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894A - Detachable abutment - Google Patents
Detachable abut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894A KR20210026894A KR1020190108313A KR20190108313A KR20210026894A KR 20210026894 A KR20210026894 A KR 20210026894A KR 1020190108313 A KR1020190108313 A KR 1020190108313A KR 20190108313 A KR20190108313 A KR 20190108313A KR 20210026894 A KR20210026894 A KR 20210026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pper body
- elastic member
- fixing table
- receiving space
- abu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7—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lastic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체부와 하체부 간 결합력이 우수하고 분리가 용이한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butment having excellent bonding force between an upper body and a lower body and easy to separate.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치아의 결손이 있는 부위나 치아를 뽑은 자리의 턱뼈에 골 이식, 골 신장술 등의 부가적인 수술을 통하여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부피를 늘린 턱뼈에 생체 적합적인 임플란트 본체(픽스츄어 : fixture)를 심어서 자연치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 치료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is a biocompatible implant body (fixture: fixture: ) To restore the function of natural teeth.
임플란트는 정상적인 기능이 유지되고 있는 턱뼈와 식립된 임플란트 본체 표면과의 형태적, 생리적, 직접적 결합인 골유착(osseointegration)이 이루어진 후 임플란트 주위 턱뼈와 골 개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근래에는 나사 형태의 골 내 임플란트가 주로 사용된다.The implant undergoes osseointegration, which is a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jawbone that maintains its normal function and the surface of the implant body, and then undergoes a process of remodeling the jawbone and bone around the implant. There are several types of such implants, but recently, screw-type intraosseous implants are mainly used.
상기 임플란트는 크게 픽스쳐(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그리고 크라운(crown)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픽스쳐는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부위로 주로 티타늄으로 제조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는 크라운과 픽스쳐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자연치아의 목에 해당하고, 상기 크라운은 임플란트의 상부보철물로 자연치아에서 치아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며 상기 치아의 위치나 상태를 고려하여 금이나 세라믹 등의 재료를 이용한다.The implant is largely composed of a fixture, an abutment, and a crown, and the fixture serves as a root of a tooth and is mainly made of titanium, and the abutment is a crown and a fixture. It is a part that connects the teeth and corresponds to the neck of the natural tooth, and the crown corresponds to the head of the tooth in the natural tooth as an upper prosthesis of the implant, and materials such as gold or ceramic ar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and condition of the tooth. Use.
임플란트는 먼저, 임플란트 위치를 확인하고 드릴링을 하여 턱뼈 안에 임플란트 본체가 들어갈 공간을 만들어준다. 즉 임플란트 본체 직경에 맞는 크기가 될 때까지 여러 번의 드릴링을 한 후 조심스럽게 픽스츄어(fixture)를 심는다. 심어진 픽스츄어에 만족할 만한 골 유착이 이루어지면, 어버트먼트(abutment)를 연결하고 크라운(crown)을 결속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The implant first checks the implant position and drills to create a space for the implant body in the jawbone. In other words, after drilling several times until the size is suitable for the diameter of the implant body, the fixture is carefully planted. When satisfactory bone adhesion is achieved with the planted fixtur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abutment and binding the crown is proceeded.
일반적으로 분리형 어버트먼트는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 제작되는데, 저작운동에 양 구성은 흔들리거나 분리되기가 쉽다. 음식을 씹는 과정에서 단단한 음식을 씹을 때 식립된 임플란트에 전달되는 충격이 작지 않다. 또한 임플란트가 식립된 사람은 상체부에 끼워진 크라운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지렛대의 원리로 인해 상체부와 하체부가 분리되기는 더욱더 쉬워진다. In general, the detachable abutment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both components are easy to shake or separate during the mastication movement. In the process of chewing food,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implanted implant when chewing hard food is not small.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implanted person,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rown inserted in the upper body, it becomes easier to separate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due to the principle of the lever.
아울러 임플란트 교체 시 필요에 따라 견고하게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상체부와 하체부는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강하게 결합된 어버트먼트의 양 구성은 분리가 쉽지 않아 분리과정에서 임플란트 주변 잇몸조직이나 치아에 손상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mplant is replace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abutment, which are firmly coupled, can be separated as needed. However, since the two components of the strongly coupled abutment are not easy to separate, it may damage the gum tissue or teeth around the implant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또한 식립된 임플란트의 상부에 위치한 크라운 역시 시간경과로 인한 마모나 임플란트 주위염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일체형 어버트먼트는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크라운이 강하게 부착 및 고정되어, 어버트먼트와 결합된크라운의 교체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rown located on the top of the implanted implant may also need to be replaced due to abrasion due to the passage of time or peri-implantitis. However, in general, the integrated abutment used for an implant has a problem that the crown is strongly attached and fixed through dental cement, so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replace the crown combined with the abutmen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어버트먼트의 상체부와 하체부가 강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에도 불구하고 상체부가 흔들리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하체부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체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abutment including an upper body portion that can be strongly coupled to the lower body portion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of the abutment are strongly coupled so that the upper body portion is not shaken or separated despite an external impact. .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와 크라운을 매개하여 크라운을 지지하는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내측에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체부와 상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통해 상기 상체부와 결합되는 하체부 및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대와 상기 수용공간 사이의 공간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utment for supporting the crown through the fixture and the crown of the implant, the upper body portion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of a size set inside is formed and a size smaller tha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When the fixing base is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having a size that is at least not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bas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a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base and the lower body coupled to the upper body through a fixing base dispo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고정대는 내측으로 들어가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ase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that enters the inner side but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to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seated.
또한, 상기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상기 어퍼파트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의 하단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may be seated in a gap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상기 상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고정대보다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paration hol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hole may be formed higher than the fixing tabl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고정대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ture may include a first uneven portion formed by spaced apart a plurality of groov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uneven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uneven port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have.
상기 고정대는 상면에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xing table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on an upper surface, and the lower body may include a thread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결합된 상체부와 하체부의 고정력이 탁월하여 강한 교합력이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부체 및 하부체의 결합을 더욱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bined upper and lower body portions are excellen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due to strong occlusal force or external impact, and the combination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can be made more robust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한, 강하게 결합된 상체부와 하체부를 쉽게 분리하여 분리과정에서 강한 외력이 작용되어 발생될 수 있는 인접치나 잇몸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asily separating the strongly coupled upper body and lower body, damage to adjacent teeth or gums that may be caused by a strong external force in the separation process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하체부 및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상기 실시예의 상체부에 포함되는 어퍼파트 및 로어파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b 내지 6c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to 2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above embodiment and a modified exampl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body and the elastic member of the embodiment.
5A to 5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included in the upper body of the embodiment.
6A is a side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and FIGS. 6B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에 대해 상술한다.Hereinafter, an abu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000)에 따른 어버트먼트에 대한 사시도로서, 상기 실시예(1000)는 크라운(미도시)이 장착될 수 있는 상체부(1200)와 픽스츄어(미도시)에 삽입되는 하체부(11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체부(1100)에 안착되어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탄성부재(130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butment according to an
상기 하체부(110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적어도 일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치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갖는 고정대(111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A, the
상기 고정대(1110)는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하체부(1100)로부터 연장된 고정대(1110)는 상체부(1200)에 삽입되어 상체부(120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킨다.The
상기 고정대(1110)는 외주면을 따라 소정깊이 파여진 안착부(1122)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탄성부재가 정해진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탄성부재를 고정시킨다.The fixing table 1110 includes a
상기 안착부의 위치는 특별히 정해지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실시예에서 도 2a에서 탄성부재(1300)에 의해 가리워져 있으나 도 6a와 같이 안착부(1122)는 고정대(1110)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형성된다.The position of the seating portion is not particularly determined, but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covered by the
또한,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고정대(1110)가 삽입되어 내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공간은 상체부(1200)의 하면에 형성되어 개구된 구성으로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결합을 위한 고정대(1110)가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상체부(1200)는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가 결합하여 형성됨으로써 탄성부재(1300)가 안착될 수 있는 간극(1230)을 포함한다. 도 2a에 나타나듯이 일정깊이 파인듯한 형태를 갖는 간극(1230)에 탄성부재(1300)가 끼워질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로어파트(122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적어도 양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고정대(1110)와 어퍼파트(1210)가 삽입된다. 수용공간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끝단은 요철부와 접하는 로어파트(1220)의 하단과 이격되어 간극(1230)이 발생된다. 상기 간극과 안착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내재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A, the
로어파트(1220)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1220)의 상단 간 길이는 로어파트(1220)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깊이보다 짧아,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된다.The length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도 2a에서 나타나는 실시예에서 어퍼파트(1210)의 하단은 전방위로 있으므로 로어파트(1220)에 삽입된 어퍼파트(1210)의 하부는 대략 원통형과 같다. 이에 대응하여 로어파트(1220)의 하부 역시 고정대(1110)를 중심으로 에둘러 있으므로 대략 원통형과 같다. 따라서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 사이에 형성된 간극(1230)의 형상 역시 원통형과 유사하여 고리형인 탄성부재(1300)가 안착상 큰 문제없이 간극(1230)에 내재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A, since the lower part of the
상기 탄성부재(1300)는 외력에 의해 부피가 변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체부와 하체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0)는 절개부(1310)을 포함한다. 절개부(130)는 띠 형태의 탄성부재(1300)가 고정대의 둘레를 감싸며 배치될 때 양 단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어버트먼트의 안착부 및 간극 사이에서 상체부의 강한 압박에 의해 상, 하로 압박을 받지만, 절개부(1310)로 인하여 절개부(1310)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방향으로 탄성부재(1300)의 부피가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는 단순히 고정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하면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The
또한 탄성부재는 위와 같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원형띠의 형태로 형성되되 외측에서 내측으로 또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일정 영역만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ircular band, but may be formed by cutting only a certain area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도 2a에서는 상기 절개부(1310)가 좁은 공간으로 인해 맞닿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내재된 탄성부재의 절개부(1310)는 이격되어 공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FIG. 2A, the cut-out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고정대(1110)의 직경과 상체부(1200)의 수용공간에 대한 직경은 대략 비슷하거나 수용공간의 직경이 조금 더 클 수 있다. 고정대(1110)가 상체부(1200)에 어렵지 않게 삽입되기 위해, 수용공간의 직경이 고정대(111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탄성부재는 다소 약해질 수 있는 결합력을 보충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For a solid coupling between the
고정대(1110)의 안착부(1122)에 끼워진 탄성부재(1300)는 결합된 상체부(1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강한 저항력 작용을 위해 소정의 부피 이상일 수 있다. 상체부(1200)가 끼워져 구성된 어버트먼트의 내부에서 상체부(1200)의 강한 압박으로 소정부피 이상인 탄성부재(1300)는 부피가 크게 변형되어 고정대(1110) 및 상체부(1200)에 강한 반발력을 작용할 수 있다. 소정의 부피 이상인 탄성부재(1300)는 절개부를 통해 용이하게 부피변형을 일으켜 고정대(1110) 및 상체부(1200)에 발생될 수 있는 강한 반발력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안착부(1122) 및 간극(1230)의 형태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The
즉,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가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 중에서, 탄성부재(1300)가 상체부(1200)의 간극(1230)에 내재된 채 상체부(1200)에 하체부(1100)가 삽입되는 경우는 고정대(1110)가 상체부(122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안착부(1122)가 탄성부재(1300)를 간극(1230)측으로 가압하여 탄성부재(1300)의 형태가 변형된다. 간극(1230)과 안착부(1122) 사이의 공간이 탄성부재(1300)의 부피와 비교하여 임의의 기준보다 작아지면, 상체부(1200) 및 하체부(1100)의 결합으로 탄성부재(1300)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절개부(1310)의 대향하는 양면이 접촉되고, 나아가 절개부(1310) 내 공간상실로 탄성부재(1300)는 부피가 줄어들며 고정대(1110) 및 로어파트(1220)측으로 더 강하게 가압을 하여 상체부(1200) 및 하체부(1100) 간 결합력 및 고정력을 더욱더 견고하게 한다.That is, among various cases in which the
상기 상체부(1200)의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는 결합되되, 상기 로어파트(1220)의 수용공간의 하단에 탄성부재(1300)가 안착되고 어퍼파트(1210)가 삽입되어 어퍼파트(1210)의 하단이 탄성부재(1300)를 압박하며 고정시킨다.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는 단순결합으로 상체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삽입 후 용접 등의 방식으로도 양 구성이 결합되어 더욱더 견고하게 상체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여 적어도 2개의 구성이 결합되어 형성되어 탄성부재의 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로어파트의 수용공간에 탄성부재가 안착된 후 어퍼파트가 로어파트와 결합되어 탄성부재가 양 구성의 간극에 쉽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탄성부재가 반드시 어퍼파트와 로어파트의 사이에 안착된 후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부재가 안착부에 안착된 후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형성된 상체부가 하부체와 결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at least two components including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to facilitate the seating of the elastic member. That is, after the elastic member is se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lower part,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so that the elastic member can be easily and stably seated in the gaps of both configurations.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may not be separated during the process of later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However, after the elastic member is seat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the upper and lower parts do not have to be combined, but after the elastic member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combined to form the lower part. It can also be combined with.
상기 탄성부재(1300)가 삽입된 상체부(1200)에 하체부(1100)의 고정대(1110)가 삽입되어 어버트먼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11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300)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저항을 최소화하여 어퍼파트(1210)와 로어파트(122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고정대(1110)의 상부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체부(1200)에 내재된 탄성부재(1300)는 라운드 처리되어 완만하게 경사진 고정대 상부의 테두리를 통해 부드럽게 안착부(1122)까지 도달될 수 있다.The fixing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125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식립된 어버트먼트에 일정길이 이상의 핀(미도시)과 같은 구성을 분리홀(1240)에 삽입 후 상기 핀을 파지할 수 있는 기구를 이용하여 인접치를 받침대로 삼아 지렛대 원리나 직접 당기는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할 수 있다.The
상기 실시예에서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의 외주면에 등 간격으로 대칭되게 이격되어 4개로 구성되어,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가 강하게 결합되었더라도 사방에서 외력을 가하여 쉽게 분리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상기 분리홀(1250)은 상체부(1200)에 삽입되는 고정대(1110)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하체부(1100)와 결합된 상체부(1200)를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즉, 어버트먼트 부근의 잇몸으로부터 충분하게 이격되어 분리홀(1250)이 위치하여 분리홀(1250)에 삽입된 핀을 파지할 수 있어서,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을 파지하는 기구가 인접치에 지지되어 회전(지렛대 원리 이용)될 때, 고정대(1110)의 큰 저항없이 상체부(1200)가 회전되며 하체부(1100)와 분리될 수 있다.The
상기 분리홀(1250)은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어퍼파트(1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분리홀(1251)은 도 2b에서 나타나듯이 로어파트(1220)에 형성될 수도 있어 분리홀이 형성되는 위치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도시되어 있지만, 분리홀은 어퍼파트와 로어파트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분리홀은 잇몸에 어버먼트가 식립되었을 때, 잇몸에 파묻히지 않는 위치의 상체부에 형성되면 그 위치는 문제되지 않는다.The
상체부(1200)는 도 2c에서 나타나듯이 어퍼파트(1210)의 하단이 로어파트(1220)의 상단과 접촉되어 양 구성의 간극없이 상체부(1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1300)는 간극의 부재로 내재되는 공간에 위치되는 경우 내측으로 더 큰 압력을 받으며, 이 압력의 반작용으로 인하여 탄성부재는 외측으로 더욱 강하게 상체부(1200)를 가압하여,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In the
아울러, 도 2c와 같이 고정대(1110)의 상부가 라운드 처리됨 없이 각진 테두리가 형성되어 내재된 탄성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internal elastic member from being separated by forming an angular rim without 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table 1110 as shown in FIG. 2C.
상기 고정대(1110)는 도 3에서 나타나듯이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제1 요철부(1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table 1110 may include a first
상기 제1 요철부(1130)는 음각된 홈과 상기 홈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구성이 고정대(1110)의 둘레를 따라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concave-
또한, 상기 상체부는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요철부(12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요철부(1260)는 제1요철부(1130)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상체부의 제2요철부(1260)의 돌출된 구성이 고정대(1110)의 제1요철부(1130)에 홈에 배치되고, 제1요철부(1130)의 돌출된 구성이 제2요철부(1260)의 음각된 홈에 배치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체부(1200)는 고정대(1110)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body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추가적으로 상기 상체부(1200)와 하체부(1100)는 크라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상기 상체부(1200)는 도 2a 내지 2c에서 나타나듯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외주면이 경사지고, 하단에 제2 플랜지(1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플랜지(1240)는 상체부(1200)와 유사하게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경사진다.As shown in FIGS. 2A to 2C, the
상기 상체부(1200)의 외주면은 경사지어 크라운이 쉽게 삽입될 수 있고, 크라운은 제2 플랜지(1240)의 상면에 안착되어 일정깊이 이상의 삽입이 제한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상기 제2 플랜지(1240)에 대향하도록 하체부(1100)는 제1 플랜지(11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플랜지(1240)에 안착된 크라운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상기 고정대(1110)는 도 4에서 나타나듯이 상면에 일정한 깊이로 파여진 체결홈(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150)의 형상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실시예에서 체결홈(1150)은 육각형상으로 구비되어 헥사 드라이버가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xing table 1110 may include a
상기 하체부(1100)는 체결홈(1150)을 포함하며, 도 4에서 나타나듯이 하측의 외주면에 나사산(11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체결홈(1150)에 삽입된 헥사 드라이버의 회전으로 상기 나사산을 통해 하체부(1100)는 픽스츄어에 회전되어 삽입될 수 있다.The
도 6a 내지 6c는 변형예로서, 하체부(1102)는 둥글게 형성된 고정대의 하단(1132)에 각진 형태가 포함되어 상체부와 하체부(1102) 간 회전방지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고정대(1102)의 하단은 각진 면의 개수가 일정하게 정해지는 것은 아니나, 도 6a에서는 6개의 각진 면을 나타낸다. 또한 고정대와 접하는 상체부의 내주면(1262)도 도 6b에서 나타내듯이 각진형태의 고정대 하단(1132)에 맞추어 각이 진 내면을 포함하여 상체부 및 하체부(1102)의 회전을 더욱더 방지할 수 있다. 6A to 6C are modified examples, and the
고정대의 안착부(1222)은 도 6a와 같이 상하로 부드럽게 라운드 지어져 로어파트의 장착이 쉽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22)가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움푹 파여, 탄성부재가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즉, 조립이 완성된 어버트먼트 위에 안착 및 고정된 크라운이 필요에 의해 분리되어야 하는 경우, 크라운 파지 후 크라운 및 상체부에 인력 등의 외력을 가하여 탄성부재가 안착부(1222)의 라운드 지어진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탈되며 크라운 및 상체부가 하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mounting
로어파트(1222)는 도 6b에서 나타나듯이 고정대의 각진하단면과 간극없이 접촉되기 위해 내주면의 하단(1262)에 각진면을 포함하고, 그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탄성부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안착부와 접하여 상체부와 하체부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어퍼파트는 도 6c와 같이 일면이 개구되어 고정대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체부는 분리형으로서 복수 개의 구성(어퍼파트와 로어파트)이 합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portion is a separate type and may be formed by match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upper part and lower part).
또한 어퍼파트(1210)는 도 2a에서 나타나듯이 내부가 양방향으로 개구되어 텅 비어 있을 수 있지만, 어퍼파트(1212)는 도 6c와 같이 일면이 제한적으로 개구될 수도 수도 있다. 로어파트는 어퍼파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내벽이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내벽은 상체부와 하체부가 결합되어 고정대를 강하게 압박함과 동시에 어퍼파트 및 탄성부재를 지지한다.In addition, the
로어파트는 탄성부재와 함께 고정대와 밀착되어 로어파트의 수용공간 대부분의 영역에서 고정대에 강한 압박을 가하여 상체부와 하체부는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lower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ixing table together with an elastic member, and a stro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xing table in most areas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lower part, so that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firmly coupled.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로 구성되어 강한 압박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으로 인해 파손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상체부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하체부와 결합에 따른 저항력에 보다 쉽게 견딜 수 있다. 즉, 상체부의 특정 부분에서 발생되는 응력들이 복수 개의 구성 간 결합부근에서 차단되어 높은 응력에 따른 상체부 전체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The upper body is composed of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and the risk of damage can be reduced due to the stress generated by strong pressure. Since the upper body is configured by being combined in a plurality of configurations,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withstand the resistance force caused by the combination with the lower body. That is, stresses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upper body are blocked in the vicinity of the coupling between the plurality of components, so that damage to the entire upper body due to high stress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상체부는 특정부분에서의 강한 외력에 따라 어느 하나의 구성이 파손되더라도, 상체부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파손된 구성만 교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if any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upper body is damaged by strong external force in a specific part, only the damaged component may be replaced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upper body.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possible to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like, and it will be said that this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ter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custom or intention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또한, 본원에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송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referring to "including" a component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stituent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하체부 : 1100, 1102
고정대 : 1110, 1112
안착부 : 1122
제1 요철부 : 1130
제1 플랜지 : 1140
체결홈 : 1150
나사산 : 1160, 1162
상체부 : 1200
어퍼파트 : 1210, 1212
로어파트 : 1220, 1222
간극 : 1230
제2 플랜지 : 1240
분리홀 : 1250, 1251, 1252
제2 요철부 : 1260
탄성부재 : 1300
절개부 : 1310Lower body: 1100, 1102
Fixture: 1110, 1112
Seating area: 1122
1st uneven part: 1130
1st flange: 1140
Fastening groove: 1150
Thread: 1160, 1162
Upper body: 1200
Upper part: 1210, 1212
Lower part: 1220, 1222
Gap: 1230
2nd flange: 1240
Separation hole: 1250, 1251, 1252
2nd uneven part: 1260
Elastic member: 1300
Incision: 1310
Claims (6)
내측에 설정된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체부;
상기 수용공간의 수용공간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는 고정대를 통해 상기 상체부와 결합되는 하체부; 및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대와 상기 수용공간 사이의 공간보다 적어도 작지 않은 크기를 가져서 상기 고정대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면을 외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In the abutment that supports the crown by mediating the fixture of the implant and the crown,
An upper body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f a size set inside;
A lower body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receiving space and coupled to the upper body through a fixing table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An abut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table and having a size not smaller than the space between the fixing table and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ing an elastic member for pres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utward when the fixing table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Ment.
상기 고정대는 내측으로 들어가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ed base is formed in a continuous mann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ide and includes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be seated.
상기 상체부는 어퍼파트와 로어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파트와 로어파트가 결합되어 상기 어퍼파트의 하단과 상기 로어파트의 하단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될 수 있는, 어버트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n upper part and a lower part,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re combined to allow the elastic member to be seated in a gap form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upper part and a lower end of the lower part.
상기 상체부는 외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분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기 고정대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어버트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paration hol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le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fixing tabl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butment.
상기 고정대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체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하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제1 요철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요철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table includes a first uneven portion formed by spaced apart a plurality of groov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upper body portion includes a second uneven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first uneven portion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sitio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상기 고정대는 상면에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체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table includes a fastening groove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body portion comprises a thread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but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 2019-09-02 | 2019-09-02 | Detachable abut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 2019-09-02 | 2019-09-02 | Detachable abut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894A true KR20210026894A (en) | 2021-03-10 |
KR102321178B1 KR102321178B1 (en) | 2021-11-03 |
Family
ID=7514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8313A KR102321178B1 (en) | 2019-09-02 | 2019-09-02 | Detachable abut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1178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9107B1 (en) * | 2021-10-06 | 2023-02-14 | 임종화 | One body-type abutment for implants with improved load distribution and prosthesis bonding |
KR102504214B1 (en) | 2021-10-08 | 2023-03-03 | 아이핸즈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Dual type abutment capable of reusing crown for implant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2075A (en) | 2006-05-19 | 2007-11-22 | 오성균 | Separab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using the same |
KR20090080572A (en) * | 2006-12-20 | 2009-07-24 |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
WO2015029730A1 (en) * | 2013-08-30 | 2015-03-05 | 株式会社ジーシー |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
KR101495480B1 (en) * | 2014-05-14 | 2015-03-25 | 최종훈 | links abutment connector |
KR20160033019A (en) * | 2014-09-17 | 2016-03-2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ntal Implant assembly |
KR20180003080A (en) * | 2016-06-30 | 2018-01-09 | 수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Sustainable Overdenture system |
KR20190030817A (en) * | 2017-09-15 | 2019-03-25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102082885B1 (en) | 2017-12-12 | 2020-02-28 | 김태훈 | Abutment for implant |
-
2019
- 2019-09-02 KR KR1020190108313A patent/KR1023211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112075A (en) | 2006-05-19 | 2007-11-22 | 오성균 | Separab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nd method for making dental prosthesis using the same |
KR20090080572A (en) * | 2006-12-20 | 2009-07-24 | 제스트 앵커스 인코포레이티드 | Dental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
WO2015029730A1 (en) * | 2013-08-30 | 2015-03-05 | 株式会社ジーシー | Attachment for plate denture |
KR101495480B1 (en) * | 2014-05-14 | 2015-03-25 | 최종훈 | links abutment connector |
KR20160033019A (en) * | 2014-09-17 | 2016-03-25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ntal Implant assembly |
KR20180003080A (en) * | 2016-06-30 | 2018-01-09 | 수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Sustainable Overdenture system |
KR20190030817A (en) * | 2017-09-15 | 2019-03-25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102082885B1 (en) | 2017-12-12 | 2020-02-28 | 김태훈 | Abutment for impla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9107B1 (en) * | 2021-10-06 | 2023-02-14 | 임종화 | One body-type abutment for implants with improved load distribution and prosthesis bonding |
WO2023059093A1 (en) * | 2021-10-06 | 2023-04-13 | (주)프리미어 | Integrated implant abutment having improved load distribution and prosthetic bonding |
KR102504214B1 (en) | 2021-10-08 | 2023-03-03 | 아이핸즈코퍼레이션 주식회사 | Dual type abutment capable of reusing crown for impla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21178B1 (en) | 2021-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697492B (en) | Detachable implant combination prosthesis | |
EP2119414B1 (en) | Coupling for a multi-part dental implant system | |
US11638632B2 (en) | Dental implant | |
US11213372B2 (en) | Screwless dental implant connection | |
KR101633258B1 (en) | Implant combined prosthesis that is easy to perform and correct | |
KR20190136480A (en) | Dental implant | |
EP1745758B1 (en) | Dental implant for magnetic attachment | |
JP7136470B2 (en) | dental implant | |
KR102097423B1 (en) | Detachable implant structure for preventing abutment sinking | |
KR102551331B1 (en) | Abutment assembly | |
KR102321570B1 (en) | Dental Implant | |
KR20210026894A (en) | Detachable abutment | |
JP2019524384A (en) | Dental implant structure | |
KR200493997Y1 (en) | Surgical connector for dental fixture | |
KR102097376B1 (en) | Implants that can distribute the force of the implants and are easy to detachable | |
US20200315749A1 (en) | Dental implants | |
KR101486851B1 (en) | Dental Implant Abutment | |
KR20240082185A (en) | Cementless abutment assembly | |
KR102454967B1 (en) | Dental Implant system | |
KR101072274B1 (en) | Seperatable dental implant | |
KR102264155B1 (en) | holder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 |
JP6120036B1 (en) | Dental implant | |
KR20230012263A (en) | Dental implant structure tightened by tightening scre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