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0891A -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0891A KR20200060891A KR1020180146027A KR20180146027A KR20200060891A KR 20200060891 A KR20200060891 A KR 20200060891A KR 1020180146027 A KR1020180146027 A KR 1020180146027A KR 20180146027 A KR20180146027 A KR 20180146027A KR 20200060891 A KR20200060891 A KR 20200060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smetic composition
- black ginseng
- core
- ginseng extract
- functional cosme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6—Chitin; Chitosan;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6—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catio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한 변화를 겪는다. 내적 요인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 감소,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 저하 등을 들 수 있으며, 외적 요인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자외선 함량의 증가, 환경오염이 심화되어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의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내적, 외적 요인으로 인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량이 줄어들게 됨으로써, 피부 두께 감소, 주름 증가 또는 피부 탄력 감소 등의 피부 트러블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변화, 즉 노화를 일으키게 된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bilirubin)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그 중에서도 멜라노사이트에서 형성되는 멜라닌(melanin)이라는 색소가 피부색 형성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멜라닌 색소의 생합성은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를 비롯하여 여러 효소들에 의하여 조절되고 있으며, 그 중 티로시나제는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L-도파퀴논(L-dopaquinone)으로 전이되는 초기 생합성과정 이후 디하이드록시인돌(dihydroxyindole)의 산화에 작용한다. 즉, 티로신 및 티로시나아제는 멜라닌 생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단백질로 작용한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인삼의 뿌리는 옛날부터 강장제 또는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의 연구에 의해서도 다양한 약리 효과가 인정되고 있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安神)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인삼의 약리 효과로 대뇌피질 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 유지, 항암 및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인삼은 가공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는데, 우선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인삼을 수삼 또는 생삼이라 한다. 수분 함량이 높은 수삼은 보존 기간이 짧기 때문에 가공과정을 거쳐 보존성을 높이게 된다. 수삼을 익히지 않고 햇볕, 열풍 또는 기타 방법으로 말린 것을 백삼이라 한다. 백삼은 수삼의 껍질을 벗겨 말리기도 하고, 껍질째 말리기도 한다. 이때 껍질을 벗기지 않고 말린 백삼을 피부백삼이라 한다. 태극삼은 백삼과 홍삼의 중간 제품으로, 수삼을 끓는 물에 찌거나 데쳐서 말린 것을 말한다. 통상적으로 수삼을섭씨 80~90도 물에서 10~20분 내지 침적한 후 건조시킨다. 홍삼은 수삼을 수증기로 쪄서 건조한 것으로, 수분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하였기 때문에 장기보관이 가능하다. 인삼을 증숙하는 과정에서 진세노사이드의 성분이 증가하고 새로운 성분이 생겨 약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삼은 가공하지 않은 인삼에 비해 소화흡수가 잘 될 뿐만 아니라 부작용이 사라지며, 맛도 좋아지게 된다.
흑삼은 홍삼을 제조하는 방법과 비슷한데, 수삼을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제조한다. 흑삼은 수삼이나 홍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더욱 증가한 인삼으로, 인삼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진세노사이드 종류가 흑삼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증숙 및 건조 과정을 통해 스테로이드-당 결합이 끊어지면서 남아있는 당의 위치에 따라 새로운 진세노사이드가 생성되고 이에 따라 추가적인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이에 따라 흑삼을 제조하는 과정을 연구하되, 미량으로 존재하는 진세노사이드를 증진시키고, 또한 항노화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흑삼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의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흑삼 속 진세노사이드 Rg5와 Rk1이 흑삼추출물의 미백효능에 관련되어 있다는 점도 발표되었다.
다만, 이러한 흑삼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피부 흡수율을 개선하여야 하고, 유효 성분으로 함께 첨가되는 물질과의 조화를 도모하여, 흑삼의 기능성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특정 천연 미생물로 발효시킨 흑삼의 추출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 및 양이온성 나노쉘 및 상기 양이온성 나노쉘 내부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음이온성 코어 내부에 상기 흑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존재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kawachii),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awamor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sojae) 및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입경이 10 내지 50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쉘; 및 상기 나노쉘의 내부에 존재하는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흑삼 추출물에 분산되어 있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에멀젼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평균 입경이 200nm 이하이고, 점도가 1000cps 이하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수삼에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 흑삼을 제조한 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 흑삼으로부터 발효 흑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유기산 수용액에 용해된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를 포함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첨가 및 교반하면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과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을 피부 표피 및 진피층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흑삼 추출물이 가지는 고유의 피부 기능성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효과가 상기 언급한 범위 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의 진세노이드 함량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조예 2에 따른 복합 나노입자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변화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 분석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조예 2에 따른 복합 나노입자의 SEM 이미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을 전반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특히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흑삼 추출물을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전술한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에서 발효된 흑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는 것은, 흑삼 추출물이 가지는 고유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이 발현될 정도의 함량으로 조성물 내에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흑삼은 수삼을 증숙하고 건조하는 과정을 1회 내지 9회 반복하여 점차 색이 검어지며 얻어지는 것으로써, 진세노사이드 Rh2, Rk3, Rh4, Rg3, Rk1 및 Rg5 등의 총 함량이 일반 인삼 대비 높은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흑삼 추출물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을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써, 일반적인 흑삼 추출물 대비 전술한 진세노이드 성분의 증진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다.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은, 예를 들면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 awamor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sojae) 및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일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은 Aspergillus oryzae KACC 40247 균주,Aspergillus oryzae KFRI 995 균주, Aspergillus oryzae var. brunneus KACC 44823 균주 및 Aspergillusoryzae var effuses KACC 44990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일 수 있다.
상기 흑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예를 들면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을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발효 흑삼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삼을 채취하여 세척 및 자연 건조 시킨 후, 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치단계를 거친 수삼에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상기 접종 배양된 수삼을 2차 건조한 후, 증숙기에 넣고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한 수삼을 3차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증숙 및 3차 건조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천연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은 진세노이드 성분이 일반 흑삼 추출물 대비 높고, 특히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을 가지는 진세노사이드 Rg5, Rk1, Rg3 및 Rh2이 다른 흑삼 대비 높다.
또한, 상기 발효 흑삼을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는 물 또는 C1 내지 C6의 알코올 등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 흑삼을 80 내지 9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을 냉각,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흑삼 추출물을 여과공정은 50 내지 300 메쉬필터를 이용할 수 있고, 농축 공정은 진공 농축기에서 5 내지 30 브릭스 정도로 농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흑삼 추출물은,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 내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 내지 45 중량부, 25 내지 40 중량부 또는 25 내지 35 중량부의 범위 내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중량부」는 달리 설명하지 아니하는 한 각 성분 사이의 중량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로 본 발명에 따른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양이온성 나노쉘 및 상기 양이온성 나노쉘 내부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코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이온성 코어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이 유효 성분으로 존재한다. 상기에서 흑삼 추출물이 음이온성 코어 내부에 유효성분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흑삼 추출물이 가지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과의 유의미한 차이가 발현될 정도의 함량으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코어 내에 상기 흑삼 추출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나노쉘 및 코어가 이온 특성에 기반한 결합 구조를 이루고 있고, 음이온성 코어의 내부에 흑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피부 표피 및 진피층 내부에 흑삼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 전달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효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입경이 10 내지 90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입경이 10 내지 700nm 또는 10 내지 600n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입경을 가지는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피부의 표피 및 진피층 내부에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흑삼 추출물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나노쉘은, 양이온성을 가지는 고분자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양이온성 고분자의 종류는 음이온성 코어와 이온화 결합을 하여 전체적으로 입자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나노쉘은, 양이온성 키토산 또는 폴리-L-리신과 같은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키토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키토산은, 글루코사민의 피라노오스 단위체가 β-1,4 결합된 것이면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코어는, 음이온성을 가지는 성분으로서, 전술한 나노쉘과 이온화 결합을 하여 전체적으로 입자 내 코어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내부에 흑삼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담지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어야 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코어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의해 흑삼 추출물은 안정적으로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 내부에 존재할 수 있고, 피부의 표피 및 진피층까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면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면 피부 내 부작용없이 안정적으로 흑삼 추출물을 담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쉘; 및 상기 나노쉘의 내부에 존재하는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디소디움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올리브 계면 활성제(Sodium PEG-7 Olive oil Carboxylate), 소디움 코코일 애플 아미노산(sodium cocoyl apple amino acids), 소디움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또는 소디움 코코일 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예를 들면 유기산 수용액에 용해된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를 포함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첨가 및 교반하면서 초음파 처리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산 수용액은, 예를 들면 젖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포름산, 아스코르브산 및 주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일 수 있다.
상기 수용액에 포함되는 양이온성 고분자의 농도는, 예를 들면 0.01%(W/V) 이상에서 양이온성 고분자 수용액 제조 시에 사용하는 각 유기산에 대한 양이온성 고분자의 용해도 범위까지 용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 포함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는 겔화제로서, 나트륨 염 형태로 존재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는 종래부터 해산식품, 육류식품, 가금류식품 및 애완동물용 식품의 식품 보존료 등에 이용되어져 왔고, 미국식품약국은 트리폴리포스페이트를 인체에 안전한 화합물로 인정하고 있다.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 포함되는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전체 용액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50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10 내지 30 중량부 또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범위 내로 상기 용액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은, 상기 용액 내에 포함되어 있는 흑삼 추출물 및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잘 혼합되도록 교반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은, 30 내지 40℃의 온도 조건에서, 2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20 내지 40분 동안 교반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을 통해 코어-쉘 구조의 복합 나노입자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흑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게 된다.
상기 코어-쉘 구조의 복합 나노입자는 여과를 통해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서 분리될 수 있고, 복합 나노입자 표면에 남아있는 용액 성분은 증류수 세척을 통해 제거될 수 있으며, 건조 공정을 거쳐 코어-쉘 구조의 복합 나노입자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적정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범위 내의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피부 표피 및 진피층까지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흑삼 추출물이 가지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0 중량부, 4 내지 10 중량부 또는 5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에멀젼, 로션, 크림, 용액, 현탁액, 무수합성물, 겔, 마스크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 가능한 알코올, 오일, 계면 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또는 향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에센스 또는 스킨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에멀젼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흑삼 추출물에 분산되어 있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에멀젼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입자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또는 에센스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에멀젼 입자를 통해 우수한 보습력 및 유연감을 가지면서, 점도가 낮아 질감이 가볍게 투명도가 높은 액상 타입의 스킨 또는 에센스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입자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이 200nm 이하이고, 점도가 1000cps 이하일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에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150nm 이하, 110nm 이하의 평균 입경을 가진 상태로 조성물 내에 분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입자에 포함되는 오일 성분은, 예를 들면 미네랄 오일,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스쿠알란, 세레신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메도우폼씨오일, 해바라기씨오일, 마카다미아씨오일, 녹차씨오일, 생강 오일, 인삼 오일,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및 동백오일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피토스테릴/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메칠헵틸이소스테아레이트,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터계 오일; 디카프릴릴에테르를 포함하는 에테르계 오일; 및 디메치콘,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페닐트리메치콘, 트리실록산 및 메칠트리메치콘을 포함하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 성분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천연 오일 및 실리콘 오일의 혼합물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서 스쿠알란, 에스터계 오일로서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실리콘 오일로서 디메치콘을 4~6:3~5:1의 비율로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오일 성분은,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10 중량부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조성물 내 오일 성분이 3 중량부 미만이면 피부 보습 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화장료 조성물이 투명한 외관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점도가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오일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3 내지 7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에멀젼 입자는 또한, 나노 크기를 유지하고, 흑삼 추출물에 보다 안정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음이온, 양이온 또는 양쪽성 계면 활성제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식물 유래 계면 활성제 일 수 있다. 상기 식물 유래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폴리글리세릴계 계면활성제, 알킬글루코사이드계 계면활성제 및 메칠 글루코오스 세스퀴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기로 계면활성제를 제외한 에멀젼 입자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조성물 내 에멀젼 입자의 안정도가 감소하여 현탁화 되거나,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 목적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에멀젼 입자는, 예를 들면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입자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스킨 또는 에센스 제품의 투명성이 떨어지고,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사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입자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오일이 나노 크기로 조성물 내에 유효하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하는 고압 유화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흑삼 추출물 및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제 1 상에 전술한 에멀젼 입자를 형성하는 성분을 첨가하여 프리 에멀젼을 진공 유화조 내에서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제조한 후, 상기 프리 에멀젼의 온도를 소정 범위로 낮추고 고압 유화법에 의해 나노 크기의 에멀젼 입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압 유화법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와 같은 고압유화기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고, 1000 내지 1500 기압에서 전단을 가하는 방법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흑삼 추출물을 베이스 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흑삼 추출물을 피부 내부까지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는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기능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수삼에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 흑삼을 제조한 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 흑삼으로부터 발효 흑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유기산 수용액에 용해된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를 포함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첨가 및 교반하면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과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수삼을 채취하여 세척 및 자연 건조 시킨 후, 산 수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침치단계를 거친 수삼에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하여 배양하는 단계; 상기 접종 배양된 수삼을 2차 건조한 후, 증숙기에 넣고 증숙하는 단계; 상기 증숙한 수삼을 3차 건조하는 단계; 상기 증숙 및 3차 건조를 반복하는 단계; 물 또는 C1 내지 C6의 알코올 등의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 흑삼을 80 내지 90℃의 온도 조건에서 20 내지 30 시간 동안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을 냉각,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는, 유기산 수용액에 용해된 양이온성 고분자, 구체적으로 양이온성 키토산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액을 30 내지 50W의 출력으로 초음파 처리를 하는 중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를 포함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첨가 및 교반하는 단계; 및 여과를 통해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서 코어-쉘 복합 나노 입자를 분리하고, 증류수 세척을 통해 잔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제거한 후, 건조 공정을 거쳐 코어-쉘 구조의 복합 나노입자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 제조된 발효 흑삼 추출물과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함께 혼합 및 교반되어 조성물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예시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자명하다.
제조예 1. 흑삼 추출물의 제조
<발효 흑삼의 제조>
수심을 채취하여 세척한 뒤, 수삼의 몸체와 마삼을 구분하여 각 수분 함량이 약 30%가 되도록 자연 건조 시킨다. 그 후, 건조한 수삼을 구연산 수용액(pH 3)에 1시간 정도 침지하여 내부 활성을 높여준다. 침지 단계를 거친 수삼 100 중량부 대비 0.03 중량부의 Aspergillus oryzae KACC 40247 균주를 접종하여 배양한다. 접종 배양된 수삼을 30 내지 65℃의 온도에서 약 24시간 동안 열풍 건조하고, 건조된 인삼을 무압식 증숙기(증숙 온도 90 내지 100℃, 증숙 시간 150 내지 300 분)에 넣고 수증기를 이용하여 증숙한 후, 증숙된 인삼을 진공 건조(40 내지 60℃, 2 내지 4시간)하며, 위 증숙 및 진공 건조 공정을 9회 반복하여 Aspergillus oryzae KACC 40247 균주 발효 흑삼을 제조한다.
<발효 흑삼 추출물의 제조>
상기 발효 흑삼을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고(온도 85℃, 24시간, 3 내지 5회 추출), 150 메쉬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15 브릭스 조건에서 진공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함으로써, Aspergillus oryzae KACC 40247 균주 발효 흑삼 추출물을 수득한다.
비교 제조예 1.
Aspergillus oryzae KACC 40247 균주로 접종/배양 하는 단계를 제외하고 제조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효 흑삼 및 그 추출물을 수득한다.
실험예 1. 진세노이드 함량 분석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을 메탄올에 녹인 후 필터로 여과한 여액에 대하여 HPLC(Waters 1525 binary HPLC system (Waters, 미국), 컬럼은 Gemini 5μ C18 110A(Phenomenex, 4.6 x 250mm, 미국))로 성분 분석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상 | Rg5(mg/g) | Rk1(mg/g) | Rg3(mg/g) | Rh2(mg/g) |
제조예1 | 6.5 | 4.5 | 7.2 | 6.4 |
비교 제조예1 | 3.2 | 2.1 | 5.5 | 4.6 |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 및 배양하여 제조된 발효 흑삼으로부터 얻어진 발효 흑삼 추출물은 일반 흑삼 추출물 대비 진세노사이드 Rg5, Rk1, Rg3 및 Rh2 함량이 높다.
실험예 2. 폴리페놀 함량 분석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 희석액 (5배 희석) 1ml와 Folin시약 1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3분간 정치시킨 다음 10% Na2CO3 용액 1ml을 가하여 혼합한 후, 실온에서 1시간 정치한 후 7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 보다 9회 증숙/건조한 제조예1에 따른 발효 흑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고, 제조예 1에 따른 발효 흑삼 추출물이 비교 제조예 1 대비 우수한 항상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아질산염 소거 활성 분석
1 mM의 NaNO2 용액 30 ml에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을 60ml(농도 10 내지 500mg/ml)를 첨가하고 여기에 0.1 N HCl 용액 210 ml를 가하여 전체를 300 ml로 하였다. 그리고 37℃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얻은 반응액을 40 ml씩 취하고 여기에 2% 초산 용액 200 ml를 첨가한 다음 Griess 시약 16 ml를 가하여 혼합시켜 실온에서 15분간 방치시킨 후 흡수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하는 아질산염의 백분율을 하기 수학식 1에 근거하여 산출하였다. 공시험은 Griess시약 대신 증류수를 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수학식 1]
N(%) = [1-(A-B)/(C-D)] ×100
* N : 아질산 소거능(%), A : 시료의 흡광도, B : 시료 대조군의 흡광도, C : Control의 흡광도, D : Control 대조군의 흡광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예 1에 따른 발효 흑삼 추출물이 전 농도 구간에서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 대비 높은 아질산 소거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조예 2.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제조
키토산을 1.75% 아세트산 용액에 용해시켜 약 5 mg/ml의 키토산 용액과,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흑삼 추출물 및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소디움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를 흑삼추출물:음이온성계면활성제:트리폴리포스페이트=1.5:0.8:1 (mg/ml)의 비율이 되도록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 첨가한 후, 혼합 교반한다.
그 후,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1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키토산 용액: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의 부피비가 5:1이 될 때까지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약 2ml/hr의 속도로 첨가하면서 50W 초음파 처리를 약 1시간 동안 수행한다.
초음파 처리 후, 여과기를 통해 상기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서 코어-쉘 복합 나노 입자를 분리하고, 증류수 세척을 통해 잔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제거한 후, 건조 공정을 거쳐 코어-쉘 구조의 복합 나노입자를 수득한다.
제조예 2에 따른 복합 나노입자의 SEM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나노입자는 코어-쉘 구조로서, 음이온성 코어 내부에 흑삼 추출물을 유효하게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 제조예 2.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입자의 제조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을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에 함유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공정을 거쳐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에 따른 발효 흑삼 추출물 30 중량부, 제조예 2에 따른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 5 중량부에 코코넛 오일 3 중량부 및 방부제 0.2 중량부, 글리세린 0.1 중량부 및 티타늄 옥사이드 0.05 중량부를 첨가하고, 정제수로 전체 조성물이 100 중량부가 되도록 배합하여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 30 중량부, 비교 제조예 2에 따른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입자 5 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및 비교 제조예 1에 따른 흑삼 추출물과, 제조예 2에 따른 복합 나노입자 및 비교 제조예 2에 따른 양이온성 나노입자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멜라닌 생성 억제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이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Hosoi법(Hosoi et at., CANCERRESEARCH 45:1474-1478, 1985)을 참고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원임업 연구소에서 제공받아 배양(10% FBS 및 1% 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무균 상태 DMEM 배지에서, 37℃, 5% CO2 환경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후, 자라난 세포 면적이 100mm디쉬의 80%를 차지했을 때, 계대 배양을 수행)한 B16F10 세포에 실시예 1, 비교예 1 및 2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여 생성된 멜라닌 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더 구체적으로, 12웰 플레이트에 세포를 시딩하고, 200μg/ml의 양으로 조성물을 처리하고 이틀간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에 10% DMSO가 포함된 1N 염화나트륨을 가해 90℃에서 한 시간 동안 반응시켜 멜라닌이 충분히 녹아나오도록 한 후, ELISA를 수행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멜라닌의 양을 측정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미백물질로 알려진 알부틴을 200ppm으로 처리하였다.
멜라닌 생성도를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멜라닌 생성도(%) = (처리군 흡광도/무처리군 흡광도) x 100
대상 | 멜라닌 생성도(%) |
무처리군 (DMSO) | 100 |
양성대조군 (알부틴 200ppm) | 54 |
실시예 1 (30μM) | 49 |
비교예 1 (30μM) | 61 |
비교예 2 (30μM) | 100 |
상기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 미백 물질인 알부틴보다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비교예 1의 경우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여 멜라닌 생성 저해능을 보이지만, 그 효과가 실시예 1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 멜라닌 생성 저해능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 MMP-1 활성 억제 실험
MMP-1 활성 억제 실험을 통해,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간 피부 섬유 아세포(Fibroblast, HS-68)를 이산화탄소 인큐베이터(37℃, CO2 5%)에서 85%이상 키운 후 24 웰에 1.25x105cells/mL 농도다 되도록 고르게 분주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각 웰을 인산완충액(PBS)으로 세척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녹인 무세럼 배지를 1 mL 분주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각 웰을 PBS로 세척하고, UV 크로스링커를 이용하여 UV를 20 mJ/cm2 조사하였다. 다시 각 웰에 시료를 농도별로 녹인 무세럼 배지를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MMP-1 발현량은 머크(MERK)사의 QIA55 MMP-1 ELISA Kit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대상 | MMP-1 발현량 감소(%) |
양성대조군 (Epigallocatechingallate (EGCG) (1μM) |
19 |
실시예 1 (1μM) | 58 |
비교예 1 (1μM) | 43 |
비교예 2 (1μM) | 0 |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면 MMP-1 발현량이 50% 이상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어,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도 MMP-1 발형량 저해 효과가 있으나, 실시예 1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이상과 같이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흑삼 추출물; 및
양이온성 나노쉘 및 상기 양이온성 나노쉘 내부에 존재하는 음이온성 코어를 포함하는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의 음이온성 코어 내부에 상기 흑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존재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은,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kawachii), 아스퍼질러스 아와모리(Aspergillusawamori),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oryzae), 아스퍼질러스 소재(Aspergillussojae) 및 아스퍼질러스 우사미(Aspergillus usamii)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입경이 10 내지 500nm의 범위 내에 있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양이온성 키토산 나노쉘; 및
상기 나노쉘의 내부에 존재하는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코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삼 추출물에 분산되어 있고, 오일 성분을 포함하는 에멀젼 입자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평균 입경이 200nm 이하이고, 점도가 1000cps 이하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 내로 포함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수삼에 아스퍼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 및 배양하여 발효 흑삼을 제조한 후,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발효 흑삼으로부터 발효 흑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유기산 수용액에 용해된 양이온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고분자 용액에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를 포함하는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용액을 첨가 및 교반하면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발효 흑삼 추출물과 상기 코어-쉘 복합 나노입자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027A KR102157210B1 (ko) | 2018-11-23 | 2018-11-23 |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6027A KR102157210B1 (ko) | 2018-11-23 | 2018-11-23 |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0891A true KR20200060891A (ko) | 2020-06-02 |
KR102157210B1 KR102157210B1 (ko) | 2020-09-17 |
Family
ID=7109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6027A KR102157210B1 (ko) | 2018-11-23 | 2018-11-23 |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5721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4132A (ko) * | 2020-10-23 | 2022-05-02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
EP3991714A1 (en) * | 2020-10-28 | 2022-05-04 | Amorepacific Corporation |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42939A (ko) | 2023-03-22 | 2024-10-02 | 이준희 | 흑삼으로부터 미용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627A (ko) * | 2004-02-10 | 2005-08-17 | 한불화장품주식회사 | 키토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KR20060104804A (ko) * | 2005-03-31 | 2006-10-09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40081924A (ko) * | 2012-12-12 | 2014-07-02 | 인타글리오주식회사 |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667284B1 (ko) | 2015-05-12 | 2016-10-1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70071457A (ko) * | 2017-06-05 | 2017-06-23 |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80000757A (ko) * | 2016-06-23 | 2018-01-04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물전환 기술을 이용한 발효 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8
- 2018-11-23 KR KR1020180146027A patent/KR102157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627A (ko) * | 2004-02-10 | 2005-08-17 | 한불화장품주식회사 | 키토산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
KR20060104804A (ko) * | 2005-03-31 | 2006-10-09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흑삼(黑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40081924A (ko) * | 2012-12-12 | 2014-07-02 | 인타글리오주식회사 | 나노캡슐을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667284B1 (ko) | 2015-05-12 | 2016-10-18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KR20180000757A (ko) * | 2016-06-23 | 2018-01-04 |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물전환 기술을 이용한 발효 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70071457A (ko) * | 2017-06-05 | 2017-06-23 |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54132A (ko) * | 2020-10-23 | 2022-05-02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흑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면역력 증진용 조성물 |
EP3991714A1 (en) * | 2020-10-28 | 2022-05-04 | Amorepacific Corporation |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US11992541B2 (en) | 2020-10-28 | 2024-05-28 | Amorepacific Corporation | Nanoemulsion cosmetic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57210B1 (ko) | 2020-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92850C2 (ru) | Средство для роста фибробластов | |
WO2021017846A1 (zh) | 增强的抗衰老化妆品组合物 | |
CN105934231A (zh) | 用于处理和/或护理皮肤的外泌多糖、培养基及其组合物 | |
CN103619415A (zh) | 用于皮肤、粘膜、头发和/或指甲的治疗和/或护理的胞外多糖 | |
FR2843023A1 (fr) |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opharmaceutiques contenant du kombucha. | |
CN107823095A (zh) | 一种活性肽面膜 | |
KR101809266B1 (ko) |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157210B1 (ko) | 천연 미생물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 |
CN105451710A (zh) | 用于治疗和/或护理皮肤、粘膜和/或指甲的外泌多糖 | |
KR102009676B1 (ko) | 대나무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30023534A (ko) |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04210895A (ja) | 免疫機能を有する可能性β−グルカンの製造方法及び用途 | |
JP4993391B2 (ja) | 痩身方法に使用する痩身用塗布剤 | |
CN114028291A (zh) | 一种改善黑眼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 |
KR101862039B1 (ko) | 미세침 분말 및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969684B1 (ko) |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 |
JP5863225B2 (ja) | 美肌用組成物 | |
CN115813774B (zh) | 具有美白效果的水油双层精粹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20210144725A (ko) | 항노화제, 항산화제, 항염증제 및 미백제, 그리고 화장료 | |
KR20200059446A (ko) | 새싹삼 잎, 줄기 발효액 또는 발효 추출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JP4054730B2 (ja) |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化剤 | |
KR102253702B1 (ko) | 해조류 성분 및 해수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
KR101724529B1 (ko) | 홍해삼 추출물을 흑효모 균사체로 발효한 홍해삼 흑효모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371360B1 (ko) | 꿀, 오미자, 구기자 및 녹차 원적외선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보습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073943B1 (ko) | 만가닥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만가닥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