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083819A -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819A
KR20200083819A KR1020180173108A KR20180173108A KR20200083819A KR 20200083819 A KR20200083819 A KR 20200083819A KR 1020180173108 A KR1020180173108 A KR 1020180173108A KR 20180173108 A KR20180173108 A KR 20180173108A KR 20200083819 A KR20200083819 A KR 2020008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put
state
fingerpri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9444B1 (ko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73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4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8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2Fingerprint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G06K9/0000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인식하는 근거리통신부; 운전석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 및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ART AND POWER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 및 지문 인식 핸들을 연동하여 시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자동차 도어의 도어핸들 측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장치를 자동차 키로 해제하여 도어를 열고 탑승한 후 다시 자동차 키로 조향축에 설치되어 있는 이그니션 스위치를 조작하여 엔진시동을 걸어 차량을 운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운행 종료 시에는 자동차 키로 이그니션 스위치를 오프시켜 엔진 작동을 중지시키고 또한 하차시 도어핸들 측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장치를 자동차 키로 잠금하여 보안조치를 취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차량에는 고객의 편의장치 요구 증가와 전기/전자 기술 및 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차량 내부의 각종 장치들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키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스마트 키 시스템은 포브(FOB) 키를 사용자가 휴대한 상태로 차량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접근하면, 사용자가 휴대한 포브 키와, 차량 내부의 SMK(Smart KEY) 제어유닛 간의 무선통신을 통하여 정상 사용자임을 인증한 후, 원격에서 포브 키에 구비된 복수 개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차량의 문 열림/잠금 기능 수행, 엔진 시동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무선 방식으로 동작하는 스마트키만 소지하고 있으면 차량 키를 키박스에 꽂지 않더라도 차량의 문(Door)을 열 수 있으며, 버튼 방식으로 차량을 시동시켜 운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버튼 시동 같은 경우 운전자가 해당 차량의 스마트키를 소지하고 있으면 누구나 차량을 이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스마트키를 분실했을 때 차량을 도난당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는 자동차 키를 이용하여 도어록 장치의 잠금/해제 또는 엔진시동을 걸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있고, 다른 방법으로 원격시동방법도 개발되어 있으나 이는 타인에 의하여 용이하게 개폐 및 엔진 시동되어 도난 발생의 우려가 있었고 경보장치가 작동된다 할지라도 차량의 소유주가 차량으로부터 약간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차량에 대한 경고장치의 작동여부를 인지하지 못하여 그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8022호(공개일 : 2017.12.14.공개)인 "스마트폰과 차량 손잡이를 이용한 지문인식차량잠금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 및 지문 인식 핸들을 연동하여 시동 및 전원을 제어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인식하는 근거리통신부; 운전석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변속기 레버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입력하는 차량상태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온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 또는 N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ACC ON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차량상태입력부로부터 차량의 변속기 레버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온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 또는 N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ACC ON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 및 지문 인식 핸들을 연동하여 시동 및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시 핸들 리모컨에 위치한 지문센서로 인한 운전자의 불필요한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BLE 인증 및 운전자의 고유 지문등록을 통한 차량 도난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는, 사용자 인식부(10), 차량상태 입력부(20), 제어부(30), 카운터부(40) 및 출력부(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부(10)는 차량 사용자를 인식하고, 인식한 사용자에 대해 인증 과정을 거쳐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가 맞는지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지문 감지부(11) 및 근거리 통신부(12)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고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를 인식할 수 있다.
지문 감지부(11)는 차량의 운전석 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에 구비될 수 있다. 지문 감지부(11)는 인식된 지문을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과 비교하여,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식된 지문을 기 등록된 지문과 비교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에 구비된 지문 감지부(11)를 통해 지문을 감지하는 것으로 개시하고 있으나, 차량 내 구비되어 운전자의 생체를 인식하는 감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부(12)는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인식하는 것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을 위한 BLE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상태 입력부(20)는 차속 감지부(21), 변속레버 감지부(22) 및 브레이크페달 감지부(23)를 포함하여, 차량의 변속기 레버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 온오프 상태, 그리고 차속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차속 감지부(21)로부터의 차속에 의해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예컨대 5km/h 미만의 속도로 운행중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변속레버 감지부(22)를 통해 변속기 레버의 P단, N단, D단 및 R단 중 하나의 상태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브레이크페달 감지부(23)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이 현재 밟힌 상태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근거리 통신부(12)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11)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카운터부(40)는 근거리 통신부(12)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11)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를 카운터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부(40)는 제어부(30)의 ACC ON 신호 출력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출력부(50)는 IGN 릴레이부(51), ACC 릴레이부(52) 및 START 릴레이부(53)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30)의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입력받으면 해당 신호에 대응되도록 IGN 릴레이부(51), ACC 릴레이부(52) 및 START 릴레이부(53) 중 하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 차량상태입력부(1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온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 또는 N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설정시간은 제어부(30)에서 사용자가 버튼(지문인식을 위한 입력수단)을 입력하였다고 인지할 수 있을 정도라고 판단되는 시간으로 설계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기 레버를 P단 또는 N단에 위치시킨 경우, 1회의 지문 입력만으로 엔진 시동을 켤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이 켜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상태에 상관없이, P단일 때는 1회 지문이 인식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하고,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인 경우에는 1회 지문이 인식되면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1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IGN ON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P단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1회 입력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하고,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1회 입력하면,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는, 상기 차량상태입력부(1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10)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 OFF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P단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입력하는 경우, 1회 입력 시에는 ACC ON, 2회 입력 시에는 IGN ON, 3회 입력 시에는 시동이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시동 OFF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입력하는 경우, 1회 입력 시에는 ACC ON, 2회 입력 시에는 IGN ON, 3회 입력 시에는 다시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ACC ON 상태가 방전방지설정시간이 지나도록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방전 방지를 위해 전원이 자동 OFF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ACC ON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OFF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방전방지설정시간은 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정지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시동이 OFF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예컨대 5km/h 미만의 저속 상태일 때도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30)가 근거리 통신부(12)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한다(S10).
여기서, 근거리 통신부(12)는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인식하는 것으로,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을 위한 BLE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 지문감지부(11)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지 확인한다(S20).
여기서, 지문 감지부(11)는 차량의 운전석 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에 구비될 수 있다. 지문 감지부(11)는 인식된 지문을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과 비교하여,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임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10단계 및 S20단계에서, 근거리 통신부(12)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지문감지부(11)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제어부(30)는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
이때, 도 3을 참조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온 상태이고, 변속기 레버가 P단 또는 N단인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설정시간은 제어부(30)에서 사용자가 버튼(지문인식을 위한 입력수단)을 입력하였다고 인지할 수 있을 정도라고 판단되는 시간으로 설계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 오프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변속기 레버를 P단 또는 N단에 위치시킨 경우, 1회의 지문 입력만으로 엔진 시동을 켤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이 켜있는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의 상태에 상관없이, P단일 때는 1회 지문이 인식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하고,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인 경우에는 1회 지문이 인식되면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 상태이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IGN ON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P단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1회 입력하면, 시동이 꺼지도록 하고,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1회 입력하면,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 상태이고, 변속기 레버가 P단인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차량의 OFF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 상태이고,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 OFF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P단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입력하는 경우, 1회 입력 시에는 ACC ON, 2회 입력 시에는 IGN ON, 3회 입력 시에는 시동이 꺼지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시동 OFF 상태에서, 운전자가 변속기 레버를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에 위치시키고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로 지문을 입력하는 경우, 1회 입력 시에는 ACC ON, 2회 입력 시에는 IGN ON, 3회 입력 시에는 다시 ACC ON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는, BLE(Bluetooth Low Energy) 인증 및 지문 인식 핸들을 연동하여 시동 및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시 핸들 리모컨에 위치한 지문센서로 인한 운전자의 불필요한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고, BLE 인증 및 운전자의 고유 지문등록을 통한 차량 도난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인식부
11 : 지문 감지부
12 : 근거리 통신부
20 : 차량상태 입력부
21 : 차속 감지부
22 : 변속레버 감지부
23 : 브레이크페달 감지부
30 : 제어부
40 : 카운터부
50 : 출력부
51 : IGN 릴레이부
52 : ACC 릴레이부
53 : START 릴레이부

Claims (16)

  1.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를 인식하는 근거리통신부;
    운전석측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감지부;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변속기 레버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입력하는 차량상태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온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 또는 N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ACC ON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전원 제어 장치.
  9. 제어부가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차량 내부 또는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 완료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인식된 스마트 단말기의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지문감지부를 통해 인식한 지문이 사전에 등록된 운전자의 지문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지문이 입력되는 시간 및 횟수에 기초해 START ON, IGN ON, ACC ON 및 OFF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여 시동 및 전원 제어가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차량상태입력부로부터 차량의 변속기 레버 상태 및 브레이크 페달 온오프 상태를 포함하는 차량 상태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온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 또는 N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되면 START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START ON 상태에서,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IGN ON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된 경우, 상기 변속기 레버가 P단이면 OFF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변속기 레버가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이면 ACC ON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P단이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IGN ON 및 OFF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OFF 상태에서, 상기 차량상태입력부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오프 상태가 입력되고, 상기 변속기 레버의 D단, R단 및 N단 중 하나가 입력된 경우, 상기 인증 완료된 스마트 단말기의 사용자의 지문이 설정시간 동안 입력될 때마다 ACC ON 및 IGN ON 신호를 순서대로 출력하고, OFF 신호는 출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ACC ON 신호를 출력한 후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트한 시간이 방전방지설정시간을 초과한 경우 OFF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동 전원 제어 방법.
KR1020180173108A 2018-12-28 2018-12-28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79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08A KR102179444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108A KR102179444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819A true KR20200083819A (ko) 2020-07-09
KR102179444B1 KR102179444B1 (ko) 2020-11-18

Family

ID=7160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108A KR102179444B1 (ko) 2018-12-28 2018-12-28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4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206A (zh) * 2020-10-22 2021-01-08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基于指纹识别的启动方法、装置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89B1 (ko) * 2005-08-24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타입 시동차량의 전원제어유니트 백업시스템
JP2007254962A (ja) * 2006-03-20 2007-10-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遠隔制御装置
KR101781346B1 (ko) * 2016-02-26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스티어링 휠을 위한 리모콘 스위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389B1 (ko) * 2005-08-24 2006-09-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튼타입 시동차량의 전원제어유니트 백업시스템
JP2007254962A (ja) * 2006-03-20 2007-10-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遠隔制御装置
KR101781346B1 (ko) * 2016-02-26 2017-09-25 주식회사 서연전자 스티어링 휠을 위한 리모콘 스위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206A (zh) * 2020-10-22 2021-01-08 奇瑞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及其基于指纹识别的启动方法、装置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9444B1 (ko) 202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929B2 (en) System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access and/or engine start authorization of a user in a vehicle
US20160244022A1 (en) Vehicle control action sequence for operator authentication
KR20200108515A (ko) 차량 스마트키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4876B1 (ko) 이중 보안을 적용한 스마트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이중 보안 방법
JP527281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217633A1 (en) Card-type smart ke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58562B2 (en) Open-cabin vehicle and portable terminal
KR101588972B1 (ko) 지문인식 자동차 시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0817659B1 (ko) 차량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3819A (ko) 차량 시동 및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00827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JP2005232989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JP7252090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システム
US109267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8207602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
JP4343782B2 (ja) 車載制御装置及び携帯機検出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223350B2 (ja) 車両ドア制御装置
JP2008087734A (ja) 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KR20160141284A (ko) 지문인식 연동 변속 레버 시스템
JP4815370B2 (ja) 車両用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KR102463713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105016A (ko)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99798A (ja) スマートカードによる車両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595339B1 (ko) 패턴 입력형 시크릿 스마트 시동이 가능한 보안 시스템
US20240326741A1 (en) Smart key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