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3103A -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 Google Patents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103A
KR20200123103A KR1020207022401A KR20207022401A KR20200123103A KR 20200123103 A KR20200123103 A KR 20200123103A KR 1020207022401 A KR1020207022401 A KR 1020207022401A KR 20207022401 A KR20207022401 A KR 20207022401A KR 20200123103 A KR20200123103 A KR 20200123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conduction
ear
ear hook
hearing device
conduction sp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타아키 샤
Original Assignee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10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08Earpieces of the supra-aural or circum-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4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 H04R25/606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acoustic or vibrational transducers acting directly on the eardrum, the ossicles or the skull, e.g. mastoid, tooth, maxillary or mandibular bone, or mechanically stimulating the cochlea, e.g. at the oval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0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 H04R25/607Mounting or interconnection of hearing aid parts, e.g. inside tips, housings or to ossicles of ear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과제] 장착자 각각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청음 장치로서,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상기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본 발명은 뼈에 진동을 줌으로써 소리를 인식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장착자 각각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청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음악이나 라디오, 텔레비전 등의 소리를 듣는 수단으로서, 혹은 휴대전화나 무선으로의 회화 수단으로서,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은 귀에 장착하여, 소리나 음악을 듣기 위한 장치(이하, 청음 장치라고 함.)가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청음 장치에서 일반적인 헤드폰에는 귓구멍에 장착되는 것이나, 귀 전체를 덮는 것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전기신호로서 입력된 음원을 공기 진동으로 변환하여 고막에게 전달하여 진동시키고, 상기 고막의 진동이 귀의 안쪽 중이를 통해서, 뇌에 소리 정보가 전달되어 인식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공기 진동에 의해 고막을 진동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두개골에 소리의 진동을 주어서, 뼈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인식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이, 귓구멍에 삽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귀에는 주위의 소리가 차폐되지 않고 들어오기 때문에, 장착하고 있어도 안전하고, 또한, 고막의 진동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난청인 사람이라도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서, 보청기 등에의 이용도 진행되고 있다.
이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전기신호로서 입력된 음향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여, 그 진동을 적절한 위치로부터 뼈에게 주어서, 뼈에 진동을 전하고, 그 진동에 의해 전달되는 뼈 전도음으로 소리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상기 적절한 위치로서는, 관자놀이 주변이나 유양 돌기라 부르는 측두골의 후하방에 있는 커다란 돌기 주변을 들 수 있다.
관자놀이 주변은 즉, 두개골 그 자체이며, 관자놀이 주변에 제대로 진동부를 당접하면, 정확하게 뼈에 소리의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뼈 전도를 이용하는 청음 장치, 특히, 헤드폰 타입에서는, 이 관자놀이에 당접하는 것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그리고, 이 타입의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서는, 진동부가 정확하게 관자놀이 주변에 당접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귀의 상부에 걸려서 사용할 수 있도록 암(arm)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관자놀이 주변이 아니라, 유양 돌기에 진동을 주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뼈 전도형 음성 청취 장치 및 방법」으로서 개시되어 있는, 거의 영문자 C의 형상을 갖는 하우징 내에, 청취자의 유양 돌기를 거의 덮도록 뼈 전도 수단의 스피커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자놀이 주변에 진동을 주는 구조인 것도, 유양 돌기에 진동을 주는 구조인 것도, 모두 귀를 막지 않고 장착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귀에는 주위의 소리가 차단되지 않고 들어오기 때문에, 장착하고 있어도 안전하고, 또한, 난청자라도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2-62199호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부를 적절한 위치에 당접시킴으로써 청음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당접시킨 진동부로부터 뼈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당접 압력을 가해야만 하며, 그 때문에 조임이 필요하다. 조임이 약해서 단지 접촉하고 있는 정도로는, 정확하게 진동이 전달되지 않아, 소리를 인식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술한 관자놀이 주변에 진동부를 당접시키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있어서는, 관자놀이 주변을 조이는 것은 강한 스트레스가 되어, 통증을 일으키키도 쉬워지고, 또한, 장착자의 귀의 형상에 따라서는, 귀의 상부에 걸리는 암(arm) 형상의 귀 걸이부가 피트되지 않아, 통증을 일으키는 일이 있으며, 또한, 불안정한 장착에 의해 진동부가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버린 경우에는, 다시 적절한 위치에 진동부가 접하도록 조정해야만 하여, 운동 시 등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유양 돌기를 덮도록 진동부가 배치되는 구조인 것은 관자놀이 주변 정도의 조임은 없지만, 거의 영문자 C의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이 큰 중량이 있어, 사람의 이목을 끄는 것과 동시에, 디자인성이 부족하고, 또한, 귀의 뒤쪽에 귀와 머리의 사이에 끼워서 장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귀의 크기에 따라 영문자 C의 형상을 조정해야만 한다.
또한, 유양 돌기의 위치는 획일적이지 않기 때문에, 청음 장치의 진동부가 배치되어 접촉하는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장착자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얼마든지 크기가 다른 다종의 장치를 제조하여 준비해두어야만 하며, 사용 용도에 따라서는 주문으로 만들어야만 한다는 문제도 있어, 뼈 전도를 이용한 소리 인식 장치의 보급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착자 각각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용이하게 장착 가능한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자는 열심히 연구한 결과, 이하와 같은 장치를 발명하였다.
(1)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있어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2)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를 구성하는 귀 걸이 암 지지부의 신축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3)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 주위의 일부에 마련된 관 모양의 귀 걸이 암을 가이드로 하여, 뼈 전도 스피커를 상기귀 걸이 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이나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1)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있어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자 각각의 신체적 특징에 맞추어, 귀 걸이부와 뼈 전도 스피커의 위치를 맞출 수 있어, 조임에 의한 스트레스를 느끼지 않으며, 또한, 소형, 경량이고, 디자인성이 우수하며, 나아가서는, 용이하게 장착이나 탈착을 할 수 있어, 장착 시 우수한 쾌적성을 갖는다.
그리고,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이기 때문에, 귓구멍을 봉쇄하지 않고, 안전성이 높아, 헤드폰 마이크나 보청기 등, 소음이 심한 현장에서의 회화를 가능하게 하는 헬멧 등, 각종 분야의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2) 또한,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를 구성하는 귀 걸이 암 지지부의 신축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효과와 더불어, 장착자가 장착 시에 귀 걸이부와 뼈 전도 스피커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 주위의 일부에 마련된 관 모양의 귀 걸이 암을 가이드로 하여, 뼈 전도 스피커를 상기 귀 걸이 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자가 장착 시에, 뼈 전도 스피커의 위치를 움직여서 조정하는 것 만으로, 간단하게 뼈 전도 스피커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장착 상태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2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2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2의 다른 실시예의 외관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구조의 실시예 1의 설명도로서, (1)은 정면도, (2)는 측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청음 장치, 2는 뼈 전도 스피커, 3은 귀 걸이부, 4는 귀 걸이 암, 5는 귀 걸이 암 지지부, R은 조정 폭이다.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에 있어서, 청음 장치(1)는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 뼈 전도 스피커(2)와 귀 걸이부(3)로 구성된다.
상기 귀 걸이부(3)는 귀 걸이 암(4)과 귀 걸이 암 지지부(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귀 걸이 암(4)은 귀 걸이 암 지지부(5)에 의해 뼈 전도 스피커(2)와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 1에 있어서, 귀 걸이 암(4)은, 귀 걸이 암 지지부(5)와의 신축 기구에 의해, 귀 걸이 암 지지부(5)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귀 걸이 암(4)과 뼈 전도 스피커(2)의 상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신축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귀 걸이 암 지지부(5)의 장축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긴 홈부를 마련하고, 귀 걸이 암(4)과 점 접합되거나, 스프링이나 고무재 등을 사용한 신축 구조로 하거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공지의 신축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도 1의 (1)(a)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의 실시예 1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2)(a)는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는 귀 걸이 암(4)을 지지하는 귀 걸이 암 지지부(5)의 길이가 신축 기구에 의해 가장 줄어든 상태로서, 뼈 전도 스피커(2)와 귀 걸이부(2)의 상대 위치는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된다.
한편, 도 1의 (1)(b)의 정면도 및 (2)(b)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상태는 귀 걸이 암(4)을 지지하는 귀 걸이 암 지지부(5)의 길이가 신축 기구에 의해 가장 늘어난 상태로서, 뼈 전도 스피커(2)와 귀 걸이부(2)의 상대 위치는 가장 먼 위치가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축 기구에 의한 길이 조정은 화살표(R)의 폭이지만, 이 폭은 장착자의 신체적 특징에 적합하도록, 더욱 길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대략 0∼30㎜ 정도, 임의의 길이로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장착 상태의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장착 상태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는 뼈 전도 스피커(2)를 유양 돌기 주변에 배치하여 장착한다.
따라서, 장착 시에 뼈 전도 스피커(2)가 유양 돌기 주변보다 위에 있는 경우에는, 신축 기구로 늘려서, 귀 걸이부(3)와 뼈 전도 스피커(2)의 거리를 떨어지게 조정한다.
한편, 장착 시에 뼈 전도 스피커(2)가 유양 돌기 주변보다 아래에 있을 때에는, 신축 기구로 줄여서, 귀 걸이부(3)와 뼈 전도 스피커(2)의 거리를 줄여서 조정한다.
이렇게, 실시예 1에서 청음 장치(1)는 청음 감도 특성이 높은 개소인 유양 돌기 주변에 뼈 전도 스피커(2)를 배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거기에 맞추어, 귀 걸이부(3)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뼈 전도 스피커(2)는 음향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다. 음향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것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 전기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뼈 전도 드라이브는 음향 전기신호에 의해 다이어프램 등을 진동시키고, 상기 음향 전기신호를 뼈에게 전달하는 기계 진동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뼈 전도 스피커(2)에 격납되는 뼈 전도 드라이브의 진동 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음향 전기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으면 되며, 압전식, 전자식, 초자왜 등,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귀 걸이 암(4)을 귀 걸이 암 지지부(5)로부터 탈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의 경우에는, 청음 장치(1)의 장착 시에, 뼈 전도 스피커(2)의 위치가 유양 돌기 주변보다 높을 때에는, 짧은 귀 걸이 암(4a)을 귀 걸이 암 지지부(5)에 삽입하고, 유양 돌기 주변보다 낮을 때에는, 긴 귀 걸이 암(4b)을 귀 걸이 암 지지부(5)에 삽입하여, 뼈 전도 스피커(2)와 귀 걸이부(3)의 상대 위치를 조정한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의 실시예 2의 외관도이다.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뼈 전도 스피커(2)와 귀 걸이부(3)를 구비한다. 또한, 귀 걸이부(3) 주위의 일부에 관 모양의 귀 걸이 암(4)이 마련된다.
그리고, 실시예 2와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뼈 전도 스피커(2)가 귀 걸이 암(4)을 가이드로 하여, 상기 귀 걸이 암(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사이를 이동 가능(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는 기구로 구성된다.
즉, 뼈 전도 스피커(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를 중심으로 하면, 귀 걸이 암(4)의 일단인 X방향으로 이동(a), 혹은 귀 걸이 암(4)의 타단인 Y방향으로 이동(c)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뼈 전도 스피커(2)는 귀 뒤의 두개골에 진동을 주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장착자의 귀의 형상 등에 따라서, 선명하게 들리는 위치가 다르다.
따라서, 장착 시에는, 가장 선명하게 들리는 위치에 뼈 전도 스피커(2) 자체를 이동시켜서 조정한다.
또한, 실시예 2의 청음 장치(1)는 예를 들면, 귀 걸이 암(4)의 일부에 귀와의 계지 부재(A) 혹은 계지 부재(B)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청음 장치(1)를 안정되게 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계지 부재로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클립형 계지 부재(6a)나, 같은 도면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석형 계지 부재(6b) 등이 경량이고 사용하기 쉬워서 적합하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는 한쪽 귀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양쪽 귀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양쪽 귀에 장착할 경우에는, 넥 밴드나 코드의 양단부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를 설치하는 구조로 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청음 장치(1)에 마이크를 달아서, 마이크로폰으로 하거나, 집음기를 설치하여 보청기로 하거나 하여 이용할 수도 있으며, 뼈 전도를 이용하는 각종 장치나 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뼈 전도를 이용하는 청음 장치와 관련되며, 뼈 전도 헤드폰에 한정하지 않고, 보청기, 마이크로폰,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의 회화용 등, 각종 뼈 전도를 이용하는 장치나 기기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청음 장치
2 뼈 전도 스피커
3 귀 걸이부
4 귀 걸이 암
5 귀 걸이 암 지지부
6a, 6b 계지 부재
R 조정 폭

Claims (3)

  1. 뼈 전도 드라이브가 격납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로 이루어지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에 있어서,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를 구성하는 귀 걸이 암 지지부의 신축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뼈 전도 스피커와 귀 걸이부의 상대 위치 변경이, 귀 걸이부 주위의 일부에 마련된 관 모양의 귀 걸이 암을 가이드로 하여, 뼈 전도 스피커를, 상기 귀 걸이 암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KR1020207022401A 2018-02-22 2018-02-22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Ceased KR202001231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06406 WO2019163047A1 (ja) 2018-02-22 2018-02-22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103A true KR20200123103A (ko) 2020-10-28

Family

ID=6768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401A Ceased KR20200123103A (ko) 2018-02-22 2018-02-22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84399A1 (ko)
KR (1) KR20200123103A (ko)
CN (1) CN111758265A (ko)
WO (1) WO2019163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6636S1 (en) * 2019-09-18 2021-11-23 Shenzhen Enle Industrial Co., Ltd. Earphone
JP1680225S (ko) * 2020-08-18 2021-03-01
WO2024088224A1 (zh) * 2022-10-28 2024-05-0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1673A (en) * 1986-12-04 1988-12-13 Schreiber Simeon B Bone conduction audio listening device and method
US20050100186A1 (en) * 1998-05-20 2005-05-12 Ty Logan Head worn entertainment and/or communication device
AU696163B3 (en) * 1998-05-20 1998-09-03 Ty Logan Head worn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7313246B2 (en) * 2001-10-06 2007-12-25 Stryker Corpora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eyewear for communication
US7613292B2 (en) * 2006-09-29 2009-1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djustable earpiece
CN101184344A (zh) * 2006-11-14 2008-05-21 达方电子股份有限公司 耳挂式耳机
JP2008136556A (ja) * 2006-11-30 2008-06-19 Ibox:Kk イヤホン装置
CN201001188Y (zh) * 2006-12-30 2008-01-02 耿巍 耳塞可移动式挂钩
CN101978704A (zh) * 2008-03-17 2011-02-16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扩音器及使用骨传导扩音器的听取装置
WO2010131360A1 (ja) * 2009-05-15 2010-11-18 日本エムエムア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骨伝導マイク、ヘッドセット装置およびマイクロフォ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4399A1 (en) 2021-03-18
WO2019163047A1 (ja) 2019-08-29
CN111758265A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01433B1 (ja) 骨伝導を利用した聴音装置
KR102482897B1 (ko) 청음 장치
KR101176827B1 (ko) 오디오 장치
US5953435A (en) Intra-concha stabilizer with length adjustable conchal wall hook
EP3148211B1 (en) Ear unit
US10003878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KR101561070B1 (ko) 하부 행거를 구비하는 이어폰
JP3556151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送受話装置
US20170171679A1 (en) Controlling own-voice experience of talker with occluded ear
CN102177730B (zh) 用于拾取用户语音的系统和操作该系统的方法
RU2611215C1 (ru) Внутриушной наушник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их ношения
EP3166336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JPWO2017168903A1 (ja) 音響再生装置
JP2007228508A (ja) 受話装置
WO2014097744A1 (ja) 骨導レシーバ
US20080144877A1 (en) Antihelix stabilizer with easy donning action for wearable audio device
WO2019142461A1 (ja) 聴音装置
KR20200123103A (ko) 뼈 전도를 이용한 청음 장치
CN115250392B (zh) 声学输入输出设备
WO2006007541A1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easy donning action and antihelix stabilizer
US10841681B2 (en) Sound generating device
KR20230043940A (ko) 보청장치들
JP7657494B2 (ja) 音響入出力装置
KR101802799B1 (ko)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WI853236B (zh) 聲學輸入輸出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8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53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