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15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6158A KR20180126158A KR1020170060805A KR20170060805A KR20180126158A KR 20180126158 A KR20180126158 A KR 20180126158A KR 1020170060805 A KR1020170060805 A KR 1020170060805A KR 20170060805 A KR20170060805 A KR 20170060805A KR 20180126158 A KR20180126158 A KR 20180126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me
- mobile communication
- card
- augmented reality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2—Strategy games; Role-playing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5—Storage media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game information, e.g. video game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간의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뉴선택에서 게임을 선택하는 과정과(S1),
게임 중에서 카드를 이용한 카드대전게임 선택 및 시작하는 과정과(S2∼S3),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보유하고 있는 카드(40)를 인식(스캔)하면 그 카드정보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고, 카드(40)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42)이 설정되는 과정과(S4),
2인 이상의 게임자 중 어느 한 명이 소유하고 있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하여 게임방이 만들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게 하는 과정과(S5∼S6),
제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하여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에 들어가는 과정과(S7),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간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로 전송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화면의 게임공간 내에 자신의 캐릭터와 대전할 상대방의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나타나게 하는 게임준비 과정과(S8),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에는 캐릭터(40)의 특성에 맞도록 생성되는 조작버튼(54)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40) 간의 대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S9)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를 보다 많이 제공할 수 있고 카드를 비롯한 게임 콘텐츠의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각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뉴선택에서 게임을 선택하는 과정과(S1),
게임 중에서 카드를 이용한 카드대전게임 선택 및 시작하는 과정과(S2∼S3),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보유하고 있는 카드(40)를 인식(스캔)하면 그 카드정보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고, 카드(40)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42)이 설정되는 과정과(S4),
2인 이상의 게임자 중 어느 한 명이 소유하고 있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하여 게임방이 만들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게 하는 과정과(S5∼S6),
제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하여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에 들어가는 과정과(S7),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간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로 전송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화면의 게임공간 내에 자신의 캐릭터와 대전할 상대방의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나타나게 하는 게임준비 과정과(S8),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에는 캐릭터(40)의 특성에 맞도록 생성되는 조작버튼(54)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40) 간의 대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S9)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를 보다 많이 제공할 수 있고 카드를 비롯한 게임 콘텐츠의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 간에 게임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된 카드인식을 통하여 증강현실이 구현되게 하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간의 대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인 스마트폰은 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단순히 통신 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게임기능이 많이 구현되고 있다. 스마트폰 게임은 혼자서 게임을 즐기는 1인용 게임과 2인 이상 동시에 같이 즐길 수 있는 다인용 게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인용 게임의 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무선통신망을 통해 통신회사 게이트웨이에 접속하여야 한다. 즉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각자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그 게임을 즐기는 시간만큼의 통신회사에 요금을 지불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게임을 구현하는 방법이 있는바 그 선행기술문헌의 일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703453호“블루투스를 이용한 통신단말기 간의 게임구현 방법 및 게임 제공 시스템”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루투스 무선규격을 만족하는 마스터 게임스테이션(100)과 복수 개의 슬레이브 이동통신 단말기(110∼140)로 구성되어 다자간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다자간 게임을 위해서는 마스터 게임스테이션(100)을 매개로 다자간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커녁션이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한편 현재의 스마트폰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촬영된 영상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는 되는 과정에서 촬영한 영상에 3차원의 가상 물체를 겹처서 보여 주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구현되고 있다. 즉 증강현실은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특정 정보를 가상의 그래픽을 접목하여 화면상에 투영해주는 것으로서 위치기반 서비스이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범지구위치결정시스템)를 활용하여 원하는 장소에 방문시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는 방법으로 화면상에 투영해주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GPS(위치기반 서비스) 대신에 인쇄된 카드를 통하여 카메라로 인식하면 그 카드정보를 해석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되게 하고 그 구현된 영상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대전할 수 있는 게임이 개발된다면 많은 호응이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단말기 간에 카드 인식을 통하여 증강현실이 구현되게 하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그 생성된 캐릭터 간의 대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게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2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간의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뉴선택에서 게임을 선택하는 과정과(S1),
게임 중에서 카드를 이용한 카드대전게임 선택 및 시작하는 과정과(S2∼S3),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보유하고 있는 카드(40)를 인식(스캔)하면 그 카드정보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고, 카드(40)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42)이 설정되는 과정과(S4),
2인 이상의 게임자 중 어느 한 명이 소유하고 있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하여 게임방이 만들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게 하는 과정과(S5∼S6),
제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하여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에 들어가는 과정과(S7),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간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로 전송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화면의 게임공간 내에 자신의 캐릭터와 대전할 상대방의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나타나게 하는 게임준비 과정과(S8),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에는 캐릭터(40)의 특성에 맞도록 생성되는 조작버튼(54)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40) 간의 대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S9)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된 카드인식을 통하여 증강현실이 구현되게 하고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간의 대전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를 보다 많이 제공할 수 있고 카드를 비롯한 게임 콘텐츠의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을 위한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의한 2인용 게임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게임실행을 위한 과정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4a 및 도 4b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제 대전게임의 영상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카드 인식시 카드를 중심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이 설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2인용 게임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게임공간 내에 표시되게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의한 2인용 게임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게임실행을 위한 과정에 대한 플로우챠트,
도 4a 및 도 4b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되는 실제 대전게임의 영상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로 카드 인식시 카드를 중심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이 설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2인용 게임시 이동통신 단말기 간에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 정보를 서로 송수신하여 게임공간 내에 표시되게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용자들이 각각의 공간에서 자신이 보유한 인쇄된 카드를 카메라로 인식하면 그 카드정보를 해석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되게 하고 그 구현된 영상을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간 대전할 수 있는 게임환경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에는 소정 거리(일반적으로 10m) 이내에서 통신이 가능하도록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0)가 2개 이상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간의 2인용 게임을 일 실시 예로 설명하지만 3인 이상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20)을 통하여 본 발명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이하 간단히 ‘카드대전게임’이라도고 함)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서버(30)를 구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와의 정보〔ex 사용자 계정, 랭킹(승률), 게임머니, 카드 종류 및 보유수, 아이템, 플레이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20)은 예를 들어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같은 플랫폼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a, 도4b를 함께 참고하여 ‘카드대전게임’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카드대전게임’ 프로그램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선택에서 게임을 선택할 경우 ‘카드대전게임’을 포함한 다 개의 게임이 표시되며 그 중 ‘카드대전게임’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S1∼S2)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대전게임’의 명칭을 일 예로 ‘더깨비전’으로 명명한바 ‘더깨비전’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시 타이틀 화면이 나타나게 되어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카드대전게임(더깨비전)’ 실행시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에 메인메뉴(도 4a의 ②메인메뉴)가 표시되는바 카드관리, 게임시작, 게임종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그 중 게임시작을 선택할 경우(S3)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하여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카드(40) 중 하나를 스캔하여 인식시킨다.(S4)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카드(40)를 인식하게 되면 카드정보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된다.(도 4a의 ④캐릭터 스캔 참조)
또한 인식된 카드(40)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42, 일명 게임스테이지) 설정된다. 게임공간(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싱으로 치면 ‘사각링’과 같은 의미로 그 안에서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40)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되며 차후 게임공간(42) 내에서 서로 간에 대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소유하고 있는 게임자에 의하여 카드(40)를 기준으로 위치이동이 있을 수 있다. 이때 현재 인식되고 있는 카드(40)에 대하여 너무 먼 거리로 이동시에는 장착된 카메라가 카드(40)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카드(40) 위치에서 크게 벗어나게 되면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50)가 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게임을 위해서는 카메라가 카드(40)를 인식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카드(40)와 멀리 떨어져 카드(40)를 읽어들일 수 없을 경우 장소이탈에 대한 경고의 메세지를 팝업창과 같은 방법 등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과정까지 이루어지면 다음으로 게임자는 “게임방 만들기”와 “게임방 들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S5, 도 4a의 ⑤대전방생성 참조)
따라서 2인 이상의 게임자 중 어느 한 사람이 선행적으로 게임방을 만들게 되면 다른 게임자는 “게임방 들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선행적으로 게임방을 만든 게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임을 식별할 수 있는 게임방이 다른 게임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화면에 표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S6, 도 4a의 ⑥블루투스 통신 참조)
즉 제1 이동통신단말기(10-1)에서 선행적으로 “게임방 만들기”를 통하여 게임방이 개설되면 제2 이동통신단말기(10-2)에서는 “게임방 들어가기”를 통하여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개설된 게임방에 입장할 수 있게 된다.(S7, 도 4b의 ⑦블루투스 접속 참조)
이런 상태에서 제2 이동통신단말기(10-2)의“게임방 들어가기”를 선택시 서로 간에 게임준비가 이루어지게 된다.(S8, 도 4b의 ⑧게임준비 참조)
게임준비(S8) 단계에서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 간의 자신의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50) 정보를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화면에 설정된 게임공간(42) 내에 표시되게 한다. 즉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 화면에 설정된 가상의 게임공간(42) 내에는 우선 자신의 보유카드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캐릭터(50)와 아울러 그 게임공간(42) 내에 상대방의 보유카드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캐릭터(50)가 등장하게 되어 대전이 될 수 있게 표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자신의 증강현실 캐릭터(50)와 상대방의 증강현실 캐릭터(50)의 상태정보(52)가 화면의 상단부에 표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는 캐릭터(40)의 특성에 맞는 조작버튼(54)이 생성되게 하여 캐릭터(50) 간의 대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S9, 도 4b의 ⑨대전(직접조작) 참조〕
대전 중 어느 한 사람이 카드(40) 인식 범위를 벗어나거나 혹은 전화수신 등 게임의 원활한 진행에 대하여 방해되는 환경 등에 직면할 경우 상대방의 화면에 그 상황을 표시를 하게 함과 아울러 대전의 일시정지 및 대전의 계속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로 간의 대전이 종료되면 대전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10, 도4b의 ⑩대전결확인 참조)
대전결과는 게임서버(20)로 업데이트가 가능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승패에 따른 승률, 레벨 등이 기록이 되며, 아울러 사용자의 게임머니, 보유카드, 아이템 등이 기록된다. 승률에 따라서 레벨의 변동이 이어지고 레벨이 높아지면 그에 따른 아이템(의상, 무기 등)이나 새로운 캐릭터의 카드(40) 등을 구매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된다.
다음으로 대전결과가 표시된 후에는 로비로 이동한다.(S11, 도 4b의 ⑪로비이동 참조) 상기 로비는 앞서 S5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에 “게임방 만들기”와 “게임방 들어가기”를 선택할 수 있는 과정으로 돌아간다. 아울러 로비에서는 게임을 종료할 수 있도록 기능이 마련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게임시작(S3) 단계가 시작된 다음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인쇄된 카드(40)를 카메라를 통하여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카드(40) 또는 신규 획득한 카드(40)에 대하여 카드보유자 정보를 포함한 카드정보를 증강현실 엔진(AR 엔진)에 등록하는 과정을 선행적으로 거칠 수 있다.(S4')
이는 카드(40)에 인쇄된 암호화된 이미지 정보를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AR엔진에 등록하는 과정으로서, 카드정보를 AR엔진에 등록한 경우 카메라를 통하여 암호화된 카드정보를 읽어들이고 그에 의하여 카드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화면에 구현된다. AR엔진은 일 예로 뷰포리아(Vuforia)에서 제공하는 엔진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은 인쇄된 카드에 특정된 캐릭터를 증강현실로 구현하고 그 구현된 캐릭터를 블루투스를 통신으로 대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게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카드를 비롯한 게임 콘텐츠의 개발에도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10)--이동통신 단말기 (20)--광원모듈
(30)--게임서버 (40)--카드
(42)--게임공간 (50)--증강현실 캐릭터
(52)--상태정보 (54)--조작버튼
(30)--게임서버 (40)--카드
(42)--게임공간 (50)--증강현실 캐릭터
(52)--상태정보 (54)--조작버튼
Claims (3)
- 2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간의 블루투스 통신 가능한 상태에서,
각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뉴선택에서 게임을 선택하는 과정과(S1),
게임 중에서 카드를 이용한 카드대전게임 선택 및 시작하는 과정과(S2∼S3),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하여 보유하고 있는 카드(40)를 인식(스캔)하면 그 카드정보에 특정된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고, 카드(40)를 기준으로 정해진 거리 내에 가상의 게임공간(42)이 설정되는 과정과(S4),
2인 이상의 게임자 중 어느 한 명이 소유하고 있는 제1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의하여 게임방이 만들어지면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되게 하는 과정과(S5∼S6),
제2 이동통신 단말기(10-2)에 의하여 선행적으로 만들어진 게임방에 들어가는 과정과(S7),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간에는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로 전송하여 각 이동통신 단말기(10-1)(10-2) 화면의 게임공간 내에 자신의 캐릭터와 대전할 상대방의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나타나게 하는 게임준비 과정과(S8),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에는 캐릭터(40)의 특성에 맞도록 생성되는 조작버튼(54)을 이용하여 증강현실로 구현된 캐릭터(40) 간의 대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S9)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보유하고 있는 카드를 카메라를 통하여 캐릭터가 증강현실로 구현되도록 하기 위해서 보유하고 있는 카드 또는 신규 획득한 카드에 대하여 카드보유자 정보를 포함한 카드정보를 증강현실 엔진(AR 엔진)에 등록하는 과정(S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소프트웨어 배포 플랫폼(20)을 통하여 카드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게임서버(30)를 구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정보〔ex 사용자 계정, 랭킹(승률), 카드 종류 및 보유수, 아이템, 플레이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805A KR20180126158A (ko) | 2017-05-17 | 2017-05-17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0805A KR20180126158A (ko) | 2017-05-17 | 2017-05-17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6158A true KR20180126158A (ko) | 2018-11-27 |
Family
ID=64603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0805A KR20180126158A (ko) | 2017-05-17 | 2017-05-17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2615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7754A (ko) * | 2020-08-27 | 2022-03-08 |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 게임 지원 시스템, 프로그램, 정보 통신 단말기 및 접속 장치 |
-
2017
- 2017-05-17 KR KR1020170060805A patent/KR2018012615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7754A (ko) * | 2020-08-27 | 2022-03-08 |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 게임 지원 시스템, 프로그램, 정보 통신 단말기 및 접속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18169B2 (en) | Interactive entertainment using a mobile device with object tagging and/or hyperlinking | |
TWI551334B (zh) | 用於擴增實境的方法、設備及電腦可讀取媒體 | |
US7575518B2 (en) | Video game control system and a video game control server | |
CN101553290B (zh) | 用于管理具有移动功能的大型多人在线角色扮演游戏(mmorpg)中映射到现实位置的虚拟世界的系统和方法 | |
US10913000B2 (en) |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server device | |
US20040198403A1 (en) | Gaming concept for wireless terminals | |
JP6925803B2 (ja) | 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 |
US20100317419A1 (en) |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ous Social Gaming via Mobile Devices | |
JP2011206484A (ja) | サーバシステム及びゲーム装置 | |
JP5702493B1 (ja) | 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 |
KR20070084389A (ko) | 게임 시스템, 게임 서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게임 장치및 그 제어 방법 | |
WO2022083451A1 (zh) | 虚拟对象的技能选择方法、装置、设备、介质及程序产品 | |
CN112870705A (zh) | 对局结算界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KR101096365B1 (ko) | 로고를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180126158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드인식을 통한 증강현실을 구현 블루투스 통신 대전게임 방법 | |
JP6386020B2 (ja) | ゲームシステム | |
CN113730906A (zh) | 虚拟对局的控制方法、装置、设备、介质及计算机产品 | |
JP6783546B2 (ja) | メッセージ配信ゲームシステム、メッセージ配信ゲー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20080035855A (ko) | 3차원 아바타를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 장치 및 그 사용방법 | |
JP2018164863A (ja) | ゲームシステム | |
WO2013085189A1 (ko) |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
US20240033622A1 (en) |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 |
US20240033621A1 (en) |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1264629B1 (ko) |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 |
KR20180027208A (ko) | 위치기반 게임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