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993A -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3993A KR20200013993A KR1020180089325A KR20180089325A KR20200013993A KR 20200013993 A KR20200013993 A KR 20200013993A KR 1020180089325 A KR1020180089325 A KR 1020180089325A KR 20180089325 A KR20180089325 A KR 20180089325A KR 20200013993 A KR20200013993 A KR 20200013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catalyst layer
- electrode assembly
- functional particles
- dispersan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5518 polymer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1593 boeh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FAHBNUUHRFUEAI-UHFFFAOYSA-M hydroxidooxidoaluminium Chemical compound O[Al]=O FAHBNUUHRFUEAI-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335 surface treatment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MXRIRQGCELJRSN-UHFFFAOYSA-N O.O.O.[Al] Chemical compound O.O.O.[Al] MXRIRQGCELJRS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5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1 aromatic sulfo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554 ion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15 Pluronic P-123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048 Pluronic® L 92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RVGRUAULSDPKGF-UHFFFAOYSA-N Poloxamer Chemical compound C1CO1.CC1CO1 RVGRUAULSDPK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1153 fluoro group Chemical group F*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XMWRBQBLMFGWIX-UHFFFAOYSA-N C60 fullerene Chemical compound C12=C3C(C4=C56)=C7C8=C5C5=C9C%10=C6C6=C4C1=C1C4=C6C6=C%10C%10=C9C9=C%11C5=C8C5=C8C7=C3C3=C7C2=C1C1=C2C4=C6C4=C%10C6=C9C9=C%11C5=C5C8=C3C3=C7C1=C1C2=C4C6=C2C9=C5C3=C12 XMWRBQBLMFGWI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93 Polybenzimidazo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KJTLSVCANCCWHF-UHFFFAOYSA-N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 KJTLSVCANCCW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CMNRKCIXSYSNV-UHFFFAOYSA-N Zircon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73 but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96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67 electrode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IJDNQMDRQITEOD-UHFFFAOYSA-N n-butane Chemical compound CCCC IJDNQMDRQIT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FBQJSOFQDEBGM-UHFFFAOYSA-N n-pentane Natural products CCCCC OFBQJSOFQDEBG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2 os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YQBFIAQOQZEGI-UHFFFAOYSA-N osmium atom Chemical compound [Os] SYQBFIAQOQZEG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43 poly(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92 poly(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12 polyar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80 polybenzimidaz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3 polyether sulf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343 polytetrafluoro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0 polytetrafluoro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32 ultrasonic disp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YZJCKYKOHLVJF-UHFFFAOYSA-N 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C1=CC=C2NC=NC2=C1 HYZJCKYKOHLV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L Carbonate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75 Ketone-based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82 Mo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OKXTWBITQBERF-UHFFFAOYSA-N Molybdenum Chemical compound [Mo] ZOKXTWBITQBE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20 Os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52 Pd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6 Poly ether ether ke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5 Polyether sulf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7 Polyether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29 Rh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929 R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30 acetylene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3 alternating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365 aromatic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4 carbon nan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43 carbox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1 cation exchan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7 die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QPMKSGTIOYHJT-UHFFFAOYSA-N ethane-1,2-diol;propane-1,2-diol Chemical compound OCCO.CC(O)CO HQPMKSGTIOYH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21 fluorin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UQSQSQZYBQSBJZ-UHFFFAOYSA-N fluoro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S(F)(=O)=O UQSQSQZYBQSBJ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2 fuller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8 graft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27 ion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3 molybden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MCCBULBRKMZTH-UHFFFAOYSA-N molybdenum platinum Chemical compound [Mo].[Pt] ZMCCBULBRKMZT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30 multi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63 nanor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70 nanowi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YZXTLXQZSXOOV-UHFFFAOYSA-N osmium platinum Chemical compound [Os].[Pt] IYZXTLXQZSXO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ABLZXFCXXLZCGV-UHFFFAOYSA-N phosph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P(O)(O)=O ABLZXFCXXLZCG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XXKQOPKNFECSZ-UHFFFAOYSA-N platinum rhodium Chemical compound [Rh].[Pt] PXXKQOPKNFECS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FQCIHVMOFOCGH-UHFFFAOYSA-N platinum ruthenium Chemical compound [Ru].[Pt] CFQCIHVMOFOC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83 poloxa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93 poloxamer 188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92 poloxamer 407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27 poly(phosphazen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30 polyetherether ket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1 polyether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597 polymer membr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8 polypyrrol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95 reaction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8 rh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HOVAHRLVXNVSD-UHFFFAOYSA-N rhodium atom Chemical compound [Rh] MHOVAHRLVXNV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28 spin c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542 sulfonic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5 tap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28—Coating with slurry or in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유나 석탄과 같은 기존 에너지 자원의 고갈이 예측되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체에너지의 하나로서 연료전지는 고효율이고, NOx 및 SOx 등의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연료가 풍부하다는 등의 장점으로 인해 특히 주목 받고 있다.
연료전지는 연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으로서, 연료로는 수소와 메탄올, 부탄 등과 같은 탄화수소가,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연료전지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형 연료전지(DM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용융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고체산화물형 연료전지(SOFC) 등이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는 고가습에서 수소이온 전도도가 높아 성능이 높지만 저가습에서는 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저감 및 막-전극 접합체 내 물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불소계 막을 사용한 경우보다 탄화수소계 막을 사용하면 고가습과 저가습 사이의 성능 차이가 더욱 커진다. 이는 저가습에서 탄화수소계 막의 수소이온 전달 채널이 불소계에 비해 연속적으로 발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polyvinyl alcohol, zirconia, silica, hydrogel 등의 물질을 막이나 전극에 혼합한 기술들이 있지만 이 기술들은 저가습 성능은 향상 시키지만 고가습 성능을 낮추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는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는 애노드 촉매층;
1nm 이상 1,000 nm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과 애노드 촉매층 사이에 구비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명세서는 애노드 촉매층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잉크를 이용하여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는 저가습 조건 및 고가습 조건에서 전지 성능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연료 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 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정전류 구동시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막-전극 접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연료 전지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발명의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정전류 구동시 성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또는" 이란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나열된 것들을 선택적으로 또는 모두 포함하는 경우, 즉 "및/또는"의 의미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층"이란 해당 층이 존재하는 면적을 7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덮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는 애노드 촉매층;
1nm 이상 1,000 nm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과 애노드 촉매층 사이에 구비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를 제공한다.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캐소드 촉매층은 특정 범위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여, 저가습 조건 및 고가습 조건에서 전지 성능의 내구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능성 입자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기능성 입자의 표면을 표면 처리하여 상술한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비교예 1과 실시예 1 및 2를 비교하여 보면,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에 비하여,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실시예 1 및 2)에 기능성 입자에 의한 함습 유지 능력이 탁월하여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의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는 함습 기능이 있는 "함습성 입자"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캐소드 촉매층은 각각 촉매 및 이오노머(ionom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연료 전지에서 촉매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백금, 전이금속 및 백금-전이금속 합금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이금속은 주기율표에서 3 내지 11족 원소이며, 예를 들면, 루테늄, 오스뮴, 팔라듐, 몰리브덴 및 로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촉매는 백금, 루테늄, 오스뮴, 백금-루테늄 합금, 백금-오스뮴 합금, 백금-팔라듐 합금, 백금-몰리브덴 합금 및 백금-로듐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촉매들은 그 자체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계 담체에 담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계 담체로는 흑연(그라파이트),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덴카 블랙, 캐천 블랙, 활성 카본, 중다공성 카본,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섬유, 탄소나노혼, 탄소나노링, 탄소나노와이어, 플러렌(C60) 및 수퍼P블랙(Super P bla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바람직한 예가 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수소나 메탄올과 같은 연료와 촉매간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이온이 전해질막으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오노머는 측쇄에 술폰산기, 카르복실산기, 인산기, 포스폰산기 및 이들의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부분불소계 고분자 또는 불소계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이오노머는 플루오르계 고분자, 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이미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설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설폰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또는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촉매층과 캐소드 촉매층의 평균두께는 각각 독립적으로 5㎛ 이상 15㎛ 이하일 수 있다. 15㎛ 초과하는 경우 가스 투과에 문제가 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5㎛ 미만인 경우 가스가 직접적으로 전해질 막에 닿아 단락(short-circuit)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스 투과성이 향상되면서도, 단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은 1nm 이상 1,000 nm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능성 입자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1nm 이상 1,0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80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50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기능성 입자의 분산성이 개선되며, 상기 기능성 입자가 캐소드에서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잡아줌(catch)으로써, 단위 전지 내의 물의 농도가 높아져 저가습 조건에서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적 광 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방법에 의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이란, 어느 하나의 기능성 입자의 직경을 2회 이상 측정한 값을 측정 횟수로 나누어 도출된 값일 수 있다. 또는, 2개 이상의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을 각각 도출한 후, 이를 기능성 입자의 개수로 나누어 최종 도출된 값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기능성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분산제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표면처리 시간, 표면처리 시의 분산제 농도, 마이크로파 처리 등을 조절하여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전해질막의 양성자 이온 전도도가 막-전극 접합체의 성능에 중요한 요소이고 이는 상대습도에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상대습도는 상대습도에 따라 전해질막 양성자 이온전도도를 측정할 때, 전해질막 양성자 이온전도도의 변화폭이 큰 구간을 기준으로 구분했다.
구체적으로, 저가습 조건에서 습도 조건은 전지온도 70℃에서 측정된 상대습도를 의미하며, 본 명세서에서, 저가습 조건은 상대습도가 40% 초과 65% 이하인 경우이며, 극저가습 조건은 상대습도가 0% 이상 40%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후술하는 실험예 1에서는, 저가습 조건의 상대습도를 50%, 극저가습 조건의 상대습도를 32%로 설정하였다.
연료전지의 반응물 가스는 물이 담긴 금속용기를 가열한 가습기(bubbler)를 통과하여 단위 전지까지 가스라인에서 응축되지 않도록 가습기(bubbler)의 세팅온도보다 가스라인의 온도를 약 10℃ 내지 30℃정도 높게 조절한다. 이때, 단위 전지의 상대 습도는 반응물 가스가 경유하게 되는 가습기내 물의 온도, 즉 이슬점 온도를 측정한 후 이를 단위 전지의 온도를 기준으로 상대습도 환산 관계식에 따라 계산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는 알루미늄산화물(Al2O3), 깁사이트(Al(OH)3) 및 보헤마이트(γ-Al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헤마이트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헤마이트 입자는 Sasol사의 DISPAL 시리즈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는 입자 표면에 수계 분산제, 유기계 분산제, 음이온성 분산제, 양이온성 분산제, 양쪽성 분산제 및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분산제로 표면 처리된 표면처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의 종류로는 BYKJET 9151, DISPERBYK 182, DISPERBYK 190, DISPERBYK194, DISPERBYK 2012, Pluronic P123, Pluronic F127, Pluronic F68 또는 Pluronic L92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Pluronic L92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를 하는 경우, 표면 처리되었을 때 기능성 입자의 크기가 충분히 작아져 기능성 입자 표면의 수산기(-OH) 그룹이 캐소드에서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잡아줌(catch)으로써, 저가습 조건에서도 단위 전지 내의 수분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의 두께는 1nm 이상 200nm 이하, 10nm 이상 18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16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표면처리층이 기능성 입자 표면을 충분히 덮음으로써, 상술한 저가습 조건에서의 성능 향상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은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입자의 함량은 촉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중량% 이상 7 중량% 이하, 0.01 중량% 이상 5 중량% 이하, 1 중량% 이상 3 중량%이하, 또는 2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촉매층 내의 기능성 입자의 함량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저가습 조건에서도 높은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기능성 입자의 부피는 0.1 vol% 이상 10 vol% 이하, 0.2 vol% 이상 5 vol%, 또는 0.3 vol% 이상 3 vol%이하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촉매층 내의 기능성 입자의 함량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저가습 조건에서도 높은 전류밀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의 평균 직경은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두께 방향으로 구배(profile)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막-전극 접합체는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캐소드 기체확산층;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의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구비된 애노드 기체확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체확산층은 상술한 캐소드 기체확산층 및 애노드 기체확산층을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기체확산층 및 캐소드 기체확산층은 촉매층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며, 전류전도체로서의 역할과 함께 반응 가스와 물의 이동 통로가 되는 것으로, 다공성의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기체확산층은 도전성 기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기재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탄소 페이퍼(Carbon paper), 탄소 천(Carbon cloth) 또는 탄소 펠트(Carbon felt)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체확산층의 평균두께는 100㎛ 이상 500㎛ 이하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체확산층을 통한 반응물가스 전달 저항 최소화와 기체확산층 내 적정수분 함유 관점에서 최적의 상태가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상기 캐소드 촉매층과 애노드 촉매층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에 포함된 고분자는 이온 전도성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탄화수소계 고분자, 부분불소계 고분자 또는 불소계 고분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또는 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해질막은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일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가 없는 탄화수소계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으며, 반대로 불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로 포화된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고, 상기 부분불소계 고분자는 플루오린기로 포화되지 않은 술폰화(sulfonated)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 탄화수소계 고분자, 방향족 설폰계 고분자, 방향족 케톤계 고분자, 폴리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설폰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고분자,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고분자,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고분자,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도핑된 폴리벤즈이미다졸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폴리페닐퀴녹살린계 고분자, 폴리설폰계 고분자, 폴리피롤계 고분자 및 폴리아닐린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술폰화(sulfonated)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단일 공중합체, 교대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멀티블록 공중합체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탄화수소계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친수성 블록과 소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블록형 공중합체인 탄화수소계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평균두께는 1㎛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기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를 제공한다.
도 1은 연료 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 전지에 있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막-전극 접합체(MEA)인데, 이는 전해질막(M)과 이 전해질막(M)의 양면에 형성되는 애노드(A) 및 캐소드(C)로 구성된다. 연료 전지의 전기 발생 원리를 나타낸 도 1을 참조하면, 애노드(A)에서는 수소 또는 메탄올, 부탄과 같은 탄화수소 등의 연료(F)의 산화 반응이 일어나 수소 이온(H+) 및 전자(e-)가 발생하고, 수소 이온은 전해질막(M)을 통해 캐소드(C)으로 이동한다. 캐소드(C)에서는 전해질막(M)을 통해 전달된 수소 이온과, 산소와 같은 산화제(O) 및 전자가 반응하여 물(W)이 생성된다. 이러한 반응에 의해 외부회로에 전자의 이동이 발생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전극 접합체는 전해질막(10)과, 이 전해질막(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캐소드(50) 및 애노드(51)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소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된 캐소드 촉매층(20)과 캐소드 기체확산층(30)을 포함하고, 애노드에는 전해질막(1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구비된 애노드 촉매층(21)과 애노드 기체확산층 (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연료 전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연료 전지는 스택(60), 산화제 공급부(70) 및 연료 공급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료전지 스택(60)은 상술한 막-전극 접합체를 하나 또는 둘 이상 포함하며, 막-전극 접합체가 둘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는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세퍼레이터는 막-전극 접합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고 외부에서 공급된 연료 및 산화제를 막-전극 접합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 공급부(70)는 산화제를 연료전지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산화제로는 산소가 대표적으로 사용되며, 산소 또는 공기를 펌프로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료 공급부(80)는 연료를 연료전지 스택(6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81) 및 연료 탱크(81)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60)으로 공급하는 펌프(82)로 구성될 수 있다. 연료로는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수소 또는 탄화수소 연료가 사용될 수 있다. 탄화수소 연료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천연가스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애노드 촉매층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잉크를 이용하여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술한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단계는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일면에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의 타면에 애노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전해질막은 고분자 전해질막용 조성물로 순수한 막을 형성하거나, 다공성 기재에 고분자 전해질막용 조성물을 함침하여 강화막을 형성하거나, 1 이상의 순수한 막과 1이상의 강화막을 포함하는 복합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단계는 촉매 잉크를 고분자 전해질막에 직접적으로 코팅하거나, 이형성 기재에 촉매층을 형성한 후 고분자 전해질막에 열 압착하고 이형성 기재를 제거하여 형성하거나, 기체확산층에 코팅하여 촉매층을 형성하고 촉매층이 구비된 기체확산층과 고분자 전해질막의 조립으로 인해 촉매층을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촉매 잉크의 코팅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프레이 코팅, 테이프 캐스팅, 스크린 프린팅, 블레이드 코팅, 잉크젯 코팅, 다이 코팅 또는 스핀 코팅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능성 입자의 표면을 수계 분산제, 유기계 분산제, 음이온성 분산제, 양이온성 분산제, 양쪽성 분산제 및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분산제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제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기능성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기능성 입자를 용매에 분산시키는 단계; 상기 기능성 입자의 표면을 분산제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 표면처리된 기능성 입자를 세척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입자의 표면을 분산제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기능성 입자의 -OH 관능기와 분산제의 친수 부분과 관능기가 서로 반응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산제로 사용된 Pluronic의 분자식을 화학식 1에 나타냈다.
[화학식 1]
분자량 및 체인 길이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P123의 경우 x=20, y=70, x=20 이며 L92의 경우 x=15, y=37, x=15로 분자량이 P123보다 작다.
상기 화학식의 양 옆의 폴리에틸렌 그룹은 친수 성질을 가진 블록이고, 가운데의 폴리프로필렌 그룹은 소수 성질을 가진 블록이다. 이 분산제와 기능성 입자를 혼합하면 분산제의 친수 부분인 폴리에틸렌 부분이 기능성 입자의 -OH 그룹과 흡착하면서 분산이 된다. 분산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입자 사이즈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10분 내지 2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분산제의 함량은 촉매의 총 중량 기준으로 15 중량% 내지 30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2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2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기능성 입자의 분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를 표면 처리하는 단계는 마이크로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명세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명세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3M 825 불소계 이오노머를 1-프로판올(1-propanol)과 글리세롤(glycerol)을 함께 혼합했다. 이 후 Pluronic L92로 표면 처리된 보헤마이트(촉매 총 중량 대비 1wt%)를 혼합된 용액에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산을 진행했다. 30분간 2℃로 저온 유지시킨 후, 용액에 카본 블랙에 백금(Pt)가 담지된 촉매(TEC10V50E Tanaka사 제조)를 이오노머(I, Ionomer)와 카본(C, Carbon)의 질량비율(I/C)을 0.6에 맞추어 첨가했다. 1시간 동안 초음파 분산 후 전극 슬러리를 완성했다. 준비된 전극 슬러리를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필름 위에 닥터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캐스팅한 후 35℃에서 30분 동안, 140℃에서 30분 동안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촉매층을 제조했다.
[실시예 2]
보헤마이트의 함량을 촉매 대비 3wt%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 촉매층을 제조했다.
[비교예 1]
보헤마이트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 촉매층을 제조했다.
[실험예 1]
막-전극 접합체(MEA)를 제조하기 위하여, 이온전도성 고분자막으로는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케톤 공중합체 고분자막, 애노드로는 보헤마이트가 혼합되지 않은 Pt/C 촉매층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촉매층을 캐소드로 하고, 상기 애노드 사이에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케톤막을 두고 열 압착하여 막-전극 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단위전지에 대한 성능은 나라셀의 PEMFC station 장비를 이용하였으며 정전류 모드로 I-V 성능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 0 내지 1,500 mA/cm2 범위를 100 mA/cm2 스텝으로 스캔하여 측정하였으며, 0.6V에서의 mA/cm2 값으로 성능을 비교 했다. 단위 전지의 온도는 70℃, 상대습도는 50%, 32% RH 조건으로 운전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의 단위전지에 대한 저가습 조건에서 보헤마이트 함습 능력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애노드 100% RH, 캐소드 0% RH로 연료를 주입 하면서 800 mA/cm2의 정전류 조건으로 단위 전지의 전압 변화를 관찰하여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1과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함습 유지 특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실시예 2로 제조한 MEA성능이 가장 오래 유지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MEA | 습도 조건 | 성능(@0.6V) (mA/cm2) |
비교예 1 | 50% | 915.8 |
32% | 531.2 | |
실시예 1 | 50% | 930.7 |
32% | 585.8 | |
실시예 2 | 50% | 1042.3 |
32% | 637.6 |
10: 전해질막
20: 캐소드 촉매층
21: 애노드 촉매층
30: 캐소드 기체확산층
31: 애노드 기체확산층
50: 캐소드
51: 애노드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탱크
82: 펌프
20: 캐소드 촉매층
21: 애노드 촉매층
30: 캐소드 기체확산층
31: 애노드 기체확산층
50: 캐소드
51: 애노드
60: 스택
70: 산화제 공급부
80: 연료 공급부
81: 연료탱크
82: 펌프
Claims (9)
- 애노드 촉매층;
1nm 이상 1,000 nm 이하의 평균 직경을 갖는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캐소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과 애노드 촉매층 사이에 구비되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는 알루미늄산화물(Al2O3), 깁사이트(Al(OH)3) 및 보헤마이트(γ-AlO(O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인 것인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입자는 입자 표면에 수계 분산제, 유기계 분산제, 음이온성 분산제, 양이온성 분산제, 양쪽성 분산제 및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분산제로 표면 처리된 표면처리층을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층의 두께는 1nm 이상 200nm 이하인 것인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은 촉매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입자의 함량은 촉매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중량% 이상 7중량% 이하인 것인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의 부피를 기준으로 상기 기능성 입자의 부피비는 0.1 vol% 이상 10 vol% 이하인 것인 막-전극 접합체.
-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막-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애노드 촉매층을 준비하는 단계;
기능성 입자를 포함하는 촉매 잉크를 이용하여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애노드 촉매층 및 상기 캐소드 촉매층 사이에 고분자 전해질막을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기능성 입자의 표면을 수계 분산제, 유기계 분산제, 음이온성 분산제, 양이온성 분산제, 양쪽성 분산제 및 블록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또는 2 이상의 분산제로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325A KR102590293B1 (ko) | 2018-07-31 | 2018-07-31 |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325A KR102590293B1 (ko) | 2018-07-31 | 2018-07-31 |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3993A true KR20200013993A (ko) | 2020-02-10 |
KR102590293B1 KR102590293B1 (ko) | 2023-10-17 |
Family
ID=6962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325A KR102590293B1 (ko) | 2018-07-31 | 2018-07-31 |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9029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5324A (ko) | 2001-12-03 | 2003-06-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메탄올 비투과성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JP2006502540A (ja) * | 2002-10-03 | 2006-01-19 | パワーザイ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生体適合性膜と金属アノードとを含む燃料電池 |
KR20150047018A (ko) * | 2013-10-23 | 2015-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촉매 슬러리, 이를 이용한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
-
2018
- 2018-07-31 KR KR1020180089325A patent/KR1025902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45324A (ko) | 2001-12-03 | 2003-06-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메탄올 비투과성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JP2006502540A (ja) * | 2002-10-03 | 2006-01-19 | パワーザイ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生体適合性膜と金属アノードとを含む燃料電池 |
KR20150047018A (ko) * | 2013-10-23 | 2015-05-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촉매 슬러리, 이를 이용한 전극, 막전극 접합체와 연료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90293B1 (ko) | 2023-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8265B2 (en) | Carrier for fuel cell, and catalyst,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fuel cel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2131483B1 (ko) | 막 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
KR20240045192A (ko) | 연료전지용 촉매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20170069783A (ko)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촉매 슬러리 조성물, 막-전극 접합체, 및 막 -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
KR100766960B1 (ko) |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연료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 |
KR20070098136A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 |
US20180145358A1 (en)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ame, and fuel cell compris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 |
JP5384515B2 (ja) | 2種の親水性を持つ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む膜電極接合体及び燃料電池 | |
KR102155929B1 (ko) | 연료전지 촉매 조성물, 이로 제조된 촉매층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1312971B1 (ko) | 불소계 이오노모를 이용하여 표면 개질한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막 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100959117B1 (ko) |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시스템 | |
KR102075180B1 (ko) | 막 전극 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US20230112131A1 (en) | Reversible shunts for overcharge protection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 |
KR20160140228A (ko) | 연료 전지용 캐소드 촉매층,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 |
KR100907183B1 (ko) |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KR102176856B1 (ko) |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의 제조방법 | |
KR102590293B1 (ko) | 막-전극 접합체, 연료 전지 및 막-전극 접합체의 제조방법 | |
JP2005243295A (ja) | ガス拡散層、およびこれを用いた燃料電池用mea | |
KR102188833B1 (ko) |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연료 전지 | |
KR20110002127A (ko)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의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스택 | |
KR20070099935A (ko) |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시스템 | |
KR102090860B1 (ko) |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 |
CN100454623C (zh) | 燃料电池用膜-电极接合体以及使用其的燃料电池 | |
KR20150138103A (ko) | 연료전지용 전극,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접합체 및 상기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KR100969162B1 (ko) |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