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2152A -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 Google Patents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72152A KR20190072152A KR1020170173269A KR20170173269A KR20190072152A KR 20190072152 A KR20190072152 A KR 20190072152A KR 1020170173269 A KR1020170173269 A KR 1020170173269A KR 20170173269 A KR20170173269 A KR 20170173269A KR 20190072152 A KR20190072152 A KR 201900721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ventilation
- hole
- ventilation hole
- li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4—Ventilating
- E04H15/16—Ventilating of tent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풍 기능이 있는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의 상단에는 망이 쳐져있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에는 덮개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텐트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having a ventilation func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hav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a tent and a ventilation hole formed at a top of the ventilation opening to open and close the ventilation hole, .
일반적으로 텐트(Tent)는 야외에서 야영을 할 때 비, 바람 따위를 막거나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기둥을 세우고 포장 천을 씌워 막처럼 지어놓은 것으로서, 옛날에는 여러 가지의 천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합성섬유 제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In general, a tent is a film made by using various cloths in the past when camping outdoors, to block rain, to block the wind or to block the sun, Synthetic fiber products are the mainstream.
더욱이, 합성섬유 텐트에는 방수코팅이 이루어져 텐트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없는 구조이므로 수시로 지퍼 달린 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synthetic fiber tent has a waterproof coating, the inside air of the tent can not be ventilated.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that the zippered door should be opened and ventilated at times.
종래에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2468호 "텐트"(선행기술1) 및 공개실용신안 제20-2017-0003590호 "텐트 조립체"(선행기술2)가 제안된 바 있다.In the prior art, a "tent" (prior art 1) and a "tent assembly" (prior art 2) of a public utility model 20-2017-0003590 have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1은 "텐트천과 적어도 두 개의 폴을 구비하는 텐트로서, 설치서부터 중간모드를 거쳐 수납모드로 해체되거나, 그 역으로 설치되며, 설치모드에서, 적어도 두 개의 폴은 텐트천을 기립되게 지지하여 하부에 실내 공간을 형성하고, 중간모드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폴은 나란히 포개지고, 수납모드에서는, 서로 나란히 포개진 두 개의 폴은 중간모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곡률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감겨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이다.The prior art 1 discloses a tent with tent rafts and at least two pawls, which is disassembled from the installation to the storage mode via the intermediate mode or vice versa, and in the installation mode, at least two pawls support the tent And in the intermediate mode, at least two of the pawls are overlapped side by side, and in the storage mode, the two pawls juxtaposed to each other are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a relatively larger curvature as compared with the intermediate mode Quot; tent "
상기 선행기술2는 "텐트 조립체로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본체부가 소정 형상을 유지하며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지지폴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 외측에는 전단 또는 후단으로 연장되어 차량에 결속시키기 위한 연장부가 구비되는 텐트 조립체"이다.The prior art 2 is a tent assembly comprising: a main body for forming a space therein; and at least one support pawl provided on the main body for supporting and supporting a predetermined shape of the main body, And a tent assembly that extends outwardly or forwardly and has an extension for engaging the vehicle.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1은 십자형태를 이루고 있는 복수개의 폴을 집게 혹은 가위 방식으로 포개거나 펼쳐, 설치모드, 중간모드, 수납모드로 변형되는 텐트를 구성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고,However, in the prior art 1 , a plurality of cross-shaped pawls are folded or unfolded in a clamping or scissoring manner to constitute a tent which is transformed into an installation mode, an intermediate mode, and a storage mod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tent However,
상기 선행기술2는 차량에 연결된 텐트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어, 텐트를 안정감 있게 설치할 수 있고, 텐트를 설치할 때 도구가 필요 없어 편리성과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한 텐트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므로,The prior art 2 is a technique related to a tent assembly that can prevent the flow of a tent connected to a vehicle and can provide a stable tent and can provide convenience and stability since a tool is not required to install the tent,
본원발명과 같이, 텐트의 상단에는 덮개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 통기구가 형성되어 텐트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은 찾아볼 수 없었다.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 there is no technique to ventilate the interior air of the tent by forming a ventilation hole formed in the top of the tent so as to cover and cover the ventilation open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텐트의 상단에는 망이 쳐져있는 통기구가 형성되고, 통기구에는 덮개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텐트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통풍 기능이 있는 텐트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system having ventilation openings for ventilation of ventilation inside a tent, It is in providing a functional t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텐트(10)의 상부 지붕에는 통기구(11)가 형성되고, 통기구(11)에는 덮개(20)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덮개(20)의 중앙에는 축 볼트(2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고, 축 볼트(21)는 통기구(11)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링(12)을 관통하여 너트(22)의 조임으로 결합되어, 덮개(20)가 통기구(11)에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이 있는 텐트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텐트(10)의 상부 지붕에 형성된 통기구(11)에는 덮개(20)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덮개(20)를 열면 통기구(11)를 통해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어, 텐트(10)의 실내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20)가 통기구(11)에 씌워져 있는 경우에도 간격유지구(23)를 축 볼트(21)에 결합키면 간격유지구(23)에 의하여 덮개(20)가 통기구(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덮개(20)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고기능성의 통풍기능 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10)의 상부 지붕에는 통기구(11)가 형성되어 있고, 통기구(11)에는 망(網)이 쳐져있어 곤충들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기구(11)에는 덮개(20)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a
상기 덮개(20)의 중앙에는 축 볼트(21)가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축 볼트(21)는 통기구(11)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링(12)을 관통하여 너트(22)의 조임으로 결합되어, 덮개(20)가 통기구(11)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
상기 축 볼트(21)에는 관으로 구성된 간격유지구(23)가 결합되어 있고, 도 4a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유지구(23)에 의하여 덮개(20)가 통기구(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덮개(20)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4A and 4B, the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텐트(10)의 상부 지붕에 형성된 통기구(11)에는 덮개(20)가 씌워져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덮개(20)를 열면 통기구(11)를 통해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어, 텐트(10)의 실내환경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덮개(20)가 통기구(11)에 씌워져 있는 경우에도 간격유지구(23)를 축 볼트(21)에 결합키면 간격유지구(23)에 의하여 덮개(20)가 통기구(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덮개(20)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equivalents may be resorted 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텐트
11 : 통기구
12 : 가이드링
20 : 덮개
21 : 축볼트
22 : 너트
23 : 간격유지구10: Tent
11: Vents
12: Guide ring
20: Cover
21: Axial bolt
22: Nut
23:
Claims (2)
A ventilation hole 11 is formed in an upper roof of the tent 10 and a cover 20 is installed on the ventilation hole 11. A shaft bolt 2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lid 20 And the shaft bolt 21 is coupled through a guide ring 12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nt hole 11 by tightening the nut 22 so that the lid 20 is installed in the vent hole 11. [ Tent with ventilation.
상기 축 볼트(21)에는 관으로 구성된 간격유지구(23)가 결합되고, 간격유지구(23)에 의하여 덮개(20)가 통기구(11)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덮개(20)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텐트(10)의 내부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 기능이 있는 텐트.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aft bolt 21 is provided with a gap holding hole 23 made of a tube and the cover 20 is provided at a certain interval in the air hole 11 by the gap holding hole 23, Wherein the air in the tent (10) is ventilated even in the state of the tent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269A KR20190072152A (en) | 2017-12-15 | 2017-12-15 |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3269A KR20190072152A (en) | 2017-12-15 | 2017-12-15 |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72152A true KR20190072152A (en) | 2019-06-25 |
Family
ID=67065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3269A KR20190072152A (en) | 2017-12-15 | 2017-12-15 |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72152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2712B1 (en) | 2023-03-31 | 2024-10-04 | 안형준 | Tent |
-
2017
- 2017-12-15 KR KR1020170173269A patent/KR20190072152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12712B1 (en) | 2023-03-31 | 2024-10-04 | 안형준 | Ten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51115B2 (en) | Vent sealing device and system | |
US20190249439A1 (en) | Vent and flashing system | |
KR20190072152A (en) | A tent, ventilation functions | |
KR101911530B1 (en) | Safety ventilation structure of outdoor tent | |
KR101188018B1 (en) | Tarp | |
US20090145153A1 (en) | Air conditioner cover | |
US10612266B2 (en) | Camping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hammock inside a camping tent | |
CA2396298A1 (en) | One piece louver vent | |
CN201771103U (en) | Wall plate for tent or movable house and movable living device | |
KR20130002273U (en) | Commodius one-touch type tepee tent | |
US20090101189A1 (en) | Baby carrier/stroller canopy | |
US6735790B1 (en) | Vent stack screen for portable toilet holding tanks | |
CN101915011B (en) | Movable living device | |
US6796100B1 (en) | Roof venting and cover assembly | |
US20120175369A1 (en) | Deck storage bin system | |
KR200493368Y1 (en) | Indian tent for glamping | |
KR101923307B1 (en) | Module type tent | |
CN201763042U (en) | Ventilation tent | |
JP5054304B2 (en) | Ventilation box and waist wall ventilation structure | |
KR200467934Y1 (en) | Tarp for camping | |
JP3208097U (en) | Simple building and connecting bracket | |
KR102233435B1 (en) | Tent | |
CN219344238U (en) | Car tail tent | |
KR200275224Y1 (en) | Air tent | |
KR20240000808U (en) | portable vinyl t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