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269A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Google Patents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52269A KR20190052269A KR1020170147799A KR20170147799A KR20190052269A KR 20190052269 A KR20190052269 A KR 20190052269A KR 1020170147799 A KR1020170147799 A KR 1020170147799A KR 20170147799 A KR20170147799 A KR 20170147799A KR 20190052269 A KR20190052269 A KR 201900522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ble
- rotation
- link member
- lever member
- actu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 B60N2/023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전동방식을 통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seat f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ar seat f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folding or unfolding a seatback through a transmission system.
일반적으로 승용차량은 프론트 시트 뒤쪽에 1열의 리어시트만이 설치되지만, RV 차량를 비롯한 승합차량의 경우에는 2열 내지 3열 이상의 리어시트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짐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는 별도의 폴딩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에, 상기 폴딩 장치를 조작하여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는 동시에 시트쿠션상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후면 즉, 폴딩된 상태의 시트백 상면은 트렁크 공간과 하나로 이어지는 적재공간이 된다.Generally, only one rear sea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eat of a passenger car, but two or three or more rear seats are provided for a companion vehicle including an RV vehicle. A separate fold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ar row of two to three rows so as to utilize the rear row of the two or three rows as a space for loading the passenger without loading the passenger. Thus, by operating the folding device, the seatback is folded forwar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at cushion, whereby the rear surface of the seatback, that is, the folded upper surface of the seatback becomes a loading space leading to the trunk space.
이러한, 리어시트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448117호(2004.09.01)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리어시트는 리어 시트쿠션과 리어 시트백을 용이하게 폴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리어 시트백을 리어 시트쿠션으로 접고, 다시 리어 시트쿠션을 프론트시트백의 바로뒤에 위치되도록 접어서, 뒤쪽의 공간을 적재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This prior art related to the rear se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0448117 (September 01, 2004) "rear seat folding structure for an automobile" has been disclosed. The rear seat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for folding and fixing the rear seat cushion and the rear seat back easily by folding the rear seatback into a rear seat cushion and folding back the rear seat cushion to be positioned just behind the front seatback, As a loading space.
그러나, 종래의 리어시트는 리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폴딩된 리어 시트백을 언폴딩된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수동조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인 외력을 요구하게 된다. 즉, 일반적인 성인에 비해 비교적 체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은 종래의 리어시트를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ar seat requires a physical external force by the user because it requires direct manual operation of the user in order to fold the rear seat back or restore the folded rear seat back to the unfolded state.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for an elderly person, a child, a handicapped or the like having a relatively weak physical strength compared to a general adult to fold or unfold a conventional rear seat.
또한, 종래의 리어시트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리어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트백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기 위한 방법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여 시트백을 폴딩 또는 언폴딩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ear seat has to fold or unfold the rear seatback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it is very difficult for a user who is new to folding or unfolding the seatback to perform such a process to fold or unfold the seatback There was a difficult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구조 및 언폴딩시키는 구조 모두 전동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r seat fold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which can be folded and folded in a rear sea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는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프레임에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폴딩수단;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rear seat folding apparatus comprising: folding means for pivotally connecting a seat back frame to a seat cushion frame of a rear seat to fold or unfold the seat back; A switching unit for releasing a locking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locked in a locked st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enable rotation of the seatback fram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release the hooking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then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to rotate the seatback frame.
그리고, 상기 폴딩수단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부에 제1걸림구간 및 제2걸림구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상기 제2걸림구간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타측에 연결홈이 마련되는 회동방지부;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신축되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홈에 출입하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기 리클라이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The folding unit includes: a base bracket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the base bracket having a first engaging section and a second engaging secti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recliner mounted on the seat back frame and having one end pivotally hinged to the base bracket; A rotation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lin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or the second locking portion on one side and the connec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liner, connected to a link member adjusting cable extending and retracted by the switching unit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connecting groove at one side thereof; And a drive unit for rotating the recliner in which the engageme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released through the control portion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이때,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돌기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회동방지부의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동방지부를 밀어올리면서 상기 회동방지부의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제2걸림구간으로부터 이격시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inking protrusion of the link member is rotated while the link member is rotated as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is pulled, pushing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t is possible to disengage the latching projection of the upwardly projecting portion from the first latching portion or the second latching portion.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일측에 마련된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신축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한다.The switching unit may include: an actuator that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expand and contract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provided at one side;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rear seat; And a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connected to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at one end thereof while being pivotally connected with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at the other end thereof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And a lever member for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lever member.
이러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ev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rotrusion to which the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is connected; And a second extension protrusion to which the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and another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are connected.
이때, 상기 제1연장돌기와 상기 제2연장돌기는 상호 대칭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xtend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rotrusion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re symmetrically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한다.The link member control cable may include an external cable; And an inner cable stretchable from an end of the outer cable.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 fixing one end of the outer cable of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so that the inner cable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bracke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topper for interrupting a turning path of the lever member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한편,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bracket fixed to the rear seat and to which the actuator is fixed.
그리고,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한다.The lever member adjustment cable may include an external cable; And an inner cable stretchable from an end of the outer cable.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 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될 수 있다.The actuator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 fixing one end of the outer cable of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so that the inner cable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그리고,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어; 상기 리클라이너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고정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xed gear fixed to the base bracket; A motor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cliner and generates driving force through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 rotary gear fix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engaged with the fixed gear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rotate the recliner while moving along the fixed gea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actuator and the motor; And a switch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actuator and the motor.
이러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2버튼;을 포함한다.The switch includes a first button for transmitting an actuating signal for actuating the actuator to the controller and a forward rotation signal for forward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 second button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actuator to the controller and a reverse rotation signal for rotating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내부케이블이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internal cable of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so as to complete the folded state of the seatback frame through the switch, or to complete the state in which the folded state of the seatback frame has been reversely un- It is preferable to operate the actuator so as to achieve the unlock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에 의하면, 전동방식을 이용한 폴딩수단을 통해 자동적으로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전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도 힘들이지 않고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쉽게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rear seat fold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no external force is required by the user by folding or unfolding the seat back of the rear seat automatically through the folding means using the transmission system, the elderly person, the child, The seatback of the rear seat can be easily folded or unfolded without difficulty.
그리고, 사용자는 스위치 조작방식을 통해 시트백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시트백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시트백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켜 폴딩된 상태를 이루게 하거나 타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언폴딩된 복원상태를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리어시트의 시트백은 스위치 조작방식을 통해 자동적으로 폴딩되거나 언폴딩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수동적인 방법을 숙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 user release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for preventing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via the switch operation mode so that the seat back can be rotated, and the seat back is automatically rotated in one direction to achieve a folded state So that the unfolded restored state can be achieved. That is, since the seat back of the rear seat is automatically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switch operation mode, the user does not have to know the passive method for folding or unfolding the seat back of the rear seat as in the conventional manner, Can be improved.
또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단일의 폴딩수단을 이용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것은 물론, 언폴딩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기존에 비해 전동부품을 줄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이에 의한 전동부품의 컴팩트화에 따라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폴딩수단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seat back can be folded and unfolded using a single folding means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control portion,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electric part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according to the compactness, and it is very easy to install the folding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의 전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구동유닛에 의해 리클라이너가 폴딩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신축됨에 따라 회동되는 레버부재에 의해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신축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rear sea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whole of a rear seat fold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releasing the locking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rotating the recliner. Fig.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recliner is folded by the drive unit.
5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in which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is expanded and contracted by a lever member which is rotated as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is stretch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딩수단(110), 스위칭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The rear seat fold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폴딩수단(110)은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는 구성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 리클라이너(113), 회동방지부(115), 링크부재(117) 및 구동유닛(119)을 포함한다.The folding means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베이스 브라켓(1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브라켓(111)은 볼팅방식 등을 통해 시트쿠션 프레임(20)에 장착될 수 있다.The
베이스 브라켓(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바람직하게는 상부에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이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은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제1걸림구간(111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간격만큼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제2걸림구간(111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면을 따라 소정간격만큼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걸림구간(111a) 및 제2걸림구간(111b)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걸림구간(111a)의 형태와 제2걸림구간(111b)의 형태가 같거나 반대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릴 수 있도록 후크 형태 등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여기서, 제1걸림구간(111a)에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게 될 경우,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이 방지될 수 있고, 제2걸림구간(111b)에 후술할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걸리게 될 경우, 시트백 프레임(30)의 언폴딩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구조나 걸림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When the
리클라이너(1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 일측에 장착되어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클라이너(113)는 볼팅방식 등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The
리클라이너(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바람직하게는 하부가 전술한 베이스 브라켓(111)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3, the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시트백 프레임(30)과 일체를 이루는 상태로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을 내재하는 시트백은 리클라이너(113)의 회동에 따라 폴딩되거나 언폴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동방지부(115)는 전술한 베이스 브라켓(111)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3, the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에 걸림돌기(115a)가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걸림돌기(115a)는 전술한 제1걸림구간(111a) 또는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리는 구성요소로, 예컨대, 제1걸림구간(111a)과 상호 치합되는 톱니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15a)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걸림구간(111a)의 톱니들 중 하나의 톱니에 걸리는 돌기형태나 제2걸림돌기(115a)에 상호 보완적인 형태를 갖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cking
회동방지부(1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즉 상부에 연결홈(115b)이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연결홈(115b)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후술할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와 연결되는 구성으로, 회동방지부(115)의 일측이 개방된 홈형태, 바람직하게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회동방지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회동방지부(115)는 후술할 링크부재(117)에 의해 제1걸림구간(111a) 또는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림상태로 잠금되어 리클라이너(113)의 회동을 방지할 수 있고, 링크부재(117)에 의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링크부재(117)의 작동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Here, the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1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링크부재(117)는 전술한 회동방지부(115)의 상부측에 배치되고,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은 통상적인 스로틀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를 마련하는 외부케이블(121) 및 외부케이블(121)의 내부에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123)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케이블(123)은 외부케이블(121)의 양측에 제각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되, 일방향을 따라 연동 이동된다. 즉, 외부케이블(121)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일측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이와 연동되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2 to 5, the link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구성을 바탕으로, 링크부재(117)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oper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링크부재(117)의 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중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의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재(117)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이 신축됨에 따라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An end portion of the
링크부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전술한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출입하는 연결돌기(117a)가 마련될 수 있다.3, the
연결돌기(117a)는 회동방지부(115)를 밀어 올리기 위하여 전술한 연결홈(115b)에 출입될 수 있는 구성으로, 회전방지부의 연결홈(115b)이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117a)는 링크부재(117)가 회동함과 동시에 회동되면서 전술한 연결홈(115b)에 출입될 수 있다. The
여기서, 링크부재(117)에 의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작동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state of the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1걸림구간(111a)에 배치되고, 이때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일부분을 가압하게 됨에 따라 걸림돌기(115a)가 제1걸림구간(111a)에 걸리는 걸림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3의 (a)는 리클라이너(113)의 폴딩이 방지되는 장금상태를 말한다.3 (a), the locking
이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당겨 링크부재(117)를 일측방향, 즉 연결홈(115b)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는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회동방지부(115)를 지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는 제1걸림구간(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상태를 이루던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 즉 폴딩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b), the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2걸림구간(111b)에 배치되고, 이때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일부분을 가압하여 걸림돌기(115a)가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리도록 한 잠금상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3의 (c)는 리클라이너(113)의 언폴딩이 방지되는 장금상태를 말한다.3 (c), the locking
이 경우, 전술한 도 3의 (b)를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당겨 링크부재(117)를 일측방향, 즉 연결홈(115b)이 형성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회전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는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회동방지부(115)를 지지하게 되고, 더 나아가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는 제2걸림구간(111b)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상태를 이루던 리클라이너(113)가 회동가능한 상태, 즉 언폴딩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다.3 (b), the
구동유닛(119)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기어(119a), 모터(119b) 및 회전기어(119c)를 포함한다.The
고정기어(119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모양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기어로, 바람직하게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기어(119a)는 베이스 브라켓(111)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기어(119a)는 별도의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로 베이스 브라켓(111)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The fixed
모터(119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리클라이너(113)와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모터(119b)는 별도의 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로 리클라이너(113)에 일체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모터(119b)는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회전기어(119c)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하여 리클라이너(113)를 회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회전기어(119c)와 함께 설명한다.The
회전기어(119c)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모양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돌기가 형성된 기어로, 바람직하게는 평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회전기어(119c)는 전술한 고정기어(119a)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작게 형성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작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회전기어(119c)는 전술한 모터(119b)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고정기어(119a)와 치합된 상태를 이룬다. 이러한, 회전기어(119c)는 모터(119b)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여기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리클라이너(113)가 회동하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an ope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먼저, 모터(119b)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이 발생되어 회전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회전기어(119c)가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기어(119c)는 고정기어(119a)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회전하면서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도 4의 (b)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113)는 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그리고, 모터(119b)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력이 발생되어 회전축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와 연동하여 회전기어(119c)가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회전기어(119c)는 고정기어(119a)에 치합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회전하면서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리클라이너(113)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유닛(119)에 의해 도 4의 (a)와 같은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113)는 언폴딩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When power is applied to the
이와 같은,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전동방식의 폴딩수단(110)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되는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The
스위칭부(130)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 고정브라켓(133) 및 레버부재(135)를 포함한다.The
액츄에이터(131)는 후술할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신축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구성으로, 예컨대, 전기, 유압, 압축 공기 등을 사용하는 원동기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체(流體) 에너지를 이용한 원동기로 구성될 수 있다.The
액츄에이터(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은 스로틀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를 마련하는 외부케이블(141) 및 외부케이블(141)의 내부에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143)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케이블(143)은 전술한 액츄에이터(131)의 작동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2 and 5, the lever
액츄에이터(131)는 리어시트(10)의 시트쿠션 프레임(20) 또는 시트백 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The
한편, 스위칭부(130)는 상기 리어시트(10)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되고, 일단에 후술할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 일측 단부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7a);이 마련될 수 있다.The
고정홈(137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의 일부분이 절곡된 부분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홈(137a)은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케이블(143)을 고정된 외부케이블(141)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하게 할 수 있다.5, the fixing
고정브라켓(133)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브라켓(133)은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또는 액츄에이터 브라켓(137)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브라켓(133)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상기 외부케이블(121)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133a);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고정홈(133a)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33)의 일부분이 절곡된 부분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133a)은 후술할 레버부재(135)에 연결되는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 단부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고정홈(133a)은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내부케이블(123)을 고정된 외부케이블(121)로부터 일정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하게 할 수 있다.5, the fixing
한편, 고정브라켓(133)은 상기 레버부재(135)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135)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1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스토퍼(133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33)의 일단이 절곡되게 형성되어 레버부재(135)의 회동경로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133b)는 레버부재(135)의 회동반경을 제한하여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 또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신축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one end of the fixing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133)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의 하부에 배치되고, 특히 전술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하부에 배치되며,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의 일단에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135)는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신축됨에 따라 힌지연결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The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레버부재(135)의 타단에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43) 일측 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레버부재(135)는 전술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에 의해 회동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The
여기서, 레버부재(135)의 작동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ere,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기본적으로, 레버부재(135)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로부터 늘어난 내부케이블(143)에 의해 일단이 하부방향으로 내려간 상태를 이룬다. Basically, the
그리고, 레버부재(135)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외부케이블(141)로 당겨지는 내부케이블(143)에 의해 일단이 상부방향으로 올라간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레버부재(135)의 타측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이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을 따라 당겨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외부케이블(121)로부터 늘어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면, 이와 동시에 도 3의 (a)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외부케이블(121)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5B, the
한편, 레버부재(1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135a);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13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연장돌기(135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35)의 길이방향 타측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의 회전시 함께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가 회동함에 따라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5, the
제2연장돌기(135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35)의 길이방향 타측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에 전술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 단부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의 회전시 함께 레버부재(135)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가 회동함에 따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내부케이블(123)을 신축시킬 수 있다.5, the
여기서, 제1연장돌기(135a)와 제2연장돌기(135b)는 상호 대칭형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연장돌기(135a)는 레버부재(135)의 타측 상부로 돌출형성되고, 제2연장돌기(135b)는 제1연장돌기(135a)에 대향되게 배치된 레버부재(135)의 타측 하부로 돌출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연장돌기(135a)와 제2연장돌기(135b)는 레버부재(135)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ding
제어부(150)는 상기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115)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110)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30)을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51) 및 스위치(153)를 포함한다.The
컨트롤러(151)는 차량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리어시트(10)의 시트백 프레임(3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151)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151)는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51)는 후술할 스위치(153)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거나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한편, 컨트롤러(151)는 후술할 스위치(153)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시트백 프레임(30)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컨트롤러(151)는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거나 시트백 프레임(30)의 언폴딩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51)는 감지센서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의 폴딩된 상태 및 언폴딩된 상태를 용이하게 감지하고, 이에 의해 자동적으로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켜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이 풀림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스위치(153)는 상기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모터(119b)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151)에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으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로 마련되거나 별도의 리모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위치(153)는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작동시키도록 컨트롤러(151)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스위치(153)는 전술한 액츄에이터(131) 및 구동유닛(119)을 제어하여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버튼(153a) 및 제2버튼(153b)을 포함한다.The
제1버튼(153a)은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술한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1버튼(153a)은 시트백 프레임(30)을 폴딩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먼저, 제1버튼(153a)을 눌러 제어부(150)를 on 상태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1버튼(153a)을 통해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First, the
이 경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액츄에이터(131)가 작동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당겨 레버부재(135)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되는 레버부재(135)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져 링크부재(117)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림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1걸림구간(111a)에 걸림된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제1걸림구간(111a)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즉,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된 리클라이너(1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이 폴딩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제1버튼(153a)을 통해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구동유닛(119)에 전달한다.At the same time, the
이 경우, 정회전신호를 전달받은 구동유닛(119)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19b)의 회전축이 정회전방향,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세하게는, 모터(119b)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기어(119c)가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모터(119b) 및 모터(119b)와 일체를 이루는 리클라이너(113)가 정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폴딩된다. 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제1버튼(153a)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seat back incorporated with the seat back
제2버튼(153b)은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를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술한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 이러한, 제2버튼(153b)은 시트백 프레임(30)을 언폴딩시키기 위한 제어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언폴딩시키는 작동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먼저, 제2버튼(153b)을 눌러 제어부(150)를 on 상태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제어부(150)는 제2버튼(153b)을 통해 액츄에이터(131)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를 컨트롤러(151)에 전달한다.First, the
이 경우, 작동신호를 전달받은 액츄에이터(131)가 작동되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조절케이블(140)의 내부케이블(143)을 당겨 레버부재(135)를 회동시킨다. 이때, 회동되는 레버부재(135)에 연결된 링크부재조절케이블(120)의 일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조절케이블의 타측에 마련된 내부케이블(123)이 당겨져 링크부재(117)를 회동시킨다. 그리고, 회동되는 링크부재(117)의 연결돌기(117a)가 회동방지부(115)의 연결홈(115b)에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회동방지부(115)를 밀어올림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111)의 제2걸림구간(111b)에 걸림된 회동방지부(115)의 걸림돌기(115a)가 제2걸림구간(111b)으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즉, 회동방지부(115)에 의해 잠금된 리클라이너(1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어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회동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이 언폴딩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this case, the
이와 동시에, 제어부(150)는 제2버튼(153b)을 통해 구동유닛(119)의 모터(119b)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구동유닛(119)에 전달한다.At the same time, the
이 경우, 역회전신호를 전달받은 구동유닛(119)에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119b)의 회전축이 역회전방향, 즉 시트백 프레임(30)이 언폴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자세하게는, 모터(119b)의 회전축에 설치된 회전기어(119c)가 고정기어(119a)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모터(119b) 및 모터(119b)와 일체를 이루는 리클라이너(113)가 역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리클라이너(113)와 일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30)이 언폴딩된다. In this case, power is supplied to the
따라서, 제2버튼(153b)을 통해 시트백 프레임(30)이 내재된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언폴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nbacked sheet-back can be automatically unfolded through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의 제어부(150)를 통해 전동방식을 이용한 폴딩수단(110) 및 스위칭부(130)를 제어하여 리어시트(10)의 시트백을 자동적으로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킴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전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노약자나 어린이 또는 장애인 등도 힘들이지 않고 리어시트(10)의 시트백을 쉽게 폴딩시키거나 언폴딩시킬 수 있다.The rear seat fold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olding means 110 and the
100 :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10 : 폴딩수단
111 : 베이스 브라켓
113 : 리클라이너
115 : 회동방지부
117 : 링크부재
119 : 구동유닛
120 : 링크부재조절케이블
130 : 스위칭부
131 : 액츄에이터
133 : 고정브라켓
135 : 레버부재
140 : 레버부재조절케이블
150 : 제어부
151 : 컨트롤러
153 : 스위치100: vehicle rear seat folding device 110: folding means
111: Base bracket 113: Recliner
115: Rotary side branch 117: Link member
119: drive unit 120: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130: switching part 131: actuator
133: Fixing bracket 135: Lever member
140: lever member adjustment cable 150:
151: controller 153: switch
Claims (13)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걸림상태로 잠금되는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가능하게 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폴딩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회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Folding means for pivotally connecting a seat back frame to a seat cushion frame of a rear seat so as to fold or unfold the seat back in which the seat back frame is built;
A switching unit for releasing a locking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member locked in a locked state to prevent rotation of the seatback frame to enable rotation of the seatback frame; An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unit and then controlling the folding unit to rotate the seatback frame.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부에 제1걸림구간 및 제2걸림구간이 마련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리클라이너;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상기 제2걸림구간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마련되며, 타측에 연결홈이 마련되는 회동방지부;
상기 리클라이너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부에 상기 스위칭부에 의해 신축되는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일측에 상기 연결홈에 출입하는 연결돌기가 마련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회동방지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상기 리클라이너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2. The fol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base bracket moun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and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section and a second engaging secti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recliner mounted on the seat back frame and having one end pivotally hinged to the base bracket;
A rotation support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liner and having a locking protrus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or the second locking portion on one side and the connection groov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link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liner, connected to a link member adjusting cable extending and retracted by the switching unit at an end thereof, and having a connecting protrusio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connecting groove at one side thereof; And
And a driving unit that rotates the recliner in which the locked stat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is released through the control unit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회동방지부의 연결홈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동방지부를 밀어올리면서 상기 회동방지부의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제1걸림구간 또는 제2걸림구간으로부터 이격시켜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2,
The link member is rotated and simultaneously rotated as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is pulled up to push up the rotation preventing por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 of the rotation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section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engagement section so as to release the engagement.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여 일측에 마련된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브라켓;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일단에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로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신축에 따라 회동되면서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을 신축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2,
An actuator that is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to expand and contract the lever member adjustment cable provided at one side;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rear seat; And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rotatable.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And a lever member for retracting and retracting the vehicle.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연장돌기; 및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과 다른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이 연결되는 제2연장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돌기와 상기 제2연장돌기는 상호 대칭형성되어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에 따라 서로 대칭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5. The lever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first extension protrusion to which the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is connected; And
And a second extension protrusion to which the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and another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are connected,
Wherein the first extend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extending projection ar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are symmetrically mov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lever member.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링크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link member adjustment cable includes:
External cable; And
And an inner cable tha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from an end of the outer cable,
The fixing bracket includes:
And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 fixing one end of the outer cable of the link member adjusting cable so that the inner cable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And at least one stopper for blocking a turning path of the lever member to limit a rotation angle of the lever member.
상기 리어시트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가 고정되는 액츄에이터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d an actuator bracket fixed to the rear seat and to which the actuator is fixed.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은,
외부케이블; 및
상기 외부케이블의 단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마련되는 내부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 브라켓은,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외부케이블 일측 단부를 고정하여 상기 내부케이블이 일정범위 내에서만 신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lever member adjustment cable comprises:
External cable; And
And an inner cable that is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extend and retract from an end of the outer cable,
The actuator bracket includes:
And at least one fixing groove for fixing one end of the outer cable of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so that the inner cable can be expanded or contracted only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기어;
상기 리클라이너와 일체적으로 연결되고, 인가되는 전원을 통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기어와 치합된 상태를 이루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고정기어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를 회전시키는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 fixed gear fixedly installed on the base bracket;
A motor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cliner and generates driving force through an applied power source; And
And a rotary gear fixed to the rotary shaft of the motor and engaged with the fixed gear and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rotate along the fixed gear to rotate the recliner, Device.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및
상기 액츄에이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컨트롤러에 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A controller for operating the actuator and the motor; And
And a switch for transmitting a signal to the controller to control the actuator and the motor.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정회전시키는 정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1버튼; 및
상기 컨트롤러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작동신호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역회전시키는 역회전신호를 전달하는 제2버튼;을 포함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
12. The apparatus of claim 11,
A first button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actuator to the controller and a forward rotation signal for forward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And a second button for transmitting an actuating signal for actuating the actuator to the controller and a reverse rotation signal for reversing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폴딩된 상태를 완료하거나, 폴링된 상태를 완료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반대로 언폴링된 상태를 완료함에 따라 상기 레버부재조절케이블의 상기 내부케이블이 풀림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어시트 폴딩 장치.13. The system of claim 12,
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internal cable of the lever member adjusting cable to a released state when the folded state of the seat back frame is completed through the switch or when the folded state of the seatback frame is completed, And the rear seat folding device operates the rear seat fold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en) | 2017-11-08 | 2017-11-08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en) | 2017-11-08 | 2017-11-08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52269A true KR20190052269A (en) | 2019-05-16 |
KR102048974B1 KR102048974B1 (en) | 2019-11-26 |
Family
ID=6667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7799A KR102048974B1 (en) | 2017-11-08 | 2017-11-08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897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026B1 (en) * | 2019-10-28 | 2021-04-0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utomatic foldable rear seat for a vehic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17425A (en) | 2021-07-28 | 2023-02-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evcie for operating reclining of seat back for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1967A (en) * | 1995-10-31 | 1997-05-13 | Fuji Kiko Co Ltd | Seat reclining device |
KR100448117B1 (en) | 2001-09-03 | 2004-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olding structure of rear seat for vehicle |
JP2006082698A (en) * | 2004-09-16 | 2006-03-30 | T S Tec Kk | Folding storage type automobile seat |
JP2007007386A (en) * | 2005-05-31 | 2007-01-18 | Imasen Electric Ind Co Ltd | Seat device |
-
2017
- 2017-11-08 KR KR1020170147799A patent/KR10204897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1967A (en) * | 1995-10-31 | 1997-05-13 | Fuji Kiko Co Ltd | Seat reclining device |
KR100448117B1 (en) | 2001-09-03 | 2004-09-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olding structure of rear seat for vehicle |
JP2006082698A (en) * | 2004-09-16 | 2006-03-30 | T S Tec Kk | Folding storage type automobile seat |
JP2007007386A (en) * | 2005-05-31 | 2007-01-18 | Imasen Electric Ind Co Ltd | Seat devic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35026B1 (en) * | 2019-10-28 | 2021-04-0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Automatic foldable rear seat for a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8974B1 (en) | 2019-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26615B2 (en) | Adjustable seat bolster for easy access | |
US7500719B2 (en) | Seat apparatus | |
CN110962709B (en) | Automobile safety seat and side impact protection mechanism thereof | |
US7374243B2 (en) | Folding seat apparatus for vehicle | |
JP5164514B2 (en) | Vehicle storage seat | |
WO2009128509A1 (en) |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 |
WO2009104586A1 (en) | Stowable seat for an automobile | |
KR20190052269A (en)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
KR20090065725A (en) | Locking apparatus for folding head rest for vehicles | |
JPH11263196A (en) | Belt draw-in device incorporated in folding type backrest | |
CN109421562A (en) | Child safety seat | |
KR102286924B1 (en) | Automatic return apparatus for seat back of seat in vehicle and method for returning of the seat back of seat in vehicle | |
JP2008030659A (en) | Vehicle seat device | |
US9381837B2 (en) | Seat apparatus for vehicle | |
US20170182913A1 (en) |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and device for controlling vehicle seat | |
JP4236262B2 (en) | Vehicle ceiling storage seat | |
JP2019529221A (en) | Stroller chassis and stroller | |
JP4353969B2 (en) | Car | |
JP4091495B2 (en) | Electric storage seat and storage method of electric storage seat | |
KR101499994B1 (en) | Folding device for rear seat of vehicle | |
CN111196188B (en) | Seat device for vehicle | |
JP2018197090A (en) | Vehicular canopy device | |
JPH072296Y2 (en) | Folding seats for vehicles | |
KR102220039B1 (en) | Seat back folding assistance device | |
JP2007145243A (en) | Rain cover device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