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3611A -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Google Patents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93611A KR20180093611A KR1020170019946A KR20170019946A KR20180093611A KR 20180093611 A KR20180093611 A KR 20180093611A KR 1020170019946 A KR1020170019946 A KR 1020170019946A KR 20170019946 A KR20170019946 A KR 20170019946A KR 20180093611 A KR20180093611 A KR 201800936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p
- finger
- hand
- sensing unit
- ben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10000001364 upper extremity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6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5224 fore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36 nerv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737 Parkins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30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29 cerebral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3516 strok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25—Activation means
- A61H2201/503—Inertia activation, i.e. activated by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뇌졸중, 뇌성마비 외에 척추 손상, 근골격계 장애 환자들의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at can induce rehabilitation of upper limb muscles of patients suffering from stroke, cerebral palsy, ≪ / RTI >
뇌졸중이나 파킨슨병 등의 경우, 병세에 따라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난다. 특히, 위와 같은 병의 경우, 손이 마비되고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이 동반된다.In the case of stroke or Parkinson's disease, a variety of physical changes occur depending on the condition.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diseases, the hand is paralyzed and the finger is shrunk.
이러한 손의 마비와 손가락이 오그라드는 현상을 계속적으로 방치하면, 근육이나 관절이 점차 굳어져 움직일 때 통증을 느끼게 되고 신경이 회복되어도 정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If these hand paralysis and fingers are constantly left untreated, the muscles and joints become harder and harder to feel pain, and even if the nerves are restored, they can interfere with normal activities.
또한, 위에서 설명한 특정 병에 의한 경우 이외에도, 불의의 사고에 의해 손가락의 움직임에 장애를 갖게 되는 경우도 많다. Further, in addition to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specific diseases,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ovement of the finger is obstructed by unexpected accident.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그 마비가 오거나 장애를 갖게 된 손을 계속적으로 움직이게 재활 치료를 하므로써, 혈액 순환과 신경 소통을 촉진하여 운동 능력을 최대한 유지하게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refore, in such a case,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maximum exercise capacity by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nerve communication by rehabilitating the hand that has come to be paralyzed or has a disability continuously.
이에, 근래에는 다양한 손 재활 치료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Accordingly, various h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es have been widely used recently.
그러나, 종래의 손 재활 치료장치는 환자의 의사에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수동적으로 손을 재활 치료하므로, 환자들에게 재활 치료의 동기부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환자들에게 힘들고 재미가 없다는 인식이 심어져 재활 운동에 대한 흥미를 쉽게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manually rehabilitates the hand by the physical force externally applied irrespective of the patient's intention, so that there is difficulty in motivat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to the patien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est in rehabilitation exercise is easily lost due to the perception that there is no fun.
또한, 종래의 손 재활 치료 장치는 환자에 적합한 재활 훈련 난이도 또는 훈련 종류를 제공하지 못하여, 환자들은 점진적으로 훈련 강도를 높이면서 재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hand rehabilitation treatment apparatus can not provide the degree of difficulty of rehabilitation training or the type of training suitable for the patient, and the patients are difficult to rehabilitate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training intensity.
이에, 본 출원인은 외부 기기와 연동하여, 게임 등을 수행하면서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developed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at can induc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upper extremity muscles while playing games and the like, in cooper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which can increase interest in rehabilitation therapy and induce rehabilitation of upper extremity muscles.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 치료하고자 하는 손이 그립되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를 쥐거나 펼침에 따른 그립 정보를 감지하는 그립 감지부; 및 상기 그립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그립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p portion for gripping a hand to be rehabilitated; A grip sensing unit for sensing grip information by gripping or unfolding the grip por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grip information sensed by the grip sensing unit and sending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a program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그립부는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립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유체를 밀봉 수용하고, 상기 그립 감지부는 상기 그립부를 쥐거나 펼치는 그립 동작에 따라 상기 그립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일 수 있다.Here, the grip part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accommodates a fluid capable of flowing by a grip force, and the grip sensing part is a press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acting on the grip part according to a gripping operation of gripping or unfolding the grip part have.
또한, 상기 그립부를 그립하는 손가락의 굽힘 변위를 측정하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굽힘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손가락의 굽힘 변위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bending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bending displacement of the finger that grips the grip unit.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bend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measured by the bending sensing unit, It is possible to send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상기 손가락 굽힘 감지부는 상기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의 굽힘 변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플렉스 센서(flex sensor)일 수 있다.The finger bending sensing part may be a flex senso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nd having a resistance varying according to the bending displacement of the finger.
상기 손가락 굽힘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손가락이 착탈되는 손가락 착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finger wearing part for supporting the finger bending sense part and detaching the finger.
손바닥, 손등, 손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손 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 운동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hand movement detec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hand movement detect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palm, a hand, and a wrist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motion of the hand, And can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a program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상기 손 운동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관성측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 motion sens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external device.
상기 그립부는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그립되는 손을 지압하는 복수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thereof for shaking the hand to be gripped.
상기 그립부는 손가락이 거치되는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rest portion on which a finger is placed.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력으로 능동적으로 그립부를 쥐거나 펴는 손의 동작에 따른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조작함으로써,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who wishes to perform rehabilitation treatment can actively manipulate a program such as a game operated on an external device based on information of an operation of a hand gripping or stretching the grip portion with a magnetic force, thereby increasing interest in rehabilitation treatment , Can induce rehabilitation of upper extremity mus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And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technicia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 / or" include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elements mentioned.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i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일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description, elem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representative embodiments, and only other configurations are described for the other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그립부(11), 그립 감지부(25), 제어부(31)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tubular
그립부(11)는 재활 치료하고자 하는 손이 그립 예컨대, 손바닥, 엄지와 검지를 포함한 나머지 손가락들이 그립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그립부(11)는 일정 체적을 갖는 원기둥의 튜브 형상을 가진다. 그립부(11)는 유체를 유동가능하게 수용하며 밀봉한다. 그립부(11)는 사용자의 손의 그립력에 의해 신축가능한 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또한, 그립부(11)의 표면에는 복수의 지압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지압돌기(13)는 그립부(11)를 그립하는 사용자의 손바닥 및 손가락을 지압한다.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13)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rip portion (11). The plurality of
한편, 그립부(11)는 지지 밴드(15)에 의해 지지되며, 지지 밴드(15)는 손목에 착용되는 손목 밴드(17)에 지지된다. 한편, 손목 밴드(17)의 양단부에는 고정 수단(19)으로서 벨크로 천이 마련되어, 손목 밴드(17)는 폐루프를 형성하며 손목에 고정된다. 여기서, 손목 밴드(17)의 고정 수단(19)으로서 벨크로 천 대신에, 스냅 단추가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그립 감지부(25)는 사용자가 그립부(11)를 쥐거나 펼침에 따른 그립 정보를 감지한다. 그립 감지부(25)에서 감지된 그립 정보는 제어부(31)로 전송된다.The grip sensing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그립 감지부(25)로서 압력측정센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립 감지부(25)는 그립부(11)의 내부에 마련되어, 그립부(11)를 쥐거나 펼치는 그립 동작에 따라 그립부(11)에 작용하는 압력 예컨대, 그립부(11)의 내부의 유체 압력을 측정한다. 그립 감지부(25)에 의해 감지된 그립 정보로서 그립부(11)의 내부의 압력 데이터는 제어부(31)로 전송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ressure measuring sensor is provided as the
제어부(31)는 통신 모듈(35)을 통해 외부 기기로서 원격에 위치한 모바일 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동기화된다. 여기서, 제어부(31)와 외부 기기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제어부(31)는 그립 감지부(25)에 의해 감지된 그립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한다. 예컨대, 제어부(31)는 사용자가 그립부(11)를 쥐거나 펼치는 그립력에 따라 변동하는 그립부(11)의 압력 데이터에 의거하여, 미리 설정된 상이한 조작신호를 외부 기기로 송출한다.The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이 그립부(11)를 그립하기 위해 쥘 경우, 그립부(11)의 내부는 그립력에 의해 압력이 증가하여 압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은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엄지가 그립부(11)를 그립하지 않고 펼 경우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검지가 그립부(11)를 그립하지 않고 펼 경우, 그립부(11)의 내부는 압력이 감소하여 압력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압력값은 감소하게 된다.2, when the user's hand grips the
한편, 그립 감지부(25)에서 감지된 그립 정보는 제어부(31)로 전달되며, 제어부(31)는 통신 모듈(35)을 통해 외부 기기로 조작 신호를 보낸다. 예컨대, 그립 감지부(25)에 의해 손바닥과 엄지와 검지로 그립부(11)를 그립하여 그립부(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증가함을 감지한 경우의 신호와, 엄지로 그립부(11)를 그립하지 않을 때의 신호와, 검지로 그립부(11)를 그립하지 않을 때의 신호와, 엄지 및 검지를 동시에 그립하지 않을 때의 신호 등을 각각 구분되는 신호로 인지할 수도 있다.The grip information sensed by the
따라서, 제어부(31)는 그립 감지부(25)에 의해 측정된 그립 정보 즉, 그립부(11)의 측정된 압력값의 증감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외부 기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에 의해, 재활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력으로 능동적으로 그립부(11)를 쥐거나 펼침에 따라, 손이 그립되는 그립부(11)의 그립 정보 예컨대, 그립부(11)의 측정된 압력값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조작함으로써,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us, based on the grip inform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그립부(11)를 그립하는 엄지와 검지의 굽힘 변위를 측정하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손가락 굽힘 감지부(41)는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41)가 엄지와 검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 굽힘 감지부(41)는 중지, 약지, 소지 등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손가락의 굽혀진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손가락 굽힘 감지부(41)로서 플렉스 센서(flex sensor)가 마련될 수 있다. 플렉스 센서는 구부러진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져, 측정된 저항값에 따라 구부러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플렉스 센서는 엄지와 검지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즉, 엄지와 검지에 부착된 플렉스 센서는 엄지와 검지 각 손가락의 움직임을 독립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플렉스 센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착용부(45)의 손가락의 등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finger
이러한 손가락 굽힘 감지부(41)는 엄지와 검지가 착탈되는 손가락 착용부(45)에 지지된다.The finger
손가락 착용부(45)는 다수 개로 이루어지고, 다수 개의 손가락 착용부(45)는 엄지와 검지에 각각 대응하는 보조 밴드(47)에 지지되며, 엄지와 검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보조 밴드(47)는 손목 밴드(17)에 지지된다. 여기서, 손가락 착용부(45)는 일정 길이의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부는 벨크로 천(미도시)에 의해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손가락 착용부(45)를 다양한 손가락 굵기에 대응하며, 손가락을 감싸며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손가락 착용부(45)는 손가락이 삽입되는 슬리브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A plurality of finger-wearing
한편, 손가락 굽힘 감지부(41)에서 측정된 엄지와 검지의 각 굽힘 변위 정보는 제어부(31)로 전달되며, 제어부(31)는 통신 모듈(35)을 통해 외부 기기로 조작 신호를 보낸다. 예컨대, 플렉스 센서에 의해 손가락 굽힘을 감지하는 경우에 엄지, 검지를 하나씩 따로 구부릴 때의 신호와, 두 개의 손가락을 동시에 구부리는 경우에 감지되는 신호를 구분되는 신호로 인지할 수 있다.The bend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humb and forefinger measured by the finger
따라서, 제어부(31)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41)에 의해 측정된 엄지와 검지의 각 굽힘 변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외부 기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손가락 굽힘 감지부(41)에 의해 측정된 엄지와 검지의 각 굽힘 변위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의 입력 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이에 의해, 재활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력으로 능동적으로 굽히거나 펼치는 동작에 따라, 손가락 굽힘 감지부(41)에 의해 측정된 엄지와 검지의 각 굽힘 변위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조작함으로써,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ereby,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of the user who is actively bending or unfurling by the user who wishes to rehabilitate the game, the game and the like operated on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bend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thumb and index measured by the fing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손 운동 감지부(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손 운동 감지부(51)는 손목 밴드(17)의 손목 부위에 마련된다. 여기서, 손 운동 감지부(51)는 손목, 손바닥 또는 손등 어느 곳에나 마련될 수 있다. 손 운동을 감지하는 센서는 다양한 종류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관성측정유닛(IMU : Inetial Measurement Uni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센서를 이용하면 손의 상,하,좌,우,전,후 방향의 움직임과 손의 회전된 정도 등 손 운동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The hand
한편, 손 운동 감지부(51)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는 제어부(31)로 전달되며, 제어부(31)는 통신 모듈(35)을 통해 외부 기기로 조작 신호를 보낸다. 일 예로, 자이로 센서에 의해 손의 상, 하, 좌, 우, 전, 후 방향으로 각각의 움직임에 대한 구분되는 신호로 인지할 수 있다.The hand position and hand mo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hand
따라서, 제어부(31)는 손 운동 감지부(51)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다양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외부 기기의 마우스 또는 키보드 상의 상, 하, 좌, 우 입력키 등을 대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손 운동 감지부(51)를 통해 X, Y, Z축 3차원 좌표를 감지할 수 있게 되어, 에어 마우스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에 의해, 재활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력으로 능동적으로 손을 움직임에 따라, 손 운동 감지부(51)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조작함으로써,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s the user actively moving his or her hand in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actively moves the hand, such as a game operated on the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hand measured by the han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를 이용하여 재활 치료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a process of rehabilitation using th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를 손에 착용한다.First, the
이 때, 손가락 착용부(45)를 엄지와 검지에 각각 착용한다.At this time, the
다음,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31)와 외부 기기를 동기화시킨다. 이로써,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Next, power is supplied to the tubular
그리고, 제어부(31)는 그립 감지부(25)에 의해 감지된 그립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의 프로그램의 조작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기기를 조작시키거나, 또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41)에 의해 측정된 엄지와 검지의 각 굽힘 변위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의 프로그램의 조작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기기를 조작시키거나, 또는 손 운동 감지부(51)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의 프로그램의 조작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기기를 조작시키거나, 또는 이들 그립 감지부(25), 손가락 굽힘 감지부(41), 손 운동 감지부(51)의 두 개 이상의 조합에 의한 조작신호를 송출하여 외부 기기를 조작시킨다.The
이와 같이, 재활 치료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력으로 능동적으로 그립부를 쥐거나 펴는 손의 동작, 손의 위치 및 손의 움직임에 따른 정보에 의거하여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게임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조작함으로써, 재활 치료시 흥미를 증대시키며, 상지 근육의 재활 치료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Thus, by operating a program such as a game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n the movement of the hand,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motion of the hand gripping or stretching the grip portion actively by the self- Increase the interest in treatment, and induce rehabilitation of upper extremity muscles.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달리, 그립부(11′)에 손가락이 거치되는 형상을 가진다.5 shows a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interface device 10 'for rehabilitation therap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in which a finger is stuck on the grip portion 11',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의 그립부(11′)는 손가락이 거치되는 손가락 거치부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가락 거치부로서 엄지가 거치되는 엄지 거치부(21)와, 검지가 거치되는 검지 거치부(23)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가락 거치부는 중지, 약지, 소지 등이 거치되도록 마련딜 수도 있다.The grip portion 11 'of the tubular type interface device 10'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nger rest portion on which a finger is stuck.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로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10)에 비해 그립부(11′)를 그립할 때 엄지와 검지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면서, 상지 근육을 재활 치료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tubular interface device 10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grip 11' is gripped as compared with th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10′ :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
11,11′ : 그립부
13 : 지압돌기
25 : 그립 감지부
31 : 제어부
35 : 통신 모듈
41 : 손가락 굽힘 감지부
45 : 손가락 착용부
51 : 손 운동 감지부10,10 ': Tubular interface device for rehabilitation therapy
11, 11 ': grip portion
13: acupressure projection
25:
31:
35: Communication module
41: finger bending sensing part
45: Finger-wearing portion
51: Hand motion detection unit
Claims (10)
상기 그립부를 쥐거나 펼침에 따른 그립 정보를 감지하는 그립 감지부; 및
상기 그립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그립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A grip portion in which a hand to be rehabilitated is gripped;
A grip sensing unit for sensing grip information by gripping or unfolding the grip portion; And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grip information sensed by the grip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a program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상기 그립부는 신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그립력에 의해 유동가능한 유체를 밀봉 수용하고,
상기 그립 감지부는 상기 그립부를 쥐거나 펼치는 그립 동작에 따라 상기 그립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hermetically accommodates a fluid capable of flowing by a grip force,
Wherein the grip sensing unit is a pressur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pressure acting on the grip part in accordance with a grip operation of gripping or unfolding the grip part.
상기 그립부를 그립하는 손가락의 굽힘 변위를 측정하는 손가락 굽힘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굽힘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손가락의 굽힘 변위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nger bending sensing unit for measuring a bending displacement of a finger that grips the grip por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bending displacement information of the finger measured by the bending sensing unit and sends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a program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상기 손가락 굽힘 감지부는 상기 손가락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손가락의 굽힘 변위에 따라 저항이 달라지는 플렉스 센서(flex sensor)인,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nger bending sensing part is a flex sensor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nger and having a resistance varying according to a bending displacement of the finger.
상기 손가락 굽힘 감지부를 지지하며, 상기 손가락이 착탈되는 손가락 착용부를 더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finger wear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finger bending sense portion and the finger is detached and detached.
손바닥, 손등, 손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손 운동 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손 운동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손의 위치와 손의 움직임 정보를 받아 외부 기기에서 작동되는 프로그램을 조작하도록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and movement sens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a palm, a hand, and a wrist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movement of the hand,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position of the hand and the motion information of the hand measured by the hand motion sensing unit to transmit an operation signal to operate a program operated by an external device.
상기 손 운동 감지부는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관성측정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and motion sens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n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송출되는 조작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said control unit to said external device.
상기 그립부는 표면에 돌출 형성되어, 그립되는 손을 지압하는 복수의 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튜브형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 surface thereof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gripped hands.
상기 그립부는 손가락이 거치되는 손가락 거치부를 더 포함하는, 재활 치료용 인터페이스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 portion further comprises a finger rest portion on which a finger is res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946A KR101958949B1 (en) | 2017-02-14 | 2017-02-14 |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9946A KR101958949B1 (en) | 2017-02-14 | 2017-02-14 |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3611A true KR20180093611A (en) | 2018-08-22 |
KR101958949B1 KR101958949B1 (en) | 2019-03-15 |
Family
ID=6345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9946A KR101958949B1 (en) | 2017-02-14 | 2017-02-14 |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894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67084A (en) * | 2019-12-30 | 2020-05-19 | 江苏爱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
WO2020162700A1 (en) * | 2019-02-08 | 2020-08-13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WO2020162698A1 (en) * | 2019-02-08 | 2020-08-13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KR20200097509A (en) * | 2019-02-08 | 2020-08-19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KR20210025844A (en) * | 2019-08-28 | 2021-03-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63647A1 (en) * | 2004-09-21 | 2006-03-23 | Jones-Glaser Danielle E | Grip strength device |
JP2010240285A (en) * | 2009-04-09 | 2010-10-28 | Univ Of Tsukuba | Wearable motion assisting device |
KR20110138493A (en) * | 2010-06-21 | 2011-12-28 | 원인호 | Patient grip exercise equipment |
KR101126732B1 (en) | 2009-09-24 | 2012-03-29 | 강민수 | Finger rehabilitation exerciser |
KR20120133350A (en) * | 2011-05-31 | 2012-12-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Neuropathy Patient |
KR101694971B1 (en) * | 2015-09-24 | 2017-01-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
2017
- 2017-02-14 KR KR1020170019946A patent/KR10195894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63647A1 (en) * | 2004-09-21 | 2006-03-23 | Jones-Glaser Danielle E | Grip strength device |
JP2010240285A (en) * | 2009-04-09 | 2010-10-28 | Univ Of Tsukuba | Wearable motion assisting device |
KR101126732B1 (en) | 2009-09-24 | 2012-03-29 | 강민수 | Finger rehabilitation exerciser |
KR20110138493A (en) * | 2010-06-21 | 2011-12-28 | 원인호 | Patient grip exercise equipment |
KR20120133350A (en) * | 2011-05-31 | 2012-12-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Neuropathy Patient |
KR101694971B1 (en) * | 2015-09-24 | 2017-01-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62700A1 (en) * | 2019-02-08 | 2020-08-13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WO2020162698A1 (en) * | 2019-02-08 | 2020-08-13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KR20200097509A (en) * | 2019-02-08 | 2020-08-19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KR20200097849A (en) * | 2019-02-08 | 2020-08-2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KR20210025844A (en) * | 2019-08-28 | 2021-03-10 | 주식회사 네오펙트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CN111167084A (en) * | 2019-12-30 | 2020-05-19 | 江苏爱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Rehabilitation training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8949B1 (en) | 2019-03-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8949B1 (en) | Tube type interface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 |
KR101667179B1 (en) | User-coupled human-machine interfac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an exoskeleton thereof | |
US11865395B2 (en) | Movement therapy apparatus | |
KR101457201B1 (en) |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Neuropathy Patient | |
EP3414061B1 (en) | A device for enhancing a user's grasping capability | |
KR20190035569A (en) | Apparatus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 |
EP2220997A1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otion sequences | |
JP2011516915A (en) | Motion content-based learning apparatus and method | |
US20210361192A1 (en) | Hand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 |
EP3157473A1 (en) | A haptic feedback device | |
CN111698969B (en) | Grip assist system and method | |
KR101630367B1 (en) | Rehabilitation system for upper limb of hemiplegic patients using smart device and method thereof | |
US20220226183A1 (en) | A self driven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 |
CN115364327A (en) | Hand function training and evaluation rehabilitation glove system based on motor imagery | |
WO2020222955A1 (en)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reality feedback | |
CN211272064U (en) | Sensor device and finger joint rehabilitation glove | |
KR102263214B1 (en)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
CN107209074B (en) | Force value measuring mechanism | |
KR102202859B1 (en)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
KR102331549B1 (en) | Glove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 |
Klug et al. | An Anthropomorphic Soft Exosuit for Hand Rehabilitation | |
CN220459887U (en) | Real-time feedback hand fine grip training handle | |
KR20180078534A (en) | Rehabilitation Device For Finger and Method Thereof | |
KR102167254B1 (en) |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 |
CN116726477A (en) | Real-time feedback hand fine grip training hand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