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950A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3950A KR20180023950A KR1020187000704A KR20187000704A KR20180023950A KR 20180023950 A KR20180023950 A KR 20180023950A KR 1020187000704 A KR1020187000704 A KR 1020187000704A KR 20187000704 A KR20187000704 A KR 20187000704A KR 20180023950 A KR20180023950 A KR 20180023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et
- bather
- region
- waist
- cuto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6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waist reg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or forming three-dimensional barrier with raised lateral side-or end-w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성의 복측 몸통 둘레부(2)와, 등측 몸통 둘레부(3)와, 흡수성 본체(4)를 구비한 기저귀(11)로서, 복측 몸통 둘레부(2)는, 상단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컷아웃(20)을 갖고,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하단 영역 중 흡수성 본체(4)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인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앞길, 가랑이 아래부 및 뒷길로 이루어지고, 1개의 웨이스트 둘레 개구부 및 한 쌍의 다리 둘레 개구부가 형성된 팬티형을 띤 외장체와, 당해 외장체의 내부에 배치된 흡수성 본체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도 3A, 도 3B 및 도 3C에는, 앞길의 상단(上端)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컷아웃(cutout)에 의해 상단 가장자리가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취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앞길에는, 폭 방향을 따라 신축하는 웨이스트 둘레 신축재가 컷아웃의 폭 방향의 양측 및 컷아웃의 아래쪽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앞길의 하단(下端) 영역 중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이하에서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이라고 한다)은 다리 둘레에 가까워, 다리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앞길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가 적게 되어 있다. 한편, 컷아웃의 주변 영역에 있어서 앞길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가, 다리 둘레 주변 영역에 있어서 앞길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와 동일하면 컷아웃 주변의 강성이 낮아져 버려, 웨이스트 둘레 신축재의 폭 방향의 수축에 의해 컷아웃의 형상이 무너지고, 컷아웃이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컷아웃의 형상을 유지하여 컷아웃을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상기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측(腹側) 몸통 둘레부와, 등측(背側) 몸통 둘레부와, 액체를 흡수하는 띠상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일단부가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고, 가랑이 아래를 거쳐 타단부가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어 있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단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컷아웃을 갖고, 상기 컷아웃의 바깥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명확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컷아웃의 형상을 유지하여 컷아웃을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5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7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B∼7D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의 복측 몸통 둘레부측을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0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5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7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B∼7D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의 복측 몸통 둘레부측을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0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B는 가장자리 영역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상기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측 몸통 둘레부와, 등측 몸통 둘레부와, 액체를 흡수하는 띠상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일단부가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고, 가랑이 아래를 거쳐 타단부가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어 있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단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컷아웃을 갖고, 상기 컷아웃의 바깥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가 분명해진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컷아웃의 바깥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게 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컷아웃의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의 폭 방향의 수축이 억제되므로, 컷아웃의 형상이 유지되어 컷아웃의 존재를 알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된 제 1 시트와, 상기 착용자의 비(非)피부측에 배치된 제 2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와는 다른 별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는 다른 별체 시트를 가장자리 영역에 겹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늘려 강성을 높일 수 있어,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의 폭 방향의 수축이 억제되므로, 컷아웃의 형상이 유지되어 컷아웃의 존재를 알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별체 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별체 시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별체 시트의 상단이,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과 컷아웃의 바닥과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별체 시트는 가장자리 영역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겹쳐져,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단이 상기 제 1 시트의 상단 및 상기 제 2 시트의 상단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상하 방향의 길이가 컷아웃의 최대 길이보다도 긴 별체 시트를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함께 관통함으로써 컷아웃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체 시트가 가장자리 영역 전체에 겹쳐져,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된 디자인 시트이며, 상기 별체 시트 중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에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의 외측에 있어서의 색과는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별체 시트 중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착색함으로써, 컷아웃의 바깥 가장자리가 눈에 띄기 때문에, 컷아웃의 위치가 알기 쉬워진다. 또, 무늬가 입혀진 디자인 시트를 별체 시트로 함으로써, 당해 디자인 시트에 무늬를 입히는 공정과 동시에 착색할 수 있으므로, 착색하기 위한 공정을 늘리지 않아도 된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1 시트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피부측에 배치된 보조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보조 시트를 별체 시트로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의 일단부를 피부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흡수성 본체의 일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에 따른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보조 시트가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짐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의 일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의 위쪽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늘려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백 시트의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백 시트의 일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의 위쪽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늘려 강성을 높이면서, 흡수체에 흡수된 액체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갖고, 상기 톱 시트의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톱 시트의 일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의 위쪽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늘려 강성을 높이면서, 백 시트의 단부(端部)가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의 위화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를 따라 사이드 개더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개더부의 상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사이드 개더부의 상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의 위쪽측까지 연장하여 가장자리 영역에 겹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의 폭 방향의 양단측에 있어서 강성이 높아져, 복측 몸통 둘레부가 폭 방향으로 수축해도, 컷아웃과 복측 몸통 둘레부에서의 컷아웃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과의 경계선이 유지되기 때문에, 컷아웃의 형상이 무너지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갖고, 상기 사이드 개더부는, 상기 백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를 상기 폭 방향으로 되접어 상기 톱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백 시트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폭 방향으로 되접어 톱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사이드 개더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드 개더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코스트의 삭감으로 이어진다. 또, 별체의 시트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되접힌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부를 아래쪽으로 되접고 있기 때문에,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부의 강성이 높아져,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부에서의 폭 방향의 수축이 억제되어, 착용 시의 피부에의 조임이 완화된다.
이러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아래쪽으로 되접힌 길이가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되접힘부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되접힌 길이가 컷아웃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되접힘부가 가장자리 영역 전체에 겹쳐지므로, 가장자리 영역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 제 1 실시형태 ===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11)(이하에서는, 단지 기저귀(11)라고 한다)의 일례로서, 주로 신생아를 착용 대상으로 한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 설명한다.
<기저귀(11)의 구성>
기저귀(11)의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1)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기저귀(11)는, 착용자의 몸통 둘레측을 상측(위쪽)으로 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을 하측(아래쪽)으로 하는 「상하 방향」과, 착용자의 복측을 전측(앞쪽)으로 하고, 착용자의 등측을 후측(뒤쪽)으로 하는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는다. 또, 착용자가 기저귀(11)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하는 측을 「피부측」,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1)는, 착용자의 복측(전측)을 덮는 복측 몸통 둘레부(2)와, 착용자의 등측(후측)을 덮는 등측 몸통 둘레부(3)와, 액체를 흡수하는 띠상의 흡수성 본체(4)를 구비한다. 기저귀(11)는, 상측에 몸통 둘레 개구부(1a)가 형성되고, 폭 방향의 양측에 다리 둘레 개구부(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복측 몸통 둘레부(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도로 보아(平面視) 직사각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긴 변을 갖고 있다. 복측 몸통 둘레부(2)는,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된 제 1 시트(21)와, 착용자의 비피부측에 배치된 제 2 시트(22)와,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와는 다른 별체 시트(23)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외형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이며, 부드러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이다.
복측 몸통 둘레부(2)는, 상단 영역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별체 시트(23)를 관통하여 형성된 컷아웃(20)을 갖고 있다. 이 컷아웃(20)은, 착용자인 신생아의 배꼽(navel)이나 배꼽에 부착된 클립 등에 복측 몸통 둘레부(2)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컷아웃(20)은, 바깥 가장자리(200)가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한 곡선상이지만, 컷아웃(20)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또, 컷아웃(20)은, 반드시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별체 시트(23)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적어도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복측 몸통 둘레부(2)에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측 실고무(24)가 신장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가닥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복측 실고무(24)의 폭 방향의 수축에 수반하여,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별체 시트(23)가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또, 반드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복수의 복측 실고무(24)가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에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등, 복측 몸통 둘레부(2)가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면 된다.
별체 시트(23)는, 제 1 시트(21)와 제 2 시트(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23a)을 갖고 있다. 도 2에서는,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을 도트 패턴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가장자리 영역(20a)은,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로부터 아래쪽 및 폭 방향의 양측을 향하여, 각각,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만큼 튀어나온 범위 내, 또는 최대 10㎜ 정도 튀어나온 범위 내의 영역이다. 또, 별체 시트(23)는, 반드시 제 1 시트(21)와 제 2 시트(2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에 더하여, 별체 시트(23)가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짐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가 늘어난다. 이것에 의해,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서부터 별체 시트(23)의 상단까지의 거리(d)가,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 이하이다(d≤D). 즉, 별체 시트(23)의 상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과 컷아웃(20)의 바닥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별체 시트(23)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보다 넓은 범위에서 겹쳐지는 영역(23a)을 가지므로,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서부터 별체 시트(23)의 상단까지의 거리(d)가, 0<d<D인 경우에 대해 나타내고 있다.
또,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서부터 별체 시트(23)의 상단까지의 거리(d)가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일 때(d=D), 컷아웃(20)은, 별체 시트(23)를 관통하지 않고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만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별체 시트(23)의 상단이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제 1 시트(21)의 상단 및 제 2 시트(22)의 상단)과 겹쳐지도록 배치되고(d=0), 또한 별체 시트(23)의 상하 방향의 길이(H1)가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는(H1>D)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별체 시트(23)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전체에 겹쳐지는 영역(23a)을 가지므로,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별체 시트(23)의 상단이, 제 1 시트(21)의 상단 및 제 2 시트(22)의 상단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별체 시트(23)의 상단이, 컷아웃(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2가닥의 복측 실고무(24) 중 위쪽에 위치하는 복측 실고무(24)보다도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컷아웃(20)의 형상이 무너지는 원인으로서, 당해 2가닥의 복측 실고무(24)의 폭 방향의 수축이 가장 영향을 주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당해 2가닥의 복측 실고무(24)의 폭 방향의 수축에 의한 복측 몸통 둘레부(2)의 폭 방향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 별체 시트(23)의 폭 방향의 양단은, 각각,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보다도 폭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가장자리 영역(20a) 중 컷아웃(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별체 시트(23)가 겹쳐지므로, 가장자리 영역(20a)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별체 시트(2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무늬(230)가 입혀진 소위 디자인 시트이다. 디자인 시트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필름에 무늬(230)를 프린트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이용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무늬(230)를 망점(meshing)으로 나타내고 있다.
별체 시트(23) 중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에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외측에 있어서의 색과는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별체 시트(23) 중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에는 청색이 부여되어 있고, 가장자리 영역(20a)의 외측은 착색되어 있지 않은 것과 같은 양태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의 색과 가장자리 영역(20a)의 외측에 있어서의 색과의 차이를 이용함으로써,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가 시인(視認)하기 쉬워져, 컷아웃(20)을 보다 눈에 띄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무늬(230)가 입혀진 디자인 시트를 별체 시트(23)로 함으로써, 디자인 시트로서의 기능과,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인다는 별체 시트로서의 기능을 1장의 시트 부재에 의해 담보할 수 있다. 또한, 무늬(230)를 프린트하는 공정과 동일한 공정에 있어서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에 색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컷아웃(20)을 눈에 띄기 쉽게 하기 위해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3a)에 색을 부여하기 위한 공정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기저귀(11)의 제조 공정을 늘리지 않아도 된다.
등측 몸통 둘레부(3)는, 복측 몸통 둘레부(2)와 마찬가지로, 평면도로 보아 직사각형상이며, 폭 방향으로 긴 변을 갖고 있다. 등측 몸통 둘레부(3)는, 2장의 부드러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시트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등측 몸통 둘레부(3)에는,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등측 실고무(30)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가닥 늘어서 배치되어 있고, 등측 실고무(30)의 폭 방향의 수축에 수반하여 2장의 시트 부재가 폭 방향으로 수축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 몸통 둘레부(2)와 등측 몸통 둘레부(3)는, 예를 들면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sonic sealing) 등의 융착이나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합부(5)에서 폭 방향의 양측이 접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측 몸통 둘레부(2)와 등측 몸통 둘레부(3)가 환상으로 연결되어, 몸통 둘레 개구부(1a)가 형성된다.
흡수성 본체(4)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일단부(4a)가 복측 몸통 둘레부(2)에 배치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를 거쳐 타단부(4b)가 등측 몸통 둘레부(3)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4)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41)와, 흡수체(41)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42)와, 흡수체(41)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43)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41)는, 액체 흡수성 소재가 소정의 형상(예를 들면, 평면도로 보아 대략 모래시계 형상)으로 성형된 흡수성 코어와, 당해 흡수성 코어의 바깥 둘레면을 피복하는 코어 랩 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 흡수성 소재로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나, 고흡수성 폴리머(소위 SAP) 등의 액체 흡수성 입상물(粒 狀物)을 예시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로는,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 시트를 사용 가능하다. 또, 흡수체(41)는, 반드시 코어 랩 시트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액체를 흡수하여 당해 액체를 내부에 홀딩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톱 시트(42)는, 예를 들면 에어스루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의 유연한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백 시트(43)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 등의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와,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의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백 시트(43)는, 반드시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와, 액체 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2장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1장의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41), 톱 시트(42) 및 백 시트(43)는, 각각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재와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다. 당해 접착제의 도포 패턴으로는, Ω 패턴이나 스파이럴 패턴, 스트라이프 패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다른 접착제의 도포 패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흡수성 본체(4)의 폭 방향의 양측에는, 사이드 개더부(430)가 흡수성 본체(4)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 사이드 개더부(430)는, 다리 둘레 개구부(1b)(도 1 참조)로부터 소변 등이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개더부(430)는, 백 시트(43)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폭 방향으로 되접어 톱 시트(42)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에 대해>
다음으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기저귀(11)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3B는 가장자리 영역(20a)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이란, 복측 몸통 둘레부(2)의 하단 영역 중 흡수성 본체(4)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을 말한다(도 1 및 도 2 참조). 기저귀(11)의 착용 시에 있어서,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가까운 영역으로서, 착용자의 다리의 움직임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가 적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이다. 즉,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2장이다.
한편,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별체 시트(23)(디자인 시트)이다. 즉, 가장자리 영역(20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3장이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게 되어 있다. 도 3B에서는, 별체 시트(23)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가령, 가장자리 영역(20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와 동일하게 하면 강성이 불충분해져 버려, 컷아웃(20)의 폭 방향의 양측 및 아래쪽측에 배치된 복측 실고무(24)의 폭 방향의 수축에 수반하여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가 폭 방향으로 수축(복측 몸통 둘레부(2)가 폭 방향으로 수축)하기 때문에, 컷아웃(20)의 형상이 무너져 버려, 컷아웃(20)이 눈에 띄기 어렵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게 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의 폭 방향의 수축이 억제되므로, 컷아웃(20)의 형상이 유지되어 컷아웃(20)을 눈에 띄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23a)을 갖는 별체 시트(23)를 이용하고, 당해 별체 시트(23)로서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제 1 시트(21)와 제 2 시트(22)의 사이에 배치된 디자인 시트를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도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인 기저귀(11)의 양태는 몇 가지 고려할 수 있다. 이하, 제 2∼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양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 제 2 실시형태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2)의 구성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하 제 3∼제 5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한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2)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2)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5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5B는 가장자리 영역(20a)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2)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별체 시트(25)의 구성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1)에 있어서의 별체 시트(23)의 구성과 다르다. 별체 시트(25)는, 도 4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4a)를 제 1 시트(21)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보조 시트이다. 이 「보조 시트」란,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를 피부측으로부터 덮음으로써,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에 따른 위화감을 억제하고, 흡수성 코어가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로부터 외부로 나와 피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별체 시트(25)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의 길이가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의 폭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며, 하단부가 흡수성 본체(4)(톱 시트(42) 및 백 시트(43))의 일단부(4a)에 겹쳐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별체 시트(25)의 상하 방향의 길이(H2)는,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보다도 길다(H2>D).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2)에 있어서도,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1)와 마찬가지로,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의 2장이다.
한편,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별체 시트(25)(보조 시트)의 3장이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아져,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B에서는, 별체 시트(25)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 및 도 5B에서는, 별체 시트(25)의 상단이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 겹쳐지도록 별체 시트(25)가 배치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체 시트(25)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를 제 1 시트(21)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피부측에 배치된 보조 시트를 별체 시트(25)로 함으로써,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가 착용자의 피부에 맞닿음에 따른 위화감을 억제하면서,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 3 실시형태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3)의 구성에 대해, 도 6 및 도 7A∼7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3)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A∼7D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3)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7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7B∼7D는 가장자리 영역(20a)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가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4c)을 갖고 있다. 또, 당해 일단부(4a)측의 상단이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 겹치져 있으면 더욱 좋다. 왜냐하면, 당해 일단부(4a)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전체에 겹쳐지는 영역(4c)을 가지므로,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를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를 늘려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부재를 별도로 준비할 필요가 없어져, 코스트의 삭감으로도 이어진다.
또,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를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까지 연장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몇 가지 양태를 고려할 수 있다.
우선,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 중 백 시트(43)의 일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43c)을 갖고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B에서는, 백 시트(43)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가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의 2장인 것에 대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백 시트(43)의 3장이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아져,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백 시트(43)가 1장의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3장이지만, 예를 들면 백 시트(43)가 2장의 시트 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4장이 되어,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백 시트(43)의 일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면서, 흡수체(41)에 흡수된 소변 등의 액체가 외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 중 톱 시트(42)의 일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42c)을 갖고 있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C에서는, 톱 시트(42)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가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의 2장인 것에 대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및 톱 시트(42)의 3장이 된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아져,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톱 시트(42)의 일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까지 연장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톱 시트(42)보다도 딱딱한 액체 불투과성의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백 시트(43)의 일단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피부에의 위화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톱 시트(42)의 일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42c)을 갖는 동시에, 백 시트(43)의 일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겹쳐지는 영역(43c)을 갖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7D에서는, 톱 시트(42) 및 백 시트(43)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가 제 1 시트(21) 및 제 2 시트(22)의 2장인 것에 대해,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는 제 1 시트(21), 제 2 시트(22), 톱 시트(42) 및 백 시트(43)의 4장이다. 따라서, 가장자리 영역(20a)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에 있어서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아져,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 제 4 실시형태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4)의 구성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4)의 복측 몸통 둘레부(2)측을 나타내는 전개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4)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4)의 폭 방향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개더부(430)의 상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430a)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개더부(430)의 상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430a)은, 가장자리 영역(20a) 중 컷아웃(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도 8에서는, 가장자리 영역(20a)을 일점쇄선으로, 사이드 개더부(430)를 굵은 선으로 각각 나타내는 동시에, 사이드 개더부(430)의 상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430a)을 도트 패턴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 개더부(430)의 상단부를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측까지 연장하여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침으로써, 가장자리 영역(20a)의 폭 방향의 양단측에 있어서 강성이 높아져, 복측 실고무(24)의 수축에 수반하여 복측 몸통 둘레부(2)가 폭 방향으로 수축한 경우라도, 컷아웃(20)의 바깥 가장자리(200) 중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컷아웃(20)과 컷아웃(20)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영역과의 경계선)이 유지되므로, 컷아웃(20)의 형상이 무너지기 어려워 유지되기 쉽다.
또, 사이드 개더부(430)는, 상단이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에 겹쳐지는 위치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이드 개더부(430)는, 상단부가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430a)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갖게 되어, 가장자리 영역(20a)의 폭 방향의 양단측에서 강성이 보다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드 개더부(430)가 흡수성 본체(4)의 백 시트(43)의 폭 방향의 양단부를 폭 방향의 내측으로 되접어 톱 시트(42)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별체의 시트 부재를 설치하는 일 없이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단, 백 시트(43)를 이용하여 사이드 개더부(4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 부재를 흡수성 본체(4)에 접합시켜도 된다.
=== 제 5 실시형태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5)의 구성에 대해, 도 9 그리고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5)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5)를 상하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10A는 다리 둘레 주변 영역(2a)의 모습을 나타내고, 도 10B는 가장자리 영역(20a) 및 그 주변 영역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저귀(15)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는, 도 9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되접힌 되접힘부(210)를 갖고 있다. 도 9 및 도 10B에서는, 당해 되접힘부(210)를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되접힘부(210)는 가장자리 영역(20a)에 겹쳐지는 영역(210a)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동시에,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부에서의 강성이 높아져, 복측 실고무(24)의 수축에 수반하는 복측 몸통 둘레부(2)의 상단부에서의 폭 방향의 수축이 억제된다. 따라서, 기저귀(15)의 착용 시에, 복측 몸통 둘레부(2)의 피부에의 조임을 완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되접힘부(210)는, 상하 방향의 길이(H3)가 흡수성 본체(4)(톱 시트(42) 및 백 시트(43))의 일단부(4a)에 겹쳐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되접힘부(210)는, 아래쪽으로 되접힌 길이(H3)가 컷아웃(20)의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D)보다도 길다(H3>D). 이것에 의해, 되접힘부(210)는 가장자리 영역(20a)의 영역 전체에 겹쳐지므로,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 기타 ===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높이는 양태로서, 제 1∼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여 기저귀에 적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와 제 3 실시형태를 조합한 경우, 가장자리 영역(20a)에는, 별체 시트(23)로서의 디자인 시트와 흡수성 본체(4)의 일단부(4a)가 겹쳐져 배치되게 된다. 이 경우, 가장자리 영역(20a)에 있어서의 복측 몸통 둘레부(2)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가 보다 많아져, 가장자리 영역(20a)에서의 강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2: 복측 몸통 둘레부
2a: 다리 둘레 주변부(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
3: 등측 몸통 둘레부 4: 흡수성 본체
4a: 일단부 4b: 타단부
11, 12, 13, 14, 15: 기저귀(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20: 컷아웃 20a: 가장자리 영역
21: 제 1 시트 22: 제 2 시트
23: 별체 시트, 디자인 시트 25: 별체 시트, 보조 시트
41: 흡수체 42: 톱 시트
43: 백 시트 200: 바깥 가장자리
210: 되접힘부 430: 사이드 개더부
2a: 다리 둘레 주변부(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흡수성 본체의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
3: 등측 몸통 둘레부 4: 흡수성 본체
4a: 일단부 4b: 타단부
11, 12, 13, 14, 15: 기저귀(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20: 컷아웃 20a: 가장자리 영역
21: 제 1 시트 22: 제 2 시트
23: 별체 시트, 디자인 시트 25: 별체 시트, 보조 시트
41: 흡수체 42: 톱 시트
43: 백 시트 200: 바깥 가장자리
210: 되접힘부 430: 사이드 개더부
Claims (13)
-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과, 상기 상하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폭 방향을 갖고,
상기 폭 방향으로 신축하는 복측(腹側) 몸통 둘레부와,
등측(背側) 몸통 둘레부와,
액체를 흡수하는 띠상의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본체는, 일단부가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고, 가랑이 아래를 거쳐 타단부가 상기 등측 몸통 둘레부에 배치되어 있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단 영역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컷아웃(cutout)을 갖고,
상기 컷아웃의 바깥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가장자리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는,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의 하단 영역 중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에 적층되어 있는 부재의 매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기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된 제 1 시트와,
상기 착용자의 비(非)피부측에 배치된 제 2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와는 다른 별체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 1 시트 및 상기 제 2 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컷아웃은, 상기 제 1 시트, 상기 제 2 시트 및 상기 별체 시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의 상단에서부터 상기 별체 시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단이 상기 제 1 시트의 상단 및 상기 제 2 시트의 상단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 방향의 길이가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와의 사이에 배치된 디자인 시트이며,
상기 별체 시트 중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에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의 외측에 있어서의 색과는 다른 색이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별체 시트는,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를 상기 제 1 시트와의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피부측에 배치된 보조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백 시트의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갖고,
상기 톱 시트의 일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폭 방향의 양측에는, 상기 흡수성 본체를 따라 사이드 개더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사이드 개더부의 상단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피부측에 배치된 톱 시트와,
상기 흡수체보다도 비피부측에 배치된 백 시트를 갖고,
상기 사이드 개더부는, 상기 백 시트의 상기 폭 방향의 양단부를 상기 폭 방향으로 되접어 상기 톱 시트에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측 몸통 둘레부는, 상단부가 아래쪽으로 되접힌 되접힘부를 갖고,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가장자리 영역에 겹쳐지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되접힘부는, 상기 아래쪽으로 되접힌 길이가 상기 컷아웃의 상기 상하 방향의 최대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131816A JP6035381B1 (ja) | 2015-06-30 | 2015-06-30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JPJP-P-2015-131816 | 2015-06-30 | ||
PCT/JP2016/063039 WO2017002439A1 (ja) | 2015-06-30 | 2016-04-26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3950A true KR20180023950A (ko) | 2018-03-07 |
KR102538035B1 KR102538035B1 (ko) | 2023-05-30 |
Family
ID=5741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0704A KR102538035B1 (ko) | 2015-06-30 | 2016-04-26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EP (1) | EP3318233B1 (ko) |
JP (1) | JP6035381B1 (ko) |
KR (1) | KR102538035B1 (ko) |
CN (1) | CN107708634B (ko) |
BR (1) | BR112017026829B1 (ko) |
EA (1) | EA201800062A1 (ko) |
TW (1) | TWI711438B (ko) |
WO (1) | WO201700243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936097B (zh) * | 2018-04-03 | 2022-07-05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短裤型一次性尿布 |
JP7123777B2 (ja) * | 2018-12-07 | 2022-08-23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使い捨ておむつ |
JP7458781B2 (ja) * | 2019-12-26 | 2024-04-01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5741A (ja) * | 1982-07-01 | 1984-02-09 |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ハイゲン アクティーボラーグ | 失禁プロテクタまたはおむつ |
FR2604867A1 (fr) * | 1986-10-13 | 1988-04-15 | Gamas Jerome | Couche jetable avec compresse ombilicale |
WO2001001904A1 (en) * | 1999-06-30 | 2001-01-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pull-on pants |
JP2005287662A (ja) * | 2004-03-31 | 2005-10-20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131111A (ja) * | 2008-12-03 | 2010-06-17 | Kao Corp | シートの折り返し装置並びに該装置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
JP2012192115A (ja) | 2011-03-18 | 2012-10-11 | Oji Nepia Co Ltd | 使い捨ておむつ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0337610C (zh) * | 2002-11-18 | 2007-09-19 | 尤妮佳股份有限公司 | 安装辅助衬垫用吸收性物品 |
JP4357384B2 (ja) * | 2004-08-03 | 2009-11-04 | 花王株式会社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US8506546B2 (en) * | 2005-04-20 | 2013-08-1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aper with umbilical feature |
KR101765186B1 (ko) * | 2010-07-07 | 2017-08-04 |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 일회용 기저귀 |
WO2012120864A1 (en) * | 2011-03-04 | 2012-09-13 | Unicharm Corporation | Disposable diaper |
-
2015
- 2015-06-30 JP JP2015131816A patent/JP6035381B1/ja active Active
-
2016
- 2016-04-26 EP EP16817549.5A patent/EP3318233B1/en active Active
- 2016-04-26 CN CN201680038567.5A patent/CN107708634B/zh active Active
- 2016-04-26 BR BR112017026829-9A patent/BR112017026829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6 KR KR1020187000704A patent/KR1025380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6 WO PCT/JP2016/063039 patent/WO201700243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4-26 EA EA201800062A patent/EA201800062A1/ru unknown
- 2016-06-15 TW TW105118783A patent/TWI711438B/zh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25741A (ja) * | 1982-07-01 | 1984-02-09 |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ハイゲン アクティーボラーグ | 失禁プロテクタまたはおむつ |
FR2604867A1 (fr) * | 1986-10-13 | 1988-04-15 | Gamas Jerome | Couche jetable avec compresse ombilicale |
WO2001001904A1 (en) * | 1999-06-30 | 2001-01-1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pull-on pants |
JP2005287662A (ja) * | 2004-03-31 | 2005-10-20 | Daio Paper Corp |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10131111A (ja) * | 2008-12-03 | 2010-06-17 | Kao Corp | シートの折り返し装置並びに該装置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
JP2012192115A (ja) | 2011-03-18 | 2012-10-11 | Oji Nepia Co Ltd | 使い捨ておむ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A201800062A1 (ru) | 2018-04-30 |
TWI711438B (zh) | 2020-12-01 |
JP6035381B1 (ja) | 2016-11-30 |
KR102538035B1 (ko) | 2023-05-30 |
EP3318233A1 (en) | 2018-05-09 |
BR112017026829A2 (pt) | 2018-08-14 |
CN107708634B (zh) | 2021-01-22 |
BR112017026829B1 (pt) | 2022-11-16 |
EP3318233A4 (en) | 2018-06-27 |
WO2017002439A1 (ja) | 2017-01-05 |
TW201709881A (zh) | 2017-03-16 |
EP3318233B1 (en) | 2020-12-16 |
JP2017012404A (ja) | 2017-01-19 |
CN107708634A (zh) | 2018-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07273B1 (ko) | 흡수성 물품 | |
KR20130094327A (ko) | 흡수성 제품 및 흡수성 제품 제조 방법 | |
KR20180023897A (ko) | 일회용 착용 물품 | |
CN210330913U (zh) | 短裤型吸收性物品 | |
EP2216000A1 (en) | Absorbent article | |
KR102538035B1 (ko) |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 | |
US20110066125A1 (en) | Disposable pants-type diaper | |
JP7129799B2 (ja) | 使い捨て着用物品 | |
US8728050B2 (en) |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a barrier sheet | |
JP3217272U (ja) | 吸収性物品 | |
EP2637619B1 (en) | Absorbent product and disposable diaper | |
KR101844207B1 (ko) | 흡수성 물품 | |
JP6220819B2 (ja) | 吸収性物品 | |
KR101844208B1 (ko) | 흡수성 물품 | |
WO2019221274A1 (ja) | 吸収性物品、及び、パンツ型吸収性物品 | |
CN108135753B (zh) | 一次性尿布 | |
KR20180022839A (ko) | 흡수성 물품 | |
JP6573589B2 (ja) |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 |
CN113194899B (zh) | 裤形吸收性物品及附接吸收性垫的方法 | |
CN210124916U (zh) | 短裤型吸收性物品 | |
KR102483846B1 (ko) | 일회용 기저귀 | |
JP5958295B2 (ja) | 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