィルム、積層体、及びディスプレイ用表面材
JP6934296B2 (ja) * 2016-12-01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936009B2 (ja) * 2017-01-20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54907A (ja) 2016-02-29 2017-09-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673291A (zh) 2021-04-16
JP2020046649A (ja) 2020-03-26
TW202019710A (zh) 202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8585B1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US11009639B2 (en)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assembly
JP6551154B2 (ja) 光学異方性シート
KR20210055672A (ko) 전면판을 가지는 편광판
WO2020054285A1 (ja) 前面板付き偏光板
KR20240005236A (ko) 타원 편광판
TW201835617A (zh) 偏光膜、圓偏光板及顯示裝置
TWI808224B (zh) 光學膜
WO2022149585A1 (ja) 積層フィルム、積層体、偏光板、偏光板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TW202010631A (zh) 積層體
KR20210038423A (ko) 적층체
KR20200093532A (ko) 광학 이방성 필름
WO2021251122A1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楕円偏光板
WO2020026804A1 (ja) 光学フィルム
WO2020022010A1 (ja) 積層体
JP2021196602A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楕円偏光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