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90004039A -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4039A
KR20190004039A KR1020170084094A KR20170084094A KR20190004039A KR 20190004039 A KR20190004039 A KR 20190004039A KR 1020170084094 A KR1020170084094 A KR 1020170084094A KR 20170084094 A KR20170084094 A KR 20170084094A KR 20190004039 A KR20190004039 A KR 2019000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edetermined
traveling
switch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0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1734B1 (en
Inventor
김기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더블유엠
Priority to KR102017008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34B1/en
Publication of KR2019000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2Curvature of the r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8Steering angle
    • B60W25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2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20Steering systems
    • B60W2710/207Steering angle o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Provid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drive mod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switching a drive mode of a vehicle comprises: a steering wheel pressure detection unit detecting grip pressur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n a state that a drive mode of the vehicle is a self-drive mode; a switching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a switching condition of the drive mode; and a drive mode switching unit switching the drive mode from the self-drive mode to a driver drive mode when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Description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 traveling mod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switching a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from autonomous driving to driver driving based on a pressur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자율주행 기술은 미래의 스마트 카 시대를 열기 위한 핵심 기술로서, 주행 제어에 대한 운전자의 간섭 정도에 따라 등급이 분류 - 미국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은 운전자 간섭 정도에 따라 L0~L4의 5단계로 구분하였음 - 되며, 궁극적으로는 운전자의 간섭을 배제한 무인자동차를 추구한다.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 which is a core technology for opening up the smart car era of the future, classifies according to driver's degree of interference with driving control. ~ L4, and finally pursues an unmanned vehicle that excludes driver interference.

무인자동차는 카메라, 방향 표시기,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GPS를 통해 정보를 획득한 후 이를 해석해 스스로 주행하는데, 자동차 지붕에 탑재된 센서 장비인 라이더는 64개인 원격 레이저와 음파 장비, 3D 카메라로 구성되어 있다. 무인자동차는 이를 통해 주변 환경의 3D 지도를 생성하여 사물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험을 감지할 수 있다.Unmanned automobiles are equipped with cameras, direction indicators,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and GPS to analyze and interpret information. The rider, which is mounted on a car roof, consists of 64 remote lasers, sound equipment, and 3D cameras . Unmanned vehicles can create a 3D map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o measure distances between objects and detect danger.

그러나, 이러한 무인자동차는 주요 시스템에 대한 해킹, 네비게이션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차로에 진입하는 경우, 교통신호와 교통경찰의 수신호가 다른 경우, 자율주행에 필요한 센서의 일부가 동작 불능인 상태 등 운전자의 개입이 필수적인 경우가 존재하므로, 운전자의 최종 판단이 필요한 조건적인 자율주행, 즉 절충적 자율주행 방식에 대한 연구 또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unmanned vehicle enters a lane which is not indicated in the hacking or navigation of the main system, the traffic signal and the traffic police signal are different, and a part of the sensors necessary for autonomous travel is inoperable, Since intervention is indispensable, studies on conditional autonomous driving, that is, an eclectic autonomous driving method, which requires the driver's final judgment, are also under way.

이에, 운전자의 판단을 통해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시키는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나 그 절차가 복잡하여 주행모드의 전환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re have been proposed techniques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from the autonomous driv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er through the judgment of the driver, but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and the switching of the driving mode is not simple and quick.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운전자의 의지를 확인하고 차로의 곡률과 선행차량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driving control system that can confirm a driver's will by a simple and quick method, And to provide a way to switch.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하는 핸들압력 감지부;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주행모드의 전환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전환조건 판단부; 및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주행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grip pressure applied to a steering wheel of a vehicle in a self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A handle pressur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handle pressure; A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of the traveling mode; And a traveling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ing to the driver traveling when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주행모드의 전환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including the steps of: (a) sensing a grip pressure applied to a handle of the vehicle in a self-running mode of the vehicle; (b)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a switching condition of the traveling mode; And (c) if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 to the driver trave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간편하고 신속한 방법으로 운전자의 의지를 확인하고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river's will in a simple and quick manner and to change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from autonomous driving to driver driving.

또한,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시 차로의 곡률과 선행차량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안전한 상태로 주행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Further, the traveling mode can be switched in a safe state in consideration of the curvature of the lane and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witched to the traveling mod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deduc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들에 설치된 압력감지 센서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ing mode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of a pressure sensor installed on a handl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no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raveling mode switch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핸들압력 감지부(110),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 주행모드 전환부(130), 주행 제어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ode switching apparatus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ering wheel pressure sensing unit 110, a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20, a driving mode switching unit 130, a driving control unit 140, (150) and a storage unit (160).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신속하게 전환하며, 주행모드 전환조건을 1차 조건과 2차 조건으로 분류하고 두 개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에 한해서 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고 신속한 주행모드의 전환과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위험 부담을 최소화하는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switches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from autonomous driving to driver driving by using the grip pressur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while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is autonomou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hat minimizes the risk of simple and quick switching of the driving mode and the traveling mode by allowing the traveling mode switching to be performed only when the two conditions are satisfied.

이를 위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핸들압력 감지부(110)는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그립압력’은 탑승자가 차량의 핸들을 움켜쥔 세기를 의미하며, 핸들압력 감지부(110)는 그립압력의 세기와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 그리고 압력이 발생하는 면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핸들압력정보를 감지하고 이를 전환조건 판단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핸들압력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핸들에는 압력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A description will now be given of components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for this purpose. The steering wheel pressure sensing part 110 can sense the grip pressur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Here, the 'grip pressure' refers to the strength with which the occupant grips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and the handle pressure sensing part 110 includes a handle, which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strength of the grip pressur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sure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switching condition judging unit 120. For reference, a pressure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vehicle to detect the steering wheel pressur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핸들(200)에 설치된 압력감지센서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istribution of a pressure sensor installed in a handle 200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감지센서는 핸들(200)의 모든 부분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부분(210)에만 분포될 수도 있다.2 (a), the pressure-sensitive sensor may be distributed over all portions of the handle 200 and may be distributed only to a particular portion 210, as shown in FIG. 2 (b) have.

여기서 특정 부분(210)은 일반적으로 핸들을 잡는 형태인 10시와 2시 방향, 그리고 7시와 5시 방향 부분 등이 포함될 수 있다.Herein, the specific portion 210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at 10 o'clock and 2 o'clock position, and a portion at 7 o'clock and 5 o'clock position.

핸들압력 감지부(110)의 그립압력 감지는 항시 수행될 수도 있고,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가 직선 도로이거나 차로의 곡률 또는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에 그립압력이 감지되도록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grip pressure sensing of the handle pressure sensing unit 110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or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 unit 150 so that the grip pressure is sensed when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s a straight road or the curvature of the lane or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Lt; / RTI >

한편,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는 핸들압력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그립압력이 주행모드의 전환조건, 즉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할 수 있는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grip pressure detected by the handle pressure detecting unit 110 corresponds to a switching condition of the traveling mode, that is, a condition that allows the traveling mode to be switched from the self-traveling to the driver .

여기서 ‘자율주행’은 크루즈 컨트롤이나 차선 유지 등 적어도 두 가지 기능이 자동 가능한 상태로서 운전자가 언제든지 주행 통제를 할 수 있으며 조향 장치와 악셀 페달에서 손과 발을 뗀 상태로 주행 가능한 상태(L2), 운전자가 탑승하지만 주변 환경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운전자에서 차량으로 이전되고, 안전에 결정적으로 관련한 기능(safety-critical function)이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상태(L3), 일반적으로 알려진 완전한 자율주행상태로서 주행 시 운전자의 모니터링이 필요 없는 상태(L4)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Here, 'autonomous driving' is a state in which at least two functions, such as cruise control and lane keeping,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 driver can control the driving at any time, and can move in a state in which the steering wheel and the accelerator pedal can be moved, (L3), a safety-critical function is automatically activated (L3), a fully autonomous state of operation known as a running state And a state L4 in which monitoring by the driver is not required.

또한, ‘운전자 주행’은 현재의 일반적인 주행방식인 운전자가 차량 주행의 모든 제어권을 가지는 상태(L0) 및 준자율주행 상태로서 운전자가 대부분의 주행 기능을 통제하지만 브레이크 등 일부 기능이 자동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L0 ~ L5는 미국도로교통안전국(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의 운전자 간섭 정도에 따라 구분된 5단계(L0~L4)를 의미한다.In addition, 'driver driving' is a state (L0) and semi-autonomous driving state in which the driver has all control over the driving of the vehicle, which is a general driving method, and the driver controls most driving functions. State, or the like. For reference, L0 to L5 denote L0 to L4, which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driver interference of the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NHTSA).

상기 주행모드의 전환조건에 대한 판단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는 핸들에서 그립압력이 두 부분에서 감지되고, 감지된 두 부분의 그립압력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그립압력이 ‘1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grip pressure is detected in two portions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grip pressure intensities of the two detected portion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grip pressure satisfies the "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 when it continue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여기서 1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그립압력의 세기는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운전을 위해 핸들을 움켜쥐는 것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도적으로 평소보다 더 큰 힘을 이용하여 핸들을 움켜쥐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주행모드에 대한 전환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nsity of the grip pressure for satisfying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is generally set larger than the driver grasping the handle for driving. In other words, if an act of intentionally grasping the handle by using a force larger than usual occurs,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will to switch to the traveling mode.

참고로,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는 1차 모드 전환조건을 판단 시 그립압력이 감지되는 면적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를 더 반영하여 1차 모드 전환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by further reflecting the case where the area where the grip pressure is sense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when determining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또한,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는 1차 모드 전환조건이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가 핸들에서 미리 정해진 부분(예를 들어 10시 방향과 2시 방향 등)을 움켜쥐도록 알림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은 스피커를 통해 음성 또는 특정 음으로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나 이미지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알림이 출력된 이후 운전자에 의해 상기 핸들의 미리 정해진 부분에 그립압력이 감지되면,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는 상기 미리 정해진 두 부분에서 감지되는 두 부분의 그립압력 세기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이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해당 그립압력이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er 120 notifies the driver to hold a predetermined portion (for example, 10 o'clock direction and 2 o'clock direction) . Here, the 'notification' may be outputted as a voice or a specific sound through a speaker, or may be outputted as a character or an image through a display device. If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andle by the driver after the notification is output, the mode change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grip pressure intensities of the two portions sensed at the two predetermined portions ar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grip pressure satisfies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when it is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참고로, 1차 모드 전환조건과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는 그립압력 세기와 지속 시간은 1차 조건과 2차 조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 1차 조건과 2차 조건이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grip pressure intensities and duration that satisfy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and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may be the same in both the primary condition and the secondary condition, and the primary condition and the secondary condition may be different May be set.

한편,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에서 운전자의 그립압력이 1차 모드 전환조건과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er 120 determines that the grip pressure of the driver satisfies both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and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the driving mode switching unit 130 switches the present driving mode from the self- You can switch to driving.

이 때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주행모드 전환 시 안전을 위해서, 주행차로의 곡률에 따른 운전자 주행의 레벨(L0, L1)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가 직선이거나 직선에 가까운 미리 정한 곡률 미만인 경우,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운전자 주행의 레벨 L0로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직선차로를 주행하는 상태에서는 운전자에게 주행의 모든 제어권을 부여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raveling mode switching unit 130 can determine the levels (L0, L1) of driving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lane for safety in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In one embodiment, the traveling mode switching unit 130 can change the traveling mode to the level L0 of driving when the traveling lane is straight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near the straight lin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runs on a straight lane, the driver is given full control of driving.

만일, 차량이 직선차로를 주행 중이라고 하더라도, 주행모드 전환 시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이상이거나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선행차량(또는 장애물 등)이 존재하는 경우,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의 레벨 L1으로 전환하여 브레이크가 자동 제어되도록 하고,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으로 감소된 후에 주행모드를 운전자 주행의 레벨 L0로 전환할 수 있다.Even if the vehicle is traveling in a straight lane, if the vehicle speed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speed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or if the preceding vehicle (or obstacle)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witched from the autonomous running mode to the driver running level L1 so that the brake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and the running mode is switched to the driver running level L0 after the vehicle speed is reduced below the predetermined speed.

다른 실시예로서,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가 미리 정해진 곡률을 초과하는 경우,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의 레벨 L1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을 위해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으로 주행하도록 브레이크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고 차량의 핸들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조향각 이하가 될 때까지 핸들의 조향각이 제어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running lane exceeds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time of switching to the running mode, the running mode switching section 130 can switch the running mode from the autonomous running to the driver running level L1. In this case, the brakes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so as to travel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for safety,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can be controlled unti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eering angle.

이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자율주행 시 핸들을 조향하지 않은 상태에 있다가 주행모드 전환 후 현재 주행차로의 곡률에 해당하는 핸들 조향 각도를 즉각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과도하게 핸들을 조향하는 경우 발생하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from the driver's standpoin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cognize the steering wheel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current driving lane after switching from the driving mode after the steering wheel is not steered during autonomous driving, This is to prevent accidents that occur in advance.

이후, 주행차로가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이 되면,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브레이크와 핸들의 조향각에 대한 자동 제어를 해제하고 운전자 주행의 레벨을 L1에서 L2로 전환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driving lan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driving mode switching unit 130 can release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brakes and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switch the level of driver's driving from L1 to L2.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에는 핸들 조향각을 감지하는 조향각 감지 센서, 주변 차량 또는 주변 물체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 도로의 곡률을 추정하기 위한 레이더 센서나 라이다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주행모드 전환부(130)는 차량에 설치된 상기 센서들로부터 획득되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vehicle includes a steering angle sensor for sensing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 distance sensor for sensing a distance to the surrounding vehicle or surrounding objects, a radar sensor for estimating the curvature of the road, And the traveling mode switching unit 130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the sens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sensors installed in the vehicle.

한편, 주행 제어부(140)는 주행모드 전환부(130)에 의해 주행모드가 자율주행(L2~L4)에서 운전자 주행(L0, L1)으로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 및 선행차량과의 거리에 따라서 핸들의 조향각 및 브레이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vel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autonomous travel (L2 to L4) to the driver's travel (L0, L1) by the travel mode switching unit 130, the travel control unit 140 changes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lane and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Thus, it is possib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teering angle and the brake of the steering wheel.

구체적으로,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가 직선 또는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이고 주행차로에 선행차량이 존재하지 않으나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주행 제어부(140)는 현재의 차량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이 되도록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if the driving lane is a straight line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no preceding vehicle exists in the driving lane at the time of switching to the traveling mode, but the vehicle speed exceeds a predetermined speed, the travel control unit 14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vehicle speed The brake can be controlled to be below the speed.

참고로, 핸들 압력 감지부(110)에서 주행모드 전환을 위한 그립압력이 감지되었을 때, 주행모드가 전환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현재의 차량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포함된다면,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가 직선 또는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이고 주행차로에 선행차량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주행 제어부(140)의 브레이크 제어는 생략될 수 있다.When the grip pressure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is sensed in the handle pressure sensing unit 110, if the condition that the current vehicle speed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as one of the conditions for switching the driving mode is included, The brake control of the travel control unit 140 may be omitted when the traveling lane is straight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time of mode switching and the preceding vehicle does not exist in the lane of travel.

또한,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곡률을 초과하는 경우, 주행 제어부(140)는 차량의 핸들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조향각 이하가 될 때까지 핸들의 조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도 역시 주행차로에 선행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차량과 적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브레이크를 함께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lane exceeds the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the travel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until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becomes less than a predetermined steering angle.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brakes so that the proper distance from the vehicle is maintain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preceding vehicle exists in the driving lane.

이를 위해 주행 제어부(140)는 주행 도로의 곡률과 차량 핸들의 조향각을 이용한 곡률인 주행 곡률에 기초하여 핸들의 조향각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로의 곡률에 해당하는 원에서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접선을 추출하고, 차량의 주행 곡률에 해당하는 원에서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접선을 추출할 수 있으며, 차로의 곡률에 해당하는 접선과 차량의 주행 곡률에 해당하는 접선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하여 핸들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조향각 이하가 될 때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기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핸들의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조향각 이하가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ravel control unit 140 can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road and the curvature of the steering wheel using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handle. In one embodiment, the tangent to the vehicle posi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circle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vehicle, and the tangent to the vehicle position can be extracted from the circle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curvature of the vehicle. And the angle formed by the tangent line corresponding to the running curvature of the vehicle can be used to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teering angle. In addition, various known techniques can be used to contro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teering angle.

앞서 언급하였지만, 차량의 속도에 대해서는 주행모드가 전환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서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으로 감속되도록 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주행모드 전환 시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으로 감속시키거나, 주행차로에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적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s to the speed of the vehicle, one of the conditions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is to decelerate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or if not, the vehicle speed is controlled to be slower than the predetermined speed by controlling the brake at the switching of the traveling mode Or an appropriate distance may be maintain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preceding vehicle in the driving lane.

한편, 제어부(150)는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예를 들어 핸들압력 감지부(110),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120), 주행모드 전환부(130) 및 주행 제어부(140)가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저장부(160) 또는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such as the handle pressure sensing unit 110, the mod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120, the driving mode switching unit 130, 14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and can control the storage unit 160 or the like.

한편, 저장부(160)는 제어부(150)가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및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하는 과정에서 필요하거나 파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various data required or derived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according to the algorithm and the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components of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by the control unit 15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차량의 핸들에 감지되는 그립압력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주행모드 전환의지를 확인하는 과정으로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3 i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driver's intention to change the driving mode using the grip pressure sensed by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while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is an autonomous driving mode, and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한다(S301).In a state in which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is an autonomous running mode, the runn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cts the grip pressure applied to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S301).

S301 후,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감지된 그립압력이 1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는지, 즉, 감지된 부분이 두 부분이고 미리 정해진 압력을 초과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또는 그 이상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02).After S301, the travel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grip pressure satisfies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that is, whether the sensed part is two-part, exceeds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302).

참고로, 상기 1차 모드 전환조건에는 그립압력의 감지 면적이 미리 정해진 면적을 초과하도록 하는 조건이 더 포함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ition that the sensing area of the grip pressure exceeds a predetermined area.

S302의 판단 결과 1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핸들의 미리 정해진 두 부분, 예를 들어 핸들의 10시 방향과 2시 방향에 그립압력을 가하도록 운전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S303).If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302,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notifies the driver of the two predetermined portions of the steering wheel, for example, to apply the grip pressure to the 10 o'clock direction and the 2 o'clock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S303).

S303 후, 그립압력이 감지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감지된 그립압력이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는지, 즉, 감지된 부분이 미리 정해진 두 부분(핸들의 10시 방향과 2시 방향)이고 미리 정해진 압력을 초과하며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또는 그 이상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304).When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fter S303,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ed grip pressure satisfies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that is, whether the sensed portion satisfies the predetermined two portions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is exceeded and it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304).

S304의 판단 결과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를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한다(S30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switches the traveling mode from autonomous driving to driver driving (S305).

만일, S304의 판단 결과 2차 모드 전환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운전자가 주행모드 전환의 의지가 없거나 실수로 핸들을 움켜쥔 것으로 판단하고 S301의 과정을 다시 수행하거나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4 that the second mode switch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not willing to change the driving mode or that the driver has accidentally grabbed the steering wheel, Can be terminated.

참고로, 상기 1차 모드 전환조건 및 2차 모드 전환조건 중 하나 이상에 차량의 현재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조건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안전을 위해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인 경우에 주행모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condi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may be further included i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mode switching condition and the secondary mode switching condition. That is, for safety, the traveling mode can be switche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과정에 의해 주행모드가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과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주행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a curvature of a driving lane and the presence of a preceding vehicle when the driving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FIG. 3, and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401).The travel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lan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S401).

여기서 주행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이라는 것은 해당 차로가 직선차로거나 직선차로에 가까운 것을 의미할 수 있다.Here, when the curvature of the running lan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it can mean that the lane is close to a straight line or a straight lane.

S401의 판단 결과 직선차로 또는 미리 정해진 곡률 미만인 경우,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해당 차로에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402).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01, if the vehicle is in a straight lane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preceding vehicle exists in the corresponding lane (S402).

S402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이 존재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403).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02 that the preceding vehicle exists,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403).

즉,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적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해당 적정 거리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That 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s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distance, and the appropriate distance can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vehicle.

S403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주행모드 전환을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L1)으로 완료한다(S404).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03, if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controls the brakes so as to secure the safety distance, decelerates the vehicle speed so as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from the self- (S404).

S402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이 존재하지 않거나, S403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초과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 전환을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L0)으로 완료한다(S4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02, if the preceding vehicle does not exist, or if the distance to the preceding vehic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403, the mode switching apparatus 100 completes the switching of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ing to the driver traveling L0 (S405).

참고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 전환 시 안전을 위해 현재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속도 미만이 되도록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은 도 4에 도시된 과정 중 어느 과정에 이전 또는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may control the braking so that the speed of the current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speed in order to ensure safety in switching the driving mode. Or may be performed later.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riving mode switching process of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3의 과정에 의해 주행모드가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과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주행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FIG. 5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driving control according to the curvature of the driving lane and the presence of the preceding vehicle when the driving mod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FIG. 3, and may be performed by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 전환 시, 주행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곡률을 초과하는 것으로, 즉, 주행차로가 직선차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S501).The travel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curvature of the traveling lane exceeds the predetermined curvature at the time of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that is, the traveling lane is not a straight lane (S501).

S501후,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차량의 핸들 조향각이 미리 정해진 조향각 이하가 될 때까지 핸들의 조향각을 제어한다(S502)After S501, the travel mode switching device 100 controls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until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become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steering angle (S502)

S502 후,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차로에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503).After S502, the travel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 preceding vehicle exists in the driving lane (S503).

S503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이 존재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504).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03 that the preceding vehicle exists,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S504).

S504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이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안전거리 확보를 위해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주행모드 전환을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L1)으로 완료한다(S5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04, if the distance from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100 controls the brake to secure the safety distance to decelerate the vehicle speed so as to switch the traveling mode from the self- (S505).

S503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이 존재하지 않거나, S504의 판단 결과 선행차량과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를 초과하면, 주행모드 전환 장치(100)는 주행모드 전환을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L0)으로 완료한다(S50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03, if the preceding vehicle does not exist or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exceeds the predetermined distanc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504, the mode switching apparatus 100 completes the switching of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ing to the driver traveling L0 (S506).

참고로, S502에서 핸들의 조향각을 먼저 제어하고 그 이후에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선행차량의 존재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도 있고, 핸들의 조향각 제어와 함께 헌행 차량의 존재 여부에 따라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t is described that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s firstly controlled in step S502, and thereaft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ceding vehicle is determined.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receding vehicle may be determined first, The brakes can also be controll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vehicle.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feature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100 : 주행모드 전환 장치
110 : 핸들압력 감지부
120 : 모드 전환조건 판단부
130 : 주행모드 전환부
140 : 주행 제어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100: Travel mode switching device
110: Handle pressure sensing part
120: Mode switching condition judging unit
130: traveling mode switching section
140:
150:
160:

Claims (13)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하는 핸들압력 감지부;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주행모드의 전환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전환조건 판단부; 및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주행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A handle pressure sensing unit for sensing a grip pressure applied to a handle of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is autonomous;
A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of the traveling mode; And
And a traveling mode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ing to the driver traveling when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 판단부는 상기 그립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기 핸들에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condition judging section judg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grip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 판단부는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핸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witching condition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t one or more portions of the hand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조건 판단부는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핸들의 두 부분에서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두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감지되면, 상기 전환조건 중 제1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운전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며, 이후 상기 핸들의 미리 정해진 위치의 두 부분에서 상기 그립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감지되면 상기 전환조건 중 제2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condition judging unit judges that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t two portions of the handle and is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long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e two sensed portions so as to satisfy the first condition among the switching conditions When the grip pressure is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time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wo portion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determines that the condition is satisfi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압력 감지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및 상기 차량의 속도가 미리 정해진 값 미만인 경우 중 하나 이상인 경우에 한해서 상기 그립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ressure sensing unit senses the grip pressure only when the curvature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Switching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드가 상기 자율주행에서 상기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될 때,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의 곡률,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주행 중인 차로에 존재하는 선행차량과의 거리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 및 브레이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주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the travel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autonomous travel to the driver traveling, the curvature of the vehicle traveling the vehicle,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receding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present in the traveling lane Further comprising a travel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nd a brake based on the abov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의 곡률이 미리 정해진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가 미리 정해진 각도 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riv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until the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angle or less when the curvature of the road on which the vehicle is traveling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Driving mode switching device.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제어부는 상기 차량과 상기 선행차량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를 유지하도록 브레이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ravel control unit controls the brake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the preceding vehicl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인 상태에서, 상기 차량의 핸들에 가해지는 그립압력(grip pressure)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주행모드의 전환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면, 상기 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에서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a) detecting a grip pressure applied to a handle of the vehicle in a state that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is an autonomous running;
(b) determining whether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a switching condition of the traveling mode; And
(c) if the grip pressure corresponds to the switching condition, switching the traveling mode from the autonomous travel to the driver traveling.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그립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상기 핸들에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b)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grip pressur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longer.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핸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환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tep (b) determines that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t one or more portions of the handl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그립압력이 상기 핸들의 두 부분에서 감지되고, 상기 감지된 두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감지되면, 상기 전환조건 중 제1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주행모드 전환에 대한 운전자의 의도를 확인하는 알림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들의 미리 정해진 위치의 두 부분에서 상기 그립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이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감지되면 상기 전환조건 중 제2차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f the grip pressure is sensed at two portions of the handle and the sensed two portions are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step (b) So as to output a notification for confirming the driver's intention to switch the mode of travel; And determining that the second condition of the switching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grip pressure is sens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exceeding a predetermined pressure at two portion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handle How to change the driving mod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주행모드가 상기 자율주행에서 상기 운전자 주행으로 전환될 때,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차로의 곡률,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 상기 차량의 속도, 상기 주행 중인 차로에 존재하는 선행차량과의 거리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상기 핸들의 조향각도 및 브레이크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driving mode is switched from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the driver driving mode, the step (c) includes: calculating a curvature of the driving lane, a steer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 a speed of the vehicle, Further comprising controlling at least one of a steering angle and a brake of the steering wheel based on at least one of a distance to the vehicle and a distance to the vehicle.
KR1020170084094A 2017-07-03 2017-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KR1019917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94A KR101991734B1 (en) 2017-07-03 2017-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094A KR101991734B1 (en) 2017-07-03 2017-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039A true KR20190004039A (en) 2019-01-11
KR101991734B1 KR101991734B1 (en) 2019-09-30

Family

ID=6502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094A KR101991734B1 (en) 2017-07-03 2017-07-03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driving mode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73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887A (en) * 2020-10-27 2022-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auto driving of ca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75138A (en)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코모스 Steering Whe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617B2 (en) * 1990-03-30 1999-07-12 マツダ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JP2016038846A (en) * 2014-08-11 2016-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vehicle control device
JP2016132351A (en) * 2015-01-19 2016-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system
KR20170025552A (en)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nomous driving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8617B2 (en) * 1990-03-30 1999-07-12 マツダ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
JP2016038846A (en) * 2014-08-11 2016-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vehicle control device
JP2016132351A (en) * 2015-01-19 2016-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Automatic driving system
KR20170025552A (en)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utonomous driving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887A (en) * 2020-10-27 2022-05-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auto driving of ca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20075138A (en) *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코모스 Steering Wheel
KR20230022421A (en) * 2020-11-27 2023-02-15 주식회사 코모스 Steering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734B1 (en)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80022B (en) Lane keeping suppression system and method
JP5898746B1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CN104487308B9 (en) Drive assistance device
KR102016186B1 (en) Method for improving the driving stability
EP3611069A1 (en) Vehicle control device
US949314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reventing aquaplaning
US8762021B2 (en) Driving support system
US10532736B2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CN107176099B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US9043045B2 (en) Travel assist apparatus and travel assist method
JP6031166B1 (en) Vehicle automatic operation control device
JP6326985B2 (en) Autonomous driving control device, vehicle, computer program, and autonomous driving control method
KR10147806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collision in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6654907B2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KR20190018053A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KR20100106570A (en)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voiding collisions or minimizing the collision severity in case of a collision, for vehicles, particularly commercial vehicles
JP2007200052A (en) Driving support device in intersection and driving support method in intersection
US11440558B2 (en) Vehicle control device
WO2018178052A1 (en) Distance control for a vehicle with trailer
US20200094796A1 (en) Method for emergency response to a transportation vehicle tire pressure loss and transportation vehicle
US11524700B2 (en) Vehicle control system, vehicl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130490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17165393A (en) Traveling control device of vehicle
JP2018043705A (en) Vehicle travel control device
JP2017117192A (en) Drive suppor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