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8826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58826A KR20200058826A KR1020180143414A KR20180143414A KR20200058826A KR 20200058826 A KR20200058826 A KR 20200058826A KR 1020180143414 A KR1020180143414 A KR 1020180143414A KR 20180143414 A KR20180143414 A KR 20180143414A KR 20200058826 A KR20200058826 A KR 202000588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fan
- guide
- wall
- flow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01D46/004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containing fixed gas displacement elements or co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6—Helico-centrifugal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04D25/105—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by changing rotor axis direction, e.g. oscillat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2—Bladed diffu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41—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45—Ducts
- F04D29/547—Ducts having a special shape in order to influence fluid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24F3/1603—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ometr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풍량을 최대화하면서도 소음이 저감되는 공기청정기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원통 형상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팬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인 정압면이 오목하고 상기 정압면의 반대면인 부압면이 볼록한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가 상하로 길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에는 하단과 상기 외벽에 가까운 일측을 잇는 컷오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는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팬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원통 형상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팬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인 정압면이 오목하고 상기 정압면의 반대면인 부압면이 볼록한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가 상하로 길고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에는 하단과 상기 외벽에 가까운 일측을 잇는 컷오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는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팬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류팬이 적용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토출하는 장치로서, 흡입된 공기 중에서 미세먼지 및 냄새 등을 거른 후 토출함으로써,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유동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은 공기의 흐름방향에 따라 축류팬, 원심팬 및 사류팬으로 구별된다.
상기 축류팬은 상기 팬모터의 회전축방향(이하,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원심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사류팬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사류팬은 축방향의 폭이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공기청정기에 상기 사류팬을 적용할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의 축방향의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0121호(2018.01.02.)(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송풍팬이 상기 사류팬으로 형성된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는 상기 송풍팬의 공기유동방향으로 후류에 있는 송풍유로 상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가이드 리브(175, 275)가 배치되는데, 상기 송풍팬이 상기 사류팬으로 형성됨으로써 확보된 축방향의 내부공간 덕분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의 축방향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의 축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서, 외부로 토출되는 풍량을 최대화할 수는 있었으나, 소음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풍량을 최대화하면서도 소음이 저감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송풍팬에서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유동하는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와, 원통 형상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팬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인 정압면이 오목하고 상기 정압면의 반대면인 부압면이 볼록한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에는 하단과 상기 외벽에 가까운 일측을 잇는 컷오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는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팬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을 형성한다.
상기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 각각은, 상기 부압면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팬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컷오프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에 가깝게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컷오프부는,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벽에 가까운 가이드 리브의 일측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이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빨부 각각은, 상단이 볼록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하단에 상기 부압면을 향해 벤딩된 벤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팬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 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면서 연장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허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와, 상기 허브 및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은 상기 팬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벽의 하부는 상기 허브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상기 허브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의 부압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 이동되는 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의 일측에 컷오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는 외벽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팬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을 형성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한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에 구비되는 제2 랙 및 제2 기어의 연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가 제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유동 전환장치가 A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에 대한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저면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리브에 대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에 구비되는 제2 랙 및 제2 기어의 연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가 제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유동 전환장치가 A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에 대한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저면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리브에 대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청정기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전환장치(300)가 포함된다.
상기 송풍장치(100,200)에는, 제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제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201)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1 분리부(10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1 분리부(101a)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1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가 결합되는 부분, 즉 상기 힌지부의 맞은편 측에는, 걸림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에는, 걸림돌기 또는 자석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흡입부(102)는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1 흡입부(102)는, 상기 제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흡입부(102)가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이름하고, 가로 방향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름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1 팬(160) 및 제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의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환형의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구비되는 흡입그릴(110, 도 2 참조)의 흡입구(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103)를 통하여 상기 제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토출부(105)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 구비되는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 도 2 참조)의 제1 토출그릴(195)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1,201)에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01)에는, 제2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 및 힌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2 케이스(201)는, 상기 제1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1 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2 케이스(201)를 개방하여,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흡입부(202)는 상기 제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제2 흡입부(202)는, 상기 제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흡입부(202)가 상기 제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상기 제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장치(400)와 관련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부(305)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1 위치)에 있거나,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21) 및 상기 베이스본체(2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흡입그릴(110)이 놓여지는 베이스돌출부(22)가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는 상기 베이스(2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돌출부(22)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본체(21)와 상기 흡입그릴(110)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테두리부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부(112)는 상기 테두리부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1 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제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131) 및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1,2 프레임(131,132)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2 프레임(131,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131,132) 및 상기 다수의 제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에는,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는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의 제2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 필터부재(1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팬하우징(150)에는, 제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1 팬유입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팬유입부(151)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1 필터부재(15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등을 집어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후술할 제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센서장치(137)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팬(160)은 상기 제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일례로, 상기 제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와, 상기 허브(161) 및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1 팬모터(165)는 상기 제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햐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된다.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제1 팬유입부(151)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된다.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제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1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1 팬(160)을 거쳐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모터(165)는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 가이드벽(181)과, 상기 제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1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2 공기유로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 공기유로(185)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공기유로의 상측에는, 제1 토출부(105)가 배치된다.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PCB 장치에는, 전원 공급부(520) 및 메인 PCB(511)가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공기 청정기(10)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메인 PCB(511) 및 공기 청청기(10) 내의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520)에는, AC전원용 PCB(파워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인 PCB(511)에는, 상기 AC전원용 PCB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DC전원용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50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520) 및 메인 PCB(511)를 지지하는 위한 PCB지지판(52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1)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전원 공급부(520)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PCB 장치에는, 공기 청정기(1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515)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515)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15)은 상기 PCB지지판(525)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PCB(51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 즉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에어가이드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하는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제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는, 제2 필터부재(220)와,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 및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2 필터부재(220) 및 상기 지지장치(240)를 지지하는 레버장치(242)가 포함된다(도 4 참조).
상기 제2 송풍장치에는, 상기 레버장치(242)를 지지하는 레버 지지장치(5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PCB 장치(500)가 위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정의하는 제3 공간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3 공간부는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는, 구획장치(400)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1,2 송풍장치(100,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송풍장치(100,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위치하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레버 지지장치(56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상기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제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제1 공간부(448)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제2 공간부(458)를 구성한다.
상기 제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2 송풍장치(200)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200)에는, 레버 지지장치(560), 레버장치(242), 지지장치(240), 제2 필터부재(220), 제2 필터프레임(230), 제2 팬하우징(250) 및 제2 팬(260)이 포함된다.
상기 제2 필터부재(2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재(2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221) 및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222)이 포함된다.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2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221)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221)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222)을 통하여 상기 제2 필터부재(2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구성은, 상기 제1 필터부재(120)에도 원용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를 구성하는 면은 경사면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구획판(4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제2 공간부(458)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제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점에서, "차단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레버장치를 지지한다.
상기 레버장치(242)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장치(2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2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2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145)는, 상기 레버본체(2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2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2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 절개부(245)는 레버본체(24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142)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242)가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각 절개부(245)의 길이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상기 절개부(2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장치(242)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24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245)의 일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245)의 타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다.
상기 레버본체(243)의 외주면에는, 제2 핸들(24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버장치(242)의 상측에는, 상기 제2 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제2 핸들(244)에 결합되는 제1 핸들(2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2 핸들(241,2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2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필터부재(2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송풍장치(20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565)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필터프레임(2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1 필터프레임(2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231) 및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232)이 포함된다.
상기 제1 프레임(2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함몰부(2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함몰부(231a)는 상기 제1 프레임(2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114)는, 상기 제1,2 핸들(241,2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 상기 제1,2 핸들(241,244)은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프레임(232)은 상기 제1 프레임(2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2 프레임(2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 프레임(2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프레임(232)의 상부는 제2 팬하우징(25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1 프레임(231)으로부터 상기 제2 프레임(2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 필터지지부(2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상기 제1,2 프레임(231,2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지지부(2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2 필터지지부(2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1,2 프레임(231,2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프레임(231,232) 및 상기 다수의 제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지지부(235)의 외측에는, 제1 지지부커버(23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에는, 제2 센서장치(2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장치(2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2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23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센서(237a) 및 가스센서(237b)는 상기 제2 필터프레임(230)의 제2 프레임(2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장치(237)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1 센서장치(137)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2 필터부재(2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 필터부재(2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1 필터부재(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재(2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필터부재(2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 필터부재(220)가 상기 지지장치(2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1,2 핸들(241,244)이 조작되면, 상기 제2 필터부재(2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부재(2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필터부재(220)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240)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1,2 핸들(241,2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1 송풍장치(200)로의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2 필터부재(2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2 팬하우징(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팬하우징(250)에는, 제2 팬(2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2 팬(260)의 구성은 상기 제1 팬하우징(150) 및 제1 팬(1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2 팬(260)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1 팬하우징(150) 및 제1 팬(16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이오나이저(2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1 팬하우징(25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팬하우징(2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258)은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이오나이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 및 상기 유동 전환장치가 결합되는 부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에어가이드 장치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좌우방향 회전을 위하여 제1 가이드기구가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220)에는, 상기 제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271) 및 상기 외벽(2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2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제1 공기유로(27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1 공기유로(272a)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 팬모터(265)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 수용부(2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팬모터(265)는 상기 제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팬(26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제2 팬모터(265)는 상기 제2 팬(260)을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팬모터(265)의 일측에는 모터결합부(266)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결합부(266)는 상기 제2 팬모터(265)를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276,277)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76,277)에는, 상기 모터수용부(273)에 구비되는 제1 랙(276) 및 축가이드 홈(277)이 포함된다.
상기 제1 랙(276)은,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제1 기어(360)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1 랙(276)은 상기 모터수용부(27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곡률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랙(276)의 길이는, 상기 제1 기어(360)에 연동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기어(360)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소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은, 상기 제1 기어(36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축가이드 홈(277)에는, 상기 제1 기어(360)의 제1 기어축(36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외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외벽(281) 및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주면을 형성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토출내벽(282)이 포함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은 상기 토출내벽(2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과,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제2 공기유로(282a), 즉 토출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가이드 리브(275)가 구비되는 제1 공기유로(272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유로(282a)에 배치되는 제2 토출그릴(288)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토출그릴(288)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토출외벽(28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토출그릴(288)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토출유로(282a)의 하측으로 손가락을 집어넣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토출내벽(282)에 결합되는 회전가이드 판(28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토출내벽(282)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축삽입부(284)가 포함된다. 상기 축삽입부(284)에는 상기 회전축(35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삽입부(284)는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축삽입부(28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베어링 홈(2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 홈(285)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3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홈(285)은 상기 제1 베어링(35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제3 팬(330)이 수용되는 제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제3 팬하우징(310)은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제3 팬하우징(3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312)가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본체(311)가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 팬(160) 및 상기 제2 팬(260)을 "메인 팬"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3 팬(330)을 "서브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1,2 팬(160,260)을 "송풍팬", 상기 제3 팬(330)을 "유동전환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을 지지하는 커버지지부(311a)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지지부(311a)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지지부(311a)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본체(3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311) 및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함께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에는 상기 제3 팬(33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3 팬(330)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하우징유로(3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유로(314)에는, 상기 제3 팬(330)의 블레이드(333)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333)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는 상기 하우징유로(314)를 거쳐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유로(314)는 상기 블레이드(333)가 위치한 공간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333)의 상측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팬하우징(310)의 상측에는, 상기 제3 팬(3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2 토출부(305)를 형성하는 토출그릴(315)이 구비된다. 상기 토출그릴(315)에는, 그릴외벽과, 상기 그릴외벽의 내측에 구비되는 그릴내벽과, 상기 그릴외벽으로부터 상기 그릴내벽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그릴부(315a)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외벽 및 상기 그릴내벽은 각각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그릴외벽은 상기 그릴내벽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그릴부(315a)의 사이의 공간은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제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부(305)는 상기 하우징유로(31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유로(31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그릴(315)의 제2 토출부(305)를 경유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15)에는, 상기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지지하는 함몰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그릴내벽의 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PCB(610)를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함몰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내벽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조명원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PCB(610)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리플렉터(620)와, 상기 토출그릴(315)에 지지되는 확산판(630)이 포함된다. 리플렉터(620)는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가 다양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홀을 통해 빛을 상방을 향하여 집중시켜 준다. 상기 확산판(630)은 상기 조명원에서 조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상면, 즉 디스플레이 화면의 테두리부를 향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제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3 팬(33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팬(260),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1 공기유로(272a)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를 거쳐 상기 제3 팬(330)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3 팬(330)에서 토출되어, 상기 제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3 팬(330)에는, 축류팬 모터인 제3 팬모터(335)의 회전축(336)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허브(331)와, 상기 허브(331)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333)가 포함된다. 상기 제3 팬모터(335)는 상기 제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3 모터하우징(33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팬모터(165) 및 제2 팬모터(26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팬모터(265) 및 상기 제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제3 팬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친 공기를 상기 제3 팬하우징(310)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는, 상기 제3 팬하우징(31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325)이 포함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제2 토출그릴(288)의 형상은, 상기 유입그릴(325)의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2 토출그릴(28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2 토출그릴(28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3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 결합되는 가이드 본체(351)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는, 상기 제1,2 가이드 기구가 설치되는 하면부(351a) 및 상기 하면부(351a)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테두리부(351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1 기어(36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모터(363)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360)는 상기 제1 기어모터(363)의 모터 축(363a)에 결합된다. 상기 제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1 기어(360)로부터 하방으로, 즉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 또는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기어축(362)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기어(360)는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1 랙(276)에 기어 결합된다. 상기 제1 기어(360) 및 상기 제1 랙(276)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모터(363)가 구동되면, 상기 제1 기어(360)는 회전하여, 상기 제1 랙(276)에 연동한다. 이 때,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1 기어(360)는 상기 제1 랙(27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제1 기어(36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기어축(362)은, 상기 축 가이드홈(2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축(362)은, 상기 제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홈(277)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회전축(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기어(360) 및 상기 제1 기어축(362)은,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1 회전반경"이라 이름한다.
상기 제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량 또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회전하는 원주방향 거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1 기어(3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랙(27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기어축(36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 홈(277)의 단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하면부(351a)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하면부(35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축 삽입부(284)에 삽입되며,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1 기어축(362) 및 제1 기어(360)는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세로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제1 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1 방향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353,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353,355)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의 하면부(351a)에 구비되는 제1 베어링(353)이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1 베어링(353)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하면부(35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베어링(353)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35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부(354)는 설정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베어링(353)이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제1 베어링(353)이 삽입되는 베어링 홈(285)이 포함된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1 방향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베어링(353)은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2 회전반경"이라 한다. 상기 제2 회전반경은, 상기 제1 회전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1 베어링(353)까지의 거리는, 상기 회전축(354)으로부터 상기 제1 기어축(362)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면부(351a)가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축(362)이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제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축(362)과 상기 제1 베어링(353)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축가이드 홈(277)의 설정된 곡률과, 상기 베어링 홈(285)의 설정된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353,355)에는, 상기 제2 베어링(35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베어링(355)은, 상기 테두리부(351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351b)에는, 상기 제2 베어링(355)이 결합되는 베어링삽입부(35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삽입부(351c)는 상기 테두리부(351b)의 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베어링(355)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355)은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 내벽(28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은, 상기 제2 베어링(355)의 접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베어링(355)이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1 방향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1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 기어모터(363)가 작동하면 상기 제1 기어(36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모터(363)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어(360)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기어모터(36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기어(360) 및 제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1 기어모터(36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 기어(360) 및 제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360)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1 기어(36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1 베어링(353)은 베어링 홈(285)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2 베어링(355)은 상기 토출 내벽(28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좌우 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구동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에 구비되는 제2 랙 및 제2 기어의 연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하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부재(352)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면에, 상기 중심축(3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하측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면(352a)이 포함된다.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은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1 가이드베어링(359)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을 위하여, 제2 기어(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기어삽입부(35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의 일측에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365)는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2 기어(3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2 기어삽입부(352b)를 관통하여 상기 제2 기어삽입부(352b)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2 기어(36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기어모터(36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어모터(367)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2 기어모터(367)로부터 상기 제2 기어(365)로 연장되는 제2 기어축(3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기어축(366)은 상기 제2 기어모터(367)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모터(367)가 구동되면, 상기 제2 기어축(366)과 상기 제2 기어(365)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부(3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71)에는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하는 제2 가이드면(372)이 포함된다. 상기 제2 가이드면(372)는 상기 제1 가이면(35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2 가이드베어링(37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가이드베어링(375)은 상기 제2 가이드면(372)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제2 기어(365)에 연동하는 제2 랙(37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2 기어(365) 및 상기 제2 랙(374)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기어(365)와 상기 제2 랙(374)은 기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2 기어(365)와 상기 제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2방향 회전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2 기어모터(367)가 작동하면 상기 제2 기어(365)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어모터(367)는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기어(365)는 상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기어모터(36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기어(36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랙(374)은 상기 제2 기어(365)에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제2 기어모터(36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기어(36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 랙(374)은 상기 제2 기어(365)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랙(374)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 및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는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팬 하우징(31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하방향으로의 설정된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가 제2 위치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도 14의 유동 전환장치가 A 방향으로 회전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 즉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팬 하우징(310)이 상방으로 세워진 상태(제2 위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에, 도 1 및 도 2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누워있는 상태(제1 위치)의 모습을 보여준다.
즉,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도 14에 표시된 "B"의 방향으로 상하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2 토출그릴(288)의 상면에 안착된다. 반면에,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2 토출그릴(288)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 팬(330)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2 팬(160,260)은 회전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팬(1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1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팬(26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공기 흡입 및 토출(제2 유동)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과 제2 유동은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팬(330)은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팬(330)이 작동하면, 상기 제2 유동은 더욱 강력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팬(260) 및 제3 팬(33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에서의 강한 토출기류가 발생되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 팬(330)은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2 팬(160,260)은 회전하여 상기 제1,2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팬(330)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3 팬(33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3 팬(330)을 거쳐 상기 제2 토출부(305)에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다(도 19 참조).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4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일방향(도 14 기준, 좌측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도 16은 타방향(도 14 기준, 우측방향)을 바라보도록 위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상기 일방향은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좌측 45도를 향하는 방향이며, 상기 타방향은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을 중심으로 우측 45도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각도는 약 90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축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향으로 원거리까지 토출기류를 보낼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제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1 팬(160)이 구동하면, 제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제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에어가이드 장치(170,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제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제2 팬(260)이 구동하면, 제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제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제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제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제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제2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제3 에어 가이드 장치(270)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전환 장치(300)를 경유하여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제2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
반면에,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3 팬(330)이 구동하면, 상기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서 배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제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3 팬(330)을 통과하고,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전방 상측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후방 상측을 향하는 경우,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후방 상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면, 공기 청정기(1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단순히 상방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전방을 향할 수 있으므로, 공기 청정기(1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공간을 향하는 기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별도의 제3 팬(330)이 구비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1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향하여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가 일반운전 모드(제1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누워져 있는 제1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송풍장치(100,200)가 구동하여, 독립된 다수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가 구동하면, 상기 제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1 필터부재(120) 및 제1 팬(160)을 통과하여 상기 제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송풍장치(200)가 구동되면, 상기 제2 흡입부(202)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제2 필터부재(220) 및 제2 팬(260)을 통과하며, 상기 제3 팬(330)을 경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통하여 상방을 향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3 팬(330)은 오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토출부(305)를 향한 토출기류를 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3 팬(330)이 구동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제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1 방향 회전을 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양측 방향으로 기류를 변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반면에,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유동전환 모드(제2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방으로 회전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유동전환 모드에서, 상기 제1,2 송풍장치(100,200)의 구동은 일반운전 모드에서의 제1,2 송풍장치(100,200)의 구동모습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팬(330)은 구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팬(260) 및 제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토출유로(282a)을 통과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3 팬하우징(3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는 상기 제3 팬(330)을 통과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상측 또는 후방 상측을 향하여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청정기(10)의 외부로 토출되는 풍량을 최대화함과 아울러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 포함되는 가이드 리브(175)와,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 포함되는 가이드 리브(275)는 특별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1 필터프레임(130) 및 제2 필터프레임(23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팬하우징(150) 및 제2 팬하우징(25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팬(160) 및 제2 팬(26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팬모터(165) 및 제2 팬모터(265)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에어가이드 장치(170) 및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하 제2 필터프레임(230), 제2 팬하우징(250), 제2 팬(260), 제2 팬모터(265) 및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되, 제2 필터프레임(230)은 필터프레임(230)으로, 제2 팬하우징(250)을 팬하우징(250)으로, 제2 팬(260)은 팬(260)으로, 제2 팬모터(265)는 팬모터(265)로, 제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에어가이드 장치(270)로, 각각 이름 지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팬에 대한 단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저면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팬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팬(26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사류팬으로 형성된다. 즉, 팬(260)은, 중심에 팬모터(265)의 회전축이 결합되고 환형의 공기유로(272a) 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면서 연장되는 허브(261)와, 허브(261)와 이격하여 배치되어 허브(261)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62a)가 형성되는 쉬라우드(262)와, 허브(261) 및 쉬라우드(262)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263)를 포함한다.
블레이드(263)는 허브(261) 및 쉬라우드(262)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블레이드(263)의 상단은 허브(261)의 하면과 결합되고 하단은 쉬라우드(262)의 상면과 결합된다. 블레이드(263)의 단면은 에어포일(airfoil)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263)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을 앞전(leading edge, 263a)이라 하며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을 뒷전(trailing edge, 263b)이라 한다.
블레이드(263)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뒷전(263b)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263)의 뒷전(263b)은 팬(260)의 측면에서 회전축 방향으로 바라볼 때 상측으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263)는 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앞전(263a)이 뒷전(263b)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허브(261)는 중심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내벽(272)의 하부는 허브(261)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허브(261) 내로 삽입되어, 팬모터(265)의 적어도 일부가 허브(261)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로 팬모터(265)와 팬(260)이 차지하는 높이가 최소화되어 전체적으로 공기청정기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허브(261)의 중심에는 허브(261)의 상측에 배치되는 팬모터(265)의 회전축이 결합된다. 팬모터(265)의 회전축은 내벽(272)의 바닥면에 형성된 홀과, 허브(261)의 중심에 형성된 홀을 차례로 관통한 후 체결부재로 허브(261)에 결합될 수 있다. 허브(261)는 쉬라우드(262)의 상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허브(261)의 하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263)가 결합된다.
허브(261)는 외주단이 흡입구(262a)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허브(261)의 외주단은 허브(261)의 상단 둘레를 의미한다. 허브(261)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은 수평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허브(261)의 외주단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허브(261)는 종단면이 중앙부로부터 허브(261)의 외주단까지 흡입구(262a)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A)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261)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263) 각각의 앞전(263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A) 형태로 형성된다. 허브(261)는 중앙부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허브(261)는 복수의 블레이드(263) 각각의 앞전(263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262)는 중앙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원형의 흡입구(262a)가 형성된 사발(bowl)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262)의 흡입구(262a)는 필터프레임(230)의 상측에 형성된 원형의 유출구(232a)와 대응되어 배치된다. 즉, 필터프레임(230)의 유출구(232a)는 쉬라우드(262)의 흡입구(262a)와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흡입구(262a)의 직경은 필터프레임(230)의 유출구(232a)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262)는 흡입구(262a)의 둘레 부분에 하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흡입가이드(262b)가 형성된다. 필터프레임(230)은 유출구(232a)의 둘레 부분에 상측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유출가이드(232b)가 형성된다. 유출가이드(232b)는 흡입가이드(262b) 내로 삽입된다.
쉬라우드(262)는 허브(261)의 하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 쉬라우드(262)의 상면에는 복수의 블레이드(263)가 결합된다.
쉬라우드(262)는 외주단이 흡입구(262a)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262)의 외주단은 쉬라우드(262)의 상단 둘레를 의미한다. 쉬라우드(262)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은 수평방향으로부터 약 45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쉬라우드(262)의 외주단은 상측으로 경사지게 향하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262)는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이 허브(261)의 외주단이 향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262)는 종단면이 흡입가이드(262b)의 상단으로부터 쉬라우드(262)의 외주단까지 흡입구(262a)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직선(C)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262)는 종단면이 복수의 블레이드(263) 각각의 앞전(263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경사진 직선(C) 형태로 형성된다. 쉬라우드(262)는 흡입가이드(262b)의 상단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쉬라우드(262)는 복수의 블레이드(263) 각각의 앞전(263a)이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외주단까지 직경이 일정하게 커지도록 형성된다.
쉬라우드(262)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C) 부분과 허브(261)의 종단면의 경사진 직선(A) 부분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쉬라우드(262)와 허브(261) 사이의 간격은 외주단으로 갈수록 조금씩 넓어질 수 있다.
쉬라우드(262)는 외주단의 직경이 허브(261)의 외주단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262)의 외주단은 허브(261)의 외주단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쉬라우드(262)의 외주단에서 허브(261)까지 최단거리를 이루는 직선(S)과 허브(261)가 만나는 지점(P)보다 허브(261)의 외주단은 반경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사시 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에 대한 저면도, 도 26은 도 2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리브에 대한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원통 형상의 외벽(271)과, 상기 외벽(27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265)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272)을 포함한다.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팬(260)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공기유로(272a)가 형성된다.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272a)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외벽(271)의 내주면 및 내벽(272)의 내주면을 연결할 수 있다.
외벽(271)은 팬하우징(2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벽(272)의 하부는 외벽(271)의 하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외벽(271)은 내주면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가 결합된다. 외벽(271)은 내벽(272)과 함께 환형의 공기유로(272a)를 형성한다.
내벽(272)은 사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팬모터(265)가 삽입되어 체결된다. 내벽(27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가 결합된다. 내벽(272)의 내부에 팬모터(265)가 배치되며 외부에는 팬(260)의 상부가 배치된다. 내벽(272)은 외벽(271)의 중앙부에 이격하여 배치되어 외벽(271)과 함께 환형의 공기유로(272a)를 형성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는 공기유로(272a)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내벽(272) 및 외벽(271)을 연결하여 내벽(272)을 외벽(271)으로부터 이격하여 지지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팬(260)에서 공기유로(272a)로 토출된 공기를 상측으로 안내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상하방향에 가깝도록 기립되어 배치되는 휘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에는 어느 한 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가 공기 유동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75)에서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을 정압면(275c)이라 하고, 정압면(275c)의 반대면을 부압면(275d)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가 형성되지 않은 면이 정압면(275c)이고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가 형성된 면이 부압면이다. 가이드 리브(275)에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류 측을 하단이라 하고, 공기 유동 방향으로 하류 측을 상단이라 한다.
팬(260)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원주방향에서 상측으로 경사지게 공기유로(272a)로 토출되며 공기유로(272a) 진입시 팬(26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팬(260)에 토출되는 공기는 상측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측으로 유동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정압면(275c)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부압면(275d)이 볼록한,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외벽(271)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일측이 상단은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인 정압면(275c)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하단이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팬(260)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단이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팬(260)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상술한 형상으로 인하여 나선형태로 회전하며 유동되는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는 가이드 리브(275)의 부압면(275d)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이 공기 유동방향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는 가이드 리브(275)의 부압면(275d)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 각각은 부압면(275e)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형성되어, 에어포일(airfoil)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 각각은 가이드 리브(275)의 부압면(275d)이 휘어진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 각각은 가이드 리브(275)의 부압면(275d)에 형성되어 가이드 리브(275)의 부압면(275d)에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공기가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며 상측으로 유동되는 풍량을 증가시킨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하단에 부압면(275d)을 향해 벤딩된 벤딩부(275a)가 형성된다. 벤딩부(275a)는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의 높이 방향으로 둥글게 꺾여 정압면(275c)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정압면(275c)을 타고 상측으로 유동하도록 하며, 부압면(275d)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측으로 안내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은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이빨부(275b)가 형성된다. 복수의 이빨부(275b) 각각은 상단이 볼록하게 형성된다. 복수의 이빨부(275b) 각각은 상단이 둥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이빨부(275b) 각각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된다. 가이드 리브(275)의 상단은 복수의 이빨부(275b)가 형성되어 복수의 이빨부(275b)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시간차가 발생하여 소음이 억제된다.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에는 가이드 리브(275)의 하단과, 가이드 리브(275) 중 외벽(271)에 가까운 일측을 잇는 컷오프부(275f)가 형성된다. 컷오프부(275f)는 외벽(27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팬(260)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275h)을 형성한다.
팬(260)으로부터 경사지게 유동되어 오는 공기는, 외벽(271)의 내주면 부근에서 컷오프홀(275h)을 통과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컷오프부(275f)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외벽(271)에 가깝게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컷오프부(275f)는 외벽(27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삼각형상의 컷오프홀(275h)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가이드 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도 26에서 도시된 가이드 리브(275)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컷오프부(275f)는,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275m)와, 수직부(275m)의 상단에서 상기 외벽(271)에 가까운 가이드 리브(275)의 일측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75n)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컷오프부(275f)는 외벽(27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사각형상의 컷오프홀(275h)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의 부압면(275d)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275e)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 이동되는 풍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 리브(275) 각각의 일측에 컷오프부(275f)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275f)는 외벽(27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팬(260)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275h)을 형성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50 : 팬하우징
260 : 팬
261 : 허브 262 : 쉬라우드
263 : 블레이드 265 : 팬모터
270 : 에어가이드 장치 271 : 외벽
272 : 내벽 272a : 공기유로
275 : 가이드 리브 275a : 벤딩부
275b : 이빨부 275c : 정압면
275d : 부압면 275e : 유동가이드 돌기
275f : 컷오프부 275h : 컷오프홀
275m : 수직부 275n : 수평부
261 : 허브 262 : 쉬라우드
263 : 블레이드 265 : 팬모터
270 : 에어가이드 장치 271 : 외벽
272 : 내벽 272a : 공기유로
275 : 가이드 리브 275a : 벤딩부
275b : 이빨부 275c : 정압면
275d : 부압면 275e : 유동가이드 돌기
275f : 컷오프부 275h : 컷오프홀
275m : 수직부 275n : 수평부
Claims (10)
-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축방향 및 반경방향 사이로 토출하는 팬;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 및
원통 형상의 외벽과, 상기 외벽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팬모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벽과,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팬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환형의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에어가이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공기가 유동되어 오는 방향의 면인 정압면이 오목하고, 상기 정압면의 반대면인 부압면이 볼록한, 휘어진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압면에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가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에는, 하단과, 상기 외벽에 가까운 일측을 잇는 컷오프부가 형성되고,
상기 컷오프부는 상기 외벽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상기 팬의 회전방향으로 통하는 컷오프홀을 형성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동가이드 돌기 각각은,
상기 부압면에서 돌출되는 높이가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반경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팬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상기 외벽에 가깝게 경사진 경사부로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컷오프부는,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상기 외벽에 가까운 가이드 리브의 일측까지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단에 반경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이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빨부 각각은, 상단이 볼록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반경방향의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하단에 상기 부압면을 향해 벤딩된 벤딩부가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리브 각각은,
상기 외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벽의 외주면을 연결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팬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환형의 공기유로 방향으로 반경이 커지면서 연장되는 허브;
상기 허브와 이격 배치되어 상기 허브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부에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는 쉬라우드; 및
상기 허브 및 상기 쉬라우드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벽은 상기 팬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내벽의 하부는 상기 허브의 개구된 상측을 통해 상기 허브 내로 삽입되는 공기청정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414A KR20200058826A (ko) | 2018-11-20 | 2018-11-20 | 공기청정기 |
US16/689,822 US11525589B2 (en) | 2018-11-20 | 2019-11-20 | Air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3414A KR20200058826A (ko) | 2018-11-20 | 2018-11-20 | 공기청정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8826A true KR20200058826A (ko) | 2020-05-28 |
Family
ID=70728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3414A KR20200058826A (ko) | 2018-11-20 | 2018-11-20 | 공기청정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525589B2 (ko) |
KR (1) | KR2020005882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80495A (zh) * | 2021-05-20 | 2021-08-20 | 宁波职业技术学院 | 一种用于室内空气净化的智能控制装置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791948A3 (en) | 2016-06-15 | 2021-07-21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US10926210B2 (en) * | 2018-04-04 | 2021-02-23 | ACCO Brands Corporation | Air purifier with dual exit paths |
USD913467S1 (en) | 2018-06-12 | 2021-03-16 | ACCO Brands Corporation | Air purifier |
US10883731B2 (en) * | 2018-11-13 | 2021-01-05 | Jason Yan | Air purifier with independent dual channel |
KR102518732B1 (ko) * | 2018-11-19 | 202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공조장치를 이용한 청소기 |
WO2021145528A1 (en) * | 2020-01-17 | 2021-07-22 | Miro Co.,Ltd. | Air cleaner |
CN113669306B (zh) | 2020-05-14 | 2023-08-11 | Lg电子株式会社 | 送风机 |
KR20220007359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KR20220007361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청정기 |
KR20220007360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서큘레이터 및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
CN113983610A (zh) * | 2020-07-27 | 2022-01-28 | Lg电子株式会社 | 斜流风扇模块及具有斜流风扇模块的便携式空气净化器 |
CN113996124A (zh) * | 2020-07-28 | 2022-02-01 | Lg电子株式会社 | 便携式空气净化器 |
CN112627686A (zh) * | 2020-12-22 | 2021-04-09 | 大连理工大学 | 一种嵌入通风系统的防蚊防霾净化窗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121A (ko) | 2016-06-22 | 2018-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60442B2 (en) * | 2013-10-24 | 2018-08-28 | Dyna-Tech Sales Corporation | Mixed flow fan assembly |
WO2017146353A1 (ko) * | 2016-02-26 | 2017-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EP3211337B1 (en) * | 2016-02-26 | 2020-09-23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EP3211345B1 (en) * | 2016-02-26 | 2020-09-16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EP3211346B1 (en) * | 2016-02-26 | 2021-10-27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US20170246577A1 (en) * | 2016-02-26 | 2017-08-31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WO2017146352A1 (ko) * | 2016-02-26 | 2017-08-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EP3211347B1 (en) * | 2016-02-26 | 2020-12-30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US10436469B2 (en) * | 2016-02-26 | 2019-10-08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EP3791948A3 (en) * | 2016-06-15 | 2021-07-21 | LG Electronics Inc. | Air cleaner |
KR20210068909A (ko) * | 2019-12-02 | 2021-06-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지향성 기류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
KR20220007352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
2018
- 2018-11-20 KR KR1020180143414A patent/KR20200058826A/ko unknown
-
2019
- 2019-11-20 US US16/689,822 patent/US1152558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121A (ko) | 2016-06-22 | 2018-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청정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80495A (zh) * | 2021-05-20 | 2021-08-20 | 宁波职业技术学院 | 一种用于室内空气净化的智能控制装置 |
CN113280495B (zh) * | 2021-05-20 | 2022-05-24 | 宁波职业技术学院 | 一种用于室内空气净化的智能控制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58357A1 (en) | 2020-05-21 |
US11525589B2 (en) | 2022-1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58826A (ko) | 공기청정기 | |
KR102026194B1 (ko) | 공기 청정기 | |
JP7041224B2 (ja) | 空気清浄機 | |
KR102188884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88890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1809411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60152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24171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34683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44163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34676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180000285A (ko) | 공기 청정기 | |
KR102503863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27936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2791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44175B1 (ko) | 공기 청정기 | |
KR20210005300A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88897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6014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201379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128421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24175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60745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34695B1 (ko) | 공기 청정기 | |
KR102044167B1 (ko) | 공기 청정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