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82A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482A KR20200129482A KR1020190053941A KR20190053941A KR20200129482A KR 20200129482 A KR20200129482 A KR 20200129482A KR 1020190053941 A KR1020190053941 A KR 1020190053941A KR 20190053941 A KR20190053941 A KR 20190053941A KR 20200129482 A KR20200129482 A KR 2020012948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unit
- link
- display device
- hea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2496 Sunbur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89 doughnu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휠; 및 일단은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미러 링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부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가 설치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는 운전자의 가시 영역 내(전방 윈도우)에 가상 화상을 투영한다. 운전자는 주행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주행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미러부를 포함한다.
미러부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미러부에 구동부가 설치된다.
미러부는 링크부에 의해 피동력 전달부에 연결된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링크부가 피동력 전달부와 점접촉되도록 설치되므로, 차량의 진동, 가속도 및 마찰 등에 의해 하중이 점접촉 부위에 집중된다.
따라서, 링크의 점접촉 부위가 마모 및 형상 변경이 상대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구동 정밀도가 저하되면, 광학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리드스크류와 스텝모터에 의해 미러부를 회전시키므로, 리드스크류의 피치와 스텝모터의 회전각 정밀도에 의해 분해능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0730호(2011. 02. 07 공개, 발명의 명칭: 동력 전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휠; 및 일단은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미러 링크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부는, 상기 미러부의 회전축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러 서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휠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몸체부; 상기 휠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미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러 링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를 포함한다.
상기 미러 링크부는, 상기 미러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링크 레버부; 및 상기 링크 레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관통되는 링크 슬롯부;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 슬롯부의 내경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외경보다 작다.
상기 구동휠은, 상기 링크 슬롯부를 관통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레버부가 상기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미러 링크부가 초기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링크 레버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모터가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함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가 지지부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과 결합하여 구동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의 회전 시, 구동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돌기부에 미러 링크부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가 미러 링크부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가 홈부에 의해 옴므려져 미러 링크부를 구동휠에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와 미러 링크부의 조립 후, 홈부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가 슬라이딩 돌기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는 슬라이딩 돌기부가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동휠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가 링크 슬롯부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미러부의 회전 각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1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부(100)와 지지부(200)와 구동모터(300)와 구동휠(400) 및 미러 링크부(500)를 포함한다.
미러부(100)는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것으로서, 비구면 미러이다.
이러한 미러부(100)는 미러 힌지부(110) 및 미러 서포트(120)를 포함한다.
미러 힌지부(110)는 미러부(100)의 회전축(310)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미러 서포트(120)는 한 쌍의 미러 힌지부(11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러부(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미러 서포트(120)에는 미러 힌지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미러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지지부(200)는 미러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미러부(100)의 일측에 돌출된 미러 힌지부(110) 근처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미러부(100) 및 구동모터(300) 등을 지지한다.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할 수 있다.
즉, 구동모터(300)는 스텝모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100)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다.
미러부(100)의 분해능이 향상됨으로써,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400)과 결합하여 구동휠(400)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로 구동휠(40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구동휠(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동휠(400)은 구동모터(30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것으로서, 구동모터(300)를 매개로 하여 지지부(2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구동모터(300)와 구동휠(4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일방향과 타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모터(300)는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미러부(100)가 배치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구동휠(400)은 지지부(200)를 기준으로 미러부(100)가 배치된 방향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동휠(400)은 휠몸체부(410)와 가이드부(420) 및 슬라이딩 돌기부(430)를 포함한다.
휠몸체부(41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구동모터(300)의 회전축(310)에 결합되어 구동모터(3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휠몸체부(410)의 중심에는 구동모터(300)의 회전축(31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축(310)과 결합공은 휠몸체부(41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420)는 휠몸체부(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 것으로서, 직선의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부(420)는 휠몸체부(410)의 외주면으로부터 연장됨으로써, 휠몸체부(410)가 회전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한다.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이드부(420)에서 휠몸체부(410)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 단부로부터 미러부(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431)가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미러 링크부(5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미러 링크부(500)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홈부(431)에 의해 옴므려짐으로써 미러 링크부(500)를 구동휠(400)에 쉽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미러 링크부(500)의 조립 후, 홈부(431)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미러 링크부(500)는 일단이 미러부(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휠(400)에 연결된 것으로서, 구동휠(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100)를 회전시킨다.
구체적으로 미러 링크부(500)는 일단에 연결된 미러 힌지부(110) 근처에서 구동모터(300)가 배치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미러 링크부(500)는 구동모터(300)에 의한 구동휠(400)의 회전 시, 가이드부(420)의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의해 미러부(1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미러 링크부(500)는 링크 몸체부(510)와 링크 레버부(520) 및 링크 슬롯부(530)를 포함한다.
링크 몸체부(510)는 미러부(100)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미러 링크부(500)의 몸체를 이룬다.
링크 레버부(520)는 링크 몸체부(51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링크 레버부(520)의 길이는 가이드부(420)와 나란한 상태에서 가이드부(420)보다 긴 길이로 이루어진다.
링크 슬롯부(53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링크 레버부(520)에 형성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관통된다.
이러한 링크 슬롯부(530)의 내경은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외경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구동휠(400)은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홈부(431)의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링크 슬롯부(530)가 상호 선접촉되므로, 차량의 진동, 가속도 및 마찰 등에 의해 하중이 선접촉 부위에 분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미러 링크부(500)의 선접촉 부위가 마모 및 형상 변경 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구동 정밀도가 저하되거나 광학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링크 슬롯부(530)와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휠(400)이 반시계방향(CCW: COUNTER CLOCK WISE)으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러 힌지부(110)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미러 링크부(500)에 연결된 미러부(1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구동휠(400)이 시계방향(CC: CLOCK WISE)으로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서 타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미러 힌지부(110)의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미러 링크부(500)에 연결된 미러부(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링크 슬롯부(530)를 관통한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에는 고정링(440)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링(440)은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관통되어 링크 레버부(520)로부터 돌출되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고정링(440)은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링크 슬롯부(530) 사이의 유격을 삭제함으로써, 기구적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부(100)에 연결되고, 링크 레버부(52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0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7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인장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700)는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로 인해 탄성부재(700)는 구동휠(400)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되어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에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구동휠(40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지지부(200)에 설치되는 스위치부(600)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부(600)는 구동휠(400)의 회전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사용환경에 따라 설정된 초기 위치(주차 모드의 위치)에 도달되면 미러 링크부(500)의 링크 레버부(520)가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스위치부(600)는 구동휠(400)의 회전에 따라 링크 레버부(520)와 접촉됨으로써,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각도, 즉 미러부(100)의 회전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600)는 링크 레버부(520)와 접촉되어 Stall전류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Stall전류란 모터에 부하가 걸려 모터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의 전류로서, 모터소자의 특성값이다.
따라서, 스위치부(600)에 의해 상기 특성 전류가 검출되면 미러 링크부(500)가 정지위치인 것이 감지되어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00)는 링크 레버부(520)가 누름부를 누름방식으로 접하여 Stoll전류가 감지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600)가 스토퍼와 같은 움직이지 않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링크 레버부(520)가 접하면 링크 레버부(520)의 회전을 억제함으로써, Stall전류를 발생시켜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미러부(100)에 태양광 등의 외부광이 집중되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에 위치한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인 것으로서,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주차 모드시의 위치와 동일하게 설정되거나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미러부(100)에 태양광 등의 외부광에 의한 디스플레이부 썬번(sun burn)을 방지하기 위해 미러부(100)의 틸팅각도를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지 않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 위치는 스위치부(600)를 통해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미러 링크부(5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면, 회전센서(미도시) 또는 엔코더(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도 있으며, 회전센서 및 엔코더는 미러 링크부(500)의 초기위치뿐만 아니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러 링크부(500)의 위치는 다양한 방식 및 다양한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의 키 차이에 따른 눈높이 차이가 발생됨으로써, 구동모터(300)의 회전각도에 따라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운전자에 적합한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평균키의 사람을 기준으로 운전자의 키가 평균키의 사람보다 큰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방향으로 조절하고, 운전자의 키가 평균키의 사람보다 작은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상기와 반대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모터(300)가 스텝모터(STEP MOTOR)를 적용함으로써, 모터내부의 기어 감속비에 의해 미러부(100)의 분해능(RESOLVING POWER)이 향상될 수 있고,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탑승자의 키에 따라 미러부(100)의 틸팅각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00)가 지지부(200)에 설치된 상태로 구동휠(400)과 결합하여 구동휠(400)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구동휠(40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미러 링크부(5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딩 돌기부(430)는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431)가 형성됨으로써,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미러 링크부(5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미러 링크부(500)에 삽입될 때,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홈부(431)에 의해 옴므려져 미러 링크부(500)를 구동휠(400)에 쉽게 조립할 수 있고, 슬라이딩 돌기부(430)와 미러 링크부(500)의 조립 후, 홈부(431)에 의해 슬라이딩 돌기부(430)의 단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탄성력에 의해 미러 링크부(500)가 슬라이딩 돌기부(43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재(700)는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에 밀착되도록 미러부(100)를 하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구동휠(400)의 회전 시, 슬라이딩 돌기부(430)가 링크 슬롯부(530) 사이에서 틈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고,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에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휠(400)의 회전 각도가 정확하게 제어되므로, 미러부(100)의 회전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미러부
110: 미러 힌지부
120: 미러 서포트 200: 지지부
300: 구동모터 310: 회전축
400: 구동휠 410: 휠몸체부
420: 가이드부 430: 슬라이딩 돌기부
431: 홈부 440: 고정링
500: 미러 링크부 510: 링크 몸체부
520: 링크 레버부 530: 링크 슬롯부
600: 스위치부 700: 탄성부재
120: 미러 서포트 200: 지지부
300: 구동모터 310: 회전축
400: 구동휠 410: 휠몸체부
420: 가이드부 430: 슬라이딩 돌기부
431: 홈부 440: 고정링
500: 미러 링크부 510: 링크 몸체부
520: 링크 레버부 530: 링크 슬롯부
600: 스위치부 700: 탄성부재
Claims (11)
- 디스플레이부에서 조사되는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구동휠; 및
일단은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휠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미러부를 회전시키는 미러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는,
상기 미러부의 회전축 상에서 양측면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미러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러 서포트;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휠몸체부;
상기 휠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미러부가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미러 링크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홈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는,
상기 미러부와 결합되는 링크 몸체부;
상기 미러부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된 링크 레버부; 및
상기 링크 레버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가 관통되는 링크 슬롯부;를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슬롯부의 내경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외경보다 작은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은,
상기 링크 슬롯부를 관통한 상기 슬라이딩 돌기부의 단부에 결합되는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부에 연결되고, 상기 링크 레버부가 상기 링크 슬롯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미러부를 하측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미러 링크부가 초기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링크 레버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링크부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에 설치되는 회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
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ko) | 2019-05-08 | 2019-05-08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US16/851,721 US11320654B2 (en) | 2019-04-18 | 2020-04-17 | Headup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ko) | 2019-05-08 | 2019-05-08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482A true KR20200129482A (ko) | 2020-11-18 |
Family
ID=7369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3941A KR20200129482A (ko) | 2019-04-18 | 2019-05-08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9482A (ko) |
-
2019
- 2019-05-08 KR KR1020190053941A patent/KR2020012948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32250B1 (en) | Head-up display device | |
JP5060792B2 (ja) | 投写光学系、投写用ユニット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 |
KR102253005B1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동모듈 | |
JPH05257048A (ja) | レンズ鏡筒 | |
EP3521885B1 (en) | Vehicle display device | |
JP6642290B2 (ja) | 表示位置調整ユニット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6760220B2 (ja) | 角度調整機構、反射鏡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 |
KR20200129482A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3952407B2 (ja) | 車両用表示装置 | |
KR20200052581A (ko)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6468161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2452806B1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320654B2 (en) | Headup display device | |
JP2024026577A (ja) | 車両用ミラー装置 | |
JP6877591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の駆動装置 | |
JP2018176849A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7554394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WO2021193634A1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WO2023022003A1 (ja) | 表示装置 | |
KR20200122534A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21156955A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JP6960331B2 (ja) | 送りネジ装置 | |
KR102480737B1 (ko)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7367765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
CN118434586A (zh) | 图像照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