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689A - 음료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 - Google Patents
음료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70689A KR20180070689A KR1020187014550A KR20187014550A KR20180070689A KR 20180070689 A KR20180070689 A KR 20180070689A KR 1020187014550 A KR1020187014550 A KR 1020187014550A KR 20187014550 A KR20187014550 A KR 20187014550A KR 20180070689 A KR20180070689 A KR 201800706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outlet
- inlet
- temperature
- co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2—Continuous-flow hea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47—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using microwave energy for heating the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에 관한 것으로, 이 기계는 가 개시되며, 액체, 특히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 우려내기 챔버(4), 및 상기 공급부(2)를 상기 우려내기 챔버(4)에 연결하는 우려내기 회로(5)를 포함하고, 본 기계는 열교환기를 갖는 우려내기 회로(5) 및 분배 어셈블리(3; 3')를 가지며, 이는 액체 자체가 우려내기 챔버(4) 안에서 우려지기 전에 액체의 비등 온도 보다 낮은 미리 정해진 온도, 예컨대 대략 90℃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특허 출원은 음료,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에 관한 것이다.
커피 또는 차와 뜨거운 음료를 만드는 기계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기계는 우려내기 회로를 포함하고, 이 회로를 따라 우려내기 액체, 특히 물이 대략 90℃ 또는 그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우려내기 챔버 안으로 주입되며, 이 챔버 안에는 우려내기 제품이 위치한다. 예컨대, 우려내기 제품은 분말 또는 잎의 형태로 이용 가능하고 또는 캡슐이나 포드(pod) 안에 들어 있을 수 있다.
특히 전문용의 전술한 유형의 기계, 예컨대 바(bar)에서 사용되는 기계는, 다른 양의 뜨거운 액체를 필요로 하는 복수의 다른 음료를 만들기 위해 액체, 특히 물을 가열하기 위한 보일러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공지된 전문용 기계의 보일러는 차와 커피 모두를 만들기 위해 물을 가열하고, 그러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대기 시간으로 다룰 필요가 없도록 전 부하(full load) 하에서도 오랜 시간 동안 기계의 신뢰적인 작동을 보장하여 다른 양의 물을 가열하도록 구성된 탱크 보일러가 사용된다. 그래서, 안에 들어 있는 액체가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일러는 항상 작용 상태로 유지될 필요가 있으므로, 불가피하게 큰 에너지 손실이 생기게 된다. 어떤 경우에는, 물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아침에 긴 턴-온 시간으로 다룰 필요가 없도록, 전술한 유형의 전문용 기계는 사용되지 않는 밤 중에도 턴-온 상태로 유지된다.
알려져 있는 기계에서, 분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분배하는 중에, 액체는 차가워지고, 종종 감각 수용 특성 관점에서 최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는 음료를 얻기 위해 요망되는 분배 온도 미만의 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를 만드는 기계, 특히 전문용 기계로서, 관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전문 기계의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동시에 반응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선 출구 및/또는 더 큰 액체 압력을 갖는 출구가 없는 분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렇게 해서, 유리하게는, 액체와 우려내기 제품 사이의 교환 표면이 증가하여, 액체, 즉 음료의 온도가 분배 중에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커피의 감각 수용 특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분배 중에 원하는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열교환기 및 분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의 원하는 감각 수용 특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어진 온도에서 높은 정밀도로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 다시 말해 액체의 실제 온도와 원하는 온도 사이의 차가 제한되게 할 수 있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 특히 커피를 만드는 기계로서, 우려내기 챔버 내부에 들어 있는 커피 모두에 영향을 주어, 만들어지는 커피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우려내기 액체, 특히 물이 우려내기 챔버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되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를 만드는 기계로서, 제조되는 커피의 최종 품질을 개선하기 위해 우려내기 순간에 커피를 만들기 위한 우려내기 액체의 제트의 냉각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따른 열교환기, 우려내기 어셈블리, 및 음료를 만드는 기계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이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의 주 단면도로, 일부 부품은 명료성을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제 1 상세를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제 2 상세의 평면도를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 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로, 도 1의 제 2 상세의 일 변형예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제 2 상세의 추가 변형예를 평도면도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Ⅶ - Ⅷ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 1 상세를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제 2 상세의 평면도를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Ⅳ - Ⅳ 선을 따른 단면을 나타낸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한 도로, 도 1의 제 2 상세의 일 변형예를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6은 도 1의 제 2 상세의 추가 변형예를 평도면도 더 큰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Ⅶ - Ⅷ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에서, 참조 번호 "1"은 전체적으로 음료(B), 특히 커피를 만들기 위한 기계를 나타내며, 이 기계는 액체(L), 특히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2), 우려내기 챔버(4)를 갖는 분배 어셈블리(3) 및 우려내기 회로(5)를 포함하며, 우려내기 회로는 공급부(2)를 우려내기 챔버(4)에 연결한다. 우려내기 회로(5)는 액체(L)를 위한 열교환기(6)를 포함하고, 우려내기 챔버(4) 안에서 액체(L)가 우려지기 전에, 열교환기는 액체(L)를 미리 정해진 온도, 예컨대 90도로 가열하기에 적합하다.
도 2는 기계(1)의 열교환기(6)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2는 기계의 열교환(6)를 상세히 나타낸다.
열교환기(6)는 특히 내측 가열 시스템(7), 이 가열 시스템(7) 주위에 배치되는 열 교환 코어(8) 및 외측 보호 몸체(9)를 포함한다. 특히, 열교환기(6)는 홈(10)을 가지고 있는데, 이 홈은 코어(8)의 외주를 따라 만들어져 있고 액체(L)가 그 홈을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외측 몸체(9)는 길이 방향 축선(X) 및 길이 방향 내측 관통 공동부 (h)를 갖는 원통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공동부(h)는 원추형이다. 코어는 외측 몸체(9)의 내측 공동부(h) 안으로 삽입된다.
코어(8)는 원추형체인데, 이는 축선(X)과 동축이고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코어의 기울기는 외측 본체(9)의 기울기에 상보적이어서, 코어가 길이 방향 슬라이딩으로 외측 본체(9) 안으로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8)는 1°보다 작은 기울기(α)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내측 공동부는 1°보다 작은 기울기(β)를 갖는다.
유리하게, 코어(8)는 열전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코어(8)는 전도를 최적하기 위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코어(8)는 구리로 만들어진다.
또한, 열교환기(6)는 커버(11)를 포함하는데, 이 커버는 코어(8) 주위에 설치되고 코어(8)와 외측 본체(9)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11)는, 코어(8)의 홈(10)과 함께, 액체(L)를 위한 유동 도관(12)을 한정한다. 커버(11)는 액체(L)의 외부 누출을 막기 위해 유동 도관(12)를 단단히 폐쇄하는데에 적합하다.
유리하게, 열교환기(6)에는 액체(L)가 대략 9 bar의 압력으르 흐르도록 되어 있다. 유리하게, 외측 본체(9)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 커버(11)는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커버(11)는 외측 본체(9)를 코어(8)로부터 열적으로 보호해준다. 유리하게, 커버(11)는 전도 열이 코어(8)와 외측 본체(9) 사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커버(11)는, 식품 산업에서 음식과 접촉하여 사용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는데, 특히 커버(11)는 식품 안전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커버(11)는 코어(8)와 외측 본체(9)의 제조시에 있을 수 있는 크기 에러를 보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커버(11)는 액체가 코어(8)의 치부와 외측 본체(9) 사이에서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커버(11)는 코어(8)를 열적으로 절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커버(11)는 코어(8)와 외측 본체(9) 사이에 전도 열이 교환되는 것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내측 공동부(h)와 코어(8)의 원추 형상에 의해, 코어(8)와 이 코어에 설치되는 커버(11)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가 내측 공동부(h) 내에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내측 공동부(h)와 코어(8)의 원추 형상에 의해, 열교환기(6)의 조립 중에 커버(11)가 잡히고/잡히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유리하게는, 코어(8) 및/또는 내측 공동부(h)의 기울기는 1°보다 작은데, 그리하여, 코어(8) 주위에 설치되는 커버(11)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가, 커버(11)를 손상시키거나 소성 변형시킬 수 있는 축방향 힘을 가하지 않고도 거의 완전하게내측 공동부(h)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1°보다 작은 기울기로, 코어(8)이 거의 완전하게 내측 공동부(h) 안으로 삽입되면, 커버(11)가 외측 본체(9)와 접촉하게 되며, 이렇게 해서, 도입을 완료하기 위해, 어셈블리가 그의 멈춤 한계에 도달하도록, 코어(8)에 설치되는 커버(11)로 이루어지는 어셈블리에 작은 축방향 힘을 가할 필요가 있다. 이 작은 축방향 힘(손으로 가해질 수 있고 최대 100 N에 달하는 것으로 예상됨)을 사용하여, 커버(11) 자체를 손상시킴이 없이 커버(11)를 코어(8)와 외측 본체(9) 사이에 압축시킨다.
열교환기(6)는 액체(L)를 위한 입구(13)와 출구(14)를 가지며, 이들 입구와 출구는 열교환기(6) 안으로 유입하고 또한 그로부터 유출하는 액체(L)를 외부와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열교환기(6)의 입구 단부(15)는 액체 입구(13)가 위치하는 단부이고, 유사하게, 출구 단부(16)는 액체 출구(14)가 위치하는 단부이다.
코어(8)는 길이 방향 내측 관통 공동부(17)를 가지며,. 이 공동부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내측 공동부(17)는 코어(8)의 입구 단부(15)와 출구 단부(16) 모두의 영역에서 코어(8)의 외부와 대향한다. 내측 공동부(17)는 코어(8)의 본체와 동심이다.
코어(8)는 길이 방향으로 입구부(18)(입구 단부(15)에 인접함)와 출구부(18)(출구 단부(16)에 인접함)로 분할되어 있다.
유리하게, 코어(8)의 입구부(13)와 출구부(14)는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적으로 절연된다. 도 2에 따르면, 코어(8)는 환형 공동부(20)를 갖는데, 이 공동부는 입구부(18)와 출구부(19) 사이에 있다. 코어(8)는 내측 목부(21)를 가지며, 이 목부는 환형 공둥부(20)를 반경 방향으로 한정하고 입구부(18)를 출구부((19)에 연결한다.
유리하게는, 환형 공동부(20) 내에는, 열 절연 재료의 링(22)이 코어(8)의 목부(21)에 설치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액체(L)가 환형 공동부(20)의 홈 안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 공동부(17) 내에서 환형 커버(23)가 반경 방향으로 링(22)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특히, 환형 커버(23) 및 링(22)은, 사용시 액체(L)가 목부(21)와 접촉하여 비등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액체(L)가 코어(8)의 목부(2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구부(18)는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라 출구부(19)의 연장 보다 큰 연장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따르면, 가열 시스템(7)은 2개의 저항을 가지며, 이하 이 저항을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이라고 한다. 입구 단부(15)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저항은 입구 저항(24)이고, 출구 단부(16)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저항은 출구 저항(25)이다.
각 저항(24, 25)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갖는다. 저항(24, 25)은 서로 동축이다. 각 저항(24, 25)은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는데, 이 연결 케이블은 각각의 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가열 시스템(7)의 저항(24, 25)은 코어(8)의 내측 공동부(17)의 내부에 수용된다. 특히, 입구 저항(24)은 코어(8)의 입구부(18)의 영역에서 코어(8)의 내측 공동부(17)에 삽입된다, 유사하게, 출구 저항(25)은 코어(8)의 출구부(19)의 영역에서 코어(8)의 내측 공동부(17)에 삽입된다,
유리하게, 입구 저항(24)의 길이 방향 연장은 입구부(18)의 길이 방향 연장과 대략 같다. 유사하게, 출구 저항(25)의 길이 방향 연장은 출구부(19)의 길이 방향 연장과 대략 같다. 유리하게, 가열 시스템(7)은 절연 요소(26)를 포함하고, 이 절연 요소는 코어(8)의 내측 공동부(17)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입구 저항(24)과 출구 저항(25)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 절연 요소(26)는 내측 공동부(17) 내에서 환형 공동부(20)의 영역에 배치된다. 공동부(20)와 절연 요소(26)의 존재는, 열이 입구부(18)로부터 출구부(19)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에 적합하다. 절연 요소(26)에 의해, 열이 단지 매우 적은 양으로만 저항(24, 25)과 환형 공동부(20) 사이에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입구 저항(24)에서 나온 열은 출구부(19)의 영역에 있는 액체(L)의 가열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반대로, 출구 저항에서 나온 열은 입구부(18)를 따르는 액체(L)의 가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유리하게, 커버(11)는 환형 공동부(20)의 영역에서 외측 본체(9)를 액체(L)로부터 보호해 주어, 환형 공동부(20)의 영역에서 액채(L)의 열이 손실되지 않는다.
도 2에 따르면, 입구 저항(24)의 케이블은 입구 단부(15)의 영역에서 코어(8) 밖으로 돌출해 있다. 유사하게, 출구 저항(25)의 케이블은 출구 단부(16)의 영역에서 코어(8) 밖으로 돌출해 있다.
도 2에 따르면, 코어(8)는 나선형 홈(19)을 갖는데, 이 홈은 코어(8)의 반경 방향 외측 벽에 만들어져 있다. 홈(10)은 전체 코어(8)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코어(8)의 입구 단부(15)의 영역에 만들어지는 도입부(27), 및 코어(8)의 출구 단부(16)의 영역에 만들어지는 배출부(28)를 갖는다. 홈(10)은 코어(8)의 반경 방향 외측 표면에서 작은 치부(29)를 측방에서 한정한다. 유리하게는, 커버(11)는 작은 치부(29)와 외측 본체(9) 사이에 위치되며, 코어(8)의 작은 치부(29)와 외측 본체(9) 사이에서 열적 부하의 손실을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홈(10)은 입구부(30)와 출구부(31)로 분할된다. 홈(10)의 입구부(30)는 코어(8)의 입구부(18)를 따라 만들어져 있는 부분이다. 홈(10)의 출구부(31)는 코어(8)의 출구부(19)를 따라 만들어져 있는 부분이다.
유리하게는, 홈(10)의 입구부(30)와 출구부(31)는 환형 공동부(2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특히, 홈(10)은 코어(8)의 반경 방향 외측 벽에서 액체(L)가 입구 단부(15)에서부터 출구 단부(16)까지 흐를 수 있게 해주도록 만들어져 있다.
열교환기(6)는 또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데, 이 온도 센서 각각은 각각의 위치에서 코어(8)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열교환기(6)는 입구 센서(32)를 포함하고, 이 입구 센서는 코어(8)의 입구부(18)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기(6)는 또한 출구 센서(33)를 포함고, 이 출구 센서는 코어(8)의 출구부(19)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입구 센서(32)와 출구 센서(33)는 PID(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센서이다. 유리하게는, 입구 센서(32)는 입구부(18)의 각각의 작은 치부(29) 내부에 위치된다. 입구 센서(32)는 코어(8)의 입구부(18)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사하게, 출구 센서(33)는 코어(8)의 출구부(19)의 각각의 작은 치부(29) 내부에 위치된다. 입구 센서(32)와 출구 센서(33)는 액체와 접촉하지 않는데, 그래서, 액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측정 에러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코어(8)의 온도의 직접 검출에 의해, 코어(8)가 미리 정해진 온도 문턱값을 넘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되어, 홈을 관류하는 액체가 과열되거나 문턱값을 초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액체는 비등점에 이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열교환기(6)는 입구 플러그(34)와 출구 플러그(35)를 포함하는데, 이들 플러그 각각은 열교환기(6)의 입구 단부(15)와 출구 단부(14)를 각각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 플러그(34, 35)는 열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히, 플러그(34, 35)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 열교환기(6)의 단부(15, 16)가 열적으로 절연되고 또한 단부(15, 16)의 영역에서 열 손실이 일어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열교환기(6)는 유량 센서(36)를 포함하는데, 이 유량 센서는 열교환기(6) 안으로 유입하는 액체(L)의 유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유량 센서(36)는 액체(L)의 이송 방향(v)을 따라 공급부(2)와 입구(13) 사이에 위치된다. 유량 센서(36)는 알려져 있는 센서이고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유리하게는, 열교환기(6)는 압력 센서(37)를 포함하고, 이 압력 센서는 유동 회로(12) 밖으로 흐르는 액체의 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따르면, 압력 센서(37)는 배출부(28)의 영역에서 액체(L)의 압력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열교환기(6)는 제어부(38)를 포함하는데, 이 제어부는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유량 센서(36), 입구 센서(32), 출구 헨서(33) 및 압력 센서(37)에 연결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입구 저항(24)은 대략 700 와트의 파워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입구 저항(24)은 출구 저항(25) 보다 3배 또는 4배 더 크다.
유리하게는,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은, 코어(8)의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라 가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변적인 파워를 갖는다. 특히,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은 액체(L)의 이송 방향(v)을 따라 감소하는 파워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제어부(38)는 유량 센서(36)로 검출된 액체(L)의 유량에 근거하여 입구 저항(24) 및/또는 출구 저항(25)의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량에 근거하는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분배 모드에 영향을 준다.
도 3은 기계(1)의 분배 어셈블리(3)를 상세히 나타낸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분배 헤드(7B) 및 가열부(8B)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가열부(8B)는 전기 저항(8Ba)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7에 따르면, 분배 헤드(7B)는 상측 필터 캐리어(9B)를 포함하고, 이 필터 캐리어는 하측 필터 캐리어(10B)와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하측 필터 캐리어는 알려져 있고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하측 필터 캐리어(10B)는 하측 팰터(11B)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려내기 챔버(4)는 하부측에서 하측 필터(11B)에 의해 한정된다. 도면에 따르면, 하측 필터 캐리어(10B)는 축방향 대칭체이다.
유리하게는, 배출 헤드(7B), 특히 상측 필터 캐리어(9B)는, 실질적으로 하측 필터 캐리어(10B)의 주변에 대응하는 원형 주변을 갖는다.
이하, "상측" 및 "하측" 이라는 용어는, 액체(L)가 분배 어셈블리(3) 밖으로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된다.
유리하게는, 가열부, 특히 저항(8Ba)은 분배 헤드(7B), 특히 상측 필터 캐리어(9B)의 전체 원형 주변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 전체 분배 헤드(7B)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외측에서 실질적으로 상측 필터 캐리어(9B)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저항(8B)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으로 인해, 특히 액체(L)의 흐름의 영향을 받는 영역에서 분배 헤드(7B)의 온도는 원하는 온도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리하여, 교환기(6B) 밖으로 흐르는 액체(L)가 차가워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분배 헤드(7B)의 가열부(8B), 특히 저항(8Ba)은 음료(B)의 감각 수용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분배 헤드(7B)는 분배 도관(12B)을 갖는데, 이 도관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가열 시스템에 연결되고 또한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분배될 고온 액체(L)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분배 헤드(7B)는, 분배 도관이 이어져 있는 합류 영역 또는 챔버(13B), 및 복수의 배분 도관(14B)을 가지며, 이 배분 도관은 합류 영역 또는 챔버(13B)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액체(L)를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배분 도관은 합류 영역 또는 챔버(13B) 주위에 방사상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분 도관(14B)은 합류 영역 또는 챔버(13B) 주위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고, 액체(L)를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균일하게 주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상측 필터 캐리어(9B)는 지지체(15B), 폐쇄체(16B) 및 샤워 헤드(17B)를 포함한다. 지지체(15B)는 폐쇄체(16B)와 샤워 헤드(17B) 사이에 위치된다. 샤워 헤드(17B)는 하부측에서 지지체(15B)로부터 돌출해 있다.
유리하게는, 샤워 헤드(17B)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 및 길이 방향 축선을 갖는다. 샤워 헤드(17B)는 사용시 하측 팰터(11B) 안에 배치되고 또한 상부측에서 우려내기 챔버(4)를 한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바람직하게는, 샤워 헤드(17B)는 배분기(18B), 케이싱(19B) 및 상측 필터(20B)를 포함한다. 아래레서 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워 헤드(17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측 필터 캐리어(10B) 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샤워 헤드(17B)는 하측 필터(11B)에 대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도 1에 따르면, 샤워 헤드(17B)는 축방향 대칭형이다.
도 3 내지 7에 따르면, 배분기(18B)는 특히 상측 벽(21B), 하측 벽(22B) 및 측벽(23B)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배분기(18B)는, 100B W/(mK) 이상인 열전도 계수(k)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배분기(18B)는 황동으로 만들어진다. 케이싱(19B)은 관형체이다. 특히, 케이싱(19B)은 환형 단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 단부에서 상측 표면(24B)과 하측 표면(25B)으로 한정되며, 반경 방향으로는 내측 표면(26B)과 외측 표면(27B)으로 한정된다. 케이싱(19B)의 치수는 내부에서 배분기(18B)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싱(19B)은 100B W/(mK) 이상인 열전도 계수(k)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컨대, 케이싱(19B)은 황동으로 만들어진다.
케이싱(19B)은 내측 공동부(29B)를 갖는다. 배분기는 케이싱(19B)의 내측 공동부(29B) 안에 삽입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9B) 및 배분기(18B)는 하부측에서 지지체(15B)로부터 돌출한다. 다시 말해, 배분기(18B)의 상측 벽(21B) 및 케이싱(19B)의 상측 표면(24B)은 지지체(15B)와 접촉한다. 유리하게는, 지지체(15N)와 배분기(18B) 및 케이싱(19B) 사이의 큰 접촉 면적으로 인해, 열이 더 잘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온도가 더 균일하게 되고 또한 미리 정해진 온도로 더 쉽게 유지될 수 있다.
도 3 내지 7에 따르면, 상측 필터(20B)는 하측 표면(25B)에 가깝게 케이싱(19B)에 연결되어 있어, 케이싱(19B)과 함께, 배분기(18B)를 수용하는 컵형체(28B)를 형성하게 된다. 상측 필터(20B)는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예컨대 접착 및/또는 용접 및/또는 상호 맞물림 및/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케이싱(19B)에 연결된다. 유리하게는, 상측 필터(20B)(알려져 있고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음)는 십분의 수 밀리미터 범위의 치수를 갖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이들 구멍은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도 3 내지 7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합류 챔버(13B)는 배분기(18B)와 지지체(15B) 사이에 만들어진다.
유리하게는, 배분 도관(14B)은 배분기(18B)에서 얻어진다. 특히, 배분 도관(14B)은 반경 방향 도관이고, 이 도관들은 길이 방향 축선(AA)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특히, 도관은 상측 벽(21B) 가까이에서 얻어지고 지지체(15B)와 대향한다. 이렇게 해서, 지지체(15B)와 배분기(18B) 사이의 열교환이 최적화되어, 배분 도관(14B)과 지지체(15B) 사이의 온도가 가능한 한 균일하게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배분기(18B)는 틈새를 가지고 케이싱(19B) 안으로 삽입된다. 다시 말해, 배분기(18B)의 측벽(23B)과 케이싱(19B)의 내측 표면(26B) 사이에 작은 통로 영역이 있다. 다시 말해, 배분기(18B)와 케이싱(19B)의 내측 표면(26B) 사이에는 작은 관(30B)이 있다.
유리하게는, 관(30B)은 배분기(18B)와 동심인 원형 왕관의 형상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관(30B)의 두께는 액체(L)의 유동 방향으로 가변적인데, 특히 감소한다. 관(30B)의 두께는 대략 1/10 mm 이다.
유리하게는, 샤워 헤드(17B)는 분배 챔버((31B)를 가지며, 이 분배 챔버는 액체(L)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측 필터(20B)의 상류에 배치된다. 특히, 관(30B)은 분배 챔버(31B) 안으로 이어져 있다. 분배 챔버(31B)는 각 배분 도관과 상측 필터(20B) 사이에 위치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싱(19B)은 유동 전환기(31B)를 가지며, 이 유동 전환기는 내측 공동부(29B) 안으로 돌출해 있고, 관(30B)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유동을 길이 방향 축선 쪽으로, 즉 내측 공동부(29B)의 중심 쪽으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따르면, 유동 전환기(31B)는 길이 방향 축선에 대한 경사 벽(33B)을 포함하고, 이 경사 벽은 케이싱(19B)의 내측 표면(26B)으로부터 내측 공동부(29B) 안으로 돌출해 있다. 경사 벽(33B)은 실질적으로 하측 표면(25B)의 영역에 배치된다. 도 4에 따르면, 경사 벽(33B)은 길이 방향 축선(A)을 따라 배분기(18B)와 상측 필터(20B) 사이에 위치된다.
도 4에 따르면, 경사 벽(33B)은 환형 접촉부(34B)를 형성하는데, 이 접촉부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 공동부(29B) 안으로 돌출해 있다. 상측 필터(20B)는 내측 공동부(29B) 안으로 삽입되어 환형 접촉부(34B)에 부딪힌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챔버(31B)는 옆에서 케이싱(19B)의 경사 벽(33B)에 의해 한정되고, 길이 방향 축선을 따라서는 배분기(18B)의 하측 벽(22B) 및 상측 필터(20B)에 의해 한정된다.
합류 챔버(13B), 배분 도관(14B), 관(30B) 및 분배 챔버(31B)는 액체의 이송 방향으로 액체(L)에 대한 증가하는 통로 단면을 갖도록 크기 결정된다. 다시 말해, 배분 도관(14B)의 통로 단면의 합은 분배 도관(12B)의 통로 단면과 같거나 크다. 유사하게, 관(30B)(배분기(18B)의 전체 원주 주위에 연장되어 있음)의 통로 단면은 배분 도관(14B)의 통로 단면의 합 보다 크다. 마지막으로, 분배 챔버(31B)의 입구 단면은 관(30B)의 단면과 같거나 크다. 그러므로, 액체(L)는 샤워 헤드(17B)를 관류할 때 그의 내압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또한, 그렇게 해서, 액체(L)와 샤워 헤드(17B)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최대화할 수 있으며, 그래서, 액체(L)와 샤워 헤드(17B) 사이의 열교환이 최대화된다. 이렇게 해서, 분배 헤드(7B)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온도의 최대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액체(L)는 원하는 온도에서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분배 챔버(31B) 및 유동 전환기(31B)의 존재로 인해, 액체(L)는 분배 챔버(31B)에서 고르게 배분될 수 있어, 액체(L)가 상측 필터(20B)를 통해 균일하게 여과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배 챔버(31B) 덕분에, 분배 어셈블리(3)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균일한 여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샤워 헤드(17B)는 예컨대 풀림 가능한 수단(예컨대, 스크류)과 같은 공지된 연결 수단에 의해 지지체(15B)에 연결된다. 도 5에 따르면, 샤워 헤드(17B)는 분배기(18B)와 케이싱(19B) 사이의 기하학적 연결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어, 배분기(18B)와 케이싱(19B) 사이의 형상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분배 헤드(7B)는 샤워 헤드(17B)의 정확한 조립을 보장하도록, 특히 배분기(18B)와 케이싱(19B) 사이의 정확한 상호 위치 설정을 보장하도록 중심 맞춤 요소(35B)를 포함한다.
도 4에 따르면, 지지체(15B)는 오목부를 가지며, 이 오목부는 케이싱(19B)을 위치시키고 또한 환형 가스켓(37B)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환형 가스켓은 케이싱(19B) 주위에 설치되고 케이싱(19B)과 지지체(15B) 사이에 배치되어, 액체(L)가 사용 중에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가스켓(38B)을 포함하고, 이 가스켓은 지지체(15B)와 폐쇄체(16B) 사이에 위치되어, 분배 도관(12B)을 둘러싸고 액체(L)가 사용 중에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온도 센서(39B)를 포함하고, 이 온도 센서는 분배 어셈블리(3)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39B)는 지지체(15B)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 축선(A)을 따라 배분기(18B)의 측벽(23B)과 케이싱(19B)의 내측 표면(26B) 사이의 접촉 영역과 정렬되는데, 이 위치에서 검출된 온도가 분배 어셈블리(3)의 가장 대표적인 샘플이기 때문이다.
도 6 및 7에서, 참조 번호 3'는 전체적으로 분배 어셈블리(3)의 일 변형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분배 어셈블리(3)에도 존재하는 분배 어셈블리(3')의 구성품이 이하 그리고 도 6 및 7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해서, 분배 어셈블리(3')는 전술한 분배 어셈블리(3)의 구성품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점에서 분배 어셈블리(3)와 다르다.
특히, 분배 어셈블리(3')는 분배 어셈블리(3)의 배분 도관(14B) 대신에 배분 챔버(114B) 및 관(30B) 대신에 연결 도관(130B)을 가지고 있다. 도 7에 따르면, 배분기(18B)와 케이싱(19B)은 단일체로 제조된다.
도 7에 따르면, 합류 챔버(13B)는 배분 챔버(114B)의 내부와 직접 대향한다. 배분 챔버(114B)는 평면도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배분기(18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배분 챔버(114B)의 높이는 축선(A)을 따라 배분기(18B)와 지지체(15B)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하나 이상의 연결 도관(130B)을 가지며, 이들 연결 도관은 배분 챔버(114B)를 분배 챔버(31B)에 연결한다. 도 7에 따르면, 분배 어셈블리(3')는 복수의 연결 도관(130B)을 가지며, 이들 연결 도관은 배분 챔버(114B)의 주변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도 7에 따르면, 분배 어셈블리(3')는 유동 전환기(32B)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 변형예(여기에 나타나 있지 않음)에 따르면, 분배 어셈블리(3')는 유동 전환기(32B)를 또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측 필터(20B)를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분배 어셈블리(3')는 하나 이상의 자석(41B)을 포함하는데, 이 자석은 상측 필터(20B)를 케이싱(19B)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따르면, 케이싱(19B)은 3개의 공동부(42B)를 가지며, 각 공동부(42B)는 내부에서 각각의 자석(41B)을 수용한다. 각 자석(41B)은 사용시 상측 필터(20B)가 케이싱(19B)에 부착되어 유지되게 해준다. 도 6에 따르면, 자석(41B)은 배분기(18B) 주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다.
상측 필터(20B)를 케이싱(19B)에 고정하는 자석(41B)의 존재로 인해 사용자가 상측 필터(20B)를 설치하고 제거하는 것이 더 쉽게 된다. 사실, 사용자는 예컨대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케이싱(19B)과 상측 필터(20B) 사이에 힘을 간단히 가하여 필터(20B)를 제거할 수 있다. 이리하여, 상측 필터가 높은 온도에 도달하고(보통 대략 90°) 또한 맨손으로는 만질 수 없을 때에도 사용자가 상측 필터(20B)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측 필터(20B)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자는 상측 필터를 우측 위치에 놓기만 하면 되고, 그래서 자석(41B)이 작용하여 그 상측 필터를 케이싱(19B)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러므로, 상측 필터(20B)가 더 용이하게 제거되고 설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상측 필터(20B)를 자주 또한 쉽게 세척할 수 있고, 그래서 음료(B)의 더 좋은 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필터(20B)의 빈번한 세척으로, 기계(1)의 청결도가 더 크게 되고, 또한 상측 필터(20B)에 모여 잠재적으로 발암성이 있는 연소된 커피 입자가 제거된다.
일 변형예(여기서는 나타나 있지 않음)에 따르면, 분배 어셈블리(3)는 상측 필터(20B)를 위한 고정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 고정 시스템은 분배 어셈블리(3')에 대해 나타나 있는 것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 일 변형예(여기서는 나타나 있지 않음)에 따르면, 분배 어셈블리(3)는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상측 필터(20B)를 케이싱(19B)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자석(41B)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기계(1)는 제어부(38)를 포함하고, 이 제어부는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가열부(8B) 및 분배 어셈블리(3, 3')의 온도 센서(39B)에 연결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제어부(38)는 온도 센서(39B)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근거하여 가열부(8B)의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부(38)는, 검출된 온도가 원하는 온도 보다 낮으면 가열부(8B)의 파워를 증가시키고 또한 반대로 검출된 온도가 원하는 온도 보다 높으면 파워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에 의해, 전술한 분배 어셈블리(3, 3')는 우려내기 챔버(4)가 최적의 원하는 온도의 액체(L)를 받을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전술한 분배 어셈블리(3, 3')는, 가열 시스템에서 나오는 액체(L)의 온도가 표준 값 보다 낮은 경우에도 분배된 액체(L)의 온도의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분배 어셈블리(3, 3') 내부에 있는 특수한 도관 시스템은, 액체(L)가 상측 필터(20B)를 통과해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분배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분배 어셈블리(3, 3')의 특수한 도관 시스템은 가열부(8B)와의 열교환이 최대화되게 해준다.
또한, 분배 어셈블리(3, 3')의 특수한 도관 시스템에 의해, 사용자는 액체가 샤워 헤드(17B)를 관류할 때 그 액체(L)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없다. 그렇게 해서, 사용자는 상측 필터(20B)에서 나와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유입하는 액체(L)를 위한 선호되는 도관 또는 채널의 형성을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우려내기 챔버(4)를 관류하는 액체(L)는 균일하여, 우려내기 챔버(4)로부터 유출하는 음료(B)의 품질 및 감각 수용 특성을 최대화한다.
사용시, 음료(B), 특히 커피를 만들기 위한 액체(L), 특히 물은, 계절에 따라 대략 15 - 30¢, 보통 19℃ 내지 22℃의 실온에 대응하는 초기 온도로 공급부로부터 유령 센서(36)를 통해 열교환기(6)에 보내진다. 유량 센서(36)는 열교환기(6) 안으로 흐르는 액체(L)의 유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타를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제어부(38)와 교환한다.
액체(L)는 코어(8)의 도입부(27)를 통해 열교환기(6)의 유동 도관(12) 안으로 공급된다. 그런 다음, 액체(L)는 전체 유동 도관(12)을 따라 도입부(27)에서부터 배출부(28)로 흐른다. 액체가 유동 도관(12)을 관류함에 따라, 액체(L)는 주로 전도적인 방식으로 열을 코어(8)와 교환하고 가열된다. 예컨대, 열교환기(6) 밖으로 흐르는 액체(L)는 90℃ 내지 96℃의 온도를 가지며, 커피의 감각 수용 특성 및 품질이 최적화된다.
압력 센서(37)는 열교환기(6)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압력을 검출한다.
입구 센서(32) 및 출구 센서(33)는 입구(13) 및 출구(14) 가까이에서 코어(8)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어부(38)는 입구 센서(32), 출구 센서(33) 및/또는 유량 센서(36)로부터 얻어진 데이타에 근거하여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의 작동을 조절한다.
유리하게는, 열교환기(6)의 입구 저항(24)은 입구 단부(13)의 영역에서 코어(8)를 최대 파워로 가열하도록 작동된다.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은 입구(13)로부터 출구(14)까지 코어(8)의 축선을 따라 특히 감소하는 파워로 조절되어, 출구 단부(16) 가까이에서 최소 파워로 코어(8)의 출구부(19)를 가열한다.
액체(L)가 열교환기(6) 내부에서 흐르면서 입구부(18)를 통과할 때 그 액체의 온도가 증가된다. 특히, 액체(L)는 초기 온도에서 대략 82 - 88℃의 중간 온도로 된다. 이는 입구부(18)에 있는 입구 부분(30)을 액체가 관류할 때 액체(L)의 온도가 대략 60 - 70℃ 만큼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코어(8)의 입구부(18)는 액체(L)가 상기 온도에 도달되게 하는데에 적합하다.
한편, 액체(L)가 출구부(19)에 있는 출구 부분(31)을 관류할 때 그 액체는 대략 5 - 10℃의 범위에서 몇도 만큼 가열되어, 액체(L)의 온도가 원하는 최종 온도에서 안정화된다.
다시 말해, 열교환기(6)의 출구부(19)는, 열교환기(6)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
유리하게는, 코어(8)의 출구부(19)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코어(8)의 출구부(19)에 의해,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안정적이고 원하는 온도와 같은 출구(14)의 액체(L)의 최종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열교환기(6)의 출구(14) 밖으로 흐르는 액체(L)의 최종 온도에 도달하는 정밀도는 코어(8)의 출구부(19)의 존재 때문에 실질적으로 1℃ 아래로 유지된다.
유리하게는, 입구 센서(32) 및 출구 센서(33)는 제어부(38)에 연결되고, 이 제어부는 입구 저항(13) 및 출구 저항(14)의 가열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구 센서(32) 및 출구 센서(33)는 코어(8)의 입구부(18)와 출구부(14)의 온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는 실질적으로 열교환기(6)를 관류하는 액체(L)의 속도와 온도에 달려 있다. 입구 센서(32)와 출구 센서(33)로 검출된 온도 값이 설정된 기준 값과 다른 경우에, 제어부(38)는 입구 저항(24) 및 출구 저항(25)에 작용하여, 이들 저항의 작동을 변화시킨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대략 80 내지 350 cc/min일 수 있는 음료를 만들기 위한 액체(L)의 속도에서 복수의 연속적인 분배 과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전통적인 보일러에 비해 작다는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홈(10)의 도입부(27)를 전통적인 물 네트워크에 직접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이점을 가지며, 다시 말해, 전술한 열교환기(6)는 액체(L)를 위한 공급 탱크의 존재를 없애고 그래서 음료를 만들기 위한 기계(1)가 차지하는 공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열교환기(6)는 흐르는 액체를 사용하는 이점을 가지며, 그래서, 기계(1)는, 공지된 기계의 탱크에서 생기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액체(L)가 정체되는 영역, 즉 물이 고여 있는 영역을 갖지 않는다. 이렇게 해서, 기계(1)는 액체(L)의 정체로 인해 내부 부품에서 박테리아가 성장하는 위험이 없는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열교환기(6)에 의해, 기계(1)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시작하는 제 1 분배 사이클 동안에 사용자는 기계(1)를 온시킨 후에 5분 내에 그리고 온도에 도달함에 있어 대략 1℃의 정밀도로 92℃의 평균 온도를 갖는 음료를 만들기 위한 양의 액체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매우 짧은 시간에, 즉 몇 분 내에, 분배된 액체(L)의 최종 온도를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하는 이점을 가지며, 전기 에너지의 소비는 각 단일 커피의 제조에 제한된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연속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항상 만들어진 각 커피의 최적의 품질을 보장해주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공지된 시스템과 비교하여 전술한 열교환기(6)는, 많은 또는 몇 개의 커피를 제조하는 경우 우려내기 물의 온도가 갑자기 변하는 단점이 없다.
전술한 열교환기(6)는, 작은 치수 및 감소된 중량 때문에, 단일의 각각의 분배 어셈블리(3)에 직접 연결되어 공급부를 형성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래서, 음료를 만들기 위한 기계(1)는 모듈형일 수 있고 복수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공급부들은 서로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그래서 바(bar)의 특정 필요에 따라 그 바의 상이한 장소에 위치될 수 있다.
Claims (37)
- 음료(B),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기계(1)를 위한 열교환기로서, 음료(B)를 만들기 위한 액체(L)를 위한 유동 도관(12) 및 가열 시스템(7)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 시스템은 상기 유동 도관(12)의 입구 부분(30)을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 범위 내로 가열 및 유지하고 또한 상기 유동 도관(12)의 출구 부분(31)을 미리 정해진 제 2 온도 범위 내로 가열 및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시스템(7)은, 상기 유동 도관(12)의 입구 부분(30)이 있는 열교환기(6)의 입구부(18)를 가열하는 입구 저항 수단(24), 및 유동 도관(12)의 출구 부분(31)이 있는 열교환기(6)의 출구부(19)를 가열하는 출구 저항 수단(25)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저항 수단(24) 및/또는 출구 저항 수단(19)은 가변적인 파워를 가지고 있어 가열 온도를 저항 수단의 길이 방향 연장을 따라 조절하는, 열교환기.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저항 수단(24) 및 출구 저항 수단(25)은 상기 유동 도관(12) 내의 액체(L)의 이송 방향(v)으로 감소하는 파워로 조절되는, 열교환기.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저항 수단(24)은 액체(L)를 대략 60 - 70℃ 만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출구 저항 수단(25)은 액체(L)를 대략 5 - 10℃ 만큼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8) 및 외측 몸체(9)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는, 길이 방향 축선(X)을 가지며, 또한 상기 가열 시스템(7), 특히 입구 저항 수단(24)과 출구 저항 수단(25) 주위에 있는 내축 공동부(17)를 가지며, 외측 본체(9)는 상기 코어(8) 주위에 설치되고, 코어(8)는 외측 몸체(9)와 대향하는 외측 표면에서 홈(10)을 가지며, 상기 열교환기(6)는 탄성적인 열절연 커버(11)를 포함하고, 커버는 코어(8)와 외측 몸체(9)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홈(10) 및 커버(11)는 측방에서 상기 유동 도관(12)을 한정하는, 열교환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는 코어(8)의 전체 외측 표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열교환기.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시스템(7), 코어(8), 커버(11) 및 외측 본체(9)는 길이 방향 축선(X)에 대해 원추형이고 서로 동축인, 열교환기. -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10)은 나선형인, 열교환기. -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1)는 식품 산업에서 음식과 접촉하여 사용될 수 있는 제품으로 만들어지고, 특히 상기 커버는 식품 안전 실리콘으로 만들어져 있는, 열교환기. -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8)의 상기 내측 공동부(17) 내에 배치되는 열절연 수단(26)을 포함하고, 상기 열절연 수단(26)은 상기 길이 방향 축선(X)을 따라 상기 입구 저항 수단(24)과 출구 저항 수단(25) 사이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8)는 외측 표면에서 환형 공동부(20)를 가지며, 환형 공동부는 코어(8)의 본체를 따라 상기 유동 도관(12)의 입구부(18)와 각각의 입구 부분(30)을 출구부(19)와 각각의 출구 부분(31)으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18)의 적어도 일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 1 온도 센서(32) 및 상기 제 2 부분(19)의 적어도 일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제 2 온도 센서(33)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32; 33)는 유동 도관(12)으로부터 절연되고, 특히 상기 코어(8)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38), 액체(L)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검출 수단(36), 및 액체(L)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 검출 수단(36), 압력 검출 수단(37), 제 1 온도 센서(32) 및 제 2 온도 센서(33)는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와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38)는 입구 저항 수단(24) 및/또는 출구 저항 수단(25)의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열교환기. - 음료(B)를 만드는 기계(1)를 위한 분배 어셈블리로서, 가열부(8B; 8Ba) 및 샤워 헤드(17B)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 헤드는 사용시 음료(B)를 만드는 기계(1)의 우려내기 챔버(4) 안으로 액체(L)를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열부(8B; 8Ba)는 상기 샤워 헤드(17B)를 미리 정해진 온도로 가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8B; 8Ba)는 전기 저항(8Ba)이고, 전기 저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샤워 헤드(17B)의 주변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6 항에 있어서,
지지체(15B)를 포함하고, 상기 샤워 헤드(17B)는 상기 지지체(15B)로부터 돌출해 있고, 상기 전기 저항(8Ba)은 지지체(15B)에 장착되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우려내기 액체(L)가 유입하는 합류 챔버(13B), 및 우려내기 챔버(4)에 상기 액체(L)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 챔버(31B)를 포함하고, 상기 합류 챔버(13B)는 액체(L)의 이송 방향을 따라 분배 챔버(31B)의 상류에 있고, 상기 분배 어셈블리(3)는, 상기 합류 챔버(13B)와 분배 챔버(31B) 사이에 위치하는 배분기(18B)를 포함하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분기(18B)는 복수의 도관(14B; 130B)을 포함하고, 이들 도관은 상기 합류 챔버(13B)에 직접 또는 배분 챔버(114B)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도관(14B; 130B)은 합류 챔버(13B)와 분배 챔버(31B) 사이에 유체 연통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9 항에 있어서,
내측 공동부(29B)를 갖는 케이싱(19B)을 포함하고, 상기 배분기(18B)는 케이싱(19B)의 상기 공동부(29B) 안으로 삽입되고, 배분기(18B)와 케이싱(19B) 사이에 관(30B)이 있고, 각 배분 도관(14B)은 상기 관(30B) 안으로 이어져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관(30B)의 통로 단면은 모든 배분 도관(14B)의 통로 단면의 합과 같거나 큰, 분배 어셈블리. -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관(30B)은 분배 챔버(31B) 안으로 이어져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관(30B)과 우려내기 챔버(4) 사이에 위치되는 유동 전환기(31B)를 포함하고, 유동 전환기(31B)는 액체(L)를 상기 분배 챔버(31B)의 중심부 쪽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5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측 필터는 강자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분배 어셈블리(3; 3')는 하나 이상의 자석(41B)을 포함하고, 자석은 상측 필터(20B)를 케이싱(19B)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39B)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온도 센서(39B)는 특히 상기 관(30B)의 영역에서 배분기(18B)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분배 어셈블리. - 음료,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기계로서, 액체(L), 특히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 우려내기 챔버(4), 및 상기 공급부(2)를 상기 우려내기 챔버(4)에 연결하는 우려내기 회로(5)를 포함하고, 상기 기계(1)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교환기(6)를 포함하는, 음료를 만드는 기계.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려내기 회로(5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배 어셈블리(3) 내부에 있고, 상기 기계(1)는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배 어셈블리(3)를 포함하는, 음료를 만드는 기계. - 제 27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39B)와 가열부(8B)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부(38)를 포함하고, 제어부(38)는 상기 온도 센서(39B)로 검출된 온도에 따라 상기 가열부(8B)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료를 만드는 기계. - 액체(L), 특히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 우려내기 챔버(4), 및 상기 공급부(2)를 상기 우려내기 챔버(4)에 연결하는 우려내기 회로(5)를 포함하는 기계를 이용하여, 음료(B),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상기 우려내기 회로(5)는, 음료(B)를 만들기 위한 액체(L)를 위한 유동 도관(12) 및 가열 시스템(7)을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교환기(6)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공급부(2)에 의해 액체(L)를 우려내기 회로(4)에 공급하는 단계;
액체(L)를 가열하는 단계; 및
음료(B)를 만들기 위해 액체(L)를 우려내기 챔버(5) 안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L)를 가열하는 단계는,
유동 도관(12)의 입구에서 상기 액체(L)를 열교환기(6)에 공급하는 하위 단계;
액체가 유동 도관(12)의 입구 부분(30)을 따라 흐를 때 액체(L)를 미리 정해진 제 1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는 하위 단계; 및
액체가 유동 도관(12)의 출구 부분(31)을 따라 흐를 때 액체(L)를 미리 정해진 제 2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L)는, 상기 입구 부분(30)을 따라 흐름에 따라, 입구부(18)에서 대략 60 - 70℃ 만큼 가열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L)는, 상기 출구 부분(31)을 따라 흐름에 따라, 출구부(19)에서 대략 5 - 10℃ 만큼 가열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L)는, 상기 입구 부분(30)을 따라 흐름에 따라, 실온으로부터 원하는 최종 온도에 가까운 중간 온도로 되며, 액체(L)는, 상기 출구 부분(31)을 따라 흐름에 따라, 상기 중간 온도로부터 원하는 최종 온도로 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도관(12)의 입구 부분(30)은 가변적인 파워를 갖는 입구 저항 수단(24)으로 가열되고, 입구 저항 수단(24)은, 액체(L)와 입구부(18) 사이의 열 강하가 유동 도관(12)의 입구(13) 영역에서 최대가 되도록 조절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도관(12)의 출구 부분(31)이 있는 출구부(19)는 출구 저항 수단(15)으로 가열되고, 출구 저항 수단(25)의 가열 파워는 일정하여, 액체(L)에 대해 요망되는 최종 온도와 실질적으로 같은 온도로 출구부(19)를 가열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제어부(38), 유동 도관(12) 안으로 유입하는 액체(L)의 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량 검출 수단(36), 및 유동 도관(12) 밖으로 유출하는 액체(L)의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압력 검출 수단(37)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 검출 수단(36) 및 압력 검출 수단(37)은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와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어부(38)는 입구 저항 수단(24) 및 출구 저항 수단(25)의 작동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가열 단계 중에 입구 저항 수단(24) 및/또는 출구 저항 수단(25)의 작동 파워를 상기 유량 검출 수단(36)으로 검출된 데이타에 근거하여 조절하는 하위 단계를 포함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1)는 제어부(38)와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32, 3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32)는 입구부(18)의 적어도 일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제 2 온도 센서(33)는 출구부(19)의 적어도 일부분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32, 33)는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제어부와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38)는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온도 센서(32; 33)와 교환되는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입구 저항 수단(24) 및 출구 저항 수단(25)의 작동 파워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 제 29 항 내지 제 3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액체(L), 특히 물을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2B), 우려내기 챔버(4), 및 상기 공급부(2B)를 상기 우려내기 챔버(4)에 연결하는 우려내기 회로(5B)를 포함하는, 음료(B), 특히 커피 또는 차와 같은 우려낸 액체를 만드는 기계를 이용하고, 상기 우려내기 회로(5B)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분배 어셈블리(3) 내부에 있고, 분배 어셈블리(3)에서 나오는 액체(L)의 원하는 온도에 근거하여 분배 어셈블리(3)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는, 음료를 만드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IT102015000064838 | 2015-10-23 | ||
ITUB20155255 | 2015-10-23 | ||
ITUA2016A001425A ITUA20161425A1 (it) | 2015-10-23 | 2016-03-07 | Metodo, macchina e gruppo erogator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ITUA2016A001428A ITUA20161428A1 (it) | 2015-10-23 | 2016-03-07 | Metodo e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
IT102016000023723 | 2016-03-07 | ||
IT102016000023701 | 2016-03-07 | ||
PCT/IB2016/056378 WO2017068556A2 (en) | 2015-10-23 | 2016-10-24 | Method and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0689A true KR20180070689A (ko) | 2018-06-26 |
Family
ID=57570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14550A KR20180070689A (ko) | 2015-10-23 | 2016-10-24 | 음료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3364836B1 (ko) |
JP (1) | JP6891184B2 (ko) |
KR (1) | KR20180070689A (ko) |
CN (1) | CN108366695B (ko) |
WO (1) | WO2017068556A2 (ko)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K1380243T3 (da) * | 2002-07-12 | 2008-08-25 | Nestec Sa | Indretning til opvarmning af en væske |
AU2004316091A1 (en) * | 2004-02-25 | 2005-09-01 | Gaggia S.P.A. | A coffee making machine |
JP4293081B2 (ja) * | 2004-07-23 | 2009-07-0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流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各種の洗浄装置 |
EP1634520A1 (fr) * | 2004-09-13 | 2006-03-15 | Nestec S.A. | Dispositif de chauffage d'un liquide et procede pour chauffer un liquide |
US7401545B2 (en) * | 2004-11-09 | 2008-07-22 | Nestec S.A. |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variable liquid temperatures |
JP2006263028A (ja) * | 2005-03-23 | 2006-10-05 | Psi:Kk | エスプレッソコーヒーマシーン |
EP1886605A1 (en) * | 2006-08-08 | 2008-02-13 | CME di Faccinti A. |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coffee and the like |
JP2009041794A (ja) * | 2007-08-06 | 2009-02-26 | Olympus Corp | 液体加温装置とそのチューブ部材装着方法 |
JP5724506B2 (ja) * | 2010-03-31 | 2015-05-27 | Toto株式会社 |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ITFI20100112A1 (it) * | 2010-05-21 | 2011-11-22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dispositivo per il riscaldamento di acqua e la produzione di vapore" |
-
2016
- 2016-10-24 KR KR1020187014550A patent/KR201800706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10-24 JP JP2018540236A patent/JP6891184B2/ja active Active
- 2016-10-24 EP EP16812828.8A patent/EP3364836B1/en active Active
- 2016-10-24 CN CN201680072595.9A patent/CN10836669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10-24 WO PCT/IB2016/056378 patent/WO2017068556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364836B1 (en) | 2019-12-04 |
WO2017068556A3 (en) | 2017-05-26 |
CN108366695B (zh) | 2020-08-25 |
JP6891184B2 (ja) | 2021-06-18 |
WO2017068556A2 (en) | 2017-04-27 |
JP2018531139A (ja) | 2018-10-25 |
EP3364836A2 (en) | 2018-08-29 |
CN108366695A (zh) | 2018-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6868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in a machine for making and dispensing drinks | |
US6305923B1 (en) | Molding system using film heaters and/or sensors | |
KR102326399B1 (ko) | 음료 제조 및 배출 장치 | |
US20110041705A1 (en) | Compact spiral-throughflow heating unit which can operate at high pressures | |
CN104883939A (zh) | 用于饮料制备机器的煮器 | |
JP2005319461A (ja) | 液体材料吐出装置のための統合されたマニホールド | |
JP2009534211A (ja) | ホットランナノズル | |
US20110217027A1 (en) | Insert for a flow through heater | |
KR20180070689A (ko) | 음료를 만드는 방법 및 기계 | |
US10986956B2 (en) | Method and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
JP2018531139A6 (ja) | 飲料を調製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械 | |
JP2018531139A5 (ko) | ||
EP3271663B1 (en) | Heat exchange device with ring shaped thin slit section for use in liquid adhesiv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 |
CN102341659B (zh) | 用于连续产生热水的加热元件 | |
CN209996048U (zh) | 一种加热杯体 | |
EP3223670B1 (en) | An apparatus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 |
US20170014855A1 (en) | Stacked hot melt reservoir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 |
JP2008145091A (ja) | 電気瞬間湯沸かし装置 | |
CN116058693A (zh) | 一种食品加工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