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034145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145A
KR20180034145A KR1020160124295A KR20160124295A KR20180034145A KR 20180034145 A KR20180034145 A KR 20180034145A KR 1020160124295 A KR1020160124295 A KR 1020160124295A KR 20160124295 A KR20160124295 A KR 20160124295A KR 20180034145 A KR20180034145 A KR 2018003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bble
air
water
air supply
dis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전자
Priority to KR102016012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4145A/ko
Priority to CN201710236027.4A priority patent/CN107869024A/zh
Priority to US15/581,561 priority patent/US1038549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2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4Surface aer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는 급기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저장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용해부와,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용해된 물이 통과하며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 또는 헹굼시 버블을 생성하여 세탁물의 세탁시 이용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 내부에 설치된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한 물과 세탁물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한다. 구체적으로, 터브 내부에 위치하는 세탁조 외주면에는 다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터브로 유입된 물이 세탁조 내부로 유입되거나 세탁조 내부의 물이 터브로 배출된다. 즉,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 행정시, 터브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라인을 통해 터브의 물이 터브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세탁조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은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터브 및 세탁조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의 회전 및 이와 세탁물의 접촉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하지만, 세탁물 표면에 잔여 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에 잔류하는 경우, 이러한 의류를 사용자가 반복 착용하면 아토피와 같은 피부염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탁수를 표면에 미소한 크기로 공급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세탁수를 미소한 크기로 생성하기 위한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펌프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및 이의 반복 사용에 따른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들이 세탁물로부터 제거되도록 버블을 공급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는 급기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저장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용해부와,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용해된 물이 통과하며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버블 유입구와 생성된 버블이 배출되는 버블 배출구를 포함하는 버블 바디, 그리고 상기 버블 바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상기 버블 배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된 버블 유로를 포함하는 버블 노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바디는, 일측에 상기 버블 유입구가 형성된 제1 바디와,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노즐은, 상기 버블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버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버블 노즐의 타측은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대향하며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블 유로와 상기 버블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노즐의 타측 내부와 상기 제2 바디 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버블 유로를 통과한 버블을 감압시키는 감압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유입구와 상기 버블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의 압력에 따라 상기 버블 유입구를 개폐하는 버블 체크밸브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해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는 용해 유입구가 형성된 용해캡과,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용해캡에 의해 커버되며 타측에 상기 버블 생성부로 공기가 용해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용해 안내구가 형성된 외부 바디와,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외부 바디의 일측에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 바디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바디, 그리고 상기 내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바디로 유입된 물이 상기 용해 유로로 넘쳐 흐르도록 안내하는 다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해 유입구와 이격되어 상기 용해캡에 형성된 연통공과, 일측에 외기가 유입되는 급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설치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용해캡에 결합되는 급기 커버, 그리고 상기 설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용해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급기공과 상기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급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해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밸브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지지공을 중심으로 상기 연통공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밸브는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급기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을 폐쇄 가능하고, 타단부의 직경이 상기 급기밸브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밸브는, 상기 급기밸브의 타단부에 상기 밸브 지지공을 향해 돌출 형성된 급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저장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용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기는 세탁물에 침투 가능한 버블을 공급하여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과 세탁물 사이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세탁물에 잔류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용해부와 버블 생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버블 생성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용해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해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급기 체브밸브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 체크밸브(340)를 포함하는 용해부(300)와 버블 생성부(400)를 포함한다.
용해부(300)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또한, 용해부(300)는 공기를 저장한다. 그리고, 용해부(300)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를 용해부(300) 내부로 충전 시키는 급기 체크밸브(3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는 저장된 공기와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혼합시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한다.
버블 생성부(400)는 용해부(300)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용해된 물이 통과하며 버블이 생성되도록 한다. 즉, 버블 생성부(400)는 용해부(300)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해 버블을 생성한다.
따라서, 버블 생성부(400)에 의해 생성된 버블을 세탁시 활용할 수 있어, 세탁물의 세탁시 세탁물의 표면에 잔여 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이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생성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바디(410)와 버블 노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버블 바디(410)는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배출구(412)를 포함할 수 있다. 버블 유입구(411)는 용해부(300)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버블 배출구(412)는 버블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버블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배출구(412)는 생성된 버블이 세탁기(101)의 터브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버블 노즐(420)는 버블 바디(4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노즐(420)에는 버블 유입구(411)로부터 버블 배출구(412)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된 버블 유로(4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버블 유입구(411)로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면 물에 용해된 공기가 탈기되며 버블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블 생성부(400)는 공기가 용해된 물이 버블 노즐(420)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를 통과시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버블 바디(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415)의 일측에는 버블 유입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416)의 일측은 제1 바디(415)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 바디(415)의 타측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416)의 일측 내주면에는 제1 바디(41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계합 가능한 나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416)의 타측에는 버블 배출구(4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배출구(412)는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415)와 타측과 제2 바디(416)의 일측 사이에 버블 노즐(4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415)의 버블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노즐(420)의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버블을 생성한 후, 생성된 버블이 제2 바디(416)의 버블 배출구(412)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버블 노즐(420)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에 이물질 등이 끼는 경우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를 분리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버블 생성부(400)의 제조시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그리고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버블 노즐(420)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노즐(42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블 노즐(420)의 일측에는 버블 유로(42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외주면은 제1 바디(415)의 내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노즐(420)의 타측은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블 노즐(420)의 타측의 외주면은 제2 바디(416)의 내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직경은 버블 노즐(420)의 직경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서오딜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415)의 일측 내주면은 제2 바디(416)의 타측 외주면과 버블 노즐(420)의 타측 외주면과 대향 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버블 노즐(420)의 타측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버블 노즐(420)의 일측에 형성된 버블 유로(421)와 제2 바디(416)의 타측에 형성된 버블 배출구(412)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생생부(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바디(415)의 타측과 버블 노즐(420)의 타측 사이에 배치된 노즐 밀봉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밀봉부재(450)는 버블 노즐(420)의 일측의 외주면과 제2 바디(416)의 내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여 발생된 버블이 제1 바디(415)와 제2 바디(416) 사이로 누기 및 누설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생생부(400)는 감압영역(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압영역(440)은 버블 노즐(420)과 버블 배출구(4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압영역(440)은 중공형으로 형성된 버블 노즐(420)의 타측 내부와 이와 대응하는 제2 바디(416)의 내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감압영역(440)은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생성된 버블이 버블 배출구(412)로 배출되기 전, 들 버블들이 모여 감압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블 생성부(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블 체크밸브(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블 체크밸브(430)는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노즐(4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블 체크밸브(430)는 버블 유입구(4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의 압력에 따라 버블 유입구(411)를 개방하여 버블 유입구(411)를 통과한 공기가 용해된 물이 버블 노즐(420)의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버블 체크밸브(430)는 버블 배출구(412)로부터 역류하여 버블 유로(421)를 통과한 유체가 버블 유입구(411)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 버블 유입구(411)를 폐쇄시켜 용해부(300)로 이러한 역류된 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버블 체크밸브(430)는 일방향으로만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유로(421)를 연통시키는 체크밸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3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캡(330)과 외부 바디(310)와 내부 바디(320) 그리고 다공부(321)를 포함할 수 있다.
용해캡(330)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도록 용해 급수구(331)가 형성된다. 또한, 용해캡(330)은 약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용해 급수구(331)는 용해캡(330)의 가장 높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바디(31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바디(310)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 바디(310)의 타측은 약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바디(310)의 단면은 약"U"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해캡(330)은 외부 바디(310)의 개방된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캡(330)과 외부 바디(310)가 구획하는 일영역에 공기를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내부 바디(320)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바디(320)의 타측은 약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바디(320)는 외부 바디(3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과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 배치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바디(320)의 일측은 외부 바디(310)의 일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바디(320)의 일측 단부는 외부 바디(310)의 개방된 일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즉, 내부 바디(320) 일측 일영역은 내부 바디(320)의 나머지 일영역 보다 확경 형성되어 외부 바디(310)의 개방된 일측에 걸림 지지될 수 있고, 내부 바디(320)의 나머지 일영역의 외주면과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 사이에 용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바디(310)의 일측은 용해캡(330)과 결합되고 또한 내부 바디(320)를 지지할 수 있다.
다공부(321)는 내부 바디(3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공부(321)는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내부 바디(320)로 유입된 물이 내부 바디(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용해 유로로 넘쳐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는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용해부(300) 내부로 공급된 물의 급수압에 의해 내부 바디(320)과 다공부(321) 그리고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혼합되어 공급된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즉, 별도의 교반장치 없이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공급된 물은 내부 바디(320)와 다공부(321) 그리고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혼합되어, 공급된 물에 효과적으로 공기가 용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 체크밸브(4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통공(332)과 급기 커버(341) 그리고 급기밸브(347)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공(332)은 용해캡(33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공(332)은 용해 유입구(331)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 커버(341)와 용해캡(330) 사이에는 급기 기밀부재(348)가 설치되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일예로, 연통공(332)이 형성된 용해캡(330)은 용해 유입구(331)가 형성된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캡(330)의 일영역이 용해 유입구(331)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돌출된 일영에 연통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 커버(341)는 일측에 급기공(340)이 형성될 수 있다. 급기공(340)은 외기가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홀일 수 있다. 또한, 급기 커버(341)의 타측에는 설치영역(343)이 형성될 수 있다. 설치영역(343)은 급기 커버(341)의 타측이 급기공(340)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즉, 설치영역(343)은 연통공(332)과 급기공(340)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기 커버(341)는 용해캡(33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 커버(341)는 연통공(332)이 형성된 용해캡(330)의 돌출된 일영역에 결합될 수 있다.
급기밸브(347)는 설치영역(34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이상인 경우,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압에 의해 급기공(340)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는,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인 경우, 용해부(30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충전되도록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이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급기밸브(347)는 별도의 전자적인 구동수단 없이 용해부(3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급기공(340)과 연통공(332)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일예로, 급기밸브(347)는 탄성소재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 체크밸브(3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지지공(3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지지공(336)은 용해캡(33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공(336)은 연통공(332)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브 지지공(336)은 급기밸브(347)를 지지할 수 있다. 즉, 급기밸브(347)는 밸브 지지공(336)과 급기공(340) 사이의 용해캡(330)과 급기 커버(341)와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연통공(332)은 밸브 지지공(336)을 중심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연통공(332)은 밸브 지지공(336)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지지공(336)의 중심 축과 급기공(342)의 중심 축은 동축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급기 커버(341)에 형성된 설치영역(343)은 복수의 연통공(332)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밸브(34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의 직경이 타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공(34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 커버(341)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급기공(340)을 개폐할 수 있다.
급기밸브(347)의 타단부는 급기밸브(347)의 일단부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의 타단부는 밸브 지지공(336)을 커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밸브(347)의 일단부는 급기공(34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밸브립(34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공(342)과 대향하는 급기밸브(347)에는 밸브돌기(346)이 형성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밸브립(344)의 경사진 일면은 복수의 연통공(332)과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용해부(300) 내부의 저장된 공기가 연통공(332)을 통해 밸브립(344)의 경사진 일면을 가압하여, 연통공(332)을 통해 용해부(300) 외부로 저장된 공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급기밸브(347)의 일단부가 급기공(340)을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기밸브(347)는 급기돌기(34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돌기(345)는 급기밸브(347)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급기돌기(345)는 밸브 지지공(336)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이 기설정된 압력 미만인 경우, 급기공(342)을 통해 공급된 외기는 급기밸브(347)의 일단부와 설치영역(343) 사이를 통과하여 연통공(332)을 통해 용해부(300) 내부로 충전될 수 있다. 이때, 급기밸브(347)의 급기돌기(345)는 밸브 지지공(336)에 삽입되어, 급기밸브(347) 주위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압력에 의해 급기밸브(347)의 위치가 이탈되어 연통공(33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터브(200)와 용해부(3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세탁기(101)의 외형을 형성한다.
터브(200)는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저유한다. 구체적으로, 터브(2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하우징(100)의 내벽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용해부(300)는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한다. 또한, 용해부(300)는 하우징(100)과 터브(2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용해부(300)는 터브(200)의 개방된 상부보다 하부와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용해부(300)는 터브(200)가 하우징(100)에 현가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이와 간섭되지 않고 하우징(100)의 하부와 터브(200)의 하부 사이에 별도 설치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기(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된 세탁수를 저장하는 터브(200)와, 터브(200) 내측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250)와, 세탁조(250) 내부에 배치된 펄세이터(260)와, 펄세이터(260) 및 세탁조(250)를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270) 그리고 터브(200) 하부에 설치되어 터브(200)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드레인 라인(21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부를 통해 용해부(300)의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용해부(300) 내부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용해부(300) 내부로 공급된 물은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물에 용해되도록 용해부(300) 내부를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내부 바디(320)의 중공형 내측에 저유된다. 이때, 용해 유입구(331)를 통해 계속 공급이 유지되는 물과 내부 바디(320)의 중공형 내측에 저유된 물은 서로 충돌하며 내부 바디(320)의 내벽을 따라 이동하며, 내부 바디(320)의 개방된 일측과 인접한 내부 바디(320)의 일영역에 형성된 다공부(321)를 통해 외부 바디(310)의 내주면과 내부 바디(320)의 외주면 사이의 용해 유로로 흘러 넘친다.
따라서, 용해부(300)로 유입된 물은 내부 바디(320) 및 내부 바디(320)와 외부 바디(310) 사이의 용해 유로를 따라 이동하며, 별도의 펌프 또는 교반장치 없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와 효과적으로 혼합되어 용해 유입구(331)로 유입된 물에 공기가 용해되도록 할 수 있다.
용해 유로로 흘러 넘친 물은 용해부(300) 내부에 기저장된 공기와 혼합되며, 물에 공기가 용해되어 용해 안내구(311)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될 수 있다.
버블 유입구(411)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노즐(420)의 버블 유로(421)를 통과하며 공기가 용해된 물에 포함된 공기가 탈기되며 버블(마이크로 버블)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버블은 버블 배출구(412)를 통해 버블 생성부(400) 외부로 배출되어 터브(20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터브(200)로 공급된 버블은 세탁물의 표면에 잔여 하는 세제 또는 이물질 사이의 표면장력을 떨어뜨려 세탁물이 효과적으로 세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제어부 및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해부(300)는 내부홀(322)과 용해 배수구(312) 그리고 배출 체크밸브(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홀(322)은 내부 바디(320)의 타측의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홀(322)은 내부 바디(320)의 내측과 용해 유로가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홀(322)은 내부 바디(3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용해 유로로 바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소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용해 배수구(312)은 외부 바디(310)에 형성된다. 또한, 용해 배수구(312)는 외부 바디(310)의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용해 배수구(312)는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되지 않은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하는 물이 용해부(3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 체크밸브(350)는 용해 배수구(3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 체크밸브(350)는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하는 물의 수위가 일정값 이하일 때, 용해 배수구(312)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출 체크밸브(350)는 급수구의 물 공급이 이뤄지는 동안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 또는 수위에 의해 용해 배수구(312)를 폐쇄할 수 있다.
제어부는 용해부(300) 내부의 다량의 물이 공급으로 인해, 용해부(300) 내부에 저장된 공기가 소모되어 버블 생성부(400)에서 효과적을 버블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에 의해 검출된 수위를 기초로하여, 현재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하는 공기의 양이 버블 생성부(400)에서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수위센서에서 검출된 수위가 제어부에 기저장된 설정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는 급수부가 용해 유입구(331)로 공급하는 급수를 중지시킨다. 이때, 용해부(300) 내부에 이미 저장된 공기가 용해된 물은 버블 생성부(400)로 공급되며 용해부(300) 내부의 수위가 점차 낮아진다.
그리고,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 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이 버블 생성부(400)의 버블 체크밸브(430)를 가압하여 버블 유입구(411)와 버블 유로(421)가 연통되도록 할 수 없는 경우, 배출 체크밸브(350)는 용해 배수구(312)를 개방시켜 용해부(300) 내부에 잔여 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이 용해부(3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용해부(300) 외부로 배출된 물은 터브(200)의 하부에 설치된 드레인 라인(210)과 연결되어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용해부(300) 내부의 압력은 저하되며, 급기 체크밸브(340)는 개방된다. 구체적으로, 급기밸브(347)의 급기돌기(345)는 밸브 지지공(336)에 삽입되며 급기공(340)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급기밸브(347)와 설치영역(343) 사이를 통과하여 연통공(332)을 통해 용해부(30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이때 급기 체크밸브(340)로 유입된 공기는 용해 배수구(312)를 통해 잔여 하는 물이 드레인 라인(210)으로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도울 수 있다.
급기밸브(347)가 연통공(332)과 급기공(340)을 연통시켜, 외부의 공기 용해부(300)로 계속 유입되면 용해부(300)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에 의해 배출 체크밸브(350)는 용해 배수구(312)를 폐쇄시킬 수 있다.
용해부(300) 내부에 일정압력 이상의 공기가 충전되면, 급기밸브(347)는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의 압력에 의해 급기공(340)을 폐쇄하도록 상승한다. 이때, 연통공(332) 그리고 밸브 지지공(336)을 통해 용해부(300) 내부의 공기는 급기밸브(347)의 타단부를 가압해, 급기밸브(347)의 일단부가 설치영역(343)과 접촉하여 급기공(340)의 폐쇄를 유지시키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는 필요에 따라 또는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급수부를 제어하여 용해부(300)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1)는 효과적으로 버블을 생성하여 세탁시 또는 헹굼시 세탁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잔여 하는 세제가 세탁물로부터 효과적을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1: 세탁기 300: 용해부
310: 외부 바디 311: 용해 안내구
320: 내부 바디 321: 다공부
330: 용해캡 331: 용해 유입구
332: 연통공 336: 밸브 지지공
340: 급기 체크밸브 341: 급기 커버
342: 급기공 343: 설치영역
345: 급기돌기 347: 급기밸브
400: 버블 생성부 410: 버블 바디
411: 버블 유입구 412: 버블 배출구
415: 제1 바디 416: 제2 바디
420: 버블 노즐 421: 버블 유로
430: 버블 체크밸브 440: 감압영역
100: 하우징 200: 터브

Claims (12)

  1. 급기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저장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용해부; 및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급받은 공기가 용해된 물이 통과하며 버블을 생성하는 버블 생성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용해부로부터 공기가 용해된 물이 공급되도록 형성된 버블 유입구와 생성된 버블이 배출되는 버블 배출구를 포함하는 버블 바디; 및
    상기 버블 바디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상기 버블 배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확경 형성된 버블 유로를 포함하는 버블 노즐
    을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서,
    상기 버블 바디는,
    일측에 상기 버블 유입구가 형성된 제1 바디; 및
    일측이 상기 제1 바디의 타측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버블 배출구가 형성된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서,
    상기 버블 노즐은,
    상기 버블 노즐의 일측에는 상기 버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바디의 내주면과 대향하고,
    상기 버블 노즐의 타측은 상기 제2 바디의 내주면과 대향하며,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버블 유로와 상기 버블 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4항에서,
    상기 버블 생생부는,
    상기 버블 노즐의 타측 내부와 상기 제2 바디 내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버블 유로를 통과한 버블을 감압시키는 감압영역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6. 제2항에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상기 버블 유입구와 상기 버블 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용해된 물의 압력에 따라 상기 버블 유입구를 개폐하는 버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7. 제1항에서,
    상기 용해부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는 용해 유입구가 형성된 용해캡;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용해캡에 의해 커버되며 타측에 상기 버블 생성부로 공기가 용해된 물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용해 안내구가 형성된 외부 바디;
    일측이 개방되며 상기 외부 바디의 일측에 지지되고, 외주면이 상기 외부 바디의 내주면과 서로 이격되어 용해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 바디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바디;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 바디로 유입된 물이 상기 용해 유로로 넘쳐 흐르도록 안내하는 다공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8. 제7항에서,
    상기 급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해 유입구와 이격되어 상기 용해캡에 형성된 연통공;
    일측에 외기가 유입되는 급기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설치영역이 형성되어, 상기 용해캡에 결합되는 급기 커버; 및
    상기 설치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용해부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급기공과 상기 연통공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급기밸브
    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8항에서,
    상기 급기 체크밸브는 상기 용해캡에 형성되어 상기 급기밸브를 지지하는 밸브 지지공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밸브 지지공을 중심으로 상기 연통공은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서,
    상기 급기밸브는
    일단부의 직경이 상기 급기공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상기 급기공을 폐쇄 가능하고, 타단부의 직경이 상기 급기밸브의 일단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서,
    상기 급기밸브는,
    상기 급기밸브의 타단부에 상기 밸브 지지공을 향해 돌출 형성된 급기돌기를 포함하는 세탁기.
  12.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브;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의 압력에 따라 외부 공기가 충전 저장되며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어 공급된 물에 저장된 공기가 용해되도록 공급된 물과 저장된 공기를 혼합시키는 용해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60124295A 2016-09-27 2016-09-27 세탁기 KR20180034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95A KR2018003414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CN201710236027.4A CN107869024A (zh) 2016-09-27 2017-04-12 洗衣机
US15/581,561 US10385496B2 (en) 2016-09-27 2017-04-28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295A KR2018003414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145A true KR20180034145A (ko) 2018-04-04

Family

ID=6168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295A KR20180034145A (ko) 2016-09-27 2016-09-27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85496B2 (ko)
KR (1) KR20180034145A (ko)
CN (1) CN10786902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94944A (zh) * 2019-01-02 2020-07-10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CN112853688B (zh) * 2019-11-26 2024-06-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微气泡处理剂盒组件及具有其的洗涤设备
CN113089249B (zh) * 2020-01-08 2024-03-1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3520247B (zh) * 2020-04-14 2023-02-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清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5332B2 (en) * 2004-05-25 2007-08-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System and method for dissolving gases in liquids
US20100199421A1 (en) * 2007-10-31 2010-08-12 Robotous Co Ltd Shower and wash apparatus using micro bubble
US9060916B2 (en) * 2009-01-12 2015-06-23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US8201811B2 (en) * 2009-01-12 2012-06-19 Jason International, Inc. Microbubble therapy method and generating apparatus
JP5561492B2 (ja) * 2011-11-04 2014-07-30 Smc株式会社 チェック弁
CN104711824B (zh) * 2013-12-12 2018-09-0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节水洗衣机及控制方法
KR101568209B1 (ko) * 2013-12-24 2015-11-11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버블 생성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
JP6388380B2 (ja) * 2014-06-24 2018-09-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85496B2 (en) 2019-08-20
US20180087205A1 (en) 2018-03-29
CN107869024A (zh)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74164B (zh) 洗衣机
CN107869019B (zh) 洗衣机
CN109706684B (zh) 洗衣机
KR20180034145A (ko) 세탁기
CN110318211B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产生器
US20180274163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50317B1 (ko) 세탁기
KR20190035684A (ko) 세탁기
US20180274149A1 (en) Washing Machine, Micro-Bubble Generator Thereof, and Method for Suppling Wash Water Including Micro-Bubbles in the Washing Machine
KR101572160B1 (ko) 세탁기
KR20180034146A (ko) 세탁기
KR20190113458A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미세 기포 발생기
KR20180034154A (ko) 세탁기
KR201000965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34152A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318212B (zh) 洗衣机和用于洗衣机的微泡产生器
JP6251349B1 (ja) 洗濯機
CN107869025B (zh) 洗衣机
JP2019187686A (ja) 洗濯機の注水ケース、及び洗濯機
KR20180034144A (ko) 세탁기
CN109667104B (zh) 衣物处理装置
JP6449419B2 (ja) 洗濯機
JP2022158163A (ja) 衣類処理装置
CN116804308A (zh) 洗衣机
KR20040093614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