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8987A -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의 탈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의 탈수처리 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88987A KR20190088987A KR1020197015155A KR20197015155A KR20190088987A KR 20190088987 A KR20190088987 A KR 20190088987A KR 1020197015155 A KR1020197015155 A KR 1020197015155A KR 20197015155 A KR20197015155 A KR 20197015155A KR 20190088987 A KR20190088987 A KR 201900889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polymer
- cationic
- weight
- meq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9000008346 aqueous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HRPVXLWXLXDGHG-UHFFFAOYSA-N Acrylamide Chemical compound NC(=O)C=C HRPVXLWXLXDGHG-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094 preconcen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2761 deinkin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 from a pulp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8719 thicken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NJSSICCENMLTKO-HRCBOCMUSA-N [(1r,2s,4r,5r)-3-hydroxy-4-(4-methylphenyl)sulfonyloxy-6,8-dioxabicyclo[3.2.1]octan-2-yl] 4-methylbenzenesulfonate Chemical compound C1=CC(C)=CC=C1S(=O)(=O)O[C@H]1C(O)[C@@H](OS(=O)(=O)C=2C=CC(C)=CC=2)[C@@H]2OC[C@H]1O2 NJSSICCENMLTKO-HRCBOCMUSA-N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ROSDSFDQCJNGOL-UHFFFAOYSA-N D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 ROSDSFDQCJNGO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20000768 polyam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BRLQWZUYTZBJKN-UHFFFAOYSA-N Epichlorohydrin Chemical compound ClCC1CO1 BRLQWZUYTZB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FZGFBJMPSHGTRQ-UHFFFAOYSA-M trimethyl(2-prop-2-enoyloxy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C)(C)CCOC(=O)C=C FZGFBJMPSHGTRQ-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9
- UZNHKBFIBYXPDV-UHFFFAOYSA-N trimethyl-[3-(2-methylprop-2-enoylamino)prop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O)NCCC[N+](C)(C)C UZNHKBFIBYXPD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DPBJAVGHACCNRL-UHFFFAOYSA-N 2-(dimethylamino)eth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N(C)CCOC(=O)C=C DPBJAVGHACCNR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JKNCOURZONDCGV-UHFFFAOYSA-N 2-(dimethylamino)ethyl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N(C)CCOC(=O)C(C)=C JKNCOURZONDCG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MPNXSZJPSVBLHP-UHFFFAOYSA-N 2-chloro-n-phenylpyridine-3-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lC1=NC=CC=C1C(=O)NC1=CC=CC=C1 MPNXSZJPSVBLH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UABIXNSHHIMZEP-UHFFFAOYSA-N 2-[2-[(dimethylamino)methyl]phenyl]sulfanyl-5-methylaniline Chemical compound CN(C)CC1=CC=CC=C1SC1=CC=C(C)C=C1N UABIXNSHHIMZE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ORILYTVJVMAKLC-UHFFFAOYSA-N Adamantane Natural products C1C(C2)CC3CC1CC2C3 ORILYTVJVMAKL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962 poly(amidoami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PIICEJLVQHRZGT-UHFFFAOYSA-N Ethylenediamine Chemical compound NCCN PIICEJLVQHRZG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1436 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H] 0.000 claims description 3
- OEIXGLMQZVLOQX-UHFFFAOYSA-N trimethyl-[3-(prop-2-enoylamino)prop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C)(C)CCCNC(=O)C=C OEIXGLMQZVLOQX-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claims description 2
- ZQXSMRAEXCEDJD-UHFFFAOYSA-N n-ethen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CNC=O ZQXSMRAEXCEDJ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RRHXZLALVWBDKH-UHFFFAOYSA-M trimethyl-[2-(2-methylprop-2-enoyloxy)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C(=O)OCC[N+](C)(C)C RRHXZLALVWBDKH-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DUPXEJBWSWBPAF-UHFFFAOYSA-N 2-(dimethylamino)ethyl 2-methylprop-2-enoate;dimethyl sulfate Chemical compound COS(=O)(=O)OC.CN(C)CCOC(=O)C(C)=C DUPXEJBWSWBPAF-UHFFFAOYSA-N 0.000 claims 2
- GOMYPFJCMSWMDM-UHFFFAOYSA-N C(C=C)(=O)O.S(=O)(=O)(OC)OC Chemical compound C(C=C)(=O)O.S(=O)(=O)(OC)OC GOMYPFJCMSWMDM-UHFFFAOYSA-N 0.000 claims 1
- STVZJERGLQHEKB-UHFFFAOYSA-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C(=O)C(C)=C STVZJERGLQHEKB-UHFFFAOYSA-N 0.000 claims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claims 1
- PNJWIWWMYCMZRO-UHFFFAOYSA-N pent‐4‐en‐2‐one Natural products CC(=O)CC=C PNJWIWWMYCMZRO-UHFFFAOYSA-N 0.000 claims 1
- AIUAMYPYEUQVEM-UHFFFAOYSA-N trimethyl(2-prop-2-enoyloxyethyl)azanium Chemical compound C[N+](C)(C)CCOC(=O)C=C AIUAMYPYEUQVEM-UHFFFAOYSA-N 0.000 claims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08000005156 Dehyd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01 coagu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76 i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4 in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Substances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22 acrylamid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36 particula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NLRTRBMVRJNCN-UHFFFAOYSA-N adip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CC(O)=O WNLRTRBMVRJNC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9 floc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6615 floc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643 polycondensation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37 pul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66 redox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42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61 adip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37 adip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3608 benzyl chlor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03 carbon fibre reinforced carb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86 chain transfer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QOKIYDTHHZSCJ-UHFFFAOYSA-M dimethyl-bis(prop-2-en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C[N+](C)(C)CC=C GQOKIYDTHHZSC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IQDGSYLLQPDQDV-UHFFFAOYSA-N dimethylazanium;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NC IQDGSYLLQPDQ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74 dispersion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0 emulsion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4 floccu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158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9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RUTXIHLAWFEWGM-UHFFFAOYSA-H iron(3+) sulfate Chemical compound [Fe+3].[Fe+3].[O-]S([O-])(=O)=O.[O-]S([O-])(=O)=O.[O-]S([O-])(=O)=O RUTXIHLAWFEWGM-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60 iron(I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7 lozen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4639 minipres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6 organ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01 polyacryl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FXFYZULCQKPIP-UHFFFAOYSA-N prazosin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H+].[Cl-].N=1C(N)=C2C=C(OC)C(OC)=CC2=NC=1N(CC1)CCN1C(=O)C1=CC=CO1 WFXFYZULCQKP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37—Polymers of unsaturated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polyacrylates
- D21H17/375—Poly(meth)acryl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47—Tens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02F11/14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using organic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08L71/03—Polyepihalohydrin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21C5/025—De-inking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5/00—Other processes for obtaining cellulose, e.g. cooking cotton linters ;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cellulose-containing starting materials
- D21C5/02—Working-up waste paper
- D21C5/025—De-inking
- D21C5/027—Chemical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C—PRODUCTION OF CELLULOSE BY REMOVING NON-CELLULOSE SUBSTANCES FROM CELLULOSE-CONTAINING MATERIALS; REGENERATION OF PULPING LIQUORS; APPARATUS THEREFOR
- D21C9/00—After-treatment of cellulose pulp, e.g. of wood pulp, or cotton linters ; Treatment of dilute or dewatered pulp or process improvement taking place after obtaining the raw cellulosic material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D21C9/18—De-watering; Elimination of cooking or pulp-treating liquors from the pulp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 D21H17/4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cationic
- D21H17/45—Nitrogen-containing group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3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4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 D21H17/44—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ionic groups cationic
- D21H17/45—Nitrogen-containing groups
- D21H17/455—Nitrogen-containing groups comprising tertiary amine or being at least partially quaternised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06—Paper forming aids
- D21H21/10—Retention agents or drainage improvers
-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3/00—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 D21H23/02—Processes or apparatus for adding material to the pulp or to the pap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substances are added
- D21H23/04—Addition to the pulp; After-treatment of added substances in the pulp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6—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 C02F2103/2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rocessing of plants or parts thereof from the paper or cellulose indust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8L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aper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 예를 들어, 탈묵 슬러지(deinking sludge)를 탈수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수성상 및 수성상에 현탁된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슬러지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슬러지는 수성상의 제1 부분이 슬러지로부터 제거되는 예비-농축(pre-thickening) 단계 및 수성상의 제2 부분이 추가로 슬러지로부터 제거되는 압착 단계에 적용시킨다. 이에 따라 건조 압착 슬러지가 수득된다. 예비-농축 단계 전 또는 이 단계에, 전하 밀도가 최대 1.7 meq/g,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1 meq/g인 중합체 조성물을 슬러지에 첨가한다. 중합체 조성물은 전하 밀도가 pH 2.8에서 적어도 1.0 meq/g인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제2 중합체를 포함하며, 양이온성 단량체의 양은 단량체의 총량으로부터 계산하여 2 내지 19중량%이고, 제2 중합체는 양이온성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된다. 제1 중합체는 제2 중합체보다 전하 밀도가 더 높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라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sludge)를 탈수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성 상에 현탁된 고체 물질 및/또는 미생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슬러지는 공업적 공정에서 탈수처리된다. 슬러지는 화학약품, 예를 들어, 철 및 석회의 무기 화합물 또는 중합체 응고제(coagulants) 및 응집제(flocculants)와 같은 유기 화합물의 첨가에 의해 농축(thickening) 및 탈수 전에 조건화(conditioned)시킬 수 있다. 화학약품은 슬러지 취급을 개선하고, 현탁된 물질을 보다 큰 응집체로 응집 및/또는 응고시키고, 탈수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된다.
펄프의 제조시, 종이 또는 보드 중합체가 통상 슬러지, 예를 들어, 재생 섬유를 사용하는 공정으로부터의 탈묵(deinking) 슬러지를 탈수처리하기 위해 사용된다. 탈묵 슬러지는 잉크, 중합체성 물질, 무기 충전제 및 단섬유를 포함한다. 펄프, 종이 및 보드 제조 공정은 또한 일반적으로 섬유 물질을 함유하고 효율적으로 탈수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다른 슬러지를 포함한다. 특히, 슬러지, 예를 들어, 높은 pH를 갖고/갖거나, 수성상이 고전도도 및/또는 높은 양이온 요구량을 갖는 혼합 슬러지는 탈수처리가 요구되고 있다. 높은 pH 및/또는 전도도는 사용된 중합체의 기능을 방해한다. 그러나, 슬러지의 효과적인 탈수처리는 추가적인 취급 및/또는 예를 들어, 소각로의 연료와 같은, 슬러지의 용도에 필요하다.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로부터 슬러지를 탈수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효과적인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선행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단점들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또한 슬러지 탈수처리 후 높은 고체 함량 및 양호한 여액(filtrate) 품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심지어 높은 pH 및/또는 높은 전도도 및/또는 높은 양이온 요구량에서도, 슬러지 탈수처리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 아래에 제시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된다. 일부 바람직한 구현예는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텍스트에 언급된 구현예는 어떠한 곳이든 적용 가능하다면, 심지어 이것이 항상 별도로 언급되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모든 측면에 관련된다.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 (예: 탈묵 슬러지)를 탈수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통상적인 방법은,
- 수성상 및 수성상에 현탁된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슬러지를 수득하는 단계,
- 슬러지를 예비-농축 단계에 적용시켜, 수성상의 제1 부분을 슬러지로부터 제거시키는 단계,
- 슬러지를 압착 단계에 적용시켜, 수성상의 제2 부분을 추가로 슬러지로부터 제거하고, 건조 압착 슬러지를 수득하는 단계와,
- 전하 밀도가 최대 1.7 meq/g,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1 meq/g이고, 전하 밀도가 pH 2.8에서 적어도 1.0 meq/g인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제2 중합체 (단량체의 총량으로부터 계산된 양이온성 단량체의 양은 2 내지 19중량%이고, 제2 중합체는 양이온성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되며, 이때 제1 중합체는 제2 중합체보다 전하 밀도가 더 높다)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예비-농축(pre-thickening) 단계 전 또는 이 단계에 수성 슬러지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제, 놀랍게도 특정 중합체 조성물이 슬러지에 첨가되는 방법이 특히 높은 슬러지 pH 및/또는 전도도 및/또는 높은 양이온 요구량에서 예상밖으로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슬러지에 대해 개선된 탈수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명시된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를 성공적으로 뭉치게하여, 고체 미립자 (예: 무기 또는 유기 소입자)를 심지어 방해 음이온성 입자 또는 물질의 존재하에서도, 섬유 물질에 결합시킨다. 이론으로 국한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중합체 조성물의 제1 중합체는 방해성 음이온성 물질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잔류하는 슬러지 성분과 중합체 조성물의 제2 중합체와의 효율적인 응집을 가능하게 하리라 추정된다. 이 방법으로, 중합체 조성물의 응집 능력은 방해 물질에 의해 소비되지 않고, 강한 플록(floc)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성분을 위해 보존된다. 또한,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으로 특히 예비-농축 단계 및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2-단계 슬러지 농축시 개선된 플록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성 슬러지는 수성상 및 수성상에 현탁된 고체 물질, 바람직하게는 섬유 물질을 포함하고, 종이, 보드 또는 티슈 제조로부터 또는 유사한 공정으로부터의 거부물질인 슬러지로서 이해한다. 섬유 물질은 목재 또는 비-목재 공급원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목재 공급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셀룰로스 섬유 물질이다. 섬유 물질은 여기서 100 메쉬 금속 와이어 스크린상에 유지되는 장섬유 분획으로서 이해한다. 본 내용에서, 장섬유는 또한 유용한 섬유로서 표시되고, 이들 용어는 동의어로 완전히 상호교환가능하다. 슬러지는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된,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장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심지어 슬러지가 섬유 물질, 심지어 장섬유 물질을 포함한다면, 종이, 보드 또는 티슈 제조에는 유용하지 못하고, 공정에서 거부물질 유동액의 일부를 형성한다. 섬유 물질은 또한 단섬유 분획을 포함할 수 있고, 이는 100 메쉬 금속 와이어 스크린을 투과하는 단섬유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100 메쉬 금속 와이어 스크린을 투과하는 슬러지의 미립자 분획은 단섬유 물질의 첨가시, 섬유 미립자, 무기 입자, 콜로이드성 물질, 다양한 특별한 물질 (예: 점착물), 플라스틱 입자 등을 포함한다. 슬러지의 미립자 분획은 일반적으로 종이, 보드 또는 티슈 등의 제조에 적합치 못하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슬러지는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된, > 40중량%, 바람직하게는 >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 60중량%의 양으로 미립자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러지는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된, 40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중량%의 양으로 미립자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슬러지는 통상 다음의 물질 분획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모래, 플라스틱 입자, 점착물, 결속섬유(shives), 섬유 다발 인쇄 잉크. 더욱이, 슬러지의 수성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이, 보드 또는 티슈 등의 제조로부터의 세척수 또는 반류수(reject water)로부터 기인할 수 있다.
또한, 수성 슬러지는 무기 미네랄 입자를 포함할 수 있고, 고체의 중량%로서 제시되는,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의 범위인 회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회분 함량은 525℃의 온도에서 표준 ISO 1762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슬러지중 무기 미네랄 입자는 종이 및 보드 제조시 사용되는 충전제 및 코팅재로부터 유래된다. 통상적으로, 무기 미네랄 입자를 포함하고 종이 또는 보드 제조로부터의 수성 슬러지는 탈수처리가 요구되어 왔다. 무기 미네랄 입자는 대개 비표면적이 높고, 그들은 화학적 요구량을 증가시켜, 유용한 화학약품을 제한한다. 예상밖으로, 본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은 심지어 회분 함량이 높은 슬러지, 즉 무기 입자 성분과도 작용이 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성 슬러지는 예비-농축 단계 전 및 중합체 조성물의 첨가 전에, 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중량% 범위인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 조성물은 예비-농축 단계 및 압착 단계를 포함하는, 농축 단계 전 또는 이 단계에서 슬러지에 첨가된다. 중합체 조성물은 예비-농축 단계 전 또는 단계에, 바람직하게는 단계 전에 슬러지에 첨가되며, 여기서 수성상의 제1 부분이 슬러지로부터 제거된다. 예비-농축은, 예를 들어, 농축 드럼, 중력 테이블 또는 중력 벨트를 사용하여, 즉 가압없이 자유로운 배수로 수행할 수 있다. 예비-농축 단계는 5 내지 30초, 통상적으로 10 내지 20초가 걸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농축 단계는 기계적 예비-농축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슬러지의 고체 함량은 물 분리에 의해 증가된다. 예비-농축은 능동적인 흡인없이 수행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예비-농축은 가압없이 자유로운 배수로 수행할 수 있다. 슬러지의 고체 함량은 기계적 예비-농축 단계 후, 5 내지 14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은 예비-농축 단계 1초 내지 10분 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초 전에 슬러지에 첨가된다.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에 존재하는 고체 물질, 예를 들어, 섬유 및 무기 입자를 응집하여, 탈수를 위한 최적의 플록 크기 및 2-단계 농축시 양호한 플록 안정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형성된 플록은 너무 많은 물에 용해되지 않고, 물은 플록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방출되어, 플록은 압력하에 또는 상이한 공정 단계 사이에 파괴되지 않는다. 더욱이, 압착 단계시 압력하에뿐만 아니라, 예비-농축 단계에서 자유로운 배수시 보다 신속한 탈수 속도를 수득할 수 있다.
예비-농축 단계 후, 슬러지는 압착 단계에 적용시켜, 수성상의 추가 제2 부분을 압력 또는 힘을 가해 슬러지로부터 제거하고, 건식 압착된 슬러지를 수득한다. 압착 단계는 1 내지 20분, 통상적으로 2 내지 20분이 걸릴 수 있다. 압착 단계는, 예를 들어, 스크류 프레스, 벨트 필터 등, 바람직하게는 스크류 프레스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압착 단계에서 퇴출되는 건식 압착 슬러지는 고체 함량이 적어도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종종 심지어는 적어도 60중량%이다. 예를 들면, 처리 단계 후 슬러지는 30~75중량%, 바람직하게는 48~65중량%의 범위에 있는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슬러지의 높은 고체 함량은 소각을 위해 또는 매립지 등을 위한 추가 처리에 적합하게 만든다. 슬러지는 비-연속적 시트로서 또는 불규칙한 덩어리 형태로 압착 단계에서 퇴출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슬러지는 탈묵 슬러지이다. 탈묵 슬러지는 단섬유 및 장섬유 분획을 모두 포함하는 섬유 물질, 코팅재 및/또는 충전제로부터의 무기 미네랄 물질, 및 잉크 입자를 함유한다. 탈묵 슬러지는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7 내지 20중량%의 장섬유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탈묵 슬러지는 950 nm에서 측정된 유효 잔류 잉크 농도 (Effective Residual Ink Concentration) (ERIC)를 가질 수 있고, 이는 > 500, 바람직하게는 > 1000이다. ERIC 측정에 유용한 적합한 기구는, 예를 들어, Technidyne, Inc., USA로부터 시판되고 있다. 525℃의 온도에서 표준 ISO 1762에 의해 측정되는, 탈묵 슬러지의 회분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5%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슬러지는 뉴스프린트 및/또는 잡지 종이의 재펄프화 공정으로부터의 탈묵 슬러지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슬러지는 사무용지, 예를 들어, 혼합 고지류 또는 선별된 고지류의 재펄프화 공정으로부터의 탈묵 슬러지이다. 본 방법은 심지어 슬러지의 섬유 함량이 낮을지라도,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탈수 또는 탈묵시키는데 특히 적합하다.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슬러지는 펄프, 종이 또는 보드 등의 제조로부터의 혼합 슬러지이다. 혼합 슬러지는 종이 또는 보드 제조의 폐수 처리로부터의 다양한 슬러지, 예를 들어, 1차 침전조로부터의 1차 슬러지 및 생물학적 단계로부터의 생물학적 슬러지의 혼합물일 수 있다. 혼합 슬러지는 다음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3차 처리로부터의 화학적 슬러지, 탈묵 슬러지, 재생 섬유 슬러지, 박피 슬러지 및/또는 혐기성 단계로부터의 혐기성 슬러지. 혼합 슬러지는 음이온성이고 (Mutek 적정을 사용하여 측정함), 그것은 단섬유 및 장섬유 분획을 모두 포함하는 섬유 물질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및 코팅재 및/또는 충전제로부터의 무기 미네랄 물질, 및 선택적으로 또한 잉크 입자를 함유할 수 있다. 혼합 슬러지는 장섬유 함량이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종종, 혼합 슬러지는 섬유 함량이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10 내지 50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혼합 슬러지는 고체 함량이 1 내지 5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혼합 슬러지의 액상의 pH는 6 내지 9의 범위일 수 있다. 종종, 혼합 슬러지의 액상은 전도도가 0.5 내지 2.5 mS/cm의 범위이다. 액상의 양이온 요구량은 100 내지 1500 μeq/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수성 슬러지는 스크린 불순물(screen reject)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되는, 30 내지 99중량%, 통상적으로는 40 내지 90중량%의 비교적 높은 장섬유 함량, 및 3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회분 함량을 갖는, OCC(old corrugated containerboard)의 재펄프화 공정으로부터의 슬러지이다. OCC의 재펄프화 공정으로부터의 슬러지는 점착물 및/또는 플라스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슬러지의 수성상은 200 - 2000 μeq/l, 바람직하게는 400 - 1500 μeq/l,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 1500 μeq/l의 범위인 양이온 요구량을 가질 수 있다. 수성상의 전도도는 슬러지가 OCC의 재펄프화로부터 기인하는 경우 8 mS/cm 이하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도도는 특히 슬러지가 탈묵 슬러지인 경우에, 1 - 5 mS/cm, 바람직하게는 1.5 - 4 mS/c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3.5 mS/cm의 범위이다. 이들 값은 중합체 조성물을 슬러지로 첨가하기 전에, 블랙 리본 여과지를 통해 슬러지를 여과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성상으로부터 측정된다. 양이온 요구량은 Mutek 적정에 의해 측정한다. 수성상의 pH는 6.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일 수 있다. 본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으로 수성상이 높은 양이온 요구량 및/또는 전도도에 의해 제시되는, 높은 수준의 방해 양이온 물질을 나타내는 경우에 슬러지의 탈수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중합체 조성물은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제2 중합체를 포함하며, 제2 중합체는 양이온성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된다. 이런 종류의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으로 특히 슬러지가 높은 전도도 및/또는 양이온 요구량을 갖는 경우에, 슬러지 탈수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라디칼 중합 또는 축합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중합 반응기에서 적절한 단량체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반응이 완결된 후, 제1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구조내에 반응성의 중합가능한 그룹, 예를 들어, 이중 탄소-탄소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로, 제2 중합체의 단량체는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된 경우에, 서로 반응하고, 중합 매트릭스로서 존재하는, 제1 중합체와 공유결합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으로 단지 중합 매트릭스로서만 존재한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000 내지 30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200 000 g/mol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 15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 100 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 50 000 g/mo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20 000 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1000 내지 15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100 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 000 g/mo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 0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그의 분자량이 낮은 경우, 슬러지 물질, 예를 들어, 음이온성 미립자 물질과 상호작용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량평균 분자량은 숙련가에게 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고,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표준에 의한 보정을 기반으로 하는,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예를 들어,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통상 pH 2.8에서 측정된, 전하 밀도가 적어도 1.0 meq/g일 수 있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pH 2.8에서 측정된 전하 밀도가 1 내지 12 meq/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8 meq/g,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 meq/g, 종종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 meq/g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하 밀도는 1.5 내지 6.5 meq/g일 수 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의 전하 밀도는 중합시 양이온 전하를 나르는 구조 단위의 양을 모르는 경우 이론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상밖으로,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의 낮은 중량 및 적절한 전하 밀도는 슬러지에 존재하는 방해성 음이온 물질과 그의 상호작용을 개선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론으로 국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작은 음이온성의 특별한 물질과 상호작용하는 반면에, 제2 중합체는 플록 형성시 더욱 활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폴리아민, 예를 들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디메틸아민 및 에틸렌디아민의 공중합체, 선형 또는 가교-결합 폴리아미도아민, 폴리비닐아민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N-비닐포름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폴리아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30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20 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 000 g/mol일 수 있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비-라디칼 중합체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디메틸아민 및 에틸렌디아민의 공중합체와, 선형 및 가교-결합 폴리아미도아민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아민은 축합 중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폴리아민은 높은 양이온 전하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슬러지에서 음이온성 물질과 그들의 상호작용을 개선한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가 비-라디칼 중합체 의해 수득되는 경우에, 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중합체는 비-라디칼 중합체의해 수득되는 폴리아민이고, 중합체 조성물은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의 양으로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일 수 있다. 단독중합체를 위한 양이온성 제1 단량체는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ADAM),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클로라이드,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MADAM),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독중합체를 위한 양이온성 제1 단량체는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또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이다. 그들의 구조에 4급 질소를 함유하는 열거된 단량체의 것들에 있어서, 양이온성은 pH 의존성이 아니고, 이는 바람직한 특성이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또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단독중합체이다. 이들 단량체는 pH 의존성이 아닌 양이온 전하를 제공하며, 수득된 중합체는 또한 가수분해적으로 안정되어, 가수분해로 인한 시간에 따른 전하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단독중합체인데, 이는 그것이 가수분해적으로 매우 안정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제1 중합체에 대해 기재된 양들중 하나로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단독중합체와 관련하여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아미드 및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될 수 있고,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인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경우에,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양은 최종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선형 중합체이다.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가 선형 중합체인 경우, 중합체 조성물의 용해도가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가수분해에 대해 안정하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폴리아민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공중합체;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공중합체; 또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단독중합체 또는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의 단독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한 구현예에 따르면, 합성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폴리아민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제2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공중합체이고,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양은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2 내지 19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이다.
제2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공중합체이고,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양은 단량체의 총량으로부터 계산하여, 1 내지 10 mol%,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mol%이다.
양이온성 제2 단량체는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ADAM),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클로라이드,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MADAM),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시된 단량체중 일부의 경우, 양이온성은 pH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예를 들어, 그들은 산성 pH에서 보다 양이온성이지만, 중성 pH에서는 덜 양이온성이다. 그들의 구조에 4급 질소를 함유하는 단량체는 pH 의존성이 아닌 양이온성 전하를 제공하며, 이에 따라 그들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제2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또는 이들의 조합의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또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의 공중합체이다. 이들 단량체는 고분자량 중합체로 중합될 수 있고, 이는 중합체 조성물의 응집 효율에 유용하다. 또한, 그들은 pH 의존성이 아닌 양이온성 전하를 제공한다. ADAM-Cl 또는 DADMAC 또는 다른 상기 단량체들의 양은 중합체 조성물의 총 단량체 양으로부터 계산하여, 1 내지 10 mol%,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5 mol% 또는 0.5 내지 3 mol%이다. 제2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인,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된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제2 중합체보다 높은 전하 밀도를 갖는다.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의 양이온성 차이는 적어도 3 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 mol%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에에 따르면,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는 제2 중합체보다 높은 전하 밀도를 가지며,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의 양이온성 차이는 적어도 1 meq/g dry,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meq/g dry,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 meq/g dry,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meq/g dry, 종종 심지어 적어도 5 meq/g dry이다. 양이온성 차이가 더 클수록, 슬러지에서 제1 중합체와 음이온성 물질 사이의 상호작용은 더욱 두드러지리라 여겨진다. 양이온성의 최고 차이는 제1 중합체로서 폴리아민 및/또는 양이온성 단독중합체, 및 적은 양의 양이온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중합체를 선택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 제1 중합체는 단독중합체이고,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의 양이온성 차이는 적어도 30 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 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4 mol%이다. 이는 특히 적어도 800 μeq/l의 양이온 요구량을 갖는 슬러지의 경우에, 동시에 고정뿐만 아니라, 응집에 있어서의 개선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중합체는 서로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합체 및 제2 중합체의 중합에 사용되는 단량체는 서로 상이하다.
중합체 조성물은 전하 밀도가 최대 1.7 meq/g,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eq/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에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의 전하 밀도는 0.1 내지 1.7 meq/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2.0 meq/g의 범위일 수 있다. 전하 밀도 값은 pH 7.0에서 Mutek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의 전하 밀도가 < 1.7 meq/g인 경우에, 탈수시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고, 양호한 품질의 여액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전하 밀도가 < 1.7 meq/g인 중합체 조성물은 높은 섬유 및/또는 회분 함량을 갖는 슬러지의 탈수처리에 특히 적합하다.
중합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말 또는 미립자 물질 또는 미립자 제품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물에 용해시켜 그의 사용 전에 원하는 적절한 농도로 희석시킨다. 수득된 중합체 조성물은 건조시켜, 선택적으로 적절한 입자 크기로 분쇄할 수 있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미립자 제품 또는 미립자 물질 또는 분말의 형태인 건조 중합체 조성물은 고체 함량이 적어도 80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중량%일 수 있다. 건조 미립자 중합체 조성물은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하고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며,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되고, 미생물학적 분해에 대해 내성이 있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중 중합체 함량은 적어도 2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중량%이다. 예를 들어, 분산 또는 에멀젼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 함량이 보다 낮은 중합체 조성물은 보다 쉽게 용해되는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겔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중합체 함량이 보다 높은 중합체 생성물은 생성물의 로지스틱(logistic) 면에서 보다 비용적으로 효율적이다. 높은 중합체 함량은 미생물 안정성의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은 UL 어댑터가 있는 브룩필드 DVII T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NaCl 수용액 (1M)중 0.1중량% 고체 함량에서 측정된 표준 점도가 3 내지 6 mPas,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5.0 mPas의 범위일 수 있다.
중합체 조성물의 투여량은 < 20 kg/건조 슬러지 ton, 및 바람직하게는 > 1 kg/건조 슬러지 ton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중합체 조성물은 건조 슬러지 ton당 제공되는, 0.5 내지 3 kg,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kg의 양으로 슬러지에 첨가된다. 탈묵 슬러지의 경우, 중합체 조성물의 투여량은 건조 슬러지 ton당 제공되는, 0.4 내지 3 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kg의 범위일 수 있다. 슬러지 탈수처리에 필요한 중합체 조성물의 양은 유사한 통상적인 중합체와 동등하거나 바람직하게는 이것 미만이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르면, 예비-농축 단계 전 또는 후에, 벤토나이트, 실리카, 응집제(들), 중합체 응고제(들) 및/또는 무기 응고제(들)를 슬러지에 가할 수 있다. 응집제(들)은 음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폴리아크릴아미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중합체 응고제는 폴리아민 또는 폴리-DADMAC일 수 있고, 무기 응고제는 폴리알루미늄 클로라이드 황산제1철 또는 황산제2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단점들을 최소화하거나 심지어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처리 후 높은 고체 함량 및 양호한 여액(filtr -ate) 품질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심지어 높은 pH 및/또는 높은 전도도 및/또는 높은 양이온 요구량에서도, 슬러지 탈수처리에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실험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는 하기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기술된다.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장치 및 방법은 표 1에 제공된다.
유용한, 즉 장섬유 함량은 와이어 스레드(wire threads) 사이의 거리가 150 ㎛인, 150 ㎛ 와이어, 즉 100 메시 스크린에 대해 100 g의 슬러지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슬러지는 섬유를 제외한 다른 모든 물질이 세척될 때 까지 수돗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섬유를 와이어로부터 수집했고, 밤새 105℃의 오븐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섬유의 무게를 쟀다. 유용한 섬유 함량 (150 ㎛ 와이어)은 하기 식 (1)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슬러지의 중력 탈수성(gravity dewaterability)은 폴리테스트(Polytest)로 시험하였다. 슬러지 샘플은 공기 투과성(air permeability)이 5400 m3/m2h인 와이어 클로스를 바닥에 사용하여 10 cm 직경의 폴리테스트 실린더로 여과하였다. 스레드/cm는 13.0/5.9였다. 샘플 양은 비교되는 샘플 간에 항상 동일한, 200 내지 400g이었다. 중합체 조성물의 혼합은 배플 혼합 용기에서 모터 교반기로 수행하였다. 혼합 속도는 600 rpm이었고, 혼합 시간은 10초였다.
특성 | 장치/표준 |
pH | Knick Portamess 911 pH |
전하 밀도 | Mtek |
전도도 | Knick Portamess 911 Cond |
건조 고체 | SFS 3008 |
현탁된 고체 | SFS 3008 |
회분(525 °C) | ISO 1762 |
탁도 | HACH 2100AN IS 탁도계// ISO 7027 |
실시예에 사용된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폴리아민 (CAS# 25988-97-0 또는 CAS# 42751-79-1) 또는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CAS# 26590-05-6)였다.
제2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의 공중합체였다. 제2 중합체의 중합 전에, 수용액중 사용된 단량체, 제1 중합체, pH 조절제 (예: 아디프산, 시트르산), 연쇄전달제, 킬레이트화제, 레독스 개시제 및 열적 개시제는 질소로 탈기시켰다. 아크릴아미드 및 ADAM-Cl 단량체를 제1 호스트 중합체의 용액에 첨가했다. 수득된 반응 용액을 -3℃로 냉각시켰고, 레독스 개시제를 가한 다음, 유리 라디칼 중합 반응을 개시했다. 중합은 배치식 반응기에서 수행했고, 그것은 단열이었다. 중합 반응을 마친 후, 수득된 중합체 겔은 다짐육 가공기로 처리했고,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켰다. 건조 후, 중합체를 분쇄하여 건조 함량이 약 90 내지 93중량%인 분말을 수득하였다.
참조 조성물 R1, R2 및 R3은 아크릴아미드와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의 공중합체였다.
중합체 조성물 및 참조 조성물의 특성은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분류되었다.
분류 | ||||
중합체 특성 | 매우 낮음 | 낮음 | 중간 | 높음 |
표준점도, mPas | 3 - 4 | 3.5 - 4.5 | 4 - 5 | 4.5 - 5.5 |
전하 밀도, meq/g | 0.1 - 0.4 | 0.5 - 0.8 | 0.9 - 1.4 | - |
중합체 조성물 및 참조 조성물은 표 3에 정의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제1 중합체 |
제2 중합체,
전하, mol - % |
조성물
|
|||
유형* |
양,
중량- % |
전하,
mol - % |
전하 밀도,
meq /g dry |
표준 점도,
mPas |
||
R1 (참조) |
n.a. | 0 (n.a.) | n.a. | 1.5 | 0.2 | 6.1 |
R2(참조) | n.a. | 0 (n.a.) | n.a. | 5 | 0.6 | 4.9 |
R3(참조) | n.a. | 0 (n.a.) | n.a. | 10 | 1.2 | 4.0 |
R4(참조) | n.a. | 0 (n.a.) | n.a. | 5 | 0.6 | 4.2 |
C1 | E | 6 | 100% E | 1.5 | 0.5 | 5.3 |
C2 | E | 4 | 100% E | 1.5 | 0.5 | 4.8 |
C3 | E | 8 | 100% E | 1.5 | 0.5 | 4.3 |
C4 | E | 6 | 100% E | 5 | 0.9 | 5.6 |
C5 | E | 6 | 100% E | 10 | 1.5 | 4.9 |
D1 | F | 4 | 15 | 1.5 | 0.3 | 4.2 |
D2 | F | 6 | 15 | 1.5 | 0.3 | 4.3 |
D3 | F | 6 | 15 | 10 | 1.3 | 5.3 |
D4 | F | 6 | 15 | 5 | 0.7 | 4.8 |
D5 | F | 8 | 15 | 1.5 | 0.3 | 4.0 |
* E = 폴리아민, (CAS# 25988-97-0 또는 CAS# 42751-79-1), F = 아크릴아미드와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의 공중합체
사용된 슬러지
실시예 1 내지 4에 사용된 탈묵 펄프(deinking pulp) (DIP)의 특성이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에 사용된 혼합 슬러지의 특성이 또한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시험 (a) |
실시예
5,
시험 (b) |
|
pH | 7.7 | 7.53 | 7.51 | 7.4 | 7.7 | 7.9 |
전하 밀도, μeq/l | -410 | -270 | -1385 | -1562 | -780 | -1080 |
전도도, mS/cm | 3.92 | 3.69 | 3.20 | 3.22 | 1.5 | 2.0 |
건조 고체; % | 2.95 | 2.52 | 2.74 | 2.58 | 1.5 | 1.6 |
현탁된 고체, % | 2.3 | - | 2.23 | 2.01 | 1.4 | 1.5 |
유용한 섬유 (150 μm 와이어), % | 11.35 | 9.47 | 9.89 | 12.82 | 8.3 | 5.5 |
회분 (525 °C), % | 63.55 | 65.63 | 61.55 | 58.67 | 43 | 37 |
실시예 1
탈묵 펄프 (DIP) 슬러지는 재생지의 가공 및 펄프화에서 생성된 슬러지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뉴스프린트 DIP 슬러지의 탈수처리 과정을 모의하는 것이다. 측정된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로 투여하기 전에 0.1% 농도로 희석시켰다. 탈수처리 속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테스트로 시험하였다. 중합체 조성물 투여량은 1.0 및 1.5 ㎏/건조 슬러지 t이었다. 슬러지 샘플 양은 400 g이었다. 배수된 물의 양은 10 및 25초 후에 측정하였다. 폴리테스트 후, 슬러지는 5바아의 압력으로 60초 동안 Afmitec Friesland B.V.™ 미니프레스로 압착시켰다. 슬러지의 건조 고체 함량은 압착 후 측정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는 표 5에 제시되어 있다.
표 5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고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은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참조 중합체보다 압착후 더 높은 건조 고체 함량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한 탈수처리, 10 및 25초 후 배수를 성취하였다. 이들 요인은 모두 공업적 규모의 효과적인 슬러지 탈수처리에 유용하다.
중합체 조성물 |
중합체 투여량
[kg/t DS ] |
배수
10 s
[g] |
배수
25 s
[g] |
압착후 건조 고체, [ % ] |
R3 (참조) | 1.0 | 225.5 | 288.8 | 58.8 |
C5 | 1.0 | 255.2 | 305.8 | 60.2 |
R3 (참조) | 1.5 | 293.8 | 315.5 | 58.6 |
C5 | 1.5 | 306.5 | 318.5 | 60.7 |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뉴스프린트 DIP 슬러지의 탈수처리 과정을 모의하는 것이다. 측정된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로 투여하기 전에 0.1% 농도로 희석시켰다. 탈수처리 속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테스트로 시험하였다. 중합체 투여량은 0.9 ㎏/건조 슬러지 t이었다. 슬러지 샘플 크기는 400 g이었다. 배수된 물의 양은 10 및 25초 후에 측정하였다. 현탁된 고체 함량은 배수된 물로부터 측정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는 표 6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배수 10초
[g] |
배수 25초
[g] |
반류수
SS
[mg/l] |
R2 (참조) | 270.7 | 324.6 | 784.3 |
D4 | 298.0 | 329.5 | 689.6 |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낮은 전하 밀도 및 중간 표준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공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참조 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반류수 품질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한 탈수처리를 성취하였다. 이들 요인은 모두 공업적 규모의 효과적인 슬러지 탈수처리에 유용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뉴스프린트 DIP 슬러지의 탈수처리 과정을 모의하는 것이다. 측정된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로 투여하기 전에 0.1% 농도로 희석시켰다. 탈수처리 속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테스트로 시험하였다. 중합체 투여량은 1.0 및 1.5 ㎏/건조 슬러지 t이었다. 슬러지 샘플 크기는 400 g이었다. 배수된 물의 양은 10 및 25초 후에 측정하였다. 현탁된 고체 함량은 배수물로부터 측정되었다. 폴리테스트 후, 슬러지는 5바아의 압력으로 60초 동안 Afmitec 미니프레스로 압착시켰다. 슬러지의 건조 고체 함량은 압착 후 측정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는 표 7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중합체 투여량
[kg/t DS ] |
배수 10초
[g] |
배수 25초
[g] |
반류수
SS
[mg/l] |
압착후DS [%] |
R1 (참조) | 1.0 | 259 | 324 | 952 | 56.6 |
C1 | 1.0 | 279 | 332 | 769 | 60.1 |
R1 (참조) | 1.5 | 305 | 338 | 756 | n.a. |
C1 | 1.5 | 324 | 341 | 535 | 58.9 |
표 7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고 매우 낮은 전하 밀도 및 낮은 표준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은 매우 낮은 전하 밀도 및 중간 표준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참조 중합체보다 압착후 더 높은 건조 고체 함량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한 탈수처리, 보다 양호한 반류수 품질을 성취하였다. 이들 요인은 모두 공업적 규모의 효과적인 슬러지 탈수처리에 유용하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뉴스프린트 DIP 슬러지의 탈수처리 과정을 모의하는 것이다. 측정된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4는 중합체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 및 상응하는 개별 중합체의 블렌드가 사용된 경우에 수득될 수 있는 차이를 제시하고 있다. 블렌드는 94중량%의 중합체 R1 및 6중량%의 폴리아민을 포함한다 (CAS# 25988-97-0 또는 CAS# 42751-79-1). 블렌드는 두 중합체 조성물 용액의 기계적 혼합에 의해 제조하였다.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로 투여하기 전에 0.1% 농도로 희석시켰다. 탈수처리 속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테스트로 시험하였다. 중합체 조성물 투여량은 0.75 및 1.0 ㎏/건조 슬러지 t이었다. 슬러지 샘플 크기는 200 g이었다. 배수된 물의 양은 5초 후에 측정하였다. 탁도(Tubidity) 및 현탁 고체 함량은 배수된 물로부터 측정하였다. 이들 실험 결과는 표 8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중합체 투여량 [kg/t DS ] |
배수 5초
[g] |
반류수 탁도, [NTU] |
반류수
SS
[mg/l] |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 + 폴리아민의 블렌드 (참조) | 0.75 | 135 | 5245 | 1949 |
C1 | 0.75 | 141 | 4300 | 1731 |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R1 + 폴리아민의 블렌드 (참조) | 1.0 | 144 | 3105 | 1392 |
C1 | 1.0 | 148 | 1536 | 1004 |
표 8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고 매우 낮은 전하 밀도 및 낮은 표준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은 조성물 성분에 상응하는 개별 중합체의 블렌드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보다 신속한 탈수처리 및 보다 양호한 여액 품질을 성취하였고, 이는 공업적 규모의 효과적인 슬러지 탈수처리에 유용하다. 실시예 4는 중합체 조성물의 사용으로 유사한 개별 성분을 포함하는 블렌드의 사용에 비해 뜻밖의 이점을 제공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5
혼합 슬러지는 유출물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슬러지를 나타내고, 그것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슬러지를 함유한다. 본 실시예는 1차 침전조 슬러지 및 생물학적 슬러지를 포함하는 혼합 슬러지의 탈수처리 과정을 모의하는 것이다. 두 개의 상이한 혼합 슬러지를 사용하는 두 시험, 시험 (a) 및 시험 (b)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실시예 5에 사용된 중합체 조성물 특성 및 그들의 특성은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C-inv에서,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전하 밀도가 약 7 meq/건조 g인,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축합 공중합체였다. 제1 중합체는 건조된 총 중합체성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6중량%의 양으로 최종 중합체 조성물에 존재하였다. 제2 중합체는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였고, 제2 중합체에 대한 단량체 양은 표 9에 제시되어 있다.
참조 중합체 C-ref1 및 C-ref2는 아크릴아미드 및 ADAM-Cl의 공중합체였다.
중합체 |
아크릴아미드 양
[ mol - % ] |
ADAM-Cl 양
[ mol - % ] |
중합체 조성물 | |
표준점도 [mPas] |
전하밀도
[ meq /g dry] |
|||
C-inv | 95 (제2 중합체) | 5 (제2 중합체) | 4.2 | 1.33 |
C-ref1(참조) | 95 | 5 | 4.2 | 0.6 |
C-ref2(참조) | 95 | 5 | 4.9 | 0.6 |
중합체 조성물은 슬러지로 투여하기 전에 0.2% 농도로 희석시켰다. 탈수처리 속도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폴리테스트로 시험하였다. 중합체 조성물 투여량은 7.0 ㎏/건조 슬러지 t이었다. 슬러지 샘플 크기는 500 g이었다. 배수된 물의 양은 10 및 25초 후에 측정하였다. 탁도는 배수된 물로부터 측정하였다.
시험 (a)
슬러지는 40용적%의 생물학적 슬러지 및 60용적%의 1차 침전조 슬러지로 이루어졌다. 혼합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결과는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중합체 투여량 [kg/t DS ] |
배수 10초
[g] |
배수 25초
[g] |
반류수
탁도,
[NTU] |
C-ref1(참조) | 7.0 | 229 | 287 | 104 |
C-inv | 7.0 | 245 | 321 | 53 |
시험 (b)
시험 (a)를 반복하되, 슬러지를 바꾸었고, 60용적%의 생물학적 슬러지 및 40용적%의 1차 침전조 슬러지로 이루어졌다. 혼합 슬러지 특성은 표 4에 제시되어 있다. 결과는 표 10에 제시되어 있다.
중합체 조성물 |
중합체 투여량
[kg/t DS ] |
배수 10초
[g] |
배수 25초
[g] |
반류수
탁도,
[NTU] |
C-ref1(참조) | 9.0 | 108 | 159 | 145 |
C-ref2(참조) | 9.0 | 66 | 109 | 155 |
C-inv | 9.0 | 313 | 418 | 42 |
표 10 및 표 1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고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은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아크릴아미드의 공중합체보다 더 양호한 성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에 따르는 중합체 조성물은 참조 중합체보다 더 낮은 반류수 탁도뿐만 아니라, 보다 신속한 탈수처리, 10 및 25초 후 배수를 성취하였다. 통상적으로, 탈수처리는 생물학적 슬러지의 양이 혼합 슬러지에서 증가하는 경우에 어렵다. 그러나, 실시예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고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중합체 조성물은 심지어 혼합 슬러지중 생물학적 슬러지의 양이 높은 경우에도, 중간 전하 밀도 및 높은 표준 점도를 갖는 통상적인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의 참조 조성물보다 상당히 양호하게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요인은 모두 공업적 규모의 효과적인 슬러지 탈수처리에 유용하다.
본 발명이 현재 가장 실제적이고 바람직한 구현예로 보이는 것을 참조로 기술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상기 기술한 구현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상이한 변형 및 동등한 기술적 해결책을 또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Claims (16)
-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 예를 들어, 탈묵 슬러지(deinking sludge)를 탈수처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 방법은
- 수성상 및 상기 수성상에 현탁된 섬유 물질을 포함하는 수성 슬러지를 수득하는 단계,
- 상기 슬러지를 예비-농축 (pre-thickening) 단계에 적용시켜, 상기 수성상의 제1 부분을 상기 슬러지로부터 제거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슬러지를 압착 단계에 적용시켜, 상기 수성상의 제2 부분을 추가로 상기 슬러지로부터 제거하고, 건조 압착 슬러지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전하 밀도가 최대 1.7 meq/g, 바람직하게는 최대 1.5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대 1.1 meq/g이고,
- 전하 밀도가 pH 2.8에서 적어도 1.0 meq/g인 양이온성 합성 제1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아미드와 적어도 1개의 양이온성 제2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되는 공중합체인, 양이온성 제2 중합체 (상기 단량체의 총량으로부터 계산된 양이온성 단량체의 양은 2 내지 19중량%이고, 상기 제2 중합체는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의 존재하에 중합되며, 이때 상기 제1 중합체는 상기 제2 중합체보다 전하 밀도가 더 높다)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예비-농축 단계 전 또는 이 단계에 상기 수성 슬러지에 첨가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의 탈수처리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는 전하 밀도가 pH 2.8에서 1 내지 12 meq/g,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8 meq/g,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8 meq/g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가 폴리아민, 예를 들어,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디메틸아민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디메틸아민 및 에틸렌디아민의 공중합체, 선형 또는 가교-결합 폴리아미도아민, 폴리비닐아민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폴리(N-비닐포름아미드)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양이온성 제1 중합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가 아크릴아미드와, 라디칼 중합체 의해 수득되는,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인,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수득되고,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ADAM),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클로라이드,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MADAM),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단독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단량체의 양이 상기 중합체 조성물의 총 건조 중합체성 물질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1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 MW가 < 15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 100 000 g/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 50 000 g/mo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 20 000 g/mol임을 특징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제2 단량체가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ADAM), [2-(아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벤질클로라이드, 2-(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MADAM),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DAM-Cl),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설페이트, [3-(아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APTAC), [3-(메타크릴로일아미노)프로필] 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MAPTAC), 및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DADMAC)를 포함하는 군으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표준 점도가 3 내지 6 mPas, 바람직하게는 3.6 내지 5.0 mPas의 범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의 건조 중량으로부터 계산하여, 2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장섬유 물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가 무기 미네랄 입자를 포함하고, 525℃의 온도에서 표준 ISO 1762를 사용하여 측정된, 2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5%의 범위인 회분 함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가 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중량% 범위의 고체 함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조성물은 건조 슬러지 ton당 제공되는 5 내지 3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의 양으로 상기 슬러지에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압착 슬러지는 적어도 45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중량%의 고체 함량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의 상기 수성상이 200 - 2000 μeq/l 범위의 양이온 요구량(cationic demand) 및/또는 1 - 5 mS/cm 범위의 전도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I20165978A FI20165978L (fi) | 2016-12-16 | 2016-12-16 | Menetelmä veden poistamiseksi lietteestä |
FI20165978 | 2016-12-16 | ||
PCT/FI2017/050898 WO2018109280A1 (en) | 2016-12-16 | 2017-12-15 | Method for dewatering of sludge from a pulp, paper or board making proces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8987A true KR20190088987A (ko) | 2019-07-29 |
KR102453648B1 KR102453648B1 (ko) | 2022-10-12 |
Family
ID=60957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15155A KR102453648B1 (ko) | 2016-12-16 | 2017-12-15 |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의 탈수처리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10858782B2 (ko) |
EP (1) | EP3555007B1 (ko) |
KR (1) | KR102453648B1 (ko) |
CN (1) | CN110072818B (ko) |
AU (1) | AU2017378211B2 (ko) |
CA (1) | CA3042353A1 (ko) |
CL (1) | CL2019001502A1 (ko) |
FI (1) | FI20165978L (ko) |
PL (1) | PL3555007T3 (ko) |
RU (1) | RU2754937C2 (ko) |
WO (1) | WO201810928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608003A (zh) * | 2018-12-03 | 2019-04-12 | 太原工业学院 | 一种利用化学污泥制作工业填充料的方法 |
WO2023236185A1 (en) * | 2022-06-10 | 2023-12-14 | Kemira Oyj | Method for treating paper or board mill sludge for reus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3893A (ko) * | 1998-01-09 | 2001-04-25 | 존 필립 테일러 | 제지 산업에서 유래하는 슬러지의 탈수방법 |
KR20060081691A (ko) * | 2003-08-14 | 2006-07-13 | 스톡하우젠 게엠바하 | 분말형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용도 |
KR20060081690A (ko) * | 2003-08-14 | 2006-07-13 | 스톡하우젠 게엠바하 | 분말형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용도 |
KR20140088576A (ko) * | 2011-10-25 | 2014-07-10 | 날코 컴퍼니 | 이중 폴리머 개량에 의한 슬러지 탈수 |
WO2016030407A1 (en) * | 2014-08-29 | 2016-03-03 | Solenis Technologies, L.P. | Powdery water-soluble cationic polymer composition |
Family Cites Families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411444D0 (en) * | 1994-06-08 | 1994-07-27 | Cdm Ab | Dewatering of suspensions |
EP0773319A1 (en) * | 1995-11-08 | 1997-05-14 | Nalco Chemical Company | Method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polymers and copolymers of acrylamide as flocculants and retention aids |
DE19941072A1 (de) * | 1999-08-30 | 2001-03-01 | Stockhausen Chem Fab Gmbh | Polymerisatzusammensetzung und ei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
EP1379754A1 (en) * | 2001-04-16 | 2004-01-14 |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 Methods of treating subterranean zones penetrated by well bores |
CA2485954C (en) | 2002-05-15 | 2010-02-02 | Akzo Nobel N.V. | A water-soluble polymer dispersion and a method of producing a water-soluble polymer dispersion |
JP4174757B2 (ja) * | 2003-01-14 | 2008-11-05 | 栗田工業株式会社 | 汚泥脱水ケーキの臭気抑制方法 |
JP4498762B2 (ja) * | 2004-01-29 | 2010-07-07 | 友岡化研株式会社 | 有機凝結剤および高分子凝集剤 |
JP5042034B2 (ja) * | 2004-12-28 | 2012-10-03 | アクゾ ノーベル ナ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 ポリマー分散体及びポリマー分散体の調製方法 |
US8299183B2 (en) | 2004-12-28 | 2012-10-30 | Akzo Nobel N.V. | Polymer dispers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dispersion |
GB0702249D0 (en) * | 2007-02-05 | 2007-03-14 | Ciba Sc Holding Ag | Manufacture of paper or paperboard |
CN101037492A (zh) * | 2007-03-28 | 2007-09-19 | 中国石油大学(华东) | 反相乳液法制备规则分枝结构的丙烯酰胺共聚物的方法 |
SE531167C2 (sv) * | 2007-05-31 | 2009-01-07 | Kemira Oyj | Förfarande för behandling av slam vid vattenrening |
PT2419462E (pt) | 2009-04-17 | 2015-09-16 | Solenis Technologies Cayman Lp | Polímero bimolecular em emulsão inversa |
CN102477126A (zh) * | 2010-11-22 | 2012-05-30 | 袁连海 | 一种控制单体浓度的疏水性高分子絮凝剂的合成工艺 |
CN103011359A (zh) * | 2012-12-21 | 2013-04-03 | 山东大学 | 聚合氯化铝铁-二甲基二烯丙基氯化铵均聚物无机有机复合絮凝剂的制备方法 |
SI2801555T1 (sl) * | 2013-05-07 | 2017-02-28 | Omya International Ag | Prečiščevanje vode in odvodnjavanje blata z uporabo površinsko obdelanega kalcijevega karbonata in filosilikata, uporaba kombinacije površinsko obdelanega kalcijevega karbonata in filosilikata in kompozitnega materiala |
US9776900B2 (en) * | 2014-01-14 | 2017-10-03 | Buckman Laboratories International, Inc. | Use of celluloses in sludge dewatering, and sludge products thereof |
FI126972B (en) * | 2014-04-11 | 2017-08-31 | Kemira Oyj | Water soluble crosslinked block copolymers |
CN106715796B (zh) * | 2014-09-04 | 2019-12-13 | 凯米罗总公司 | 施胶组合物,其用途以及用于生产纸、纸板的方法 |
CN105820278B (zh) * | 2016-04-25 | 2017-07-21 | 陕西科技大学 | 一种聚合双丙烯酰胺基阳离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 |
ES2960387T3 (es) * | 2017-12-15 | 2024-03-04 | Kemira Oyj | Método para deshidratar lodos biológicos usando un floculante polimérico |
-
2016
- 2016-12-16 FI FI20165978A patent/FI20165978L/fi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7
- 2017-12-15 RU RU2019121555A patent/RU2754937C2/ru active
- 2017-12-15 CA CA3042353A patent/CA3042353A1/en active Pending
- 2017-12-15 EP EP17828943.5A patent/EP3555007B1/en active Active
- 2017-12-15 US US16/462,570 patent/US10858782B2/en active Active
- 2017-12-15 CN CN201780077437.7A patent/CN110072818B/zh active Active
- 2017-12-15 WO PCT/FI2017/050898 patent/WO2018109280A1/en unknown
- 2017-12-15 AU AU2017378211A patent/AU2017378211B2/en active Active
- 2017-12-15 KR KR1020197015155A patent/KR10245364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15 PL PL17828943T patent/PL3555007T3/pl unknown
-
2019
- 2019-06-03 CL CL2019001502A patent/CL2019001502A1/es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3893A (ko) * | 1998-01-09 | 2001-04-25 | 존 필립 테일러 | 제지 산업에서 유래하는 슬러지의 탈수방법 |
KR20060081691A (ko) * | 2003-08-14 | 2006-07-13 | 스톡하우젠 게엠바하 | 분말형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용도 |
KR20060081690A (ko) * | 2003-08-14 | 2006-07-13 | 스톡하우젠 게엠바하 | 분말형 수용성 양이온성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용도 |
KR20140088576A (ko) * | 2011-10-25 | 2014-07-10 | 날코 컴퍼니 | 이중 폴리머 개량에 의한 슬러지 탈수 |
WO2016030407A1 (en) * | 2014-08-29 | 2016-03-03 | Solenis Technologies, L.P. | Powdery water-soluble cationic polymer composi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42353A1 (en) | 2018-06-21 |
WO2018109280A1 (en) | 2018-06-21 |
FI20165978L (fi) | 2018-06-17 |
CN110072818B (zh) | 2022-03-25 |
RU2019121555A (ru) | 2021-01-18 |
KR102453648B1 (ko) | 2022-10-12 |
EP3555007A1 (en) | 2019-10-23 |
RU2754937C2 (ru) | 2021-09-08 |
US10858782B2 (en) | 2020-12-08 |
CL2019001502A1 (es) | 2019-09-27 |
RU2019121555A3 (ko) | 2021-03-17 |
BR112019008745A2 (pt) | 2019-07-09 |
PL3555007T3 (pl) | 2021-07-26 |
US20200063340A1 (en) | 2020-02-27 |
CN110072818A (zh) | 2019-07-30 |
AU2017378211A1 (en) | 2019-06-06 |
AU2017378211B2 (en) | 2021-12-16 |
EP3555007B1 (en) | 2021-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54086B2 (en) | Dewatering process | |
KR101904358B1 (ko) | 향상된 보류 및 배수 특성을 갖는 종이 및 판지 제조 방법 | |
KR102467163B1 (ko) | 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용도 | |
DE60311467T2 (de) | Dispersion von wasserlöslichem polymer,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nd verwendungsverfahren dafür | |
JP2003504476A (ja) | 高分子量双性イオン性ポリマー | |
EP0717056A2 (en) | An aqueous dispersion of an amphoteric water-soluble polym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a treating agent comprising the same | |
KR100853926B1 (ko) | 양성 수용성 고분자 분산액 및 그 사용방법 | |
KR100213669B1 (ko) | 수성 현탁물의 탈수방법 | |
US7749392B2 (en) | Dewatering process | |
NZ532798A (en) | High molecular weight cationic and anionic polymers comprising zwitterionic monomers | |
KR102453648B1 (ko) | 펄프, 종이 또는 보드 제조 공정으로부터 슬러지의 탈수처리 방법 | |
JP2002540941A (ja) | 浄化、脱水および保持かつ排水を補助する、より高活性な分散ポリマー | |
JP7259188B2 (ja) | 溶解ガス浮上分離によって水性フィード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 | |
JP2017209651A (ja) | 紙パルプ汚泥の処理方法 | |
BR112019008745B1 (pt) | Método para desidratação de lodo a partir de um processo de fabricação de polpa, papel ou papelão | |
JP2011115779A (ja) | パルプ製造排水の処理方法 | |
WO2022269131A1 (en) | A treatment system, its use and method for treating effluent and/or sludge | |
WO2015162187A1 (en) | Dewatering of sludge | |
KR20050093731A (ko) | 키토산계 양이온성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분산액의제조방법 및 그 사용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