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444A - Flow generator - Google Patents
Flow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5444A KR20190025444A KR1020170112088A KR20170112088A KR20190025444A KR 20190025444 A KR20190025444 A KR 20190025444A KR 1020170112088 A KR1020170112088 A KR 1020170112088A KR 20170112088 A KR20170112088 A KR 20170112088A KR 20190025444 A KR20190025444 A KR 201900254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n
- module
- cover
- fan housing
- ai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DHDBTLFALXRTLB-UHFFFAOYSA-N 1,2,5-trichloro-3-(3-chlorophenyl)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C=2C(=C(Cl)C=C(Cl)C=2)Cl)=C1 DHDBTLFALXRTL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81 d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93—Details or arrangements of the wi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2—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s
- F05D2270/52—Control logic embodiments by electrical means, e.g. relays or switch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8—Personalised ai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동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relates to a flow generating device.
일반적으로 유동 발생장치란,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유동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장치로 이해된다.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여름과 같이 더운 날씨에 사용자에게 시원함과 쾌적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Generally, a flow generating device is understood as a device for driving a fan to generate an air flow and blowing the generated air flow to a position desired by a user. It is usually called "fan". Such a flow generating device is mainly disposed in an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r office, and can be used to provide a cool and pleasant feeling to a user in hot weather such as summer.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문헌의 기술이 제안되었다. With respect to this flow generating device, the following prior art description has been proposed in the past.
[선행문헌 1][Prior Art 1]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2-0049182 (2012년 5월 16일)1. 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12-0049182 (May 16, 2012)
2. 발명의 명칭 : 축류팬2. Name of invention: Axial fan
[선행문헌 2][Prior Art 2]
1. 공개번호(공개일자) : 10-2008-0087365 (2008년 10월 1일)1. Public number (public date): 10-2008-0087365 (October 1, 2008)
2. 발명의 명칭 : 선풍기2. Name of invention: Fan
상기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및 상기 레그의 상측에 결합되는 팬이 포함된다. 상기 팬은 축류팬으로 구성된다. 상기 팬이 구동하면, 장치의 후방으로부터 팬을 향하여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상기 팬을 통과하여 장치의 전방으로 토출된다.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선행문헌 1,2에 의하면, 상기 팬은 외부에 노출된다. 선행문헌 2에 따른 장치에는, 안전상의 이유로 팬의 외측을 둘러싸는 안전커버가 포함되나,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전커버를 통과하여 팬에 닿을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리고, 장치가 놓여지는 공간에 먼지량이 많은 경우, 먼지가 상기 안전커버를 통과하여 팬에 쌓이게 되어 장치가 쉽게 더러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또한,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단순히 공기유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점에서, 오염도가 높은 공간에서 장치의 사용이 이루어지는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그리고, 겨울과 같이 설치공간의 온도가 다소 낮은 환경에서, 선행문헌 1,2에 따른 장치의 사용은 필요하지 않게 되어 다음 년도의 여름까지 해당 장치를 보관해야 한다. 따라서, 장치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n environment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is somewhat low as in the winter, the use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화 또는 정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discharging harmonized or purified ai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상기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에서 처리된 공기가 토출되면서 합쳐질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that can combine the proc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또한, 청소 등의 관리를 위해 조립 또는 해체가 쉬운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that is easy to assemble or disassemble for the purpose of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또한, 모듈의 분리 시에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easily releas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hen a module is separated.
또한, 팬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in which the fa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흡입된 공기가 중앙부를 통하여 함께 토출될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in which air sucked in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can be discharged together through the center part.
또한,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이 함께 회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in which an upper module and a lower module rotate together so that air can be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또한,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팬에 먼지가 쌓이지 않고 미관상 깔끔한 유동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w generating device which is clean and cosmetically clean without dust accumulation in the fan as the area of the fan for flowing the air inside is minimized.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는, 상하 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하는 제 1 공기 유동과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및 팬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의 선택적 결합을 가이드하는 걸림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제 1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을 원주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으며, 제 2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w generating apparatus comprising: a fan generating a first air flow and a second air flow which flow in a vertical direction; A fan housing for receiving the fan; A cover disposed to surround the fan and the fan housing; And a latching mechanism for guiding the selective engagement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wherein the latching mechanism is capable of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a first operation, And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can be constrained or relea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동작을 가이드하는 제 1 걸림기구 및; In addition, the latching mechanism may include: a first latching mechanism for guiding the first operation;
상기 제 2 동작을 가이드하는 제 2 걸림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걸림기구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래치수용부; 상기 래치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 래치; 및 상기 팬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래치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수용부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cond latching mechanism for guiding the second operation, wherein the first latching mechanism comprises: a latch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A first latch inserted into the latch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latch movably coupled to the fan housing, wherein the second latch moves up and down to be constrained or released to the latch receiv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1 걸림기구는, 상기 래치수용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제 2 래치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을 이루는 제 1 걸림동작; 및 상기 제 2 래치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 1 해제동작을 포함한다.The first latching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atch receiving portion, and the first latching operation may include a first latching operation in which the latching latch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latch; And a first releasing operation in which engagement of the second latch and the engaging projection is released.
또한, 상기 제 2 걸림기구는, 상기 팬 하우징의 일 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커버에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한다.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may include: a hook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a hook coupl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또한, 상기 후크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와 후크 결합부는, 상기 커버 및 팬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ook has a shape bent in one direction. At least one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is slidably inse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ok 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2 동작은,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후크에 끼워지는 제 2 걸림동작; 및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제 2 해제동작을 포함한다.Further,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 second latching operation in which the hook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ook; And a second releasing operation in which the hook engaging portion is away from the hook.
또한, 상기 팬, 팬 하우징 및 커버는, 상기 제 1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상부팬, 상부팬 하우징 및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하부팬, 하부팬 하우징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팬 하우징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상부 걸림기구; 및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하부 걸림기구를 포함한다.The fan, the fan housing and the cover may include an upper fan, an upper fan housing and an upper cover for guiding the first air flow, a lower fan for guiding the second air flow, a lower fan housing, and a lower cover, And the latching mechanism includes an upper latch mechanism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nd a lower engaging mechanism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또한,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커버 및 상기 팬 하우징의 구속 또는 해제에 따라 전기적 단선을 수행할 수 있는 접점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latching mechanism includes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performing electrical disconnection according to the constraint or release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한편, 또 다른 측면에서 상기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은,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제 1 모듈; 상기 제 1 모듈과 결합되며, 팬 및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 2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과 결합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레그, 상기 레그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을 상기 제 2 모듈로부터 분리하는 제 1 분리단계; 및 상기 제 2 모듈을 상기 제 3 모듈로부터 분리하는 제 2 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단계 및 제 2 분리단계는, 모듈간의 원주방향을 구속하는 제 1 걸림기구가 상하방향으로 가압되어 구속을 해제하며, 모듈간의 상하방향을 구속하는 제 2 걸림기구가 회전에 의하여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parating a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first module including an upper cover; A second modul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the second module including a fan and a fan housing to receive the fan; And a third module coupled to the second module and including a base disposed on a ground, a leg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 lower cover coupled with the leg, the flow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module from the second module; And a second separating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module from the third module, wherein in the first separating step and the second separating step,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modules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etween the modules releases the restraint by rotation.
또한, 상기 제 1 분리단계는, 상기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원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기구가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separating step may include pressing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to release the circumferential restraint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nd releasing the vertical restraint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by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by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of the upper cover.
또한, 상기 상부커버가 상방으로 분리되어 상기 상부팬 및 상부팬 하우징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upward to expose the upper fan and the upper fan housing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제 2 분리단계는, 상기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커버와 하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eparation step includes pressing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to release the circumferential constraint of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또한, 상기 제 1 분리단계에서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분리단계에서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is pressed in the first separating step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is pressed 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또한, 상기 제 2 분리단계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기구가 상기 하부커버와 하부팬 하우징의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econd separa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releasing the vertical restraint of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by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by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of the lower fan housing.
또한, 상기 제 1 걸림기구 및 상기 제 2 걸림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속을 해제하는 경우, 모듈간의 전기적 단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latching mechanism and the second latching mechanism releases the restraint, the module is electrically disconnect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모듈과 제하부 모듈에 각각 구비되는 팬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공기 토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flow can be generated by driving the fans provided in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user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져 송풍용량이 증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is suck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ventilat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본 발명에 의하면, 3개의 모듈로 구분되어 조립 또는 해체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조립 또는 분해의 난이도가 단순화되어 쉬워지며, 청소 등 관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dule can be divided into three modules and assembled or disassembled, the difficulty of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an be simplified, and the controllability such as cleaning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의하면, 해체를 위한 모듈의 분리 시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점이 끊어지므로 내부 구성의 작동에 의한 사고 위험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odule for disassembly is disconnected, the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disconnected, so that the risk of accident due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prevented. That is, the safety of the user is secured.
본 발명에 의하면, 팬을 통과하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으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집중을 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that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an can be easily discharg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air guide device, so that the discharged air can be concent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can discharge air while rotating, air can be discharged in various directions.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동 발생장치 내부의 팬에 먼지가 쌓이지 않고, 미관이 깔끔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st is not accumulated in the fan inside the flow generating device, and the aesthetic effect is clea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제 1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제 2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분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ow gener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fan housing and an upp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fan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fan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re coupl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of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of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fan housing and a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fan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fan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orifice and the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orifice and the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otary motor is installed in an upper orif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2 and 23 are views showing h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and FIG. 25 are views showing h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n upper module and a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ed portion F and a rotated portion R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nd 30 are views showing a disassembly method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for purposes of clarity of understanding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lso, for ease of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the appended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but the dimensions of some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제 1 실시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본체][main body]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1,23) 및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25,27)가 구비되는 본체(20)가 포함된다. 1 and 2, the
[제 1,2 흡입부][First and second suction portions]
상기 흡입부(21,23)에는, 상기 본체(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21) 및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의 "중앙부"라 함은, 상기 본체(21)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를 의미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제 1 흡입부(21)는 상부흡입부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흡입부(23)는 하부흡입부라 이름할 수 있다/ The
[제 1,2 토출부][First and second discharging portions]
상기 토출부(25,27)는 상기 본체(2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부(25,27)에는, 상기 제 1 흡입부(21)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부(25) 및 상기 제 2 흡입부(23)에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부(27)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상기 제 2 토출부(27)의 상측에 위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제 1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제 2 공기유동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The first discharging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20)의 측방 또는 반경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1 토출유로(26)"라 이름하고,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 2 토출유로(28)"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토출유로(26,28)를 합하여,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ing
또한, 상기 제 1 토출부(25)를 상부토출부라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하부토출부라 이름할 수 있다.The
[방향 정의][Direction Definition]
방향을 정의한다. 도 1,2를 기준으로 세로방향을 "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이라 하고, 상기 축 방향에 수직한 가로 방향을 "반경 방향"이라 이름할 수 있다.Define the direction. 1 and 2,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xi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and the later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radial direction".
[레그][Leg]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는, 상기 본체(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레그(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그(30)는 상기 본체(2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50)는 지면에 놓여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 및 레그(3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상기 레그(30)에는, 상기 베이스(50)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본체(3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그(30)에는,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 연장부(33,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그 연장부(33,35)에는,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레그연장부(33) 및 상기 레그 본체(31)로부터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레그연장부(35)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상기 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일례로, 상기 레그 본체(31) 및 제 1,2 레그연장부(33,35)는, "Y"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레그 본체(30) 및 제 1,2 레그연장부(33,35)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예를 들어, 레그 연장부는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레그 연장부는 삼발이 형태의 받침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leg extensions may be comprised of three or more. Further, the leg extension part may constitute a trivet-type base.
또 다른 예로서, 레그 연장부가 생략되고, 일자 형상의 레그 본체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As another example, the leg extension portion may be omitted and only a straight leg body may be provided.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레그 본체는 생략되고, 다수의 레그 연장부가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nother example, the leg body may be omitted, and a plurality of leg extensions may extend upwardly from the base.
<상부모듈의 구성>≪ Configuration of upper module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module and a low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20)에는, 상부모듈(100) 및 상기 상부모듈(10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모듈(200)이 포함된다.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상부팬 및 상부 팬하우징][Top Fan and Top Fan Housing]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 팬(130)이 설치되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 The
상기 상부 팬(1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The
상부팬 하우징(150)은 상기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제 1 토출부(25)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 1 공기처리 장치][First Air Treatment Apparatus]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모듈(100)을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 1 공기처리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기처리 장치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는 이오나이저(179)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오나이저 장착부(168)는 가이드 벽(153)에 구비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이오나이저 장착부(168)에 설치되어, 제 1 팬유로(138a)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는 공기에 작용하여 제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상부 모터][Upper motor]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 팬(1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부모터(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모터(170)의 상부에는, 상부모터 축(171)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모터 축(171)은 상기 상부모터(17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모터(17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모터 축(171)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록킹부][Locking section]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에 결합되는 상부 록킹부(17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록킹부(175)는 상기 상부 팬(130)의 허브(131a)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모터(170)를 상기 상부 팬(1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 The
상기 상부 록킹부(175)는 일 방향으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상부 팬(130)에 상부모터(170)가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 방향으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상부모터(170)의 고정을 해제할 수도 있다. The
[상부커버][Top cover]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상부커버(12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12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1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커버배출부(125)를 통하여 제 1 토출유로(26)로 유동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배출부(125)의 크기는, 상기 커버유입부(121)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상부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디스플레이 커버][Display cover]
상기 상부 모듈(100)에는,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에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 그릴(11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커버 그릴(112)의 개방된 공간을 통하여 하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제 1 프리필터][First Prefilter]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에 지지되는 제 1 프리 필터(10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프리 필터(105)에는, 필터 프레임(106) 및 상기 필터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10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상기 제 1 프리 필터(10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The
[탑커버 및 탑커버지지부][Top cover and top cover supporting part]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탑커버지지부(103) 및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상측에 놓여지는 탑커버(101)가 더 포함된다. 상기 탑커버지지부(103)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 사이의 공간이,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은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탑커버지지부(103)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탑커버지지부(103)의 저면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110)의 커버그릴(112)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p
상기 탑커버(101)의 상부에는, 사용자의 명령 입력이 가능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탑커버(101)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PCB가 설치될 수 있다.An upper part of the
[상부 에어가이드][Upper air guide]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 1 토출유로(26)로 가이드 하기 위한 상부 에어가이드(1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결합부(151b, 도 6 참조)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1 가이드 결합부(151b)를 통하여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제 1 하우징체결부(183)에 체결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는, 상기 상부모터(170)가 삽입되는 중앙부(180a)와,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180b) 및 상기 중앙부(18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180c)가 포함된다.The
상기 가이드연장부(180c)는, 상기 중앙부(18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180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또는 하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20)의 외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The
[상부 팬의 상세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upper fa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과 상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upper fan housing and an upper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upper fan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upper fan housing according to an exampl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1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상부 팬(13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지지하며 상기 상부 팬(1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상부팬 하우징(150)이 포함된다.5 to 7, an
상기 상부 팬(1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팬(1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131)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131a)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131a)에는, 상기 상부모터 축(17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상부 팬(1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상측에 구비되는 측판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측판부(135)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133)의 하단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31)에 결합되며, 그 상단부는 상기 측판부(135)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부팬 하우징의 하우징플레이트][Housing Plate of Top Fan Housing]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상부 팬(13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151) 및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팬(130)의 허브(131a)가 안착되는 허브 안착부(152)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 안착부(152)는 상기 허브(1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가이드 벽][Guide wall]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15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벽(153)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제 1 팬유로][First fan flow path]
상기 가이드 벽(153)과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138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로(138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A first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유로(138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제 1 경사부][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가이드 벽(153)에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154)가 포함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벽(153)의 일측은, 상기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한 타측보다 상부 팬(130)과의 거리가 멀 수 있다.The
상기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The direction of the downward slope may correspond to the air flow direction in the first
제1경사부(154)와 하우징 플레이트(15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상기 제 1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또한, 제 1 경사부(154)는 상부 커버(120)의 내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경사부(154)는 상부 커버(120)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first
[제 2 팬유로][Second fan flow path]
상기 상부 커버(120)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팬(13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상부 커버(12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138b)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제 1 팬유로(138a)로부터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Sectional area of the second
[제 2 경사부][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 가이드 벽(153)에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부(156)가 포함된다. 상기 하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2 팬유로(138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15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The
제2경사부(156)와 하우징 플레이트(151) 사이의 각도는 0도보다 크고 60도 이하일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second
상기 제 2 경사부(15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또한, 제 2 경사부(156)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의 유동이 가이드 벽(153)의 타측 단부에 부딪히며 가하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상기 제 1 경사부(154) 및 상기 제 2 경사부(156)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부(154)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와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경사부(156)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와 유동 가이드부(160)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상기 제 1,2 경사부(154,15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The second
[유동 가이드부][Flow guide portion]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지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1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The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는 상기 가이드 벽(15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160)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 1,2 팬유로(138a,138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161)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161)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The flow guide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65)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165)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161)는 상기 유입부(165)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An air flow path is formed in the
[절개부] [Cutting section]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절개부(151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51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유입부(165)는 상기 절개부(15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the
상기 유입부(165)는 상기 절개부(151a)와 함께 상기 제 1 토출부(25)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토출부(25)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상기 제 1,2 팬유로(138a,138b)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제 1 토출 가이드부][First Discharge Guide Portion]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에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상기 제 1 토출부(25)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158a)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함몰부(158a)에 의하여,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일부분을 하방으로 함몰시켜 상기 플레이트함몰부(158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를 구성할 수 있다.The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하여 유동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양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first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상기 상부 팬(130)을 향하여 하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토출유로(26)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sucked downward toward the
[상부커버의 제 1 걸림기구, 래치 어셈블리][First latch mechanism of upper cover, latch assembly]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결합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제 1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제 2 걸림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8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of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of the upper cov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120)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커버(120)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대하여,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8, 9 and 10, the
상기 걸림기구에는, 래치어셈블리(177a,177b),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27)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래치어셈블리(177a,177b)는 제 1 걸림기구라고 이름하며, 상기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27)는 제 2 걸림기구라 이름한다. The latching mechanism includes
먼저, 상기 제 1 걸림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first latch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는, 상기 래치어셈블리(177a,177b)가 결합되는 래치결합부(157a)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결합부(157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상기 래치어셈블리(177a,177b)에는, 상기 상부커버(120)에 삽입되는 제 1 래치(177a) 및 상기 래치결합부(157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177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래치(177a,177b)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래치(177b)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래치로서 이해되며, "래치 스위치"라 이름할 수 있다. The
[래치 수용부][Latch accommodating portion]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제 1 래치(177a)가 삽입되는 래치수용부(128)가 포함된다. 상기 래치수용부(128)는 상기 상부커버(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래치(177a)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된 하단부를 가질 수 있다. The
[걸림돌기][Locking]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제 2 래치(177b)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걸림돌기(128a)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28a)는 상기 래치수용부(128)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128a)는 상기 래치수용부(128)의 하부 모서리측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The
[래치 함몰부][Latch Depression]
상기 제 2 래치(177b)에는 래치함몰부(177c)가 구비된다. 상기 래치함몰부(177c)는 상기 제 2 래치(177b)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래치(177b)가 상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걸림돌기(128a)는 상기 래치함몰부(177c)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28a)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2 래치(177b)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걸림돌기(128a)가 상기 래치함몰부(177c)에 삽입되도록 가이드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128a)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제 2 래치(177b)는 복원되어 상기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래치 어셈블리의 작용][Operation of Latch Assembly]
상기 제 2 래치(177b)는 한번 눌러지면 상기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눌러지면 상기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When the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제 2 래치(177b)의 하부를 눌러 상기 제 2 래치(177b)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래치(177b)는 상기 걸림돌기(128a)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래치(177b)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커버(120)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lower portion of the
즉, 상기 래치 어셈블리(177a,177b)는, 상하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되므로 상부커버(120)가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at is, since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래치(177b)가 다시 한번 눌러지면, 상기 제 2 래치(177b)는 상기 걸림돌기(128a)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후술할 제 1 모듈이 제 2,3 모듈로부터 분리)In this state, when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운전 중 상기 상부커버가 분리되더라도 상부 팬(130)의 구동이 정지되어 사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전기적 결선과 단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state, the power applied to the
또한, 상기 제 2 래치(177b)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상기 상부커버(120)를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분리 또는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Also, since the
[상부커버의 제 2 걸림기구][Second fastening mechanism of upper cover]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모듈(100)에는, 상기 상부커버(120)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 2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11 and 12, in the
상기 제 2 걸림기구에는,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57b)가 포함될 수 있다. The second engaging mechanism may include a
상기 후크(157b)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방향으로 절곡하는 형상, 일례로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커버(120)에는, 상기 후크(157b)에 대응하는 형상의 후크 결합부(127)가 구비된다. 상기 후크 결합부(127)는 상기 상부커버(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기 후크(157)와 후크 결합부(127)가 결합을 이룰 때까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 결합부(127)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과 상기 후크(157b)의 상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That is, the
상기 후크 결합부(127)에는 체결홈(127a)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157b)에는 후크돌기(157c)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체결홈(127a)은 상기 후크 결합부(127)의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157c)는 상기 후크(157b)의 상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상부커버(1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후크돌기(157c)는 상기 체결홈(127a)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커버(120)와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후크 및 후크 결합부의 작용][Operation of Hook and Hook Coupling Portion]
상부커버(120)를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외측에 끼워 상기 후크 결합부(127)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 결합부(127)는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과 상기 후크(157b)의 상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후크(157b)와 상기 후크 결합부(127)간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이러한 걸림작용에 의하여,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
즉, 상기 후크(157a) 및 후크 결합부(127b)는, 원주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되므로 상부커버(12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걸림기구는 상부커버(120)의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기구로 이해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걸림기구의 효과][Effects of the latching mechanism]
이와 같이, 상부커버(120)의 원주 방향으로의 걸림을 수행하는 제 1 걸림기구와,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을 수행하는 제 2 걸림기구에 의하여, 상기 상부커버(120)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120)를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즉,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상부커버(120)와 상부팬 하우징(150)의 선택적 결합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the engagement mechanism can stably guide the selective coupling between the
또한, 상기 상부커버(120)를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출된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팬(130)을 청소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가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기 상부 팬(130)이 상기 상부커버(120)에 의하여 차폐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래치 어셈블리(177a,177b)를 간단히 조작하여 상기 상부커버(120)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 또는 상기 상부 팬(130)의 청소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Since the
상기한 상부커버(120)의 결합구조에 관한 설명은, 후술할 하부커버(290)의 결합구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하부모듈의 구성><Configuration of sub-module>
도 1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 팬 및 하부팬 하우징][Lower Fan and Lower Fan Housing]
도 3 및 도 8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 팬(130)이 설치되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 상기 하부 팬(23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부 팬(230)에는 시로코 팬(siroc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3 and 8, the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기 유동을 상기 제 2 토출부(27)로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하부모터][Lower motor]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 팬(2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하부모터(236)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모터(236)의 하부에는, 하부모터 축(236a)이 구비된다.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하부모터(236)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모터(236)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 및 상기 하부 팬(23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234, 도 13 참조)가 구비된다.The
[록킹부][Locking section]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에 결합되는 하부 록킹부(239)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록킹부(239)는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모터(236)를 상기 하부 팬(230)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한다.The
상기 하부 록킹부(239)는 일 방향으로 회전을 통하여 상기 하부 팬(230)에 하부모터(236)가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 방향으로 회전을 통하여 상기 상부모터(236)의 고정을 해제할 수도 있다. The
[하부커버][Lower cover]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하부커버(290)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하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하는 커버유입부(29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개구된 상단부를 가지는 커버배출부(291b)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커버배출부(291b)를 통하여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The
상기 커버배출부(291b)의 크기는, 상기 커버유입부(29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커버(290)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개방된 끝이 잘린 원추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하부팬(290)을 통과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점점 벌어지도록 유동하면서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또한, 상기 하부커버(290)는 오리피스결합부(292a) 및 후크 결합부(292b)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Further, the
[보호부재][Protective member]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의 하측에 구비되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보호부재(29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보호부재(294)는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94)는 열에 의하여 타지 않는 스틸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재(294)에 의하여, 상기 열이 제 2 프리필터(295)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2 프리필터(295)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The
[제 2 프리필터][Second Prefilter]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보호부재(294)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2 프리 필터(29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에는, 필터 프레임(296) 및 상기 필터 프레임(296)에 결합되는 필터부재(297)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은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에 의하여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2 프리 필터(295)이 하측 공간부가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하부 에어가이드][Lower air guide]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통과한 공기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중공의 판 형상을 가진다. 상세히,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는, 상기 하부모터(236)가 삽입되는 중앙부(210a)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테두리부(210b) 및 상기 중앙부(21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연장부(210c)가 포함된다.The
상기 가이드연장부(210c)는, 상기 중앙부(210a)로부터 상기 테두리부(210b)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또는 상향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서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상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20)의 외측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상기 제 2 토출유로(28)로 유동할 수 있다. The guide extension 210c may extend upwardly or upwardly from the central portion 210a toward the rim 210b. The air discharged upward through the
[PCB 장치][PCB device]
상기 가이드연장부(210c)의 상면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유동 발생장치(10)를 제어하는 메인 PCB(215)가 구비되는 PCB 장치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PCB 장치에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안정하게 공급하는 레귤레이터(21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레귤레이터(216)에 의하여, 입력전원의 전압이나 주파수가 변하더라도 일정한 전압의 전력이 유동 발생장치(10)에 공급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arts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extension part 210c. The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es a PCB device having a
[통신모듈][Communication module]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통신모듈이 더 포함된다. 상기 통신모듈을 통하여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외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ponents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e
[LED 장치][LED device]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LED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LED 장치는 유동 발생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mponents further includes an LED device. The LED device may constitute a display unit of the
상기 LED 장치에는, LED가 설치되는 LED PCB(218) 및 상기 LED PCB(218)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LED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기 위한 LED 커버(219)가 포함된다. 상기 LED 커버(219)를 "확산판"이라 이름할 수 있다. The LED device includes an
상기 LED 커버(219)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하부 에어가이드(220)가 맞닿는 외둘레를 따라 상기 상부에어가이드(180) 및 하부 에어가이드(220)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상부 에어가이드와 하부 에어가이드의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upper air guide and lower air guide]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와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를 합하여 "에어가이드 장치"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구획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 장치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을 지지할 수 있다.The
상세히,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및 하부 에어가이드(210)의 결합에 의하여, 에어가이드 장치(180,210)의 내부에는 모터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설치공간에는, 상기 상부모터(170) 및 하부모터(236)가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장치의 공간 활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In detail, the
[하부팬 하우징(220)의 제 1 걸림기구][First engaging mechanism of lower fan housing 220]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모듈(100)과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커버(290)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대하여, 원주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히,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래치 결합부(225b, 도 16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결합부(225b)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에 선택적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는 래치어셈블리(238a,238b)가 결합된다. More specifically, the
[래치 어셈블리][LATCH ASSEMBLY]
상기 래치결합부(225b)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테두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래치결합부는,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에 구비되는 래치결합부(157a)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래치결합부(225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래치결합부(157a) 설명을 원용한다. The
상기 래치어셈블리(238a,238b)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에 삽입되는 제 1 래치(238a) 및 상기 래치결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238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2 래치(238a,238b)에 관한 설명은, 상부모듈(100)의 제 1,2 래치(177a,177b)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The
다만, 하부모듈(200)의 제 1,2 래치(238a,238b)가 상부모듈(100)의 제 1, 2 래치(177a,177b)와 상이한 점은, 상기 제 2 래치(238b)가 한번 눌러지면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이루어지고, 다시 한번 눌러지면 상기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눌림이 이루어지는 방향 및 회전과 고정이 이루어지는 대상이 될 것이다.The first and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제 2 래치(238b)의 상부를 눌러 상기 제 2 래치(238b)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래치(238b)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래치(238b)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삽입된 상태, 즉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이 상기 하부커버(290)와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래치(238b)가 다시 한번 눌러지면, 상기 제 2 래치(238b)는 상기 걸림돌기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후술할 제 2 모듈이 제 3 모듈로부터 분리) 이 상태에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 인가되는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상부 및 하부 걸림기구 정의][Definition of upper and lower latching mechanism]
한편, 상기 상부모듈(100)의 래치어셈블리(177a,177b)를 상부 래치어셈블리 또는 상부 제 1 걸림기구라고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모듈(200)의 래치어셈블리(238a,238b)를 하부 래치어셈블리 또는 하부 제 1 걸림기구라 이름할 수 있다. The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모듈(100)의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27)를 상부 후크 및 상부 후크 결합부 또는 상부 제 2 걸림기구라고 이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모듈(200)의 후크(225a) 및 후크 결합부(292b)를 하부 후크 및 하부 후크 결합부 또는 하부 제 2 걸림기구라 이름할 수 있다. Likewise, the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First Operation and Second Operation]
상기 상부모듈(100)의 제 2 래치(177b) 또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제 2 래치(238b)를 사용자가 처음 누르(가압)는 동작을 제 1 걸림동작이라 이름하며, 상기 제 1 동작 이후 다시 누르(가압)는 동작을 제 1 해제동작이라 이름한다.The first operation by the user to press (press) the
상기 제 1 걸림동작은 상기 제 2 래치가 걸림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가압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해제동작은 상기 제 2 래치가 걸림돌기와 걸림이 해제되는 가압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first latching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ess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latch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projection and the first latching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 pressing operation in which the latching latch and latching of the second latch are released.
또한, 상기 상부모듈(100)의 상부커버(120) 또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하부팬 하우징(220)을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제 2 걸림동작이라 이름하며,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제 2 해제동작이라 이름한다. The operation of the user to rotate the
상기 제 2 걸림동작은 상기 후크와 후크 결합부가 걸림을 이루는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해제동작은 상기 후크와 후크결합부의 걸림이 해제되는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second latching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engaging the hook and the hook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releasing oper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hook and hook engaging portion.
[상부 오리피스][Upper orifice]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일부 부품의 회전을 위한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상부 오리피스(2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는 개구된 중앙부(24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부(240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구동장치][Driving device]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270)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회전모터(270)에는,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한 스텝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rotating motor (27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For example, the
상기 구동장치에는, 상기 회전모터(270)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동력전달 장치에는, 상기 회전모터(270)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72) 및 상기 피니언 기어(272)에 연동하는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의 회전곡률에 대응하여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ower transmitting device connected to the rotating motor (270).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may include a
[하부 오리피스][Lower orifice]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 오리피스(2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상기 레그(30)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양측은 상기 제 1 레그연장부(33) 및 상기 제 2 레그연장부(3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상기 하부모듈(200) 중 고정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The
[랙 기어][Racks]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랙 기어(276)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는 개구된 중앙부(280a)를 가지며,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앙부(280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중앙부(280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0a)를 통과할 수 있다. The
[제 2 공기처리 장치][Second Air Treatment Apparatus]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을 유동하는 공기의 조화 또는 정화를 위하여 작동하는 제 2 공기처리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공기처리 장치는 상기 제 1 공기처리 장치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기처리 장치에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지지되며 소정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The
[히터 어셈블리][Heater assembly]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가 포함된다. 상기 히터(261)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80a)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261)에는, PTC 히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PTC 히터는 양면에 전기를 인가하면 발열을 시작하는데 고유의 큐리온도(Tc)에 도달하게 되면 저항이 급격이 증가하여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더 이상의 발열이 진행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PTC 히터는 화재 발생 위험이 적으며 표면온도가 높지 않은 장점이 있다. The PTC heater starts to generate heat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TC heater. When the PTC heater reaches the Curie temperature (Tc) inherent to the PTC heater, the resistance of the PTC heater increases suddenly. Therefore, the PTC heater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isk of fire is low and the surface temperature is not high.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상기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더 포함된다. 상기 히터 브라켓(263)은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결합될 수 있다.The
[롤러][roller]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롤러(278)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78)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27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저면에 접촉하여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회전, 즉 자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서포터][supporter]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포터(265,26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포터(265,267)에는, 상기 히터(26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 서포터(265) 및 상기 제 1 서포터(265)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267)가 포함된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와 상기 하부 팬(230)을 이격시켜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다른 부품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포터(267)는 회전하는 상부모듈(100) 및 하부모듈(200)이 회전중심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베어링(275)이 제공되어 회전하는 부품의 움직임을 가이드 한다.The
[하부팬 및 하부팬 하우징][Lower Fan and Lower Fan Housing]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과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팬 하우징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fan housing and a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lower fan hous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ower fan hous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200)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하부 팬(230) 및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부 팬(230)이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싸는 하부팬 하우징(22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3 and FIG. 14 to FIG. 16, a
[하부팬의 상세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lower fan]
상기 하부 팬(23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팬(230)에는,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가 결합되는 메인 플레이트(231) 및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방으로 돌출하는 허브(231a)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231a)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팬(230)에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하측에 구비되는 측판부(2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측판부(235)는,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 개의 블레이드(233)의 상단부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231)에 결합되며, 그 하단부는 상기 측판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상부팬과 하부팬의 크기 차이][Size difference between upper and lower fans]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하 높이(Ho)와, 상기 하부커버(290)의 상하 높이(Ho')는 대략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의 외관이 컴팩트해지고 디자인이 미려해질 수 있다. The vertical height Ho of the
반면에, 상기 하부 팬(230)의 상하 높이(H2)는, 상기 상부 팬(130)의 상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부모듈(200)에만 구비되는 히터 어셈블리(260)의 높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팬(23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팬(130)의 최대 능력이 상기 하부 팬(230)의 최대 능력보다 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height H2 of the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과 하부 팬(230)을 동일한 회전수로 구동하였을 때,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은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량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100)과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토출되는 공기량을 동일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수를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수보다 크게 조절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에서 배출되어 합쳐지는 공기 유동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하부팬 하우징의 상세구성][Detailed configuration of lower fan housing]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하부 팬(230)의 상측을 지지하는 하우징플레이트(221) 및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허브(231a)에 결합되는 허브 안착부(222)가 포함된다. 상기 허브 안착부(222)는 상기 허브(231a)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 안착부(222)에는, 상기 하부모터 축(236a)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222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벽(22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벽(223)은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상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팬(230)의 높이(H2)가 상기 상부 팬(130)의 높이(H1)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의 높이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The
[제 1 팬유로][First fan flow path]
상기 가이드 벽(223)과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의 사이에는,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팬유로(234a)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팬유로(234a)는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유로로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A first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단면적은 공기의 회전방향으로, 점점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팬유로(234a)는 스파이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스파이럴 유동"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에 의하여,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제 1 경사부][First inclined portion]
상기 가이드 벽(223)에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일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경사부(224)가 포함된다. 상기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224)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하부팬 하우징의 제 2 걸림기구][Second engaging mechanism of lower fan housing]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이 상기 하부커버(290)에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하부 제 2 걸림기구가 포함될 수 있다. The
상기 하부 제 2 걸림기구에는, 후크(157b) 및 후크 결합부(157b)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후크(225a)가 포함된다. 상기 후크(225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일 방향으로 절곡하는 형상, 일례로 "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lower second latching mechanism may include a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상기 후크(225a)에 대응하는 형상의 후크 결합부(292b)가 구비된다. The
상기 후크 결합부(292b)는 상기 하부커버(290)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에 형성된 후크(225a)와 걸림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즉,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기 후크(225a)는 상기 하부커버(290)의 후크 결합부(292b)와 결합을 이룰 때까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90)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 결합부(292b)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과 상기 후크(225a)의 하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The
상기 후크 결합부(292b) 및 후크(225a)의 형상과 구성에 대해서는 그 배치를 달리할 뿐 상부모듈(100)의 후크 결합부(127) 및 후크(157b)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상부모듈(100)의 후크 결합부(127) 및 후크(157b)의 설명을 원용한다.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상부모듈과 하부모듈의 걸림기구 작용 차이][Difference in operation of latching mechanism between upper module and lower module]
한편,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상부커버(120)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반면에,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하부커버(290)가 아닌 하우징 플레이트(221), 즉, 하부팬 하우징(220)이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은 상방을 향하여 단면적이 커지도록 원추형 형상을 가지는 하부커버(290)의 형상에 기인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보다 상세히, 사용자가 유동 발생장치(1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하부커버(290)의 형상 때문에, 레그(30)로부터 고정된 하부오리피스(280), 상기 하부오리피스(280)와 결합된 히터어셈블리(260) 및 상부오리피스(24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커버(290)를 상방으로 꺼내 분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다른 구성들의 체결을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More specifically, due to the shape of the
따라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이 회전되어 상기 하부커버(290)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상방으로 꺼내 분리는 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사용자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상측 구성부터 하방으로 차례대로 분리하는 것이 더욱 편리할 것이다.Accordingly, the
[후크 및 후크 결합부의 작용][Operation of Hook and Hook Coupling Portion]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외측에 하부커버(290)를 끼워 상기 후크 결합부(292b)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후크 결합부(292b)는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과 상기 후크(225a)의 하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후크(225a)와 상기 후크 결합부(292b)간에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하부커버(290)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When the
즉, 상기 후크(225a) 및 후크 결합부(292b)는, 원주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되므로 하부커버(29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제 2 걸림기구는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기구로 이해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하부 걸림기구의 효과][Effect of lower latch mechanism]
이와 같이, 하부팬 하우징(220) 및 하부커버(290)의 원주 방향으로의 걸림을 수행하는 하부 제 1 걸림기구와, 상하 방향으로의 걸림을 수행하는 하부 제 2 걸림기구에 의하여, 상기 하부커버(290) 및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상기 하부커버(29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By the lower first engaging mechanism that engages the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연결된 하부 팬(230)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함께 결합되어 있는 하부 에어가이드(210), 상부 에어가이드(180), 상부팬(130) 및 상부팬 하우징(150)까지 분리되어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된 구성의 청소 편의성이 향상되며, 관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제 2 팬유로][Second fan flow path]
상기 하부커버(290)가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팬(230)의 외주면 일부와 상기 하부커버(290)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팬유로(234b)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으로부터 공기가 유동하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거친 공기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할 수 있다.The first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제 1 팬유로(234a)로부터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그 유동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상기 상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Sectional area of the second
[제 2 경사부][Second inclined portion]
상기 가이드 벽(223)에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타측 하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경사부(226)가 포함된다. 상기 상향 경사지는 방향은, 상기 제 2 팬유로(234b)에서의 공기 유동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226)를 컷오프(cut-off)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경사부(226)의 구성에 의하여,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단면적이 점점 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상기 제 1 경사부(224) 및 상기 제 2 경사부(226)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양측 단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경사부(224)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와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사이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제 2 경사부(226)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와 유동 가이드부(227)의 사이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동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계영역에, 상기 제 1,2 경사부(224,226)가 구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The first
[유동 가이드부][Flow guide portion]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에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지난 공기를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227)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상부모듈(1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160)를 "제 1 유동가이드부"라 하고,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되는 유동 가이드부(227)를 "제 2 유동가이드부"라 이름한다. The
그리고,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가이드부(227)의 배치에 의하여, 상기 제 1,2 팬유로(234a,234b)를 경유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에는, 공기의 유동방향, 즉 원주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본체(228)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가이드 본체(228)는 라운드면 또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The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내부에는,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세히, 공기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의 전단부에는,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경유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228a)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부(228a)는 개방된 공간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본체(228)는 상기 유입부(228a)로부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In the
[절개부] [Cutting section]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절개부(221a)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21a)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유입부(228a)는 상기 절개부(221a)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상기 유입부(228a)는 상기 절개부(221a)와 함께 제 2 토출부(27)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하측에 존재하는 공기 유동, 즉 상기 제 1,2 팬유로(234a,234b)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The
[제 2 토출 가이드부][Second Discharge Guide Portion]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유동을 반경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가 구비된다.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중앙부로부터 외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제 2 토출부(27)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에는, 상방으로 함몰되는 플레이트함몰부(229a)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함몰부(229a)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돌출된 형상이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일부분을 상방으로 함몰시켜 상기 플레이트함몰부(229a)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를 구성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손실을 최소화하여 유동경로를 전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이 양 방향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The second
[제 2 토출 가이드부의 작용][Operation of Second Discharge Guide Portion]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유동은 회전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방향 전환되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상기 하부 팬(230)을 향하여 상방으로 흡입된 공기는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며,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제 2 토출유로(28)를 통하여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air sucked upward toward the
[가이드 안착부][Guide seating part]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안착되는 가이드 안착부(221c)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는 상기 가이드 안착부(221c)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안착부(221c)에는,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결합부(221d)가 구비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가이드결합부(221d)를 통하여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에 체결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Upper orifice and lower fan]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와 하부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에 회전 모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orifice and the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orifice and the lower fa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otary motor is installed in the upper orif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부오리피스 본체][Upper orifice body]
도 3과, 도 17 내지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오리피스(240)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개구된 중앙부(241a)를 가지는 상부오리피스 본체(241)가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는 공기를 상기 하부 팬(230)으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에 의하여,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d FIGS. 17 through 19, an
[팬 가이드][Fan Guide]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 팬(230)의 측판부(235)가 삽입되는 팬 가이드(242)가 포함된다. 상기 팬 가이드(244)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팬 가이드(244)는 상기 개구된 중앙부(241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모터지지부][Motor Support]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244)가 더 포함된다. 상기 모터지지부(244)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모터(27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70)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저면에 지지되며 상기 모터지지부(244)에 삽입될 수 있다.The
[구동장치][Driving device]
상기 하부 모듈(200)에는, 구동력을 발생하여 상부 모듈(100) 및 하부 모듈(20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동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에 의하여, 상기 상부 모듈(100) 및 하부 모듈(200)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장치에는, 회전모터(270) 및 기어(272,276)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272,276)에는 피니언 기어(272) 및 랙 기어(276)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riving device includes a
상기 회전모터(270)에는, 피니언 기어(27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회전모터(27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모터(270)의 모터축(27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270)가 구동하면,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회전할 수 있다. A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랙 기어(276)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피니언 기어(272)보다 유동 발생장치(10)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 기어(276)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 고정된다. The
상기 랙 기어(276)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피니언 기어(272)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모터(270)와 상기 피니언 기어(272)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즉 공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모터(270)를 지지하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는 자전하게 된다. Since the
[제 2 서포터결합부][Second Supporting Member]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에 결합되는 제 2 서포터결합부(24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중앙부(241a)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에 결합되는 제 2 체결부(267d)가 포함된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서포터결합부(248)를 통하여 상기 제 2 체결부(267d)에 체결될 수 있다.The
[커버결합부][Cover coupling portion]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커버(290)에 결합되는 커버결합부(249)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결합부(249)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테두리부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커버결합부(249)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오리피스결합부][Orifice coupling portion]
상기 하부커버(290)에는, 상기 커버결합부(249)에 결합되는 오리피스결합부(292a)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결합부(292a)는 상기 하부커버(290)의 내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결합부(249)의 수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소정의 체결부재는 상기 오리피스결합부(292a)를 통하여 상기 커버결합부(249)에 체결될 수 있다. The
[벽지지부][Wallpaper section]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을 지지하는 벽지지부(246)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벽지지부(246)는, 상기 상부오리피스 본체(2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지지부(246)는, 상기 가이드 벽(223)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The
[하부 오리피스와 히터 어셈블리][Lower orifice and heater assembly]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heate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부 오리피스 본체][Lower orifice body]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 어셈블리(260)는 하부 오리피스(28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개구된 중앙부(280a, 도13 참고)를 가지는 하부오리피스 본체(281)가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0a)는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의 개구된 중앙부(241a)로 전달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0a)에 의하여,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0, a
[랙 결합부][Rack joint part]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에는, 상기 랙 기어(276)에 결합되는 랙 결합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랙 결합부는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랙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을 가진다. 상기 랙 체결부재는 상기 랙 기어(276)를 관통하여 상기 랙 결합부에 체결될 수 있다. The
[브라켓지지부][Bracket Support]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는, 히터(261) 및 상기 히터(261)의 양측을 지지하는 히터 브라켓(263)이 포함된다. 상기 개구된 중앙부(280a)에는, 히터(261)가 삽입될 수 있다.The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에는, 상기 히터 브라켓(263)이 장착되는 브라켓지지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브라켓지지부는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The
[롤러지지부][Roller support part]
상기 하부오리피스 본체(281)의 상부에는, 상기 롤러(278)를 지지하는 롤러지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롤러(278)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에 접촉하여 구름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A roller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제 1 서포터][First supporter]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의 상측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금속재질, 일례로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하부모듈(200) 중 회전하는 부품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서포터(265)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와 함께 상기 하부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부품들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 1,2 서포터(265,267)는 상기 하부 팬(1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이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로부터 이격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The
[제 2 서포터][Second supporter]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와,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 및 제 1 서포터(265)는 고정된 구성이며, 상기 제 2 서포터(267) 및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상측에 구비되는 부분, 즉 하부 팬(230), 하부팬 하우징(220) 및 상부 오리피스(240)등은 회전(자전)할 수 있다.The
상기 제 2 서포터(267)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는 제 2 서포터본체와, 상기 제 2 서포터본체의 내주면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서포터본체)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제 2 서포터프레임이 포함된다.The
상기 제 2 서포터본체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중심부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중심부는 상기 제 2 서포터(267)의 회전중심축을 형성한다.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upporter main body, a rotation center portion form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베이스][Base]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2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베이스(50)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본체(51) 및 상기 베이스본체(51)의 상측에 결합되는 베이스커버(53)가 포함된다. Referring to FIG. 21, the base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베이스커버(53)에는, 관통홀(54)이 포함된다. 상기 관통홀(54)은 상기 베이스커버(53)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50)에는, 상기 베이스본체(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54)을 통과하는 베이스서포터(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서포터(58)에는, 상기 레그 본체(31)가 결합될 수 있다. The base cover (53) includes a through hole (54). The through
상기 베이스본체(51)에는 상기 베이스커버(53)와 결합을 이루는 베이스커버 체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커버 체결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본체(51)의 내부 둘레를 따라 위치할 수 있다. The
상기 베이스본체(51)에는 배터리(55) 및 파워PCB(5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55)와 파워PCB(57)는 상기 베이스서포터(58)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터리(55)와 상기 파워PCB(57)는 상기 베이스서포터(58)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A
상기 베이스본체(51)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55)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가지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무게중심을 아래로 낮아지게 할 수 있다. 상세히,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이 포함되는 상부모듈(100)과 하부모듈(200)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상부에 배치된다. Since the
따라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무게중심이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상부에 형성되나, 상기 배터리(55)가 상기 베이스(50)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이 아래로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결국,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전도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한편, 베이스본체(51)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을 통해 삽입되는 전원선은 상기 배터리(55) 또는 파워PCB(57)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또는 상기 배터리(55)에 저장된 전원은 상기 파워PCB(57)를 통하여 전기부품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부품에는, 상기 상부모터(170), 하부모터(236), 메인 PCB(215) 또는 회전모터(270)가 포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r the power stored in the
상기 파워PCB(57)에는 전기선(60, 도 2 참조)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선(60)은 상기 베이스(5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그(3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An electric wire 60 (see FIG. 2) may be connected to the
상세히, 상기 전기선(60)은 상기 파워PCB(57)로부터 상기 레그 본체(31)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레그연장부(33) 또는 상기 제 2 레그연장부(35)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20)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레그(30)는 상기 본체(200를 지지하는 기능과 함께, 전기선(60)의 설치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ectric wire 60 extends from the
[상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 [Air flow in the upper module]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22 and 23 are views showing how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an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 팬(1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100)의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1 공기유동(Af1)이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22 and 23, when the
상세히,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하방으로 흡입된다. 상기 제 1 흡입부(2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프리필터(105)를 거쳐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In detai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상기 상부 팬(1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상부 팬(1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가이드 벽(15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138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로(138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138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air flow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 2 팬유로(138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138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상부 팬(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flow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상기 유동 가이드부(160)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151)의 하측에 구비되는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와 함께,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The air flowing along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는 상부팬 하우징(150) 및 상부커버(12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1 토출부(25)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한편, 상기 가이드 벽(153)의 외측에는 공기 중 미생물의 제균을 위한 이오나이저(179)가 설치되는 이오나이저 장착부(168)가 형성된다. 상기 이오나이저(179)는 상기 제 1 팬유로(138a) 또는 상기 제 2 팬유로(138b)를 향하여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모듈(100)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이오나이저(179)를 통하여 제균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n
[하부모듈에서의 공기유동][Air flow in the lower module]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모듈에서 팬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모듈 및 하부모듈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S. 24 and 25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ir having passed through a fan is discharged from a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of discharged air. FIG.
도 2와,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부 팬(230)이 구동되면, 공기는 상기 상부모듈(200)의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되며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유동, 즉 제 2 공기유동(Af2)이 발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 24 and 25, when the
상세히,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에 따라, 공기는 상기 하부모듈(2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상방으로 흡입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프리필터(295)를 거쳐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흡입된다. In detai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상기 하부 팬(230)의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부 팬(230)의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며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가이드 벽(223)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팬유로(234a)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유로(234a)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 2 팬유로(234b)를 통하여 원주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The air flow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상기 제 2 팬유로(234b)의 유동 단면적은 상기 제 1 팬유로(234a)의 유동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저항이 줄어들고 상기 하부 팬(230)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flow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econd
상기 제 2 팬유로(234b)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으로 유동한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은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원주 방향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상기 유동 가이드부(227)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하우징 플레이트(2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방향 전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를 만나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와 함께,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10) 또한 반경방향으로의 공기 유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The air flowing along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는 하부팬 하우징(220) 및 하부커버(290)에 의하여 원주 방향으로 가이드 되어 회전력을 가지고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21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제 1,2 토출부를 통한 공기의 집중 배출][Centralized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units]
도 26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토출부(27)는 에어가이드(180,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토출부(25)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향하는 공기유동은 제 1 토출부(25)를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배출되는 제 1 공기와,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배출되는 제 2 공기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6, the
그리고,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 및 상기 상부 에어가이드(18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1 토출유로(26)로 배출되며,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 및 상기 하부 에어가이드(229)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제 2 토출유로(28)로 배출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이 때,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는 상기 제 1 토출 가이드부(158)의 바로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 1,2 토출유로(26,28)를 유동하는 공기는 집중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하면,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 작용하는 유동 압력이 균형을 이룰 수 있으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또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상기 제 2 토출부(27)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유동가이드부(227) 및 상기 제 2 토출 가이드부(229)에 의하여 상기 제 2 토출유로(28)를 향하여 반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토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상기 하부모듈(200)에는 상기 하부모듈(200)을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어셈블리(2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는 상기 제 2 송풍팬(230)의 흡입측에 배치되며,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 2 송풍팬(23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가 상기 하부모듈(200)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히터 어셈블리(260)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에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게 된다. The
[제 1,2 토출부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portions]
상기 상부 팬(130)의 회전방향과, 상기 하부 팬(230)의 회전방향은 반대방향을 형성할 수 있다.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일례로, 상기 유동발생 장치(10)를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 1 토출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면에, 상기 제 2 토출부(27)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어느 타 방향으로 회전한다.For example, when the
따라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의 하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일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일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For example,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반대로, 상기 상부 팬(130)을 통과한 공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부(158)의 좌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팬(230)을 통과한 공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로 이동하는 경우,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부(229)의 우측면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모듈(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하부모듈(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이 서로 반대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에 의하여 유동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진동 및 그에 따른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flow direction of the air generated in the
[유동 발생장치의 회전작용] [Rotating Operation of Flow Generating Device]
도 2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고정되는 부분(F)과, 회전되는 부분(R)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2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xed portion F and a rotated portion R of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10)에는, 일 위치에 고정되는 장치 고정부(F) 및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장치 회전부(R)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장치 회전부(R)는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27, the
상기 장치 고정부(F)에는, 하부 모듈(100) 중 하부 오리피스(280), 랙 기어(276) 및 히터 어셈블리(26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 회전부(R)에는, 상부 모듈(100)과, 상기 하부 모듈(100) 중 상기 고정되는 부분(R)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apparatus fixing portion F includes a
[유동 발생장치의 조립 및 분리][Assembly and Separation of Fluid Generating Device]
도 2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조립 및 분해를 위한 연결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8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part for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상술한 구성간의 결합관계로부터 분리 또는 조립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3개의 모듈로 구분할 수 있다.The
즉,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제 1 모듈(410), 제 2 모듈(420) 및 제 3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제 1 모듈][First module]
상기 제 1 모듈(410)은 상부커버(120), 상기 상부커버(120)에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10),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0)에 결합되는 프리필터(105), 탑커버지지부(103) 및 탑커버(1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모듈(410)의 구성은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 1 모듈(410)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1 모듈(410)은 상술한 상부 걸림기구(177a,177b,157b,127)의 작용에 의하여 제 2 모듈(4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다.The
[제 2 모듈][Second module]
상기 제 2 모듈(420)은 상부팬(130), 상부팬 하우징(150), 상부모터(170), 상부 록킹부(175), 상부 에어가이드(180), 하부 에어가이드(210), 하부모터(236), 하부팬 하우징(220), 하부팬(230) 및 하부 록킹부(239)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모듈(420)의 구성은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 2 모듈(420)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2 모듈(420)은 상술한 하부 걸림기구(238a,238b,225a,292b)의 작용에 의하여 제 3 모듈(43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다.The
[제 3 모듈][Third Module]
상기 제 3 모듈은(430)은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50),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레그(30), 상기 레그(30)와 결합되는 하부 오리피스(280), 상기 하부 오리피스(280)와 결합되는 히터어셈블리(260)와 제 1 서포터(265), 상기 제 1 서포터(265)와 연결되는 제 2 서포터(267), 상기 제 2 서포터(267)와 결합되는 상부 오리피스(240) 및 상기 상부 오리피스(240)와 결합되는 하부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모듈(430)의 구성은 서로 결합되므로 상기 제 3 모듈(430)은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상기 제 3 모듈(430)은 상술한 하부 걸림기구(238a,238b,225a,292b)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 2 모듈(420)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3 모듈(430)은 베이스(50)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2 모듈(420)을 상기 제 3 모듈(43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보다 편리한 분리 작업이 될 것이다. The
[고정부분 및 분리부분] [Fixed part and separated part]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분리 또는 조립의 편의를 위해 고정부분과 분리부분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모듈(410) 및 제 2 모듈(420)은 분리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3 모듈(430)은 고정부분으로 정의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분리부분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에서 회전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paration portion can be understood as a portion which can be separated by rotation in the
여기서, 고정부분은 도 27에서 설명한 회전부(R) 및 고정부(F)에서의 회전을 이루지 않는 고정부(F)의 의미와 다소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부분은 지면과 맞닿아 기립한 제 3 모듈(430)의 모든 구성을 의미한다. 즉, 상기 고정부분은 상술한 고정부(F)와 회전부(R)의 일부가 포함된다.Here, the fixing portion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the fixing portion F that does not rotate in the rotation portion R and the fixing portion F described in Fig. In particular, the fixed portion refers to all configurations of the
상기 고정부분은 지면과 맞닿는 베이스(50)와 상기 베이스(5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레그(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유동 발생장치(10)의 분리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410) 내지 상기 제 3 모듈(430)이 모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 3 모듈(430)을 먼저 분리하기에 불편함이 있다.The fix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base (50) abutting the ground and a leg (30) extending upward from the base (50). Therefor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irst separate th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청소 등 관리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410)을 상부 걸림기구의 작용에 의해 구속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 2 모듈(420)로부터 회전하여 분리한 후, 상기 제 2 모듈(420)을 하부 걸림기구의 작용에 의해 구속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 3 모듈(430)로부터 회전하여 분리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이에 의하면, 상방으로 개방되어 먼지 등이 많이 누적될 수 있는 상부커버(120)와 흡입력에 의해 청소가 요구되는 상부팬(130) 및 하부팬(23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리된 모듈 별로 편리하게 청소 또는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즉, 상기 분리부분은 사용자 및 상기 유동 발생장치(10)가 기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eparation portion can be understood as a portion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by the user in a state where the user and the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를 각각의 모듈 별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분리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separation method by which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유동 발생장치의 분리 방법][Method for separating flow generating device]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동 발생장치의 분해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세히, 도 29의 (a),(b),(c),(d)는 상기 제 1 모듈의 분리 및 상부팬 분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30의 (a),(b),(c),(d)는 상기 제 2 모듈의 분리 및 하부팬 분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9 and 30 are views showing a method of disassembling the flow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9 (a), (b), (c), and (d) are views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first module and the separation of the upper fan, , (d) are views showing the separation of the second module and the lower fan separation.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분리 방법은 상기 제 1 모듈(410)을 제 2 모듈(420)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1 분리단계 및 상기 제 2 모듈을 제 3 모듈(430)로부터 분리시키는 제 2 분리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제 1 분리단계][First Separation Step]
도 29(a)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모듈 내지 제 3 모듈이 모두 결합을 이룬 유동 발생장치(10)에서 분리 단계가 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9 (a), the separation step can be started in the
상기 제 1 분리단계에서, 사용자는 상부모듈(100)의 제 1 걸림기구 중 제 2 래치(177b)를 1회 상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된 상기 제 2 래치(177b)는 상기 걸림돌기(128a)와 걸림이 해제되어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부팬 하우징(150)에 대한 원주 방향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In the first separation step, the user can press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상부커버(120)를 파지한 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모듈(100)의 제 2 걸림기구(127,157b) 간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커버(120)의 회전으로 상기 후크 결합부(127)가 상기 후크(157b)의 개구된 원주방향으로 빠져 나와 상기 상부커버(120)의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 시킬 수 있다. The user can grasp the
그리고, 도 2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상부커버(120)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제 1 모듈(410)을 분리 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모듈(410)을 간편하게 세척 또는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팬(130) 및 상부팬 하우징(15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29 (b), the user can remove the
그리고, 도 29(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상부팬(130) 및 상부팬 하우징(150)을 확인하여 교환, 청소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부팬(13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상부 록킹부(15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부팬(130)과 상부모터(170)간의 고정 결합을 해제 시킬 수 있다. 29 (c), the user checks the
그리고, 도 29(d)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록킹부(150)가 분리되면 상기 상부팬(13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상부팬 하우징(15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팬(130)은 상기 제 2 모듈(42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될 수도 있다.29 (d), when the
[제 2 분리단계][Second Separation Step]
도 30(a)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분리단계는 상기 제 1 모듈(410)이 분리되고, 제 2 모듈(420) 및 제 3 모듈(430)이 결합된 상태에서 시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a), the second separating step may be started when the
상기 제 2 분리단계에서, 사용자는 하부모듈(200)의 제 1 걸림기구(하부 제 1 걸림기구) 중 제 2 래치(238b)를 1회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가압된 상기 제 2 래치(238b)는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이 해제되어 상방으로 탄성 복원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부커버(290)에 대한 원주 방향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the user can press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에어가이드(180,210)를 파지한 채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180,210)와 일체로 연결된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은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는 다른 구성요소를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The user can grasp the air guides 180 and 210 and rotate them in any one direction. At this time. The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이 회전되면, 상기 하부모듈(200)의 제 2 걸림기구(225a,292b)간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When the
즉, 상기 하부팬하우징(220)의 회전으로 상기 후크(225a)가 상기 후크 결합부(292b)와 연결된 상태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의 하부커버(290)에 대한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 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도 30(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제 2 모듈(420)을 제 3 모듈(430)로부터 분리 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2 모듈(420)을 간편하게 세척 또는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모듈(420)의 상기 하부팬(230) 및 하부팬 하우징(220)과, 상기 제 3 모듈(430)의 상기 상부오리피스(240) 및 히터어셈블리(26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0 (b), the user can lift the
그리고, 도 30(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하부팬(230) 및 하부팬 하우징(220)을 확인하여 교환, 청소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하부팬(230)을 분리시킬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는 상기 하부 록킹부(239)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하부팬(230)과 하부모터(236)간의 고정 결합을 해제 시킬 수 있다. 30 (c), the user checks the
그리고, 도 30(d)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록킹부(239)가 분리되면 상기 하부팬(230)을 하방으로 꺼내(또는 뒤집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 상기 하부팬 하우징(22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팬(230)은 상기 제 2 모듈(42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30D, when the
이와 같이, 상기 상부 제 1,2 걸림기구 및 하부 제 1,2 걸림기구의 작용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를 3개의 모듈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동 발생장치(10)의 청소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parate the
[유동 발생장치의 조립 방법][Method of assembling a fluid generating device]
한편, 상기 분리 단계의 역순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조립 방법이 될 것임이 자명할 것이다. 즉, 상기 제 3 모듈(430)에 상기 제 2 모듈(420)을 결합시킨 후, 상기 제 2 모듈(420)에 상기 제 1 모듈(410)을 결합시켜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를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모듈의 조립 방법은, 상술한 분리 방법의 역으로 수행할 수 있다.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reverse order of the separating step will be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전기적 결선과 단선][Electrical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한편, 상기 제 1 분리단계 및 제 2 분리단계에서 전기적 단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조립단계 및 제 2 조립단계에서 전기적 결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electrical disconnection may be per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ng steps. Conversely,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de in the first and second assembling steps.
즉, 상기 제 1 분리단계에서 상기 상부모듈(100)의 걸림기구(상부 걸림기구)에 의한 원주 방향 또는 상하 방향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 2 모듈(420) 및 상기 제 3 모듈(430)과 상기 제 1 모듈(410)의 전기적 연결은 끊어질 수 있다. That is, when the constrain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engagement mechanism (upper engagement mechanism)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410)과 상기 제 2 모듈(420)은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점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상부모듈(100)의 제 1 래치(177a)는 포고 핀(Pogo PIN)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래치(177b)는 전도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래치(177a)와 접촉하는 접점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도체는 하방으로 링 타입의 전기선(wire)이 권취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따라서, 상기 제 2 래치(177b)가 가압되어 상기 걸림돌기(128a)와 걸림이 이루어지면, 상기 접점부는 상기 포고 핀과 접촉을 이루게된다. 이때, 상기 제 1 모듈(410)은, 상기 제 2 모듈(420) 및 제 3 모듈(430)과의 전기적 결선을 이룰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그리고, 상기 제 2 래치가(177b) 재차 가압되어 상기 걸림돌기(128a)와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접점부는 상기 포고 핀과 분리되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전기적 단선이 이루어 질 수 있다. When the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듈(410)의 분리 시에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0) 등으로 흐르는 전류가 즉각적으로 차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상기 유동 발생장치(10)는 베이스(50) 내부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술한 파워PCB(5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듈(410)에 대한 접점 연결 또는 접점 해제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듈(410)에 대한 전기적 단선이 감지된 경우, 상기 에어가이드(180,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PCB(215)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The central control unit may sense the contact connection to the
즉,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 1 모듈(410)과의 접점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상기 상부팬(130) 및/또는 하부팬(230)에 대한 전원이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듈(410)과 접점 해제가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팬(130) 및/또는 하부팬(230)에 대한 전원 연결이 끊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central control unit can control power to be connected to the
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모듈(410)의 접점 연결 또는 접점 해제를 통하여, 중앙 제어부가 상기 유동 발생장치(10)의 분리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가 분리를 위한 조작 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팬 및/또는 하부팬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the central control unit can recognize the disconnection state of the
상술한 전기적 결선 또는 전기적 단선의 방식은 하부모듈(200)의 걸림기구(하부 걸림기구)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모듈(420)의 분리 또는 조립 시에 이루어지는 전기적 단선 또는 결선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1 모듈(410)의 설명을 원용한다.The above-described electrical connection or electrical disconnection method is equally applied to the latch mechanism (lower latch mechanism) of the
즉, 상기 제 2 분리단계에서 상기 하부모듈(200)의 걸림기구에 의한 원주 방향 또는 상하방향의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 2 모듈(420)과 제 3 모듈(430)의 전기적 연결은 끊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PCB(215)를 통해 제어되는 모든 구성의 전원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stri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is released by the latching mechanism of the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제 2 모듈(420)과 제 3 모듈(430)간 전기적 단선이 감지되는 경우,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상기 본체(10)로 제공되지 않도록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When the electric power is disconnected between the
이에 의하면, 상기 제 3 모듈(430)에 구비된 구성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종료시켜 분리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10: 유동 발생장치 20: 본체
100: 상부모듈 200: 하부모듈
10: flow generating device 20:
100: upper module 200: lower module
Claims (20)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
상기 팬 및 팬 하우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의 선택적 결합을 가이드하는 걸림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기구는,
제 1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을 원주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 시킬 수 있으며,
제 2 동작에 의해 상기 커버와 팬 하우징을 상하 방향으로 구속 또는 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유동 발생장치.
A fan for generating a first air flow and a second air flow which f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e close to each other;
A fan housing for receiving the fan;
A cover disposed to surround the fan and the fan housing; And
And a latching mechanism for guiding selective engagement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can be constrained or relea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first operation,
And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can be constrained or relea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econd operation.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제 1 동작을 가이드하는 제 1 걸림기구 및;
상기 제 2 동작을 가이드하는 제 2 걸림기구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 first engagement mechanism for guiding the first operation;
And a second engagement mechanism for guiding the second operation.
상기 제 1 걸림기구는,
상기 커버에 구비되는 래치수용부;
상기 래치수용부에 삽입되는 제 1 래치; 및
상기 팬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래치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includes:
A latch receiv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A first latch inserted into the latch receiving portion; And
And a second latch movably coupled to the fan housing.
상기 제 2 래치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래치수용부에 구속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latch moves up and down to be locked or released to the latch receiving portion.
상기 제 1 걸림기구는, 상기 래치수용부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latching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atch receiving portion.
상기 제 1 동작은,
상기 제 2 래치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을 이루는 제 1 걸림동작; 및
상기 제 2 래치와 상기 걸림돌기의 걸림이 해제되는 제 1 해제동작을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operation comprises:
A first latching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latch and the latching protrusion engage each other; And
And a first releasing operation of releasing engagement of the second latch and the engaging projection.
상기 제 2 걸림기구는,
상기 팬 하우징의 일 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커버에 상기 후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후크 결합부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6,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includes:
A hook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fan housing; And
And a hook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cov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ook.
상기 후크는 일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ook has a shape bent in one direction.
상기 후크와 후크 결합부는, 상기 커버 및 팬 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원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is slidably inser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ok and the hook coupling portion.
상기 제 2 동작은,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후크에 끼워지는 제 2 걸림동작; 및
상기 후크 결합부가 상기 후크로부터 멀어지는 제 2 해제동작을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operation may include:
A second engaging operation in which the hook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hook; And
And a second releasing operation wherein the hook engaging portion is away from the hook.
상기 팬, 팬 하우징 및 커버는,
상기 제 1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상부팬, 상부팬 하우징 및 상부커버와,
상기 제 2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하부팬, 하부팬 하우징 및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n, fan housing,
An upper fan housing and an upper cover for guiding the first air flow,
And a lower pan for guiding the second air flow, a lower fan housing, and a lower cover.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상부커버와 상기 상부팬 하우징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상부 걸림기구; 및
상기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팬 하우징을 구속 또는 해제하는 하부 걸림기구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n upper locking mechanism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nd
And a lower engaging mechanism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상기 걸림기구는,
상기 커버 및 상기 팬 하우징의 구속 또는 해제에 따라 전기적 단선을 수행할 수 있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atch mechanism includes:
And a contact portion capable of performing electrical disconnection according to the constraint or release of the cover and the fan housing.
상기 제 1 모듈과 결합되며, 팬 및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 2 모듈; 및
상기 제 2 모듈과 결합되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레그, 상기 레그와 결합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는 제 3 모듈을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듈을 상기 제 2 모듈로부터 분리하는 제 1 분리단계; 및
상기 제 2 모듈을 상기 제 3 모듈로부터 분리하는 제 2 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분리단계 및 제 2 분리단계는,
모듈간의 원주방향을 구속하는 제 1 걸림기구가 상하방향으로 가압되어 구속을 해제하며,
모듈간의 상하방향을 구속하는 제 2 걸림기구가 회전에 의하여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A first module including a top cover;
A second module coupled to the first module, the second module including a fan and a fan housing to receive the fan; And
And a third module coupled to the second module, the third module including a base disposed on the ground, a leg extending from the base, and a lower cover coupled with the leg,
A firs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first module from the second module; And
And a second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second module from the third module,
Wherein the first separation step and the second separation step comprise: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etween the modules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release the restraint,
And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for restricting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modules releases the restraint by rotation.
상기 제 1 분리단계는,
상기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여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커버의 원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기구가 상기 상부커버와 상부팬 하우징의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separating step comprises:
Pressing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to release the circumferential constraint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And
And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releases the vertical restraint of the upper cover and the upper fan housing by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of the upper cover.
상기 상부커버가 상방으로 분리되어 상기 상부팬 및 상부팬 하우징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upper cover is separated upward so that the upper fan and the upper fan housing are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 2 분리단계는,
상기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커버와 하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comprises:
And releasing the circumferential constraint of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by pressing the first engagement mechanism.
상기 제 1 분리단계에서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는 방향은, 상기 제 2 분리단계에서 제 1 걸림기구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is pressed in the first separating step is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engaging mechanism is pressed 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상기 제 2 분리단계는,
상기 하부팬 하우징의 원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걸림기구가 상기 하부커버와 하부팬 하우징의 상하방향 구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second separating step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vertical restraint of the lower cover and the lower fan housing by the second engagement mechanism by the circumferential rotation of the lower fan housing.
상기 제 1 걸림기구 및 상기 제 2 걸림기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속을 해제하는 경우, 모듈간의 전기적 단선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발생장치 분리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engagement mechanisms releases the restraint, the modules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2088A KR102407570B1 (en) | 2017-09-01 | 2017-09-01 | Flow generator |
US16/642,961 US20200191153A1 (en) | 2017-09-01 | 2018-05-10 | Flow generator |
EP18852405.2A EP3677787A4 (en) | 2017-09-01 | 2018-05-10 | Flow generating device |
CN201890000721.4U CN211230883U (en) | 2017-09-01 | 2018-05-10 | Flow generating device |
PCT/KR2018/005379 WO2019045221A1 (en) | 2017-09-01 | 2018-05-10 | Flow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2088A KR102407570B1 (en) | 2017-09-01 | 2017-09-01 | Flow gen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444A true KR20190025444A (en) | 2019-03-11 |
KR102407570B1 KR102407570B1 (en) | 2022-06-10 |
Family
ID=6552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2088A KR102407570B1 (en) | 2017-09-01 | 2017-09-01 | Flow generato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191153A1 (en) |
EP (1) | EP3677787A4 (en) |
KR (1) | KR102407570B1 (en) |
CN (1) | CN211230883U (en) |
WO (1) | WO2019045221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1990A1 (en) * | 2021-02-23 | 2022-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purifi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352A (en)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ir cleaner |
FR3124558A1 (en) * | 2021-06-24 | 2022-12-30 | Airinspace | Pavilion for fan |
CN114321024B (en) * | 2021-12-31 | 2024-03-26 |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of noise reduc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noise reduction device |
WO2024104929A1 (en) | 2022-11-14 | 2024-05-23 | Versuni Holding B.V. | Air displacement appliance |
EP4368909A1 (en) * | 2022-11-14 | 2024-05-15 | Versuni Holding B.V. | Air displacement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7126A (en) * | 2000-08-29 | 2002-03-07 | 이기환 | A cooling/heating apparatus having fans |
KR200278255Y1 (en) * | 2002-03-29 | 2002-06-20 | (주)씨티타워 | mechanical fan |
KR20170048123A (en) * | 2015-10-23 | 2017-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7115969A1 (en) * | 2015-12-29 | 2017-07-06 | 황용학 | Ceiling-type air conditioner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1528640A (en) * | 1966-01-06 | 1968-06-14 | Indoor fan draws in fresh air and simultaneously expels stale air, especially with intermediate closure | |
US4457672A (en) * | 1981-03-23 | 1984-07-03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Fan with variable axis impeller |
US5035398A (en) * | 1990-04-11 | 1991-07-30 | Chiang Chao Cheng | Mounting structure for a smoke exhauster |
CA2760653C (en) | 2009-06-28 | 2015-02-24 | Balmuda Inc. | Axial flow fan |
KR20110078803A (en) * | 2009-12-31 | 2011-07-07 | 윤근수 | Omni-directional electric fan having the function of hot air blowing |
KR101416303B1 (en) * | 2013-04-04 | 2014-07-09 | 주식회사 네프론 | Erect type flow generater |
-
2017
- 2017-09-01 KR KR1020170112088A patent/KR102407570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5-10 US US16/642,961 patent/US2020019115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8-05-10 WO PCT/KR2018/005379 patent/WO2019045221A1/en unknown
- 2018-05-10 CN CN201890000721.4U patent/CN211230883U/en active Active
- 2018-05-10 EP EP18852405.2A patent/EP3677787A4/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17126A (en) * | 2000-08-29 | 2002-03-07 | 이기환 | A cooling/heating apparatus having fans |
KR200278255Y1 (en) * | 2002-03-29 | 2002-06-20 | (주)씨티타워 | mechanical fan |
KR20170048123A (en) * | 2015-10-23 | 2017-05-08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conditioner |
WO2017115969A1 (en) * | 2015-12-29 | 2017-07-06 | 황용학 | Ceiling-type air condition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81990A1 (en) * | 2021-02-23 | 2022-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Air purifi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191153A1 (en) | 2020-06-18 |
EP3677787A1 (en) | 2020-07-08 |
EP3677787A4 (en) | 2021-05-05 |
CN211230883U (en) | 2020-08-11 |
WO2019045221A1 (en) | 2019-03-07 |
KR102407570B1 (en) | 2022-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25444A (en) | Flow generator | |
CN111256229B (en) | Air cleaner | |
CN111623438B (en) | Air cleaner | |
US20200078719A1 (en) | Air cleaner | |
US9943794B2 (en) | Air cleaner | |
CN106839140B (en) | Air cleaner | |
KR20190025443A (en) | Flow generator | |
KR20190095240A (en) | Air cleaning apparatus | |
KR20190025452A (en) | Flow generator | |
KR102188684B1 (en) | Air blower having detachable function extension module | |
KR20100056797A (en) | Air conditioner | |
CN111256232B (en) | Air cleaner | |
KR20190025420A (en) | Flow generator | |
CN112119222B (en) | Flow generating device | |
CN211924537U (en) | Flow generating device | |
CN211778078U (en) | Flow generating device | |
KR20190025451A (en) | Flow generator | |
KR102404689B1 (en) | Flow generator | |
KR20190025422A (en) | Flow generator | |
KR20190025423A (en) | Flow generator | |
KR20190025445A (en) | Flow generator | |
CN220622256U (en) | Fan | |
KR20060111029A (en) | Air cleaner | |
CN115899829A (en)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