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132110A - 의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2110A
KR20190132110A KR1020180057379A KR20180057379A KR20190132110A KR 20190132110 A KR20190132110 A KR 20190132110A KR 1020180057379 A KR1020180057379 A KR 1020180057379A KR 20180057379 A KR20180057379 A KR 20180057379A KR 20190132110 A KR20190132110 A KR 20190132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ver
coating layer
region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666B1 (ko
Inventor
권기박
이기혁
정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7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6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06F58/2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부재, 금속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부재의 전면에 적층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과 대향하도록 상기 유리부재의 배면에 적층되어, 상기 코팅층과 상기 유리부재를 투과한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에 스팀과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의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리프레셔(Refresher), 다리미(iron) 및 스티머(Steamer)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나 침구 등을 세탁하는 장치다. 건조기는 의류나 침구 등의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장치다. 세탁기 겸 건조기는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장치다. 리프레셔는 의류의 냄새와 먼지를 제거하거나 정전기 발생 방지 처리를 하는 등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장치다. 다리미는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거나 의류에 필요한 구김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다. 스티머는 열판의 접촉 없이 고온의 증기를 이용하여 의류를 살균하거나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섬세하게 제거하는 장치다.
이중 특히 리프레셔는 1회 이상 동일한 의류를 착용하면, 의류에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잔류하게 된다.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등은 동일한 옷을 다시 착용하려는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의류를 불필요한 세탁과정을 수행하여, 의류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의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비용을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는 수납된 의류의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고, 분사된 스팀에 의하여 습기가 함유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하여 열풍 또는 공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의류를 바람 또는 열풍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스팀을 사용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에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분사하면, 미세한 물입자가 섬유조직 깊숙한 곳에 잔류하는 냄새입자와 결합하게 되고, 냄새입자와 결합한 물입자는 건조과정에서 의류와 분리되어 배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를 제거하게 된다. 의류 처리 장치에서 수납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면, 의류에 잔류하는 구김 등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공급된 스팀에 의하여 젖은 의류는 건조과정에서 구김이 완화 또는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의류에 잔류하는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의류의 사용자는 보다 쾌적한 상태로 의류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최근 이러한 리프레셔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하여, 리프레셔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르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다. 특히, 리프레셔에 있어서, 외관의 미감을 향상시키자,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이나 드럼 등의 외관에 특징을 주는 방안들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의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외관을 갖는 의류 처리 장치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구조와 함께, 의류 처리 장치의 정보 등을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표시부의 시인성이 증가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 처리 장치의 외관에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 처리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부재, 금속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부재의 전면에 적층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과 대향하도록 상기 유리부재의 배면에 적층되어, 상기 코팅층과 상기 유리부재를 투과한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코팅층과 상기 차단층은 상기 유리부재의 일면 및 타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컨트롤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컨트롤 유닛과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기호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을 덮도록 제1 영역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영역에서는 코팅층, 유리부재, 제1 인쇄층, 제2 인쇄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으며, 제1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제1 영역에서는 유리부재의 배면에 제2 인쇄층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쇄층은 상기 유리부재와 상기 차단층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단층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인쇄층은 제2 영역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인쇄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인쇄층은 제2 인쇄층과 실질적으로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호들과 각각 중첩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2 인쇄층을 투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상기 센서부 이외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인쇄층은 유색도료와 투명 페이스트를 기 설정된 비로 혼합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비는 상기 유색안료 100중량부당 상기 투명 페이스트 65 내지 75 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은 제1 코팅층이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코팅층의 전면에 적층되어 지문이 상기 커버부에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코팅층의 전면에는 마이크로 미터 내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팅층은 초발수 코팅층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코팅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는,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제2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코팅층은 상기 유리부재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 처리 장치의 외관에 거울이 형성되므로, 외관의 고급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 장치는 장소가 제한된 실내에 설치되므로, 별도의 거울 등이 필요치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가 설치되는 실내의 공간적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의류 처리 장치에서 의류를 꺼내어 입는 경우, 거울로 이동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 구조가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컨트롤 유닛의 표시부가 발광하는 광의 투과율 감소가 제한되어 표시부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문, 화장품과 같은 이물질이 커버부에 묻음으로써 발생하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의류 처리 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의 커버부, 도어, 컨트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컨트롤 패널의 작동 전/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 처리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개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도어가 오픈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100)는 내부에 처리될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구비된 캐비닛(110),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미도시),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발생장치(미도시), 상기 수용공간(111)을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후면부, 좌우 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를 구성하는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10)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닛(110)의 외관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138)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재생처리 등이 요구되는 의류 내지 침구류 등의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111)은 캐비닛(110)과 상기 도어(12)에 의해 밀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1)에는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옷걸이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캐비닛(110)의 내부에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와 상기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며, 상기 스팀은 상기 수용공간(111)로 공급되어 의류 내지 침구류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히터,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공기를 가열하여 수용공간(111)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이루어 지는 경우,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팽창밸브,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냉매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납된 의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스팀과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풍에 의해서 냄새, 구김 또는 습기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장치와 상기 열풍공급장치가 구비되는 기계실(112)은 상기 캐비닛(11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팀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스팀과 상기 열풍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된 열풍은 비교적 고온이므로, 대류에 의하여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부는 의류 또는 침구류를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다.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1)을 개폐하도록 도어(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연결부재에 의해 캐비닛(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부재는 힌지 또는 링크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100)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도어(120)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는 외관의 고급화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130)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거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을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의 커버부, 도어, 컨트롤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이며, 도 4는 본 발명을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따르는 컨트롤 패널의 작동 전/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100)의 도어(120)에 장착되는 커버부(13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도어(120)는 형상을 이루는 바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는 상기 캐비닛(110)을 이루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10)의 전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는 후술할 컨트롤 유닛(140) 등을 구비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121)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130)가 장착된다.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130)는 유리부재(131), 코팅층(132) 및 차단층(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부재(131)는 기설된 크기로 재단된 투명한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부재(131)는 상기 바디부(121)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리부재(131)의 폭과 높이는 상기 바디부(12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유리부재(131)는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증가하도록 기 설정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2)은 유리부재(131)의 전면에 적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층(132)은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2)은 알루미늄(Al), 주석(Sn), 니켈(Ni), 코발트(Co), 크롬(Cr),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이들이 기 설정된 비율로 혼합된 합금 또는 티타늄(Ti) 산화물, 알루미늄(Al)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2)은 바람직하게 코발트(Co)와 크롬(Cr)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132)은 전술한 물질들이 증착 공정에 의해 상기 유리부재(131)에 적층될 수 있다. 증착 공정이란, 금속 또는 금속 화합물 등을 가열하여 증기 상태로 만든 후, 다른 물체에 부착시키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코팅층(132)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130)로 입사되는 광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반사되며, 나머지 광은 상기 유리부재(131)로 입사된다. 상기 커버부(130)는 보다 선명한 거울을 형성하도록 상기 유리부재(131)의 배면에 상기 차단층(133)을 형성한다.
상기 차단층(133)은 상기 유리부재(131)로 입사되어 투과된 광을 차단시킨다. 상기 차단층(133)은 상기 유리부재(1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코팅층(132)과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리부재(131)의 일면 및 타면에는 각각 차단층(133)과 코팅층(1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층(133)은 상기 코팅층(132)과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코팅층(132)과 상기 유리부재(131)에 의해 반사되지 못하고 투과된 광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커버부(130)는 반사율이 증가하게 되므로 보다 선명한 거울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100)의 커버부(130)는 컨트롤 패널(138)이 표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38)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38b)과 사용자의 터치 입력 등을 감지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138a)은 리프레셔 코스, 리프레셔 모드 및 의류 종류 등과 같은 사용자의 선택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버튼과 전원, 동작/정지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버튼으로 통칭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전술한 버튼들은 터치 버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138b)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리프레셔 코스, 리프레셔 모드 및 의류 종류 및 리프레셔 행정 진행 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138b)은 후술할 표시부(142)에 의하여 해당영역이 점멸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138)은 도어(120)에 구비되는 컨트롤 유닛(14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140)은 상기 바디부(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21)는 상기 커버부(130)와 접촉하는 일면을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 유닛(140)은 상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130)의 후면과 마주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138)은 상기 개구부(121')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유닛(140)은 브라켓(122)에 의해 상기 바디부(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2)은 일면이 상기 커버부(130)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브라켓(122)의 일면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138)에 대응되도록 관통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트롤 유닛(140)은 상기 브라켓(122)의 관통된 영역과 상기 개구부(121')를 통하여 상기 커버부(130)와 대면할 수 있다.
한편, 컨트롤 유닛(140)은 사용자 터치 등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141)와 복수의 광원을 표함하는 표시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141)는 상기 커버부(130)의 후면에서 각각의 버튼에 해당하는 영역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 유닛(140)의 상기 센서부(141)는 터치 신호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130)와 접촉한다. 상기 센서부(141)는 상기 커버부(13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130)를 향하도록 형성된 일면 상에서 기 설정된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버튼에는 해당하는 영역에는 각각의 버튼을 표현하는 복수의 기호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서부(141)는 상기 복수의 기호들과 각각 중첩되어, 상기 커버부(130)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복수의 기호들은 후술할 바와 같이 제1 인쇄층(134)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2)는 복수의 광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2)는 상기 커버부(130)의 후면에서 상기 커버부(130)를 향하여 광을 입사시킨다.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발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2)의 일면에 형성된 기 설정된 문자들이 상기 커버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부(142)에 의해 상기 컨트롤 패널(138)의 상기 표시수단(138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141)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141)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부(142)의 광원을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수단(138a)을 통해 리프레셔 코스, 리프레셔 모드 및 의류 종류,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 등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130)의 전면에 상기 차단층(133)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42)의 광이 상기 커버부(130)를 투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컨트롤 패널(138)이 형성되는 제1 영역(130a)과 상기 컨트롤 패널(138)이 형성되지 않는 제2 영역(13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컨트롤 유닛(140)과 중첩되는 상기 제1 영역(130a)과 상기 제1 영역(130a)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영역(130b)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133)은 상기 제2 영역(130b)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차단층(133)은 상기 제2 영역(130b)만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기호들로 이루어지는 제1 인쇄층(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쇄층(134)은 상기 유리부재(131)의 배면에서 상기 제1 영역(130a)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영역(130a)에는 상기 차단층(133)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상기 커버부(130)를 향하여 입사되는 광에 의하여 도어의 내부 구조가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제1 영역(130a)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2 인쇄층(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30a)에서는 상기 코팅층(132), 상기 유리부재(131), 상기 제1 인쇄층(134), 상기 제2 인쇄층(135)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인쇄층(134)은 복수의 기호들로 이루어지므로, 제1 인쇄층(134)이 형성되지 않는 제1 영역(130a)에서는 상기 유리부재(131)의 배면에 제2 인쇄층(135)이 적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부재(131)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코팅층(132)에 의해 상기 표시부(142)에서 발광하여 상기 커버부(130)를 투과하는 광의 투과량이 저하된다. 결국, 표시수단(138b)의 시인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인쇄층(135)이 기 설정된 투과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부(130)를 투과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2 인쇄층(135)은 기 설정된 투과도를 갖도록 유색도료와 투명 페이스트가 혼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인쇄층(135)의 투과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 상기 커버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수단(138b)의 시인성은 향상되나, 상기 도어(120)의 내부 구성이 외부로 보일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제2 인쇄층(135)의 투과도가 지나치게 낮은 경우, 상기 도어(120)의 내부 구성이 외부로 보이지 않을 수 있으나, 상기 커버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표시수단(138b)의 시인성은 저하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2 인쇄층(135)은 상기 커버부(130)로 입사되는 광에 의해 도어 내부 구성이 쉽게 보이지 않으면서도, 상기 표시부(13)에서 발광하는 광이 선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상기 유색도료와 상기 투명 페이스트를 기 설정된 비로 혼합된 물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비는 상기 유색도료 100중량부당 상기 투명 페이스트 65 내지 75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색도료 100중량부당 투명 페이스트 70 중량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색도료는 검은색상의 잉크로 이루질 수 있으며, 투명 페이스트는 투명 잉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고하면, 왼쪽에 도시된 커버부(130)는 표시부(142)의 광원이 발광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며, 오른쪽에 도시된 커버부(130)는 표시부(142)의 광원이 발광하여 입력수단(138a) 및 표시수단(138b)이 가시화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의류 처리 장치(100)는 미작동, 또는 표시부(142)가 발광하지 않는 경우, 복수의 기호들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1 인쇄층(134)이 사용자에게 희미하게 보여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130)는 실질적으로 제1 및 제2 영역(130a, 130b)는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거울처럼 보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는 외관의 고급감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1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인쇄층(135)을 덮도록 형성되는 상기 제3 인쇄층(1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인쇄층(136)은 상기 의류 처리 장치(100) 제작시, 상기 제2 인쇄층(135)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130)와 접촉하는 상기 센서부(141)는 상기 제3 인쇄층(146)과 맞닿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 인쇄층(136)은 상기 제2 인쇄층(135)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차단층(133), 제1 내지 3 인쇄층(134, 135, 136)들은 상기 유리부재(131)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실크 스크린 기법 등과 같은 방법으로 인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층(233)은 상기 제1 인쇄층(234)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영역(130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쇄층(234)은 상기 유리부재(231)와 상기 차단층(233)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단층(233)과 제1 인쇄층(234)이 중첩된 영역에서 독특한 미감이 발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인쇄층(23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단층(233)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인쇄층(235)은 제2 영역(130b)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쇄층(235)과 상기 차단층(233) 사이의 틈이 생기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커버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의류 처리 장치(100)는 커버부(330)의 전면에 형성되는 지문 방지층(337, 제2 코팅층이라 칭한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코팅층을 제1 코팅층(332)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의 커버부에는 거울 기능이 구비되므로, 지문, 화장품 등이 묻는 경우, 반사율이 높은 커버부의 특성상 지문, 화장품 등이 쉽게 식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커버부를 자주 닦아줘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코팅층(337)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부(330)에 지문, 화장품 등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미터 내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팅층(337)은 초발수 코팅일 수 있다.
여기서, 초발수란, 일반적으로 접촉각(Contact angle)이 150° 이상이며, 미끄럼각(Sliding angle)이 10° 이하인 발수 특성을 의미한다. 이때, 접촉각은 정지한 액체 표면이 고체 벽에 접촉되는 곳으로 액면과 고체면이 이루는 각을 말한다. 또한, 미끄럼각은 수평한 바닥면을 기준으로 액체가 흐르기 시작하는 기울기 각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제2 코팅층(337)은 상기 커버부(330) 전체 면적이 아닌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코팅층(337)은 제1 영역(130a)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코팅층(337)은 컨트롤 패널(338)이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이 빈번한 제1 영역(130a)에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코팅층(332)은 상기 제2 영역(130b)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코팅층(332)은 상기 제2 영역(130b)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코팅층(337)은 상기 유리부재(331)의 전면에 적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의류 처리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의류 처리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상기 외관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는 유리부재;
    금속 또는 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부재의 전면에 적층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과 대향하도록 상기 유리부재의 배면에 적층되어, 상기 코팅층과 상기 유리부재를 투과한 광을 차단하는 차단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 장치는 컨트롤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컨트롤 유닛과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복수의 기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리부재의 배면에서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제1 인쇄층; 및
    상기 제1 인쇄층을 덮도록 제1 영역과 중첩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을 투과하는 광의 투과율을 감소시키는 제2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1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영역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차단층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인쇄층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3 인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유닛은,
    상기 복수의 기호들과 각각 중첩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제2 인쇄층을 투과하는 광을 발광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쇄층은 유색도료와 투명 페이스트를 기 설정된 비로 혼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비는 상기 유색도료 100중량부당 상기 투명 페이스트 65 내지 75 중량부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제1 코팅층이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 코팅층의 전면에 적층되어 지문이 상기 커버부에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제2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팅층의 전면에는 마이크로 미터 내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후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의 전면에서 인가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컨트롤 유닛과 중첩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차단층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고,
    상기 제2 코팅층은 상기 제1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팅층은 상기 제2 영역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 장치.
KR1020180057379A 2018-05-18 2018-05-18 의류 처리 장치 KR102568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79A KR102568666B1 (ko) 2018-05-18 2018-05-18 의류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79A KR102568666B1 (ko) 2018-05-18 2018-05-18 의류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2110A true KR20190132110A (ko) 2019-11-27
KR102568666B1 KR102568666B1 (ko) 2023-08-22

Family

ID=68730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79A KR102568666B1 (ko) 2018-05-18 2018-05-18 의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8855A (zh) * 2020-03-05 2020-05-08 吴爱芹 带有衣物护理功能的试衣镜
WO2021235665A1 (ko) * 2020-05-22 202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38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조작버튼패널의 제작방법
KR200474612Y1 (ko) * 2013-01-04 2014-10-06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관리기의 보강 구조
KR20150027561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20573A (ko) * 2015-04-08 2016-10-18 (주)이즈소프트 초발수 초발유 표면 형성 방법 및 그 제조 물체
KR20170082091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438A (ko) * 2009-07-22 2011-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조작버튼패널의 제작방법
KR200474612Y1 (ko) * 2013-01-04 2014-10-06 주식회사 파세코 의류 관리기의 보강 구조
KR20150027561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60120573A (ko) * 2015-04-08 2016-10-18 (주)이즈소프트 초발수 초발유 표면 형성 방법 및 그 제조 물체
KR20170082091A (ko) * 2016-01-05 2017-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18855A (zh) * 2020-03-05 2020-05-08 吴爱芹 带有衣物护理功能的试衣镜
WO2021235665A1 (ko) * 2020-05-22 202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및 그 제조방법
EP4134478A4 (en) * 2020-05-22 2023-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CAR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666B1 (ko) 202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1117B (zh) washing machine
US8347657B2 (en) Input device of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080053159A1 (en) Laundry machine
CN108797008B (zh) 一种互动投影洗衣机及控制方法
US20070180869A1 (en) Program-controlled domestic appliance
CN109963975B (zh) 具有投影装置的家用器具及其运行方法
CA2157556C (en) Access laundry appliance
KR20090014048A (ko) 전자제품의 트림킷 도어 어셈블리
CN107904867B (zh) 一种衣物处理装置
KR20190132110A (ko) 의류 처리 장치
JP6373569B2 (ja) 洗濯物処理機器
JP6289861B2 (ja) 洗濯機
IT201800003722A1 (it) Elettrodomestico con interfaccia utente
KR20100092764A (ko) 의류 처리 장치의 도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6758029B (zh) 一种可双向开门的衣物处理装置
WO2018135019A1 (ja) 衣類処理装置
CN202705730U (zh) 洗衣设备
CN107794731A (zh) 衣物干燥机
JP6340582B2 (ja) 食器洗い機
JP612307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46382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395273Y1 (ko) 세탁기의 전면부 구조
CN106939502A (zh) 衣物处理机器
JP7015225B2 (ja) コインランドリー装置
ITTO950573A1 (it) Macchina lavabiancheria con mezzi di filtraggio del liquido di lavagg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