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22527A -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2527A
KR20190022527A KR1020187036346A KR20187036346A KR20190022527A KR 20190022527 A KR20190022527 A KR 20190022527A KR 1020187036346 A KR1020187036346 A KR 1020187036346A KR 20187036346 A KR20187036346 A KR 20187036346A KR 20190022527 A KR20190022527 A KR 20190022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iprocating arm
connecting portion
section
wiper blade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써 테일라드
Original Assignee
페더랄-모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3729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2252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랄-모굴 에스.아. filed Critical 페더랄-모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90022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5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27Arm piece, link piece and mounting head formed as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8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ex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탄성의 기다란 캐리어 부재; 닦여질 윈드 스크린에 밀착되어 놓이고, 유연성 재료의 기다란 와이퍼 블레이드(2); 및 왕복동하는 아암(6)을 위한 연결 기구(5)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는 평평한 블레이드(flat blade)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홈(3)을 포함하며, 상기 홈(3)은 상기 캐리어 부재의 종방향 스트립(4)이 배치되고,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은 자유 단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연결부(7)의 삽입물과 함께 상기 연결 기구(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은 상기 연결부(7)에 연결되는 위치에 적어도 실질적인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U" 형태의 단면 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특히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과 상기 연결부(7)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종방향으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11) 사이에 상기 연결부(7)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고, 왕복동하는 아암(6)의 자유 단부를 향하는 연결부(7)의 단부측(18)은, 'U' 형태의 단면을 외부에 대하여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본 발명은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탄성의 기다란 캐리어 부재와 유연성 재료의 기다란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닦여질 윈드 스크린에 밀착되어 놓이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평평한 블레이드(flat blade)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홈을 포함하며, 상기 홈에는 상기 캐리어 부재의 종방향 스트립이 배치되고,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왕복동하는 아암을 위한 연결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은 자유 단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연결부의 삽입물과 함께 상기 연결 기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 내에 제공되는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혀(resilient tongue)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혀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 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외측 위치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해제하는 내측 위치 사이에서 힌지 축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실질적인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U" 형태의 단면 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것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닦여질 윈드 스크린으로부터 반대면에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와 상기 스포일러는 바람직하게 압출 가공(extrusion)을 통해서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종방향 홈은 바람직하게 상기 종방향 스트립을 수용하는 중앙 종방향 홈이다. 상기 종방향 스트립은 또한 플렉서(flexor)로 불리우는 반면, 상기 연결 기구는 또한 커넥터(connector)로 불리운다. 본 발명의 기본 구조에서, 상기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또한 일체형 커넥터(one piece connector)로 불리운다. 상기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진다.
본 발명은 차량들에 제한되지 않고 또한 열차(rail coaches) 및 다른 (빠른) 운송수단으로 언급될 수 있음을 주지 바란다.
그러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국제 특허 공보 WO 2010/017861(폭스바겐)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윈드 스크린 와이퍼 블레이드는 이른바 "편평한 블레이드" 또는 "요크없는 블레이드(yokeless blade)"로 설계되고,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몇 개의 요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캐리어 부재에 의하여 눌려지고, 그 결과로 특정한 곡률을 보이게 된다. 상기 공지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왕복동하는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는 이른바 "총검 장착(bayonet connection)"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연결부 상의 탄성 혀는 최초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눌려지고 -마치 누름 버튼 처럼-, 그리고 나서 왕복동하는 아암 내에 제공되는 구멍 내로 튀어오르는 것을 허용하고, 이후에 딱 소리를 내는, 즉 구멍 내의 탄성 혀에 부딪힌다. 후속으로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탄성 혀를 다시 밀게 되면, 와이퍼 블레이드는 왕복동하는 아암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상기 공지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왕복동하는 아암은 왕복동하는 아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기 위해서 개구부를 통해 연결부를 슬라이딩하는 자유 단부에 개구부를 제공한다.
상기의 국제 특허 공보에 공지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실제로 연결부와 왕복동하는 아암은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진다. 즉 주로 연결부용 플라스틱과 주로 왕복동하는 아암용 플라스틱의 금속 또는 다른 형태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자외선, 비, 먼지 및 얼음과 같은 영향으로 변색되는 결과, 이러한 재료들은 시간이 지나면 노화된다. 연결부와 왕복동하는 아암의 서로 다른 색들은 시간 경과에 따른 변색 때문에 심미학적으로 볼품 없다. 그래서 대중들에 의해 수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잡한 기계류 및 추가적인 장비의 사용없이 효율적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간단해지고 최소화된 비용이라는 점에서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여기서 변색의 효과는 최소화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서두에서 언급한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특징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과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종방향으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상기 연결부의 단부측은, 상기 'U' 형태의 단면을 외부에 대하여 닫는다. 그래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위치에 적어도 실질적인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반면에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개구부는, 상기 연결부에 의해 닫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이 왕복동하는 아암의 정지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에 상기 연결부를 신뢰성있고 안전하며 제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상기 다리들 사이로 도입(특히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이유로, 오직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형성되는 연결부의 단부측을 가지는 왕복동하는 아암의 'U' 형태의 단면 내부의 연결부의 위치는 오직 단부측만이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보여지는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왕복동하는 아암과 상기 연결부 사이의 임의의 색상이 차이가 나는 경우)
본 발명의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는 바람직하게 후방 창의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이다.
본 발명은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종방향 홈 내에 위치하는 탄성의 캐리어 부재를 형성하는 오직 하나의 종방향 스크립을 사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바란다.
대신하여, 상기 캐리어 부재는 또한 두 개의 종방향 스트립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립들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서로 대향하는 종방향 홈들 내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샤프트에 회전하도록 고정된 마운팅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마운팅 헤드를 회전시키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차례로 상기 마운팅 헤드는 회전 운동으로 상기 연결 기구를 끌어당기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동시킨다. 대안으로, 상기 마운팅 헤드는 캐리지(carriage)를 병진이동하기 위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는 상기 마운팅 헤드를 병진 운동시키면서 직선 운동 및 다른 직선 운동으로 교대로 병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운팅 헤드의 원형 움직임 또는 직선 움직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단부측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상기 자유 단부의 위치에,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와 상기 다리들과 수평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왕복동하는 아암은 연결부와 왕복동하는 아암 사이에 임의의 이음매들을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이음매들은 상기 베이스와 상기 다리들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왕복동하는 아암의 자유 단부측에서만 오직 보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연결부의 상기 단부측의 가장자리는 왕복동하는 아암의 상기 다리들과 상기 베이스에 의해 덮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에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힌지 축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자유 단부를 향한다. 대안으로, 상기 연결부의 상기 힌지 축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에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의 구멍은,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 내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구멍은 닫혀진 둘레를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피봇 축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 내에 제공되는 오목부들이 상기 연결 기구의 돌출부들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연결 기구에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 기구의 부착 위치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각 다리 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피봇 축에 동축으로 제공되는 오목부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들은, 상기 연결 기구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다.
본 발명은 도시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의 왕복동하는 아암과 연결부/연결 기구를 함께 끼워 맞추는 연속적인 단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연결 기구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나타내지 않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보면,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후방 창을 닦기 위한 차량의 후방 창 상에 맞춰지도록 배열된다.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탄성의 와이퍼 블레이드(2), 서로 대면하는 종방향의 홈들(3)로 형성되는 종방향 측면들 및 상기 종방향 홈들(3) 내에 맞춰지는 스프링 밴드 강철로 만들어지는 종방향 스트립들(4)를 포함한다. 상기 스트립들(4)은 만곡된 위치 내로 편향되는, 와이퍼 블레이드(2) 용 유연한 캐리어 부재를 형성한다. (작동 위치에서의 곡률은 닦여질 윈드 스크린의 곡률이다)
또한,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플라스틱 연결부(7)의 삽입물과 함께 왕복동하는 아암(6)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는 연결 기구(5)를 더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연결 기구(5)는 또한 강철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결 기구(5)는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스트립들(4)의 종방향 측들 주변에 결합되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클램핑 부재(8)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 기구(5)는 스트립들(4)과 와이퍼 블레이드(2)으로 구성된 유닛에 더욱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비록 모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메카니즘을 통해서 작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회전하도록 고정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성의 마운팅 헤드(9)로 구성된다. 사용 시, 샤프트는 마운팅 헤드(9)를 회전시키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할 수 있고, 또한, 차례로 마운팅 헤드(9)는 회전 운동으로 왕복동하는 아암(6)를 끌어당기고 연결 기구(5)를 이동시켜서, 와이퍼 블레이드(2)를 부착시킨다. 마운팅 헤드(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동하는 아암(6)에 탈착되도록 연결된다.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은 왕복동하는 아암(6)의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11) 사이에 횡방향 브릿지(10)로 제1 단부를 건다. 반면에 스프링은 왕복동하는 아암(6)과 왕복동하는 아암(6)에 연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2)가 닦여지는 윈드 스크린 위를 누르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제2 단부를 마운팅 헤드(9) 상의 핀(12) 위에 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해보면, 연결부(7)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탄성 혀(13)를 포함한다. 탄성 혀(13)가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15) 내에 제공되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구멍(14) 내에 결합하도록, 왕복동하는 아암(6)은 연결부(7)와의 연결 위치에서 U'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해보면, 연결 기구(5)는 연결 기구(5)의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원통형 돌출부들(16)을 포함한다. 이러한 돌출부들(16)은 연결부(7)의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원통형 오목부들(17) 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돌출부들(16)은 왕복동하는 아암(6)의 하나의 단부 근처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연결부(7)(및 연결부(7)에 부착되는 왕복동하는 아암(6))가 회동하기 위해서, 피봇 축의 위치에서 베어링 면들로 동작한다. 돌출부들(16)은 바람직하게 연결 기구(5)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돌출부들(16)은 연결 기구(5)에 수직한 단일의 피봇 핀의 부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왕복동하는 아암(6) 상에 와이퍼 블레이드(2)를 연결부(7)/연결 기구(5)와 함께 장착하는 단계를 도시한다. 왕복동하는 아암(6)과 연결 부(7)는 왕복동하는 아암(6)의 'U' 형태의 단면 내부로의 종방향으로 연결부(7)를 외측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이러한 슬라이딩 움직임 동안에, 탄성 혀(13)는 먼저 스프링 힘에 대하여 누르고, 이후에 구멍(14) 내로 스프링 복원을 허용한다. 그래서 찰칵된다. 이것은 구멍(14) 내로 탄성 혀(13)가 때리는 것이다. 이것은 소위 "총검 장착(bayonet connection)"이라고 불리운다. 그리고 나서, 와이퍼 블레이드(2)와 함께 왕복동하는 아암(6)은 사용 대기한다. 이어서, 스프링 힘에 대하여 탄성 혀(13)를 다시 눌르면(마치 누름 버튼 처럼), 와이퍼 블레이드(2)와 함께 연결 기구(5)/ 연결부(7)는 왕복동하는 아암(6)으로부터 해제될 것이다. 왕복동하는 아암(6)으로부터 와이퍼 블레이드(2)와 함께 연결 기구(5)/연결부(7)를 해체하는 것은, 왕복동하는 아암(6)으로부터 멀어지는 종방향 내로 와이퍼 블레이드(2)와 함께 연결 기구(5)/연결부(7)를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달성된다. 연결부(7)의 힌지축(17)은 왕복동하는 아암(6)의 자유 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한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7)의 단부측(18) 장착 위치는, 외부로부터 'U' 형태의 단면을 폐쇄하고, 여기서 연결부(7)의 오직 아주 작은 부분만으로 형성되는 단부측(18)은 외부로부터 보여진다. 연결부(7)의 단부측(18)은 왕복동하는 아암(6)의 자유 단부의 위치에 왕복동하는 아암(6)의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15)와 다리들(11)에 서로 수평을 맞춘다. 이러한 이유로, 연결부(7)의 단부측(18)의 가장자리는, 왕복동하는 아암(6)의 다리들(11)과 베이스(15)에 의해서 겹쳐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 예들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 예들로 확장된다.
1: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2: 와이퍼 블레이드
3: 종방향 홈 4: 종방향 스트립
5: 연결 기구 6: 왕복동하는 아암
7: 연결부 8: 클램핑 부재
9: 마운팅 헤드 10: 횡방향 브릿지
11: 다리들 12: 핀
13: 탄성 혀 14: 구멍
15: 베이스 16: 돌출부들
17: 오목부들 18: 단부측

Claims (12)

  1. 탄성의 기다란 캐리어 부재;
    닦여질 윈드 스크린에 밀착되어 놓이고, 유연성 재료의 기다란 와이퍼 블레이드(2); 및
    왕복동하는 아암(6)을 위한 연결 기구(5)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는
    평평한 블레이드(flat blade)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종방향 홈(3)을 포함하며,
    상기 홈(3)은
    상기 캐리어 부재의 종방향 스트립(4)이 배치되고,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은
    자유 단부에 인접한 피봇 축을 중심으로 연결부(7)의 삽입물과 함께 상기 연결 기구(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 내에 제공되는 대응되는 형상의 구멍(14)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혀(13; resilient tongue)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혀(13)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 위에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유지하는 외측 위치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으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를 해제하는 내측 위치 사이에서 힌지 축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은
    상기 연결부(7)에 연결되는 위치에 적어도 실질적인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U" 형태의 단면 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배치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종방향으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11) 사이에 상기 연결부(7)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고,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상기 연결부(7)의 단부측(18)은,
    상기 'U' 형태의 단면을 외부에 대하여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종방향으로 상기 왕복동 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11) 사이에 상기 연결부(7)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과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2)의 종방향으로 상기 왕복동 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다리들(11) 사이에 상기 연결부(7)가 슬라이딩 되는 것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의 단부측(18)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자유 단부의 위치에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15)와 다리들(11)과 수평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의 힌지 축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자유 단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의 힌지 축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자유 단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구멍(14)은,
    상기 왕복동하는 아암(6)의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베이스(15)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4)은,
    닫혀진 둘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는,
    상기 피봇 축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7) 내에 제공되는 오목부들(17)이 상기 연결 기구(5)의 돌출부들(16)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연결 기구(5)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7)는,
    상기 연결 기구(5)의 부착 위치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U'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U' 형태의 단면의 각 다리 내의 상기 연결부(7)는,
    상기 피봇 축에 동축으로 제공되는 오목부(17)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16)은,
    상기 연결 기구(5)의 양측 상에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들(16)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1).
KR1020187036346A 2016-07-08 2016-07-08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KR201900225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66307 WO2018006978A1 (en) 2016-07-08 2016-07-08 A windscreen wiper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527A true KR20190022527A (ko) 2019-03-06

Family

ID=56372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346A KR20190022527A (ko) 2016-07-08 2016-07-08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77831B2 (ko)
EP (1) EP3481682B1 (ko)
KR (1) KR20190022527A (ko)
CN (1) CN109415035A (ko)
MX (1) MX2018015561A (ko)
PL (1) PL3481682T3 (ko)
WO (1) WO2018006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8066S1 (en) * 2019-07-09 2021-08-17 Trico Belgium Sa Wiper assembly
USD933574S1 (en) * 2019-07-09 2021-10-19 Trico Belgium Sa Windshield wiper
USD974273S1 (en) * 2019-07-09 2023-01-03 Trico Belgium, SA Windshield wiper
USD928067S1 (en) * 2019-07-09 2021-08-17 Trico Belgium Sa Windshield wiper
CN113399318A (zh) * 2021-05-20 2021-09-17 安徽华柏光电科技有限公司 基于触控一体机生产的显示屏表面清洁装置及清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590A (ko) * 1996-12-18 1998-10-07 김덕수 자동차용 윈드 쉴드 와이퍼
DE60230414D1 (de) * 2002-09-24 2009-01-29 Federal Mogul Sa Scheibenwischervorrichtung
FR2890925B1 (fr) * 2005-09-21 2009-12-25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de montage et d'articulation d'un balai d'essuyage sur l'extremite d'un bras d'entrainement
ES2374734T3 (es) 2005-12-09 2012-02-21 Federal-Mogul S.A. Dispositivo limpiaparabrisas.
ES2337172T3 (es) * 2006-04-21 2010-04-21 Federal-Mogul S.A. Un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DE102008038981A1 (de) * 2008-08-13 2010-02-18 Volkswagen Ag Scheibenwischer an einem Fahrzeug
WO2012014054A1 (en) * 2010-07-28 2012-02-02 Teklas Kaucuk Sanayi Ve Ticaret A.S. A connecting device for windscreen wipers
DE102010052308A1 (de) * 2010-11-16 2012-05-16 Daimler Ag Wischarmanordn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Wischblatts mit einem Wischarm
FR2978406B1 (fr) 2011-07-27 2014-11-21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d'essuie-glace a position de securite
DE102011053089A1 (de) * 2011-08-29 2013-02-28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blatt für eine Wischein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und Wischeinrichtung
PL227001B1 (pl) * 2013-10-09 2017-10-31 Valeo Autosystemy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Zaczej taki zaczep oraz zespół wycieraczki samochodowej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81682T3 (pl) 2020-12-28
CN109415035A (zh) 2019-03-01
MX2018015561A (es) 2019-04-11
US11077831B2 (en) 2021-08-03
EP3481682B1 (en) 2020-07-01
WO2018006978A1 (en) 2018-01-11
US20190176766A1 (en) 2019-06-13
EP3481682A1 (en)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27973B (zh) 风挡刮雨器装置
US9096195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90022527A (ko)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KR20070041734A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KR20040058291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KR20130088016A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KR101933754B1 (ko) 차창 와이퍼 아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645739B1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US20110005019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70136999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766944B1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KR20140106572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아암
EP2621772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714111B1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EP3668763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50033621A (ko) 윈드스크린 와이퍼 아암
US100867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20140009280A (ko) 윈드스크린용 와이퍼 장치
US11794699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11420596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